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3492B1 - 2,5-이치환된 피리미딘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2,5-이치환된 피리미딘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3492B1
KR102483492B1 KR1020200111721A KR20200111721A KR102483492B1 KR 102483492 B1 KR102483492 B1 KR 102483492B1 KR 1020200111721 A KR1020200111721 A KR 1020200111721A KR 20200111721 A KR20200111721 A KR 20200111721A KR 102483492 B1 KR102483492 B1 KR 102483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yrimidin
ium hydrochloride
ium
hydrochloride
fluorobenz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1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3492B9 (ko
KR20210027218A (ko
Inventor
민선준
김주현
김윤정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10027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7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3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3492B1/ko
Publication of KR102483492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3492B9/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06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even-membered rings, e.g. azelastine, pentylenetetrazole
    • A61K31/55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even-membered rings, e.g. azelastine, pentylenetetrazole having two nitrogen atoms, e.g. dilaze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택적인 5-HT2A, 5-HT2B 및 5-HT4 항진제로서 활성을 가지는 이치환된 피리미딘 유도체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합성 및 생물학적 평가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5번 위치에 플루오로페닐 알콕시 그룹을 치환하고, 2번 위치에 다양한 고리 아민을 도입하여 이치환된 피리미딘 유도체를 도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2,5-이치환된 피리미딘 화합물은 5-HT2A, 5-HT2B 및 5-HT4 수용체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항진제로 작용하므로, 5-HT2A, 5-HT2B 및 5-HT4 수용체의 기능 이상(dysfunction)으로 유래된 질환 치료 약물로 유용하다.

Description

2,5-이치환된 피리미딘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2,5-disubstituted pyrimidin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2,5-이치환된 피리미딘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세로토닌(5-하이드록시트립타민, 5-HT)은 중추 신경계와 말초 신경계 모두에서 신체 전체를 통해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는 신경전달물질로서 세로토닌의 95%가 소화관에서 발견되며 나머지 5%는 뇌에서 발견된다. 세로토닌 수용체는 장신경, 장크롬친화성 세포, 소화관 평활근, 면역조직 등에 존재하고 있으며, 세로토닌 수용체 14개의 아형(subtype)이 존재하며 아미노산 시퀀스와 기능에 따라 GPCR인 5-HT1(A,B,D,E), 5-HT2(A,B,C), 5-HT3, 5-HT4, 5-HT5A, 5-HT6, 5-HT7 등이 있다.
이러한 다양한 수용체와 세로토닌과의 상호작용은 다양한 생리학적 기능과 연결되어 있으며, 특정 세로토닌 수용체 아형을 표적으로 하는 치료제 개발에 실질적인 관심이 있어 왔다.
5-HT2A 수용체는 5-HT2 수용체의 서브타입으로서 세로토닌에 대한 GPCR 중 주요 흥분성 수용체 하위 유형에 해당한다. 이 수용체는 LSD 및 실로시빈 버섯과 같은 세로토닌성 환각 약물의 표적으로서의 중요성으로 처음 주목되었으며, 항정신병 약물의 작용을 매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5-HT2A 수용체 작용제는 우울증과 같은 정신 질환의 치료에 잠재적인 유용성을 갖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또한, 5-HT2B 수용체 길항제 역시 간질, 편두통, 신허혈, 뇌졸중, 심근경색, 폐렴, 우울증, 불안 신경증, 또는 비만을 포함한 다양한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에 유용하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5-HT4 수용체는 장근 신경총내 adenylate cyclase와 결합되어 있고 아세틸콜린 유리를 유도한다. 장관에서 콜린성 중간 신경원과 운동신경원의 시냅스전 신경 말단에 위치하고 있다. 장의 주된 구심성 신경세포는 5-HT4 수용체를 가지고 있으며, 이 5-HT4 수용체가 연동반사에 관여한다. 5-HT4 수용체 자극에 따른 반응은 종에 따라 다른데, 쥐에서는 식도와 회장이 이완되며, 기니피그에서는 위, 회장, 결장이 수축하며, 사람에서는 결장의 윤상근이 이완된다.
이와 같이, 5-HT4 수용체들의 규명 및 이들과 상호작용하는 약제학적 물질의 확인이 최근 중요한 활동의 핵심이 되고 있다. 5-HT4 수용체 작용제는 과민성대장증후군, 변비, 소화불량, 위배출지연증, 위식도 역류성 질환, 위마비증, 장폐색증 등의 위장관 운동장애의 치료뿐만 아니라, 알츠하이머병(AD), 정신분열증, 우울증,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 헌팅톤병, 파킨슨병 및 다수의 다른 정신 질환의 치료에 잠재적인 유용성을 갖는 것으로 밝혀져있다.
현재까지 개발된 5-HT4 항진제는 벤조퓨란 카복스아마이드 계열 프루칼로프라이드(Prucalopride, EP0445862), 아미노구아니딘 계열 테가세로드(Tegaserod, US5510353), 벤즈아마이드 계열인 시사프라이드(Cisapride, US4962115), 모사프라이드(Mosapride, EP0243959) 등이 있으며 이 화합물은 위장관 운동을 자극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많은 잠재적 5-HT 항진제의 개발에도 불구하고, 5-HT 항진제는 hERG (human ether-a-go-go related gene) 채널을 자극하여 심장 부정맥과 돌연사를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새로운 구조의 best in class 화합물의 개발이 필요로 되고 있다.
Langlois, M.; Fischmeister, R. J. Med. Chem. 2003, 46, 319-344. Caroline Lanthier, Patrick Dallemagne, Cedric Lecoutey, Sylvie Claeysen, Christophe Rochais EXPERT OPINION ON THERAPEUTIC PATENTS 2020, 30(7), 495-508.
본 발명은 5-HT2A, 5-HT2B 및 5-HT4에 대한 항진 효과가 우수한 새로운 구조의 2,5-이치환된 피리미딘 유도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5-이치환된 피리미딘 유도체 또는 이의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20092905944-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0 내지 2의 정수이고, R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고리기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로서, 상기 화학식 1에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고리기는 피페라진, 메틸피페라진, 및 다이아제페인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로서, 상기 2,5-이치환된 피리미딘 유도체는 4-(5-(3-플루오로페녹시)피리미딘-2-일)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화학식 10);
4-(5-(4-플루오로페녹시)피리미딘-2-일)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화학식 11);
(R)-4-(5-(3-플루오로페녹시)피리미딘-2-일)-3-메틸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화학식 12);
(R)-4-(5-(4-플루오로페녹시)피리미딘-2-일)-3-메틸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화학식 13);
4-(5-(3-플루오로페녹시)피리미딘-2-일)-1,4-다이아제펜-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화학식 14);
4-(5-(4-플루오로페녹시)피리미딘-2-일)-1,4-다이아제펜-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화학식 15);
4-(5-((3-플루오로벤질)옥시)피리미딘-2-일)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화학식 22);
4-(5-((4-플루오로벤질)옥시)피리미딘-2-일)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화학식 23);
(R)-4-(5-((3-플루오로벤질)옥시)피리미딘-2-일)-3-메틸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화학식 24);
(R)-4-(5-((4-플루오로벤질)옥시)피리미딘-2-일)-3-메틸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화학식 25);
4-(5-((3-플루오로벤질)옥시)피리미딘-2-일)-1,4-다이아제펜-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화학식 26);
4-(5-((4-플루오로벤질)옥시)피리미딘-2-일)-1,4-다이아제펜-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화학식 27);
4-(5-(3-플루오로펜에톡시)피리미딘-2-일)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화학식 34);
4-(5-(4-플루오로펜에톡시)피리미딘-2-일)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화학식 35);
(R)-4-(5-(3-플루오로펜에톡시)피리미딘-2-일)-3-메틸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화학식 36);
(R)-4-(5-(4-플루오로펜에톡시)피리미딘-2-일)-3-메틸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화학식 37);
4-(5-(3-플루오로펜에톡시)피리미딘-2-일)-1,4-다이아제펜-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화학식 38); 및
4-(5-(4-플루오로펜에톡시)피리미딘-2-일)-1,4-다이아제펜-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화학식 39);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 예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5-이치환된 피리미딘 유도체 또는 이의 염은 5-HT2A, 5-HT2B 및 5-HT4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수용체에 대한 항진제로서의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5-이치환된 피리미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중추신경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5-이치환된 피리미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5-이치환된 피리미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추신경계 질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5-이치환된 피리미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장 질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중추신경계 질환 예방 또는 치료 약제의 제조를 위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5-이치환된 피리미딘 유도체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장 질환 예방 또는 치료 약제의 제조를 위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5-이치환된 피리미딘 유도체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서, 상기 중추신경계 질환은 알츠하이머병, 간질, 편두통, 신허혈, 뇌졸중, 심근경색, 조현병(schizophrenia), 우울증(depression),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ADHD), 헌팅톤병,약물 남용(substance abuse), 파킨슨씨 병(Parkinson diseases), 요실금(urinary incontinence), 및 비만(obesity)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위장 질환은 과민성대장증후군(irritable bowel syndrome, IBS), 변비, 소화불량, 위 배출 지연증(delayed gastric emptying), 위식도 역류성 질환(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 위마비증, 수술후 장페색증 (post-operative ileus), 가성 장 폐색증(intestinal peusdo-obstruction), 및 약물로-유도된 통과 지연증(drug-induced delayed transit)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2,5-이치환된 알콕시 피리미딘 유도체 그리고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5-HT2A, 5-HT2B 및 5-HT4 수용체 매개된 질환의 치료 및 예방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로부터 예방 및 치료될 수 있는 5-HT2A, 5-HT2B 및 5-HT4 수용체 매개된 질환으로는 예를 들면 알츠하이머병, 간질, 편두통, 신허혈, 뇌졸중, 심근경색, 조현병, 우울증,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 헌팅톤병, 약물 남용, 파킨슨씨 병, 요실금, 비만, 과민성대장증후군, 변비, 소화불량, 위 배출 지연증, 위식도 역류성 질환, 위마비증, 수술후 장폐색증, 가성 장 폐색증, 및 약물로-유도된 통과 지연증 등이 포함될 수 있다.
5-HT는 3-(beta-aminoethyl)-5-hydroxyindole으로서, 중요한 신경전달물질로 작용한다. 5-HT는 신경전달물질로서의 역할을 하는바 상기 5-HT 항진제로서의 활성을 가지는 화합물에 대하여 연구하던 중, 5번 위치에 플루오로페닐 알콕시 그룹을 치환하고, 2번 위치에 다양한 고리 아민을 도입하여 이치환된 피리미딘 유도체가 5-HT 항진제로서의 활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2,5-이치환된 피리미딘 화합물은 5-HT 수용체 중 특히 5-HT2A, 5-HT2B, 및 5-HT4 수용체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항진제로 작용하므로, 5-HT2A, 5-HT2B, 및 5-HT4 수용체의 기능 이상(dysfunction)으로 유래된 질환 치료 약물로 유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5-이치환된 피리미딘 유도체 또는 이의 염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20092905944-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0 내지 2의 정수이고, R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고리기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서, 상기 화학식 1에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고리기는 피페라진, 메틸피페라진, 및 다이아제페인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4-(5-(3-플루오로페녹시)피리미딘-2-일)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화학식 10);
4-(5-(4-플루오로페녹시)피리미딘-2-일)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화학식 11);
(R)-4-(5-(3-플루오로페녹시)피리미딘-2-일)-3-메틸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화학식 12);
(R)-4-(5-(4-플루오로페녹시)피리미딘-2-일)-3-메틸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화학식 13);
4-(5-(3-플루오로페녹시)피리미딘-2-일)-1,4-다이아제펜-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화학식 14);
4-(5-(4-플루오로페녹시)피리미딘-2-일)-1,4-다이아제펜-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화학식 15);
4-(5-((3-플루오로벤질)옥시)피리미딘-2-일)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화학식 22);
4-(5-((4-플루오로벤질)옥시)피리미딘-2-일)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화학식 23);
(R)-4-(5-((3-플루오로벤질)옥시)피리미딘-2-일)-3-메틸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화학식 24);
(R)-4-(5-((4-플루오로벤질)옥시)피리미딘-2-일)-3-메틸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화학식 25);
4-(5-((3-플루오로벤질)옥시)피리미딘-2-일)-1,4-다이아제펜-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화학식 26);
4-(5-((4-플루오로벤질)옥시)피리미딘-2-일)-1,4-다이아제펜-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화학식 27);
4-(5-(3-플루오로펜에톡시)피리미딘-2-일)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화학식 34);
4-(5-(4-플루오로펜에톡시)피리미딘-2-일)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화학식 35);
(R)-4-(5-(3-플루오로펜에톡시)피리미딘-2-일)-3-메틸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화학식 36);
(R)-4-(5-(4-플루오로펜에톡시)피리미딘-2-일)-3-메틸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화학식 37);
4-(5-(3-플루오로펜에톡시)피리미딘-2-일)-1,4-다이아제펜-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화학식 38); 및
4-(5-(4-플루오로펜에톡시)피리미딘-2-일)-1,4-다이아제펜-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화학식 39);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5-이치환된 피리미딘 유도체 또는 이의 염은 5-HT2A, 5-HT2B 및 5-HT4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수용체에 대한 항진제로서의 활성을 갖는다. 상기 5-HT2A 수용체에 대한 항진제로서의 활성은 특히 화학식 12, 13, 22, 23, 24, 25, 34, 35, 36 및 37의 화합물에서 우수하고, 5-HT2B 수용체에 대한 항진제로서의 활성은 특히 화학식 22, 23, 24, 25, 34, 35, 36, 37 및 38의 화합물에서 우수하며, 5-HT4 수용체에 대한 항진제로서의 활성은 특히 화학식 10, 11, 14, 15, 22, 23, 24, 25, 27, 34, 35, 36, 37, 38 및 39의 화합물에서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5-이치환된 피리미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중추신경계 질환 또는 위장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5-이치환된 피리미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추신경계 질환 또는 위장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개체"란 질병의 치료 또는 예방을 필요로 하는 대상을 의미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간 또는 비-인간인 영장류, 생쥐(mouse, 개, 고양이, 말 및 소 등의 포유류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중추신경계 질환 예방 또는 치료 약제의 제조를 위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5-이치환된 피리미딘 유도체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장 질환 예방 또는 치료 약제의 제조를 위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5-이치환된 피리미딘 유도체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로서, 상기 중추신경계 질환은 알츠하이머병, 간질, 편두통, 신허혈, 뇌졸중, 심근경색, 조현병(schizophrenia), 우울증(depression),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ADHD), 헌팅톤병,약물 남용(substance abuse), 파킨슨씨 병(Parkinson diseases), 요실금(urinary incontinence), 및 비만(obesity)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로서, 상기 위장 질환은 과민성대장증후군(irritable bowel syndrome, IBS), 변비, 소화불량, 위 배출 지연증(delayed gastric emptying), 위식도 역류성 질환(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 위마비증, 수술후 장페색증 (post-operative ileus), 가성 장 폐색증(intestinal peusdo-obstruction), 및 약물로-유도된 통과 지연증(drug-induced delayed transit)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 결정성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로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 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얄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다른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유효량은 환자의 연령, 성별, 상태, 체중, 체내에 활성 성분의 흡수도, 불활성율 및 배설속도, 질병종류, 병용되는 약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체중 1 kg 당 0.001 내지 150 ㎎,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0 ㎎을 매일 또는 격일 투여하거나, 1일 1 내지 3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투여 경로, 비만의 중증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서 증감 될 수 있으므로 상기 투여량이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실험방법>
모든 반응은 질소 분위기 하에서 오븐 건조된 유리 제품 하에서 수행되었다. 모든 시판 시약을 구입하여 추가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용매와 가스는 표준 절차에 따라 건조되었고, 회전 증발기를 사용하여 유기 용매를 감압 증발시켰다. 반응에 이어 실리카겔 (0.25mm)로 미리 코팅된 유리판을 사용하여 분석 박막 크로마토 그래피 (TLC) 분석을 수행하였다. TLC 플레이트를 UV 광 (UV)에 노출시켜 시각화한 다음 KMnO4 또는 p-anisaldehyde 염색으로 시각화한 다음 핫플레이트에서 잠시 가열하였다.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 그래피는 표시된 용매와 함께 실리카겔 60 (230-400 메쉬, Merck)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1H-NMR 스펙트럼은 400MHz로 측정되었으며 13C-NMR 스펙트럼은 CDCl3 및 CD3OD를 사용하여 100MHz로 측정되었다. 1H NMR 스펙트럼은 화학적 이동, 다중도 (s = singlet, d = doublet, t = triplet, q = quartet, m = multiplet), 적분 및 Hertz (Hz) 단위의 결합 상수 (J)로 표시되었다.
1H NMR 화학적 이동은 CDCl3 (7.26 ppm)에 상대적으로 보고되었다. 13C NMR은 CDCl3의 중심선 (77.0ppm)에 대해 기록되었고, 고분해능 질량 스펙트럼 (LR-MS)은 양의 전자 분무 이온화를 사용하여 얻었으며 질량/전하(m/z) 비율은 원자 질량 단위의 값으로 보고되었다.
세로토닌 수용체 결합 친화력 분석
표준 결합 완충액 (50mM 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HCl (Tris-HCl), 10mM MgCl2, 1mM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 (EDTA))에서 분석을 수행하였다. 방사성 리간드(1A, 1B, 1D, 1E, 2A, 2B, 2C, 3, 4, 5A, 6, 7, 표 1)를 표준 결합 완충액에서 분석 농도의 5 배로 희석하였고, 방사성 리간드의 분취량 (50 μL)을 100 μL의 표준 결합 버퍼를 포함하는 96- 웰 플레이트의 웰에 분배하였으며, 시험 및 기준 화합물 희석액의 3회 분취량 (50 μL)을 첨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인간 재조합 수용체를 발현하는 세포 (HEK293 또는 CHO)의 조막 분획 (50 μL)을 각 웰에 분배하였다. 총 250 μL의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인큐베이션하고 1.5 시간 동안 빛을 차단한 다음, 96- 웰 Brandel 수확기를 사용하여 0.3 % 폴리에틸렌 이민으로 미리 담근 Whatman GF/B 유리 섬유 필터에 신속하게 여과하여 수확하였다.
비특이적 결합을 감소시키기 위해 냉각된 표준 결합 완충액 (500 μL)으로 4 회의 신속한 세척을 수행하였다. 필터를 6 mL 신틸레이션 튜브에 넣고 밤새 건조시켰다. 다음날, EcoScint 섬광 칵테일 (National Diagnostics) 4ml를 각 튜브에 첨가했다. 튜브는 뚜껑을 덮고 라벨을 붙이고 액체 섬광 계수로 계수했다. 필터 매트를 건조하고 섬광제를 필터에 녹인 다음 필터에 남아있는 방사능을 Microbeta 섬광 계수기에서 계수했다. IC50 값은 Prism 4.0 프로그램 (GraphPad Software, San Diego, CA)을 사용하여 얻었으며 Ki 값으로 변환되었다. 각 화합물에 대하여 적어도 세 번 테스트되었다.
Receptor subtype Radioligand Reference compound
1A [3H]Way100635 8-OH-DPAT
1B [3H]5-CT Ergotamine
1D [3H]5-CT Ergotamine
1E [3H]5-HT 5-HT
2A [3H]Ketanserin Clozapine
2B [3H]LSD SB206553
2C [3H]Mesulergine Ritanserin
3 [3H]GR65630 Zacopride
4 [3H]GR113808 SDZ205557
5A [3H]LSD Ergotamine
6 [3H]LSD Clozapine
7 [3H]LSD Clozapine
<유도체 제조 및 결과>
실시예 1. 2,5-이치환된 피리미딘 유도체 합성
Figure 112020092905944-pat00003
Reagents 및 conditions: (a) N-Boc-protected amines, K2CO3, CH3CN, 80 ℃, 88-97%; (b) 3- 또는 4-fluorophenol/benzyl alcohol/phenethyl alcohol, CuI or CuO2, Bromopyrimidine, Cs2CO3, toluene, 110 ℃, 42-85%; (c) TFA, CH2Cl2, 0 ℃, 52-67%.
(1) tert -부틸 4-(5-브로모피리미딘-2-일) 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화합물 A)
아르곤 기체로 충진한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2,5-다이브로모 피리미딘 (1.2 g, 5.04 mmol), 1-Boc-피페라진 (940 mg, 5.04 mmol), 탄산칼륨 (1.8 g, 13.1 mmol)을 아세토나이트릴 (12 mL)에 녹인 후 12 시간 동안 80 ℃에서 교반한다. 상온에서 식힌 뒤에 TLC를 이용하여 반응을 확인한 후 염화암모늄 수용액 (10 mL)을 첨가해 반응을 종결시킨다. EtOAc (3 x 50 mL)를 사용하여 추출하고 물과 brine을 이용해 세척했다. 유기층은 무수 MgSO4를 넣어 건조한 후,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했다. 혼합물은 실리카겔 관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으로 (EtOAc/Hexane = 1:8) 정제하여 순수한 흰색 고체인 목적 화합물 tert-부틸 4-(5-브로모피리미딘-2-일) 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1.5 g, 88%)를 얻었다.
[화학식 A]
Figure 112020092905944-pat00004
1H-NMR (400MHz, CDCl3): δ 8.29 (s, J = 2.0 Hz, 2H), 3.76 (t, J = 5.2 Hz, 4H), 3.48 (t, J= 5.2 Hz, 4H), 1.48 (s, 9H).
(2) tert -부틸 (R)-4-(5-브로모피리미딘-2-일)-3-메틸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화합물 B)
아르곤 기체로 충진한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2,5-다이브로모 피리미딘 (850 mg, 3.37 mmol), (R)-1-Boc-메틸피페라진 (1.07 g, 5.36 mmol), 탄산칼륨 (1.28 g, 9.29 mmol)을 아세토나이트릴 (9.0 mL)에 녹인 후 12 시간 동안 80 ℃에서 교반한다. 상온에서 식힌 뒤에 TLC를 이용하여 반응을 확인한 후 염화암모늄 수용액 (10 mL)을 첨가해 반응을 종결시킨다. EtOAc (3 x 50 mL)를 사용하여 추출하고 물과 brine을 이용해 세척했다. 유기층은 무수 MgSO4를 넣어 건조한 후,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했다. 혼합물은 실리카겔 관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으로 (EtOAc/Hexane = 1:8) 정제하여 순수한 흰색 고체인 목적 화합물 tert-부틸 (R)-4-(5-브로모피리미딘-2-일)-3-메틸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1.1 g, 92%)를 얻었다.
[화학식 B]
Figure 112020092905944-pat00005
1H-NMR (400MHz, CDCl3): δ 8.28 (s, J = 2.0 Hz, 1H), 4.81-4.70 (m, 1H), 4.39-4.36 (m, 1H), 4.15-3.90 (m, 2H), 3.19-3.08 (m, 1H), 3.08- 2.90 (m, 2H), 1.47 (s, 9H), 1.16 (d, J = 6.7 Hz, 3H).
(3) tert -부틸 4-(5-브로모피리미딘-2-일)-1,4-다이아제페인-1-카복실레이트 (화합물 3)
아르곤 기체로 충진한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2,5-다이브로모 피리미딘 (1.0 g, 4.2 mmol), 1-Boc-호모피페라진 (1.6 mL, 8.4 mmol), 탄산칼륨 (1.5 g, 10.9 mmol)을 아세토나이트릴 (10 mL)에 녹인 후 12 시간 동안 80 ℃에서 교반한다. 상온에서 식힌 뒤에 TLC를 이용하여 반응을 확인한 후 염화 암모늄 수용액 (10 mL)을 첨가해 반응을 종결시킨다. EtOAc (3 x 50 mL)를 사용하여 추출하고 물과 brine을 이용해 세척했다. 유기층은 무수 MgSO4를 넣어 건조한 후,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했다. 혼합물은 실리카겔 관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으로 (EtOAc/Hexane = 1:8) 정제하여 순수한 흰색 고체인 목적 화합물 tert-부틸 4-(5-브로모피리미딘-2-일)-1,4-다이아제페인-1-카복실레이트 (1.4 g, 97%)를 얻었다.
[화학식 3]
Figure 112020092905944-pat00006
1H-NMR (400MHz, CDCl3): δ 8.28 (s, 2H), 3.86-3.80 (m, 2H), 3.72 (t, J = 6.2 Hz, 2H), 3.54 (t, J = 5.3 Hz, 2H), 3.37 (t, J = 5.9 Hz, 1H), 3.27 (t, J = 6.1 Hz, 1H), 1.96-1.90 (m, 2H), 1.42 (d, J = 8.5 Hz, 9H).
(4) tert -부틸 4-(5-(3-플루오로페녹시)피리미딘-2-일)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화합물 4)
아르곤 기체로 충진한 마이크로파 진공관에 tert-부틸 4-(5-브로모피리미딘-2-일) 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200 mg, 0.58 mmol), 3-플루오로페놀 (0.31 mL, 3.48 mmol), 탄산세슘 (566 mg, 1.74 mmol), copper(I) oxide (8 mg, 0.058 mmol), 3,4,7,8-테트라메틸-1,10-페난트롤린 (27 mg, 0.116 mmol)을 톨루엔 (1.1 mL)에 녹인 후 6시간 동안 microwave에서 130 ℃, 200 W, 250 psi의 조건으로 교반한다. 상온에서 식힌 뒤에 TLC를 이용하여 반응을 확인한 후 염화암모늄 수용액 (10 mL)을 첨가해 반응을 종결시킨다. EtOAc (3 x 60 mL)를 사용하여 추출하고 물과 brine을 이용해 세척했다. 유기층은 무수 MgSO4를 넣어 건조한 후,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했다. 혼합물은 실리카겔 관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으로 (EtOAc/Acetone/Hexane=1:0.5:18) 정제하여 순수한 흰색 고체인 목적 화합물 tert-부틸 4-(5-(3-플루오로페녹시)피리미딘-2-일)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47 mg, 21%)를 얻었다.
[화학식 4]
Figure 112020092905944-pat00007
1H-NMR (400MHz, CDCl3): δ 8.17 (s, 2H), 7.27-7;21 (m, 1H), 6.77-6.73 (m, 1H), 6.71-6.62 (m, 2H), 3.80 (t, J = 5.1 Hz, 4H), 3.52 (t, J = 5.0 Hz, 4H), 1.49 (s, 9H).
(5) tert -부틸 4-(5-(4-플루오로페녹시)피리미딘-2-일)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화합물 5)
아르곤 기체로 충진한 마이크로파 진공관에 tert-부틸 4-(5-브로모피리미딘-2-일) 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200 mg, 0.58 mmol), 4-플루오로페놀 (0.31 mL, 3.48 mmol), 탄산세슘 (566 mg, 1.74 mmol), copper(I) oxide (8 mg, 0.058 mmol), 3,4,7,8-테트라메틸-1,10-페난트롤린 (27 mg, 0.116 mmol)을 톨루엔 (1.1 mL)에 녹인 후 6시간 동안 microwave에서 130 ℃, 200 W, 250 psi의 조건으로 교반한다. 상온에서 식힌 뒤에 TLC를 이용하여 반응을 확인한 후 염화암모늄 수용액 (10 mL)을 첨가해 반응을 종결시킨다. EtOAc (3 x 60 mL)를 사용하여 추출하고 물과 brine을 이용해 세척했다. 유기층은 무수 MgSO4를 넣어 건조한 후,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했다. 혼합물은 실리카겔 관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으로 (EtOAc/Acetone/Hexane=1:0.5:18) 정제하여 순수한 흰색 고체인 목적 화합물 tert-부틸 4-(5-(4-플루오로페녹시)피리미딘-2-일)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47 mg, 21%)를 얻었다.
[화학식 5]
Figure 112020092905944-pat00008
1H-NMR (400MHz, CDCl3): δ 8.17 (s, 2H), 7.03-6.99 (m, 2H), 6.92-6.89 (m, 2H), 3.80 (t, J = 5.2 Hz, 4H), 3.52 (t, J = 5.2 Hz, 4H), 1.49 (s, 9H).
(6) tert -부틸 ( R )-4-(5-(3-플루오로페녹시)피리미딘-2-일)-3-메틸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화합물 6)
아르곤 기체로 충진한 마이크로파 진공관에 tert-부틸 (R)-4-(5-브로모피리미딘-2-일)-3-메틸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200 mg, 0.56 mmol), 3-플루오로페놀 (0.36 mL, 3.92 mmol), 탄산세슘 (547 mg, 1.68 mmol), copper(I) oxide (8 mg, 0.056 mmol), 3,4,7,8-테트라메틸-1,10-페난트롤린 (26 mg, 0.112 mmol)을 톨루엔 (1.1 mL)에 녹인 후 20 시간 동안 130 ℃에서 교반한다. 상온에서 식힌 뒤에 TLC를 이용하여 반응을 확인한 후 염화암모늄 수용액 (10 mL)을 첨가해 반응을 종결시킨다. EtOAc (3 x 60 mL)를 사용하여 추출하고 물과 brine을 이용해 세척했다. 유기층은 무수 MgSO4를 넣어 건조한 후,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했다. 혼합물은 실리카겔 관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으로 (EtOAc/Acetone/Hexane=1:0.5:18) 정제하여 순수한 흰색 고체인 목적 화합물 tert-부틸 (R)-4-(5-(3-플루오로페녹시)피리미딘-2-일)-3-메틸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37 mg, 17%)를 얻었다.
[화학식 6]
Figure 112020092905944-pat00009
1H-NMR (400MHz, CDCl3): δ 8.18 (s, 2H), 7.27-7.22 (m, 1H), 6.78-6.70 (m, 2H), 6.65-6.63 (m, 1H), 4.90-4.84 (m, 1H), 4.43-4.40 (m, 1H), 4.18-3.93 (m, 2H), 3.24-3.18 (m, 1H), 3.13-2.94 (m, 2H), 1.49 (s, 9H), 1.20 (d, J = 6.8 Hz, 3H).
(7) tert -부틸 (R)-4-(5-(4-플루오로페녹시)피리미딘-2-일)-3-메틸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화합물 7)
아르곤 기체로 충진한 마이크로파 진공관에 tert-부틸 (R)-4-(5-브로모피리미딘-2-일)-3-메틸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200 mg, 0.56 mmol), 4-플루오로페놀 (0.36 mL, 3.92 mmol), 탄산세슘 (547 mg, 1.68 mmol), copper(I) oxide (8 mg, 0.056 mmol), 3,4,7,8-테트라메틸-1,10-페난트롤린 (26 mg, 0.112 mmol)을 톨루엔 (1.1 mL)에 녹인 후 20 시간 동안 130 ℃에서 교반한다. 상온에서 식힌 뒤에 TLC를 이용하여 반응을 확인한 후 염화 암모늄 수용액 (10 mL)을 첨가해 반응을 종결시킨다. EtOAc (3 x 60 mL)를 사용하여 추출하고 물과 brine을 이용해 세척했다. 유기층은 무수 MgSO4를 넣어 건조한 후,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했다. 혼합물은 실리카겔 관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으로 (EtOAc/Acetone/Hexane=1:0.5:18) 정제하여 순수한 흰색 고체인 목적 화합물 tert-부틸 (R)-4-(5-(4-플루오로페녹시)피리미딘-2-일)-3-메틸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37 mg, 27%)를 얻었다.
[화학식 7]
Figure 112020092905944-pat00010
1H-NMR (400MHz, CDCl3): δ 8.17 (s, 2H), 7.02-6.98 (m, 2H), 6.91-6.89 (m, 2H), 4.90-4.83 (m, 1H), 4.43-4.39 (m, 1H), 4.18-3.92 (m, 3H), 3.25-3.18 (m, 1H), 3.15-2.93 (m, 2H), 1.49 (s, 9H), 1.20 (d, J = 6.7 Hz, 3H).
(8) tert -부틸 4-(5-(3-플루오로페녹시)피리미딘-2-일)-1,4-다이아제페인-1-카복실레이트 (화합물 8)
아르곤 기체로 충진한 마이크로파 진공관에 tert-부틸 4-(5-브로모피리미딘-2-일)-1,4-다이아제페인-1-카복실레이트 (200 mg, 0.58 mmol), 3-플루오로페놀 (0.31 mL, 3.48 mmol), 탄산세슘 (566 mg, 1.74 mmol), copper(I) oxide (8 mg, 0.058 mmol), 3,4,7,8-테트라메틸-1,10-페난트롤린 (27 mg, 0.116 mmol)을 톨루엔 (1.1 mL)에 녹인 후 6시간 동안 microwave에서 130 ℃, 200 W, 250 psi의 조건으로 교반한다. 상온에서 식힌 뒤에 TLC를 이용하여 반응을 확인한 후 염화 암모늄 수용액 (10 mL)을 첨가해 반응을 종결시킨다. EtOAc (3 x 60 mL)를 사용하여 추출하고 물과 brine을 이용해 세척했다. 유기층은 무수 MgSO4를 넣어 건조한 후,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했다. 혼합물은 실리카겔 관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으로 (EtOAc/Acetone/Hexane=1:0.5:18) 정제하여 순수한 흰색 고체인 목적 화합물 tert-부틸 4-(5-(3-플루오로페녹시)피리미딘-2-일)-1,4-다이아제페인-1-카복실레이트 (41 mg, 19%)를 얻었다.
[화학식 8]
Figure 112020092905944-pat00011
1H-NMR (400MHz, CDCl3): δ 8.17 (s, 2H), 7.28-7.22 (m, 1H), 6.78-6.70 (m, 2H), 6.71 (m, 1H), 6.65-6.60 (m, 1H), 3.90-3.88 (m, 2H), 3.80-3.78 (m, 2H), 3.59-3.58 (m, 2H), 3.40-3.39 (m, 1H), 3.33-3.30 (m, 1H), 1.99-1.96 (m, 2H), 1.44 (s, 9H).
(9) tert -부틸 4-(5-(4-플루오로페녹시)피리미딘-2-일)-1,4-다이아제페인-1-카복실레이트 (화합물 9)
아르곤 기체로 충진한 마이크로파 진공관에 tert-부틸 4-(5-브로모피리미딘-2-일)-1,4-다이아제페인-1-카복실레이트 (200 mg, 0.58 mmol), 4-플루오로페놀 (0.31 mL, 3.48 mmol), 탄산세슘 (566 mg, 1.74 mmol), copper(I) oxide (8 mg, 0.058 mmol), 3,4,7,8-테트라메틸-1,10-페난트롤린 (27 mg, 0.116 mmol)을 톨루엔 (1.1 mL)에 녹인 후 6시간 동안 microwave에서 130 ℃, 200 W, 250 psi의 조건으로 교반한다. 상온에서 식힌 뒤에 TLC를 이용하여 반응을 확인한 후 염화 암모늄 수용액 (10 mL)을 첨가해 반응을 종결시킨다. EtOAc (3 x 60 mL)를 사용하여 추출하고 물과 brine을 이용해 세척했다. 유기층은 무수 MgSO4를 넣어 건조한 후,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했다. 혼합물은 실리카겔 관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으로 (EtOAc/ Acetone/Hexane=1:0.5:18) 정제하여 순수한 흰색 고체인 목적 화합물 tert-부틸 4-(5-(4-플루오로페녹시)피리미딘-2-일)-1,4-다이아제페인-1-카복실레이트 (68 mg, 31%)를 얻었다.
[화학식 9]
Figure 112020092905944-pat00012
1H-NMR (400MHz, CDCl3): δ 8.14 (s, 2H), 7.01-6.96 (m, 2H), 6.87-6.75 (m, 2H), 3.89-3.84 (m, 2H), 3.76-3.73 (m, 2H), 3.58-5.55 (m, 2H), 3.39 (t, J = 6.0 Hz, 1H), 3.31 (d, J = 6.0 Hz, 1H), 3.31 (t, J = 6.0 Hz, 1H), 1.98-1.92 (m, 2H), 1.44 (s, 9H).
(10) 4-(5-(3-플루오로페녹시)피리미딘-2-일)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 (화합물 10)
아르곤 기체로 충진한 바이알에 피페라진 카복실레이트 (57 mg, 0.15 mmol)를 다이클로로메테인 (1.5 mL)에 녹인 뒤에 0 ℃에서 TFA (0.23 mL)를 천천히 첨가했다. 혼합물을 3 시간 동안 교반한 뒤 TLC를 이용하여 반응을 확인한 후 혼합물의 pH가 8이 될 때까지 탄산 수소 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했다. EtOAc (3 x 20 mL)를 사용하여 추출하고 물과 brine을 이용해 세척했다. 유기층은 무수 MgSO4를 넣어 건조한 후,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했다. 혼합물은 실리카겔 관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으로 (MeOH/DCM = 1:15) 정제하여 순수한 흰색 고체인 목적 화합물 (28 mg, 21%)를 얻었다. 화합물은 4 M HCl/diethyl ether로 처리 후에 솔트 형태로 얻어냈다.
[화학식 10]
Figure 112020092905944-pat00013
1H-NMR (400MHz, CDCl3): δ 8.17 (s, 2H), 7.24 (dd, J = 15.4, 7.5 Hz, 1H), 6.75 (td, J = 6.2, 4.9 Hz, 1H), 6.70 (d, J = 8.4 Hz, 1H), 6.64 (d, J = 10.2 Hz, 1H), 3.89 (t, J = 4.5 Hz, 4H), 3.07 (t, J = 4.7 Hz, 4H).
13C-NMR (100 MHz, MeOD): δ 162.4 (d, 1 J = 259 Hz), 159.7, 152.3, 152.0, 144.5, 132.2 (d, 3 J = 9 Hz), 113.4 (d, 4 J = 3 Hz), 110.9 (d, 2 J = 21 Hz), 105.4 (d, 2 J = 25 Hz), 44.4, 42.5.
LRMS-EI (m/z): [M-HCl]+ calcd for C14H15FN4O: 274.30, found: 274.30.
(11) 4-(5-(4-플루오로페녹시)피리미딘-2-일)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 (화합물 11)
아르곤 기체로 충진한 바이알에 피페라진 카복실레이트 (90 mg, 0.24 mmol)를 다이클로로메테인 (2.5 mL)에 녹인 뒤에 0 ℃에서 TFA (0.36 mL)를 천천히 첨가했다. 혼합물을 3 시간 동안 교반한 뒤 TLC를 이용하여 반응을 확인한 후 혼합물의 pH가 8이 될 때까지 탄산 수소 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했다. EtOAc (3 x 20 mL)를 사용하여 추출하고 물과 brine을 이용해 세척했다. 유기층은 무수 MgSO4를 넣어 건조한 후,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했다. 혼합물은 실리카겔 관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으로 (MeOH/DCM = 1:15) 정제하여 순수한 흰색 고체인 목적 화합물 (40 mg, 60%)를 얻었다. 화합물은 4 M HCl/diethyl ether로 처리 후에 솔트 형태로 얻어냈다.
[화학식 11]
Figure 112020092905944-pat00014
1H-NMR (400MHz, CDCl3): δ 8.15 (s, 2H), 7.02-6.98 (m, 2H), 6.91-6.88 (m, 2H), 3.77 (t, J = 5.2 Hz, 4H), 3.51 (t, J = 5.1 Hz, 4H).
13C-NMR (100 MHz, MeOD): δ 158.9 (d, 1 J = 241 Hz), 157.9, 153.8, 150.1, 144.4, 118.6 (d, 3 J = 8 Hz), 116.6 (d, 2 J = 23 Hz), 43.4, 41.5.
LRMS-EI (m/z): [M-HCl]+ calcd for C14H15FN4O: 274.30, found: 274.30.
(12) ( R) -4-(5-(3-플루오로페녹시)피리미딘-2-일)-3-메틸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 (화합물 12)
아르곤 기체로 충진한 바이알에 메틸피페라진 카복실레이트 (50 mg, 0.13 mmol)를 다이클로로메테인 (1.3 mL)에 녹인 뒤에 0 ℃에서 TFA (0.20 mL)를 천천히 첨가했다. 혼합물을 3 시간 동안 교반한 뒤 TLC를 이용하여 반응을 확인한 후 혼합물의 pH가 8이 될 때까지 탄산 수소 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했다. EtOAc (3 x 20 mL)를 사용하여 추출하고 물과 brine을 이용해 세척했다. 유기층은 무수 MgSO4를 넣어 건조한 후,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했다. 혼합물은 실리카겔 관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으로 (MeOH/DCM = 1:15) 정제하여 순수한 흰색 고체인 목적 화합물 (8 mg, 21%)를 얻었다. 화합물은 4 M HCl/diethyl ether로 처리 후에 솔트 형태로 얻어냈다.
[화학식 12]
Figure 112020092905944-pat00015
1H-NMR (400MHz, CDCl3): δ 8.18 (s, 2H), 7.27-7.21 (m, 1H), 6.77-6.65 (m, 2H), 6.63-6.62 (m, 1H), 4.78-4.75 (m, 1H), 4.41-4.38 (m, 1H), 3.16-3.08 (m, 2H), 3.04-3.00 (m, 1H), 2.92-2.89 (m, 1H), 2.83-2.76 (m, 1H), 1.28 (d, J = 6.8 Hz, 3H).
13C-NMR (100 MHz, MeOD): δ 159.3, 152.1, 146.9, 144.3, 132.2 (d, 3 J = 9 Hz), 131.8, 113.4, 110.8 (d, 2 J = 21 Hz), 105.4 (d, 2 J = 25 Hz), 45.8, 44.8, 36.9, 35.9, 13.7.
LRMS-EI (m/z): [M-HCl]+ calcd for C15H17FN4O: 288.33, found: 288.33
(13) ( R )-4-(5-(4-플루오로페녹시)피리미딘-2-일)-3-메틸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 (화합물 13)
아르곤 기체로 충진한 바이알에 메틸피페라진 카복실레이트 (60 mg, 0.15 mmol)를 다이클로로메테인 (1.5 mL)에 녹인 뒤에 0 ℃에서 TFA (0.23 mL)를 천천히 첨가했다. 혼합물을 3 시간 동안 교반한 뒤 TLC를 이용하여 반응을 확인한 후 혼합물의 pH가 8이 될 때 까지 탄산 수소 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했다. EtOAc (3 x 20 mL)를 사용하여 추출하고 물과 brine을 이용해 세척했다. 유기층은 무수 MgSO4를 넣어 건조한 후,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했다. 혼합물은 실리카겔 관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으로 (MeOH/DCM = 1:15) 정제하여 순수한 흰색 고체인 목적 화합물 (17 mg, 39%)를 얻었다. 화합물은 4 M HCl/diethyl ether로 처리 후에 솔트 형태로 얻어냈다.
[화학식 13]
Figure 112020092905944-pat00016
1H-NMR (400MHz, CDCl3): δ 8.15 (s, 2H), 7.01-6.96 (m, 2H), 6.91-6.87 (m, 2H), 4.79-4.76 (m, 1H), 4.42-4.38 (m, 1H), 3.16-3.09 (m, 2H), 3.05-3.01 (m, 1H), 2.94-2.91 (m, 1H), 2.84-2.77 (m, 1H), 2.77-2.70 (m, 1H), 1.28 (d, J = 6.8 Hz, 3H).
13C-NMR (100 MHz, MeOD): δ 160.1 (d, 1 J = 239 Hz), 159.0, 155.5, 155.5 (d, 4 J = 2 Hz), 145.5, 119.8 (d, 3 J = 8 Hz), 117.4 (d, 2 J = 24 Hz), 45.9, 44.9, 37.2, 30.9, 30.7, 13.5.
LRMS-EI (m/z): [M-HCl]+ calcd for C15H17FN4O: 288.33, found: 288.33
(14) 4-(5-(3-플루오로페녹시)피리미딘-2-일)-1,4-다이아제펜-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 (화합물 14)
아르곤 기체로 충진한 바이알에 다이아제페인 카복실레이트 (68 mg, 0.17 mmol)를 다이클로로메테인 (1.8 mL)에 녹인 뒤에 0 ℃에서 TFA (0.24 mL)를 천천히 첨가했다. 혼합물을 3 시간 동안 교반한 뒤 TLC를 이용하여 반응을 확인한 후 혼합물의 pH가 8이 될 때까지 탄산 수소 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했다. EtOAc (3 x 20 mL)를 사용하여 추출하고 물과 brine을 이용해 세척했다. 유기층은 무수 MgSO4를 넣어 건조한 후,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했다. 혼합물은 실리카겔 관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으로 (MeOH/DCM = 1:15) 정제하여 순수한 흰색 고체인 목적 화합물 (27 mg, 40%)를 얻었다. 화합물은 4 M HCl/diethyl ether로 처리 후에 솔트 형태로 얻어냈다.
[화학식 14]
Figure 112020092905944-pat00017
1H-NMR (400MHz, CDCl3): δ 8.17 (s, 2H), 7.26-7.22 (m, 1H), 6.77-6.73 (m, 1H), 6.70-6.67 (m, 1H), 6.65-6.62 (m, 1H), 4.08-4.01 (s, 2H), 3.90 (t, J = 6.3 Hz, 2H), 3.36-3.27 (m, 2H), 3.16-3.15 (m, 2H), 2.16-2.14 (m, 2H).
13C-NMR (100 MHz, MeOD): δ 165.0 (d, 1 J = 244 Hz), 159.6, 152.3, 143.9, 132.1 (d, 3 J = 10 Hz), 131.6 (d, 3 J = 8 Hz), 113.3, 110.7 (d, 2 J = 21 Hz), 105.2 (d, 2 J = 25 Hz), 46.8, 46.5, 44.7, 26.8.
LRMS-EI (m/z): [M-HCl]+ calcd for C15H17FN4O: 288.33, found: 288.33
(15) 4-(5-(4-플루오로페녹시)피리미딘-2-일)-1,4-다이아제펜-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 (화합물 15)
아르곤 기체로 충진한 바이알에 다이아제페인 카복실레이트 (68 mg, 0.17 mmol)를 다이클로로메테인 (1.8 mL)에 녹인 뒤에 0 ℃에서 TFA (0.24 mL)를 천천히 첨가했다. 혼합물을 3 시간 동안 교반한 뒤 TLC를 이용하여 반응을 확인한 후 혼합물의 pH가 8이 될 때까지 탄산 수소 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했다. EtOAc (3 x 20 mL)를 사용하여 추출하고 물과 brine을 이용해 세척했다. 유기층은 무수 MgSO4를 넣어 건조한 후,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했다. 혼합물은 실리카겔 관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으로 (MeOH/DCM = 1:15) 정제하여 순수한 흰색 고체인 목적 화합물 (17 mg, 34%)를 얻었다. 화합물은 4 M HCl/diethyl ether로 처리 후에 솔트 형태로 얻어냈다.
[화학식 15]
Figure 112020092905944-pat00018
1H-NMR (400MHz, CDCl3) δ 8.14 (s, 2H), 7.00-6.96 (m, 2H), 6.90-6.87 (m, 2H), 4.10-4.01 (m, 2H), 3.98-3.88 (m, 1H), 3.38-3.30 (m, 2H), 3.27-3.20 (m, 2H), 2.20-2.15 (m, 2H).
13C-NMR (100 MHz, MeOD): δ 163.9 (d, 1 J = 244 Hz), 157.9, 147.9, 147.1, 134.1, 131.0 (d, 3 J = 8 Hz), 116.3 (d, 2 J = 21 Hz), 72.4, 47.1, 46.6, 46.5, 44.5, 26.8.
LRMS-EI (m/z): [M-HCl]+ calcd for C15H17FN4O: 288.33, found: 288.33
(16) tert -부틸 4-(5-((3-플루오로벤질)옥시)피리미딘-2-일)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화합물 16)
아르곤 기체로 충진한 마이크로파 진공관에 tert-부틸 4-(5-브로모피리미딘-2-일) 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30 mg, 0.58 mmol), 3-플루오로 벤질 알코올 (87 μ¥μL, 0.8 mmol), 탄산세슘 (39 mg, 0.12 mmol), 아이오딘화구리 (2 mg, 0.008 mmol), 1,10-페난트롤린 (3 mg, 0.016 mmol)을 톨루엔 (0.16 mL)에 녹인 후 12 시간 동안 110 ℃에서 교반한다. 상온에서 식힌 뒤에 TLC를 이용하여 반응을 확인한 후 염화암모늄 수용액 (10 mL)을 첨가해 반응을 종결시킨다. EtOAc (3 x 20 mL)를 사용하여 추출하고 물과 brine을 이용해 세척했다. 유기층은 무수 MgSO4를 넣어 건조한 후,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했다. 혼합물은 실리카겔 관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으로 (EtOAc/Hexane = 1:10) 정제하여 순수한 무색 오일인 목적 화합물 tert-부틸 4-(5-((3-플루오로벤질)옥시)피리미딘-2-일)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26 mg, 79%)를 얻었다.
[화학식 16]
Figure 112020092905944-pat00019
1H-NMR (400MHz, CDCl3): δ 8.11 (s, 2H), 7.37-7.32 (m, 1H), 7.17-7.11 (m, 2H), 7.05-6.99 (m, 1H), 5.01 (s, 2H), 3.71 (t, J = 5.2 Hz, 4H), 3.49 (t, J = 5.2 Hz, 4H), 1.48 (s, 9H).
(17) tert -부틸 4-(5-((4-플루오로벤질)옥시)피리미딘-2-일)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화합물 17)
아르곤 기체로 충진한 마이크로파 진공관에 tert-부틸 4-(5-브로모피리미딘-2-일) 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30 mg, 0.08 mmol), 4-플루오로 벤질 알코올 (87 μ¥μL, 0.8 mmol), 탄산세슘 (39 mg, 0.12 mmol), 아이오딘화구리 (2 mg, 0.008 mmol), 1,10-페난트롤린 (3 mg, 0.016 mmol)을 톨루엔 (0.16 mL)에 녹인 후 12 시간 동안 110 ℃에서 교반한다. 상온에서 식힌 뒤에 TLC를 이용하여 반응을 확인한 후 염화암모늄 수용액 (10 mL)을 첨가해 반응을 종결시킨다. EtOAc (3 x 20 mL)를 사용하여 추출하고 물과 brine을 이용해 세척했다. 유기층은 무수 MgSO4를 넣어 건조한 후,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했다. 혼합물은 실리카겔 관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으로 (EtOAc/Acetone/Hexane = 1:1:15) 정제하여 순수한 무색 오일인 목적 화합물 t ert-부틸 4-(5-((4-플루오로벤질)옥시)피리미딘-2-일)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13 mg, brsm 76%)를 얻었다.
[화학식 17]
Figure 112020092905944-pat00020
1H-NMR (400MHz, CDCl3): δ 8.10 (s, 1H), 7.37 (dd, J = 8.7, 5.3 Hz, 2H), 7.09-7.05 (m, 2H), 4.98 (s, 2H), 3.71 (t, J = 5.2 Hz, 4H), 3.49 (t, J = 5.2 Hz, 4H), 1.48 (s, 1H).
(18) tert -부틸 ( R )-4-(5-((3-플루오로벤질)옥시)피리미딘-2-일)-3-메틸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화합물 18)
아르곤 기체로 충진한 마이크로파 진공관에 tert-부틸 (R)-4-(5-브로모피리미딘-2-일)-3-메틸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200 mg, 0.56 mmol), 3-플루오로 벤질 알코올 (0.18 mL, 1.68 mmol), 탄산세슘 (273 mg, 0.84 mmol), 아이오딘화 구리 (10 mg, 0.056 mmol), 1,10-페난트롤린 (20 mg, 0.112 mmol)을 톨루엔 (1.1 mL)에 녹인 후 20 시간 동안 130 ℃에서 교반한다. 상온에서 식힌 뒤에 TLC를 이용하여 반응을 확인한 후 염화 암모늄 수용액 (10 mL)을 첨가해 반응을 종결시킨다. EtOAc (3 x 50 mL)를 사용하여 추출하고 물과 brine을 이용해 세척했다. 유기층은 무수 MgSO4를 넣어 건조한 후,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했다. 혼합물은 실리카겔 관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으로 (EtOAc/Acetone/Hexane = 1:1:15) 정제하여 순수한 흰색 고체인 목적 화합물 tert-부틸 (R)-4-(5-((3-플루오로벤질)옥시)피리미딘-2-일)-3-메틸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96 mg, 43%)를 얻었다.
[화학식 18]
Figure 112020092905944-pat00021
1H-NMR (400MHz, CDCl3): δ 8.11 (s, 2H), 7.37-7.32 (m, 1H), 7.15-7.11 (m, 2H), 7.04-6.99 (m, 1H), 5.01 (s, 2H), 4.81-4.75 (m, 1H), 4.32-4.29 (m, 1H), 4.16-3.87 (m, 2H, broad), 3.17-3.10 (m, 2H), 3.10-2.91 (m, 1H), 1.48 (s, 9H), 1.14 (d, J = 6.7 Hz, 3H).
(19) tert -부틸 ( R )-4-(5-((4-플루오로벤질)옥시)피리미딘-2-일)-3-메틸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화합물 19)
아르곤 기체로 충진한 마이크로파 진공관에 tert-부틸 (R)-4-(5-브로모피리미딘-2-일)-3-메틸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200 mg, 0.56 mmol), 4-플루오로 벤질 알코올 (0.18 mL, 1.68 mmol), 탄산칼슘 (273 mg, 0.84 mmol), 아이오딘화구리 (10 mg, 0.056 mmol), 1,10-페난트롤린 (20 mg, 0.112 mmol)을 톨루엔 (1.1 mL)에 녹인 후 20 시간 동안 130 ℃에서 교반한다. 상온에서 식힌 뒤에 TLC를 이용하여 반응을 확인한 후 염화암모늄 수용액 (10 mL)을 첨가해 반응을 종결시킨다. EtOAc (3 x 50 mL)를 사용하여 추출하고 물과 brine을 이용해 세척했다. 유기층은 무수 MgSO4를 넣어 건조한 후,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했다. 혼합물은 실리카겔 관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으로 (EtOAc/Acetone/Hexane = 1:1:15) 정제하여 흰색 고체인 목적 화합물 tert-부틸 (R)-4-(5-((4-플루오로벤질)옥시)피리미딘-2-일)-3-메틸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93 mg, 41%)를 얻었다.
[화학식 19]
Figure 112020092905944-pat00022
1H-NMR (400MHz, CDCl3): δ 8.10 (s, 2H), 7.37 (dd, J = 8.5, 5.4 Hz, 2H), 7.09-7.05 (m, 2H), 4.97 (s, 2H), 4.80-4.74 (m, 1H), 4.32-4.28 (m, 1H), 4.15-3.89 (m, 3H), 3.17-3.10 (m, 1H), 3.10-2.90 (m, 2H), 1.48 (s, 9H), 1.14 (d, J = 6.7 Hz, 3H).
(20) tert -부틸 4-(5-((3-플루오로벤질)옥시)피리미딘-2-일)-1,4-다이아제페인-1-카복실레이트 (화합물 20)
아르곤 기체로 충진한 마이크로파 진공관에 tert-부틸 4-(5-브로모피리미딘-2-일)-1,4-다이아제페인-1-카복실레이트 (40 mg, 0.11 mmol), 3-플루오로 벤질 알코올 (36 uL, 0.33 mmol), 탄산세슘 (52 mg, 0.16 mmol), 아이오딘화구리 (6 mg, 0.03 mmol), 1,10-페난트롤린 (11 mg, 0.06 mmol)을 톨루엔 (0.3 mL)에 녹인 후 20 시간 동안 130 ℃에서 교반한다. 상온에서 식힌 뒤에 TLC를 이용하여 반응을 확인한 후 염화암모늄 수용액 (10 mL)을 첨가해 반응을 종결시킨다. EtOAc (3 x 50 mL)를 사용하여 추출하고 물과 brine을 이용해 세척했다. 유기층은 무수 MgSO4를 넣어 건조한 후,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했다. 혼합물은 실리카겔 관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으로 (EtOAc/Acetone/Hexane = 1:1:15) 정제하여 끈적한 흰색 오일인 화합물 tert-부틸 4-(5-((3-플루오로벤질)옥시)피리미딘-2-일)-1,4-다이아제페인-1-카복실레이트 (35 mg, 79%)를 얻었다.
[화학식 20]
Figure 112020092905944-pat00023
1H-NMR (400MHz, CDCl3): δ 8.09 (s, 2H), 7.37-7.32 (m, 1H), 7.17-7.11 (m, 2H), 7.04-6.99 (m, 1H), 4.99 (s, 2H), 3.84-3.78 (m, 2H), 3.71-3.68 (m, 2H), 3.53 (s, 2H), 3.35 (t, J = 5.8 Hz, 1H), 3.25 (t, J = 5.9 Hz, 1H), 1.96-1.90 (m, 2H), 1.42 (d, J = 11.9 Hz, 9H).
(21) tert -부틸 4-(5-((4-플루오로벤질)옥시)피리미딘-2-일)-1,4-다이아제페인-1-카복실레이트 (화합물 21)
아르곤 기체로 충진한 마이크로파 진공관에 tert-부틸 4-(5-브로모피리미딘-2-일)-1,4-다이아제페인-1-카복실레이트 (140 mg, 0.39 mmol), 4-플루오로 벤질 알코올 (127 μL, 1.17 mmol), 탄산세슘 (189 mg, 0.58 mmol), 아이오딘화구리 (22 mg, 0.12 mmol), 1,10-페난트롤린 (42 mg, 0.24 mmol)을 톨루엔 (0.78 mL)에 녹인 후 20 시간 동안 130 ℃에서 교반한다. 상온에서 식힌 뒤에 TLC를 이용하여 반응을 확인한 후 염화암모늄 수용액 (10 mL)을 첨가해 반응을 종결시킨다. EtOAc (3 x 50 mL)를 사용하여 추출하고 물과 brine을 이용해 세척했다. 유기층은 무수 MgSO4를 넣어 건조한 후,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했다. 혼합물은 실리카겔 관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으로 (EtOAc/Acetone/Hexane = 1:1:18) 정제하여 노란색 오일인 화합물 tert-부틸 4-(5-((4-플루오로벤질)옥시)피리미딘-2-일)-1,4-다이아제페인-1-카복실레이트 (64 mg, mixture)를 얻었다.
[화학식 21]
Figure 112020092905944-pat00024
1H-NMR (400MHz, CDCl3): δ 8.08 (s, 2H), 7.38-7.31 (m, 10H), 7.09-7.02 (m, 10H), 4.99 (s, 2H), 4.66 (s, 8H), 3.84-3.78 (m, 2H), 3.71-3.68 (m, 2H), 3.58-3.50 (m, 2H), 3.34 (t, J= 5.8 Hz, 1H), 3.25 (t, J= 6.1 Hz, 1H), 1.96-1.90 (m, 2H), 1.43 (d, J= 11.5 Hz, 9H).
(22) 4-(5-((3-플루오로벤질)옥시)피리미딘-2-일)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 (화합물 22)
아르곤 기체로 충진한 바이알에 피페라진 카복실레이트 (35 mg, 0.09 mmol)를 다이옥세인 (2.3 mL)에 녹인 뒤에 4 M HCl/dioxane (2.0 mL)를 천천히 첨가했다. 상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한 뒤 TLC를 이용하여 반응을 확인한 후 증류수 (3 x 20 mL)로 추출하고 남은 분리된 유기층은 혼합물의 pH가 8이 될 때까지 탄산 수소 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했다. EtOAc (3 x 20 mL)를 사용하여 추출하고 물과 brine을 이용해 세척했다. 유기층은 무수 MgSO4를 넣어 건조한 후,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했다. 혼합물은 실리카겔 관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으로 (MeOH/DCM = 1:15) 정제하여 순수한 흰색 고체인 화합물 (15 mg, 58%)를 얻었다. 화합물은 4 M HCl/diethyl ether로 처리 후에 솔트 형태로 얻어냈다.
[화학식 22]
Figure 112020092905944-pat00025
1H-NMR (400MHz, MeOD): δ 8.23 (s, 1H), δ 7.42-7.37 (m, 1H), δ 7.25-7.17 (m, 2H), δ 7.06 (td, J = 8.5, 2.4 Hz, 1H), δ 7.07-7.02 (m, 1H), δ 5.12 (s, 2H), δ 3.95 (t, J = 5.3 Hz, 4H), δ 3.23 (t, J = 5.3 Hz, 4H).
13C-NMR (100 MHz, MeOD): δ 164.3 (d, 1 J = 243 Hz), 158.2, 147.7, 147.4, 140.8 (d, 3 J = 7 Hz), 131.5 (d, 3 J = 8 Hz), 124.4 (d, 4 J = 3 Hz), 115.8 (d, 2 J = 21 Hz), 115.3 (d, 2 J = 22 Hz), 71.9, 44.3, 42.6.
LRMS-EI (m/z): [M-HCl]+ calcd for C15H17FN4O: 288.33, found: 288.33
(23) 4-(5-((4-플루오로벤질)옥시)피리미딘-2-일)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 (화합물 23)
아르곤 기체로 충진한 바이알에 피페라진 카복실레이트 (280 mg, 0.635 mmol)를 다이클로로메테인 (1.1 mL)에 녹인 뒤에 0 ℃에서 TFA (7.3 mL)를 천천히 첨가했다. 혼합물을 3 시간 동안 교반한 뒤 TLC를 이용하여 반응을 확인한 후 혼합물의 pH가 8이 될 때까지 탄산 수소 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했다. EtOAc (3 x 50 mL)를 사용하여 추출하고 물과 brine을 이용해 세척했다. 유기층은 무수 MgSO4를 넣어 건조한 후,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했다. 혼합물은 실리카겔 관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으로 (MeOH/DCM = 1:15) 정제하여 순수한 흰색 고체인 화합물 (122 mg, two-step yield 67%)를 얻었다. 화합물은 4 M HCl/diethyl ether로 처리 후에 솔트 형태로 얻어냈다.
[화학식 23]
Figure 112020092905944-pat00026
1H-NMR (400MHz, MeOD): δ 8.22 (s, 2H), 7.47-7.43 (m, 2H), 7.13-7.08 (m, 2H), 5.08 (s, J = 2.5 Hz, 2H), 3.95 (t, J = 5.3 Hz, 4H), 3.24 (t, J = 5.2 Hz, 4H).
13C-NMR (100 MHz, MeOD): δ 164.0 (d, 1 J = 243 Hz), 158.4, 147.4, 134.0 (d, 4 J = 3 Hz), 132.3, 131.0 (d, 3 J = 8 Hz), 116.3 (d, 2 J = 22 Hz), 72.1, 44.7, 43.3.
LRMS-EI (m/z): [M-HCl]+ calcd for C15H17FN4O: 288.33, found: 288.33
(24)( R )-4-(5-((3-플루오로벤질)옥시)피리미딘-2-일)-3-메틸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화합물 24)
아르곤 기체로 충진한 바이알에 메틸피페라진 카복실레이트 (55 mg, 0.136 mmol)를 다이클로로메테인 (1.3 mL)에 녹인 뒤에 0 ℃에서 TFA (0.2 mL)를 천천히 첨가했다. 혼합물을 3시간 동안 교반한 뒤 TLC를 이용하여 반응을 확인한 후 혼합물의 pH가 8이 될 때까지 탄산 수소 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했다. EtOAc (3 x 20 mL)를 사용하여 추출하고 물과 brine을 이용해 세척했다. 유기층은 무수 MgSO4를 넣어 건조한 후,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했다. 혼합물은 실리카겔 관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으로 (MeOH/DCM = 1:15) 정제하여 순수한 노란색 고체인 화합물 (29 mg, 70%)를 얻었다. 화합물은 4 M HCl/diethyl ether로 처리 후에 솔트 형태로 얻어냈다.
[화학식 24]
Figure 112020092905944-pat00027
1H-NMR (400MHz, CDCl3): δ 8.12 (s, 2H), 7.37-7.33 (m, 1H), 7.17-7.11 (m, 2H), 7.03 (td, J = 8.4, 2.3 Hz, 1H), 5.01 (s, 1H), 4.85-4.82 (m, 1H), 4.45-4.40 (m, 1H), 3.23-3.17 (m, 2H), 3.10-3.01 (m, 2H), 2.89-2.82 (m, 1H), 1.30 (d, J = 6.9 Hz, 3H).
13C-NMR (100 MHz, MeOD): δ 165.6 (d, 1 J = 244 Hz), 157.8, 147.4, 140.8, 131.4 (d, 3 J = 9 Hz), 124.3, 115.8 (d, 2 J = 20 Hz), 115.3 (d, 2 J = 22 Hz), 71.9, 45.8, 44.8, 37.2, 13.4.
LRMS-EI (m/z): [M-HCl]+ calcd for C16H19FN4O: 302.35, found 302.35
(25) ( R )-4-(5-((4-플루오로벤질)옥시)피리미딘-2-일)-3-메틸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 (화합물 25)
아르곤 기체로 충진한 바이알에 메틸피페라진 카복실레이트 (50 mg, 0.12 mmol)를 다이클로로메탄 (1.2 mL)에 녹인 뒤에 0 ℃에서 TFA (0.2 mL)를 천천히 첨가했다. 혼합물을 3 시간 동안 교반한 뒤 TLC를 이용하여 반응을 확인한 후 혼합물의 pH가 8이 될 때까지 탄산 수소 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했다. EtOAc (3 x 20 mL)를 사용하여 추출하고 물과 brine을 이용해 세척했다. 유기층은 무수 MgSO4를 넣어 건조한 후,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했다. 혼합물은 실리카겔 관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으로 (MeOH/DCM = 1:15) 정제하여 순수한 노란색 고체인 화합물 (27 mg, 73%)를 얻었다. 화합물은 4 M HCl/diethyl ether로 처리 후에 솔트 형태로 얻어냈다.
[화학식 25]
Figure 112020092905944-pat00028
1H-NMR (400MHz, CDCl3): δ 8.11 (s, 2H), 7.39-7.35 (m, 2H), 7.09-7.05 (m, 2H), 4.98 (s, 2H), 4.94-4.89 (m, 1H), 4.64-4.61 (m, 1H), 3.48-3.39 (m, 2H), 3.28-3.25 (m, 1H), 3.20-3.12 (m, 1H), 3.01-2.94 (m, 1H), 1.42 (d, J = 7.0 Hz, 3H).
13C-NMR (100 MHz, MeOD): δ 162.8 (d, 1 J = 245 Hz), 156.4, 146.4, 146.1, 131.9, 129.7 (d, 3 J = 8 Hz), 115.8 (d, 2 J = 21 Hz), 71.5, 47.2, 44.3, 43.3, 35.7, 14.0.
LRMS-EI (m/z): [M-HCl]+ calcd for C16H19FN4O: 302.35, found: 302.35
(26) 4-(5-((3-플루오로벤질)옥시)피리미딘-2-일)-1,4-다이아제펜-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 (화합물 26)
아르곤 기체로 충진한 바이알에 아제페인 카복실레이트 (185 mg, 0.56 mmol)를 다이클로로메테인 (5.6 mL)에 녹인 뒤에 0 ℃에서 TFA (0.86 mL)를 천천히 첨가했다. 혼합물을 3 시간 동안 교반한 뒤 TLC를 이용하여 반응을 확인한 후 혼합물의 pH가 8이 될 때까지 탄산 수소 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했다. EtOAc (3 x 30 mL)를 사용하여 추출하고 물과 brine을 이용해 세척했다. 유기층은 무수 MgSO4를 넣어 건조한 후,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했다. 혼합물은 실리카겔 관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으로 (MeOH/DCM = 1:15) 정제하여 순수한 노란색 고체인 화합물 (90 mg, two-step yield : 53%)를 얻었다. 화합물은 4 M HCl/diethyl ether로 처리 후에 솔트 형태로 얻어냈다.
[화학식 26]
Figure 112020092905944-pat00029
1H-NMR (400MHz, CDCl3): δ 8.10 (s, 2H), 7.38-7.32 (m, 1H), 7.17-7.11 (m, 2H), 7.05-7.01 (m, 1H), 5.01 (s, 2H), 3.92-3.90 (m, 2H), 3.81-3.77 (m, 2H), 3.76-3.71 (m, 2H), 3.58 (t, J = 6.0 Hz, 1H), 3.52 (t, J = 6.0 Hz, 1H), 2.07-1.97 (m, 2H).
13C-NMR (100 MHz, MeOD): δ 164.4 (d, 1 J = 243 Hz), 157.9, 147.8, 147.1, 140.9 (d, 3 J = 7 Hz), 131.4 (d, 3 J = 8 Hz), 124.3 (d, 4 J = 3 Hz), 115.8 (d, 2 J = 21 Hz), 115.3 (d, 2 J = 22 Hz), 72.1, 72.1, 47.0, 46.6, 44.6, 26.9.
LRMS-EI (m/z): [M-HCl]+ calcd for C16H19FN4O: 302.35, found: 302.35
(27) 4-(5-((4-플루오로벤질)옥시)피리미딘-2-일)-1,4-다이아제펜-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 (화합물 27)
아르곤 기체로 충진한 바이알에 아제페인 카복실레이트 (93 mg, 0.56 mmol)를 다이클로로메테인 (5.6 mL)에 녹인 뒤에 0 ℃에서 TFA (0.86 mL)를 천천히 첨가했다. 혼합물을 3 시간 동안 교반한 뒤 TLC를 이용하여 반응을 확인한 후 혼합물의 pH가 8이 될 때까지 탄산 수소 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했다. EtOAc (3 x 30 mL)를 사용하여 추출하고 물과 brine을 이용해 세척했다. 유기층은 무수 MgSO4를 넣어 건조한 후,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했다. 혼합물은 실리카겔 관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으로 (MeOH/DCM = 1:15) 정제하여 순수한 노란색 고체인 화합물 8f (12 mg, two-step yield : 7%)를 얻었다. 화합물은 4 M HCl/diethyl ether로 처리 후에 솔트 형태로 얻어냈다.
[화학식 27]
Figure 112020092905944-pat00030
1H-NMR (400MHz, CDCl3): δ 8.11 (s, 2H), 7.37 (dd, J = 8.4, 5.4 Hz, 2H), 7.08 (t, J = 8.6 Hz, 2H), 4.97 (s, 2H), 4.07-4.03 (s, 2H), 3.89-3.86 (m, 2H), 3.35-3.29 (m, 2H), 3.20-3.17 (m, 2H), 2.23-2.22 (m, 2H).
13C-NMR (100 MHz, MeOD): δ 165.4 (d, 1 J = 243 Hz), 155.0, 147.0, 146.8, 133.5, 131.2 (d, 3 J = 8 Hz), 116.4 (d, 2 J = 21 Hz), 72.5, 47.2, 46.9, 46.6, 27.0
LRMS-EI (m/z): [M-HCl]+ calcd for C16H19FN4O: 302.35, found: 302.35
(28) tert -부틸 4-(5-(3-플루오로펜에톡시)피리미딘-2-일)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화합물 28)
아르곤 기체로 충진한 마이크로파 진공관에 tert-부틸 4-(5-브로모피리미딘-2-일) 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150 mg, 0.437 mmol), 2-(3-플루오로페닐에틸) 알코올 (170 μL, 4.37 mmol), 탄산세슘 (211 mg, 0.65 mmol), 아이오딘화 구리 (25 mg, 0.13 mmol), 1,10-페난트롤린 (61 mg, 0.26 mmol)을 톨루엔 (0.87 mL)에 녹인 후 20시간 동안 110 °C에서 교반한다. 상온에서 식힌 뒤에 TLC를 이용하여 반응을 확인한 후 염화암모늄 수용액 (10 mL)을 첨가해 반응을 종결시킨다. EtOAc (3 x 40 mL)를 사용하여 추출하고 물과 brine을 이용해 세척했다. 유기층은 무수 MgSO4를 넣어 건조한 후,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했다. 혼합물은 실리카겔 관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으로 (EtOAc/Acetone/Hexane = 1:1:15) 정제하여 흰색 고체인 화합물 tert-부틸 4-(5-(3-플루오로펜에톡시)피리미딘-2-일)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75 mg, 46%)를 얻었다.
[화학식 28]
Figure 112020092905944-pat00031
1H-NMR (400MHz, CDCl3): δ 8.05 (s, 1H), 7.24-7.20 (m, 2H), 7.02-6.98 (m, 2H), 4.12 (t, J = 6.8 Hz, 2H), 3.69 (t, J = 5.2 Hz, 2H), 3.48 (t, J = 5.2 Hz, 2H), 3.03 (t, J = 6.8 Hz, 2H), 1.48 (s, 1H).
(29) tert -부틸 4-(5-(4-플루오로펜에톡시)피리미딘-2-일)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화합물 29)
아르곤 기체로 충진한 마이크로파 진공관에 tert-부틸 4-(5-브로모피리미딘-2-일) 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200 mg, 0.58 mmol), 2-(4-플루오로페닐에틸) 알코올 (291 μL, 2.33 mmol), 탄산세슘 (283 mg, 0.87 mmol), 아이오딘화구리 (32 mg, 0.17 mmol), 1,10-페난트롤린 (63 mg, 0.34 mmol)을 톨루엔 (1.2 mL)에 녹인 후 20 시간 동안 130 ℃에서 교반한다. 상온에서 식힌 뒤에 TLC를 이용하여 반응을 확인한 후 염화 암모늄 수용액 (10 mL)을 첨가해 반응을 종결시킨다. EtOAc (3 x 60 mL)를 사용하여 추출하고 물과 brine을 이용해 세척했다. 유기층은 무수 MgSO4를 넣어 건조한 후,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했다. 혼합물은 실리카겔 관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으로 (EtOAc/Acetone/Hexane = 1:1:15) 정제하여 노란색 끈적한 고체인 목적 화합물 tert-부틸 4-(5-(4-플루오로펜에톡시)피리미딘-2-일)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125 mg, 54%)를 얻었다.
[화학식 29]
Figure 112020092905944-pat00032
1H-NMR (400MHz, CDCl3): δ 8.05 (s, 1H), 7.24-7.20 (m, 2H), 7.02-6.98 (m, 2H), 4.12 (t, J = 6.8 Hz, 2H), 3.70 (t, J = 5.2 Hz, 2H), 3.48 (t, J = 5.2 Hz, 2H), 3.03 (t, J = 6.8 Hz, 2H), 1.48 (s, 1H).
(30) tert -부티 ( R )-4-(5-(3-플루오로펜에톡시)피리미딘-2-일)-3-메틸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화합물 30)
아르곤 기체로 충진한 마이크로파 진공관에 tert-부틸 (R)-4-(5-브로모피리미딘-2-일)-3-메틸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150 mg, 0.42 mmol), 2-(3-플루오로페닐에틸) 알코올 (0.52 mL, 4.20 mmol), 탄산세슘 (205 mg, 0.63 mmol), 아이오딘화구리 (24 mg, 0.126 mmol), 3,4,7,8-테트라메틸-1,10-페난트롤린 (79 mg, 0.252 mmol)을 톨루엔 (0.5 mL)에 녹인 후 20시간 동안 130 ℃에서 교반한다. 상온에서 식힌 뒤에 TLC를 이용하여 반응을 확인한 후 염화암모늄 수용액 (10 mL)을 첨가해 반응을 종결시킨다. EtOAc (3 x 60 mL)를 사용하여 추출하고 물과 brine을 이용해 세척했다. 유기층은 무수 MgSO4를 넣어 건조한 후,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했다. 혼합물은 실리카겔 관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으로 (EtOAc/Acetone/Hexane = 1:1:20) 정제하여 노란색 오일인 목적 화합물 tert-부티 (R)-4-(5-(3-플루오로펜에톡시)피리미딘-2-일)-3-메틸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42 mg, 24%)를 얻었다.
[화학식 30]
Figure 112020092905944-pat00033
1H-NMR (400MHz, CDCl3): δ 8.06 (s, 2H), 7.30-7.26 (m, 1H), 7.04-7.02 (m, 1H), 6.98-6.91 (m, 2H), 4.98 (s, 2H), 4.80-4.70 (m, 1H), 4.31-4.28 (m, 1H), 4.14 (t, J = 6.7 Hz, 2H), 3.97-3.90 (m, 2H), 3.17-3.10 (m, 2H), 3.06 (t, J = 6.7 Hz, 2H), 3.00-2.80 (m. 2H), 1.48 (s, 9H), 1.14 (d, J = 6.7 Hz, 3H).
(31) tert -부틸 ( R )-4-(5-(4-플루오로펜에톡시)피리미딘-2-일)-3-메틸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화합물 31)
아르곤 기체로 충진한 마이크로파 진공관에 tert-부틸 (R)-4-(5-브로모피리미딘-2-일)-3-메틸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200 mg, 0.56 mmol), 2-(4-플루오로페닐에틸) 알코올 (0.28 mL, 2.24 mmol), 탄산세슘 (273 mg, 0.84 mmol), 아이오딘화 구리 (32 mg, 0.17 mmol), 3,4,7,8-테트라메틸-1,10-페난트롤린 (79 mg, 0.34 mmol)을 톨루엔 (1.1 mL) 에 녹인 후 20 시간 동안 130 °C에서 교반한다. 상온에서 식힌 뒤에 TLC를 이용하여 반응을 확인한 후 염화 암모늄 수용액 (10 mL)을 첨가해 반응을 종결시킨다. EtOAc (3 x 60 mL)를 사용하여 추출하고 물과 brine을 이용해 세척했다. 유기층은 무수 MgSO4를 넣어 건조한 후,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했다. 혼합물은 실리카겔 관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으로 (EtOAc/Acetone/Hexane = 1:1:20) 정제하여 노란색 오일인 목적 화합물 tert-부틸 (R)-4-(5-(4-플루오로펜에톡시)피리미딘-2-일)-3-메틸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90 mg, 39%)를 얻었다.
[화학식 31]
Figure 112020092905944-pat00034
1H-NMR (400MHz, CDCl3): δ 8.05 (s, 2H), 7.23-7.20 (m, 2H), 7.02-6.98 (m, 2H), 4.80-4.70 (m, 1H), 4.30-4.27 (m, 1H), 4.12 (t, J = 6.9 Hz, 2H), 3.98-3.87 (m, 2H), 3.17-3.09 (m, 1H), 3.03 (t, J = 6.8 Hz, 2H), 3.01-2.89 (m, 2H), 1.48 (s, 9H), 1.14 (d, J = 6.7 Hz, 3H).
(32) tert -부틸 4-(5-(3-플루오로펜에톡시)피리미딘-2-일)-1,4-다이아제페인-1-카복실레이트 (화합물 32)
아르곤 기체로 충진한 마이크로파 진공관에 tert-부틸 4-(5-브로모피리미딘-2-일)-1,4-다이아제페인-1-카복실레이트 (200 mg, 0.56 mmol), 2-(3-플루오로페닐에틸) 알코올 (0.42 mL, 3.36 mmol), 탄산세슘 (273 mg, 0.84 mmol), 아이오딘화 구리 (32 mg, 0.17 mmol), 3,4,7,8-테트라메틸-1,10-페난트롤린 (79 mg, 0.34 mmol)을 톨루엔 (1.1 mL)에 녹인 후 20 시간 동안 130 ℃에서 교반한다. 상온에서 식힌 뒤에 TLC를 이용하여 반응을 확인한 후 염화 암모늄 수용액 (10 mL)을 첨가해 반응을 종결시킨다. EtOAc (3 x 60 mL)를 사용하여 추출하고 물과 brine을 이용해 세척했다. 유기층은 무수 MgSO4를 넣어 건조한 후,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했다. 혼합물은 실리카겔 관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으로 (EtOAc/Acetone/Hexane = 1:0.5:18) 정제하여 무색 오일인 화합물 tert-부틸 4-(5-(3-플루오로펜에톡시)피리미딘-2-일)-1,4-다이아제페인-1-카복실레이트 (273 mg, mixture)를 얻었다.
[화학식 32]
Figure 112020092905944-pat00035
1H-NMR (400MHz, CDCl3): δ 8.04 (s, 2H), 7.29-7.24 (m, 5H), 7.01-6.99 (m, 10H), 6.95-6.90 (m, 20H), 4.13 (t, J = 6.7 Hz, 2H), 3.87 (t, J = 6.1 Hz, 20H), 3.78-3.69 (m, 2H), 3.54-3.52 (m, 2H), 3.34 (t, J = 5.8 Hz, 1H), 3.24 (t, J = 6.0 Hz, 1H), 3.06-3.03 (t, J = 6.7 Hz, 2H), 2.87 (t, J = 6.5 Hz, 20H), 1.95-1.92 (m, 2H), 1.43 (d, J = 11.8 Hz, 9H).
(33) tert -부틸 4-(5-(4-플루오로펜에톡시)피리미딘-2-일)-1,4-다이아제페인-1-카복실레이트 (화합물 33)
아르곤 기체로 충진한 마이크로파 진공관에 tert-부틸 4-(5-브로모피리미딘-2-일)-1,4-다이아제페인-1-카복실레이트 (200 mg, 0.56 mmol), 2-(4-플루오로페닐에틸) 알코올 (0.42 mL, 3.36 mmol), 탄산세슘 (273 mg, 0.84 mmol), 아이오딘화 구리 (32 mg, 0.17 mmol), 3,4,7,8-테트라메틸-1,10-페난트롤린 (79 mg, 0.34 mmol)을 톨루엔 (1.1 mL)에 녹인 후 20 시간 동안 130 ℃에서 교반한다. 상온에서 식힌 뒤에 TLC를 이용하여 반응을 확인한 후 염화 암모늄 수용액 (10 mL)을 첨가해 반응을 종결시킨다. EtOAc (3 x 60 mL)를 사용하여 추출하고 물과 brine을 이용해 세척했다. 유기층은 무수 MgSO4를 넣어 건조한 후,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했다. 혼합물은 실리카겔 관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으로 (EtOAc/Acetone/Hexane = 1:0.5:18) 정제하여 노란색 오일인 화합물 tert-부틸 4-(5-(4-플루오로펜에톡시)피리미딘-2-일)-1,4-다이아제페인-1-카복실레이트 (264 mg, mixture)를 얻었다.
[화학식 33]
Figure 112020092905944-pat00036
1H-NMR (400MHz, CDCl3): δ 8.01 (s, 2H), 7.17 (dd, J = 8.3, 5.6 Hz, 20H), 6.98 (dd, J = 11.9, 5.4 Hz, 20H), 4.09 (t, J = 6.8 Hz, 2H), 3.79 (t, J = 3.3 Hz, 20H), 3.69 (t, J = 5.4 Hz, 2H), 3.52 (t, J = 5.4 Hz, 2H), 3.32-3.23 (m, 2H), 3.01 (t, J = 6.7 Hz, 2H), 2.81 (t, J = 6.6 Hz, 2H), 1.94-1.89 (m, 2H), 1.41 (d, J = 10.7 Hz, 9H).
(34) 4-(5-(3-플루오로펜에톡시)피리미딘-2-일)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 (화합물 34)
아르곤 기체로 충진한 바이알에 피페라진 카복실레이트 (43 mg, 0.166 mmol)를 다이클로로메테인 (1.7 mL)에 녹인 뒤에 0 ℃에서 TFA (0.25 mL)를 천천히 첨가했다. 혼합물을 3 시간 동안 교반한 뒤 TLC를 이용하여 반응을 확인한 후 혼합물의 pH가 8이 될 때까지 탄산 수소 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했다. EtOAc (3 x 20 mL)를 사용하여 추출하고 물과 brine을 이용해 세척했다. 유기층은 무수 MgSO4를 넣어 건조한 후,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했다. 혼합물은 실리카겔 관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으로 (MeOH/DCM = 1:15) 정제하여 순수한 흰색 고체인 목적 화합물 (23 mg, two-step yield: 46%)를 얻었다. 화합물은 4 M HCl/diethyl ether로 처리 후에 솔트 형태로 얻어냈다.
[화학식 34]
Figure 112020092905944-pat00037
1H-NMR (400MHz, MeOD): δ 8.17 (s, 2H), 7.34-7.29 (m, 1H), 7.13 (d, J = 8 Hz, 1H), 7.07 (d, J = 10.1 Hz, 1H), 6.96 (td, J = 8.7, 2.3 Hz, 1H), 4.25 (t, J = 6.5 Hz, 2H), 3.97 (t, J = 5.2 Hz, 4H), 3.27 (t, J = 5.2 Hz, 4H), 3.09 (t, J = 6.5 Hz, 2H).
13C-NMR (100 MHz, MeOD) δ 164.3 (d, 1 J = 242 Hz), 158.1, 148.2, 146.8, 142.5 (d, 3 J = 7 Hz), 131.1 (d, 3 J = 8 Hz), 125.9 (d, 4 J = 3 Hz), 116.7 (d, 2 J = 21 Hz), 114.3 (d, 2 J = 21 Hz), 71.28, 44.3, 42.7, 36.4, 36.4.
LRMS-EI (m/z): [M-HCl]+ calcd for C16H19FN4O: 302.35, found: 302.35
(35) 4-(5-(4-플루오로펜에톡시)피리미딘-2-일)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 (화합물 35)
아르곤 기체로 충진한 바이알에 피페라진 카복실레이트 (150 mg, 0.482 mmol)를 다이클로로메테인 (3.7 mL)에 녹인 뒤에 0 ℃에서 TFA (0.57 mL)를 천천히 첨가했다. 혼합물을 3 시간 동안 교반한 뒤 TLC를 이용하여 반응을 확인한 후 혼합물의 pH가 8이 될 때까지 탄산 수소 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했다. EtOAc (3 x 40 mL)를 사용하여 추출하고 물과 brine을 이용해 세척했다. 유기층은 무수 MgSO4를 넣어 건조한 후,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했다. 혼합물은 실리카겔 관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으로 (MeOH/DCM = 1:15) 정제하여 순수한 흰색 고체인 목적 화합물 (78 mg, two-step yield: 53%)를 얻었다. 화합물은 4 M HCl/diethyl ether로 처리 후에 솔트 형태로 얻어냈다.
[화학식 35]
Figure 112020092905944-pat00038
1H-NMR (400MHz, MeOD): δ 8.16 (s, 2H), 7.32-7.28 (m, 2H), 7.04-6.99 (m, 2H), 4.21 (t, J = 6.6 Hz, 2H), 3.95 (t, J = 5.1 Hz, 4H), 3.27 (t, J = 5.1 Hz, 4H), 3.05 (t, J = 6.6 Hz, 2H).
13C-NMR (100 MHz, MeOD): δ 163.1 (d, 1 J = 241 Hz), 158.6, 147.7, 146.8, 135.51, 131.7 (d, 3 J = 8 Hz), 116.0 (d, 2 J = 21 Hz), 71.7, 45.3, 44.5, 35.9.
LRMS-EI (m/z): [M-HCl]+ calcd for C16H19FN4 302.35, found 302.35
(36)( R )-4-(5-(3-플루오로펜에톡시)피리미딘-2-일)-3-메틸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 (화합물 36)
아르곤 기체로 충진한 바이알에 메틸피페라진 카복실레이트 (111 mg, 0.42 mmol)를 다이클로로메테인 (4.2 mL)에 녹인 뒤에 0 ℃에서 TFA (8.4 mL)를 천천히 첨가했다. 혼합물을 3 시간 동안 교반한 뒤 TLC를 이용하여 반응을 확인한 후 혼합물의 pH가 8이 될 때까지 탄산 수소 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했다. EtOAc (3 x 40 mL)를 사용하여 추출하고 물과 brine을 이용해 세척했다. 유기층은 무수 MgSO4를 넣어 건조한 후,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했다. 혼합물은 실리카겔 관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으로 (MeOH/DCM = 1:15) 정제하여 순수한 노란색 오일인 목적 화합물 (32 mg, two-step yield: 37%)를 얻었다. 화합물은 4 M HCl/diethyl ether로 처리 후에 솔트 형태로 얻어냈다.
[화학식 36]
Figure 112020092905944-pat00039
1H-NMR (400MHz, CDCl3): δ 8.06 (s, 2H), 7.28 (dd, J = 13.9, 7.9 Hz, 1H), 7.03 (d, J = 7.6 Hz, 1H), 6.98-6.91 (m, 2H), 4.86 (s, 2H), 4.45 (d, J = 12.4 Hz, 1H), 4.15 (t, J = 6.7 Hz, 2H), 3.28-3.14 (m, 2H), 3.11-3.08 (m, 1H), 3.06 (t, J = 6.7 Hz, 2H), 2.87 (td, J = 12.6, 4.1 Hz, 2H), 1.26 (d, J = 6.9 Hz, 2H).
13C-NMR (100 MHz, MeOD): δ 163.10 (d, 1 J = 245 Hz), 157.6, 147.9, 146.1, 142.5 (d, 3 J = 7 Hz), 131.1 (d, 3 J = 8 Hz), 125.9 (d, 4 J = 3 Hz), 116.7 (d, 2 J = 21 Hz), 114.2 (d, 2 J = 21 Hz), 71.3, 45.6, 44.6, 36.7, 36.4, 30.9, 13.3.
LRMS-EI (m/z): [M-HCl]+ calcd for C17H21FN4O: 316.38, found: 316.38
(37)( R )-4-(5-(4-플루오로펜에톡시)피리미딘-2-일)-3-메틸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 (화합물 37)
아르곤 기체로 충진한 바이알에 메틸피페라진 카복실레이트 (60 mg, 0.144 mmol)를 다이클로로메테인 (1.4 mL)에 녹인 뒤에 0 ℃에서 TFA (0.22 mL)를 천천히 첨가했다. 혼합물을 3 시간 동안 교반한 뒤 TLC를 이용하여 반응을 확인한 후 혼합물의 pH가 8이 될 때까지 탄산 수소 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했다. EtOAc (3 x 20 mL)를 사용하여 추출하고 물과 brine을 이용해 세척했다. 유기층은 무수 MgSO4를 넣어 건조한 후,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했다. 혼합물은 실리카겔 관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으로 (MeOH/DCM = 1:15) 정제하여 순수한 노란색 고체인 목적 화합물 10d (39 mg, 85%)를 얻었다. 화합물은 4 M HCl/diethyl ether로 처리 후에 솔트 형태로 얻어냈다.
[화학식 37]
Figure 112020092905944-pat00040
1H-NMR (400MHz, CDCl3): δ 8.06 (s, 2H), 7.22 (dd, J = 8.4, 5.5 Hz, 2H), 7.00 (t, J = 8.7 Hz, 2H), 4.87-4.85 (m, 1H), 4.46-4.42 (m, 1H), 4.12 (t, J = 6.8 Hz, 2H), 3.27-3.16 (m, 2H), 3.09-3.05 (m, 2H), 3.03 (t, J = 6.7 Hz, 2H), 2.90-2.84 (m, 1H), 1.37 (d, J = 7.0 Hz, 3H).
13C-NMR (100 MHz, MeOD): δ 163.08 (d, 1 J = 241 Hz), 157.7, 147.8, 146.9, 135.5 (d, 4 J = 3 Hz), 131.7 (d, 3 J = 8 Hz), 116.0 (d, 2 J = 21 Hz), 71.7, 45.8, 44.8, 37.2, 35.9, 30.9, 30.7, 13.3.
LRMS-EI (m/z): [M-HCl]+ calcd for C17H21FN4 316.38, found 316.38
(38) 4-(5-(3-플루오로펜에톡시)피리미딘-2-일)-1,4-다이아제펜-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 (화합물 38)
아르곤 기체로 충진한 바이알에 아제페인 카복실레이트 (273 mg, 0.56 mmol)를 다이클로로메테인 (5.6 mL)에 녹인 뒤에 0 ℃에서 TFA (0.86 mL)를 천천히 첨가했다. 혼합물을 3 시간 동안 교반한 뒤 TLC를 이용하여 반응을 확인한 후 혼합물의 pH가 8이 될 때까지 탄산 수소 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했다. EtOAc (3 x 50 mL)를 사용하여 추출하고 물과 brine을 이용해 세척했다. 유기층은 무수 MgSO4를 넣어 건조한 후,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했다. 혼합물은 실리카겔 관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으로 (MeOH/DCM = 1:15) 정제하여 순수한 흰색 고체인 목적 화합물 (11 mg, two-step yield: 6.5%)를 얻었다. 화합물은 4 M HCl/diethyl ether로 처리 후에 솔트 형태로 얻어냈다.
[화학식 38]
Figure 112020092905944-pat00041
1H-NMR (400MHz, CDCl3): δ 8.04 (s, 2H), 7.30-7.28 (m, 2H), 7.04-7.03 (m, 1H), 6.99-6.94 (m, 2H), 4.15 (t, J = 6.6 Hz, 2H), 3.91-3.89 (m, 2H), 3.79-3.77 (m, 2H), 3.75-3.72 (m, 2H), 3.57-3.55 (m, 1H), 3,50-3.49 (m, 1H), 3.06 (t, J = 6.5 Hz, 2H), 2.05-1.98 (m, 2H).
13C-NMR (100 MHz, MeOD): δ 147.4, 147.3, 147.2, 131.1, 131.0, 125.9, 125.9, 116.8, 116.6, 114.2, 114.0, 71.59, 47.7, 46.66, 46.5, 36.5, 25.9.
LRMS-EI (m/z): [M-HCl]+ calcd for C17H21FN4O: 316.38, found: 316.38
(39) 4-(5-(4-플루오로펜에톡시)피리미딘-2-일)-1,4-다이아제펜-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 (화합물 39)
아르곤 기체로 충진한 바이알에 아제페인 카복실레이트 (250 mg, 0.56 mmol)를 다이클로로메테인 (5.6 mL)에 녹인 뒤에 0 ℃에서 TFA (0.86 mL)를 천천히 첨가했다. 혼합물을 3 시간 동안 교반한 뒤 TLC를 이용하여 반응을 확인한 후 혼합물의 pH가 8이 될 때까지 탄산 수소 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했다. EtOAc (3 x 50 mL)를 사용하여 추출하고 물과 brine을 이용해 세척했다. 유기층은 무수 MgSO4를 넣어 건조한 후,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했다. 혼합물은 실리카겔 관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방법으로 (MeOH/DCM = 1:15) 정제하여 순수한 흰색 고체인 목적 화합물 (6 mg, two-step yield: 3.5%)를 얻었다. 화합물은 4 M HCl/diethyl ether로 처리 후에 솔트 형태로 얻어냈다.
[화학식 39]
Figure 112020092905944-pat00042
1H-NMR (400MHz, CDCl3): δ 8.04 (s, 2H), 7.22 (dd, J = 8.4, 5.5 Hz, 2H), 7.01 (t, J = 8.6 Hz, 2H), 4.12 (t, J = 6.8 Hz, 2H), 3.92-3.89 (m, 2H), 3.81-3.77 (m, 2H), 3.75-3.71 (m, 2H), 3.57 (t, J = 6.0 Hz, 1H), 3.51 (t, J = 6.0 Hz, 1H), 3.03 (t, J = 6.7 Hz, 2H), 2.07-1.96 (m, 2H).
13C-NMR (100 MHz, MeOD): δ 156.4, 146.2, 145.8, 134.2, 130.3 (d, 3 J = 8 Hz), 114.6 (d, 2 J = 21 Hz), 70.5, 60.1, 45.6, 45.2, 43.2, 34.6, 29.5, 25.5.
LRMS-EI (m/z): [M-HCl]+ calcd for C17H21FN4O: 316.38, found: 316.38
실시예 2. 5-HT receptor subtypes에 대한 결합 친화력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합성한 2,5-이치환된 피리미딘 유도체의 5-HT 수용체 아형에 대한 결합 친화력(binding affinity)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1A 1B 1D 1E 2A 2B 2C 3 4 5A 6 7
화합물
번호
%inhibition at 10 uM %inhibition at 10 uM %inhibition at 10 uM %inhibition at 10 uM %inhibition at 10 uM %inhibition at 10 uM %inhibition at 10 uM %inhibition at 10 uM %inhibition at 10 uM %inhibition at 10 uM %inhibition at 10 uM %inhibition at 10 uM
10 -2.35 32.14 6.33 4.23 47.88 7.18 8.61 59.36 70.6 -27.21 10.91 -11.68
11 23.17 29.71 -2.62 10.23 49.59 25.26 19.19 53.07 55.17 -2.87 12.45 -2.91
12 -3.03 27.04 -19.1 12.34 68.78 36.54 10.43 32.32 48.52 -8.94 52.43 10.11
13 16.86 26.73 11.76 23.64 85.71 46.06 13.62 56.7 32.89 6.77 21.58 21.31
14 2.92 22.7 -7.61 -2.54 32.05 20.21 21.01 67.97 54.74 6.02 0.38 -13.01
15 16.13 20.76 17.59 -0.62 34.8 27.83 20.07 33.39 55.23 16.41 11.1 54
22 6.21 30.56 31.36 11.72 80.45 82.98 19.94 51.34 67.44 13.25 58.56 23.74
23 6.58 35.42 20.1 12.76 62.46 67.74 22.76 44.17 75.91 -0.79 31.53 17.92
24 23.23 41.72 -9.04 40.34 92.52 85.15 31.84 75.43 62.18 4.61 87.86 10.68
25 14.51 41.13 46.99 43.36 83.09 65.27 10.8 48.83 69.28 22.48 56.51 -1.33
26 -12.21 17.37 2.91 12.99 12.27 28.09 7.79 17.56 39.12 6.27 12.11 9.39
27 -7.52 15.09 22.63 -2.79 15.42 23.51 20.76 24.22 52.9 6.03 6.99 30.41
34 2.87 27.31 17.77 18.74 72.96 52.19 26.58 45.46 95.53 22.89 24.67 6.86
35 13.18 28.07 27.01 24.31 51.26 58.01 12.93 54.74 97.47 16.99 32.53 1.57
36 7.25 27.23 24.68 26.87 80.12 61.97 68.17 54.29 89.99 6.65 26.8 0.81
37 11.76 22.95 24.96 24.95 69.71 69.8 66.16 44.5 90.72 1.12 28.76 30.55
38 2.69 32.64 8.51 4.94 21.66 69.08 34.25 36.1 85.19 -4.26 17.53 11.25
39 3.92 41.75 8.74 1.6 21.17 29.69 28.69 32.93 85.21 -2.61 19.3 3.1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5-이치환된 피리미딘 유도체 또는 이의 염:
    [화학식 1]
    Figure 112022094877777-pat00043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0 내지 2의 정수이고, R은 피페라진, 메틸피페라진, 및 다이아제페인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고,
    상기 2,5-이치환된 피리미딘 유도체는 4-(5-(3-플루오로페녹시)피리미딘-2-일)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
    4-(5-(4-플루오로페녹시)피리미딘-2-일)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
    (R)-4-(5-(3-플루오로페녹시)피리미딘-2-일)-3-메틸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
    (R)-4-(5-(4-플루오로페녹시)피리미딘-2-일)-3-메틸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
    4-(5-(3-플루오로페녹시)피리미딘-2-일)-1,4-다이아제펜-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
    4-(5-(4-플루오로페녹시)피리미딘-2-일)-1,4-다이아제펜-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
    4-(5-((3-플루오로벤질)옥시)피리미딘-2-일)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
    4-(5-((4-플루오로벤질)옥시)피리미딘-2-일)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
    (R)-4-(5-((3-플루오로벤질)옥시)피리미딘-2-일)-3-메틸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
    (R)-4-(5-((4-플루오로벤질)옥시)피리미딘-2-일)-3-메틸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
    4-(5-((3-플루오로벤질)옥시)피리미딘-2-일)-1,4-다이아제펜-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
    4-(5-((4-플루오로벤질)옥시)피리미딘-2-일)-1,4-다이아제펜-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
    4-(5-(3-플루오로펜에톡시)피리미딘-2-일)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
    4-(5-(4-플루오로펜에톡시)피리미딘-2-일)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
    (R)-4-(5-(3-플루오로펜에톡시)피리미딘-2-일)-3-메틸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
    (R)-4-(5-(4-플루오로펜에톡시)피리미딘-2-일)-3-메틸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
    4-(5-(3-플루오로펜에톡시)피리미딘-2-일)-1,4-다이아제펜-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 및
    4-(5-(4-플루오로펜에톡시)피리미딘-2-일)-1,4-다이아제펜-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리미딘 유도체 또는 이의 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5-이치환된 피리미딘 유도체 또는 이의 염은 5-HT2A, 5-HT2B 및 5-HT4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수용체에 대한 항진제로서의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리미딘 유도체 또는 이의 염.
  5.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5-이치환된 피리미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중추신경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22094877777-pat00044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0 내지 2의 정수이고, R은 피페라진, 메틸피페라진, 및 다이아제페인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고,
    상기 2,5-이치환된 피리미딘 유도체는 4-(5-(3-플루오로페녹시)피리미딘-2-일)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
    4-(5-(4-플루오로페녹시)피리미딘-2-일)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
    (R)-4-(5-(3-플루오로페녹시)피리미딘-2-일)-3-메틸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
    (R)-4-(5-(4-플루오로페녹시)피리미딘-2-일)-3-메틸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
    4-(5-(3-플루오로페녹시)피리미딘-2-일)-1,4-다이아제펜-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
    4-(5-(4-플루오로페녹시)피리미딘-2-일)-1,4-다이아제펜-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
    4-(5-((3-플루오로벤질)옥시)피리미딘-2-일)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
    4-(5-((4-플루오로벤질)옥시)피리미딘-2-일)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
    (R)-4-(5-((3-플루오로벤질)옥시)피리미딘-2-일)-3-메틸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
    (R)-4-(5-((4-플루오로벤질)옥시)피리미딘-2-일)-3-메틸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
    4-(5-((3-플루오로벤질)옥시)피리미딘-2-일)-1,4-다이아제펜-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
    4-(5-((4-플루오로벤질)옥시)피리미딘-2-일)-1,4-다이아제펜-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
    4-(5-(3-플루오로펜에톡시)피리미딘-2-일)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
    4-(5-(4-플루오로펜에톡시)피리미딘-2-일)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
    (R)-4-(5-(3-플루오로펜에톡시)피리미딘-2-일)-3-메틸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
    (R)-4-(5-(4-플루오로펜에톡시)피리미딘-2-일)-3-메틸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
    4-(5-(3-플루오로펜에톡시)피리미딘-2-일)-1,4-다이아제펜-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 및
    4-(5-(4-플루오로펜에톡시)피리미딘-2-일)-1,4-다이아제펜-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고,
    상기 중추신경계 질환은 알츠하이머병, 간질, 편두통, 신허혈, 뇌졸중, 심근경색, 조현병, 우울증,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 헌팅톤병, 약물 남용, 파킨슨씨 병, 요실금, 및 비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6. 삭제
  7.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5-이치환된 피리미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장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22094877777-pat00045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0 내지 2의 정수이고, R은 피페라진, 메틸피페라진, 및 다이아제페인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고,
    상기 2,5-이치환된 피리미딘 유도체는 4-(5-(3-플루오로페녹시)피리미딘-2-일)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
    4-(5-(4-플루오로페녹시)피리미딘-2-일)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
    (R)-4-(5-(3-플루오로페녹시)피리미딘-2-일)-3-메틸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
    (R)-4-(5-(4-플루오로페녹시)피리미딘-2-일)-3-메틸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
    4-(5-(3-플루오로페녹시)피리미딘-2-일)-1,4-다이아제펜-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
    4-(5-(4-플루오로페녹시)피리미딘-2-일)-1,4-다이아제펜-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
    4-(5-((3-플루오로벤질)옥시)피리미딘-2-일)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
    4-(5-((4-플루오로벤질)옥시)피리미딘-2-일)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
    (R)-4-(5-((3-플루오로벤질)옥시)피리미딘-2-일)-3-메틸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
    (R)-4-(5-((4-플루오로벤질)옥시)피리미딘-2-일)-3-메틸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
    4-(5-((3-플루오로벤질)옥시)피리미딘-2-일)-1,4-다이아제펜-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
    4-(5-((4-플루오로벤질)옥시)피리미딘-2-일)-1,4-다이아제펜-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
    4-(5-(3-플루오로펜에톡시)피리미딘-2-일)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
    4-(5-(4-플루오로펜에톡시)피리미딘-2-일)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
    (R)-4-(5-(3-플루오로펜에톡시)피리미딘-2-일)-3-메틸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
    (R)-4-(5-(4-플루오로펜에톡시)피리미딘-2-일)-3-메틸피페라진-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
    4-(5-(3-플루오로펜에톡시)피리미딘-2-일)-1,4-다이아제펜-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 및
    4-(5-(4-플루오로펜에톡시)피리미딘-2-일)-1,4-다이아제펜-1-윰·하이드로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고,
    상기 위장 질환은 과민성대장증후군, 변비, 소화불량, 위 배출 지연증, 위식도 역류성 질환, 위마비증, 수술후 장폐색증, 가성 장 폐색증, 및 약물로-유도된 통과 지연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8. 삭제
KR1020200111721A 2019-09-02 2020-09-02 2,5-이치환된 피리미딘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KR1024834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08387 2019-09-02
KR1020190108387 2019-09-02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218A KR20210027218A (ko) 2021-03-10
KR102483492B1 true KR102483492B1 (ko) 2023-01-02
KR102483492B9 KR102483492B9 (ko) 2023-10-19

Family

ID=7514861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1721A KR102483492B1 (ko) 2019-09-02 2020-09-02 2,5-이치환된 피리미딘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KR1020200111722A KR102483495B1 (ko) 2019-09-02 2020-09-02 2,4-이치환된 피리미딘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1722A KR102483495B1 (ko) 2019-09-02 2020-09-02 2,4-이치환된 피리미딘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8349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58129A1 (en) * 2013-10-17 2015-04-23 Blueprint Medicines Corporation Compositions useful for treating disorders related to kit
US20160280644A1 (en) * 2015-03-27 2016-09-29 Scifluor Life Sciences, Inc. Aryl- and heteroaryl-pyrrolidine-2-carboxamide compounds
WO2016187377A1 (en) * 2015-05-19 2016-11-24 Northeastern University Compounds and methods for modulating serotonin receptors in the periphery
WO2017025058A1 (zh) * 2015-08-13 2017-02-16 广东东阳光药业有限公司 取代的吲哚化合物及其使用方法和用途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24267B1 (en) * 2004-02-26 2013-11-06 ASKA Pharmaceutical Co., Ltd. Pyrimidine derivative
CN101277700B (zh) * 2005-08-04 2013-02-20 詹森药业有限公司 作为5-羟色胺受体调节剂的嘧啶化合物
MA37975B2 (fr) * 2012-09-11 2021-03-31 Genzyme Corp Inhibiteurs de synthase de glucosylcéramide
KR102103768B1 (ko) * 2018-04-04 2020-04-23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5-ht2c 항진제로서의 활성을 가지는 광학 활성의 2-아미노-4-알콕시 피리미딘 유도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58129A1 (en) * 2013-10-17 2015-04-23 Blueprint Medicines Corporation Compositions useful for treating disorders related to kit
US20160280644A1 (en) * 2015-03-27 2016-09-29 Scifluor Life Sciences, Inc. Aryl- and heteroaryl-pyrrolidine-2-carboxamide compounds
WO2016187377A1 (en) * 2015-05-19 2016-11-24 Northeastern University Compounds and methods for modulating serotonin receptors in the periphery
WO2017025058A1 (zh) * 2015-08-13 2017-02-16 广东东阳光药业有限公司 取代的吲哚化合物及其使用方法和用途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AS NO. 1808958-49-7
CAS NO. 1891264-20-2
CAS NO. 1891314-10-5
CAS NO. 1894032-24-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3492B9 (ko) 2023-10-19
KR20210027219A (ko) 2021-03-10
KR102483495B1 (ko) 2023-01-04
KR20210027218A (ko) 2021-03-10
KR102483495B9 (ko) 2023-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221775B2 (en) TETRAHYDROIMIDAZO[1,5-d][1,4]OXAZEPINE DERIVATIVE
JP7470058B2 (ja) 複素環化合物
AU2012226375A1 (en) Substituted morpholines as modulators for the calcium sensing receptor
JP6173431B2 (ja) モルヒナン誘導体
EA010298B1 (ru) Новые производные бензофурана, используемые для профилактики или лечения нарушений, связанных с 5-ht-рецептором
EP0699194A1 (en) 5-ht4 receptor antagonists
WO2016171248A1 (ja) 複素環化合物
JP2016079168A (ja) 9員縮合環誘導体
JP2022540825A (ja) Mcl-1阻害剤としての大環状スピロ環誘導体
AU2017345923B2 (en) Bicyclic nitrogenated heterocyclic derivativ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same
CA2354213C (en) N-triazolylmethyl-piperazine compounds with neurokinin-receptor antagonist activity
JP2019182865A (ja) 二環性含窒素複素環誘導体を含有する医薬組成物
KR102483492B1 (ko) 2,5-이치환된 피리미딘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WO2019151269A1 (ja) 複素環化合物
JP2011529966A (ja) ウロテンシンii受容体拮抗物質
WO2004056788A1 (en) Benzoxazocines and their use as monoamine-reuptake inhibitors
JP2020505459A (ja) 化合物
CN113214289B (zh) 5-ht2a受体拮抗剂及其治疗中枢神经系统疾病的应用
NO324867B1 (no) Nye 1-[1-(hetero)aryl-1-perhydroksyalkylmetyl]-piperazinforbindelser, fremgangsmate for deres fremstilling, legemidler som inneholder disse forbindelsene, anvendelse av forbindelsene til fremstilling av farmasoytiske preparater, samt mellomprodukter i fremgangsmaten
JP6935873B2 (ja) 5−ht1a受容体によってコントロールされるセロトニン作動性制御に対する感受性が高い障害を処置するための新規化合物
WO2015132141A1 (en) 1,3-oxazine-2-amine derivatives acting as bace inhibitors for the treatment of alzheimer&#39;s disease
JP2023046323A (ja) オキサジアゾール誘導体を含有する医薬組成物
JPH07309870A (ja) ピロリジジン化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