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0148B1 - 인지능력 개선 기능을 가지는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 Google Patents

인지능력 개선 기능을 가지는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0148B1
KR102480148B1 KR1020200174886A KR20200174886A KR102480148B1 KR 102480148 B1 KR102480148 B1 KR 102480148B1 KR 1020200174886 A KR1020200174886 A KR 1020200174886A KR 20200174886 A KR20200174886 A KR 20200174886A KR 102480148 B1 KR102480148 B1 KR 102480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ptococcus thermophilus
cognitive ability
memory
mouse
lact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4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4925A (ko
Inventor
김혜강
김희발
전수민
조서애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이지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이지놈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74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0148B1/ko
Publication of KR20220084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4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0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0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46Streptococcus ; Enterococcus; Lactococc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Neur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Neuro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Vir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sychia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억력 및/또는 인지능력 향상 기능을 가진 유산균, 이를 포함하는 기억력 및/또는 인지능력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기억력 및/또는 인지능력 향상용 식품 조성물, 이의 기억력 및/또는 인지능력 향상 또는 개선 용도, 및 이를 이용한 기억력 및/또는 인지능력 향상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지능력 개선 기능을 가지는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Streptococcus thermophilus with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본 발명은 기억력 및/또는 인지능력 향상 기능을 가진 유산균, 이를 포함하는 기억력 및/또는 인지능력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기억력 및/또는 인지능력 향상용 식품 조성물, 이의 기억력 및/또는 인지능력 향상 또는 개선 용도, 및 이를 이용한 기억력 및/또는 인지능력 향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소화기관에는 4,000여 종이 넘는 다양한 종류의 미생물들이 군집을 이루어 살고 있고, 그 수는 우리 몸의 총 세포 수의 10배가 넘는 100조 개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장내에 서식하는 미생물들의 종류가 비만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2006년 처음 발표된 이후로, 장내미생물은 의학계와 산업계에서 지속적인 관심을 받고 있다.
장내미생물은 크게 건강에 도움을 주는 유익균과 해로운 미생물인 유해균으로 나눌 수 있다. 이들은 서로 균형을 이루며, 소화와 영양분 흡수, 독성 물질 배출 등에 관여하거나 병원균의 침입을 막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이러한 정상 미생물 군집의 균형이 깨지면, 군집 내의 유해균들이 군집을 장악하거나 외부 병원균에 대한 대항 능력이 줄어들게 되어 질병으로 나타나게 된다. 다수의 연구를 통해서 장내미생물 조성이 과민성 대장 증후군, 크론병 등의 소화계 질환뿐 아니라, 각종 알러지성 질환 및 암과 같은 다양한 질병에 관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따라, 섭취하였을 때 장내미생물 생태계의 균형 유지를 도우며, 특정 질환을 개선하는 기능성을 가진 유산균 균주들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장내미생물을 매개로 소화기관과 신경계가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다는 gut-brain axis 개념이 각광받으며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고, 실제로 장내미생물의 불균형이 gut-brain axis를 통해 자폐증, 불안증, 우울증, 치매, 알츠하이머 등의 뇌 기능 관련 질환을 유도하는 메커니즘이 밝혀지기도 했다. 따라서 이러한 신경 질환 및 정신 질환의 개선 또는 인지능력 향상의 효과가 있는 유산균인 psychobiotics 또한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최근 유산균 시장은 건강기능식품 중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고, 특히 본래의 장 건강 외의 기능성을 개별 인정형 원료로 인정받기 위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유산균 시장의 카테고리가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최근 질 건강, 아토피, 비염 등의 면역력 관련 질환 개선 또는 체지방 감소 등의 기능성을 인정받은 프로바이오틱스 제품들이 많이 출시되고 있으나, 뇌 기능 향상에 도움을 주는 프로바이오틱스는 아직 연구개발이 부진한 상황이다.
최근 국내외 다수의 연구를 통해 특정 유산균 스트레인들의 항우울, 항불안 효과와 기억력 향상 능력이 밝혀지고 있지만, 국내에는 아직까지 해당 기능성을 가진 유산균을 이용한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은 출시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뇌 기능 개선 등과 관련하여 효과가 우수한 스트렙토코커스 속의 유산균 관련 기술은 출현되지 않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32845호 (2017.03.23)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61740호 (2018.06.08)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00450호 (2019.01.03)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기억력 및/또는 인지능력 향상 기능을 가진 유산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유산균을 포함하는 기억력 및/또는 인지능력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유산균을 포함하는 기억력 및/또는 인지능력 향상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유산균의 기억력 및/또는 인지능력 향상 또는 개선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유산균을 이용한 기억력 및/또는 인지능력 향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억력 및/또는 인지능력 향상 기능을 가진 유산균, 이를 포함하는 기억력 및/또는 인지능력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기억력 및/또는 인지능력 향상용 식품 조성물, 이의 기억력 및/또는 인지능력 향상 또는 개선 용도, 및 이를 이용한 기억력 및/또는 인지능력 향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기억력 및/또는 인지능력 향상 기능을 가진 유산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Streptococcus thermophilus)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16s RNA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 (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s)에 2020년 11월 19일자 기탁번호 KCTC 14372BP로 기탁되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는 기억력 및/또는 인지능력 향상 기능을 가진 유산균, 이의 배양물, 이의 파쇄물 및 이의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기억력 또는 인지능력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Streptococcus thermophilus)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16sRNA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 (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s)에 2020년 11월 19일자 기탁번호 KCTC 14372BP로 기탁되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인지능력 및/또는 기억능력 관련 질환은, 해당 질환의 증상으로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이 저하 또는 감퇴가 나타날 수 있는 모든 질환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예를 들어, 퇴행성 뇌질환 또는 치매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퇴행성 뇌질환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발생하는 퇴행성 질환 중 뇌에 발생하는 질환을 의미한다. 뇌경색, 뇌졸중, 알츠하이머, 전두측두엽변성증(frontotemporal lobar degeneration, FTLD), 픽병(Pick's disease), 피질기조퇴행(Corticobasal degeneration, CBD), 퇴행성 핵상마비 (progressive supranuclear palsy, PSP), 파킨슨병 또는 헌팅턴병 등 인지능력 또는 기억능력 저하 내지 감퇴를 증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질환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치매는 퇴행성 뇌질환, 뇌혈관성 치매증, 에이즈(AIDS) 유발성 치매, 뇌신경염증성 치매, 루이소체치매(Dementia with Lewy Bodies, DLB), 다발성 경색치매(Multi-Infarct Dementia, MID), 척수손상 또는 두부손상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발생하는 치매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일일 투여량으로는, 비경구 투여 시 상기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루에 체중 1 kg당 바람직하게 0.01 내지 200 mg, 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20 mg의 양으로 투여되도록, 그리고 경구 투여 시는 상기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루에 체중 1 kg당 바람직하게 0.01 내지 1000 mg, 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0 mg의 양으로 투여되도록 1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투여경로, 비만의 중증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으므로 상기 투여량이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시 피부외용; 복강내, 직장,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주사하는 주사제; 경피 투여제; 또는 비강 흡입제의 형태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제형화할 경우에는 하나 이상의 완충제 (예를 들어, 식염수 또는 PBS), 항당뇨제, 정균제, 킬레이트화제 (예를 들어, EDTA 또는 글루타치온),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아쥬반트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현탁제, 농후제 습윤제, 붕해제 또는 계면활성제,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옥수수 전분, 밀 전분, 쌀 전분, 감자 전분 등 포함), 칼슘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 (sucrose), 락토오스 (lactose), 덱스트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 또는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예컨대, 활성성분을 고체 부형제와 배합한 다음 이를 분쇄하고 적합한 보조제를 첨가한 후 과립 혼합물로 가공함으로써 정제 또는 당의정제를 수득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또는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또는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가교결합 폴리비닐피롤리돈, 한천, 알긴산 또는 나트륨 알기네이트 등을 붕해제로 첨가할 수 있으며,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용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또는 좌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및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주사제의 경우에는 반드시 멸균되어야 하며 박테리아 및 진균과 같은 미생물의 오염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주사제의 경우 적합한 담체의 예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물, 에탄올, 폴리올 (예를 들어,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및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 이들의 혼합물 및/또는 식물유를 포함하는 용매 또는 분산매질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합한 담체로는 행크스 용액, 링거 용액, 트리에탄올 아민이 함유된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 또는 주사용 멸균수, 10% 에탄올, 40% 프로필렌 글리콜 및 5% 덱스트로즈와 같은 등장 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주사제를 미생물 오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는 파라벤, 클로로부탄올, 페놀, 소르빈산, 티메로살 등과 같은 다양한 항균제 및 항진균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사제는 대부분의 경우 당 또는 나트륨 클로라이드와 같은 등장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피 투여제의 경우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겔제, 외용액제, 파스타제, 리니멘트제, 에어롤제 등의 형태가 포함된다. 상기에서 경피 투여는 약학 조성물을 국소적으로 피부에 투여하여 약학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한 양의 활성성분이 피부 내로 전달되는 것을 의미한다.
흡입 투여제의 경우, 본 발명에 조성물은 적합한 추진제, 예를 들어, 디클로로플루오로메탄,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이산화탄소 또는 다른 적합한 기체를 사용하여, 가압 팩 또는 연무기로부터 에어로졸 스프레이 형태로 편리하게 전달 할 수 있다. 가압 에어로졸의 경우, 투약 단위는 계량된 양을 전달하는 밸브를 제공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입기 또는 취입기에 사용되는 젤라틴 캡슐 및 카트리지는 화합물, 및 락토즈 또는 전분과 같은 적합한 분말 기제의 분말 혼합물을 함유하도록 제형화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제형은 모든 제약 화학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는 기억력 및/또는 인지능력 향상 기능을 가진 유산균, 이의 배양물, 이의 파쇄물 및 이의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기억력 및/또는 인지능력 향상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산균은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Streptococcus thermophilus)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16sRNA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 (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s)에 2020년 11월 19일자 기탁번호 KCTC 14372BP로 기탁되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유산균을 함유하는 외에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유산균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두충 추출액, 대추 추출액, 감초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는 상기 유산균의 기억력 및/또는 인지능력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는 상기 유산균의 기억력 및/또는 인지능력 향상 또는 개선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는 상기 유산균을 이용한 기억력 및/또는 인지능력 향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억력 및/또는 인지능력 향상 기능을 가진 유산균, 이를 포함하는 기억력 및/또는 인지능력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기억력 및/또는 인지능력 향상용 식품 조성물, 이의 기억력 및/또는 인지능력 향상 또는 개선 용도, 및 이를 이용한 기억력 및/또는 인지능력 향상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 인지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었던 균주는 혐기성 균주인 비피도박테리움 속으로 대량배양에도 혐기 조건을 유지하여야 했으나, 본 발명의 균주는 통상 혐기성 균주로 호기성 환경에서도 배양이 가능하여, 대량생산이 가능케 하여 상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의 균주를 섭취하면 인지능력 및 기억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섭취 마우스 그룹과 락토바실러스 플란트라움 섭취 마우스 그룹의 56일 (8주) 간 섭취 균수의 (CFU/mouse) 변화를 일자별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실험그룹 (Streptococcus thermophilus 섭취 마우스 그룹, Lactobacillus plantarum 섭취 마우스 그룹, control 그룹)을 대상으로 Y-maze spontaneous alternation 테스트를 수행하여 각 유산균 섭취에 따른 인지능력 및 기억력의 개선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결과값은 alternation score의 평균 값으로 나타내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그룹 (Streptococcus thermophilus 섭취 마우스 그룹, Lactobacillus plantarum 섭취 마우스 그룹, control 그룹)을 대상으로 Novel object recognition 테스트를 수행하여 각 유산균 섭취에 따른 인지능력 및 기억력의 개선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결과값은 각 물체를 탐험한 시간과 discrimination ratio의 평균 값으로 나타내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실험그룹 (Streptococcus thermophilus 섭취 마우스 그룹, Lactobacillus plantarum 섭취 마우스 그룹, control 그룹)을 대상으로 Y-maze forced alternation 테스트를 수행하여 각 유산균 섭취에 따른 인지능력 및 기억력의 개선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결과값은 막혀있던 통로에 처음 들어가기까지 걸린 시간 (latency), 막혀있던 통로에 들어가는 횟수의 비율, 막혀있던 통로에서 보낸 시간의 비율을 측정하여 평균 값으로 나타내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실험그룹 (Streptococcus thermophilus 섭취 마우스 그룹, Lactobacillus plantarum 섭취 마우스 그룹, control 그룹)을 대상으로 Passive avoidance 테스트를 수행하여 각 유산균 섭취에 따른 인지능력 및 기억력의 개선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결과값은 testing phase에서 마우스가 어두운 상자에 들어가기까지 걸린 시간 (latency)를 측정하여 평균 값으로 나타내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섭취 마우스 그룹과 대조군 (control) 그룹 마우스의 장내미생물 군집 조성을 phylum, class, order 레벨까지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섭취 마우스 그룹과 대조군 그룹 마우스의 장내미생물 군집 조성을 family 레벨에서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섭취 마우스 그룹과 대조군 그룹 마우스의 장내미생물 군집 조성을 genus 레벨에서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섭취 마우스 그룹과 대조군 그룹 마우스의 장내미생물 군집 조성을 species 레벨에서 비교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균주의 분리 및 동정
발효유식품 샘플을 채취해 Man, Rogosa, Sharpe (MRS) 배지에서 균주를 분리 후 37 ℃ 에서 18시간 배양하였다. 분리된 균주는 16S rRNA 시퀀싱하였다.
1-1. 16S rRNA 시퀀싱 결과
서열
번호
명명 서열 목록
1 Streptococcus thermophilus_16s rRNA GCTCAGGACGAACGCTGGCGGCGTGCCTAATACATGCAAGTAGAACGCTGAAGAGAGGAGCTTGCTCTTCTTGGATGAGTTGCGAACGGGTGAGTAACGCGTAGGTAACCTGCCTTGTAGCGGGGGATAACTATTGGAAACGATAGCTAATACCGCATAACAATGGATGACACATGTCATTTATTTGAAAGGGGCAATTGCTCCACTACAAGATGGACCTGCGTTGTATTAGCTAGTAGGTGAGGTAATGGCTCACCTAGGCGACGATACATAGCCGACCTGAGAGGGTGATCGGCCACACTGGGACTGAGACACGGCCCAGACTCCTACGGGAGGCAGCAGTAGGGAATCTTCGGCAATGGGGGCAACCCTGACCGAGCAACGCCGCGTGAGTGAAGAAGGTTTTCGGATCGTAAAGCTCTGTTGTAAGTCAAGAACGGGTGTGAGAGTGGAAAGTTCACACTGTGACGGTAGCTTACCAGAAAGGGACGGCTAACTACGTGCCAGCAGCCGCGGTAATACGTAGGTCCCGAGCGTTGTCCGGATTTATTGGGCGTAAAGCGAGCGCAGGCGGTTTGATAAGTCTGAAGTTAAAGGCTGTGGCTCAACCATAGTTCGCTTTGGAAACTGTCAAACTTGAGTGCAGAAGGGGAGAGTGGAATTCCATGTGTAGCGGTGAAATGCGTAGATATATGGAGGAACACCGGTGGCGAAAGCGGCTCTCTGGTCTGTAACTGACGCTGAGGCTCGAAAGCGTGGGGAGCGAACAGGATTAGATACCCTGGTAGTCCACGCCGTAAACGATGAGTGCTAGGTGTTGGATCCTTTCCGGGATTCAGTGCCGCAGCTAACGCATTAAGCACTCCGCCTGGGGAGTACGACCGCAAGGTTGAAACTCAAAGGAATTGACGGGGGCCCGCACAAGCGGTGGAGCATGTGGTTTAATTCGAAGCAACGCGAAGAACCTTACCAGGTCTTGACATCCCGATGCTATTTCTAGAGATAGAAAGTTACTTCGGTACATCGGTGACAGGTGGTGCATGGTTGTCGTCAGCTCGTGTCGTGAGATGTTGGGTTAAGTCCCGCAACGAGCGCAACCCCTATTGTTAGTTGCCATCATTCAGTTGGGCACTCTAGCGAGACTGCCGGTAATAAACCGGAGGAAGGTGGGGATGACGTCAAATCATCATGCCCCTTATGACCTGGGCTACACACGTGCTACAATGGTTGGTACAACGAGTTGCGAGTCGGTGACGGCGAGCTAATCTCTTAAAGCCAATCTCAGTTCGGATTGTAGGCTGCAACTCGCCTACATGAAGTCGGAATCGCTAGTAATCGCGGATCAGCACGCCCGGGTGAAAAACGTTCCCGGGGCCTTGTACACACCGCCCGTCACACCACGAAGAGTTTGTAACACCCGAAGTCGGTGAGGTAACCTTTTGGAGCCAGCCGCCTAAGGTGGGACAGATGATTGGGG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27F 및 1492R 프라이머를 사용한 16s rRNA 시퀀싱 방법에서 Streptococcus thermophilus와 99 % 유사성을 보였다.
실시예 2. 모델 동물을 이용한 유산균의 인지능력 개선 효과 측정
2-1. 실험 개요
건강한 마우스 3 그룹에게 각각 S. thermophilus, L. plantarum, 물 (컨트롤그룹)을 8주 간 섭취하게 한 후, 행동평가 실험을 통해 각 유산균이 마우스의 인지능력 개선에 영향을 주는지를 테스트하였다.
구체적으로, 실험용 마우스로는 36마리의 4 내지 5주령 수컷 SPF C57BL/C 마우스를 사용하였으며, 임의로 12마리씩 각 그룹에 배정하였다. 마우스는 각 케이지에 4마리씩 사육되었으며, 개체들간의 싸움으로 인한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동배 개체들을 같은 케이지에 사육하였다. 실험 기간 동안 마우스는 자유롭게 사료와 물을 섭취할 수 있게 하였고, 12시간 주기의 빛 사이클과 22 ± 2 ℃의 온도, 50 ± 10%의 습도를 유지해 주었다. 5주 차부터 매주 Y-maze spontaneous alternation, Novel object recognition, Y-maze forced alternation, Passive avoidance의 순서로 행동평가 실험을 1주일에 하나씩 시행하였다. 또한, 8주간 매주 모든 개체의 체중을 기록하였다. 마지막 행동평가 실험이 종료된 후, 장내미생물 분석을 위해 마우스의 분변을 모두 샘플링하여 -80 ℃에 보관하였다.
2-2. 유산균의 급여
마우스에게 약물 등을 투여할 때 보통 존대를 사용한 경구투여나 정맥 주사를 사용하지만, 해당 방법은 마우스에게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결과적으로 행동평가 실험 결과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매일 새롭게 배양 한 (MRS배지, 37 ℃, 9 시간) 유산균을 원심분리기를 (4,000 rpm, 4 분) 사용하여 수득 한 후, 멸균된 saline으로 세척하고 원래의 배양액과 같은 양의 멸균된 물에 녹여서 해당 마우스 그룹에 매일 동일한 시간에 새로 급여하는 방법으로 유산균을 투여하였다. 컨트롤 그룹에게는 유산균을 녹이지 않은 멸균된 물을 급여하였다. 각 그룹이 매일 섭취하는 유산균의 양을 확인하기 위해 매일 새로 급여하기 전에 희석배수 10-9 까지 희석시킨 용액을 MRS 플레이트에 스프레딩하여 균 수를 확인하고, 매일 각 그룹의 급수량을 함께 기록하였다. 그 결과를 도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S. thermophilus L. plantarum Control (Water)
급수량
(ml/mouse)
섭취균수
(CFU/mouse)
급수량
(ml/mouse)
섭취균수
(CFU/mouse)
급수량
(ml/mouse)
섭취균수
(CFU/mouse)
Average
(Day1 - 56)
7.18 1.08E+10 8.44 3.12E+10 7.47 0
도 1 및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S. thermophilus 그룹과 L. plantarum 그룹은 각각 평균 1.08E+10 CFU/mouse/day, 3.12E+10 CFU/mouse/day를 섭취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Y-maze Spontaneous alternation test의 수행 및 측정결과
유산균 섭취 5주 차에 모든 마우스에 Y-maze Spontaneous alternation test를 수행하였다. Y-maze는 Y자 형태의 플라스틱 통로가 서로 120°의 각도로 연결된 기구이다. Y-maze spontaneous alternation test는 마우스를 Y-maze 기구 안에 넣은 후, 일정 시간 동안 마우스가 각 통로를 이동할 때, 새로운 통로를 선택하는 비율을 계산하여 공간 기억력을 테스트하는 실험이다. 3개의 통로를 각각 A 통로, B 통로, C 통로라고 칭하였을 때, 마우스가 연속적으로 ABC, CAB, 또는 BAC 통로를 방문한 경우를 하나의 alternation이라고 판단하여, 전체 방문 횟수에서 alternation 횟수의 비율을 측정하여 alternation score를 구하였다. 총 측정 시간으로 6분을 사용하였고, Y-maze 기구에 입장한 후의 첫 2분 동안 전혀 움직임이 없거나 5분 동안 이동한 총 통로의 수가 5개 미만인 마우스 개체는 기구를 충분히 탐색하지 않았다고 간주해 최종 결과에서 제외하였다. 그 결과를 도 2 및 표 3에 나타내었다.
Group Water S. thermophilus L. plantarum
0 70 37.5
53.85 76.92 50
62.5 50 40
40 57.14 85.71
56.25 66.67 71.43
55 72.22 71.43
62.5 62.5 71.43
40 61.54 90
45.45 80 44.44
53.85 71.43 70
42.86 60 83.33
60 80
평균 47.69 67.37 65.02
도 2 및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유산균을 섭취한 두 그룹 모두 컨트롤 그룹에 비해 높은 alternation score를 기록하였지만, S. thermophilus를 섭취한 마우스들의 alternation score가 컨트롤 마우스들에 비해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고, L. plantarum을 섭취한 마우스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실시예 4. Novel object recognition test의 수행 및 측정결과
유산균 섭취 6주 차에 모든 마우스에 Novel object recognition test를 수행하였다. Novel object recognition test는 마우스가 본능적으로 이미 알고 있는 물체보다 처음 보는 물체에 흥미를 느끼는 점을 이용하여 마우스의 비공간 기억력을 측정하는 실험이다. 해당 실험은 training phase, intertrial interval, testing phase의 3개 파트로 구성되어 있는데, training phase 동안 두 개의 동일한 물체를 마우스에게 자유롭게 탐색하게 하고, 일정 시간의 intertrial interval 후에 두 개의 물체 중 하나만 새로운 물체로 교체한 후, 마우스가 탐색하게끔 한다. 본 실험에서는 10분의 training phase, 1시간의 intertrial interval, 5분의 testing phase를 수행하였다. 본 실험 전에 여러 가지 물체 후보를 대상으로 마우스의 물체 선호도 테스트를 먼저 수행한 후, 최대한 선호도가 비슷한 물체를 본 실험에 사용하였기 때문에 선호도가 달라 편향된 결과가 생길 가능성을 배제하였다. 측정값은 두 물체를 탐색하는데 걸린 총 시간 중 새로운 물체를 탐색하는데 걸린 시간의 비율로 계산되었고, 물체들을 탐색하는데 걸린 시간이 총 3초 미만인 개체들은 물체를 충분히 탐색하지 않았다고 판단하여 실험 결과 도출에서 제외되었다. 그 결과를 도 3 및 표 4 내지 5에 나타내었다.
Group Water S. thermophilus L. plantarum
Object Familiar Novel Familiar Novel Familiar Novel
2.461 3.703 12.501 14.085 2.715 1.726
6.53 2.246 4.614 7.015 9.323 10.529
1.889 2.561 0.72 1.593 2.093 3.646
4.393 5.886 6.767 9.038 2.314 4.537
6.531 5.651 0.904 5.005 1.272 10.048
1.511 3.781 9.898 10.613 1.175 1.61
1.833 0.901 0 4.126 2.465 1.95
5.231 1.765 5.181 11.189 3.089 2.606
3.49 3.556 3.702 6.382
9.295 6.792
Average 4.3164 3.6842 4.920778 7.671778 3.05575 4.5815
Discrimination Ratio (%)
Group Water S. thermophilus L. plantarum
60.07 52.98 38.87
25.59 60.32 53.04
57.55 68.87 63.53
57.26 57.18 66.22
46.39 84.7 88.76
71.45 51.74 57.81
32.96 100 44.17
25.23 68.35 45.76
50.47 63.29
42.22
Average 46.92 67.49 57.27
도 3 및 표 4 내지 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유산균을 섭취한 두 그룹 모두 컨트롤 그룹에 비해 높은 비율로 새로운 물체를 탐색하였지만, S. thermophilus를 섭취한 마우스 그룹만 컨트롤 그룹에 비해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다.
실시예 5. Y-maze forced alternation test의 수행 및 측정결과
유산균 섭취 7주 차에 모든 마우스에 Y-maze forced alternation test를 수행하였다. Y-maze는 Y자 형태의 플라스틱 통로가 서로 120°의 각도로 연결된 기구이다. Y-maze forced alternation test는 마우스가 Y-maze 기구 내의 3개 통로 중 막혀있던 통로를 기억하는지를 확인하여 공간 기억력을 테스트하는 실험이다. 해당 실험은 training phase, intertrial interval, testing phase의 3개 파트로 구성되어 있는데, training phase 동안 3개의 통로 중 하나를 막은 상태로 마우스가 Y-maze 기구를 자유롭게 탐색하게 한 후, 일정 시간의 intertrial interval이 지난 후, 통로를 막고 있던 장애물을 제거한 Y-maze 기구를 마우스가 다시 탐색하게 한다. 본 실험에서는 5분의 training phase, 1시간의 intertrial interval, 5분의 testing phase를 수행하였다. Testing phase 동안 마우스가 막혀있던 통로에 처음 들어가기까지 걸리는 시간, 막혀있던 통로에 들어가는 횟수의 비율, 막혀있던 통로에서 보낸 시간의 비율을 측정하였고, 첫 2분간의 기록만을 비교하였다. Y-maze 기구에 입장한 후의 첫 2분 동안 전혀 움직임이 없거나 5분 동안 이동한 총 통로의 수가 5개 미만인 마우스 개체는 기구를 충분히 탐색하지 않았다고 간주하고 최종 결과에서 제외하였다. 그 결과를 도 4 및 표 6 내지 8에 나타내었다.
Latency (s)
Group Water S. thermophilus L. plantarum
146.888 42.892 13.644
7.844 92.821 175.781
32.247 28.097 10.051
18.277 43.242 21.784
194.976 16.334 60.475
14.755 29.432 53.761
67.874 60.441 15.709
173.941 22.633 24.6
19.062 119.413
11.501 13.901
82.964 43.132
12.08
Average 65.20 46.58 46.98
Novel arm entry (%)
Group Water S. thermophilus L. plantarum
0 37.5 50
50 50 0
50 50 44.44444
60 40 40
0 42.85714 40
40 42.85714 37.5
66.66667 50 100
0 33.33333 50
66.66667 25
40 50
12.5 66.66667
66.66667
Average 37.71 44.38 45.24
Time spent in novel arm (%)
Group Water S. thermophilus L. plantarum
0 17.63278 35.33072
71.19473 11.29434 0
22.06181 58.09011 33.11258
40.51662 30.444 36.06478
0 32.74949 14.33253
22.32454 34.94042 14.86326
19.22481 35.66085 87.71616
0 3.308498 31.59695
44.70138 0.546036
21.77243 38.97522
24.68625 55.25784
11.03161
Average 23.13 28.99 31.63
도 4 및 표 6 내지 8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testing phase의 첫 2분간 마우스가 막혀있던 통로에 처음 들어가기까지 걸리는 시간, 막혀있던 통로에 들어가는 횟수의 비율, 막혀있던 통로에서 보낸 시간의 비율의 3가지 측정 항목에서 두 유산균 섭취 그룹 모두 컨트롤 그룹에 비해 개선된 인지 능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실시예 6. Passive avoidance test의 수행 및 측정결과
유산균 섭취 8주 차에 모든 마우스에 Passive avoidance test를 수행하였다. Passive avoidance test는 마우스가 본능적으로 밝은 곳을 기피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연상 기억력을 테스트하는 실험이다. 본 실험에 사용된 기구는 검은 아크릴로 만들어진 어두운 상자와 흰 아크릴로 만들어진 밝은 상자가 연결된 형태로, 두 상자 사이엔 마우스 한 마리가 이동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인 열고 닫을 수 있는 문이 장치되어 있다. 밝은 상자의 천장에는 할로겐 전구가 장치되어 있고, 어두운 상자의 밑 바닥에는 알루미늄 막대가 일정한 간격으로 깔려 있어서 이를 통해 마우스의 발에 일정한 크기의 전기충격을 가할 수 있다. 해당 실험은 training phase, intertrial interval, testing phase의 3개 파트로 구성되어 있다. Training phase에는 우선 중간 문이 닫혀 있는 채로 밝은 상자에 마우스를 넣고, 마우스가 문의 반대쪽을 응시하고 있을 때 문을 천천히 연다. 마우스가 빛을 피해 어두운 상자로 들어간 순간 문을 닫고 0.25mA의 전류를 3초간 흐르게 한다. 전기 충격이 종료된 후 30초 간 어두운 방에 머무르게 한다. 일정 시간의 intertrial interval이 지난 후, testing phase에는 마우스를 다시 밝은 상자에 넣었을 때 어두운 상자를 발견한 후 상자 안으로 들어가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여 전기 충격을 기억하는지를 테스트하였다. 마우스가 어두운 상자로 들어가기까지 300초 이상 소요될 시에는 300초로 기록하였다. 그 결과를 도 5 및 표 9에 나타내었다.
Latency (s)
Group Water S. thermophilus L. plantarum
300 300 300
133.449 41.802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71.022 160.012 300
125.859 264.884 300
19.969 300 29.171
32.556 107.664 39.337
52.791 300
300
Average 175.97 230.48 240.95
도 5 및 표 9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두 유산균 섭취 그룹 모두 컨트롤 그룹에 비해 개선된 인지 능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실시예 7. S. thermophilus 섭취 마우스의 장내미생물 변화 양상 분석
7-1. 분변 샘플 수집 및 16S-23S 오페론 서열 시퀀싱
유산균 섭취로 인한 장내미생물 변화 양상을 분석하기 위해 8주 차의 마지막 행동평가 실험이 종료된 후 모든 마우스들의 분변 샘플을 수집하였다. 멸균된 케이지에 각 마우스를 넣은 후 마우스가 배변한 즉시 멸균된 튜브에 분변을 수집한 후, -80 ℃에 보관하였다. 샘플들의 DNA를 추출한 후, 16S-23S 오페론을 타겟팅 하는 프라이머를 사용해 Nanopore사의 MinION Flongle 시퀀서로 해당 서열을 시퀀싱하였다.
7-2. 16S-23S 오페론 서열의 생물정보학적 분석을 통한 장내미생물 변화 양상 확인
행동평가 실험에서 Y-maze spontaneous alternation test와 Novel object recognition test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의 기억력 증진 결과를 나타낸 S. thermophilus를 8주간 섭취한 마우스 그룹과 유산균을 섭취하지 않은 컨트롤 마우스 그룹 개체들의 16S-23S 오페론 서열을 시퀀싱 한 후, 각 16S-23S 오페론 서열들을 토대로 각 개체의 장내미생물 군집 조성을 확인하고 비교하였다. 시퀀싱이 완료된 16S-23S 오페론 서열들을 모든 미생물들의 해당 서열들이 수집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장내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종류를 종(species) 레벨까지 확인하였고, 이를 토대로 S. thermophilus 그룹과 컨트롤 그룹의 장내미생물 군집 조성 중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차이가 나는 미생물 그룹이 있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도 6 내지 9에 나타내었다.
도 6 내지 9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phylum, class, order 레벨에서는 유의미하게 차이가 나는 미생물 그룹이 존재하지 않았고, family, genus, species 레벨에서는 유의미하게 증가하거나 감소한 그룹을 확인하였다. Family level에서는 S. thermophilus를 섭취한 마우스에서 Streptococcaceae family, Moraxellaceae family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고, genus level에서는 S. thermophilus를 섭취한 마우스에서 Streptococcus genus, Phascolarctobacterium genus, Acinetobacter genus 가 유의미하게 증가한 반면, Roseburia genus는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Specles level에서 유의미하게 증가한 종은 S. thermophilus, Streptococcus salivarius, Streptococcus sp001556435, Phascolarctobacterium faecium, Eubacterium plexicaudatum이 었고, 유의미하게 감소한 종은 Roseburia hominis, Roseburia sp001940165, Ruminiclostridium josui로 확인되었다. 한편, 두 그룹 간 마우스 장내미생물 군집의 다양성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4372BP 20201119
<110> Seoul National University R&DB Foundation C&K genomics Inc. <120> Streptococcus thermophilus with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130> PN200326 <160> 1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477 <212> RNA <213> Unknown <220> <223> Streptococcus thermophilus 16s rRNA <400> 1 gctcaggacg aacgctggcg gcgtgcctaa tacatgcaag tagaacgctg aagagaggag 60 cttgctcttc ttggatgagt tgcgaacggg tgagtaacgc gtaggtaacc tgccttgtag 120 cgggggataa ctattggaaa cgatagctaa taccgcataa caatggatga cacatgtcat 180 ttatttgaaa ggggcaattg ctccactaca agatggacct gcgttgtatt agctagtagg 240 tgaggtaatg gctcacctag gcgacgatac atagccgacc tgagagggtg atcggccaca 300 ctgggactga gacacggccc agactcctac gggaggcagc agtagggaat cttcggcaat 360 gggggcaacc ctgaccgagc aacgccgcgt gagtgaagaa ggttttcgga tcgtaaagct 420 ctgttgtaag tcaagaacgg gtgtgagagt ggaaagttca cactgtgacg gtagcttacc 480 agaaagggac ggctaactac gtgccagcag ccgcggtaat acgtaggtcc cgagcgttgt 540 ccggatttat tgggcgtaaa gcgagcgcag gcggtttgat aagtctgaag ttaaaggctg 600 tggctcaacc atagttcgct ttggaaactg tcaaacttga gtgcagaagg ggagagtgga 660 attccatgtg tagcggtgaa atgcgtagat atatggagga acaccggtgg cgaaagcggc 720 tctctggtct gtaactgacg ctgaggctcg aaagcgtggg gagcgaacag gattagatac 780 cctggtagtc cacgccgtaa acgatgagtg ctaggtgttg gatcctttcc gggattcagt 840 gccgcagcta acgcattaag cactccgcct ggggagtacg accgcaaggt tgaaactcaa 900 aggaattgac gggggcccgc acaagcggtg gagcatgtgg tttaattcga agcaacgcga 960 agaaccttac caggtcttga catcccgatg ctatttctag agatagaaag ttacttcggt 1020 acatcggtga caggtggtgc atggttgtcg tcagctcgtg tcgtgagatg ttgggttaag 1080 tcccgcaacg agcgcaaccc ctattgttag ttgccatcat tcagttgggc actctagcga 1140 gactgccggt aataaaccgg aggaaggtgg ggatgacgtc aaatcatcat gccccttatg 1200 acctgggcta cacacgtgct acaatggttg gtacaacgag ttgcgagtcg gtgacggcga 1260 gctaatctct taaagccaat ctcagttcgg attgtaggct gcaactcgcc tacatgaagt 1320 cggaatcgct agtaatcgcg gatcagcacg cccgggtgaa aaacgttccc ggggccttgt 1380 acacaccgcc cgtcacacca cgaagagttt gtaacacccg aagtcggtga ggtaaccttt 1440 tggagccagc cgcctaaggt gggacagatg attgggg 1477

Claims (10)

  1. 기억력 또는 인지능력 향상 기능을 가진 수탁번호 KCTC 14372BP의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Streptococcus thermophilus).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16s RNA를 가지는 것인,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3. 삭제
  4. 수탁번호 KCTC 14372BP의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Streptococcus thermophilus), 이의 배양물, 이의 파쇄물 및 이의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또는 치매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16s RNA를 가지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6. 삭제
  7. 삭제
  8. 수탁번호 KCTC 14372BP의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Streptococcus thermophilus), 이의 배양물, 이의 파쇄물 및 이의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기억력 또는 인지능력 향상,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16s RNA를 가지는 것인, 식품 조성물.
  10. 삭제
KR1020200174886A 2020-12-14 2020-12-14 인지능력 개선 기능을 가지는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KR102480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886A KR102480148B1 (ko) 2020-12-14 2020-12-14 인지능력 개선 기능을 가지는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886A KR102480148B1 (ko) 2020-12-14 2020-12-14 인지능력 개선 기능을 가지는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4925A KR20220084925A (ko) 2022-06-21
KR102480148B1 true KR102480148B1 (ko) 2022-12-23

Family

ID=82221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4886A KR102480148B1 (ko) 2020-12-14 2020-12-14 인지능력 개선 기능을 가지는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01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6842A (ko) 2022-07-07 2024-01-16 윤현웅 향수 추천 판매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9830B1 (ko) 2016-06-14 2017-11-2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지는 아가토바쿨룸 속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799829B1 (ko) 2016-07-11 2017-11-2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지는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균주 및 이의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2815A (ko) 2015-09-15 2017-03-2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 유산균 및 퇴행성 뇌질환 또는 인지기능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61740A (ko) 2016-11-30 2018-06-08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스피룰리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능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71546B1 (ko) 2017-06-23 2019-04-23 이재강 유산균, 노루궁뎅이버섯 추출물 및 은행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기능 또는 기억능력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20200067299A (ko) * 2018-12-03 2020-06-12 김상태 퇴행성 뇌질환의 치료 효과를 갖는 락토코커스 락티스 균주 및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9830B1 (ko) 2016-06-14 2017-11-2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지는 아가토바쿨룸 속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799829B1 (ko) 2016-07-11 2017-11-2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지는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균주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4925A (ko) 202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1196B1 (ko) 신규 유산균 및 퇴행성 뇌질환 또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0653730B2 (en) Lactic acid bacterium, drug, food or drink, and feed which contain the lactic acid bacterium
BR112019015806A2 (pt) Bactérias ácido-lácticas inovadoras e uso das mesmas
JP6869312B2 (ja) ラクトバチルスファーメンタムgkf3、それを含む組成物及び精神失調を改善する適用
KR20180044245A (ko) 변비 개선 효능을 갖는 신규한 유산균 및 이의 용도
US11241463B2 (en) Lactic acid bacterium, drug, food or drink, and feed which contain the lactic acid bacterium
US20220151253A1 (en) Kimchi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sakei wikim0109 having efficacy for relief of arthritis
US20170080034A1 (en) Lactobacillus composition allowing the stimulation of human and animal juvenile growth in cases of malnutrition
KR20170090359A (ko) 면역조절 작용을 가는 사람 소화관 유래 신규 유산균 및 이의 용도
KR102480148B1 (ko) 인지능력 개선 기능을 가지는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
US11058733B2 (en) Active substances of Bifidobacterium lactis GKK2,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of promoting longevity using the same
KR102480136B1 (ko) 인지능력 개선 기능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JP7261867B2 (ja) 骨格筋遅筋化用組成物
KR102480146B1 (ko) 인지능력 개선 기능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
CN113556945A (zh) 对抑郁症及焦虑症具有预防、改善或治疗功效的作为泡菜乳酸菌的沙克乳酸杆菌
TWI776433B (zh) 戴白氏乳桿菌乳酸亞種ldl557分離株及其用途
KR20170093605A (ko) 프로바이오틱 활성을 갖는 신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및 이의 용도
KR102323673B1 (ko) HtrA 샤페론 프로바이오틱스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장 마이크로바이옴 조절 효능이 있는 염증성 장질환 치료용 조성물
KR102480131B1 (ko) 인지능력 개선 기능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수스
KR20150146331A (ko)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의 면역증강 활성을 증가시키는 배양 방법
Ermolenko et al. Effects of indigenous Enterococci on the intestinal microbiota and the behavior of rats on correction of experimental dysbiosis
KR102486789B1 (ko) 엔테로코쿠스 락티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43615B1 (ko) 신규한 카자츠타니아 투리센시스 cau y1706 및 이를 이용한 조성물
JP2020184909A (ja) 血糖降下剤、及び、該血糖降下剤を含有する飲食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