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1171B1 - 그라인더의 분쇄입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그라인더의 분쇄입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1171B1
KR102151171B1 KR1020190065436A KR20190065436A KR102151171B1 KR 102151171 B1 KR102151171 B1 KR 102151171B1 KR 1020190065436 A KR1020190065436 A KR 1020190065436A KR 20190065436 A KR20190065436 A KR 20190065436A KR 102151171 B1 KR102151171 B1 KR 102151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nder
particle size
ring
stopping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5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광
Original Assignee
오세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세광 filed Critical 오세광
Priority to KR1020190065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11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1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1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22Coffee mills; Spice mills having pulverising beaters or rotary knives
    • A47J42/28Beaters or kni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38Parts or details
    • A47J42/50Supplying devices, e.g. funnels; Supply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라인더의 분쇄입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 제1 및 제2분쇄날을 포함하는 그라인더에 구비되는 것으로, 제1분쇄날을 승하강시켜 입도를 조절하기 위한 입도조절유닛을 더 구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정도의 분쇄입도를 손쉽게 설정할 수 있으며, 스토퍼를 통하여 분쇄입도가 조절된 상태를 손쉽게 유지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그라인더의 분쇄입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그라인더의 분쇄입도 조절장치{BEAN SIZE REGULATION APPARATUS OF GRINDER}
본 발명은 그라인더의 분쇄입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 제1 및 제2분쇄날을 포함하는 그라인더에 구비되는 것으로, 제1분쇄날을 승하강시켜 입도를 조절하기 위한 입도조절유닛을 더 구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정도의 분쇄입도를 손쉽게 설정할 수 있으며, 스토퍼를 통하여 분쇄입도가 조절된 상태를 손쉽게 유지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그라인더의 분쇄입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용커피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볶은 원두커피를 적절한 크기로 분쇄한다. 이때 분쇄한 입자가 미세하면 물과 닿는 면적이 많아 커피를 추출할 때 맛과 향이 빨리 우러나지만 그 맛이 쓰거나 떫어지기 쉽고, 분쇄한 입자가 굵으면 맛이 우러나는데 시간이 걸리고 커피의 맛과 향이 충분한 상태로 추출되기가 어렵다. 따라서 맛과 향이 좋은 커피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원두커피를 적절한 크기로 분쇄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맛의 차이는 사용자 개개인의 취향에 따라 선호도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며, 그라인더 내에서 분쇄 입도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0552222호 "원두커피 분쇄장치"가 있는데,(이하 '종래기술1'이라 한다.)
상기 종래기술1은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며 상면에 분쇄날이 형성된 회전커터와, 상기 회전커터의 상부에 이격상태로 설치되고 하면에 분쇄날이 형성되며 그 중앙에 원료투입구가 형성된 고정커터와, 상기 고정커터의 승강을 위해 상기 고정커터와 나사 결합을 통해 연결되는 웜휠과, 상기 웜휠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웜휠의 외주부에 결합되는 웜과, 상기 웜을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간격조절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분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1의 경우에는 전동식 승강장치를 통하여 고정커터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분쇄커피의 입자크기를 조절하고 있으나, 전동식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별도의 간격조절모터의 구성이 더 필요하여, 제품의 무게가 증가하고 제작비용 또한 높아질 수 있는 문제가 있으며, 유지 보수 비용 또한 증가할 수 밖에 없다.
또한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1131021호 "커피기에 대한 커피 분쇄기 조립체"가 있는데,(이하 '종래기술2'라 한다.)
상기 종래기술2는 하우징, 제1 하부 분쇄 휠 지지 부재, 제1 하부 분쇄 휠, 제2 상부 분쇄 휠 지지 부재 및 제2 상부 분쇄 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부 분쇄 휠 및 제2 상부 분쇄 휠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식으로 수용되고, 상기 제1 하부 분쇄 휠 지지 부재 및 제1 하부 분쇄 휠 모두는 상기 제1 하부 분쇄 휠을 상기 제1 하부 분쇄 휠 지지부재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1 협력 연결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상부 분쇄 휠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상부 분쇄 휠 모두는 상기 제2 상부 분쇄 휠을 상기 제2 상부 분쇄 휠 지지 부재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2 협력연결 수단을 포함하는 커피 분쇄기 조립체에 있어서, 각각의 제1 및 제2 협력 연결 수단은 상기 제2 상부 분쇄 휠 지지 부재와 제2 상부 분쇄 휠 뿐만 아니라 제1 하부 분쇄 휠 지지 부재와 제1 하부 분쇄 휠의 상호 회전이 각 경우에 분쇄 작업 중 발생하는 토크력의 영향 하에서 그 결합된 위치에서 구동되는 상호결합 폐색부용으로 제공되는 회전식 폐색부로 형성되는 커피 분쇄기 조립체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2는 구조는 간단하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분쇄 입도를 조절할 수 있는 어떠한 장치도 구비되어 있지 않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개인 선호도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1122278호 "원두커피 자동분쇄기"가 있는데,(이하 '종래기술3'이라 한다.)
상기 종래기술3은 본 발명은 하부에 보관용기가 내장된 분쇄기 본체와, 상기 분쇄기 본체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호퍼와, 상기 호퍼의 내측에 설치되어 원두를 분쇄하는 분쇄날 조립체와, 상기 분쇄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된 커버와, 상기 커버에 구비된 구동모터를 구비한 원두커피 자동분쇄기에 있어서, 상기 분쇄날 조립체(30)는 축부재(33)에 결합된 고정 분쇄날(31)과, 상기 호퍼(20)의 내측에 결합된 회전 분쇄날(32)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모터(50)의 구동축(51)과 상기 축부재(33)는 조인트(60)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축부재(33)에는 내측에 형성된 관통공(71a)이 관통되어 호퍼(20)에 설치되는 지지부재(71)와, 상기 축부재(33)의 중간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재(71)와 나사결합되는 승강부재(72)와, 상기 승강부재(72)에 연결되며 분쇄기 본체(10)의 외부로 연장되는 조절레버(73)를 포함하는 분쇄크기 조절기구(70)를 더 구비한 자동분쇄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3은 조절레버를 회전시켜 승강부재를 회전시켜 분쇄날을 승강함에 따라 분쇄입도를 조절하도록 고안되어 있으나, 이 경우, 글라인딩 동작 중에 진동 또는 외력에 의해 조절레버가 회전하면 분쇄입도가 변경될 수 있어 분쇄입자의 크기가 일정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나아가 종래기술로 공개특허 제10-2018-0127334호 "커피원두 로스팅 및 분쇄장치"가 있는데,(이하 '종래기술4'라 한다.)
상기 종래기술4는 원두통(12)에서는 커피원두의 로스팅이 이루어지고, 로스팅된 커피원두는 상기 원두통(12)의 관통공(14)을 통해 상부분쇄날(54)과 하부분쇄날(62) 사이로 전달되어 분쇄되고, 상기 상부분쇄날(54)과 하부분쇄날(62) 사이의 간격은 노브(64)를 사용하여 조절될 수 있는 분쇄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4는 노브를 회전시켜 하부장착판을 밀어올려 분쇄 입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나, 이 또한 종래기술3과 같이 분쇄 입도가 조절된 상태를 유지하는 장치가 구비되지 않음에 따라 글라인딩 중 분쇄되는 입도가 변경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로스팅된 원두를 분쇄하는 그라인더에 구비되는 입도조절유닛을 통하여 조절링을 회전함에 따라 제1분쇄날을 승하강시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분쇄되는 원두의 입도(분쇄입자의 크기)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그라인더의 분쇄입도 조절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스토퍼를 더 구비함에 따라 사용자가 조절링을 회전시킨 후, 조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임의로 분쇄입도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는 그라인더의 분쇄입도 조절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스토핑노브를 당기는 동작으로 조절링의 회전을 허용하고, 스토핑노브를 당기지 않으면 조절링의 회전을 불허하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높이고,
더 나아가 스토핑노브를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상기 조절링의 회전을 허용 또는 불허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분쇄입도를 설정 및 유지할 수 있도로 고안된 그라인더의 분쇄입도 조절장치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그라인더의 분쇄입도 조절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분쇄날을 포함하여, 투입된 원두가 상기 제1분쇄날과 제2분쇄날 사이에서 상기 제2분쇄날의 회전에 의해 분쇄되도록 이루어지는 그라인더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조절링과, 상기 조절링 하부에 결합되되, 하부에 상기 제1분쇄날이 결합되는 승하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조절링을 회전시키면 상기 제1분쇄날이 승하강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제2분쇄날과의 거리가 조절됨으로써 원두의 분쇄입도를 조절하는 입도조절유닛;
상기 본체에 고정 결합되되, 상기 조절링 내측에 위치하며 외면에 톱니부가 형성된 고정링과, 상기 조절링 내측에 구비되며 대응톱니부가 형성된 스토핑부재 및 상기 스토핑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조절링 일측으로 돌출 구비되는 스토핑노브를 포함하는 스토퍼;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톱니부와 대응톱니부가 결합되면 상기 조절링이 회전되지 않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그라인더의 분쇄입도 조절장치는
원두를 분쇄하는 그라인더에 있어서, 단순히 조절링을 회전시켜 분쇄날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입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입도조절유닛을 구비함에 따라 사용자가 개인 선호도에 따른 분쇄입도를 손쉽게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스토퍼를 더 구비하여 조절링의 회전을 허용 또는 불허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작동 중 설정된 분쇄입도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여 균일하게 원두를 분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토퍼는 톱니와 대응톱니의 체결구조를 통해 조절링의 회전을 허용 또는 불허하는 것으로서, 스토핑노브를 당기는 동작에 의해 톱니와 대응톱니를 이격시켜 분쇄입도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높이고,
더 나아가 상기 스토핑노브를 회전시키면 자연스럽게 스토핑노브가 당겨질 수 있도록 뾰족돌기와 오목홈의 구성을 더 구비함에 따라 사용자가 힘을 들이지 않고 편리하게 조절링의 회전을 허용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그라인더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그라인더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그라인더의 분쇄입도 조절장치의 상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그라인더의 분쇄입도 조절장치가 나타나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의 상세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의 실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그라인더(G)의 분쇄입도 조절장치는, 원두를 분쇄하는 그라인더(G)에 구비되는 것으로, 입도조절유닛(20)과 스토퍼(3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먼저,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그라인더(G)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그라인더(G)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는 제1분쇄날(11) 및 제2분쇄날(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서의 본체(10)는 커피 원두를 투입하여 분쇄하는 그라인더(G)와, 분쇄된 원두(파우더)를 포타필터에 넣은 후 이 파우더를 탬핑하는 탬핑기(60)가 함께 구성된 것으로, 상기 탬핑기(60)는 상기 그라인더(G) 일측에 구비되어 포타필터를 장착하는 어퍼클램프(61) 및 로어클램프(63)를 포함하고, 상하 승하강 탬핑동작을 하는 탬퍼(65)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그라인더(G)와 탬핑기(60)는 각각 서로 다른 제어부(16)를 통해 제어되거나, 단일의 제어부(16)를 통하여 제어될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은 그라인더(G)의 분쇄입도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탬핑기(60)가 구비되지 않은 그라인더(G)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시 상기 그라인더(G)의 구동 원리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원두가 상기 그라인더(G)에 구비되는 투입부(14)로 투입되면, 상기 원두는 본체(10)에 구비되는 제1분쇄날(11)과 제2분쇄날(12) 사이에서 상기 제2분쇄날(12)의 회전력에 의해 분쇄되어 배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를 위하여 상기 제2분쇄날(12)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모터(18)가 더 구비되는 것은 자명하다.
또한 분쇄입도를 조절하는 방식으로는 상기 제1분쇄날(11)과 제2분쇄날(12)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의 상부에는 원두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부(14)가 형성되고, 이 투입부(14)에 투입호퍼(40)가 체결되어 원두를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투입호퍼(40)는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형상으로 많은 양의 원두를 보관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투입호퍼(40)의 하부에는 상기 투입부(14)와 연통되는 원두투입공(43)이 구비되어, 상기 투입호퍼(40) 내의 원두가 중력에 의해 상기 원두투입공(43)을 통해 투입부(14)로 투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투입호퍼(40)를 상기 투입부(14)에 체결하기 위하여, 상기 투입호퍼(40)의 하부에는 별도의 연결부재(45)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45)의 구성은 종래의 공지된 기술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시, 상기 투입호퍼(40)에는 다량의 원두가 보관되어 있고, 그라인더(G)를 동작시키면 이 원두가 무한하게 공급될 수 있는 바, 본 발명은 일정한 양의 원두를 투입부(14)에 투입하기 위한 별도의 개폐부재(5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부재(50)는 상기 투입호퍼(40) 하단,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연결부재(45)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힌지부(51)를 통해 힌지결합되어 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아울러, 상기 개폐부재(50)의 회전을 위한 장공(41)이 상기 연결부재(45) 측면에 형성되는 것은 자명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두를 투입하는 경우, 상기 개폐부재(50)를 회전시켜 상기 원두투입공(43)을 열어 원두가 투입부(14)로 인입되도록 하고, 그 이후 다시 상기 개폐부재(50)를 회전시켜 상기 원두투입공(43)을 폐쇄하여 더 이상 원두가 투입되는 것을 방지한 다음에 그라인더(G)를 동작하여 일정량의 원두를 분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의 외면에는 별도의 제어부(16)가 더 구비되어, 그라인더(G)를 동작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배출부(15)에는 포타필터안착부(151)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포타필터를 고정하여 배출부(15)를 통하여 배출되는 분쇄된 원두를 바로 포타필터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본체(10), 보다 정확하게 상기 투입부(14) 하부에는 별도의 분쇄부하우징(25)이 더 구비되고, 이 분쇄부하우징(25) 내부에 승하강부재(23)가 결합되며, 상기 승하강부재(23) 하부에 제1분쇄날(11)이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분쇄날(12)은 상기 제1분쇄날(11) 하부에 위치하되, 상기 제1분쇄날(11)과 결합되지 않고, 상기 회전모터(18)의 회전축과 결합되며, 이에 따라 상기 회전모터(18)가 동작하면, 상기 제2분쇄날(12)이 회전하여 제1분쇄날(11)과 제2분쇄날(12) 사이로 유입된 원두를 분쇄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제1분쇄날(11)과 상기 제2분쇄날(12)은 모두 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분쇄날(11)과 제2분쇄날(12)의 중앙으로 원두가 유입되면, 상기 제2분쇄날(12)이 회전하여 원심력에 의해 상기 제1분홰날과 제2분쇄날(12) 틈새로 원두를 밀어 분쇄하여 상기 제1분쇄날(11) 및 제2분쇄날(12) 외측으로 배출하여 상기 본체(10)의 배출부(15)를 통하여 분쇄된 원두가 배출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 때 분쇄되는 입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입도조절유닛(20)을 더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입도 조절방식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분쇄날(11)을 승하강시켜 제2분쇄날(12)과의 거리를 조절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분쇄날(11) 상부에는 승하강부재(23)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승하강부재(23)의 외면에는 나사산(231)이 형성되며,
상기 분쇄부하우징(25)의 상부내측에 직접적으로 상기 나사산(231)에 대응하는 대응나사산(251)이 형성되거나, 상기 분쇄하우징 상부에 링너트를 더 구비하고, 이 링너트에 대응나사산(251)을 형성하여 상기 승하강부재(23)가 상기 분쇄부하우징(25) 내측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된다.
즉, 상기 분쇄부하우징(25)(또는 상기 링너트)과 승하강부재(23)가 나사결합을 하고 있음에 따라, 상기 분쇄부하우징(25)이 회전하면 나사산(231)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게 되고, 상기 승하강부재(23) 하부에 결합되는 제1분쇄날(11)이 승하강하여 제2분쇄날(12)과의 이격거리가 조정되는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본 발명은 상기 승하강부재(23)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조절링(21)을 더 구비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분쇄입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입도조절유닛(20)은 조절링(21), 승하강부재(23) 및 분쇄부하우징(25)을 모두 포함하는 구성을 말하고, 후술하는 스토퍼(30)는 고정링(31), 스토핑부재(33) 및 스토핑노브(35)를 포함하는 구성을 지칭하는 것으로, 어느 한 특정위치를 표기할 수 없어 도면에서는 도면부호를 생략하도록 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다시 상기 승하강부재(23)의 상부에는 조절링(21)이 결합되어 조절링(21)을 회전시키면 승하강부재(23)가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조절링(21)은 링형상으로 상기 본체(10) 상부의 투입부(14)에 구비되게 된다.
또한 상기 조절링(21)의 외면에는 눈금부(215)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10)의 상부에는 마킹돌기(141)를 구비하여, 상기 마킹돌기(141)가 나타내는 눈금부(215)를 보며 사용자가 손쉽게 분쇄입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상기와 같이 조절링(21)을 회전시켜 분쇄입도를 조절하는 경우에는, 그라인더(G)의 동작에서 발생하는 진동, 의도치 않은 충격 등에 의해 상기 조절링(21)이 회전하여 분쇄입도가 변경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토퍼(30)의 구성을 더 구비하여 조절링(21)의 회전을 불허함에 따라 분쇄입도가 임의로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토퍼(30)의 구성에 대하여 도3 및 도5 내지 도7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도3 및 도5는 스토퍼(30)의 구성에 대한 상세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6 및 도7은 스토퍼(30)를 동작하는 실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스토퍼(30)는 상기 본체(10)에 고정 결합되되, 상기 조절링(21) 내측에 위치하며 외면에 톱니부(311)가 형성된 고정링(31)과, 상기 조절링(21) 내측에 구비되며 대응톱니부(331)가 형성된 스토핑부재(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우선 상기 조절링(21)의 내측에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링(31)이 상기 본체(10) 상부에 고정결합되고, 이 고정링(31)의 외면에는 복수의 돌기로 이루어진 톱니부(311)가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조절링(21)의 일측에는 상기 후술하는 스토핑부재(33)를 내장하기 위한 블록(211)이 돌출 성형되어 있으며, 이 블록(211) 내측에 상기 톱니부(311)에 체결될 수 있는 대응톱니부가 형성된 스토핑부재(33)가 구비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블록(211) 내측에 구비되는 스토핑부재(33)가 고정링 방향으로 전진하여 상기 톱니부와 대응톱니부가 상호 체결되면, 상기 조절링의 회전을 불허하고,
상기 스토핑부재(33)가 후퇴하여 톱니부와 대응톱니부가 서로 이격되면 상기 조절링의 회전을 허용하여 원두의 분쇄 입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톱니부와 대응톱니부의 결합 및 해제 동작에 있어, 상기 스토핑부재(33)가 상승 또는 하강하는 동작으로 이행될 수도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나아가, 상기 스토핑부재(33)의 동작을 보다 수월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스토퍼에는 상기 스토핑부재(33)에 결합되어 상기 조절링(21) 일측으로 돌출 구비되는 스토핑노브(3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블록(211)은 조절링(21)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블록(211)의 중앙에는 별도의 관통공(211A)이 형성되고, 후술하는 스토핑노브(35)의 축부(353)가 상기 관통공(211A)을 관통하여 상기 스토핑부재(33)에 결합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스토핑노브(35)는 축부(353)가 구비된 노브로서, 외면에 복수의 돌기로 이루어진 미끄럼방지부(355)가 형성되고, 상기 축부(353)가 상기 관통공(211A)을 통과하여 상기 축부(353)에 구비되는 결합부(353A)에 상기 스토핑부재(33)가 체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스토핑부재(33)에는 상기 톱니부(311)에 대응 결합할 수 있는 대응톱니부(331)가 더 형성되어 있어, 상기 톱니부(311)와 대응톱니부(331)가 체결되면, 본체(10)에 고정되는 고정링(31)에 의해 상기 조절링(21)의 회전이 불허되고, 상기 톱니부(311)와 대응톱니부(331)가 상호 이격되면, 조절링(21)이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도6 및 도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핑노브(35)가 전진(상기 고정링(31)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전진이라 하고, 스토핑노브(35)를 당기는 방향을 후퇴하는 방향이라고 명명하도록 한다.)된 상태에서는 상기 스토핑부재(33)가 전진하여 톱니부(311)와 대응톱니부(331)가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고, 이 때 도6 및 도7의 [B]와 같이 상기 스토핑노브(35)를 후퇴시키면(당기면) 상기 스토핑부재(33)가 후퇴하여 톱니부(311)와 대응톱니부(331)가 이격됨에 따라 조절링(21)의 회전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스토핑노브(35)와 스토핑부재(33)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별도의 링크암을 통해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아울러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블록(211)의 내측에는 상기 스토핑부재(33)를 전진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별도의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여, 사용자가 당기는 경우에만 조절링(21)의 회전을 허용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스토핑노브(35)의 후퇴 및 후퇴고정 동작을 보다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오목홈(213)과 뾰족돌기(351)의 구성을 더 구비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블록(211)의 외면, 보다 정확하게 상기 블록(211)의 스토핑노브(35)가 위치하는 면은 오목홈(213)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핑노브(35)의 내측에는 뾰족돌기(351)가 형성되며, 상기 뾰족돌기(351)는 안정감을 부여하기 위하여 상기 축부(353) 양측에 한 쌍으로 구비되게 된다.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상기 오목홈(213)은 상기 블록(211) 끝단으로부터 중앙으로 함몰된 형상의 홈으로, 상기 블록(211)을 상부에서 볼 때
Figure 112019056892150-pat00001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지며, 내측으로 가장 인입된 부분은 인입선(213A)이라 할 때 상기 인입선(213A)은 수직방향으로 일직선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뾰족돌기(35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핑노브(35) 내측에 돌출 구비되는 것으로서, 중앙에 뾰족부(351A)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뾰족부(351A)가 형성된 뾰족돌기(351)가 상기 오목홈(213)에 안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도6 및 도7의 실시도를 통하여 각 동작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각 도면의 [A]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스토핑부재(33) 및 스토핑노브(35)가 전진한 상태인 경우, 상기 뾰족돌기(351)는 상기 축부(353)를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오목홈(213)에 내삽되며, 이 때 상기 뾰족부(351A)가 상기 인입선(213A)에 밀착되게 된다.
이 때 사용자가 각 도면의 [B]와 같이 스토핑부재(33)와 스토핑노브(35)를 후퇴시키고자 할 때, 사용자가 스토핑노브(35)를 회전시키면, 상기 뾰족부(351A)가 상기 오목홈(213) 내에서 상기 인입선(213A) 양측에 형성된 사선면을 따라 오목홈(213) 중앙에서 바깥쪽으로 이동하며, 이동 완료 후에는 상기 뾰족부(351A)가 상기 인입선(213A)에 밀착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블록(211)의 단부,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블록(211)의 가장자리에 위치하여 자연스럽게 오목홈(213)이 형성된 깊이 만큼 스토핑노브(35)가 후퇴하는 효과를 보며, 이는 결과적으로 스토핑부재(33)를 후퇴시켜 조절링(21)의 회전을 허용할 수 있게 된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그라인더의 분쇄입도 조절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G : 그라인더 10 : 본체
11 : 제1분쇄날 12 : 제2분쇄날
14 : 투입부 141 : 마킹돌기
15 : 배출부 151 : 포타필터안착부
16 : 제어부 18 : 회전모터
20 : 입도조절유닛 21 : 조절링
211 : 블록 211A : 관통공
213 : 오목홈 213A : 인입선
215 : 눈금부 23 : 승하강부재
231 : 나사산 25 : 분쇄부하우징
251 : 대응나사산 30 : 스토퍼
31 : 고정링 311 : 톱니부
33 : 스토핑부재 331 : 대응톱니부
35 : 스토핑노브 351 : 뾰족돌기
351A : 뾰족부 353 : 축부
353A : 결합부 355 : 미끄럼방지부
40 : 투입호퍼 41 : 장공
43 : 원두투입공 45 : 연결부재
50 : 개폐부재 51 : 힌지부
60 : 탬핑기 61 : 어퍼클램프
63 : 로어클램프 65 : 탬퍼

Claims (4)

  1.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분쇄날을 포함하여, 투입된 원두가 상기 제1분쇄날과 제2분쇄날 사이에서 상기 제2분쇄날의 회전에 의해 분쇄되도록 이루어지는 그라인더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조절링과, 상기 조절링 하부에 결합되되, 하부에 상기 제1분쇄날이 결합되는 승하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조절링을 회전시키면 상기 제1분쇄날이 승하강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제2분쇄날과의 거리가 조절됨으로써 원두의 분쇄입도를 조절하는 입도조절유닛;
    상기 본체에 고정 결합되되, 상기 조절링 내측에 위치하며 외면에 톱니부가 형성된 고정링과, 상기 조절링 내측에 구비되며 대응톱니부가 형성된 스토핑부재를 포함하는 스토퍼;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톱니부와 대응톱니부가 체결되면, 상기 조절링이 회전되지 않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더의 분쇄입도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스토핑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조절링 일측으로 돌출 구비되는 스토핑노브와, 상기 스토핑부재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더의 분쇄입도 조절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스토핑노브를 당겨 스토핑부재를 고정링 반대방향으로 후퇴시키면, 상기 톱니와 대응톱니의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조절링의 회전이 허용되고,
    상기 스토핑노브를 놓으면, 상기 스토핑노브 및 스토핑부재가 상기 고정링 방향으로 탄성부재에 의해 전진하여 상기 톱니와 대응톱니가 체결됨으로서 조절링의 회전을 불허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더의 분쇄입도 조절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링의 일측에는 오목홈이 형성된 블록이 구비되고,
    상기 스토핑노브의 내측에는 상기 오목홈에 안착되도록 뾰족부가 형성된 뾰족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스토핑노브를 회전시키면, 상기 뾰족부가 오목홈의 중앙에서 바깥쪽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스토핑노브가 후퇴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더의 분쇄입도 조절장치.
KR1020190065436A 2019-06-03 2019-06-03 그라인더의 분쇄입도 조절장치 KR102151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436A KR102151171B1 (ko) 2019-06-03 2019-06-03 그라인더의 분쇄입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436A KR102151171B1 (ko) 2019-06-03 2019-06-03 그라인더의 분쇄입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1171B1 true KR102151171B1 (ko) 2020-09-02

Family

ID=72469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5436A KR102151171B1 (ko) 2019-06-03 2019-06-03 그라인더의 분쇄입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117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8758A (ko) * 2003-04-11 2004-10-20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원두커피 분쇄장치
KR20180127334A (ko) * 2016-03-30 2018-11-28 오세훈 커피원두 로스팅 및 분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8758A (ko) * 2003-04-11 2004-10-20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원두커피 분쇄장치
KR20180127334A (ko) * 2016-03-30 2018-11-28 오세훈 커피원두 로스팅 및 분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93855B2 (ja) 焙煎コーヒー豆粉砕装置
JP5097005B2 (ja) 香料破砕グラインダー及びその自動開閉制御装置
CN107837905A (zh) 一种具有粉碎粒度可调功能的鱼饲料用粉碎设备
EP3741271B1 (en) Coffee bean grinding mechanism
JP2020519338A (ja) 豆粉砕器具
CN105682805A (zh) 适于球磨机或搅拌球磨机的预磨碎装置及具有预磨碎装置的球磨机
KR102151171B1 (ko) 그라인더의 분쇄입도 조절장치
KR100374677B1 (ko) 분쇄기
KR102157660B1 (ko) 청소가 용이한 분쇄기
CN206082767U (zh) 粉碎研磨机
KR101932088B1 (ko) 원두분쇄장치
KR200381603Y1 (ko) 곡물 분쇄기
CN106216063B (zh) 粉碎研磨机
KR101335691B1 (ko) 고추 분쇄기
AU2009202515A1 (en) Coffee-bean container for coffee grinder
KR101314584B1 (ko) 분쇄조절용기
JP2012045378A (ja) 飲料抽出用原料の粉砕装置
JP3728675B2 (ja) 製粉機
KR100451607B1 (ko) 커피자동판매기의 커피원두 분쇄 공급 장치
KR102448532B1 (ko) 분쇄와 배출이 용이한 양념 분쇄용기
CN110180631A (zh) 一种磁力施压压力无级可调的轻便石磨
KR101542726B1 (ko) 원두커피 수동 분쇄기(핸드밀)를 전동 분쇄기로 변환하는 장치
KR100444205B1 (ko) 커피자동판매기의 커피추출장치
KR102162080B1 (ko) 순환식 믹서기
EP0714702A1 (en) Pulveriz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