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9774Y1 - 전동 롤 스크린 장치 - Google Patents

전동 롤 스크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9774Y1
KR200429774Y1 KR2020060021862U KR20060021862U KR200429774Y1 KR 200429774 Y1 KR200429774 Y1 KR 200429774Y1 KR 2020060021862 U KR2020060021862 U KR 2020060021862U KR 20060021862 U KR20060021862 U KR 20060021862U KR 200429774 Y1 KR200429774 Y1 KR 2004297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wire
roller
tension spr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18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승준
김영철
Original Assignee
허승준
김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승준, 김영철 filed Critical 허승준
Priority to KR20200600218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97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97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97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06B9/44Rollers therefor; Fastening roller blinds to 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06B9/50Bear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E06B9/581Means to prevent or induce disengagement of shutter from side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06B9/72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comprising an electric motor positioned inside the roll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65Power or signal transmission
    • E05Y2400/66Wireless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양한 창에 설치 가능하며 원단을 원거리에서 전동으로 상하 슬라이드 되도록 하여 사용이 간편하고 용이하며, 하단바에 설치된 와이어를 통해 텐션스프링의 장력을 자동으로 조절하면서 작동하므로 수평 상태가 항상 유지되면서 작동 상태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동 롤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모터(11)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전동튜브 롤러(12)가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양측 단에 설치되며 텐션스프링(30)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 너트(20)가 형성된 고정판(21)을 설치하고 장력조절 너트(20)의 하측에 세로방향으로 길게 텐션스프링(30)을 설치하며, 텐션스프링(30)의 하측에 외면에 와이어(41)가 감겨 있는 상측 회전롤러(42)를 형성하고 상측 회전롤러(42)와 와이어(41)로 연결되어 있으며 하측에 고정판(43)을 갖는 하측 회전롤러(44)를 설치하며, 하측 회전롤러(44) 하측에 와이어(41)의 이동을 돕는 회전체(51)가 설치된 마개(50)가 결합하는 가이드레일(60)과; 상기 하우징(10)의 전동튜브의 롤러(12) 외면에 설치되며 하단에 하단바(71)가 설치되며 양측 단이 가이드레일(60)에 삽입되어 있고 하단 양쪽에 와이어(41)가 연결되어 있는 원단(70);으로 구성한다.
장력조절 너트, 텐션스프링, 와이어, 상,하측 회전롤러, 하단바

Description

전동 롤 스크린 장치{Electric motion roll sreen a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수동 방충망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3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5~6은 본 고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8은 본 고안의 다른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체 10: 하우징
11: 모터 12: 전동튜브 롤러
20: 장력조절 너트 21,43: 고정판
22: 회전축 30: 텐션스프링
41: 와이어 42: 상측 회전롤러
44: 하측 회전롤러 45: 이동판
46a,46b: 브라켓 47: 안전캡
50,61: 마개 51: 회전체
60: 가이드레일 70: 원단
71: 하단바 80: 이탈방지축
본 고안은 전동 롤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단바의 양쪽에 연결된 와이어를 통해 텐션스프링의 장력을 자동으로 조절하면서 작동하므로 원단의 작동 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며, 텐션스프링의 장력을 현장에서 용이하게 조절하여 수평 상태를 맞출 수 있어 전체를 분해하지 않고 작업을 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는 전동 롤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러(Roller)식 방충망 및 롤 스크린은 건축물의 창호 또는 문틀에 설치되어 실내로 해충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빛이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여 실내 공간을 쾌적하게 하는 것으로, 방충망과 롤 스크린의 차이점은 원단의 차이로 방충망은 망사형으로 통풍이 가능하고, 롤 스크린은 불투명 합성수지로 빛을 차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롤러식 방충망과 롤 스크린의 구조는 첨부된 도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단(2)이 감기거나 펼쳐지게 하기 위한 탄성 롤러가 설치되고 하측이 개방되어 있는 상측 하우징(1)과, 상기 상측 하우징(1)의 탄성 롤러 외면에 감겨 설치되고 하단에 손잡이(3)가 형성되고 망사형이나 불투명 롤 스크린으로 이루어진 원단(2)과, 상기 상측 하우징(1)의 양쪽 끝에 설치되고 원단(2)의 양측 단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4)과, 상기 가이드레일(4)의 하단에 설치되며 원단(2)의 손잡이(3)가 탈부착 되는 밑틀(5)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롤러식 방충망 및 롤 스크린은 원단의 하단에 설치된 손잡이를 잡고 아래로 당기게 되면, 탄성 롤러에 감겨있던 원단이 풀리면서 내려오게 되며, 이때 탄성 롤러로부터 인출되는 원단의 양측 단은 가이드레일의 내측에 걸린 상태에서 슬라이드 되면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롤러식 방충망과 롤 스크린은 손잡이의 중앙이 아닌 양쪽을 누를 경우에는 원단이 수평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기울어져 내려오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수동으로 작동해야 하므로 손이 닿지 않는 높은 창이나 경사 창에는 전혀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가이드레일 내부에 유압실린더를 설치하고 유압실린더를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원단을 상하로 작동되도록 하는 전동 방충망이 있었으나, 이는 유압실린더를 사용하여 제작 비용이 많이 소용되며 원단의 수평 상태를 조절하는 장치가 전혀 없어 오작동 및 고장이 발생할 때 가이드레일 전체를 교체해야 하므로 A/S 및 자원 낭비가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하단바의 양쪽에 연결된 와이어를 통해 텐션스프링의 장력을 자동으로 조절하면서 작동하므로 원단의 작동 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며, 텐션스프링의 장력을 현장에서 용이하게 조절하여 수평 상태를 맞출 수 있어 전체를 분해하지 않고 작업을 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고, 기존의 유압실린더를 사용하 지 않아 제작 비용이 대폭 절감되는 전동 롤 스크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의 도면 중 부호 100은 본 고안의 전동 롤 스크린 본체를 표시하고 있다.
상기 본체(100)는 모터(11)가 내장된 전동튜브 롤러(12)가 설치된 하우징과(10), 상기 전동튜브 롤러(12)의 외면으로 하측에 하단바(71)가 형성된 원단(70)을 설치하고, 상기 하우징(10)의 양측 단에 설치되며 내부에 텐션스프링(30)과 연결되어 있는 상,하 회전롤러(42)(44)에 연결된 와이어(41)가 하단바(71)의 양쪽에 고정된 상태에서 모터(11)의 동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면서 원단(70)을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개폐하는 것을 돕는 가이드레일(60)로 구성한다.
상기 하우징(10)은 내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하측에 가로 방향으로 길게 개구부를 가지며, 내부 공간으로 모터(11)가 내장된 전동튜브 롤러(12)를 설치한다.
상기 전동튜브 롤러(12)는 모터(11)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게 되며, 모터(11)의 한쪽에는 외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선과 연결되어 있으며, 모터(11)의 한쪽에 전원을 위한 충전용 배터리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모터(11)의 전원은 원거리에서 리모컨을 이용하여 작동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60)은 하우징(10)의 양쪽 하측에 세로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그 외관은 첨부된 도면 도 4에 도시된 내부 공간이 후방(R)과 전방(F) 2개로 분할되어 있고 그 중간에 격판(60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방(F) 공간에는 후술하는 원단(70)의 하측에 형성된 하단바(71)의 양쪽 끝이 체결된 상태에서 상하로 슬라이드 된다.
그리고 후방(R) 공간의 내부 상측에는 마개(61)를 체결하고 그 중앙에 하측으로 길게 회전축(22)을 가지며 회전축(22)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장력조절 너트(20)를 나사 결합하고 장력조절 너트(20)의 하단에 고정판(21)을 설치한다.
상기 고정판(21)의 중앙으로 회전축(22)이 나사 결합하여 관통되며 회전축(22) 하측 단에 텐션스프링(30)이 설치되는 결합구(23)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21)은 가이드레일(60)의 내부에 고정 설치한다.
상기 텐션스프링(30)은 세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측 단은 회전축(22)의 결합구(23)에 결합하고 하측 단은 중앙에 형성된 볼트(31)를 이동판(45)의 중앙으로 나사 결합한다.
그리고 이동판(45)의 하측으로 양측 단이 하측으로 절곡된 브라켓(46a)을 볼트로 나사 결합하여 고정하고, 브라켓(46a)의 하측 단에는 외면에 다수 개의 결합홈(47a)을 갖는 안전캡(47)을 고정 설치한다.
또한, 상기 브라켓(46a)의 내측에는 외면에 다수 개의 홈(42a)을 갖는 상측 회전롤러(42)를 설치하고, 상기 홈(42a)으로 와이어(41)를 체결한다.
또, 상기 와이어(41)가 체결된 상측 회전롤러(42)의 상측으로 와이어(41)가 배출되는 방지하면서 회전이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하는 이탈방지축(80)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상측 회전롤러(42)와 대응되도록 와이어(41)로 연결된 하측 회전롤러(44)를 가이드레일(60)의 하측에 설치한다. 상기 하측 회전롤러(44)는 상측에 외면 양쪽에 다수 개의 결합홈(47a)을 갖는 안전캡(47)을 형성하고, 안전캡(47)의 양쪽 하측에 브라켓(46b)를 설치한다.
상기 브라켓(46b)의 하측 단에는 와이어(41)가 외부로 배출되는 하나의 구멍(43a)을 갖는 고정판(43)을 갖는다.
그리고 브라켓(46b)의 내측으로 외면에 다수 개의 홈(44a)을 갖는 하측 회전롤러(44)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고정판(43)은 가이드레일(60)의 하측 내부에 고정 설치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측 회전롤러(42)와 하측 회전롤러(44)의 홈(42a)(44a)으로 한 선의 와이어(41)를 이용하여 팽팽하게 결합한다. 이때, 와이어(41)의 하단에는 이탈방지구(41a)를 형성하고 상단을 먼저, 하측 회전롤러(44)의 홈(44a)으로 체결한 후 상측 회전롤러(42)의 홈(42a)으로 회전시켜 체결하고, 다시 하측 회전롤러(44)의 홈(42a)으로 회전시켜 체결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서 와이어(41)를 체결한 후에 그 상단을 하측 회전롤러(44)을 지나 고정판(43)의 한 쪽에 형성된 구멍(43a)으로 관통되도록 한다.
이때, 하단의 이탈방지구(41a)는 고정판(43)에 걸려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그리고 하측 회전롤러(44)의 하측에는 외주면 중앙에 체결홈(51a)을 갖는 회전체(51)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마개(50)를 설치한다.
상기 회전체(51)의 체결홈(51a)에는 고정판(43)을 관통한 와이어(41)의 하단이 체결되고 그 끝은 후술하는 원단(70)의 하단바(71) 하측에 고정 설치한다.
상기 원단(70)은 불투명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하측 단에는 하단바(7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10)의 전동튜브 롤러(12) 외면에 롤 형태로 감기게 되며 하단바(71)의 하측 양쪽에는 와이어(41)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하단바(71)의 양측 단은 가이드레일(60)의 전방(F) 공간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100)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된 유리창에 설치하고 모터(11)로 전원선을 연결한다.
상기 본체(100)의 초기 상태는 원단(70)이 전동튜브 롤러(12)의 외면에 감겨 올라가 하우징(10)의 하측으로 하단바(71)가 정지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때, 상기 하단바(71)에 연결된 와이어(41)도 하단바(71)를 따라 상측으로 올라가게 됨과 동시에 상측 회전롤러(42)가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텐션스프링(30)이 그 힘에 의해 하측으로 벌어지면서 탄성을 받게 된다.
즉, 원단(70)의 하단바(71)가 상측으로 올라가면서 와이어(41)를 끌고 올라가게 되며, 고정판(43)에 고정된 하측 회전롤러(44)와 상측 회전롤러(42) 및 회전 체(51)가 유기적으로 회전하면서 와이어(41)를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텐션스프링(30)과 연결되어 있는 상측 회전롤러(42)는 와이어(41)의 당기는 힘에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텐션스프링(30)이 벌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리모컨을 사용하여 전원을 인가하고 원단(70)을 하측으로 내려오게 작동하면, 모터(11)가 작동하게 되고 모터(11)와 연결되어 있는 전동튜브 롤러(12)가 회전하면서 원단(70)의 하단바(71)가 가이드레일(60)에 체결된 상태에서 하측으로 내려오게 된다.
이와 동시에 하단바(71)의 하측에 설치된 와이어(41)도 하단바(71)를 따라 후퇴하게 된다. 이때, 하측으로 내려왔던 상측 회전롤러(42)가 텐션스프링(30)의 복귀력에 의해 상측으로 올라가게 된다.
이와 같이 하단바에 연결된 와이어는 하단바의 수평 상태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가이드레일 내부에 설치된 텐션스프링의 장력을 상하로 조절하면서 안정적으로 원단이 슬라이드 되도록 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 도 7 및 도 8에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다양한 경사창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상태로 작동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수직창과 수평창 및 경사창에 설치 가능하며 원단을 원거리에서 전동으로 상하 슬라이드 되도록 하여 사용이 간 편하고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고안단바의 양쪽에 연결된 와이어를 통해 텐션스프링의 장력을 자동으로 조절되면서 작동하므로 원단의 작동 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 텐션스프링의 장력을 현장에서 용이하게 조절하여 수평 상태를 맞출 수 있어 전체를 분해하지 않고 작업을 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전동튜브 롤러가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양측 단에 설치되며 텐션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 너트가 형성된 고정판을 설치하고 장력조절 너트의 하측에 세로방향으로 길게 텐션스프링을 설치하며, 텐션스프링의 하측에 외면에 와이어가 감겨 있는 상측 회전롤러를 형성하고 상측 회전롤러와 와이어로 연결되어 있으며 하측에 고정판을 갖는 하측 회전롤러를 설치하며, 하측 회전롤러 하측에 와이어의 이동을 돕는 회전체가 설치된 마개가 결합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하우징의 전동튜브 롤러 외면에 설치되며 하측 단에 하단바를 형성하고 하단바의 하측에 와이어가 연결되어 있는 원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롤 스크린 장치.
KR2020060021862U 2006-08-16 2006-08-16 전동 롤 스크린 장치 KR2004297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862U KR200429774Y1 (ko) 2006-08-16 2006-08-16 전동 롤 스크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862U KR200429774Y1 (ko) 2006-08-16 2006-08-16 전동 롤 스크린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1929A Division KR100713129B1 (ko) 2006-07-31 2006-07-31 전동 롤 스크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9774Y1 true KR200429774Y1 (ko) 2006-10-27

Family

ID=41778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1862U KR200429774Y1 (ko) 2006-08-16 2006-08-16 전동 롤 스크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9774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581B1 (ko) * 2007-02-08 2008-04-21 김순석 일체형 다기능 창호
KR200445370Y1 (ko) 2008-06-12 2009-07-22 윤종희 사면설치용 차양장치
KR200447420Y1 (ko) 2009-07-03 2010-02-10 김민환 차양장치
KR101156065B1 (ko) * 2010-07-13 2012-06-20 배유근 윈드볼 타입의 스크린 도어
KR200469501Y1 (ko) 2011-06-16 2013-11-20 김용석 패브릭 텐션 시스템의 차양막 처짐 방지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581B1 (ko) * 2007-02-08 2008-04-21 김순석 일체형 다기능 창호
KR200445370Y1 (ko) 2008-06-12 2009-07-22 윤종희 사면설치용 차양장치
KR200447420Y1 (ko) 2009-07-03 2010-02-10 김민환 차양장치
KR101156065B1 (ko) * 2010-07-13 2012-06-20 배유근 윈드볼 타입의 스크린 도어
KR200469501Y1 (ko) 2011-06-16 2013-11-20 김용석 패브릭 텐션 시스템의 차양막 처짐 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3129B1 (ko) 전동 롤 스크린 장치
EP3013189B1 (en) Window or door with a roller screen
KR200429774Y1 (ko) 전동 롤 스크린 장치
US8056601B2 (en) Self-contained tensioned roller shade system
JP2008044605A (ja) 窓昇降装置により駆動されるウィンドウシェード
AU2005203064A1 (en) Blinds for Adjusting Illumination
US20080034667A1 (en) Manual window blind with automatic retraction
US6691465B1 (en) Door closer assembly for sliding doors
US20050274462A1 (en) Tamour door comprising a door leaf that can be rolled up and uses thereof
SK96197A3 (en) An operating arrangement for an electrically operated window screening device
KR200469501Y1 (ko) 패브릭 텐션 시스템의 차양막 처짐 방지 장치
KR101502754B1 (ko) 장력조절 장치
KR100912609B1 (ko) 전동식 차양 시스템
KR200469122Y1 (ko) 전동 차양 장치용 장력 조절 장치
KR101606163B1 (ko) 경사진 창문용 롤블라인드장치
KR200447420Y1 (ko) 차양장치
CN105781388B (zh) 自控定位回卷纱窗
KR100538412B1 (ko) 창문 자동개폐장치
KR101390363B1 (ko) 미닫이 도어 장치
KR20140035436A (ko) 일사차폐 장치의 조작 장치
KR20100077113A (ko) 반자동 개폐식 도어
KR101249672B1 (ko) 스크린 착탈 장치
JP5015572B2 (ja) ロールスクリーンを備えた窓シャッター装置
US11549307B2 (en) Corded top down and cordless bottom up shade modification kit
CN209228260U (zh) 一种带有折叠纱窗的推拉门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