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5335B1 - 전기-광학 요소를 위한 전기적 연결부 - Google Patents

전기-광학 요소를 위한 전기적 연결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5335B1
KR102475335B1 KR1020197013864A KR20197013864A KR102475335B1 KR 102475335 B1 KR102475335 B1 KR 102475335B1 KR 1020197013864 A KR1020197013864 A KR 1020197013864A KR 20197013864 A KR20197013864 A KR 20197013864A KR 102475335 B1 KR102475335 B1 KR 102475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
channel
substrate
edge
optical ele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3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0910A (ko
Inventor
아담 알. 하인첼만
주안 씨. 라라
크리스토퍼 엠. 데리
데이비드 제이. 카멘가
Original Assignee
젠텍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젠텍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젠텍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90100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0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5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5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60R1/083Anti-glare mirrors, e.g. "day-night" mirrors
    • B60R1/088Anti-glare mirrors, e.g. "day-night" mirrors using a cell of electrically changeable optical characteristic, e.g. liquid-crystal or electrochromic 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57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reflectors or illuminating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61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Filling or closing of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63Operation of electrochromic cells, e.g. electrodeposition cells; Circuit arrangement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electrochromi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18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s for improving the contrast of the display / brillance control visibilit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차량 디스플레이용 전기-광학 요소는 제1 표면 및 제2 표면을 정의하는 실질적으로 투명한 제1 기판을 포함한다. 제1 에지는 제1 기판의 주위로 연장된다. 실질적으로 투명한 제2 기판은 제3 표면 및 제4 표면을 정의한다. 제2 에지는 제2 기판의 주위로 연장된다. 주 밀봉부는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배치된다. 밀봉부 그리고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은 이들 사이에서 공동을 정의한다. 제1 및 제2 에지 중 적어도 하나는 채널을 정의하기 위해 밀봉부에 근접하게 단차가 있다. 전기-광학 물질은 공동 내에 위치한다.

Description

전기-광학 요소를 위한 전기적 연결부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전기-광학 요소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기-광학 요소를 위한 전기적 연결부에 관한 것이다.
전기-광학 요소는 다양한 차량 및 건물 응용(예, 후방 표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가변 투과성 윈도우)에 사용되고 있다. 다양한 응용 중 이들 조립체의 사용은 비용, 및 미학적 및 기능적 고려 사항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새로운 전기-광학 요소 및 조립체 설계 및 구성은 그들을 제조하는 방법과 함께, 특히 재료 및 처리 비용을 감소시키고, 심미성을 개선하고/하거나 기능성을 강화하는 것을 고려하여 요구된다.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특징부에 따르면, 차량 디스플레이의 전기-광학 요소는 제1 표면 및 제2 표면을 정의하는 실질적으로 투명한 제1 기판을 포함한다. 제1 에지는 제1 기판의 주위로 연장된다. 실질적으로 투명한 제2 기판은 제3 표면 및 제4 표면을 정의한다. 제2 에지는 제2 기판의 주위로 연장된다. 주 밀봉부는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배치된다. 밀봉부 그리고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은 이들 사이에서 공동을 정의한다. 제1 및 제2 에지 중 적어도 하나는 채널을 정의하기 위해 밀봉부에 근접하여 단차가 있다. 전기-광학 물질은 공동 내에 위치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하나의 특징부에 따르면, 차량 디스플레이의 전기-광학 요소는 제1 표면 및 제2 표면을 정의하는 실질적으로 투명한 제1 기판을 포함한다. 제1 에지는 제1 기판의 주위로 연장된다. 실질적으로 투명한 제2 기판은 제3 표면 및 제4 표면을 정의한다. 제2 에지는 제2 기판의 주위로 연장된다. 주 밀봉부는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배치된다. 밀봉부 그리고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은 이들 사이에서 공동을 정의한다. 공동은 제1 및 제2 기판 사이의 두께를 약 75 μm 미만으로 가지며, 제2 에지는 내측 방향으로 단차가 있어 채널을 정의한다. 전기-광학 물질은 공동 내에 위치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하나의 특징부에 따르면, 차량 디스플레이의 전기-광학 요소는 제1 표면 및 제2 표면을 정의하는 실질적으로 투명한 제1 기판을 포함한다. 제1 에지는 제1 기판의 주위로 연장된다. 실질적으로 투명한 제2 기판은 제3 표면 및 제4 표면을 정의한다. 제2 에지는 제2 기판의 주위로 연장된다. 제2 에지는 제1 에지의 내측에 설정되어 채널을 정의한다. 전도성 버스가 채널 내에 위치한다. 주 밀봉부는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배치된다. 밀봉부 그리고 제1 및 제2 기판은 공동을 정의한다. 전기-광학 물질은 공동 내에 위치한다.
본 개시 내용의 이들 및 다른 특징, 장점, 및 목적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당업자에 의해 더 잘 이해되고 인정될 것이다.
제1 양태에 따르면, 차량 디스플레이의 전기-광학 요소를 포함하는 차량 디스플레이의 전기-광학 요소가 제공되며, 이는 제1 표면 및 제2 표면을 정의하는 실질적으로 투명한 제1 기판을 포함한다. 제1 에지는 제1 기판의 주위로 연장된다. 실질적으로 투명한 제2 기판은 제3 표면 및 제4 표면을 정의한다. 제2 에지는 제2 기판의 주위로 연장된다. 주 밀봉부는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배치된다. 밀봉부 그리고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은 이들 사이에서 공동을 정의한다. 제1 및 제2 에지 중 적어도 하나는 채널을 정의하기 위해 밀봉부에 근접하여 단차가 있다. 전기-광학 물질은 공동 내에 위치한다.
제2 양태에 따르면, 양태 1인 전기-광학 요소가 제공되며, 제2 에지는 내측 방향으로 단차가 있어서 채널을 정의한다.
제3 양태에 따르면, 양태 1인 전기-광학 요소는 채널 내에 위치한 전기적 버스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4 양태에 따르면, 양태 1인 전기-광학 요소가 제공되며, 제1 에지 및 제2 에지 모두 단차가 있어서 채널을 정의한다.
제5 양태에 따르면, 양태 4인 전기-광학 요소는, 제1 단차형 에지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제1 전기적 버스; 및 제2 단차형 에지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제2 전기적 버스를 더 포함하고, 제1 및 제2 전기적 버스는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제6 양태에 따르면, 양태 5인 전기-광학 요소에 있어서, 밀봉부는 제1 및 제2 전기적 버스 사이에 위치한다.
제7 양태에 따르면, 양태 1의 전기-광학 요소에 있어서, 공동은 약 20 μm 내지 약 75 μm의 간격을 갖는다.
양태 1의 전기-광학 요소의 제8 양태에 따르면, 전기적 연결부는 채널 내로 연장되고, 금속 코팅층을 갖는 고분자 막을 포함한다.
양태 1의 전기 광학 요소의 제9 양태에 따르면, 전기적 연결부는 채널 내로 연장되고 전기적 연결부의 두께는 공동의 간격보다 더 크다.
제9 양태에 따르면, 제1 표면과 제2 표면을 정의하고 실질적으로 투명한 제1 기판을 포함하는 전기-광학 요소가 제공된다. 제1 에지는 제1 기판의 주위로 연장된다. 실질적으로 투명한 제2 기판은 제3 표면 및 제4 표면을 정의한다. 제2 에지는 제2 기판의 주위로 연장된다. 주 밀봉부는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배치된다. 밀봉부 그리고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은 이들 사이에서 공동을 정의한다. 공동은 제1 및 제2 기판 사이의 두께를 약 75 μm 미만으로 가지며, 제2 에지는 내측 방향으로 단차가 있어 채널을 정의한다. 전기-광학 물질은 공동 내에 위치한다.
제11 양태에 따르면, 양태 10의 전기-광학 요소는 채널 내에 위치하고 제2 에지 위에 실질적으로 연장되는 전도성 버스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12 양태에 따르면, 양태 10의 전기-광학 요소가 제공되며, 밀봉부는 채널의 내측에 위치한다.
제13 양태에 따르면, 양태 12의 전기-광학 요소가 제공되며, 채널은 높이보다 폭이 더 넓다.
제14 양태에 따르면, 양태 12의 전기-광학 요소가 제공되며, 채널은 폭보다 높이가 더 크다.
제15 양태에 따르면, 제10 양태의 전기-광학 요소가 제공되며, 전기-광학 물질은 전기변색성 물질이다.
제16 양태에 따르면, 양태 10의 전기-광학 요소가 제공되며, 전기적 버스는 채널 내에 위치하고 실질적으로 제2 기판 주위로 연장된다.
제17 양태에 따르면, 양태 10의 전기-광학 요소에 있어서, 제1 에지가 내측 방향으로 단차가 있어서, 채널은 제1 및 제2 단차형 에지에 의해 정의되고 전기적 버스는 채널을 실질적으로 충진하도록 한다.
제18 양태에 따르면, 제1 표면과 제2 표면을 정의하고 실질적으로 투명한 제1 기판을 포함하는 전기-광학 요소가 제공된다. 제1 에지는 제1 기판의 주위로 연장된다. 실질적으로 투명한 제2 기판은 제3 표면 및 제4 표면을 정의한다. 제2 에지는 제2 기판의 주위로 연장된다. 제2 에지는 제1 에지의 내측에 설정되어 채널을 정의한다. 전도성 버스가 채널 내에 위치한다. 주 밀봉부는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배치된다. 밀봉부 그리고 제1 및 제2 기판은 공동을 정의한다. 전기-광학 물질은 공동 내에 위치한다.
제19 양태에 따르면, 양태 18의 전기-광학 요소가 제공되며, 상기 전도성 버스는 만곡 형상을 정의한다.
제20 양태에 따르면, 양태 19의 전기-광학 요소가 제공되며, 상기 전도성 버스는 은 에폭시를 포함한다.
도면에서,
도 1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전기-광학 요소를 포함하는 차량 승객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광학 요소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광학 요소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광학 요소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광학 요소의 단면도이다.
도 5b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광학 요소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광학 요소의 단면도이다.
추가적인 특징 및 이점은 다음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제시될 것이고, 이러한 구체적인 내용을 통해 당업자에게는 명확해질 것이며, 또한 청구범위 및 첨부된 도면과 함께 다음의 구체적인 내용에 설명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실시함으로써 인식될 것이다.
여기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2개 또는 그 이상의 품목 리스트에 사용되는 경우 리스트의 품목들 중 어느 하나가 그 자체로 채택될 수 있거나, 리스트의 품목들 중 2개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이 채택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구성 요소가 구성 요소 A, B, 및/또는 C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다면, 그 구성 요소는 A 단독, B 단독, C 단독, A 및 B의 조합, A 및 C의 조합, B 및 C의 조합, 또는 A, B 및 C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헌에서, 관계 용어들, 예를 들면 제1 및 제2, 상부 및 하부 등은 이러한 명칭들 또는 동작들 간에 임의의 실제 이러한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시사함이 없이, 하나의 실체 또는 동작을 다른 실체 또는 동작과 구별하는 데에만 사용된다. 용어 "포함하다(comprise)", "포함하는(comprising)", 또는 그의 임의의 다른 변형은 요소들의 목록을 포함하는 공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가 이들 요소들만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공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 대하여 명확히 열거되거나 내제하지 않은 다른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도록, 비배타적인 포함을 포괄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를 포함한다"에 선행하는 요소는 "...를 포함한다"는 표현이 선행하는 요소는 추가 제약 없이, 그 요소를 포함하는 공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 추가적인 동일한 요소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참조 번호(10)는 전기-광학 요소(10)를 일반적으로 지칭한다. 전기-광학 요소(10)는 차량의 디스플레이(14) 내에서 이용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투명한 제1 기판(18)은 제1 표면(18a) 및 제2 표면(18b)을 정의한다. 제1 에지(18c)는 제1 기판(18)의 주위로 연장된다. 실질적으로 투명한 제2 기판(22)은 제3 표면(22a) 및 제4 표면(22b)을 정의한다. 제2 에지(22c)는 제2 기판(22)의 주위로 연장된다. 주 밀봉부(26)는 제1 기판(18) 및 제2 기판(22) 사이에 배치된다. 밀봉부(26) 그리고 제1 기판(18) 및 제2 기판(22)은 이들 사이에서 공동(30)을 정의한다. 제1 및 제2 에지(18c, 22c) 중 적어도 하나는 밀봉부(26)에 근접하게 단차가 있어 채널(34)을 정의한다. 전기-광학 물질(38)은 공동(30) 내에 위치한다.
도 1과 관련하여, 상기 전기-광학 요소(10)는 차량(42)용으로 다양한 디스플레이(14)에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는 내부 백미러 디스플레이(46), 사이드미러 디스플레이(50), 및/또는 기타 다양한 미러형 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다. 자동차 차량을 참조로 논의되었지만, 전기-광학 요소(10) 및/또는 디스플레이(14)는 이동 차량, 선박, 항공기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다양한 응용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전기-광학 요소(10) 및/또는 디스플레이(14)는 차량(42)의 전면 유리(58)에 부착되거나 적층될 수 있는 헤드업 디스플레이(54)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본원에서 논의된 전기-광학 요소(10)는 실질적으로 투명한 상태와 실질적으로 어두운 상태 사이에서 전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전기-광학 요소(10)의 투과율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전면 유리(58)와 디스플레이(14) 사이의 명암비를 제어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향상된 명암비는 디스플레이(14)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데이터 및/또는 그래픽의 가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헤드업 디스플레이(54) 예에서, 헤드업 디스플레이(54)는 차량(42)의 대시보드 또는 콘솔에 장착되거나 부착될 수 있는 독립형 장치에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헤드업 디스플레이(54)는 차량(42)의 대시보드 또는 계기판로부터 선택적으로 연장되거나 후퇴할 수 있는 팝업 디스플레이에 대응할 수 있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도시된 예에서, 전기-광학 요소(10)는 제1 및 제2 기판(18, 22)을 포함한다. 제1 및/또는 제2 기판(18, 22)은 실질적으로 투명한 재료, 예를 들어 유리(예, 소다 석회 유리), 고분자성 재료(예, 아크릴 및/또는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기판(18)은 약 2.2 mm, 2.0 mm, 1.6 mm, 1.5 mm, 1.2 mm, 1.0 mm, 또는 0.4 mm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1 기판(22)은 정사각형, 직사각형, 원형, 장방형, 및 이들 조합의 다양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다양한 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기판(18, 22)은 길이 또는 폭(즉, 수직축 또는 수평축)에 걸쳐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제2 및 제3 표면(18b, 22a) 상에, 각각의 제1 및 제2 전기 전도층(62, 66)이 위치한다. 제1 및 제2 전기 전도층(62, 66)은 투명 전도체, 예를 들어 투명 금속 산화물(예, 인듐 주석 산화물, F:SnO2, ZnO, IZO), 탄소(그래핀 및/또는 그래파이트), 및/또는 전도성 금속 메시(예, 나노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인듐 주석 산화물 예에서, 제1 및 제2 전기 전도층(62, 66)은 약 1 Ω/sq 내지 약 100 Ω/sq의 면저항을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 전기 전도층(62, 66)은 각각 절연 영역(64)(도 3)을 정의할 수 있다. 제1 전기 전도층(62)의 절연 영역(64)은 제1 전기 전도층(62)을 제1 부분(62a)과 제2 부분(62b)으로 분리한다. 제1 부분(62a)과 제2 부분(62b)은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제2 전기 전도층(66)의 절연 영역(64)은, 제2 전기 전도층(66)을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는 제3 부분(66a)과 제4 부분(66b)으로 분리한다. 다양한 예에 따르면, 스펙트럼 필터 또는 크롬 링이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절연 영역(64) 및/또는 채널과 버스를 보이지 않도록 이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기판(18, 22)은 평행한 관계로 위치할 수 있고, 주 밀봉부(26)를 이용하여 그 주변부 주위에서 밀봉될 수 있어 공동(30)을 정의한다(도 4). 밀봉부(26)는 제2 및 제3 표면(18b, 22a) 주위로 연장되어 제1 및 제2 기판(18, 22) 사이에서 전기-광학 물질(38)을 가둔다. 밀봉부(26)는 절연 영역(64)에 근접하거나 이에 접촉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기판 사이에서 밀봉부를 형성하는 것과 관련된 추가적인 정보는 발명의 명칭이 "Method of forming optically transparent seal and seal formed by said method"인 미국 특허 제 5,790,298 호에서 확인될 수 있으며, 이는 전체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공동(30)은 제1 및 제2 기판(18, 22) 사이의 간격을 약 100 μm, 90 μm, 75 μm, 50 μm, 40 μm 35 μm, 또는 약 20 μm 이하로 가질 수 있다. 특정예에서, 간격은 약 20 μm 내지 약 75 μm일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전기-광학 요소(10)는 전기-광학 요소(10) 및/또는 디스플레이(14)를 통해 투과되는 광을 감쇠시키도록 구성된 액정 매질(예, 전기-광학 물질(38))을 포함하는 액정 장치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전기-광학 요소(10)는 현탁 입자 장치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전기-광학 요소(10)는 전기변색성 요소일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전기-광학 요소(10)의 전기-광학 물질(38)은 적어도 하나의 용매, 적어도 하나의 아노드 물질, 및 적어도 하나의 캐소드 물질을 포함하는 전기변색성 매질이다. 통상적으로, 아노드 및 캐소드 물질은 모두 전기활성이고 이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전기변색성이다. 용어 "전기 활성"은, 그의 통상적인 의미에 상관없이, 특별한 전위차에 노출될 때 그의 산화 상태에서 변형을 겪는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용어 "전기변색성"은, 통상적인 의미에 상관없이, 특별한 전위차에 노출될 때 하나 이상의 파장에서 그 소광 계수(extinction coefficient)의 변화를 나타내는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전기변색성 구성 요소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그 색상 또는 불투명도(opacity)가 전류에 의해 영향을 받는 물질을 포함하여, 전류가 물질에 인가되었을 때, 색상 또는 불투명도가 제1 상(phase)으로부터 제2 상으로 변화된다. 전기변색성 구성 요소는 단층, 단상 구성 요소, 다층 구성 요소, 또는 다상 구성 요소일 수 있으며, 발명의 명칭이 "Electrochromic Layer And Devices Comprising Same"인 미국 특허 제5,928,572호, 발명의 명칭이 "Electrochromic Compounds"인 미국 특허 제5,998,617호, 발명의 명칭이 "Electrochromic Medium Capable Of Producing A Pre-selected Color"인 미국 특허 제6,020,987호, 발명의 명칭이 "Electrochromic Compounds"인 미국 특허 제6,037,471호, 발명의 명칭이 "Electrochromic Media For Producing A Pre-selected Color"인 미국 특허 제6,141,137호, 발명의 명칭이 "Electrochromic System"인 미국 특허 제 6,241,916호, 발명의 명칭이 "Near Infrared-Absorbing Electrochromic Compounds And Devices Comprising Same"인 미국 특허 제6,193,912호, 발명의 명칭이 "Coupled Electrochromic Compounds With Photostable Dication Oxidation States"인 미국 특허 제6,249,369호, 및 발명의 명칭이 "Electrochromic Media With Concentration Enhanced Stability,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Use In Electrochromic Devices"인 미국 특허 제 6,137,620호; 발명의 명칭이 "Electrochromic Device"인 미국 특허출원 공개 제2002/0015214 A1호; 및 발명의 명칭이 "Electrochromic Polymeric Solid Films, Manufacturing Electrochromic Devices Using Such Solid Films, And Processes For Making Such Solid Films And Devices"인 국제 특허 출원 제PCT/US98/05570호, 발명의 명칭이 "Electrochromic Polymer System"인 국제 특허 출원 제PCT/EP98/03862호, 및 발명의 명칭이 "Electrochromic Polymeric Solid Films, Manufacturing Electrochromic Devices Using Such Solid Films, And Processes For Making Such Solid Films And Devices"인 국제 특허 출원 제PCT/US98/05570호에서 설명된 바와 같고, 전체가 참조로서 본원에 원용된다. 다양한 예에 따르면, 전기-광학 요소(10)는 투명 상태에서 작동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작동 불능의 경우 디스플레이(14)는 여전히 사용 가능할 수 있다. 전기변색성은 매우 넓은 그레이 스케일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전기-광학 요소(10)의 전기 변색성 실시예의 사용은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전기변색성의 그레이 스케일은 각도에 독립적일 수 있어서, 운전자가 디스플레이(14) 및/또는 전기-광학 요소(10)에 대한 그들의 시점을 이동하더라도 전기-광학 요소(10)의 어두움 인지는 변화하지 않는다.
도 2를 여전히 참조하면, 도시된 예에서, 제2 기판(22)의 제2 에지(22c)는 채널(34)을 정의하도록 단차가 있다. 도시된 예에서, 제2 기판(22)의 제2 에지(22c)는, 내측 방향 또는 전기-광학 요소(10)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단차가 있거나 노치되어 채널(34)을 정의한다. 즉, 제2 기판(22)의 채널(34)은 제2 에지(22c)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된다. 채널(34)은 제3 표면(22a), 주 밀봉부(26) 및/또는 공동(30)에 근접하게 정의된다.
도시된 예에서, 단차형 제2 에지(22c)는 채널(34)을 정의하도록 협력하는 제1 채널 표면(34a) 및 제2 채널 표면(34b)을 정의하지만, 제1 및 제2 채널 표면(34a, 34b)은 단일, 단일체 표면(예, 만곡, 반원, 또는 불규칙적인 모양의 채널(34))일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채널(34)은 2개 이상의 표면(예, 3개, 4개 또는 4개 초과의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 따르면, 제1 채널 표면(34a)이 제2 채널 표면(34b)보다 길 수 있어서, 채널(34) 높이(예, 제2 기판(22)의 두께로의 거리)보다 채널(34) 폭이 (예를 들어 내측 방향으로) 더 넓다. 다른 예에 따르면, 제1 채널 표면(34a)이 제2 채널 표면(34b)보다 짧을 수 있어서, 채널(34) (예를 들어, 내측 방향으로의) 폭보다 채널(34) 높이(예, 제2 기판(22)의 두께로의 거리)가 더 크다. 제1 채널 표면(34a)은 약 0.1 mm, 0.2 mm, 0.3 mm, 0.4 mm, 0.5 mm, 0.6 mm, 0.7 mm, 0.8 mm, 0.9 mm, 또는 약 1.0 mm 이상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제2 채널 표면(34b)은 약 0.1 mm, 0.2 mm, 0.3 mm, 0.4 mm, 0.5 mm, 0.6 mm, 0.7 mm, 0.8 mm, 0.9 mm, 또는 약 1.0 mm 이상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 채널 표면(34a, 34b)은 원하는 단면적 및/또는 부피를 생성하는 임의의 폭(예, 약 0.1 mm 미만 또는 약 1.0 mm 초과임)의 임의의 조합을 가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제1 및 제2 채널 표면(34a, 34b)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직각일 수 있거나, 반경에 의해 정의될 수 있거나, 불규칙한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는 제1 및 제2 채널 표면(34a, 34b)이 실질적으로 단일 연속 표면이 되도록 하는 반경일 수 있다. 2개 채널 표면보다 많이 존재하는 예에서, 표면은 각도 및/또는 반경에 의해 정의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각각 갖는 채널(34) 내에 단차형 패턴(예, 복수의 더 작은 단차)을 형성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도시되었지만, 제3 표면(22a), 제2 에지(22c) 및 채널 표면(34a, 34b)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에서 응력 집중을 감소시키기 위한 반경 또는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는 점을 또한 이해할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채널 표면(34a, 34b)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모따기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채널(34)은 제2 기판(22)의 제2 에지(22c) 주위에서 연속적이다. 채널(34)은 제2 에지(22c) 주위에서 불연속적(예, 채널(34) 2개로 구성됨)일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채널(34)은 제2 기판(22)의 제2 표면(22c)의 오직 한 부분 주위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채널 표면(34a, 34b)은 채널(34)의 길이에 걸쳐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34)의 제1 부분은 제1 단면적을 가질 수 있고, 채널(34)의 제2 부분은 제1 단면적만큼 동일하거나, 더 작거나, 더 큰 제2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즉, 제1 부분보다 제1 및 제2 채널 표면(34a, 34b)의 상이한 값을 가짐).
전기적 버스(78)는 채널(34)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전기적 버스(78)는 전기 전도성 재료, 전도성 솔더, 전도성 에폭시(예, 은 에폭시), 와이어, 전기 전도성 탭(예, 고체 금속 조각)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전기적 버스(78)는 제1 버스 부분(78a) 및 제2 버스 부분(78b)을 포함한다. 제1 버스 부분(78a)과 제2 버스 부분(78b)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절연될 수 있다. 제1 버스 부분(78a)은 채널(34)을 통해 그리고 밀봉부(26)를 따라 연장되어 제2 전기 전도층(66)의 제3 부분(66a), 및 제1 전기 전도층(62)의 제1 부분(62a)을 전기적으로 접촉시킨다. 제2 버스 부분(78b)은 채널(34)을 통해 그리고 밀봉부(26)를 따라 연장되어 제2 전기 전도층(66)의 제4 부분(66b), 및 제1 전기 전도층(62)의 제2 부분(62b)을 전기적으로 접촉시킨다. 제1 및 제2 버스 부분(78a, 78b)은 각각 채널(34) 내에서 전기-광학 요소(10)의 주변부의 일부분 주위로 연장된다. 제1 및 제2 버스 부분(78a, 78b)은 채널(34)을 완전히 충진하거나 부분적으로 충진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버스 부분(78a, 78b)은 채널(34)을 완전히 충진하고, 제1 에지(18c, 22c)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이거나 평면형이다. 다른 예에서, 전기적 버스 부분(78a, 78b)은 채널(34)을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전기 전도층(62, 66)에 근접하게) 부분적으로 충진할 수 있다. 비록 채널(34)과 동일한 평면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전기적 버스(78)는 제1 및 제2 전기 전도층(62, 66) 사이에서(즉,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버스(78)와 제1 및 제2 전기 전도층(62, 66) 사이의 전기적 접촉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일부 예에서, 전기적 버스 부분(78a, 78b)는 채널(34) 내에 위치하고 실질적으로 제2 에지(22c) 위로 연장된다.
전기-광학 요소(10)는 제1 및 제2 전기적 연결부(82a, 82b)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제1 및 제2 전기적 연결부(82a, 82b)는 전기적 버스(78)의 제1 및 제2 버스 부분(78a, 78b) 내에 각각 위치한다. 제1 및 제2 전기적 연결부(82a, 82b)는 채널(34) 내로 연장될 수 있거나, 채널(34) 외부에 있는 제1 및 제2 버스 부분(78a, 78b)의 일부와 접촉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제1 및 제2 전기적 연결부(82a, 82b)는 전기 에너지를 각각의 제1 및 제2 버스 부분(78a, 78b)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예에서, 제1 및 제2 전기적 연결부(82a, 82b)는 제2 에지(22c) 주위를 감싸고 제4 표면(22b) 상으로 연장되는 J-클립으로서 구성된다. 전기적 연결부(82)는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와이어, 금속화 필름, 및 다른 전기 전도성 재료를 포함하는 다양한 구성을 취할 수 있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채널(34)의 사용은 작은 공동(30) 간격을 유지하면서 제1 및 제2 버스 부분(78a, 78b)의 단면적 및/또는 체적을 증가시키는 데 유리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버스 부분(78a, 78b)의 단면적 및/또는 체적을 증가시키는 것은 제1 및 제2 버스 부분(78a, 78b)의 비저항을 감소시키는 데 유리할 수 있다.
다양한 예에 따르면, 제2 전기 전도층(66)은 채널(34) 내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기 전도층(66)은 제1 및 제2 채널 표면(34a, 34b) 상에 (예를 들어, 스퍼터링, 화학 기상 증착, 전기도금, 분무되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예는 전도성 버스(78)와 제2 전기 전도층(66)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증가시키는 데 유리할 수 있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도시된 예에서, 제2 기판(22)은 채널(34)을 정의하고, 제1 기판(18)은 제2 채널(90)을 정의한다. 제2 채널(90)은 제2 기판(22)의 채널(34)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제2 기판(22)의 제2 에지(22c)와 유사하게, 제1 기판(18)의 제1 에지(18c)는 전기-광학 요소(10)의 중심을 향해 내측으로 단차가 있거나 또는 노치될 수 있어서 제2 채널(90)을 정의한다. 도시된 예에서, 제1 및 제2 버스 부분(78a, 78b)은 제2 채널(90) 내로 상향 연장된다. 제1 버스 부분(78a)은 채널(34)과 제2 채널(90)을 통해 연장되어 제2 전기 전도층(66)의 제3 부분(66a), 및 제1 전기 전도층(62)의 제1 부분(62a)을 전기적으로 접촉시킨다. 제2 버스 부분(78b)은 채널(34) 및 제2 채널(90)을 통해 연장되어 제2 전기 전도층(66)의 제4 부분(66b), 및 제1 전기 전도층(62)의 제2 부분(62b)을 전기적으로 접촉시킨다. 제1 및 제2 버스 부분(78a, 78b)은 채널(34) 및 제2 채널(90) 중 하나 또는 모두를 완전히 충진하거나 부분적으로 충진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제1 및 제2 버스 부분(78a, 78b)은 제1 및 제2 버스 부분(78a, 78b)이 제1 및 제2 에지(18c, 22c) 모두와 실질적으로 평면형이도록 채널(34) 및 제2 채널(90) 모두를 충진한다. 제1 및 제2 버스 부분(78a, 78b)은 채널(34) 및 제2 채널(90)의 상이한 비율로 충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버스 부분(78a)은 제1 에지(18c)와 동일한 평면 또는 평면형일 수 있으나 제2 에지(22c)와는 그렇지 아니하고, 제2 버스 부분(78b)은 제2 에지(22c)와 동일한 평면 상에 있을 수 있으나, 제1 에지(18c)와는 그렇지 않을 수 있다. 제2 채널(90)의 사용은 본질적으로 체적을 두 배로 하는 데 유리할 수 있어서, 이를 통해 제1 및 제2 버스부(78a, 78b)가 연장될 수 있다. 채널(34) 및 제2 채널(90)을 이용함으로써, 각각의 단면적은 (즉, 제1 및 제2 버스 부분(78a, 78b)에 대한 총 단면적이 채널(34) 및 제2 채널(90)을 가로질러 확장될 수 있기 때문에) 감소될 수 있다. 제1 전기 전도층(62)은 채널(34) 및 제2 전기 전도층(66)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2 채널(90)에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제 도 4를 참조하면, 도시된 예에서, 채널(34)과 제2 채널(90) 각각은 별도의 전기적 버스(78)를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서, 제1 전기적 버스(78c)는 제1 채널(34) 내에 위치하고, 제2 전기적 버스(78d)는 제2 채널(90) 내에 위치한다. 제1 및 제2 전기적 버스(78c, 78d)는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전기적 버스(78c, 78d)는 단일 구조 또는 불연속 구조로서 전기-광학 요소(10)의 주변부 주위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전기적 버스(78c, 78d)의 전기적 절연은 서로 분리하거나, 버스(78) 사이의 밀봉부(26)를 연장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전기 연결부(82a, 82b)의 사용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제1 및 제2 전기 연결부(82a, 82b)는 이중 코팅된 필름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중 코팅된 필름의 예에서, 제1 및 제2 전기 연결부(82a, 82b)는 절연체층(82e)의 대향 측면 상에 위치한 제1 전도성 코팅(82c) 및 제2 전도성 코팅(82d)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전도성 코팅(82c, 82d)은 금속성 또는 다른 전도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전도성 코팅(82c, 82d)은 은, 금, 구리, 알루미늄, 전도성 금속, 전도성 금속 합금 및/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체층(82e)은 제1 및 제2 전도성 코팅(82c, 82d)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도록 구성된 고분자 또는 반도체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절연체층(82e)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이미드 고분자, 유연한 다른 절연 고분자, 및/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체층(82e)은 고분자 필름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전도성 코팅(82c, 82d)은 각각 제1 및 제2 전기적 버스(78c, 78d) 중 하나에 전기 에너지를 운반하도록 구성된다. 제1 및 제2 전기적 연결부(82a, 82b)의 이중 코팅된 필름 예는 제1 및 제2 전기적 버스(78c, 78d) 사이에 위치할 수 있어서 모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고 제1 및 제2 전기적 버스(78c, 78d)를 절연시킨다. 제1 및 제2 전기적 연결부(82c, 82d)의 절연은 절연 영역(64)의 제거를 허용할 수 있다(도 3).
이제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예를 참조하면, 다양한 예에 따라, 제1(도 5a) 및 제2(도 5b) 기판(18, 22) 중 하나(도 5b)는 다른 하나보다 더 넓거나 더 길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채널(34)(도 2) 및 제2 채널(90)(도 3)은 제2 및 제1 기판(22, 18)에 의해 각각 정의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기판(18, 22) 중 하나는 본원에서 제공된 교시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채널(34) 또는 제2 채널(90)을 여전히 정의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채널(34) 및/또는 제2 채널(90)은 그 대신 제1 및 제2 에지(18c, 22c)의 내측에 있는 제2 또는 제3 표면(18b, 22a)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제1 및 제2 버스 부분(78a, 78b)은 제1 및 제2 에지(18c, 22c) 중 하나의 비 단차형 예시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판(18)은 제2 기판(22)보다 폭이 넓어서 제1 기판(18)에 의한 돌출부가 생성된다. 도 5a의 도시된 예에서, 제1 및 제2 버스 부분(78a, 78b)은 제1 전기 전도층(62)으로부터 연장되고, 제2 기판(22)의 제2 에지(22c)와 접촉한다. 도 5b의 도시된 예에서, 제2 기판(22)은 제1 기판(18)보다 폭이 넓다. 이러한 예에서, 제1 및 제2 버스 부분(78a, 78b)은 제2 전기 전도층(66)으로부터 제1 기판(18)을 향해 연장되고, 제1 에지(18c)와 접촉한다. 도시된 예에서, 전도성 버스(78)는 각각 만곡된 외부 표면(78e)(즉, 만곡 형상)을 정의한다. 만곡된 외부 표면(78e)은 전기 광학 요소(10)를 향해 내부를 향해(즉, 내측 방향) 만곡되어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외관을 정의한다. 만곡된 외부 표면(78e)은 제4 표면(22b)과 교차하거나(도 5a) 제1 표면(18a)과 교차하도록(도 5b) 만곡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전기적 연결부(82a, 82b)(도 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버스 부분(78a, 78b)과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치수적으로 일치하지 않는 제1 및 제2 기판(18, 22)의 사용은 채널(34) 및 제2 채널(90)의 사용을 제거하는 데 유리할 수 있다.
이제 도 6을 참조하면, 전기-광학 요소(10)는 전기적 버스(78)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지만(도 5b), 그 대신 제1 및 제2 전기적 연결부(82a, 82b)의 이중 필름 예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제1 및 제2 전도성 코팅(82a, 82b)은 전기적 버스(78)를 사용하지 않고 제1 및 제2 전기 전도층(62, 66)과 접촉하도록 충분히 두꺼울 수 있다. 이러한 예는 채널(34)(도 3), 제2 채널(90)(도 3)뿐만 아니라 제1 및 제2 버스 부분(78a, 78b)(도 3)을 형성하는 것과 연관된 제조 시간 및 비용을 감소시키는데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작은 공동(30) 간격이 여전히 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사용으로, 여러 장점이 제공될 수 있다. 첫째, 채널(34) 및/또는 제2 채널(90)을 이용하는 것은 공동(30)의 크기 또는 간격에 관계없이 더 큰 횡단면적 및/또는 부피를 허용할 수 있다. 공동(30)의 크기가 감소함에 따라(즉, 제1 및 제2 기판(18, 22) 사이의 거리가 감소함에 따라), 전기적 버스(78)를 위한 영역은 감소될 수 있고, 이는 증가된 저항을 초래할 수 있다. 채널(34) 및/또는 제2 채널(90)의 사용은, 더 얇은 공동(30)을 허용하면서 저항이 감소되도록 전기적 버스(78)를 위한 영역 증가를 허용할 수 있다. 둘째, 채널(34) 및/또는 제2 채널(90)이 있거나 없는, 제1 및 제2 전기적 연결부(82a, 82b)의 이중 코팅된 필름 예의 사용은 또한 얇은 공동(30)을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전기적 연결부(82a, 82b)의 이중 코팅된 필름 예는 종래의 전기적 연결부(82)(예, J-클립)가 적합하지 않을 수 있는 전기-광학 요소(10)의 얇은 공동(30) 예에 끼워맞춰질 수 있다. 셋째, 본 개시의 사용은 두께 및 전기적 연결부에 대한 전기- 광학 요소(10)의 설계 유연성을 제공한다. 넷째, 본 개시의 사용은 크롬 링 또는 스펙트럼 필터 폭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당업자 및 본 개시를 만들고 사용하는 자들에 의해 본 개시의 변형들이 나타날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나고 위에서 설명한 구현예는 단지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본 개시의 범주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하고, 본 개시의 범주는 균등론을 포함하는 특허법의 원칙에 따라 해석되는 대로의 다음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다.
기술된 본 발명의 구성 및 다른 부품들은 임의의 특정 재료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이해할 것이다. 본원에서 달리 설명되지 않는 한, 본원에서 개시된 개시 내용의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는 매우 다양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용어 "결합된(coupled)"(결합, 결합의, 결합되는 등과 같은 모든 형태의)은 일반적으로 두 개의 구성 요소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전기적 또는 기계적) 연결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결은 본래 고정적일 수 있고 본래 동적일 수 있다. 이러한 연결은(전기적인 또는 기계적인) 두 개의 구성 요소, 및 서로 또는 두 개의 구성 요소와 하나의 단일체로서 일체로 형성되는 임의의 추가 중간 부재들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은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래 영구적일 수 있고, 본래 제거 가능하거나 해제 가능할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소의 구성 및 배열은 단지 예시적인 것임을 주목하는 것이 또한 중요하다. 본 발명의 단지 몇몇 구현예들이 본 개시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를 검토하는 당업자라면 인용된 주제의 신규한 교시 및 이점을 실질적으로 벗어나지 않고 많은 변형(예를 들어, 다양한 요소들의 크기, 치수, 구조, 모양 및 비율, 파라미터 값, 장착 배열, 재료의 사용, 색상, 방향 등의 변동)이 가능하다는 것을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일체형으로 형성된 요소들은 다수의 부분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다수의 부분으로 도시된 요소들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인터페이스들의 작동은 반전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변화될 수도 있으며, 구조 및/또는 부재 또는 연결기 또는 시스템의 다른 구성 요소들의 길이 또는 폭은 변화될 수 있고, 요소들 사이에 제공된 조정 위치들의 성질 또는 부호가 변경될 수 있다. 시스템의 요소 및/또는 조립체는 임의의 매우 다양한 색상, 질감, 및 이들의 조합으로 충분한 강도나 내구성을 제공하는 임의의 매우 다양한 재료로부터 구성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다른 치환, 변형, 변화, 및 생략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원하는 그리고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들의 설계, 작동 상태 및 배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임의의 기술된 공정, 또는 기술된 공정 내의 임의의 단계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해 다른 개시된 공정 또는 단계와 결합될 수도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원에 개시된 예시적인 구조 및 공정은 예시적인 목적을 위한 것이며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개시의 개념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및 수정이 전술한 구조 및 방법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하며, 또한 그러한 개념은 아래의 청구범위가 그들의 언어로 명시적으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게다가, 이하에서 제시될 청구범위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일부로 포함되어 이들을 구성한다.

Claims (20)

  1. 차량 디스플레이의 전기-광학 요소로서,
    제1 에지가 주위로 연장되며, 제1 표면 및 제2 표면을 정의하고 실질적으로 투명한 제1 기판;
    제2 에지가 주위로 연장되며, 제3 표면 및 제4 표면을 정의하고 실질적으로 투명한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이들과의 사이에 공동을 정의하는 주 밀봉부 ― 상기 제1 에지 및 상기 제2 에지 중 적어도 하나는, 채널을 정의하기 위해 상기 밀봉부에 근접한 단차 형성부를 포함함 ―; 및
    상기 공동 내에 위치하는 전기-광학 물질을 포함하는,
    전기-광학 요소.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에지는 내측 방향으로 단차가 있어 상기 채널을 정의하는,
    전기-광학 요소.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내에 위치하는 전기적 버스를 추가로 포함하는,
    전기-광학 요소.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지 및 상기 제2 에지 모두 단차가 있어 상기 채널을 정의하는,
    전기-광학 요소.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차형 에지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제1 전기적 버스; 및
    상기 제2 단차형 에지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제2 전기적 버스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전기적 버스는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전기-광학 요소.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는 상기 제1 및 제2 전기적 버스 사이에 위치하는,
    전기-광학 요소.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은 20 μm 내지 75 μm의 간격을 갖는,
    전기-광학 요소.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금속 코팅층을 갖는 고분자 막을 포함하는 전기적 연결부가 상기 채널 내로 연장되는,
    전기-광학 요소.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기적 연결부는 상기 채널 내로 연장되고, 상기 전기적 연결부의 두께는 상기 공동의 간격보다 더 큰,
    전기-광학 요소.
  10. 전기-광학 요소로서,
    제1 에지가 주위로 연장되며, 제1 표면 및 제2 표면을 정의하고 실질적으로 투명한 제1 기판;
    제2 에지가 주위로 연장되며, 제3 표면 및 제4 표면을 정의하고 실질적으로 투명한 제2 기판;
    상기 제1 및 제2 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이들과의 사이에 공동을 정의하는 주 밀봉부 ― 상기 공동은 상기 제1 및 제2 기판 사이에 75 um 미만인 두께를 가지고, 상기 제2 에지는 채널을 정의하기 위해 내측 방향으로의 단차 형성부를 포함함 ―; 및
    상기 공동 내에 위치하는 전기-광학 물질을 포함하는,
    전기-광학 요소.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에지 위로 실질적으로 연장되는 전도성 버스를 추가로 포함하는,
    전기-광학 요소.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는 상기 채널의 내측에 위치하는,
    전기-광학 요소.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은 높이보다 폭이 넓은,
    전기-광학 요소.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은 폭보다 높이가 큰,
    전기-광학 요소.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광학 물질은 전기변색성 물질인,
    전기-광학 요소.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전기적 버스는 상기 채널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기판 주위로 실질적으로 연장되는,
    전기-광학 요소.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은 상기 제1 및 제2 단차형 에지에 의해 정의되고 전기적 버스는 상기 채널을 실질적으로 충진하도록 상기 제1 에지는 내측 방향으로 단차가 있는,
    전기-광학 요소.
  18. 전기-광학 요소로서,
    제1 에지가 주위로 연장되며, 제1 표면 및 제2 표면을 정의하고 실질적으로 투명한 제1 기판;
    제2 에지가 주위로 연장되며, 제3 표면 및 제4 표면을 정의하고 실질적으로 투명한 제2 기판 ― 상기 제1 에지 및 상기 제2 에지 중 적어도 하나는 채널을 정의하기 위해 단차 형성부를 포함함 ―;
    상기 채널 내에 위치하는 전도성 버스;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배치되며 이들과의 사이에 공동을 정의하는 주 밀봉부; 및
    상기 공동 내에 위치하는 전기-광학 물질을 포함하는,
    전기-광학 요소.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버스는 만곡 형상을 정의하는,
    전기-광학 요소.
  20.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버스는 은 에폭시를 포함하는,
    전기-광학 요소.
KR1020197013864A 2016-12-19 2017-12-18 전기-광학 요소를 위한 전기적 연결부 KR1024753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435922P 2016-12-19 2016-12-19
US62/435,922 2016-12-19
PCT/US2017/066971 WO2018118758A1 (en) 2016-12-19 2017-12-18 Electrical connections for electro-optic elem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0910A KR20190100910A (ko) 2019-08-29
KR102475335B1 true KR102475335B1 (ko) 2022-12-07

Family

ID=62556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3864A KR102475335B1 (ko) 2016-12-19 2017-12-18 전기-광학 요소를 위한 전기적 연결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399498B2 (ko)
EP (1) EP3554893B1 (ko)
JP (1) JP6938636B2 (ko)
KR (1) KR102475335B1 (ko)
CN (1) CN109952232B (ko)
WO (1) WO20181187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82211B2 (ja) * 2017-09-08 2020-11-11 株式会社東芝 透明電極、それを用いた素子、および素子の製造方法
US20210026163A1 (en) * 2019-07-25 2021-01-28 Gentex Corporation Segmented variable controlled electro-optic element
CN111443545A (zh) * 2020-05-12 2020-07-24 深圳市光羿科技有限公司 一种边缘密封导电基体与电致变色器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32638A1 (en) * 1999-07-09 2004-02-19 Tonar William L. Electrochromic devices with thin bezel-covered edge
US20160075284A1 (en) * 2014-09-11 2016-03-17 Gentex Corporation Electro-optic device with ultrasonic solder bu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24682A2 (en) * 2005-05-16 2006-11-23 Donnelly Corporation Vehicle mirror assembly with indicia at reflective element
KR20040025383A (ko) * 2002-09-19 2004-03-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7310177B2 (en) 2002-09-20 2007-12-18 Donnelly Corporation Electro-optic reflective element assembly
CN100565315C (zh) * 2003-05-06 2009-12-02 金泰克斯公司 电光后视镜元件
CN101738812B (zh) 2003-05-06 2013-10-23 金泰克斯公司 车辆后视镜元件及安装有这些元件的组合件
TWI236985B (en) * 2004-01-19 2005-08-01 Exon Science Inc Rearview mirror
US20060225776A1 (en) * 2005-04-08 2006-10-12 Portable Pipe Hangers, Inc. Skylight solar panel assembly
US7733555B2 (en) 2005-06-17 2010-06-08 Electro Chromix, Inc. Environmentally safe electrochromic mirrors
US7700901B2 (en) * 2006-02-10 2010-04-20 Radiant Glass Industries, Llc Heated glass panels
KR101275450B1 (ko) 2006-03-03 2013-06-17 젠텍스 코포레이션 개선된 박막 코팅, 전기 광학 요소 및 이들 요소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US8988756B2 (en) * 2008-01-31 2015-03-24 Ajjer, Llc Conductive busbars and sealants for chromogenic devices
US9205780B2 (en) * 2010-02-04 2015-12-08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Electro-optic rearview mirror assembly for vehicle
US9963073B1 (en) * 2016-12-09 2018-05-08 Honda Motor Co., Ltd. Vehicle door mirror assembl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32638A1 (en) * 1999-07-09 2004-02-19 Tonar William L. Electrochromic devices with thin bezel-covered edge
US20160075284A1 (en) * 2014-09-11 2016-03-17 Gentex Corporation Electro-optic device with ultrasonic solder b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381940A1 (en) 2019-12-19
JP2020514786A (ja) 2020-05-21
US20180170263A1 (en) 2018-06-21
JP6938636B2 (ja) 2021-09-22
WO2018118758A1 (en) 2018-06-28
US10399498B2 (en) 2019-09-03
EP3554893B1 (en) 2022-10-19
US10703282B2 (en) 2020-07-07
EP3554893A4 (en) 2020-01-01
CN109952232B (zh) 2022-05-31
CN109952232A (zh) 2019-06-28
KR20190100910A (ko) 2019-08-29
EP3554893A1 (en) 2019-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3248B1 (ko) 전기 광학 가스 배리어
KR102475335B1 (ko) 전기-광학 요소를 위한 전기적 연결부
CN100582908C (zh) 具有多个连接器的电致变色显示板
EP3198335B1 (en) Electro-optic element with ablation-formed indicia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JP6680883B2 (ja) 異方伝導性を有する表面電極を有している電気的に切り替え可能なグレージング
JP2008538451A (ja) 細い導電線を有する光学コーティング
ES2701341T3 (es) Cristal con área térmica eléctrica
JP2002528745A (ja) 第3面反射器を備えた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ミラー
WO2002039180A1 (fr) Element electrochromique transistore et dispositif a miroir, et ecran cathodique les integrant
EP3325313B1 (en) Full display mirror
US20140362308A1 (en) Substrate structure and touch panel including the same
US10976633B2 (en) Conductive bus bar with dark or colored appearance
CN104749830A (zh) 电极结构及带有该电极结构的触控面板装置
WO2011001983A1 (ja) 導電性積層体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用保護板
JP2017532727A (ja) 加熱被覆を備えた透明のウィンドガラス
CN114072281A (zh) 具有可电控光学性能的功能元件
JP2018092881A (ja) 発熱用導電体、発熱板および乗り物
CN221039483U (zh) 一种汽车外后视镜镜片的镀膜层结构
CN116194291A (zh) 具有可电控光学性能的功能元件
KR20150004454U (ko) 터치패널 장치와 색상 조화층을 구비한 전극구조
WO2021055345A1 (en) Electro-optic element electrical connections
JP2022022488A (ja) 導電体付きシート、合わせ板、及び移動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