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2163B1 - 하단부 유입협잡물 차단, 제거용 무동력 후위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로터리제진기 - Google Patents

하단부 유입협잡물 차단, 제거용 무동력 후위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로터리제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2163B1
KR102482163B1 KR1020220109872A KR20220109872A KR102482163B1 KR 102482163 B1 KR102482163 B1 KR 102482163B1 KR 1020220109872 A KR1020220109872 A KR 1020220109872A KR 20220109872 A KR20220109872 A KR 20220109872A KR 102482163 B1 KR102482163 B1 KR 102482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impurities
rear screen
fixed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9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실
정자영
김민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하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하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하산업
Priority to KR1020220109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21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29/6469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scrapers
    • B01D29/647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scrapers with a rotary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filtering el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단부 유입협잡물 차단, 제거용 무동력 후위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로터리제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처리장에 설치되어 협잡물을 수거하도록 된 로타리 제진기로서, 내부에 궤도체인이 마련되고, 상기 궤도체인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갖으며, 하부에 베이스패널이 마련된 제진기본체; 상기 제진기본체에 설치되어 하수를 따라 이동하는 협잡물을 걸러내는 전방스크린부; 및 상기 궤도체인에 설치되어 상기 전방스크린부에 걸러진 협잡물을 탈거시킴과 아울러 이송시키도록 탈거돌기들이 형성된 레이크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진기본체에는 상기 전방스크린부를 관통한 잔여협잡물을 걸러내도록 후방스크린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단부 유입협잡물 차단, 제거용 무동력 후위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로터리제진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인 하단부 유입협잡물 차단, 제거용 무동력 후위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로터리제진기는 하수처리장에 설치되는 제진기에 후방스크린부, 회동스크린부 및 미들스크린부를 마련하여, 전방스크린을 관통한 협잡을 순차적으로 걸러내도록 함과 아울러 용이하게 레이크로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협잡물의 수거효율 및 이송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하단부 유입협잡물 차단, 제거용 무동력 후위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로터리제진기{Non-motorized type back screen device for blocking and removing impurities from the lower part and rotary dust suppressor equipped with the same}
본 발명은 하단부 유입협잡물 차단, 제거용 무동력 후위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로터리제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처리장에 설치되는 제진기에 후방스크린부, 회동스크린부 및 미들스크린부를 마련하여, 전방스크린을 관통한 협잡을 순차적으로 걸러내도록 함과 아울러 용이하게 레이크로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협잡물의 수거효율 및 이송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레이크와 제진기본체 하부의 이격거리 틈새로 유입되는 협잡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된 하단부 유입협잡물 차단, 제거용 무동력 후위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로터리제진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하수처리장이나 취수장 등에는 우천시에 물이 범람하게 될 경우 범람하는 물과 함께 떠내려오는 생활쓰레기 등 오물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여러 종류의 제진기를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레이크를 구동함으로써 물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생활쓰레기 등의 오물을 제거하고 있다.
이러한 제진기의 일 예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45201호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제진기는 진개 제거용 레이크가 스크린을 따라 이동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기존의 오물수거용 제진기 중 로터리식 제진기의 경우는 주로 무한궤도 타입의 링크 체인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레이크가 순환하면서 스크린의 전방측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할 시 레이크의 전방측에 다수 형성된 전단 레이크부의 상부에 오물이 안치된 상태에서 상부로 이동하여 맨 상측의 체인휠을 타고 넘는 과정에서 상기 오물이 자중에 의해 하부의 이송부로 떨어뜨려 별도의 컨베이어 등으로 배출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로터리식 제진기의 레이크를 작동하는 링크 체인은 전후에 경사상 으로 설치된 가이드에 의해 순환하게 되는 것으로, 즉 주모터의 동력이 체인휠을 구동하게 되면 상기 체인휠에 권설된 링크 체인이 가이드를 따라 환형으로 일정의 궤적을 그리며 이동한다.
그러나, 종래의 제진기는 제진기의 전방에만 스크린이 마련되어 있어, 전방의 스크린을 관통한 협잡물을 그대로 이동되어 걸러내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지면과 스크린이 연결되는 코너 부분에 배치되는 협잡물을 레이크로 이송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저면부의 협잡물 제거를 위한 기존의 좋은 기술들도 있으나 설비의 복잡성, 운영의 효율성 등 현 장적용성이 다소 낮게 나와 개선 보완이 요구됨에 따라 설비가 간단하고 중력에 의한 무동력 후위스크린 장치를 설치하여 하부유입 협잡물을 상부로 이송 제거하여 운영의 효율성 향상을 위한 기술의 개발이 시급히 욕우되고 있는 실정이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45201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수처리장에 설치되는 제진기에 후방스크린부, 회동스크린부 및 미들스크린부를 마련하여, 전방스크린을 관통한 협잡을 순차적으로 걸러내도록 함과 아울러 용이하게 레이크로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협잡물의 수거효율 및 이송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레이크와 제진기본체 하부의 이격거리 틈새로 유입되는 협잡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된 하단부 유입협잡물 차단, 제거용 무동력 후위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로터리제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수처리장에 설치되어 협잡물을 수거하도록 된 로타리 제진기로서,
내부에 궤도체인이 마련되고, 상기 궤도체인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갖으며, 하부에 베이스패널이 마련된 제진기본체;
상기 제진기본체에 설치되어 하수를 따라 이동하는 협잡물을 걸러내는 전방스크린부; 및
상기 궤도체인에 설치되어 상기 전방스크린부에 걸러진 협잡물을 탈거시킴과 아울러 이송시키도록 탈거돌기들이 형성된 레이크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진기본체에는 상기 전방스크린부를 관통한 잔여협잡물을 걸러내도록 후방스크린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단부 유입협잡물 차단, 제거용 무동력 후위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로터리제진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후방스크린부는 상기 제진기본체의 베이스패널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연결패널과,
상기 연결패널의 상면에 하단부가 연결되어 고정되는 후방스크린바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후방스크린부는 상기 제진기본체의 베이스패널에 하단부가 연결되어 고정되는 제 1 경사스크린바와,
상기 제 1 경사스크린바의 상부에 하단부가 연결되어 고정되는 제 2 경사스크린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제진기본체에는 회동스크린부가 더 마련되고,
상기 회동스크린부는 상기 제진기본체에 형성되는 한쌍의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에 회전되게 축결합되는 회전패널과, 상기 지지브라켓들에 체결된 회전패널을 연결하며 고정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에 상단부가 연결되어 고정되는 절곡스크린바들로 구성된 회전스크린부와,
상기 레이크부에 형성되는 한쌍의 가이드브라켓과,
상기 가이드브라켓에 회전되게 축결합되는 가압롤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절곡스크린바는 상기 후방스크린부의 후방스크린바들 사이에 관통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진기본체에는 미들스크린부가 더 마련되고,
상기 미들스크린부는 상기 제진기본체에 고정되는 미들샤프트와,
상기 미들샤프트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미들스크린바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하단부 유입협잡물 차단, 제거용 무동력 후위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로터리제진기는 하수처리장에 설치되는 제진기에 후방스크린부, 회동스크린부 및 미들스크린부를 마련하여, 전방스크린을 관통한 협잡을 순차적으로 걸러내도록 함과 아울러 용이하게 레이크로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협잡물의 수거효율 및 이송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레이크와 제진기본체 하부의 이격거리 틈새로 유입되는 협잡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단부 유입협잡물 차단, 제거용 무동력 후위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로터리제진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단부 유입협잡물 차단, 제거용 무동력 후위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로터리제진기를 나타낸 부분확대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단부 유입협잡물 차단, 제거용 무동력 후위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로터리제진기의 후방스크린부 및 회동스크린부를 나타낸 확대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단부 유입협잡물 차단, 제거용 무동력 후위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로터리제진기를 나타낸 부분확대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단부 유입협잡물 차단, 제거용 무동력 후위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로터리제진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단부 유입협잡물 차단, 제거용 무동력 후위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로터리제진기의 가압롤러가 회전패널을 가압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단부 유입협잡물 차단, 제거용 무동력 후위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로터리제진기의 회전패널이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단부 유입협잡물 차단, 제거용 무동력 후위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로터리제진기의 회전패널이 북귀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단부 유입협잡물 차단, 제거용 무동력 후위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로터리제진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단부 유입협잡물 차단, 제거용 무동력 후위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로터리제진기를 나타낸 부분확대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단부 유입협잡물 차단, 제거용 무동력 후위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로터리제진기의 후방스크린부 및 회동스크린부를 나타낸 확대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단부 유입협잡물 차단, 제거용 무동력 후위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로터리제진기를 나타낸 부분확대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단부 유입협잡물 차단, 제거용 무동력 후위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로터리제진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단부 유입협잡물 차단, 제거용 무동력 후위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로터리제진기의 가압롤러가 회전패널을 가압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단부 유입협잡물 차단, 제거용 무동력 후위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로터리제진기의 회전패널이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단부 유입협잡물 차단, 제거용 무동력 후위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로터리제진기의 회전패널이 북귀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하단부 유입협잡물 차단, 제거용 무동력 후위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로터리제진기(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로터리 제진기'라 명명함)는 하수처리장에 설치되어 협잡물을 수거하기 위한 로타리 제진기(10)로서,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제진기(10)는 제진기본체(20)와, 전방스크린부(30)와 레이크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진기본체(20)는 내부에 궤도체인(21)이 마련되고, 상기 궤도체인(21)을 회전시키는 구동부(22)를 갖으며, 하부에 베이스패널(23)이 나사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제진기본체(20)는 직사각형상의 틀구조로 형성되며, 하수는 관통하게 되고 협잡물은 상기 베이스패널(23)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전방스크린부(30)에 걸림된다.
상기 궤도체인(21)은 상기 제진기본체(20)에 내측 상부와 하부에 회전되게 축결합되는 연결기어를 갖는 회전축을 상호 연결되고, 상기 구동부(22)는 상부에 설치되는 회전축과 밸트에 의해 연결되어 구동에 의해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궤도체인(21)을 궤도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진기본체(20)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진기본체(20)는 하수의 흐름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전방스크린부(30)는 상기 제진기본체(20)의 베이스패널(23)에 설치되어 하수를 따라 이동하는 협잡물을 걸러내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전방스크린부(30)는 상기 베이스패널(23)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수거패널과, 상기 수거패널의 상면에 하단부가 용접되어 고정되는 수거바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거바들 사이에는 공간이 마련되어, 협잡물을 걸러내고 하수를 관통시킨다.
상기 레이크부(40)는 상기 궤도체인(21)에 설치되어 상기 전방스크린부(30)에 걸러진 협잡물을 탈거시킴과 아울러 이송시키도록 전면부와 배면부에는 탈거돌기(41)들이 형성되고, 상기 탈거돌기(41)들은 상기 수거바들 사이에 관통되게 끼움되면서 이동되어, 걸림된 협잡물을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레이크부(40)는 상기 궤도체인(21)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궤도체인(21)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전방스크린부(30)에 걸림된 협잡물을 이동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제진기본체(20)에는 상기 전방스크린부(30)를 관통한 잔여협잡물을 걸러내도록 후방스크린부(5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후방스크린부(50)는 상기 제진기본체(20)의 베이스패널(23)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연결패널(51)과, 상기 연결패널(51)의 상면에 하단부가 나사체결되거나 용접되어 고정되는 후방스크린바(52)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후방스크린바(52)는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어 후방스크린바(52)들 사이에는 상기 레이트부의 탈거돌기(41)들이 끼움되도록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후방스크린부(50)에 의해 상기 전방스크린부(30)를 관통한 협잡물을 걸러내어 협잡물의 수거효율을 높이는 기능을 한다.
상기 후방스크린부(50)에 걸러진 이물질은 상기 레이크부(40)에 의해 수거되어 이송된다.
상기 후방스크린바(52)는 상기 제진기본체(20)의 베이스패널(23)에 하단부가 연결되어 고정되고 상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1 경사스크린바(521)와, 상기 제 1 경사스크린바(521)의 상부에 하단부가 연결되어 고정되는 제 2 경사스크린바(522)로 이루어진다.
상기 후방스크린바(52)가 제 1 경사스크린바(521)와 상기 제 2 경사스크린바(522)로 경사지면서 절곡되게 형성되어, 물살이나 협잡물에 의해 휘어지거나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고, 경사지거나 수직의 바 형상에 비해 협잡물과의 접촉면적을 넓혀 수거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제진기본체(20)에는 회동스크린부(6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회동스크린부(60)는 상기 제진기본체(20)의 배면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용접되어 고정되는 한쌍의 지지브라켓(61)과, 상기 지지브라켓(61)에 회전되게 축결합되는 회전패널(621)과, 상기 지지브라켓(61)들에 체결된 회전패널(621)을 연결하며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고정축(622)과, 상기 고정축(622)에 상단부가 나사체결 또는 용접되어 고정되는 절곡스크린바(623)들로 구성된 회전스크린부(62)와, 상기 레이크부(40)의 용접되거나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한쌍의 가이드브라켓(63)과, 상기 가이드브라켓(63)에 회전되게 축결합되는 가압롤러(64)로 이루어지며, 상기 절곡스크린바(623)는 상기 후방스크린부(50)의 후방스크린바(52)들 사이에 관통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궤도회전되는 레이크를 따라 상기 가압롤러(64)가 이동하면서 상기 회전패널(621)을 가압하여 상기 고정축(622)과 상기 회전스크린부(62)를 일정각도로 회전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절곡스크린바(623)들은 상기 후방스크린바(52)들 사이에 끼움되어 후방스크린바(52)들 사이의 간격을 줄이도록 함으로써, 협잡물의 수거효율을 높이고, 상기 후방스크린바(52)들 사이에 상기 절곡스크린바(623)들이 배치되어 재차 수거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압롤러(64)에 의해 상기 절곡스크린바(623)들이 회전하면서 상기 후방스크린바(52)들 사이에서 분리되는 과정에서 상기 절곡스크린바(623)에 걸림되었던 협잡물이 상기 후방스크린바(52)에 걸림되면서 상기 후방스크린바(52)로 이동하게되고, 상기 레이크에 의해 상기 후방스크린바(52)에 걸림된 협접물을 이송시키게 됨으로써, 협잡물의 수거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패널(621)에는 외면에 곡선의 가압안내면이 더 형성되어, 상기 가압안내면을 상기 가압롤러(64)가 가압하면서 안내된다.
이때, 상기 회전패널(621)의 일단은 최초 상기 제진기본체(20)의 외면을 지지하며 맞닿게 배치되고, 상기 가압롤러(64)의 가압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진기본체(20)에는 미들스크린부(71)가 더 마련되고, 상기 미들스크린부(71)는 상기 제진기본체(20)에 베이스패널(23)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미들샤프트(72)와, 상기 미들샤프트(72)의 상면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하단부가 나사체결 또는 용접되어 고정되는 미들스크린바(73)들로 이루어져, 상기 전방스크린부(30)를 관통한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미들스크린바(73)에 걸러진 이물질은 상기 레이크부(40)의 배면부에 형성된 탈거돌기(41)가 상기 미들스크린바(73)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끼움된 후 이동하면서, 이물질을 이송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패널(23)에는 상면에 바이브레이터인 진동기를 더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진동기의 진동이 상기 후방스크린부(50)와 상기 미들스크린부(71)에 전달되어, 협잡물의 분리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고 상기 레이크의 탈거돌기(41)가 가압시 협잡물이 신속하게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구동부(22)의 부하를 줄임과 아울러 이송효율을 높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패널(621)에는 외면에 회전과정에서 상기 제진기본체(20)와 충돌하여 충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록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탄성패드를 상기 회전패널(621)의 외면에 부착하여 충격을 완충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곡스크린바(623)에는 양측면에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탄성탈거핀들의 일단을 부착하거나 융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절곡스크린바(623)가 상기 후방스크린바(52)들 사이에 관통되게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탈거핀들이 상기 후방스크린바(52)의 측면과 마찰되어 달라붙은 이물질을 탈거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스크린바(52)를 감싸면서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탄성교체관을 더 끼워 고정시킴으로써, 협잡물이 충돌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도록 함과 아울러 협잡물이 달라붙어 경화된 경후 상기 탄성교체관을 분리한 후 간편하게 유지보수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하단부 유입협잡물 차단, 제거용 무동력 후위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로터리제진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대해서 설명하는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균등하게 대처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 제진기 20 : 제진기본체
21 : 궤도체인 22 : 구동부
23 : 베이스패널 30 : 전방스크린부
40 : 레이크부 41 : 탈거돌기
50 : 후방스크린부 51 : 연결패널
52 : 후방스크린바 521 : 제 1 경사스크린바
522 : 제 2 경사스크린바 60 : 회동스크린부
61 : 지지브라켓 62 : 회전스크린부
621 : 회전패널 622 : 고정축
623 : 절곡스크린바 63 : 가이드브라켓
64 : 가압롤러 71 : 미들스크린부
72 : 미들샤프트 73 : 미들스크린바

Claims (5)

  1. 하수처리장에 설치되어 협잡물을 수거하도록 된 로타리 제진기로서,
    내부에 궤도체인이 마련되고, 상기 궤도체인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갖으며, 하부에 베이스패널이 마련된 제진기본체;
    상기 제진기본체에 설치되어 하수를 따라 이동하는 협잡물을 걸러내는 전방스크린부; 및
    상기 궤도체인에 설치되어 상기 전방스크린부에 걸러진 협잡물을 탈거시킴과 아울러 이송시키도록 탈거돌기들이 형성된 레이크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진기본체에는 상기 전방스크린부를 관통한 잔여협잡물을 걸러내도록 후방스크린부가 더 마련된 하단부 유입협잡물 차단, 제거용 무동력 후위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로터리제진기에 있어서,
    상기 후방스크린부는 상기 제진기본체의 베이스패널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연결패널과,
    상기 연결패널의 상면에 하단부가 연결되어 고정되는 후방스크린바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진기본체에는 회동스크린부가 더 마련되고,
    상기 회동스크린부는 상기 제진기본체에 형성되는 한쌍의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에 회전되게 축결합되는 회전패널과, 상기 지지브라켓들에 체결된 회전패널을 연결하며 고정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에 상단부가 연결되어 고정되는 절곡스크린바들로 구성된 회전스크린부와,
    상기 레이크부에 형성되는 한쌍의 가이드브라켓과,
    상기 가이드브라켓에 회전되게 축결합되는 가압롤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절곡스크린바는 상기 후방스크린부의 후방스크린바들 사이에 관통되게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패널에는 상면에 바이브레이터인 진동기를 더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진동기의 진동이 상기 후방스크린부와 미들스크린부에 전달되어, 협잡물의 분리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회전패널에는 외면에 회전과정에서 상기 제진기본체와 충돌하여 충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탄성패드를 상기 회전패널의 외면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단부 유입협잡물 차단, 제거용 무동력 후위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로터리제진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스크린부는 상기 제진기본체의 베이스패널에 하단부가 연결되어 고정되는 제 1 경사스크린바와,
    상기 제 1 경사스크린바의 상부에 하단부가 연결되어 고정되는 제 2 경사스크린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단부 유입협잡물 차단, 제거용 무동력 후위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로터리제진기.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진기본체에는 미들스크린부가 더 마련되고,
    상기 미들스크린부는 상기 제진기본체에 고정되는 미들샤프트와,
    상기 미들샤프트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미들스크린바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단부 유입협잡물 차단, 제거용 무동력 후위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로터리제진기.
KR1020220109872A 2022-08-31 2022-08-31 하단부 유입협잡물 차단, 제거용 무동력 후위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로터리제진기 KR102482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9872A KR102482163B1 (ko) 2022-08-31 2022-08-31 하단부 유입협잡물 차단, 제거용 무동력 후위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로터리제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9872A KR102482163B1 (ko) 2022-08-31 2022-08-31 하단부 유입협잡물 차단, 제거용 무동력 후위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로터리제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2163B1 true KR102482163B1 (ko) 2022-12-29

Family

ID=84539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9872A KR102482163B1 (ko) 2022-08-31 2022-08-31 하단부 유입협잡물 차단, 제거용 무동력 후위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로터리제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216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0955B1 (ko) * 2011-10-11 2012-08-03 송상원 전방형 로터리 제진기
KR101645201B1 (ko) 2016-02-17 2016-08-03 주식회사 한하산업 미세협잡물 제거 로타리 제진장치
KR101783011B1 (ko) * 2017-03-20 2017-09-28 세계엔텍 주식회사 후방보조스크린에 경사단부가 형성된 구조의 로터리 제진기
KR20180040969A (ko) * 2016-10-13 2018-04-23 황명회 개폐 스크린이 구비된 제진기
KR102314680B1 (ko) * 2020-12-11 2021-10-18 김재선 로터리 제진기
KR102319045B1 (ko) * 2021-03-08 2021-10-29 주식회사 한하산업 잔여협잡물 제거 유닛을 구비한 제진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0955B1 (ko) * 2011-10-11 2012-08-03 송상원 전방형 로터리 제진기
KR101645201B1 (ko) 2016-02-17 2016-08-03 주식회사 한하산업 미세협잡물 제거 로타리 제진장치
KR20180040969A (ko) * 2016-10-13 2018-04-23 황명회 개폐 스크린이 구비된 제진기
KR101783011B1 (ko) * 2017-03-20 2017-09-28 세계엔텍 주식회사 후방보조스크린에 경사단부가 형성된 구조의 로터리 제진기
KR102314680B1 (ko) * 2020-12-11 2021-10-18 김재선 로터리 제진기
KR102319045B1 (ko) * 2021-03-08 2021-10-29 주식회사 한하산업 잔여협잡물 제거 유닛을 구비한 제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2238B1 (ko) 협잡물 이송을 위한 로타리식 제진기
KR100987812B1 (ko) 로타리식 자동 제진기
KR101084319B1 (ko) 제진기의 잔류 진개물 제거장치
KR102319045B1 (ko) 잔여협잡물 제거 유닛을 구비한 제진기
KR20160040916A (ko) 개선된 레이크가 구비된 제진기
KR101893203B1 (ko) 스프링캡 내장형 레이크를 구비한 협잡물 제거용 스크린
KR101914114B1 (ko) 협잡물 처리장치
KR101250253B1 (ko) 로터리 제진기
KR102216780B1 (ko) 회전식 스크레이퍼 및 버켓을 구비한 무빙스크린 장치
KR102032657B1 (ko) 제진기 레이크용 이물질 제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진기
KR102482362B1 (ko) 협잡물 분리 기능을 갖는 레이크가 마련된 로터리 제진기
KR102148107B1 (ko) 협잡물 탈거 기능을 갖는 하수처리장용 로타리 제진기
KR102482163B1 (ko) 하단부 유입협잡물 차단, 제거용 무동력 후위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로터리제진기
KR101652709B1 (ko) 탄성 레이크를 장착한 로타리 제진기
KR200338337Y1 (ko) 협잡물 제거용 세목 스크린
KR200332449Y1 (ko) 로터리식 제진기
KR101147031B1 (ko) 레이크의 양방향 탄성기울임이 가능한 제진기
KR20140033613A (ko) 제진기의 전위스크린
KR100539701B1 (ko) 로터리 제진기
KR101738635B1 (ko) 제진기에 마련된 전위 스크린의 전, 후 왕복 장치
KR102482363B1 (ko) 협잡물 탈거 기능을 갖는 스크린이 마련된 로터리 제진기
KR101330187B1 (ko) 로터리 제진기
KR101887831B1 (ko) 협잡물 퇴적방지구조가 적용된 계단식 여과기
KR100826316B1 (ko) 각형 풀리식 협잡물 제거장치
KR101783011B1 (ko) 후방보조스크린에 경사단부가 형성된 구조의 로터리 제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