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5709U - 롤방충망이 구비된 유리창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롤방충망이 구비된 유리창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5709U
KR20110005709U KR2020090015648U KR20090015648U KR20110005709U KR 20110005709 U KR20110005709 U KR 20110005709U KR 2020090015648 U KR2020090015648 U KR 2020090015648U KR 20090015648 U KR20090015648 U KR 20090015648U KR 20110005709 U KR20110005709 U KR 2011000570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fixing
blade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56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5053Y1 (ko
Inventor
황인주
Original Assignee
황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인주 filed Critical 황인주
Priority to KR20200900156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053Y1/ko
Publication of KR201100057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7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0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05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4Roller fly scr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00Cleaning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6Rigid blades, e.g. scrapers; Flexible blades, e.g. wipers
    • B08B1/165Scrap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9Arrangements at the overlapping vertical edges of the wings that engage when clo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4Roller fly screens
    • E06B2009/546Roller fly screens connected to end- or bottom-bar of roller shut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존 설치된 창문틀에 롤방충망이 구비된 지지프레임을 설치하고, 이 지지프레임의 일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세척수단을 구비하여, 고정창문을 손쉽게 세척함과 아울러 방충망 기능을 갖는 롤방충망이 구비된 유리창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롤방충망이 구비된 유리창 세척장치{Glass window cleansing system}
본 고안은 롤방충망이 구비된 유리창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기존 설치된 창문틀에 간단하게 설치하여, 창틀의 고정창문을 손쉽게 세척함과 아울러 방충망 기능을 갖는 롤방충망이 구비된 유리창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출원한 국내 특허 제10-489637호 ' 유리창 자동 세척장치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창문틀의 외측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레일; 창문틀의 외측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레일; 상기 상부레일의 하부에 장착되어 유리창의 바깥면에 물을 분사하는 살수파이프; 상단은 상기 상부레일의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은 하부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살수파이프에 의해 물이 분사된 유리창의 바깥면을 세척하는 제1세척수단 및 창문틀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세척수단을 슬라이딩시키는 구동수단; 실내측 창문과 실외측 창문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창문 구조에서, 실외측 창문의 프레임 내측에 설치되어 실내측 창문을 열고 닫을 때 실내측 창문의 유리창 바깥면을 세척하는 제2세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세척수단은 외측창문의 프레임 내측에 설치되어 내측창문의 유리창 바깥면을 세척하는 것으로, 내측창문의 유리창 바깥면에 접촉되어 내측창문을 열거나 닫을 때 유리창 바깥면을 세척하는 제2와이퍼 및 제2와이퍼를 외측창문의 프레임 내측에 고정하는 제2고정부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유리창 자동 세척장치는 유리창에 제2세척수단의 제2와이퍼가 항상 밀착된 상태로 사용되어짐에 따라 상기 제2와이퍼의 마모가 쉽게 이루어져 자주 교체해야 하는 불편한 점과 비용적인 부담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유리창과 제2세척수단의 간격이 좁게 구비됨에 따라 상기 창문틀에서 내측창문을 이탈시킨 후에, 상기 제2고정부에서 제2와이퍼를 분리,조립해야 하기 때문에 교체작업에 어려운 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롤방충망이 구비된 유리창 세척장치는 창문틀의 바깥쪽 상,하레일에 설치되며, 이 레일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되는 지지프레임과; 이 지지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며, 망체를 승,하강시키는 롤방충망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좌,우 동작에 의해 창문틀에 설치된 고정창문을 세척하는 블레이드가 구비된 세 척수단과; 상기 지지프레임과 세척수단 사이에 설치되며, 이 세척수단을 회동시키는 경첩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는 결합부재 및 상기 세척수단의 외측에서 결합되어 이 결합부재에 분리,고정되는 고정부재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롤방충망이 구비된 유리창 세척장치는 기존 설치된 창문틀에 롤방충망이 구비된 지지프레임과, 이 지지프레임의 일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세척수단을 설치하여, 창틀의 고정창문을 손쉽게 세척함과 아울러 방충망 기능을 갖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측면에 경첩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세척수단을 구비하여, 마모된 블레이드의 교체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짐과 아울러 유리창 세척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유리창과 블레이드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블레이드의 마모를 줄일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롤방충망이 구비된 유리창 세척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롤방충망이 구비된 유리창 세척장치의 설치된 일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세척수단과 경첩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4a,b는 본 고안에 따른 세척수단의 사용상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경첩의 사용상태를 보인 일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결합부재와 고정부재를 보인 일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롤방충망이 구비된 유리창 세척장치는 창문틀(200)의 바깥쪽 제3레일(203)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되는 지지프레임(100)이 구비되고, 이 지지프레임(100)의 내측에 망체(111)를 상,하로 구동시키는 롤방충망(110)이 설치되며,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좌,우 동작에 의해 창문틀(200)에 설치된 고정창문(204)을 세척하는 세척수단(80)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프레임(100)과 세척수단(80) 사이에 설치되며, 이 세척수단(80)을 회동시키는 경첩(90)이 설치되며, 상기 지지프레임(100)에 고정되는 결합부재(95) 및 상기 세척수단(80)의 외측에서 결합되어 이 결합부재(95)에 분리,고정되는 고정부재(98)로 구성된다.
상기 창문틀(200)은 사각형상으로 가지며, 상,하부에 제1,2레일(201,202)이 구비되고, 이 제2레일(202)에 일정간격을 두고 바깥쪽에 방충망 등을 설치할 수 있도록 제3레일(203)이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인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창문틀(200)에는 크기가 큰 고정창문(204)이 설치되고, 이 고정창문(204)의 양측에 개폐가능하게 구비되는 측창문(205)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00)은 사각테 형상으로 가지며, 상기 제3레일(203)을 따라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하부에 롤러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일측면에 막혀지게 고정판(101)이 설치된다.
상기 롤방충망(110)은 지지프레임(100)의 내측에 설치되어 망체(111)가 승,하강가능하게 구비된다.(상기 롤방충망은 통상적인 구조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 세척수단(80)은 경첩(90)의 일측에 고정프레임(10)이 결합되고, 이 고정프레임(10)의 내측에 홀더고정부(20)가 설치되며, 이 홀더고정부(20)에 끼워져 블레이드홀더부(30)가 결합되고, 상기 고정프레임(10)과 홀더고정부(20) 및 홀더고정부(20)와 블레이드홀더부(30) 사이에 판스프링(50)이 탄성지지되게 구비되고, 이 블레이드홀더부(30)에 결합됨과 아울러 유리창(300)의 바깥면에 밀착되는 블레이드(40)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프레임(10)의 배면에 설치되며, 일부가 승하강가능하게 동작부(60)가 설치되고, 상기 홀더고정부(20)와 동작부(60)에 설치되며, 상기 동작부(60)의 동작에 의해 유리창(300)에 블레이드(40)의 밀착과 분리 작업을 유도하는 복수의 간격유도부(7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프레임(10)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11)와, 상기 창문틀(200)의 상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몸체(11)의 상,하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창틀고정브라켓(1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1)의 일측은 개방된 수용홈(12)이 형성되고, 이 수용홈(12)을 경계로 결합홈(13)이 형성되며, 타측은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공(14) 및 체결공(19)이 관통된다.
상기 창틀고정브라켓(15)은 고정프레임(10)의 상,하부에 삽입,고정되도록 돌 출된 결합편(17)이 형성된다.
상기 홀더고정부(20)는 일단부가 "
Figure 112009074485573-UTM00001
" 자 형상으로 가지며, 이 내부 양측면에 걸림돌기(21)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1)의 수용홈(12)에 삽입되어 홀더고정부(20)가 전후진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블레이드홀더부(30)는 홀더고정부(20)와 동일한 길이로 절단되게 형성되며, 상단 양측에 고정돌기(31)가 형성되고, 이 고정돌기(31)의 하부에 환형홈(32)이 구비되며, 하부에 일부가 개방된 고정홈(33)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홀더고정부(20)의 걸림돌기(21)에 블레이드홀더부(30)의 고정돌기(31)와 환형홈(32)이 설치되어 상기 홀더고정부(20)의 내측면을 따라 블레이드홀더부(30)가 승하강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걸림돌기(21)에 고정돌기(31)가 걸려져 블레이드홀더부(30)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블레이드(40)는 블레이드홀더부(30)의 고정홈(33)에 결합되는 지지홈(41)이 형성되고, 하부가 유리창(300)에 밀착되게 구비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홈(33)을 따라 지지홈(41)이 슬라이딩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블레이드(40)의 교체작업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상기 판스프링(50)은 타원 또는 반원형상을 가지며, 먼저 상기 홀더고정부(20)의 상부에 결합되어 양단부가 상기 수용홈(12)의 상부면을 탄성지지하게 설치되고,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홀더부(30)의 상부에 체결되어 상기 홀더고정부(20)의 내측 상부면을 탄성지지되게 구비된다.
이처럼, 상기 몸체(11)의 수용홈(12)과 홀더고정부(20) 사이 및 홀더고정 부(20)와 블레이드홀더부(30) 사이에 판스프링(50)이 탄성지지되게 구비되어, 상기 동작부(60)의 동작을 자연스럽게 유도함과 아울러 블레이드(40)의 밀착력을 배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동작부(60)는 몸체(11)의 배면 양측에 설치되는 지지부재(61)와, 이 지지부재(61)를 따라 승하강가능하게 배치되는 동작판(6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재(61)는 몸체(11)의 배면에 하부가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되며, 내측으로 돌출된 가이드편(62)이 형성된다.
상기 동작판(63)은 가이드편(62)의 양측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가이드홈(64)이 형성되고, 하부에 안착홈(65)이 형성된다.
이처럼 상기 지지부재(61)의 가이드편(62)에 동작판(63)이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편(62)을 따라 동작판(63)이 승하강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간격유도부(70)는 동작판(63)의 안착홈(65)에 끼워져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되며, 경사면(72)이 형성된 우측 간격조절편(71)과, 상기 몸체(11)의 결합공(14)에 끼워져 상기 홀더고정부(20)에 설치되는 봉체(75)와, 이 봉체(75)의 상단에 결합됨과 아울러 우측 간격조절편(71)의 경사면(72)에 맞대어지게 경사면(74)이 형성된 좌측 간격조절편(7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경첩(90)은 통상적인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판(101)의 바깥면과 고정프레임(10)의 일측면에 일정간격 두고 피스 또는 볼트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경첩(90)의 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세척수단(80)의 고정프레임(10)을 90°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재(95)는 내부에 나사결합가능하게 체결홈(97)이 형성되고 이 체결홈(97)의 중앙에 고정공(96)이 관통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95)의 고정공(96)에 피스 또는 볼트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고정판(101)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부재(98)는 고정프레임(10)의 체결공(19)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부재(95)의 고정공(96)에 나사결합된다.
상기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지지프레임(100)의 일측면에 고정판(101)을 결합하고, 이 고정판(101)과 세척수단(80)의 고정프레임(10)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경첩(90)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부재(98)와 결합부재(95)에 의해 상기 고정판(101)에 세척수단(80)을 고정하고,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내측에 롤방충망(110)을 설치한 후, 상기 창문틀(200)의 제3레일(203)에 지지프레임(100)을 결합한다. 이어서 상기 유리창(300)을 세척하기 위해서는 도 4b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 동작부(60)의 동작판(63)을 상승시키면, 이 동작판(63)에 연결된 우측 간격조절편(71)이 상승됨에 따라 상기 좌측 간격조절편(73)과 봉체(75)가 상기 판스프링(50)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된다. 이어 상기 봉체(75)에 의해 상기 각각의 홀더고정부(20)가 상기 몸체(11)의 수용홈(12)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고, 이어서 이 홀더고정부(20)에 의해 상기 각각의 블레이드홀더부(30)가 전방으로 이동되어져 상기 블레이드(40)가 유리창(300)에 밀착되게 구비된다.
이어서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은 물분사장치에 의해 유리창(300)의 배면에 물을 분사하고, 상기 지지프레임(100)을 좌,우로 이동시키면 상기 세척수단(80)의 블 레이트(40)가 유리창(300)에 밀착되면서 유리창(300)의 바깥면을 세척할 수 것이다.
이어, 유리창(300)의 세척작업이 끝난 후에는 도 4a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 동작부(60)의 동작판(63)을 하강시키면, 상기 우측 간격조절편(71)이 상기 좌측 간격조절편(73)을 밀어올리게 되어 상기 좌측 간격조절편(73)이 후진된다. 이어 상기 좌측 간격조절편(73)에 의해 상기 홀더고정부(20), 블레이드홀더부(30)가 순차적으로 후진되어져 상기 블레이드(40)가 유리창(300)에서 분리된다. 이때 상기 판스프링(50)은 수축되어 긴장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처럼 평상시에는 유리창(300)에서 블레이드(40)가 분리된 상태로 사용가능한 것이다.
이렇게 상기 세척수단(80)에 의해 유리창(300)을 일정기간 동안 사용하다보면, 상기 블레이드(40)가 마모되어 교체해야 한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95)에서 고정부재(98)의 잠금을 해지하고 상기 경첩(90)에 의해 세척수단(80)을 90°로 회동시킨 후, 먼저 상기 고정프레임(10)에서 창틀고정브라켓(15)을 분리하고, 상기 블레이드홀더부(30)에 결합된 상기 블레이드(40)를 잡아당기어 분리시키고, 새로운 블레이드(40)를 상기 블레이드홀더부(30)에 끼워서 결합하며, 상기 창틀고정브라켓(15)을 고정프레임(10)에 체결한다. 이어 상기 세척수단(80)을 원위치 시킨 후, 상기 고정부재(98)를 결합부재(95)에 결합하면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판(101)과 세척수단(80) 사이에 경첩(90)이 설치되어, 상기 블레이드(40)의 교체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홀더부(30)에 블레이드(40)가 간편하게 분리가능하게 구비되어 교체작업이 용이한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목적과 동일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 변경을 시도할 수도 있을 것이나, 이러한 설계변경으로 인해 본 고안에서 전혀 예상치 못한 새로운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못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롤방충망이 구비된 유리창 세척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롤방충망이 구비된 유리창 세척장치의 설치된 일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세척수단과 경첩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a,b는 본 고안에 따른 세척수단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경첩의 사용상태를 보인 일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결합부재와 고정부재를 보인 일단면도.
도 7은 종래의 유리창 자동 세척장치의 평단면도,
도 8는 도 6에 도시된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고정프레임 20: 홀더고정부
30: 블레이드홀더부 40: 블레이드
50: 판스프링 60: 동작부
70: 간격유도부 101: 고정판
90: 경첩

Claims (3)

  1. 창문틀(200)의 바깥쪽 제3레일(203)에 설치되며, 이 제3레일(203)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되는 지지프레임(100)과;
    이 지지프레임(100)의 내측에 설치되며, 망체(111)를 승,하강시키는 롤방충망(110)과;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좌,우 동작에 의해 창문틀(200)에 설치된 고정창문(204)을 세척하는 블레이드(40)가 구비된 세척수단(80)과;
    상기 지지프레임(100)과 세척수단(80) 사이에 설치되며, 이 세척수단(80)을 회동시키는 경첩(90)과;
    상기 지지프레임(100)에 고정되는 결합부재(95) 및 상기 세척수단(80)의 외측에서 결합되어 이 결합부재(95)에 분리,고정되는 고정부재(9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방충망이 구비된 유리창 세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단(80)은 경첩(90)의 일측에 결합되는 고정프레임(10)과, 이 고정프레임(10)의 내측에 설치되는 홀더고정부(20)와, 이 홀더고정부(20)에 끼워져 결합되는 블레이드홀더부(30)와, 상기 고정프레임(10)과 홀더고정부(20) 및 홀더고정부(20)와 블레이드홀더부(30) 사이에 탄성지지되는 판스프링(50)과, 이 블레이드 홀더부(30)에 결합됨과 아울러 유리창(300)의 바깥면에 밀착되는 블레이드(40)와, 상기 고정프레임(10)에 설치되며, 일부가 승하강가능한 동작부(60)와, 상기 홀더고정부(20)와 동작부(60)에 설치되며, 상기 동작부(60)의 동작에 의해 유리창(300)에 블레이드(40)의 밀착과 분리 작업을 유도하는 복수의 간격유도부(7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방충망이 구비된 유리창 세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100)과 경첩(90) 사이에는 고정판(101)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방충망이 구비된 유리창 세척장치.
KR2020090015648U 2009-12-02 2009-12-02 롤방충망이 구비된 유리창 세척장치 KR2004650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648U KR200465053Y1 (ko) 2009-12-02 2009-12-02 롤방충망이 구비된 유리창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648U KR200465053Y1 (ko) 2009-12-02 2009-12-02 롤방충망이 구비된 유리창 세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709U true KR20110005709U (ko) 2011-06-10
KR200465053Y1 KR200465053Y1 (ko) 2013-02-13

Family

ID=49295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5648U KR200465053Y1 (ko) 2009-12-02 2009-12-02 롤방충망이 구비된 유리창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05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33102A (zh) * 2022-05-13 2022-08-02 吴红艳 一种玻璃更换边缘胶体刮除装置
KR20220164897A (ko) 2021-06-07 2022-12-14 유수민 세울수 있는 우산
KR102484957B1 (ko) 2022-11-03 2023-01-09 신준철 차량 탑재식 방충망 세척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9917A (ko) 2018-10-08 2020-04-17 정현수 방충망 장착형 유리창 세척장치
KR102132968B1 (ko) 2019-03-11 2020-07-13 송승욱 창문프레임 일체형 외부 유리창 청소장치
KR102355802B1 (ko) 2021-08-13 2022-02-08 전은숙 유리창 클리닝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6297Y1 (ko) * 1994-12-30 1999-03-30 박원배 창문용 방충망 프레임
KR100489637B1 (ko) 2003-08-20 2005-05-17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유리창 자동 세척장치
KR20050029262A (ko) * 2005-02-03 2005-03-24 이진국 청소가 용이한 창문
KR100882191B1 (ko) * 2008-09-11 2009-02-06 채종근 개량된 유리창 세척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4897A (ko) 2021-06-07 2022-12-14 유수민 세울수 있는 우산
CN114833102A (zh) * 2022-05-13 2022-08-02 吴红艳 一种玻璃更换边缘胶体刮除装置
CN114833102B (zh) * 2022-05-13 2023-10-20 江苏圣达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玻璃更换边缘胶体刮除装置
KR102484957B1 (ko) 2022-11-03 2023-01-09 신준철 차량 탑재식 방충망 세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5053Y1 (ko) 2013-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5053Y1 (ko) 롤방충망이 구비된 유리창 세척장치
KR101186377B1 (ko) 슬라이드 도어의 자동 열림 및 닫힘 장치
JP6961140B2 (ja) シャワー室のガラス引き戸構造
KR20190086986A (ko) 미닫이문 연동형 방충장치
KR100713129B1 (ko) 전동 롤 스크린 장치
KR20200039917A (ko) 방충망 장착형 유리창 세척장치
KR100952573B1 (ko) 방충망 이탈방지장치
KR100591739B1 (ko) 창틀청소가 용이한 공동주택의 창호구조
KR102010885B1 (ko) 방충망 이탈방지용 클립
KR101044100B1 (ko) 반자동 개폐식 도어
CA2343643C (en) Cleaning device for the wings of sliding windows or doors
KR101333053B1 (ko) 슬라이드 도어의 슬라이더 장착장치
KR200429774Y1 (ko) 전동 롤 스크린 장치
KR20110056916A (ko) 개선된 유리창 세척장치
KR101079811B1 (ko) 롤러와 가압판을 이용한 여닫이문의 차음구조 및 차음조립체
KR200458072Y1 (ko) 자동문 가이드레일의 레일판
JP4771341B2 (ja) ドア用下枠フラットサッシ構造
KR101125255B1 (ko) 세척식 창문
KR200446553Y1 (ko) 세척식 창문용 와이퍼지지부
KR200468686Y1 (ko)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용 리프팅장치
KR101347292B1 (ko) 슬라이드 도어의 슬라이더 장착장치
KR100939232B1 (ko) 커튼의 웨이브 형성기구
CN205616422U (zh) 电动扶梯清洗装置
KR200430381Y1 (ko) 창틀의 방충망 레일 조립구조
KR200455776Y1 (ko) 루버용 슬랫의 분리가 가능한 서포팅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