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3322B1 - 편광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저 조사 장치 - Google Patents

편광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저 조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3322B1
KR102483322B1 KR1020150137885A KR20150137885A KR102483322B1 KR 102483322 B1 KR102483322 B1 KR 102483322B1 KR 1020150137885 A KR1020150137885 A KR 1020150137885A KR 20150137885 A KR20150137885 A KR 20150137885A KR 102483322 B1 KR102483322 B1 KR 102483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beam
lens
polarization
prism lens
wav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7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9005A (ko
Inventor
정병호
올레그 프루드니코브
나정균
배준화
이승환
조주완
추병권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7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3322B1/ko
Priority to US15/175,649 priority patent/US10654130B2/en
Priority to EP16177264.5A priority patent/EP3151055B1/en
Priority to CN201610806278.7A priority patent/CN106552992B/zh
Publication of KR20170039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9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3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3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9Beam shaping, e.g. changing the cross-sectional area,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2B27/0905Dividing and/or superposing multiple light b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2Positioning or observing the workpiece, e.g. with respect to the point of impact; Aligning, aiming or focusing the laser beam
    • B23K26/06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 B23K26/064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by means of optical elements, e.g. lenses, mirrors or prisms
    • B23K26/0648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by means of optical elements, e.g. lenses, mirrors or prisms comprising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52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for surface treatment
    • B23K26/354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for surface treatment by mel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2Positioning or observing the workpiece, e.g. with respect to the point of impact; Aligning, aiming or focusing the laser beam
    • B23K26/06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 B23K26/064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by means of optical elements, e.g. lenses, mirrors or prisms
    • B23K26/0643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by means of optical elements, e.g. lenses, mirrors or prisms comprising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2Positioning or observing the workpiece, e.g. with respect to the point of impact; Aligning, aiming or focusing the laser beam
    • B23K26/06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 B23K26/064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by means of optical elements, e.g. lenses, mirrors or prisms
    • B23K26/0652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by means of optical elements, e.g. lenses, mirrors or prisms comprising pr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2Positioning or observing the workpiece, e.g. with respect to the point of impact; Aligning, aiming or focusing the laser beam
    • B23K26/06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 B23K26/067Dividing the beam into multiple beams, e.g. multifoc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2Positioning or observing the workpiece, e.g. with respect to the point of impact; Aligning, aiming or focusing the laser beam
    • B23K26/06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 B23K26/073Shaping the laser spo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2Telephoto objectives, i.e. systems of the type + - in which the distance from the front vertex to the image plane is less than the equivalent focal length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9Beam shaping, e.g. changing the cross-sectional area,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2B27/0938Using specific optical elements
    • G02B27/095Refractive optical elements
    • G02B27/0955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2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 G02B27/283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used for beam splitting or combin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2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 G02B27/28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for controlling or changing the state of polarisation, e.g. transforming one polarisation state into anoth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04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 G02B6/4213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the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being polarisation selective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483Information management; Active and passive control; Testing; Wafer monitoring, e.g. pattern monitoring
    • G03F7/7055Exposure light control in all parts of the microlithographic apparatus, e.g. pulse length control or light interruption
    • G03F7/70566Polarisa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656Special treatments
    • H01L21/02664Aftertreatments
    • H01L21/02667Crystallisation or recrystallisation of non-monocrystalline semiconductor materials, e.g. regrowth
    • H01L21/02675Crystallisation or recrystallisation of non-monocrystalline semiconductor materials, e.g. regrowth using laser bea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System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6Bombardment with radiation
    • H01L21/263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 H01L21/268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laser radi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5Construction or shape of optical resonators; Accommodation of active medium therein; Shape of active medium
    • H01S3/08Construction or shape of optical resonators or components thereof
    • H01S3/08018Mode suppression
    • H01S3/08022Longitudinal modes
    • H01S3/08031Single-mode emission
    • H01S3/08036Single-mode emission using intracavity dispersive, polarising or birefringent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편광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저 조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편광 모듈 또는 레이저 조사 장치는 광축을 중심으로 입사되는 입사 레이저 빔의 단면의 한 방향의 길이를 축소하는 제1 렌즈 및 제2 렌즈, 상기 제1 및 제2 렌즈를 통과한 레이저 빔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편광된 두 개의 레이저 빔으로 분리하는 편광빔 스플리터, 상기 편광빔 스플리터에 의해 분리된 상기 두 개의 레이저 빔을 상기 광축을 중심으로 대칭인 위치로 조절하여 출력 레이저 빔을 출사하는 제1 프리즘 렌즈 및 제2 프리즘 렌즈, 그리고 상기 편광빔 스플리터와 상기 제1 프리즘 렌즈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반파장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편광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저 조사 장치{POLARIZATION MODULE AND LASER IRRADIATION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편광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저 조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결정 실리콘은 비정질 실리콘에 비해 높은 전기 이동도를 가지기 때문에 다양한 전자 장치에 포함되어 있는 트랜지스터의 액티브층으로 널리 사용된다.
다결정 실리콘을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고상 결정화법(solid phase crystallization, SPC), 금속유도 결정화법(metal induced crystallization, MIC), 금속유도측면 결정화법(metal induced lateral crystallization, MILC), 레이저 어닐링(laser annealing) 등이 있다. 이 중, 유기 발광 표시 장치(OLED), 액정 표시 장치(LCD) 등의 전자 장치의 제조 공정에서는 높은 에너지를 갖는 레이저 빔을 비정질 실리콘 막에 조사하여 비정질 실리콘을 결정화하는 레이저 어닐링이 자주 사용되며, 특히 엑시머(excimer)를 이용한 레이저를 이용한 엑시머 레이저 어닐링(excimer laser annealing, ELA)이 주로 사용된다.
레이저 어닐링은 레이저 조사 장치를 이용해 레이저 빔을 비정질 실리콘 막에 조사하여 비정질 실리콘 막의 적어도 일부를 다결정 실리콘으로 결정화하는 방법이다. 다결정 트랜지스터의 품질은 결정화 실리콘의 그레인 정렬도에 영향을 받으며, 결정화 실리콘의 그레인 정렬도 향상을 위해 비정질 실리콘의 결정화 공정에서 한 부분에 대해 복수의 샷(shot)을 조사하는 멀티샷(multi-shot) 방식이 사용된다. 멀티샷 방식에서는 비정질 실리콘 층의 한 부분에 대해 대략 20회 이상의 샷이 조사된다.
본 기재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랜덤 편광성을 가지는 레이저 빔의 편광 상태를 조절하되 입사된 레이저 빔과 동일한 위치와 크기를 가지는 레이저 빔을 출력할 수 있는 편광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기재가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다결정 실리콘의 그레인 정렬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레이저 조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편광 모듈은 광축을 중심으로 입사되는 입사 레이저 빔의 단면의 한 방향의 길이를 축소하는 제1 렌즈 및 제2 렌즈, 상기 제1 및 제2 렌즈를 통과한 레이저 빔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편광된 두 개의 레이저 빔으로 분리하는 편광빔 스플리터, 상기 편광빔 스플리터에 의해 분리된 상기 두 개의 레이저 빔을 상기 광축을 중심으로 대칭인 위치로 조절하여 출력 레이저 빔을 출사하는 제1 프리즘 렌즈 및 제2 프리즘 렌즈, 그리고 상기 편광빔 스플리터와 상기 제1 프리즘 렌즈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반파장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조사 장치는 편광 모듈, 그리고 상기 편광 모듈에서 출사되는 레이저 빔을 균일하게 바꾸는 광학계를 포함하고, 상기 편광 모듈은 광축을 중심으로 입사되는 적어도 하나의 입사 레이저 빔 각각의 단면의 한 방향의 길이를 축소하는 제1 렌즈 및 제2 렌즈, 상기 제1 및 제2 렌즈를 통과한 레이저 빔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편광된 두 개의 레이저 빔으로 분리하는 편광빔 스플리터, 상기 편광빔 스플리터에 의해 분리된 상기 두 개의 레이저 빔을 상기 광축을 중심으로 대칭인 위치로 조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사 레이저 빔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출력 레이저 빔을 출사하는 제1 프리즘 렌즈 및 제2 프리즘 렌즈, 그리고 상기 편광빔 스플리터와 상기 제1 프리즘 렌즈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반파장판을 포함한다.
상기 출력 레이저 빔의 단면의 면적은 상기 입사 레이저 빔의 단면의 면적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출력 레이저 빔은 서로 동일한 편광 방향을 가지는 제1 출력 레이저 빔 및 제2 출력 레이저 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 레이저 빔의 단면의 형상은 상기 입사 레이저 빔의 단면의 형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리즘 렌즈는 서로 비대칭 기울기를 가지는 제1 광학 평면 및 제2 광학 평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프리즘 렌즈는 상기 제1 프리즘 렌즈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 프리즘 렌즈와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프리즘 렌즈의 중심축과 상기 제2 프리즘 렌즈의 중심축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는 서로 다른 초점 거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파장판은 상기 편광빔 스플리터에 의해 분리된 두 개의 상기 레이저 빔 중 하나인 제1 레이저 빔의 진행 경로 상에 위치하는 제1 반파장판, 그리고 나머지 레이저 빔인 제2 레이저 빔의 진행 경로 상에 위치하는 제2 반파장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반파장판의 회전각과 상기 제2 반파장판의 회전각의 차이는 대략 45도일 수 있다.
상기 제2 레이저 빔을 적어도 한 번 반사시켜 상기 제2 반파장판에 입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거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사 레이저 빔은 제1 입사 레이저 빔 및 제2 입사 레이저 빔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 상기 편광빔 스플리터, 그리고 상기 제1 프리즘 렌즈는 상기 제1 입사 레이저 빔의 광축 상에 배열되어 있고, 상기 레이저 조사 장치는 상기 제2 입사 레이저 빔의 광축 상에 배열되어 있는 제3 렌즈 및 제4 렌즈, 추가 편광빔 스플리터, 그리고 제3 프리즘 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출력 레이저 빔과 상기 제2 출력 레이저 빔은 제1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있고, 상기 제1 거리는 상기 광학계가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어레이의 렌즈 피치의 정수배일 수 있다.
상기 광학계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어레이 유닛, 그리고 상기 제1 출력 레이저 빔과 상기 제2 출력 레이저 빔 사이의 경계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레이저 빔 차단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랜덤 편광성을 가지는 레이저 빔의 편광 상태를 조절하되 입사된 레이저 빔과 동일한 위치와 크기를 가지는 레이저 빔을 출력할 수 있는 편광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편광 모듈 이후의 광학계를 변경할 필요가 없으므로 레이저 조사 장치가 포함하는 기존 광학계에 그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광 모듈을 적용하여 편광된 레이저 빔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편광 모듈을 포함하는 레이저 조사 장치를 이용하여 다결정 실리콘을 형성함으로써 다결정 실리콘의 그레인 정렬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레이저 어닐링을 이용한 결정화 공정에서 멀티샷 회수를 줄일 수 있는 여유가 생겨 결정화 공정을 간단히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편광 모듈을 간략히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편광 모듈의 구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한 편광 모듈을 통과하는 레이저 빔의 단면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편광빔 스플리터 및 빛의 편광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반파장판 및 빛의 편광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 도 6 및 도 7은 각각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편광 모듈이 포함하는 프리즘 렌즈들 및 빛의 진행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조사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편광 모듈의 구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편광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저 조사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편광 모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편광 모듈을 간략히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편광 모듈(100)은 입사된 레이저 빔(L1)을 변환하여 레이저 빔(L7)과 레이저 빔(L8)을 포함하는 출력 레이저 빔(Lout)을 출사한다. 입사되는 레이저 빔(L1)은 비편광성을 가지고, 출사되는 레이저 빔(L7)과 레이저 빔(L8)은 각각 선형 편광되어 있다. 레이저 빔(L7)과 레이저 빔(L8)의 편광 상태는 편광 모듈(100)에 의해 제어된다.
구체적으로, 레이저 빔(L1)은 p-편광 성분 및 s-편광 성분을 모두 포함하고 있고, 레이저 빔(L7)과 레이저 빔(L8)은 각각 p-편광 성분 및 s-편광 성분 중 하나만을 포함하거나 각각 일정한 방향으로 선편광되어 있을 수 있다. 출사되는 레이저 빔(L7)의 편광 방향과 레이저 빔(L8)의 편광 방향은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레이저 빔(L7)의 편광 방향과 레이저 빔(L8)의 편광 방향이 서로 동일한 경우 편광 모듈(100)에서 출사되는 두 레이저 빔(L7, L8)은 전체적으로 하나의 방향으로 편광되어 출사되고, 레이저 빔(L7)의 편광 방향과 레이저 빔(L8)의 편광 방향이 서로 다른 경우 두 레이저 빔(L7, L8)을 합한 출력 레이저 빔(Lout)은 전체적으로 비편광되어 있다.
여기서, p-편광은 빛의 전기장 벡터의 진동 방향이 입사면에 평행한 편광 상태를 의미하고, s-편광은 빛의 전기장 벡터의 진동 방향이 입사면에 수직인 편광 상태를 의미한다. 입사면이란 시료면의 법선과 빛의 진행 방향을 포함하는 면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편광 모듈(100)에 입사되는 레이저 빔(L1)이 진행하는 방향의 중심축을 광축(OX)이라 할 때 편광 모듈(100)에서 출사되는 두 레이저 빔(L7, L8)은 광축(OX)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진행할 수 있다. 즉, 레이저 빔(L1)의 단면의 중심이 광축(OX) 상에 있을 때 두 레이저 빔(L7, L8)의 단면은 광축(OX)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일 수 있다. 광축(OX)은 도시된 제1 방향(D1)과 같은 방향이며, 제2 방향(D2)은 제1 방향(D1)에 수직인 방향으로서 도 1에 도시한 여러 광학 기구(렌즈, 빔 스플리터, 거울 등)의 면의 법선과 광축(OX)을 포함하는 면에 평행한 방향이다. 제3 방향(D3)은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에 수직인 방향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레이저 빔(L7, L8)은 서로 이웃하여 연속적인 하나의 출력 레이저 빔(Lout)으로서 출사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두 레이저 빔(L7, L8) 사이에 공간이 있을 수도 있다.
두 레이저 빔(L7, L8)이 인접하여 출사되는 경우 편광 모듈(100)에서 출사되는 두 레이저 빔(L7, L8)을 합한 출력 레이저 빔(Lout)의 단면의 형상 및 면적은 편광 모듈(100)에 입사되는 레이저 빔(L1)의 단면의 형상 및 면적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즉, 출력 레이저 빔(Lout)의 면적은 편광 모듈(100)에 입사되는 레이저 빔(L1)의 면적의 대략 절반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최종적으로 형성될 레이저 빔의 단면이 직사각형인 경우 직사각형 장변 방향을 장축이라 할 때 각 레이저 빔(L7, L8)의 장축 방향 길이는 레이저 빔(L1)의 장축 방향 길이의 대략 절반일 수 있다.
두 레이저 빔(L7, L8)이 서로 이격되어 출사되는 경우에도 두 레이저 빔(L7, L8)의 단면의 면적의 합은 레이저 빔(L1)의 단면의 면적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고, 두 레이저 빔(L7, L8)의 단면의 형상들을 광축(OX)에서 인접하도록 붙이면 그 형상은 레이저 빔(L1)의 단면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편광 모듈(100)에서 출사되는 레이저 빔(L7, L8)은 각 레이저 빔(L7, L8)의 편광성만 제어되고 처음 입사되는 레이저 빔(L1)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전체적인 형상 및 모양을 가지는 출력 레이저 빔(Lout)으로 출력되므로 기존에 사용되는 광학계를 개조하지 않고 레이저 빔(L7, L8)을 포함하는 출력 레이저 빔(Lout)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계가 렌즈 어레이 유닛(LAH)을 포함하는 호모지나이저(homogenizer)인 경우 레이저 빔(L7, L8)은 호모지나이저에 입사되어 균일한 에너지 분포를 가지면서 단면이 직사각 형태를 가지는 레이저 빔으로 변화될 수 있다. 렌즈 어레이 유닛(LAH)은 복수의 렌즈(LS)를 포함한다. 렌즈 어레이 유닛(LAH)에 입사된 레이저 빔(L7, L8)은 직사각형 레이저 빔의 장축 방향으로 분할한다. 분할된 레이저 빔은 복수의 렌즈 및 다른 렌즈 어레이 등을 거쳐 동일한 면 상에 중첩되어 균일한 에너지 분포를 가지는 직사각형의 레이저 빔으로 변환될 수 있다.
그러면 도 2a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편광 모듈(10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편광 모듈의 구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한 편광 모듈을 통과하는 레이저 빔의 단면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편광빔 스플리터 및 빛의 편광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반파장판 및 빛의 편광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 도 6 및 도 7은 각각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편광 모듈이 포함하는 프리즘 렌즈들 및 빛의 진행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편광 모듈(100)은 한 쌍을 이루는 제1 렌즈(TL1) 및 제2 렌즈(TL2), 편광빔 스플리터(PBS), 제1 반파장판(H1) 및 제2 반파장판(H2), 복수의 거울(M1, M2, M3), 그리고 한 쌍을 이루는 제1 프리즘 렌즈(PL1) 및 제2 프리즘 렌즈(PL2)를 포함한다.
편광 모듈(100)에 입사하는 레이저 빔(L1)은 광축(OX)을 중심으로 하여 광축(OX)을 따라 진행한다. 레이저 빔(L1)은 레이저 발생기(도시하지 않음)에서 생성된 가공되지 않은 최초의 레이저 빔일 수 있다. 레이저 빔(L1)은 비편광성을 가져 p-편광 성분 및 s-편광 성분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레이저 빔(L1)은 제1 렌즈(TL1) 및 제2 렌즈(TL2)를 순서대로 통과하면서 직사각형 레이저 빔(L1)의 장축 방향의 길이가 대략 반으로 축소되어 레이저 빔(L2)이 되어 나온다. 여기서 장축 방향은 최종적으로 형성될 레이저 빔의 단면이 직사각형인 경우 직사각형 장변 방향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후 설명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제1 렌즈(TL1) 및 제2 렌즈(TL2) 각각은 망원 렌즈(telescope lens)일 수 있으며 두 렌즈(TL1, TL2)의 초점 거리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제1 렌즈(TL1) 및 제2 렌즈(TL2) 각각은 제3 방향(D3)으로 연장되어 있는 실린더 렌즈일 수 있다. 제1 렌즈(TL1)와 제2 렌즈(TL2) 사이의 거리(d1)를 조절하여 레이저 빔(L2)의 레이저 빔(L1)에 대한 축소율을 조절할 수 있다.
레이저 빔(L2)은 편광빔 스플리터(PBS)에 입사된다. 편광빔 스플리터(PBS)는 레이저 빔(L2)의 일부는 반사하고 일부는 투과시켜 두 개의 레이저 빔(L3, L4)으로 분리한다. 레이저 빔(L3)은 편광빔 스플리터(PBS)에서 반사된 레이저 빔이고 레이저 빔(L4)은 편광빔 스플리터(PBS)를 통과한 레이저 빔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편광빔 스플리터(PBS)는 입사광(Lc)이 p-편광 성분과 s-편광 성분을 모두 포함하고 있을 때 p-편광 성분(Pp)은 투과시키고 s-편광 성분(Ps)은 반사시키거나 그 반대일 수 있다. 편광빔 스플리터(PBS)의 면에 대한 법선과 입사광(Lc)의 진행 방향이 이루는 각(a)은 대략 45도 내지 대략 60도일 수 있다. 편광빔 스플리터(PBS)는 유전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용융 석영(fused silica)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편광빔 스플리터(PBS)에서 나오는 레이저 빔(L3) 및 레이저 빔(L4)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편광되어 있다. 예를 들어 레이저 빔(L3)이 s-편광되어 있는 경우 레이저 빔(L4)은 p-편광되어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레이저 빔(L3)이 s-편광되어 있고 레이저 빔(L4)은 p-편광되어 있는 예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레이저 빔(L3)은 복수의 거울(M1, M2, M3)에서 차례대로 반사된 후 반파장판(half wave plate, HWP)(H1)을 통과하여 레이저 빔(L5)이 된 후 제1 프리즘 렌즈(PL1)에 입사된다. 도 2a는 복수의 거울(M1, M2, M3)의 개수가 3개인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레이저 빔(L3)이 반파장판(H1)을 통과한 후 제1 프리즘 렌즈(PL1)의 적절한 위치로 입사할 수 있도록 개수가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레이저 빔(L4)은 반파장판(H2)을 통과하여 레이저 빔(L6)이 된 후 제1 프리즘 렌즈(PL1)에 입사한다.
반파장판(H1)은 레이저 빔(L3)의 편광 방향을 바꿀 수도 있고 바꾸지 않을 수도 있다. 반파장판(H2)도 레이저 빔(L4)의 편광 방향을 바꿀 수도 있고 바꾸지 않을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반파장판(H1, H2)은 반파장판(H1, H2)의 광축(Od)과 입사광(La)의 편광 방향이 각(b)을 이룰 때 입사광(La)의 편광 방향을 각(2b)만큼 회전한 출사광(Lb)을 내보낼 수 있다. 입사광(La)의 편광 방향과 반파장판(H1, H2)의 광축(Od)이 이루는 각(b)을 반파장판(H1, H2)의 회전각이라 한다. 반파장판(H1, H2)의 회전각이 45도일 때 p-편광 성분의 빛이 반파장판(H1, H2)을 통과하면 s-편광 성분의 빛으로 바뀌고 s-편광 성분의 빛이 반파장판(H1, H2)을 통과하면 p-편광 성분의 빛으로 바뀐다.
예를 들어 반파장판(H1)의 회전각이 90도이고 반파장판(H2)의 회전각이 0도일 때, 반파장판(H1)을 통과하여 나온 레이저 빔(L5)은 레이저 빔(L3)과 동일하게 s-편광되어 있고, 반파장판(H2)을 통과하여 나온 레이저 빔(L6)은 레이저 빔(L4)과 동일하게 p-편광되어 있다. 따라서 레이저 빔(L5, L6)은 이후에 광축(OX)을 중심으로 모여도 전체적으로 비편광 상태의 레이저 빔이 된다.
예를 들어 반파장판(H1)의 회전각이 45도이고 반파장판(H2)의 회전각이 0도일 때, 반파장판(H1)을 통과하여 나온 레이저 빔(L5)은 레이저 빔(L3)과 다르게 p-편광되어 있고, 반파장판(H2)을 통과하여 나온 레이저 빔(L6)은 레이저 빔(L4)과 동일하게 p-편광되어 있다. 따라서 레이저 빔(L5, L6)은 이후에 광축(OX)을 중심으로 모이면 전체적으로 하나의 편광 방향, 즉 p-편광된 레이저 빔이 된다.
예를 들어 반파장판(H1)의 회전각이 90도이고 반파장판(H2)의 회전각이 45도일 때, 반파장판(H1)을 통과하여 나온 레이저 빔(L5)은 레이저 빔(L3)과 동일하게 s-편광되어 있고, 반파장판(H2)을 통과하여 나온 레이저 빔(L6)은 레이저 빔(L4)과 다르게 s-편광되어 있다. 따라서 레이저 빔(L5, L6)은 이후에 광축(OX)을 중심으로 모이면 전체적으로 하나의 편광 방향, 즉 s-편광된 레이저 빔이 된다.
예를 들어 반파장판(H1)의 회전각이 45+θ/2 도이고 반파장판(H2)의 회전각이 θ/2 도일 때, 반파장판(H1)을 통과하여 나온 레이저 빔(L5)의 편광 방향은 레이저 빔(L3)의 편광 방향으로부터 90+ θ 도 회전되어 있고, 반파장판(H2)을 통과하여 나온 레이저 빔(L6)은 레이저 빔(L4)의 편광 방향으로부터 θ 도 회전되어 있다. 따라서 레이저 빔(L5, L6)은 이후에 광축(OX)을 중심으로 모이면 전체적으로 하나의 편광 방향, 즉 레이저 빔(L4)의 편광 방향을 기준으로 동일한 각인 θ 도 방향으로 선편광된 레이저 빔이 된다.
따라서 반파장판(H1)의 회전각과 반파장판(H2)의 회전각이 서로 45도를 이루는 경우 레이저 빔(L5, L6)은 이후에 전체적으로 하나의 편광 방향으로 선편광된 출력 레이저 빔(Lout)을 이룰 수 있다. 반파장판(H1)의 회전각과 반파장판(H2)의 회전각의 조절로 레이저 빔(L5, L6)의 편광 방향을 조절할 수도 있고 레이저 빔(L5, L6) 각각의 편광 방향을 다르게 제어할 수도 있다.
p-편광 또는 s-편광된 출력 레이저 빔을 얻고자 할 경우, 두 반파장판(H1, H2) 중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도 있다.
레이저 빔(L5)과 레이저 빔(L6)은 모두 제1 프리즘 렌즈(PL1)와 제2 프리즘 렌즈(PL2)를 순서대로 통과하여 광축(OX)을 중심으로 대칭을 형성하는 레이저 빔(L7)과 레이저 빔(L8)으로서 출사된다. 도 2a를 참조하면, 제1 프리즘 렌즈(PL1)와 제2 프리즘 렌즈(PL2)의 형상이 정해졌을 때 제1 프리즘 렌즈(PL1)와 제2 프리즘 렌즈(PL2) 사이의 간격(d2)을 조절하여 레이저 빔(L7, L8) 각각의 위치를 조절하여 광축(OX)을 중심으로 대칭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두 레이저 빔(L7, L8)의 특징 및 이에 따른 효과는 도 1과 관련하여 앞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프리즘 렌즈(PL1)와 제2 프리즘 렌즈(PL2) 각각은 레이저 빔(L5)과 레이저 빔(L6)이 동일한 광축(OX)을 중심으로 모일 수 있도록 제1 방향(D1)을 기준으로 서로 비대칭 기울기를 가지는 광학 평면(10a, 10b, 20a, 20b)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리즘 렌즈(PL1)의 광학 평면(10a)이 제1 방향(D1)과 이루는 각(A1)은 제1 프리즘 렌즈(PL1)의 광학 평면(10b)이 제1 방향(D1)과 이루는 각(A2)보다 클 수 있고, 제2 프리즘 렌즈(PL2)의 광학 평면(20a)이 제1 방향(D1)과 이루는 각(A3)은 제2 프리즘 렌즈(PL2)의 광학 평면(20b)이 제1 방향(D1)과 이루는 각(A4)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가지는 광학 평면(10a, 10b, 20a, 20b)을 통과하는 레이저 빔은 서로 다른 크기로 굴절될 수 있다.
제1 프리즘 렌즈(PL1)과 제2 프리즘 렌즈(PL2)은 동일한 형상을 가지지만 제2 방향(D2) 및 제3 방향(D3)으로 이루어진 면 상에서 봤을 때 제1 프리즘 렌즈(PL1)과 제2 프리즘 렌즈(PL2)의 상하좌우가 서로 반대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 프리즘 렌즈(PL1)의 광학 평면(10a)의 기울기는 제2 프리즘 렌즈(PL2)의 광학 평면(20a)의 기울기와 실질적으로 같고, 제1 프리즘 렌즈(PL1)의 광학 평면(10b)의 기울기는 제2 프리즘 렌즈(PL2)의 광학 평면(20b)의 기울기와 실질적으로 같다.
제1 프리즘 렌즈(PL1)에서 광학 평면(10a)과 광학 평면(10b)의 경계가 되는 중심축(Or1)은 제2 프리즘 렌즈(PL2)에서 광학 평면(20a)과 광학 평면(20b)의 경계가 되는 중심축(Or2)과 정렬되어 있지 않고 어긋나 있을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프리즘 렌즈(PL1, PL2)를 통과하여 나온 레이저 빔(L7, L8)은 간격 없이 서로 인접하여 하나의 레이저 빔으로서 출력되어 렌즈 어레이 유닛(LAH)을 포함하는 호모지나이저에 입력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6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프리즘 렌즈(PL1, PL2)를 통과하여 나온 레이저 빔(L7, L8)은 간격(d3)만큼 서로 이격되어 출력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격되어 진행하는 두 레이저 빔(L7, L8)을 포함하는 출력 레이저 빔의 불연속성을 완화하기 위해 간격(d3)은 렌즈 어레이 유닛(LAH)이 포함하는 복수의 렌즈(LS)의 제2 방향(D2)에 있어서의 피치(T1), 즉 렌즈(LS)의 직경의 정수배일 수 있다. 도 6은 간격(d3)이 렌즈(LS)의 피치(T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예를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프리즘 렌즈(PL1, PL2)를 통과하여 나온 레이저 빔(L7, L8)은 광축(OX)을 중심으로 최대한 연석한 레이저 빔을 형성하도록 제어될 수 있지만,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이저 빔(L7, L8)이 서로 이격되거나 중첩될 가능성이 있다. 두 레이저 빔(L7, L8) 사이의 경계에 의한 출력 레이저 빔의 불연속 프로파일을 완화하기 위해 렌즈 어레이 유닛(LAH)을 포함하는 호모지나이저 앞에 레이저 빔 차단 부재(BL)를 배치할 수 있다. 도 7은 레이저 빔(L7, L8)이 입사되는 렌즈 어레이 유닛(LAH)의 면에 레이저 빔 차단 부재(BL)가 배치되어 있는 예를 도시한다. 레이저 빔 차단 부재(BL)는 두 레이저 빔(L7, L8) 사이의 경계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레이저 빔 차단 부재(BL)의 제2 방향(D2) 폭(d4)은 대략 렌즈 어레이 유닛(LAH)이 포함하는 복수의 렌즈(LS)의 제2 방향(D2)에 있어서의 피치(T1), 즉 렌즈(LS)의 직경의 정수배일 수 있다. 도 7은 레이저 빔 차단 부재(BL)의 제2 방향(D2) 폭(d4)이 렌즈 어레이 유닛(LAH)이 포함하는 렌즈(LS)의 피치(T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예를 도시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제1 렌즈(TL1) 및 제2 렌즈(TL2) 이후의 레이저 빔(L2, L3, L4, L5, L6, L7, L8)의 단면의 장축 방향의 길이는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편광 모듈(100)에서 출력되는 두 레이저 빔(L7, L8)을 포함하는 출력 레이저 빔(Lout)의 장축 방향의 길이는 편광 모둘(100)에 입사되었던 레이저 빔(L1)의 장축 방향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그러면 앞에서 설명한 도면들과 함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조사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조사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조사 장치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편광 모듈(100), 광학계(200), 그리고 조사부(300)를 포함한다.
편광 모듈(100)에는 복수의 레이저 빔(L1, L1s)이 입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레이저 빔(L1, L1s)이 편광 모듈(100)에 입사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레이저 빔(L1) 및 레이저 빔(L1s) 각각에 대한 설명은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 레이저 빔(L1)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다. 레이저 빔(L1)과 레이저 빔(L1s) 각각은 편광 모듈(100) 내에서 두 개의 레이저 빔으로 분할된 후 편광이 제어된다. 따라서 편광 모듈(100) 내에서는 네 개의 레이저 빔이 진행할 수 있다. 네 개의 레이저 빔 각각은 출력 전에 그 진행 위치가 조절되어 결국 두 개의 출력 레이저 빔(Lout1, Lout2)으로 출력될 수 있다.
출력 레이저 빔(Lout1, Lout2)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 어레이 유닛(LAH) 및 적어도 하나의 거울(M)을 포함하는 호모지나이저일 수 있는 광학계(200)에 입사된다. 광학계(200)를 통과한 레이저 빔은 그 단면상 에너지 분포가 균일하게 조정될 수 있으며 장축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레이저 빔이 될 수 있다.
광학계(200)를 통과한 빛은 조사부(300)를 거쳐 대상물에 조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조사 장치가 레이저 어닐링을 이용한 결정화에 사용될 경우 대상물은 대상 박막(410)은 비정질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대상 박막(410)은 유리 등의 기판(400) 위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기판(400)은 스테이지(30)에 탑재되어 있을 수 있다. 기판(400)은 액정 표시 장치,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등 다양한 전자 장치에 포함되는 기판일 수 있다.
레이저 어닐링 공정에서 레이저 조사 장치 또는 스테이지가 한 방향으로 움직이며 레이저 빔을 대상 박막(410)에 조사할 수 있다. 이때 다결정의 그레인 정렬도를 향상하기 위해 20회 이상의 샷을 한 곳에 조사하는 멀티샷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조사부(300)는 생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편광 모듈(100)을 통해 레이저 빔이 편광되어 있고 편광된 레이저 빔으로 비정질 실리콘을 결정화하면 생성되는 그레인의 정렬도 및 주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선형 편광된 레이저 빔이 대상 박막(410)의 표면에서 산란되고, 이렇게 산란된 빛과 입사되는 레이저 빔이 간섭하여 주기적인 그레인의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편광 모듈(100)에 출력되는 출력 레이저 빔(Lout, Lout1, Lout2)의 편광성을 제어하여 다결정 그레인의 결정성 및 균일성을 제어할 수도 있다. 따라서 멀티샷 방식의 레이저 어닐링 공정에서 샷 수를 줄일 수 있는 여유가 생겨 결정화 공정을 간단히 할 수 있고, 최적 에너지 밀도(OPED) 마진을 증가시킬 수 있어 레이저 조사 장치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편광 모듈(100) 입사되는 레이저 빔(L1, L1s)과 출력되는 출력 레이저 빔(Lout1, Lout2)의 형상 및/또는 면적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할 수 있으므로 이후에 위치하는 광학계(200)는 기존에 사용되는 광학계를 개조할 필요 없이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면 도 8에 도시한 편광 모듈(100)의 구체적인 예에 대하여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앞선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동일한 설명은 생략하며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편광 모듈의 구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앞에서 설명한 도 2a와 함께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편광 모듈(100)은 앞에서 설명한 도 2a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편광 모듈과 대부분 동일하나, 두 개의 레이저 빔(L1, L1s)이 편광 모듈(100)에 입사한다.
편광 모듈(100)은 광축(OX1)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제1 렌즈(TL1) 및 제2 렌즈(TL2), 편광빔 스플리터(PBS), 제1 반파장판(H1) 및 제2 반파장판(H2), 적어도 하나의 거울(M7), 그리고 제1 프리즘 렌즈(PL1) 및 제2 프리즘 렌즈(PL2)를 포함하고, 또 다른 광축(OX2)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제3 렌즈(TL1s) 및 제4 렌즈(TL2s), 편광빔 스플리터(PBSs), 제3 반파장판(H1s) 및 제4 반파장판(H2s), 복수의 거울(M4, M5, M6), 그리고 제1 프리즘 렌즈(PL1) 및 제2 프리즘 렌즈(PL2)를 포함한다.
레이저 빔(L1)은 광축(OX1)을 중심으로 하여 광축(OX1)을 따라 진행하고, 레이저 빔(L1s)은 광축(OX2)을 중심으로 하여 광축(OX2)을 따라 진행한다. 레이저 빔(L1, L1s) 각각은 레이저 발생기(도시하지 않음)에서 생성된 가공되지 않은 최초의 레이저 빔일 수 있다. 레이저 빔(L1, L1s) 각각은 비편광성을 가져 p-편광 성분 및 s-편광 성분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레이저 빔(L1)은 제1 렌즈(TL1) 및 제2 렌즈(TL2)를 순서대로 통과하면서 장축 방향의 길이가 대략 반으로 축소되어 레이저 빔(L2)이 되고, 레이저 빔(L1s)은 제3 렌즈(TL1s) 및 제4 렌즈(TL2s)를 순서대로 통과하면서 장축 방향의 길이가 대략 반으로 축소되어 레이저 빔(L2s)이 된다. 제3 렌즈(TL1s) 및 제4 렌즈(TL2s) 각각은 제1 렌즈(TL1) 및 제2 렌즈(TL2)와 동일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레이저 빔(L2)은 편광빔 스플리터(PBS)를 통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편광된 두 개의 레이저 빔(L3, L4)으로 분리되고, 레이저 빔(L2s)은 편광빔 스플리터(PBSs)를 통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편광된 두 개의 레이저 빔(L3s, L4s)으로 분리된다. 레이저 빔(L3, L3s)은 편광빔 스플리터(PBS, PBSs)에서 반사된 레이저 빔이고 레이저 빔(L4, L4s)은 편광빔 스플리터(PBS, PBSs)를 통과한 레이저 빔이다.
레이저 빔(L3)은 적어도 하나의 거울(M6)에서 반사된 후 반파장판(H2s)을 통과하여 레이저 빔(L10)이 된 후 제3 프리즘 렌즈(PL1s)에 입사된다.
레이저 빔(L4)은 반파장판(H2)을 통과하여 레이저 빔(L6)이 된 후 제1 프리즘 렌즈(PL1)에 입사된다.
레이저 빔(L3s)은 적어도 하나의 거울(M5)에서 반사된 후 반파장판(H1s)을 통과하여 레이저 빔(L6s)이 된 후 제3 프리즘 렌즈(PL1s)에 입사된다.
레이저 빔(L4s)은 복수의 거울(M4, M7)에서 차례대로 반사된 후 반파장판(H1)을 통과하여 레이저 빔(L5s)이 된 후 제1 프리즘 렌즈(PL1)에 입사된다.
반파장판(H1, H2, H1s, H2s)은 각각 입사되는 레이저 빔의 편광 방향을 바꿀 수도 있고 바꾸지 않을 수도 있다. 광축(OX1)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두 반파장판(H1, H2)에 대한 설명은 앞에서 한 바와 동일하고, 광축(OX2)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두 반파장판(H1s, H2s)에 대한 설명도 두 반파장판(H1, H2)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선편광된 출력 레이저 빔(Lout1, Lout2)을 얻고자 하는 경우 반파장판(H1)의 회전각과 반파장판(H2)의 회전각이 서로 45도를 이루고, 반파장판(H1s)의 회전각과 반파장판(H2s)의 회전각이 서로 45도를 이룰 수 있다.
p-편광 또는 s-편광된 출력 레이저 빔(Lout1, Lout2)을 얻고자 할 경우, 두 반파장판(H1, H2) 중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도 있고, p-편광 또는 s-편광된 출력 레이저 빔을 얻고자 할 경우, 두 반파장판(H1s, H2s) 중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도 있다.
레이저 빔(L5s)과 레이저 빔(L6)은 모두 제1 프리즘 렌즈(PL1)와 제2 프리즘 렌즈(PL2)를 순서대로 통과하여 광축(OX1)을 중심으로 대칭을 형성하는 레이저 빔(L7s)과 레이저 빔(L8)으로서 출사된다. 마찬가지로 레이저 빔(L6s)과 레이저 빔(L10)은 모두 제3 프리즘 렌즈(PL1s)와 제4 프리즘 렌즈(PL2s)를 순서대로 통과하여 광축(OX2)을 중심으로 대칭을 형성하는 레이저 빔(L8s)과 레이저 빔(L11)으로서 출사된다.
제1 및 제2 프리즘 렌즈(PL1, PL2)에 대한 설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고, 제3 및 제4 프리즘 렌즈(PL1s, PL2s)에 대한 설명도 제1 및 제2 프리즘 렌즈(PL1, PL2)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및 제2 프리즘 렌즈(PL1, PL2)를 통과하여 나온 레이저 빔(L7s, L8)은 서로 인접하여 출력 레이저 빔(Lout1)으로 출력되며, 그 중심축은 광축(OX1)과 동일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 및 제4 프리즘 렌즈(PL1s, PL2s)를 통과하여 나온 레이저 빔(L8s, L11)은 서로 인접하여 출력 레이저 빔(Lout2)으로 출력되며, 그 중심축은 광축(OX2)과 동일할 수 있다. 출력 레이저 빔(Lout1)의 단면의 장축 방향의 길이는 레이저 빔(L1)의 단면의 장축 방향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고, 출력 레이저 빔(Lout2)의 단면의 장축 방향의 길이는 레이저 빔(L1s)의 단면의 장축 방향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편광 모듈(100)은 앞에서 설명한 도 8에 도시한 레이저 조사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두 개 이상의 레이저 빔(L1, L1s)을 각각 분리하고 서로 다른 레이저 빔(L1, L1s)으로부터 생성된 두 개의 레이저 빔을 하나의 광축(OX1, OX2)을 중심으로 모아 전체적으로 두 개 이상의 출력 레이저 빔(Lout1, Lout2)을 생성하므로 출력 레이저 빔의 강도를 높이면서 복수의 출력 레이저 빔(Lout1, Lout2)의 균일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30: 스테이지
100: 편광 모듈
200: 광학계
410: 대상 박막
400: 기판
H1, H2, H1s, H2s: 반파장판
LAH: 렌즈 어레이
OX, OX1, OX2: 광축
PL1, PL2, PL1s, PL2s: 프리즘 렌즈
PBS, PBSs: 편광빔 스플리터
TL1, TL2, TL1s, TL2s: 렌즈

Claims (20)

  1. 광축을 중심으로 입사되는 입사 레이저 빔의 단면의 한 방향의 길이를 축소하는 제1 렌즈 및 제2 렌즈,
    상기 제1 및 제2 렌즈를 통과한 레이저 빔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편광된 제1 레이저 빔 및 제2 레이저 빔으로 분리하는 편광빔 스플리터,
    상기 제1 레이저 빔의 진행 경로 상에 위치하는 제1 반파장판,
    상기 제2 레이저 빔의 진행 경로 상에 위치하는 제2 반파장판,
    상기 제1 반파장판에서 출사된 상기 제1 레이저 빔 및 상기 제2 반파장판에서 출사된 상기 제2 레이저 빔 모두의 진행 경로 상에 위치하는 제1 프리즘 렌즈, 그리고
    상기 제1 프리즘 렌즈에서 출사된 상기 제1 레이저 빔 및 상기 제2 레이저 빔 모두의 진행 경로 상에 위치하며 출력 레이저 빔을 출사하는 제2 프리즘 렌즈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리즘 렌즈로부터 출사된 상기 출력 레이저 빔은 상기 광축을 중심으로 대칭인 위치로 조절되고,
    상기 광축은 상기 편광빔 스플리터를 지나는
    편광 모듈.
  2. 제1항에서,
    상기 출력 레이저 빔의 단면의 면적은 상기 입사 레이저 빔의 단면의 면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편광 모듈.
  3. 제2항에서,
    상기 출력 레이저 빔은 서로 동일한 편광 방향을 가지는 제1 출력 레이저 빔 및 제2 출력 레이저 빔을 포함하는 편광 모듈.
  4. 제3항에서,
    상기 출력 레이저 빔의 단면의 형상은 상기 입사 레이저 빔의 단면의 형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편광 모듈.
  5. 제2항에서,
    상기 제1 프리즘 렌즈는 서로 비대칭 기울기를 가지는 제1 광학 평면 및 제2 광학 평면을 가지는 편광 모듈.
  6. 제5항에서,
    상기 제2 프리즘 렌즈는 상기 제1 프리즘 렌즈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 프리즘 렌즈와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편광 모듈.
  7. 제6항에서,
    상기 제1 프리즘 렌즈의 중심축과 상기 제2 프리즘 렌즈의 중심축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는 편광 모듈.
  8. 제2항에서,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는 서로 다른 초점 거리를 가지는 망원 렌즈인 편광 모듈.
  9. 제2항에서,
    상기 제1 반파장판의 회전각과 상기 제2 반파장판의 회전각의 차이는 45도인
    편광 모듈.
  10. 제2항에서,
    상기 제2 레이저 빔을 적어도 한 번 반사시켜 상기 제2 반파장판에 입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거울을 더 포함하는 편광 모듈.
  11. 편광 모듈, 그리고 상기 편광 모듈에서 출사되는 레이저 빔을 균일하게 바꾸는 광학계를 포함하고,
    상기 편광 모듈은
    광축을 중심으로 입사되는 적어도 하나의 입사 레이저 빔 각각의 단면의 한 방향의 길이를 축소하는 제1 렌즈 및 제2 렌즈,
    상기 제1 및 제2 렌즈를 통과한 레이저 빔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편광된 제1 레이저 빔 및 제2 레이저 빔으로 분리하는 편광빔 스플리터,
    상기 제1 레이저 빔의 진행 경로 상에 위치하는 제1 반파장판,
    상기 제2 레이저 빔의 진행 경로 상에 위치하는 제2 반파장판,
    상기 제1 반파장판에서 출사된 상기 제1 레이저 빔 및 상기 제2 반파장판에서 출사된 상기 제2 레이저 빔 모두의 진행 경로 상에 위치하는 제1 프리즘 렌즈, 그리고
    상기 제1 프리즘 렌즈에서 출사된 상기 제1 레이저 빔 및 상기 제2 레이저 빔 모두의 진행 경로 상에 위치하며 출력 레이저 빔을 출사하는 제2 프리즘 렌즈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리즘 렌즈로부터 출사된 상기 출력 레이저 빔은 상기 광축을 중심으로 대칭인 위치로 조절되고, 그리고
    상기 광축은 상기 편광빔 스플리터를 지나는
    레이저 조사 장치.
  12. 제11항에서,
    상기 출력 레이저 빔의 단면의 면적은 상기 입사 레이저 빔의 단면의 면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레이저 조사 장치.
  13. 제12항에서,
    상기 출력 레이저 빔은 서로 동일한 편광 방향을 가지는 제1 출력 레이저 빔 및 제2 출력 레이저 빔을 포함하는 레이저 조사 장치.
  14. 제13항에서,
    상기 출력 레이저 빔의 단면의 형상은 상기 입사 레이저 빔의 단면의 형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레이저 조사 장치.
  15. 제13항에서,
    상기 제1 출력 레이저 빔과 상기 제2 출력 레이저 빔은 제1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있고,
    상기 제1 거리는 상기 광학계가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어레이 유닛의 렌즈 피치의 정수배인
    레이저 조사 장치.
  16. 제13항에서,
    상기 광학계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어레이 유닛, 그리고
    상기 제1 출력 레이저 빔과 상기 제2 출력 레이저 빔 사이의 경계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레이저 빔 차단 부재
    를 포함하는 레이저 조사 장치.
  17. 제12항에서,
    상기 제1 프리즘 렌즈는 서로 비대칭 기울기를 가지는 제1 광학 평면 및 제2 광학 평면을 가지는 레이저 조사 장치.
  18. 제17항에서,
    상기 제2 프리즘 렌즈는 상기 제1 프리즘 렌즈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 프리즘 렌즈와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레이저 조사 장치.
  19. 제12항에서,
    상기 제1 반파장판의 회전각과 상기 제2 반파장판의 회전각의 차이는 45도인
    레이저 조사 장치.
  20. 제11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사 레이저 빔은 제1 입사 레이저 빔 및 제2 입사 레이저 빔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 상기 편광빔 스플리터, 상기 제1 프리즘 렌, 그리고 상기 제2 프리즘 렌즈는 상기 제1 입사 레이저 빔의 광축 상에 배열되어 있고,
    상기 레이저 조사 장치는 상기 제2 입사 레이저 빔의 광축 상에 배열되어 있는 제3 렌즈 및 제4 렌즈, 추가 편광빔 스플리터, 그리고 제3 프리즘 렌즈를 더 포함하는
    레이저 조사 장치.
KR1020150137885A 2015-09-30 2015-09-30 편광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저 조사 장치 KR102483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885A KR102483322B1 (ko) 2015-09-30 2015-09-30 편광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저 조사 장치
US15/175,649 US10654130B2 (en) 2015-09-30 2016-06-07 Polarization module and laser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EP16177264.5A EP3151055B1 (en) 2015-09-30 2016-06-30 Polarization module and laser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201610806278.7A CN106552992B (zh) 2015-09-30 2016-09-07 激光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885A KR102483322B1 (ko) 2015-09-30 2015-09-30 편광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저 조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005A KR20170039005A (ko) 2017-04-10
KR102483322B1 true KR102483322B1 (ko) 2022-12-30

Family

ID=56852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7885A KR102483322B1 (ko) 2015-09-30 2015-09-30 편광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저 조사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654130B2 (ko)
EP (1) EP3151055B1 (ko)
KR (1) KR102483322B1 (ko)
CN (1) CN10655299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4289B1 (ko) * 2017-10-17 2022-04-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레이저 결정화 장치
KR102516486B1 (ko) 2017-12-05 2023-04-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레이저 결정화 장치
DE102018103131B4 (de) * 2018-02-13 2020-07-09 Innovavent Gmbh Vorrichtung zum Erzeugen einer Beleuchtungslinie, optisches System und Verfahren zum Verarbeiten mindestens eines eintreffenden Laserstrahls
KR20200057157A (ko) * 2018-11-15 2020-05-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레이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 식각 방법
KR102584252B1 (ko) * 2019-06-10 2023-10-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레이저 어닐 장치
KR102310466B1 (ko) * 2019-06-27 2021-10-13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210057265A (ko) * 2019-11-11 2021-05-21 삼성전자주식회사 레이저 어닐링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JP2021148587A (ja) * 2020-03-18 2021-09-27 株式会社リコー 物体検出装置、及び移動体
EP3929652A1 (en) * 2020-06-24 2021-12-29 Universität Stuttgart Optical converter, optical coupler, optical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polarized radia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22272A1 (en) 2007-11-09 2009-05-14 Silverstein Barry D Projection apparatus using solid-state light source array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4229A (en) 1988-11-18 1991-01-08 Polaroid Corporation Autofocus system
JPH02148874A (ja) 1988-11-30 1990-06-07 Sony Corp レーザ装置
JPH0437181A (ja) 1990-06-01 1992-02-07 Mitsui Petrochem Ind Ltd 狭帯域化エキシマレーザ装置
US5212710A (en) 1990-07-19 1993-05-18 Sony Corporation Laser light beam synthesizing apparatus
JP3273955B2 (ja) 1991-04-09 2002-04-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投影装置
KR100276081B1 (ko) 1997-10-24 2001-02-01 정선종 두 파장용 편광 광 분할기 및 그 제작방법
JPH11176011A (ja) 1997-12-09 1999-07-02 Sony Corp 光ディスク、光ディスク原盤、光ディスク原盤露光方法及び露光装置
US6639177B2 (en) 2001-03-29 2003-10-28 Gsi Lumonic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one or more microstructures of a multi-material device
TWI221102B (en) 2002-08-30 2004-09-21 Sumitomo Heavy Industries Laser material processing method and processing device
US7331676B2 (en) 2005-02-09 2008-02-19 Coherent, Inc. Apparatus for projecting a reduced image of a photomask using a schwarzschild objective
JP2007110064A (ja) 2005-09-14 2007-04-26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レーザアニール方法及び装置
JP4311453B2 (ja) 2007-01-26 2009-08-12 ソニー株式会社 レーザ光源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生成装置
US8379187B2 (en) 2007-10-24 2013-02-19 Nikon Corporation Optical unit, illumination optical apparatus, exposure apparatus, and device manufacturing method
WO2009087784A1 (ja) 2008-01-07 2009-07-16 Ihi Corporation レーザアニール方法及び装置
KR101113588B1 (ko) 2009-09-28 2012-02-22 주식회사 에이에스티젯텍 고 전송 출력 안정화 장치 및 광학 감쇠기를 구비한 레이저 가공 시스템
KR101970091B1 (ko) 2010-02-03 2019-08-13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조명 광학 장치, 조명 방법, 및 노광 방법 및 장치
JP5557188B2 (ja) 2010-02-25 2014-07-23 株式会社ブイ・テクノロジー レーザ照射装置
DE102011011734B4 (de) 2011-02-10 2014-12-24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orrichtung, Anordnung und Verfahren zur Interferenzstrukturierung von flächigen Proben
JP5858670B2 (ja) 2011-07-20 2016-02-10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ーザ光振れ量検出装置、変位測定装置及び光学素子成形用金型の製造方法
DE102011079837A1 (de) 2011-07-26 2013-01-31 Carl Zeiss Smt Gmbh Optisches System einer mikrolithographischen Projektionsbelichtungsanlage, sowie mikrolithographisches Belichtungsverfahren
CN102679907B (zh) 2012-06-01 2015-04-22 哈尔滨工业大学深圳研究生院 基于led光源高精度的微分干涉测量系统及方法
KR20140071832A (ko) 2012-12-04 2014-06-12 주식회사 나래나노텍 미세 패턴 형성용 노광 장치 및 방법, 및 이를 구비한 편광 필름 제조 장치 및 방법
CN103344198B (zh) 2013-07-25 2016-05-11 哈尔滨工业大学 用于微小球面表面轮廓检测的测量仪及测量方法
JP2015050282A (ja) 2013-08-30 2015-03-16 株式会社日立情報通信エンジニアリング レーザアニール装置及びレーザアニール方法
CN104259657B (zh) 2014-09-22 2016-01-06 苏州德龙激光股份有限公司 对随机偏振激光进行分光的装置及其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22272A1 (en) 2007-11-09 2009-05-14 Silverstein Barry D Projection apparatus using solid-state light source arr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087664A1 (en) 2017-03-30
CN106552992A (zh) 2017-04-05
EP3151055B1 (en) 2018-08-01
KR20170039005A (ko) 2017-04-10
US10654130B2 (en) 2020-05-19
EP3151055A1 (en) 2017-04-05
CN106552992B (zh) 2020-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3322B1 (ko) 편광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저 조사 장치
US20130005123A1 (en) Laser Annealing Method And Device
US990406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peckle reduction in laser processing equipment
KR20100077148A (ko) 마이크로리소그래피 투영 노광 장치의 조명 시스템
KR101227803B1 (ko) 감소된 간섭을 갖는 균질화기
KR20180072906A (ko) 레이저 결정화 장치
KR102427155B1 (ko) 레이저 결정화 장치
KR102384289B1 (ko) 레이저 결정화 장치
KR20170120682A (ko) 편광 제어 레이저 라인 프로젝터
KR101700392B1 (ko) 레이저빔 어닐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방법
JP5106130B2 (ja) レーザビーム照射方法およびレーザビーム照射装置
KR102293472B1 (ko) 레이저 어닐 가공 장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어모퍼스 실리콘의 결정화 방법
KR20150101530A (ko) 레이저빔 어닐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방법
KR102460551B1 (ko) 레이저 결정화 장치
KR20180003496A (ko) 레이저 결정화 장치 및 레이저 결정화 방법
US11835708B2 (en) Laser crystallization apparatus
KR20210016226A (ko) 복굴절 프리즘을 이용한 레이저 빔 균질화기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이저 열처리 장치
KR101865222B1 (ko) 레이저 결정화 장치 및 레이저 결정화 방법
JP2003287705A (ja) レーザビーム均一照射光学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