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3825B1 - 해조류 유래 성분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해조류 유래 성분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3825B1
KR102483825B1 KR1020220093303A KR20220093303A KR102483825B1 KR 102483825 B1 KR102483825 B1 KR 102483825B1 KR 1020220093303 A KR1020220093303 A KR 1020220093303A KR 20220093303 A KR20220093303 A KR 20220093303A KR 102483825 B1 KR102483825 B1 KR 102483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hair
phaeodactylum tricornutum
cosmetic composition
cul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3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은정
최성규
이종은
석인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엔비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엔비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엔비웰
Priority to KR1020220093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38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3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3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1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 A61Q5/065Preparations for temporary colouring the hair, e.g. direct d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0Preparations for permanently dye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조류 유래 성분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몽당잎모자반 발효추출물과 파에오닥틸룸 트리코르누툼(Phaeodactylum tricornutum) 배양추출물을 함유하여 모발 및 두피 보호효과, 염착성 및 염착 지속력이 우수한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해조류 유래 성분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hair containing marine algae-derived ingredients}
본 발명은 해조류 유래 성분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몽당잎모자반 발효추출물과 파에오닥틸룸 트리코르누툼(Phaeodactylum tricornutum) 배양추출물로 이루어지는 복합물을 함유하여 우수한 모발 및 두피 보호효과, 모발염착 및 염착 지속 효과를 나타내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모발은 노화 및 스트레스로 인해 멜라닌 색소의 함량이 줄어들어 새치 및 흰머리로 자라게 된다. 평균 수명의 연장과 외부 환경요인 혹은 스트레스로 인해 흰머리인구는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더 젊은 외모를 위해 옅어진 모발색을 진하게 염색하는 인구 또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대부분의 합성 염모제는 염기성을 띄어 모발 큐티클을 확장시키고 색을 입힌 다음 다시 중화제로 닫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두피와 모발에 pH변화로 인한 손상을 끼치며, 더욱이 합성소재로 구성되어 있어 알러지, 홍반, 염증 등의 부작용을 유발한다.
천연 염모제에 관한 연구는 꾸준히 지속되고 있으나, 천연물의 특성상 햇빛 노출 및 산화로 인해 색상이 변질되기 쉽고 색이 금방 빠지는 단점이 있다. 천연 모발 염색에 관한 특허는 많이 공개되어 있으나 최근 부작용으로 인해 사용이 기피되는 원료인 헤나를 이용한 소재이거나, 대부분 밝은 색 혹은 밝은 갈색 정도의 발색력을 나타낼 뿐 합성 염색약 정도의 짙은 색이 유지되는 천연유래 염색소재는 부족한 실정이다.
천연 염색 소재 중에서도 해조류는 이미 색상 측정 연구용역 결과를 통해 색상보존정도가 육상생물자원보다 우수한 소재임이 증명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갈조류는 갈색소인 푸코잔틴을 함유하여 갈색을 띄는 매염제로 이용된다. 또한, 해조류는 황산염화한 다당류인 푸코이단을 함유하여 세포의 여러 수용체와 결합하여 모발 보습력 증진에 관여하고 모유두세포 보호 활성을 가지고 있다.
한편, 천연 염료 염색에 있어서, 모발에 염착된 염료의 지속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합성 매염제 또는 pH 조절 없이 천연 염모제로부터 염착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염료인 클로로필의 카르복실기와 모발 케라틴 내 아미노산과의 수소결합을 이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Ref. Chlorophyll and its derivatives, chlorins and porphyrins, as a promising class of environmentally friendly dyes. Russian Journal of Applied Chemistry, 76(12), 1958-1961.2003).
본 발명자들은 해조류를 이용한 천연 모발 염료의 개발을 위한 연구를 하였으며, 갈조류인 몽당잎모자반을 아스퍼질러스 균주로 발효시켜 제조하는 몽당잎모자반 발효추출물과 미세조류인 파에오닥틸룸 트리코르누툼(Phaeodactylum tricornutum) 배양액의 추출물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 모발 및 두피 보호효과가 우수하며, 염착성 및 염착지속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0001)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135106(2019.12.06) (0002)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12082호(2021.10.06)
본 발명은 해조류 유래 성분을 함유하여 우수한 모발 염착성, 염착 지속성, 모발 및 두피 보호활성을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해조류 유래 유효성분인 몽당잎모자반 발효추출물과 파에오닥틸룸 트리코르누툼(Phaeodactylum tricornutum) 배양추출물로 이루어지는 복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몽당잎모자반 발효추출물과 파에오닥틸룸 트리코르누툼(Phaeodactylum tricornutum) 배양추출물로 이루어지는 복합물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몽당잎모자반 발효추출물은 몽당잎모자반을 아스퍼질러스 균주로 발효시켜 제조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아스퍼질러스 균주로는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 아스퍼질러스 아와모리(Aspergillus awamori), 아스퍼질러스 루추엔시스(Aspergillus luchuensis) 및 아스퍼질러스 푸미가투스(Aspergillus fumigatus)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에오닥틸룸 트리코르누툼(Phaeodactylum tricornutum) 배양추출물은 함초를 함유하는 배지에서 파에오닥틸룸 트리코르누툼(Phaeodactylum tricornutum)을 배양하여 얻은 배양물을 추출하여 제조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합물은 몽당잎모자반 발효추출물과 파에오닥틸룸 트리코르누툼(Phaeodactylum tricornutum) 배양추출물이 각각 1~3:1~3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동일 중량비율로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유효성분으로서의 상기 몽당잎모자반 발효추출물과 파에오닥틸룸 트리코르누툼(Phaeodactylum tricornutum) 배양추출물의 복합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0.02~20 중량% 함유된다.
상기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은 두피 및 모발 보호용 및 모발 염색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A) (a1)발효조에 몽당잎모자반을 넣고 정제수를 가한 후, 아스퍼질러스균을 접종하여 20~30℃의 온도에서 48~96시간 동안 발효시키는 단계;
(a2)실활시킨 후 여과하고 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몽당잎모자반 발효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B) (b1) Marine broth 배지를 이용하여 파에오닥틸룸 트리코르누툼(Phaeodactylum tricornutum)을 CO2 배양기에서 15~25℃의 온도에서 3~7일간 1차 배양하는 단계;
(b2) 1차 배양 후, 원심 분리를 통해 침전된 파에오닥틸룸 트리코르누툼(Phaeodactylum tricornutum)을 회수하여 정제수로 세척하는 단계;
(b3) 함초 분말을 열수추출한 함초추출물에 회수한 파에오닥틸룸 트리코르누툼(Phaeodactylum tricornutum)을 접종하고 CO2 배양기에서 15~25℃의 온도에서 3~7일간 2차 배양하는 단계;
(b4) 2차 배양물을 열수추출 후 여과하고 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파에오닥틸룸 트리코르누툼(Phaeodactylum tricornutum) 배양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C)상기 몽당잎모자반 발효추출물과 파에오닥틸룸 트리코르누툼(Phaeodactylum tricornutum) 배양추출물을 각각 1~3:1~3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몽당잎모자반 발효추출물과 파에오닥틸룸 트리코르누툼(Phaeodactylum tricornutum) 배양추출물의 복합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해조류 유래 복합물은 몽당잎모자반 발효추출물과 파에오닥틸룸 트리코르누툼(Phaeodactylum tricornutum) 배양추출물의 혼합에 따른 상승효과에 의하여 우수한 모발 염착성, 염착 지속성, 모발 및 두피 보호효과를 나타내므로 멜라닌이 줄어든 다양한 모발을 대상으로 하는 천연 염모용 또는 모발 및 두피 보호용 화장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예에 따른 몽당잎 발효추출물의 멜라닌 함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물의 NO 생성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물의 항산화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물을 함유하는 샴푸의 염색성 및 염색지속성을 나타내는 사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몽당잎모자반 발효추출물과 파에오닥틸룸 트리코르누툼(Phaeodactylum tricornutum) 배양추출물로 이루어지는 복합물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몽당잎모자반은 모자반 속에 속하는 난해성(暖海性) 다년생 갈조류로서 갈색소인 푸코잔틴을 함유하며, 뿔 모양의 뿌리와 원기둥 모양의 짧은 줄기가 여러 갈래로 나뉘어진 형태를 가지고 있다. 영국에서 최초로 발견되었으며 포르투갈, 노르웨이, 중국, 일본 등에도 서식하며, 국내에는 동해안 일대와 제주도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몽당잎모자반을 포함하는 모자반은 칼슘, 마그네슘, 다량의 무기질이 함유되어 있어 건강식품으로 알려져 있으며 피부 진정 및 보습개선 관련 화장품 원료로도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몽당잎모자반을 아스퍼질러스 균주로 발효하여 유효성분으로 이용한다. 누룩균으로 흔히 알려진 아스퍼질러스는 국내 전통주 제조에 이용되는 균주이며, 아스퍼질러스 균 중 일부는 멜라닌을 합성하여 배양 시 흑색을 띄며 이로부터 천연 염색소재로의 가공이 가능하다.
몽당잎모자반의 발효에 사용되는 아스퍼질러스 균주로는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 아스퍼질러스 아와모리(Aspergillus awamori), 아스퍼질러스 루추엔시스(Aspergillus luchuensis) 및 아스퍼질러스 푸미가투스(Aspergillus fumigatus)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몽당잎모자반 발효추출물은 발효조에 몽당잎모자반과 정제수를 가한 후, 아스퍼질러스균을 접종하여 20~30℃의 온도에서 48~96시간 동안 발효하고, 실활시킨 후 여과, 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제조된다. 아스퍼질러스 균 자체가 멜라닌을 합성할 수 있으므로, 상기 몽당잎모자반을 아스퍼질러스 균주로 발효추출하는 경우에 모발 염착성이 더욱 향상된다.
미세조류(microalgae)는 광합성 색소를 가지고 광합성을 하는 생물들에 대한 통칭으로, 태양광 등 빛을 에너지 원으로 이산화탄소를 고정화시키고 광합성을 하여 성장하는 마이크로 단위의 크기를 갖는 수중 생물을 의미하며, 그 종류로는 남조류, 규조류, 녹조류 등이 있다.
파에오닥틸룸 트리코르누툼(Phaeodactylum tricornutum)은 규조류에 속하는 미세조류이다. 국내 서해안 일대에서 채집할 수 있으며 주로 클로로필, 단백질, 지질, 비타민, 아미노산을 생성하고 산화로부터의 세포의 손상을 방지하고 프리라디컬을 소거하는 항산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파에오닥틸룸 트리코르누툼(Phaeodactylum tricornutum)을 함초가 함유된 배지에서 배양 후 추출하여 유효성분으로 이용한다. 함초가 영양소로 함유된 배지에서의 배양에 의하여 클로로필 성분이 강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클로로필 성분은 3개의 카르보닐기를 가지고 있으며, 그 중 이종원소방향족 고리의 카르보닐기는 모발의 수산기를 함유한 아미노산과 수소결합을 통하여 결합하므로 염착 지속력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파에오닥틸룸 트리코르누툼(Phaeodactylum tricornutum) 배양 추출물은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다.
파에오닥틸룸 트리코르누툼을 Marine broth 2216 배지를 이용하여 5%의 CO2 배양기에서 백색 LED 조명 노출 하에 19℃의 온도에서 5일간 1차 배양한다. 이후, 원심분리를 통해 침전된 파에오닥틸룸 트리코르누툼을 회수하여 함초분말을 열수추출한 함초추출물을 배지로 이용하여 5%의 CO2 배양기에서 백색 LED 조명 노출 하에 19℃의 온도에서 3~7일간 2차 배양한다. 이후, 2차배양액을 열수추출 및 동결건조하여 파에오닥틸룸 트리코르누툼(Phaeodactylum tricornutum) 배양추출물을 제조한다.
이와 같이 제조되는 상기 몽당잎모자반 발효추출물과 파에오닥틸룸 트리코르누툼(Phaeodactylum tricornutum) 배양추출물은 각각 1~3:1~3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더욱 바람직하게는 동일 중량비율로 혼합되어 복합물을 구성한다.
상기 몽당잎모자반 발효추출물과 파에오닥틸룸 트리코르누툼(Phaeodactylum tricornutum) 배양추출물의 복합물은 그 상승효과에 의하여 우수한 염색성(시험예 3), 두피보호효과(시험예 4, 5), 모발보호효과(시험예 6), 염모지속력(시험예 7) 및 두피자극완화효과(시험예 8)를 나타내었다.
유효성분으로서의 상기 몽당잎모자반 발효추출물과 파에오닥틸룸 트리코르누툼(Phaeodactylum tricornutum) 배양추출물의 복합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0.02~20 중량% 함유된다.
상기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은 두피 및 모발 보호용, 두피자극완화용 또는 모발 염색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복합물에 추가로 지방 물질, 계면활성제, 보존제, 비타민, 습윤화제, 물, 유화제, 필수 오일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제한되지는 않으나 합성소재 염색약의 보조제로서 활용 가능하며,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유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샴푸, 린스, 헤어에센스 등이 있으며,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헤어토닉, 헤어팩 등이 있다.
또한, 화장품 이외에도 피부 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및 기제를 함유함으로써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국소 적용 및 전신 적용할 수 있는 보조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시험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제조예 1: 몽당잎모자반 발효추출물 제조
건조 및 분쇄한 몽당잎모자반 10g을 발효조에 넣고, 500g의 정제수를 가한 다음, 미리 배양된 아스퍼질러스 나이거 균주를 1ml(102 CFU/ml) 주입하고 23℃의 온도에서 70시간 동안 발효조에서 발효하였다.
이후 상기 배양물을 고압멸균기에서 121℃에서 20분간 실활시킨 다음, 여과하고 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몽당잎모자반 발효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몽당잎모자반 추출물 제조
건조 및 분쇄한 몽당잎모자반 10g을 발효조에 넣고 500g의 정제수를 가한 다음 23℃의 온도에서 70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이후 여과하고 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몽당잎모자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Melanin 생성량 측정 시험
Melanin은 표피 기저층에 존재하는 melanocyte내의 소기관인 melanosome에서 생합성되어 모발을 흑색으로 보이게 하며, 이는 가시광선 영역대의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생성량을 비교할 수 있다. 상기 제조예 1과 비교예 1의 시료를 정제수에 1:1의 비율로 희석한 다음 96 well plate에 분주한 후, 450nm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생성된 멜라닌량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melanin 생성량(%) = [(시료의 생성 양/대조군의 생성 양)×100]
제조예 1 및 비교예 1의 malanin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 비교예 1에 비하여 제조예 1에서 높은 melanin 생성량을 나타내어 아스퍼질러스 나이거 균주로 발효된 몽당잎모자반 발효물은 염모소재로서 효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제조예 2: 함초 함유 파에오닥틸룸 트리코르누툼 배양추출물 제조
함초 함유 파에오닥틸룸 트리코르누툼 배양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500g의 정제수에 Marine broth 2216을 가하여 배지를 만든 다음, 파에오닥틸룸 트리코르누툼을 1g 투입하고, 5%의 CO2 배양기에서 백색 LED 조명 노출 하에 19℃의 온도에서 5일간 1차 배양하였다. 이후, 원심분리를 통해 침전된 파에오닥틸룸 트리코르누툼을 회수하여 정제수로 세척 한 다음, 500g의 정제수에 건조 및 분쇄된 함초 10g을 넣고 80℃에서 2시간동안 추출 한 함초추출물에 투입 후, 5%의 CO2 배양기에서 백색 LED 조명 노출 하에 19℃의 온도에서 5일간 2차 배양하였다.
이후, 2차 배양물을 80℃에서 2시간동안 열수추출 후 여과하고 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파에오닥틸룸 트리코르누툼 배양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파에오닥틸룸 트리코르누툼 배양추출물 제조
파에오닥틸룸 트리코르누툼 배양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500g의 정제수에 Marine broth 2216을 가하여 배지를 만든 다음, 파에오닥틸룸 트리코르누툼을 1g 투입하였다.
이후 5%의 CO2 배양기에서 백색 LED 조명 노출 하에 19℃의 온도에서 10일간 배양하였다. 이후 제조된 배양물을 80℃에서 2시간동안 열수추출 후 여과하고 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파에오닥틸룸 트리코르누툼 배양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2: 클로로필 함량 분석
상기 제조예 2 및 비교예 2의 시료에 대하여 클로로필 함량을 분석하였다.
클로로필 함량은 AOAC 방법에 준하여 상기 제조예 2 및 비교예 2의 시료 5mg를 10mL의 N,N-dimethylformamide와 혼합한 후, UV-Vis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645, 663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해 클로로필 함량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Chlorophyll concentration(mg/ml)
제조예 2 0.620±0.16
비교예 2 0.242±0.85
상기 표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동일한 함초 비율과 추출방법으로 제조된 제조예 2와 비교예 2를 비교해 볼 때, 제조예 2에서 훨씬 높은 클로로필 함량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함초분말의 염분과 미네랄로 인해 파에오닥틸룸 트리코르누툼의 배양효율이 상승되었으며, 그로 인해 배양물의 클로로필 함량이 증대된 것으로 확인된다.
실시예 1~5 및 대조예 1: 몽당잎모자반 발효추출물과 파에오닥틸룸 트리코르누툼(Phaeodactylum tricornutum) 배양추출물의 복합물 제조
상기 제조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발효추출물과 배양추출물을 하기 표의 비율대로 혼합하여 복합물을 제조하였다. 복합물 10mg를 100g의 물과 부틸렌글라이콜 혼합용매와 혼합하여 희석하여 시험에 사용하였다.
구분 제조예 1 제조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1 3 - -
실시예 2 3 1 - -
실시예 3 1 1 - -
실시예 4 1 2 - -
실시예 5 2 1 - -
대조예 1 - - 1 1
시험예 3: 염모력 효과
상기 실시예 1~5 및 대조예 1의 복합물로부터 염모력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백색 헤어피스에 상기 실시예 1~5 및 대조예 1의 시료를 2시간 침지 후 건조하였다.
이후 색차계를 사용하여 상기 복합물의 염모력 효과를 측정하였다. 색을 표시하는 데에는 L*, a*, b* 표색계를 쓰며, 본 실험에서는 주로 L*값(명도)을 지표로 하였다. L*값은 검정색(L*=0)으로부터 흰색(L*=100) 까지를 나타내며 염색 전 L*값에서 염색 후 L*을 뺀 값을 하기 표 3에 정리하였다.
구분 시료염색 (ΔL*)
실시예 1 72.42
실시예 2 78.45
실시예 3 86.56
실시예 4 81.92
실시예 5 82.66
대조예 1 68.85
헤어피스를 이용하여 상기 복합물의 염모력을 확인한 결과, 모든 실시예에서 대조예에 비해 높은 염모력을 나타내었다.
그 중에서도 실시예 3의 경우 L*값이 가장 크게 감소하여 가장 높은 염모력을 나타내었다.
시험예 4: H 2 O 2 에 의해 유발된 모유두 세포사멸 억제 효과
H2O2에 의해 야기되는 세포 독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5와 대조예 1을 멸균용 DMSO로 희석하여 시료로 제조하였다.
또한, Human Follicle Dermal Papilla Cells(HPDPC)을 6-well plate에 1×105cells/well되게 접종하고, 24시간 배양하였다. 여기에 H2O2 3mM과 제조된 상기 시료를 농도 별로 첨가하여 24시간 배양한 후 MTT용액(5 mg/mL)을 10μL씩 첨가하였다. 4시간 후 배지를 버리고 DMSO를 넣어 formazan을 용해시키고 570 nm에서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Sample Concentration O.D.570nm Average
Control - 3.355 3.3415 3.342 3.346
H2O2 3mM 1.3452 1.3451 1.3385 1.343
실시예 1 0.5 % 1.513 1.583 1.543 1.546
1 % 1.774 1.698 1.782 1.751
실시예 2 0.5 % 1.981 1.943 1.905 1.943
1 % 2.599 2.685 2.608 2.631
실시예 3 0.5 % 2.598 2.594 2.601 2.598
1 % 2.884 2.8441 2.8451 2.858
실시예 4 0.5 % 1.605 1.6254 1.6853 1.639
1 % 1.8445 1.869 1.867 1.860
실시예 5 0.5 % 1.841 1.826 1.834 1.834
1 % 2.054 2.085 2.314 2.151
대조예 1 0.5 % 1.482 1.4357 1.4213 1.446
1 % 1.4835 1.4824 1.4872 1.484
H2O2에 의해 야기되는 세포 사멸을 MTT assay를 통하여 확인한 결과, 실시예 2, 3에서 세포 사멸 억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그 중에서도 실시예 3에서 가장 크게 모유두 세포를 보호하는 능력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5: NO 생성 억제율 시험
Nitric oxide(NO)는 두피 및 모발 내 단백질 속 아민과 결합하여 니트로사민을 생성하고 발암 및 염증을 일으킨다. RAW 264.7 세포를 96 well plate의 각 well에 1×105의 세포를 접종한 후, 1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LPS를 0.2 μg/ml 농도로 한 시간 처리하고, 이후 농도별 시료 처리하여 16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생성된 NO의 양은 Griess 시약[1% sulfanilamide, 0.1% naphylethylenendiamine in 2.5% phosphoric acid]을 이용해 측정하였다. 세포 배양 상등액 100 μl와 Griess 시약 100 μl를 1:1로 혼합하여 96 well plate에서 15분간 반응시키고 Nano-Quant Plate™를 사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손상된 세포로부터 생성되는 nitrite를 측정한 결과 실시예 3에서 가장 높은 NO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시험예 6: 항산화 활성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대조예에서 제조된 시료의 항산화 활성을 DPPH 라디칼소거능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실시예 및 대조예 시료 0.1mL와 DPPH(1,1-diphenyl-2-picryl hydrazyl) 용액 0.1 mL를 혼합 후 30분 동안 방치한 다음,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520nm에서 시료의 라디칼 소거 활성을 평가하였다. 이 때 양성 대조군으로는 Ascorbic acid를 사용하였으며, 하기의 식으로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control-sample)/control]×100
도 3의 결과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 3에서 가장 높은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다.
상기 시험예의 결과들로부터 복합물의 모발 및 두피 보호활성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6 및 대조예 2: 몽당잎모자반 발효추출물과 파에오닥틸룸 트리코르누툼(Phaeodactylum tricornutum) 배양추출물의 복합물을 함유하는 샴푸의 제조
상기 실시예 중 모발 및 두피 보호 및 염모에 가장 효과적인 실시예 3과 그와 동일비율인 대조예 1의 복합물을 포함하는 샴푸를 하기 표 5의 조성 및 함량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 분 함량(중량%)
실시예 6 대조예 2
실시예 3 2.0 -
대조예 1 - 2.0
Hydroxy Ethyl Cellulose 0.5 0.5
Glycol Distearate 2.2 2.2
Cocamide DEA 2.5 2.5
Cocamidopropyl Betaine 10.0 10.0
Amodimethicone 2.0 2.0
SLES 30.0 30.0
Polyquaternium-10 2.5 2.5
Citric Acid 0.04 0.04
검은깨추출물 0.1 0.1
검은콩추출물 0.1 0.1
흑미추출물 0.1 0.1
색소 적량 적량
방부제, 향 미량 미량
정제수 잔량 잔량
시험예 7: 염모 지속력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3 및 대조예 1의 복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염모 지속력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밝은 갈색 모발을 가진 건강한 30세에서 50세의 여성 10명을 대상으로 시험하였다. 인체적용시험 대상자는 매일 하루 1번 상기 혼합복합물이 적용된 샴푸를 8주간 이용하였다. 이용 전후 모발에 APM PRO 200 모발진단기를 이용하여 모발의 색상을 렌즈로 촬영하여 변화된 색상으로 염모 지속력을 평가 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6의 샴푸에서 대조예 2의 샴푸에 비해 검은색 염착 및 샴푸사용에 따른 발색유지 효과를 나타내었다.
시험예 8: 두피보호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6 및 대조예 2의 삼푸로부터 두피 자극완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자극성 홍반 두피를 가진 30세에서 50세의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시험하였다. 측정 방법은 인체피부시험대상자의 두피를 Mexameter® MX 18(Courage+Khazaka Electronic, Germany)을 이용하여 해당 부위에 Mexameter® MX 18을 접촉한 후 1초 이내에 센서를 통하여 홍반지수(eryhma Index, EI)를 측정하였다. 이후 실시예 6 및 대조예 2의 샴푸로 매일 1회 8주간 샴푸한 다음 측정한 홍반지수와 비교하였다. 그 평균 값은 표 6에 나타내었다.
시료명 사용 전 홍반지수(EI) 사용 후 홍반지수(EI)
실시예 6 14.2±4.2 1.5±2.6
대조예 2 11.2±3.5 10.1±1.4
상기 표 6의 결과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 3의 복합물을 함유하는 샴푸에서 높은 두피 자극완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상기 시험예의 결과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조예 1의 몽당잎모자반 발효추출물과 제조예 2의 파에오닥틸룸 트리코르누툼(Phaeodactylum tricornutum) 배양추출물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였을 때 상승작용에 의하여 우수한 염색성, 염모지속력, 두피 및 모발 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Claims (9)

  1. 몽당잎모자반을 아스퍼질러스 균주로 발효시켜 제조되는 몽당잎모자반 발효추출물과 파에오닥틸룸 트리코르누툼(Phaeodactylum tricornutum) 배양추출물로 이루어지는 복합물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퍼질러스 균주는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 아스퍼질러스 아와모리(Aspergillus awamori), 아스퍼질러스 루추엔시스(Aspergillus luchuensis) 및 아스퍼질러스 푸미가투스(Aspergillus fumigatus)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에오닥틸룸 트리코르누툼(Phaeodactylum tricornutum) 배양추출물은 함초를 함유하는 배지에서 파에오닥틸룸 트리코르누툼(Phaeodactylum tricornutum)을 배양하여 얻은 배양물을 추출하여 제조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물은 몽당잎모자반 발효추출물과 파에오닥틸룸 트리코르누툼(Phaeodactylum tricornutum) 배양추출물이 각각 1~3:1~3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유효성분으로서의 상기 몽당잎모자반 발효추출물과 파에오닥틸룸 트리코르누툼(Phaeodactylum tricornutum) 배양추출물의 복합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0.02~20 중량% 함유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은 두피 자극 완화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은 모발 염색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9. (A) (a1)발효조에 몽당잎모자반과 정제수를 가한 후, 아스퍼질러스균을 접종하여 20~30℃의 온도에서 48~96시간 동안 발효시키는 단계;
    (a2)실활시킨 후 여과하고 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몽당잎모자반 발효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B) (b1) Marine broth 배지를 이용하여 파에오닥틸룸 트리코르누툼(Phaeodactylum tricornutum)을 CO2 배양기에서 15~25℃의 온도에서 3~7일간 1차 배양하는 단계;
    (b2) 1차 배양 후, 원심 분리를 통해 침전된 파에오닥틸룸 트리코르누툼(Phaeodactylum tricornutum)을 회수하여 정제수로 세척하는 단계;
    (b3) 함초 분말을 열수추출한 함초추출물에 회수한 파에오닥틸룸 트리코르누툼(Phaeodactylum tricornutum)을 접종하고 CO2 배양기에서 15~25℃의 온도에서 3~7일간 2차 배양하는 단계;
    (b4) 2차 배양물을 열수추출 후 여과하고 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파에오닥틸룸 트리코르누툼(Phaeodactylum tricornutum) 배양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C)상기 몽당잎모자반 발효추출물과 파에오닥틸룸 트리코르누툼(Phaeodactylum tricornutum) 배양추출물을 각각 1~3:1~3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몽당잎모자반 발효추출물과 파에오닥틸룸 트리코르누툼(Phaeodactylum tricornutum) 배양추출물의 복합물의 제조방법.
KR1020220093303A 2022-07-27 2022-07-27 해조류 유래 성분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83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3303A KR102483825B1 (ko) 2022-07-27 2022-07-27 해조류 유래 성분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3303A KR102483825B1 (ko) 2022-07-27 2022-07-27 해조류 유래 성분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3825B1 true KR102483825B1 (ko) 2023-01-03

Family

ID=84924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3303A KR102483825B1 (ko) 2022-07-27 2022-07-27 해조류 유래 성분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382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9709A (ko) * 2001-04-03 2003-11-22 엘브이엠에이취 러쉐르쉐 패오닥틸륨 조류 추출물의 피부세포의 프로테아솜 활성을촉진시키기 위한 용도
KR20190135106A (ko) 2018-05-28 2019-12-06 이숙희 천연모발염색제
KR102312082B1 (ko) 2020-06-04 2021-10-12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염색 후 모발상태와 윤기가 개선된 천연오일 함유 크림제형 천연염모제
KR20210155987A (ko) * 2020-06-17 2021-12-24 주식회사 에스겔코스메틱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균주로 발효한 해조류 복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또는 피부 주름 개선, 항산화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9709A (ko) * 2001-04-03 2003-11-22 엘브이엠에이취 러쉐르쉐 패오닥틸륨 조류 추출물의 피부세포의 프로테아솜 활성을촉진시키기 위한 용도
KR20190135106A (ko) 2018-05-28 2019-12-06 이숙희 천연모발염색제
KR102312082B1 (ko) 2020-06-04 2021-10-12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염색 후 모발상태와 윤기가 개선된 천연오일 함유 크림제형 천연염모제
KR20210155987A (ko) * 2020-06-17 2021-12-24 주식회사 에스겔코스메틱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균주로 발효한 해조류 복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또는 피부 주름 개선, 항산화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l. Pharm. Bull.(2016), Vol.39, No.8, pp.1273-1283(2016.08.01.) 1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47974B (zh) 一种酿酒酵母植物发酵物及其应用和皮肤外用剂
KR101452770B1 (ko) 유산균 발효액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CN106214579A (zh) 一种诺丽酵素美白防晒霜及其制备方法
CN107595737B (zh) 含牛樟芝美白抗皱组合物及含该组合物的精华液及精华液的制备方法
KR20120012904A (ko) 유방확대 또는 피부탄력 향상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KR101336804B1 (ko) 버섯을 이용한 전복 버섯 발효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CN115089536A (zh) 一种强化抗老效果的保湿面霜及其制备方法
CN115300432A (zh) 一种晒后修护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1265441A (zh) 可增强皮肤夜间修复、再生能力的组合物及其应用
KR102063686B1 (ko) 콩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70076147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350857B1 (ko) 국화 및 목련 유성온천수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83825B1 (ko) 해조류 유래 성분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95557B1 (ko) 수련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11654B1 (ko) 굴, 멍게, 해삼, 군소 및 코고동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N112972314B (zh) 一种眼部修护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903710B1 (ko) 백국균을 이용한 발효 흑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품 조성물
KR20190049067A (ko) 커피 실버스킨 및 커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0203933A1 (ja) 抗老化剤、抗酸化剤、抗炎症剤、及び美白剤、並びに、化粧料
KR102390656B1 (ko)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102364A (ko) 항노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KR101550275B1 (ko) 거북으로부터 아교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아교를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2891B1 (ko) 삼색도장버섯 추출물 및 삼색도장버섯 균사체로 발효시킨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87425B1 (ko) 갯버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89093A (ko) 대황, 오배자 및 백단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