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4043B1 - 실내 인테리어용 친환경 합판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실내 인테리어용 친환경 합판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4043B1
KR102484043B1 KR1020220074917A KR20220074917A KR102484043B1 KR 102484043 B1 KR102484043 B1 KR 102484043B1 KR 1020220074917 A KR1020220074917 A KR 1020220074917A KR 20220074917 A KR20220074917 A KR 20220074917A KR 102484043 B1 KR102484043 B1 KR 102484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co
base plate
friendly plywood
fixing device
plyw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4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화경
Original Assignee
채화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화경 filed Critical 채화경
Priority to KR1020220074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40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4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4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DWORKING VENEER OR PLYWOOD
    • B27D1/00Joining wood veneer with any material; Forming articles thereby; Preparatory processing of surfaces to be joined, e.g. scoring
    • B27D1/04Joining wood veneer with any material; Forming articles thereby; Preparatory processing of surfaces to be joined, e.g. scoring to produce plywood or articles made therefrom; Plywood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5/00Treat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7K1/00, B27K3/00
    • B27K5/0085Thermal treatments, i.e. involving chemical modification of wood at temperatures well over 100°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5/00Treat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7K1/00, B27K3/00
    • B27K5/02Staining or dyeing wood; Bleaching w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5/00Treat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7K1/00, B27K3/00
    • B27K5/04Combined bleaching or impregnating and drying of w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1/00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 B27M1/08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by multi-step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3/0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 B27M3/0013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composite or compound articles
    • B27M3/0086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composite or compound articles characterised by connecting using gl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3/0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 B27M3/04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flooring elements, e.g. parqueting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3/0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 B27M3/18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furniture or of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2240/00Purpose of the treatment
    • B27K2240/20Removing fungi, molds or ins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Veneer Processing And Manufacture Of Plywo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인테리어용 친환경 합판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소정 크기로 베이스판재를 준비하는 1단계; 상기 베이스판재의 상면에 1차 표층부를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판재의 하면에 내면 보호부를 형성하는 2단계; 상기 2단계에서 베이스판재의 상면에 2차 표층부를 형성하여 친환경 합판을 제조하는 3단계; 상기 3단계의 친환경 합판을 건조기로 이송시킨 후, 건조기 내부를 일정 온도로 열을 가해 친환경 합판을 건조시켜 1차 표층부 및 2차 표층부의 표면이 경화되도록 하는 4단계; 상기 4단계 후 친환경 합판의 표면을 냉각시키는 5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실내 인테리어용 친환경 합판 및 이의 제조 방법{Eco-friendly plywood for indoor use and thereof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실내 인테리어용 친환경 합판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의 벽면, 천장 등에 부착되며, 화재 및 오염물질로부터 안전성을 갖도록 한 실내 인테리어용 친환경 합판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가구 또는 친환경 보드는 합판, MDF(Medium Density Fiberboard)나 파티클 보드(Particle Board) 등과 같은 집성목이나 원목 등으로 만들어지는데, 원목은 상당히 고가이기 때문에 흔히 집대성목을 사용하여 가구 또는 인테리어용 보드를 제작한다. 그리고 집성목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는 보드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며, 추가로 보드가 습기 등에 노출되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감시트를 부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 가구 또는 실내 인테리어에 사용되는 보드는, 합판, MDF나 파티클보드 등의 집성목의 한쪽 면 위에 접착제 층이 형성되고, 접착제 층 위에 보드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한 무늬목이 형성되어 있다.
합판, MDF나 파티클 보드는 가구 또는 인테리어용 보드의 기재를 이루며 형태 및 강도를 유지한다.
무늬목은 나무 질감을 보드에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보드에서 접착제층은 합판, MDF나 파티클 보드와 무늬목을 접착하기 위한 층으로, 종래에 멜라민 수지 또는 요소수지를 사용한다.
종래 보드는 합판, MDF나 파티클 보드와 무늬목을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시킨 후 열압처리하여 얻어진다.
구체적으로, 얇게 켠 무늬목과, 합판, MDF나 파티클 보드를 접착함에 있어 합판, MDF나 파티클 보드의 한쪽 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무늬목을 그 위에 올려놓고 열압프레스로 열경화시킨다.
종래에는 가구 또는 친환경 보드는 접착제층을 형성하여야 하며, 이때 사용하는 종래 접착제로는 멜라민 수지 또는 요소 수지이다.
이러한 수지는 가격이 저렴하고 상기와 같은 열경화 과정을 통하여 간단히 보드를 제작하는데 유용하나, 인체에 치명적인 포름알데히드 발암물질을 방출하여 환경적 또는 건강에 치명적인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종래 접착제층에 비해 친환경적이고 친인체적인 접착제층을 구비한 보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20-2006-0024212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실내의 벽면, 천장 등에 부착되며, 화재 및 오염물질로부터 안전성을 갖도록 한 실내 인테리어용 친환경 합판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목판을 소정 크기로 형성된 내부판재의 표면을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슬릿을 형성하고, 베이스판재의 외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되 상기 슬릿에도 접착제가 충진되도록 하여 내부판재를 형성하고, 상기 내부판재의 양면에 중간판재를 접착시킨 후 상기 중간판재의 표면에 표면판재를 접착하여 베이스판재를 준비하는 1단계; 상기 베이스판재를 고정장치가 구비된 이송컨베어에 장착하되, 상기 베이스판재의 양단이 고정장치의 클램프에 협지되도록 하여 고정한 후 고정장치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1분사노즐을 통해 표층액이 토출되어 베이스판재의 상면에 1차 표층부를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판재의 하면에 내면 보호부를 형성하는 2단계; 상기 2단계에서 이송컨베어를 이송시켜 고정장치에 고정된 베이스판재가 이동된 후 고정장치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3분사노즐을 통해 표층액이 토출되어 베이스판재의 상면에 2차 표층부를 형성하는 친환경 합판을 제조하는 3단계; 상기 3단계의 이송컨베어를 이송시켜 고정장치에 고정된 친환경 합판을 건조기로 이송시킨 후, 건조기 내부를 일정 온도로 열을 가해 친환경 합판을 건조시켜 1차 표층부 및 2차 표층부의 표면이 경화되도록 하는 4단계; 상기 4단계 후 이송컨베어를 이송시켜 고정장치에 고정된 표면이 경화된 친환경 합판을 냉각에어공급부에 투입하고, 냉각에어공급부의 내부에 20~25℃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친환경 합판의 표면을 냉각시키는 5단계;를 포함하는 실내 인테리어용 친환경 합판의 제조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2단계의 1차 표층부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및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 구성되며 베이스판재의 상면에 소정 두께로 도포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다수개 혼입되며, 살균제가 충진된 젤라틴 버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3단계의 2차 표층부는 MMA(Methyl Methacrylate)수지와, MMA수지에 혼합되는 제1부재료와 제2부재료를 포함하는 수지 원액을 1차 표층부의 상면에 소정 두께로 도포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1부재료는 분말화 된 수산화 알루미늄, 수산화 지르코늄, 은, 백금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고, 상기 제2부재료는 라벤더 에센셜오일, 레몬 에센셜오일, 솔잎추출 오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액을 상기 수지 원액에 분무시켜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단계의 내면 보호부는, 베이스판재의 하면에 코팅되는 하도층과, 상기 하도층과 중첩되는 상도층; 하도층과 상도층 사이에 삽입되며 위사와 경사로 직조된 속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3단계는 이송컨베어를 이송시켜 고정장치에 고정된 베이스판재가 가압부에 도달된 후 상기 가압부의 롤러가 친환경 합판의 2차 표층부를 가압하면서 롤링하여 2차 표층부의 표면을 평평하게 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장치는 이송컨베어의 상부에 직립되게 이격 배치된 기대와, 기대의 상부에 수평하게 장착되며 실린더로드가 구비된 실린더유닛과, 상기 실린더로드의 단부에 형성되어 베이스판재의 단부가 거치되는 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5단계의 냉각에어공급부는 친환경 합판이 장입되는 수용공간을 갖는 냉각본체; 상기 냉각본체의 수용공간의 내부에 끼움결합되며 내주면에 내면 보호부가 형성된 내관체를 포함하고, 냉각본체의 체결공에 결합되는 포트와, 상기 포트에 연결되는 바이패스관과, 상기 바이패스관에 연결되는 송기휀이 구비된 에어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의 벽면, 천장 등에 부착되며, 화재 및 오염물질로부터 안전성을 갖는 친환경 합판이 제공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인테리어용 친환경 합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인테리어용 친환경 합판에 대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인테리어용 친환경 합판의 '베이스판재'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인테리어용 친환경 합판의 제조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인테리어용 친환경 합판의 제조장치의 '냉각에어공급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상기 도 5의 '내면 보호부'에 대한 분해사시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인테리어용 친환경 합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인테리어용 친환경 합판에 대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인테리어용 친환경 합판의 '베이스판재'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인테리어용 친환경 합판의 제조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인테리어용 친환경 합판의 제조장치의 '냉각에어공급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상기 도 5의 '내면 보호부'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인테리어용 친환경 합판의 제조 방법은,
소정 크기로 베이스판재(2)를 준비하는 1단계(S1);
베이스판재(2)의 상면에 1차 표층부(P1)를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판재(2)의 하면에 내면 보호부(4)를 형성하는 2단계(S2);
2단계(S2)에서 베이스판재(2)의 상면에 2차 표층부(P2)를 형성하여 친환경 합판(5)을 제조하는 3단계(S3);
3단계(S3)의 친환경 합판(5)을 건조기로 이송시킨 후, 건조기 내부를 일정 온도로 열을 가해 친환경 합판(5)을 건조시켜 1차 표층부(P1) 및 2차 표층부(P2)의 표면이 경화되도록 하는 4단계(S4);
4단계(S4) 후 친환경 합판(5)의 표면을 냉각시키는 5단계(S5);를 포함한다.
이하 각 단계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1단계(S1)]
목판을 소정 크기로 형성된 내부판재(21)의 표면을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슬릿(22)을 형성하고, 내부판재(21)의 외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되 상기 슬릿(22)에도 접착제가 충진되도록 하여 내부판재(21)를 형성하고, 상기 내부판재(21)의 양면에 중간판재(23)를 접착시킨 후 상기 중간판재(23)의 표면에 표면판재(25)를 접착하여 베이스판재(2)를 준비한다.
[2단계(S2)]
상기 베이스판재(2)를 고정장치(6)가 구비된 이송컨베어(7)에 장착하되, 상기 베이스판재(2)의 양단이 고정장치(6)의 클램프(65)에 협지되도록 하여 고정한 후 고정장치(6)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1분사노즐(N1)을 통해 표층액이 토출되어 베이스판재(2)의 상면에 1차 표층부(P1)를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판재(2)의 하면에 내면 보호부(4)를 형성한다.
상기 고정장치(6)는 이송컨베어(7)의 상부에 직립되게 이격 배치된 기대(62)와, 기대(62)의 상부에 수평하게 장착되며 실린더로드(63)가 구비된 실린더유닛(64)과, 상기 실린더로드(63)의 단부에 형성되어 베이스판재(2)의 단부가 거치되는 클램프(6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실린더유닛(64)에 공압이 공급되면 실린더로드(63)가 인출되고, 클램프(65)가 베이스판재(2)의 단부에 밀착됨으로써 고정력이 발휘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실린더로드(63)가 인입되면 클램프(65)가 베이스판재(2)의 단부로부터 이격되므로 베이스판재(2)의 분리가 가능해질 수 있을 것이다.
1차 표층부(P1)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및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 구성되며 베이스판재(2)의 상면에 소정 두께로 도포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다수개 혼입되며, 살균제가 충진된 젤라틴 버블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살균제는 염화 벤잘코늄, 염화 벤제토늄, 클로로헥시딘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젤라틴은 수용성 또는 열에 의한 용해성을 갖는 것으로, 추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어 용해됨으로써 내부의 살균제가 외부로 유출되어 살균 소독 효능이 발휘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지속적인 살균 성능이 발휘될 수 있다.
내면 보호부(4)는, 베이스판재(2)의 하면에 코팅되는 하도층(41)과, 상기 하도층(41)과 중첩되는 상도층(42); 하도층(41)과 상도층(42) 사이에 삽입되며 위사와 경사로 직조된 속지(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속지(43)는 열차폐성 재료가 코팅된 원사를 위사 및 경사로 직조하여 그물형상으로 직조시켜 다수의 망목을 갖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도층(42)과 하도층(41)은 불소수지 또는 나일론으로 이루어진다.
[3단계(S3)]
상기 2단계(S2)에서 이송컨베어(7)를 이송시켜 고정장치(6)에 고정된 베이스판재(2)가 이동된 후 고정장치(6)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2분사노즐(N2)을 통해 표층액이 토출되어 베이스판재(2)의 상면에 2차 표층부(P2)를 형성하는 친환경 합판(5)을 제조한다.
2차 표층부(P2)는 MMA(Methyl Methacrylate)수지와, MMA수지에 혼합되는 제1부재료와 제2부재료를 포함하는 수지 원액을 1차 표층부의 상면에 소정 두께로 도포하여 형성된다.
MMA수지는 MMA를 주 반응희석제로 한 열경화성 아크릴 수지(Thermosetting Acrylic Resin)이다.
MMA수지는 인체 내에 삽입되는 의료용 소재로 사용될 만큼 최상의 안전성을 가지고 있는 친환경 소재로 알려져 있다.
친환경성을 기반으로 하였지만 기존 에폭시, 우레탄과 견주어 비교 할 수 없는 최고의 물성과 내구성, 내수성, 내후성을 가지며, 내항균성 및 무독성을 바탕으로 위생환경에 안전한 건축소재로서 각광 받고 있다.
제1부재료는 분말화 된 수산화 알루미늄, 수산화 지르코늄, 은, 백금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으며, MMA수지가 경화되기 전에 액상인 상태에서 제1부재료를 혼합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1부재료에 의한 항균성능이 발휘될 수 있어 박테리아, 세균을 제거할 수 있고, 아울러 난연성이 발휘될 수 있다.
제2부재료는 향을 발생하는 방향물질이며, 일 예에 따르면, 라벤더 에센셜오일, 레몬 에센셜오일, 솔잎추출 오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액을 상기 수지 원액이 경화되기 전에 분무시켜 혼합되도록 한다.
아울러 이송컨베어(7)를 이송시켜 고정장치(6)에 고정된 베이스판재(2)가 가압부(8)에 도달된 후 상기 가압부(8)의 롤러(82)가 친환경 합판(5)의 2차 표층부(P2)를 가압하면서 롤링하여 2차 표층부(P2)의 표면을 평평하게 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4단계(S4)]
상기 3단계(S3)의 이송컨베어(7)를 이송시켜 고정장치(6)에 고정된 친환경 합판(5)을 건조기로 이송시킨 후, 건조기 내부를 일정 온도로 열을 가해 친환경 합판(5)을 건조시켜 1차 표층부(P1) 및 2차 표층부(P2)의 표면이 경화되도록 한다.
[5단계(S5)]
상기 4단계(S4) 후 이송컨베어(7)를 이송시켜 고정장치(6)에 고정된 표면이 경화된 친환경 합판(5)을 냉각에어공급부(300)에 투입하고, 냉각에어공급부(300)의 내부에 20~25℃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친환경 합판(5)의 표면을 냉각한다.
냉각에어공급부(300)는 친환경 합판이 장입되는 수용공간을 갖는 냉각본체(100); 상기 냉각본체(100)의 수용공간의 내부에 끼움결합되며 내주면에 내면 보호부(220)가 형성된 내관체(200)를 포함하고, 냉각에어공급부(300)는 냉각본체(100)의 체결공(106)에 결합되는 포트(310)와, 상기 포트(310)에 연결되는 바이패스관(320)과, 상기 바이패스관(320)에 연결되는 송기휀(330)이 구비된 에어탱크(340)를 포함한다.
에어탱크(340)는 인체에 무해한 냉각용의 저온 공기 또는 질소가스가 충진된 것으로, 에어탱크(340)에 구비된 에어밸브(미도시)가 개방된 후 송기휀(330)의 구동에 의해 냉각 에어가 바이패스관(320)을 통해 포트(310)를 경유하여 직접 냉각본체(100)의 내부에 주입되어 내부의 고온 상태의 배기가스와 혼합됨으로써 냉각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에어탱크(340)는 출구측에 형성되며 송기휀(330)에 근접되게 장착되는 필터(34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이패스관(320)에는 역류방지용 체크밸브(322)가 형성됨으로써 냉각본체(100)로부터 과열된 배기가스가 역류하지 못하도록 한다.
한편 냉각본체(100)에 결합되며 내관체(200)에 삽입되어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260)가 장착된다.
센서(260)는 제어부(C)에 연결되며, 제어부(C)는 냉각에어공급부(300)의 온-오프 작동을 제어한다.
따라서 센서(260)에서 냉각본체(100) 내의 배기가스가 과도한 고온 상태의 온도를 감지했을 경우 제어부가 냉각에어공급부(300)의 온(on) 작동을 제어하여 냉각 에어가 냉각본체로 공급될 수 있어 냉각 효과를 발휘하도록 한다.
이후 적정한 온도로 낮아지면 냉각에어공급부(300)를 오프(off) 시켜 냉각 에어 공급을 차단시킨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S1 : 1단계 S2 : 2단계
S3 : 3단계 S4 : 4단계
S5 : 5단계 2 : 베이스판재
4 : 내면 보호부 5 : 친환경 합판
21 : 내부판재 23 : 중간판재
25 : 표면판재 62 : 기대
64 : 실린더유닛 65 : 클램프

Claims (3)

  1. 목판을 소정 크기로 형성된 내부판재의 표면을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슬릿을 형성하고, 내부판재의 외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되 상기 슬릿에도 접착제가 충진되도록 하여 내부판재를 형성하고, 상기 내부판재의 양면에 중간판재를 접착시킨 후 상기 중간판재의 표면에 표면판재를 접착하여 베이스판재를 준비하는 1단계;
    상기 베이스판재를 고정장치가 구비된 이송컨베어에 장착하되, 상기 베이스판재의 양단이 고정장치의 클램프에 협지되도록 하여 고정한 후 고정장치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1분사노즐을 통해 표층액이 토출되어 베이스판재의 상면에 1차 표층부를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판재의 하면에 내면 보호부를 형성하는 2단계;
    상기 2단계에서 이송컨베어를 이송시켜 고정장치에 고정된 베이스판재가 이동된 후 고정장치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3분사노즐을 통해 표층액이 토출되어 베이스판재의 상면에 2차 표층부를 형성하는 친환경 합판을 제조하는 3단계;
    상기 3단계의 이송컨베어를 이송시켜 고정장치에 고정된 친환경 합판을 건조기로 이송시킨 후, 건조기 내부를 일정 온도로 열을 가해 친환경 합판을 건조시켜 1차 표층부 및 2차 표층부의 표면이 경화되도록 하는 4단계;
    상기 4단계 후 이송컨베어를 이송시켜 고정장치에 고정된 표면이 경화된 친환경 합판을 냉각에어공급부에 투입하고, 냉각에어공급부의 내부에 20~25℃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친환경 합판의 표면을 냉각시키는 5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2단계의 1차 표층부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및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 구성되며 베이스판재의 상면에 소정 두께로 도포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상기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다수개 혼입되며, 살균제가 충진된 젤라틴 버블을 포함하며,
    상기 살균제는 염화 벤잘코늄, 염화 벤제토늄, 클로로헥시딘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것이며,
    상기 3단계의 2차 표층부는
    MMA(Methyl Methacrylate)수지와, MMA수지에 혼합되는 제1부재료와 제2부재료를 포함하는 수지 원액을 1차 표층부의 상면에 소정 두께로 도포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1부재료는 분말화 된 수산화 알루미늄, 수산화 지르코늄, 은, 백금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고,
    상기 제2부재료는 라벤더 에센셜오일, 레몬 에센셜오일, 솔잎추출 오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액을 상기 수지 원액에 분무시켜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인테리어용 친환경 합판의 제조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의 내면 보호부는,
    베이스판재의 하면에 코팅되는 하도층과, 상기 하도층과 중첩되는 상도층; 하도층과 상도층 사이에 삽입되며 위사와 경사로 직조된 속지를 포함하고,
    상기 속지는 열차폐성 재료가 코팅된 원사를 위사 및 경사로 직조하여 그물형상으로 직조시켜 다수의 망목을 갖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상도층과 하도층은 불소수지 또는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3단계는
    이송컨베어를 이송시켜 고정장치에 고정된 베이스판재가 가압부에 도달된 후 상기 가압부의 롤러가 친환경 합판의 2차 표층부를 가압하면서 롤링하여 2차 표층부의 표면을 평평하게 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5단계의 냉각에어공급부는
    친환경 합판이 장입되는 수용공간을 갖는 냉각본체;
    상기 냉각본체의 수용공간의 내부에 끼움결합되며 내주면에 내면 보호부가 형성된 내관체를 포함하고,
    냉각본체의 체결공에 결합되는 포트와, 상기 포트에 연결되는 바이패스관과, 상기 바이패스관에 연결되는 송기휀이 구비된 에어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인테리어용 친환경 합판의 제조 방법.
KR1020220074917A 2022-06-20 2022-06-20 실내 인테리어용 친환경 합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84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4917A KR102484043B1 (ko) 2022-06-20 2022-06-20 실내 인테리어용 친환경 합판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4917A KR102484043B1 (ko) 2022-06-20 2022-06-20 실내 인테리어용 친환경 합판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4043B1 true KR102484043B1 (ko) 2023-01-05

Family

ID=84925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4917A KR102484043B1 (ko) 2022-06-20 2022-06-20 실내 인테리어용 친환경 합판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404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6112Y1 (ko) * 2003-05-17 2003-09-13 이장호 합성수지판의 접착력이 강화된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판재
KR20160106634A (ko) * 2014-01-10 2016-09-12 뵈린게 이노베이션 에이비이 베니어판 요소를 제조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6112Y1 (ko) * 2003-05-17 2003-09-13 이장호 합성수지판의 접착력이 강화된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판재
KR20160106634A (ko) * 2014-01-10 2016-09-12 뵈린게 이노베이션 에이비이 베니어판 요소를 제조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91546B2 (ja) 積層建材
KR102484043B1 (ko) 실내 인테리어용 친환경 합판 및 이의 제조 방법
JP4839541B2 (ja) 床用化粧シート
KR101220515B1 (ko) 황토를 포함하는 lpm 표면재의 제조방법
KR100592782B1 (ko) 숯과 황토를 내장한 가구용 판상체
CN106493802A (zh) 一种含有定向结构板的集装箱底板及其制备方法
KR101471974B1 (ko) 복합 건조 및 가열방식을 이용한 건축용 난연바닥재 제조장치
KR20160125930A (ko) 단열과 방습 특성을 가진 발포 초배지
KR102220790B1 (ko) 기능성 화장판 및 그 제조방법
JP2003033903A (ja) 化粧材
JP4362401B2 (ja) 硬質繊維板の製造方法
CA2278048A1 (en) Ligneous finishing material
JP2005146548A (ja) 床暖房用床材
CN109514932A (zh) 一种具有防潮功能的双饰面防火板材
KR101287249B1 (ko) 모시줄기를 이용한 친환경 건축내장재
CN207660219U (zh) 一种具有保温防湿功能组合式装饰板
JP2017159577A (ja) 表面化粧パネル、これを備えた化粧パネル及びパネル製造方法
CN205818065U (zh) 一种环保细木工板
JP6796768B2 (ja) 化粧パネル
CN205818578U (zh) 一种环保装饰板材
CN108943199A (zh) 一种竹木复合底板及其制备方法
JP2009285946A (ja) 内装化粧材
JPS6143501A (ja) 木質材料
ES2909492T3 (es) Procedimiento para la producción de un tablero enchapado
CN106003274A (zh) 一种轻型建筑用竹质复合结构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