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9474A - 타이어 - Google Patents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9474A
KR20210059474A KR1020190146965A KR20190146965A KR20210059474A KR 20210059474 A KR20210059474 A KR 20210059474A KR 1020190146965 A KR1020190146965 A KR 1020190146965A KR 20190146965 A KR20190146965 A KR 20190146965A KR 20210059474 A KR20210059474 A KR 20210059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ire
cap ply
layers
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6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9646B1 (ko
Inventor
김우강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6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9646B1/ko
Publication of KR20210059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9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9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9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 B60C9/0042Reinforcements made of synthet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 B60C9/005Reinforcement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e.g. hybrid or composite co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 B60C2009/0071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infor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에 장착되는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차량 주행 시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트레드부, 상기 트레드부와 인접하고 노면과 이격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사이드월 및 상기 트레드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그래핀을 함유하는 제1 층, 상기 제1 층과 인접하고 고무를 함유하는 제2 층을 구비하는 캡플라이를 포함하는 타이어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타이어{Tir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들이 운행하는 차량은 많은 부품들로 이루어져 있고, 그 중 타이어는 실질적으로 차량의 구동에 큰 영향을 주고, 특히 사용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핵심 부품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특히, 산업의 발전으로 인하여 물류의 이동 증가, 개인의 업무량 등의 증가로 인한 이동량 증가 및 가족 생활 증가로 인한 자동차 운행량은 갈수록 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타이어는 노면과의 마찰을 통하여 주행 안전을 유지할 수 있는데, 노면 상태에 따라 운전자의 의도에 따라 주행이 제어되지 않을 경우, 즉, 타이어가 노면상에서 원하는 대로 제어되지 않을 때 차량 및 주행자의 안정성이 문제될 수 있다.
또한, 타이어는 차량의 주행 시 노면과 직접적으로 접하는 영역으로서 차량의 연비에 많은 영향을 주는 바, 타이어의 내구성을 유지 또는 향상하면서 연비 향상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주행 특성, 내구성 및 연비를 향상할 수 있는 타이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에 장착되는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차량 주행 시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트레드부, 상기 트레드부와 인접하고 노면과 이격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사이드월 및 상기 트레드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그래핀을 함유하는 제1 층, 상기 제1 층과 인접하고 고무를 함유하는 제2 층을 구비하는 캡플라이를 포함하는 타이어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캡플라이의 상기 제2 층은 적어도 상기 제1 층의 일 측 및 타측을 향하도록 형성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캡플라이의 상기 제2 층은 적어도 상기 제1 층을 감싸도록 형성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캡플라이의 상기 제1 층은 상기 트레드부와 중첩되도록 형성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캡플라이의 두께는 상기 제1 층의 두께의 10000배 이상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는 타이어의 노면에 대한 주행 특성, 내구성 및 연비를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방향에서 본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K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캡플라이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캡플라이의 제1 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Ⅷ-Ⅷ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K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캡플라이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ⅩⅣ-ⅩⅣ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K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캡플라이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ⅩⅨ-ⅩⅨ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K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21은 도 19의 P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22는 도 21의 ⅩⅩⅡ-ⅩⅩⅡ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도 23은 도 21의 일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도 21의 다른 일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방향에서 본 부분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 및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K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캡플라이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캡플라이의 제1 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100)는 트레드부(110), 사이드월(180) 및 캡플라이(120)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타이어(100)는 중심축(AX)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RT)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타이어(100)는 중심축(AX)으로부터 반경 방향(r)을 기준으로 내측에는 휠(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트레드부(110)는 타이어(100)를 차량에 장착 후 주행 시 노면을 향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트레드부(110)은 차량의 주행 시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레드부(110)는 하나 이상의 패턴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패턴들에 인접하도록 복수의 그루브(11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루브(115)는 적어도 제1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그루브(115)는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의 영역도 포함할 수 있다.
그루브(115)의 개수 및 형태는 타이어(100)의 주행 특성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사이드월(180)은 트레드부(110)과 연결된다. 사이드월(180)의 영역 중 트레드부(110)과 연결된 영역의 반대 방향의 영역에는 타이어(100)를 휠(미도시)과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비드부(140)가 배치될 수 있다.
비드부(14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스틸 와이어(Steel Wire)에 고무를 피복한 사각 또는 육각 형태의 와이어 다발 형태의 영역을 가질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타이어(100)를 림(Rim)에 안착 및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비드부(140)는 이러한 와이어 다발 형태의 영역에 대한 하중을 분산하고 외부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타이어(100)의 트레드부(110) 내측에 바디 플라이(130)가 배치될 수 있다.
바디 플라이(130)는 타이어(100)의 주된 골격을 이루는 것으로서 타이어(100)가 받는 하중을 지지하고 노면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바디 플라이(130)는 코드(cord)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바디 플라이(130)의 내측에 이너 라이너(16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이너 라이너(160)는 타이어(100)의 최내측에 배치되어 공기 누설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캡플라이(120)는 바디 플라이(130)와 트레드부(1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캡플라이(120)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벨트층(170)이 캡플라이(120)와 바디 플라이(130)의 사이에 더 배치될 수 있다. 벨트층(170)은 타이어(100)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 시 노면으로부터 타이어(100)가 받는 충격을 완화하고 트레드부(110)의 접지면을 확장하여 접지 특성과 주행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벨트층(17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복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캡플라이(12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캡플라이(120)는 바디 플라이(130)와 트레드부(1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트레드부(110)와 벨트층(17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캡플라이(120)는 제1 층(121) 및 제2 층(122a, 12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층(121)은 그래핀을 함유할 수 있다.
제1 층(121)은 그래핀을 함유하는 층으로서 타이어(100)의 두께 방향을 기준으로 두께(W2)를 가질 수 있다.
제1 층(121)의 두께(W2)는 0.1 내지 1.0 나노미터의 값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제1 층(121)은 그래핀을 함유하는 층으로서 0.1 내지 0.3 나노미터의 두께(W2)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두께를 통하여 캡플라이(120)의 두께를 두껍지 않도록 유지하면서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층(121)은 트레드부(110) 및 그루브(115)와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차량의 주행을 통한 타이어(100)의 노면 접촉 시 트레드부(110)의 영역 중 노면과 접하는 영역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트레드부(110)에 대응된 영역에서 캡플라이(120)의 열팽창율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열을 용이하게 방출할 수 있다.
제1 층(121)은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육각형의 네트워크가 포함된 층상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층(121)은 판상 구조 또는 기둥 형태 등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 층(122a, 122b)은 제1 층(121)과 인접하고 고무를 함유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2개의 제2 층(122a, 122b)을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제2 층(122a, 122b)의 각각의 층은 제1 층(121)과 접할 수 있다. 예를들면 2개의 제2 층(122a, 122b)의 사이에 제1 층(121)이 배치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제1 층(121)은 2개의 제2 층(122a, 122b)으로 덮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층(121)은 2개의 제2 층(122a, 122b)으로 봉지(encapsulation)될 수 있다.
제2 층(122a, 122b)의 각각은 고무를 함유하고 천연 고무 및 합성 고무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천연 고무가 중량비 60 퍼센트 이상을 함유될 수 있다.
제2 층(122a, 122b)을 포함한 캡플라이(120)의 전체는 타이어(100)의 두께 방향을 기준으로 두께(W1)를 가질 수 있다. 캡플라이(120)의 두께(W1)는 0.8 내지 1.0 밀리미터일 수 있다.
제1 층(121)의 두께(W2)는 나노 미터 단위인 바 캡플라이(120)의 전체의 두께(W1)의 대부분은 제2 층(122a, 122b)의 두께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들면 캡플라이(120)의 전체의 두께(W1)는 제1 층(121)의 두께(W1)의 수만배 또는 수십만 내지 수백만배 이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타이어는 트레드부, 사이드월 및 캡플라이를 포함할 수 있고, 캡플라이는 제1 층 및 제2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층은 그래핀을 함유하고, 제2 층은 제1 층과 인접하고, 구체적 예로서 제1 층을 사이에 두고 제1 층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캡플라이의 중량을 효과적으로 감소하여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의 연비를 향상할 수 있다.
또한, 그래핀을 함유하는 제1 층의 내구성을 통하여 캡플라이의 전체적인 두께를 유지하면서 내구성을 용이하게 향상할 수 있다. 이 때 제1 층이 제2 층으로 덮이도록 하여 제1 층이 손상되는 것을 용이하게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그래핀을 함유하는 제1 층의 열팽창율이 낮은 특성을 통하여 캡플라이의 열팽창율이 높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 중 노면과의 마찰을 통한 마찰열로 인하여 타이어가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타이어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고 수명 연한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제1 층을 통한 캡플라이의 열전도 특성을 증가하여 발열 특성이 향상되고 타이어의 제어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타이어의 주행 안정성,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Ⅷ-Ⅷ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K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캡플라이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200)는 트레드부(210), 사이드월(280) 및 캡플라이(220)를 포함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타이어(200)는 중심축(AX)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RT)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타이어(200)는 중심축(AX)으로부터 반경 방향(r)을 기준으로 내측에는 휠(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트레드부(210)는 타이어(200)를 차량에 장착 후 주행 시 노면을 향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트레드부(210)은 차량의 주행 시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레드부(210)는 하나 이상의 패턴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패턴들에 인접하도록 복수의 그루브(21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루브(215)는 적어도 제1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그루브(215)는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의 영역도 포함할 수 있다.
그루브(215)의 개수 및 형태는 타이어(200)의 주행 특성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사이드월(280)은 트레드부(210)과 연결된다. 사이드월(280)의 영역 중 트레드부(210)과 연결된 영역의 반대 방향의 영역에는 타이어(200)를 휠(미도시)과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비드부(240)가 배치될 수 있다.
비드부(24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스틸 와이어(Steel Wire)에 고무를 피복한 사각 또는 육각 형태의 와이어 다발 형태의 영역을 가질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타이어(200)를 림(Rim)에 안착 및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비드부(240)는 이러한 와이어 다발 형태의 영역에 대한 하중을 분산하고 외부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타이어(200)의 트레드부(210) 내측에 바디 플라이(230)가 배치될 수 있다.
바디 플라이(230)는 타이어(200)의 주된 골격을 이루는 것으로서 타이어(200)가 받는 하중을 지지하고 노면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바디 플라이(230)는 코드(cord)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바디 플라이(230)의 내측에 이너 라이너(26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이너 라이너(260)는 타이어(200)의 최내측에 배치되어 공기 누설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캡플라이(220)는 바디 플라이(230)와 트레드부(2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캡플라이(220)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벨트층(270)이 캡플라이(220)와 바디 플라이(230)의 사이에 더 배치될 수 있다. 벨트층(270)은 타이어(200)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 시 노면으로부터 타이어(200)가 받는 충격을 완화하고 트레드부(210)의 접지면을 확장하여 접지 특성과 주행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벨트층(27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복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캡플라이(22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캡플라이(220)는 바디 플라이(230)와 트레드부(2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트레드부(210)와 벨트층(27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을 참조하면 캡플라이(220)는 제1 층(221) 및 제2 층(222a, 222b, 222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층(221)은 그래핀을 함유할 수 있다.
제1 층(221)은 복수의 층(221a, 221b)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층(221)은 두 개의 층(221a, 221b)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층(221)의 두 개의 층(221a, 221b)은 캡플라이(220)의 두께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층(221)의 두 개의 층(221a, 221b)은 간격을 갖고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층(221)은 그래핀을 함유하는 층으로서 타이어(200)의 두께 방향을 기준으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1 층(221)의 두 개의 층(221a, 221b)의 각각의 두께는 0.1 내지 1.0 나노미터의 값을 가질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0.1 내지 0.3 나노미터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층(221)은 트레드부(210) 및 그루브(215)와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차량의 주행을 통한 타이어(200)의 노면 접촉 시 트레드부(210)의 영역 중 노면과 접하는 영역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트레드부(210)에 대응된 영역에서 캡플라이(220)의 열팽창율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열을 용이하게 방출할 수 있다.
제1 층(221)은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층(221)의 두 개의 층(221a, 221b)의 각각은 전술한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육각형의 네트워크가 포함된 층상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층(221)의 두 개의 층(221a, 221b)의 각각은 판상 구조 또는 기둥 형태 등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층(221)은 복수 개의 층을 포함할 수 있고, 도시하지 않았으나 3개 이상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그래핀을 함유하는 제1 층(221)이 복수의 층을 포함하도록 하여 제1 층(221)을 통한 캡플라이(220)의 내구성 효과를 증대할 수 있다.
제2 층(222a, 222b, 222c)은 제1 층(221)과 인접하고 고무를 함유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10에 도시한 것과 같이 3개의 제2 층(222a, 222b, 222c)을 포함할 수 있다.
3개의 제2 층(222a, 222b, 222c)의 각각의 층은 제1 층(221)과 접할 수 있다. 예를들면 2개의 제2 층(222a, 222b)의 사이에 제1 층(221)이 배치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제1 층(221)은 2개의 제2 층(222a, 222b)으로 덮일 수 있다.
적어도 한 개의 제2 층(222c)은 제1 층(221)의 두 개의 층(221a, 221b)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층(221)의 두 개의 층(221a, 221b)과 제2 층(222a, 222b, 222c)의 접합력을 향상하고 캡플라이(220)의 전체적인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층(221)은 2개의 제2 층(222a, 222b)으로 봉지(encapsulation)될 수 있다.
도 11은 도 10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캡플라이(22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캡플라이(220')는 제1 층(221') 및 제2 층(222a', 22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층(221')은 그래핀을 함유할 수 있다.
제1 층(221')은 복수의 층(221a', 221b')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층(221')은 두 개의 층(221a', 221b')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층(221')의 두 개의 층(221a', 221b')은 캡플라이(220')의 두께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층(221')의 두 개의 층(221a', 221b')은 서로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층(221')은 그래핀을 함유하는 층으로서 타이어의 두께 방향을 기준으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1 층(221')의 두 개의 층(221a', 221b')의 각각의 두께는 0.1 내지 1.0 나노미터의 값을 가질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0.1 내지 0.3 나노미터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1 층(221')에 대한 더 구체적인 내용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 또는 선택적으로 변형 적용가능한 바 생략한다.
제2 층(222a', 222b')은 제1 층(221')과 인접하고 고무를 함유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11에 도시한 것과 같이 2개의 제2 층(222a', 222b')을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제2 층(222a', 222b')의 각각의 층은 제1 층(221')과 접할 수 있다. 예를들면 2개의 제2 층(222a', 222b')의 사이에 제1 층(221')이 배치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제1 층(221')은 2개의 제2 층(222a', 222b')으로 덮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층(221')은 2개의 제2 층(222a', 222b')으로 봉지(encapsulation)될 수 있다.
도 12는 도 10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2를 참조하면 캡플라이(220")는 제1 층(221") 및 제2 층(222a", 222b", 222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층(221")은 그래핀을 함유할 수 있다.
제1 층(221")은 복수의 층(221a", 221b", 221c")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층(221")은 3 개의 층(221a", 221b", 221c")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층(221")의 3 개의 층(221a", 221b", 221c")은 캡플라이(220")의 두께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층(221")의 3 개의 층(221a", 221b", 221c")은 간격을 갖고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층(221")의 3 개의 층(221a", 221b", 221c")이 접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층(221")은 그래핀을 함유하는 층으로서 타이어(200")의 두께 방향을 기준으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1 층(221")의 3 개의 층(221a", 221b", 221c")의 각각의 두께는 0.1 내지 1.0 나노미터의 값을 가질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0.1 내지 0.3 나노미터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1 층(221")은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층(221")의 3 개의 층(221a", 221b", 221c")의 각각은 전술한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육각형의 네트워크가 포함된 층상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층(221")의 3 개의 층(221a", 221b", 221c")의 각각은 판상 구조 또는 기둥 형태 등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래핀을 함유하는 제1 층(221")이 복수의 층을 포함하도록 하여 제1 층(221")을 통한 캡플라이(220")의 내구성 효과를 증대할 수 있다.
제2 층(222a", 222b", 222c")은 제1 층(221")과 인접하고 고무를 함유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12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복수 개의 제2 층(222a", 222b", 222c")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 층(222a", 222b", 222c")의 각각의 층은 제1 층(221")과 접할 수 있다. 예를들면 2개의 제2 층(222a", 222b")의 사이에 제1 층(221")이 배치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제1 층(221")은 2개의 제2 층(222a", 222b")으로 덮일 수 있다.
적어도 한 개의 제2 층(222c")은 제1 층(221")의 두 개의 층(221a", 221b")의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다른 한 개의 제2 층(222c")은 제1 층(221")의 두 개의 층(221b", 221c")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층(221")의 3 개의 층(221a", 221b", 221c")과 제2 층(222a", 222b", 222c")의 접합력을 향상하고 캡플라이(220")의 전체적인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타이어는 트레드부, 사이드월 및 캡플라이를 포함할 수 있고, 캡플라이는 제1 층 및 제2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층은 그래핀을 함유하고, 제2 층은 제1 층과 인접하고, 구체적 예로서 제1 층을 사이에 두고 제1 층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캡플라이의 중량을 효과적으로 감소하여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의 연비를 향상할 수 있다.
또한, 그래핀을 함유하는 제1 층의 내구성을 통하여 캡플라이의 전체적인 두께를 유지하면서 내구성을 용이하게 향상할 수 있다. 이 때 제1 층이 제2 층으로 덮이도록 하여 제1 층이 손상되는 것을 용이하게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그래핀을 함유하는 제1 층의 열팽창율이 낮은 특성을 통하여 캡플라이의 열팽창율이 높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 중 노면과의 마찰을 통한 마찰열로 인하여 타이어가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타이어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고 수명 연한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제1 층을 통한 캡플라이의 열전도 특성을 증가하여 발열 특성이 향상되고 타이어의 제어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타이어의 주행 안정성,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제1 층을 복수 개로 형성하여 제1 층을 통한 내구성 향상 효과, 열팽창율 제어 특성 및 열전도 특성 증가 효과를 증대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ⅩⅣ-ⅩⅣ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K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캡플라이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300)는 트레드부(310), 사이드월(380) 및 캡플라이(320)를 포함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타이어(300)는 중심축(AX)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RT)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타이어(300)는 중심축(AX)으로부터 반경 방향(r)을 기준으로 내측에는 휠(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트레드부(310)는 타이어(300)를 차량에 장착 후 주행 시 노면을 향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트레드부(310)은 차량의 주행 시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레드부(310)는 하나 이상의 패턴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패턴들에 인접하도록 복수의 그루브(31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루브(315)는 적어도 제1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그루브(315)는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의 영역도 포함할 수 있다.
그루브(315)의 개수 및 형태는 타이어(300)의 주행 특성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사이드월(380)은 트레드부(310)과 연결된다. 사이드월(380)의 영역 중 트레드부(310)과 연결된 영역의 반대 방향의 영역에는 타이어(300)를 휠(미도시)과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비드부(340)가 배치될 수 있다.
비드부(34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스틸 와이어(Steel Wire)에 고무를 피복한 사각 또는 육각 형태의 와이어 다발 형태의 영역을 가질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타이어(300)를 림(Rim)에 안착 및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비드부(340)는 이러한 와이어 다발 형태의 영역에 대한 하중을 분산하고 외부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타이어(300)의 트레드부(310) 내측에 바디 플라이(330)가 배치될 수 있다.
바디 플라이(330)는 타이어(300)의 주된 골격을 이루는 것으로서 타이어(300)가 받는 하중을 지지하고 노면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바디 플라이(330)는 코드(cord)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바디 플라이(330)의 내측에 이너 라이너(36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이너 라이너(360)는 타이어(300)의 최내측에 배치되어 공기 누설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캡플라이(320)는 바디 플라이(330)와 트레드부(3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캡플라이(320)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벨트층(370)이 캡플라이(320)와 바디 플라이(330)의 사이에 더 배치될 수 있다. 벨트층(370)은 타이어(300)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 시 노면으로부터 타이어(300)가 받는 충격을 완화하고 트레드부(310)의 접지면을 확장하여 접지 특성과 주행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벨트층(37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복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캡플라이(32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캡플라이(320)는 바디 플라이(330)와 트레드부(3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트레드부(310)와 벨트층(37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6을 참조하면 캡플라이(320)는 제1 캡플라이부(320A) 및 제2 캡플라이부(32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캡플라이부(320A) 및 제2 캡플라이부(320B)는 타이어(300)의 중심축을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적층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캡플라이부(320A) 및 제2 캡플라이부(320B)는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제1 캡플라이부(320A) 및 제2 캡플라이부(320B)의 사이에 중간층(미도시)이 개재할 수도 있다.
제1 캡플라이부(320A)는 제1 층(321) 및 제2 층(322a, 32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캡플라이부(320B)는 제1 층(321) 및 제2 층(322a, 32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층(321)은 그래핀을 함유할 수 있다.
제2 층(322a, 322b)은 제1 층(321)과 인접하고 고무를 함유할 수 있다.
제1 층(321)은 전술한 도 1 내지 도 5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제1 층(121)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는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2 층(322a, 322b)은 전술한 도 1 내지 도 5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제2 층(122a, 122b)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는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7 내지 도 10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1 층(321)은 복수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도 11 및 도 12의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캡플라이(320)는 제1 캡플라이부(320A) 및 제2 캡플라이부(320B)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은 제1 층(321) 및 이와 인접한 제2 층(322a, 322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층(321)의 복수 개 배치로 인한 효과를 향상하고, 각 제1 층(321)의 사이에 제1 캡플라이부(320A)의 제2 층(322b) 및 제2 캡플라이부(320B)의 제2 층(322a)이 배치되고, 제1 캡플라이부(320A)의 제2 층(322b) 및 제2 캡플라이부(320B)의 제2 층(322a)은 서로 구별되도록 형성될 수 있어서 캡플라이(320)의 내구성을 향상하면서 유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7은 도 16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캡플라이(32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캡플라이(320')는 제1 캡플라이부(320A'), 제2 캡플라이부(320B') 및 제3 캡플라이부(32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캡플라이부(320A'), 제2 캡플라이부(320B') 및 제3 캡플라이부(320C')는 타이어(300')의 중심축을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적층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캡플라이부(320A'), 제2 캡플라이부(320B') 및 제3 캡플라이부(320C')는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제1 캡플라이부(320A'), 제2 캡플라이부(320B') 및 제3 캡플라이부(320C') 중 서로 인접한 2개의 층의 사이에 중간층(미도시)이 개재할 수도 있다.
제1 캡플라이부(320A')는 제1 층(321') 및 제2 층(322a', 32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캡플라이부(320B')는 제1 층(321') 및 제2 층(322a', 32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캡플라이부(320C')는 제1 층(321') 및 제2 층(322a', 32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층(321')은 전술한 도 1 내지 도 5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제1 층(121)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는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2 층(322a', 322b')은 전술한 도 1 내지 도 5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제2 층(122a, 122b)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는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7 내지 도 10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1 층(321')은 복수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도 11 및 도 12의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타이어는 트레드부, 사이드월 및 캡플라이를 포함할 수 있고, 캡플라이는 제1 층 및 제2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층은 그래핀을 함유하고, 제2 층은 제1 층과 인접하고, 구체적 예로서 제1 층을 사이에 두고 제1 층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캡플라이의 중량을 효과적으로 감소하여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의 연비를 향상할 수 있다.
또한, 그래핀을 함유하는 제1 층의 내구성을 통하여 캡플라이의 전체적인 두께를 유지하면서 내구성을 용이하게 향상할 수 있다. 이 때 제1 층이 제2 층으로 덮이도록 하여 제1 층이 손상되는 것을 용이하게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그래핀을 함유하는 제1 층의 열팽창율이 낮은 특성을 통하여 캡플라이의 열팽창율이 높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 중 노면과의 마찰을 통한 마찰열로 인하여 타이어가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타이어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고 수명 연한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제1 층을 통한 캡플라이의 열전도 특성을 증가하여 발열 특성이 향상되고 타이어의 제어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타이어의 주행 안정성,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캡플라이는 복수의 캡플라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2개 이상의 캡플라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캡플라이부는 제1 층 및 이와 인접한 제2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각 캡플라이부의 각 제1 층의 사이에 서로 구별된 제2 층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층이 이격된 위치에서 배치되어 제1 층을 통한 내구성 향상 효과 및 열팽창율 제어 특성 및 열전도 특성 증가 효과를 증대하면서 각 제1 층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제2 층을 타이어를 통한 주행 시 완충 특성 및 충격 흡수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ⅩⅨ-ⅩⅨ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K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21은 도 19의 P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2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400)는 트레드부(410), 사이드월(480) 및 캡플라이(420)를 포함한다.
도 18에 도시한 것과 같이 타이어(400)는 중심축(AX)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RT)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타이어(400)는 중심축(AX)으로부터 반경 방향(r)을 기준으로 내측에는 휠(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트레드부(410)는 타이어(400)를 차량에 장착 후 주행 시 노면을 향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트레드부(410)은 차량의 주행 시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레드부(410)는 하나 이상의 패턴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패턴들에 인접하도록 복수의 그루브(41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루브(415)는 적어도 제1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그루브(415)는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의 영역도 포함할 수 있다.
그루브(415)의 개수 및 형태는 타이어(400)의 주행 특성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사이드월(480)은 트레드부(410)과 연결된다. 사이드월(480)의 영역 중 트레드부(410)과 연결된 영역의 반대 방향의 영역에는 타이어(400)를 휠(미도시)과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비드부(440)가 배치될 수 있다.
비드부(44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스틸 와이어(Steel Wire)에 고무를 피복한 사각 또는 육각 형태의 와이어 다발 형태의 영역을 가질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타이어(400)를 림(Rim)에 안착 및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비드부(440)는 이러한 와이어 다발 형태의 영역에 대한 하중을 분산하고 외부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타이어(400)의 트레드부(410) 내측에 바디 플라이(430)가 배치될 수 있다.
바디 플라이(430)는 타이어(400)의 주된 골격을 이루는 것으로서 타이어(400)가 받는 하중을 지지하고 노면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바디 플라이(430)는 코드(cord)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바디 플라이(430)의 내측에 이너 라이너(46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이너 라이너(460)는 타이어(400)의 최내측에 배치되어 공기 누설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캡플라이(420)는 바디 플라이(430)와 트레드부(4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캡플라이(420)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벨트층(470)이 캡플라이(420)와 바디 플라이(430)의 사이에 더 배치될 수 있다. 벨트층(470)은 타이어(400)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 시 노면으로부터 타이어(400)가 받는 충격을 완화하고 트레드부(410)의 접지면을 확장하여 접지 특성과 주행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벨트층(47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복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벨트층(470)은 제1 벨트층(471) 및 제2 벨트층(472)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벨트층(470)은 3개 이상의 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캡플라이(42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캡플라이(420)는 바디 플라이(430)와 트레드부(4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트레드부(410)와 벨트층(47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캡플라이(420)는 영역별로 두께가 상이할 수 있고, 예를들면 벨트층(470)의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영역에 대응된 영역에서 더 두꺼울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캡플라이(420)는 벨트층(470)의 가장자리를 벗어나는 초과폭(WK)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초과폭(WK)은 3 내지 6 밀리미터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캡플라이(420)는 벨트층(470)의 가장자리를 벗어나는 영역에서 접어서 일 영역, 예를들면 벨트층(470)의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영역에서 중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타이어(400)의 폭 방향으로 가장자리와 인접한 영역, 예를들면 트레드부(410)의 가장자리에 인접한 영역에서의 타이어의 내구성 및 주행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22는 도 21의 ⅩⅩⅡ-ⅩⅩⅡ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22를 참조하면 캡플라이(420)는 제1 층(421) 및 제2 층(422a, 422b)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22의 가로축 방향은 타이어(400)의 원주 방향(RT)일 수 있다.
제1 층(421)은 그래핀을 함유할 수 있다.
제1 층(421)은 그래핀을 함유하는 층으로서 타이어(400)의 두께 방향을 기준으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1 층(421)의 두께는 0.1 내지 1.0 나노미터의 값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제1 층(421)은 그래핀을 함유하는 층으로서 0.1 내지 0.3 나노미터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두께를 통하여 캡플라이(420)의 두께를 두껍지 않도록 유지하면서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층(421)은 트레드부(410) 및 그루브(415)와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차량의 주행을 통한 타이어(400)의 노면 접촉 시 트레드부(410)의 영역 중 노면과 접하는 영역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트레드부(410)에 대응된 영역에서 캡플라이(420)의 열팽창율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열을 용이하게 방출할 수 있다.
제1 층(421)은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육각형의 네트워크가 포함된 층상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층(421)은 판상 구조 또는 기둥 형태 등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 층(422a, 422b)은 제1 층(421)과 인접하고 고무를 함유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2개의 제2 층(422a, 422b)을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제2 층(422a, 422b)의 각각의 층은 제1 층(421)과 접할 수 있다. 예를들면 2개의 제2 층(422a, 422b)의 사이에 제1 층(421)이 배치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제1 층(421)은 2개의 제2 층(422a, 422b)으로 덮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층(421)은 2개의 제2 층(422a, 422b)으로 봉지(encapsulation)될 수 있다.
제2 층(422a, 422b)의 각각은 고무를 함유하고 천연 고무 및 합성 고무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천연 고무가 중량비 60 퍼센트 이상을 함유될 수 있다.
한 개의 제1 층(421) 및 제2 층(422a, 422b)을 포함한 캡플라이(420)는 타이어(400)의 두께 방향을 기준으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캡플라이(420)의 두께는 0.8 내지 1.0 밀리미터일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캡플라이(420)가 영역별로, 두께가 상이할 수 있고, 예를들면 일 영역에서 캡플라이(420)는 중첩 영역(OVR)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타이어(400)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일 영역에서 중첩폭(WV)을 갖는 중첩 영역(OVR)을 형성할 수 있다. 중첩폭(WV)은 4 내지 12 밀리미터일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5 내지 10 밀리미터일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캡플라이(420)는 타이어(400)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복수 개의 중첩 영역(OVR)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캡플라이(420)는 중첩 영역(OVR)이 없이 일 영역의 측면과 다른 일 영역의 측면이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캡플라이(420)는 타이어(400)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하나 이상의 이격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캡플라이(420)는 타이어(400)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된 일체화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일 영역에서 캡플라이(420)가 중첩 영역(OVR)을 갖고, 이러한 중첩 영역(OVR)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의 캡플라이(320)의 제1 캡플라이부(320A) 및 제2 캡플라이부(320B)와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캡플라이(420)의 두께를 상이하게 하여 제1 층(421)이 중첩된 영역을 갖게 할 수 있고, 열팽창율 제어 특성을 효과적으로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캡플라이(420)의 일 단부를 덮도록 중첩 영역(OVR)이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그래핀을 함유하는 제1 층(421)의 보호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21의 캡플라이(420)는 선택적으로 도 5, 도 10, 도 11, 도 12, 도 16 및 도 17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타이어는 트레드부, 사이드월 및 캡플라이를 포함할 수 있고, 캡플라이는 제1 층 및 제2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층은 그래핀을 함유하고, 제2 층은 제1 층과 인접하고, 구체적 예로서 제1 층을 사이에 두고 제1 층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캡플라이의 중량을 효과적으로 감소하여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의 연비를 향상할 수 있다.
또한, 그래핀을 함유하는 제1 층의 내구성을 통하여 캡플라이의 전체적인 두께를 유지하면서 내구성을 용이하게 향상할 수 있다. 이 때 제1 층이 제2 층으로 덮이도록 하여 제1 층이 손상되는 것을 용이하게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그래핀을 함유하는 제1 층의 열팽창율이 낮은 특성을 통하여 캡플라이의 열팽창율이 높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 중 노면과의 마찰을 통한 마찰열로 인하여 타이어가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타이어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고 수명 연한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제1 층을 통한 캡플라이의 열전도 특성을 증가하여 발열 특성이 향상되고 타이어의 제어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타이어의 주행 안정성,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일 영역에서 캡플라이가 중첩되고, 캡플라이의 제1 층이 중첩되고 이와 인접한 제2 층이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필요한 영역에서의 캡플라이의 내구성, 열팽창율 제어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23은 도 21의 일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4는 도 21의 다른 일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을 참고하면 트레드부(410'), 캡플라이(420'), 바디 플라이(430'), 이너 라이너(460'), 벨트층(470')이 도시되어 있다.
캡플라이(420')는 도 21의 구조와 비교 시 캡플라이(420')가 벨트층(470')의 가장자리를 덮도록 형성될 때 복층이 아닌 단층의 구조를 포함하고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23의 캡플라이(420')는 선택적으로 도 5, 도 10, 도 11, 도 12, 도 16 및 도 17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트레드부(410"), 캡플라이(420"), 바디 플라이(430"), 이너 라이너(460"), 벨트층(470")이 도시되어 있다.
캡플라이(420")는 벨트층(470")의 가장자리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트레드부(410")의 적어도 일 영역과 대응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벨트층(470")의 양측 가장자리의 각각을 덮도록 서로 이격된 두 개의 영역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캡플라이(420")는 타이어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벨트층(470")의 일측 가장자리를 덮고 트레드부(410")의 중앙 영역을 포함한 주요 영역과 중첩되지 않도록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캡플라이(420")는 타이어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벨트층(470")의 타측 가장자리를 덮고 트레드부(410")의 중앙 영역을 포함한 주요 영역과 중첩되지 않도록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24의 캡플라이(420")는 선택적으로 도 5, 도 10, 도 11, 도 12, 도 16 및 도 17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200, 300, 400: 타이어
110, 210, 310, 410: 트레드부
180, 280, 380, 480: 사이드월
120, 220, 320, 420: 캡플라이
130, 230, 330, 430: 바디 플라이

Claims (5)

  1. 차량에 장착되는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차량 주행 시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트레드부;
    상기 트레드부와 인접하고 노면과 이격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사이드월; 및
    상기 트레드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그래핀을 함유하는 제1 층, 상기 제1 층과 인접하고 고무를 함유하는 제2 층을 구비하는 캡플라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캡플라이의 상기 제2 층은 적어도 상기 제1 층의 일 측 및 타측을 향하도록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타이어.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캡플라이의 상기 제2 층은 적어도 상기 제1 층을 감싸도록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타이어.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캡플라이의 상기 제1 층은 상기 트레드부와 중첩되도록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타이어.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캡플라이의 두께는 상기 제1 층의 두께의 10000배 이상인 것을 포함하는 타이어.
KR1020190146965A 2019-11-15 2019-11-15 타이어 KR102269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965A KR102269646B1 (ko) 2019-11-15 2019-11-15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965A KR102269646B1 (ko) 2019-11-15 2019-11-15 타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9474A true KR20210059474A (ko) 2021-05-25
KR102269646B1 KR102269646B1 (ko) 2021-06-24

Family

ID=76145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6965A KR102269646B1 (ko) 2019-11-15 2019-11-15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96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3294A (ko) * 2021-08-10 2023-02-17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트레드의 변형을 저감한 비공기입 타이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10836B1 (ko) * 2022-09-28 2024-09-25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공기입 타이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4529A (ko) * 1997-03-25 1998-11-05 남일 고성능 타이어
KR20120047843A (ko) * 2009-03-16 2012-05-14 보르벡크 머터리얼스 코포레이션 타이어 코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4529A (ko) * 1997-03-25 1998-11-05 남일 고성능 타이어
KR20120047843A (ko) * 2009-03-16 2012-05-14 보르벡크 머터리얼스 코포레이션 타이어 코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3294A (ko) * 2021-08-10 2023-02-17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트레드의 변형을 저감한 비공기입 타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9646B1 (ko) 2021-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58839B2 (en) Heavy duty pneumatic tire
US10046606B2 (en) Run-flat tire
JP5312233B2 (ja) 空気入りタイヤ
US8640754B2 (en) Run flat tire
WO2017188408A1 (ja) ランフラットラジアルタイヤ
KR20210059474A (ko) 타이어
KR102183211B1 (ko) 비공기압 타이어
US10661610B2 (en) Pneumatic tire
JP2009029277A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10143283A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2284166B1 (ko) 타이어
JP6709675B2 (ja) ランフラットラジアルタイヤ
WO2017188409A1 (ja) ランフラットラジアルタイヤ
JP7352449B2 (ja) ランフラットタイヤ
KR20190121596A (ko) 타이어
KR101905117B1 (ko) 타이어
KR102015869B1 (ko) 타이어
KR102187261B1 (ko) 타이어 및 타이어 제조 방법
KR102268664B1 (ko) 타이어
KR102200528B1 (ko) 타이어
KR102280795B1 (ko) 타이어
JP2017210212A (ja) ランフラットラジアルタイヤ
KR102547888B1 (ko) 타이어
KR102725865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2007923B1 (ko) 타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