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5247B1 - 테이크아웃상품 비대면 불출시스템 - Google Patents

테이크아웃상품 비대면 불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5247B1
KR102475247B1 KR1020210121267A KR20210121267A KR102475247B1 KR 102475247 B1 KR102475247 B1 KR 102475247B1 KR 1020210121267 A KR1020210121267 A KR 1020210121267A KR 20210121267 A KR20210121267 A KR 20210121267A KR 102475247 B1 KR102475247 B1 KR 102475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tomer
seller
product
uni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1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석기
Original Assignee
홍석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석기 filed Critical 홍석기
Priority to KR1020210121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52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5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5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1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lock can be programm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9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containing active electronic elements, e.g. smartcar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1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lock can be programmed
    • G07C2009/00825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lock can be programmed remotely by lines or wireless communic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1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lock can be programmed
    • G07C2009/0084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lock can be programmed by a portable device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테이크아웃상품(10)을 판매하는 상점에 설치되어 판매자가 준비한 상품(10)을 비대면 방식으로 고객에게 불출하기 위한 테이크아웃상품 비대면 불출시스템에 있어서, 상점에 직립배치된 벽체부(100)에 관통설치되면서 벽체부(100)에 의해 공간적으로 분리된 판매자측영역(A)과 고객측영역(B) 사이에 배치되고, 내부에는 포장된 상품(10)을 보관하기 위한 수용공간(210)이 마련되며, 상기 수용공간(210)은 판매자측영역(A)으로 개구되어 판매자가 상품(10)을 입고하는데 이용하는 판매자측 개구부(211) 및 고객측영역(B)으로 개구되어 고객이 입고된 상품(10)을 수령하는데 이용하는 고객측 개구부(212)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판매자측 개구부(211)를 개폐하는 판매자측도어(220) 및 상기 고객측 개구부(212)를 개폐하며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록킹되는 고객측도어(230)가 각각 구비된 복수 개의 보관함(200); 및 고객이 휴대한 고객통신단말(510)을 통해 입력되거나 고객이 입력한 고객인증정보(512)에 따라 해당 고객의 상품(10)이 보관된 보관함(200)의 고객측도어(230)가 록킹해제되도록 구동제어하는 제어장치(300);를 포함하는 테이크아웃상품 비대면 불출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테이크아웃상품 비대면 불출시스템{UNTACT DISTRIBUTION SYSTEM FOR TAKE-OUT PRODUCTS}
본 발명은 테이크아웃상품 비대면 불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페나 패스트푸드점과 같이 테이크아웃상품을 판매하는 상점에 설치되어 판매자와 고객 사이에 비대면 방식으로 테이크아웃상품을 불출할 수 있는 테이크아웃상품 비대면 불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이크아웃상품을 판매하는 상점에서는 주문앱이나 전화연결을 통해 포장주문을 접수하거나 상점을 방문한 고객을 대상으로 카운터에서 현장결제를 통해 포장주문을 접수하고 있다. 또한, 상품준비가 완료되고 포장된 테이크아웃상품을 고객(구매자 또는 배달자)이 수령하러 상점에 방문하면 판매자는 비용결제 여부 및 주문자를 확인한 후 해당 테이크아웃상품을 고객에게 불출하고 있다.
그러나, 상품 불출시 카운터에서 판매자와 고객이 대면해야 하고 판매자의 손에서 고객의 손으로 상품이 전달되기 때문에 코로나 바이러스를 포함한 각종 바이러스나 세균 등의 병원체로 인한 전염병이 쉽게 전염될 수 있었다. 또한, 판매자와 고객이 대면하는 상황을 피하기 위해 판매자가 준비된 상품을 카운터 또는 특정 불출장소에 두고 자리를 피한 상태에서 고객을 호출하여 찾아가도록 하는 방식으로도 상품을 불출하기도 하나 포장주문이 여러 건인 경우 상품들이 혼재되어 다른 고객의 상품을 잘못 수령해 가거나 관리감독이 소홀해져 상품이 도난되는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826307호(2018.01.31), 상품 주문 및 배달을 위한 판매업체와 배달업체 간의 중개 서비스 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테이크아웃상품을 판매하는 상점에 설치되어 판매자와 고객이 서로 대면하지 않은 상태에서 포장된 테이크아웃상품을 불출할 수 있고 포장주문이 여러 건이더라도 다른 고객의 상품을 잘못 수령해갈 염려가 없으며 상품이 도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테이크아웃상품 비대면 불출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판매자의 손에 접촉된 테이크아웃상품을 보관함 내에서 살균하여 불출하고 고객의 손에 접촉될 수 있는 보관함의 내부를 살균처리하여 바이러스나 세균 등의 병원체로 인한 전염병의 전염경로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테이크아웃상품 비대면 불출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테이크아웃상품(10)을 판매하는 상점에 설치되어 판매자가 준비한 상품(10)을 비대면 방식으로 고객에게 불출하기 위한 테이크아웃상품 비대면 불출시스템에 있어서, 상점에 직립배치된 벽체부(100)에 관통설치되면서 벽체부(100)에 의해 공간적으로 분리된 판매자측영역(A)과 고객측영역(B) 사이에 배치되고, 내부에는 포장된 상품(10)을 보관하기 위한 수용공간(210)이 마련되며, 상기 수용공간(210)은 판매자측영역(A)으로 개구되어 판매자가 상품(10)을 입고하는데 이용하는 판매자측 개구부(211) 및 고객측영역(B)으로 개구되어 고객이 입고된 상품(10)을 수령하는데 이용하는 고객측 개구부(212)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판매자측 개구부(211)를 개폐하는 판매자측도어(220) 및 상기 고객측 개구부(212)를 개폐하며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록킹되는 고객측도어(230)가 각각 구비된 복수 개의 보관함(200); 및 고객이 휴대한 고객통신단말(510)을 통해 입력되거나 고객이 입력한 고객인증정보(512)에 따라 해당 고객의 상품(10)이 보관된 보관함(200)의 고객측도어(230)가 록킹해제되도록 구동제어하는 제어장치(300);를 포함하는 테이크아웃상품 비대면 불출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장치(300)는, 각 테이크아웃상품(10)별로 상기 고객인증정보(512)와 부합되도록 지정된 인증기준정보 및 테이크아웃상품(10)이 입고된 보관함(200)의 보관함위치정보가 상호 매칭되어 저장되며, 상기 고객인증정보(512)가 입력되면 부합되는 인증기준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인증기준정보와 매칭되는 보관함위치정보에 따라 해당 보관함(200)의 고객측도어(230)가 록킹해제되도록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크아웃상품 비대면 불출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보관함(200)에 장착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수용공간(210)의 내부로 UV광을 조사하거나 살균액을 분사하여 상기 수용공간(210)의 내부를 살균하는 살균부(4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300)는 판매자측도어(220) 및 고객측도어(23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살균부(410)가 살균동작하도록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크아웃상품 비대면 불출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장치(300)는, 상기 판매자측도어(220)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판매자측 개폐감지부(420)로부터 개방감지신호가 입력된 후 폐쇄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수용공간(210)에 상품(10)이 입고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살균부(410)가 설정시간 동안 1차 살균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고객측도어(230)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고객측 개폐감지부(430)로부터 개방감지신호가 입력된 후 폐쇄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수용공간(210)에 입고된 테이크아웃상품(10)이 출고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살균부(410)가 설정시간 동안 2차 살균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크아웃상품 비대면 불출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장치(300)는, 상기 벽체부(100)에 관통 설치되는 바디부(301)와, 상기 바디부(301) 상에서 판매자측영역(A)을 향하는 측면에 배치되어 판매자의 조작에 따라 인증기준정보 및 보관함위치정보를 입력하는 판매자측 단말부(310)와, 상기 바디부(301) 상에서 고객측영역(B)을 향하는 측면에 배치되어 고객통신단말(510)의 화면창(511)에 표시되는 고객인증정보(512)를 인식하는 고객측 단말부(320) 및, 상기 판매자측 단말부(310)를 통해 입력되는 인증기준정보 및 보관함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고객측 단말부(320)에서 인식된 고객인증정보(512)에 따라 해당 고객이 주문한 상품(10)이 보관된 보관함(200)의 고객측도어(230)가 자동으로 록킹해제되도록 구동제어하는 제어부(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크아웃상품 비대면 불출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테이크아웃상품(10)에 부착되거나 결속되는 주문라벨(451)을 인쇄하는 라벨프린터(4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문라벨(451)에는 테이크아웃상품(10)을 주문한 주문내역(453) 또는 상기 주문내역(453)의 연결정보가 이미지화된 광학인식코드(454)를 포함하는 인증기준정보(452)가 포함되며, 상기 판매자측 단말부(310)는, 상기 주문라벨(451)의 인증기준정보(452)를 스캔하여 인식하고 인식한 인증기준정보(452)를 제어부(330)로 전송하는 판매자측 인식부(311) 및, 판매자의 조작에 따라 복수 개의 보관함(200) 중 판매자가 선택한 보관함(200)의 보관함위치정보를 입력하는 판매자측 조작부(312)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330)는 판매자측 인식부(311)로부터 입력된 인증기준정보(452)와 판매자측 조작부(312)로부터 입력된 보관함위치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크아웃상품 비대면 불출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테이크아웃상품(10)에 부착되거나 결속되는 주문라벨(451)을 인쇄하는 라벨프린터(450);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판매자측도어(220)가 개폐동작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판매자측 개폐구동부(460); 및 각 보관함(200)에 장착되어 상기 수용공간(210)에 보관된 테이크아웃상품(10)을 감지하는 상품감지부(4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문라벨(451)에는 테이크아웃상품(10)을 주문한 주문내역(453) 또는 상기 주문내역(453)의 연결정보가 이미지화된 광학인식코드(454)를 포함하는 인증기준정보(452)가 포함되며, 상기 판매자측 단말부(310)는, 상기 주문라벨(451)의 인증기준정보(452)를 스캔하여 인식하고 인식한 인증기준정보(452)를 제어부(330)로 전송하는 판매자측 인식부(311)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330)는 판매자측 인식부(311)로부터 인증기준정보(452)가 입력되면 상기 상품감지부(440)의 상품감지신호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보관함(200) 중 테이크아웃상품(10)이 입고되지 않은 빈 보관함(200)을 판단하고, 빈 보관함(200)의 판매자측도어(220)가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판매자측 개폐구동부(460)를 구동제어하며, 입력된 인증기준정보(452)와 상기 빈 보관함(200)의 보관함위치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크아웃상품 비대면 불출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 개의 보관함(200a,200b,200c)은 수용공간(210)의 크기가 서로 상이한 복수 개의 규격을 가지며, 상기 주문라벨(451)의 인증기준정보(452)는 주문된 테이크아웃상품(10)의 크기에 따라 해당 테이크아웃상품(10)을 수용가능한 규격을 갖는 보관함(200)에 대한 보관함규격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330)는 판매자측 인식부(311)로부터 인증기준정보(452)가 입력되면 상기 상품감지부(440)의 상품감지신호 및 보관함규격정보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보관함(200) 중 해당 테이크아웃상품(10)을 수용가능한 빈 보관함(200)을 판단하고, 해당 빈 보관함(200)의 판매자측도어(220)가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판매자측 개폐구동부(460)를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크아웃상품 비대면 불출시스템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고객측도어(230)가 개폐동작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고객측 개폐구동부(4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객통신단말(510)의 화면창(511)에 표시되는 고객인증정보(512)는 테이크아웃상품(10)을 주문한 주문내역(513) 또는 상기 주문내역(513)의 연결정보가 이미지화된 광학인식코드(514)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고객측 단말부(320)는, 고객통신단말(510)의 화면창(511)에 표시된 고객인증정보(512)를 스캔하여 인식하고 인식한 고객인증정보(512)를 제어부(330)로 전송하는 고객측 인식부(321)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330)는 고객측 인식부(321)로부터 인식된 고객인증정보(512)에 따라 해당 고객이 주문한 상품(10)이 보관된 보관함(200)의 고객측도어(230)가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고객측 개폐구동부(470)를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크아웃상품 비대면 불출시스템이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복수 개의 보관함(200)은 상점에 직립배치된 벽체부(100)에 관통설치되면서 벽체부(100)에 의해 공간적으로 분리된 판매자측영역(A)과 고객측영역(B) 사이에 배치되고, 내부에는 포장된 상품(10)을 보관하기 위한 수용공간(210)이 마련되며, 상기 수용공간(210)은 판매자측영역(A)으로 개구되어 판매자가 상품(10)을 입고하는데 이용하는 판매자측 개구부(211) 및 고객측영역(B)으로 개구되어 고객이 입고된 상품(10)을 수령하는데 이용하는 고객측 개구부(212)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판매자측 개구부(211)를 개폐하는 판매자측도어(220) 및 상기 고객측 개구부(212)를 개폐하며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록킹되는 고객측도어(230)가 각각 구비되고, 제어장치(300)는 고객이 휴대한 고객통신단말(510)을 통해 입력되거나 고객이 입력한 고객인증정보(512)에 따라 해당 고객의 상품(10)이 보관된 보관함(200)의 고객측도어(230)가 록킹해제되도록 구동제어함으로써, 판매자와 고객이 서로 대면하지 않은 상태에서 포장된 테이크아웃상품(10)을 위생적으로 불출할 수 있고 포장주문이 여러 건이더라도 다른 고객의 상품을 잘못 수령해갈 염려가 없으며 상품이 도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상기 제어장치(300)는 각 테이크아웃상품(10)별로 상기 고객인증정보(512)와 부합되도록 지정된 인증기준정보 및 테이크아웃상품(10)이 입고된 보관함(200)의 보관함위치정보가 상호 매칭되어 저장되며, 고객통신단말(510) 또는 고객을 통해 입력된 고객인증정보(512)와 부합되는 인증기준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인증기준정보와 매칭되는 보관함위치정보에 따라 해당 보관함(200)의 고객측도어(230)가 록킹해제되도록 구동제어함으로써, 판매자가 보관함(200)의 록킹해제에 관여하지 않으면서도 테이크아웃상품(10)을 주문한 고객만이 해당 상품(10)이 보관된 보관함(200)을 개방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살균부(410)는 보관함(200)에 장착되어 제어장치(3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수용공간(210)의 내부로 UV광을 조사하거나 살균액을 분사하여 상기 수용공간(210)의 내부를 살균함으로써 포장된 테이크아웃상품(10)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테이크아웃상품(10)에 묻을 수 있는 각종 바이러스나 세균 등의 병원체로 인한 전염병의 전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장치(300)는 판매자측도어(220) 및 고객측도어(23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살균부(410)가 살균동작하도록 구동제어함으로써 UV광이나 살균액이 외부로 누출되어 인체에 가해지거나 살균효과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상기 제어장치(300)는 판매자측도어(220)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판매자측 개폐감지부(420)로부터 개방감지신호가 입력된 후 폐쇄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수용공간(210)에 상품(10)이 입고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살균부(410)가 설정시간 동안 1차 살균동작하도록 제어함으로써 판매자의 손에 접촉된 테이크아웃상품(10)을 살균처리할 수 있고, 상기 고객측도어(230)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고객측 개폐감지부(430)로부터 개방감지신호가 입력된 후 폐쇄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수용공간(210)에 입고된 테이크아웃상품(10)이 출고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살균부(410)가 설정시간 동안 2차 살균동작하도록 제어함으로써 고객의 손에 접촉될 수 있는 보관함(200)의 내부를 살균처리하여 병원체로 인한 전염병의 전염경로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판매자가 살균처리를 위해 판매자측 조작부(312)를 번번히 조작할 필요없이 테이크아웃상품(10)의 입고시와 출고시 자동으로 수용공간(210)의 내부가 살균처리됨으로써 판매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판매자의 손이 판매자측 조작부(312)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상품감지부(440)는 보관함(200)에 장착되어 상기 수용공간(210)에 보관된 테이크아웃상품(10)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장치(300)는 판매자측 개폐감지부(420)의 개방감지신호가 입력된 후 상기 상품감지부(440)로부터 상품감지신호가 입력되고 판매자측 개폐감지부(420)의 폐쇄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수용공간(210)에 테이크아웃상품(10)이 입고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고객측 개폐감지부(430)의 개방감지신호가 입력된 후 상기 상품감지부(440)로부터 상품미감지신호가 입력되고 판매자측 개폐감지부(420)의 폐쇄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수용공간(210)에 입고된 테이크아웃상품(10)이 출고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과 같이, 상기 상품감지신호 또는 상품미감지신호를 이용하여 테이크아웃상품(10)의 입고 및 출고를 위해 각 도어(220,230)가 개폐된 상태인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어 유지보수나 내부청소를 위해 판매자가 각 도어(220,230)를 개폐하는 경우에 의도하지 않게 살균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여섯째, 상기 제어장치(300)는, 상기 벽체부(100)에 관통 설치되는 바디부(301)와, 상기 바디부(301) 상에서 판매자측영역(A)을 향하는 측면에 배치되어 판매자의 조작에 따라 인증기준정보 및 보관함위치정보를 입력하는 판매자측 단말부(310)와, 상기 바디부(301) 상에서 고객측영역(B)을 향하는 측면에 배치되어 고객통신단말(510)의 화면창(511)에 표시되는 고객인증정보(512)를 인식하는 고객측 단말부(320) 및, 상기 판매자측 단말부(310)를 통해 입력되는 인증기준정보 및 보관함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고객측 단말부(320)에서 인식된 고객인증정보(512)에 따라 해당 고객이 주문한 상품(10)이 보관된 보관함(200)의 고객측도어(230)가 자동으로 록킹해제되도록 구동제어하는 제어부(330)를 포함하는 것과 같이, 판매자와 고객이 각자의 영역(A,B)에서 이용가능하면서도 각 보관함(200)과 제어장치(300)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시스템의 규모를 소형화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일곱째, 라벨프린터(450)는 테이크아웃상품(10)에 부착되거나 결속되는 주문라벨(451)을 인쇄하고, 상기 주문라벨(451)에는 테이크아웃상품(10)을 주문한 주문내역(453) 또는 상기 주문내역(453)의 연결정보가 이미지화된 광학인식코드(454)를 포함하는 인증기준정보(452)가 포함되며, 상기 판매자측 단말부(310)는, 상기 주문라벨(451)의 인증기준정보(452)를 스캔하여 인식하고 인식한 인증기준정보(452)를 제어부(330)로 전송하는 판매자측 인식부(311) 및, 판매자의 조작에 따라 복수 개의 보관함(200) 중 판매자가 선택한 보관함(200)의 보관함위치정보를 입력하는 판매자측 조작부(312)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330)는 판매자측 인식부(311)로부터 입력된 인증기준정보(452)와 판매자측 조작부(312)로부터 입력된 보관함위치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함으로써, 고객을 인증하는데 필요한 인증기준정보를 수기입력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상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여덟째, 판매자측 개폐구동부(460)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판매자측도어(220)가 개폐동작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어부(330)는 판매자측 인식부(311)로부터 인증기준정보(452)가 입력되면 상기 상품감지부(440)의 상품감지신호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보관함(200) 중 테이크아웃상품(10)이 입고되지 않은 빈 보관함(200)을 판단하고, 빈 보관함(200)의 판매자측도어(220)가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판매자측 개폐구동부(460)를 구동제어하며, 입력된 인증기준정보(452)와 상기 빈 보관함(200)의 보관함위치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함으로써, 판매자가 복수의 보관함(200) 중 빈 보관함(200)을 일일이 찾을 필요없으며 판매자측도어(220)가 자동 개방된 보관함(200)에 포장된 상품(10)을 바로 입고시킬 수 있어 판매자의 편의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아홉째, 복수 개의 보관함(200a,200b,200c)은 수용공간(210)의 크기가 서로 상이한 복수 개의 규격을 가지며, 상기 주문라벨(451)의 인증기준정보(452)는 주문된 테이크아웃상품(10)의 크기에 따라 해당 테이크아웃상품(10)을 수용가능한 규격을 갖는 보관함(200)에 대한 보관함규격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330)는 판매자측 인식부(311)로부터 인증기준정보(452)가 입력되면 상기 상품감지부(440)의 상품감지신호 및 보관함규격정보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보관함(200) 중 해당 테이크아웃상품(10)을 수용가능한 빈 보관함(200)을 판단하고, 해당 빈 보관함(200)의 판매자측도어(220)가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판매자측 개폐구동부(460)를 구동제어함으로써, 판매자가 포장된 테이크아웃상품(10)을 손에 들고 해당 테이크아웃상품(10)의 크기에 맞는 보관함(200)을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다.
열째, 고객측 개폐구동부(470)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고객측도어(230)가 개폐동작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고객통신단말(510)의 화면창(511)에 표시되는 고객인증정보(512)는 테이크아웃상품(10)을 주문한 주문내역(513) 또는 상기 주문내역(513)의 연결정보가 이미지화된 광학인식코드(514)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고객측 단말부(320)는, 고객통신단말(510)의 화면창(511)에 표시된 고객인증정보(512)를 스캔하여 인식하고 인식한 고객인증정보(512)를 제어부(330)로 전송하는 고객측 인식부(321)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330)는 고객측 인식부(321)로부터 고객인증정보(512)가 입력되면 입력된 고객인증정보(512)와 매칭되는 보관함위치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보관함위치정보의 보관함(200)에 구비된 고객측도어(230)가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고객측 개폐구동부(470)를 구동제어함으로써, 고객이 고객통신단말(510)의 화면창(511)을 고객측 인식부(321)에 갖다 대는 동작만으로 고객인증이 이루어질 수 있고 입고된 테이크아웃상품(10)을 출고하기 위해 고객측도어(230)를 손으로 열 필요가 없으므로 전염병 예방을 위한 비대면을 구현하여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아웃상품 비대면 불출시스템이 상점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판매자측 영역으로 노출된 테이크아웃상품 비대면 불출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객측 영역으로 노출된 테이크아웃상품 비대면 불출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관함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아웃상품 비대면 불출시스템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의 양측면에 판매자측 단말부와 고객측 단말부가 각각 배치된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라벨프린터를 통해 인증기준정보가 주문라벨에 인쇄되는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에 인증기준정보 및 주문정보가 입력되는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관함이 다양한 규격으로 이루어진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아웃상품 비대면 불출시스템의 동작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아웃상품 비대면 불출시스템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아웃상품 비대면 불출시스템은, 카페나 패스트푸드점과 같이 테이크아웃상품(10)을 판매하는 상점에 설치되어 판매자가 준비한 상품(10)을 비대면 방식으로 고객(구매자 또는 배달자)에게 불출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보관함(200) 및 제어장치(3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복수 개의 보관함(200)은 판매자와 고객 사이에 테이크아웃상품(10)이 비대면 방식으로 불출될 수 있도록 하는 중간매개체로서,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점에 직립배치된 벽체부(100)에 관통설치되면서 벽체부(100)에 의해 공간적으로 분리된 판매자측영역(A)과 고객측영역(B) 사이에 배치되고, 내부에는 포장된 상품(10)을 보관하기 위한 수용공간(210)이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수용공간(210)은 판매자측영역(A)으로 개구되어 판매자가 상품(10)을 입고하는데 이용하는 판매자측 개구부(211) 및 고객측영역(B)으로 개구되어 고객이 입고된 상품(10)을 수령하는데 이용하는 고객측 개구부(212)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각 보관함(200)은 판매자측 개구부(211)를 개폐하는 판매자측도어(220) 및 상기 고객측 개구부(212)를 개폐하는 고객측도어(230)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고객측도어(230)는 제어장치(3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록킹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벽체부(100)는 판매자와 고객을 공간적으로 분리시키기 위한 부재로서 상점에 직립되게 설치되어 판매자가 위치하는 판매자측영역(A)과 고객이 위치하는 고객측영역(B)으로 공간을 구획한다. 여기서, 상기 벽체부(100)는 상점의 건물에 구비되는 벽구조물의 일부로 이루어져 상점 내부(실내)와 상점 외부(실외)를 구획하도록 설치될 수 있고, 비대면을 구현하기 위해 상점에 별도로 설치된 칸막이로 이루어져 상점의 내부공간을 판매자측영역(A)과 고객측 영역(B)으로 구획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벽체부(100)는 광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별도의 윈도우가 구비되어 판매자측영역(A)에 위치한 판매자가 고객측영역(B)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
도면에는 복수 개의 보관함(200)이 복수의 오와 열을 이루도록 밀착 배치된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단일의 오 또는 단일의 열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도 있고 벽체부(100) 상에서 각 보관함(200)이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더불어, 도 2에서와 같이 각 보관함(200)은 전체 테두리를 둘러싸는 형태의 프레임(201)의 내부에 구속되도록 배치된 일체형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각 보관함(200)은 상하, 좌우로 상호 조립되는 체결구조로 이루어져 상점에 필요로 하는 보관함(200)의 수량에 따라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보관함(200)을 더 조립하여 확장하거나 조립된 보관함(200)을 분리하여 축소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상기 판매자측도어(220) 및 고객측도어(230)가 상하로 슬라이딩하며 개폐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으나 측방으로 슬라이딩하며 개폐되는 미닫이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전후방향으로 개폐되는 여닫이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관함(200) 상에서 고객측도어(230)와 근접된 위치에는 제어장치(300)의 제어신호에 따라 고객측도어(230)의 닫힌 상태가 고정되도록 록킹하거나 닫힌 고객측도어(230)를 개방할 수 있도록 록킹해제하는 도어록킹부(480)가 구비된다. 이러한 도어록킹부(480)는 제어장치(30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기계적 동작을 수행하는 솔레노이드 액추에이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300)는 사용자가 테이크아웃상품(10)을 주문한 고객인지 여부를 인증하고 록킹된 고객측도어(230)를 록킹해제시켜 인증된 고객이 해당 테이크아웃상품(10)을 수령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수단으로서, 고객이 휴대한 스마트폰이나 테블릿 등의 고객통신단말(510)을 통해 입력되거나 고객이 입력한 고객인증정보(512, 도 4 참고)에 따라 해당 고객의 상품(10)이 보관된 보관함(200)의 고객측도어(230)가 록킹해제되도록 구동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장치(300)는 각 테이크아웃상품(10)별로 상기 고객인증정보(512)와 부합되도록 지정된 인증기준정보 및 테이크아웃상품(10)이 입고된 보관함(200)의 보관함위치정보가 상호 매칭되어 저장되며, 상기 고객통신단말(510) 또는 고객을 통해 고객인증정보(512)가 입력되면 부합되는 인증기준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인증기준정보와 매칭되는 보관함위치정보에 따라 해당 보관함(200)의 고객측도어(230)가 록킹해제되도록 구동제어한다.
또한, 상기 고객인증정보(512)는 고객이 테이크아웃상품(10)을 주문했음을 인증받는데 이용되는 피인증용 입력정보로서, 테이크아웃상품(10)의 주문시 생성되는 각 고객별, 각 주문별 분류코드이거나 각 고객별로 회원가입시 입력된 개인정보(예를 들면, 성명, 전화번호, 주민번호, 주소, 아이디 또는 비밀번호 등)일 수 있으며, 상품(10)의 주문완료시 또는 상품(10)의 준비완료시 고객이 휴대한 고객통신단말(510)으로 전송되어 고객통신단말(510)의 화면창(511)에 표시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고객인증정보(51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크아웃상품(10)을 주문한 주문내역(513) 또는 주문내역의 연결정보가 이미지화된 광학인식코드(51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주문내역(513)에는 주문자명, 주문번호, 주문메뉴 및 주문가격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이 밖에 각 고객을 분류하기 위한 문자나 숫자 등의 코드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광학인식코드(514)는 바코드나 QR코드를 포함한 2차원 및 3차원 광학코드가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고객인증정보(512)는 고객통신단말(510)의 화면창(511)에 표시되면서 제어장치(300)에 의해 인식되어 제어장치(300)에 입력되거나 고객통신단말(510)과 제어장치(300) 간의 무선통신(예를 들면, NFC 또는 RFID)을 통해 제어장치(300)에 입력되거나 고객이 제어장치(300)의 고객측 조작부(322)를 조작하여 수기로 입력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제어장치(300)에 저장되는 인증기준정보는 입력되는 고객인증정보(512)를 통해 해당 고객이 테이크아웃상품(10)을 주문했는지 여부를 인증하는데 이용되는 인증용 저장정보로서 상기 고객인증정보(512)와 동일한 데이터를 포함하거나 고객인증정보(512)와 부합되도록 지정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300)는 보관함(200)의 수용공간(210)에 테이크아웃상품(10)이 입고되면 고객측도어(230)를 록킹시켜 해당 테이크아웃상품(10)을 주문한 고객 이외에 제3자가 고객측도어(230)를 개방하지 못하도록 하고, 고객통신단말(510) 또는 고객을 통해 고객인증정보(512)가 입력되면 입력된 고객인증정보(512)와 기저장된 인증기준정보를 비교한다. 비교결과 두 정보가 상호 부합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해당 고객이 테이크아웃상품(10)을 주문한 고객인 것으로 인증하여 저장된 인증기준정보와 매칭되는 보관함위치정보의 보관함(200)에 구비된 고객측도어(230)가 록킹해제되도록 도어록킹부(480)를 구동제어함으로써 인증된 고객이 보관된 테이크아웃상품(10)을 수령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고객통신단말(510) 또는 고객이 고객인증정보(512)를 입력하는 것만으로 고객의 테이크아웃상품(10)이 보관된 보관함(200)이 자동으로 록킹해제되므로 판매자가 보관함(200)의 록킹해제에 관여하지 않으면서도 테이크아웃상품(10)을 주문한 고객만이 해당 상품(10)이 보관된 보관함(200)을 개방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300)는 보관함(200)과 구분되는 독립적인 장치 형태로 이루어져 고객측영역(B) 측에 배치되거나 복수 개의 장치 형태로 이루어져 판매자측영역(A)과 고객측영역(B)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더불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보관함(200)의 테두리를 둘러싸는 프레임(201)의 내부에 보관함(200)과 함께 구속되도록 배치되는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져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 내지 도 4,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매자와 고객이 각각 제어장치(300)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제어장치(300)를 케이싱하는 바디부(301)는 벽체부(100)에 관통 설치되고, 상기 바디부(301) 상에서 판매자측영역(A)을 향하는 측면에는 판매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인증기준정보 및 보관함위치정보를 입력하는 판매자측 단말부(310)가 배치되며, 상기 바디부(301) 상에서 고객측영역(B)을 향하는 측면에는 고객통신단말(510)의 화면창(511)에 표시되는 고객인증정보(512)를 인식하는 고객측 단말부(320)가 배치된다.
더불어, 상기 제어장치(300)는, 판매자측 단말부(310)를 통해 입력되는 인증기준정보 및 보관함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고객측 단말부(320)에서 인식된 고객인증정보(512)에 따라 해당 고객이 주문한 상품(10)이 보관된 보관함(200)의 고객측도어(230)가 자동으로 록킹해제되도록 도어록킹부(480)을 구동제어한다.
이러한 제어장치(300)의 구성을 통해 판매자와 고객이 각자의 영역(A,B)에서 이용가능하면서도 각 보관함(200)과 제어장치(300)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시스템의 규모를 소형화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매자측 단말부(310)에는 판매자가 설정사항 및 동작상태를 조작하고 데이터를 입력하는데 이용하는 판매자측 조작부(312) 및, 상기 설정사항 및 동작상태를 화면표시하는 판매자측 디스플레이(313)가 구비되고, 상기 고객측 단말부(320)에는 고객이 설정사항 및 동작상태를 조작하고 데이터를 입력는 이용하는 고객측 조작부(322) 및, 상기 설정사항 및 동작상태를 화면표시하는 고객측 디스플레이(323)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판매자측 단말부(310)에는 판매자의 음성을 입력하는 판매자측 마이크(314) 및 고객의 음성을 출력하는 판매자측 스피커(315)가 구비되고, 상기 고객측 단말부(320)에는 고객의 음성을 입력하는 고객측 마이크(324) 및 판매자의 음성을 출력하는 고객측 스피커(325)가 구비되어 필요시 판매자와 구매자가 음성통화할 수 있도록 하며, 도시되지 않았으나 각 단말부(310,320)에는 카메라가 더 구비되어 판매자와 구매자가 디스플레이(313,323)에 표시되는 화면을 통해 영상통화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를 대신하여 후술되는 판매자측 인식부(311) 및 고객측 인식부(321)을 이용해서 판매자와 구매자의 영상을 입력할 수도 있다.
더불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매자측 단말부(310)에는 제어부(3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점등되면서 복수 개의 보관함(200) 중 선택된 보관함(200) 또는 빈 보관함(200)을 다른 보관함(200)들과 구분하여 표시하기 위한 판매자측 표시부(250)가 구비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객측 단말부(320)에는 제어부(3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점등되면서 복수 개의 보관함(200) 중 주문한 테이크아웃상품(10)이 입고된 보관함(200)을 다른 보관함(200)들과 구분하여 표시하기 위한 고객측 표시부(2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복수 개의 보관함(200) 및 제어장치(300)의 조합된 구성을 통해 판매자와 고객이 서로 대면하지 않은 상태에서 포장된 테이크아웃상품(10)을 위생적으로 불출할 수 있고 포장주문이 여러 건이라도 각 테이크아웃상품(10)은 개별적으로 각각의 보관함(200)에 입고되어 다른 고객이 상품을 잘못 수령해갈 염려가 없으며 상품이 도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벽체부(100)를 통해 판매자와 고객이 비대면 상태로 테이크아웃상품(10)을 전달할 수 있으나, 판매자가 보관함(200)에 테이크아웃상품(10)을 입고하는 중에 테이크아웃상품(10) 및 보관함(200)의 내부가 손에 접촉되면서 병원체를 옮길 수 있고 고객이 테이크아웃상품(10)을 출고하는 중에 보관함(200)의 내부에 손이 접촉되면서 병원체를 옮길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아웃상품 비대면 불출시스템에서는 보관함(200)의 내부에 배치되는 살균부(410)를 통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살균부(410)는 보관함(200) 내에 장착되어 제어장치(3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수용공간(210)의 내부로 UV광을 조사하거나 살균액을 분사하여 수용공간(210)의 내부를 살균처리한다. 이러한 살균부(410)를 통해 포장된 테이크아웃상품(10)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테이크아웃상품(10)에 묻을 수 있는 각종 바이러스나 세균 등의 병원체로 인한 전염병의 전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300)는 판매자측도어(220) 및 고객측도어(23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살균부(410)가 살균동작하도록 구동제어함으로써 UV광이나 살균액이 외부로 누출되어 인체에 가해지거나 살균효과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살균부(410)는 인가되는 구동전원에 따라 자외선 살균기능이 있는 UV광원으로 이루어져 수용공간(210)의 내부로 UV 살균광을 조사하면서 수용공간(210)의 내부면 및 입고된 테이크아웃상품(10)의 외부면에 존재하는 병원체를 살균시킬 수 있으며, 병원체를 살균 가능한 살균액이 저장된 챔버, 수용공간(210)의 내부면에 배치되는 노즐 및, 펌핑동작하면서 챔버에 저장된 살균액을 일정량씩 노즐로 공급하는 액체펌프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제어신호에 따라 수용공간(210)의 내부면 및 테이크아웃상품(10)의 외부면을 향해 살균액을 분사하면서 살균처리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수용공간(210)의 측면에만 살균부(410)가 배치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수용공간(210)의 상면이나 바닥면 또는 각 도어(220,230)의 내부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330)는 판매자측 단말부(310)에 구비된 판매자측 조작부(312)를 통해 입력되는 판매자측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살균부(410)가 살균동작하도록 구동제어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판매자나 판매자측 조작부(312)를 손으로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청결함을 유지해야 하는 판매자의 손이 판매자측 조작부(312)를 조작하는 중에 오염되어 위생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아웃상품 비대면 불출시스템에서는 각 도어(220,230)의 개폐상태에 따라 살균처리가 필요한 타이밍에 자동으로 살균부(410)를 구동시켜 살균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매자측도어(220)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판매자측 개폐감지부(420) 및, 상기 고객측도어(230)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고객측 개폐감지부(43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300)는 판매자측 개폐감지부(420)로부터 개방감지신호가 입력된 후 폐쇄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수용공간(210)에 테이크아웃상품(10)이 입고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살균부(410)가 설정시간(예를 들면, 30초 내지 1분) 동안 1차 살균동작하도록 제어함으로써, 판매자의 손에 접촉된 테이크아웃상품(10)을 살균처리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고객측 개폐감지부(430)로부터 개방감지신호가 입력된 후 폐쇄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수용공간(210)에 입고된 테이크아웃상품(10)이 출고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살균부(410)가 설정시간 동안 2차 살균동작하도록 제어함으로써 고객의 손에 접촉될 수 있는 보관함(200)의 내부를 살균처리하여 병원체로 인한 전염병의 전염경로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판매자가 살균처리를 위해 판매자측 조작부(312)를 번번히 조작할 필요없이 테이크아웃상품(10)의 입고시와 출고시 자동으로 수용공간(210)의 내부가 살균처리됨으로써 판매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판매자의 손이 판매자측 조작부(312)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각 도어(220,230)의 개폐상태를 기준으로 살균부(410)를 구동제어하는 경우 보관함(200)의 유지보수나 수용공간(210)의 내부를 세척하기 위해 각 도어(220,230)를 개폐하는 경우에도 의도하지 않게 살균부(410)가 살균동작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아웃상품 비대면 불출시스템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관함(200)에 장착되어 수용공간(210)에 수용된 테이크아웃상품(10)을 감지하는 상품감지부(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품감지부(440)는 보관함(200)의 내부를 촬영하여 획득되는 영상분석을 통해 테이크아웃상품(10)을 식별하여 감지하거나, 테이크아웃상품(10)의 하중을 감지하거나, 테이크아웃상품(10)에 장착된 마그네트의 자성을 감지하거나, 초음파나 광선을 발산하여 테이크아웃상품(10)에 반사되는 빛을 감지하거나, 테이크아웃상품(10)에 장착된 전자식별태그(NFC나 RFID 등)을 감지하거나, 테이크아웃상품(10)의 온도를 감지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300)는 판매자측 개폐감지부(420)의 개방감지신호가 입력된 후 상기 상품감지부(440)로부터 상품감지신호가 입력되고 판매자측 개폐감지부(420)의 폐쇄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수용공간(210)에 테이크아웃상품(10)이 입고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고객측 개폐감지부(430)의 개방감지신호가 입력된 후 상기 상품감지부(440)로부터 상품미감지신호가 입력되거나 입력되던 상품감지신호가 차단되면 상기 수용공간(210)에 입고된 테이크아웃상품(10)이 출고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품감지신호 또는 상품미감지신호를 이용하여 테이크아웃상품(10)의 입고 및 출고를 위해 각 도어(220,230)가 개폐된 상태인지를 정밀하게 판단할 수 있어 유지보수나 내부청소를 위해 판매자가 각 도어(220,230)를 개폐하는 경우에 의도하지 않게 살균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300)는 수용공간(210)에 상품(10)이 입고된 시간을 카운터하여 상기 판매자측도어(220) 및 고객측도어(230)에 카운팅된 시간을 표시함으로써 판매자나 고객이 입고경과 시간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카운팅 시간은 상술한 각 표시등(250,260)을 통해 표시하거나 별도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판매자측 단말부(310)의 조작부(312)를 통해 판매자가 상기 인증기준정보를 수기입력해야 하는 경우 입력하는데 적지 않은 시간이 할애될 뿐만 아니라 오기입되는 경우 상품을 주문한 고객을 인증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아웃상품 비대면 불출시스템에서는 온라인 주문시스템과 연동하여 상기 제어장치(300)에 인증기준정보를 자동으로 입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4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크아웃상품(10)에 부착되거나 결속되는 주문라벨(451)을 인쇄하는 라벨프린터(4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주문라벨(451)에는 상기 주문라벨(451)에는 테이크아웃상품(10)을 주문한 주문내역(453) 또는 상기 주문내역(453)의 연결정보가 이미지화된 광학인식코드(454)를 포함하는 인증기준정보(452)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주문라벨(451)은 스티커와 같이 배면에 부착면이 형성되어 포장된 테이크아웃상품(10)에 일부 또는 전체가 부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여러 테이크아웃상품(10)이 혼재되어 있어도 주문라벨(451)에 인쇄된 내용을 보고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매자측 단말부(310)는 상기 주문라벨(451)의 인증기준정보(452)를 스캔하여 인식하고 인식한 인증기준정보(452, 도 4 참고)를 제어부(330)로 전송하는 판매자측 인식부(311)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매자측 조작부(312)는 판매자의 조작에 따라 복수 개의 보관함(200) 중 판매자가 선택한 보관함(200)의 보관함위치정보를 제어부(330)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330)는 판매자측 인식부(311)로부터 입력된 인증기준정보(452)와 판매자측 조작부(312)로부터 입력된 보관함위치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판매자측 인식부(311)는 주문라벨(451)의 인증기준정보에 포함된 문자, 숫자 또는 광학인식코드(454)를 인식하는 카메라, 광학문자 인식장치 또는 광학바코드 인식장치가 이용될 수 있고, 후술되는 고객측 인식부(321) 역시 고객통신단말(510)의 고객인증정보(512)에 포함된 문자, 숫자 또는 광학인식코드(514)를 인식하는 카메라,광학문자 인식장치 또는 광학바코드 인식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더불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온라인 주문시스템은 고객통신단말(510)에 설치되어 사용자 조작에 따라 복수의 상품 중 특정 상품을 주문선택하는 주문정보를 출력하는 주문애플리케이션(515, 상품주문 애플케이션)과, 상기 주문애플리케이션(515)으로부터 주문정보를 입력받아 주문처리하는 주문서버(520) 및, 상기 상점에 배치되며 상기 주문서버(520)로부터 주문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창(531)에 표시하는 상점통신단말(5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주문서버(520)는 주문정보를 주문처리하면서 고객통신단말(510)로는 고객인증정보(512)를 전송하고 상점통신단말(530)로는 주문정보와 함께 고객인증정보(512)에 부합되도록 지정된 인증기준정보를 전송하며, 주문애플리케이션(515)은 수신된 고객인증정보(512)를 화면창(511)에 표시되도록 하고, 상점통신단말(530)은 주문내역(533) 또는 광학인식코드(534)를 포함하는 인증기준정보(532)를 화면창(531)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라벨프린터(450)는 상점통신단말(530)과 신호연결되어 인증기준정보를 주문라벨(451)에 인쇄하는데 필요한 인쇄정보를 입력받아 주문라벨(451)에인증기준정보를 인쇄한다. 따라서, 고객을 인증하는데 필요한 인증기준정보를 판매자가 일일이 수기입력하지 않으므로 사용상의 편의를 도모하고 오기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장치(300)는 주문서버(520)와 신호연결되어 각 테이크아웃상품(10)별 인증기준정보 및 주문정보를 입력받거나, 상기 상점통신단말(530)과 신호연결되어 각 테이크아웃상품(10)별 인증기준정보 및 주문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아웃상품 비대면 불출시스템에서는 판매자가 복수 개의 보관함(200) 중 포장된 테이크아웃상품(10)을 입고할 보관함(200)을 선택하기 위해 판매자측 조작부(312)를 조작할 필요없이 자동으로 적정 보관함(200)이 선택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장치(3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판매자측도어(220)가 개폐동작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판매자측 개폐구동부(46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30)는 판매자측 인식부(311)로부터 인증기준정보(452)가 입력되면 상기 상품감지부(440)의 상품감지신호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보관함(200) 중 테이크아웃상품(10)이 입고되지 않은 빈 보관함(200)을 판단하고, 해당 빈 보관함(200)의 판매자측도어(220)가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판매자측 개폐구동부(460)를 구동제어하며, 입력된 인증기준정보(452)와 상기 빈 보관함(200)의 보관함위치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한다.
따라서, 판매자가 복수의 보관함(200) 중 빈 보관함(200)을 일일이 찾을 필요없으며 판매자측도어(220)가 개방된 보관함(200)에 포장된 상품(10)을 바로 입고시킬 수 있어 판매자의 편의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매자측 개폐구동부(460)는 제어부(330)의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구동하며 판매자측도어(220)를 권취하는 권취롤(461) 및, 상기 권취롤(461)이 정역회전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46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권취롤(461)을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판매자측도어(220)의 개방 및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권취롤(461)과 구동모터(462)의 조합된 구성 이외에 판매자측도어(220)의 개폐방식에 따라 솔레노이드 액추에이터, 공압 및 유압식 액추에이터, 기어열과 구동모터의 조합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보관함(200a,200b,200c)은 수용공간(210)의 크기가 서로 상이한 복수 개의 규격을 가지며, 상기 주문라벨(451)의 인증기준정보(452)는 주문된 테이크아웃상품(10)을 수용가능한 수용공간(210)을 갖는 보관함규격정보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330)는 판매자측 인식부(311)로부터 인증기준정보(452)가 입력되면 상기 상품감지부(440)의 상품감지신호 및 보관함규격정보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보관함(200) 중 해당 테이크아웃상품(10)을 수용가능한 빈 보관함(200)을 판단하고, 해당 빈 보관함(200)의 판매자측도어(220)가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판매자측 개폐구동부(460)를 구동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판매자가 포장된 테이크아웃상품(10)을 손에 들고 해당 테이크아웃상품(10)의 크기에 맞는 보관함(200)을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아웃상품 비대면 불출시스템은 제어장치(3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고객측도어(230)가 개폐동작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고객측 개폐구동부(4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330)는 고객측 인식부(321)로부터 고객통신단말(510)의 고객인증정보(512)가 입력되면 입력된 고객인증정보(512)와 매칭되는 보관함위치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보관함위치정보의 보관함(200)에 구비된 고객측도어(230)가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고객측 개폐구동부(470)를 구동제어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고객통신단말(510)의 화면창(511)을 고객측 인식부(321)에 갖다 대는 동작만으로 고객인증이 이루어질 수 있고 입고된 테이크아웃상품(10)을 출고하기 위해 고객측도어(230)를 손으로 열 필요가 없으므로 전염병 예방을 위한 비대면을 구현하여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고객측 개폐구동부(470)는 상술한 판매자측 개폐구동부(460)와 마찬가지로 제어부(330)의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구동하며 고객측도어(230)를 권취하는 권취롤(471) 및, 상기 권취롤(471)이 정역회전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47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밖에 고객측도어(230)의 개폐방식에 따라 솔레노이드 액추에이터, 공압 및 유압식 액추에이터, 기어열과 구동모터의 조합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 내지 도 1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이크아웃상품 비대면 불출시스템의 동작원리를 설명한다.
먼저, 고객이 고객통신단말(510)의 주문애플리케이션(515)을 이용하여 특정 상품에 대한 테이크아웃을 주문하면 주문서버(520)는 주문처리하여 상점통신단말(530)에는 인증기준정보 및 주문정보를 전송하고 고객통신단말(510)에는 고객인증정보(512)를 전송하며, 상점통신단말(530)은 주문인정보가 기재되도록 하는 인쇄정보를 라벨프린터(450)로 전송하여 라벨프린터(450)로부터 인증기준정보(452)가 포함된 주문라벨(451)이 인쇄된다.(S110)
또한, 상기 상점통신단말(530)에 입력된 인증기준정보는 상점통신단말(530)의 화면창(531)에 표시되어 판매자가 이를 확인하여 테이크아웃상품(10)을 포장하여 준비할 수 있다.(S120) 이후 상품준비가 완료되어 판매자가 인쇄된 주문라벨(451)을 제어장치(300)의 판매자측 단말부(310)에 구비된 판매자측 인식부(311)의 인식범위에 갖다 대면 상기 판매자측 인식부(311)가 스캔하여 주문라벨(451)에 기재된 주문내역(453) 또는 광학인식코드(454)을 인식한다.(S130)
이후 상기 판매자측 인식부(311)에 의해 인식된 인증기준정보(452)가 제어장치(300)의 제어부(330)로 입력되면 제어부(330)는 상품감지부(440)의 상품감지신호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보관함(200) 중 테이크아웃상품(10)이 입고되지 않은 빈 보관함(200)을 판단하여 선택하고 해당 빈 보관함(200)의 판매자측도어(220)가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판매자측 개폐구동부(460)를 구동제어하며, 입력된 인증기준정보(452)와 상기 빈 보관함(200)의 보관함위치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판매자측 단말부(310)의 판매자측 조작부(312)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보관함(200) 중 판매자가 선택한 임의 보관함(200)을 수동으로 선택할 수도 있다.(S140)
따라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매자는 판매자측도어(220)가 개방된 보관함(200)의 수용공간(210)에 테이크아웃상품(10)을 넣어 입고시킬 수 있다.(S150) 또한, 상기 제어부(330)는 판매자측도어(220)가 개방된 후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판매자측 개폐구동부(460)를 제어하여 판매자측도어(220)가 닫히도록 하고 도어록킹부(480)를 제어하여 고객측도어(230)의 닫힌 상태가 록킹되도록 한다.(S160)
상기 제어장치(300)는 판매자측 개폐감지부(420)의 개방감지신호가 입력된후 상기 상품감지부(440)로부터 상품감지신호가 입력되고 판매자측 개폐감지부(420)의 폐쇄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수용공간(210)에 테이크아웃상품(10)이 입고된 것으로 판단하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살균부(410)가 설정시간(예를 들면, 30초) 동안 1차 살균동작하도록 제어한다.(S170)
이후 고객(구매자 또는 배달자)이 주문한 테이크아웃상품(10)을 수령하기 위해 고객측영역(B)에 위치하여 고객통신단말(510)의 화면창(511)을 제어장치(300)의 고객측 단말부(320)에 구비된 고객측 인식부(321)의 인식범위에 갖다 대면 상기 고객측 인식부(321)가 스캔하여 화면창(511)에 표시된 고객인증정보(512)를 인식한다.(S180)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객측 인식부(321)에 의해 인식된 고객인증정보(512)가 제어장치(300)의 제어부(330)로 입력되면 제어부(330)는 상기 주문라벨(451)을 통해 기저장된 인증기준정보(452)와 고객측 인식부(321)를 통해 입력된 고객인증정보(512)가 부합되는 여부를 체크하여 해당 테이크아웃상품(10)을 주문한 고객인지 판단하고, 입력된 고객인증정보(512)가 일치되면 인증하여(S190) 일치된 인증기준정보(452)와 매칭되어 저장된 보관함위치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보관함위치정보의 보관함(200)에 고객측도어(230)가 록킹해제되도록 도어록킹부(480)을 구동제어한다.(S200)
동시에 상기 제어부(330)는 고객측 개폐구동부(470)를 구동제어하여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해제된 고객측도어(230)가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하여 고객이 개방된 고객측 개구부(212)를 통해 입고된 테이크아웃상품(10)을 꺼내 출고할 수 있도록 한다.(S210)
또한, 상기 제어부(330)는 고객측도어(230)가 개방된 후 설정시간(예를 들면 30초)이 경과되면 고객측 개폐구동부(470)를 제어하여 고객측도어(230)가 닫히도록 하며, 상기 고객측 개폐감지부(430)의 개방감지신호가 입력된 후 상기 상품감지부(440)로부터 상품미감지신호가 입력되고 판매자측 개폐감지부(420)의 폐쇄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수용공간(210)에 입고된 테이크아웃상품(10)이 출고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살균부(410)가 설정시간(예를 들면, 30초) 동안 2차 살균동작하도록 제어한다.(S220)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상품불출시스템이 테이크아웃상품(10)을 판매하는 상점에 설치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우체국의 우편물 불출장소 또는 관공서의 서류 불출장소와 같이 물품제공자와 물품수령자 사이에 대면하여 물품을 전달되어야 하는 장소에 설치되어 위생적이면서도 물품을 도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테이크아웃상품,상품 100...벽체부
200...보관함 210...상품수용공간
211...판매자측 개구부 212...고객측 개구부
220...판매자측도어 230...고객측도어
300...제어장치 301...바디부
310...판매자측 단말부 311...판매자측 인식부
320...고객측 단말부 321...고객측 인식부
330...제어부 410...살균부
420...판매자측 개폐감지부 430...고객측 개폐감지부
440...상품감지부 450...라벨프린터
451...주문라벨 460...판매자측 개폐구동부
470...고객측 개폐구동부 510...고객통신단말

Claims (9)

  1. 테이크아웃상품(10)을 판매하는 상점에 설치되어 판매자가 준비한 상품(10)을 비대면 방식으로 고객에게 불출하기 위한 테이크아웃상품 비대면 불출시스템에 있어서, 상점에 직립배치된 벽체부(100)에 관통설치되면서 벽체부(100)에 의해 공간적으로 분리된 판매자측영역(A)과 고객측영역(B) 사이에 배치되고, 내부에는 포장된 상품(10)을 보관하기 위한 수용공간(210)이 마련되며, 상기 수용공간(210)은 판매자측영역(A)으로 개구되어 판매자가 상품(10)을 입고하는데 이용하는 판매자측 개구부(211) 및 고객측영역(B)으로 개구되어 고객이 입고된 상품(10)을 수령하는데 이용하는 고객측 개구부(212)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판매자측 개구부(211)를 개폐하는 판매자측도어(220) 및 상기 고객측 개구부(212)를 개폐하며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록킹되는 고객측도어(230)가 각각 구비된 복수 개의 보관함(200); 및 고객이 휴대한 고객통신단말(510)을 통해 입력되거나 고객이 입력한 고객인증정보(512)에 따라 해당 고객의 상품(10)이 보관된 보관함(200)의 고객측도어(230)가 록킹해제되도록 구동제어하는 제어장치(30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300)는, 각 테이크아웃상품(10)별로 상기 고객인증정보(512)와 부합되도록 지정된 인증기준정보 및 테이크아웃상품(10)이 입고된 보관함(200)의 보관함위치정보가 상호 매칭되어 저장되고, 상기 고객인증정보(512)가 입력되면 부합되는 인증기준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인증기준정보와 매칭되는 보관함위치정보에 따라 해당 보관함(200)의 고객측도어(230)가 록킹해제되도록 구동제어하며,
    상기 제어장치(300)는, 상기 벽체부(100)에 관통 설치되는 바디부(301)와, 상기 바디부(301) 상에서 판매자측영역(A)을 향하는 측면에 배치되어 판매자의 조작에 따라 인증기준정보 및 보관함위치정보를 입력하는 판매자측 단말부(310)와, 상기 바디부(301) 상에서 고객측영역(B)을 향하는 측면에 배치되어 고객통신단말(510)의 화면창(511)에 표시되는 고객인증정보(512)를 인식하는 고객측 단말부(320) 및, 상기 판매자측 단말부(310)를 통해 입력되는 인증기준정보 및 보관함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고객측 단말부(320)에서 인식된 고객인증정보(512)에 따라 해당 고객이 주문한 상품(10)이 보관된 보관함(200)의 고객측도어(230)가 자동으로 록킹해제되도록 구동제어하는 제어부(330)를 포함하며,
    상기 테이크아웃상품(10)에 부착되거나 결속되는 주문라벨(451)을 인쇄하는 라벨프린터(450);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판매자측도어(220)가 개폐동작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판매자측 개폐구동부(460); 및 각 보관함(200)에 장착되어 상기 수용공간(210)에 보관된 테이크아웃상품(10)을 감지하는 상품감지부(4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문라벨(451)에는 테이크아웃상품(10)을 주문한 주문내역(453) 또는 상기 주문내역(453)의 연결정보가 이미지화된 광학인식코드(454)를 포함하는 인증기준정보(452)가 포함되며, 상기 판매자측 단말부(310)는, 상기 주문라벨(451)의 인증기준정보(452)를 스캔하여 인식하고 인식한 인증기준정보(452)를 제어부(330)로 전송하는 판매자측 인식부(311)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330)는 판매자측 인식부(311)로부터 인증기준정보(452)가 입력되면 상기 상품감지부(440)의 상품감지신호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보관함(200) 중 테이크아웃상품(10)이 입고되지 않은 빈 보관함(200)을 판단하고 빈 보관함(200)의 판매자측도어(220)가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판매자측 개폐구동부(460)를 구동제어하며 입력된 인증기준정보(452)와 상기 빈 보관함(200)의 보관함위치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하되,
    상기 보관함(200)은 수용공간(210)의 크기가 서로 상이한 복수 개의 규격을 갖는 복수 개의 보관함(200a,200b,200c)을 포함하며, 상기 주문라벨(451)의 인증기준정보(452)는 주문된 테이크아웃상품(10)의 크기에 따라 해당 테이크아웃상품(10)을 수용가능한 규격을 갖는 보관함(200a,200b,200c)에 대한 보관함규격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330)는 판매자측 인식부(311)로부터 인증기준정보(452)가 입력되면 상기 상품감지부(440)의 상품감지신호 및 보관함규격정보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보관함(200a,200b,200c) 중 해당 테이크아웃상품(10)을 수용가능한 규격을 갖는 빈 보관함(200a,200b,200c)을 판단하고, 해당 빈 보관함(200a,200b,200c)의 판매자측도어(220)가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판매자측 개폐구동부(460)를 구동제어하며,
    상기 보관함(200)에 장착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수용공간(210)의 내부로 UV광을 조사하거나 살균액을 분사하여 상기 수용공간(210)의 내부를 살균하는 살균부(4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300)는 판매자측도어(220) 및 고객측도어(230)가 모두 닫힌 상태에서 상기 살균부(410)가 살균동작하도록 구동제어하되, 상기 판매자측도어(220)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판매자측 개폐감지부(420)로부터 개방감지신호가 입력된 후 폐쇄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수용공간(210)에 상품(10)이 입고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살균부(410)가 설정시간 동안 1차 살균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고객측도어(230)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고객측 개폐감지부(430)로부터 개방감지신호가 입력된 후 폐쇄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수용공간(210)에 입고된 테이크아웃상품(10)이 출고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살균부(410)가 설정시간 동안 2차 살균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크아웃상품 비대면 불출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고객측도어(230)가 개폐동작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고객측 개폐구동부(4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객통신단말(510)의 화면창(511)에 표시되는 고객인증정보(512)는 테이크아웃상품(10)을 주문한 주문내역(513) 또는 상기 주문내역(513)의 연결정보가 이미지화된 광학인식코드(514)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고객측 단말부(320)는, 고객통신단말(510)의 화면창(511)에 표시된 고객인증정보(512)를 스캔하여 인식하고 인식한 고객인증정보(512)를 제어부(330)로 전송하는 고객측 인식부(321)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330)는 고객측 인식부(321)로부터 인식된 고객인증정보(512)에 따라 해당 고객이 주문한 상품(10)이 보관된 보관함(200)의 고객측도어(230)가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고객측 개폐구동부(470)를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크아웃상품 비대면 불출시스템.
KR1020210121267A 2021-09-10 2021-09-10 테이크아웃상품 비대면 불출시스템 KR102475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267A KR102475247B1 (ko) 2021-09-10 2021-09-10 테이크아웃상품 비대면 불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267A KR102475247B1 (ko) 2021-09-10 2021-09-10 테이크아웃상품 비대면 불출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5247B1 true KR102475247B1 (ko) 2022-12-06

Family

ID=84407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1267A KR102475247B1 (ko) 2021-09-10 2021-09-10 테이크아웃상품 비대면 불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524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6307B1 (ko) 2017-01-25 2018-02-06 진정식 상품 주문 및 배달을 위한 판매업체와 배달업체 간의 중개 서비스 시스템
US20180357843A1 (en) * 2017-06-09 2018-12-13 Chip Chop Holdings, Inc. Ordering and delivery cubicle system
US20190362302A1 (en) * 2016-02-12 2019-11-28 Little Caesar Enterprises,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the Delivery of a Food Product
KR102228554B1 (ko) * 2020-07-13 2021-03-16 엔아이티(주) 머신러닝 기반의 음식 셀프 테이크아웃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US20210235891A1 (en) * 2020-02-04 2021-08-05 George Derosa Ondo self-serve food locker assembly,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362302A1 (en) * 2016-02-12 2019-11-28 Little Caesar Enterprises,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the Delivery of a Food Product
KR101826307B1 (ko) 2017-01-25 2018-02-06 진정식 상품 주문 및 배달을 위한 판매업체와 배달업체 간의 중개 서비스 시스템
US20180357843A1 (en) * 2017-06-09 2018-12-13 Chip Chop Holdings, Inc. Ordering and delivery cubicle system
US20210235891A1 (en) * 2020-02-04 2021-08-05 George Derosa Ondo self-serve food locker assembly, system, and method
KR102228554B1 (ko) * 2020-07-13 2021-03-16 엔아이티(주) 머신러닝 기반의 음식 셀프 테이크아웃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34560A2 (en) Locker system for storage and delivery of packages
US20210355699A1 (en) System for sanitizing and controlling people who want to access a room
US599792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erifying contents of vending systems
CN105324714B (zh) 计算机控制的、无人值守的自动结账零售店
CA2589530C (en) Random access and random load dispensing unit
KR102001806B1 (ko) 도어를 개방하여 상품을 선택할 수 있는 스마트 자판기
US20180268358A1 (en) Order fulfillment system and method with item sensor
NO20141151A1 (no) Salgsautomat
US7860605B2 (en) System for controlling access to and segregating dispensed items
CN106663251A (zh) 计算机控制的无人值守的自动结账商店销售点及相关方法
AU2008279397A1 (en) System for management of ubiquitously deployed intelligent locks
JP2012168800A (ja) 宅配ボックス装置
US20210316027A1 (en) Secure container and method of operation same
CA3102989A1 (en) Automated mask wearing verification reminder and unlocking systems for an entranceway
JP2007206996A (ja) バーコード読取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セルフチェックアウトレジシステム
KR20200093951A (ko) 의료용 냉장고
KR102475247B1 (ko) 테이크아웃상품 비대면 불출시스템
JP2006155599A (ja) 調剤支援装置及び調剤支援方法
JP7165860B2 (ja) 店舗管理方法及び店舗管理システム
AU2018269927B2 (en) Order fulfillment system and method with item sensor
ES2568688T3 (es) Procedimiento para el inicio de una acción de un dispositivo autorizada mediante un documento en papel
US20230101967A1 (en) Pharmaceutical counting and packaging device
JP3278126B2 (ja) 商品取出装置
US20220172532A1 (en) Automated access systems for permitting access through an entranceway
US11992143B1 (en) Systems and devices for facilitating secure item retriev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