KR102484957B1 - 차량 탑재식 방충망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탑재식 방충망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4957B1
KR102484957B1 KR1020220145277A KR20220145277A KR102484957B1 KR 102484957 B1 KR102484957 B1 KR 102484957B1 KR 1020220145277 A KR1020220145277 A KR 1020220145277A KR 20220145277 A KR20220145277 A KR 20220145277A KR 102484957 B1 KR102484957 B1 KR 102484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ct screen
interlocking
vehicle
driv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5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준철
Original Assignee
신준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준철 filed Critical 신준철
Priority to KR1020220145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49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4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4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4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a combination of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2Cleaning travell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08B5/023Cleaning travelling work
    • B08B5/026Cleaning moving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3/00Details of cleaning machines or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2203/02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2203/0264Splash guards

Landscapes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충망 세척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적재함 위에 적재함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망레일; 상기 망레일의 일측에 설치되는 롤러고정판; 상기 롤러고정판의 일측에 설치되어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모터; 상기 롤러고정판에 일렬로 배치되어 고정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수 개의 구동롤러가 형성되고, 상기 수 개의 구동롤러와 치합되면서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을 연결하는 구동벨트로 이루어져 상기 구동모터가 작동하면 상기 구동롤러를 따라 구동벨트가 선회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대향측의 상기 롤러고정판에 고정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전후로 이동 가능한 수 개의 연동롤러가 형성되고, 상기 수 개의 연동롤러와 치합되면서 연동롤러를 따라 선회하는 연동벨트가 형성되어 상기 구동벨트와 연동벨 사이에 방충망이 들어 갈 수 있는 방충망투입구가 확보되며, 상기 각각의 고정축의 상단에 끼워져 수 개의 연동롤러를 하나로 묶는 축고정판이 형성되고, 상기 축고정판의 일측에는 하나로 묶인 연동롤러가 전후로 이동할 때 뒤에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댐퍼로 구성되어 상기 방충망투입구로 방충망이 들어가면 방충망의 양면이 댐퍼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되면서 방충망 프레임을 양면에서 가압하여 상기 구동벨트를 통한 동력이 방충망을 통해 상기 연동벨트에 전달됨으로써 상기 연동벨트가 연동롤러를 따라 선회하면서 방충망을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연동부; 상기 망레일의 양측단에 위로 세워져 세척액이 분사될 때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막는 물막음판; 상기 물막음판에 형성되고, 차량의 하부나 일측에 설치된 세척액조 및 압축공기조와 호스로 연결되어 세척액 및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챠량 탑재식 방충망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탑재식 방충망 세척장치{Vehicle-mounted insect screen cleaning device}
본 발명은 방충망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럭의 적재함에 설치되어 현장에서 바로 세척할 수 있는 차량 탑재식 방충망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방충망은 파리, 모기 따위의 해충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창문에 치는 망을 의미한다. 즉 일반주택이나 오피스빌딩 및 아파트 창틀에 방충망을 설치하여 공기는 통하게 하면서 해충을 들어오지 못하게 하는 게 방충망이다.
방충망은 세척이나 창문을 교체하고, 방충망이 노후화 되었을 때 등 필요에 따라 분리해야 하므로 창틀에 착탈식으로 설치된다.
방충망의 구조를 살펴보면, 외곽 테두리는 창틀에 고정할 수 있도록 금속이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프레임 안쪽에는 철망이나 질긴 실망으로 이루어진다.
철망은 모기나 모기 보다 작은 해충들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매우 촘촘하게 형성되어 있는데, 방충망이 창틀에 설치되어 있으면 시간이 지나면서 철망 사이사이에 먼지가 낀다. 철망 사이에 먼지가 끼면 수분에 의해 떡처럼 엉기면서 지저분해지고 해충의 사체들이 여기에 늘러붙어 있으면 미관도 좋지 않고 냄새도 난다.
이와 같이 방충망이 시간이 지날수록 더러워지므로 주기적으로 세척해 주어야 한다. 방충망은 창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창틀에 물을 분사하여 세척할 수 도 있지만, 물만으로는 세척이 잘 되지 않아 세척제를 혼합해서 하게 된다.
세척제가 혼합되면 창틀에 물을 분사했을 때 바닥으로 흘러내려 환경오염 문제가 생긴다. 또한 철망 사이에 사이에 오염물질이 고착되어 있으므로 세척이 잘 되지 않고, 창틀 외측에서 물을 분사하므로 프레임의 내측은 아예 세척되지 않는다.
따라서, 방충망을 세척할 때는 창틀에서 방충방을 분리하여 오염제거시설이나 방충망을 더 잘 세척하기 위한 여러가지 시설이 구비된 특정세척장소에서 세척한다.
그런데 방충망은 부피가 크기 때문에 특정세척장소 까지 이동하려면 운송비용과 운송 과정에서 시간이 많이 걸린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2-6146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13774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39917호 대한민국 등록공개실용신안 제20-2011-5709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84997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에 탑재하여 다니다가 현장에서 바로바로 세척할 수 있는 차량 탑재식 방충망 세척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방충망 세척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적재함 위에 적재함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망레일; 상기 망레일의 일측에 설치되는 롤러고정판; 상기 롤러고정판의 일측에 설치되어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모터; 상기 롤러고정판에 일렬로 배치되어 고정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수 개의 구동롤러가 형성되고, 상기 수 개의 구동롤러와 치합되면서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을 연결하는 구동벨트로 이루어져 상기 구동모터가 작동하면 상기 구동롤러를 따라 구동벨트가 선회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대향측의 상기 롤러고정판에 고정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전후로 이동 가능한 수 개의 연동롤러가 형성되고, 상기 수 개의 연동롤러와 치합되면서 연동롤러를 따라 선회하는 연동벨트가 형성되어 상기 구동벨트와 연동벨 사이에 방충망이 들어 갈 수 있는 방충망투입구가 확보되며, 상기 각각의 고정축의 상단에 끼워져 수 개의 연동롤러를 하나로 묶는 축고정판이 형성되고, 상기 축고정판의 일측에는 하나로 묶인 연동롤러가 전후로 이동할 때 뒤에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댐퍼로 구성되어 상기 방충망투입구로 방충망이 들어가면 방충망의 양면이 댐퍼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되면서 방충망 프레임을 양면에서 가압하여 상기 구동벨트를 통한 동력이 방충망을 통해 상기 연동벨트에 전달됨으로써 상기 연동벨트가 연동롤러를 따라 선회하면서 방충망을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연동부; 상기 망레일의 양측단에 위로 세워져 세척액이 분사될 때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막는 물막음판; 상기 물막음판에 형성되고, 차량의 하부나 일측에 설치된 세척액조 및 압축공기조와 호스로 연결되어 세척액 및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챠량 탑재식 방충망 세척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충망 세척장치는 차량에 탑재된 상태에서 세척을 할 수 있으므로 방충망이 설치된 곳으로 신속하게 이동하여 현장에서 바로바로 세척을 진행할 수 있고, 구동부에 방충망을 물려주기만 하면 자동으로 세척이 되므로 단시간에 많은 양의 방충망을 세척할 있으며, 세척장치를 차량에서 착탈할 수 있으므로 차량을 다른 용도로 사용하고자 할 때 간단히 착탈 시킬 수 있고, 댐퍼를 사용하여 방충망 프레임을 양면에서 가압하여 이동시키므로 방충망 이송시 구동롤러나 연동롤러가 회전할 때 소음이나 진동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게다가, 방충망을 세척할 때 발생되는 오염수가 비산되지 않도록 하면서 별도의 오염수저장탱크로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방충망 세척시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방충망 세척시 발생되는 환경 오염에 따른 민원도 없어진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럭의 적재함 위에 슬라이딩바(330)가 설치된다. 슬라이딩바(330)는 고정파이프(332)와 연신파이프(334)로 구성되고, 고정파이프(332)에 연신파이프(334)가 끼워져 적재함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연신파이프(334)는 연신되었을 때 적재함 밖으로 대략 30 ~ 40cm 정도 돌출되는데, 이는 방충망(N)을 세척할 때 방충망이 적재함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슬라이딩바(330)은 적재함에 볼트/너트 방식으로 결합하여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언제라도 착탈할 수 있도록 한다.
연신파이프(334) 위에는 망레일(110)이 설치된다. 망레일(110)은 적재함 위에 바로 설치할 수도 있지마, 폭방향 이동을 위해 연신파이프(334) 위에 설치된다.
망레일(110)은 세척시 방충망이 미끄러지면서 이동하는 것으로서, 격자바닥판(112)과 T바(114) 및 가이드판(116)으로 구성된다. 격자바닥판(112)은 낙하된 오염수가 모일 수 있도록 단면이 (┗┛)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지고, 폭은 대략 20 ~ 40cm 이고 적재함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격자바닥판(112)의 중심에는 T바(114)가 길게 형성된다. T바(114)의 평평한 상단은 격자바닥판(112)의 바닥 보다 1 ~ 3cm 정도 더 높다. 이는 세척액이 격자바닥판(112)에 떨어져도 방충망(N)의 저부가 세척액(오염수)에 침수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방충방의 저부가 오염수에 침수되면 방충망(N)의 저부를 세척하는 공정이 추가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격자바닥판(112)에는 수개의 하수공(H)을 형성하여 세척액이 하수공(H)을 통해 배수될 수 있도록 하고, 별도의 하수저장탱크를 마련하여 하수공(H)에 호스로 연결함으로써 격자바닥판(112)에 떨어진 세척액을 하수저수탱크로 배출시킬 수 있다.
격자바닥판(112)의 내부 측면에는 방충망 두께 보다 폭이 대략 1 ~ 2cm 더 넓은 간격이 형성되도록 하는 한 쌍의 가이드판(116)이 형성된다. 가이드판(116)은 T바를 따라 이동하는 방충망(N)의 프레임 양면을 기울어지지 않게 지지해서 방충망이 세워진 채로 이송되도록 한다.
가이드판(116)의 상면에는 물막음판(310)이 상호 대향되어 한 쌍 형성된다. 가이드판(116)의 상면 내측에 격자고정판(112)의 벽면에 밀착시켜 형성되어 물박음판(310)과 물박음판(310) 사이의 간격이 대략 격자바닥판(112)의 폭과 비슷하다. 물박음판(310)은 세척액이 물막음판(310) 사이의 공간에 분사될 때 물막음판(310) 밖으로 비산되지 않도록 방지한다. 또한 물막음판(310) 높이의 1/3 지점에 가이드바(118)를 형성하여 다시 한 번 이송하는 방충망의 프레임 양면을 지지해 줌으로써 방충망(N)이 기울어지지 않고 세워진 채로 이송되도록 한다.
물막음판(310)에는 다수의 분사노즐(320)이 구비된다. 각각의 분사노즐(320)에는 트럭의 적재함이나 트럭의 하부에 구비된 각종 세척액조와 물저장조 및 압축공기조에 연결된다. 즉 세척액조에 분사노즐(320)이 호스를 통해 연결되면, 분사노즐(320)에서 세척액이 분사되고, 물저장조와 연결되면 물이 분사되며, 압축공기조와 연결되면 압축공기가 분사된다. 분사노즐(320)은 물막음판의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다수의 분사구(322)가 형성되는데, 이는 방충망(N)이 지나갈 때 방충망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세척액이 골고루 뿌려져 방충망 전체에 세척액이 직접 접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망레일(110)의 일측에는 구동부(D)와 연동부(I)가 구비된다. 구동부와 연동부는 방충망을 물어서 망레일(110)로 이송시킨다. 구동부(D)와 연동부(1)는 롤러고정판(120)에 설치된다. 롤러고정판(120)은 적재함에 볼트/너트 방식으로 결합하여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언제라도 간단히 착탈할 수 있다. 따라서 롤러고정판(120)은 분리해 놓았다가 현장에서 바로 적재함에 설치할 수 있다.
구동부는 세 개의 구동롤러와 벨트로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의 롤러고정판(120)에 세 개의 구동롤러(140)가 일렬로 형성된다. 구동롤러(140)가 일렬로 형성되는 것은 방충망(N)을 가압할 때 매우 중요하다. 롤러고정판(120)에 세 개의 축공(122)을 일렬로 형성되고, 여기에 고정축(P1)을 끼운다. 고정축(P1)의 하단에 베어링(B)을 형성한 후 그 위에 구동롤러(140)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된다.
고정축(P1)의 상단에 세 개의 고정축(P1)을 하나로 묶는 축고정판(160)이 결합된다. 축고정판(160)에 세 개의 통공을 형성한 후 세 개의 고정축(P1)에 각각 끼운다. 축고정판(160)에 의해 세 개의 고정축(P1)이 하나로 묶이면 구동롤러(140)가 회전할 때 진동이 발생하는데, 이때 축고정판(160)에 의해 각각의 고정축(P1)이 서로 지지되면서 진동이 크게 감소된다.
롤로고정판(120)의 다른 일측에는 구동모터(130)가 구비된다. 구동모터(130)는 차량의 배터리 전원을 사용할 수도 있고, 외부 전원을 사용할 수도 있다. 구동모터(130)의 모터축(132)과 세 개의 구동롤러(140)는 구동벨트(150)로 연결된다. 모터축(132)과 세 개의 구동롤러(140)가 구동벨트(150)로 치합되어 있어서 구동모터(130)가 작동되면 모터축(132)의 회전에 의해 구동벨트(150)가 회동한다. 세 개의 구동롤러(140)가 일렬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일렬로 배치된 세 개의 구동롤러(140)를 감싼 상태로 구동벨트(150)가 선회하므로 구동벨트(150)의 앞 부분 외면은 평면이 된다.
구동부(D)의 대향측의 롤러고정판(120)에는 앞 부분에 세 개의 연동롤러(240), 뒷 부분에 하나의 연동롤러(240), 연동벨트(250), 축고정판(260), 댐퍼(270)로 이루어진 연동부(I)가 구비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롤러(140)와 대략 방충망(N) 프레임의 두께 만큼 이격된 거리에 세 개의 연동롤러(240)가 일렬로 배치되어 결합된다. 앞 부분에 일렬로 세 개의 장축공(222)을 형성하고, 뒷 부분에 하나의 장축공(222)을 형성한 후 각각의 장축공(222)에 고정축(P2)을 끼운다. 장축공(222)에 끼워진 고정축(P2)은 외력이 가해지면 장축공(222) 내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다.
고정축(P2) 하단에 베어링(B)을 삽입하고, 그 위에 연동롤러(240)를 삽입한다. 연동롤러(240) 위의 고정축(P2)에 다시 베어링(B)을 삽입하고 그 위에 축고정판(260)을 결합한다. 축고정판(240)에는 네 개의 고정축(P2)에 대응되는 통공을 형성한 후 통공에 각각의 고정축(P2)이 끼워진 것으로, 축고정판(260)에 의해 네 개의 고정축(P2)이 하나로 묶인다. 네 개의 고정축(P2)이 하나로 묶여 있으면 연동롤러(240)가 회전할 때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서로 묶인 고정축(P2)이 서로 지지되면서 진동을 크게 감소시킨다.
네 개의 연동롤러(240)는 연동벨트(250)로 연결된다. 연동벨트(250)가 네 개의 연동롤러(240)를 감싸면서 치합되어 있어서 연동벨트(250)에 회전력이 가해지면 연동롤러(240)를 따라 선회한다. 앞 부분에 형성된 세 개의 연동롤러(240)는 일렬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연동벨트(250)가 연동롤러(250)에 감싸여져 치합되면 앞 부분의 연동벨트(250)는 구동벨트(150)와 마찬가지로 평면이 된다. 즉 앞 일렬로 형성된 구동롤러(140)와 일렬로 형성된 연동롤러(240)가 방충망 두께 만큼 이격되어 있으므로, 구동벨트(150)와 연동벨트(250) 사이는 구동벨트(150)와 연동벨트(250) 두께 만큼 좁아진 간격이 형성되고, 이 간격이 방충망투입구가 된다. 방충망투입구의 간격은 연동롤러(240)를 고정하는 고정축(P2)이 장축공(222)에서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더 넓거나 좁게 설정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고정판(260)에는 댐퍼(270)가 결합된다. 댐퍼(270)는 축고정판(260) 일측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고, 댐퍼브라켓(272)을 형성한 후 여기에 댐퍼(270)를 형성할 수 있다. 댐퍼(270)는 연동부(I)가 전후 한방향으로만 탄성 지지되도록 결합된다. 댐퍼(270)는 유압이나 공기압 실린더를 사용할 수도 있고, 스프링을 사용할 수도 있는데, 연동부(I)를 뒤에서 받치면서 전면에서 외력이 가해지면 탄성적으로 연동부를 밀어주는 기능을 한다. 연동부(I)의 고정축(P2)은 장축공(222)에 삽입되어 있으르로 연동벨트(250) 전면에 외력이 가해지면 장축공(222)을 따라 뒤로 이동하고, 댐퍼(270)가 뒤에서 받치고 있기 때문에 연동부(I) 전체가 외력 만큼의 반발력으로 밀어준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방충망 세척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내지 도 7에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130)를 작동시키면 모터축(132)과 연결된 구동벨트(150)가 구동롤러(140)를 회전시키면서 선회한다. 이때 방충망(N)을 구동벨트(150)와 연동벨트(250) 사이의 방충망투입구에 밀어 넣으면 방충망투입구가 방충망(N)의 프레임 두께 보다 간격이 좁으므로 연동부(I)가 뒤로 밀리면서 투입된다.
연동부(I)의 고정축(P2)들은 장축공(222)내에서 전후에 이동할 수 있도록 삽입되어 있으므로 연동벨트(250)에 방충망(N)에 의한 외력이 가해지면 축고정판(260)에 의해 연동롤러(240)가 하나로 묶여 있으므로 연동부(I) 전체가 뒤로 밀린다. 연동부(I) 전체가 뒤로 밀릴 때 축고정판(260)에 연결된 댐퍼(270)도 뒤로 밀리지만, 댐퍼(270)는 반발력이 있으므로 방충망(N)에 의해 연동부(I)에 가해지는 외력 만큼의 반력이 발생하면서 방충망(N)을 가압한다. 즉 댐퍼(270)의 반력에 의해 방충망(N)을 양면에서 가압한다.
이와 같이 구동벨트(150)와 연동벨트(250) 사이에 끼인 방충망(N)은 댐퍼(270)에 의해 양면에서 탄성적으로 가압되므로 구동벨트(150)와 연동벨트(250)의 회전에 따라 전방으로 이송된다. 방충망(N)은 구동벨트(150)와 연동벨트(250)에 물려서 망레일(110)의 T바(114) 위로 이송된다. 또 다른 방충망(N)도 동일한 방식으로 방충망투입구에 밀어 넣으면 방충망(N)이 계속적으로 망레일(110)의 T바(114) 위로 이송된다. 따라서 후행하는 방충망(N)에 의해 선행된 방충망(N)이 밀리면서 T바(114)를 따라 전진한다.
T바(114)를 따라 전진하는 방충망(N)에 다양한 세척액이나 압축공기와 연결된 분사노즐(320)을 작동시켜 세척을 한다. 다수의 분사노즐(320)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합할 수 있는데, 가장 앞 부분부터, 압축공기 - 맑은물 - 세척액 - 맑은물- 압축공기 과정을 거치면서 세척된다. 상기 세척 과정을 설명하면, T바(114)에 방충망(N)이 이송되면, 가장 앞 부분에서 분사노즐(320)을 통해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방충망(N)에 달라 붙은 먼지를 털어내고, 다음 단계로 분사노즐(320)을 통해 맑은물을 분사하여 방충망(N)에 달라 붙은 먼지를 일부 제거하며, 다음 단계로 분사노즐(320)을 통해 세척액을 분사시켜 방충망(N)에 달라 붙은 오염물질을 완전히 제거하고, 다음 단계로 분사노즐(320)을 통해 맑음물 분사시켜 방충망에 잔류한 세척액을 제거하며, 다음단계로 분사노즐(320)을 통해 압축공기를 분사시켜 방충망(N)을 건조시킨다.
세척의 마지막 단계를 거친 방충망(N)은 받아서 일측에 적층시켜두었다가 창틀에 다시 끼우면 된다.
방충망(N)이 T바(114)를 따라 이동할 때 망레일(110)의 가이드판(116)과 물막음판(310)에 형성된 가이드바(118)에 의해 방충망(N)이 기울어지지 않고 세워져서 이송되고, 분사노즐(320)도 물막음판(310)에 높이 방향으로 다단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세척액이나 압축공기도 방충망(N) 전체에 골고루 분사된다. 또한 물막음판(310)에 의해 세척액이 물막음판(310) 외부로 비산되지 않으며, 물막음판(310)을 따라 흘러내려 격자바닥판(112)에 고인 오염수는 하수공을 통해 별도로 마련된 오염수저장탱크로 배출시킨다.
110 : 망레일 112 : 격자바닥판
114 : T바 116 : 가이드판
118 : 가이드바 120 : 롤로고정판
122 : 축공 130 : 구동모터
132 : 모터축 140 : 구동롤러
150 : 구동벨트 160 : 축고정판
222 : 장축공 240 : 연동롤러
250 : 연동벨트 260 : 축고정판
270 : 댐퍼 272 : 댐퍼브라켓
310 : 물막음판 320 : 분사노즐
322 : 분사구 330 : 슬라이딩바
340 : 배수구

Claims (5)

  1. 방충망 세척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적재함 위에 적재함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망레일(110);
    상기 망레일의 일측에 설치되는 롤러고정판(120);
    상기 롤러고정판의 일측에 설치되어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모터(130);
    상기 롤러고정판(120)에 일렬로 배치되어 고정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수 개의 구동롤러(140)가 형성되고, 상기 수 개의 구동롤러(140)와 치합되면서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132)을 연결하는 구동벨트(150)로 이루어져 상기 구동모터(130)가 작동하면 상기 구동롤러(140)를 따라 구동벨트(150)가 선회하는 구동부(D);
    상기 구동부(D)의 대향측의 상기 롤러고정판(120)에 고정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전후로 이동 가능한 수 개의 연동롤러(240)가 형성되고, 상기 수 개의 연동롤러(240)와 치합되면서 연동롤러(240)를 따라 선회하는 연동벨트(250)가 형성되어 상기 구동벨트(150)와 연동벨트(250) 사이에 방충망(N)이 들어 갈 수 있는 방충망투입구가 확보되며, 상기 각각의 고정축(P2)의 상단에 끼워져 수 개의 연동롤러(240)를 하나로 묶는 축고정판(260)이 형성되고, 상기 축고정판(260)의 일측에는 하나로 묶인 연동롤러(240)가 전후로 이동할 때 뒤에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댐퍼(270)로 구성되어 상기 방충망투입구로 방충망(N)이 들어가면 방충망(N)의 양면이 댐퍼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되면서 방충망 프레임을 양면에서 가압하여 상기 구동벨트(150)를 통한 동력이 방충망(N)을 통해 상기 연동벨트(250)에 전달됨으로써 상기 연동벨트(250)가 연동롤러(240)를 따라 선회하면서 방충망(N)을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연동부(I);
    상기 망레일의 양측단에 위로 세워져 세척액이 분사될 때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막는 물막음판(310);
    상기 물막음판(310)에 형성되고, 차량의 하부나 일측에 설치된 세척액조 및 압축공기조와 호스로 연결되어 세척액 및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노즐(3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식 방충망 세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차량의 적재함에는 적재함의 폭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딩바(330)가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바(330) 위에 망레일(110)이 설치되어, 상기 망레일(110)을 적재함 외측으로 수평 이동시켰다가 다시 복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식 방충망 세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망레일(110)의 격자바닥판(112)에 형성되는 T바(114)는 격자바닥판(112) 보다 더 높게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격자바닥판(112)에 떨어진 세척액에 방충망(N)의 저부가 침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식 방충망 세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롤러(140)를 고정하는 각각의 고정축(P1) 상단에 끼워져 각각의 고정축(P1)을 하나로 묶음으로써 구동롤러(140)가 회전할 때 각각의 고정축(P1)이 상호간에 지지되도록 하여 진동을 감소시키는 축고정판(160)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식 방충망 세척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망레일(110)의 격자바닥판(112)에는 배수구(340)를 형성하고 차량의 일측이나 외부에 별도의 오염수저장탱크를 마련한 후 상기 배수구(340)와 오염물저장탱크를 호스로 연결하여 상기 격자바닥판(112)에 떨어진 오염수를 오염수저장탱크로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식 방충망 세척장치.
KR1020220145277A 2022-11-03 2022-11-03 차량 탑재식 방충망 세척장치 KR102484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5277A KR102484957B1 (ko) 2022-11-03 2022-11-03 차량 탑재식 방충망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5277A KR102484957B1 (ko) 2022-11-03 2022-11-03 차량 탑재식 방충망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4957B1 true KR102484957B1 (ko) 2023-01-09

Family

ID=84892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5277A KR102484957B1 (ko) 2022-11-03 2022-11-03 차량 탑재식 방충망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49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75041A (zh) * 2023-04-26 2023-07-04 安徽宏益光伏新材料有限公司 一种石英石制备高纯石英砂的装置及方法
CN116375041B (zh) * 2023-04-26 2024-06-04 安徽宏益光伏新材料有限公司 一种石英石制备高纯石英砂的装置及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5709U (ko) 2009-12-02 2011-06-10 황인주 롤방충망이 구비된 유리창 세척장치
KR20180137740A (ko) 2017-06-19 2018-12-28 노성호 미닫이 창문의 유리창 및 방충망 세척장치
KR20200039917A (ko) 2018-10-08 2020-04-17 정현수 방충망 장착형 유리창 세척장치
KR102184997B1 (ko) 2020-07-02 2020-12-01 주식회사 무영씨엠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방충망 자동청소장치
KR20220061466A (ko) 2020-11-06 2022-05-13 조현우 자가세척 방충망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자가세척 방충망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5709U (ko) 2009-12-02 2011-06-10 황인주 롤방충망이 구비된 유리창 세척장치
KR200465053Y1 (ko) * 2009-12-02 2013-02-13 노규봉 롤방충망이 구비된 유리창 세척장치
KR20180137740A (ko) 2017-06-19 2018-12-28 노성호 미닫이 창문의 유리창 및 방충망 세척장치
KR20200039917A (ko) 2018-10-08 2020-04-17 정현수 방충망 장착형 유리창 세척장치
KR102184997B1 (ko) 2020-07-02 2020-12-01 주식회사 무영씨엠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방충망 자동청소장치
KR20220061466A (ko) 2020-11-06 2022-05-13 조현우 자가세척 방충망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자가세척 방충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75041A (zh) * 2023-04-26 2023-07-04 安徽宏益光伏新材料有限公司 一种石英石制备高纯石英砂的装置及方法
CN116375041B (zh) * 2023-04-26 2024-06-04 安徽宏益光伏新材料有限公司 一种石英石制备高纯石英砂的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25816B2 (en) Waste container cleaning system with conveyor
JP5199700B2 (ja) 配合装置
US20130019906A1 (en) Agricultural Container Washer and Method
JP2001524004A (ja) 靴並びにあらゆる種類の車輪及び転輪の清掃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492652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carpet tiles
KR100916086B1 (ko) 보조이송수단을 갖는 정치망 세척장치
KR102484957B1 (ko) 차량 탑재식 방충망 세척장치
EP2222157A2 (fr) Surface a nettoyage automatique destinee a recolter les dejections animales en les separant des elements liquides en vue de leurs recyclages
CN100490721C (zh) 一种电动擦窗器
US8241506B1 (en) Floating debris removal system for a pool
US3304566A (en) Mat cleaning apparatus
JP4330170B2 (ja) マットレス洗浄消毒装置、及びマットレス洗浄消毒方法
CN116967172A (zh) 一种清洗干燥的养殖网清洗设备
EP0733528B1 (de) Vorrichtung zur vollautomatischen Reinigung eines Fahrrades
CN111979993A (zh) 一种用于水利的河道拦污装置
US20020088746A1 (en) Fluid reclamation system
CN212754213U (zh) 一种卤制品冷却装置
CN111359129B (zh) 一种消防水带清洗装置
CN107224795A (zh) 自动清洗装置
CN114377888A (zh) 一种建筑装修内壁隔音材料喷涂设备
JP2591589B2 (ja) 台車用洗浄装置
CN201088551Y (zh) 一种地面清扫擦抹装置
CN220220685U (zh) 一种车轮清洁装置
EP0769248B1 (fr) Installation pour laver des poissons et suppport de poisson adapté pour une telle installation
CN220967964U (zh) 一种消防水带去污清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