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4350Y1 - 유리문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유리문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4350Y1
KR200194350Y1 KR2020000007527U KR20000007527U KR200194350Y1 KR 200194350 Y1 KR200194350 Y1 KR 200194350Y1 KR 2020000007527 U KR2020000007527 U KR 2020000007527U KR 20000007527 U KR20000007527 U KR 20000007527U KR 200194350 Y1 KR200194350 Y1 KR 2001943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door
screen
adapter
outside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75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숙
Original Assignee
최경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경숙 filed Critical 최경숙
Priority to KR20200000075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43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43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43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층아파트의 유리문 세척시 방충망 일측에 와이퍼가 결합된 어댑터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하여 사용자가 방충망을 여닫는 동작만으로 안전하고 용이하게 유리문을 세척할 수 있는 유리문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은 제1내지 제3레일에 순차적으로 제1유리문, 제2유리문 및 제1방충망이 배치된 아파트 유리창 시스템의 제2유리문 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방충망(5)의 일측 프레임(5a)의 결합홈(5b)에 길이방향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결합돌기(11)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2유리문(3)의 외측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제1삽입홈(13)이 형성된 제1어댑터(10)와, 상기 제1어댑터(10)의 제1삽입홈(13)에 일측이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타측이 제2유리문(3)의 외측면에 접촉 형성되어 상기 제1방충망(5)을 제3레일(5)을 따라 이동할 때 제2유리문(3)의 외측을 세척하기 위한 제1와이퍼(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방충망에 와이퍼가 결합된 어댑터를 방충망의 일측 프레임에 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으며, 유리문 세척시 사용자가 베란다 내측에서 안전하고 신속하게 유리문을 세척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리문 세척장치{Glass Washing System}
본 고안은 유리문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층아파트의 유리문 세척시 방충망 일측에 와이퍼가 결합된 어댑터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하여 사용자가 방충망을 여닫는 동작만으로 안전하고 용이하게 유리문을 세척할 수 있는 유리문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아파트의 베란다에는 채광효과와 더불어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대형 유리를 프레임에 설치한 유리문을 사용한다.
이 경우 유리문을 세척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직접 별도의 세척기를 들고 유리문의 외측을 닦아야 하는데 이때 고층일 경우, 사용자는 몸을 베란다 바깥쪽으로 내민 상태에서 세척을 하게되며 이때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추락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고층아파트의 유리문 세척시 방충망 일측에 와이퍼가 결합된 어댑터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하여 사용자가 방충망을 여닫는 동작만으로 안전하고 용이하게 유리문을 세척할 수 있는 유리문 세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리문 세척장치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리문 세척장치를 작동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리문 세척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유리문 세척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면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30b: 제1유리문 2,35: 제1레일
3,40: 제2유리문 3a,40a: 접촉면
4,45: 제2레일 5,50a: 제1방충망
5a,51a,51b: 프레임 5b,53a,53b: 결합홈
6,55: 제3레일 10,60a,60b: 어댑터
11,61a,61b: 결합돌기 13,63a,63b: 삽입홈
20,70a,70b: 와이퍼 21,71a,71b: 결합부
23,73a,73b: 접촉부 30b: 제3유리문
50b: 제2방충망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제1내지 제3레일에 순차적으로 제1유리문, 제2유리문 및 제1방충망이 배치된 아파트 유리창 시스템의 제2유리문 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방충망의 일측 프레임의 결합홈에 길이방향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결합돌기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2유리문의 외측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삽입홈이 형성된 제1어댑터와, 상기 제1어댑터의 삽입홈에 일측이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타측이 제2유리문의 외측면에 접촉 형성되어 상기 제1방충망을 제3레일을 따라 이동할 때 제2유리문의 외측을 세척하기 위한 제1와이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문 세척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레일에 제1 및 제3유리문이 대칭 배치되며, 제 2레일에 제2유리문이 배치되고, 제3레일에 제1 및 제2방충망이 대칭 배치된 아파트 유리창 시스템의 제2유리문 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방충망의 일측 프레임의 결합홈에 길이방향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2유리문의 외측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삽입홈이 형성된 제1어댑터와, 상기 제1어댑터의 삽입홈에 일측이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타측이 제2유리문의 외측에 접촉 형성되어 상기 제1방충망을 제3레일을 따라 이동할 때 제2유리문의 외측을 세척하기 위한 제1와이퍼와; 상기 제1방충망의 반대측에 대응 배치된 제2 방충망의 일측 프레임의 결합홈에 길이방향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2유리문의 외측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삽입홈이 형성된 제2어댑터와, 상기 제2어댑터의 삽입홈에 일측이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타측이 제2유리문의 외측에 접촉 형성되어 상기 제2방충망을 제3레일을 따라 이동할 때 제2유리문의 외측을 세척하기 위한 제2와이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와이퍼 및 제2와이퍼는 제1방충망 및 제2방충망의 'T'자형 삽입홈에 각각 슬라이딩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제2유리문의 외측면과 밀착되어 제2유리문의 오물을 제거하며, 세척시 제2유리문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고무재로 이루어지는 접촉부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은 고층 아파트에서 유리문의 외측을 세척할 경우 방충망을 여닫는 동작에 의해 유리문의 외측을 전체적으로 신속하게 세척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상기한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리문 세척장치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리문 세척장치를 작동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레일 내지 제3레일(2,4,6)에는 순차적으로 제1유리문(1), 제2유리문(3) 및 제1방충망(5)이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방충망(5)은 일측 프레임(5a)에 길이방향으로 결합홈(5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일측에 상기 결합홈(5b)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돌기(11)를 형성한 제1어댑터(10)가 형성되며, 상기 어댑터는 상기 제2유리문(3)의 외측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T'자형 삽입홈(13)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2유리문의 외측면을 세척하기 위한 제1와이퍼(20)는 결합부(21)가 상기 제1어댑터(10)의 삽입홈(13)에 착탈가능하게 슬라이딩 삽입되며, 상기 결합부(21)의 반대편에 형성된 접촉부(23)는 상기 제2유리문(3)의 외측면(3a)에 밀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2유리문(3)의 외측을 세척하기 위하여, 제1유리문(1)을 제1레일(2)을 따라 열어 놓고, 상기 제2유리문(3) 외측면에 호스 등을 이용하여 소정의 물을 분사한 후, 도 2와 같이 제1방충망(5)을 제3레일(6)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이 경우 제1어댑터(10)에 결합된 제1와이퍼(20)의 접촉부(23)가 상기 제2유리문의 외측면(3a)을 따라 밀착된 상태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2유리문의 외측면(3a)에 묻은 먼지나 각종 오물이 제거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자는 베란다 외측으로 몸을 내밀 필요 없이 베란다 내에서 제1방충망(5)을 상기 제3레일(6)을 따라 좌우로 몇 차례 반복 이동시킴에 따라 제2유리문의 외측면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세척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적용되는 제1방충망(5)은 현재 일반적으로 유통/사용되는 방충망이며, 이와 같은 방충망에는 프레임에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방충망을 제작할 필요 없이 기존의 아파트 등에 사용되는 방충망에 와이퍼(20)가 결합된 어댑터(10)를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리문 세척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유리문 세척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먼저 아파트의 평수가 넓은 곳에서는 도 3과 같이 대형의 제2유리문(40)을 배치하고, 상기 제2유리문(40) 양측으로 제1레일(35)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제1 및 제3유리문(30a,30b)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3유리문(30a,30b)과 대응하도록 제3레일(55)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제1 및 제2방충망(50a,50b)이 배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방충망(50a,50b)은 일측 프레임(51a,51b)에 길이방향으로 각각 결합홈(53a,53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일측에 상기 결합홈(53a,53b)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돌기(61a,61b)를 형성한 제1 및 제2어댑터(60a,60b)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어댑터(60a,60b)는 상기 제2유리문(40)의 외측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T'자형으로 이루어진 삽입홈(63a,63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2유리문의 외측면(40a)을 세척하기 위한 제1 및 제2와이퍼(70a,70b)는 결합부(71a,71b)가 상기 제1 및 제2어댑터(60a,60b)의 삽입홈(63a,63b)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슬라이딩 삽입되며, 상기 결합부(71a,71b)의 반대편에 형성된 접촉부(73a,73b)는 상기 제2유리문(40)의 외측면(40a)에 밀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2유리문(40)의 외측을 세척하기 위하여, 도 4와 같이 제1 및 제3유리문(30a,30b)을 제1레일(35)을 따라 각각 중앙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어서 상기 제2유리문(40) 외측면에 호스 등을 이용하여 소정의 물을 분사한 후, 제1 및 제2방충망(50a,50b)을 제3레일(55)을 따라 각각 중앙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제1 및 제2어댑터(60a,60b)에 각각 결합된 제1 및 제2와이퍼(70a,70b)의 접촉부(73a,73b)가 상기 제2유리문의 외측면(40a)을 따라 밀착된 상태로 이동하게 되며, 이와 같은 동작을 몇 차례 반복함에 따라 상기 제2유리문의 외측면(40a)에 묻은 먼지나 각종 오물이 신속하게 제거된다. 이 경우에서도 아파트에 주거하는 사용자는 안전한 상태에서 유리문의 외측을 세척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방충망에 와이퍼가 결합된 어댑터를 방충망의 일측 프레임에 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으며, 유리문 세척시 사용자가 베란다 내측에서 안전하고 신속하게 유리문을 세척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제1내지 제3레일에 순차적으로 제1유리문, 제2유리문 및 제1방충망이 배치된 아파트 유리창 시스템의 제2유리문 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방충망(5)의 일측 프레임(5a)의 결합홈(5b)에 길이방향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결합돌기(11)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2유리문(3)의 외측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삽입홈(13)이 형성된 제1어댑터(10)와,
    상기 제1어댑터(10)의 제1삽입홈(13)에 일측이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타측이 제2유리문(3)의 외측면에 접촉 형성되어 상기 제1방충망(5)을 제3레일(5)을 따라 이동할 때 제2유리문(3)의 외측을 세척하기 위한 제1와이퍼(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문 세척장치.
  2. 제1레일에 제1 및 제3유리문이 대칭 배치되며, 제 2레일에 제2유리문이 배치되고, 제3레일에 제1 및 제2방충망이 대칭 배치된 아파트 유리창 시스템의 제2유리문 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방충망(50a)의 일측 프레임(51a)의 결합홈(53a)에 길이방향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돌기(61a)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2유리문(40)의 외측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삽입홈(63a)이 형성된 제1어댑터(60a)와,
    상기 제1어댑터(60a)의 삽입홈(63a)에 일측이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타측이 제2유리문(40)의 외측에 접촉 형성되어 상기 제1방충망(50a)을 제3레일(55)을 따라 이동할 때 제2유리문(40)의 외측을 세척하기 위한 제1와이퍼(70a)와;
    상기 제1방충망(50a)의 반대측에 대응 배치된 제2 방충망(50b)의 일측 프레임(51b)의 결합홈(53b)에 길이방향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돌기(61b)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2유리문(40)의 외측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삽입홈(63b)이 형성된 제2어댑터(60b)와,
    상기 제2어댑터(60b)의 삽입홈(63b)에 일측이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타측이 제2유리문(40)의 외측에 접촉 형성되어 상기 제2방충망(50b)을 제3레일(55)을 따라 이동할 때 제2유리문(40)의 외측을 세척하기 위한 제2와이퍼(70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문 세척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와이퍼(20;70a) 및 제2와이퍼(70b)는 제1방충망(5;50a) 및 제2방충망(50b)의 'T'자형 삽입홈(13;63a,63b)에 각각 슬라이딩 결합되는 결합부(21;71a,71b)와, 상기 제2유리문(3;40)의 외측면(3a;40a)과 밀착되어 제2유리문(3;40)의 오물을 제거하며, 세척시 제2유리문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고무재로 이루어지는 접촉부(23;73a,73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문 세척장치.
KR2020000007527U 2000-03-16 2000-03-16 유리문 세척장치 KR2001943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7527U KR200194350Y1 (ko) 2000-03-16 2000-03-16 유리문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7527U KR200194350Y1 (ko) 2000-03-16 2000-03-16 유리문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4350Y1 true KR200194350Y1 (ko) 2000-09-01

Family

ID=19647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7527U KR200194350Y1 (ko) 2000-03-16 2000-03-16 유리문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435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9917A (ko) 2018-10-08 2020-04-17 정현수 방충망 장착형 유리창 세척장치
KR102132968B1 (ko) 2019-03-11 2020-07-13 송승욱 창문프레임 일체형 외부 유리창 청소장치
KR102355802B1 (ko) 2021-08-13 2022-02-08 전은숙 유리창 클리닝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9917A (ko) 2018-10-08 2020-04-17 정현수 방충망 장착형 유리창 세척장치
KR102132968B1 (ko) 2019-03-11 2020-07-13 송승욱 창문프레임 일체형 외부 유리창 청소장치
KR102355802B1 (ko) 2021-08-13 2022-02-08 전은숙 유리창 클리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9508223A (pt) Composição de detergente de lavanderia de lavagem manual tendo desempenho de limpeza e de suavidade aperfeiçoado
KR200446235Y1 (ko) 양면 유리창 청소기
KR200194350Y1 (ko) 유리문 세척장치
CN210966271U (zh) 一种光学玻璃清洗设备
KR200464138Y1 (ko) 노즐 세척커버 및 이를 갖는 비데
CN110123218B (zh) 一种玻璃幕墙的维护机构
CN206874195U (zh) 一种方便清理的铝合金窗户框架结构
JPH0860933A (ja) 引き違い窓用サッシ
CN214484382U (zh) 一种铝合金门窗清洁装置
KR20160125338A (ko) 유리창 세척용 세척부재
EP0442270A3 (en) Procedure for operating a vehicle window wiping and cleaning arrangement as well as an arrangement for executing the procedure
DE59611103D1 (de) Wasch- und reinigungsmittel, das ein farbiges teilchen enthält
CN214835768U (zh) 一种便于清洁的铝合金推拉门
KR20100012869U (ko) 유리창 크리너
KR200266088Y1 (ko) 세척장치가 구비된 창문
KR200183736Y1 (ko) 버티컬 및 브라인드형 커텐의 세척장치
CN213510006U (zh) 一种智能锁的指纹印消除机构
KR101687648B1 (ko) 식기 세척기용 도어 잠금장치
CN109552267A (zh) 一种车身清洗方法
KR200228483Y1 (ko) 착탈식 와이퍼가 부착된 창호
CN220876692U (zh) 平板拖把清洁桶
CN216759128U (zh) 一种具有安全防护装置的数控机床
KR102492078B1 (ko) 외부 유리창 세척부가 구비된 창호 시스템
KR19990027216A (ko) 이동보도의 핸드레일 표면 청소기구
CN208853340U (zh) 一种水利用渠道闸门清洗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62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