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0658B1 - 체외 혈액 회로 내 기포 제거 방법 - Google Patents

체외 혈액 회로 내 기포 제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0658B1
KR102480658B1 KR1020177006026A KR20177006026A KR102480658B1 KR 102480658 B1 KR102480658 B1 KR 102480658B1 KR 1020177006026 A KR1020177006026 A KR 1020177006026A KR 20177006026 A KR20177006026 A KR 20177006026A KR 102480658 B1 KR102480658 B1 KR 102480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orporeal blood
inlet
outlet
venous
ar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6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1801A (ko
Inventor
랄프 보즈케
파울 비에네케
Original Assignee
프레제니우스 메디칼 케어 도이칠란드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레제니우스 메디칼 케어 도이칠란드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프레제니우스 메디칼 케어 도이칠란드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70041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1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0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0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21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43Priming, rinsing before or after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21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27Degassing devices; Buffer reservoirs; Drip chambers; Blood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14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 A61M1/16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with membranes
    • A61M1/1621Constructional aspe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21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26Gas bubble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21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43Priming, rinsing before or after use
    • A61M1/3644Mode of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72Means preventing coag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23Multiway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8Clamping means for squeezing flexible tubes, e.g. roller c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2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 A61M2205/273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preventing reuse, e.g. of disposab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61M2205/3334Measuring or controlling the flow ra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석 장치의 체외 혈액 회로의 목표 영역에서 기포를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목표 영역은 유입부를 통해 상기 목표 영역으로 들어가고 유출부룰 통해 다시 목표 영역에서 빠져나가는 세정액에 의해 통과되며, 상기 유입부는 동맥 포트와 구별되고 상기 유출부는 상기 체외 혈액 회로의 정맥 포트와 구별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체외 혈액 회로 및 컨트롤 유닛을 포함하는 투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체외 혈액 회로는 세정액을 위한 유입부 및 유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유입부는 동맥 포트와 구별되고 상기 유출부는 상기 체외 혈액 회로의 정맥 포트와 구별되며, 상기 컨트롤 유닛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시하기 위해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투석 치료를 위한 일회용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일회용기기는 동맥 라인, 혈액 펌프의 구성요소들, 투석기 및 정맥 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일회용기기는 상기 동맥 라인 내에 세정액의 상기 유입부를 위한 인터페이스와 상기 정맥 라인 내에 세정액의 상기 유출부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부를 위한 상기 인터페이스는 동맥 포트와 구별되고 상기 유출부를 위한 상기 인터페이스는 호스 세트의 정맥 포트와 구별된다.

Description

체외 혈액 회로 내 기포 제거 방법 {Method for washing out gas bubbles in an extracorporeal blood circuit}
본 발명은 체외 혈액 회로(extracorporeal blood circuit)의 목표 영역(target zone)에서 기포를 제거하는 방법, 체외 혈액 치료 유닛(extracorporeal blood treatment unit), 및 체외 혈액 치료를 위한 일회용기기에 관한 것이다.
미세기포(microbubble)는 대체로 매우 작은 크기 때문에 더 이상 눈에 보이지 않는 수 ㎛의 지름을 가진 기포다. 미세기포는 체외 혈액 회로 내 여러 지점에서 여러 상태에 따라 발생하며, 그 중에서도 혈액 용해 기체의 배출 또는 체외 회로의 진공 영역 내 매우 미세한 틈에서의 공기 유입으로 인해 발생하고, 체외 호스 시스템(extracorporeal hose system) 또는 혈액 치료 유닛(blood treatment unit)의 내부 표면에 부착된다. 기포가 분리되어 인체로 주입될 때 그 영향력은 이전에 추정된 것보다 더 크다. 예를 들어, 미세기포는 투석 환자의 폐, 심장 및 뇌와 같은 중요 기관에서 발견되었다.
미세기포 검출기(microbubble detector)의 도움으로 투석기(dialyzer)에서 감지하는 것은 여러 미세기포 발생 소스들을 알 수 있게 해준다. 특히 치료의 처음 몇 분 안에 환자에게 유입되는 미세기포가 증가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처음에, 평균 미세기포의 흐름(flow)은 나머지 치료 도중보다 한 자리수가 더 높을 수 있다. 게다가, 잠재적으로 추후 미세기포 형성을 위한 소스(source) 및 저장소(reservoir)로 작용할 수 있는 체외 회로 내 공기 집적(air collection)이 있다. 예를 들어, 공기 집적은 투석기, 혈액 펌프의 호스 세그먼트(hose segment), 정맥 점적 챔버(venous drip chamber), 헤파린 주사기(heparin syringe) 및 기타 주사기, 공급관(예를 들어, 헤파린 호스) 및 추가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루어 연결(Luer connections))에 존재할 수 있다. 펌프의 흡입 구역 내 진공은 일반적으로 공기 유입을 촉진한다. 게다가, 증가된 미세기포들이 투석 용액이 일시적으로 더 이상 리프레시(refresh)되지 않고 투석기 모세관(dialyzer capillary) 내 혈액이 깨끗하고 가스가 제거된 투석 용액으로 더 이상 세척되지 않는 압력 유지 검사(pressure holding test) 중에 관찰되었다.
미세기포는 작은 크기와 작은 부력 때문에 정맥 챔버로 제한되어 그 안에서만 분리만 될 수 있고, 공기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규정된 보호 시스템에 의해서 조건부로 인지될 수 있다.
일본특허공개 제2010-273693호(2010.12.09.)
본 발명의 중요한 목적은 체외 혈액 회로 내 미세기포의 수를 감소시키는 것 또는 환자의 체내로 미세기포의 유입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배경기술과는 반대로, 본 발명은 체외 혈액 회로의 목표 영역으로부터 기체를 제거하는 방법을 제안하되, 목표 영역은 유입부(inflow)를 통해 목표 영역으로 들어가고 유출부(outflow)를 통해 목표 영역에서 빠져 나가는 세정액(flushing liquid)에 의해 통과된다. 유입부는 동맥 포트(arterial port)와 구별되고 유출부는 체외 혈액 회로의 정맥 포트(venous port)와 구별되는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체외 혈액 회로는 투석 장치(dialysis machine)의 체외 혈액 회로다. 투석 장치의 체외 혈액 회로는 동맥 라인(arterial line), 혈액 펌프(blood pump), 투석기, 및 정맥 라인(venous line)을 포함한다. 환자에게 연결하기 위한 동맥 포트(arterial port)는 동맥 라인에 배치된다. 환자에게 연결하기 위한 정맥 포트(venous port)는 정맥 라인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라, 세정액은 정맥 포트를 통해 목표 영역에서 빠져나가지 않고, 분리된(separate) 유출부를 통해 빠져나간다. 그렇게 해서 기포 제거 방법의 착수 시간(onset time)이 더 유연하게 실현될 수 있다. 선행기술의 주지된 프로세스는 유출부로서 정맥 포트를 사용하거나 정맥 포트의 단락 회로(short-circuit)를 요구했기 때문에, 환자와 회로가 연결된 동안에는 기포 제거를 실시할 수 없었다. 예를 들어, 기포 제거는 치료 중단 시, 예를 들어 압력 유지 검사 중에는 불가능했다.
더 나아가, 본 방법의 사용은 기타 체외 치료 시스템, 예를 들어 한외 여과 디바이스(ultrafiltration device) 및 인공심폐기(heart-lung machine)에서도 가능하다.
목표 영역은 유입부 및 유출부 사이에 놓인 체외 혈액 회로의 일 부분을 나타낸다. 유입부는 동맥 포트와 구별되고 유출부는 정맥 포트와 구별되기 때문에, 목표 영역은 체외 혈액 회로의 일부분만 포함한다. 체외 혈액 회로의 다른 부분들 또는 기능적 그룹(functional group)은 다른 실시예들에서 목표 영역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정맥 라인에 배치된 혈액 펌프가 목표 영역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목표 영역은 순방향(forward direction)으로 통과된다. 세정액이 정맥 포트의 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순방향으로 정의한다. 용어 “업스트림(upstream)” 및 “다운스트림(downstream)”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는 체외 혈액 회로 내에서 제공되는 흐름 방향(flow direction)과 관련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세정액은 전체 프로세스 동안 항상 동일한 방향으로 목표 영역을 통과하여 흐른다. 바람직하게는 세정액은 프로세스 동안 순환되지 않는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 순환은 프로세싱 후 사용된(consumed) 세정액이 선택적으로 재사용된다는 의미에서 적어도 경우에 따라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출부는 정맥 라인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유출부는 체외 혈액 회로의 모든 기존 인터페이스들의 다운스트림에 배치된다. 기존 인터페이스들의 예시에는 전 희석 포트(predilution port), 후 희석 포트(postdilution port), 항응혈제(anticoagulant)(예를 들어 헤파린(heparin) 또는 구연산염(citrate)) 투여(administering) 포트, 채혈 포트, 동맥 또는 정맥 투약(medication administration) 포트 등이 포함된다. 동맥 및 정맥 포트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인터페이스로 고려되지 않는다. 유출부가 체외 혈액 회로에 있는 모든 기존 인터페이스들의 다운스트림에 배치된다면, 체외 혈액 회로의 가능한 한 큰 부분이 미세기포에서 벗어날 수 있고 동시에 투여되는 항응혈제의 경우 젖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출부는 정맥 포트와 가까이 있다. 하지만, 기포 검출기와 같은 공기 유입을 막는 어떠한 보호 시스템의 업스트림에 유출부를 배치하는 것이 유리하다.
일 실시예에서, 유입부는 동맥 라인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유입부는 혈액 펌프의 업스트림에 배치된다. 대안으로 유입부는 혈액 펌프의 다운스트림에 배치될 수 있다. 대용액(substitution) 흐름의 액세스(access)는 호스 시스템의 가능한 한 큰 부분이 미세 거품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일반적으로 동맥 라인에 가까이 놓일 수 있다. 항응혈제로 요구되는 간헐적 세정의 경우에는, 대용액 흐름의 액세스는 동시에 투여된 항응혈제를 가져가고 호스 시스템의 가능한 한 큰 부분을 적시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항응혈제를 투약하는 호스의 업스트림에 위치해야 한다. 그러므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액세스는 혈액 펌프의 업스트림에 배치된다. 대안으로, 혈액 펌프의 유입부를 다운스트림에 배치하는 것 또한 가능하며, 선택적으로 항응혈제(예를 들어, 헤파린) 투여를 위한 인터페이스의 업스트림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는, 기존의 인터페이스들이 유입부로 사용된다. 유입부로 사용될 수 있는 기존의 인터페이스들의 예시에는 전 희석 포트 또는 항응혈제의 투여 포트가 포함된다. 일 실시예에서, 체외 혈액 회로는 분리된 인터페이스(separate interface)로 구성되는 유입부를 포함한다. 가능한 실시예로, 예를 들어, 추가 유입부가 혈액 펌프의 업스트림에 배치되어, 혈액 펌프 주변 구역이 세정되거나 미세기포에서 벗어날 수도 있다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목표 영역은 체외 혈액 회로에서의 기포 형성 또는 기포 집적(deposition)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부분(section)을 포함한다. 유입부가 동맥 라인에 배치되고 유출부가 정맥 라인에 배치된다면, 목표 영역은 투석 장치인 경우 적어도 투석기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유입부가 혈액 펌프의 업스트림에 배치된 경우, 목표 영역은 혈액 펌프를 포함한다. 목표 영역에 의해 커버될 수 있는 추가 부분은 정맥 점적 챔버, 헤파린 주사기 및 기타 주사기를 포함하거나 일반적으로 헤파린 호스와 같은(예를 들어 루어 연결을 통해 연결되는) 라인들을 공급한다.
일 실시예에서, 체외 혈액 회로는 동맥 및/또는 정맥 클램프(clamp)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동맥 클램프는 동맥 포트와 유입부 사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정맥 클램프는 유출부와 정맥 포트 사이에 배치된다. 그래서 동맥 클램프는 예를 들어 유입부가 혈액 펌프의 다운스트림에 배치되는 경우 생략될 수 있다. 고정식(stationary) 혈액 펌프 또한 상응하는 차단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케이스에서 클램프의 용어는 차단 밸브(blocking valve)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유입부 및/또는 유출부는 클램프를 사용하여 폐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입부 및/또는 유출부는 삼방 밸브(three-way valve)를 사용하여 체외 혈액 회로에 연결된다. 클램프는 각각의 동맥 라인 또는 정맥 라인을 차단하는 데 적합한 수단으로 이해될 것이다. 삼방 밸브를 사용하여, 대안으로 동맥 포트 또는 유입부는 목표 영역의 업스트림 단부(upstream end)에서 목표 영역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정맥 포트 또는 유출부는 목표 영역의 다운스트림 단부(downstream end)에서 목표 영역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체외 혈액 회로 내 세정액의 유량(flow rate) 및/또는 압력은 세정 프로세스 동안 적어도 경우에 따라 변한다. 따라서 체외 혈액 회로의 벽으로부터 미세기포의 더 효율적인 분리가 실현될 수 있다. 유량 및/또는 압력의 변화는 펌프의 이송량의 변화 또는 클램프 또는 밸브의 조절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세정액의 유량 및/또는 압력은 버스트로(in bursts) 증가되거나 감소된다. 버스트(burst)는 세정액의 유량 및/또는 압력의 지속적이거나 갑작스런 증가 및 지속적이거나 갑작스런 감소를 나타낼 수 있다. 버스트의 진폭은 세정액의 유량 및/또는 압력이 최고 및 최저 사이의 비가 적어도 1.3, 1.5 또는 2 배 사이에서 변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체외 혈액 회로 내 세정액의 유량은 세정 프로세스 동안 적어도 경우에 따라 가능한 유량 범위를 벗어난다. 후자의 특징은 체외 혈액 회로 내 세정액의 유량이 세정 프로세스 동안 적어도 경우에 따라 혈액 치료 중에 사용되는 가능한 유량 범위 이상에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예를 들어, 역류(flow reversal)의 가능성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세정 프로세스 동안 체외 혈액 회로 내 세정액의 유량은 550 ml/min 보다 크거나 적어도 경우에 따라 700 ml/min 보다 크다. 다수의 사례에서, 체외 혈액 치료 동안, 200 ml/min 와 550 ml/min 사이의 흐름이, 특히 3 내지 5 mm 사이의 내부 지름을 가진 호스 시스템이 사용될 때 선택된다. 세정 프로세스 동안 더 높은 유량은 기포의 더 나은 분리를 가져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체외 혈액 회로의 프라이밍(priming)의 범위 내에서 실시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프라이밍 절차의 최종 단계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치료 중단 동안, 특히 압력 유지 검사 동안 실시된다. 상기 방법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다. 작동 조건에 해당하는 예시는 주기적 작동(예를 들어 30분 내지 2시간의 간격 차로) 또는 특정 센서 보고에 따른 작동(예를 들어 기포 검출기의 측정된 수치가 제한 수치를 초과) 또는 이벤트(예를 들어 압력 유지 검사의 시작)가 포함된다. 세정은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1분 내지 5분 사이의 지속 시간 내)에 걸쳐 일어나거나 다른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수동 또는 자동으로 결정될 수 있다. 압력 유지 검사와 같은 다른 프로세스의 지속 시간에 결합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스는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a) 동맥 클램프를 폐쇄하고 유입부를 개방하는 단계; (b) 목표 영역으로 상기 목표 영역의 볼륨과 실질적으로 상응하는 세정액의 제1볼륨을 이송하는 단계; (c) 정맥 클램프를 폐쇄하고 유출부를 개방하는 단계; (d) 세정액으로 목표 영역을 세정하는 단계; (e) 동맥 클램프를 개방하고 유입부를 폐쇄하는 단계; (f) 목표 영역으로부터 상기 목표 영역의 볼륨과 실질적으로 상응하는 세정액의 제2볼륨을 배출하는 단계; 및 (g) 유출부를 폐쇄하고 정맥 클램프를 개방하는 단계. 본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는 유입부는 혈액 펌프의 업스트림에 배치된다. (b), (d), 및 (f) 단계의 세정액의 이송은 바람직하게는 혈액 펌프를 사용하여 일어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스는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a') 혈액 펌프를 중지시키고 유입부를 개방하는 단계; (b') 목표 영역으로 상기 목표 영역의 볼륨과 실질적으로 상응하는 세정액의 제1볼륨을 이송하는 단계; (c') 정맥 클램프를 폐쇄하고 유출부를 개방하는 단계; (d') 세정액으로 목표 영역을 세정하는 단계; (e') 유입부를 폐쇄하고 혈액 펌프를 작동시키는 단계; (f') 목표 영역으로부터 상기 목표 영역의 볼륨과 실질적으로 상응하는 세정액의 제2볼륨을 배출하는 단계; 및 (g') 유출부를 폐쇄하고 정맥 클램프를 개방하는 단계. 본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는 유입부가 혈액 펌프의 다운스트림에 배치된다. (b') 및 (d') 단계의 세정액의 이송은 바람직하게는 분리된 세정 펌프(separate flushing pump)를 사용하여 일어난다. (f') 단계의 세정액의 이송은 바람직하게는 혈액 펌프를 사용하여 일어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의 단계는 각각 (a) 내지 (g) 또는 (a') 내지 (g')의 지명된 순서로 실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또는 제2볼륨이 ‘실질적으로’ 목표 영역의 볼륨과 상응하는 특징은 ±20% 또는 ±10%의 최대차로 지정할 수 있다. 이것은 흔히 정확하게 유사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거의 유사한 것이 유리하다는 사실을 반영한다. 차이가 발생한다면, 공급되는 세정액 또는 배출된 혈액의 양이 검출되고 컨트롤 유닛에 의한 판단에 따라 처리될 수 있다. 추가적인 결과로서, 예를 들어, 치료 특정 파라미터(treatment-specific parameter)의 확인(determination), 특히 한외 여과 볼륨의 확인이 고려될 수 있다. 각각의 (a) 및 (e) 단계 또는 (a') 및 (e') 단계, 그리고 각각의 (c) 와 (g) 단계 또는 (c') 와 (g') 단계의 폐쇄 및 개방은 삼방 밸브의 전환(switchover)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처음에 기재된 배경기술과 달리,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체외 혈액 회로 및 컨트롤 유닛을 포함하는 체외 혈액 치료 유닛에 관한 것으로, 상기 체외 혈액 회로는 세정액을 위한 유입부 및 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부는 상기 동맥 포트와 구별되고 상기 유출부는 상기 체외 혈액 회로의 상기 정맥 포트와 구별되며, 상기 컨트롤 유닛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시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다.
컨트롤 유닛이 이전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시하기 위해 구성된다는 특징은 상응하는 루틴(routine)이 컨트롤 유닛에 저장되고 컨트롤 유닛이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필수 액츄에이터(actuator)(예를 들어 펌프 및 밸브)에 연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체외 혈액 치료 유닛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과 관련하여 기술되는 구조적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체외 혈액 치료 유닛은 투석 장치이다. 투석 장치는 혈액 투석(hemodialysis), 혈액 투석 여과(hemodiafiltration), 혈액 여과(hemofiltration) 및/또는 한외 여과(ultrafiltration)(액체만 제거)를 실시하기에 적합할 수 있고 목표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체외 혈액 치료 유닛은 또 다른 치료 시스템, 예를 들어 한외 여과 장치 또는 인공심폐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혈액 치료 유닛은 체외 혈액 회로와 연결된 세정액을 위한 라인 시스템(line system)을 포함하여 세정액이 유입부를 통해 목표 영역으로 들어갈 수 있고 다시 유출부를 통해 나올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라인 시스템은 라인 시스템 내 유입부의 업스트림에 배치되는 세정 펌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라인 시스템은 세정액 저장소 또는 세정액 준비 유닛(preparation unit)을 포함하고, 각각 라인 시스템 내 유입부의 업스트림에 배치된다. 컨트롤 유닛은 세정 펌프에 연결될 수 있고 목표 영역의 세정 효과를 가져오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범위 내에서 세정 펌프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컨트롤 유닛은 자동으로 체외 혈액 회로의 프라이밍의 범위 내에서 상기 프로세스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프로세스는 최종 프라이밍 단계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스의 실시 전에 치료를 중단하기 위해 그리고/또는 치료 중단 동안 프로세스를 진행하기 위해 그리고/또는 프로세스의 실시 후에 자동으로 치료를 지속하기 위해 컨트롤 유닛이 구성된다. 예를 들어, 컨트롤 유닛은 단지 프로세스를 실시하기 위해 치료를 중단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주기적으로(예를 들어, 30분 내지 2시간의 간격 차로) 또는 특정 센서 보고(sensor report), 예를 들어 정맥 라인에 배치된 기포 센서의 보고에 대응하여 중단된다. 더 나아가 컨트롤 유닛은 어떠한 식으로 치료가 중단될 때 프로세스가 실시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압력 유지 검사 동안 프로세스가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스 지속 시간은 동시에 실시되는 압력 유지 검사의 지속 시간(예를 들어 1분 내지 5분 사이)과 상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컨트롤 유닛은 프로세스에 의해 공급되는 세정액의 양 및/또는 치료 특정 파라미터의 결정, 특히 한외 여과 볼륨의 결정에서 프로세스에 의해 개시되는 혈액의 양을 고려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컨트롤 유닛은 혈액의 이송 속도가 프로세스 종료 시(at the end of the process) 천천히 증가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혈액 치료 시작 시 더 적은 양의 미세기포가 분리되어 혈액으로 들어가는 것이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송 속도는 선택적으로 300 ml/min2 를 넘지 않거나 200 ml/min2 또는 150 ml/min2 정도의 증가하는 선형 기울기(ramp)로 증가된다.
혈액 펌프 및/또는 세정 펌프는 연동(peristaltic) 펌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정액은 대용액 또는 프라이밍 액(priming solution)일 수 있다. 예시로는 생리 식염수(physiological saline) 및 링거액(Ringer’s solution)이 포함된다. 더 나아가 상기 용액은 선택적으로 헤파린과 같은 항응혈제를 포함할 수 있다.
처음에 기재된 배경기술과 달리, 본 발명은 더 나아가 체외 혈액 치료를 위한 일회용기기(disposable)에 관한 것으로, 상기 일회용기기에는 동맥 라인, 혈액 펌프 구성요소, 혈액 치료 유닛 및 정맥 라인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라 일회용기기는 동맥 라인 내에서 세정액의 유입부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정맥 라인 내에서 세정액의 유출부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유입부를 위한 인터페이스는 동맥 포트와 구별되고 유출부를 위한 인터페이스는 호스 세트의 정맥 포트와 구별된다는 것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일회용기기는 투석 치료를 위한 일회용기기고 혈액 치료 유닛은 투석기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기기는 한외 여과 유닛 또는 인공심폐기의 유체 시스템(fluid system)일 수 있다.
혈액 펌프는 완전히 일회용기기로 통합될 수 있지만, 비용상의 이유로 장치 측에 펌프를 배치하고 장치 측에 배치된 펌프의 추가 구성요소와 상호작용하고 펌프를 함께 형성하는 펌프의 특정 구성요소만을 일회용기기에 배치하는 것이 적당하다. 하나의 예로 연동 펌프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호스 세그먼트가 일회용기기에 배치될 수 있고 장치 측에 배치된 펌프의 액츄에이터가 상기 호스 세그먼트에 맞물린다.
바람직하게는 일회용기기는 혈액 호스 세트를 포함하며, 동맥 라인과 정맥 라인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혈액 호스로 구성된다. 혈액 호스의 내부 지름은 예를 들어, 3 내지 5 mm 사이다. 일회용기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플라스틱으로 생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혈액 치료 유닛은 중공사 투석기(hollow fiber dialyzer)이다.
일 실시예에서, 유입부를 위한 인터페이스 및/또는 세정액의 유출부를 위한 인터페이스는 기계 연결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연결 구성요소들은 바람직하게는 루어슬립(Luer slip) 또는 루어록(Luer Lock)의 암 콘(female cone)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수 루어콘(male Luer cone)은 장치 측에 기존 유닛의 다수의 연결 부분들에서 발견될 수 있기 때문에 일회용기기는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회용기기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과 본 발명에 따른 혈액 치료 유닛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세정액의 유출부를 위한 인터페이스는 일회용기기의 다른 모든 인터페이스의 다운스트림에 배치된다. 기존 인터페이스의 예시에는 전 희석을 위한 인터페이스, 후 희석을 위한 인터페이스, 항응혈제의 투여를 위한 인터페이스, 채혈을 위한 인터페이스 및 동맥 또는 정맥 투약을 위한 인터페이스 등이 포함된다. 동맥 및 정맥 포트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인터페이스로 고려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세정액의 유입부를 위한 인터페이스는 펌프 세그먼트(pump segment)의 업스트림에 배치된다. 대안으로 세정액의 유입부를 위한 인터페이스는 펌프 세그먼트의 다운스트림에 배치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존 인터페이스는 세정액의 유입부를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사용된다. 예시들로는 전 희석을 위한 인터페이스 또는 항응혈제 투여를 위한 인터페이스가 포함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일회용기기는 세정액의 유입부를 위한 분리된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체외 혈액 회로는 동맥 클램프 및/또는 정맥 클램프를 포함하며, 동맥 클램프의 구성요소들은 바람직하게는 동맥 포트와 세정액의 유입부를 위한 인터페이스 사이에 배치되고, 정맥 클램프는 바람직하게는 세정액의 유출부를 위한 인터페이스와 정맥 포트 사이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세정액의 유입부 및/또는 유출부를 위한 인터페이스는 클램프를 사용하여 폐쇄될 수 있거나 삼방 밸브를 사용하여 동맥 라인 또는 정맥 라인에 연결될 수 있다. 클램프는 완전히 일회용기기 내에 통합될 수 있다. 한 예로 차단 밸브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클램프의 특정 구성요소들만 일회용기기에 배치될 수도 있고, 상기 구성요소들은 장치 측에 배치된 클램프의 다른 구성요소들과 상호작용하고 함께 클램프를 형성한다. 한 예로 장치 측에 배치된 액츄에이터와 상호작용하는 일회용기기에 있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호스) 세그먼트가 있다.
다음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예에 더 자세한 사항 및 이점이 있다. 도시된 도면이다:
도 1: 선행 기술의 투석 장치의 용액 회로의 개략도;
도 2: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투석 장치에 따른 용액 회로의 개략도; 및
도 3: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투석 장치에 따른 용액 회로의 개략도.
도 1은 선행기술의 투석 장치의 용액 회로를 도시한다. 투석 장치는 막(membrane)(4)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혈액 챔버(2)와 투석액 챔버(3)를 포함하는 투석기(1)를 포함한다. 혈액 챔버(2)는 체외 혈액 회로(5)의 부품이다. 투석액 챔버(3)는 투석액 회로(6)의 부품이다.
혈액 회로(5)는 동맥 라인(8)을 통해 혈액 챔버(20)에 연결되는 동맥 포트(7)를 포함한다. 혈액 펌프(9)는 동맥 라인(8)에 있다. 혈액 챔버(20)의 정맥단(venous end)은 정맥 라인(10)을 통해 정맥 포트(11)에 연결된다. 점적 챔버(12)는 정맥 라인에 위치된다.
동맥 및 정맥 포트들은 혈액 회로의 충진 및 세정(프라이밍) 도중에는 환자에게 연결되지 않는다. 동맥 포트는 세정액 저장소(13)에 연결되고 정맥 포트는 세정액을 위한 유출부를 나타낸다. 세정액으로 혈액 회로를 충진한 후에, 정맥 포트에서 배출되는 세정액으로 세정 단계(flushing phase)가 실시된다.
세정하는 동안 동맥 포트 및 정맥 포트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혈액 회로의 세정은 환자가 회로에 연결되어 있는 동안에는 실시될 수 없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투석 장치의 용액 회로를 도시한다. 도 1에 이미 도시된 부품들은 상응하는 참조번호가 제공된다.
선행기술과 달리,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체외 혈액 회로(5)는 세정액을 위한 분리된 유입부(separate inflow)(14) 및 분리된 유출부(separate outflow)(15)를 포함한다. 따라서 세정액은 세정을 위해 유입부와 유출부 사이에 배치된 목표 영역을 정맥 포트(11)를 통해서가 아닌, 분리된 유출부(15)를 통해 빠져나가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세정액은 분리된 유입부를 통해 회로로 들어갈 수 있다.
상기 유출부(15)는 체외 혈액 회로의 기존 모든 인터페이스들의 다운스트림(downstream)에 있는 정맥 라인(10)에 배치된다. 후 희석 포트(16)는 도면의 예시 방식에 의해 인터페이스로 도시된다. 기포 검출기(17)는 상기 유출부와 정맥 포트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유입부는 동맥 라인 내 혈액 펌프의 업스트림(upstream)에 배치되고 분리된 엑세스(separate access)를 나타낸다. 추가 인터페이스로서, 상기 혈액 회로는 통합 헤파린 공급관(integrated heparin feed line)(19)을 가진 전 희석(predilution) 포트(18)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체외 혈액 회로는 동맥 클램프(20)와 정맥 클램프(21)를 포함한다. 상기 동맥 클램프는 상기 동맥 포트(7)와 상기 유입부(14)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정맥 클램프는 상기 유출부(15)와 상기 정맥 포트(11)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유입부(14) 및 상기 유출부(15) 모두 삼방 밸브를 이용하여 체외 혈액 회로(15)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투석기의 추가 부품뿐만 아니라 추가된 유출부 및 유입부의 배치를 통해 기포를 제거하는 방법의 착수 시간이 더 유연하게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포 제거는 치료 중단 시, 예를 들어 압력 유지 검사 중에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세정은 치료 전 또는 치료 중에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 동맥 클램프를 폐쇄하고 유입부를 개방하는 단계;
(b) 유입부와 유출부 사이에 배치된 목표 영역으로 상기 목표 영역의 볼륨과 실질적으로 상응하는 세정액의 제1볼륨을 이송하는 단계;
(c) 정맥 클램프를 폐쇄하고 유출부를 개방하는 단계;
(d) 세정액으로 목표 영역을 세정하는 단계;
(e) 동맥 클램프를 개방하고 유입부를 폐쇄하는 단계;
(f) 상기 목표 영역으로부터 상기 목표 영역의 볼륨과 실질적으로 상응하는 세정액의 제2볼륨을 배출하는 단계; 및
(g) 유출부를 폐쇄하고 정맥 클램프를 개방하는 단계.
(b), (d) 및 (f) 단계에서 세정액의 이송은 상기 혈액 펌프를 사용하여 실시한다. 상기 세정액을 시스템으로 이송하는 것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고, 장치 측에서 세정액을 위한 공급 시스템에 배치되는 분리된 세정 펌프를 사용하여 일어난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대용액 흐름의 엑세스(access)가 혈액 펌프 앞에 배치되면, 기포의 제거는 대용액 펌프와 혈액 펌프가 동일한 이송량으로 작동함으로써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대용액은 혈액 펌프에 의해 동일한 이송량으로 완전히 이송되기 때문에, 혈액이 더 이상 호스 시스템 내부로 들어갈 수 없어, 동맥 클램프 또한 생략될 수 있다. 대안으로, 동맥 클램프는 혈액 스트림의 일시적인 차단을 허용하고, 기포 및 미세기포를 분리하여 가져가는 데 적합할 수 있는 압력 펄스(pressure pulse) 및 체적 유량 펄스(volume flow pulse)를 발생시키기 위한 혈액 펌프와 대용액 펌프의 이송량의 변화에 있어서 큰 자유도를 허용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투석 장치의 용액 회로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2를 통해 이미 알려진 부품들은 상응하는 참조 번호가 제공된다.
유입부(14)가 동맥 라인에서 혈액 펌프의 다운스트림에 배치되고 통합 헤파린 공급관(19)을 가진 전 희석 포트(18)와 상응한다는 점에서, 본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구별된다. 동맥 클램프는 생략되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본 실시예를 사용하여 치료 전 또는 치료 중에 다음과 같은 단계로 세정을 진행할 수 있다:
(a') 혈액 펌프를 중지하고 유입부를 개방하는 단계;
(b') 유입부와 유출부 사이에 배치된 목표 영역으로 상기 목표 영역의 볼륨과 실질적으로 상응하는 세정액의 제1볼륨을 이송하는 단계;
(c') 정맥 클램프를 폐쇄하고 유출부를 개방하는 단계;
(d') 세정액으로 목표 영역을 세정하는 단계;
(e') 유입부를 폐쇄하고 혈액 펌프를 작동시키는 단계;
(f') 상기 목표 영역으로부터 상기 목표 영역의 볼륨과 실질적으로 상응하는 세정액의 제2볼륨을 배출하는 단계; 및
(g') 유출부를 폐쇄하고 정맥 클램프를 개방하는 단계.
(b')와 (d') 단계의 세정액의 이송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고, 장치 측에서 세정액을 위한 공급 시스템에 배치되는 분리된 세정 펌프를 사용하여 일어난다. (f') 단계에서 세정액 이송은 바람직하게는 혈액 펌프(9)를 사용하여 일어난다.
투석액 회로에서 압력 유지 검사를 실시하는 동안 본 발명에 따른 투석 장치를 활용하여 목표 영역의 제거가 일어나는 경우, 도시된 두 실시예에서 가능한 프로세스 운영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즉, 임시 디커플링(temporal decoupling) 및 공간 디커플링(spatial decoupling)이다.
임시 디커플링이란 압력 유지 검사의 직접적인 시작 전에 이미 세정이 시작되고 대용액이 세정액으로서 목표 영역에 주입되는 것을 의미한다. 공간 디커플링이란 추가 용기(vessel), 예를 들어 대용액의 완충(buffering)을 위한 백(bag)이 사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임시 디커플링 동안, 체외 혈액 회로 내 혈액 흐름은 멈추고 동맥 라인으로 세정액의 추가로 대체된다. 세정액은 본체(body)에 가까이에서 대용액/혈액의 경계층이 예를 들어, 광 검출기(optical detector) 또는 컬러 센서(color sensor)에 의해 정맥 챔버(venous chamber)의 수준에 근접하게 검출될 수 있을 때까지 장시간 동안 계속 작동하는 혈액 펌프로 충진된다. 그리고 투석액 회로가 압력 유지 검사를 위해 중단된다. 그리고 정맥 클램프는 폐쇄되고 유출부가 개방된다. 목표 영역은 압력 유지 검사 동안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여 세정된다. 압력 유지 검사 이후, 체외 회로는 다시 연결되고; 정맥 가까이에 있는 출구 밸브(outlet valve)가 반대 사인(opposite sign)으로 현재 제공되는 혈액/대용액의 경계층이 검출될 때까지 개방된다. 미세기포로 채워진 유출되는 대용액은 폐기된다(discarded). 상기 출구 밸브는 지금 폐쇄되고, 혈액 정화(blood purification)가 계속된다. 공간 디커플링에서, 대용액을 완충하기 위해 추가 용기가 사용되고, 그리고 압력 유지 검사 동안 이것으로부터 혈액 측 시스템(blood-side system)이 공급받게 된다. 그렇지 않으면 프로세스 운영은 임시 디커플링으로 실시한다.
도시된 두 실시예에서, 이상적인 속도로 펌프량(pump rate)의 조정(adaptation)은 본 발명에 따른 투석 장치를 사용하여 세정하는 동안에 실시할 수 있다.
특히 치료의 처음 몇 분간 환자에게 다량의 미세기포가 유입되는 것이 관찰된 배경으로, 그러한 조정은 실시할 수 있다. 처음에, 평균 미세기포의 공급은 나머지 치료 도중보다 한 자리수가 더 높을 수 있다. 게다가, 추후 미세기포 주입(혈액 펌프 호스, 헤파린 주사기 및 기타 주사기, 공급관(예를 들어 헤파린 호스 및 기타 배출 라인))을 위한 소스 및 저장소로 작용할 수 있는 체외 회로 내 다수의 공기 집적이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혈액 펌프량 또는 세정 펌프량은 세정 동안 조작될 수 있어서, 미세기포가 더 쉽게 제거될 수 있다. 부분적으로 움직이지 않는 미세기포는 예를 들어 펌프의 반복적인 정지 및 동작 그리고 빠른 펌프 속도를 통해 분리되어야 한다. 공급 버스트(flow burst) 및 압력 버스트(pressure burst)가 공기 집적 및 미세기포 저장소를 공격하여 그들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버스트는 예를 들어 단시간 최대 펌프량(brief maximum pump rate), 정맥 클램프를 차단하고 해제하는 등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분리된 미세기포는 체외 회로에서 정맥 라인의 유출부를 통해 제거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혈액 펌프의 빠른 시작이 미세기포의 수를 상당히 증가시키는 결과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특히 투석액이 더 이상 리프레시되지 않고 투석기 모세관 내 혈액이 더 이상 깨끗하고 가스가 제거된 투석액으로 세척되지 않는 압력 유지 검사가 미세기포의 수를 상당히 증가시키는 결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는 것이 관찰된 배경으로, 위와 같은 조정은 실시할 수 있다. 그러므로 혈액 펌프는 선택적으로 세정 후에, 예를 들어 200 ml/min2을 넘지 않는 기울기(ramp)로 천천히 증가될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 혈액 펌프가 중지되고 2분 후에 400 ml/min인 목표량에 도달되는 것을 의미한다. 압력 유지 검사의 경우, 혈액 펌프량은 상기 검사 전에 적절한 시간 안에 낮아질 수 있고, 혈액 펌프와 대용액 펌프의 이송량은 세정 및 압력 유지 검사 동안 최소한으로 유지될 수 있고, 두 이송량은 이후에 그들의 목표 수치까지 다시 천천히 증가될 수 있다.
요약하자면, 본 발명은 체외 혈액 회로의 목표 영역을 일정 목표 시간 예를 들면 압력 유지 검사 동안 세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렇게 하여 미세기포 형성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세정액은 분리된 유출부를 통해 폐기될 수 있다.

Claims (19)

  1. 체외 혈액 치료 유닛의 체외 혈액 회로에서 기포를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체외 혈액 회로는 유입부 및 유출부 사이에 놓인 일부분에서 목표 영역을 가지며,
    상기 목표 영역은 유입부를 통해 상기 목표 영역으로 들어가고 유출부를 통해 다시 상기 목표 영역을 빠져나가는 세정액에 의해 통과되며,
    상기 유입부는 동맥 포트와 구별되고 상기 유출부는 상기 체외 혈액 회로의 정맥 포트와 구별되고,
    상기 기포를 제거하는 방법은,
    (a) 동맥 클램프를 폐쇄하고 상기 유입부를 개방하는 단계;
    (b) 상기 목표 영역으로 상기 목표영역의 볼륨과 상응하는 세정액의 제1볼륨을 이송하는 단계;
    (c) 정맥 클램프를 폐쇄하고 상기 유출부를 개방하는 단계;
    (d) 상기 세정액으로 상기 목표 영역을 세정하는 단계;
    (e) 상기 동맥 클램프를 개방하고 상기 유입부를 폐쇄하는 단계;
    (f) 상기 목표 영역으로부터 상기 목표 영역의 볼륨과 상응하는 세정액의 제2볼륨을 배출하는 단계; 및
    (g) 상기 유출부를 폐쇄하고 상기 정맥 클램프를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 혈액 회로의 목표 영역에서 기포를 제거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부는 정맥 라인에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체외 혈액 회로의 모든 기존 인터페이스들의 다운스트림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 혈액 회로의 목표 영역에서 기포를 제거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는 동맥 라인 내에서 혈액 펌프의 업스트림 또는 다운스트림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 혈액 회로의 목표 영역에서 기포를 제거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외 혈액 회로는 동맥 클램프와 정맥 클램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동맥 클램프는 상기 동맥 포트와 상기 유입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정맥 클램프는 상기 유출부와 상기 정맥 포트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 혈액 회로의 목표 영역에서 기포를 제거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와 상기 유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클램프를 사용해서 폐쇄될 수 있거나, 또는, 삼방 밸브를 사용하여 상기 체외 혈액 회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 혈액 회로의 목표 영역에서 기포를 제거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외 혈액 회로 내에서 상기 세정액의 유량과 압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세정 프로세스 동안 변하거나, 또는
    상기 체외 혈액 회로 내에서 상기 세정액의 유량이 상기 세정 프로세스 동안 상기 혈액 치료에 사용되는 가능한 유량 범위를 벗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 혈액 회로의 목표 영역에서 기포를 제거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치료 중단 동안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 혈액 회로의 목표 영역에서 기포를 제거하는 방법.
  8. 삭제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a') 혈액 펌프를 중지시키고 상기 유입부를 개방하는 단계;
    (b') 상기 목표 영역으로 상기 목표 영역의 볼륨에 상응하는 세정액의 제1볼륨을 이송하는 단계;
    (c') 정맥 클램프를 폐쇄하고 상기 유출부를 개방하는 단계;
    (d') 상기 세정액으로 상기 목표 영역을 세정하는 단계;
    (e') 상기 유입부를 폐쇄하고 상기 혈액 펌프를 작동시키는 단계;
    (f') 상기 목표 영역으로부터 상기 목표 영역의 볼륨과 상응하는 세정액의 제2볼륨을 배출하는 단계; 및
    (g') 상기 유출부를 폐쇄하고 상기 정맥 클램프를 개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 혈액 회로의 목표 영역에서 기포를 제거하는 방법.
  10. 체외 혈액 회로와 컨트롤 유닛을 포함하는 체외 혈액 치료 유닛에 있어서,
    상기 체외 혈액 회로는 세정액을 위한 유입부 및 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부는 동맥 포트와 구별되고 상기 유출부는 상기 체외 혈액 회로의 정맥 포트와 구별되며,
    상기 컨트롤 유닛은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시하기 위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 혈액 치료 유닛.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체외 혈액 치료 유닛은 상기 체외 혈액 회로에 연결되는 세정액을 위한 라인 시스템을 포함하여 세정액이 유입부를 통해 상기 목표 영역으로 들어갈 수 있고 유출부를 통해 다시 상기 목표 영역에서 빠져나갈 수 있거나, 또는,
    상기 라인 시스템은 상기 라인 시스템 내에 상기 유입부의 업스트림에 배치되는 세정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 혈액 치료 유닛.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유닛은,
    상기 방법의 실시 전에 상기 치료를 중단하기 위해, 또는 상기 치료의 중단 동안 상기 방법을 진행하기 위해, 또는 상기 방법의 실시 후에 자동으로 상기 치료를 지속하기 위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 혈액 치료 유닛.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유닛은 한외 여과 볼륨의 결정을 포함하는 치료 특정 파라미터들의 결정 과정에서 상기 방법에 의해 공급되는 세정액의 양, 또는 상기 방법에 의해 배출되는 혈액의 양을 고려하기 위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 혈액 치료 유닛.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유닛은 상기 방법의 종료 후에 혈액의 이송 속도가 천천히 증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 혈액 치료 유닛.
  15. 체외 혈액 치료를 위한 일회용기기에 있어서,
    상기 일회용기기는 동맥 라인, 청구항 제10항의 혈액 치료 유닛을 포함하는 혈액 펌프 구성요소, 및 정맥 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일회용기기는,
    상기 동맥 라인 내에서 세정액의 유입부를 위한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정맥 라인 내에서 세정액의 유출부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부를 위한 상기 인터페이스는 동맥 포트와 구별되고, 상기 유출부를 위한 상기 인터페이스는 호스 세트의 정맥 포트와 구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 혈액 치료를 위한 일회용기기.
  16. 제 15항에 있어서,
    세정액의 상기 유출부를 위한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일회용기기의 다른 모든 인터페이스들의 다운스트림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 혈액 치료를 위한 일회용기기.
  17. 제15항에 있어서,
    세정액의 상기 유입부를 위한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펌프 구성요소의 업스트림 또는 다운스트림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 혈액 치료를 위한 일회용기기.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체외 혈액 회로는 동맥 클램프와 정맥 클램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동맥 클램프의 구성요소들은 상기 동맥 포트와 세정액의 상기 유입부를 위한 상기 인터페이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정맥 클램프는 세정액의 상기 유출부를 위한 상기 인터페이스와 상기 정맥 포트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 혈액 치료를 위한 일회용기기.
  19. 제15항에 있어서,
    세정액의 상기 유입부와 상기 유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위한 상기 인터페이스는 클램프를 사용하여 폐쇄될 수 있거나, 또는 삼방 밸브를 사용하여 상기 동맥 라인 또는 상기 정맥 라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 혈액 치료를 위한 일회용기기.
KR1020177006026A 2014-08-05 2015-08-05 체외 혈액 회로 내 기포 제거 방법 KR1024806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011673.5A DE102014011673A1 (de) 2014-08-05 2014-08-05 Verfahren zum Auswaschen von Gasblasen in einem extrakoporalen Blutkreislauf
DE102014011673.5 2014-08-05
PCT/EP2015/001617 WO2016020060A1 (de) 2014-08-05 2015-08-05 Verfahren zum auswaschen von gasblasen in einem extrakorporalen blutkreislau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1801A KR20170041801A (ko) 2017-04-17
KR102480658B1 true KR102480658B1 (ko) 2022-12-23

Family

ID=53938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6026A KR102480658B1 (ko) 2014-08-05 2015-08-05 체외 혈액 회로 내 기포 제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220133B2 (ko)
EP (1) EP3177340B1 (ko)
JP (1) JP6682502B2 (ko)
KR (1) KR102480658B1 (ko)
CN (1) CN106659838B (ko)
DE (1) DE102014011673A1 (ko)
MX (1) MX2017001510A (ko)
WO (1) WO20160200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64643A1 (en) 2015-04-07 2016-10-13 Nxstage Medical, Inc. Blood treatment device priming devices, methods, and systems
CN113905774A (zh) * 2019-05-23 2022-01-07 甘布罗伦迪亚股份公司 清空体外血液治疗之后的血液回路
DE102019129664A1 (de) * 2019-11-04 2021-05-06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land Gmbh Verfahren und Anlage zum Prüfen der Integrität eines Kapillardialysators
DE102020000466A1 (de) 2020-01-25 2021-07-29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land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luftfreien Befüllung eines Fluidmanagementsystems
CN112403280A (zh) * 2020-12-03 2021-02-26 威海威高血液净化制品有限公司 一种全自动压力降测试装置
CN113499497B (zh) * 2021-08-13 2024-02-23 江苏恰瑞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固定化酶反应剂再生系统及其操作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73693A (ja) * 2008-12-16 2010-12-09 Nikkiso Co Ltd 血液浄化装置及びそのプライミング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6303A (en) * 1981-10-06 1984-12-04 Brous Donald W Ultrafiltration in hemodialysis
US5591344A (en) * 1995-02-13 1997-01-07 Aksys, Ltd. Hot water disinfection of dialysis machines, including the extracorporeal circuit thereof
US5983947A (en) * 1997-03-03 1999-11-16 Medisystems Technology Corporation Docking ports for medical fluid sets
US5951870A (en) 1997-10-21 1999-09-14 Dsu Medical Corporation Automatic priming of blood sets
DE19824015C1 (de) 1998-05-29 1999-08-26 Fresenius Ag Verfahren zum Befüllen eines Schlauchsystems mit einer Spülflüssigkeit und Schlauchsystem zur Verwendung bei dem Verfahren
US6610027B1 (en) * 2000-08-17 2003-08-26 Mohamed Kaled Mohamed El Hatu Hemodialysis
JP4091873B2 (ja) * 2003-04-17 2008-05-28 日機装株式会社 透析装置
JP4899866B2 (ja) * 2005-01-07 2012-03-21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自動プライミング方法
JP4716409B2 (ja) * 2005-03-28 2011-07-06 日機装株式会社 血液浄化装置
JP4889297B2 (ja) * 2005-12-19 2012-03-07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血液透析装置
DE202006020723U1 (de) 2006-03-24 2010-04-29 Atmos Medizintechnik Gmbh & Co. Kg Absauggerät
US8529487B2 (en) * 2007-04-12 2013-09-10 Gambro Lundia Ab Method and apparatus for priming an extracorporeal blood circuit
US20090294359A1 (en) * 2008-06-03 2009-12-03 Baxter International Inc. Priming system and method using pumping and gravity
JP5319381B2 (ja) * 2009-04-28 2013-10-16 日機装株式会社 血液浄化装置及びその気泡除去方法
JP5588692B2 (ja) * 2010-02-09 2014-09-10 日機装株式会社 透析装置
GB201110021D0 (en) * 2011-06-15 2011-07-27 Newcastle Upon Tyne Hospitals Nhs Trust The Apparatus for performing haemodialysi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73693A (ja) * 2008-12-16 2010-12-09 Nikkiso Co Ltd 血液浄化装置及びそのプライミング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232179A1 (en) 2017-08-17
JP2017522145A (ja) 2017-08-10
EP3177340A1 (de) 2017-06-14
WO2016020060A1 (de) 2016-02-11
DE102014011673A1 (de) 2016-02-11
EP3177340B1 (de) 2019-05-29
KR20170041801A (ko) 2017-04-17
CN106659838A (zh) 2017-05-10
US10220133B2 (en) 2019-03-05
JP6682502B2 (ja) 2020-04-15
CN106659838B (zh) 2020-09-25
MX2017001510A (es) 2017-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0658B1 (ko) 체외 혈액 회로 내 기포 제거 방법
KR101467006B1 (ko) 압력 감지 장치 및 연결 구조에서의 압력 감지 장치의 사용
US10525188B2 (en) Method of purging gas bubbles in an extracorporeal blood circuit
KR20160095145A (ko) 체외 혈액 처리 시스템, 일회용 세트 및 사전/사후 주입을 위한 밸브 유닛
JP2005253555A (ja) 血液浄化装置のプライミング方法および血液浄化装置
US10576197B2 (en) Blood purification device and priming method
JP2003320023A6 (ja) 体外血液処理を中断するかまたは修正された流速で体外血液処理を継続する方法および体外血液処理装置
US11690942B2 (en) Blood purification apparatus with a bypass line that bypasses an ultrafiltration pump
JP4783228B2 (ja) 血液透析装置のプライミング方法および装置
JP2021500094A (ja) 透析機器および方法
CN106573100B (zh) 冲洗体外循环血液管路的方法
US9095664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riming and restitution liquids for an extracorporeal blood treatment
US11554202B2 (en) Blood pur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discharging bubbles therefrom
DK3088020T3 (en) BLOOD HOSE KIT FOR DIALYSIS AND METHOD OF USE
JP4442826B2 (ja) 血液浄化装置及びそのプライミング方法
JP2007222668A (ja) 血液透析装置
JP3069839U (ja) 体外循環回路
JP2021529056A (ja) 体外血液導管システムの自動プライミング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US20170182238A1 (en) Blood purification apparatus
JP7293761B2 (ja) 透析装置及び回路セットの判定方法
CN112334171A (zh) 透析装置以及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