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3458B1 - 영상 표시 기능을 가지는 조명스위치 - Google Patents

영상 표시 기능을 가지는 조명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3458B1
KR102483458B1 KR1020220039983A KR20220039983A KR102483458B1 KR 102483458 B1 KR102483458 B1 KR 102483458B1 KR 1020220039983 A KR1020220039983 A KR 1020220039983A KR 20220039983 A KR20220039983 A KR 20220039983A KR 102483458 B1 KR102483458 B1 KR 102483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image
unit
display
wall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9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비씨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비씨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비씨랩
Priority to KR1020220039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34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3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3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04L67/025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for remote control or remote monitoring of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으로 사용하는 현관에 방문자에 의하여 눌리어지는 도어벨(1a), 보안카메라(1b), 마이크 및 스피커로 구성된 현관인터폰(1)이 설치되고, 거실에 현관인터폰(1)과 통신하는 월패드(2)가 설치된 주택의 제1,2룸(R1)(R2)에 설치되어 제1,2룸(R1)(R2)의 조명등(3)을 제어하기 위한, 영상 표시 기능을 가지는 조명스위치(100)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조명스위치(100)는, 제1,2룸(R1)(R2)의 벽체(W)에 형성된 매립구(H)에 결합된 지지브라켓(10)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전면에 정전식 디스플레이(21)가 설치되고, 조명등(3)의 조명전선(3a)(3b) 및 월패드(2)의 영상신호케이블(2a)이 연결되는 본체부(20)와; 조명등(3)을 점등하기 제1버튼이미지(31) 및 조명등(3)을 소등하기 위한 제2버튼이미지(32)를 정전식 디스플레이(21)에 생성하는 버튼이미지 생성부(30)와; 제1버튼이미지(31)를 터치할 때 조명등(3)을 점등하고, 제2버튼이미지(32)를 터치할 때 조명등(3)을 소등하는 스위칭제어부(40)와; 영상신호 케이블(2a)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정전식 디스플레이(21)에 촬영영상으로 표시하는 영상이미지 표시부(50)와; 영상신호 케이블(2a)을 통하여 영상신호가 수신되었을 때, 제1,2버튼이미지(31)(32)를 촬영영상으로 자동 전환하는 영상이미지 변환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영상 표시 기능을 가지는 조명스위치{Light switch}
본 발명은 공동 현관에 현관인터폰이 설치되고, 거실에 월패드가 설치된 주택에 설치되어 조명등을 점등 또는 소등하는 조명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명등을 점등 및 소등뿐만 아니라, 월패드에 촬영영상이 표시될 때 그 촬영영상이 함께 표시되는, 영상 표시 기능을 가지는 조명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의 거실에는 월패드가 설치되고, 공동 현관에는 월패드와 통화하기 위한 현관인터폰이 설치되며, 현관인터폰에는 방문자에 의하여 눌리어지는 도어벨 및 방문자를 촬영하기 위한 보안카메라가 설치된다.
월패드는 방문자가 도어벨을 누를 때 보안카메라를 자동으로 작동시켜 방문자를 촬영하도록 하고, 촬영된 영상은 월패드를 통하여 표시된다. 이에 따라, 주택 거주자는 현관도어를 열고 나가지 않고도 방문자의 신상을 확인할 수 있고, 필요에 의하여 인터폰 통화를 하거나 현관도어를 개방한다.
그런데, 월패드는 거실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거주자가 거실이 아닌 다른 룸에 있을 경우, 도어벨 소리가 날 때 거주하는 룸에서 뛰어나가 월패드로 접근하여 방문자를 확인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거주자가 위치하는 룸이 월패드에서 멀리 떨어져있을 경우, 거주자는 거실의 월패드에서 발생되는 도어벨 소리를 듣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있었고, 이 경우 방문자를 필요이상으로 장시간 기다라게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거주자가 거실의 월패드에서 멀리 떨어진 룸에 위치할 때에도, 자신의 룸에서 방문자를 쉽게 인식 및 확인할 수 있는, 자신의 룸에 설치된 조명등을 점등 또는 소등할 수 있는, 영상 표시 기능을 가지는 조명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 기능을 가지는 조명스위치는, 공동으로 사용하는 현관에 방문자에 의하여 눌리어지는 도어벨(1a), 상기 방문자를 촬영하기 위한 보안카메라(1b), 인터폰 통화를 위한 마이크 및 스피커로 구성된 현관인터폰(1)이 설치되고, 거실에 상기 현관인터폰(1)과 통신하는 월패드(2)가 설치된 주택의 제1,2룸(R1)(R2)에 설치되어 상기 제1,2룸(R1)(R2)의 조명등(3)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2룸(R1)(R2)의 벽체(W)에 형성된 매립구(H)에 결합되는 지지브라켓(10); 상기 지지브라켓(10)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전면에 정전식 디스플레이(21)가 설치되고, 상기 조명등(3)의 조명전선(3a)(3b) 및 상기 월패드(2)의 영상신호케이블(2a)이 연결되는 본체부(20); 상기 본체부(20)에 내장된 것으로서, 상기 조명등(3)을 점등하기 위한 제1버튼이미지(31) 및 상기 조명등(3)을 소등하기 제2버튼이미지(32)를 상기 정전식 디스플레이(21)에 생성하는 버튼이미지 생성부(30); 상기 제1버튼이미지(31)를 터치할 때 상기 조명전선(3a)(3b)을 연결하여 상기 조명등(3)을 점등하고, 상기 제2버튼이미지(32)를 터치할 때 상기 조명전선(3a)(3b)을 차단하여 상기 조명등(3)을 소등하는 스위칭제어부(40); 상기 영상신호 케이블(2a)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상기 정전식 디스플레이(21)에 촬영영상으로 표시하는 영상이미지 표시부(50); 및 상기 영상신호 케이블(2a)을 통하여 상기 영상신호가 수신되었을 때, 상기 정전식 디스플레이(21)에 표시되는 상기 제1,2버튼이미지(31)(32)를 상기 보안카메라(1b)가 촬영하는 촬영영상으로 자동 전환하는 영상이미지 변환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10)은, 상기 매립구(H)의 가장자리가 보이지 않도록 벽체(W)의 표면에 밀착되는 마감테두리(11)와, 상기 마감테두리(11)의 내측에 형성된 브라켓바닥(12)과, 상기 브라켓바닥(12)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브라켓관통공(13)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20)는, 상기 마감테두리(11)에 끼어지며 전면에 정전식 디스플레이(21)가 설치된 제1본체부(22)와, 상기 제1본체부(22)에서 단차지게 후방측으로 돌출된 것으로서 상기 브라켓관통공(13)을 관통하여 상기 매립구(H)에 위치되는 제2본체부(23)와, 상기 제2본체부(23)의 배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조명등(3)과 연결된 조명전선(3a)(3b)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한쌍의 전선단자(24a)(24b)와, 상기 월패드(2)와 연결된 영상신호케이블(2a)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케이블컨넥터(25)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정전식 디스플레이(21)에 상기 촬영영상이 표시될 때 상기 월패드(2)를 매개로 상기 현관인터폰(1)과 통화하고 현관도어(4)를 개폐할 수 있는 월패드연동부(7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월패드연동부(70)는, 상기 본체부(20)에 내장되는 것으로서, 상기 정전식 디스플레이(21)에 촬영영상이 표시될 때 상기 현관인터폰(1)과 통화하기 위한 마이크(71) 및 스피커(72)와, 상기 정전식 디스플레이(21)에 현관도어(4)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개폐버튼 이미지(73a)를 생성하는 도어개폐버튼 이미지 생성부(73)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누름 압력이 인가되었을 때 조명등(3)을 점등 또는 소등하는 누름조작부(8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누름조작부(80)는, 상기 정전식 디스플레이(21)가 2 ~ 5초 동안 3회 이상 눌리어질 때 제1이벤트신호(S1)를 발생하는 이벤트신호 생성부(81)와, 상기 본체부(20)의 전면에 상기 정전식 디스플레이(21)와 독립되게 설치된 것으로서 물리적인 누름 압력에 인가되었을 때 눌러지면서 제2이벤트신호(S2)를 발생하는 누름스위치(82)와, 상기 제1이벤트신호(S1)가 발생된 후 10초 이내에 제2이벤트신호(S2)가 발생되었을 때 상기 조명전선(3a)(3b)을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이벤트스위치제어부(83)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부(20)에 설치되는 정전식 디스플레이(21)에 버튼이미지 생성부(30)에 의하여 조명등(3)을 점등 또는 소등하기 위한 제1,2버튼이미지(31)(32)가 선택적으로 생성되고, 거실의 월패드(2)에 방문자의 촬영영상이 표시될 때 영상이미지 표시부(50) 및 영상이미지 변환부(60)에 의하여 정전식 디스플레이(21)에 제1,2버튼이미지(31)(32) 대신에 방문자의 촬영영상이 표시되므로, 자신이 거주하는 룸이 거실의 월패드(2)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더라도 방문자의 신상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거주자는, 자신의 룸에서 본체부(20)의 월패드연동부(70)를 조작하여 현관인터폰(1)을 통하여 방문자와 통화하거나 현관도어(4)를 개폐할 수 있다.
그리고 거주자가 고령의 노인이거나 치매등의 질환을 앓고 있더라도, 물리적으로 작동시킬 수 누름조작부(80)를 이용하여 자신의 룸의 조명등(3)을 점등 또는 소등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 기능을 가지는 조명스위치가 주택에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조명스위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도 2의 조명스위치가 벽체의 매립구에서 조립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매립구에 조립된 조명스위치의 단면도,
도 5는 도 3의 본체부의 배면에 형성된 전선단자 및 케이블컨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3의 디스플레이에 평소 표시되는 제1,2버튼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2의 월패드연동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8은 도 7의 월패드연동부에 의하여 촬영영상 하부측에 도어개폐버튼 이미지가 생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2의 조명스위치에 누름 압력에 의하여 조명등을 점등 또는 소등하기 위한 누름조작부 및 정전이 될 때 자동으로 주위를 밝히는 비상조명부가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도 9의 누름조작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11은 도 9의 비상조명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 기능을 가지는 조명스위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상부" 나 "상"이라고 기재된 것은 접촉하여 바로 위에 있는 것뿐만 아니라 비접촉으로 위에 있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 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 기능을 가지는 조명스위치가 주택에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 기능을 가지는 조명스위치는, 공동으로 사용하는 현관에 현관인터폰(1)이 설치되고, 거실에 현관인터폰(1)과 통신하는 월패드(2)가 설치된 주택의 제1,2룸(R1)(R2)에 설치되어 제1,2룸(R1)(R2)의 조명등(3)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명스위치(100)가 적용되는 주택은 아파트와 같은 공동 주택이거나 단독 주택 모두 가능하다.
현관인터폰(1)은 주택으로 출입하기 위한 현관도어(4)의 측부에 설치되며, 현관 방문자에 의하여 눌리어지는 도어벨(1a), 방문자를 촬영하기 위한 보안카메라(1b), 월패드(2)와 통화하기 위한 마이크 및 스피커로 구성된다. 이러한 현관인터폰(1)은 당업계에서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월패드(2)는 주택 내부의 거실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보안카메라(1b)에서 촬영된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현관인터폰(1)과 통신하기 위한 마이크 및 스피커, 현관도어(4)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개폐 스위치(미도시)등으로 구성된다. 월패드(2)는 도어벨(1a)이 눌리어질 때 보안카메라(1b)를 작동시켜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표시되게 한다. 이러한 월패드(2)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주택은 거실을 포함하는 다수의 룸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각각의 룸에는 조명등(3)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용이한 설명을 위하여 안방을 제1룸(R1)으로, 건너방을 제2룸(R2)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제1,2룸(R1)(R2)의 벽체(W)에는 움푹 패어진 매립구(H)가 형성되며, 매립구(H)에는 본 발명의 조명스위치(100)가 매립된다. 이러한 매립구(H)는 주택을 시공할 때 형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조명스위치를 매립하기 위한 별도의 공사를 하지 않아도 된다.
도 2는 도 1의 조명스위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의 조명스위치가 벽체의 매립구에서 조립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매립구에 조립된 조명스위치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본체부의 배면에 형성된 전선단자 및 케이블컨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3의 디스플레이에 평소 표시되는 제1,2버튼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영상 표시 기능을 가지는 조명스위치(100)는, 제1,2룸(R1)(R2)의 벽체(W)에 형성된 매립구(H)에 결합되는 지지브라켓(10)과; 지지브라켓(10)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전면에 정전식 디스플레이(21)가 설치되고, 조명등(3)의 조명전선(3a)(3b) 및 월패드(2)의 영상신호케이블(2a)이 연결되는 본체부(20)와; 본체부(20)에 내장된 것으로서, 조명등(3)을 점등하기 위한 제1버튼이미지(31) 및 조명등(3)을 소등하기 위한 제2버튼이미지(32)를 상기 정전식 디스플레이(21)에 생성하는 버튼이미지 생성부(30)와; 제1버튼이미지(31)를 터치할 때 조명전선(3a)(3b)을 연결하여 조명등(3)을 점등(on)하고, 제2버튼이미지(32)를 터치할 때 상기 조명전선(3a)(3b)을 차단하여 상기 조명등(3)을 소등(off)하는 스위칭제어부(40)와; 영상신호 케이블(2a)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정전식 디스플레이(21)에 촬영영상으로 표시하는 영상이미지 표시부(50)와; 영상신호 케이블(2a)을 통하여 영상신호가 수신되었을 때, 정전식 디스플레이(21)에 표시되는 제1,2버튼이미지(31)(32)를 촬영영상으로 자동 전환하는 영상이미지 변환부(60)와; 정전식 디스플레이(21)에 촬영영상이 표시될 때 월패드(2)를 매개로 현관인터폰(1)과 통화하고 현관도어(4)를 개폐할 수 있는 월패드연동부(70);를 포함한다.
지지브라켓(1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택 건설시 벽체(W)에 시공된 매립구(H)에 끼어진 후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하여 체결고정된다. 이러한 지지브라켓(10)은, 매립구(H)의 가장자리가 보이지 않도록 벽체(W)의 표면에 밀착되는 마감테두리(11)와, 마감테두리(11)의 내측에 형성된 브라켓바닥(12)과, 브라켓바닥(12)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브라켓관통공(13)을 포함한다.
본체부(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브라켓(10)을 매개로 하여 매립구(H)에 설치된다. 이러한 본체부(2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테두리(11)에 끼어지며 전면에 정전식 디스플레이(21)가 설치된 제1본체부(22)와, 제1본체부(22)에서 단차지게 후방측으로 돌출된 것으로서 브라켓관통공(13)을 관통하여 매립구(H)에 위치되는 제2본체부(23)와, 제2본체부(23)의 배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조명등(3)과 연결된 조명전선(3a)(3b)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한쌍의 전선단자(24a)(24b)와, 월패드(2)와 연결된 영상신호케이블(2a)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케이블컨넥터(25)를 포함한다.
전선단자(24a)(24b) 및 케이블컨넥터(25)는 제2본체부(23)의 배면에 형성됨으로써, 전선단자(24a)(24b)에 연결되는 조명전선(3a)(3b)이나 케이블컨넥터(25)에 연결되는 영상신호케이블(2a)은 매립구(H)에 매립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 지지브라켓(10) 및 본체부(20)는, 주택 시공이 벽체(W)에 기형성된 매립구(H)에 설치되기 때문에, 별도의 벽체 타공 작업이 요구되지 않는다.
버튼이미지 생성부(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등(3)을 점등하기 위한 제1버튼이미지(31) 및 조명등(3)을 소등하기 위한 제2버튼이미지(32)를 정전식 디스플레이(21)에 생성한다. 이러한 제1,2버튼이미지(31)(32)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 형태의 이미지로 구현된 것으로 예시하고 있다.
스위칭제어부(40)는, 제1버튼이미지(31)나 제2버튼스위치(32)를 터치하였을 때 조명등(3)과 연결된 조명전선(3a)(3b)을 연결하거나 분리하는 것으로서, 트라이액과 같은 반도체로 구현되거나 릴레이 형태로 구현된다.
영상이미지 변환부(60)는 영상신호 케이블(2a)을 통하여 영상신호가 수신될 때, 현재 표시되어 있는 제1,2버튼이미지(31)(32)를 영상이미지 표시부(50)가 표시하고 있는 촬영영상으로 자동 변환한다. 이에 따라, 거주자가 특정 룸에 있더라도, 방문자가 도어벨(1a)을 누를 때 이를 인식함과 동시에 방문자의 신원까지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도 2의 월패드연동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8은 도 7의 월패드연동부에 의하여 촬영영상 하부측에 도어개폐버튼 이미지가 생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월패드연동부(70)는, 월패드(2)와 연동되어 현관인터폰(1)을 통하여 방문자와 통화하고, 필요에 따라 현관도어(4)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월패드연동부(70)는, 본체부(20)에 내장되는 것으로서, 정전식 디스플레이(21)에 촬영영상이 표시될 때 현관인터폰(1)과 통화하기 위한 마이크(71) 및 스피커(72)와, 정전식 디스플레이(21)에 현관도어(4)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개폐버튼 이미지(73a)를 생성하는 도어개폐버튼 이미지 생성부(73)를 포함한다.
도어개폐버튼 이미지(73a)는 정전식 디스플레이(21)에 촬영영상(21a)과 독립되게 표시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촬영영상(21a)의 하부측에 원형 버튼 형태로 표시된 것으로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월패드연동부(70)에 의하여, 특정 룸에 거주하면서 거실의 월패드(2) 까지 가지 않아도 방문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현관도어(4)를 개폐할 수 있는 것이다.
도 9는 도 2의 조명스위치에 누름 압력에 의하여 조명등을 점등 또는 소등하기 위한 누름조작부 및 정전이 될 때 자동으로 주위를 밝히는 비상조명부가 설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누름조작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1은 도 9의 비상조명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스위치(100)는, 누름 압력이 인가되었을 때 조명등(3)을 점등 또는 소등하는 누름조작부(80)와; 정전이 될 때 자동으로 작동되어 주위를 조명하는 비상조명부(90);를 더 포함한다.
누름조작부(8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전식 디스플레이(21)가 1 ~ 3초 동안 3회 이상 눌리어질 때 제1이벤트신호(S1)를 발생하는 이벤트신호 생성부(81)와; 본체부(20)의 전면에 정전식 디스플레이(21)와 독립되게 설치된 것으로서 물리적인 누름 압력에 인가되었을 때 눌러지면서 제2이벤트신호(S2)를 발생하는 누름스위치(82)와; 제1이벤트신호(S1)가 발생된 후 3초 이내에 제2이벤트신호(S2)가 발생되었을 때 상기 조명전선(3a)(3b)을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이벤트스위치제어부(83)를 포함한다.
현재, 초고령화에 의하여 치매등의 질환을 앓는 노인 인구가 늘어나고 있다. 이들 치매 노인의 경우 IT 기기에 대한 이해도가 낮기 때문에, 본 발명의 정전식 디스플레이(21)에 표시되는 제1,2버튼이미지(31)(32)의 기능을 이해시키기가 매우 어렵다. 따라서 치매 노인의 행동 패턴을 보면, 조명등(3)을 점등 또는 소등하고자 할 때 전면으로 노출되는 정전식 디스플레이(21)를 불규칙하게 반복적으로 터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발명에서 누름조작부(80)는, 정전식 디스플레이(21)를 1~3초 이내에 불규칙하게 터치하는 이벤트신호 생성부(81)와, 전면으로 노출되는 독립적인 누름스위치(82)를 채용하고, 치매노인이 정전식 디스플레이(21)를 불규칙하게 터치하는 제1동작과, 누름스위치(82)를 누르는 제2동작이 3 초 이내에 진행되었을 때, 조명등(3)을 점등 또는 소등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즉, 치매 노인이 가지는 불규칙한 패턴 동작을 인식함으로써, 조명등(3)을 점등 또는 소등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이벤트신호 생성부(81)와 독립적인 구성인 누름스위치(82)를 채용함으로써, 조명등(3)을 점등/소등하려는 대상인이 정상인이 아니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누름조작부(80)에 의하여, 거주자가 치매 노인과 같이 정상인이 아니더라도, 조명등(3)을 점등/소등할 수 있는 것이다.
비상조명부(9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20)에 내장되는 충전배터리(91)와; 본체부(20)의 전면에 설치되는 비상조명(92)과; 조명전선(3a)(3b)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을 때 충전배터리(91)의 전원으로 비상조명(92)을 작동시키는 비상조명 제어부(93);를 포함한다. 여기서, 비상조명(92)은 충전배터리(91)에 충전된 전원으로 작동되도록 저전력 LED 램프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비상조명부(90)를 채용함으로서, 정전이 되었을 때 본체부(20)에 내장된 충전배터리(91)에 의하여 비상조명(92)이 점등되어, 예를 들면 야간에도 적절한 활동을 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 기능을 가지는 조명스위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평소에는 버튼이미지 생성부(30)가 정전식 디스플레이(21) 상에 조명등(3)을 점등/소등하기 위한 제1,2버튼이미지(31)(32)를 생성하며, 거주자는 제1버튼이미지(31)나 제2버튼이미지(32)를 터치함으로써 조명등(3)을 점등 또는 소등시킨다.
현관에서 방문자가 도어벨(1a)을 누를 경우, 월패드(2)는 보안카메라(1b)를 작동시켜 방문자를 촬영하도록 하고, 보안카메라(1b)에서 촬영된 영상은 월패드(2)에 표시된다. 이때, 월패드(2)는 표시되는 촬영영상은 영상신호케이블(2a)을 통하여 각각의 제1,2룸(R1)(R2)에 설치되는 조명스위치(100)로 전송되고. 이 경우 영상이미지 변환부(60) 및 영상이미지 표시부(50)는 제1,2버튼이미지(31)(32)를 전송되는 촬영영상으로 변환시켜 표시되게 하고, 제1,2룸(R1)(R2)에 거주하는 거주자는, 거실로 나가지 않아도 공동현관의 방문자를 확인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촬영영상과 함께 표시되는 도어개폐버튼 이미지(73a)를 터치함으로써 현관도어(4)를 개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부(20)에 설치되는 정전식 디스플레이(21)에 버튼이미지 생성부(30)에 의하여 조명등(3)을 점등 또는 소등하기 위한 제1,2버튼이미지(31)(32)가 선택적으로 생성되고, 거실의 월패드(2)에 방문자의 촬영영상이 표시될 때 영상이미지 표시부(50) 및 영상이미지 변환부(60)에 의하여 정전식 디스플레이(21)에 제1,2버튼이미지(31)(32) 대신에 방문자의 촬영영상이 표시되므로, 자신이 거주하는 룸이 거실의 월패드(2)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더라도 방문자의 신상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거주자는, 자신의 룸에서 본체부(20)의 월패드연동부(70)를 조작하여 현관인터폰(1)을 통하여 방문자와 통화하거나 현관도어(4)를 개폐할 수 있다.
그리고 거주자가 고령의 노인이거나 치매등의 질환을 앓고 있더라도, 물리적으로 작동시킬 수 누름조작부(80)를 이용하여 자신의 룸의 조명등(3)을 점등 또는 소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R1, R2 ... 제1,2룸 H ... 벽체에 형성된 매립구
1 ... 현관인터폰 1a ... 도어벨
1b ... 보안카메라 2 ... 월패드
2a ... 영상신호케이블 3 ... 조명등
3a, 3b ... 조명전선 4 ... 현관도어
10 ... 지지브라켓 11 ... 마감테두리
12 ... 브라켓바닥 13 ... 브라켓관통공
20 ... 본체부 21 ... 정전식 디스플레이
22 ... 제1본체부 23 ... 제2본체부
24a, 24b ... 전선단자 25 ... 케이블컨넥터
30 ... 버튼이미지 생성부 31, 32 ... 제1,2버튼이미지
40 ... 스위칭제어부 50 ... 영상이미지 표시부
60 ... 영상이미지 변환부 70 ... 월패드연동부
71 ... 마이크 72 ... 스피커
73 ... 도어개폐버튼 이미지 생성부 73a ... 도어개폐버튼 이미지
80 .... 누름조작부 81 ... 이벤트신호 생성부
82 ... 누름스위치 83 ... 이벤트스위치제어부
90 ... 비상조명부 91 ... 충전배터리
92 ... 비상조명 93 ... 비상조명 제어부

Claims (6)

  1. 공동으로 사용하는 현관에 방문자에 의하여 눌리어지는 도어벨(1a), 상기 방문자를 촬영하기 위한 보안카메라(1b), 인터폰 통화를 위한 마이크 및 스피커로 구성된 현관인터폰(1)이 설치되고, 거실에 상기 현관인터폰(1)과 통신하는 월패드(2)가 설치된 주택의 제1,2룸(R1)(R2)에 설치되어 상기 제1,2룸(R1)(R2)의 조명등(3)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2룸(R1)(R2)의 벽체(W)에 형성된 매립구(H)에 결합되는 지지브라켓(10);
    상기 지지브라켓(10)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전면에 정전식 디스플레이(21)가 설치되고, 상기 조명등(3)의 조명전선(3a)(3b) 및 상기 월패드(2)의 영상신호케이블(2a)이 연결되는 본체부(20);
    상기 본체부(20)에 내장된 것으로서, 상기 조명등(3)을 점등하기 위한 제1버튼이미지(31) 및 상기 조명등(3)을 소등하기 제2버튼이미지(32)를 상기 정전식 디스플레이(21)에 생성하는 버튼이미지 생성부(30);
    상기 제1버튼이미지(31)를 터치할 때 상기 조명전선(3a)(3b)을 연결하여 상기 조명등(3)을 점등하고, 상기 제2버튼이미지(32)를 터치할 때 상기 조명전선(3a)(3b)을 차단하여 상기 조명등(3)을 소등하는 스위칭제어부(40);
    상기 영상신호 케이블(2a)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상기 정전식 디스플레이(21)에 촬영영상으로 표시하는 영상이미지 표시부(50);
    상기 영상신호 케이블(2a)을 통하여 상기 영상신호가 수신되었을 때, 상기 정전식 디스플레이(21)에 표시되는 상기 제1,2버튼이미지(31)(32)를 상기 보안카메라(1b)가 촬영하는 촬영영상으로 자동 전환하는 영상이미지 변환부(60); 및
    누름 압력이 인가되었을 때 조명등(3)을 점등 또는 소등하는 누름조작부(80);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조작부(80)는, 상기 정전식 디스플레이(21)가 2 ~ 5초 동안 3회 이상 눌리어질 때 제1이벤트신호(S1)를 발생하는 이벤트신호 생성부(81)와, 상기 본체부(20)의 전면에 상기 정전식 디스플레이(21)와 독립되게 설치된 것으로서 물리적인 누름 압력에 인가되었을 때 눌러지면서 제2이벤트신호(S2)를 발생하는 누름스위치(82)와, 상기 제1이벤트신호(S1)가 발생된 후 10초 이내에 제2이벤트신호(S2)가 발생되었을 때 상기 조명전선(3a)(3b)을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이벤트스위치제어부(8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기능을 가지는 조명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10)은, 상기 매립구(H)의 가장자리가 보이지 않도록 벽체(W)의 표면에 밀착되는 마감테두리(11)와, 상기 마감테두리(11)의 내측에 형성된 브라켓바닥(12)과, 상기 브라켓바닥(12)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브라켓관통공(13)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20)는, 상기 마감테두리(11)에 끼어지며 전면에 정전식 디스플레이(21)가 설치된 제1본체부(22)와, 상기 제1본체부(22)에서 단차지게 후방측으로 돌출된 것으로서 상기 브라켓관통공(13)을 관통하여 상기 매립구(H)에 위치되는 제2본체부(23)와, 상기 제2본체부(23)의 배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조명등(3)과 연결된 조명전선(3a)(3b)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한쌍의 전선단자(24a)(24b)와, 상기 월패드(2)와 연결된 영상신호케이블(2a)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케이블컨넥터(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기능을 가지는 조명스위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식 디스플레이(21)에 상기 촬영영상이 표시될 때 상기 월패드(2)를 매개로 상기 현관인터폰(1)과 통화하고 현관도어(4)를 개폐할 수 있는 월패드연동부(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기능을 가지는 조명스위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월패드연동부(70)는,
    상기 본체부(20)에 내장되는 것으로서, 상기 정전식 디스플레이(21)에 촬영영상이 표시될 때 상기 현관인터폰(1)과 통화하기 위한 마이크(71) 및 스피커(72)와, 상기 정전식 디스플레이(21)에 현관도어(4)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개폐버튼 이미지(73a)를 생성하는 도어개폐버튼 이미지 생성부(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기능을 가지는 조명스위치.
  5. 삭제
  6. 삭제
KR1020220039983A 2022-03-30 2022-03-30 영상 표시 기능을 가지는 조명스위치 KR102483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9983A KR102483458B1 (ko) 2022-03-30 2022-03-30 영상 표시 기능을 가지는 조명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9983A KR102483458B1 (ko) 2022-03-30 2022-03-30 영상 표시 기능을 가지는 조명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3458B1 true KR102483458B1 (ko) 2023-01-02

Family

ID=84925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9983A KR102483458B1 (ko) 2022-03-30 2022-03-30 영상 표시 기능을 가지는 조명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345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5405A (ko) * 2010-01-20 2011-07-27 신성그린텍(주) 대기전력 자동 차단 스위치장치
KR20160100807A (ko) * 2015-02-16 2016-08-24 르그랑코리아 주식회사 전자식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
KR20190127355A (ko) * 2018-05-04 2019-11-13 (주)알트온 통합 스위치
KR20200107670A (ko) * 2019-03-08 2020-09-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도어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5405A (ko) * 2010-01-20 2011-07-27 신성그린텍(주) 대기전력 자동 차단 스위치장치
KR20160100807A (ko) * 2015-02-16 2016-08-24 르그랑코리아 주식회사 전자식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
KR20190127355A (ko) * 2018-05-04 2019-11-13 (주)알트온 통합 스위치
KR20200107670A (ko) * 2019-03-08 2020-09-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도어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38867B2 (en) Wireless speaker devices for wireless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EP1297701A1 (en) System for image-based access control
KR102483458B1 (ko) 영상 표시 기능을 가지는 조명스위치
JP4344498B2 (ja) 環境内の機能制御方法とそのシステム、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2008113396A (ja) ドアホンシステム及び玄関子機
CN209881947U (zh) 一种基于云计算的视频通话对讲的装置
CN210052215U (zh) 一种基于人脸识别结合ic卡验证的门禁装置
KR101923709B1 (ko) 페이저 케이스
KR101395030B1 (ko) 보안성능이 강화된 공동주택용 비디오폰장치
CN212992467U (zh) 一种圆形夜灯楼宇对讲室内机系统
CN210052218U (zh) 一种基于人脸识别判定用户权限的门禁装置
JP7169611B1 (ja) インターホン
CN212992468U (zh) 一种圆形廊灯楼宇对讲一体机系统
KR20100039631A (ko) 방문자 정보 확인 저장기능을 가지는 출입문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7390549B2 (ja) 撮像ユニット、機器、及び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CN216217237U (zh) 多功能可视对讲门口机
AU2021107183A4 (en) Electrical Assembly
KR20020088539A (ko) 다기능 인터폰장치
CN209962300U (zh) 基于指纹识别和人脸识别的智能门禁系统
CN220983939U (zh) 一种外接门禁显示设备
JP2021057827A (ja) インターホン玄関装置、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927579B2 (ja)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6941788B2 (ja) ドアホン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JP6868825B2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ロビーインターホン、親機、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0166406Y1 (ko) 도어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