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5802B1 - 유리창 클리닝 장치 - Google Patents

유리창 클리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5802B1
KR102355802B1 KR1020210107157A KR20210107157A KR102355802B1 KR 102355802 B1 KR102355802 B1 KR 102355802B1 KR 1020210107157 A KR1020210107157 A KR 1020210107157A KR 20210107157 A KR20210107157 A KR 20210107157A KR 102355802 B1 KR102355802 B1 KR 102355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glass
coupled
window frame
suppo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7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은숙
채동민
Original Assignee
전은숙
채동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은숙, 채동민 filed Critical 전은숙
Priority to KR1020210107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58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5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5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00Cleaning windows
    • A47L1/06Hand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00Cleaning windows
    • A47L1/06Hand implements
    • A47L1/12Hand implements for cleaning both side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00Cleaning windows
    • A47L1/06Hand implements
    • A47L1/15Cloths, sponges, pads, or the like, e.g. containing cleaning agents
    • B08B1/002
    • B08B1/04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창 클리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전방으로 개구되고, 내부에는 구획된 한쌍의 제1,2수용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제1수용부에 배치되는 제1서포트와 결합되어 연동되는 먼지제거부;와, 상기 하우징의 제2수용부에 배치되는 제2서포트와 결합되어 연동되는 세척부;와,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되어 하우징의 제1,2수용부에 수용된 제1,2서포트를 승강시켜 세척부와 먼지제거부를 출몰시키는 제1,2승강수단; 및 상기 하우징의 폭방향 우측 또는 좌측에 결합되어 방충망틀 또는 외부창틀에 고정되는 끼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하우징은 끼움부재의 결합위치에 따라 외부창틀과 내부창틀의 유리를 선택적으로 클리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리창 클리닝 장치{GLASS WINDOW CLEANING DEVICE}
본 발명은 평상 시 세척부와 먼지제거부를 하우징의 내부에 은닉시켜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사용 시에 전진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선택적으로 세척부 또는 먼지제거부를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유리창 클리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1차적으로 먼지제거부를 통해 유리에 표면에 묻은 먼지를 제거하고, 2차적으로 세척부를 통해 유리 표면을 세척함으로써, 입자가 큰 먼지에 의해 유리의 표면에 스크레치가 발생하는 것과 세척부의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유리창 클리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방충망에 설치하여 외부창의 유리 표면을 닦아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세척장치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194350호 (2000.06.20.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1’이라고 함) 『유리문 세척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문헌 1은 제1내지 제3레일에 순차적으로 제1유리문, 제2유리문 및 제1방충망이 배치된 아파트 유리창 시스템의 제2유리문 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방충망의 일측 프레임의 결합홈에 길이 방향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결합돌기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2유리문의 외측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제1삽입홈이 형성된 제1어댑터와, 상기 제1어댑터의 제1삽입홈에 일측이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며, 타측이 제2유리문의 외측면에 접촉 형성되어 상기 제1방충망을 제3레일을 따라 이동할 때 제2유리문의 외측을 세척하기 위한 제1와이퍼로 구성됨으로써, 고층아파트의 유리문 세척 시 방충망 일측에 와이퍼가 결합된 어댑터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하여 사용자가 방충망을 여닫는 동작만으로 안전하고 용이하게 유리문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한 유리문 세척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다른 기술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65053호 (2013.01.25.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2’라고 함) 『롤방충망이 구비된 유리창 세척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문헌 2는 창문틀의 바깥쪽 상,하레일에 설치되며, 이 레일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되는 지지프레임과, 이 지지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며, 망체를 승,하강시키는 롤방충망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좌,우 동작에 의해 창문틀에 설치된 고정창문을 세척하는 블레이드가 구비된 세척수단과, 상기 지지프레임과 세척수단 사이에 설치되며, 이 세척수단을 회동시키는 경첩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는 결합부재 및 상기 세척수단의 외측에서 결합되어 이 결합부재에 분리,고정되는 고정부재로 구성됨으로써, 고정창문을 손쉽게 세척함과 아울러 방충망 기능을 갖는 롤방충망이 구비된 유리창 세척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하지만 문헌 1과 문헌 2는 와이퍼 또는 블레이드가 유리창에 지속적으로 밀착되어 있어 마모가 쉽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문헌 1, 2는 유리창에 입자가 큰 먼지가 묻을 경우, 와이퍼 또는 블레이드 또는 유리창에 스크레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194350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6505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1차적으로 먼지제거부를 통해 유리에 표면에 묻은 먼지를 제거하고, 2차적으로 세척부를 통해 유리 표면을 세척함으로써, 먼지에 의해 유리의 표면에 스크레치가 발생하는 것과 세척부의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유리창 클리닝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방충망틀 또는 외부창틀에 설치되어 내부창과 외부창 유리 표면을 선택적으로 클리닝할 수 있고, 더불어 방충망틀과 외부창틀에 각각 설치하여 내부창틀과 외부창틀의 유리를 동시에 클리닝할 수 있는 유리창 클리닝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제1발명은, 유리창 클리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전방으로 개구되고, 내부에는 구획된 한쌍의 제1,2수용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제1수용부에 배치되는 제1서포트와 결합되어 연동되는 먼지제거부;와, 상기 하우징의 제2수용부에 배치되는 제2서포트와 결합되어 연동되는 세척부;와,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되어 하우징의 제1,2수용부에 수용된 제1,2서포트를 승강시켜 세척부와 먼지제거부를 출몰시키는 제1,2승강수단; 및 상기 하우징의 폭방향 우측 또는 좌측에 결합되어 방충망틀 또는 외부창틀에 고정되는 끼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하우징은 끼움부재의 결합위치에 따라 외부창틀과 내부창틀의 유리를 선택적으로 클리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제1,2서포트는 상기 하우징의 제1,2수용부 양 내벽에 각각 밀착되게 중공의 사각 단면 형상을 갖고, 상기 제1,2승강수단은 하우징의 후단부로 관통 삽입되어 제1,2서포트와 나사결합되는 손잡이볼트와, 상기 손잡이볼트에 외장되어 제1,2서포트를 탄력적으로 설치하는 탄성코일로 구성되되, 상기 손잡이볼트는 상기 하우징의 후단부에 안착되는 손잡이헤드와, 상기 손잡이헤드에서 연장되어 하우징을 관통하여 제1,2수용부에 배치된 제1,2서포트와 나사결합되는 나선봉으로 구성되고, 상기 탄성코일은 상기 나선봉에 외장되되, 상기 제1,2수용부와 제1,2서포트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하우징의 폭방향 우측에는 방충망틀 또는 내부창틀의 형상에 맞는 끼움부재를 교체할 수 있도록 도브테일가이드가 더 형성되고, 상기 각 도브테일가이드의 측부에는 끼움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볼트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먼지제거부는 상기 제1서포트의 길이방향 양단에 형성된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축설되어 유리의 표면을 따라 롤링되는 마찰롤러와, 상기 회전축에 다수 결합되어 정전기에 의해 유리에 묻은 먼지를 제거하는 회전브러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발명은, 제4발명에서, 상기 제1수용부 내부 전단부에는 회전브러쉬에 정전기가 형성되도록 정전기패드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리창 클리닝 장치에 따르면, 1차적으로 먼지제거부의 회전브러쉬를 통해 유리에 표면에 묻은 먼지를 제거하고, 2차적으로 세척부를 통해 유리 표면을 세척함으로써, 입자가 큰 먼지에 의해 유리의 표면에 스크레치가 발생되는 것과, 세척부의 표면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리 오염(빗물, 먼지) 상태에 따라 세척부 또는 먼지제거부를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방충망틀 또는 외부창틀에 설치되어 내부창과 외부창 유리 표면을 선택적으로 클리닝할 수 있고, 더불어 방충망틀과 외부창틀에 각각 설치하여 내부창틀과 외부창틀의 유리를 동시에 클리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클리닝 장치의 단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클리닝 장치의 방충망틀 설치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클리닝 장치의 외부창틀 설치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 구성도,
도 4는 도 2에서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클리닝 장치가 외부창의 유리 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이동되는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 구성도,
도 5는 도 1에서 먼지제거부를 나타내기 위한 측단면 구성도,
도 6은 도 1에서 세척부를 나타내기 위한 측단면 구성도이다.
이하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 1을 기준으로 내부창 측을 전방, 외부창 측을 후방이 라고 방향을 특정하고, 또한 하우징을 기준으로 세척부를 좌측, 먼지제거부를 우측으로 방향을 특정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언급하게 되는 외부창은 내부창 보다 바깥쪽에 배치되는 미닫이형 유리창을 의미하고, 상기 방충망은 상기 외부창의 후방쪽에 배치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클리닝 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클리닝 장치의 단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클리닝 장치의 방충망틀 설치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클리닝 장치의 외부창틀 설치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클리닝 장치가 외부창의 유리 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이동되는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평단면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1에서 먼지제거부를 나타내기 위한 측단면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1에서 세척부를 나타내기 위한 측단면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방충망틀에 장착된 상태에서 방충망틀의 좌/우 이동 동작에 따라 외부창틀의 유리 표면을 클리닝할 수 있고, 또한 선택적으로 외부창틀에 장착될 경우에는 외부창틀의 좌/우 이동동작에 따라 내부창틀의 유리 표면을 클리닝할 수 있는 유리창 클리닝 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1차적으로 먼지제거부를 통해 유리에 표면에 묻은 먼지를 제거하고, 2차적으로 세척부를 통해 유리 표면을 세척함으로써, 입자가 큰 먼지에 의해 유리의 표면에 스크레치가 발생하는 것과 세척부의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유리창 클리닝 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평상 시 세척부와 먼지제거부를 하우징의 내부에 은닉시켜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사용 시에 전진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선택적으로 세척부 또는 먼지제거부를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유리창 클리닝 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유리창 클리닝 장치(100)는 크게 5부분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하우징(10)과, 먼지제거부(50)와, 세척부(60)와, 제1,2승강수단(40a,40b) 및 끼움부재(70)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은 장방형으로 전방으로는 개구되고, 폭방향 우측에는 방충망틀(200) 또는 외부창틀(300)에 레일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끼움부재(70)를 교체할 수 있는 도브테일가이드(13)가 더 형성된다.
이 때 상기 각 도브테일가이드(13)의 측부에는 끼움부재(70)를 고정하는 고정볼트(131)가 장착되어 끼움부재(70)를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상기 끼움부재(70)는 실리콘, 합성고무, 천연고무, 폴리우레탄과 같은 탄력성 있는 소재로 구성되어 방충망틀(200) 또는 외부창틀(300)의 측면에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기능한다..
여기서 상기 끼움부재(70)는 방충망틀(200) 또는 외부창틀(300)의 레일홈 형태에 맞는 것을 선택하여 도브테일가이드(13)를 통해 교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구획격벽(10a)을 통해 구획된 한쌍의 제1,2수용부(11,12)가 형성된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제1수용부(11)와, 제2수용부(12)에는 제1서포트(20)와, 제2서포트(30)가 각각 상호 간 격리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이 때 상기 제1,2서포트(20,30)는 중공의 사각 단면 형상을 갖는 것으로, 승강이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10)의 제1,2수용부(11,12) 양 내벽에 각각 밀착된 상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제1서포트(20)에는 먼지제거부(50)가 결합되어 연동되도록 구성되고, 제2서포트(30)에는 세척부(60)가 결합되어 연동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1,2승강수단(40a,40b)은 하우징(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되어 하우징(10)의 제1,2수용부(11,12)에 수용된 제1,2서포트(20,30)를 승강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제1승강수단(40a)은 제1서포트(20)를 승강시켜 먼지제거부(50)를 하우징(10)의 제1수용부(11)에서 출몰되도록 기능하고, 제2승강수단(40b)은 제2서포트(30)를 승강시켜 세척부(60)를 하우징의 제1수용부(11)에 출몰되도록 기능한다.
여기서 상기 제1,2승강수단(40a,40b)은 하우징(10)의 후단부로 관통 삽입되어 제1,2서포트(20,30)와 나사결합되는 손잡이볼트(41)와, 상기 손잡이볼트(41)에 외장되어 제1,2서포트(20,30)를 탄력적으로 설치하는 탄성코일(42)로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볼트(41)는 상기 하우징(10)의 후단부에 안착되는 손잡이헤드(411)와, 상기 손잡이헤드(411)에서 연장되어 하우징(10)을 관통하여 제1,2수용부(11,12)에 배치된 제1,2서포트(20,30)와 나사결합되는 나선봉(41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코일(42)은 상기 나선부봉(412)에 외장되되, 상기 제1,2수용부(11,12)와 제1,2서포트(20,30)의 사이에 배치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제1,2서포트(20,30)는 제1,2승강수단(40a,40b)의 손잡이볼트(41)의 회전 방향에 따라 나선봉(412)를 따라 승강되는 구조이다.
때문에 상기 제1서포트(20)에 결합된 먼지제거부(50)는 제1승강수단(40a)의 회전조작에 따라 제1수용부(11)에서 출몰되고, 제2서포트(30)에 결합된 세척부(60)는 제2승강수단(40b)의 회전조작에 따라 제2수용부(12)에 출몰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제1서포트(20)는 상기 손잡이볼트(41)를 정회전시키면 제1수용부(11)에서 전방으로 전진하게 되고, 이 때 제1수용부(11)에 은닉되었던 상기 먼지제거부(50)는 하우징(10)의 개구된 외부로 노출되어 내부창틀(400) 또는 외부창틀(300)의 유리에 묻은 먼지를 제거하게 된다.
이 때 노출된 먼지제거부(50)는 유리 표면의 이물질 등에 걸리더라도 탄성코일(42)에 의해 제1서포트(20) 및 손잡이볼트(41)와 함께 후방측으로 밀렸다가 제자리로 복귀됨은 물론,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게 된다.
이 후 먼지제거부(5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손잡이볼트(41)를 역회전시키면 제1수용부(11)에서 제1서포트(20)가 후퇴되고, 이 때 노출되어던 상기 먼지제거부(50)는 제1수용부(11)로 재은닉된다.
상기에서 먼지제거부(50)는 도 5와 같이, 상기 제1서포트(20)의 길이방향 양단에 형성된 브라켓(2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51)과, 상기 회전축(51)에 축설되어 유리를 따라 롤링되는 마찰롤러(52)와, 상기 회전축(51)에 다수 결합되어 정전기에 의해 유리에 묻은 먼지를 제거하는 회전브러쉬(5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먼지제거부(50)는 유리와 마찰력에 의해 롤링되는 마찰롤러(52)를 통해 회전축(51)이 회전하면, 상기 회전축(51)에 다수 결합된 회전브러쉬(53)가 유리에 묻은 먼지를 1차적으로 제거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1수용부(11) 내부 전단부에는 회전브러쉬(53)에 정전기가 발생되도록 정전기패드(111)가 더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세척부(60) 역시 상기 제2승강수단(40b)의 의해 제2수용부(12)에서 출몰되는 구조이며, 이 때 상기 세척부(60)는 유리와 마찰력에 의해 2차적으로 유리 표면을 세척하는 기능을 한다.
상술된 제2승강수단(40b)의 기능과 구성요소는 앞서 언급된 제1승강수단(40a)과 같아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세척부(60)는 도 1 및 도 6과 같이, 유리 표면에 밀착되어 이물질이나 물기 등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2서포트(30)에 형성된 장착홈(31)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장착돌기(61)와, 상기 장착돌기(61)에 연결되어 상기 제2서포트(30)의 전방으로 노줄되는 상광하협의 단면 형상을 갖는 블레이드(6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블레이드(62)는 유리 표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좌우로 움직이게 될 때에 유연하게 휘어지면서 밀착이 유지될 수 있도록 끝단에 좁은 폭의 두께는 갖는 첨단부(65)가 더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된 본 발명의 유리창 클리닝 장치는 선행문헌에 비해 하기와 같은 큰 차이점을 갖는다.
첫째: 1차적으로 먼지제거부의 회전브러쉬를 통해 유리에 표면에 묻은 먼지를 제거하고, 2차적으로 세척부를 통해 유리 표면을 세척함으로써, 입자가 큰 먼지에 의해 유리의 표면에 스크레치가 발생되는 것과, 세척부의 표면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둘째: 유리 오염(빗물, 먼지) 상태에 따라 세척부 또는 먼지제거부를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다.
셋째: 방충망틀 또는 외부창틀에 설치되어 내부창과 외부창 유리 표면을 선택적으로 클리닝할 수 있고, 더불어 방충망틀과 외부창틀에 각각 설치하여 내부창틀과 외부창틀의 유리를 동시에 클리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하우징 10a: 구획격벽 11: 제1수용부
111: 정전기패드 12: 제2수용부
13: 도브테일가이드 131: 고정볼트
20: 제1서포트 21: 브라켓
30: 제2서포트 31: 장착홈
40a: 제1승강수단 40b: 제2승강수단 41: 손잡이볼트
411: 손잡이헤드 412: 나선봉
42: 탄성코일
50: 먼지제거부 51: 회전축 52: 마찰롤러
53: 회전브러쉬
60: 세척부 61: 장착돌기 62: 블레이드
63: 첨단부
70: 끼움부재
100: 유리창 클리닝장치
200: 방충망틀 300: 외부창틀 400: 내부창틀

Claims (5)

  1. 전방으로 개구되고, 내부에는 구획된 한쌍의 제1,2수용부(11,12)를 갖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제1수용부(11)에 배치되는 제1서포트(20)와 결합되어 연동되는 먼지제거부(50);
    상기 하우징(10)의 제2수용부(12)에 배치되는 제2서포트(30)와 결합되어 연동되는 세척부(60);
    상기 하우징(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되어 하우징(10)의 제1,2수용부(11,12)에 수용된 제1,2서포트(20,30)를 승강시켜 세척부(60)와 먼지제거부(50)를 출몰시키는 제1,2승강수단(40a,40b); 및
    상기 하우징(10)의 폭방향 우측 또는 좌측에 결합되어 방충망틀(200) 또는 외부창틀(300)에 고정되는 끼움부재(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끼움부재(70)의 결합위치에 따라 외부창틀(300)과 내부창틀(400)의 유리를 선택적으로 클리닝할 수 있고,
    상기 제1,2서포트(20,30)는 상기 하우징(10)의 제1,2수용부(11,12) 양 내벽에 각각 밀착되게 중공의 사각 단면 형상을 갖고,
    상기 제1,2승강수단(40a,40b)은 하우징(10)의 후단부로 관통 삽입되어 제1,2서포트(20,30)와 나사결합되는 손잡이볼트(41)와, 상기 손잡이볼트(41)에 외장되어 제1,2서포트(20,30)를 탄력적으로 설치하는 탄성코일(42)로 구성되되,
    상기 손잡이볼트(41)는 상기 하우징(10)의 후단부에 안착되는 손잡이헤드(411)와, 상기 손잡이헤드(411)에서 연장되어 하우징(10)을 관통하여 제1,2수용부(11,12)에 배치된 제1,2서포트(20,30)와 나사결합되는 나선봉(412)으로 구성되고,
    상기 탄성코일(42)은 상기 나선봉(412)에 외장되되, 상기 제1,2수용부(11,12)와 제1,2서포트(20,30)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10)의 폭방향 우측에는 방충망틀(200) 또는 외부창틀(300)의 레일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상기 끼움부재(70)를 교체할 수 있는 도브테일가이드(13)가 더 형성되고,
    상기 도브테일가이드(13)의 측부에는 상기 끼움부재(70)를 고정하는 고정볼트(131)가 장착되고,
    상기 먼지제거부(50)는 상기 제1서포트(20)의 길이방향 양단에 형성된 브라켓(2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51)과, 상기 회전축(51)에 축설되어 유리의 표면을 따라 롤링되는 마찰롤러(52)와, 상기 회전축(51)에 다수 결합되어 정전기에 의해 유리에 묻은 먼지를 제거하는 회전브러쉬(53)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수용부(11) 내부 전단부에는 상기 회전브러쉬(53)에 정전기가 형성되도록 정전기패드(111)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클리닝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107157A 2021-08-13 2021-08-13 유리창 클리닝 장치 KR102355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157A KR102355802B1 (ko) 2021-08-13 2021-08-13 유리창 클리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157A KR102355802B1 (ko) 2021-08-13 2021-08-13 유리창 클리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5802B1 true KR102355802B1 (ko) 2022-02-08

Family

ID=80252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7157A KR102355802B1 (ko) 2021-08-13 2021-08-13 유리창 클리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580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4350Y1 (ko) 2000-03-16 2000-09-01 최경숙 유리문 세척장치
JP2002097860A (ja) * 2000-09-26 2002-04-05 Sekisui House Ltd 掃除具付窓
KR200465053Y1 (ko) 2009-12-02 2013-02-13 노규봉 롤방충망이 구비된 유리창 세척장치
KR20200039917A (ko) * 2018-10-08 2020-04-17 정현수 방충망 장착형 유리창 세척장치
KR102132968B1 (ko) * 2019-03-11 2020-07-13 송승욱 창문프레임 일체형 외부 유리창 청소장치
KR20200128249A (ko) * 2019-04-24 2020-11-12 주식회사 비엠글로벌산업 클램프를 활용하여 탈부착이 용이한 지능형 외부유리창 청소로봇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4350Y1 (ko) 2000-03-16 2000-09-01 최경숙 유리문 세척장치
JP2002097860A (ja) * 2000-09-26 2002-04-05 Sekisui House Ltd 掃除具付窓
KR200465053Y1 (ko) 2009-12-02 2013-02-13 노규봉 롤방충망이 구비된 유리창 세척장치
KR20200039917A (ko) * 2018-10-08 2020-04-17 정현수 방충망 장착형 유리창 세척장치
KR102132968B1 (ko) * 2019-03-11 2020-07-13 송승욱 창문프레임 일체형 외부 유리창 청소장치
KR20200128249A (ko) * 2019-04-24 2020-11-12 주식회사 비엠글로벌산업 클램프를 활용하여 탈부착이 용이한 지능형 외부유리창 청소로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67936B1 (en) Window assembly having rolling window screen assembly
US5794281A (en) Shower curtain apparatus and method
KR20080007942A (ko) 유리창 청소기구
KR20200039917A (ko) 방충망 장착형 유리창 세척장치
KR102355802B1 (ko) 유리창 클리닝 장치
US20100060118A1 (en) Self-Cleaning Entry Mat
KR102031649B1 (ko) 방충망 일체형 창호
KR102303858B1 (ko) 자동 청소 기능을 가지는 방충망 장치
KR101636209B1 (ko) 미닫이 도어용 이물질 차단커버
KR200478289Y1 (ko) 미닫이 문의 문틀 홈 청소기
KR200478286Y1 (ko) 미닫이 문의 문틀 홈 청소기
US5906070A (en) Window protector
KR200180699Y1 (ko) 창문프레임 청소장치
KR102006578B1 (ko) 탈부착이 가능한 창틀 청소 겸용 틈막이 장치
CN110821381A (zh) 一种清洁功能遮阳
CN105625890A (zh) 一种可旋转窗框
US7545370B1 (en) Automatic cleaning of useable surfaces of a portable computer device
KR101829361B1 (ko) 유리창 청소장치
KR20120005522U (ko) 이물질 제거가 용이하게 가능한 문틀
KR100968699B1 (ko) 유리판 내외부 동시 청소용 창문
CN217804080U (zh) 一种具有自动擦拭功能的纳米黑板
KR101732675B1 (ko) 창틀
JP5208048B2 (ja) サッシ
CN211381236U (zh) 一种镜面除雾装置
CN215633151U (zh) 一种用于煤矿安全监控系统传感器的保护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