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9857B1 - 분할식 베이스유닛을 포함하는 사방시설용 구조체 - Google Patents
분할식 베이스유닛을 포함하는 사방시설용 구조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79857B1 KR102479857B1 KR1020220108290A KR20220108290A KR102479857B1 KR 102479857 B1 KR102479857 B1 KR 102479857B1 KR 1020220108290 A KR1020220108290 A KR 1020220108290A KR 20220108290 A KR20220108290 A KR 20220108290A KR 102479857 B1 KR102479857 B1 KR 10247985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base unit
- ground
- facility
- connec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628 ero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0000008029 eradication Effects 0.000 claims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85 shape-memory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02—Fixed barra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분할식 베이스유닛을 포함하는 사방시설용 구조체는, 고지대로부터 저지대로 유동하는 토석류의 운동에너지를 저감시키도록 지면 상에 설치되는 사방시설용 구조체로서, 지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높이를 가지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토석류의 진행 경로를 차단하는 사방유닛 및 상기 사방유닛의 하단부 둘레를 감싸도록 배열된 상태로 서로 연결되어 상기 사방유닛을 고정시키는 복수 개의 분할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토석류의 운동에너지를 저감시키기 위한 사방시설용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유닛이 분할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어 운반 및 시공 과정에서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사방시설용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지 등의 경사지에는 지면으로부터 분리된 토사가 물과 합쳐져 하류 측으로 흘러내리는 토석류가 발생하게 되며, 이는 이동 거리가 길어짐에 따라 그 규모가 점차 확장되어 피해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 경사지, 계곡 등에 사방시설을 구축하는 경우가 많다.
이때 사방(砂防)이라 함은 흙·모래·자갈이 이동하는 것을 막아서 재해를 막거나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산림녹화 또는 각종 토목공사를 하는 일을 말하며, 치산(治山)을 주목적으로 하는 산지사방과 치수(治水)를 주목적으로 하는 하천사방으로 분류된다.
그리고 종래의 사방시설로는 지면 상에 기둥 형태의 구조물을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설치하여 토석류의 흐름을 방해하도록 하는 방식이 널리 적용되고 있다.
이때 사방시설용 구조물은 세부적으로 원형 횡단면을 가지는 기둥 부분과, 이와 같은 기둥 부분을 지지하는 동시에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 프레임 부분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이와 같은 종래의 사방시설용 구조물은 철판 등으로 형성되는 기둥 부분을 원형으로 벤딩하는 과정이 쉽지 않아 생산성이 크게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베이스 프레임은 단일의 넓은 철판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부피가 크고, 무게가 매우 무거워 시공 현장으로 운반하는 과정이 매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전체 구조를 분할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단위 부품의 부피와 무게를 최소화함에 따라 운반 및 시공 과정에서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사방시설용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분할식 베이스유닛을 포함하는 사방시설용 구조체는, 고지대로부터 저지대로 유동하는 토석류의 운동에너지를 저감시키도록 지면 상에 설치되는 사방시설용 구조체로서, 지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높이를 가지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토석류의 진행 경로를 차단하는 사방유닛 및 상기 사방유닛의 하단부 둘레를 감싸도록 배열된 상태로 서로 연결되어 상기 사방유닛을 고정시키는 복수 개의 분할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유닛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유닛은, 서로 인접한 한 쌍의 분할플레이트 상에 겹쳐진 상태로 서로 인접한 한 쌍의 분할플레이트 각각에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됨에 따라 서로 인접한 한 쌍의 분할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할플레이트는, 치면에 고정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서 상부로 절곡된 형태를 가지며,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사방유닛에 연결되는 유닛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방유닛은, 횡단면이 닫힌 곡선을 이루도록 서로 연결되어 내부에 중공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사방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사방플레이트는, 토석류의 진행 경로를 차단하도록 기립된 차단면을 형성하는 차단기립부 및 상기 차단기립부의 양측으로부터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인접한 다른 사방플레이트와 체결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단기립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투수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서로 연결된 상기 복수 개의 사방플레이트의 상기 차단기립부가 형성하는 횡단면은 다각형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사방유닛의 전방 및 후방 측에서 상기 베이스유닛을 지면에 고정시키는 복수 개의 앵커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앵커부재는, 상기 사방유닛의 후방 측보다 상기 사방유닛의 전방 측에 더 많은 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분할식 베이스유닛을 포함하는 사방시설용 구조체는, 토석류의 운동에너지를 저감시키도록 기 설정된 높이를 가지는 사방유닛을 지지하는 베이스유닛이 복수 개의 분할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형태를 가짐에 따라 각 단위 부품 당 부피와 무게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따라서 시공 현장까지 자재를 운반하는 과정 및 시공 진행 과정에서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방유닛은 복수 개의 사방플레이트를 포함하여 횡단면이 다각형 형태를 이룰 수 있으므로, 베이스유닛과 마찬가지로 각 단위 부품 당 부피와 무게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사방플레이트의 벤딩 과정을 전면 생략할 수 있어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방시설용 구조체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방시설용 구조체에 있어서, 사방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방시설용 구조체에 있어서, 베이스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방시설용 구조체에 있어서, 베이스유닛의 다양한 분할 방식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사방시설용 구조체에 있어서, 베이스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사방시설용 구조체에 있어서, 베이스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사방시설용 구조체에 있어서, 베이스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방시설용 구조체에 있어서, 사방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방시설용 구조체에 있어서, 베이스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방시설용 구조체에 있어서, 베이스유닛의 다양한 분할 방식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사방시설용 구조체에 있어서, 베이스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사방시설용 구조체에 있어서, 베이스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사방시설용 구조체에 있어서, 베이스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방시설용 구조체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방시설용 구조체에 있어서, 사방유닛(1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방시설용 구조체에 있어서, 베이스유닛(2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방시설용 구조체는 토석류의 운동에너지를 저감시키도록 지면에 복수 개가 이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사방유닛(100) 및 베이스유닛(200)을 포함한다.
사방유닛(100)은 지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높이를 가지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토석류의 진행 경로를 차단함에 따라 토석류의 운동에너지를 직접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유닛(200)은 이와 같은 사방유닛(100)의 하단부 둘레를 감싸도록 배열된 상태로 서로 연결되어 사방유닛(100)을 고정시키는 복수 개의 분할플레이트(210)를 포함하며, 지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즉 베이스유닛(200)은 지면의 하부에 매립될 수도 있으며, 지면 상에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사방유닛(100)은 횡단면이 닫힌 곡선을 이루도록 서로 연결되어 내부에 중공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사방플레이트(11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방유닛(100)이 복수 개의 사방플레이트(110)를 포함하며, 베이스유닛(200)이 복수 개의 분할플레이트(210)를 포함하는 형태를 가짐에 따라 각 단위 부품 당 부피와 무게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따라서 시공 현장까지 자재를 운반하는 과정 및 시공 진행 과정에서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방플레이트(110)는 토석류의 진행 경로를 차단하도록 기립된 차단면을 형성하는 차단기립부(120)와, 이와 같은 차단기립부(120)의 양측으로부터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고, 인접한 다른 사방플레이트(120)와 체결부재(10)에 의해 연결되는 연결부(130)를 포함하는 형태를 가진다.
이때 차단기립부(120)는 편평한 차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서로 연결된 복수 개의 사방플레이트(100)의 차단기립부(120)가 형성하는 횡단면은 다각형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차단기립부(120)를 벤딩하는 가공 과정을 생략함으로써 생산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사방플레이트(100)는 총 8개가 구비되어, 복수 개의 사방플레이트(100)의 차단기립부(120)가 형성하는 횡단면은 8각형 형태인 것으로 하였으나, 이는 본 실시예만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사방플레이트(100)의 개수 및 차단기립부(120)들로 이루어지는 횡단면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차단기립부(120)에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투수홀(121)이 형성되어, 토석류의 진행은 차단하되 토석류와 함께 유동되는 물은 통과시켜 저지대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차단기립부(120)의 하부에는 베이스유닛(200)와의 결합을 위해 체결부재(10)를 삽입 가능한 제1체결홀(12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부(130)에는 다른 사방플레이트(100)의 연결부(130)와 체결부재(10)를 통해 상호 결합하기 위한 제2체결홀(131)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유닛(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분할플레이트(210)를 포함하며, 본 실시예에서 분할플레이트(210)는 지면에 고정되는 지지부(220)와, 이와 같은 지지부(220)의 일측에서 상부로 절곡된 형태를 가지며, 체결부재(10)에 의해 사방유닛(100)에 연결되는 유닛고정부(230)를 포함하는 형태를 가진다.
이때 분할플레이트(210)는 분할 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는 베이스유닛(200)의 다양한 분할 방식(A~D)이 예시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베이스유닛(200)의 분할 방식은 제한없이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특히 도 5의 (A), (C), (D)에 나타난 분할 형태는 각 분할플레이트(210)의 형태가 모두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단일 규격의 분할플레이트(210)로 통일할 수 있어 생산성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다.
다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유닛(200)은 서로 인접한 한 쌍의 분할플레이트(210) 상에 겹쳐진 상태로 서로 인접한 한 쌍의 분할플레이트(210) 각각에 체결부재(10)를 통해 체결됨에 따라 서로 인접한 한 쌍의 분할플레이트(210)를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분할플레이트(210)의 지지부(220)에는 체결부재(10) 중 볼트(11)의 두부가 삽입되어 걸리는 단차가 형성된 제3체결홀(2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플레이트(240)에는 제3체결홀(221)에 대응되어 체결부재(10) 중 너트(12)가 삽입되어 걸리는 단차가 형성된 제4체결홀(24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결플레이트(240)는 서로 인접한 분할플레이트(210)의 경계부마다 구비될 수도 있으나, 현장 상황에 따라 일부 경계부에만 구비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더불어 분할플레이트(210)의 유닛고정부(230)에는 전술한 사방유닛(100)의 차단기립부(120)에 형성된 제1체결홀(122)에 대응되어 체결부재(10)를 통해 사방유닛(100)과 체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5체결홀(231)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유닛(200)은, 사방유닛(100)의 전방 및 후방 측에서 베이스유닛(200)을 지면에 고정시키는 복수 개의 앵커부재(25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베이스유닛(200)의 지지부(220)에는 앵커부재(250)가 관통하는 앵커홀(2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앵커부재(250)는 지면과 베이스유닛(200)의 지지부(220)를 관통하여 지지부(220)를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토석류가 이동해 오는 고지대 방향, 즉 사방유닛(100)의 후방 측보다 사방유닛(100)의 전방 측에 더 많은 수가 구비될 수 있다.
이는 토석류가 사방유닛(100)의 전방 측을 타격하게 되므로, 베이스유닛(200)의 후방보다 전방을 상대적으로 강하게 구속하여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사항은 도 5의 (A)~(D)에 예시된 베이스유닛(200)의 서로 다른 분할 형태와 관계없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이하 설명될 각 실시예에 있어서,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구비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사방시설용 구조체에 있어서, 베이스유닛(2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경우, 베이스유닛(200)은 베이스유닛(200)의 전방 측에 장착되는 보조정착부재(260)를 더 포함한다는 특징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보조정착부재(260)는 베이스유닛(200) 중 전방 측에 위치된 분할플레이트(210)의 지지부(220) 상면에 안착되는 안착부(261)와, 이와 같은 안착부(261)의 전단에서 하부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정착부(262)를 포함하는 형태를 가진다. 이때 안착부(261)는 앵커부재(250)에 의해 지지부(220)와 함께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보조정착부재(260)가 안착부(261)에서 절곡되어 베이스유닛(200)보다 하부로 연장되는 정착부(262)를 포함함에 따라, 정착부(262)가 지면 하부로 파묻히게 되어 보다 강한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조정착부재(260)는 베이스유닛(200) 중 전방 측에 위치된 분할플레이트(210)에 복수 개가 나란히 구비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사방시설용 구조체에 있어서, 베이스유닛(2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베이스유닛(200)은 베이스유닛(200)의 전방 측에 장착되는 보조정착부재(260)를 더 포함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보조정착부재(260)는 베이스유닛(200) 중 전방 측에 위치된 분할플레이트(210)의 지지부(220) 상면에 안착되는 안착부(261)와, 이와 같은 안착부(261)의 전단에서 하부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정착부(262)와 더불어, 정착부(262)의 전면에 부착되는 변형유도부(263)를 더 포함한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와 같은 변형유도부(263)는 정착부(262)보다 열 변형률이 낮은 이종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기온이 높은 환경에서 변형유도부(263)는 정착부(262)보다 변형률이 낮으므로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정착부(262)가 변형유도부(263) 측으로 벤딩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는 겨울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면이 무른 여름과 같은 계절에 있어서, 높은 지면의 온도에 의해 정착부(262)와 변형유도부(263)가 벤딩됨에 따라 보다 강한 정착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는 본 실시예와 달리 변형유도부(263)를 형상기억합금 소재로 형성하여, 기온이 높아질 경우 변형유도부(263)가 벤딩된 형태로 복원되도록 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사방시설용 구조체에 있어서, 베이스유닛(2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경우, 베이스유닛(200)의 분할플레이트(210)는 지지부(220)와 유닛고정부(230)가 서로 분리되어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진다는 특징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220)는 전체적으로 베이스유닛(20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4개의 파트로 분할된 형태를 가지며, 각 지지부(220)의 경계부에는 연결플레이트(240)가 구비되어 서로 인접한 지지부(220)간을 연결시킨다.
그리고 유닛고정부(230)는 복수 개가 베이스유닛(20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둘레 방향으로 연결되며,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유닛고정부(230)는 사방유닛(100)에 체결되도록 기립된 형태로 구비되는 제1연결부(230a)와, 이와 같은 제1연결부(230a)의 측부에서 절곡되어 다른 유닛고정부(230)의 제2연결부(230b)와 상호 체결되도록 하는 제2연결부(230b)와, 제1연결부(230a)의 하부에서 지지부(220)에 나란하게 절곡되어 지지부(220)에 체결되는 제3연결부(230c)와, 제2연결부(230b)의 하부에서 지지부(220)에 나란하게 절곡되어 지지부(220)에 체결되는 제4연결부(230d)를 포함하는 형태를 가진다.
또한 본 실시예는 이와 같은 형상의 유닛고정부(230)가 총 12개가 구비되고, 서로 인접한 제2연결부(230b)끼리 체결된 상태에서 복수 개의 제1연결부(230a)들로 6각형 형태의 기립면을 구성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사방유닛(100)은 복수 개의 제1연결부(230a)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6각형 형상의 횡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해 제1연결부(230a)에는 제5체결홀(231)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유닛고정부(230)의 제1연결부(230a)가 6각형 형태를 이루는 반면 지지부(220)는 총 4개로 분할된 형태를 가지므로, 서로 인접한 지지부(220)의 경계부와 서로 인접한 제1연결부(230a)의 경계부가 겹치는 부분은 서로 맞은 편에 총 두 군데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경우, 서로 인접한 지지부(220) 간의 결합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연결플레이트(240)와 더불어, 서로 인접한 유닛고정부(230)의 한 쌍의 제3연결부(230c) 상부에 겹쳐진 상태로 체결되는 보조플레이트(270)를 더 포함한다.
즉 본 실시예는 연결플레이트(240) 및 보조플레이트(270)를 통해 서로 인접한 지지부(220) 간의 결합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체결부재
11: 볼트
12: 너트
100: 사방유닛
110: 사방플레이트
120: 차단기립부
121: 투수홀
122: 제1체결홀
130: 연결부
131: 제2체결홀
200: 베이스유닛
210: 분할플레이트
220: 지지부
221: 제3체결홀
222: 앵커홀
230: 유닛고정부
230a: 제1연결부
230b: 제2연결부
230c: 제3연결부
230d: 제4연결부
231: 제5체결홀
240: 연결플레이트
241: 제4체결홀
250: 앵커부재
260: 보조정착부재
261: 안착부
262: 정착부
270: 보조플레이트
11: 볼트
12: 너트
100: 사방유닛
110: 사방플레이트
120: 차단기립부
121: 투수홀
122: 제1체결홀
130: 연결부
131: 제2체결홀
200: 베이스유닛
210: 분할플레이트
220: 지지부
221: 제3체결홀
222: 앵커홀
230: 유닛고정부
230a: 제1연결부
230b: 제2연결부
230c: 제3연결부
230d: 제4연결부
231: 제5체결홀
240: 연결플레이트
241: 제4체결홀
250: 앵커부재
260: 보조정착부재
261: 안착부
262: 정착부
270: 보조플레이트
Claims (9)
- 고지대로부터 저지대로 유동하는 토석류의 운동에너지를 저감시키도록 지면 상에 설치되는 사방시설용 구조체에 있어서,
지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높이를 가지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토석류의 진행 경로를 차단하는 사방유닛; 및
상기 사방유닛의 하단부 둘레를 감싸도록 배열된 상태로 서로 연결되어 상기 사방유닛을 고정시키는 복수 개의 분할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분할플레이트는
상기 지면에 고정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와 상기 사방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사방유닛을 상기 지지부에 고정하는 유닛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닛고정부는
상기 사방유닛에 체결되도록 기립된 형태로 구비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의 측부에서 절곡된 제2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의 하부에서 상기 지지부와 나란하게 절곡되어 상기지지부에 체결된 제3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의 하부에서 상기 지지부에 나란하게 절곡되어 상기 지지부에 체결되는 제4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닛고정부의 상기 제2 연결부는 인접한 다른 유닛고정부의 제2 연결부와 체결되는,
사방시설용 구조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유닛은,
서로 인접한 한 쌍의 분할플레이트 상에 겹쳐진 상태로 서로 인접한 한 쌍의 분할플레이트 각각에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됨에 따라 서로 인접한 한 쌍의 분할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사방시설용 구조체.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방유닛은,
횡단면이 닫힌 곡선을 이루도록 서로 연결되어 내부에 중공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사방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사방시설용 구조체.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방플레이트는,
토석류의 진행 경로를 차단하도록 기립된 차단면을 형성하는 차단기립부; 및
상기 차단기립부의 양측으로부터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인접한 다른 사방플레이트와 체결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연결부;
를 포함하는,
사방시설용 구조체.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립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투수홀이 형성된,
사방시설용 구조체. - 제5항에 있어서,
서로 연결된 상기 복수 개의 사방플레이트의 상기 차단기립부가 형성하는 횡단면은 다각형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사방시설용 구조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방유닛의 전방 및 후방 측에서 상기 베이스유닛을 지면에 고정시키는 복수 개의 앵커부재를 더 포함하는,
사방시설용 구조체.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재는,
상기 사방유닛의 후방 측보다 상기 사방유닛의 전방 측에 더 많은 수가 구비되는,
사방시설용 구조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08290A KR102479857B1 (ko) | 2022-08-29 | 2022-08-29 | 분할식 베이스유닛을 포함하는 사방시설용 구조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08290A KR102479857B1 (ko) | 2022-08-29 | 2022-08-29 | 분할식 베이스유닛을 포함하는 사방시설용 구조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79857B1 true KR102479857B1 (ko) | 2022-12-21 |
Family
ID=84536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08290A KR102479857B1 (ko) | 2022-08-29 | 2022-08-29 | 분할식 베이스유닛을 포함하는 사방시설용 구조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7985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08131B1 (ko) * | 2023-06-07 | 2023-11-30 | 엄도부 | 날개형 확장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사방시설용 구조체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96123U (ja) * | 1992-06-01 | 1993-12-27 | 鈴木 宏 | 鋼製透過型砂防ダムの保護工 |
JPH11241456A (ja) * | 1997-12-26 | 1999-09-07 | Nkk Corp | 多角形断面構造用部材及び多角形断面構造 |
KR20120015847A (ko) * | 2010-08-13 | 2012-02-22 |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 노출형 주각부 및 이를 이용한 주각 시공방법 |
KR20130131833A (ko) | 2012-05-24 | 2013-12-04 | (주)우경케이피이 | 토석류 방지용 기둥 구조물, 토석류 방지용 안전펜스 및 토석류 방지용 안전펜스의 시공방법 |
-
2022
- 2022-08-29 KR KR1020220108290A patent/KR10247985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96123U (ja) * | 1992-06-01 | 1993-12-27 | 鈴木 宏 | 鋼製透過型砂防ダムの保護工 |
JPH11241456A (ja) * | 1997-12-26 | 1999-09-07 | Nkk Corp | 多角形断面構造用部材及び多角形断面構造 |
KR20120015847A (ko) * | 2010-08-13 | 2012-02-22 |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 노출형 주각부 및 이를 이용한 주각 시공방법 |
KR20130131833A (ko) | 2012-05-24 | 2013-12-04 | (주)우경케이피이 | 토석류 방지용 기둥 구조물, 토석류 방지용 안전펜스 및 토석류 방지용 안전펜스의 시공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08131B1 (ko) * | 2023-06-07 | 2023-11-30 | 엄도부 | 날개형 확장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사방시설용 구조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18565B1 (ko) | 강관삽입형 띠장 및 버팀보 | |
CN102493328A (zh) | 一种柔性防护棚洞及其设计方法 | |
KR102479857B1 (ko) | 분할식 베이스유닛을 포함하는 사방시설용 구조체 | |
KR100890836B1 (ko) | 슬릿 사방댐 | |
KR101418998B1 (ko) | 토석류 방지용 기둥 구조물, 토석류 방지용 안전펜스 및 토석류 방지용 안전펜스의 시공방법 | |
CN112160326A (zh) | 张弦砼桁架组合支撑系统 | |
JP2017193882A (ja) | 衝撃吸収体 | |
KR101955852B1 (ko) | 흙막이 가지설용 버팀보 및 지주 구조체 | |
KR102000675B1 (ko) | 간격조정이 가능한 띠장-강관버팀보 스티프너 | |
CN217651804U (zh) | 一种利用混凝土撑提高钢支撑稳定性的装置 | |
JP2005351047A (ja) | 防護柵の補強構造 | |
CN212104108U (zh) | 一种可回收装配式预应力悬索基坑支撑件 | |
JP2000248515A (ja) | 防護柵用支柱の基礎構造 | |
JP7211808B2 (ja) | 流木捕捉体および流木捕捉体の構築工法ならびに流木捕捉工の設置構造 | |
JP7251974B2 (ja) | 流木捕捉工の設置方法および設置構造 | |
JPH1060866A (ja) | 砂防ダム | |
JP6392984B2 (ja) | 透過型砂防堰堤 | |
CN219410603U (zh) | 柔性固雪栅栏防护系统 | |
JP2009270333A (ja) | 鋼製スリットダムとその補修方法 | |
KR102652376B1 (ko) | 지지력이 증대되도록 구성되는 차수벽과 어스앵커를 이용한 토류벽 형성방법 | |
KR20160046629A (ko) | 인도교 구조 및 인도교 시공용 강재 구조물 | |
CN219992388U (zh) | 一种应用于山区性河道的简易拦污坝 | |
CN111926770B (zh) | 一种阻尼耗能式泥石流格栅坝及其施工方法 | |
JP3275007B2 (ja) | 落石等防護柵 | |
KR102671439B1 (ko) | 흙막이 공법의 구조물 유동 방지용 브라켓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