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5571B1 - 세탁기 배수장치, 세탁기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세탁기 배수장치, 세탁기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5571B1
KR102475571B1 KR1020177021602A KR20177021602A KR102475571B1 KR 102475571 B1 KR102475571 B1 KR 102475571B1 KR 1020177021602 A KR1020177021602 A KR 1020177021602A KR 20177021602 A KR20177021602 A KR 20177021602A KR 102475571 B1 KR102475571 B1 KR 102475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rain
washing machine
storage chamber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1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8939A (ko
Inventor
페이시 뤼
린 양
윈 티안
펑 리
치 장
Original Assignee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510013177.XA external-priority patent/CN105839360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510013178.4A external-priority patent/CN105839361B/zh
Application filed by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98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8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5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5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4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ain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8Washing liquid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2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filters or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4Filtering, e.g. control of lint remov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세탁기 배수장치, 세탁기 및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세탁기 내부, 외부실린더 사이에 내벽을 세정하는 세정 파티클(5)이 설치되며, 배수장치는 배수할 때 세정 파티클(5)를 파티클 수납강실(6)로 수집하며, 급수할 때 물의 부력에 의해 급수구(12)에서 세탁기 내부, 외부실린더 사이로 떠오른다. 배수장치(1)는 배수밸브 본체(11), 급수구(12)와 배수구(13)를 포함하며, 급수구(12)와 세탁기 외부실린더의 배수구(2)와 연통되고, 배수밸브 본체(11)에는 급수구(12)와 연통된 파티클 수납강실(6)이 설치되며, 파티클 수납강실(6)과 배수구(13) 사이에는 파티클 여과구조(8)가 설치되며, 상기 배수장치(1)는 통수/통기유닛을 포함하며, 파티클 수납강실(6)에는 통구(61)가 설치되고, 통구(61)와 통수/통구유닛 사이에 연통되며, 통수/통기유닛은 파티클 수납강실(6)로 통수/통기하도록 제어한다. 배수장치(1)는 투입한 세정 파티클(5)이 전부 떠오르고 더욱 신속하게 투입하게 하며, 배수할 때 실 찌꺼기가 몽땅 배출되게 함으로써, 배수 막힘이 없도록 한다.

Description

세탁기 배수장치, 세탁기 및 제어방법
본 발명은 세탁기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탁기 배수장치, 세탁기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세탁, 헹굼, 건조, 탈수코스를 실행하며, 세제와 물의 상호작용을 이용하여 빨래에 부착된 때 자국을 편리하게 씻어낸다. 건조기는 또 다른 대표적인 빨래처리장치로써, 젖은 빨래를 건조시키는데 쓰이는 가전제품이다. 최근 세탁기와 건조기의 기능을 결합한 가전제품은 이미 널리 사용되고 기존의 세탁기 내부, 외부실린더는 밀폐된 환경이며 물살만이 통과할 수 있다. 세탁기의 이러한 구조의 제한성과 사용환경의 특수성에 의해 3-5개월 사용하면, 내부실린더 외벽과 내부실린더 내벽에 때가 끼고, 세균이 정도의 차이를 보이며 증식되며, 증식된 세균은 대부분이 인체에 해롭다.
사람들의 생활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생활의 질에 대한 요구 또한 높아지며, 세탁기의 위생문제는 이미 소홀히 할 수 없는 문제로 되었다. 관련 연구기관이 세탁기 내부환경에 대해 조사한 결과, 점점 많은 소비자들이 이미 세탁기 내부오염의 심각성을 중시한다. 세탁기의 세탁물에 대한 2차 오염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건강을 지키기 위하여, 세탁기 내부환경의 청결문제는 시급하게 해결해야 하는 문제이다.
중국특허 200820183308.4에서는 세탁조 사이를 청결하게 하는 세트 세탁조 세탁기를 공개하였으며, 이 세탁기는 내부실린더, 외부실린더 그리고 내부, 외부실린더를 세정하기 위한 여러 개의 실리카겔 공을 포함한다. 이 세탁기는 세탁할 때 내부실린더의 회전으로 인한 물의 회전을 이용하여 세탁기의 내부실린더와 외부실린더 사이에 있는 실리카겔 공이 내부실린더와 외부실린더의 양쪽 내벽을 충돌하게 함으로써, 세탁기의 내부 및 외부실린더를 청결하게 하는 목적을 달성한다.
이외에도 출원인이 이전에 출원한 중국특허 201010160548.4는 유연한 파티클로 세탁기의 내부, 외부실린더의 사이를 청결하게 하는 세탁기 및 방법을 공개하였다. 상기 세탁기는 세탁기의 내부 및 외부실린더 사이에 유연한 파티클을 배치함으로써 세탁물을 세탁하는 과정에 물의 규칙적인 유동으로 인한 파티클의 충격과 마찰을 이용하여 세탁기 내부실린더와 외부실린더의 내벽을 청결하게 한다. 그러나 위에서 서술한 세탁기는 구조상, 배수를 마친 다음 실리카겔 또는 유연한 파티클이 실린더 속에 자연상태로 흩어지게 됨으로써, 고속탈수과정에 엄청난 소음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세탁기의 에너지를 소모하기 때문에, 세탁기의 사용수명이 줄어들게 된다. 이로써 기존 배수장치의 구조를 개선하되 세정용 파티클을 수집하는 여과구조를 설치함으로써 실 찌꺼기를 여과, 배출하여 막히지 않게 할 뿐만 아니라 다음 번에 세탁할 때 세정용 파티클을 자동으로 투입하며 또한 자유자재로 해체하여 세정용 파티클을 교체할 수 있는 배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급선무이다.
또한, 출원인이 전에 신청한 중국특허 201210189764.0에서는 일종의 세탁기 배수장치를 공개하였는데, 상기 세탁기는 외부실린더, 내부실린더와 회전날개를 포함하고 있으며 내,외부실린더 사이에는 내벽을 세정하는 세정 파티클이 설치된다. 외부실린더 바닥에는 배수구가 설치되며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배수장치는 탈수할 때 세정 파티클을 수납하고 급수할 때 세정 파티클이 부력에 의해 외부실린더로 이동하여 파티클 수납강실(1')과 배수강실(2')를 세정한다. 파티클 수납강실(1')과 배수구는 연통 파이프(3')에 의해 연통되며, 파티클 수납강실(1)은 경사진 내벽구조를 갖추고 있어 세정용 파티클(4')이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내벽을 따라 연통 파이프로 흘러 들어 배수구를 거쳐 외부실린더로 흘러 들게 한다.
그러나 다량의 실험을 거친 결과 위에서 서술한 구조는 여전히 아래와 같은 문제점들을 갖고 있다. 1. 세정용 파티클은 대부분 경사 내벽에 붙어있어 세탁기 급수과정에 즉시 부력에 의해 급수구로부터 외부실린더로 흘러 들지 못하게 되며 장기간 위층으로 떠오르지 못하고 경사 내벽의 하단에 밀집된다. 특히 파티클이 수납강실에 너무 오랫동안 머무를 경우 바닥에 있는 파티클은 좌우로 눌려서 수납강실의 바닥에 붙어버려 완전하게 투입되지 못한다. 2. 세탁기가 배수할 때 세정 파티클의 영향으로 인해 실 찌꺼기가 여과구조의 전면에 밀집되어 배출되지 못하는바 오랜 기간 축적되면 배수효율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세정 파티클에 엉켜 세정 파티클의 재투입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위에서 서술한 내용을 감안하여 본 발명을 제출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문제는 기존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고 일종의 구조가 간단한 세탁기 배수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실 찌꺼기를 몽땅 배출하여 배수에 막힘 현상과 2차 오염을 일으키지 않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종의 위에서 서술한 배수장치를 갖춘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종의 세탁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위에서 서술한 기술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기술방법의 기본구상을 사용한다.
세탁기 배수장치로서 배수밸브 본체, 급수구와 배수구를 포함하며, 급수구와 세탁기 외부실린더의 배수구와 연통되고, 배수밸브 본체에는 급수구와 연통된 파티클 수납강실이 설치되며, 파티클 수납강실과 배수구 사이에는 파티클 여과구조가 설치되며, 상기 배수장치는 통수/통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파티클 수납강실에는 통구가 설치되고 통구는 통수/통구유닛과 서로 연통되며, 통수/통기유닛은 파티클 수납강실로 통수/통기하도록 제어한다.
나아가서, 상기 통수/통기유닛은 세탁기 급수밸브이고, 급수밸브는 물 안내관에 의해 통구와 연통되며, 급수밸브로 파티클 수납강실로 물을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또는, 상기 통수/통기유닛은 공기펌프이고, 공기펌프는 공기 안내관에 의해 통구와 연통되며, 공기펌프로 파티클 수납강실로 공기를 불어넣도록 제어한다.
나아가서, 상기 통구와 통수/통기유닛 사이에 체크밸브가 설치된다.
나아가서, 상기 통구의 통수/통기방향은 파티클 여과구조에 대응하는 전면에 설치된다.
나아가서, 상기 통구는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고, 파티클 수납강실의 상부 또는 측부 또는 저부에 설치되며, 다통로 파이프에 의해 통수/통기유닛과 연통된다.
나아가서, 상기 통구는 배수/배기방향에 따라 내부직경이 점차 작아진다. 상기 구조는 급수수압/급기기압을 증가시켜 상대적으로 큰 급수/급기충격력을 이용하여 파티클 수납강실 내부의 세정 파티클을 뒤섞는다.
본 발명은 다른 세탁기 배수장치를 제공하며, 배수밸브 본체, 급수구와 배수구를 포함하며, 배수밸브 본체에는 급수구와 연통된 파티클 수납강실이 설치되며, 파티클 수납강실과 배수구 사이에는 파티클 여과구조가 설치되며, 상기 배수장치에는 파티클 수납강실로 물을 공급하는 공기펌프유닛이 설치된다.
본 발명은 펌프유닛에 의해 파티클 수납강실로 물을 공급하여 파티클 수납강실 속의 세정 파티클에 충격을 가하는바 불규칙적으로 운동하도록 함으로써 막히거나 엉킨 실 찌꺼기 덩이들을 흩어지게 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배수간격을 다시 형성함으로써 실 찌꺼기가 순조롭게 배출되게 한다.
나아가서, 상기 펌프유닛은 역방향 펌프를 포함하고, 역방향 펌프의 배수구는 배수장치의 배수구와 연통되며, 역방향 펌프의 급수구는 세탁기의 배수파이프와 연통된다. 배수과정에서 배수파이프 내의 세탁수를 역방향으로 유도하여 파티클 수납강실로 유도함으로써 세정 파티클에 엉켜있는 실 찌꺼기 및 파티클 여과구조 전면에 막혀 실 찌꺼기의 배출을 방해하는 세정 파티클에 충격을 가한다.
나아가서, 상기 역방향 펌프의 후부에는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펌프가 설치되고, 배수펌프의 급수구는 역방향 펌프의 급수구와 연통되며, 배수펌프의 배수구는 세탁기의 배수파이프와 연통된다.
또는, 위에서 서술한 교체방안으로, 상기 펌프유닛은 순환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펌프의 급수구는 세탁기 외부실린더 바닥과 연통되며, 배수구는 파티클 수납강실과 연통된다.
또 다른 교체방안으로, 상기 펌프유닛은 양방향 배수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양방향 배수펌프는 하나의 급수구와 두 개의 배수구를 포함하며, 급수구는 배수장치의 배수구와 연통되고, 하나의 배수구는 세탁기의 배수파이프와 연통되고, 다른 한 배수구는 파티클 수납강실과 연통된다. 양방향 배수펌프의 배출방향을 제어함으로써 파티클 수납강실의 순환수로 또는 세탁기의 배수수로를 유도, 소통시킨다.
나아가서, 교체방안으로, 상기 펌프유닛은 배수펌프를 포함하고, 배수펌프의 급수구는 배수장치의 배수구와 연통되고, 배수구는 다통로 방향전환밸브와 연통되며, 다통로 방향전환밸브의 한 배수구는 파티클 수납강실과 연통된다.
나아가서, 상기 파티클 수납강실과 펌프유닛이 연통된 수로에 체크밸브 또는 차단밸브가 설치된다.
나아가서, 상기 파티클 수납강실에는 펌프유닛과 연통되는 통구가 설치되며, 상기 통구의 사이즈는 파티클 사이즈보다 작거나 또는 여과장치가 설치된다.
최적화한 것은, 통구가 파티클 수납강실이 파티클 여과구조에 대응하고 있는 일측의 바닥에 설치됨으로써 물로 상기 쪽의 세정 파티클과 실 찌꺼기에 충격을 가한다.
본 발명에서 서술하는 세탁기는 내부실린더와 외부실린더, 내부, 외부실린더 사이에 내벽을 세정하는 세정 파티클이 설치된다. 외부실린더의 배수구는 하방의 배수장치와 연통되고, 상기 배수장치는 배수할 때 세정 파티클을 파티클 수납강실 내부로 수집하고, 급수할 때 물의 부력에 의해 급수구에서 세탁기 내부, 외부실린더 사이로 떠오르게 한다.
본 발명의 빨래세척과정에서 물살을 이용하여 세정 파티클을 내부, 외부 실린더에 충격 및 마찰시킴으로써 세탁기 내부, 외부실린더 벽의 세정을 실현한다. 세정이 끝난 후 세탁수는 배수장치에서 배출되고 세정 파티클은 파티클 수납강실로 수집된다. 상기 세정 파티클은 물 위에 떠있으며, 세탁기 내부, 외부실린더 사이에서 물살에 따라 내부, 외부실린더에 충격을 가한다.
내부, 외부실린더 사이에 세정 파티클을 설치함으로써 내부, 외부실린더 벽을 세정하는 것은 내부실린더에 빨래가 마찰됨으로써 실린더 내벽에 때가 끼고 세균이 증식하지 않는 원리를 적용한 것이다. 세정 파티클은 스펀지와 비슷한 물질일 수 있으며, 고무 또는 플라스틱 발포물질일 수도 있으며, 예를 들면, 발포고무, 발포플라스틱, 발포 복합폴리우레탄 등이 있으며, 일정한 탄력이 있고 건조상태에서 밀도가 물도다 작고 일정한 탄력과 내마모성을 가진다. 물속에서 물에 침투되는 성질을 갖고 있고 가격이 싸고 여러 번 사용한 다음 직접 파티클 수납강실의 입구 쪽의 밀폐뚜껑을 열어 회수할 수 있으며, 다시 새로운 세정 파티클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서술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파티클 수납강실로 직접 물 또는 공기를 제공함으로써 급수할 때 세정 파티클이 위로 떠올라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투입시킨다. 세탁기에 세정 파티클을 투입할 때 통수/통기유닛으로 간헐적 또는 지속적으로 파티클 수납강실로 통수/통기하도록 제어하며, 파티클의 이동에 충격을 가함으로써 급수수위가 상승됨에 따라 세탁기의 내부, 외부실린더 사이에 투입되도록 한다.
나아가서, 상기 통수/통기유닛으로 일정한 시간 동안 파티클 수납강실에 통수/통기시킨 다음 또는 외부실린더의 설정수위까지 급수시킨 다음 통수/통기유닛이 작동을 멈춘다.
본 발명에서 서술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배수과정에서 통수/통기유닛 또는 펌프유닛을 제어하여, 파티클 수납강실로 통수 또는 통기시킴으로써 파티클과 엉킨 실 찌꺼기 및/또는 파티클 여과구조에 걸린 실 찌꺼기 덩이들을 씻어냄으로써 순조롭게 배수시킨다.
배수과정에서 단위시간으로 측정하여 외부실린더 수위가 설정값보다 낮아지거나 설정값만큼 낮아질 때, 이때, 실 찌꺼기가 세정 파티클에 엉켜 여과구조 전면을 막고 있을 경우, 통수/통기유닛 또는 펌프유닛을 제어하여 파티클 수납강실로 통수 또는 통기시킨다.
또는, 배수과정에서 설정된 간헐적인 시간간격에 따라 파티클 수납강실로 통수/통기시킴으로써 실 찌꺼기가 엉켜 배출되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실 찌꺼기가 세정 파티클에 엉켜 배수와 재투입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방지한다.
외부실린더가 설정수위까지 배수한 것이 측정될 때, 통수/통기유닛 또는 펌프유닛을 제어하여 파티클 수납강실로 통수 또는 통기시키는 것을 멈춘다.
위에서 서술한 기술방법을 사용할 경우, 본 발명과 기존기술을 비교해볼 때 아래와 같은 유익한 효과들을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배수장치는 내부실린더와 외부실린더 사이에 세정용 파티클을 배치하여 내부, 외부실린더 내벽을 세정하는 기능을 탑재한 세탁기에 적합한 것이며, 배수를 이용하여 세정용 파티클을 수집함으로써 탈수할 때 세정용 파티클이 내부, 외부실린더에 부딪혀 소음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하며, 또한 다음 번의 세탁과정에서 급수의 부력을 이용하여 세정용 파티클을 다시 내부실린더와 외부실린더 사이에 투입함으로써 내벽을 세정하며, 개선구조를 응용하여 세정용 파티클을 다시 투입, 사용함으로써 세정용 파티클이 내벽에 붙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며, 구조가 간단하고 생산과 설치원가 또한 낮다.
본 발명은 통수/통기유닛을 이용하여 파티클 수납강실로 통수/통기시키도록 제어하며, 세정 파티클을 뒤섞음으로써 세정 파티클들이 흩어지고 파티클 수납강실 내벽에 붙어있지 않게 하므로 세정 파티클의 투입에 유리한다. 세탁기가 배수할 때 세정 파티클의 영향 때문에, 실 찌꺼기는 파티클 여과구조의 전면에 쉽게 막혀, 배출되지 못하지만, 본 발명은 통수 또는 통기의 힘으로 실 찌꺼기 덩이에 충격을 가하므로, 실 찌꺼기를 완전히 배출시킴으로써 배수의 막힘 현상과 실 찌꺼기가 잔류하여 생긴 세균증식현상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설계가 합리적이며, 급수할 때 세정 파티클이 전부 투입시키고 순조로운 배수과정을 확보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배수장치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서술하는 세탁기와 배수장치의 설치구조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서술하는 배수장치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배수장치의 단면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3의 배수장치의 A 방향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서술하는 또 다른 배수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서술하는 세탁기와 배수장치의 또 다른 설치구조 설명도이다.
도 8-도 12는 본 발명에서 서술하는 배수장치의 서로 다른 구조 설명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도면을 결부시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행방식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서술하는 배수장치(1)는 세탁기의 배수구(2)와 연통되고 세탁기 외부실린더(3)의 하단에 설치된다. 세탁기는 외부실린더(3)와 내부실린더(4)를 포함하고, 내부실린더(4)와 외부실린더(3) 사이에 세탁조 내벽을 세정하는 세정 파티클(5)이 설치된다. 세정 파티클(5)은 물 위에 뜨며, 세탁과정에서 물살을 이용하여 세정 파티클(5)을 내부, 외부 실린더에 충격 및 마찰시킴으로써, 세탁기 내부, 외부실린더 벽의 세정을 실현한다. 세정이 끝난 후, 세탁수는 배수장치(1)에서 배출되고, 세정 파티클(5)은 배수장치(1)로 수집되며, 다음 급수 때 세정 파티클(5)은 다시 급수에 의해 배수장치에서 외부실린더 배수구(2)로 떠오르며, 내부실린더(4)와 외부실린더(3)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내부, 외부실린더 사이의 내벽을 계속하여 세정한다.
본 발명에서 서술하는 세탁기의 배수장치(1)는 배수밸브 본체(11), 급수구(12)와 배수구(13)를 포함하며, 배수밸브 본체(11) 내의 부분은 서로 연통된 파티클 수납강실(6)과 배수밸브 강실(7)이며, 파티클 수납강실(6)과 배수밸브 강실(7) 사이에는 파티클 여과구조(8)가 설치되며, 파티클 수납강실(6)은 급수구(12)에 의해 외부실린더 배수구(2)와 연통되며, 배수밸브 강실(7) 내에는 배수밸브마개(9)가 설치되고, 배수구(13)는 배수밸브 강실(7)과 연통되며, 배수밸브마개(9)는 축 방향에 따라 신축하여 파티클 수납강실(6)과 배수구(13) 사이의 수로를 잠금/오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서술하는 파티클 여과구조(8)는 두 조의 대립된 격자창살을 포함하며, 두 조의 격자창살은 좁고 긴 통수구(80)이고, 각 조의 격자창살은 여러 개의 막음줄기(81)가 한 쪽 내벽으로부터 통수구(80)까지 연장되어 빗살모양의 구조를 이루고 있다(도 5 참조). 막음줄기(81)에 대응하는 파티클 수납강실(6)의 일측은 배수방향에 따라 가장자리로부터 통수구(80)까지 경사지며, 통수구(80)의 위치로부터 배수밸브 강실(7)까지 오목한 원호모양의 경사를 이루며, 각 조의 격자창살의 인접한 막음줄기(81) 사이의 틈새는 막음줄기 단부에서 통수구(80)와 평활하게 연통된다. 배수할 때, 막음줄기(81) 위에 걸리는 실 찌꺼기는 상기 원호모양의 경사단면을 따라 막음줄기의 단부까지 씻겨가며, 통수구(80) 위치로부터 배수밸브 강실(7) 내부로 흘러 들며, 상기 구조는 출원인이 이전에 출원 중에 공개하였기 때문에, 일일이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 배수장치의 급수구(12)는 파티클 수납강실(6) 상부에 설치되며, 배수구(13)는 배수밸브강실(7)의 하방에 설치되며, 급수구(12), 파티클 수납강실(6), 배수밸브강실(7), 배수구(13)는 순서에 따라 서로 연통되어 배출통로를 이루며, 배수밸브마개(9)를 통하여 파티클 수납강실(6)과 배수구(13) 사이의 배수통로 사이의 연통과 잠금 상태를 제어한다. 배수밸브강실(7)의 측벽에는 넘친 물 배수구(14)(도 4 참조)가 설치되어 있거나 배수구(13)의 측부에 넘친 물 배출구(14)가 설치되어 (도 6 참조), 넘친 물 파이프를 통해 외부실린더와 넘친 물 개구와 연통된다(도면에 표시되지 않음).
실시례 1
도 2-도 4,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서술하는 파티클 수납강실(6)에는 통구(61)가 설치되고, 통구(61)는 통수/통기유닛과 연통되며 통수/통기유닛으로 파티클 수납강실(6)의 통수/통기를 제어한다.
실시례 2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례의 상기 통수/통기유닛은 세탁기의 급수밸브(16)이고, 급수밸브(16)는 물 안내관(10)에 의해 통구(61)와 연통되며, 급수밸브로 파티클 수납강실(6)까지의 급수를 제어한다.
실시례 3
도 3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례는 실시례 2의 기초에서 더 개선한 것으로, 상기 통구(61)는 파티클 수납강실(6)의 바닥에 설치되며, 최적화한 것은 통구(61)의 배수방향이 대응되는 파티클 여과구조(8)의 전면에 설치되는 것이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통구(61)는 막음줄기(81)의 전면에 설치되고 배수할 때 통구(61)에 의한 급수가 막음줄기(81) 전면에 엉킨 실 찌꺼기(15)(도 2 참조)에 충격을 가하여, 실 찌꺼기(15)가 순조롭게 배출됨으로써 배수가 막히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통구(61)의 내부직경은 세정 파티클(5)의 최소직경보다 작게 하여 세정 파티클(5)가 통구(61)를 막는 것을 방지하거나, 통구에 여과망을 설치한다(도면에 표시되지 않음). 물 안내관(10)와 통구(61)의 연통위치에는 체크밸브(도면에 표시되지 않음)가 설치되어, 세탁수가 물 안내관에 따라 역류하여 급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파티클 수납강실의 통구(61)은 배수방향에 따라 내부직경이 점차 작아진다(도 4 참조). 상기 구조는 급수수압을 증가하여 상대적으로 큰 급수의 충격력으로 파티클 수납강실 속의 세정 파티클을 뒤섞는다.
실시례 4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례와 실시례 3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상기 파티클 수납강실(6)에는 3번 급수구(62)가 설치되고, 물 안내관(10)는 한 T형 연통관이며, 각각 급수밸브, 통구와 3번 급수구와 연통되며, 여러 방향에서 급수됨으로써 파티클 수납강실 속의 세정 파티클과 실 찌꺼기에 충격을 가하는데 더욱 유리하다. 본 실시례의 통구와 3번 급수구는 각각 파티클 수납강실(6)의 두 대립 측부(도 6에는 3번 급수구(62)만 표시하였고, 통구는 다른 측부에 있어 표시할 수 없음)에 설치된다. 두 급수구의 급수방향은 최적화하여 동일한 직선 위에 있지 않고, 또는 통구와 3번 급수구가 같은 측면에 설치될 수도 있는 것이다. 최적화 한 것은 두 급수구의 배수방향을 교차하여 설치하는 것이고, 위에서 서술한 물 안내관과 연통하는의 급수구의 개수와 설치위치는 위에서 상술한 구조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는 방법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주에 속한다.
실시례 5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례 와 상술한 실시례 1부터 실시례 4와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상기 통수/통기유닛은 공기펌프(17)이고 공기펌프(17)는 공기 안내관(18)에 의해 통구(61)와 연통되며 공기펌프(17)에 의해 파티클 수납강실(6)로 공기를 불어넣는다. 기타 구조는 실시례 3과 실시례 4를 참조할 수 있다.
실시례 6
도 8-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실시례 1 내지 실시례 5와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기 배수장치(1)는 파티클 수납강실(6)로 급수하는 펌프유닛을 포함한다. 펌프유닛에 의해 파티클 수납강실로 물을 공급하여 파티클 수납강실 속의 세정 파티클에 충격을 가하여, 이를 불규칙적으로 운동하도록 함으로써, 막히거나 엉킨 실 찌꺼기(15)들을 느슨하게 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배수간격을 다시 형성하며, 계속 배수하면 실 찌꺼기가 순조롭게 배출된다.
실시례 7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례에서 서술하는 상기 펌프유닛은 역방향 펌프(16)를 포함하고, 역방향 펌프(16)의 배수구는 배수장치의 배수구(13)와 연통되며, 역방향 펌프(16)의 급수구는 세탁기의 배수파이프(22)와 연통된다. 배수과정에서, 배수파이프(22) 내의 세탁수를 역방향으로 유도하여 파티클 수납강실(6)로 유도함으로써, 세정 파티클에 엉켜있는 실 찌꺼기 및 파티클 여과구조(8) 전면에 막혀 실 찌꺼기의 배출을 방해하는 세정 파티클에 충격을 가한다.
실시례 8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례는 실시례 7의 기초 상에, 상기 역방향 펌프(16)의 후부에는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펌프(23)가 설치되고, 배수펌프(23)의 급수구는 역방향 펌프(16)의 급수구와 연통되며, 배수펌프(23)의 배수구는 세탁기의 배수파이프(22)와 연통된다.
실시례 9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례는 상술한 실시례 7 및 실시례 8과 달리, 본 실시례의 상기 펌프유닛은 순환펌프(24)를 포함하고, 상기 파티클 수납강실(6)에는 펌프유닛과 연통된 통구(61)가 설치된다. 상기 순환펌프(24)의 급수구는 세탁기 외부실린더(3)의 바닥과 연통되며, 배수구는 파티클 수납강실(6)의 통구(61)와 연통된다. 외부실린더(3) 내부의 세탁수는 펌프의 압력을 받아 파티클 수납강실(6) 내의 세정 파티클 및 실 찌꺼기에 충격을 가한다.
실시례 10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례의 상기 펌프유닛은 양방향 배수펌프(19)를 포함하고, 상기 양방향 배수펌프(19)는 하나의 급수구와 두 개의 배수구를 포함하며, 급수구는 배수장치의 배수구(13)와 연통되고, 하나의 배수구는 세탁기의 배수파이프(22)와 연통되고, 다른 하나의 배수구는 파티클 수납강실(6)의 통구(61)와 연통된다. 양방향 배수펌프의 배수방향을 제어함으로써, 파티클 수납강실의 순환수로 또는 세탁기의 배수수로를 유도, 소통시킨다.
나아가서, 파티클 수납강실(6)의 통구(61)와 양방향 배수펌프(19) 사이의 수로에는 체크밸브(63)가 설치되어, 외부실린더 속의 물이 직접 상기 파티클 수납강실(6)의 통구(61), 양방향 배수펌프(19), 배수파이프(22)를 거쳐 배출된다.
실시례 11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례와 실시례 10은 다르며, 본 실시례의 상기 펌프유닛은 배수펌프(20)를 포함하고, 배수펌프(20)의 급수구는 배수장치의 배수구(13)와 연통되고, 배수구는 다통로 방향전환밸브(21)와 연통되며, 다통로 방향전환밸브(21)의 하나의 배수구는 파티클 수납강실(6)과 연통된다. 다통로 방향전환밸브(21)의 배수방향을 제어함으로써 파티클 수납강실의 순환수로 또는 세탁기의 배수수로를 유도, 소통시킨다.
상술한 실시례 중의 통구(61)는 파티클 수납강실(6)이 대응하는 파티클 여과구조(8)의 일측 바닥에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급수가 이 일측의 세정 파티클과 실 찌꺼기에 직접 충격을 가한다. 그러나 상술한 위치에 제한되지 않으며, 파티클 수납강실(6)에 대응되는 여과구조(8)의 일측의 측벽 상(도 6 중의 3번 급수구(62)의 위치 참조)에 설치할 수도 있다.
실시례 12
본 발명의 상기 세정 파티클(5)은 물 위에 뜨며, 세탁기 내부, 외부실린더 사이에서 물살을 이용하여 내부, 외부실린더와 마찰된다. 빨래의 세탁과정에서 물살을 이용하여 세정 파티클(5)을 세탁기 내부, 외부 실린더에 충격 및 마찰시킴으로써, 세탁기 내부, 외부실린더 사이의 벽의 세정을 실현한다. 세정이 끝난 후 세탁수는 배수장치1에서 배출되고 세정 파티클(5)은 파티클 수납강실(6)로 수집된다.
실시례 13
본 발명의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세정 파티클을 투입하는 제어방법으로서, 실시례 2부터 실시례 4에서 서술한 배수장치를 결합하며, 상기 통수/통기유닛은 세탁기 급수밸브이며, 세탁기 내부실린더(4)에 급수하기 전에, 급수밸브를 제어하여 물 안내관(10)로부터 파티클 수납강실(6) 속으로 급수시키되, 간헐적으로 또는 지속적으로 급수시키며, 세정 파티클(5)을 충격하여 이를 세탁기 내부실린더(4)와 외부실린더(3) 사이까지 위로 떠오르게 한다.
물 안내관(10)를 거쳐 설정한 시간 동안 파티클 수납강실(6)로 물을 공급한 다음, 또는 물 안내관(10)를 거쳐 급수하며 배수장치(1), 급수구(12), 외부실린더 배수구(2)를 거쳐 외부실린더(3)의 설정수위에 도달한 다음 물 안내관(10)으로 급수하는 것을 멈추며, 그 다름 기존의 급수코스를 재실행하여, 내부실린더(4) 속으로 급수하며, 즉 급수밸브로 세제통 또는 기타 처리장치에 급수한 다음 다시 내부실린더로 진입한다. 혹은, 급수코스가 완성될 때까지 급수하며, 상술한 설정방법에 제한되지 않아도 좋다.
실시례 14
본 발명의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세정 파티클 투입의 제어방법으로서, 실시례 5의 상기 배수장치를 결합하면, 상기 통수/통기유닛은 공기펌프(17)이고, 설정수위까지 급수한 다음 공기펌프(17)를 제어하여 공기 안내관(18)으로부터 파티클 수납강실(6) 내부로 간헐적으로 또는 지속적으로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세정 파티클(5)이 세탁기 내부실린더(4)와 외부실린더(3) 사이까지 위로 떠오르게 충격을 가한다. 또는 공기펌프(17)를 제어하여 공기 안내관(18)으로부터 공기를 주입하여 세정 파티클(5)을 흩어지게 한 다음, 물을 공급하여 세정 파티클(5)이 세탁기 내부실린더(4)와 외부실린더(3) 사이까지 위로 떠오르게 한다. 혹은 공기주입과 급수를 동시에 진행할 수도 있으며, 상술한 설정방법에 제한되지 않아도 좋다.
파티클 수납강실(6)로 일정한 시간 동안 공기를 불어넣은 다음 정지시키거나, 급수코스가 끝날 때까지 공기를 불어넣는다.
실시례 15
본 발명의 상기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배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술한 실시례 중의 배수장치를 결합하면, 세탁기의 세탁이 완성되고, 배수과정에서 단위시간으로 측정하며, 외부실린더 수위가 설정값보다 낮아지거나 설정값만큼 낮아지면, 이때 실 찌꺼기(15)는 파티클에 엉켜, 여과구조(8)의 전면을 막으며(도 2, 도 7-도 9, 도 11과 도 12 참조), 펌프유닛 또는 통수/통기유닛을 제어하여 파티클 수납강실(6)로 통수/통기되면, 파티클과 엉킨 실 찌꺼기 및/또는 파티클 여과구조에 걸린 실 찌꺼기(15)를 씻어냄으로써 순조롭게 배수되게 한다. 혹은 배수과정에서 설정된 시간간격에 따라 파티클 수납강실(6)로 통수 또는 통기시켜, 실 찌꺼기가 엉켜 배출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세정 파티클에 엉켜 다음의 투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한다.
나아가서, 외부실린더(3)에서 설정수위까지 배수하는 것을 측정할 때, 펌프유닛 또는 통수/통기유닛을 제어하여 파티클 수납강실(6)로 통수 또는 통기하는 것을 멈춘다.
상술한 실시례 중의 실행방식은 더 조합하거나 교체할 수 있으며, 실시례는 단지 본 발명의 최적화한 실행방식을 설명하였을 뿐, 본 발명의 구상과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전제하에서, 본 발명의 당업자는 위에서 제시한 기술방법에 의해 개선 또는 변화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주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20)

  1. 배수장치, 내부실린더와 외부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실린더 및 상기 외부실린더 사이에서 상기 내부실린더 및 상기 외부실린더의 내벽을 세정하는 세정 파티클이 설치되는 세탁기로서,
    상기 배수장치는 배수밸브 본체, 급수구와 배수구를 포함하며, 상기 급수구는 상기 세탁기의 외부실린더의 배수구와 연통되고, 상기 배수밸브 본체에는 상기 급수구와 연통된 파티클 수납강실이 설치되며, 상기 파티클 수납강실과 상기 배수구 사이에는 파티클 여과구조가 설치되며,
    상기 배수장치는 상기 파티클 수납강실로 흐르는 물 또는 공기를 수집하는 통수/통기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파티클 수납강실에는 통구가 설치되고, 통구는 통수/통기유닛과 서로 연통되며,
    상기 배수장치가 배수 또는 탈수할 때 상기 파티클 수납강실로 상기 세정 파티클이 수집되고,
    급수중, 상기 통수/통기유닛에 의해 물 또는 공기가 제어되어 상기 파티클 수납강실로 흐르며, 상기 세정 파티클은 충격되어 이동하며 급수수위가 상승됨에 따라 상기 세탁기의 내부실린더 및 외부실린더 사이에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수/통기유닛은 세탁기의 급수밸브이고,
    급수밸브는 물 안내관에 의해 통구와 연통되며,
    급수밸브는 파티클 수납강실로의 급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수/통기유닛은 공기펌프이고,
    공기펌프는 공기 안내관에 의해 통구와 연통되며,
    공기펌프는 파티클 수납강실로 공기를 불어넣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구와 통수/통기유닛 사이에 체크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구의 통수/통기방향은 파티클 여과구조에 대응하는 전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구는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고,
    파티클 수납강실의 상부 또는 측부 또는 저부에 설치되며, 다통로 파이프에 의해 통수/통기유닛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수/통기유닛은 파티클 수납강실로 물을 공급하는 펌프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유닛은 역방향 펌프를 포함하고,
    역방향 펌프의 배수구는 배수장치의 배수구와 연통되며,
    역방향 펌프의 급수구는 세탁기의 배수파이프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펌프의 후부에는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펌프가 설치되고,
    배수펌프의 급수구는 역방향 펌프의 급수구와 연통되며,
    배수펌프의 배수구는 세탁기의 배수파이프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유닛은 순환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펌프의 급수구는 세탁기 외부실린더 바닥과 연통되며,
    배수구는 파티클 수납강실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유닛은 양방향 배수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양방향 배수펌프는 하나의 급수구와 두 개의 배수구를 포함하며,
    급수구는 배수장치의 배수구와 연통되고,
    하나의 배수구는 세탁기의 배수파이프와 연통되고, 다른 하나의 배수구는 파티클 수납강실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유닛은 배수펌프를 포함하고,
    배수펌프의 급수구는 배수장치의 배수구와 연통되고,
    배수구는 다통로 방향전환밸브와 연통되며,
    다통로 방향전환밸브의 하나의 배수구는 파티클 수납강실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3. 제1항에 따르는 상기 세탁기를 제어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으로,
    상기 통수/통기유닛으로 일정한 시간 동안 파티클 수납강실에 통수/통기시킨 다음, 또는 외부실린더의 설정수위까지 급수시킨 다음 통수/통기유닛이 작동을 멈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4. 제1항에 따르는 상기 세탁기를 제어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으로,
    배수과정에서, 단위시간으로 측정하며, 외부실린더 수위가 설정값보다 낮아지거나 설정값만큼 낮아질 때, 통수/통기유닛이 파티클 수납강실로 통수/통기시키도록 제어하거나,
    배수과정에서, 설정된 시간간격에 따라 파티클 수납강실로 통수/통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77021602A 2015-01-12 2015-07-03 세탁기 배수장치, 세탁기 및 제어방법 KR1024755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013178.4 2015-01-12
CN201510013177.XA CN105839360B (zh) 2015-01-12 2015-01-12 一种洗衣机排水装置、洗衣机及控制方法
CN201510013177.X 2015-01-12
CN201510013178.4A CN105839361B (zh) 2015-01-12 2015-01-12 一种洗衣机排水装置、洗衣机及控制方法
PCT/CN2015/083313 WO2016112660A1 (zh) 2015-01-12 2015-07-03 一种洗衣机排水装置、洗衣机及控制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8939A KR20170098939A (ko) 2017-08-30
KR102475571B1 true KR102475571B1 (ko) 2022-12-08

Family

ID=56405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1602A KR102475571B1 (ko) 2015-01-12 2015-07-03 세탁기 배수장치, 세탁기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80266037A1 (ko)
EP (1) EP3246453B1 (ko)
JP (1) JP6489490B2 (ko)
KR (1) KR102475571B1 (ko)
WO (1) WO20161126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41267B2 (ja) * 2018-07-30 2023-03-17 重慶海爾滾筒洗衣机有限公司 洗濯機及び制御方法
KR102332765B1 (ko) 2020-07-22 2021-12-02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배수장치
EP4219821A4 (en) * 2021-03-22 2024-05-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RAINAGE LIQUID CHANNEL WITH FILTER AND WASHING MACHIN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34902A (zh) * 2010-04-30 2011-11-09 海尔集团公司 一种使用柔性颗粒清洗洗衣机内外桶之间的洗衣机及方法
CN102733156A (zh) * 2012-06-08 2012-10-17 海尔集团公司 一种洗衣机排水装置及洗衣机
CN104060438A (zh) * 2013-03-18 2014-09-24 海尔集团技术研发中心 洗衣机洗衣控制方法和洗衣机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1350B1 (ko) * 1992-02-25 1995-02-17 동양매직 주식회사 세탁기
JP2000084541A (ja) * 1998-09-09 2000-03-28 Hitachi Ltd 排水浄化装置
JP2000189693A (ja) * 1998-12-28 2000-07-11 Sanyo Electric Co Ltd 洗濯機
JP2001079293A (ja) * 1999-09-16 2001-03-27 Sanyo Electric Co Ltd 洗濯機
DE10046349B4 (de) * 2000-09-19 2015-08-27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gerät
EP1688530B1 (en) * 2005-02-08 2013-12-25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Clothes washing machine with improved filter assembly
JP2013509980A (ja) * 2009-11-10 2013-03-21 パク,ホヨン 洗濯機洗浄ボールの誘導装置及び洗浄ボールのための排水口蓋
GB0920565D0 (en) * 2009-11-24 2010-01-06 Xeros Ltd Improved cleaning apparatus
BRPI1001488A2 (pt) * 2010-05-26 2012-02-28 Electrolux Do Brasil S.A. aperfeiçoamento em filtro auto limpante para máquinas de lavar roupas
EP2455535B1 (en) * 2010-11-22 2017-06-28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Washing machine
EP2455532B1 (en) * 2010-11-22 2014-07-23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Washing machine
CN102154801B (zh) * 2011-01-11 2016-08-17 海尔集团公司 节水滚筒洗衣机及洗衣方法
CN102733157B (zh) * 2012-06-08 2017-02-08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排水装置及洗衣机
IN2014MN02440A (ko) * 2012-06-08 2015-07-10 Haier Group Corp
GB201305122D0 (en) * 2013-03-20 2013-05-01 Xeros Ltd New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DE112013007198B4 (de) * 2013-06-28 2019-02-14 Haier Group Corporation Selbstreinigende Waschmaschine
CN104711824B (zh) * 2013-12-12 2018-09-04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节水洗衣机及控制方法
CN105200730B (zh) * 2014-06-11 2018-10-12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排水装置及洗衣机
CN106567222B (zh) * 2014-09-29 2019-11-05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滚筒洗衣机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34902A (zh) * 2010-04-30 2011-11-09 海尔集团公司 一种使用柔性颗粒清洗洗衣机内外桶之间的洗衣机及方法
CN102733156A (zh) * 2012-06-08 2012-10-17 海尔集团公司 一种洗衣机排水装置及洗衣机
CN104060438A (zh) * 2013-03-18 2014-09-24 海尔集团技术研发中心 洗衣机洗衣控制方法和洗衣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8939A (ko) 2017-08-30
EP3246453A4 (en) 2018-01-17
JP6489490B2 (ja) 2019-03-27
EP3246453A1 (en) 2017-11-22
WO2016112660A1 (zh) 2016-07-21
US20180266037A1 (en) 2018-09-20
JP2018501003A (ja) 2018-01-18
EP3246453B1 (en) 2019-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99200B2 (ja) ドラム式洗濯機
WO2013091362A1 (zh) 一种滚筒洗衣机喷淋清洗装置和清洗方法及滚筒洗衣机
JP4923145B2 (ja) 洗浄/絞り機械
KR950001350B1 (ko) 세탁기
EP2860303B1 (en) Self-cleaning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KR102475571B1 (ko) 세탁기 배수장치, 세탁기 및 제어방법
KR20060097210A (ko) 세탁기 및 그 거품제거방법
JP6749340B2 (ja) 洗濯機および制御方法
KR20130124366A (ko) 드럼식 세탁기
JPH07231994A (ja) ドラム式洗濯機
CN107503078B (zh) 波轮洗衣机的控制方法
CN105839360A (zh) 一种洗衣机排水装置、洗衣机及控制方法
JP2013094328A (ja) ドラム式洗濯機
TW201506222A (zh) 洗衣機
CN105839361B (zh) 一种洗衣机排水装置、洗衣机及控制方法
CN106676827B (zh) 防垢波轮洗衣机
KR20060100617A (ko) 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
CN107059367B (zh) 衣物处理装置的喷淋系统和具有其的衣物处理装置
CN110644200B (zh) 具有自清洁功能的洗涤设备
CN109487503B (zh) 一种洗衣机及其控制方法
CN111286922B (zh) 一种滚筒洗衣机
CN111197235A (zh) 一种冷凝器的清洗方法及洗干一体机
CN109487479B (zh) 一种洗衣机阀塞、洗衣机及洗衣机的控制方法
KR102533498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CN105463793B (zh) 洗衣机线屑自动清除装置及洗衣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