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9593B1 - 자동 결속기 - Google Patents

자동 결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9593B1
KR102479593B1 KR1020200165147A KR20200165147A KR102479593B1 KR 102479593 B1 KR102479593 B1 KR 102479593B1 KR 1020200165147 A KR1020200165147 A KR 1020200165147A KR 20200165147 A KR20200165147 A KR 20200165147A KR 102479593 B1 KR102479593 B1 KR 102479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copper band
copper
binding machine
automatic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5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6211A (ko
Inventor
김민성
서용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진메카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진메카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진메카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200165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9593B1/ko
Publication of KR20220076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6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9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9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7/00Bundling particula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using string, wire, or narrow tape or band; Baling fibrous material, e.g. pea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B27/10Bundling rods, sticks, or like elongated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자동 결속기(10)가 제공된다. 상기 자동 결속기(10)는 동밴드(1)를 상기 자동 결속기(10)의 하측으로 피딩하도록 구성되는 밴드피딩부(100); 및 상기 피딩되는 동밴드(1)로 결속대상물체를 결속하도록 구성되는 결속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결속기{AN AUTOMATIC BINDING MACHINE}
본 발명은 자동 결속기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동파이프 등의 결속대상물체를 동밴드로 결속하고 클램핑 시 동밴드를 수평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동밴드에 텐션이 가해지고 클램핑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동밴드에 과도한 인장력이 가해지는 것을 막아 동밴드의 손상을 방지하고, 동밴드에 텐션을 가할 시 동밴드의 일단을 굽혀 자동 결속기의 적어도 일 지점에 고정시킴으로써 효율적으로 동밴드에 텐션을 줄 수 있으며, 또한 굽혀진 동밴드가 클램핑시트와 결속대상물체 사이에 위치하여 결속대상물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 결속기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자동 결속기는 복수 개의 동파이프 등을 결속하여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 복수 개의 동파이프 등 크기가 비교적 큰 결속대상물체를 결속하는 자동 결속기는 결속대상물체를 용이하게 결속하기 위하여 결속대상물체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동파이프를 결속하기 위해 일반적인 섬유 재질의 밴드가 아닌 금속 재질로 구성되는 동밴드가 사용된다. 동밴드는 섬유 또는 고무 재질의 밴드에 비해 경도가 높으면서도 잘 휘어질 수 있는 성질을 가져 동파이프 등의 결속대상물체를 결속할 때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동밴드는 금속 재질이므로 과도한 인장력이 가해지면 부러지거나 깨지는 등 손상될 염려가 있어 동밴드를 이용하여 결속 시 보다 안정적인 결속 과정을 거쳐야 하는 제약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동밴드에 텐션을 가하는 상태에서 동밴드를 클램핑할 때 동밴드에 과도한 인장력이 가해지므로 동밴드가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생긴다.
또한, 자동 결속기가 결속대상물체를 결속 시 자동 결속기와 결속대상물체가 직접 접촉하여 결속되므로, 철 등의 단단한 재질로 제작되는 자동 결속기가 동파이프 등의 결속대상물체가 접촉할 때, 동파이프 등의 결속대상물체는 자동 결속기에 비해 더 연성의 재질이므로 동파이프 등의 결속대상물체가 손상될 염려가 있다.
또한, 자동 결속기를 통해 결속대상물체를 결속하기 위해서는 결속대상물체를 동밴드가 강하게 결속하도록 동밴드에 텐션을 가할 필요성이 있는데 동밴드를 일정 지점에 고정시켜 텐션을 가해야만 효과적으로 동밴드에 텐션을 가하여 결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동밴드를 이용하여 결속 시 동밴드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보다 안정적인 결속 과정을 거치도록 하고, 동파이프 등의 결속대상물체의 손상을 방지하며, 동밴드에 텐션을 가할 시 동밴드를 일정 지점에 고정시켜 텐션을 가할 수 있는 자동 결속기에 대한 필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결속대상물체를 결속하는 동밴드에 텐션이 가해질 시 동밴드의 수평을 구현한 상태에서 클램핑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동밴드에 과도한 인장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 결속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결속대상물체를 결속하는 과정에서 자동 결속기와 동파이프 등의 결속대상물체 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여 결속대상물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 결속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밴드에 텐션을 가할 시 동밴드를 일정 지점에 고정시켜 텐션을 가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텐션을 가하면서 결속대상물체를 결속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결속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밴드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구비되어, 동밴드를 일정 지점에 고정시키면서도 자동 결속기와 동파이프 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동밴드 굽힘을 구현하는 시점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자동 결속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결속기는 동밴드를 상기 자동 결속기의 하측으로 피딩하도록 구성되는 밴드피딩부 및 상기 피딩되는 동밴드로 결속대상물체를 결속하도록 구성되는 결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속부에 의해 상기 결속대상물체를 결속하는 상기 동밴드를 클램핑하도록 구성되는 클램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밴드피딩부는, 상기 동밴드를 피딩하는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피딩휠 및 상기 피딩휠과 맞물림으로써 상기 자동 결속기의 적어도 일 지점에서 상기 동밴드를 피딩하도록 구성되는 피딩휠맞물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속부는, 상기 결속대상물체를 결속하는 상기 동밴드에 텐션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텐션휠, 상기 텐션휠과 맞물림으로써 상기 자동 결속기의 적어도 일 지점에서 상기 동밴드에 텐션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텐션휠맞물림부 및 상기 텐션휠을 조작하도록 구성되는 텐션휠작동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속부는, 상기 동밴드를 푸쉬하여 상기 동밴드의 수평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밴드푸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속부는, 상기 밴드푸쉬장치가 상기 동밴드를 푸쉬하는 동력을 상기 밴드푸쉬장치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밴드푸쉬기어 및 상기 밴드푸쉬기어와 연결되고 상기 텐션휠의 이동에 따라 상기 밴드푸쉬기어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텐션휠컨택트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핑부는, 적어도 일 영역에 상기 동밴드가 클램핑되는 클램핑시트, 상기 클램핑시트의 상부에 인접 배치되고 상기 동밴드를 상부 방향에서 클램핑하도록 구성되는 상부클램핑다이 및 상기 클램핑시트의 상단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클램핑다이와 맞물림으로써 상기 동밴드를 하부 방향에서 클램핑하도록 구성되는 하부클램핑다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 결속기의 적어도 일 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결속되는 동밴드를 굽히도록 구성되는 굽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굽힘부는, 상기 동밴드와 접촉하여 상기 동밴드를 굽히도록 구성되는 밴드굽힘장치 및 상기 밴드굽힘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밴드굽힘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굽힘부는, 상기 동밴드를 감지하여 상기 밴드굽힘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를 상기 밴드굽힘실린더에 송신하는 밴드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결속기에 의하면, 결속대상물체를 결속하는 동밴드에 텐션이 가해질 시 동밴드의 수평을 구현한 상태에서 클램핑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동밴드에 과도한 인장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결속기에 의하면, 결속대상물체를 결속하는 과정에서 자동 결속기와 동파이프 등의 결속대상물체 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여 결속대상물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결속기에 의하면, 동밴드에 텐션을 가할 시 동밴드를 일정 지점에 고정시켜 텐션을 가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텐션을 가하면서 결속대상물체를 결속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결속기에 의하면, 동밴드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구비되어, 동밴드를 일정 지점에 고정시키면서도 자동 결속기와 동파이프 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동밴드 굽힘을 구현하는 시점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결속기(1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결속기(10)가 동밴드(1)를 피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결속기(10)가 동밴드(1)를 굽히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굽힘부(400)가 동밴드(1)를 굽힌 이후에 동밴드(1)의 경로에서 이탈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우측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결속기(10)가 동밴드(1)에 텐션을 가하고 클램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전면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결속기(10)의 밴드푸쉬장치(240)가 동밴드(1)를 누른 상태를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결속기(1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결속기(10)는 밴드피딩부(100), 결속부(200), 클램핑부(300), 굽힘부(40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 결속기(10)는 동밴드(1, 도 2 참조)를 자동 결속기(10)의 하측으로 피딩하도록 구성되는 밴드피딩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피딩부(100)는 동밴드(1)를 자동 결속기(10)의 하측으로 피딩하며 동밴드(1)가 결속대상물체를 감을 수 있도록 하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피딩부(100)는 동밴드(1)가 결속대상물체를 감은 후에 다시 동밴드(1)를 역피딩함으로써 동밴드(1)와 결속대상물체 간의 간격을 좁혀 동밴드(1)가 결속대상물체를 결속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밴드피딩부(100)는 자동 결속기(10)의 전면의 좌측 상단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 결속기(10)는 피딩되는 동밴드(1)로 결속대상물체를 결속하도록 구성되는 결속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속부(200)는 밴드피딩부(100)에 의해 동밴드(1)가 결속대상물체를 결속한 상태에서 동밴드(1)를 당김으로써 보다 강하게 결속대상물체를 결속 할 수 있고 동밴드(1)에 텐션을 가할 수도 있다. 또한, 결속부(200)는 자동 결속기(10) 전면의 좌측 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 결속기(10)는 결속부(200)에 의해 결속대상물체를 결속하는 동밴드(1)를 클램핑하도록 구성되는 클램핑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클램핑(clamping)은 이중으로 겹쳐진 상태의 동밴드(1)에 압력을 가해 이중으로 겹쳐진 상태의 동밴드(1)를 결합시키고 동밴드(1)를 절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클램핑부(300)는 자동 결속기(10) 전면의 우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 결속기(10)는 자동 결속기(10)의 적어도 일 지점을 기준으로 결속되는 동밴드(1)를 굽히도록 구성되는 굽힘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굽힘부(400)는 동밴드(1)를 자동 결속기(10)의 적어도 일 지점을 기준으로 굽힘으로써 동밴드(1)를 일정 지점에 고정시키면서도 자동 결속기(10)와 동파이프 등의 결속대상물체 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굽힘부(400)는 자동 결속기(10)의 전면의 우측에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결속기(10)가 동밴드(1)를 피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전면 사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결속기(10)는 동밴드(1)를 자동 결속기(10)의 하측으로 피딩하도록 구성되는 밴드피딩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밴드피딩부(100)는 동밴드(1)를 피딩하는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피딩휠(1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밴드피딩부(100)는 피딩휠(110)과 맞물림으로써 자동 결속기(10)의 적어도 일 지점에서 동밴드(1)를 피딩하도록 구성되는 피딩휠맞물림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딩휠(110)은 자동 결속기(10)의 전면 좌측 상단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피딩휠(110)은 원형의 휠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휠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피딩휠(110)의 테두리부에는 동밴드(1)가 내측으로 결착되어 안정적으로 피딩될 수 있도록 하는 홈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딩휠맞물림부(120)는 원형의 휠 형상을 가지는 피딩휠(110)과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원형의 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딩휠맞물림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피딩되는 동밴드(1)를 교체하기 용이하도록 손잡이(123)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피딩휠맞물림부(120)는 손잡이축(121), 피딩휠맞물림휠(122), 손잡이(123)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123)에 의해 조절되는 피딩휠맞물림부(120)는 일단에 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축(121)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손잡이(123)에 의해 조절되는 피딩휠맞물림부(120)는 대략 중간 지점에 피딩휠(110)과 맞물림으로써 동밴드(1)를 피딩하도록 구성되는 피딩휠맞물림휠(122)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딩휠맞물림휠(122)은 피딩휠(110)과 맞물리도록 구성되므로, 피딩휠맞물림휠(122)은 원형의 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피딩휠맞물림부(120)의 타단에는 사용자가 피딩휠맞물림부(120)의 조작을 용이하도록 하는 손잡이(123)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잡이(123)를 잡고 손잡이축(121)을 중심으로 피딩휠맞물림부(120)를 회전시켜 피딩휠(110)과 맞물려 있는 피딩휠맞물림휠(122)을 피딩휠(110)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피딩휠맞물림휠(122)과 피딩휠(110) 사이의 간격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후, 피딩휠맞물림휠(122)과 피딩휠(110) 사이의 벌어진 간격에 교체되는 동밴드(1)를 투입하고, 다시 손잡이(123)를 이용해 피딩휠(110)과 피딩휠맞물림휠(122)이 맞물리도록 하여 동밴드(1)를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딩휠맞물림부(120)는 피딩휠(110)의 방향으로 피딩휠맞물림부(120)를 밀어내는 탄성을 가지는 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피딩휠맞물림휠(122)과 피딩휠(110)은 항상 맞물려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123)를 통해 스프링의 탄성과 반대되는 힘을 가함으로써 피딩휠맞물림휠(122)과 피딩휠(110) 사이의 간격을 벌리고 동밴드(1)를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딩휠(110)과 피딩휠맞물림휠(122) 사이로 투입되는 동밴드(1)는 피딩휠(11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자동 결속기(10)의 하측으로 피딩될 수 있다. 또한, 피딩휠(11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피딩되는 동밴드(1)는 역피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결속기(10)는 피딩되는 동밴드(1)로 결속대상물체를 결속하도록 구성되는 결속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결속부(200)는 결속대상물체를 결속하는 동밴드(1)에 텐션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텐션휠(21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션휠(210)은 원형의 휠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텐션휠(210)의 테두리에 동밴드(1)가 결착되어 안정적으로 회전 동력에 의해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홈이 구비될 수 있다. 밴드피딩부(100)에 의해 결속대상물체에 동밴드(1)가 감겨있는 상태에서 보다 강하게 동밴드(1)가 결속대상물체를 결속하도록 텐션휠(210)은 동밴드(1)를 피딩하는 피딩휠(110)의 회전 방향과 반대로 회전하여 동밴드(1)에 텐션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텐션휠(210)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하여 피딩되어 결속대상물체를 결속하는 동밴드(1)에 텐션을 가할 수 있다. 동밴드(1)에 텐션이 가해짐으로써, 동밴드(1)는 결속대상물체를 보다 강하게 결속할 수 있으면서도 동밴드(1)가 구부러지지 않고 평평하게 함으로써 동밴드(1)를 클램핑하는 작업이 보다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결속부(200)는 텐션휠(210)과 맞물림으로써 자동 결속기(10)의 적어도 일 지점에서 동밴드(1)에 텐션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텐션휠맞물림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션휠맞물림부(220)는 원형의 휠 형상을 가지는 텐션휠(210)과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원형의 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션휠(210)은, 피딩휠(11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동밴드(1)를 역피딩한 후에 동밴드(1)가 결속대상물체를 보다 타이트하게 결속하게 하도록 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을 하여 동밴드(1)를 당김으로써 동밴드(1)에 텐션을 가할 수 있다. 참고로, 텐션휠(210)의 회전력은 피딩휠(110)에 비해 더 강하고(예를 들어, 피딩휠(110)의 회전력의 10배), 회전 속도는 더 느릴 수 있다(예를 들어, 피딩휠(110)의 회전 속도의 1/10배).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속부(200)는 텐션휠(210)을 조작하도록 구성되는 텐션휠작동실린더(2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션휠작동실린더(230)는 텐션휠(210)이 시계/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조작할 수 있고, 텐션휠(210)이 우측 또는 좌측으로 이동하도록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션휠(210)이 우측으로 이동하여 텐션휠컨택트장치(260) 및 밴드푸쉬기어(250)와 연동되어 밴드푸쉬장치(240)를 조작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할 도 5에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속부(200)는 동밴드(1)가 통과하도록 구성되는 하부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레일은 자동 결속기(10)의 좌측 하단에 구비되는 제1하부레일(271) 및 자동 결속기(10)의 우측 하단에 구비되는 제2하부레일(27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하부레일(271)의 상부는 텐션휠(210)과 텐션휠맞물림부(220) 사이를 통과하는 동밴드(1)를 받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하부레일(271)의 상부를 거쳐 피딩되는 동밴드(1)는 클램핑부(300)의 클램핑시트(340, 도 3 참조)의 상부를 지나 제2하부레일(272)을 통해 자동 결속기(10)의 우측 하단 외부로 빠져 나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하부레일(272)은 자동 결속기(10)의 외부로 동밴드(1)가 빠져 나올 수 있는 터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터널 형상의 제2하부레일(272)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온 동밴드(1)는 동파이프 등의 결속대상물체를 한바퀴 감도록 피딩되어 자동 결속기(10)의 좌측 하단에 구비되는 제1하부레일(271)의 하부로 삽입될 수 있다(도 3 참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하부레일(271)의 하부는 외부의 동밴드(1)가 자동 결속기(10)의 하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터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제2하부레일(272)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온 동밴드(1)는 결속대상물체를 둘러싸는 별도의 결속레일(미도시)에 따라 피딩되며 결속대상물체를 감을 수 있고, 결속대상물체를 한 바퀴 감은 동밴드(1)는 제1하부레일(271)의 하부로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레일에는 제1하부레일(271)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공간을 구획하도록 구성되는 레일격벽(27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피딩휠(110)과 텐션휠(210)만을 거쳐 제1하부레일(271)의 상부를 지나가는 동밴드(1)와 제2하부레일(272)을 통해 외부로 빠져 나가고 결속대상물체를 감은 후에 제1하부레일(271)의 하부로 삽입되는 동밴드(1)는 레일격벽(273)으로 인해 공간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밴드(1)가 굽힘부(400)에 의해서 굽혀지기 전까지의 과정을 정리하면, 피딩휠(11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피딩휠(110)과 피딩휠맞물림부(120) 사이로 동밴드(1)가 자동 결속기(10)의 하측으로 피딩되고 피딩되는 동밴드(1)는 텐션휠(210)과 텐션휠맞물림부(220)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이 경우 텐션휠(210)도 피딩휠(110)의 반시계 방향 회전에 대응하여 함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어서, 텐션휠(210)과 텐션휠맞물림부(220) 사이를 통과하는 동밴드(1)는 제1하부레일(271)의 상부를 지나 클램핑부(300)를 통과하여 제2하부레일(272)을 통해 자동 결속기(10)의 우측 하단 외부로 빠져 나올 수 있다. 참고로, 제1하부레일(271)의 상부를 지나도록 피딩되는 동밴드(1)는 제2하부레일(272)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오기 전까지 클램핑부(300)의 하측 내부에 구비되는 하부칸막이(미도시)를 거쳐 통과할 수 있다. 외부로 빠져나오는 동밴드(1)는 결속대상물체를 한바퀴 감도록 피딩될 수 있고 이후, 자동 결속기(10)의 좌측 하단에 구비되는 제1하부레일(271)의 하부로 삽입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결속기(10)가 동밴드(1)를 굽히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전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 결속기(10)의 좌측 하단에 구비되는 제1하부레일(271)의 하부로 삽입된 동밴드(1)는 제1하부레일(271)의 하부를 통과하고 클램핑시트(340)의 상면을 따라 피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시트(340)의 우측 끝단은 하측으로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동밴드(1)는 클램핑헤드(310)의 내측 하부에 구비되는 클램핑시트(340)의 상면을 따라 피딩되고 클램핑시트(340)의 우측 끝단의 경사면을 따라 하측으로 피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 결속기(10)는 자동 결속기의 적어도 일 지점을 기준으로 결속되는 동밴드(1)를 굽히도록 구성되는 굽힘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굽힘부(400)는 밴드굽힘장치(410), 밴드굽힘실린더(420), 밴드감지센서(4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굽힘장치(410)는 동밴드(1)와 접촉하여 동밴드(1)를 굽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밴드굽힘장치(410)는 타단이 밴드굽힘실린더(420)와 축 결합되어 회전 운동할 수 있다. 또한, 밴드굽힘장치(410)는 밴드굽힘실린더(420)와 타단이 축 결합으로 연결되어 밴드굽힘실린더(420)의 이동에 부수하여 함께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굽힘장치(410)는 클램핑시트(340)의 우측 끝단의 경사면을 따라 하측으로 피딩되는 동밴드(1)를 굽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밴드굽힘장치(410)는 밴드굽힘실린더(420)의 제어에 따라 클램핑시트(340)의 우측에 위치할 수 있고 클램핑시트(340)의 우측 끝단의 경사면을 따라 하측으로 피딩되는 동밴드(1)를 밴드굽힘장치(410)가 클램핑시트(340)의 우측 끝단의 하부로 이동하면서 클램핑시트(340)의 우측 끝단 지점을 기준으로 동밴드(1)를 굽힐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굽힘장치(410)는 ‘ㅗ’ 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운데의 세로 방향 막대 형상의 상부 영역이 밴드굽힘실린더(420)와 축 결합으로 연결되는 부분일 수 있고, 아래의 가로 방향 막대 형상의 우측 영역은 클램핑시트(340)의 우측 끝단의 경사면을 따라 하측으로 피딩되는 동밴드(1)와 직접 접촉될 수 있도록 후면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구비될 수 있다(도 4 참조). 또한, ‘ㅗ’자 형상을 가지는 밴드굽힘장치(410)의 아래의 가로 방향 막대 형상의 좌측 영역은 밴드감지센서(430)가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밴드굽힘실린더(420)는 밴드굽힘장치(41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밴드굽힘실린더(420)의 일단은 밴드굽힘장치(410)의 타단과 축 결합으로 연결될 수 있고 또한, 밴드굽힘실린더(420)의 타단은 밴드굽힘실린더(420)가 회전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축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밴드굽힘실린더(420)는 타단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을 하면, 밴드굽힘실린더(420)의 일단과 축 결합으로 연결되는 밴드굽힘장치(410)도 함께 회전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굽힘장치(410)는 밴드굽힘장치(410)의 타단이 밴드굽힘실린더(420)와 축 결합을 하므로 밴드굽힘실린더(420)에 부수하여 밴드굽힘실린더(420)의 타단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을 하면서도 밴드굽힘장치(410)의 타단을 기준으로도 회전 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클램핑시트(340)의 우측 끝단의 경사면을 따라 하측으로 피딩되는 동밴드(1)를 보다 용이하게 굽힐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밴드감지센서(430)는 동밴드(1)를 감지하여 밴드굽힘장치(4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를 밴드굽힘실린더(420)에 송신할 수 있다. 밴드감지센서(430)는 클램핑시트(340)의 우측 끝단의 경사면을 따라 하측으로 피딩되는 동밴드(1)를 감지하고 일정 시간(예를 들어, 0.2초 등) 동안 동밴드(1)가 더 피딩되면 자동 결속기(10)에 동밴드(1)의 피딩을 중단하라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동밴드(1)의 피딩을 중단하라는 신호에 따라 동밴드(1)의 피딩이 중단되면, 밴드감지센서(430)는 밴드굽힘장치(410)가 클램핑시트(340)의 우측 끝단의 하부로 이동하면서 피딩된 동밴드(1)를 굽히라는 신호를 밴드굽힘실린더(420)에 송신할 수 있다. 밴드굽힘실린더(420)는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밴드굽힘장치(410)를 클램핑시트(340)의 우측 끝단의 하부로 이동시켜 동밴드(1)를 굽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밴드감지센서(430)가 동밴드(1)의 피딩을 중단하라는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가 생략될 수 있고, 동밴드(1)가 피딩됨과 동시에 밴드굽힘실린더(420)에게 신호를 송신하여 동밴드(1)를 굽힐 수도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밴드감지센서(430)는 ‘ㅗ’자 형상을 가지는 밴드굽힘장치(410)의 아래의 가로 방향 막대 형상의 좌측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굽힘부(400)는 클램핑시트(340)의 우측 끝단의 상부에 밴드감지센서(430)가 위치하도록 조절될 수 있고, 밴드감지센서(430)가 동밴드(1)를 감지하고 약 0.2초 정도 후에 밴드굽힘실린더(420)에 신호를 보내 밴드굽힘장치(410)로 하여금 동밴드(1)를 굽히도록 할 수 있다.
동밴드(1)가 클램핑시트(340)의 우측 끝단을 기준으로 굽혀져 클램핑시트(340)의 하부를 감싸게 되면, 피딩휠(110)이 동밴드(1)를 역피딩하도록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텐션휠(210)도 피딩휠(110)의 역피딩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도 있다. 이는, 느슨하게 결속대상물체를 결속하고 있는 동밴드(1)가 결속대상물체를 보다 타이트하게 결속하게 하기 위함이다.
참고로, 자동 결속기(10)와 자동 결속기(10)의 하부에 위치하는 결속대상물체는 일정 거리 이상(예를 들어, 약 1~2미터 이상)의 간격을 가질 수 있고, 이 간격은 밴드피딩부(100)에 의해 동밴드(1)가 피딩되어 굽힘부(400)에 의해 굽혀져 클램핑시트(340)의 하부를 감싸게 되는 과정까지 유지될 수 있다.
다만, 피딩휠(110)이 동밴드(1)를 역피딩하도록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자동 결속기(10)는 결속대상물체 쪽으로 이동을 시작하고 자동 결속기(10)와 결속대상물체가 맞닿을 때까지 자동 결속기(10)는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자동 결속기(10)가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동밴드(1)도 역피딩되므로, 동밴드(1)는 자동 결속기(10)가 결속대상물체 쪽으로 이동을 하더라도 결속대상물체를 느슨하지 않게 결속할 수 있다.
자동 결속기(10)가 결속대상물체 쪽으로 완전히 이동하여 자동 결속기(10)와 결속대상물체가 맞닿아 있는 상태에도 불구하고, 굽혀진 동밴드(1)는 클램핑시트(340)의 하부를 감싸고 있기 때문에 동밴드(1)와 동파이프 등의 결속대상물체가 직접적으로 접촉을 하고 있을 뿐, 철 등의 단단한 재질로 구성되는 자동 결속기(10)는 상대적으로 무른 재질로 구성되는 결속대상물체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동파이프 등의 결속대상물체와 자동 결속기(10)는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결속대상물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피딩휠(110)이 역피딩을 시작할 때 동밴드(1)는 클램핑시트(340)의 우측 끝단에 굽혀져 고정되어 있으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동밴드(1)의 역피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동밴드(1)가 클램핑시트(340)의 우측 끝단에 굽혀져 고정되어 있으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텐션휠(210)에 의해 동밴드(1)에 텐션을 가할 수 있음도 마찬가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굽힘부(400)가 동밴드(1)를 굽힌 이후에 동밴드(1)의 경로에서 이탈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우측 사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밴드굽힘실린더(420)의 일단은 밴드굽힘장치(410)의 타단과 축 결합으로 연결될 수 있고 또한, 밴드굽힘실린더(420)의 타단은 밴드굽힘실린더(420)가 회전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축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밴드굽힘실린더(420)는 타단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을 하면, 밴드굽힘실린더(420)의 일단과 축 결합으로 연결되는 밴드굽힘장치(410)도 함께 회전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굽힘부(400)는 밴드굽힘장치(410)를 동밴드(1)의 경로에서 이탈시키도록 구성되는 실린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밴드굽힘장치(410)가 동밴드(1)를 굽히고 피딩휠(110)이 동밴드(1)를 역피딩할 때, 밴드굽힘장치(410)는 클램핑시트(340)의 우측 끝단에 인접하여 있으므로 역피딩되는 동밴드(1)의 경로를 차단하거나 방해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밴드굽힘실린더(420)의 후면의 적어도 일 영역은 밴드굽힘장치(410)를 동밴드(1)의 경로에서 이탈시키도록 구성되는 실린더와 연결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밴드굽힘실린더(420)의 타단의 후면은 밴드굽힘실린더(420)가 자동 결속기(10)의 우측면 중간부를 축으로 회전 이동할 수 있도록 자동 결속기(10)와 축 결합될 수 있고, 밴드굽힘실린더(420) 중간의 후면은 밴드굽힘장치(410)를 동밴드(1)의 경로에서 이탈시키도록 구성되는 실린더가 밴드굽힘실린더(420)를 전면으로 밀어내는 힘을 자동 결속기(10)의 우측면 중간부를 축으로 회전 이동하는 힘으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축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밴드굽힘장치(410)를 동밴드(1)의 경로에서 이탈시키도록 구성되는 실린더가 밴드굽힘실린더(420)를 밀어내면, 밴드굽힘실린더(420)는 자동 결속기(10)의 우측면 중간부를 축으로 자동 결속기(10)의 전면 방향으로 회전 이동할 수 있고 밴드굽힘실린더(420)와 연결된 밴드굽힘장치(410) 및 밴드감지센서(430)도 함께 자동 결속기(10)의 전면 방향으로 회전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역피딩되는 동밴드(1)의 경로에서 밴드굽힘장치(410)가 이탈될 수 있으므로 밴드굽힘장치(410)가 역피딩되는 동밴드(1)의 경로를 차단하거나 방해하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결속기(10)가 동밴드(1)에 텐션을 가하고 클램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전면 단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결속부(200)는 결속대상물체를 결속하는 동밴드(1)에 텐션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텐션휠(210), 텐션휠(210)과 맞물림으로써 자동 결속기(10)의 적어도 일 지점에서 동밴드(1)에 텐션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텐션휠맞물림부(220) 및 텐션휠(210)을 조작하도록 구성되는 텐션휠작동실린더(2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션휠(210)은, 피딩휠(11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동밴드(1)를 역피딩한 후에 동밴드(1)가 결속대상물체를 보다 타이트하게 결속하게 하도록, 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을 하여 동밴드(1)를 당김으로써 동밴드(1)에 텐션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텐션휠(210)은 좌측과 하측 사이의 대각 방향으로 전진할 수 있고 우측과 상측 사이의 대각 방향으로 후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피딩휠(110)에 의한 동밴드(1) 피딩 및 역피딩 시 텐션휠(210)은 우측과 상측 사이의 대각 방향으로 후진되어 있는 상태로서, 밴드푸쉬장치(240)는 동밴드(1)를 누르지 않고 있는 상태이다. 밴드푸쉬장치(240)가 동밴드(1)를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는 피딩휠(110)에 의해 빠르게 동밴드(1)의 피딩, 역피딩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속부(200)는 동밴드(1)를 푸쉬하여 동밴드(1)의 수평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밴드푸쉬장치(2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푸쉬장치(240)가 동밴드(1)를 누름으로써, 클램핑되는 영역 주위의 동밴드(1)의 수평이 구현될 수 있어 클램핑 되는 순간에 동밴드(1)에 과도한 인장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클램핑되는 상태에서 텐션이 가해진 동밴드(1)가 클램핑시트(340) 또는 하부클램핑다이(360)에서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결속부(200)는 밴드푸쉬장치(240)가 동밴드(1)를 푸쉬하는 동력을 밴드푸쉬장치(240)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밴드푸쉬기어(2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속부(200)는 밴드푸쉬기어(250)와 연결되고 텐션휠(210)의 이동에 따라 밴드푸쉬기어(250)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텐션휠컨택트장치(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푸쉬장치(240)는 좌측 상단에 밴드푸쉬기어(250)와 맞물릴 수 있는 기어 홈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푸쉬기어(250)는 기어 형태로 구성되어, 밴드푸쉬장치(240)의 좌측 상단에 구비되는 기어 홈과 맞물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션휠컨택트장치(260)는 일단이 텐션휠(210)에 대응하는 곡선 형상을 가지고 텐션휠(210)과 연결되어 텐션휠(210)이 이동하는 힘을 전달받을 수 있고, 타단은 밴드푸쉬기어(250)가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피딩휠(110)에 의해 동밴드(1)가 피딩 또는 역피딩할 때, 기본적으로 텐션휠(210)은 우측과 상측 사이의 대각 방향으로 후진되어 있는 상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션휠컨택트장치(260)는 텐션휠(210)과 연결되어 함께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텐션휠(210)이 좌측과 하측 사이의 대각 방향으로 전진하면, 텐션휠컨택트장치(260)도 함께 좌측과 하측 사이의 대각 방향으로 전진하게 되고, 텐션휠컨택트장치(260)의 타단에 장착되는 밴드푸쉬기어(25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어서, 밴드푸쉬기어(25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기어 형태의 밴드푸쉬기어(250)와 맞물리고 있는 밴드푸쉬장치(240)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동밴드(1)를 누를 수 있고, 결과적으로 동밴드(1)의 수평을 구현할 수 있다.
밴드푸쉬장치(240)가 동밴드(1)의 수평을 구현하면, 텐션휠(210)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동밴드(1)를 당김으로써 동밴드(1)에 텐션을 가하게 될 수 있다. 텐션휠(21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동밴드(1)에 텐션을 가할 시 텐션휠(210)이 우측과 상측 사이의 대각 방향으로 후진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동밴드(1)가 당겨지는 경사가 상대적으로 커지게 되어 동밴드(1)에 추가적인 스트레스가 가해지게 될 수 있다.
따라서, 텐션휠(210)이 좌측과 하측 사이의 대각 방향으로 전진하여 동밴드(1)와 컨택하여 동밴드(1)에 텐션을 가하게 되면, 동밴드(1)가 수평이 구현될 수 있고 당겨지는 경사가 완만한 상태에서 당겨져 텐션을 받게 되므로 동밴드(1)에 추가적인 스트레스가 가해지지 않고 보다 안정적으로 동밴드(1)가 텐션을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클램핑부(300)는 적어도 일 영역에 동밴드(1)가 클램핑되는 클램핑시트(3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시트(340)는 동밴드(1)가 클램핑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할 수 있으며, 클램핑시트(340)는 수평 방향으로 편평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클램핑시트(340)는 자동 결속기(10)의 전면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고, 클램핑시트(340)의 우측 끝단은 하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클램핑부(300)는 클램핑시트(340)의 상부에 인접 배치되고 동밴드(1)를 상부 상향에서 클램핑하도록 구성되는 상부클램핑다이(3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핑부(300)는 클램핑시트(340)의 상단에 구비되고 상부클램핑다이(350)와 맞물림으로써 동밴드(1)를 하부 방향에서 클램핑하도록 구성되는 하부클램핑다이(3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클램핑다이(350)는 하부클램핑다이(360)와 맞닿는 면이 굴곡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클램핑다이(360)도 상부클램핑다이(350)와 맞닿는 면이 굴곡진 상부클램핑다이(350)의 면에 대응하여 굴곡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용이하게 이중으로 겹쳐진 상태의 동밴드(1)에 압력을 가해 이중으로 겹쳐진 상태의 동밴드(1)를 결합시킬 수 있다.
참고로, 텐션휠(210)과 텐션휠맞물림부(220) 사이를 통과하는 동밴드(1)는 제1하부레일(271)의 상부를 지나 클램핑부(300)를 통과하여 제2하부레일(272)을 통해 자동 결속기(10)의 우측 하단 외부로 빠져 나올 수 있다. 외부로 빠져나오는 동밴드(1)는 결속대상물체를 한바퀴 감도록 피딩될 수 있고 이후, 자동 결속기(10)의 좌측 하단에 구비되는 제1하부레일(271)의 하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어서, 자동 결속기(10)의 좌측 하단에 구비되는 제1하부레일(271)의 하부로 삽입된 동밴드(1)는 제1하부레일(271)의 하부를 통과하고 클램핑시트(340)의 상면을 따라 피딩될 수 있고, 클램핑시트(340)의 우측 끝단의 경사면을 따라 하측으로 피딩되는 동밴드(1)를 밴드굽힘장치(410)가 클램핑시트(340)의 우측 끝단의 하부로 이동하면서 클램핑시트(340)의 우측 끝단 지점을 기준으로 동밴드(1)를 굽힐 수 있다.
따라서, 클램핑시트(340)의 상면 즉, 하부클램핑다이(360)의 상면에는 동밴드(1)가 이중으로 겹쳐져 있을 수 있고(도 6 참조), 이중으로 겹쳐지는 동밴드(1)를 상부클램핑다이(350)가 하부클램핑다이(360)쪽으로 가압을 하는 방식으로 이중으로 겹쳐지는 동밴드(1)를 클램핑할 수 있다.
또한, 클램핑부(300)는 상부클램핑다이(350)의 적어도 일 영역에 구비되어 동밴드(1)를 절단하도록 구성되는 커팅나이프(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팅나이프(330)는 상부클램핑다이(350)의 좌측에 구비될 수 있다. 커팅나이프(330)는 이중으로 겹쳐지는 동밴드(1) 중 상측에 배치되는 동밴드(1)만을 절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레일격벽(273)을 통해 이중으로 겹쳐지는 동밴드(1)는 공간적으로 구획되어 있을 수 있고, 이중으로 겹쳐지는 동밴드(1)가 서로 직접 접촉되는 영역은 하부클램핑다이(360)의 일 영역에 불과하고, 이중으로 겹쳐지는 동밴드(1)가 서로 직접 접촉되는 영역에 대해서만 클램핑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고, 레일격벽(273)의 상부에 위치하는 동밴드(1)만이 커팅나이프(330)에 의해서 절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클램핑부(300)는 상부클램핑다이(350)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상부클램핑다이구동용 편심축장치(3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클램핑다이구동용 편심축장치(320)는 편심축으로 회전을 하며, 상부클램핑다이구동용 편심축장치(320)의 회전 운동을 상부클램핑다이(350)의 수직 방향의 상하 운동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상부클램핑다이구동용 편심축장치(320)가 회전함에 따라 상부클램핑다이(350)가 하부클램핑다이(360)로 이동하며 클램핑 작업이 이루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속부(200)는 동밴드(1)를 푸쉬하여 동밴드(1)의 수평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밴드푸쉬장치(2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푸쉬장치(240)가 동밴드(1)를 누름으로써, 클램핑되는 영역 주위의 동밴드(1)의 수평이 구현될 수 있어 클램핑 되는 순간에 동밴드(1)에 과도한 인장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클램핑되는 상태에서 텐션이 가해진 동밴드(1)가 클램핑시트(340) 또는 하부클램핑다이(360)에서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결속기(10)의 밴드푸쉬장치(240)가 동밴드(1)를 누른 상태를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밴드(1)의 수평이 구현되는 상태에서 텐션휠(21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하여 동밴드(1)에 텐션을 가할 수 있고, 동밴드(1)에 텐션이 가해진 상태에서 동밴드(1)는 수평 상태를 유지한 채 클램핑되고 상부의 동밴드(1)가 절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결속기(10)에 의해 클램핑 작업이 끝나게 되면, 상부클램핑다이(350)는 상부클램핑다이구동용 편심축장치(320)가 회전함에 따라 다시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고, 클램핑시트(340)는 후면으로 빠지게 되어 더 이상 동밴드(1)가 클램핑시트(340)의 상면에 위치하지 않게 될 수 있다. 이후, 자동 결속기(10)는 상측으로 이동하여 결속대상물체와 간격이 벌어지게 될 수 있고, 결속대상물체는 동밴드(1)에 의해 결속된 상태로 남아 있어 모든 결속 과정이 끝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피딩휠(110) 또는 텐션휠(210)에는 동밴드(1)의 최대 인장 한계를 벗어나는 회전이 이루어짐에도 동밴드(1)가 이동하지 않고 정지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별도의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별도의 센서는 피딩휠(110) 또는 텐션휠(210)이 동밴드(1)의 최대 인장 한계를 벗어나는 회전을 함에도 동밴드(1)가 이동하지 않고 정지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감지하면 더 이상 피딩휠(110) 또는 텐션휠(210)에 회전 중단 신호를 보낼 수 있다. 따라서, 피딩휠(110) 또는 텐션휠(210)이 회전 중단 신호를 수신하여 회전이 중단되면, 동밴드(1)와 자동 결속기(10)가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밴드굽힘장치(410)에 편평한 판이 구비될 수 있고, 편평한 판은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재질(예를 들어, 고무 등)로 구성될 수 있다. 밴드굽힘장치(410)의 편평한 판은 동밴드(1)를 굽힐 때 클램핑시트(340)의 저면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클램핑시트(34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굽어지는 동밴드(1)의 길이가 길지 않아도, 자동 결속기(10)와 결속대상물체 사이에 밴드굽힘장치(410)의 편평한 판이 삽입되어 자동 결속기(10)와 결속대상물체 사이의 접촉으로 인해 결속대상물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편평한 판은 밴드굽힘장치(410)와 분리가 되어 동밴드(1)와 결속대상물체 사이에 위치하게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결속기에 의하면, 결속대상물체를 결속하는 동밴드에 텐션이 가해질 시 동밴드의 수평을 구현한 상태에서 클램핑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동밴드에 과도한 인장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결속기에 의하면, 결속대상물체를 결속하는 과정에서 자동 결속기와 동파이프 등의 결속대상물체 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여 결속대상물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결속기에 의하면, 동밴드에 텐션을 가할 시 동밴드를 일정 지점에 고정시켜 텐션을 가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텐션을 가하면서 결속대상물체를 결속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결속기에 의하면, 동밴드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구비되어, 동밴드를 일정 지점에 고정시키면서도 자동 결속기와 동파이프 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동밴드 굽힘을 구현하는 시점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동밴드
10: 자동 결속기
100: 밴드피딩부
110: 피딩휠
120: 피딩휠맞물림부
121: 손잡이축
122: 피딩휠맞물림휠
123: 손잡이
200: 결속부
210: 텐션휠
220: 텐션휠맞물림부
230: 텐션휠작동실린더
240: 밴드푸쉬장치
250: 밴드푸쉬기어
260: 텐션휠컨택트장치
271: 제1하부레일
272: 제2하부레일
273: 레일격벽
300: 클램핑부
310: 클램핑헤드
320: 상부클램핑다이구동용 편심축장치
330: 커팅나이프
340: 클램핑시트
350: 상부클램핑다이
360: 하부클램핑다이
400: 굽힘부
410: 밴드굽힘장치
420: 밴드굽힘실린더
430: 밴드감지센서

Claims (10)

  1. 자동 결속기(10)로서,
    동밴드(1)를 상기 자동 결속기(10)의 하측으로 피딩하도록 구성되는 밴드피딩부(100);
    상기 피딩되는 동밴드(1)로 결속대상물체를 결속하도록 구성되는 결속부(200); 및
    상기 자동 결속기(10)의 적어도 일 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결속되는 동밴드(1)를 굽히도록 구성되는 굽힘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굽힘부(400)는,
    상기 동밴드(1)와 접촉하여 클램핑시트(340)의 우측 끝단의 경사면을 따라 하측으로 피딩되는 상기 동밴드(1)를 굽히도록 구성되는 밴드굽힘장치(410);
    상기 밴드굽힘장치(410)의 일단이 축 결합되어 상기 밴드굽힘장치(41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밴드굽힘실린더(420); 및
    상기 동밴드(1)를 감지하여 상기 밴드굽힘장치(4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를 상기 밴드굽힘실린더(420)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밴드감지센서(430)를 포함하고,
    상기 동밴드(1)가 굽혀지고 역피팅되면, 상기 밴드굽힘장치(410)가 상기 동밴드(1)의 경로에서 이탈되도록 구성되는,
    자동 결속기(1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200)에 의해 상기 결속대상물체를 결속하는 상기 동밴드(1)를 클램핑하도록 구성되는 클램핑부(300)를 더 포함하는,
    자동 결속기(10).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피딩부(100)는,
    상기 동밴드(1)를 피딩하는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피딩휠(110); 및
    상기 피딩휠(110)과 맞물림으로써 상기 자동 결속기(10)의 적어도 일 지점에서 상기 동밴드(1)를 피딩하도록 구성되는 피딩휠맞물림부(120)를 포함하는,
    자동 결속기(10).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200)는,
    상기 결속대상물체를 결속하는 상기 동밴드(1)에 텐션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텐션휠(210);
    상기 텐션휠(210)과 맞물림으로써 상기 자동 결속기(10)의 적어도 일 지점에서 상기 동밴드(1)에 텐션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텐션휠맞물림부(220); 및
    상기 텐션휠(210)을 조작하도록 구성되는 텐션휠작동실린더(230)를 포함하는,
    자동 결속기(10).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200)는, 상기 동밴드(1)를 푸쉬하여 상기 동밴드(1)의 수평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밴드푸쉬장치(240)를 더 포함하는,
    자동 결속기(10).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200)는,
    상기 밴드푸쉬장치(240)가 상기 동밴드(1)를 푸쉬하는 동력을 상기 밴드푸쉬장치(240)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밴드푸쉬기어(250); 및
    상기 밴드푸쉬기어(250)와 연결되고 상기 텐션휠(210)의 이동에 따라 상기 밴드푸쉬기어(250)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텐션휠컨택트장치(260)를 더 포함하는,
    자동 결속기(10).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300)는,
    적어도 일 영역에 상기 동밴드(1)가 클램핑되는 클램핑시트(340);
    상기 클램핑시트(340)의 상부에 인접 배치되고 상기 동밴드(1)를 상부 방향에서 클램핑하도록 구성되는 상부클램핑다이(350); 및
    상기 클램핑시트(340)의 상단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클램핑다이(350)와 맞물림으로써 상기 동밴드(1)를 하부 방향에서 클램핑하도록 구성되는 하부클램핑다이(360)를 포함하는,
    자동 결속기(10).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00165147A 2020-11-30 2020-11-30 자동 결속기 KR102479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147A KR102479593B1 (ko) 2020-11-30 2020-11-30 자동 결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147A KR102479593B1 (ko) 2020-11-30 2020-11-30 자동 결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211A KR20220076211A (ko) 2022-06-08
KR102479593B1 true KR102479593B1 (ko) 2022-12-21

Family

ID=81981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5147A KR102479593B1 (ko) 2020-11-30 2020-11-30 자동 결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959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24296A1 (ja) * 2012-08-09 2014-02-13 ヘラマンタイトン株式会社 手動結束工具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856950T3 (es) * 2015-07-22 2021-09-28 Max Co Ltd Máquina atadora
KR102027486B1 (ko) * 2016-12-02 2019-10-01 주식회사 제이피에스 코일 포장용 결속 헤드 모듈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24296A1 (ja) * 2012-08-09 2014-02-13 ヘラマンタイトン株式会社 手動結束工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211A (ko) 202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5834B1 (ko) 결속기
EP1394041B1 (en) Automatic banding method for a packing machine
CN104507813B (zh) 用于捆扎钢带的模块化打包机
US4079667A (en) Method of forming and tensioning a strap loop about a package
CN108263657B (zh) 一种自动捆丝机
CN107849859B (zh) 捆扎机
CA2654708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wire-tying bundles of objects
KR102479593B1 (ko) 자동 결속기
CN103958353B (zh) 打结器组件
US2853938A (en) Box strapping apparatus
JP6669945B2 (ja) ワイヤ結束機
CN111688969A (zh) 捆扎机
KR20000071432A (ko) 개선된 스트랩 가이드를 구비하는 스트랩핑 공구 및 그 방법
KR101427224B1 (ko) 타이 클램프
CN214525622U (zh) 一种用于束紧套管的扎带机
CN113165760B (zh) 用于测试形成于长条捆束元件的闭环上的接头强度的捆束机及方法
KR101108785B1 (ko) 밴딩기의 이송장치
RU2799425C2 (ru) Обвязочная машина
KR20180126637A (ko) 트리퍼카 장치
JPS6362411B2 (ko)
JP2000295919A (ja) ロールベーラにおける結束装置
SE449081B (sv) Forfarande och anordning for formning av en bandogla och dess fastsettning kring en forpackning
US20140326147A1 (en) Binding apparatus
GB2101021A (en) Improved wire connection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wire connection
JPS6178316A (ja) 結束機の紐ホルダ−装置における異常感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