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1253B1 -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1253B1
KR102481253B1 KR1020207035107A KR20207035107A KR102481253B1 KR 102481253 B1 KR102481253 B1 KR 102481253B1 KR 1020207035107 A KR1020207035107 A KR 1020207035107A KR 20207035107 A KR20207035107 A KR 20207035107A KR 102481253 B1 KR102481253 B1 KR 102481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optical element
lighting device
primary optical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5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6953A (ko
Inventor
루카스 타우트
니나 브라우너
마티아스 슈라글
크리스토프 랜가우어
요한 해플러
Original Assignee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10006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6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1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1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43Light emitting diodes [LED]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of the illuminating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4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9Attachmen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 F21S41/66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by switching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헤드램프를 위한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조명 장치는 - 주 방사 방향으로 광빔들을 방출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광원(10); - 복수의 광 전도체(110)를 구비한 일차 광학 요소(100)이며, 상기 광 전도체(110)들은 광원(10)들의 주 방사 방향으로 배치되며, 그리고 각각은 광원들의 광빔들이 그 내로 공급될 수 있는 하나의 광 입사면(120), 및 하나의 광 출사면(130)을 포함하되, 광 전도체(110)들은 하나의 공통 광 출사면(130) 내로 통해 있는 것인, 상기 일차 광학 요소(100); 및 - 광원(10)들에 상대적으로 광 전도체(110)들의 광 입사면(120)들을 제 위치에 파지하도록 구성된 홀더(200);를 포함하며, 홀더(200)는, 일차 광학 요소(100)의 고정을 위해, 래칭 러그(220)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래칭 요소(210)를 포함하며, 래칭 러그(220)는, 래칭 러그(220)에 할당되어 일차 광학 요소(100) 상에 제공되는 언더컷부(140) 내로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 헤드램프를 위한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조명 장치는
- 주 방사 방향으로 광빔들을 방출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광원;
- 복수의 광 전도체를 구비한 일차 광학 요소이며, 상기 광 전도체들은 광원들의 주 방사 방향으로 배치되며, 그리고 각각은 광원들의 광빔들이 그 내로 공급될 수 있는 하나의 광 입사면, 및 하나의 공통 광 출사면을 포함하되, 광 전도체들은 공통 광 출사면 내로 통해 있는 것인, 상기 일차 광학 요소; 및
- 광원들에 상대적으로 광 전도체들의 광 입사면들을 제 위치에 파지하도록 구성된 홀더;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광 모듈에 관한 것이다.
그 외에도,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를 포함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광 모듈을 포함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에 관한 것이다.
통상 전술한 조명 장치들은 광 모듈들 내지 자동차 헤드램프들과 관련하여 광 분포를 생성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일차 광학 요소들을 위한 간단한 기하구조들이 실현되게 하는 유리로 이루어진 일차 광학 요소들이 사용된다. 그와 반대로 일차 광학 요소를 위해 상대적으로 더 복잡한 기하구조들이 필요하다면, 이를 위해 유리의 이용은 보통 적합하지 않다.
확인된 점에 따르면, 복잡한 기하구조들의 제조를 위해 유리 대신, 재료로서 적합성이 우수한 경우는 투명성이고, 특히 고투명성이고 광 전도성이면서 성형 가능한 플라스틱들이다. 복잡한 보조 광학 요소의 제조를 위한 적합성이 매우 우수한 경우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이며, 매우 바람직하게는 일차 광학 요소는 실리콘 재료로 제조된다.
그러나 일차 광학 요소의 제조를 위해 상기 플라스틱들, 특히 실리콘을 이용하는 점에서 단점은, 상기 일차 광학 요소가 유리체(glass body)와 같은 강도를 보유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그러나 광학적 관점에서, 일차 광학 요소는 특히 조명 수단 내지 광원들에 상대적인 자체의 광 입사면 내지 자체의 광 출사면들의 포지셔닝과 관련하여 최대한 안정된 형상을 보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필요하다. 특히 광원들로서 발광다이오드들을 이용할 경우, 조명 수단 내지 광원들에 상대적인 광 입사면들의 오프셋은 예컨대 의도하지 않은 광 손실을 야기하다.
보조 광학 요소의 광 출사면들의 오프셋은, 다시금, 매핑된 광 패턴이 의도하는 요건에 상응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개선된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는, 홀더가 일차 광학 요소의 고정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래칭 요소를 포함하되, 래칭 요소는, 래칭 요소에 할당되어 일차 광학 요소 상에 제공되는 상대 래칭 요소(counter latching element) 내로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것을 통해 해결된다.
그렇게 하여, 홀더 상에 일차 광학 요소의 파지를 위해 보통 종래 기술에서 적용되는 것과 같은 또 다른 추가 부품은 요구되지 않는 점이 보장된다.
바람직하게 본원의 조명 장치는 "픽셀 광 장치"이며, 광원들은 행들과 열들로 배열된다.
상기 "픽셀 광 장치"의 경우, 광원들은 상호 간에 독립적으로 제어되며, 그럼으로써 상이한 광 분포들이 생성될 수 있으며, 특히 적응형 하이빔 광 분포(dapative highbeam light distribution)가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래칭 요소는 래칭 러그(latching lug)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언더컷부(undercut)로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대 래칭 요소는 래칭 러그일 수 있거나, 또는 언더컷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실무에 적합한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래칭 요소는 래칭 러그를 포함할 수 있고 상대 래칭 요소는 언더컷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일차 광학 요소가 광원들의 주 방사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경우, 복수의 언더컷부는 일차 광학 요소의 종축을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언더컷부들의 개수에 상응하게 래칭 요소들이 홀더 상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 할당된 언더컷부를 포함한 적어도 2개의 래칭 요소가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언더컷부들 내지 대응하는 래칭 요소들은 광 출사면 내지 광원들의 위쪽 내지 아래쪽에 배치되되, "위쪽에"/'아래쪽에"는 조명 장치의 조립된 상태에서 광원들의 주 방사 방향에 대해 횡방향인 일차 광학 요소의 이미 언급한 종축에 관련된다.
"주 방사 방향"은, 광원이 자신의 방향성을 기반으로 가장 강하게, 또는 가장 많이 광을 방사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래칭 요소는 언더컷부로서 형성될 수 있고 상대 래칭 요소는 래칭 러그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래칭 요소는 홀더와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홀더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열가소성 플라스틱들은 열경화성 플라스틱들에 비해 보다 더 적합하고 용이하게 성형될 수 있다.
이 경우 매우 바람직하게는, 홀더는 산란광을 차광하는 재료, 다시 말하면 광 비투과성 재료로, 예컨대 흑색 플라스틱, 특히 -예컨대 흑색-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며, 그럼으로써 산란광은 특히 인접한 광원들에 의해 차단되게 된다.
포지션 홀더(position holder) 내로의 광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또 다른 대안의, 또는 바람직하게는 추가의 조치는, 포지션 홀더와 광 전도체(내지 광 전도체들)의 접촉면이 최대한 작은 방식으로 포지션 홀더가 형성되는 것에 있다.
따라서, 광 전도체는, 협폭의 접촉 영역에서만, 예컨대 각각의 광 전도체 둘레에서 외주를 따라 연장되는 선에서만 포지션 홀더와 접촉한다.
바람직한 방식으로, 일차 광학 요소는 투명하고 광 전도성이면서 성형 가능한 플라스틱으로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일체형"은, 바람직하게는 사출 성형 방법을 이용하여 하나의 피스(piece)로 일차 광학 요소를 제조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주지할 사항은, 일차 광학 요소가 자신의 모든 "부품", 예컨대 광 출사면, 광 전도체들, 상대 래칭 요소들, 그리고 일차 광학 요소 상에 배치되는 추가 "부품들"과 함께 하나의 제조 공정 내지 방법에서 일체형으로, 또는 하나의 피스로 제조되었다는 점이다.
적합한 실시형태에서, 일차 광학 요소는 실리콘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실리콘 재료의 탄성 중합체 특성들을 기반으로, 일차 광학 요소의 제조 동안 몰드에서의 분리(demolding)는 추가 슬라이더(slider) 없이도 가능한데, 그 이유는 일차 광학 요소가 바람직하게는 사출 성형 방법에 의해 제조되기 때문이다.
동일하게, 바람직하게는, 일차 광학 요소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홀더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구비한 수용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 내에는 광 전도체들이 수용될 수 있으면서 포지셔닝될 수 있다.
매우 적합하게는, 홀더가 각자의 광 전도체를 위해 하나의 개구부를 포함하고, 이 개구부 내에는 할당된 광 전도체가 정확한 끼워 맞춤 방식으로 수용되어 포지셔닝된다면, 개별 광 전도체들은 광원들에 상대적으로 자신들의 위치에서 파지될 수 있다.
개구부들은 각각의 광 전도체를 위해 정확하게 매칭된 횡단면을 포함하여 홀더 내에 형성된 구멍들 내지 수용부들이다. 요컨대, 광 전도체들은 할당된 개구부들 내로 삽입되고 홀더에 의해 의도되는 위치에서 파지된다.
또한, 홀더는, 광 전도체들의 개수에 상응하게, 각각 하나의 광 전도체에 할당되는 개구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홀더는, 광 입사면들의 방향으로 향해 있는 광 전도체들의 단부 영역들에서 상기 광 전도체들을 수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광 전도체들은 수용부에서부터 극미하게 뒤쪽으로 돌출될 수 있거나, 또는 홀더와 동일한 평면에서 마감될 수 있다.
또한, 홀더는 주 방사 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벽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포지셔닝 벽부는 일차 광학 요소 상에 제공되는 함몰부 내로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벽부"란 기본적으로 평면에서의 돌출부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예컨대 상호 간에 직각으로 배치되고, 그리고/또는 일종의 개방된 사각형을 형성하는, 다시 말해 함께 하나의 U자 형태를 형성하는 복수의 평면 벽부들의 결합체 역시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포지셔닝 벽부들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높이를 보유할 수 있으며, 특히 점진적인 높이 차이들 역시도 가능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벽부는 일반적으로 광원들의 주 방사 방향에 대한 횡방향으로의 진동이 최대한 가능한 정도로 방지될 수 있도록, 본원의 조명 장치가 조립된 상태에서 일차 광학 요소의 추가 안정성을 보장한다.
또한, 주 방사 방향에서 홀더의 수용 섹션의 측면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벽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벽부 상에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 돌출부는 주 방사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그리고 일차 광학 요소 내에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에 대응하게 형성되는 가이드 그루브 내로 형상 결합 방식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확인된 점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홀더 상에 일차 광학 요소가 고정된 상태에서 추가 안정성을 달성한다.
또한, 홀더와 광 전도체들 사이의 개구부들 내에는, 광 전도체들의 재료보다 더 낮은 굴절률을 보유하는 각각 하나의 재료가 삽입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대적으로 더 낮은 굴절률을 갖는 재료는, 광 전도체가 포지션 홀더와 접촉하지 않도록, 광 전도체를 에워싼다.
그렇게 하여, 전반사를 위한 한계 각도가 증가되며, 그럼으로써 광은 광 전도체에서부터 전혀 유출되거나, 또는 소량만이 유출된다.
바람직하게는, 광 전도체들은, 길게, 다시 말해 광빔들의 주 방사 방향에 대한 횡방향보다는 상기 주 방사 방향으로 더 큰 치수를 가지면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광 전도체들은 자신들의 광 입사면들 쪽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횡단면을 보유할 수 있다.
따라서 주 방사 방향으로 확대되는, 광 전도체들의 횡단면들을 통해, 홀더는 소정의 위치까지만 광 전도체들 상으로 압입될 수 있다.
예컨대 광 전도체들은 원뿔대 형태로, 또는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원칙상, 모든 다면 피라미드 절두체, 예컨대 육각형 피라미드 절두체, 대략 쐐기형 벌집 형태의 피라미드 절두체가 고려된다. 베이스면 형태는 LED 칩 어셈블리들과 의도되는 광 입사 및 출사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광원들은 각각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자의 광원은 각각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자의 광원은 별도로 제어될 수 있고 그에 상응하게 스위치 온 및 오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디밍(dimming)될 수도 있다. 하나의 광원이 복수의 발광다이오드로 구성된다면, 바람직하게는 발광다이오드들 각자는 별도로 제어될 수 있다.
동일하게, 본원의 과제는, 적어도 하나의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광 모듈을 통해 해결된다.
또한, 본원의 과제는, 적어도 하나의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를 포함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를 구비한 광 모듈을 포함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에 의해서는, 예컨대 로우빔 및/또는 하이빔이 생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예컨대 좌측 헤드램프 및 우측 헤드램프 각자는, 광 분포의 좌측 및 우측 부분을 각각 생성하는데 이용되는 하나의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를 포함한다. 이 경우, 광 출사 방향에서 홀더 상류에, 각각 하나의 이차 광학 요소, 일반적으로는 렌즈가 제공되며, 이런 이차 광학 요소에 의해서는 각각의 광 분포가 생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는 후진등을 위해서도 이용될 수 있다.
하기에서 본 발명은 예시의 도면들에 따라서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홀더와 일차 광학 요소를 포함하는 예시의 조명 장치를 도시한 분해도이며, 홀더는 일차 광학 요소의 고정을 위한 2개의 래칭 요소를 포함한다.
도 2는 도 1의 조명 장치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예시의 조명 장치를 조립된 상태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도 3의 조명 장치를 절단선 C-C를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예시의 광 모듈을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1에는, 예시의 조명 장치가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조명 장치는, 주 방사 방향으로 광빔들을 방출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광원(10); 복수의 광 전도체(110)를 구비한 일차 광학 요소(100)이며, 상기 광 전도체(110)들은 광원(10)들의 주 방사 방향으로 배치되고 그 각각은 하나의 광 입사면(120) 및 하나의 광 출사면(130)을 포함하는 것인, 상기 일차 광학 요소(100); 및 홀더(200);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200)는 광원(10)들에 상대적으로 광 전도체(110)들의 광 입사면(120)들을 제 위치에 파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광 전도체(110)들은 하나의 공통 광 출사면(130)으로 통해 있다.
광원(10)들은 각각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 각자의 광원은 각각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각자의 광원은 별도로 제어될 수 있고 그에 상응하게 스위치 온 및 오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디밍될 수 있다. 하나의 광원이 복수의 발광다이오드로 구성된다면, 바람직하게는 발광다이오드들 각자는 별도로 제어될 수 있다.
"주 방사 방향"은, 일반적으로 광원(10)들이 자신들의 방향성을 기반으로 가장 강하게, 또는 가장 많이 광을 방사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도시된 도면들에서, 주 방사 방향은 각각 도면들에 표시된 좌표계의 x 방향에 상응한다.
또한, 홀더(200)는, 일차 광학 요소(100)의 고정을 위해, 래칭 러그(220)를 구비하여 형성된 2개의 래칭 요소(210)를 포함하며, 래칭 러그들은 이 래칭 러그들에 각각 할당된 언더컷부(140) 내에 맞물리도록 구성되며, 상기 언더컷부(140)는 일차 광학 요소(100) 상에 배치되지만, 그러나 도 1에서는 견망 방향으로 인해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2개보다 많은 래칭 요소(210)와 대응하는 언더컷부(140)들이 일차 광학 요소(100) 상에 제공될 수도 있다.
도면들에 도시된 조명 장치의 실례에서, 래칭 요소(210)들은 홀더(200)와 일체형으로 제조된다.
일차 광학 요소(100)는 투명하고 광 전도성이면서 성형될 수 있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며,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재료 내지 폴리(오르가노)실록산으로 제조된다.
또한, 도 1에서는-그러나 향상되는 방식으로 도 2에서는-, 홀더(200)가 광 전도체들의 개수에 상응하게 제공되는 개구부(231)들을 구비한 수용 섹션(230)을 포함하는 점이 확인되며, 상기 개구부(231)들은 각각 하나의 광 전도체(110)에 할당되고, 상기 개구부들 내에는 일차 광학 요소(100)의 광 전도체(110)들이 수용될 수 있고 포지셔닝될 수 있으며, 홀더(200)는 광 입사면(120)들의 방향으로 향해 있는 광 전도체들의 단부 섹션 상에서 광 전도체(110)들을 수용한다.
또한, 홀더(200)는 주 방사 방향 내지 x 방향으로 돌출된 2개의 포지셔닝 벽부(240)를 포함하며, 이들 포지셔닝 벽부는 일차 광학 요소(100) 상에 제공된 함몰부 내로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포지셔닝 벽부"란 기본적으로 평면에서의 돌출부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도면들에서 예시의 조명 장치에 도시된 것처럼, 바람직하게는 자신들의 각각의 측면 단부 에지부들 상에서 상호 간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평면 벽부의 결합체 역시도 의미할 수 있다. 이런 경우, 개별 벽부들은 상호 간에 직각을 이루면서 일종의 개방된 사각형 내지 U자 형태를 형성하며, 연결하는 에지 영역들은 라운딩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포지셔닝 벽부(240)의 개별 벽부들은 동일한 높이를 보유하지 않으며, 점진적인 높이 차이들 내지 프로파일들은 도 1에서 확인된다.
포지셔닝 벽부(240)들은 일반적으로 광원들의 주 방사 방향에 대한 횡방향으로의 진동, 내지 y 방향으로의 진동이 최대한 가능한 정도로 방지될 수 있도록, 본원의 조명 장치가 조립된 상태에서 일차 광학 요소(100)의 추가 안정성을 보장한다.
또한, 포지셔닝 벽부(240)들 상에는 돌출부(241)들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241)들은 주 방사 방향 내지 x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그리고 일차 광학 요소(100) 내에서 돌출부(241)들에 각각 할당된 가이드 그루브 내로 형상 결합 방식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상기 돌출부(241)들은 홀더(200) 상에 일차 광학 요소(100)가 고정된 상태에서 추가 안정성을 달성한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포지셔닝 벽부(240)들은 각각 측면에서, 또는 수용 섹션(230)의 y 축을 따라서 배치되며, 포지셔닝 벽부(240)들의 개방된 면들은 상호 간에 상대적으로 정렬되어 수용 섹션(230)을 부분적으로 범위 한정하거나 제한한다.
도 2에는, 도 1의 조명 장치의 배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서는, 광 전도체(110)들이 도시된 조명 장치에서 길게, 다시 말해 광빔들의 주 방사 방향 내지 x 축에 대한 횡방향보다는 상기 주 방사 방향 내지 x 축으로 더 큰 치수를 가지면서 형성되는 점이 확인된다. 또한, 광 전도체(110)들은 자신들의 광 입사면(120)들 쪽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횡단면을 보유한다. 따라서 주 방사 방향 내지 x 방향으로 확대되는, 광 전도체(110)들의 횡단면들을 통해, 홀더(200)는 소정의 위치까지만 광 전도체(110)들 상으로 압입될 수 있다.
도 3에는, 도 1 및 도 2의 조명 장치의 조립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a에는, 절단선 C-C를 따르는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개별 광 전도체(110)들이 개구부(231)들 내에 정확한 끼워 맞춤 방식으로 수용되어 포지셔닝되어 있는 점이 확인된다.
개구부(231)들은 각각의 광 전도체(110)를 위해 정확하게 매칭된 횡단면을 포함하여 홀더 내에 형성된 구멍들 내지 수용부들이다. 요컨대, 광 전도체들은 할당된 개구부(231)들 내로 삽입되며, 그리고 그와 동시에, 도 3a에서 확인되는 것처럼 개구부(231)들에서부터 극미하게 뒤쪽으로 돌출될 수 있거나, 또는 홀더(200) 내지 개구부(231)들과 동일한 평면에서 마감될 수 있다.
도 4에는, 도 1 ~ 3의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예시의 광 모듈이 도시되어 있으며, 광 모듈은, 추가로, 광원(10)들이 그 상에 배치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11); 광원들의 작동 중에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도록 구성되는 방열판(500); 이차 광학 요소(300); 및 나머지 부품들의 수용을 위해 제공되는 하우징(400);을 포함하며, 이차 광학 요소는, 의도되는 광 분포, 예컨대 로우빔 및/또는 하이빔 광 분포를 획득하기 위해, 조명 장치의 광 출사면(130)에서 출발하는 광빔들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되, 여전히 다른, 또는 추가 광 분포들도 가능하다.
광 모듈의 조립된 상태에서, 광원(10)들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11)은 방열판(500)과 홀더(200) 사이에서 파지되며, 방열판 상에 배치된 핀들은 이를 위해 제공된 개구부들을 통해 인쇄회로기판들을 관통한다.
10: 광원
11: 인쇄회로기판
100: 일차 광학 요소
110: 광 전도체
120: 광 입사면
130: 광 출사면
140: 언더컷부
200: 홀더
210: 래칭 요소
220: 래칭 러그
230: 수용 섹션
231: 개구부
240: 포지셔닝 벽부
241: 돌출부
300: 이차 광학 요소
400: 하우징
500: 방열판

Claims (15)

  1. 자동차 헤드램프를 위한 조명 장치로서,
    - 주 방사 방향으로 광빔들을 방출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광원(10);
    - 복수의 광 전도체(110)를 구비한 일차 광학 요소(100)이며, 상기 광 전도체(110)들은 광원(10)들의 주 방사 방향으로 배치되며, 그리고 각각은 광원들의 광빔들이 그 내로 공급될 수 있는 하나의 광 입사면(120), 및 하나의 공통 광 출사면(130)을 포함하되, 광 전도체(110)들은 상기 공통 광 출사면(130) 내로 통해 있는 것인, 상기 일차 광학 요소(100); 및
    - 광원(10)들에 상대적으로 광 전도체(110)들의 광 입사면(120)들을 제 위치에 파지하도록 구성된 홀더(200);를 포함하는 상기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홀더(200)는, 상기 일차 광학 요소(100)의 고정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래칭 요소(210)를 포함하며,
    상기 래칭 요소(210)는, 상기 래칭 요소(210)에 할당되어 상기 일차 광학 요소(100) 상에 제공되는 상대 래칭 요소(140) 내로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상기 홀더(200)는 주 방사 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벽부(240)를 포함하며, 상기 포지셔닝 벽부는 상기 일차 광학 요소(100) 상에 제공되는 함몰부 내로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벽부(240) 상에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241)가 배치되며, 상기 돌출부(241)는 주 방사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그리고 상기 일차 광학 요소(100) 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241)에 대응하게 형성되는 가이드 그루브 내로 형상 결합 방식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상기 일차 광학 요소(100)는 투명하고 광 전도성이면서 성형 가능한 플라스틱으로 일체형으로 제조되고, 상기 일차 광학 요소(100)는 실리콘 재료 또는 폴리(오르가노)실록산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래칭 요소(210)는 래칭 러그(220)를 포함하거나, 또는 언더컷부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래칭 요소(140)는 래칭 러그이거나, 또는 언더컷부(140)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래칭 요소(210)는 상기 홀더(200)와 일체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200)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231)를 구비한 수용 섹션(230)을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 내에는 상기 광 전도체(110)들이 수용될 수 있으면서 포지셔닝될 수 있으며, 상기 홀더(200)는 상기 광 전도체(110)들의 개수에 상응하게, 각각 하나의 광 전도체(110)에 할당되는 개구부(231)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주 방사 방향에서 상기 홀더(200)의 수용 섹션(230)의 측면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벽부(240)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
  10. 삭제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 전도체(110)들은, 길게, 다시 말해 광빔들의 주 방사 방향에 대한 횡방향보다는 상기 주 방사 방향으로 더 큰 치수를 가지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 전도체(110)들은 자신들의 광 입사면(120)들 쪽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횡단면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10)들은 각각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
  14. 제1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광 모듈.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조명 장치, 또는 제14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광 모듈을 포함하는 자동차 헤드램프.
KR1020207035107A 2018-06-04 2019-05-14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 KR1024812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175740.2A EP3578874A1 (de) 2018-06-04 2018-06-04 Beleuchtungsvorrichtung für einen kraftfahrzeugscheinwerfer
EP18175740.2 2018-06-04
PCT/EP2019/062307 WO2019233713A1 (de) 2018-06-04 2019-05-14 Beleuchtungsvorrichtung für einen kraftfahrzeugscheinwerf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6953A KR20210006953A (ko) 2021-01-19
KR102481253B1 true KR102481253B1 (ko) 2022-12-27

Family

ID=62528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5107A KR102481253B1 (ko) 2018-06-04 2019-05-14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415289B2 (ko)
EP (2) EP3578874A1 (ko)
JP (1) JP7146956B2 (ko)
KR (1) KR102481253B1 (ko)
CN (1) CN112166283B (ko)
WO (1) WO20192337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01073A1 (en) * 2020-11-17 2022-05-25 ZKW Group GmbH Optical device for a motorcycle headlamp optics
KR102607316B1 (ko) * 2021-03-31 2023-11-29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EP4303482A1 (de) 2022-07-07 2024-01-10 ZKW Group GmbH Beleuchtungsvorrichtung für einen kraftfahrzeugscheinwerfer mit nebeneinander angeordneten beleuchtungseinheit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53144A1 (en) 2007-04-16 2008-10-16 Magna International Inc. Semiconductor light engine using polymer light pipes and lighting systems constructed with the light engine
US20090016074A1 (en) 2007-07-09 2009-01-15 Magna International Inc. Semiconductor light engine using glass light pipes
JP2015523677A (ja) * 2012-05-09 2015-08-13 ツィツァラ リヒトシステメ ゲーエムベーハー 自動車前照灯用の照明装置
JP2015524600A (ja) * 2012-07-18 2015-08-24 ツィツァラ リヒトシステメ ゲーエムベーハー 前照灯用照明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11761B1 (de) * 2011-08-08 2014-02-15 Zizala Lichtsysteme Gmbh Led-lichtquellenmodul für einen fahrzeugscheinwerfer sowie fahrzeugscheinwerfer und fahrzeugscheinwerfersystem
AT513816B1 (de) 2012-12-20 2015-11-15 Zizala Lichtsysteme Gmbh Lichtführungseinheit für eine Leuchteinheit eines Scheinwerfers sowie Leuchteinheit und Schweinwerfer
AT513738B1 (de) * 2012-12-20 2014-07-15 Zizala Lichtsysteme Gmbh Leuchteinheit für einen Scheinwerfer
AT513915B1 (de) * 2013-02-14 2015-11-15 Zizala Lichtsysteme Gmbh Lichtmodul sowie Beleuchtungsvorrichtung mit Lichtmodul für einen Fahrzeugscheinwerfer
AT515012B1 (de) * 2013-10-28 2015-08-15 Zizala Lichtsysteme Gmbh Beleuchtungsvorrichtung für einen Kraftfahrzeugscheinwerfer
DE102013225949A1 (de) * 2013-12-13 2015-06-18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Kraftfahrzeugscheinwerfer
DE102014203335A1 (de) * 2014-02-25 2015-08-27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Lichtmodul eines Kraftfahrzeugscheinwerfers und Scheinwerfer mit einem solchen Lichtmodul
AT516170B1 (de) 2014-09-16 2016-03-15 Zizala Lichtsysteme Gmbh Beleuchtungsvorrichtung mit darin verriegelbarer lichtleiteranordnung
DE102015114632A1 (de) * 2015-09-02 2017-03-02 Hella Kgaa Hueck & Co. Signalleuchte für Fahrzeuge
FR3056700B1 (fr) 2016-09-29 2021-04-30 Valeo Vision Module d'eclairage optique, notamment pour un vehicule automobile
DE102016124800A1 (de) * 2016-12-19 2018-06-21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Primäroptikbaugruppe zum Einsatz in einer Kraftfahrzeugbeleuchtungseinrichtung und Kraftfahrzeugbeleuchtungseinrichtung mit einer solchen Primäroptikbaugruppe
DE102017204527B4 (de) * 2017-03-17 2022-06-09 Osram Gmbh Beleuchtungssystem und Scheinwerfer
CN108397743A (zh) * 2018-04-13 2018-08-14 华域视觉科技(上海)有限公司 光学模组及车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53144A1 (en) 2007-04-16 2008-10-16 Magna International Inc. Semiconductor light engine using polymer light pipes and lighting systems constructed with the light engine
US20090016074A1 (en) 2007-07-09 2009-01-15 Magna International Inc. Semiconductor light engine using glass light pipes
JP2015523677A (ja) * 2012-05-09 2015-08-13 ツィツァラ リヒトシステメ ゲーエムベーハー 自動車前照灯用の照明装置
JP2015524600A (ja) * 2012-07-18 2015-08-24 ツィツァラ リヒトシステメ ゲーエムベーハー 前照灯用照明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146956B2 (ja) 2022-10-04
US11415289B2 (en) 2022-08-16
EP3803195B1 (de) 2023-07-19
CN112166283B (zh) 2023-08-04
US20210231283A1 (en) 2021-07-29
EP3803195A1 (de) 2021-04-14
KR20210006953A (ko) 2021-01-19
WO2019233713A1 (de) 2019-12-12
CN112166283A (zh) 2021-01-01
JP2021525447A (ja) 2021-09-24
EP3578874A1 (de) 2019-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02286B2 (ja) 自動車前照灯用の照明装置
KR102481253B1 (ko)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
US10288255B2 (en) Lens array, vehicle-lamp lens group using lens array, and vehicle-lamp assembly using vehicle-lamp lens group
EP1954981B1 (en) Semiconductor-based lighting systems and lighting system components for automotive use
EP0740370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ndicator lights
JP2008518410A (ja) 照明装置、自動車ヘッドライトおよび照明装置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US7050238B2 (en) Power combination optical system and light source module
CN113544550A (zh) 光学单元
TWI603128B (zh) Socket, connector group and socket manufacturing methods
CN211289917U (zh) 光导组件、车灯和车辆
JP6162430B2 (ja) 車両用灯具
CN113924442A (zh) 用于照明设备的预准直器
KR101700155B1 (ko) 차량용 램프
KR102506798B1 (ko) 광도파관들을 포함한 자동차 헤드램프용 광학 장치
CN112513683A (zh) 光学准直器
KR20200120700A (ko)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
CN108431490B (zh) 具有准确光学元件定位的照明布置
JP5956396B2 (ja) 照明器具
TWI580888B (zh) A support for 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 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 module, and an illuminato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upport for a semiconductor light-emitting element
CN219494019U (zh) 具有透明稳定器元件的照明设备
CN113167450A (zh) 多组分注射成型的初级光学器件、机动车的前照灯和机动车
CN219433129U (zh) 一种用于改变光分布的光学装置、模具及灯具
CN219433128U (zh) 一种用于改变光分布的光学装置、模具及灯具
KR102010740B1 (ko) 광학 렌즈
CN218883764U (zh) Led模块和包括led模块的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