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3951A - 의료용 냉장고 - Google Patents

의료용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3951A
KR20200093951A KR1020190011328A KR20190011328A KR20200093951A KR 20200093951 A KR20200093951 A KR 20200093951A KR 1020190011328 A KR1020190011328 A KR 1020190011328A KR 20190011328 A KR20190011328 A KR 20190011328A KR 20200093951 A KR20200093951 A KR 20200093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torage
refrigerator
information
ite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1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6187B1 (ko
Inventor
이학용
이득우
Original Assignee
(주)카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카리스 filed Critical (주)카리스
Priority to KR1020190011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6187B1/ko
Publication of KR20200093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3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6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6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8Alarm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D2500/06Stock mana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6Sensors detecting the presence of a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Toxic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접근하는 사용자의 확인 및 관리, 냉장고에 입고 또는 출고되는 물품의 관리, 내부에 보관 물품의 기한관리와 같은 관리와 인가가 가능하며, 입고 및 출고의 편리성을 확보하여 의료용품을 안전하게 유지관리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사용 및 설치의 편의성을 높이도록 한 의료용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료용 냉장고{Medical refirgerator}
본 발명은 의료용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장고에 접근하는 사용자의 확인 및 관리, 냉장고에 입고 또는 출고되는 물품의 관리, 내부에 보관 물품의 기한관리와 같은 관리와 인가가 가능하며, 입고 및 출고의 편리성을 확보하여 의료용품을 안전하게 유지관리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사용 및 설치의 편의성을 높이도록 한 의료용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의료용으로 이용되는 냉장고 또는 쇼케이스(이하 "냉장고"라 통칭하기로 함)와 같은 장치는 내부에 의약품, 의료기구, 혈액과 같은 대상을 일정한 온도로 유지하는 용도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의료용 냉장고는 의료진에 의해 자주 사용되는 의료물품이 보관되기 때문에 내용물의 확인 및 손쉬운 개방이 가능한 구조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즉, 기존의 음료용 쇼케이스와 별반 다르지 않은 형태로 이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한 병원 내에서도 다수의 장치가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의료용 냉장고는 항온 기능과 저렴한 가격에만 초점이 맞춰진 제품들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이로 인해 세심한 관리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현장에서의 관리가 소홀해지는 것이 일반적인 실태이다.
구체적으료, 의료용 냉장고의 내부에는 중요한 약품, 혈액이 보관됨에도 불구하고, 유통기한의 관리, 입고 및 출고의 관리, 냉장고 사용자의 관리가 전무한 실정이다. 단지, 이러한 관리의 취약점으로 인해 의료진들이 주로 치료를 준비하는 별도의 공간에 설치될 뿐이다. 이로인해, 약품이나 혈액을 분실하는 경우, 사용기일이 경과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특히, 종래의 의료용 냉장고는 이러한 분실이나 손상이 어떤 경위로 발생했는지 파악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13300호(등록일 2008.03.06.) "의료용 냉장 쇼케이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냉장고에 접근하는 사용자의 확인 및 관리, 냉장고에 입고 또는 출고되는 물품의 관리, 내부에 보관 물품의 기한관리와 같은 관리와 인가가 가능하며, 입고 및 출고의 편리성을 확보하여 의료용품을 안전하게 유지관리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사용 및 설치의 편의성을 높이도록 한 의료용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냉장고는 저장품목이 저장되는 보관부; 상기 보관부의 온도를 설정온도로 유지하는 온도 조절부; 상기 보관부의 상태 또는 상기 저장품목의 상태를 출력하여 표시하는 출력부; 상기 저장품목의 입고 또는 출고시 상기 저장품목 각각에 부여되는 정보매체를 스캔하기 위해 마련되고 본체에 마련되는 수납공간의 상단에 설치되는 매립형 리더기와 상기 매립형 리더기와 이웃하여 거치되는 핸디형 리더기로 구성되는 리더기를 구비하는 입력부; 및 싱기 온도조절부와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며, 상기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상기 저장품목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고, 상기 저장품목의 유통기한 도래시 또는 상기 보관부의 이상발생시 상기 출력부를 통해 알람을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냉장고는 냉장고에 접근하는 사용자의 확인 및 관리, 냉장고에 입고 또는 출고되는 물품의 관리, 내부에 보관 물품의 기한관리와 같은 관리와 인가가 가능하며, 입고 및 출고의 편리성을 확보하여 의료용품을 안전하게 유지관리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사용 및 설치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 냉장고의 외형을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냉장고의 구성을 블럭 형태로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냉장고에 마련되는 바코드 리더와 트레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냉장고의 입출고 관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냉장고를 병원시스템과 연계하여 사용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뙤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료 냉장고의 외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의료 냉장고는 패널부(10)와 보관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패널부(10)는 의료용 냉장고의 기능제어, 입출고 관리를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패널부(10)는 제어부(111), 바코드리더(13), 트레이(15) 및 수납부(17)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패널부(10)는 냉장고의 온도설정, 알림설정, 표시설정과 같은 각종 설정의 입력이 가능하며, 내부에 저장되는 저장품목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패널부(10)는 냉장고의 동작과정에서 발생되는 알람정보를 관리자의 단말 및 관리자들에게 전파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패널부(10)는 저장품목의 입고 또는 출고시 기록이 가능하도록 바코드리더(13)를 구비한다. 이외에도 트레이(15) 및 수납부(17)와 같이 사용자 편의를 위한 장치가 마련된다.
패널부(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부(20)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특히, 패널부(10)는 보관부(20)와 분리가 가능하게 구성되어 별도로 제작되는 보관부(20)에 결합시켜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응용하여, 하나의 패널부(10)으 좌우에 보관부(20)를 구성하는 형태와 같이 복수의 보관부(20)를 하나의 패널부(10)에 의해 제어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트레이(15)는 사용자가 입고 또는 출고 과정에서 저장품목을 일시적으로 올려놓거나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선반이 마련된다. 이러한 트레이(15)는 입고 및 출구시에는 바코드리더(13)에 의해 저장품목의 바코드를 스캔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반의 역할을 한다. 이 트레이(15)는 냉장고의 근거리에서 저장품목의 사용기간 동안 저장품목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약품통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냉장고에서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용도로의 사용을 위해 트레이(15)는 저장품목, 저장품의 처치에 필요한 의료기구를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트레이(15)는 바코드리더(13)와 이웃하여 배치된다.
수납부(17)는 보관부(20)에 보관되지 않는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용도로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납부(17)는 개폐가 가능한 도어와 도어 내부에 물품 적재가 가능한 선반 또는 박스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수납부(17)는 수납부 외의 장치가 설치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으로 제시된 바에 의해서만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보관부(20)는 약품, 혈액 및 의료용기구가 보관된다. 이러한 보관부(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2가지 이상의 물품을 효율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저장품목의 적재부 형태가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관부(20)는 일반 약품 또는 의료기구의 보관이 가능한 선반 형태로 마련되는 제1보관부(23)와 혈액을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는 서랍형태의 제2보관부(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보관부(23)와 제2보관부(25)는 일례로 설명된 것일뿐 보관부(23, 25)의 수와 형태는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제1보관부(23)와 제2보관부(25)는 하나의 공간에 적재부의 형태만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공간으로 구분되어, 온도와 입출고 과정이 다르게 관리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냉장고의 세부적인 구성과 기능적인 부분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냉장고의 구성을 블럭 형태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냉장고는 제어부(111), 통신부(112), 온도조절부(113), 출력부(114), 입력부(118) 및 잠금부(12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11)는 의료용 냉장고의 기능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11)는 입력부(118)를 통해 설정되는 조건에 따라 의료용 냉장고의 각 부 기능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1)는 온도조절, 알람, 입고/출고, 사용자 관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1)는 온도조절부(113)의 동작을 제어하여 보관부(23, 25)의 온도를 설정온도로 유지한다. 이러한 제어부(111)는 설정온도와 설정온도의 온도범위에 따라 온도조절부(113)의 동작시점과 동작기간을 제어하여 보관부(23, 25)의 온도를 일정하게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11)는 온도조절부(113)의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냉장고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온도조절부(113)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111)는 내부의 온도 정보를 출력부(114)를 통해 출력하거나, 등록된 단말에 전달되도록 통신부(112)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1)는 냉장고의 상태 또는 저장품목의 상태를 관리하고 관리상태를 출력부(114)와 통신부(112)를 통해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전달한다. 이러한 관리상태에 대한 알람의 전달은 출력부(114)와 통신부(112)를 이용하는 2가지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우선 제어부(111)는 출력부(114)를 통해 냉장고의 상태 또는 저장품목의 상태에 대한 정보와 알람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11)에 의한 상태정보는 글자, 이미지, 소리, 광과 같은 다양한 수단을 이용할 수 있으며, 출력부(114)의 구성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일례로, 도 1에 도시된 패널(11)에 입출력을 위한 장치즉, 출력부(114) 중 제1출력부(115)가 마련되고, 제1출력부(115)가 액정표시장치,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와 같은 표시장칠 수 있다. 이 경우, 글자와 이미지를 이용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제2출력부(116)와 같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와 같은 장치가 구성되는 경우 미리 정해진 음향 또는 미리 저장되는 음성안내에 따라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3출력부(117)와 같이 저장영역에 대응되게 마련되고 광 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경우 광에 의해 정보를 시각적 인지가 가능한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출력부에 의한 정보 표시는 하기에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11)는 이러한 정보 또는 알람을 통신부(112)를 통해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11)는 전달이 필요한 정보가 확인되면, 통신부(112)를 통해 미리 지정된 연락수단에 정보 또는 알람을 전달하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통신부(112)는 와이파이와 같은 무선 통신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111)는 통신부(112)가 지정된 연락수단, 예를 들어 관리자의 사용자단말에 정보 또는 알람에 해당되는 데이터, 메시지를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1)는 저장품목의 입고 및 출고를 위한 과정을 처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11)는 입력부(118)에 마련되는 제1입력부(119) 및 통신부(112)와 연계하여 동작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1)는 제1입력부(119)를 통해 입력되는 저장품목의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미리 정해진 형태의 데이터베이스로 생성하여 관리한다. 제어부(111)는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저장품목의 기한, 상태와 같은 사항들을 관리하고 알람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제어부(111)는 제1입력부(119)를 통해 저장품목의 정보를 입력받는다. 이러한 제1입력부(119)를 통한 저장품목의 정보 입력은 입고가 허가된 허가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1입력부(119)는 바코드리더(13)와 바코드리더(13)와 같이 미리 작성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수단, 예를 들어 RFID장치와 같은 장치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입력부(119)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11)는 입고를 위해 허가자가 바코드리더(13) 형태로 구현되는 제1입력부(119)를 통해 저장품목의 정보태그를 스캔하면, 스캔된 정보를 전달받아 데이터베이스의 각 항목에 기록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111)는 저장품목의 입고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통신부(112)를 통해 관리자의 사용자단말에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제어부(111)는 통신부(112)를 통해 입고진행정보를 사용자단말에 단순히 전달하는 수준에 그칠 수도 있고, 사용자단말에 의한 허가나 확인이 이루어진 경우에만 입고가 완료되도록 허가과정이 진행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과정의 차이로 인해 제어부(111)에 의해 전달되는 입고진행정보는 정보의 단순 전달과 허가진행에 따라 다른 정보가 전달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입고진행정보는 입고를 진행하는 사용자, 사용자에 의해 입고되는 품목, 수량, 저장위치와 같은 정보가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냉장고가 사용되는 환경, 업체의 입고 절차에 따라 달라지는 정보로 추가나 변경이 가능하며, 이에 대해서는 다양한 예를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허가에 의해 입고가 진행되는 경우 제어부(111)는 사용자단말에 의해 허가가 이루어진 경우에만 잠금부(21)로 하여금 잠금을 해제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입고가 이루어질 수 있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출고과정에서도 제어부(111)는 입고과정의 반대 과정을 진행하여 관리자의 사용자단말에 대한 정보 전달과 출고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반영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1)는 미리 승인된 인가자의 사용자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사항을 설정 또는 동작정보에 반영하여, 입력되는 사항에 따라 동작하거나 일련의 처리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예는 공지의 기술들을 통해 알려진 사항들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통신부(112)는 사용자단말 또는 외부장치와 냉장고 간의 통신을 수행한다. 이러한 통신부(112)는 이동통신 네트워크, 와이파이와 같은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단말 또는 외부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부(112)는 제어부(111)의 제어에 의해 사용자단말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냉장고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단말에 제공하거나, 입고 및 출고과정에서 발생되는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통신부(112)는 입고 및 출고 관련 허가를 사용자단말에 전달하고, 사용자단말로부터의 허가 내용을 제어부(111)에 전달하여 입출고가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단말로부터 발생된 명령, 예를 들어 설정의 변경과 같은 명령을 수신하여 제어부(111)에 전달할 수도 있다.
온도조절부(113)는 제어부(111)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여 냉장고의 온도를 설정온도 또는 설정온도 범위로 유지한다. 이러한 온도조절부(113)는 냉각장치와 가열장치를 모두 구비할 수 있다. 가열장치는 열선, 발열소자와 같은 전기에 의해 발열하는 장치일 수 있으며, 냉각장치는 냉매를 동력장치에 의해 압축 및 팽창시키는 장치일 수 있다.
출력부(114)는 냉장고 및 저장품목의 상태, 입출고 과정의 진행을 위한 정보, 설정메뉴와 같은 사항들을 관리자 및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하여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출력부(114)는 제1 내지 제3출력부(115 내지 11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출력부(115)는 냉장고에 인접한 위치, 예를 들어, 입출고 중인 사용자, 냉장고의 동작상태를 확인하거나 설정을 수행하는 관리자가 냉장고의 상태 또는 저장품목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제1출력부(115)는 패널(11)에 마련될 수 있으며, 입력부(118)의 제1입력부(119)와 함께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제1출력부(115)는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출력부(115)는 제2 또는 제3출력부(116, 117)과 연동되어 동작할 수 있다. 일례로 알람을 제공하는 경우 특정위치를 지정하는 제3출력부(117)가 점등될 수 있으며, 이때 제1출력부(115)는 미니맵과 미니맵의 특정 위치를 부각시켜 표시하는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제2출력부(116)는 음향을 출력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 제2출력부(116)는 알람과 같이 중요정보를 음향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스피커와 같은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출력부(116)는 비프음과 같은 알람음 외에도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인지할 수 있는 음성 안내메시지를 출력하여 제공할 수 있다.
제3출력부(117)는 제1출력부(115)와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냉장고의 상태 또는 저장품목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제3출력부(117)는 냉장고의 도어 프레임, 냉장고 도어의 표면, 내부 선반의 주변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과 같이 냉장고가 구성되는 경우 제3출력부(117)는 제1보관부(23)와 제2보관부(25)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구성될 수 있으며, 제2보관부(25)에 마련되는 경우 각 선반별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3출력부(117)는 제1출력부(115)와 같이 정보의 표시가 가능한 표시장치일 수도 있고, LED와 같은 발광소자일 수도 있다.
제3출력부(117)는 대응되는 보관위치의 냉장고 상태 또는 저장품목의 상태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제3출력부(117)는 표시장치로 구성되는 경우에도 표시면을 특정색으로 발광하도록 하여 사용자 또는 관리자의 주의가 집중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제3출력부(117)는 입출고시 저장품목의 저장위치를 지정하거나, 유통기한의 도래여부를 출력하거나, 이상발생과 같은 알람기능과 평시 저장상태에서의 저장품목 종류, 수량, 위치와 설정된 온도와 같은 정보를 출력하여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제3출력부(117)는 발광소자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며, 발광소자는 다색으로 발광 가능한 소자일 수 있다. 이러한 발광소자는 상태에 따라 발광하는 색, 발광의 세기를 조절하여 냉장고 또는 저장품목의 상태 또는 입출고시 저장품목의 위치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저장품목 또는 냉장고의 이상 발생시에는 붉은색으로 강한 광을 방출하도록 하고, 정상 상태에서는 파란색을 약하게 방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저장품목의 이상발생 또는 기한이 도래한 경우 일정한 주기로 주황색을 점멸하게 하거나, 두 가지 색을 교번하여 방출하도록 하고, 기한 도래가 가까워질 수록 발광하는 세기를 증가시켜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제3출력부(117)에 의해 상태표시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발광소자는 냉장고 도어의 프레임에 마련되고, 광의 방출방향이 도어의 유리표면에 비스듬하게 입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발광소자에서 발생된 광이 유리표면에 의해 반사되도록 하여 광의 가시성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도어가 유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표면에 광을 방출하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효과를 기대하는 것이 가능하며 본 발명을 유리형태의 도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입력부(118)는 냉장고의 동작을 위한 사용자의 명령과 저장품목의 입출고를 위한 정보를 입력받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입력부(118)는 제1입력부(119)와 제2입력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입력부(119)는 저장품목의 입출고시 저장품목에 부착되는 정보매체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제1입력부(119)는 도 1의 바코드리더(13)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외에도 RFID 스캐너와 같이 태그와 같은 정보매체와 이를 스캔하여 정보를 획득하는 장치이면 제1입력부(119)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제1입력부(119)는 정보매체를 스캔하여 획득한 정보를 제어부(111)에 전달한다.
제2입력부(119)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로부터 냉장고의 동작을 위해 발생하는 명령, 정보의 확인을 위해 발생되는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제2입력부(119)는 패널(11)에 마련될 수 있으며, 키보드, 키패드와 같이 입력수단과 버튼, 다이얼과 같은 입력수단이 복합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이 제2입력부(119)는 제1출력부(115)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터치스크린일 수 있다.
잠금부(121)는 냉장고의 도어 개방을 제한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 잠금부(121)는 제어부(111)에 의해 전달되는 잠금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냉장고의 도어를 잠금상태로 유지하거나, 개방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내부에 저장품목을 저장하거나 출고할 수 있는 상태가 되게 한다. 이러한 잠금부(121)는 보관부(23, 25)가 별도의 도어로 구분되는 경우 각 도어에 설치되거나, 특정 보관부에 해당되는 도어에 설치되어 개폐를 제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냉장고에 마련되는 바코드 리더와 트레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입력부(119)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바코드리더(13)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바코드리더(13)는 바코드뿐만 아니라 QR코드와 2차원적으로 프린트된 정보를 스캔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제1입력부(119)로 구성되는 바코드리더(13)는 도 3에서와 같이 2가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매립형리더기(13a)와 핸디형리더기(13b)로 구성될 수 있다.
매립형 리더기(13a)는 냉장고에 고정설치되고 일정한 초점거리의 정보매체를 스캔하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해 매립형 리더기(13a)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품목을 일시적으로 삽입할 수 있는 공간(13aa)의 상면에 설치되어, 공간 내에 진입한 저장품목의 저장매체를 스캔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또한, 매립형 리더기(13a)를 이용하여 편리한 스캔이 이루어지도록 슬라이딩선반(14)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 선반(14)은 스캔공간(13aa)의 하부에 설치되고, 슬라리딩 동작에 의해 스캔공간(13aa) 내부와 외부를 왕복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사용자는 슬라이딩 선반(14)에 저장품목의 정보매체가 매립형 리더기(13a)를 향하도록 거치한 수 슬라이딩 선반(14)는 밀어 넣음으로써 스캔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이 슬라이딩 선반(14)은 스위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슬라이딩선반(14)이 외부로 나와 있는 경우(도 3에 도시된 형태)인 경우 매립형 리더기(13a)가 오프 상태(저전력)가 되도록 하고, 슬라이딩선반(14)을 스캔공간(13aa)로 밀어넣는 경우 온 상태로 전환되도록 함과 아울러, 동시에 스캔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핸디형 리더기(13b)는 매립형 리더기(13a)에 의한 스캔이 곤란한 저장품목의 스캔을 위해 사용된다. 이를 위해, 핸디형 리더기(13b)는 매립형 리더기(13a)와 이웃하여 별도의 거치대(13bb)에 설치된다. 이러한 핸디형 리더기(13b)도 거치대(13bb)에 거치된 동안에는 오프상태를 유지하고, 거치대(13bb)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온되도록 하여 전력 사용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냉장고의 입출고 관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냉장고의 저장품목 입출고 과정은 제1 내지 제 5단계(step1 내지 step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1 내지 제3단계(step1 내지 step 3)은 입고과정을 나타내며, 제3 내지 제5단계(step3 내지 step5)는 출고과정을 나타낸다.
저장품목의 입고를 위해 사용자 저장품목에 부착된 정보매체를 스캔하는 단계가 제1단계(step1)로 진행된다. 이 제1단계(step1)가 진행되면 제어부(111)는 저장품목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함과 아울러, 저장품목의 종류를 확인하고 저장위치를 지정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도어가 잠금부(121)에 의해 잠겨 있는 경우 잠금부(121)가 잠금을 해제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제2단계(step2)에서 사용자는 지정된 위치에 저장품목을 입고하여 저장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제3단계(step3)가 진행되어 관리자의 사용자 단말에 입고 진행에 대한 정보가 전달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에 전달되는 정보는 입고 품목, 유통기한, 수량, 입고를 진행한 사용자와 같은 정보가 전달된다.
한편, 제2 및 제3단계(step2, 3)는 허가에 의한 진행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제1단계(step1)가 진행되면 이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제3단계(step3)가 진행되고, 관리자가 사용자단말을 통해 승인한 경우에 제2단계가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단계(step1)에서 사용자의 신분을 위한 ID 카드를 바코드리더(13)를 통해 획득하는 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출고과정인 제3단계(step3) 내지 제5단계(Step5)은 입고의 반대과정에 의해 진행된다. 즉, 출고를 위해 보관된 제품을 냉장고로부터 꺼내는 제4단계(step4)가 진행되고, 출고하고자 하는 제품을 스캔하는 제5단계(step5)가 진행된 후 제품 출고가 이루어짐을 관리자의 사용자 단말에 전달하는 제3단계(step3)가 진행될 수 있다.
여기서, 출고시에도 잠금 해제나 허가가 필요한 경우 출고를 진행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가 진행된 후 상기 제3 내지 제5단계(step3 내지 step5)가 진행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냉장고를 병원시스템과 연계하여 사용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의료용 냉장고(1)는 통신부(112)를 구비하며 이를 통해 병원시스템(300) 및 관리자의 사용자단말(200)과 연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장고(1)는 입출고되는 저장품목의 내역을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저장하고, 이에 대한 알림을 제공하도록 동작한다. 이러한 알림이 필요한 정보가 발생되는 경우 냉장고(1)는 통신부(112)를 이용하여 사용자단말(200) 및 병원시스템(300)에 정보를 전달하여 정보의 변동 또는 조치가 필요함을 알릴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알람이 필요한 경우 냉장고(1)는 출력부(114)를 통해 전술한 방법과 같은 알람을 전달하여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기능을 이용하여 입출고를 과정을 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장고(1)는 병원시스템(300) 또는 사용자단말(200)에 의해 전달되는 오더(Order 또는 처방전)를 통해 입출고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입고나 출고를 하는 경우 오더의 내용을 통해 일치하는 경우에만 입고나 출고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오더는 병원시스템(300) 또는 사용자단말(200)에 의해 생성되는 것으로 오더를 수행할 사용자와 오더의 내용, 대상품목이 정해진다. 때문에 냉장고는 입고 또는 출고를 위한 작업이 진행되는 경우 이를 병원시스템(300) 또는 사용자단말(200)에 조회하고, 입출고의 진행자와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에만 입출고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냉장고(1)는 잠금상태를 유지하며, 입출고를 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자신의 정보를 입력부(118)를 통해 입력하면, 입력된 사용자의 정보를 병원시스템(300)이나 단말(200)에 조회하게 된다. 이러한 조회과정에서 사용자에 대해 할당된 오더가 있는지 확인하고, 확인결과에 따라 사용자정보가 일치되는 경우 잠금을 해제하여 입고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냉장고(1)는 입고된 물품에 대한 정보를 전술한 과정을 통해 데이터베이스화 함과 아울러 사용자단말(200)과 병원시스템(300)에 통지하게 된다.
특히, 출고시에는 오더에 의해 확인되 저장품목이 자신에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저장되어 있는 경우 출력부(114)를 제어하여 저장품이 저장된 위치를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보관부에 구성되는 선반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a)는 도 1의 제1보관부(23)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제2보관부(25)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1보관부(23)와 제2보관부(25)는 다른 형태의 트레이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보관부(23)는 메쉬나 플레이트 형태의 고정형 선반(22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형 선반(223)은 다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형 선반(223)에 의해 구분되는 각 측에는 커버(224)가 마련될 수 있다. 커버는 고정형 선반(223) 면에 수직으로 구성되고, 고정형 선반(223)의 종단, 특히, 도어와 인접한 모서리면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커버(224)는 개폐를 위해 냉장고의 측면에 형성되는 홈(225)에 결합될 수 있다.
이 홈(225)은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의 안쪽으로 길게 이어지도록 형성되어 커버(224)가 슬라이딩되어 냉장고 내부로 삽입되는 형태로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제2보관부(25)는 서랍(251)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보관부(25)는 혈액 또는 약의 종류별 보관을 위해 구분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손잡이(252) 부근 또는 서랍의 전면에 서로 다른 색상으로 구분하여 저장되는 품목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구분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랍의 형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보관부(25)에 마련되는 서랍(351)은 혈액팩의 저장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랍(351)은 혈액팩의 저장 및 정렬을 위한 구성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a)에서와 같이 서랍(351)은 사용자가 쉽게 파지하여 냉장고의 전면으로 당기거나 냉장고 내부로 밀어 넣을 수 있도록 손잡이(352)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서랍(351)은 뚜껑(353)이 마련될 수 있으며, 뚜껑에는 투입구(354)가 형성될 수 있다. 이 투입구(354)는 최근에 입고되는 혈액이 서랍(351)의 뒷 부분에 투입될 수 있도록 서랍(351)의 후방부에 형성된다. 특히, 투입구(354)에는 뚜껑의 일부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혈액팩이 부드럽게 서랍의 후방으로 낙하하도록 경사면(355)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투입구(354)로 투입된 혈액의 정렬을 위해 (b)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랍(351)의 후판(356)은 이동에 의해 전후진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후퇴를 보조하기 위해 냉장고(1)의 내벽에는 탄성부재(357)가 마련될 수 있다. 이 탄성부재(357)는 서랍(351a)이 냉장고(1) 내부에 삽입된 경우 후판(356a)를 전진시키는 역할을 하며,
서랍(351b)이 냉장고 외부로 인출된 경우 후판(356b)을 서랍(351b)까지 잡아 당기는 역할을 한다. 도 7의 (b)에서는 서랍(351b)이 탄성부재(357)와 분리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다라 후판(356b)과 연결되어 늘어난 상태일 수 있는 것으로 도시된 바에 의해서만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후판(356)의 움직임을 통해 서랍(351) 내부에 수납된 혈액은 서랍(351a)이 냉장고(1) 내부로 삽입되었을 때 밀려서 정렬되고, 다시 서랍(351b)가 인출되는 경우 후판(356b)의 후퇴에 의해 공간이 확보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려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패널부 13: 바코드리더
15: 트레이 17: 수납부
20; 보관부 23: 제1보관부
25: 제2보관부 111: 제어부
112: 통신부 113: 온도조절부
114: 출력부 115: 제1출력부
116: 제2출력부 117: 제3출력부
118: 입력부 119: 제1입력부
120: 제2입력부 121: 잠금부

Claims (5)

  1. 저장품목이 저장되는 보관부;
    상기 보관부의 온도를 설정온도로 유지하는 온도 조절부;
    상기 보관부의 상태 또는 상기 저장품목의 상태를 출력하여 표시하는 출력부;
    상기 저장품목의 입고 또는 출고시 상기 저장품목 각각에 부여되는 정보매체를 스캔하기 위해 마련되고 본체에 마련되는 수납공간의 상단에 설치되는 매립형 리더기와 상기 매립형 리더기와 이웃하여 거치되는 핸디형 리더기로 구성되는 리더기를 구비하는 입력부; 및
    싱기 온도조절부와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며, 상기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상기 저장품목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고, 상기 저장품목의 유통기한 도래시 또는 상기 보관부의 이상발생시 상기 출력부를 통해 알람을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품목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사용자단말 또는 병원시스템과의 연결을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품목의 입출고시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정보 또는 상기 알람을 상기 사용자단말 또는 상기 병원시스템에 전달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보관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잠김상태로 유지하거나 해제하는 잠금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냉장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 중 상기 알람 또는 상기 저장품목의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패널과 상기 리더기를 구비하는 패널부는 상기 보관부의 측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의 상기 리더기 하부에는 상기 저장품목의 임시 거치를 위한 트레이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냉장고.
KR1020190011328A 2019-01-29 2019-01-29 의료용 냉장고 KR102196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328A KR102196187B1 (ko) 2019-01-29 2019-01-29 의료용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328A KR102196187B1 (ko) 2019-01-29 2019-01-29 의료용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3951A true KR20200093951A (ko) 2020-08-06
KR102196187B1 KR102196187B1 (ko) 2020-12-30

Family

ID=72040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1328A KR102196187B1 (ko) 2019-01-29 2019-01-29 의료용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61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7743B1 (ko) * 2020-08-28 2022-02-07 주식회사 비전과학 의료용 의약품 및 의료용품 보관용 냉온장장치
KR102566189B1 (ko) * 2023-01-18 2023-08-11 주식회사 대덕테크 백신병 거치 냉장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4589A (ko) 2022-05-02 2023-11-09 주식회사 엔케이어드벤스 Rfid기술과 iot기술이 융합되어 관리자의 약품관리 내용과 향정신성 의약품을 자동으로 관리하는 자동관리 및 보관시스템
KR20230155041A (ko) 2022-05-02 2023-11-10 주식회사 엔케이어드벤스 Rfid기술과 iot기술이 융합되어 의약품 취급기관에서 향정신성 의약품을 자동으로 관리하는 의약품 관리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714A (ja) * 1993-06-30 1995-01-20 Sanyo Electric Co Ltd 製品保存庫
JP2003004368A (ja) * 2001-06-25 2003-01-08 Ricoh Co Ltd 在庫管理機能付き冷蔵庫、冷蔵庫在庫管理システム、これらの機能を実行する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0813300B1 (ko) 2007-06-28 2008-03-13 주식회사 신성사 의료용 냉장쇼케이스
KR20100114383A (ko) * 2009-04-15 2010-10-25 윤우현 의약품 보관 냉장고
KR20150127560A (ko) * 2015-10-28 2015-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29905A (ko) * 2015-09-08 2017-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식품 저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7161106A (ja) * 2016-03-07 2017-09-14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扉用取付棚及び冷蔵庫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714A (ja) * 1993-06-30 1995-01-20 Sanyo Electric Co Ltd 製品保存庫
JP2003004368A (ja) * 2001-06-25 2003-01-08 Ricoh Co Ltd 在庫管理機能付き冷蔵庫、冷蔵庫在庫管理システム、これらの機能を実行する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0813300B1 (ko) 2007-06-28 2008-03-13 주식회사 신성사 의료용 냉장쇼케이스
KR20100114383A (ko) * 2009-04-15 2010-10-25 윤우현 의약품 보관 냉장고
KR20170029905A (ko) * 2015-09-08 2017-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식품 저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27560A (ko) * 2015-10-28 2015-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JP2017161106A (ja) * 2016-03-07 2017-09-14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扉用取付棚及び冷蔵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7743B1 (ko) * 2020-08-28 2022-02-07 주식회사 비전과학 의료용 의약품 및 의료용품 보관용 냉온장장치
KR102566189B1 (ko) * 2023-01-18 2023-08-11 주식회사 대덕테크 백신병 거치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6187B1 (ko) 202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93951A (ko) 의료용 냉장고
US10885494B2 (en) Storage cabinet with multiple RFID readers
US10443268B2 (en) Self-locking door and product dispensing enclosure having a self-locking door
US20230410045A1 (en) Interactive inventory storage device, system, and method
KR102103813B1 (ko) 릴레이 박스
US9542664B2 (en) Stock monitoring
CN114365230A (zh) 安全库存访问和控制机构
US20140104037A1 (en) Dynamic Control Containment Unit
CN114303179A (zh) 安全智能容器组件、系统和方法
US20130187774A1 (en) Portable medication dispensing containers
US10692316B2 (en) RFID scanning device
US10949802B2 (en) Storage cabinet
AU2011336294A1 (en) RFID enabled drawer refrigeration system
US20120232692A1 (en) Local access delivery control system
US11907894B2 (en) Storage devices and operation methods thereof
GB2567336B (en) Stock accessing system
JP2021020778A (ja) 保管庫システムおよび収容装置
GB2567573B (en) Stock indicating system
US20240177106A1 (en) Storage devices and operation methods thereof
CN220522270U (zh) 商品安全系统和安全系统
CN114468680A (zh) 收纳装置、收纳装置管理系统以及收纳装置管理方法
KR20240068124A (ko) 의약품 재고 관리용 냉장고 및 이의 재고 관리 방법
GB2567352A (en) Stock monitoring
JP2021020776A (ja) 保管庫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