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9616B1 - 중공-코어 롤링식-전극 배터리 셀 - Google Patents

중공-코어 롤링식-전극 배터리 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9616B1
KR102479616B1 KR1020197021999A KR20197021999A KR102479616B1 KR 102479616 B1 KR102479616 B1 KR 102479616B1 KR 1020197021999 A KR1020197021999 A KR 1020197021999A KR 20197021999 A KR20197021999 A KR 20197021999A KR 102479616 B1 KR102479616 B1 KR 102479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ell
electrodes
pair
winding axis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1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9056A (ko
Inventor
동리 젱
츠-유안 린
비제이 부바라가반
존 크리스토퍼 콜린스
마이클 닉쿠
Original Assignee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filed Critical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90099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9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9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9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22Cells or battery with cylindrical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7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wound construction elements, i.e. wound positive electrodes, wound negative electrodes and wou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4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4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ells
    • H01M10/643Cylindrica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7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17Inorganic material
    • H01M50/119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1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12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three or more layers
    • H01M50/129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three or more layers with two or more layers of only 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31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e.g. gas permeability, size or heat resistance
    • H01M50/136Flexibility or foldabil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중공 코어를 갖고 강성 외부 케이싱을 갖지 않는 젤리-롤형 배터리 셀(jelly-roll type battery cell) 및 이러한 배터리 셀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에서, 배터리 셀은, 중공 코어 둘레에 함께 권취된 한 쌍의 전극들, 전극들 중 개별 전극에 각각 커플링되는 복수의 전극 탭들, 및 한 쌍의 전극들을 둘러싸는 가요성 외장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중공-코어 롤링식-전극 배터리 셀
재충전 가능 리튬 이온("Li-이온") 셀들과 같은 소정의 유형의 배터리 셀들의 설계 및 제조에 사용되는 하나의 기술은 소위 "젤리 롤(jelly roll)" 기술이다. 이 기술은 전극 롤(소위 "젤리 롤")을 형성하기 위해 스핀들 또는 맨드릴 주위에 배터리 셀의 애노드 및 캐소드 전극들을 형성하는 2개의 얇고 평평한 금속 시트들(이들 사이에 얇고 평평한 절연 층이 있음)을 권취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전성 단자는 각각의 전극에 결합(예를 들어, 용접)되어 배터리 셀의 외부 단자를 제공한다. 전극 롤은 종종 케이싱으로 전극 롤을 감싸기 전에 더 평평한 형상으로 가압된다.
중공 코어를 갖고 강성 외부 케이싱을 갖지 않는 젤리-롤형 배터리 셀(jelly-roll type battery cell) 및 이러한 배터리 셀을 제조하는 방법이 여기서 소개된다.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에서, 배터리 셀은, 중공 코어 둘레에 함께 권취된 한 쌍의 전극들, 전극들 중 개별 전극에 각각 커플링되는 복수의 전극 탭(tab)들, 및 한 쌍의 전극들을 둘러싸는 가요성 외장재(outer wrapper)를 포함한다.
본 기술의 다른 양상들은 첨부 도면들 및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이 요약은 단순화된 형태로 개념들의 선택을 소개하기 위해 제공되며, 이는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서 추가로 설명된다. 이러한 요약은, 청구된 청구대상의 핵심(key) 피처들 또는 본질적인 피처들을 식별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청구된 청구대상의 범위를 제한하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은 유사한 참조번호들이 유사한 엘리먼트들을 표시하는 첨부된 도면들의 도해들에서, 제한으로서가 아니라 예로서 예시된다.
도 1a는 중공-코어의 젤리-롤형 배터리 셀의 외부 엔벨로프의 제 1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b는 중공-코어의 젤리-롤형 배터리 셀의 외부 엔벨로프의 제 2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a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도 1b로부터의 단면 A-A를 도시한다.
도 2b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도 1b로부터의 단면 B-B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a로부터의 단면 C-C를 도시한다.
도 4는 전극 쌍의 단일 권선 층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5는 강성 코어가 없는 중공-코어 젤리-롤형 배터리 셀의 실시예를 단면으로 도시한다.
도 6a는 전극이 코어 둘레에 권취된 후에 조립 동안 부분적인 중공-코어 배터리 셀을 도시한다.
도 6b는 가요성 포장재가 전극들 둘레에 감싸진 후에 조립 동안 부분적인 중공-코어 배터리 셀을 도시한다.
도 7a는 별-형상 단면을 갖는 중공-코어 배터리가 원형 단면을 갖는 셀로부터 어떻게 생성될 수 있는지를 예시한다.
도 7b는 실질적으로 정사각형인 단면을 갖는 중공-코어 배터리 셀을 예시한다.
도 8은 강성 코어 또는 강성 외부 케이싱이 없는 중공-코어 배터리 셀을 제조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예를 도시한다.
본 설명에서, "실시예" , "일 실시예" 등에 대한 참조들은 설명되는 특정 피처, 기능, 구조 또는 특성이 여기서 소개된 기술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이러한 구문들의 출현들은 모두가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으로, 지칭된 실시예들은 반드시 상호 배타적인 것은 아니다.
배터리 셀들이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상이한 유형들의 제품들에 더 잘 부합하도록 배터리 셀들이 다양한 상이한 폼 팩터들을 갖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중공 코어를 갖는 재충전 가능(예를 들어, 리튬 이온) 배터리 셀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중공-코어 배터리는, 예를 들어, 최종 제품 내에서의 공간 활용을 개선하고 그리고/또는 제품의 중량을 감소시키는 데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론들에서, 고용량 배터리가 종종 요구되며, 드론의 내부 용적 대부분이 통상적으로 배터리들에 의해 차지된다. 따라서 효율적인 공간 활용은 이러한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해 매우 중요하다. 그러므로, 중공 코어를 갖고 강성 외부 케이싱이 없는 젤리-롤형 재충전 가능 배터리 셀이 여기서 소개된다. 중공-코어 배터리 셀의 다른 이점들은 중공 코어에 의해 생성되는 부가적인 표면적 및 기류로 인해 피크 전력 동작들 동안 개선된 열 관리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여기에 소개된 기술은 새로운 배터리 셀 폼 팩터들이 기존의 제조 프로세스들을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게 함으로써 산업 설계 유연성을 제공한다.
도 1a 및 도 1b는 여기서 소개된 기술에 따라 중공-코어 젤리-롤형 배터리 셀(1)의 외부 엔벨로프의 2개의 도면들을 도시한다. 설명 목적을 위해, 배터리 셀(1)은 Li-이온 셀인 것으로 가정한다. 배터리 셀(1)은 가요성 포장재로 둘러싸인 셀 본체(2)를 갖고, 중공 코어(3)를 갖는다. 2개의 전극 탭들(4 및 5)이 포장재로부터 돌출되고 배터리 셀(1)의 애노드 및 캐소드(도시하지 않음)에 각각 커플링된다.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에서, 배터리 셀(1)의 본체(2)는 강성 내부 코어(도시되지 않음)를 갖지만, 강성 외부 케이싱을 갖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배터리 셀은 심지어 강성 내부 코어가 없다.
도 2a는 도 1b로부터의 단면 A-A를 도시하는 반면, 도 2b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도 1b로부터의 단면 B-B를 도시한다. 도 2a 내지 도 7b는 실척대로 그려지지 않았다는 것에 주의한다. 특히, 그리고 예를 들어, 실제 배터리 셀에서, 패키징 층들에 의해 점유되는 체적은 전극들에 의해 점유되는 체적보다 훨씬 작다는 것에 주의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강성도는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강, 또는 다른 강성 재료일 수 있는 중공 원통형 코어(21)에 의해 제공되며, 그의 외부 표면은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중합체(22)의 층으로 코팅된다. 절연 층(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분리된 전극 쌍(애노드 및 캐소드, 별도로 도시되지 않음)(23)은 그 후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합체-코팅된 스테인레스 강 층(21) 둘레에 권취된다. 실제 구현에서, 전극 쌍(23)은 도 2a, 도 2b 및 도 3에 예시된 것보다 코어 둘레에 더 많은 또는 더 적은 수의 권선들을 가질 수 있다는 것에 주의한다. 그 후,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포장재(20)가 전극 쌍 둘레에 감겨진다. 가요성 포장재(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층들, 이를테면, 나일론의 외부 층(26) 및 적층된 알루미늄 호일의 중간 층(24)을 가질 수 있으며, 여기서 알루미늄 호일 층(24)의 내부 표면은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중합체 층(25)으로 코팅된다. 중합체 층들(22 및 25)은 강성 코어(21)에 대해 가요성 포장재를 밀봉하는 데 사용된다. 도 2b는 또한 가요성 포장재(24) 및 보호 인클로저(26)를 통해 돌출하는 (애노드 또는 캐소드에 커플링된) 전극 탭(5)을 추가로 도시한다.
도 3은 도 2a로부터의 단면 C-C를 도시한다. 도 4는, 애노드(31), 캐소드(32) 및 절연성 분리기 층(33)을 보여주도록, 도 3의 평면과 동일한 평면에서(그러나 확대된 스케일로) 전극 쌍(23)의 단일 권선 층의 단면을 도시한다. .
일부 실시예들에서, 강성 코어는 배터리 셀의 제조 동안에만 사용되고 배터리 셀의 사용 전에 제거된다. 이는,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극들 그 자신들이 (예를 들어, 권선들의 수에 의존하여) 배터리 셀에, 다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의 경우에 충분할 수 있는 충분한(최소) 강성도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따라서, 강성 코어는 제조 프로세스 동안 제거될 수 있다. 도 5는 도 2b의 배터리 셀과 유사하지만 강성 코어가 없는 배터리 셀의 실시예를 단면도로 도시한다. 대신에, 강성 코어는 (예를 들어, 나일론 외층(26), 중합체 층(25)(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으로 코팅된 적층된(laminated) 알루미늄 호일 층(24)을 포함하는) 가요성 포장재(20)로 대체된다. 부가적으로, 강성 내부 코어 또는 강성 외부 케이싱의 부재는 배터리 셀이 불규칙한, 즉 비-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배터리 셀이 별-형상 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은 셀의 외부 표면을 따른 특정 지점들에서 셀의 외부 표면 상에, 단면의 중심을 향해 지향되는 외부 압력을 가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도 7a는 이러한 방식으로 원형 단면으로부터 별-형상 단면이 어떻게 생성될 수 있는지를 예시한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과 같이, 중공-코어 배터리 셀에 대한 다른 형상들이 또한 가능하다. 또한, 배터리 셀은 도 7a 및 도 7b의 예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의 권취 축을 중심으로 대칭적이 될 필요는 없는데; 즉 본원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중공-코어 젤리-롤형 배터리 셀은 적어도 그의 권취 축에 수직인 평면에서 비대칭 단면을 갖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기술들이 위에서 설명된 기술들에 따라 배터리 셀을 제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강 또는 알루미늄 시트들은 지지 및 내부 표면 패키징 및 외부 표면 패키징을 위해 폴리프로필렌으로 코팅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폴리프로필렌으로 코팅된 긴 스테인레스 강 파이프가 미리 생성되고 나서, (예를 들어, 전극 층들이 이 파이프 둘레에 감겨진 후) 생산 동안 원하는 길이로 슬라이싱될 수 있다. 내부 표면 스테인레스 강 패키징은 전극들 및 젤리-롤 본체에 맞도록 미리 형성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스테인레스 강 시트는 코어 지지체 및 내부 표면 패키징으로서 폴리프로필렌으로 코팅될 수 있고, 정규 알루미늄 호일 파우치가 외부 표면 패키징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구조 지지체를 제공하도록 보강된 중심 구역을 갖는 알루미늄 파우치 재료가 내부 표면 패키징으로서 사용될 수 있고, 정규 알루미늄 파우치 재료가 외부 표면 패키징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레이저 용접이 외부 인클로저를 밀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밀봉은 중합체 층들에 열을 가하여 이들이 서로 달라붙음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도 8은 특정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 셀을 제조하기 위한 하나의 특정 프로세스의 예를 도시하고, 보다 구체적으로, 강성 코어 또는 강성 외부 케이싱이 없는 중공-코어 배터리 셀을 제조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프로세스는 전극 탭들을 전극 층들(애노드 및 캐소드)에 결합하는 것과 함께 단계(801)에서 시작한다. 다음으로, 단계(802)에서, 전극 층들(시트들)은 절연성 분리기 층을 그 사이에 두고 서로의 위에 적층되어 전극 쌍을 형성한다. 그 후, 전극 쌍(절연성 분리기를 포함함)이 스테인레스 강 파이프와 같은 강성 코어 둘레에 권취된다. 그 후 강성 코어는 전극 쌍으로부터 제거된다. 그 후 전극들 및 절연성 분리기에 대한 가요성 인클로저를 형성하도록 전극 및 절연성 분리기 둘레에 가요성 포장재 층이 감싸져서 밀봉되며, 전극 탭들은 가요성 인클로저로부터 돌출한다. 전극들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원하는 경우 가요성 인클로저로 감싸지기 전에 더 작은 유닛들로 절단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의 예들
본원에서 소개된 기술의 소정의 실시예들은 다음의 번호가 매겨진 예들에서 요약된다:
1. 배터리 셀로서, 이 배터리 셀은, 중공 코어 둘레에 함께 권취된 한 쌍의 전극들; 상기 전극들 중 개별 전극에 각각 커플링되는 복수의 전극 탭들; 및 한 쌍의 전극들을 둘러싸는 가요성 외장재를 포함하고, 전극 탭들 각각은 가요성 외장재의 외부 표면을 넘어 돌출하고, 배터리 셀은 강성 외부 케이싱을 갖지 않는다.
2. 예 1에 인용된 배터리 셀에 있어서, 중공 코어는 가요성이다.
3. 예 1 또는 예 2에 인용된 배터리 셀에 있어서, 중공 코어는 알루미늄 호일을 포함한다.
4. 예 1에 인용된 배터리 셀에 있어서, 중공 코어는 강성이다.
5. 예 1 내지 예 4 중 어느 한 예에 인용된 배터리 셀에 있어서, 중공 코어는 스테인리스 강을 포함한다.
6. 예 1 내지 예 5 중 어느 한 예에 인용된 배터리 셀에 있어서, 중공 코어는 원통형이다.
7. 예 1 내지 예 6 중 어느 한 예에 인용된 배터리 셀에 있어서, 가요성 외장재는 알루미늄 호일을 포함한다.
8. 예 1 내지 예 7 중 어느 한 예에 인용된 배터리 셀에 있어서, 가요성 외장재는 적층된 알루미늄 호일을 포함한다.
9. 예 1 내지 예 8 중 어느 한 예에 인용된 배터리 셀은, 중공 코어의 외부 표면 상에 코팅된 중합체 층을 더 포함한다.
10. 예 1 내지 예 9 중 어느 한 예에 인용된 배터리 셀에 있어서, 가요성 외장재는 나일론 외부 층, 적층된 알루미늄 호일 층 및 적층된 알루미늄 호일 층의 내부 표면 상에 코팅된 중합체 층을 포함한다.
11. 예 1 내지 예 10 중 어느 한 예에 인용된 배터리 셀에 있어서, 한 쌍의 전극들은 권취 축을 중심으로 권취되고, 배터리 셀은 권취 축에 수직인, 전극들을 통과하는 평면에서 실질적으로 원형 외부 단면을 갖는다.
12. 예 1 내지 예 11 중 어느 한 예에 인용된 배터리 셀에 있어서, 한 쌍의 전극들은 권취 축을 중심으로 권취되고, 배터리 셀은 권취 축에 수직인, 전극들을 통과하는 평면에서 비원형 외부 단면을 갖는다.
13. 예 1 내지 예 12 중 어느 한 예에 인용된 배터리 셀에 있어서, 한 쌍의 전극들은 권취 축을 중심으로 권취되고, 배터리 셀은 권취 축에 수직인, 전극들을 통과하는 평면에서 비원형의 곡선 외부 단면을 갖는다.
14. 예 1 내지 예 13 중 어느 한 예에 인용된 배터리 셀에 있어서, 한 쌍의 전극들은 권취 축을 중심으로 권취되고, 배터리 셀은 권취 축에 수직인, 전극들을 통과하는 평면에서 별-형상 외부 단면을 갖는다.
15. 배터리 셀로서, 이 배터리 셀은, 링-형상 단면을 갖는 강성 원통형 코어; 강성 원통형 코어의 외부 표면 상에 코팅된 제 1 중합체 층; 반대 극성의 한 쌍의 전극들 및 전극들 사이에 배치된 절연성 분리기 ― 한 쌍의 전극들 및 절연성 분리기는 중합체 층으로 코팅된 강성 원통형 코어의 외부 표면 둘레에 함께 권취됨 ― ; 한 쌍의 전극들을 둘러싸는 가요성 포장재; 및 상기 전극들 중 개별의 전극에 각각 커플링되고 가요성 포장재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전극 탭들을 포함하고, 배터리 셀은 강성 외부 케이싱을 갖지 않는다.
16. 예 15에 인용된 배터리 셀에 있어서, 가요성 포장재는 적층된 알루미늄 호일을 포함한다.
17. 예 15 또는 예 16에 인용된 배터리 셀에 있어서, 강성 원통형 코어는 중합체-코팅된 스테인레스 강을 포함한다.
18. 예 15 내지 예 17 중 어느 한 예에 인용된 배터리 셀에 있어서, 한 쌍의 전극들은 권취 축을 중심으로 권취되고, 배터리 셀은 권취 축에 수직인, 전극들을 통과하는 평면에서 실질적으로 원형 외부 단면을 갖는다.
19. 예 15 내지 예 18 중 어느 한 예에 인용된 배터리 셀에 있어서, 한 쌍의 전극들은 권취 축을 중심으로 권취되고, 배터리 셀은 권취 축에 수직인, 전극들을 통과하는 평면에서 비원형의 곡선 외부 단면을 갖는다.
20. 배터리 셀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이 방법은, 강성 코어 둘레에 한 쌍의 전극들을 권취하는 단계 ― 한 쌍의 전극들 사이에 절연성 분리기가 배치되고, 전극들 각각에는 복수의 전극 탭들 중 개별 전극 탭이 결합됨 ― ; 전극들 및 절연성 분리기로부터 강성 코어를 제거하는 단계; 및 전극들 및 절연성 분리기에 대한 가요성 인클로저를 형성하도록 전극들 및 절연성 분리기 둘레에 가요성 포장재 층을 감싸는 단계를 포함하고, 전극 탭들은 가요성 인클로저로부터 돌출하고, 배터리 셀은 강성 외부 케이싱을 갖지 않는다.
위에서 설명된 특징들 및 기능들 중 임의의 것 또는 모든 것들은 당업자들에게 자명하게 될 바와 같이, 그것이 위에서 달리 언급될 수 있는 정도 또는 임의의 그러한 실시예들이 그들의 기능 또는 구조에 의해 호환 불가능한 정도까지를 제외하고,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물리적 가능성에 반하지 않는 한, (i) 본원에서 설명된 방법들/단계들은 임의의 순서 그리고/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수행될 수 있고, (ii) 각각의 실시예들의 컴포넌트들은 임의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구상된다.
본 청구 대상이 구조적 특징들 및/또는 동작들 특유의 언어로 설명되었지만,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정의된 청구 대상은 반드시 위에서 설명된 특정 특징들 또는 동작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이해될 것이다. 오히려, 위에서 설명된 특정 특징들 및 동작들은 청구항들을 구현하는 예들로서 개시되고 다른 등가의 특징들 및 동작들은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19)

  1. 배터리 셀로서,
    중공 코어(hollow core) 둘레에 함께 권취된(wound) 한 쌍의 전극들;
    상기 전극들 중 개별 전극에 각각 커플링되는 복수의 전극 탭(tab)들; 및
    상기 한 쌍의 전극들을 둘러싸는 가요성 외장재(outer wrapper)
    를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외장재는 상기 중공 코어에 대응하는 개구부들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전극 탭들 각각은 상기 가요성 외장재의 외부 표면을 통해 방사상으로 돌출하는 것인 배터리 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코어는 가요성인 것인 배터리 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코어는 알루미늄 호일을 포함하는 것인 배터리 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코어는 원통형인 것인 배터리 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외장재는 알루미늄 호일을 포함하는 것인 배터리 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외장재는 적층된(laminated) 알루미늄 호일을 포함하는 것인 배터리 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코어의 외부 표면 상에 코팅된 중합체 층을 더 포함하는 배터리 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외장재는 나일론 외부 층, 적층된 알루미늄 호일 층, 및 상기 적층된 알루미늄 호일 층의 내부 표면 상에 코팅된 중합체 층을 포함하는 것인 배터리 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극들은 권취 축(winding axis)을 중심으로 권취되고, 상기 배터리 셀은 상기 권취 축에 수직인, 상기 전극들을 통과하는 평면에서 원형 외부 단면을 갖는 것인 배터리 셀.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극들은 권취 축을 중심으로 권취되고, 상기 배터리 셀은 상기 권취 축에 수직인, 상기 전극들을 통과하는 평면에서 비원형 외부 단면을 갖는 것인 배터리 셀.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극들은 권취 축을 중심으로 권취되고, 상기 배터리 셀은 상기 권취 축에 수직인, 상기 전극들을 통과하는 평면에서 비원형의 만곡된 외부 단면을 갖는 것인 배터리 셀.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극들은 권취 축을 중심으로 권취되고, 상기 배터리 셀은 상기 권취 축에 수직인, 상기 전극들을 통과하는 평면에서 별(star) 형상의 외부 단면을 갖는 것인 배터리 셀.
  13. 배터리 셀로서,
    링-형상 단면을 갖는 강성 원통형 코어;
    상기 강성 원통형 코어의 외부 표면 상에 코팅된 제 1 중합체 층;
    반대 극성의 한 쌍의 전극들 및 상기 전극들 사이에 배치된 절연성 분리기(insulative separator) ― 상기 한 쌍의 전극들 및 상기 절연성 분리기는 상기 제 1 중합체 층으로 코팅된 상기 강성 원통형 코어의 외부 표면 둘레에 함께 권취됨 ― ;
    상기 한 쌍의 전극들을 둘러싸는 가요성 외장재 - 상기 가요성 외장재는 상기 강성 원통형 코어에 대응하는 개구부들을 형성함 -; 및
    각각이 상기 전극들 중 개별 전극에 커플링되고, 상기 가요성 외장재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전극 탭들
    을 포함하는 배터리 셀.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외장재는 적층된 알루미늄 호일을 포함하는 것인 배터리 셀.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원통형 코어는 중합체-코팅된 스테인레스 강을 포함하는 배터리 셀.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극들은 권취 축을 중심으로 권취되고, 상기 배터리 셀은 상기 권취 축에 수직인, 상기 전극들을 통과하는 평면에서 원형 외부 단면을 갖는 것인 배터리 셀.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극들은 권취 축을 중심으로 권취되고, 상기 배터리 셀은 상기 권취 축에 수직인, 상기 전극들을 통과하는 평면에서 비원형의 만곡된 외부 단면을 갖는 것인 배터리 셀.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외장재 및 상기 중공 코어는 모두, 정사각형, 직사각형, 또는 비대칭 형상 중 하나로 성형되는 것인 배터리 셀.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셀은 가요성인 것인 배터리 셀.
KR1020197021999A 2016-12-30 2017-12-22 중공-코어 롤링식-전극 배터리 셀 KR1024796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396,320 2016-12-30
US15/396,320 US10396315B2 (en) 2016-12-30 2016-12-30 Hollow-core rolled-electrode battery cell
PCT/US2017/068059 WO2018125769A1 (en) 2016-12-30 2017-12-22 Hollow-core rolled-electrode battery cel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9056A KR20190099056A (ko) 2019-08-23
KR102479616B1 true KR102479616B1 (ko) 2022-12-20

Family

ID=60991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1999A KR102479616B1 (ko) 2016-12-30 2017-12-22 중공-코어 롤링식-전극 배터리 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396315B2 (ko)
EP (1) EP3563438A1 (ko)
JP (1) JP6976332B2 (ko)
KR (1) KR102479616B1 (ko)
CN (1) CN110088931A (ko)
WO (1) WO20181257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08075B2 (en) * 2018-12-11 2021-08-31 TeraWatt Technology Inc. Hydraulic isotropically-pressurized battery modules
CN111063937B (zh) * 2019-11-25 2024-03-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柔性电芯及终端
CN111403799B (zh) * 2020-03-09 2022-03-18 广西华政新能源科技有限公司 异形锂电池及车载烧水壶
DE102021118402A1 (de) 2021-07-16 2023-01-19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Zellmodul mit einer Mehrzahl von elektrochemischen Pouch-Zellen und Fahrzeug
DE102021118808B3 (de) 2021-07-21 2022-09-08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Elektrochemische Pouch-Zelle
KR20230095639A (ko) * 2021-12-22 2023-06-2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수직 방향으로 확장이 용이한 구조를 가진 배터리 모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47786A1 (en) 2006-04-24 2007-10-25 Aamodt Paul B Torroidal battery for use in implantable medical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01798B2 (ja) * 1992-12-28 2002-07-15 三洋電機株式会社 電 池
JPH06349460A (ja) 1993-04-15 1994-12-22 Sony Corp 電 池
JPH07263028A (ja) * 1994-03-25 1995-10-13 Fuji Photo Film Co Ltd 非水二次電池
US6020084A (en) 1998-02-17 2000-02-01 Alcatel Electrochemical cell design with a hollow core
US6187469B1 (en) 1998-12-28 2001-02-13 HYDRO-QUéBEC High temperature solid state hollow cylindrical battery including a plurality of solid polymer electrolyte cell
JP4204231B2 (ja) 2001-11-08 2009-01-07 日本碍子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
US6670071B2 (en) 2002-01-15 2003-12-30 Quallion Llc Electric storage battery construction and method of manufacture
US8080329B1 (en) 2004-03-25 2011-12-20 Quallion Llc Uniformly wound battery
US8703330B2 (en) 2005-04-26 2014-04-22 Powergenix Systems, Inc. Nickel zinc battery design
CN1929185A (zh) * 2005-09-08 2007-03-14 黄穗阳 电动车用胶体电解质锂离子动力电池
CN100349322C (zh) * 2005-12-09 2007-11-14 中信国安盟固利新能源科技有限公司 圆柱铝塑复合膜软包装锂离子蓄电池
US20070254212A1 (en) 2006-04-28 2007-11-01 Viavattine Joseph J Battery assembly for use in implantable medical device
JP5229527B2 (ja) * 2006-08-25 2013-07-03 ソニー株式会社 二次電池用電解液および二次電池
DE102007017024B3 (de) 2007-04-11 2008-09-25 Daimler Ag Batteriezell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Batterie
US20140370380A9 (en) 2009-05-07 2014-12-18 Yi Cui Core-shell high capacity nanowires for battery electrodes
CN102035040B (zh) 2009-09-28 2013-05-01 清华大学 制造组合电池的方法及组合电池
KR20120022773A (ko) * 2009-10-22 2012-03-12 파나소닉 주식회사 편평형 이차전지용 전극군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편평형 이차전지용 전극군을 구비한 편평형 이차전지
JP5458898B2 (ja) * 2010-01-12 2014-04-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固体電池スタック
CN101867049B (zh) * 2010-06-17 2013-01-23 惠州亿纬锂能股份有限公司 锂电池
JP5715155B2 (ja) * 2010-11-16 2015-05-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円筒形二次電池
WO2014091635A1 (ja) * 2012-12-16 2014-06-19 エクセルギー・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積層電池および積層電池の組立方法
US20140370345A1 (en) * 2013-06-12 2014-12-18 Motorola Mobility Llc Segmented energy storage assembly
US20140370347A1 (en) * 2013-06-14 2014-12-18 Samsung Sdi Co., Ltd. Flexible battery
CZ2016484A3 (cs) * 2014-01-09 2017-01-25 A123 Systems Llc Elektrochemický multičlánek a způsob jeho výroby
KR101774014B1 (ko) * 2014-06-19 2017-09-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공형의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패키징 및 그를 포함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KR102046056B1 (ko) * 2014-08-21 2019-11-18 주식회사 엘지화학 냉각 성능이 개선된 전지셀
CN204809276U (zh) * 2014-10-28 2015-11-25 深圳市鸣曦电子有限公司 可穿戴移动电源
JP6612568B2 (ja) * 2014-12-17 2019-11-27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電気化学セルおよび携帯機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47786A1 (en) 2006-04-24 2007-10-25 Aamodt Paul B Torroidal battery for use in implantable medica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9056A (ko) 2019-08-23
JP2020516009A (ja) 2020-05-28
CN110088931A (zh) 2019-08-02
US20180190950A1 (en) 2018-07-05
EP3563438A1 (en) 2019-11-06
WO2018125769A1 (en) 2018-07-05
US10396315B2 (en) 2019-08-27
JP6976332B2 (ja) 2021-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9616B1 (ko) 중공-코어 롤링식-전극 배터리 셀
KR100861705B1 (ko) 구조적 안정성과 전해액의 젖음성이 우수한 전극조립체 및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JP5957239B2 (ja) 二次電池
KR102235281B1 (ko) 이차 전지
JP2007157427A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KR20110037781A (ko) 전지용 전극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23817A (ko) 파우치형 이차전지
KR20140035646A (ko) 2차 전지 내부 셀 스택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셀 스택
JP2017509100A5 (ko)
KR101663351B1 (ko) 전기화학소자용 셀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80080908A (ko) 전극 조립체
JP2015534231A (ja) 組み込み型シーリング手段を有する集電体、このような集電体を含むバイポーラ電池及びこのような電池の製造方法
KR20070081549A (ko) 젤리-롤형 전극조립체 제조용 권심
JP2018092772A (ja) 全固体電池
JP2013168253A (ja) 巻回型電池
JP2018055904A (ja) 電気化学セルおよび電気化学セルの製造方法
KR101741875B1 (ko) 젤리롤형 전극 조립체 제조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젤리롤형 전극 조립체
KR20140088343A (ko) 분리막들이 상호 접합된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JP6193069B2 (ja) 扁平捲回式二次電池
WO2022183374A1 (zh) 一种柔性电池及其制造方法
CN111313082A (zh) 一种软包扣式锂离子电池
CN112072162A (zh) 圆柱形电池并联式卷芯结构及其制造工艺
CN219832961U (zh) 一种多极耳圆柱形电池
CN211789320U (zh) 一种软包扣式锂离子电池
KR20150109079A (ko)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