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1093B1 - 사각 파이프 벤딩장치 - Google Patents

사각 파이프 벤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1093B1
KR102481093B1 KR1020220106834A KR20220106834A KR102481093B1 KR 102481093 B1 KR102481093 B1 KR 102481093B1 KR 1020220106834 A KR1020220106834 A KR 1020220106834A KR 20220106834 A KR20220106834 A KR 20220106834A KR 102481093 B1 KR102481093 B1 KR 102481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quare pipe
plate
light emitting
light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6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우
Original Assignee
안진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진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안진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06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10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1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1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1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etween rams and anvils or abu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06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combined with measuring of be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4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on brakes making use of clamping means on one side of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02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사각 파이프 벤딩장치는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철판을 사각으로 접어 맞대어진 양단의 내측을 용접하여 제작된 사각 파이프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사각 파이프의 상면을 하 방향으로 가압하여 벤딩하는 상단금형과, 상기 상단금형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사각 파이프가 얹혀지고, 가압 전 상기 사각 파이프의 하면을 지지하며, 가압 시 상기 사각 파이프에 가해지는 압력을 완충 및 분산하는 하단금형과, 상기 하단금형의 일측에 구비되어 가압 후 벤딩 완료된 상기 사각 파이프의 벤딩정확도를 확인하는 검사지그를 구비하고, 상기 사각 파이프는 상기 하단금형에 얹혀질 시, 용접부위가 상기 상단금형과 마주보도록 얹혀져 상기 상단금형의 가압으로 인해 상기 용접부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각 파이프 벤딩장치{square pipe bending device}
본 발명은 사각 파이프 벤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벤딩 후 사각 파이프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사각 파이프 벤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벤딩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외벽체에 필요에 따라 고정 부착되는 고정용 플레이트(20)와; 상기 고정용 플레이트의 중앙부에 삽입된 중심축(22)에 끼워져 고정되며, 원판 형상으로 외주연에 벤딩용 파이프(10)를 안착하기 위한 제1벤딩홈(32)이 함몰된 벤딩롤러(30)와; 상기 중심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동하기 위한 손잡이(42)를 연장 형성한 벤딩축(40)과; 상기 벤딩롤러와 인접된 상기 벤딩축 상에 원판 형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연에 제2벤딩홈(52)을 형성하여 회동되는 상기 벤딩축에 의해 상기 제1벤딩홈 상에 안착된 상기 파이프의 벤딩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50)와; 상기 제1벤딩홈과 제 2벤딩홈의 사이로 삽입된 상기 파이프의 일단을 벤딩시 지지 고정하기 위해 상기 고정용 플레이트의 일측 모서리부에 형성된 지지 플레이트(60)와; 상기 고정용 플레이트 상에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대각 방향의 모서리부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표면에 대해 돌출높이를 가변시키며 벤딩되는 상기 파이프의 벤딩량을 조절하는 벤딩량조절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종래의 벤딩장치는 벤딩하고자 하는 부재를 삽입하거나 안착한 후 벤딩롤러를 이동하여 부재를 구부림으로써 벤딩작업을 수행한다.
이러한 롤러방식의 벤딩작업은 절곡부위에 볼록 또는 오목하게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어 벤딩 후 품질일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83170호(2007.02.1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벤딩 후 사각 파이프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사각 파이프 벤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각 파이프 벤딩장치는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철판을 사각으로 접어 맞대어진 양단의 내측을 용접하여 제작된 사각 파이프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사각 파이프의 상면을 하 방향으로 가압하여 벤딩하는 상단금형과, 상기 상단금형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사각 파이프가 얹혀지고, 가압 전 상기 사각 파이프의 하면을 지지하며, 가압 시 상기 사각 파이프에 가해지는 압력을 완충 및 분산하는 하단금형과, 상기 하단금형의 일측에 구비되어 가압 후 벤딩 완료된 상기 사각 파이프의 벤딩정확도를 확인하는 검사지그를 구비하고, 상기 사각 파이프는 상기 하단금형에 얹혀질 시, 용접부위가 상기 상단금형과 마주보도록 얹혀져 상기 상단금형의 가압으로 인해 상기 용접부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상단금형은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판 형상의 상단베이스와, 상기 상단베이스의 하면에 구비되되 상기 상단베이스와 수직을 형성하도록 구비되고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상단베이스를 통해 상하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가압플레이트와, 상기 상단베이스의 하면 모서리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가압플레이트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가이드 봉을 구비하고, 상기 하단금형은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판 형상의 하단플레이트와, 일 방향으로 긴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하단플레이트의 상면에 위치하는 하단베이스와, 상기 하단베이스의 내부에 상기 가압플레이트와 동일한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가압 시 상기 가압플레이트가 삽입되는 삽입공간과, 상기 삽입공간의 양단에 구비되어 가압 전 상기 사각 파이프를 얹혀지고 가압 시 상기 사각 파이프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너비방향 양단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하단베이스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사각 파이프의 너비방향 양단을 구속하는 제1구속플레이트와, 상기 하단베이스의 길이방향 양단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사각 파이프의 길이방향 양단을 구속하는 제2구속플레이트와, 상기 삽입공간에 구비되어 가압 전후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단과 동일선상에 위치하고 가압 시 하 방향으로 움직여 상기 사각 파이프에 가해지는 압력을 완충하는 완충플레이트와, 상기 완충플레이트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완충플레이트가 상하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도록 하는 실린더와, 상기 하단플레이트의 상면 모서리에 각각 구비되어 가압 시 상기 가이드 봉과 결합하는 결합 봉과, 상기 결합 봉의 외면에 구비되어 완충역할을 하는 탄성체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검사지그는 일 방향으로 긴 형상의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 구비되되 너비방향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사각 파이프의 미벤딩 된 부분이 삽입되는 한 쌍의 제1블록과, 상기 제1블록을 중심으로 양측에 대응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사각 파이프의 벤딩 된 양단이 끼워지는 다수의 제2블록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구속플레이트에 구비되어 가압 전 상기 용접부위가 상기 상단금형과 마주보도록 상기 하부금형에 얹혀져 있는지에 대한 여부를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확인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확인장치는 어느 하나의 상기 제2구속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상기 사각 파이프의 내부를 통해 또 다른 상기 제2구속플레이트 방향으로 빛을 방출하는 제1발광부와, 또 다른 상기 제2구속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상기 제1발광부에서 발광된 빛을 수광하는 수광부와, 또 다른 상기 제2구속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상기 제1발광부에서 발광된 빛과 겹치도록 상기 수광부에 빛을 방출하는 제2발광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발광부는 일측면이 개방된 제1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1제어기판과, 상기 제1제어기판과 연결되어 개방된 일측면으로 상기 수광판에 특정색깔의 빛을 방출하는 제1발광소자와, 상기 제1제어기판과 연결되어 상기 사각 파이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기판은 상기 감지센서에서 상기 사각 파이프가 감지되었을 시 상기 제1발광소자에서 빛이 방출되도록 하고, 상기 제2발광부는 하면이 개방되어 수광판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2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2제어기판과, 상기 제2제어기판과 연결되어 상기 수광판에 또 다른 특정색깔의 빛을 방출하는 제2발광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수광부에는 상기 제1발광소자에서 방출된 빛의 색깔과 상기 제2발광소자에서 방출된 빛의 색깔이 조합되는 제1부분과, 상기 사각 파이프의 용접부위에 의해 제1발광소자에서 방출된 빛의 색깔이 미조합되어 상기 제2발광소자에서 방출된 빛의 색깔만이 수광되는 제2부분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사각 파이프 벤딩장치에 의하면, 벤딩 후 사각 파이프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을 나타낸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각 파이프 벤딩장치의 상단금형과 하단금형을 나타낸 도면.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각 파이프 벤딩장치의 검사지그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사각 파이프 벤딩장치에 의해 벤딩되는 사각 파이프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사각 파이프 벤딩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2b에 도시된 사각 파이프 벤딩장치에 확인장치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확인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확인장치를 통해 사각 파이프의 용접부위가 확인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각 파이프 벤딩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각 파이프 벤딩장치의 상단금형과 하단금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각 파이프 벤딩장치의 검사지그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사각 파이프 벤딩장치에 의해 벤딩되는 사각 파이프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사각 파이프 벤딩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각 파이프 벤딩장치(10)는 사각 파이프(20)의 상측에 위치하고, 사각 파이프(20)의 상면을 하 방향으로 가압하여 벤딩하는 상단금형(100)과, 상단금형(100)의 하측에 위치하여 사각 파이프(20)가 얹혀지고, 가압 전 사각 파이프(20)의 하면을 지지하며, 가압 시 사각 파이프(20)에 가해지는 압력을 완충 및 분산하는 하단금형(200)과, 하단금형(200)의 일측에 구비되어 가압 후 벤딩 완료된 사각 파이프(20)의 벤딩정확도를 확인하는 검사지그(300)를 구비할 수 있다.
벤딩 된 사각 파이프(20)는 책상의 상판을 지지하는 프레임 용도로 사용되고, 사각 파이프(20)는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철판을 사각으로 접어 맞대어진 양단의 내측을 용접하여 제작되며, 상단금형(100)과 하단금형(200)에 의해 길이방향 양단이 상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형태가 되므로 하단금형(200)에 얹혀질 시, 용접부위(21)가 상단금형(100)과 마주보도록 얹혀져 인장력을 받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단금형(100)의 가압으로 인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단금형(100)은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판 형상의 상단베이스(101)와, 상단베이스(101)의 하면에 구비되되 상단베이스(101)와 수직을 형성하도록 구비되고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단베이스(101)를 통해 상하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가압플레이트(102)와, 상단베이스(101)의 하면 모서리에 각각 구비되어 가압플레이트(102)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가이드 봉(103)을 구비할 수 있다.
하단금형(200)은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판 형상의 하단플레이트(201)와, 일 방향으로 긴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되어 하단플레이트(201)의 상면에 위치하는 하단베이스(202)와, 하단베이스(202)의 내부에 가압플레이트(102)와 동일한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가압 시 가압플레이트(102)가 삽입되는 삽입공간(203)과, 삽입공간(203)의 양단에 구비되어 가압 전 사각 파이프(20)를 얹혀지고 가압 시 사각 파이프(20)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204)와, 지지플레이트(204)의 너비방향 양단에 각각 위치하도록 하단베이스(202)의 상면에 구비되어 사각 파이프(20)의 너비방향 양단을 구속하는 제1구속플레이트(205)와, 하단베이스(202)의 길이방향 양단 상면에 구비되어 사각 파이프(20)의 길이방향 양단을 구속하는 제2구속플레이트(206)와, 삽입공간(203)에 구비되어 가압 전후 지지플레이트(204)의 상단과 동일선상에 위치하고 가압 시 하 방향으로 움직여 사각 플레이트에 가해지는 압력을 완충하는 완충플레이트(207)와, 완충플레이트(207)의 하단에 구비되어 완충플레이트(207)가 상하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도록 하는 실린더(208)와, 하단플레이트(201)의 상면 모서리에 각각 구비되어 가압 시 가이드 봉(103)과 결합하는 결합 봉(209)과, 결합 봉(209)의 외면에 구비되어 완충역할을 하는 탄성체(210)를 구비할 수 있다.
상단베이스(101)는 별도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가압플레이트(102)가 상하방향으로 왕복 운동 하도록 하고, 가압플레이트(102)는 하단이 상단보다 짧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비되어 측면이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하단의 중앙으로 모이는 내리막 형상으로 구비되며, 지지플레이트(204)는 가압 시 삽입공간(203)에 가압플레이트(102)가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상면의 중심부분이 가압플레이트(102)와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사각 파이프(20)는 하단베이스(202)의 상면에 얹혀지고, 하단베이스(202)의 상면에 얹혀진 사각 파이프(20)는 제1구속플레이트(205)와 제2구속플레이트(206)에 의해 너비방향 양단 및 길이방향 양단이 구속될 수 있다.
작업자는 사각 파이프(20)의 중앙과 가압플레이트(102)의 중앙을 맞추는 작업 없이 사각 파이프(20)를 하단베이스(202)의 상면에 제1구속플레이트(205)와 제2구속플레이트(206)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으로 안착하기만 하면 되므로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제2구속플레이트(206)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작업의 효율성 등 작업상황에 따라 하나만 구비되어 사각 파이프(20)의 길이방향 일단을 구속할 수 있다.
완충플레이트(207)는 가압 전후 지지플레이트(204)의 상면 양단과 동일선상에 위치하여 사각 파이프(20)를 지지하고, 가압 시에는 하 방향으로 움직여 사각 파이프(20)에 가해지는 압력을 완충 및 분산함으로써 인장력으로 인한 찢어짐이나 수축력으로 인한 찌그러짐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벤딩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실린더(208)는 공기압이나 유압 등을 통해 작동되며, 공기압이나 유압 등의 압력을 조절하여 사각 파이프(20)에 가해지는 압력이 적절하게 완충 및 분산되도록 할 수 있다.
가이드 봉(103)과 결합 봉(209)은 가압 시 서로 결합하게 되고, 결합 봉(209)에 구비되는 탄성체(210)는 가압 시 하단금형(200)에 가해지는 충격 등을 완충하는 역할을 하여 충격에 의한 진동으로 인해 정확한 가압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검사지그(300)는 일 방향으로 긴 형상의 베이스플레이트(301)와, 베이스플레이트(301)의 상면에 구비되되 너비방향 일단에 구비되어 사각 파이프(20)의 미벤딩 된 부분이 삽입되는 한 쌍의 제1블록(302)과, 제1블록(302)을 중심으로 양측에 대응되도록 구비되어 사각 파이프(20)의 벤딩 된 양단이 끼워지는 다수의 제2블록(303)을 구비할 수 있다.
검사지는 하단금형(200)의 일측에 위치하여 벤딩 후 벤딩정확도를 확인하는 작업이 바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벤딩이 완료된 사각 파이프(20)는 미벤딩 된 부분이 한 쌍의 제1블록(302)에 위치함과 동시에 벤딩 된 양단이 제2블록(303)에 끼워지는지에 대한 여부를 통해 벤딩정확도가 확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벤딩 된 부분을 한 쌍의 제1블록(302)에 위치시켰을 시 벤딩 된 양단이 제2블록(303)에 끼워지면 벤딩 작업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고, 반대로 미벤딩 된 부분을 한 쌍의 제1블록(302)에 위치하였으나 벤딩 된 양단이 제2블록(303)에 끼워지지 않거나 양단 중 어느 일단이 제2블록(303)에 끼워지지 않을 경우에는 벤딩정확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간주하여 최종적으로 불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각 파이프 벤딩장치(10)에 구비되는 확인장치(4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도 2b에 도시된 사각 파이프 벤딩장치에 확인장치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확인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확인장치를 통해 사각 파이프의 용접부위가 확인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각 파이프 벤딩장치(10)를 구성하는 하부금형의 제2구속플레이트(206)에는 가압 전 용접부위(21)가 상단금형(100)과 마주보도록 하부금형에 얹혀져 있는지에 대한 여부를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확인장치(4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각 파이프(20)의 용접부위(21)가 하단금형(200)과 마주보도록 얹혀지게 되면 가압 시 용접부위(21)에 인장력을 받게 되어 손상될 수 있으므로 용접부위(21)가 상단금형(100)과 마주보도록 얹혀지는 것이 중요하다.
확인장치(400)는 사각 파이프(20)가 하단금형(200)에 얹혀짐과 동시에 용접부위(21)가 상단금형(100)과 마주보도록 얹혀졌는지 하단금형(200)과 마주보도록 얹혀졌는지를 바로 확인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용접부위(2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를 위해, 확인장치(400)는 어느 하나의 제2구속플레이트(206)에 구비되어 사각 파이프(20)의 내부를 통해 또 다른 제2구속플레이트(206) 방향으로 빛을 방출하는 제1발광부(410)와, 또 다른 제2구속플레이트(206)에 구비되어 제1발광부(410)에서 발광된 빛을 수광하는 수광부(420)와, 또 다른 제2구속플레이트(206)에 구비되어 제1발광부(410)에서 발광된 빛과 겹치도록 수광부(420)에 빛을 방출하는 제2발광부(43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발광부(410)는 일측면이 개방된 제1케이스(411)와, 제1케이스(411)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1제어기판(412)과, 제1제어기판(412)과 연결되어 개방된 일측면으로 수광부(420)에 특정색깔의 빛을 방출하는 제1발광소자(413)와, 제1제어기판(412)과 연결되어 사각 파이프(20)를 감지하는 감지센서(414)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제어기판(412)은 감지센서(414)에서 사각 파이프(20)가 감지되었을 시에만 제1발광소자(413)에서 빛이 방출되도록 하여 불필요한 빛 방출로 인해 작업자에게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2발광부(430)는 하면이 개방되어 수광부(420)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2케이스(431)와, 제2케이스(431)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2제어기판(432)과, 제2제어기판(432)과 연결되어 수광부(420)에 또 다른 특정색깔의 빛을 방출하는 제2발광소자(433)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발광소자(413)에서 방출하는 빛의 색깔을 파랑으로, 제2발광소자(433)에서 방출하는 빛의 색깔을 노랑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사각 파이프(20)가 하부금형에 얹혀지게 되면 감지센서(414)에서 사각 파이프(20)가 감지하게 되고, 이후 제1발광소자(413)에서 방출된 파랑 빛이 제1케이스(411)의 개방된 일면과 사각 파이프(20)의 내측 공간을 따라 수광부(420)에 수광되며, 이와 동시에 제2발광소자(433)에서 방출된 노랑 빛이 제2케이스(431)의 개방된 하면을 통해 수광부(420)에 수광될 수 있다.
여기서, 수광부(420)에는 제1발광소자(413)에서 방출된 파랑 빛과 제2발광소자(433)에서 방출된 노랑 빛이 조합되어 초록빛을 내는 제1부분(421)과, 사각 파이프(20)의 용접부위(21)에 위해 용접부위(21)만큼 제1발광소자(413)에서 방출된 파랑 빛이 수광부(420)에 수광되지 않아 제2발광소자(433)에서 방출된 노랑 빛과 조합되지 않은 노랑 빛의 제2부분(422)이 구비될 수 있다.
만약, 제2부분(422)이 도 7a 및 도 7b와 같이, 좌측 상단이나 우측 상단에 위치한다면 용접부위(21)가 상단금형(100)과 마주보도록 사각 파이프(20)가 얹혀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제2부분(422)이 도 7c와 같이 수광부(420)에 존재하지 않는다면 용접부위(21)가 하단금형(200)과 마주보도록 사각 파이프(20)가 얹혀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확인장치(400)를 구비함으로써 색깔을 통해 용접부위(21)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더불어 벤딩 후 사각 파이프(20)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각 파이프 벤딩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사각 파이프 벤딩장치 20: 사각 파이프
21: 용접부위 100: 상단금형
101: 상단베이스 102: 가압플레이트
103: 가이드 봉 200: 하단금형
201: 하단플레이트 202: 하단베이스
203: 삽입공간 204: 지지플레이트
205: 제1구속플레이트 206: 제2구속플레이트
207: 완충플레이트 208: 실린더
209: 결합 봉 210: 탄성체
300: 검사지그 301: 베이스플레이트
302: 제1블록 303: 제2블록
400: 확인장치 410: 제1발광부
411: 제1케이스 412: 제1제어기판
413: 제1발광소자 414: 감지센서
420: 수광부 421: 제1부분
422: 제2부분 430: 제2발광부
431: 제2케이스 432: 제2제어기판
433: 제2발광소자

Claims (5)

  1.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철판을 사각으로 접어 맞대어진 양단의 내측을 용접하여 제작된 사각 파이프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사각 파이프의 상면을 하 방향으로 가압하여 벤딩하는 상단금형과,
    상기 상단금형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사각 파이프가 얹혀지고, 가압 전 상기 사각 파이프의 하면을 지지하며, 가압 시 상기 사각 파이프에 가해지는 압력을 완충 및 분산하는 하단금형과,
    상기 하단금형의 일측에 구비되어 가압 후 벤딩 완료된 상기 사각 파이프의 벤딩정확도를 확인하는 검사지그를 구비하고,
    상기 사각 파이프는 상기 하단금형에 얹혀질 시, 용접부위가 상기 상단금형과 마주보도록 얹혀져 상기 상단금형의 가압으로 인해 상기 용접부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상단금형은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판 형상의 상단베이스의 하면에 구비되되 상기 상단베이스와 수직을 형성하도록 구비되고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상단베이스를 통해 상하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가압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하단금형은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판 형상의 하단플레이트의 상면에 위치하는 하단베이스의 내부에 상기 가압플레이트와 동일한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가압 시 상기 가압플레이트가 삽입되는 삽입공간과, 상기 삽입공간의 양단에 구비되어 가압 전 상기 사각 파이프를 얹혀지고 가압 시 상기 사각 파이프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삽입공간에 구비되어 가압 전후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단과 동일선상에 위치하고 가압 시 하 방향으로 움직여 상기 사각 파이프에 가해지는 압력을 완충하는 완충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파이프 벤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금형은 상기 상단베이스의 하면 모서리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가압플레이트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가이드 봉을 구비하고,
    상기 하단금형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너비방향 양단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하단베이스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사각 파이프의 너비방향 양단을 구속하는 제1구속플레이트와, 상기 하단베이스의 길이방향 양단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사각 파이프의 길이방향 양단을 구속하는 제2구속플레이트와, 상기 완충플레이트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완충플레이트가 상하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도록 하는 실린더와, 상기 하단플레이트의 상면 모서리에 각각 구비되어 가압 시 상기 가이드 봉과 결합하는 결합 봉과, 상기 결합 봉의 외면에 구비되어 완충역할을 하는 탄성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파이프 벤딩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지그는 일 방향으로 긴 형상의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 구비되되 너비방향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사각 파이프의 미벤딩 된 부분이 삽입되는 한 쌍의 제1블록과,
    상기 제1블록을 중심으로 양측에 대응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사각 파이프의 벤딩 된 양단이 끼워지는 다수의 제2블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파이프 벤딩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속플레이트에 구비되어 가압 전 상기 용접부위가 상기 상단금형과 마주보도록 상기 하단금형에 얹혀져 있는지에 대한 여부를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확인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확인장치는 어느 하나의 상기 제2구속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상기 사각 파이프의 내부를 통해 또 다른 상기 제2구속플레이트 방향으로 빛을 방출하는 제1발광부와, 또 다른 상기 제2구속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상기 제1발광부에서 발광된 빛을 수광하는 수광부와, 또 다른 상기 제2구속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상기 제1발광부에서 발광된 빛과 겹치도록 상기 수광부에 빛을 방출하는 제2발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파이프 벤딩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발광부는 일측면이 개방된 제1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1제어기판과, 상기 제1제어기판과 연결되어 개방된 일측면으로 상기 수광부에 특정색깔의 빛을 방출하는 제1발광소자와, 상기 제1제어기판과 연결되어 상기 사각 파이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1제어기판은 상기 감지센서에서 상기 사각 파이프가 감지되었을 시 상기 제1발광소자에서 빛이 방출되도록 하고,
    상기 제2발광부는 하면이 개방되어 수광부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2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2제어기판과, 상기 제2제어기판과 연결되어 상기 수광부에 또 다른 특정색깔의 빛을 방출하는 제2발광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수광부에는 상기 제1발광소자에서 방출된 빛의 색깔과 상기 제2발광소자에서 방출된 빛의 색깔이 조합되는 제1부분과, 상기 사각 파이프의 용접부위에 의해 제1발광소자에서 방출된 빛의 색깔이 미조합되어 상기 제2발광소자에서 방출된 빛의 색깔만이 수광되는 제2부분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 파이프 벤딩장치.
KR1020220106834A 2022-08-25 2022-08-25 사각 파이프 벤딩장치 KR102481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6834A KR102481093B1 (ko) 2022-08-25 2022-08-25 사각 파이프 벤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6834A KR102481093B1 (ko) 2022-08-25 2022-08-25 사각 파이프 벤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1093B1 true KR102481093B1 (ko) 2022-12-26

Family

ID=84547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6834A KR102481093B1 (ko) 2022-08-25 2022-08-25 사각 파이프 벤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10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4681B1 (ko) 2023-02-09 2023-10-05 주식회사 피아이텍 사각파이프 벤딩방법 및 그로부터 생산된 구조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3170B1 (ko) 2005-06-10 2007-02-15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롤러 파이프 벤딩장치
KR101352511B1 (ko) * 2013-06-25 2014-01-20 김정수 범퍼 빔 금형 장치 및 범퍼 빔 제조 방법
KR20180065520A (ko) * 2016-12-08 2018-06-18 주식회사 포스코 형상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하이드로포밍 성형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3170B1 (ko) 2005-06-10 2007-02-15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롤러 파이프 벤딩장치
KR101352511B1 (ko) * 2013-06-25 2014-01-20 김정수 범퍼 빔 금형 장치 및 범퍼 빔 제조 방법
KR20180065520A (ko) * 2016-12-08 2018-06-18 주식회사 포스코 형상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하이드로포밍 성형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4681B1 (ko) 2023-02-09 2023-10-05 주식회사 피아이텍 사각파이프 벤딩방법 및 그로부터 생산된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1093B1 (ko) 사각 파이프 벤딩장치
JP2012020317A (ja) リード加工装置、リード加工方法及びリード加工金型
KR20080089302A (ko) 묘화 장치 및 방법
KR100959514B1 (ko) 용접용 형강 지그장치
JP2000280073A (ja) ロンジ材取付装置
CN211764079U (zh) 用于ctp的输送上压辊结构
KR20090061740A (ko) 빔 뒤틀림 교정방법 및 장치
KR200294307Y1 (ko) 레이저 용접용 판재의 정렬장치
CN107731712B (zh) 用于小尺寸直插型光电器件管脚整形的切脚机
JP5446714B2 (ja) プレス装置
KR102059434B1 (ko) 부품조립장치
KR100831079B1 (ko) 용접 베드
KR20050058649A (ko) 평판표시소자용 본딩시스템
CN218225344U (zh) 桥梁钢翻转焊接设备
KR102400170B1 (ko) 코일 교정 시스템 및 교정 방법
JPH05177475A (ja) 開口枠組立用クランプ装置
JP2502682Y2 (ja) 被加工物の押さえ具
JP2551722B2 (ja) フランジ・コーナーピース装着装置
KR100287616B1 (ko)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 장착장치
KR101628683B1 (ko) 하나 이상의 절곡 리브를 갖는 알루미늄바 밴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밴딩 방법
JP2007021534A (ja) 板材の突合せ位置決め方法
CN217344299U (zh) 一种电磁阀组装装置
KR102508055B1 (ko) 사각 파이프 노칭장치
CN219358498U (zh) 一种钢薄板拼接焊防错边装置及薄板拼接焊专机
CN211414158U (zh) 横梁组装焊接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