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6522B1 - 타이어 - Google Patents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6522B1
KR102476522B1 KR1020200186195A KR20200186195A KR102476522B1 KR 102476522 B1 KR102476522 B1 KR 102476522B1 KR 1020200186195 A KR1020200186195 A KR 1020200186195A KR 20200186195 A KR20200186195 A KR 20200186195A KR 102476522 B1 KR102476522 B1 KR 102476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sound absorbing
inner liner
present
absorb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6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4705A (ko
Inventor
김경훈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6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6522B1/ko
Publication of KR20220094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4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6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6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19/002Noise damping elements provided in the tyre structure or attached thereto, e.g. in the tyre in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 B60C9/005Reinforcement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e.g. hybrid or composite co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81Parts of pneumatic tyre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D2030/0682Inner li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6Optimisation of rolling resistance, e.g. weight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에 장착되는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차량 주행 시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트레드부와, 트레드부와 인접하고, 노면과 이격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사이드월과, 트레드부 및 사이드월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배치되는 이너 라이너 및 이너 라이너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점에서 연결되는 흡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타이어{Tir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들이 운행하는 차량은 많은 부품들로 이루어져 있고, 그 중 타이어는 실질적으로 차량의 구동에 큰 영향을 주고, 특히 사용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핵심 부품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특히, 산업의 발전으로 인하여 물류의 이동 증가, 개인의 업무량 등의 증가로 인한 이동량 증가 및 가족 생활 증가로 인한 자동차 운행량은 갈수록 늘고 있는 추세이다.
공기압 타이어는 불규칙한 노면으로 인한 진동을 흡수하여 차량의 내구성을 증진시키고 차량 탑승자에게 편안한 승차감을 주도록 내부에 공기를 충전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타이어에서 노면과 맞닿는 트레드에는 다수의 홈과 그루브로 구성되는 트레드 패턴을 형성하여 차량의 조향 성능 및 주행 성능을 향상시킨다.
그러나 차량 주행 시 타이어는 노면의 굴곡 및 표면에 따라 가진되고, 가진된 타이어는 휠과 타이어의 조립체 내부(타이어 cavity)의 공기에 유동을 발생시킨다.
휠과 타이어의 조립체 내부의 공기의 유동은 소음을 발생시키게 되는데, 휠과 타이어의 조립체가 이루는 공간이 공명통과 같은 역할을 하여 공명(共鳴) 현상을 일으키게 되어, 이러한 소음은 더욱더 증폭되게 된다.
타이어의 구조로 인한 공명 주파수는 소리의 속도를 공기층의 원주 상 길이로 나눈 정수배에 상응하는 타이어의 특정 주파수를 갖게 되는데, 이러한 공명음의 소음 저감을 위해 타이어 내부에 흡음재를 부착하여 소음 저감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종래 흡음재의 경우, 발포 형태의 폴리우레탄 폼을 사용하며, 본드, 실란트 등의 경화되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흡음재를 타이어의 내부에 접착하게 되는데, 폴리우레탄 폼 및 접착제로 인하여 타이어의 증량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접착층이 요구되지 않는 흡음부로 인하여 공명음 저감 성능을 유지하면서 타이어의 중량을 절감시킬 수 있는 타이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에 장착되는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차량 주행 시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트레드부; 상기 트레드부와 인접하고, 노면과 이격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사이드월; 상기 트레드부 및 상기 사이드월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배치되는 이너 라이너; 및 상기 이너 라이너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점에서 연결되는 흡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흡음부와 상기 이너 라이너 사이에는 접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는 상기 흡음부가 상기 이너 라이너에 융착되며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는 상기 흡음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흡음부는 부직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는 흡음부가 이너 라이너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점에서 연결되며, 타이어의 내주면과 흡음부 사이에 별도의 접착을 위한 접착층이 요구되지 않아, 타이어의 중량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흡음부와 이너 라이너 사이에 별도의 접착층이 요구되지 않아, 종래 접착물질을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타이어의 유니포미티(uniformity)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방향에서 본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Ⅰ-Ⅰ선을 따라 절취한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음부가 배치된 영역을 부분적으로 확대한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음부를 타이어의 중심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음부가 배치된 영역을 부분적으로 확대한 정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음부를 타이어의 중심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방향에서 본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Ⅰ-Ⅰ선을 따라 절취한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음부가 배치된 영역을 부분적으로 확대한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음부를 타이어의 중심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100)는 차량에 장착되는 것으로, 트레드부(110), 캡플라이(120), 바디플라이(130), 비드부(140), 이너 라이너(160), 벨트층(170), 사이드월(180), 흡음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타이어(100)는 중심축(AX)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RT)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타이어(100)는 중심축(AX)으로부터 반경 방향(r)을 기준으로 내측에는 림(도면 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드부(110)는 타이어(100)를 차량에 장착 후 주행 시 노면을 향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트레드부(110)는 차량의 주행 시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드부(110)는 하나 이상의 패턴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패턴들에 인접하도록 노면을 향하는 트레드부(110)의 일면에 복수의 그루브(115)가 형성될 수 있다.
트레드부(110)에 형성되는 그루브(115)는 적어도 제1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그루브(115)는 제1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의 영역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드부(110)에 형성되는 그루브(115)의 개수 및 형태는 타이어(100)의 주행 특성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월(180)은 트레드부(110)와 연결되는 것으로, 트레드부(110)와 뒤에 설명할 비드부(140) 사이에 배치되고, 타이어(100)를 차량에 장착 후 주행 시 노면과 이격되는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사이드월(180)로 인하여 타이어(100)는 굴신 운동을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월(180)은 타이어(100)의 트레드부(110)를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되는데, 일측(도 3 기준 좌측)의 사이드월(180)과 타측(도 3 기준 우측)의 사이드월(180)의 재질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일측(도 3 기준 좌측)과 타측(도 3 기준 우측)의 사이드월(180)의 재질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일측의 사이드월(180)과 타측의 사이드월(180)의 조성물을 다르게 하여 모듈러스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비드부(140)가 사이드월(180)의 영역 중 트레드부(110)와 연결된 영역의 반대 방향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드부(140)는 타이어(100)를 림(rim)(도면 미도시)과 안정적으로 결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림은 타이어(100)와 결합되어 차량에 장착되어 사용되고, 공기 주입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드부(14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코어 영역 및 이를 완충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비드부(140)의 코어 영역은 와이어, 예를 들어 스틸 와이어(steel wire)에 고무를 피복한 사각 또는 육각 형태의 와이어 다발 형태의 영역을 가질 수 있다.
비드부(140)는 이러한 코어 영역과 인접 또는 코어 영역을 감싸도록 완충 영역을 포함하여 코어 영역에 대한 하중을 분산할 수 있고, 외부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100)는 적어도 트레드부(110)와 중첩된 영역에 바디플라이(13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플라이(130)는 타이어(100)의 주된 골격을 이루는 것으로서 타이어(100)가 받는 하중을 지지하고 노면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바디플라이(130)는 코드(cord)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바디플라이(130)의 내측에 이너 라이너(16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이너 라이너(160)는 타이어(100)의 트레드부(110) 및 사이드월(180)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타이어(100)의 내부에 수용되는 공기의 누설을 감소시키거나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캡플라이(120)가 바디플라이(130)와 트레드부(1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캡플라이(12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코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벨트층(170)이 캡플라이(120)와 바디플라이(130)의 사이에 더 배치될 수 있다. 벨트층(170)은 타이어(100)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 시 노면으로부터 타이어(100)가 받는 충격을 완화하고 트레드부(110)의 접지면을 확장하여 접지 특성과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층(17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면 복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음부(190)는 이너 라이너(16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점에 연결되는 것으로, 이너 라이너(160)의 내측에 배치되며, 타이어(100)의 최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음부(190)는 타이어(100)의 중심(AX)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도 1 기준 RT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타이어(100)의 내측, 구체적으로 이너 라이너(160)의 내주면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음부(190)는 부직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흡음부(190)는 신슐레이트(thinsulate)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흡음부(190)는 재생 부직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음부(190)가 부직포 재질로 형성됨으로 인하여, 폴리우레탄 폼 재질로 형성되는 것에 비하여 타이어(100) 하나 당 차지하는 중량을 절감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차량에는 복수 개의 타이어(100)가 장착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음부(190)가 부직포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에, 차량에 장착되는 복수 개의 타이어(100)의 전체 중량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음부(190)는 이너 라이너(16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점에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음부(190)와 이너 라이너(160) 사이를 연결하는 영역에는 접합부(19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부(191)는 흡음부(190)와 이너 라이너(160)가 연결되는 것으로, 흡음부(190)와 이너 라이너(160)가 연결되는 소정 지점에 열을 가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합부(191)는 흡음부(190)와 이너 라이너(160)가 면접촉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되는 지점에 열을 가함으로써 융착되며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접합부(191)는 흡음부(190)와 이너 라이너(160)가 면접촉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되는 지점에 고주파 융착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접합부(191)는 흡음부(190)와 이너 라이너(160)가 면접촉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되는 지점에 초음파 융착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접합부(191)는 고온의 열이 가해짐으로 인하여 강력한 분자 결합이 형성될 수 있고, 종래 폴리우레탄 폼 재질의 흡음재의 경우와 같이 타이어의 내주면에 흡음재를 접착시키기 위한 별도의 접착물질이 요구되지 않고, 접착물질을 타이어의 내주면에 도포함으로 인해 형성되는 접착층을 형성시킬 필요가 없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부(191)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고, 도 2에서 타이어(100)의 폭 방향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접합부(191)는 타이어(100)의 폭 방향(도 3 기준)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도 1 기준 RT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부(191)는 타이어(100)의 내주면, 구체적으로 이너 라이너(160)와 흡음부(190)가 연결되는 지점에 형성되고, 제1 접합 영역(19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접합 영역(192)은, 타이어(100)의 폭 방향(도 5 기준 좌우 방향)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에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고, 타이어(100)의 둘레 방향(도 5 기준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타이어(100)의 폭 방향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에서 마주보며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접합 영역(192)은 제1간격(W1)을 가지며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1간격(W1)은 타이어(100)의 둘레 방향(도 5 기준 상하 방향)을 따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흡음부(190)의 설치 시 둘레 방향을 따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 개의 접합부(191)가 배치됨으로 인하여 타이어(100)의 유니포미티(uniformity)가 향상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부(191), 구체적으로 제1 접합 영역(192)은 복수 개가 타이어(10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제2간격(W2)를 가지며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합부(191), 구체적으로 제1 접합 영역(192)은 타이어(100), 트레드부(110)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되며, 타이어(100)의 폭 방향(도 5 기준 좌우 방향)의 중앙을 기준으로는 제1간격(W1)을 가지며 서로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고, 타이어(100)의 둘레 방향(도 5 기준 상하 방향)을 따라 제2간격(W2)을 가지며 복수 개의 제1 접합 영역(192)이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음부(190)가 이너 라이너(16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점, 구체적으로 접합부(191)에서 연결되며, 이너 라이너(160)와 흡음부(190)가 접촉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되는 지점, 구체적으로 제1 접합 영역(192)에 열을 가해줌으로써 형성됨으로 인하여 이너라이너와 흡음부(190) 사이에는 씰란트, 본드 등의 별도 접착물질이 배치되지 않고, 이러한 접착물질이 이너 라이너(160)와 흡음부(190) 사이에 형성되는 모든 영역에 도포되며 형성되는 접착층이 요구되지 않아 타이어(100)의 전체 중량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공명음 저감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도 4를 참조하면, 이너 라이너(160)와 흡음부(190) 사이에 모든 영역에 별도의 접착물질을 도포하며 접착층을 형성할 필요 없이, 미리 설정되는 지점마다 열을 가하여 융착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접합부(191), 구체적으로 제1 접합 영역(192)을 형성하고, 접합부(191)가 형성되지 않는 영역에서는 이격 공간(SA)이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타이어(100)의 유니포미티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100)는 부직포 재질의 흡음부(190)가 타이어(100), 구체적으로 이너 라이너(160)의 내측에 배치됨으로 인하여 주행 중 발생하는 공명으로 인한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접착물질이 타이어(100), 구체적으로 이너 라이너(160)의 내면과 흡음부(190) 사이의 모든 영역에 도포되며 접착층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미리 설정되는 지점에서 열을 가하여 융착시켜 접합부(191)를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접착물질이 사용되는 것에 비하여 타이어(100) 전체 중량을 저감시킬 수 있고, 제1 접합 영역(192)이 일정한 간격(W1, W2)을 두고 복수 개가 배치됨으로 인하여 공명 소음 저감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타이어(100)의 유니포미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100)의 구성, 작동원리 및 효과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음부(190)가 배치된 영역을 부분적으로 확대한 정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음부(190)를 타이어(100)의 중심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 도 2, 도 6, 도 7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100)는 차량에 장착되는 것으로, 트레드부(110), 캡플라이(120), 바디플라이(130), 비드부(140), 이너 라이너(160), 벨트층(170), 사이드월(180), 흡음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음부(190)는 이너 라이너(16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점에 연결되는 것으로, 이너 라이너(160)의 내측에 배치되며, 타이어(100)의 최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음부(190)는 타이어(100)의 중심(AX)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타이어(100)의 내측, 구체적으로 이너 라이너(160)의 내주면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음부(190)는 부직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흡음부(190)는 신슐레이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흡음부(190)는 재생 부직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음부(190)가 부직포 재질로 형성됨으로 인하여, 폴리우레탄 폼 재질로 형성되는 것에 비하여 타이어(100) 하나 당 차지하는 중량을 절감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차량에는 복수 개의 타이어(100)가 장착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음부(190)가 부직포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에, 차량에 장착되는 복수 개의 타이어(100)의 전체 중량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6,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음부(190)는 이너 라이너(16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점에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음부(190)와 이너 라이너(160) 사이에는 접합부(19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부(191)는 흡음부(190)와 이너 라이너(160)가 연결되는 것으로, 흡음부(190)와 이너 라이너(160)가 연결되는 소정 지점에 열을 가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합부(191)는 흡음부(190)와 이너 라이너(160)가 면접촉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되는 지점에 열을 가함으로써 융착되며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접합부(191)는 흡음부(190)와 이너 라이너(160)가 면접촉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되는 지점에 고주파 융착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접합부(191)는 흡음부(190)와 이너 라이너(160)가 면접촉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되는 지점에 초음파 융착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접합부(191)는 고온의 열이 가해짐으로 인하여 강력한 분자 결합이 형성될 수 있고, 종래 폴리우레탄 폼 재질의 흡음재의 경우와 같이 타이어(100)의 내주면에 흡음재를 접착시키기 위한 별도의 접착물질이 요구되지 않고, 접착물질을 타이어(100)의 내주면에 도포함으로 인해 형성되는 접착층을 형성시킬 필요가 없다.
도 6,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부(191)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고, 도 2에서 타이어(100)의 폭 방향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도 6,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합부(191)는 타이어(100)의 내주면, 구체적으로 이너 라이너(160)와 흡음부(190)가 연결되는 지점에 형성되고, 타이어(100)의 둘레 방향(RT)을 따라 형성되는 제1 접합 영역(192), 타이어(100)의 폭 방향(도 7 기준 좌우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 접합 영역(19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 도 7을 참조하면, 제1 접합 영역(192)은 타이어(100)의 폭 방향(도 7 기준 좌우 방향)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도 7 기준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접합 영역(192)은, 타이어(100)의 폭 방향(도 7 기준 좌우 방향)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에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고, 타이어(100)의 둘레 방향(도 7 기준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타이어(100)의 폭 방향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에서 마주보며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접합 영역(192)은 제1간격(W1)을 가지며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1간격(W1)은 타이어(100)의 둘레 방향(도 7 기준 상하 방향)을 따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흡음부(190)의 설치 시 둘레 방향을 따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 개의 접합부(191)가 배치됨으로 인하여 타이어(100)의 유니포미티가 향상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접합부(191), 구체적으로 제1 접합 영역(192)은 복수 개가 타이어(10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제2간격(W2)를 가지며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합부(191), 구체적으로 제1 접합 영역(192)은 타이어(100), 트레드부(110)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되며, 타이어(100)의 폭 방향(도 7 기준 좌우 방향)의 중앙을 기준으로는 제1간격(W1)을 가지며 서로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고, 타이어(100)의 둘레 방향(도 7 기준 상하 방향)을 따라 제2간격(W2)을 가지며 복수 개의 제1 접합 영역(192)이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도 6, 도 7을 참조하면, 제2 접합 영역(193)은 타이어(100)의 폭 방향(도 7 기준 좌우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접합 영역(193)은 타이어(100)의 폭 방향의 중앙을 기준으로 마주보며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접합 영역(19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제2 접합 영역(193)은 제3간격(W3)을 가지며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접합 영역(193)으로 인하여 타이어(100)의 둘레 방향(도 7 기준 상하 방향)을 따라 흡음부(190)가 이너 라이너(160)에 견고하게 융착되며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즉, 주행 중 타이어(100)의 내측에 위치하는 흡음부(190)가 이너 라이너(16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음부(190)가 이너 라이너(16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점, 구체적으로 접합부(191)에서 연결되며, 이너 라이너(160)와 흡음부(190)가 접촉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되는 지점, 구체적으로 제1 접합 영역(192), 제2 접합 영역(193)에 열을 가해줌으로써 형성됨으로 인하여 이너라이너와 흡음부(190) 사이에는 씰란트, 본드 등의 별도 접착물질이 배치되지 않고, 이러한 접착물질이 이너 라이너(160)와 흡음부(190) 사이에 형성되는 모든 영역에 도포되며 형성되는 접착층이 요구되지 않아 타이어(100)의 전체 중량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공명음 저감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이너 라이너(160)와 흡음부(190) 사이에 모든 영역에 별도의 접착물질을 도포하며 접착층을 형성할 필요 없이, 미리 설정되는 지점마다 열을 가하여 융착시킴으로써 형성되는 접합부(191), 구체적으로 제1 접합 영역(192), 제2 접합 영역(193)을 형성하고, 접합부(191)가 형성되지 않는 영역에서는 이격 공간(SA)이 형성되며 타이어(100)의 전체 중량을 저감시키면서 전체적으로 타이어(100)의 유니포미티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타이어(100)는 부직포 재질의 흡음부(190)가 타이어(100), 구체적으로 이너 라이너(160)의 내측에 배치됨으로 인하여 주행 중 발생하는 공명으로 인한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접착물질이 타이어(100), 구체적으로 이너 라이너(160)의 내면과 흡음부(190) 사이의 모든 영역에 도포되며 접착층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미리 설정되는 지점에서 열을 가하여 융착시켜 접합부(191)를 형성함으로써 접착물질이 사용되는 것에 비하여 타이어(100) 전체 중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접합부(191), 구체적으로 제1 접합 영역(192)이 일정한 간격(W1, W2)을 두고 복수 개가 배치되고, 제2 접합 영역(193)이 일정한 간격(W3)을 두고 복수 개가 배치됨으로 인하여 공명 소음 저감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타이어(100)의 유니포미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타이어 SA: 이격 공간
110: 트레드부 115: 그루브
120: 캡플라이 130: 바디플라이
140: 비드부 160: 이너 라이너
170: 벨트층 180: 사이드월
190: 흡음부 191: 접합부
192: 제1 접합 영역
193: 제2 접합 영역

Claims (6)

  1. 차량에 장착되는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차량 주행 시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트레드부;
    상기 트레드부와 인접하고, 노면과 이격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사이드월;
    상기 트레드부 및 상기 사이드월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배치되는 이너 라이너; 및
    상기 이너 라이너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점에서 연결되는 흡음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음부와 상기 이너 라이너 사이를 연결하는 영역에는 접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접합부는 상기 흡음부와 상기 이너 라이너가 면접촉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되는 지점에 열을 가함으로써 융착되며, 상기 흡음부의 두께 방향을 따라 전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이너 라이너와 상기 흡음부 사이에서, 상기 접합부가 형성되지 않는 영역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는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는 상기 흡음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부는 부직포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KR1020200186195A 2020-12-29 2020-12-29 타이어 KR102476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6195A KR102476522B1 (ko) 2020-12-29 2020-12-29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6195A KR102476522B1 (ko) 2020-12-29 2020-12-29 타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4705A KR20220094705A (ko) 2022-07-06
KR102476522B1 true KR102476522B1 (ko) 2022-12-13

Family

ID=82400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6195A KR102476522B1 (ko) 2020-12-29 2020-12-29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652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59864A (ja) * 2016-03-11 2017-09-14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及び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59864A (ja) * 2016-03-11 2017-09-14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及び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4705A (ko) 2022-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60966B2 (ja) タイヤ騒音低減装置及び空気入りタイヤ
JP4275812B2 (ja) 空気入りタイヤ
EP3219515B1 (en) Pneumatic tire
JP6646728B2 (ja) 空気式車両用タイヤ
KR101839768B1 (ko) 소음 저감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공기입 타이어
JP7083741B2 (ja) 乗用車用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KR102476522B1 (ko) 타이어
JP4412278B2 (ja) タイヤ/ホイール組立体及びランフラット用支持体
KR20190121596A (ko) 타이어
KR102653143B1 (ko) 타이어
JP2001253207A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2606331B1 (ko) 타이어
KR20240038379A (ko) 공기입 타이어
KR102007923B1 (ko) 타이어
KR20210059474A (ko) 타이어
KR102268664B1 (ko) 타이어
KR102015869B1 (ko) 타이어
KR102200528B1 (ko) 타이어
KR102187261B1 (ko) 타이어 및 타이어 제조 방법
KR102502131B1 (ko) 타이어 및 타이어 제조 방법
KR102280795B1 (ko) 타이어
KR102598512B1 (ko) 타이어
KR102001983B1 (ko) 타이어
KR102569142B1 (ko) 타이어 및 타이어 제조 방법
KR102129580B1 (ko) 타이어휠 및 타이어 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