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0955B1 - 전방형 로터리 제진기 - Google Patents

전방형 로터리 제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0955B1
KR101170955B1 KR1020110103493A KR20110103493A KR101170955B1 KR 101170955 B1 KR101170955 B1 KR 101170955B1 KR 1020110103493 A KR1020110103493 A KR 1020110103493A KR 20110103493 A KR20110103493 A KR 20110103493A KR 101170955 B1 KR101170955 B1 KR 101170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ke
screen
support shaft
frame
vibration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3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상원
Original Assignee
송상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상원 filed Critical 송상원
Priority to KR1020110103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09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0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0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방형 로터리 제진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레이크에 구비된 인양 갈퀴가 좌우측으로 유동이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하여 레이크와 스크린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소음이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전방형 로터리 제진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전방형 로터리 제진기는 상호 이격된 다수 개의 수직격벽으로 이루어지며 수로를 형성하는 구조물에 설치된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스크린에 걸러진 협잡물을 체인과 결합되어 이동하는 다수 개의 레이크를 이용하여 스크린으로부터 분리 인양하는 제진기 본체로 구성된 전방형 로터리 제진기에 있어서, 상기 레이크는, 체인에 결합되어 체인과 함께 이동하는 레이크 프레임; 상기 레이크 프레임에 설치되어 스크린으로부터 분리되는 협잡물을 인양하는 레이크판; 상기 레이크 프레임과 평행하게 연장된 구조를 갖도록 레이크 프레임에 설치된 지지축; 상기 지지축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스프링; 상기 지지축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축에 설치되되, 스프링들의 사이사이에 위치하여 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 채로 좌우유격을 갖도록 설치된 다수 개의 인출 갈퀴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전방형 로터리 제진기{Front Suspension Type and To Collect From The Rotating Driving Machine}
본 발명은 배수펌프장이나 하수처리장 등에 마련된 수로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물에 포함된 각종 협잡물을 제거하는 로터리 제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크린의 전방에 제진기 본체가 배치되고, 제진기 본체에 마련되어 스크린을 긁고 지나가면서 협잡물을 스크린으로부터 인양하는 레이크의 인출 갈퀴가 좌우유격을 갖도록 함으로써 레이크와 스크린 사이에서 발생되는 소음이나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전방형 로터리 제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진기는 배수펌프장이나 오폐수처리장, 그리고 취수장이나 정수장과 같은 수처리시설에 마련된 수로에 설치되어 수로를 통해 유동하는 물속에 포함된 협잡물을 여과 및 제거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진기로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것은 유압식 제진기와 로터리 제진기가 있다.
상기 유압식 제진기는 고장이 거의 없고, 고장시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한 장점을 갖고 있으나, 다양한 종류의 협잡물에 대한 처리능력이 떨어지고, 협잡물의 유입량이 많을 때 신속한 처리가 어려운 단점을 갖고 있다.
한편 배수펌프장의 경우 각종 협잡물이 빈번하게 유입되는 바, 위와 같은 단점을 갖는 유압식 제진기 보다는 연속적인 레이크의 이동을 통해 많은 양의 협잡물을 신속히 제거할 수 있는 로터리 제진기가 선호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로터리 제진기의 사시도를, 도 2는 종래의 로터리 제진기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종래의 로터리 제진기는 수로에 고정되게 설치된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되며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된 다수 개의 수직격판으로 이루어진 스크린(11)과,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된 체인(12)과, 상기 체인(12)의 구동을 위한 구동장치(13)와, 상기 체인(12)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체인과 함께 이동하면서 스크린(11)에 의해 걸러진 협잡물을 인양하는 다수 개의 레이크(14)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 중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15는 체인의 구동을 위한 스프라켓이고, 16은 인양되는 협잡물에 의한 오염으로부터 제진기 본체를 보호하는 에이프런이며, 17은 보조스크린이고, 18은 인양된 협잡물의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이다.
이와 같은 로터리 제진기는 구동장치(13)에 의한 체인(12)의 이동시 다수 개의 레이크(14)가 스크린(11)을 반복적으로 긁고 지나가면서 스크린(11)에 걸러진 협잡물을 인양하게 되므로, 많은 양의 협잡물을 신속하게 인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레이크는 일측변에 다수 개의 인출 갈퀴가 형성되고, 상기 일측변에 대향하는 타측변에 다수 개의 인양 갈퀴가 형성된 것으로 구성되며, 이때 상기 인출 갈퀴는 스크린을 구성하는 수직격판들의 사이로 삽입되어 스크린에 의해 걸러진 협잡물을 스크린으로부터 분리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되고, 상기 인양 갈퀴는 인출 갈퀴에 의해 스크린으로부터 분리된 협잡물을 인양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레이크는 인출 갈퀴와 인양 갈퀴가 일체형의 구조로 이루어지며, 특히 다수 개의 인출 갈퀴는 레이크의 제작시 결정된 사이 간격을 그대로 유지한 채로 수직격판의 사이에 삽입되어 이동하게 되는 바, 수직격판의 변형이나 협잡물로 인하여 수직격판들의 사이간격이 균일하지 못한 경우, 큰 부하가 발생하여 레이크의 이동이 원활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레이크와 체인 및 구동장치에 무리를 가해 파손을 유발하게 되며, 더불어 큰 소음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레이크에 구비된 인양 갈퀴가 좌우측으로 유동이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하여 레이크와 스크린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소음이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전방형 로터리 제진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크린과 제진기 본체를 분리 구성하고, 스크린의 좌우측변과 저변을 수로를 형성하는 구조물에 고정시켜 보다 견고한 구조를 갖도록 한 전방형 로터리 제진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의 전방형 로터리 제진기는 상호 이격된 다수 개의 수직격벽으로 이루어지며 수로를 형성하는 구조물에 설치된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스크린에 걸러진 협잡물을 체인과 결합되어 이동하는 다수 개의 레이크를 이용하여 스크린으로부터 분리 인양하는 제진기 본체로 구성된 전방형 로터리 제진기에 있어서, 상기 레이크는, 체인에 결합되어 체인과 함께 이동하는 레이크 프레임; 상기 레이크 프레임에 설치되어 스크린으로부터 분리되는 협잡물을 인양하는 레이크판; 상기 레이크 프레임과 평행하게 연장된 구조를 갖도록 레이크 프레임에 설치된 지지축; 상기 지지축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스프링; 상기 지지축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축에 설치되되, 스프링들의 사이사이에 위치하여 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 채로 좌우유격을 갖도록 설치된 다수 개의 인출 갈퀴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축의 양단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지지축의 양단이 레이크 프레임에 구비된 브래킷을 관통한 상태에서 볼트체결에 레이크 프레임에 결합되어 지지축의 분해 조립을 통해 인양 갈퀴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인출 갈퀴는 비금속 재질로 형성하여 마찰소음 억제 및 마찰시 미끄럼이 발생되어 부하를 최소화 한다.
삭제
한편 상기 레이크판은 일측변에 협잡물의 인양을 위한 다수 개의 인양 갈퀴가 형성되고, 상기 일측변에 대향하는 타측변은 레이크의 하강 시 자중에 의해 회전하여 접혀지도록 레이크 프레임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크린은 좌우측변과 저변이 고정브래킷에 의해 수로를 형성하는 구조물에 고정되고, 상기 제진기 본체는 스크린의 전방에서 스크린과 이격된 채로 수로를 형성하는 구조물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직격벽들의 사이에 삽입된 채로 이동하면서 스크린에 걸러진 협잡물을 스크린으로부터 분리하는 레이크의 인양 갈퀴가 좌우유격을 갖도록 구성되어 레이크와 스크린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고, 더불어 협잡물의 인양도 더욱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인양 갈퀴를 비금속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스크린과 레이크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을 더욱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수 개의 인양 갈퀴를 지지하는 지지축을 레이크 프레임에 분해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인양 갈퀴가 손상된 경우, 손상된 인양 갈퀴만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유지보수의 용이함을 제공하고, 유지보수 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레이크판의 하강 시 레이크판이 자중에 의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접혀지게 함으로써, 수압에 의한 저항 및 협잡물과의 간섭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크린과 제진기 본체를 별도로 구성하고, 스크린의 좌우측변과 저변을 수로를 형성하는 구조물에 고정함에 따라 스크린의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며, 스크린의 전방에 이격된 구조로 설치된 제진기 본체의 경우, 기존 스크린에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제진기의 구성 시 초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의 로터리 제진기의 사시도,
도 2 는 종래의 로터리 제진기의 측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방형 로터리 제진기의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방형 로터리 제진기의 측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방형 로터리 제진기가 수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이 수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크의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크의 측면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크의 요부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인출 갈퀴의 수직격벽의 사이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방형 로터리 제진기의 사시도를,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방형 로터리 제진기의 측면도를,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방형 로터리 제진기가 수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를,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이 수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로터리 제진기는 스크린(100)의 전방에 제진기 본체(200)가 설치된 전방형 로터리 제진기로써, 스크린(100)에 걸러진 협잡물을 스크린(100)으로부터 분리하는 레이크(230)의 인출 갈퀴가 좌우유격을 갖도록 구성되어 레이크(230)와 스크린(100)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소음이나 부하를 줄일 수 있도록 한 특징을 갖고 있다.
상기 스크린(100)은 주지된 바와 같이, 상호 이격된 다수 개의 수직격벽(101)에 의해 구성되며, 이때 수직격벽(101)들의 사이간격 보다 작은 협잡물은 스크린(100)을 통해 유동하고, 사이간격 보다 큰 협잡물을 스크린(100)에 의해 걸러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100)은 수압이나 협잡물에 의한 하중을 견고히 지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스크린(100)의 좌우측변과 저변에는 수로(W)를 형성하는 구조물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102)이 구비되며, 이러한 고정브래킷(102)은 앙카에 의해 수로에 고정된다.
상기 제진기 본체(200)는 스크린(100)의 전방에서 스크린(100)과 이격된 채로 수로(W)를 형성하는 구조물에 앙카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전방형 로터리 제진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스크린(100)과 제진기 본체(200)를 상호 이격시켜 별도로 설치되게 함으로써, 스크린이 구비된 기존 수로의 경우 제진기 본체(200)만을 추가적으로 설치하여 전방형 로터리 제진기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초기 요구되는 비용 및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제진기 본체(200)는 프레임(210)과, 상기 프레임(210)에 설치되며 프레임(210)에 마련된 체인가이드(211)를 따라 이동하는 체인(220)과, 상기 체인(220)과 결합되어 체인(220)과 함께 이동하면서 스크린(100)에 걸러진 협잡물을 스크린(100)으로부터 분리시키고 분리된 협잡물을 인양하는 레이크(230)로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레임(210)은 상호 대칭구조를 갖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수로(W)의 양측 벽에 고정되며, 내측면에는 체인(220)의 이동을 지지하기 위한 체인가이드(211)가 형성되고, 체인(220)과 결합되어 체인(220)을 이동시키기 위한 스프라켓(212)이 상단부에 구비되어 있다.
한편 두 프레임(210)에 각기 설치된 스프라켓(212)은 구동축(213)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구동축(213)은 미도시된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스프라켓(212)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체인(220)은 수로의 양측 벽에 설치된 두 프레임(210)에 각기 형성된 체인가이드(211)에 설치되며, 스프라켓(212)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크의 사시도를,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크의 측면도를,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크의 요부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를,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인출 갈퀴의 수직격벽의 사이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레이크(230)는 두 프레임(210)에 각기 설치된 체인(220)에 좌우 양끝단이 결합되어 체인(220)과 함께 이동하면서 스크린(100)에 걸러진 협잡물을 스크린(100)으로부터 분리하고, 분리되는 협잡물을 상부로 인양하는 것으로, 레이크 프레임(231)과, 레이크판(232)과, 지지축(233)과, 스프링(234)과, 인출 갈퀴(23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레이크 프레임(231)은 수로의 양측 벽에 각기 설치된 두 프레임(210)의 사이에서 두 프레임(210)으로 연장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레이크 프레임(231)의 좌우 양끝단은 체인(220)에 결합되어 체인(220)과 함께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레이크 프레임(231)의 상단부 일측에는 스크린(100)으로부터 분리되는 협잡물의 인양을 위한 레이크판(232)이 설치되고, 상단부 타측에는 다수 개의 인출 갈퀴(235)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S)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공간(S)은 레이크 프레임(231)의 좌우 양끝단에 각기 설치된 브래킷(236)과, 상기 브래킷(236)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앵글(237)에 의해 형성되며, 이처럼 브래킷(236)과 앵글(237)에 의해 형성된 공간(S) 내에 삽입되는 인출 갈퀴(235)는 끝단이 레이크 프레임(231)과 앵글(237)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통해 레이크 프레임(231)의 바깥쪽으로 돌출되고, 인출 갈퀴(235)의 상면과 저면은 레이크 프레임(231)과 앵글(237)에 의해 구속되어 협잡물의 인양시 발생되는 되는 부하를 견디도록 설치된다.
상기 레이크판(232)은 일측변에 협잡물의 인양을 위한 다수 개의 인양 갈퀴(232a)가 형성되고, 상기 일측변에 대향하는 타측변이 레이크 프레임(231)에 힌지(232b)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레이크판(232)은 협잡물의 인양의 위한 상승시에는 저면이 레이크 프레임(231)의 상면에 구속되어 힌지(232b)를 중심으로 한 회전이 억제되고, 반대로 하강시에는 자중에 의해 힌지(232b)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접혀짐으로써 하강시 수압에 대한 저항 및 협잡물과의 간섭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축(233)은 레이크 프레임(231)에 설치된 브래킷에 양끝단이 결합되어 인출 갈퀴(235)를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지지축(233)은 브래킷(236)에 용접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고정되게 설치할 수도 있으나, 일부 인출 갈퀴(235)가 손상된 경우, 손상된 인출 갈퀴(235)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레이크 프레임(231)에 분해와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지지축(233)의 양단에는 수나사(233a)가 형성되고, 이처럼 수나사가 형성된 지지축(233)의 양끝단은 레이크 프레임(231)에 형성된 브래킷(236)을 관통하도록 설치됨으로써 레이크 프레임(231)에 결합되며, 상기 브래킷(236)을 관통하여 돌출된 지지축(233)의 끝단에 와셔와 볼트(B)가 체결됨으로써 레이크 프레임(231)과의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분해와 조립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지지축(233)을 이용하여 손상된 인출 갈퀴(235)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지지축(233)의 양끝단에 체결된 볼트(B)를 분해하고, 볼트의 분해에 의해 이동이 자유롭게 된 지지축(233)을 브래킷(236)을 통해 빼낸 뒤, 레이크 프레임(231)의 공간(S)상에 남은 인출 갈퀴(235)들과 스프링(234)들을 레이크 프레임(231)과 앵글(237) 사이에 마련된 틈새를 통해 빼낸 후 교체함으로써 손상된 인출 갈퀴(235)만은 교체할 수 있다.
한편 인출 갈퀴(235)의 분해와 조립을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앵글(237)이 볼트를 매개로 브래킷(236)에 결합되게 하여 앵글(237)의 분해와 조립이 가능하게 하면, 더욱 손쉽게 인출 갈퀴(235)의 유지보수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234)은 다수 개로 구성되며, 다수 개의 스프링(234)은 지지축(233)에 설치되는 인출 갈퀴(235)들의 사이사이에 위치하도록 지지축(233)에 설치되어 인출 갈퀴(235)를 탄성지지하게 된다.
상기 인출 갈퀴(235)는 다수 개로 구성되며, 다수 개의 인출 갈퀴(235)는 지지축(233)을 따라 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지지축(233)과 끼움 결합되며, 각각의 인출 갈퀴(235)는 스프링(234)들의 사이사이에 위치하도록 지지축(233)에 설치된다. 이처럼 지지축(233)에 설치되는 인출 갈퀴(235)는 지지축(233)을 따라 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상태에서 양측면이 스프링(234)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좌우유격을 갖게 된다.
한편 상기 인출 갈퀴(235)는 스크린(100)을 구성하는 수직격벽(101)의 사이로 삽입되어 이동하는 과정에서 수직격벽(101)과 접촉될 수 있으며, 이때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인출 갈퀴(235)는 비금속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인출 갈퀴(235)를 구성하는 비금속 재질로는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가지며, 가볍고, 성형도 우수한 강화플라스틱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방형 로터리 제진기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도록 하며,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전방형 로터리 제진기가 갖는 작용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로터리 제진기는 스크린(100)과 제진기 본체(200)가 별도로 구성되어 스크린(100)의 설치에 제약이 없으므로, 스크린(100)의 설치시 스크린(100)에 구비된 고정브래킷(102)을 이용하여 좌우측변과 저변을 수로에 고정함으로써, 스크린(100)을 보다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일반적인 로터리 제진기의 경우, 스크린이 제진기 내에 구비되는 특성 상, 스크린의 좌우측변만이 고정되고, 저변이 자유단으로 남게 되므로, 수압이나 협잡물의 하중에 취약한 구조를 갖고 있으나, 본 발명의 경우, 스크린(100)의 저변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견고한 구조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크린(100)과 제진기 본체(200)의 별도 설치가 가능하므로, 스크린이 구비된 기존 수로에 제진기 본체(200)를 추가적으로 설치함으로써, 전방형 로터리 제진기의 구성이 가능하게 되며, 이에 따라 초기 비용 및 유지보수 비용도 줄일 수 있고, 유지보수의 편의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조로 설치된 전방형 로터리 제진기는 수로를 따라 유동하는 물 속에 포함된 협잡물이 스크린(100)을 구성하는 수직격벽(101)에 의해 걸러지게 된다.
한편 제진기 본체(200)에 구비된 레이크(230)는 미도시된 모터의 구동에 의해 체인(220)과 함께 이동하게 되며, 스크린(100)의 전방에서 상승하는 레이크(230)에 구비된 다수 개의 인출 갈퀴(235)는 수직격벽(101)들의 사이로 삽입된 채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스크린(100)에 걸러진 협잡물을 스크린(100)으로부터 분리하게 된다.
한편 수직격벽(101)들의 사이에 삽입된 채로 이동하는 인출 갈퀴(235)는 좌우유격을 갖고 있으므로, 수직격벽(101)에 협잡물이 고착되거나 또는 수직격벽(101)의 일부가 변형되거나 또는 협잡물 등에 의해 수직격벽(101)의 사이간격이 균일하지 못한 경우, 해당 인출 갈퀴(235)가 지지축(233)을 따라 적절한 위치로 이동하게 되므로, 레이크(230)와 스크린(100)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소음이나 부하를 줄일 수 있으며, 부하의 감소를 통해 보다 원활한 협잡물의 인양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인출 갈퀴(235)에 의해 스크린(100)으로부터 분리되는 협잡물은 레이크판(232)에 의해 인양되며, 레이크판(232)에 의해 인양되는 협잡물은 제진기 본체(200)의 상단부에 마련된 미도시된 컨베이어로 낙하하여 이송된다.
한편 협잡물의 인양 후 하강하는 레이크(230)에 구비된 레이크판(232)은 자중에 의해 힌지(232b)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접혀지게 되며, 이처럼 레이크판(232)이 접혀진 채로 레이크(230)가 하강하게 됨으로써, 수압에 의한 레이크판(232)의 저항을 줄이고 레이크판(232)과 협잡물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인출 갈퀴(235)의 경우, 협잡물이 수직격벽(101)에 낀 경우, 큰 부하의 작용에 의해 변형되거나 파손될 수 있으며, 이처럼 인출 갈퀴(235)가 손상된 경우, 종래에는 레이크 전체를 교체해야만 하였으나, 본 발명은 인출 갈퀴(235)를 지지하는 지지축(233)을 분해를 통해 손상된 인출 갈퀴(235)만을 교체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높이고, 유지보수 비용은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스크린 (101) : 수직격벽
(200) : 제진기 본체 (220) : 체인
(230) : 레이크 (231) : 레이크 프레임
(232) : 레이크판 (233) : 지지축
(234) : 스프링 (235) : 인출 갈퀴

Claims (5)

  1. 상호 이격된 다수 개의 수직격벽(101)으로 이루어지며 수로를 형성하는 구조물에 설치된 스크린(100)과, 상기 스크린(100)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스크린(100)에 걸러진 협잡물을 체인(220)과 결합되어 이동하는 다수 개의 레이크(230)를 이용하여 스크린(100)으로부터 분리 인양하는 제진기 본체(200)로 구성된 전방형 로터리 제진기에 있어서,
    상기 레이크(230)는,
    체인(220)에 결합되어 체인(220)과 함께 이동하는 레이크 프레임(231);
    상기 레이크 프레임(231)에 설치되어 스크린(100)으로부터 분리되는 협잡물을 인양하는 레이크판(232);
    상기 레이크 프레임(231)과 평행하게 연장된 구조를 갖도록 레이크 프레임(231)에 설치된 지지축(233);
    상기 지지축(233)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스프링(234);
    상기 지지축(233)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축(233)에 설치되되, 스프링(234)들의 사이사이에 위치하여 스프링(234)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 채로 좌우유격을 갖도록 설치된 다수 개의 인출 갈퀴(235)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축(233)의 양단에는 수나사(233a)가 형성되고, 지지축(233)의 양단이 레이크 프레임(231)에 구비된 브래킷(236)을 관통한 상태에서 볼트체결에 레이크 프레임(231)에 결합되어 지지축(233)의 분해 조립을 통해 인양 갈퀴(232a)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형 로터리 제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갈퀴(235)는 비금속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형 로터리 제진기.
  3. 삭제
  4. 상호 이격된 다수 개의 수직격벽(101)으로 이루어지며 수로를 형성하는 구조물에 설치된 스크린(100)과, 상기 스크린(100)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스크린(100)에 걸러진 협잡물을 체인(220)과 결합되어 이동하는 다수 개의 레이크(230)를 이용하여 스크린(100)으로부터 분리 인양하는 제진기 본체(200)로 구성된 전방형 로터리 제진기에 있어서,
    상기 레이크(230)는,
    체인(220)에 결합되어 체인(220)과 함께 이동하는 레이크 프레임(231);
    상기 레이크 프레임(231)에 설치되어 스크린(100)으로부터 분리되는 협잡물을 인양하는 레이크판(232);
    상기 레이크 프레임(231)과 평행하게 연장된 구조를 갖도록 레이크 프레임(231)에 설치된 지지축(233);
    상기 지지축(233)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스프링(234);
    상기 지지축(233)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축(233)에 설치되되, 스프링(234)들의 사이사이에 위치하여 스프링(234)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 채로 좌우유격을 갖도록 설치된 다수 개의 인출 갈퀴(235)로 구성되며,
    상기 레이크판(232)은 일측변에 협잡물의 인양을 위한 다수 개의 인양 갈퀴(232a)가 형성되고, 상기 일측변에 대향하는 타측변은 레이크(230)의 하강 시 자중에 의해 회전하여 접혀지도록 레이크 프레임(231)에 힌지(232b)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형 로터리 제진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100)은 좌우측변과 저변이 고정브래킷(102)에 의해 수로를 형성하는 구조물에 고정되고,
    상기 제진기 본체(200)는 스크린(100)의 전방에서 스크린(100)과 이격된 채로 수로를 형성하는 구조물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형 로터리 제진기.















KR1020110103493A 2011-10-11 2011-10-11 전방형 로터리 제진기 KR101170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493A KR101170955B1 (ko) 2011-10-11 2011-10-11 전방형 로터리 제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493A KR101170955B1 (ko) 2011-10-11 2011-10-11 전방형 로터리 제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0955B1 true KR101170955B1 (ko) 2012-08-03

Family

ID=46886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3493A KR101170955B1 (ko) 2011-10-11 2011-10-11 전방형 로터리 제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095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253B1 (ko) * 2012-11-23 2013-04-04 주식회사 아이엔텍 로터리 제진기
KR101978601B1 (ko) * 2018-04-13 2019-05-14 경기도 부천시 조합형 바 스크린용 협잡물 제진기
KR20200045767A (ko) * 2018-10-23 2020-05-06 주식회사 국제기산 제진기
KR102482163B1 (ko) * 2022-08-31 2022-12-29 주식회사 한하산업 하단부 유입협잡물 차단, 제거용 무동력 후위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로터리제진기
KR102543994B1 (ko) 2023-01-20 2023-06-15 (주)디케이엠엔이 모래 제거가 가능한 로터리 제진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97518U (ko) 1981-06-11 1982-12-15
JP2000273846A (ja) 1999-03-26 2000-10-03 Marushima Sangyo Kk 除塵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97518U (ko) 1981-06-11 1982-12-15
JP2000273846A (ja) 1999-03-26 2000-10-03 Marushima Sangyo Kk 除塵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253B1 (ko) * 2012-11-23 2013-04-04 주식회사 아이엔텍 로터리 제진기
KR101978601B1 (ko) * 2018-04-13 2019-05-14 경기도 부천시 조합형 바 스크린용 협잡물 제진기
KR20200045767A (ko) * 2018-10-23 2020-05-06 주식회사 국제기산 제진기
KR102182705B1 (ko) * 2018-10-23 2020-11-24 주식회사 국제기산 제진기
KR102482163B1 (ko) * 2022-08-31 2022-12-29 주식회사 한하산업 하단부 유입협잡물 차단, 제거용 무동력 후위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로터리제진기
KR102543994B1 (ko) 2023-01-20 2023-06-15 (주)디케이엠엔이 모래 제거가 가능한 로터리 제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0955B1 (ko) 전방형 로터리 제진기
KR101099431B1 (ko) 로타리 제진기
KR100655469B1 (ko) 유효면적을 증대시킨 회전바 스크린 필터장치
US7510650B2 (en) Perforated plate element screen with sealed element design
KR102212858B1 (ko) 대형협잡물 제거가 가능한 전위스크린 미설치형 제진기
KR101964591B1 (ko) 로터리 제진기
KR100944815B1 (ko) 하수 및 배수 처리용 기계식 제진기
KR100911346B1 (ko) 이동식 제진기
KR20200000528A (ko) 힌지점을 구비한 제진기용 레이크
CN2887957Y (zh) 阶梯式机械格栅除污机
CN210367032U (zh) 一种防堵塞阶梯式格栅除污机
KR101259093B1 (ko) 제진기
CA2908881C (en) Floating conveyor belt cleaner assembly
KR102003484B1 (ko) 로터리식 제진기
KR101074826B1 (ko) 배수로용 로타리제진기
KR20140033613A (ko) 제진기의 전위스크린
KR101133073B1 (ko) 제진기
KR101332278B1 (ko) 동조기어장치를 가지는 상승개폐식 로터리 제진기
KR20110030897A (ko) 와이어 스크린 연속식 제진기
CN201906511U (zh) 阶梯格栅固液分离设备
KR20190129514A (ko) 협잡물 처리용 제진기
JP5631458B1 (ja) 汚泥掻寄機
KR101760094B1 (ko) 수평형 제진기
KR102384955B1 (ko) 로터리식 제진기
CN102173466A (zh) 阶梯格栅固液分离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