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9863B1 - 신규 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도체 및 단백질 흡착 억제제 - Google Patents

신규 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도체 및 단백질 흡착 억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9863B1
KR102479863B1 KR1020207010239A KR20207010239A KR102479863B1 KR 102479863 B1 KR102479863 B1 KR 102479863B1 KR 1020207010239 A KR1020207010239 A KR 1020207010239A KR 20207010239 A KR20207010239 A KR 20207010239A KR 102479863 B1 KR102479863 B1 KR 102479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in adsorption
substrate
present
derivative
polyethylene glyc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0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1761A (ko
Inventor
아카네 가토리
마사루 마츠다
도모즈미 노다
다카시 사사키
히로타카 스즈키
노부유키 사카모토
Original Assignee
니치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치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치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51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1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9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98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 C08G65/32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G65/329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compounds
    • C08G65/335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 C08G65/3356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having nitrogen in addition to phosphoru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 C08G65/32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G65/321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inorganic compounds
    • C08G65/327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31Production of immunochemical tes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 C08G65/32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G65/321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inorganic compounds
    • C08G65/325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 C08G65/32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G65/329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compounds
    • C08G65/335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 C08G65/3358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having sulfur in addition to phosphor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306Improving reaction conditions, e.g. reduction of non-specific binding, promotion of specific bin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93Improving reaction conditions or stability, e.g. by coating or irradiation of surface, by reduction of non-specific binding, by promotion of specific bin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Cell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Polyethers (AREA)

Abstract

면역 반응 용기 등의 기재 표면에 효과적으로 흡착되어, 단백질 등의 비특이적 흡착을 방지하는 단백질 흡착 억제 효과가 매우 높고, 또한, 기재의 세정 조작 전후로 그 효과가 변화되지 않는 내세정성이 우수한 화합물을 제공한다. 또, 당해 화합물을 사용한 단백질 흡착 억제제, 포스포릴콜린 수식 기재, 및 단백질 흡착 억제 방법을 제공한다. 이 화합물은 식 (1) 로 나타내는 포스포릴콜린기 함유 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도체이다. 본 발명의 단백질 흡착 억제 방법은, 기재 표면에 그 유도체의 흡착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갖는다.

Description

신규 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도체 및 단백질 흡착 억제제
본 발명은, 천연 또는 합성의 재료 (기재) 의 표면 처리, 및 단백질의 표면 처리에 응용할 수 있는 신규 화합물, 특히, 기재 등에 대한 단백질의 비특이 흡착을 억제하기 위한 표면 처리제 (단백질 흡착 억제제) 로서 적용 가능한 신규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그 화합물을 단백질 흡착 억제제로서 사용한 표면 수식재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면역 반응을 이용한 측정에 있어서, 표지 항체 혹은 항원 또는 검체 중의 단백질의, 사용 기재의 표면에 대한 비특이 흡착을 방지하는, 신규한 포스포릴콜린기 함유 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도체, 및 그 유도체로 표면 피복된 포스포릴콜린 수식 기재에 관한 것이다. 또한, 그 유도체를 단백질 흡착 억제제로서 사용하는, 기재에 대한 단백질 흡착을 억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포스포릴콜린기를 갖는 화합물로 각종 재료 표면을 처리함으로써, 포스포릴콜린기에서 기인하는, 생체 적합성, 항혈전성, 표면 친수성 등을 부여할 수 있는 표면 처리제가 널리 제안되어 있다. 그 용도로는, 단백질을 친수화하기 위한 단백질 표면 처리, 공업용 필터 표면의 방오 처리, 의료용 고분자 재료에 대한 단백질이나 혈구의 흡착 억제를 위한 표면 처리를 들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임상 검사, 진단약의 분야에 있어서, 면역 반응을 이용한 측정계에서, 포스포릴콜린기 함유 화합물을 성분으로 하는 단백질 흡착 억제제가 이용되고 있다. 미량의 생체 성분을 검출하는 측정법에서는, 포스포릴콜린기 함유 화합물을 함유하는 단백질 흡착 억제제의 첨가는, 측정 대상이 되는 항체 혹은 항원의 면역 반응 용기 등의 기재 표면에 대한 비특이 흡착을 방지하는 점에서 중요한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은,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포릴콜린 중합체의 기재 표면에 대한 단백질 흡착 억제 효과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의 발명은, 강한 단백질 흡착 방지능을 갖는 그 중합체를 사용하여, 여러 가지의 생체 관련 물질의 분석에 있어서, 고정밀도로 목적 물질의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특허문헌 2 및 3 은, 화학 반응에 의해 기재 표면과 결합 가능한 아미노기를 갖는 포스포릴콜린 화합물이나 신규 폴리머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2 의 발명은, 발명에 관련된 화합물이 반응성이 높은 아미노기를 갖기 때문에 기재 표면을 그 화합물로 수식할 수 있고, 그 화합물의 기능을 기재에 부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특허문헌 3 의 발명은, 상기 신규 폴리머가 기재 표면에 강고하게 결합하기 때문에, 비특이적 흡착을 방지하기 위한 블로킹 효과가 높고, 미량의 생체 성분을 충분한 감도로 측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7-083923호 국제 공개공보 2012/08676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117269호
그러나,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방법에서는, 복수 회의 세정에 의해,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포릴콜린 중합체가 기재로부터 박리되어, 세정 후의 단백질 흡착 억제 효과가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2 에서 개시되는 화합물은, 아미노기와 포스포릴콜린기가 에틸기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단백질 흡착 억제 효과의 점에서는 충분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또, 특허문헌 3 에서 개시되는 화합물은 폴리머이고, 분자량이 높으며, 항체 또는 항원과의 입체 반발에 의해, 단백질 흡착 억제제의 결합률이 잘 높아지지 않아, 단백질 흡착 억제 효과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도 있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고감도 측정을 목적으로 하는 자성 미립자에 대한 단백질 흡착 억제는, 종래 기술로는 곤란하였다.
그래서, 본 발명의 과제는, 면역 반응 용기 등의 기재 표면에 효과적으로 흡착되어, 단백질 등의 비특이적 흡착을 방지하는 단백질 흡착 억제 효과가 매우 높고, 또한, 기재의 세정 조작 전후로 그 효과가 변화되지 않는 내세정성이 우수한 화합물, 및 그 화합물을 사용한 단백질 흡착 억제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상기 화합물을 기재 표면에 흡착시켜 이루어지는 포스포릴콜린 수식 기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과제는, 상기 화합물을 사용하여 기재에 대한 단백질의 흡착을 억제하는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말단에 아미노기와 포스포릴콜린기를 갖는 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도체가, 면역 반응 용기 등의 기재 표면에 대한 흡착 특성이 높고, 또한 내세정성이 우수한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식 (1) 로 나타내는 포스포릴콜린기 함유 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도체가 제공된다.
[화학식 1]
Figure 112020036649015-pct00001
식 (1) 중, m 은 1 ∼ 10, n 은 20 ∼ 200 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포스포릴콜린기 함유 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단백질 흡착 억제제가 제공된다.
또 다른 관점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포스포릴콜린기 함유 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도체를 0.01 ∼ 20 질량% 함유하는, 단백질 흡착 억제제 용액이 제공된다.
또 다른 관점의 발명에 의하면, 기재와 상기 포스포릴콜린기 함유 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도체로 이루어지고, 그 유도체가 기재 표면에 흡착되어 있는, 포스포릴콜린 수식 기재가 제공된다.
또 다른 관점의 발명에 의하면, 기재 표면을 상기 단백질 흡착 억제제 용액으로 처리하여, 상기 포스포릴콜린기 함유 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도체의 흡착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갖는, 기재에 대한 단백질 흡착 억제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포스포릴콜린기 함유 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도체는, 그 자체가 면역 반응 용기 등의 기재 표면에 효과적으로 흡착됨으로써, 기재 표면에 대한 단백질의 비특이적 흡착을 고도로 억제할 수 있다. 즉, 높은 단백질 흡착 억제능을 발휘한다. 또한, 기재에 대한 흡착력이 강하기 때문에, 세정에 대해 높은 내구성을 갖고, 세정에 의한 기재로부터의 탈리가 매우 적다. 즉, 내세정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측정마다 세정을 반복해도, 단백질 흡착 억제능을 고도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백질 흡착 억제제 용액으로 기재 표면을 처리함으로써, 본 발명의 포스포릴콜린기 함유 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도체를 기재 표면에 강고하게 흡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포스포릴콜린기 함유 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도체를 기재 표면에 흡착시켜 얻어지는 본 발명의 포스포릴콜린 수식 기재는, 단백질 흡착 억제능이 높고, 또한 내세정성이 우수하므로, 단백질 흡착 억제능을 높은 레벨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재에 대한 단백질 흡착 억제 방법은, 본 발명의 포스포릴콜린기 함유 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도체를 기재 표면에 강고하게 흡착시킬 수 있으므로, 단백질의 비특이적 흡착을 고도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포스포릴콜린기 함유 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도체는 하기 식 (1) 로 나타낸다. 이후, 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간단히 본 발명의 유도체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의 유도체는, 분자 내에 폴리에틸렌글리콜부와 포스포릴콜린기부를 갖고, 면역 반응 용기나 측정 기구 등의 각종 기재의 표면에 강고하게 흡착될 수 있다는 특징을 구비한다.
[화학식 2]
Figure 112020036649015-pct00002
식 (1) 중, m 은 1 ∼ 10 의 정수이고, 2 ∼ 5 가 바람직하다. n 은 식 (1) 의 분자량 등으로부터 산출되는 「-O-CH2CH2-」유닛수를 나타내고, 20 ∼ 200 의 정수이다. n 의 수는 20 ∼ 100 이 바람직하고, 20 ∼ 50 이 보다 바람직하고, 40 ∼ 50 이 특히 바람직하다. n 및 m 의 값이 이 범위이면, 면역 반응 용기 등의 기재 표면에 효과적으로 흡착되어, 단백질의 비특이적 흡착을 고도로 억제할 수 있기 ‹š문이다. 또한, 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m 또는 n 의 값 등이 상이한 2 종 이상의 화합물의 혼합물의 상태로, 후술하는 단백질 흡착 억제제나 단백질 흡착 억제제 용액에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유도체는 아민염의 구조여도 된다. 즉, 폴리에틸렌글리콜측 말단의 아민이 각종 산에 의해 각종 염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어도 된다. 염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염산염, 아세트산염, 황산염,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 브롬산염, 메탄술폰산염 등을 들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유도체의 제조 방법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유도체는, 하기 식 (2) 로 나타내는 화합물 (α-아미노알킬-ω-메르캅토에톡시-폴리옥시에틸렌) 또는 그 아민염과, 하기 식 (3) 으로 나타내는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포스페이트 (이후, MPC 라고 약기하는 경우가 있다) 를, 예를 들어, 알코올계 용매 중, 디이소프로필아민 등의 아민 촉매를 사용하여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후, 식 (2) 의 화합물이라고 칭한 경우에는, 그 아민염도 함유하는 것으로 한다. 그 아민염을 형성하는 산으로는, 상기 본 발명의 유도체의 아민염을 형성하는 산으로서 예시한 것을 들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112020036649015-pct00003
식 (2) 중, m 은 1 ∼ 10, n 은 20 ∼ 200 의 정수이다.
[화학식 4]
Figure 112020036649015-pct00004
식 (2) 의 화합물과 식 (3) 의 화합물의 반응에 있어서, 그 반응 비율은, 식 (3) 의 화합물 1 몰에 대해, 식 (2) 의 화합물 0.6 ∼ 1.5 몰이 바람직하다. 0.6 몰 미만의 경우, 본 발명의 유도체의 제조 수율이 낮아질 우려가 있다. 또, 1.5 몰을 초과하는 경우, 식 (3) 의 MPC 의 분해 반응이 일어나거나, 식 (2) 의 화합물의 아미노기가 이중 결합으로 마이클 부가 반응하거나 하는 부반응의 우려가 있어, 역시 본 발명의 유도체의 제조 수율이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유도체의 제조에 있어서의 용매로는, 식 (2) 및 (3) 의 화합물을 용해하고, 이들 화합물과 반응하지 않는 용매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구체적으로는, 상기의 알코올계 용매 외에, 케톤계 용매, 에스테르계 용매, 에테르계 용매, 및 함질소계 용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알코올계 용매로는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2-프로판올 등 ; 케톤계 용매로는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 ; 에스테르계 용매로는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등 ; 에테르계 용매로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에틸에테르, 시클로펜틸메틸에테르 등 ; 함질소계 용매로는 아세토니트릴, 니트로메탄, N-메틸피롤리돈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알코올계 용매가 바람직하다.
용매의 사용량으로는, 식 (2) 및 (3) 의 화합물 등의 원료를 용해할 수 있는 양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반응 온도 등 다른 조건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유도체의 제조에 바람직한 양으로 하면 된다.
식 (2) 및 (3) 의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촉매로는 유기 염기 또는 무기 염기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용매에 대한 용해성이나 반응성의 관점에서 촉매는 아민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1 급 아민으로서 메틸아민, 2 급 아민으로서 디이소프로필아민, 3 급 아민으로서 트리에틸아민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2 급 아민, 3 급 아민이 바람직하다. 촉매량으로는, 식 (2) 의 화합물 또는 그 염 100 몰% 에 대해 5 ∼ 20 몰% 가 바람직하다. 5 몰% 미만에서는 반응 속도가 극단적으로 느려질 우려가 있다. 20 몰% 를 초과하면, 식 (3) 의 화합물 (MPC) 의 에스테르부의 분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식 (2) 및 (3) 의 화합물의 반응에 있어서의 반응 온도로는 10 ∼ 60 ℃ 가 바람직하다. 10 ℃ 미만의 경우에는, 반응 속도가 상당히 느려질 가능성이 있다. 60 ℃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MPC 의 에스테르 분해 반응이 진행되거나, 식 (2) 의 화합물의 아미노기가 이중 결합으로 마이클 부가 반응하거나 하는 부반응의 우려가 있어, 본 발명의 유도체의 제조 수율이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
식 (2) 및 (3) 의 화합물의 반응에 있어서의 반응 시간으로는, 촉매 및 반응 온도에 따라 다르기도 하지만, 6 ∼ 96 시간이 바람직하다. 반응 시간이 6 시간 미만인 경우, 반응이 종료점에 도달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반응 시간이 96 시간을 초과하면 반응 생성물인 본 발명의 유도체가 산화를 받아 열화될 우려가 있다.
또, 식 (2) 및 (3) 의 화합물의 반응에 있어서, 반응 용기 내를 질소나 아르곤 등의 불활성 가스 분위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술파이드 화합물의 부생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단백질 흡착 억제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단백질 흡착 억제제는, 본 발명의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한다. 본 발명의 단백질 흡착 억제제 중의, 본 발명의 유도체의 함유량은 50 ∼ 100 질량% 가 바람직하다. 효과적인 단백질 흡착 억제능을 발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단백질 흡착 억제제 중에 함유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유도체 이외의 물질로는, 본 분야에서 통상 사용되는 시약류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백질 흡착 억제제는 본 발명의 유도체를 2 종 이상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2 종 이상의 유도체의 합계 함유량을 상기 범위 내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단백질 흡착 억제제는, 본 발명의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서 50 ∼ 100 질량% 함유하고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용도에 사용할 수 있고,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유도체는, 단백질 흡착 억제제 이외로서, 예를 들어, 콘택트 렌즈나 카테터, 가이드 와이어 등의 각종 의료 기기 기재의 표면 처리, 마이크로 유로 등의 이화학 기기의 표면 처리에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단백질 흡착 억제제는, 예를 들어, 단백질, 폴리펩티드, 스테로이드, 지질, 호르몬 등의 존재하에 있어서의, 각종 항원, 항체, 리셉터, 효소 등을 이용한, 효소 반응, 혹은 항원 항체 반응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면역학적 측정 등에 있어서 사용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지된 방사 면역 측정법 (RIA), 효소 면역 측정법 (EIA), 형광 면역 측정법 (FIA), 라텍스 비탁법, 웨스턴 블로팅 등에 적용할 수 있다. 이들 면역학적 측정법에 있어서, 예를 들어, 면역 반응 용기 등의 기재 표면에 항체 혹은 항원을 결합시킨 후, 항체 혹은 항원이 결합되어 있지 않은 기재 표면 부분을, 본 발명의 단백질 흡착 억제제로 처리함으로써, 본 발명의 유도체가 기재 표면에 강고하게 흡착되어 단백질의 흡착을 억제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단백질 흡착 억제제 용액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단백질 흡착 억제제 용액은, 용매 중에 본 발명의 유도체가 0.01 ∼ 20 질량% 용해되어 있는 용액이다. 본 발명의 단백질 흡착 억제제 용액 중의 본 발명의 유도체 농도는, 0.1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1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5.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기재 표면을 본 발명의 단백질 흡착 억제제 용액으로 처리했을 때에, 본 발명의 유도체가 기재 표면에 효과적으로 흡착되어, 양호한 단백질 흡착 억제능이 기재에 부여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단백질 흡착 억제제 용액은 본 발명의 유도체를 2 종 이상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2 종 이상의 유도체의 합계의 농도를 상기 범위 내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단백질 흡착 억제제 용액은, 본 발명의 유도체 또는 본 발명의 단백질 흡착 억제제를 용매 혹은 완충액 등에 용해시킴으로써 얻어진다. 용매로는, 정제수, 순수, 이온 교환수, 혹은 메탄올, 에탄올, 2-프로판올의 알코올 등, 유기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용매로는, 물, 에탄올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이다. 완충액으로는, 인산 완충액, 아세트산 완충액, 탄산 완충액, 시트르산 완충액, 트리스 완충액, HEPES 완충액, 생리 식염수 등, 면역학적 측정법에 사용할 수 있는 완충액이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백질 흡착 억제제 용액은, 본 발명의 유도체 이외에, 반응성 향상이나 용액 안정성을 목적으로 하여 본 분야에서 통상 사용되는 시약 등의 화합물을 함유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글리신, 알라닌, 세린, 트레오닌, 글루탐산, 아스파르트산, 글루타민, 아스파라긴, 리신, 히스티딘 등의 아미노산, 및, 아미노산염, 글리실글리신 등의 펩티드류, 인산염, 붕산염, 황산염, 트리스염 등의 무기 염류, 플라빈류, 아세트산, 시트르산, 말산, 말레산, 글루콘산 등의 유기산 및 유기산의 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단백질 흡착 억제제 용액 중의, 본 발명의 유도체 이외의 이들 화합물의 함유량은, 그 용액의 사용 목적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유도체에 의한 단백질 흡착 억제 작용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설정하면 된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유도체를 기재 표면에 흡착시켜 이루어지는 포스포릴콜린 수식 기재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기재로는, 그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 폴리염화비닐, 폴리프로필렌, 아크릴 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유리, 금속, 세라믹, 실리콘 러버, 폴리불화비닐리덴 (이후, PVDF 라고 약칭한다), 폴리우레탄, 나일론, 니트로셀룰로오스, 단백질, 폴리펩티드, 다당류 등을 들 수 있다. 그것들 중에서도, 폴리스티렌과 PVDF 가 바람직하고, 특히 폴리스티렌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도체는 자성 미립자에 대한 단백질 흡착 억제에도 유용하다. 즉, 본 발명의 포스포릴콜린 수식 기재의 기재는 자성 미립자여도 된다. 자성 미립자는 자기 유도에 의해 자화될 수 있는 재료를 함유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재료로는, 사삼산화철 (Fe3O4), 삼이산화철 (γ-Fe2O3), 각종 페라이트, 철, 망간, 니켈 등의 금속이나, 코발트, 니켈, 망간 등의 합금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발휘되는 등의 점에서, 자성 미립자는 표면에 폴리머 (수지) 층, 극성기, 또는 리간드를 갖는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고, 수계 매체 중에 있어서 안정적인 불용성의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극성기를 갖는 자성 미립자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아미노기, 알데히드기, 카르복실기, 토실기, 메르캅토기, 및 에폭시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의 극성기를 갖는 자성 미립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기재의 형상으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체적으로는, 막(필름) 상, 플레이트상, 입자상, 다공상, 겔상, 나아가서는, 시험관 형상, 바이알병 형상, 튜브 형상, 및 플라스크 형상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도체가 기재에 흡착되어 흡착층을 형성하는 기구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도체는, 기재 표면에 존재하는 반응성 관능기와 화학 반응함으로써 그 표면에 흡착되어 흡착층을 형성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유도체의 아미노기와, 기재 표면의 카르복실기, 에폭시기, 비닐기, 이소시아네이트기 등의 반응성 관능기가 반응하여 결합함으로써 본 발명의 유도체가 기재 표면에 흡착될 수 있다. 따라서, 기재 표면에는, 이들 관능기의 존재가 있으면 된다.
기재 표면에 이와 같은 관능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예를 들어, 기재 표면에 아미노기, 수산기 등의 아미노기와는 반응하지 않는 관능기밖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디이소시아네이트, 디카르복실산, 디에폭시 등의 다관능성 시약을 사용하여, 아미노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기재 표면에 도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반응성 관능기의 기재 표면에 대한 도입 방법은 특별히 제한은 없고, 기재의 종류, 그 표면 성질, 및 반응성 관능기의 원하는 도입량에 따라, 공지된 조건으로부터 적절히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기재 표면이 소수기뿐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유도체를 알부민이나 소수성 화합물과 사전에 반응시킨 후, 그것을 용액 혹은 분산체로서 첨가함으로써 기재 표면에 물리 흡착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유도체와 결합할 수 있는 관능기를 갖는 기재 표면 상에, 그 유도체의 흡착층을 형성하는 구체적 조작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방법을 들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단백질 흡착 억제제 용액 중에 기재를 침지시킨 후, 실온 또는 가온 (加溫) 에 의해 충분히 건조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유도체가 기재 표면에 결합에 의해 흡착된 흡착층을 형성시킨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유도체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단백질 흡착 억제제 용액을 사용한, 면역 반응 용기 등의 기재에 대한 단백질의 흡착을 억제하는 방법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단백질 흡착 억제제 용액 중에 기재를 침지시키고, 기재 표면에 본 발명의 유도체를 반응에 의해 결합시켜 그 유도체의 흡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침지 온도로는 4 ∼ 37 ℃, 침지 시간으로는 4 ℃ 의 경우, 12 시간 이상, 4 ℃ 초과 25 ℃ 미만의 경우, 1 ∼ 12 시간, 및 25 ∼ 37 ℃ 의 경우, 0.5 ∼ 2 시간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단백질 흡착 억제 방법에서 사용하는 기재의 예로는, 상기 포스포릴콜린 수식 기재에 사용되는 기재와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침지 종료 후, 기재를 본 발명의 단백질 흡착 억제제 용액으로부터 꺼내어, 실온 또는 가온에 의해 충분히 건조시켜, 본 발명의 유도체의 흡착층이 형성된 포스포릴콜린 수식 기재를 조제한다. 당해 포스포릴콜린 수식 기재를, 면역 반응을 이용한 측정에 사용함으로써, 항체 혹은 항원, 또는 검체 중의 단백질이 기재에 비특이적으로 흡착되는 것을 억제한다. 또한, 그 건조 전에, 기재를 물로 세정해도 된다. 세정수로는, 이온 교환수, 정제수, 순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실온 또는 가온에 의한 건조는 필수가 아니고, 건조 공정을 넣지 않고 목적하는 측정을 실시해도 된다.
본 발명의 단백질 흡착 억제제 용액에 의한 기재에 대한 단백질의 흡착을 억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침지법을 예시했지만, 당해 억제 방법으로는, 그 단백질 흡착 억제제 용액을 기재 표면에 접촉시킬 수 있으면, 어떠한 방법을 사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기재가 용기 등이면, 그 용기 중을 당해 단백질 흡착 억제제 용액으로 채우는 방법을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단백질 흡착 억제 방법으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기재의 표면에 본 발명의 유도체의 흡착층을 형성시킴으로써, 각종 측정시에 있어서의 기재에 대한 단백질의 흡착을 억제하는 방법이 하나의 실시형태이다. 즉, 본 발명의 유도체가, 면역 반응 용기나 측정 기구 등의 기재 표면을 흡착층으로서 피복함으로써, 단백질 등의 기재 표면에 대한 접근을 방지하여, 그 흡착을 억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단백질 흡착 억제 방법의 다른 실시형태로는, 면역 반응 등의 각종 측정에 있어서 사용하는 시약에 본 발명의 단백질 흡착 억제제를 첨가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요컨대, 각종 측정의 일 공정으로서, 기재 표면 상에 본 발명의 유도체의 흡착층을 형성함으로써, 기재에 대한 단백질의 흡착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당해 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의 단백질 흡착 억제제는, 측정 대상의 시료 이외이면, 사용하는 시약이나 용액 중 어느 것에 첨가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단백질 흡착 억제제를 첨가한 시약 또는 용액 중의 본 발명의 유도체의 농도는, 그 시약 또는 용액의 전체량에 대해 0.0125 ∼ 5.0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 1.0 질량% 이다. 당연히,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측정 대상물인 혈청, 표지 항체 또는 표지 항원 등의 단백질 함유 시료가 기재에 접촉하기 전에, 당해 시약 또는 용액을 기재에 접촉시킬 필요가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로는, 상기 면역 반응 용기나 측정 기구 등의 기재의 표면에, 먼저, 효소, 표지 항체 또는 표지 항원 등의 시료 중에 함유되는 측정 대상의 단백질을 결합시킨 후, 본 발명의 단백질 흡착 억제제로 기재를 처리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제 플레이트를 사용할 때에, 그 플레이트에 측정 대상물인 단백질을 물리 흡착 또는 화학 결합시켜, 적당한 용매로 세정한 후, 본 발명의 단백질 흡착 억제제 용액을 접촉시킨다. 요컨대, 측정 대상물을 플레이트 표면에 흡착시킨 후, 대상물이 흡착되어 있지 않은 플레이트 표면 부분에 대한 단백질의 흡착을 억제하기 위해, 본 발명의 유도체를 흡착시킨다. 이로써, 이후의 측정 공정에 있어서 기재에 대한 단백질의 비특이적인 흡착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식 (1) 의 화합물을 간단히 유도체라고 칭한다.
<합성예 1 : 유도체 1 (m = 3, n = 44) 의 합성>
MPC ; 2.16 g (7.31 m㏖) 을, 온도계를 장착한 3 구 플라스크에 주입하고, 메탄올 ; 34.32 g 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교반하고, 30 분간 질소를 분사하였다. α-아미노프로필-ω-메르캅토에톡시-폴리옥시에틸렌염산염 (SUNBRIGHT SH-020PA (m = 3, n = 44), 니치유 주식회사 제조) ; 15.00 g (7.31 m㏖) 과 디이소프로필아민 ; 0.077 ㎖ (0.58 m㏖) 를 첨가하고 25 ℃ 에서 48 시간 교반하였다. 얻어진 반응액을 냉각시킨 아세트산에틸 중에 적하시키고,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함으로써 백색 고체를 얻었다.
얻어진 백색 고체에 대해, 1H-NMR 분석, IR 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IR 은 FT/IR-6100 (니혼 분광 주식회사 제조), NMR 은 JNM-AL400 (니혼 전자 주식회사 제조) 에 의해 측정하였다.
<합성예 1 의 백색 고체의 IR 및 1H-NMR 측정 결과>
Figure 112020036649015-pct00005
[1H-NMR (D2O 용매)]
Figure 112020036649015-pct00006
상기 측정 결과로부터, 얻어진 백색 고체는 하기 식 (1-1) 에 나타내는 유도체 1 인 것으로 동정하였다.
[화학식 5]
Figure 112020036649015-pct00007
<비교 합성예 1 : 공중합체 1 (MPC/BMA 공중합체) 의 합성>
MPC ; 17.85 g (60.45 m㏖) 과 메타크릴산부틸 (이하, BMA 라고 한다) ; 2.15 g (15.12 m㏖) 을 에탄올 ; 30 g, 증류수 : 30 g 의 혼합 용매에 용해시키고, 온도계와 냉각관을 장착한 500 ㎖ 의 4 구 플라스크에 넣고 30 분간 질소를 분사하였다. 그 후, 40 ℃ 에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AIBN) 을 0.328 g 첨가하여 4 시간 중합 후, 70 ℃ 로 승온시키고, 추가로 3 시간 반응시켜 중합체를 얻었다. 중합액을 아세톤 중에 적하시키고, 침전물을 여과함으로써 공중합체 1 의 백색 고체를 얻었다.
얻어진 공중합체 1 을 HLC-8320GPC (토소 주식회사 제조) 에 의해 GPC 분석한 결과, 그 분자량은 폴리에틸렌글리콜 환산으로 1,210,000 이었다.
(실시예 1)
<단백질 흡착 억제제 용액 1 의 조제>
합성예 1 에서 얻은 유도체 1 을 탄산 완충액 (0.1 ㏖/ℓ, pH 9.8) 에, 그 농도가 1.0 질량% 가 되도록 용해시켜 단백질 흡착 억제제 용액 1 을 조제하였다.
<기재 (아미노 플레이트) 에 대한 단백질 흡착 억제 방법의 실시, 유도체 1 이 기재 표면에 흡착된 포스포릴콜린 수식 기재의 조제, 및 단백질 흡착 억제 효과의 평가>
이하와 같이 하여 면역 반응 측정을 실시하고, 그 측정에 있어서 아미노 플레이트에 대한 단백질 흡착 억제 방법을 실시하여 유도체 1 이 기재 표면에 흡착된 포스포릴콜린 수식 기재를 조제하고, 단백질 흡착 억제 효과를 평가하였다.
아미노 플레이트 (스미토모 베이크라이트사 제조) 에 5 mM 의 Dimethyl suberimidate·2HCl (Thermofisher Scientific 사 제조, 이하, DMS 라고 한다) 용액 (용매는 0.2 M 의 트리에탄올아민 수용액) 을 100 ㎕/웰 첨가하고, 실온에서 30 분간 정치 (靜置) 하였다. DMS 용액을 제거한 후에, 단백질 흡착 억제제 용액 1 을 100 ㎕/웰 첨가하고, 실온에서 1 시간 정치하고, 그 후 단백질 흡착 억제제 용액 1 을 제거하였다. DULBECCO'S PHOSPHATE BUFFERED SALINE (-) (이하, PBS 라고 한다) 로 72000 배 희석시킨 HRP 표지 IgG (BioRad 사 제조) 를 100 ㎕/웰 첨가하고, 실온에서 1 시간 정치하였다. 웰 내의 HRP 표지 IgG 용액을 제거하고, 0.05 % Tween 20 이 들어 있는 PBS 를 200 ㎕/웰 첨가하고, 제거하는 세정 공정을 4 회 반복하였다. 세정 후에, HRP 용 발색액 (KPL 사 제조) 을 100 ㎕/웰 첨가하고, 실온에서 7 분간 반응시키고, 7 분 후에 2 N 황산을 50 ㎕/웰 첨가함으로써 반응을 정지시키고,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 (Molecular Device 사 제조) 를 사용하여 450 ㎚ 의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웰 내에 흡착된 단백질을 검출하였다. 흡광도는 3 회 측정의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흡광도가 작을수록 단백질의 흡착이 억제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단백질 흡착 억제 효과는, 실시예 1 의 흡광도와 하기의 비교예 1 의 흡광도로부터 하기 식으로 산출하는 상대적인 단백질 흡착률에 의해 평가하였다. 즉, 실시예 1 의 아미노 플레이트에 대한 단백질 흡착률을, 비교예 1 의 아미노 플레이트에 대한 단백질 흡착률을 100 % 로 했을 때의 상대 흡착률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1 의 단백질 흡착률 = (실시예 1 의 흡광도/비교예 1 의 흡광도) × 100
(비교예 1)
단백질 흡착 억제제 용액 1 대신에, 유도체 1 이 용해되어 있지 않은 탄산 완충액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면역 반응 측정을 실시하고,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의 단백질 흡착률을 100 % 로 한다.
Figure 112020036649015-pct00008
표 1 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유도체 1 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기재에 대한 단백질 흡착 억제 방법을 실시한 실시예 1 은, 단백질 흡착 억제 방법을 실시하고 있지 않은 비교예 1 과 비교하여 흡광도가 절반 이하이고, 기재인 아미노 플레이트에 대한 단백질 흡착률이 절반 이하였다. 따라서, 아미노 플레이트에 대한 단백질의 비특이적 흡착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내세정성 (내탈착성)>
합성예 1 에서 얻은 유도체 1 의 내세정성을,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해 공중합체 1 과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즉, 유도체 1 이 기재 표면에 흡착되어 있는 유도체 1 수식재의 세정 유무에 따른 흡광도의 상이와, 공중합체 1 이 기재 표면에 흡착되어 있는 공중합체 1 수식재의 세정 유무에 따른 흡광도의 상이를 비교하여, 유도체 1 및 공중합체 1 의 내세정성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세정이 있을 때의 흡광도와 세정이 없을 때의 흡광도로부터 하기 식에 의해 내세정성을 산출하여 평가하였다.
내세정성 (%) = (세정이 없을 때의 흡광도/세정이 있을 때의 흡광도) × 100
내세정성은, 수치가 클수록, 즉 세정 유무에 따른 흡광도의 차가 작을수록, 세정에 의한 기재에 흡착된 흡착 물질의 탈착이 적어 (탈착률이 작아), 내세정성이 양호한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2-1)
단백질 흡착 억제제 용액 1 을 사용하고,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면역 반응 측정을 실시하고, 동일하게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2-2)
단백질 흡착 억제제 용액 1 을 제거한 후에, PBS 를 200 ㎕/웰 첨가하고, 제거하는 세정 공정을 3 회 반복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면역 반응 측정을 실시하고, 동일하게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2-1 의 흡광도와 실시예 2-2 의 흡광도로부터 상기 식으로 내세정성을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비교예 2-1)
단백질 흡착 억제제 용액 1 대신에, 공중합체 1 을 1.0 질량% 가 되도록 PBS 에 용해시킨 공중합체 1 의 PBS 용액을 사용하였다. 또한, Nunc maxisoap 플레이트 (Thermofisher Scientific 사 제조) 를 사용하고, DMS 를 첨가하지 않았다. 이들 점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면역 반응 측정을 실시하고, 동일하게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비교예 2-2)
공중합체 1 의 PBS 용액을 제거한 후에, PBS 를 200 ㎕/웰 첨가하고, 제거하는 세정 공정을 3 회 반복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2-1 과 동일하게 하여 면역 반응 측정을 실시하고, 동일하게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비교예 2-1 의 흡광도와 비교예 2-2 의 흡광도로부터 상기 식으로 내세정성을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비교예 2-3)
단백질 흡착 억제제 용액 1 대신에, 공중합체 1 을 1.0 질량% 가 되도록 PBS 에 용해시킨 공중합체 1 의 PBS 용액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면역 반응 측정을 실시하고, 동일하게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비교예 2-4)
공중합체 1 의 PBS 용액을 제거한 후에, PBS 를 200 ㎕/웰 첨가하고, 제거하는 세정 공정을 3 회 반복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2-3 과 동일하게 하여 면역 반응 측정을 실시하고, 동일하게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비교예 2-3 의 흡광도와 비교예 2-4 의 흡광도로부터 상기 식으로 내세정성을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Figure 112020036649015-pct00009
표 2 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유도체 1 의 기재로부터의 세정에 의한 탈착률은, 공중합체 1 의 세정에 의한 탈착률과 비교하여 매우 작아, 내세정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1)
이하와 같이 하여 면역 반응 측정을 실시하고, 그 측정에 있어서 자성 미립자에 대한 단백질 흡착 억제 방법을 실시하여, 유도체 1 이 입자 표면에 흡착되어 있는 유도체 1 결합 자성 미립자를 조제하고, 단백질 흡착 억제 효과를 평가하였다.
<자성 미립자에 대한 반응>
16 ㎕ 의 자성 미립자 (써모피셔 사이언티픽사 제조, Dynabeads (상표) MyOne (상표) Carboxylic Acid) 를 폴리프로필렌제의 마이크로 튜브에 넣고, 32 ㎕ 의 MES/NaOH 완충액 (10 mM, pH 5.0, 이하, MES 완충액으로 한다) 을 첨가하고, 제거하는 세정 공정을 2 회 실시하였다. 거기에, 2 ㎕ 의 수용성 카르보디이미드 용액 (20 mg/㎖ 가 되도록 MES 완충액에 용해) 과 2 ㎕ 의 N-하이드록시숙신산이미드 용액 (12 mg/㎖ 가 되도록 MES 완충액에 용해) 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30 분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32 ㎕ 의 MES 완충액을 첨가하고, 제거하는 세정을 실시하고, 합성예 1 에서 얻은 유도체 1 이 1 wt% 가 되도록 25 mM 의 CAPS/NaOH 완충액 (pH 10.0, 이하 CAPS 완충액으로 한다) 에 용해시킨 용액을 8 ㎕ 첨가하고, 교반한 후에 37 ℃ 에서 2 시간 반응시켰다. 이것을 유도체 1 결합 자성 미립자로서 회수하였다. 또한, 자성 미립자의 세정과 회수에는 네오디뮴 자석을 사용하였다.
<유도체 1 결합 자성 미립자의 단백질 흡착 시험>
유도체 1 결합 자성 미립자에 784 ㎕ 의 0.05 % Tween 20 함유 HEPES 완충액 (이하, HEPES-T 완충액으로 한다) 을 첨가하고, 교반한 후에, V 바닥 96 웰 플레이트에 100 ㎕/웰 분주 (分注) 하고, 상청을 폐기하였다. 거기에 HEPES 완충액으로 10000 배 희석시킨 HRP 표지 IgG 를 100 ㎕/웰 첨가하고, 실온에서 1 시간 정치하였다. 그 후, 100 ㎕/웰의 HEPES-T 완충액을 첨가하고, 제거하는 세정 공정을 4 회 반복하였다. 세정 후, HRP 용 발색액 (KPL 사 제조) 을 100 ㎕/웰 첨가하고, 실온에서 7 분간 반응시키고, 7 분 후에 2 N 황산을 50 ㎕/웰 첨가함으로써 반응을 정지시켰다. 반응액을 편평 바닥 96 웰 플레이트에 100 ㎕/웰 옮기고,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 (Molecular Device 사 제조) 를 사용하여 450 ㎚ 의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웰 내에 흡착된 단백질을 검출하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흡광도가 작을수록 단백질의 흡착이 억제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단백질 흡착 억제 효과는, 실시예 3-1 의 흡광도와 하기의 비교예 3-1 의 흡광도로부터 하기 식으로 산출하는 상대적인 단백질 흡착률에 의해 평가하였다. 즉, 실시예 3-1 의 자성 미립자에 대한 단백질 흡착률을, 비교예 3-1 의 자성 미립자에 대한 단백질 흡착률을 100 % 로 했을 때의 상대 흡착률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실시예 3-1 의 단백질 흡착률 = (실시예 3-1 의 흡광도/비교예 3-1 의 흡광도) × 100
(실시예 3-2)
유도체 1 을 37 ℃ 에서 2 시간 반응시킨 후에, 50 mM HEPES/NaOH 완충액 (pH 7.4, 이하 HEPES 완충액으로 한다) 을 16 ㎕ 첨가하고, 제거하는 세정 공정을 2 회 반복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1 과 동일하게 하여 면역 반응 측정을 실시하고, 얻어진 흡광도로부터 단백질 흡착률을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실시예 3-3)
유도체 1 의 농도를 4 wt% 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1 과 동일하게 하여 면역 반응 측정을 실시하고, 얻어진 흡광도로부터 단백질 흡착률을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비교예 3-1)
유도체 1 이 용해되어 있지 않은 탄산 완충액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1 과 동일하게 하여 면역 반응 측정을 실시하고, 얻어진 흡광도로부터 단백질 흡착률을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비교예 3-2)
유도체 1 대신에 공중합체 1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1 과 동일하게 하여 면역 반응 측정을 실시하고, 얻어진 흡광도로부터 단백질 흡착률을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비교예 3-3)
유도체 1 대신에 공중합체 1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2 와 동일하게 하여 면역 반응 측정을 실시하고, 얻어진 흡광도로부터 단백질 흡착률을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Figure 112020036649015-pct00010
표 3 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기재로서 자성 미립자를 사용한 경우, 본 발명의 유도체는 특히 우수한 단백질 흡착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또, 실시예 3-1 및 3-2 와 비교예 3-2 및 3-3 의 비교로부터, 기재로서 자성 미립자를 사용한 경우에도, 본 발명의 유도체는 우수한 내세정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5)

  1. 식 (1) 로 나타내는 포스포릴콜린기 함유 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도체.
    Figure 112020036649015-pct00011

    [식 (1) 중, m 은 1 ∼ 10, n 은 20 ∼ 200 의 정수이다.]
  2. 제 1 항에 기재된 포스포릴콜린기 함유 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단백질 흡착 억제제.
  3. 제 1 항에 기재된 포스포릴콜린기 함유 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도체를 0.01 ∼ 20 질량% 함유하는, 단백질 흡착 억제제 용액.
  4. 기재와 제 1 항에 기재된 포스포릴콜린기 함유 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포스포릴콜린기 함유 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도체가 상기 기재의 표면에 흡착되어 있는, 포스포릴콜린 수식 기재.
  5. 기재 표면을 제 3 항에 기재된 단백질 흡착 억제제 용액으로 처리하여, 제 1 항에 기재된 포스포릴콜린기 함유 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도체의 흡착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갖는, 기재에 대한 단백질 흡착 억제 방법.
KR1020207010239A 2017-09-11 2018-08-28 신규 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도체 및 단백질 흡착 억제제 KR1024798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73725 2017-09-11
JPJP-P-2017-173725 2017-09-11
PCT/JP2018/031801 WO2019049734A1 (ja) 2017-09-11 2018-08-28 新規ポリエチレングリコール誘導体および蛋白質吸着抑制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1761A KR20200051761A (ko) 2020-05-13
KR102479863B1 true KR102479863B1 (ko) 2022-12-20

Family

ID=65634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0239A KR102479863B1 (ko) 2017-09-11 2018-08-28 신규 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도체 및 단백질 흡착 억제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442062B2 (ko)
EP (1) EP3683252B1 (ko)
JP (1) JP6965933B2 (ko)
KR (1) KR102479863B1 (ko)
CN (1) CN111094391B (ko)
WO (1) WO2019049734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86762A1 (ja) 2010-12-24 2012-06-28 日油株式会社 アミノ基含有ホスホリルコリン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229180A (ja) 2011-04-27 2012-11-22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Science & Technology ホスホリルコリン−シラン化合物表面修飾材料
JP2015120664A (ja) 2013-12-24 2015-07-02 日油株式会社 ボロン酸含有ホスホリルコリン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ヨード基含有化合物修飾剤
JP2015148558A (ja) 2014-02-07 2015-08-20 国立大学法人京都工芸繊維大学 蛋白質吸着抑制剤及び蛋白質吸着抑制方法
JP2016056267A (ja) 2014-09-09 2016-04-21 日油株式会社 ホスホリルコリン基含有糖誘導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6056268A (ja) 2014-09-09 2016-04-21 日油株式会社 ホスホリルコリン基含有糖誘導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6248603B2 (ja) 2013-12-17 2017-12-20 日油株式会社 ポリマー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43891B2 (ja) 1993-09-14 2003-09-08 日本油脂株式会社 タンパク質吸着防止剤
JPH07247355A (ja) * 1994-03-10 1995-09-26 Nippon Oil & Fats Co Ltd オリゴオキシアルキレン誘導体および生体適合性材料
CN1220061C (zh) * 2002-05-29 2005-09-21 中国科学院力学研究所 共价固定生物分子的蛋白质芯片及其制备方法
CN1281611C (zh) * 2004-04-19 2006-10-25 中国科学院过程工程研究所 单甲氧基聚乙二醇硅烷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2070780B (zh) * 2010-12-21 2012-05-30 天津大学 末端连接有磷酰胆碱基团的聚乙二醇及制备方法
CN106749477B (zh) * 2016-12-07 2019-04-05 武汉博仁凯润药业有限公司 用于测定血清甘胆酸的化合物及制备方法
CN106589290B (zh) * 2016-12-28 2019-06-28 山东师范大学 一种高生物相容性磷酰胆碱改性聚氨酯材料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86762A1 (ja) 2010-12-24 2012-06-28 日油株式会社 アミノ基含有ホスホリルコリン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229180A (ja) 2011-04-27 2012-11-22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Science & Technology ホスホリルコリン−シラン化合物表面修飾材料
JP6248603B2 (ja) 2013-12-17 2017-12-20 日油株式会社 ポリマー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5120664A (ja) 2013-12-24 2015-07-02 日油株式会社 ボロン酸含有ホスホリルコリン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ヨード基含有化合物修飾剤
JP2015148558A (ja) 2014-02-07 2015-08-20 国立大学法人京都工芸繊維大学 蛋白質吸着抑制剤及び蛋白質吸着抑制方法
JP2016056267A (ja) 2014-09-09 2016-04-21 日油株式会社 ホスホリルコリン基含有糖誘導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6056268A (ja) 2014-09-09 2016-04-21 日油株式会社 ホスホリルコリン基含有糖誘導体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094391A (zh) 2020-05-01
US11442062B2 (en) 2022-09-13
KR20200051761A (ko) 2020-05-13
EP3683252B1 (en) 2022-03-30
US20200271642A1 (en) 2020-08-27
CN111094391B (zh) 2022-09-02
EP3683252A1 (en) 2020-07-22
JPWO2019049734A1 (ja) 2020-11-26
EP3683252A4 (en) 2021-04-21
JP6965933B2 (ja) 2021-11-10
WO2019049734A1 (ja) 2019-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44148B2 (ja) 非特異吸着防止剤および物品のコーティング方法
JP5365623B2 (ja) 生理活性物質の固定化方法
JP2010117189A (ja) 生理活性物質固定化用基板
JP6764852B2 (ja) 蛋白質吸着抑制方法
KR102479863B1 (ko) 신규 폴리에틸렌글리콜 유도체 및 단백질 흡착 억제제
US7867391B2 (en) Cucurbituril derivative-bonded solid substrate and biochip using the same
US20200399292A1 (en) Composition for substrate surface modification and method using the same
JP2011033341A (ja) 低結合性固相表面の作製方法
EP3193171B1 (en) Use of a protein adsorption inhibitor and method for inhibiting protein adsorption
KR100668337B1 (ko) 단백질에 비하여 핵산에 대한 결합력이 선택적으로 높은pH 의존성 이온 교환물질, 그가 고정화되어 있는 고체기판, 및 상기 물질 및 고체 기판을 이용하여 핵산을분리하는 방법
JP4984080B2 (ja) 免疫化学反応のシグナル増強剤および免疫学的測定方法
WO2000039582A1 (fr) Receptacle pour essais immunologiques
JP5559465B2 (ja) アビジン類結合担体、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使用方法
JP4535490B2 (ja) 蛋白質吸着防止方法
JP6803371B2 (ja) 蛋白質吸着抑制剤および蛋白質吸着抑制の方法
CN110823670B (zh) 用于分离血细胞的组合物、血细胞分离方法、检测试剂盒和检测装置
US20130316932A1 (en) Glycopeptide array
WO2022025967A1 (en) Ultra sensitive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