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7228B1 - 파우더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파우더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7228B1
KR102477228B1 KR1020210178189A KR20210178189A KR102477228B1 KR 102477228 B1 KR102477228 B1 KR 102477228B1 KR 1020210178189 A KR1020210178189 A KR 1020210178189A KR 20210178189 A KR20210178189 A KR 20210178189A KR 102477228 B1 KR102477228 B1 KR 102477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hopper
worm wheel
guid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8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권
홍정원
Original Assignee
홍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정원 filed Critical 홍정원
Priority to KR1020210178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72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7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7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4Emptying devices
    • B65G65/40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 B65G65/46Devices for emptying otherwise than from the top using screw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00Storing bulk material or loose, i.e. disorderly, articles
    • B65G3/04Storing bulk material or loose, i.e. disorderly, articles in bunkers, hoppers, or lik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8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 B65G33/1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with non-enclosed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24Details
    • B65G33/34Applications of 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2Granula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5Screw-conveyors
    • B65G2812/0505Driving means, constitutive elements or auxiliar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5Screw-conveyors
    • B65G2812/0577Screw-conveyors for bulk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측에 파우더를 충전하는 호퍼유니트와; 호퍼유니트의 하부측에 호퍼유니트를 받쳐서 설치하는 바디유니트와; 바디유니트의 후방 일측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컨트롤유니트를 포함하여 형성하는 파우더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호퍼유니트는 일정량의 파우더를 충전하는 호퍼와; 호퍼의 내측 하부에 구비되어 파우더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파우더의 분산을 유도하는 파우더가이드와; 파우더가이드와 연결되며 호퍼로부터 하강하는 파우더를 이송시켜 배출하는 이송스크루를 포함하여 형성하고, 상기 바디유니트는 일측 수직 또는 어느 일측 면에 설치되는 모터 구동버튼과; 상단 좌측에 파우더 배출구를 포함하여 형성하고, 상기 컨트롤유니트는 바디유니트의 후단부 일측 수직면에 상기 스크루 구동용 모터의 구동시간을 조정하는 시간조정부를 포함하여 형성하는 파우더 디스펜서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파우더 디스펜서{Powder Dispenser}
본 발명은 파우더 디스팬서(Powder Dispenser)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커피, 곡물 등의 파우더를 호퍼에 충전하고 이송스크류를 통해 배출구로 일정량씩 나누어 연속적으로 배출할 때, 호퍼와 이송스크류 및 배출구에서 발생되는 파우더의 뭉침, 막힘, 적체 등을 방지하여 연속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파우더가이드를 구비하는 파우더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원두커피는 볶은 커피원두를 커피그라인더로 갈아서 파우더를 만들고 이를 배출하고 물로 내려 마시고 있는 바, 마시는 사람의 취향에 따라 파우더 량을 일정한 량으로 조절하여 배출하여야 함에 따라, 다량의 커피를 판매하는 판매처는 다수의 파우더 커피 배출량을 신속하고 일정하게 유지하여 배출시키는데 많은 어려움이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종래기술에는 등록특허 제10-2066111호 멀티 액상 추출 장치가 공지되어 있는데, 이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장치(1)에서 원두 분말의 양을 제어하기 위하여 원두 그라인딩 시간을 제어하되, 그라인딩 시간을 줄여 원두 분말의 양을 감소시키고, 그라인딩 시간을 늘려 원두 분말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도 1에서 미설명 부호는 본 발명의 배경기술을 설명하는데 직접 관련이 없어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즉, 상기 선행기술은 원두를 분쇄하여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하는 그라인더에 있어서, 구동시간을 조절하여 그라인딩되는 커피 파우더의 양을 조절하는 것이므로, 많은 량의 커피 파우더를 제조하여 호퍼에 충전하고 이를 다수의 용량으로 나누어 배출할 수 없기 때문에 빠른 시간 내에 여러 잔의 커피를 내려 빠른 시간 내에 다수인에게 커피를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그리고 파우더 배출장치에 관한 다른 종래기술에는 식용 파우더 또는 산업용 파우더를 이송하여 배출하는 등록특허 제10-0999962호 분체 이송장치에 구비되는 중도 배출장치가 공지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파우더 원료(분체)를 저장소 또는 공급부로부터 어느 일 방향으로 전달하고 배출하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파우더 배출장치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관 내부에 스크류를 구비하고 스크류 회전에 의해 파우더를 이송하는 분체 이송장치에 구비되는 중도 배출장치(100)로서, 분체 이송로(10) 소정의 위치에 연결되어 이송된 분체를 수용하는 분체 수용부(110)와; 수용된 분체를 개폐동작에 따라 배출하는 배출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출부(120)는 분체 수용부(110)의 내측 하부에서 수용된 분체를 일괄 배출하기 위해 구성된 것으로, 상기 제1걸림턱(113) 및 제2걸림턱(114)의 이격된 사이에 설치되고 분체 수용부(110)의 내주연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판형상의 회전판(121)과, 상기 회전판(121)의 두께부분을 관통하며 일체로 연결된 회전축(122)과, 상기 회전판(121) 및 회전축(122)에 회전동작을 인가하는 구동수단(123a, 123b)으로 구성된다.
상기의 회전축(122)이 지지되는 분체 수용부(110) 또는 그 외부에는 중량감지수단(130)이 형성되어 설정된 무게에 따른 수용된 분체의 배출시점을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중량감지수단(130)과 구동모터(123b)의 연동 동작으로 동일한 계측 상태에서 분체가 자동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상기 파우더 배출장치에 관한 종래기술은 중량감지수단을 통해 분체의 중량을 측정하고 중량감지수단과 구동모터를 연동시켜 설정된 동일한 중량의 분체를 나누어서 배출시키는 것으로, 덩어리 형태로 고착된 분체가 분체 이송로(10)와 분체 수용부(110)로 유입되어 정상적인 분체 이송이 어려운 경우가 발생되며, 이로 인해 파우더 분리배출이 불가능하거나 일정중량의 분체가 이송될 때까지 기다려야 되기 때문에 분체 분리배출에 오랜 시간이 걸리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또한 커피분말 자동 배출장치에 관한 또 다른 종래기술에는 등록특허 제10-1902676호 분쇄커피의 자동 압축을 위한 컴프레서가 공지되어 있는데, 이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유 형상으로 스크루 컨베이어가 배치되는 제1하우징부위(6)와; 터보믹서가 배치되는 제2하우징부(8)와; 제2하우징부(8)에 있는 출구부(14) 방향으로 터보믹서에 의해 분쇄커피가 압축되고, 출구부는 무게추(40)가 연결된 리텐션플랩(16)에 의해 개폐되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커피분말 자동 배출장치에 관한 종래기술 또한 분쇄커피가 덩어리 형태로 고착되어 제1, 2하우징부위로 유입되어 정상 이송이 어려운 경우가 발생되며, 이로 인해 파우더 분리배출이 불가능해지거나 일정중량의 커피분말이 이송될 때까지 기다려야 되기 때문에 커피분말 배출에 오랜 시간이 걸리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파우더 충전용 호퍼와 이송 스크루를 구비하는 식용 또는 산업용 파우더 디스펜서의 배출장치에 있어서, 호퍼에서 공급되는 파우더의 뭉치거나 고착된 파우더 덩어리의 배출을 방지하면서 균등한 량의 파우더가 이송 스크루 측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완전하게 분쇄된 상태의 파우더를 일정량씩 나누어 연속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파우더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부측에 파우더를 충전하는 호퍼유니트(201)와; 호퍼유니트의 하부측에 호퍼유니트를 받쳐서 설치하는 바디유니트(202)와; 바디유니트의 후방 일측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컨트롤유니트(203)를 포함하여 형성하는 파우더 디스펜서(200)에 있어서, 상기 호퍼유니트(201)는 일정량의 파우더를 충전하는 호퍼(201a)와; 호퍼의 내측 하부에 구비되어 파우더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파우더의 분산을 유도하는 파우더가이드(204)와; 파우더가이드와 연결되며 호퍼로부터 하강하는 파우더를 이송시켜 파우더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이송스크루(208)를 포함하여 형성하고, 상기 바디유니트(202)는 일측 수직 또는 어느 일측 면에 설치되어 이송스크루를 회전 작동시키는 모터를 구동하는 구동버튼(207)과; 상단 좌측에 파우더 배출구(205)를 포함하여 형성하고, 상기 컨트롤유니트(203)는 바디유니트의 후단부 일측 수직면에 상기 모터의 구동시간을 조정하는 시간조정부(206)를 포함하여 형성하는 파우더 디스펜서를 제공하도록 한다.
상기 호퍼(201a)는 상부에 파우더가 충전되는 파우더 충전공간(201b)을 형성하고, 하부에 이송스크루(208)가 설치되어 파우더를 이송시켜 배출하는 이송공간(201c)을 일정각도로 하향 경사시켜 연결하는 경사면(201d)으로 연결하여, 상부가 넓으며 개방되고 하부가 좁으며 밀폐된 통체를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경사면에는 워엄휠(210)의 소직경축(210d)이 삽입되어 워엄휠을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워엄휠장착공이 구비된 한쌍의 워엄휠장착턱(201f)을 전방과 후방의 일정위치에 각각 돌출시켜 형성하고, 상기 충전공간(201b)의 수직면 중간부에는 파우더가이드(204)에 구비되는 상부테두리(204a) 상면이 걸려서 설치되는 한쌍의 지지턱(201g)을 돌출시켜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파우더가이드(204)는 일정폭과 일정길이의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상부테두리(204a)와; 상기 상부테두리의 폭방향 중심 좌우측을 연결하며 일정폭의 수직평판으로 이루어지는 센터프레임(204b)과; 상기 상부테두리의 일측과 센터프레임의 하단부를 일정각도로 경사시켜 연결하며 일정간격으로 이격시켜 배치되는 다수개의 블레이드(204c)와; 상기 센터프레임의 좌측부에 파우더가이드를 구동시키는 워엄휠(210)이 내삽되는 워엄휠포켓(211)을 포함하여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워엄휠포켓(211)은 사각형의 공간을 포함하는 포켓으로 형성하되, 좌측에는 내삽된 워엄휠(210)의 유동봉(212)이 가이드되어 파우더가이드를 좌측방향(x1) 측으로 이동되도록 워엄휠의 이끝원의 원호 크기에 해당하는 반경으로 가이드원호(211a)를 형성하며, 상기 워엄휠포켓의 상부에는 회전하는 유동봉이 안착되어 파우더가이드를 하강시키는 유동봉안착부(211b)를 형성하고, 우측에는 회전하는 유동봉이 수직으로 가이드되며 파우더가이드를 우측방향(x2)으로 이동시키는 수직하강벽(211c)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이송스크루(208)와 워엄휠(210)은 워엄기어 형태로 치합되어 이송스크루(208)의 회전에 따라 워엄휠(210)이 회전되도록, 상기 워엄휠은 양단부에 일정길이의 소직경부(210d)를 포함하는 워엄휠축(210b)의 중앙에 형성하고, 원주상에는 복수개의 이빨(210a)을 등간격으로 형성하며, 상기 이빨의 어느 하나에는 이뿌리원에는 파우더가이드(204)의 기어포켓(211) 부위와 접촉되며 파우더가이드를 유동시키는 유동봉(212)을 형성하되, 유동봉과 워엄휠축을 판형보스(210c)로 연결하여 형성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모터와 이송스크루 회전을 통해 파우더를 배출하는 파우더 디스팬서에서 있어서, 모터 구동을 일정시간 간격으로 반복 on-off 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자동적으로 호퍼에 충전된 파우더를 일정한 량으로 일정하게 나누어 반복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본 발명은 모터가 동작되는 동안 파우더가이드를 유동시킴으로써, 호퍼에 충전되며 하강하는 뭉치거나 고착된 파우더 덩어리를 완전 분쇄하여 배출하면서 이송스크루의 전체 길이에 걸쳐 골고루 하강시켜 파우더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발생된다.
도 1 내지 도 3은 파우더 디스펜서의 종래기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우더 디스펜서의 조립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우더 디스펜서에 구비되는 호퍼유니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스크루와 워엄휠 및 파우더가이드의 결합 및 파우더가이드가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파우더 디스펜서에 구비되는 호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파우더 디스펜서에 구비되는 파우더가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스크루와 워엄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파우더 디스펜서에서 파우더가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나, 본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실시예와 균등한 기술들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이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종래기술과 동일하게 대응되는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우더 디스펜서(200)는 상부측에 파우더를 충전하는 호퍼유니트(201)와; 호퍼유니트의 하부측에 호퍼유니트를 받쳐서 설치하는 바디유니트(202)와; 바디유니트의 후방 일측에 연결시켜 설치되는 컨트롤유니트(203)와; 상기 호퍼유니트의 상부에 호퍼유니트 개폐용 커버(미도시)를 포함하여 형성한다.
상기 호퍼유니트(201)는 도 4,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량의 파우더를 충전하는 호퍼(201a)와; 호퍼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어 파우더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파우더의 분산을 유도하는 파우더가이드(204)와; 파우더가이드와 연결되며 호퍼에 충전되어 하강하는 파우더를 이송시키고 일정량씩 나누어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이송스크루(208)를 포함하여 형성한다.
상기 바디유니트(202)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 수직면 또는 어느 일측 면에 이송스크루를 회전 작동시키는 모터를 구동하는 구동버튼(207)을 설치하고, 좌측 상단에 파우더 배출구(205)를 포함하여 형성하며, 상기 컨트롤유니트(203)는 바디유니트의 후단부 일측 수직면에 상기 모터의 구동시간을 조정하는 시간조정부(206)를 포함하여 형성한다. 상기 구동버튼(207)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트롤유니트(203)의 어느 일측 수직면에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호퍼(201a)는 도 5,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에 파우더가 충전되는 파우더 충전공간(201b)을 형성하고, 하부에 이송스크루(208)가 설치되어 파우더를 이송시켜 배출하는 이송공간(201c)을 형성하며, 상기 충전공간(201b)과 이송공간(201c)을 일정각도로 하향 경사시킨 경사면(201d)으로 연결하여, 상부가 넓으며 개방되고 하부가 좁으며 밀폐된 통체를 일체로 형성한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송공간(201c)의 우측에는 이송스크루(208)가 설치되는 이송스크루 설치구(201e)를 형성하고, 좌측에는 이송스크루의 회전에 따라 충전공간(201b)에 충전된 파우더를 배출하는 배출구(205)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와 연결되어 이송스크루(208)를 회전시키는 구동기어(209)는 상기 이송스크루 설치구(201e)의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이송스크루축(208b)의 일측 단부에 설치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경사면에는 후술하는 워엄휠(210)의 소직경축(210d)을 삽입시켜 워엄휠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는 워엄휠장착공이 구비된 워엄휠장착턱(201f)을 호퍼의 전후방 일정위치에 돌출시켜 형성하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워엄휠장착턱은 호퍼의 좌측 또는 우측 또는 좌우측 모두에 설치(미도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공간(201b)의 좌측 수직면 중간부 일정위치에는 파우더가이드(204)의 상부테두리(204a) 상측면이 걸려져 설치되는 한쌍의 지지턱(201g)을 돌출시켜 형성하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우더가이드(204)가 워엄휠(210)에 의해 유동시 호퍼의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하 유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파우더가이드(204)는 도 5,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폭과 일정길이의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상부테두리(204a)와; 상기 상부테두리의 폭방향 중심 좌우측을 연결하며 일정폭의 수직평판으로 이루지는 센터프레임(204b)과; 상기 상부테두리의 일측과 센터프레임의 하단부를 일정각도로 경사시켜 V자형으로 연결하며 일정간격으로 이격시켜 배치되는 다수개의 블레이드(204c)와; 상기 센터프레임의 좌측부에 파우더가이드를 상하전후 방향으로 유동시키는 워엄휠(210)이 내삽되는 워엄휠포켓(211)을 포함하여 형성한다. 상기 V자형의 블레이드는 파우더가이드가 전후방향으로 유동시 파우더를 분산시킬 수 있도록 일정폭으로 연결하여 형성한다.
상기 워엄휠포켓(211)은 도 6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워엄휠이 내삽되는 폭이 좁은 사각형 공간을 포함하는 포켓으로 형성하되, 좌측에는 내삽된 워엄휠(210)의 유동봉(212)이 회전하면서 파우더가이드를 좌측방향(x1) 측으로 이동시키는 가이드원호(211a)를 형성하되, 상기 가이드원호의 반경은 워엄휠에 형성되는 이끝원 원호의 반경에 근접하는 크기로 형성하며, 가이드원호의 길이는 1/4 원호에 해당하는 크기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워엄휠포켓(211)의 상부측에는 회전하는 유동봉(212)이 상기 가이드원호(211a)를 통과한 후 안착되면서 파우더가이드(204)를 하강시키는 유동봉안착부(211b)를 형성하고, 우측에는 회전하는 유동봉(212)이 수직으로 가이드되어 파우더가이드(204)를 우측방향(x2)으로 이동시키는 수직하강벽(211c)을 형성한다.
상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파우더가이드(204)는 도 5,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테두리(204a)가 호퍼(204a)의 충전공간 수직내벽에 형성되는 지지턱(201g) 하부측에 걸려지도록 설치하며, V자형의 블레이드(204c) 길이방향 외측면은 파우더가이드의 경사면(201d)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위치시켜 설치한다.
또한 파우더가이드(204)의 V자형 하단부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원형 구조를 포함하여 형성하되, 상기 호퍼의 하부 이송공간(201c) 측에 위치되어 이송스크루(208) 이빨(208a)의 이끝원이 감싸지도록 위치시켜 설치한다.
즉, 상기 파우더가이드(204)는 호퍼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부테두리(204a)의 상단부는 후술하는 호퍼(201a)의 지지턱(201h)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V자형의 블레이드(204c)는 4각형 수직내벽의 하단과 연결되는 경사면(201d) 에 걸쳐져 슬라이드 접촉되도록 설치하고, V자형의 블레이드(204c) 하단부는 이송스크루의 이끝원이 감싸지도록 위치시켜 설치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파우더가이드(204)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 길이를 호퍼 길이보다 짧게 형성하되,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워엄휠의 유동봉(212)이 워엄휠포켓(211)에 접촉되어 회전하면서 좌측방향(x1)과 우측방향(x2)으로 원활한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호퍼 길이보다 짧게 형성한다.
이처럼 상기 파우더가이드(204)의 폭과 길이를 호퍼의 내측과 일정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함으로써, 파우더가이드(204)는 이송스크루 워웜휠 유동봉(212)의 회전에 의해 호퍼의 내측에서 원활한 유동이 이루어져, 파우더가이드(204)가 호퍼(204a)에 설치된 상태에서 후술하는 워엄휠(210)의 유동봉(212) 회전에 따라 상승, 하강, 좌측, 우측으로 반복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이송스크루(208)와 워엄휠(210)은 도 5,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워엄기어 형태로 치합되어 이송스크루(208)의 회전에 따라 워엄휠(210)이 회전하는 것으로, 이송스크루는 스크루축(208b) 전체에 걸쳐 워엄이빨(208a)을 일정피치로 형성하고, 워엄에 치합되어 회전하는 워엄휠(210)은 호퍼(201)의 경사면 양측에 형성되는 한쌍의 워엄휠장착턱(201f)에 끼워져 회전하는 워엄휠축(210b)의 중앙부에 형성하며, 이송스크루(208)의 일측 단부에는 모터(미도시)에 구비되는 피니언과 연결하는 구동기어(209)를 설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워엄휠(210)은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워엄휠의 중앙 양측에 일정길이의 장착공(210d)을 포함하는 워엄휠축(210b)을 형성하며, 원주상에는 복수개(8개)의 이빨(210a)을 등간격으로 형성하고, 어느 하나의 이빨부측 이뿌리원 부위에 유동봉(212)을 형성하되, 상기 유동봉을 워엄휠축과 판형보스(210c)로 연결한다.
즉, 상기 이빨의 어느 하나에는 이뿌리원에는 파우더가이드(204)의 기어포켓(211) 부위와 접촉되며 파우더가이드를 유동시키는 유동봉(212)을 형성하되, 유동봉과 워엄휠축을 판형보스(210c)로 연결하여 형성하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워엄휠이 회전하면 유동봉이 파우더가이드(204) 기어포켓(211)의 가이드원호(211a)와 유동봉안착부(211b) 및 수직하강벽(211c)와 접촉되면서 회전되어 파우더가이드를 상하좌우로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크루 구동용 모터의 구동시간을 조정하는 시간조정부(206)는 모터의 구동시간을 시, 분, 초 단위로 on-off 동작의 반복조정이 가능한 일반적으로 알려진 타이머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모터 구동버튼(207)을 동작시키거나 동작시키기 전에 상기 컨트롤유니트(203)의 시간조정부(206)를 통해 모터 동작을 일정시간 간격으로 반복 on-off 제어함으로써, 이송스크루(208)가 일정시간 회전하고 정지하는 작용이 반복되어 호퍼에 충전된 파우더를 동일한 량을 일정하게 나누어 연속적으로 자동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모터가 동작되는 동안 이송스크루와 연결된 워엄휠(210)이 회전되어 파우더가이드(204)를 전후상하로 유동시킴으로써,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퍼에 충전되며 하강하는 뭉치거나 고착된 파우더 덩어리를 포함하는 파우더를 파우더가이드 블레이드(204c)에 의해 잘게 부수면서 이송스크루의 전체 길이에 걸쳐 골고루 하강되어 파우더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발생된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워엄휠(210)의 워엄휠포켓(211)에 가이드원호(211a)와 유동봉안착부(211b) 및 수직하강벽(211c)으로 이어지는 궤도를 형성하고, 워엄휠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유동봉이 가이드원호를 따라 슬라이드 접촉 이동되어, 파우더가이드(204)를 호퍼의 길이방향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파우더가이드의 워엄휠포켓(211)측을 밀어올려 호퍼의 상측으로 들어올린다.
그리고 상기 유동봉이 가이드원호를 따라 슬라이드 접촉 이동 후 유동봉안착부(211b)에 진입하면, 가이드원호를 통과하면서 들어올려진 파우더가이드의 좌측부를 유동봉안착부의 깊이만큼 하강시키고, 이어서 상기 유동봉이 유동봉안착부(211b)를 통과하여 수직하강벽(211c) 측으로 진입하면, 즉시 파우더가이드가 호퍼의 길이방향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구조와 작용을 통해 본 발명은 유동봉이 워엄휠포켓(211)에 형성되는 가이드원호와 수직하강벽으로 이어지는 궤도를 따라 회동할 때 파우더가이드(204)를 호퍼의 상측 및 좌측과 우측 방향으로 빠르게 반복 이동시키면서 블레이드(204c)가 호퍼 내에서 뭉쳐지는 파우더 덩어리를 수평방향으로 잘게 분쇄하여 완전분말 상태를 형성하고, 또한 유동봉이 유동봉안착부를 통과할 때 파우더가이드를 빠르게 하강시켜 파우더 덩어리를 수직방향으로 잘게 분쇄하는 동시에 파우더가이드에 부착되는 파우더를 털어내어 완전 분말형태의 파우더를 원활하게 배출함으로써, 배출되는 파우더를 물 등의 다른 물질과 혼합시킬 때 빠르고 완전하게 혼합되는 효과가 발생되는 것이다.
200 : 파우더디스펜서 201 : 호퍼유니트
202 : 바디유니트 203 : 컨트롤유니트
204 : 파우더가이드 205 : 파우더 배출구
206 : 시간조정부 207 : 구동버튼
208 : 이송스크루 209 : 구동기어
201 : 워엄휠 211 : 기어포켓
212 : 유동봉
201a : 호퍼 201b : 파우더 충전공간
201c : 이송공간 201d : 경사면
201e : 이송스크루 설치구 201f : 워엄휠장착턱
201g : 지지턱 204a : 상부테두리
204b : 센터프레임 204c : 블레이드
208a : 워엄이빨 208b : 스크루축
210a : 이빨 210b : 워엄휠축
210c : 판형보스 210d : 장착공
211a : 가이드원호 211b : 유동봉안착부
211c : 수직하강벽

Claims (5)

  1. 파우더를 충전하는 호퍼유니트(201)와; 호퍼유니트의 하부측에 호퍼유니트를 받쳐서 설치하는 바디유니트(202)와; 바디유니트의 후방 일측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컨트롤유니트(203)를 포함하여 형성하는 파우더 디스펜서(200)에 있어서,
    상기 호퍼유니트(201)는 일정량의 파우더를 충전하는 호퍼(201a)와; 호퍼의 내측 하부에 구비되어 파우더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파우더의 분산을 유도하는 파우더가이드(204)와; 파우더가이드와 연결되며 호퍼로부터 하강하는 파우더를 이송시켜 파우더 배출구(205)를 통해 배출하는 이송스크루(208)를 포함하여 형성하고,
    상기 바디유니트(202)는 일측 수직 또는 어느 일측 면에 설치되어 이송스크루를 작동시키는 모터를 구동하는 구동버튼(207)과; 상단 좌측에 파우더 배출구(205)를 포함하여 형성하고, 상기 컨트롤유니트(203)는 바디유니트의 후단부 일측 수직면에 상기 모터의 구동시간을 조정하는 시간조정부(206)를 포함하여 형성하되,
    상기 호퍼(201a)는 상부에 파우더가 충전되는 파우더 충전공간(201b)을 형성하고, 하부에 이송스크루(208)가 설치되어 파우더를 이송시켜 배출하는 이송공간(201c)을 일정각도로 하향 경사시켜 연결하는 경사면(201d)으로 연결하여, 상부가 넓으며 개방되고 하부가 좁으며 밀폐된 통체를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경사면에는 워엄휠(210)의 소직경축(210d)이 삽입되어 워엄휠을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워엄휠장착공이 구비된 한쌍의 워엄휠장착턱(201f)을 전방과 후방의 일정위치에 각각 돌출시켜 형성하고,
    상기 충전공간(201b)의 수직면 중간부에는 파우더가이드(204)에 구비되는 상부테두리(204a) 상면이 걸려서 설치되는 한쌍의 지지턱(201g)을 돌출시켜 형성하며,
    상기 파우더가이드(204)는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상부테두리(204a)와; 상기 상부테두리의 폭방향 중심 좌우측을 연결하며 일정폭의 수직평판으로 이루어지는 센터프레임(204b)과; 상기 상부테두리의 일측과 센터프레임의 하단부를 일정각도로 경사시켜 연결하며 일정간격으로 이격시켜 배치되는 다수개의 블레이드(204c)와; 상기 센터프레임의 좌측부에 파우더가이드를 구동시키는 워엄휠(210)이 내삽되는 워엄휠포켓(211)을 포함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더 디스펜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워엄휠포켓(211)은 사각형의 공간을 포함하는 포켓으로 형성하되, 좌측에는 내삽된 워엄휠(210)의 유동봉(212)이 가이드되어 파우더가이드를 좌측방향(x1)으로 이동되도록 워엄휠의 이끝원의 원호 크기에 해당하는 반경으로 가이드원호(211a)를 형성하며,
    상기 워엄휠포켓의 상부에는 회전하는 유동봉이 안착되어 파우더가이드를 하강시키는 유동봉안착부(211b)를 형성하고, 우측에는 회전하는 유동봉이 수직으로 가이드되며 파우더가이드를 우측방향(x2)으로 이동시키는 수직하강벽(211c)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더 디스펜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스크루(208)와 워엄휠(210)은 워엄기어 형태로 치합되어 이송스크루(208)의 회전에 따라 워엄휠(210)이 회전되도록,
    상기 워엄휠은 양단부에 일정길이의 소직경부(210d)를 포함하는 워엄휠축(210b)의 중앙에 형성하고, 원주상에는 복수개의 이빨(210a)을 등간격으로 형성하며,
    상기 이빨의 어느 하나에는 이뿌리원에는 파우더가이드(204)의 기어포켓(211) 부위와 접촉되며 파우더가이드를 유동시키는 유동봉(212)을 형성하되, 유동봉과 워엄휠축을 판형보스(210c)로 연결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더 디스펜서.
KR1020210178189A 2021-12-14 2021-12-14 파우더 디스펜서 KR102477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189A KR102477228B1 (ko) 2021-12-14 2021-12-14 파우더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189A KR102477228B1 (ko) 2021-12-14 2021-12-14 파우더 디스펜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7228B1 true KR102477228B1 (ko) 2022-12-13

Family

ID=84439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8189A KR102477228B1 (ko) 2021-12-14 2021-12-14 파우더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722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2740A (ko) * 1992-07-02 1994-02-19 이희종 음료자동판매기의 원료굳음 방지장치
KR20010048045A (ko) * 1999-11-24 2001-06-15 이충전 자동판매기의 분말원료 굳음 방지장치
KR100878227B1 (ko) * 2007-07-31 2009-01-12 김영도 커피믹스 분배기
JP2014061988A (ja) * 2012-09-24 2014-04-10 Kawata Mfg Co Ltd 粉粒体供給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2740A (ko) * 1992-07-02 1994-02-19 이희종 음료자동판매기의 원료굳음 방지장치
KR20010048045A (ko) * 1999-11-24 2001-06-15 이충전 자동판매기의 분말원료 굳음 방지장치
KR100878227B1 (ko) * 2007-07-31 2009-01-12 김영도 커피믹스 분배기
JP2014061988A (ja) * 2012-09-24 2014-04-10 Kawata Mfg Co Ltd 粉粒体供給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48693T3 (es) Dispositivo de molinillo y de dosificación de café, en particular para máquinas de expresso
KR100552222B1 (ko) 원두커피 분쇄장치
ES2489473T3 (es) Sistema de bebida de café, cartucho de envasado de granos de café para usar con dicho sistema, método de preparación de una bebida, método de elaboración de café, método de suministro de granos de café, cartucho para material de granos de café, método de suministro de material de granos de café
JPH01203053A (ja) 堅型のローラミル
US8439235B2 (en) Automatic ground-coffee dispenser
US20090041915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expanded food
WO1993012704A1 (en) Auger portioning device for a coffee bean grinder
US4228934A (en) Ice body delivery apparatus
CN111938435A (zh) 一种咖啡机磨豆装置和咖啡机
KR102477228B1 (ko) 파우더 디스펜서
EP0424326B1 (en) Single-grinding body grinding device in particular for grinding either one or more coffee blends
JP4993372B2 (ja) 粉粒体充填装置
KR200488169Y1 (ko) 곡물 분쇄장치
KR20180131451A (ko)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의 필터 홀더를 위한 도징 장치 및 이 장치로 구현된 도징 방법
US6581511B2 (en) Multi-reservoir automatic dispenser system
US6814111B1 (en) Adjustable volume side discharge feeder
US4694780A (en) Animal actuated feeder
CA1129274A (en) Animal-feeding device
US4330233A (en) Flow control apparatus for silage unloader
CN215302700U (zh) 撒料装置及餐食制作机
KR102151171B1 (ko) 그라인더의 분쇄입도 조절장치
KR102613462B1 (ko) 분입체 정량공급용 피더장치
WO2020241463A1 (ja) 粉砕装置
CN211612612U (zh) 给料系统
WO2023044672A1 (en) Coffee grin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