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5022B1 -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5022B1
KR101275022B1 KR1020120045490A KR20120045490A KR101275022B1 KR 101275022 B1 KR101275022 B1 KR 101275022B1 KR 1020120045490 A KR1020120045490 A KR 1020120045490A KR 20120045490 A KR20120045490 A KR 20120045490A KR 101275022 B1 KR101275022 B1 KR 101275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pring
opening
clos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5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구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5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50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5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5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59Arrangements of locking or security/safety devices for doors, e.g. door latches, switch to stop operation when door is op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76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of non-domestic use type, e.g. commercial dishwashers for bars, hotels, restaurants, canteens or hospitals
    • A47L15/0081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of non-domestic use type, e.g. commercial dishwashers for bars, hotels, restaurants, canteens or hospitals with vertical sliding closing doors, e.g. hood-type dishwash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09Insulation arrangements, e.g. for sound damping or heat ins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61Connections of the door to the casing, e.g. door hinge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지된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본체의 후벽체 배면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 사이에 경첩볼트 설치용 바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개폐 손잡이 가로 바의 만곡부에는 스프링의 상단고리를 걸어 줄 수 있는 판형 힌지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경첩볼트 설치용 바에는 스프링의 하단고리를 걸을 수 있는 고리를 구비한 한 쌍의 경첩볼트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스프링의 상,하단고리는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교차되게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스프링의 하단고리가 경첩볼트의 상부 고리에 걸려질 때 호형으로 절곡된 방향이 아닌 자체의 원주방향으로 걸려지게 되어 경첩볼트의 상부 고리와 스프링 하단고리의 접촉면적이 매우 적게 되므로 스프링의 수명을 대폭 연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프링과 경첩볼트 등 사이에서 발생되는 작동소음을 크게 줄일 수 있고, 또한 경첩볼트 설치용 바 자체가 식기세척기 본체의 후벽체 배면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수직 프레임 사이의 결속력을 크게 증대시켜 주게 되어 제품 전체의 안정감을 증대시켜 줄 수 있고 변형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제품 자체의 품질 및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of dish 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량의 식기를 자동으로 세척하고 헹굴 수 있도록 구성된 식기세척기에서 도어의 개폐 작동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의 고리를 상,하 서로 직각으로 교차되게 성형시켜 고리의 끊어짐을 방지하고, 상기 스프링의 하부 고리가 걸려지는 경첩볼트 설치용 바를 세척기 본체의 후벽체 배면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수직 프레임 사이에 설치하여 제품 전체의 안정감과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食器洗滌機, dishwasher)는 식기 세척을 위생적이고 능률적으로 하는 기기로, 가정용과 대량 취사용(업소용이라고도 함)이 있다.
가정용은 자동 온수식 바닥 설치형과, 순간탕비기(瞬間湯沸器)와 같이 급탕설비에 직결해서 사용하는 소형의 탁상형이 있는데 모두 자동식이며, 이들은 각각의 분사방식에 의해 세제 액으로 더러움을 씻어 내리고 마무리 세척 및 헹굼 후 건조되고, 또 보관고(保管庫)로도 사용되며, 온탕과 세척효력에 따라 살균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대량 취사용인 업소용에는 분사방식의 컨베이어 형태와 랙 도어 형태가 있으며, 랙 도어 형태의 식기세척기는 케이싱의 내측으로 세척할 식기를 적치할 수 있는 랙(rack)을 설치한 후, 상기 랙에 수납된 식기들을 세척수 공급펌프의 구동에 의해 세척노즐이 상부 또는 하부에서 분사되면서 식기를 세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업소용 식기세척기의 경우를 예를 들어 살펴보면, 도 1 내지 도 6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후벽체(11)가 구비된 세척기 본체(10)와, 이 세척기 본체(10)의 상부를 덮어씌우되 배면과 저면이 개방되고 상기 후벽체(11)와 인접된 양측면 후단부에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부(21)가 마련되며 이 절곡부 하단에 상하 구동 로울러(22)가 구비된 세척기 도어(20)와, 상기 상하 구동 로울러(22)가 상하로 슬라이딩되도록 이 상하 구동 로울러(22)를 감싼 상태로 세척기 도어(20) 양측면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가이드레일(30) 및 상기 세척기 도어(20)를 상하로 승강시켜 세척기 본체(10)를 개폐시키는 개폐 손잡이(4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개폐 손잡이(40)를 상방으로 들어올려 세척기 도어(20)를 개방시킨 후 세척기 본체(10) 내부에 세척 대상의 식기들을 투입시키고 나서 다시 개폐 손잡이(40)를 하방으로 잡아당겨 세척기 도어(20)를 닫은 후 세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개폐 손잡이(40)는 세척기 도어(20)를 상하로 승강시켜 세척 기본체(10)를 개폐시킬 수 있게 세척기 도어(20)를 감싸는 디귿자 봉 형상으로, 자유단인 양단부가 후벽체(11)의 양단부에 힌지 연결되고 양측 소정부위가 세척기 도어(20)와 힌지 연결되어 있는 회전링크(20a)와 힌지 연결되어 개폐 손잡이(40)의 승강시 세척기 도어(20)가 상하로 연동하여 승강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개폐 손잡이(40)의 후방부와 세척기 본체(10)의 후벽체(11) 양측면 사이에는 도 7과 같이, 에어 쇼크 업쇼버(60)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비교적 중량체인 도어(20)를 승강시켜 열고자 할 때 도어(20)가 손쉽게 열리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식기세척기는 도어 하강시 이 도어가 전방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쏠림방지수단이 전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세척기 도어를 닫기 위해 개폐손잡이의 하강시 세척기 도어가 전방으로 쏠리면서 세척기 도어 상단부가 전방으로 넘어오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특히, 도어의 개폐시 상기 개폐 손잡이(40)의 후방부와 세척기 본체(10)의 후벽체(11) 양측면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에어 쇼크 업쇼버(60)가 인장 및 압축 작동하게 되는, 개폐 작용력의 발생점이 지지점보다 앞쪽에 위치하고 있어 도어 개폐시 도어가 앞쪽으로 쏠리게 됨은 물론 도어 자체에서 흔들림이 많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 일부 식기세척기에서는 도 8 및 도 9와 같이, 도어(20)의 개폐 손잡이(40) 양측 후단부에 상방을 향해 사다리꼴 형태로 휘어진 만곡부를 갖는 가로 바(41)를 설치하고, 상기 개폐 손잡이(40)의 가로 바(41)의 만곡부와 본체(10)의 후면 하단 프레임(12) 사이에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50) 및 스프링 연결바(51)를 설치하되, 상기 가로 바(41)의 만곡부에 걸려진 스프링(50)의 상단부에서 형성되는 탄성 작용점이 본체(10)의 후면 하단 프레임(12)에서 형성되는 지지점보다 뒤쪽에 위치되게 해 줌으로써 도어(20)의 후면부가 본체(10)의 후벽체(11) 측에 밀착되는 형태에서 개폐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도어의 개폐시 앞쪽으로 쏠리지 않게 됨은 물론 도어가 흔들리게 되는 것도 최소화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도어 개폐장치가 구비된 식기세척기의 본체와 후벽체의 조립 경계면은 구조상 견고성이 약해 스프링의 하단부를 직접 취부시킬 수 없어 길이가 긴 스프링 연결바를 통해 본체의 후면 하단 프레임에 연결시켜 주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불필요하게 재료비가 많이 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 도어 개폐장치에서 사용된 스프링의 상,하 고리는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어 상기 스프링 연결바의 상부 고리에 걸려지는 스프링의 하단고리가 도어 개폐에 따른 스프링 각도의 변화방향과 동일방향을 갖게 되어(즉, 스프링 연결바의 상부 고리에 걸려지는 스프링의 하단고리가 스프링의 각도가 변화되는 방향과 동일하여) 스프링 연결바의 상부 고리와 스프링 하단고리의 접촉면적이 커 작동소음이 크게 발생하게 됨은 물론 장기간 사용시 많은 마찰력에 의해 상기 스프링의 하단고리가 절단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981720호(2010년 09월 06일)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7723호(2005년 02월 24일)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다량의 식기를 자동으로 세척하고 헹굴 수 있도록 구성된 식기세척기에서 도어에 개폐 작동력을 부여하기 위해 설치되는 스프링의 고리를 상,하 서로 직각으로 교차되게 성형하고, 상기 스프링의 하단고리를 걸어주기 위한 경첩볼트 설치용 바는 식기세척기 본체의 후벽체 배면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수직 프레임 사이에 설치하여 줌으로써 스프링의 하단고리가 경첩볼트의 상부 고리에 걸려질 때 호형으로 절곡된 방향이 아닌 자체의 원주방향으로 걸려지게 되어 경첩볼트의 상부 고리와 스프링 하단고리의 접촉면적이 매우 적게 되므로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상기 스프링의 하단고리에서 절곡 시작부위가 절단되지 않게 됨은 물론 작동소음을 크게 줄일 수 있고, 또한 경첩볼트 설치용 바가 식기세척기 본체의 후벽체 배면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수직 프레임 사이의 결속력을 증대시켜 주게 되어 제품 전체의 안정감과 변형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품질 및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장치는, 배면부에 후벽체 및 수직 프레임이 구비된 본체와; 양면에 손잡이 안내 로울러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상방부에서 슬라이드형 승,하강 안내수단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와; 상기 본체의 후벽체와 도어의 후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를 안내해 주는 슬라이드형 승,하강 안내수단과; "ㄷ"자 형상을 갖고 양단부에는 상방을 향해 사다리꼴 형태로 휘어진 만곡부를 구비한 가로 바가 설치된 상태에서 본체의 후벽체 외측에 고정 설치된 한 쌍의 힌지구에 가로 바가 얹혀지고 그 중간 절곡부는 상기 도어의 손잡이 안내 로울러 저부에 걸려지는 형태로 설치된 개폐 손잡이와; 도어에 개폐 작동력을 부여하는 한 쌍의 스프링;을 구비한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후벽체 배면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 사이에 경첩볼트 설치용 바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개폐 손잡이 가로 바의 만곡부에는 스프링의 상단고리를 걸어 줄 수 있는 판형 힌지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경첩볼트 설치용 바에는 스프링의 하단고리를 걸을 수 있는 고리를 구비한 한 쌍의 경첩볼트를 고정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스프링의 상,하단고리는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교차되게 성형하여 상기 스프링의 하단고리가 경첩볼트의 상부 고리에 걸려질 때 원주방향으로 걸려지게 하여 도어의 개폐에 대응하여 지지점과 작용점 사이에서 상기 스프링의 각도가 변화될 때 경첩볼트의 고리와 스프링 하단고리의 접촉면적이 작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에서 스프링의 지지점은 경첩볼트의 고리와 이에 걸려진 스프링의 하단고리 사이가 되고, 상기 스프링의 작용점은 개폐 손잡이 가로 바의 만곡부와 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판형 힌지 사이가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첩볼트의 고리 내측에는 스프링의 하단고리와의 마찰력을 소멸시킬 수 있도록 베어링을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개폐 손잡이 가로 바의 만곡부 외면과, 상기 스프링의 상단고리가 걸려질 수 있도록 설치되는 판형 힌지 내면 사이에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미끄럼 부재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에 의하면, 식기세척기에서 도어에 개폐 작동력을 부여하기 위해 설치되는 스프링의 상,하단고리를 서로 직각으로 교차되게 성형하고, 상기 스프링의 하단고리를 걸어주기 위한 경첩볼트 설치용 바는 식기세척기 본체의 후벽체 배면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수직 프레임 사이에 설치하여 줌으로써 스프링의 하단고리가 경첩볼트의 상부 고리에 걸려질 때 호형으로 절곡된 방향이 아닌 자체의 원주방향으로 걸려지게 되어 경첩볼트의 상부 고리와 스프링 하단고리의 접촉면적이 매우 적게 되므로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상기 스프링의 하단고리에서 절곡 시작부위가 절단되지 않게 되어 스프링의 수명을 대폭 연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프링과 경첩볼트 등 사이에서 발생되는 작동소음을 크게 줄일 수 있고, 또한 경첩볼트 설치용 바 자체가 식기세척기 본체의 후벽체 배면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수직 프레임 사이의 결속력을 크게 증대시켜 주게 되어 제품 전체의 안정감을 증대시켜 줄 수 있고 변형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제품 자체의 품질 및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식기세척기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종래 일반적인 식기세척기의 도어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3은 종래 일반적인 식기세척기를 나타낸 개략 측면도.
도 4는 종래 일반적인 식기세척기의 도어가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 측면도.
도 5는 종래 일반적인 식기세척기의 도어가 전방으로 쏠린 상태를 나타낸 개략 측면도.
도 6은 종래 일반적인 식기세척기의 도어가 측방으로 쏠린 상태를 나타낸 개략 정면도.
도 7은 종래 식기세척기 중 개폐 손잡이와 본체의 후벽체 사이에 에어 쇼크 업쇼버가 설치된 상태의 일부 확대 측면도.
도 8은 종래 식기세척기 중 개폐 손잡이의 가로 바와 본체의 후면 하단 프레임 사이에 스프링과 스프링 연결바를 설치한 상태에서 도어가 닫힌 상태의 측면도.
도 9는 종래 식기세척기 중 개폐 손잡이의 가로 바와 본체의 후면 하단 프레임 사이에 스프링과 스프링 연결바를 설치한 상태에서 도어가 열린 상태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 장치가 적용된 식기세척기의 배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 장치가 적용된 식기세척기의 도어가 닫힌 상태의 요부 측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 장치가 적용된 식기세척기의 도어가 열린 상태의 요부 측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은 본 발명 장치가 적용된 식기세척기의 배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11은 본 발명 장치가 적용된 식기세척기의 도어가 닫힌 상태의 요부 측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12는 본 발명 장치가 적용된 식기세척기의 도어가 열린 상태의 요부 측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 장치는,
배면부에 후벽체(11) 및 수직 프레임(13)이 구비된 본체(10)와; 양면에 손잡이 안내 로울러(23)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10)의 상방부에서 슬라이드형 승,하강 안내수단(70)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20)와; 상기 본체(10)의 후벽체(11)와 도어(20)의 후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20)의 개폐를 안내해 주는 슬라이드형 승,하강 안내수단(70)과; "ㄷ"자 형상을 갖고 양단부에는 상방을 향해 사다리꼴 형태로 휘어진 만곡부(411)를 구비한 가로 바(41)가 설치된 상태에서 본체(10)의 후벽체(11) 외측에 고정 설치된 한 쌍의 힌지구(100)에 가로 바(41)가 얹혀지고 그 중간 절곡부는 상기 도어(20)의 손잡이 안내 로울러(23) 저부에 걸려지는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도어(20)를 개폐시킬 때 가로 바(41)가 걸려진 힌지구(100)를 기점으로 회동하는 개폐 손잡이(40)와; 도어(20)에 개폐 작동력을 부여하는 한 쌍의 스프링(50);을 구비한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후벽체(11) 배면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13) 사이에 경첩볼트 설치용 바(80)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개폐 손잡이(40) 가로 바(41)의 만곡부(411)에는 스프링(50)의 상단고리(501)를 걸어 줄 수 있는 판형 힌지(90)을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경첩볼트 설치용 바(80)에는 스프링(50)의 하단고리(502)를 걸을 수 있는 고리(811)를 구비한 한 쌍의 경첩볼트(81)를 고정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스프링(50)의 상,하단고리(501, 502)는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교차되게 성형하여 상기 스프링(50)의 하단고리(502)가 경첩볼트(81)의 고리(811)에 걸려질 때 자체의 원주방향으로 걸려지게 하여 도어(20)의 개폐에 대응하여 지지점(SP)과 작용점(PA) 사이에서 상기 스프링(50)의 각도가 변화될 때 경첩볼트(81)의 고리(811)와 스프링 하단고리(502) 사이의 접촉면적이 작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에서 스프링(50)의 지지점(SP)은 경첩볼트(81)의 고리(811)와 이에 걸려진 스프링(50)의 하단고리(502) 사이가 되고, 상기 스프링(50)의 작용점(PA)은 개폐 손잡이(40) 가로 바(41)의 만곡부(411)와 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판형 힌지(90) 사이가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첩볼트(81)의 고리(811) 내측에는 스프링(50)의 하단고리(502)와의 마찰력을 소멸시킬 수 있도록 베어링(110)을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개폐 손잡이(40) 가로 바(41)의 만곡부(411) 외면과, 상기 스프링(50)의 상단고리(501)가 걸려질 수 있도록 설치되는 판형 힌지(90) 내면 사이에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미끄럼 부재(120)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공지된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본체(10)의 배면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수직 프레임(13) 사이에 경첩볼트 설치용 바(80)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개폐 손잡이(40) 가로 바(41)의 만곡부(411)에는 스프링(50)의 상단고리(501)를 걸어 줄 수 있는 판형 힌지(90)을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경첩볼트 설치용 바(80)에는 스프링(50)의 하단고리(502)를 걸을 수 있는 고리(811)를 구비한 한 쌍의 경첩볼트(81)를 고정 설치하되, 상기 스프링(50)의 상,하단고리(501, 502)는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교차되게 성형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으로 한다.
이때, 공지된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는 본체(10)와 도어(20), 슬라이드형 승,하강 안내수단(70), 개폐 손잡이(40) 및 한 쌍의 스프링(50) 등을 구비한 형태를 갖는다.
상기에서 본체(10)는 배면부에 후벽체(11) 및 수직 프레임(13)이 구비된 사각 함체 형상을 갖고, 상기 도어(20)는 양면에 손잡이 안내 로울러(23)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10)의 상방부에서 슬라이드형 승,하강 안내수단(70)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슬라이드형 승,하강 안내수단(70)은 도시 생략한 가이드와 레일 등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10)의 후벽체(11)와 도어(20)의 후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20)의 개폐를 안내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 상기 개폐 손잡이(40)는 "ㄷ"자 형상을 갖고 양단부에는 상방을 향해 사다리꼴 형태로 휘어진 만곡부(411)를 구비한 가로 바(41)가 설치된 구성을 갖고 상기 본체(10)의 후벽체(11) 외측에 고정 설치된 한 쌍의 힌지구(100)에 가로 바(41)가 얹혀지며 그 중간 절곡부는 상기 도어(20)의 손잡이 안내 로울러(23) 저부에 걸려지는 형태로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20)를 개폐시킬 때 가로 바(41)가 걸려진 힌지구(100)를 기점으로 회동되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한 한 쌍의 스프링(50)은 도어(20)에 개폐 작동력을 부여하는 기능을 갖는다.
한편, 본 발명은 이와 같이 공지된 갖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후벽체(11) 배면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13) 사이에 경첩볼트 설치용 바(80)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개폐 손잡이(40) 가로 바(41)의 만곡부(411)에는 직사각 철판을 "∩"형상으로 절곡 성형하여 스프링(50)의 상단고리(501)를 걸어 줄 수 있도록 하는 판형 힌지(90)을 회동 가능하게 설치함은 물론 상기 경첩볼트 설치용 바(80)에는 스프링(50)의 하단고리(502)를 걸을 수 있는 고리(811)를 구비한 한 쌍의 경첩볼트(81)를 소정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하였다.
이때, 상기 경첩볼트 설치용 바(80)는 본체(10)와 후벽체(11)의 연결부위에 대한 변형없이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50)을 원활히 고정 및 지지해 주는 기능과 더불어 식기세척기 본체(10)의 후벽체(11) 배면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수직 프레임(13) 사이의 결속력을 크게 증대시켜 주게 되므로 제품 전체의 안정감을 증대시켜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프링(50)의 탄발력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프링(50)의 제작시 상,하단고리(501, 502)가 종래와 같이 같은 방향이 아닌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교차되게 성형하여 줌으로써 상기 스프링(50)의 하단고리(502)가 경첩볼트 설치용 바(80)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경첩볼트(81)의 고리(811)에 걸려질 때 호형으로 절곡된 고리의 절곡 방향과 90도 차를 이루고 자체의 원주방향으로 걸려지게 되므로 도어(20)의 개폐에 대응하여 지지점(SP)과 작용점(PA) 사이에서 상기 스프링(50)의 각도가 도 11에서 도 12와 같이 변화될 때 경첩볼트(81)의 고리(811)와 스프링 하단고리(502) 사이의 접촉면적이 매우 작게 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50)의 지지점(SP)은 경첩볼트(81)의 고리(811)와 이에 걸려진 스프링(50)의 하단고리(502) 사이에서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50)의 작용점(PA)은 개폐 손잡이(40) 가로 바(41)의 만곡부(411)와 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판형 힌지(90) 사이에서 형성된다.
따라서, 식기세척기를 장기간 사용함으로 인해 도어(20)의 개폐 횟수가 매우 많아지더라도 상기 스프링(50)의 하단고리(502)에서 절곡 시작부위가 절단되지 않게 되어 스프링의 수명을 대폭 연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프링(50)과 경첩볼트(81) 사이에서 발생되는 작동소음을 크게 줄일 수 있어 제품 자체의 품질 및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스프링(50)의 상,하단고리(501, 502)가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교차되게 성형하여 상기 스프링(50)의 하단고리(502)가 경첩볼트(81)의 고리(811)에 90도 차를 갖고 걸려지도록 하더라도 스프링(50) 하단고리(502)의 외주면 중 상면 일부와 경첩볼트(81) 고리(811)의 상방부 내면 일부가 상호 점 접촉된 상태에서 도어(20)의 개폐시 상호 마찰이 발생되어 일부 마모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는 필요에 따라 상기 경첩볼트(81)의 고리(811) 내측에 베어링(110)을 부가 설치하여 줌으로써 스프링(50)의 하단고리(502) 외주면과 경첩볼트(81)의 고리(811) 내면이 베어링(110)에 의해 전혀 접촉되지 않고 도어(20)의 개폐에 대응하여 상기 스프링(50)이 지지점(SP)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될 때 경첩볼트(81)의 고리(811) 내측에 설치된 베어링(110)이 회전작동하게 되어 스프링(50)의 하단고리(502) 외주면과 경첩볼트(81) 고리(811)의 내면 사이에서 전혀 마찰접촉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식기세척기를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상기 스프링(50)의 하단고리(502)가 마찰저항 및 마모 등에 의해 절단될 일이 전혀 발생되지 않게 되므로 스프링(50)을 포함한 경첩볼트(81) 등을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상기 개폐 손잡이(40) 가로 바(41)의 만곡부(411) 외면과, 상기 스프링(50)의 상단고리(501)가 걸려질 수 있도록 설치되는 판형 힌지(90) 내면 사이에 미끄럼 특성이 매우 좋은 합성수지로 성형한 미끄럼 부재(120)를 부가 설치하여 줌으로써 상기 개폐 손잡이(40) 가로 바(41)의 만곡부(411) 외면과 판형 힌지(90)의 내면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마찰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어 도어의 개페에 따른 작동감이 매우 좋을 뿐만 아니라 작동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0 : 본체 11 : 후벽체
13 : 수직 프레임
20 : 도어 23 : 손잡이 안내 로울러
40 : 개폐 손잡이 41 : 가로 바
411 : 만곡부
50 : 스프링 501, 502 : 상,하단고리
70 : 슬라이드형 승,하강 안내수단
80 : 경첩볼트 설치용 바 81 : 경첩볼트
811 : 고리
90 : 판형 힌지
100 : 힌지구
110 : 베어링
120 : 미끄럼 부재
SP : 지지점 PA : 작용점

Claims (5)

  1. 배면부에 후벽체 및 수직 프레임이 구비된 본체와; 양면에 손잡이 안내 로울러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상방부에서 슬라이드형 승,하강 안내수단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와; 상기 본체의 후벽체와 도어의 후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를 안내해 주는 슬라이드형 승,하강 안내수단과; "ㄷ"자 형상을 갖고 양단부에는 상방을 향해 사다리꼴 형태로 휘어진 만곡부를 구비한 가로 바가 설치된 상태에서 본체의 후벽체 외측에 고정 설치된 한 쌍의 힌지구에 가로 바가 얹혀지고 그 중간 절곡부는 상기 도어의 손잡이 안내 로울러 저부에 걸려지는 형태로 설치된 개폐 손잡이와; 도어에 개폐 작동력을 부여하는 한 쌍의 스프링;을 구비한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후벽체 배면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 사이에 경첩볼트 설치용 바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개폐 손잡이 가로 바의 만곡부에는 스프링의 상단고리를 걸어 줄 수 있는 판형 힌지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경첩볼트 설치용 바에는 스프링의 하단고리를 걸을 수 있는 고리를 구비한 한 쌍의 경첩볼트를 고정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의 상,하단고리는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교차되게 성형하여 상기 스프링의 하단고리가 경첩볼트의 상부 고리에 걸려질 때 원주방향으로 걸려지게 하여 도어의 개폐에 대응하여 지지점과 작용점 사이에서 상기 스프링의 각도가 변화될 때 경첩볼트의 고리와 스프링 하단고리의 접촉면적이 작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의 지지점은 경첩볼트의 고리와 이에 걸려진 스프링의 하단고리 사이가 되고, 상기 스프링의 작용점은 개폐 손잡이 가로 바의 만곡부와 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판형 힌지 사이가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첩볼트의 고리 내측에는 스프링의 하단고리와의 마찰력을 소멸시킬 수 있도록 베어링을 부가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 손잡이 가로 바의 만곡부 외면과, 상기 스프링의 상단고리가 걸려질 수 있도록 설치되는 판형 힌지 내면 사이에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미끄럼 부재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
KR1020120045490A 2012-04-30 2012-04-30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 KR101275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490A KR101275022B1 (ko) 2012-04-30 2012-04-30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490A KR101275022B1 (ko) 2012-04-30 2012-04-30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5022B1 true KR101275022B1 (ko) 2013-06-17

Family

ID=48867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5490A KR101275022B1 (ko) 2012-04-30 2012-04-30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50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193B1 (ko) * 2015-01-07 2016-02-05 주식회사 솔로몬 식기세척기
KR102053013B1 (ko) 2019-06-28 2019-12-06 정기홍 열풍건조와 3방밸브 조작에 의해 배수 재활용 및 폐열 회수기능이 구비된 식기 헹굼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7409Y2 (ja) * 1990-06-21 1994-12-07 三洋電機株式会社 食器洗浄機
JPH09238883A (ja) * 1996-03-05 1997-09-16 Yokogawa Denshi Kiki Kk 食器洗浄機
KR200357324Y1 (ko) 2004-04-30 2004-07-23 미아물산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덮개 승강장치
KR100981720B1 (ko) 2008-05-09 2010-09-10 알씨이코리아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7409Y2 (ja) * 1990-06-21 1994-12-07 三洋電機株式会社 食器洗浄機
JPH09238883A (ja) * 1996-03-05 1997-09-16 Yokogawa Denshi Kiki Kk 食器洗浄機
KR200357324Y1 (ko) 2004-04-30 2004-07-23 미아물산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덮개 승강장치
KR100981720B1 (ko) 2008-05-09 2010-09-10 알씨이코리아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193B1 (ko) * 2015-01-07 2016-02-05 주식회사 솔로몬 식기세척기
KR102053013B1 (ko) 2019-06-28 2019-12-06 정기홍 열풍건조와 3방밸브 조작에 의해 배수 재활용 및 폐열 회수기능이 구비된 식기 헹굼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29168A1 (en) Dishwasher rack lift system
US20140217868A1 (en) Dishwasher with vertically adjustable dish rack
EP2888987B1 (en) Rack assembly for a dishwasher
US8820544B2 (en) Adjustable dishwasher rack
US20160360946A1 (en) Dishwasher appliance
CN104757923A (zh) 洗碗机
KR20140017136A (ko) 붙박이 식기세척기
KR101275022B1 (ko)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
US10602909B2 (en) Stable height adjuster mechanism
KR100843950B1 (ko)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
CN108478140B (zh) 一种抽屉式洗碗机
JP5895124B2 (ja) 加熱調理器
KR101304969B1 (ko)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
KR101371279B1 (ko)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 손잡이 하강 및 유동방지장치
KR20100128564A (ko) 식기세척기
KR101879233B1 (ko) 상하 슬라이드 도어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CN108056718B (zh) 水槽式清洗机的开盖结构
KR100981720B1 (ko) 식기세척기
CN111956150A (zh) 洗碗机及具有其的洗碗机系统
KR101371276B1 (ko)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 손잡이 회전제한장치
KR101293235B1 (ko) 식기세척기
KR200184345Y1 (ko) 식기세척기의 승강식 도어 개폐구조
JP3546809B2 (ja) 食器洗浄機
JP4073562B2 (ja) 食器洗浄乾燥機の構造
KR200389447Y1 (ko) 식기세척기의 슬라이딩도어승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