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3962B1 - 충격흡수 기어 - Google Patents

충격흡수 기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3962B1
KR102473962B1 KR1020210030716A KR20210030716A KR102473962B1 KR 102473962 B1 KR102473962 B1 KR 102473962B1 KR 1020210030716 A KR1020210030716 A KR 1020210030716A KR 20210030716 A KR20210030716 A KR 20210030716A KR 102473962 B1 KR102473962 B1 KR 102473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ing
absorbing member
penetrating
gear
radial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0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6447A (ko
Inventor
한희도
조덕제
Original Assignee
한국중천전화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중천전화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중천전화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0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3962B1/ko
Publication of KR20220126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6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3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3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006Vibration-damping or noise reduc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02Gea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reduction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14Construction providing resilience or vibration-dam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8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characterised by means f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2057/0043Mounting or adjusting transmission parts by robots

Abstract

본 발명은 기어박스(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중공부(110)가 형성되되, 상기 중공부의 테두리 하방에는 결합턱(120)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의 테두리 상방에는 상하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되 측방으로 뾰족하게 함몰된 다수개의 오목부(131) 및 측방으로 라운드지게 돌출된 다수개의 볼록부(132)가 서로 연결되면서 방사형으로 배치된 안착홈(130)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방사형으로 다수개의 톱니(140)가 형성된 제1 충격흡수부재(100)와; 상기 제1 충격흡수부재(100)의 안착홈(130)에 안착되되, 외력에 따라 탄성변형되면서 회전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리브(rib, 211) 및 다수개의 관통부(212)가 형성되면서 외주면에는 상기 제1 충격흡수부재(100)의 오목부(131)에 대응하는 뾰족돌기(213)가 방사형으로 다수개가 등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몸체(210)와, 상기 몸체(210)의 상방으로 돌출되면서 일체로 형성되어 중앙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샤프트홀(shaft hole, 221)이 형성된 결합부(220)가 각각 형성된 제2 충격흡수부재(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 기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충격흡수 기어{Shock absorber gear}
본 발명은 충격흡수 기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1 충격흡수부재 및 제2 충격흡수부재로 구성되되, 외력이 가해질 경우 탄성 변형이 용이하면서 응력이 균일하게 분산되어 제2 충격흡수부재가 슬립(slip) 동작되도록 상기 제2 충격흡수부재에 리브, 관통부 및 뾰족돌기를 각각 방사형으로 3개 또는 4개를 형성시키고, 제2 충격흡수부재에 출력기어 결합용 결합돌기를 형성시켜 출력기어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한 충격흡수 기어에 관한 것이다.
최근 2개의 다리 또는 4개의 다리를 구비한 인간 형상의 각식 로봇들이 개발되고 있다. 상기 각식 로봇들은 다수 개의 관절을 구비하고, 상기 관절 각각에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로서 각종의 모터를 사용한다. 상기 모터의 회전구동력은 다수 개의 기어를 구비한 기어박스를 통하여 각각의 관절에 전달된다.
이러한 각식 로봇은 보행시 예상치 못한 장애물과 충돌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각식 로봇의 다리를 꺾는다든지 각식 로봇을 높은 곳에서 지면으로 떨어뜨린다든지 등 각식 로봇에 과도한 힘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일들은 구동장치인 모터 및 동력전달장치인 기어박스의 파손이나 고장의 원인이 된다.
또한, 의류건조기 및 식기세척기와 같이 생활 편의성 기능을 가진 가전제품이 개발되고 있으며, 특히 의류건조기의 경우 의류건조 동작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도어를 열어주어 내부의 온도를 낮추도록 상기 도어는 구동장치(모터), 동력전달장치(기어박스)와 연결되어 자동으로 동작하게 된다.
이러한 의류건조기의 도어는 자동으로 동작하는 중에 사용자가 수동으로 열거나 닫는 조작이나, 도어 앞에 자동 열림을 방해하는 물체가 있을 경우 기어박스의 파손이나 고장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외력으로부터 로봇 또는 가전제품의 구동장치 및 동력전달장치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하여, 기어박스를 구성하는 기어의 치차를 크게 하거나 재료 강도를 높일 수도 있고, 또는 별도의 충격흡수장치를 기어박스에 삽입할 수도 있다. 그러나, 기어박스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고, 기어박스의 치차를 크게 하고 재료 강도를 높이게 되면, 작동중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압착될 경우 사용자에게 치명적인 손상을 가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20-0441760호(2008. 09. 01)에는 슬립 기어가 제안된 바 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구동력을 전달받는 입력단 기어(110); 입력단 기어(1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입력단 기어(110)와 동축적으로 배치되는 출력단 기어(120), 및 출력단 기어(120)에 결합되며 입력단 기어(110)의 측면에 접촉되게 배치되는 마찰부재(130)를 구비하는 출력부; 입력단 기어(110)로부터 이격되게 출력부에 결합되며, 입력단 기어(110)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조정될 수 있는 베이스부재(121); 베이스부재(121)와 입력단 기어(110) 사이에 배치되며 입력단 기어(110)를 마찰부재(130) 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140); 및 마찰부재(130)가 수용되도록 입력단 기어(110)의 측면으로부터 함몰되게 형성된 함몰부(113);를 포함한다. 그러나, 코일 스프링의 탄성부재(140)를 사용함에 따라 기어박스의 사이즈가 커질 수 밖에 없고, 장시간에 걸친 반복사용에 의해 반복피로가 발생하게 되면 탄성부재(140)의 탄성력이 저하되어 제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20-0441760호(2008. 09. 01)에 제안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84560호(2013. 07. 04)호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되 상기 구멍의 주변으로 리브가 형성된 제 1슬립 부재(20); 및 상기 제 1슬립 부재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상기 수납공간에 회전가능하게 수납되되, 상기 리브에 대향되는 일측면에 상기 리브가 끼워지는 홈이 형성된 제 2슬립 부재(30);를 포함하며, 상기 제 2슬립 부재는 상기 홈과 대응되는 타측면에 이빨이 형성된 돌출부(34)를 갖추고 상기 돌출부에는 소정 깊이의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립 기어(10)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제안된 기술은 코일 스프링을 대신하여 제 1슬립 부재(20)의 수납공간에 오목부(20b)를 두고, 제 2슬립 부재(30)에 볼록부(32a)를 두어 일정힘 이상의 외력이 가해질 경우 상기 볼록부(32a)가 탄성 변형되어 슬립(slip) 동작되도록 유도하였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록부(32a)는 대략 3~5개 정도를 하나의 그룹으로 하여 2 그룹을 형성함으로 인하여 탄성 변형되더라도 응력 분산에 한계가 있어 슬립 동작하는데 한계가 있고, 그만큼 탄성 변형이 크게 되어야 하므로 반복 사용에 따른 반복피로에 의해 제 1슬립 부재(20) 및 제 2슬립 부재(30)의 마모가 빨리되어 교체주기가 짧고, 이에 따라 교체주기를 놓칠 경우 기어 박스가 파손되거나 슬립 동작이 제대로 동작되지 않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출력기어에 해당하는 이빨(34a)이 제 2슬립 부재(30)에 일체로 형성됨으로 인하여 이빨(34a)의 마모시 제 2슬립 부재(30)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제 1슬립 부재(20) 및 제2 슬립 부재(30) 각각에 샤프트(shaft)가 결합되도록 구성됨으로 인하여, 불필요하게 구성이 복잡하고 부품수가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으며, 볼록부(32a)가 180°간격으로 대향되는 구조는 제 1슬립 부재(20) 및 제 2슬립 부재(30) 간에 동심이 안맞을 경우 편하중 및 편마모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충격흡수부재 및 제2 충격흡수부재로 구성되되, 외력이 가해질 경우 탄성 변형이 용이하면서 응력이 균일하게 분산되어 제2 충격흡수부재가 슬립(slip) 동작되도록 상기 제2 충격흡수부재에 리브, 관통부 및 뾰족돌기를 각각 방사형으로 3개 또는 4개를 형성시키고, 제2 충격흡수부재에 출력기어 결합용 결합돌기를 형성시켜 출력기어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한 충격흡수 기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기어박스(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중공부(110)가 형성되되, 상기 중공부의 테두리 하방에는 결합턱(120)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의 테두리 상방에는 상하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되 측방으로 뾰족하게 함몰된 다수개의 오목부(131) 및 측방으로 라운드지게 돌출된 다수개의 볼록부(132)가 서로 연결되면서 방사형으로 배치된 안착홈(130)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방사형으로 다수개의 톱니(140)가 형성된 제1 충격흡수부재(100)와; 상기 제1 충격흡수부재(100)의 안착홈(130)에 안착되되, 외력에 따라 탄성변형되면서 회전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리브(rib, 211) 및 다수개의 관통부(212)가 형성되면서 외주면에는 상기 제1 충격흡수부재(100)의 오목부(131)에 대응하는 뾰족돌기(213)가 방사형으로 다수개가 등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몸체(210)와, 상기 몸체(210)의 상방으로 돌출되면서 일체로 형성되어 중앙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샤프트홀(shaft hole, 221)이 형성된 결합부(220)가 각각 형성된 제2 충격흡수부재(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 기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기어박스(10)의 하부에는, 상기 제1 충격흡수부재(100)의 결합턱(120)이 수용되도록 일정깊이로 함몰된 가이드홈(11)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11)의 중앙에는, 상기 제2 충격흡수부재(200)의 샤프트홀(shaft hole, 221)에 결합되는 샤프트(20)의 하방이 안착되는 제1 샤프트안착홈(12)이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어박스(10)의 상부에는, 상기 샤프트(20)의 상방이 안착되는 제2 샤프트안착홈(13)이 상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충격흡수부재(200)는, 상기 리브(211), 관통부(212) 및 뾰족돌기(213) 각각은 3개씩 형성되되, 상기 뾰족돌기(213)는 방사형으로 0°, 120°, 240°로 각각 배치되어 형성되고, 상기 리브(211)는 외력이 가해질 경우 상기 뾰족돌기(213) 각각이 몸체(210)의 안쪽 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용이하면서 응력이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방사형으로 60°, 180°, 300°로 각각 배치되어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212)는 상기 리브(211)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충격흡수부재(200)는, 상기 리브(211), 관통부(212) 및 뾰족돌기(213) 각각은 4개씩 형성되되, 상기 뾰족돌기(213)는 방사형으로 0°, 90°, 180°, 270°로 각각 배치되어 형성되고, 상기 리브(211)는 외력이 가해질 경우 상기 뾰족돌기(213) 각각이 몸체(210)의 안쪽 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용이하면서 응력이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방사형으로 방사형으로 45°, 135°, 225°, 315°로 각각 배치되어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212)는 상기 리브(211)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충격흡수부재(200)의 결합부(220)는, 출력기어(40)가 끼움 결합되어 상기 출력기어(40) 및 제2 충격흡수부재(200)가 함께 회전되도록 상방에 일자형 결합돌기(222)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 기어는, 첫째 제1 충격흡수부재 및 제2 충격흡수부재로 구성되되, 일정힘 이상의 외력이 가해질 경우 제2 충격흡수부재가 슬립 동작되도록 충격흡수부재에는 리브, 관통부 및 뾰족돌기 각각이 방사형으로 3개 또는 4개가 형성됨으로써, 외력이 가해질 경우 종래 기술에 따른 슬립 기어에 비해 탄성 변형이 용이하면서 응력이 균일하게 분산되어 부품의 마모없이 슬립 동작이 용이하므로 교체주기를 늘리고, 부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제2 충격흡수부재에 출력기어 결합용 결합돌기가 형성됨으로써, 출력기어의 교체가 용이하고, 출력기어가 마모되더라도 출력기어만 교체 가능하므로 종래 기술에 따른 슬립 기어와 같이 불필요하게 부품 전체를 교체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셋째, 제1 충격흡수부재는 기어박스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수용되어 회전 가능하고, 제2 충격흡수부재는 상기 제1 충격흡수부재에 안착되면서 샤프트홀을 통하여 샤프트를 축으로 기어박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1개의 샤프트를 통해 제1 충격흡수부재 및 제2 충격흡수부재의 회전 중심이 동일하게 구성됨으로써, 종래 기술에 따른 슬립 기어에 불필요하게 구성된 샤프트 갯수를 줄이고, 구성을 보다 더 단순화시킨 효과가 있다.
도 1 및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슬립 기어를 각각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 기어의 일 실시예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충격흡수 기어의 제1 충격흡수부재 및 제2 충격흡수부재 각각이 기어박스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충격흡수 기어의 제1 충격흡수부재 및 제2 충격흡수부재 각각이 기어박스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4의 실시예 중 제2 충격흡수부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4의 실시예 중 제2 충격흡수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하며 비록 종래기술과 동일한 부호가 표시되더라도 종래기술은 그 자체로 해석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립 기어의 일 실시예는 도 3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충격흡수부재(100) 및 제2 충격흡수부재(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충격흡수부재(100)는 도 3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박스(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중공부(110)가 형성되되, 상기 중공부의 테두리 하방에는 결합턱(120)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의 테두리 상방에는 상하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되 측방으로 뾰족하게 함몰된 다수개의 오목부(131) 및 측방으로 라운드지게 돌출된 다수개의 볼록부(132)가 서로 연결되면서 방사형으로 배치된 안착홈(130)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방사형으로 다수개의 톱니(140)가 형성된다.
상기 기어박스(10)는 배경기술에 상술한 바와 같이 로봇 또는 가전제품의 구동장치에 해당하는 모터의 회전구동력을 관절 또는 도어와 같은 출력부품에 제공하도록 설치된 것으로서, 입력측에 해당하는 모터와 연결되어 모터의 회전구동력을 전달받은 입력기어(30), 입력기어(30)로부터 회전구동력을 전달받아 출력부품을 회전시키는 출력기어(40) 및 상기 입력기어(30) 및 출력기어(40)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 동작 중에 일정힘 이상의 외력이 가해질 경우 슬립 동작하면서 충격을 흡수하여 부품의 파손 및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하는 충격흡수 기어가 각각 결합된다. 상기 충격흡수 기어의 제1 충격흡수부재(100)에 형성된 톱니(140)는 상기 입력기어(30)와 맞물린다.
여기서, 상기 기어박스(10)의 하부에는 상기 제1 충격흡수부재(1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가이드홈(11)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11)은 상기 제1 충격흡수부재(100)의 결합턱(120)이 수용되도록 일정깊이로 함몰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슬립부재(100)의 오목부(131) 각각을 뾰족하게 함몰 형성시킨 이유는 후술할 제2 슬립부재(200)의 뾰족돌기(213)의 돌출된 형상과 대응하여 함몰 형성시킨 것으로서, 일정힘 미만의 외력이 가해질 경우에는 상기 오목부(131)에 뾰족돌기(213)가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여 제1 슬립부재(100) 및 제2 슬립부재(200)가 함께 회전하도록 유도하고, 일정힘 이상의 외력이 가해질 경우에는 상기 뾰족돌기(213)가 탄성 변형하면서 슬립 동작되어 제1 슬립부재(100) 및 제2 슬립부재(200)가 함께 회전 되는 것을 방지하고 어느 하나만 회전 되도록 유도하기 위함이다.
한편, 이에 대응한 구성으로 종래 기술에 따른 슬립 기어의 오목부 및 볼록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됨으로 인하여 일정힘 미만의 외력이 가해질 경우에도 시간 경과에 따라 라운드진 형상이 마모되면서 마찰 저항이 감소하여 슬립 동작되는 오동작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오목부(131) 및 뾰족돌기(213) 각각을 뾰족하게 형성시켰다.
제2 충격흡수부재(200)는 도 3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충격흡수부재(100)의 안착홈(130)에 안착되되, 외력에 따라 탄성변형되면서 회전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리브(rib, 211) 및 다수개의 관통부(212)가 형성되면서 외주면에는 상기 제1 슬립부재(100)의 오목부(131)에 대응하는 뾰족돌기(213)가 방사형으로 대수개가 돌출 형성된 몸체(210)와, 상기 몸체(210)의 상방으로 돌출되면서 일체로 형성되어 중앙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샤프트홀(shaft hole, 221)이 형성된 결합부(220)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기어박스(10)는 상기 제2 충격흡수부재(2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가이드홈(11)의 중앙에는 상기 제2 충격흡수부재(200)의 샤프트홀(shaft hole, 221)에 결합되는 샤프트(20)의 하방이 안착되는 제1 샤프트안착홈(12)이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고, 상기 기어박스(10)의 상부에는 상기 샤프트(20)의 상방이 안착되는 제2 샤프트안착홈(13)이 상방으로 함몰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기어박스(10)는 부품의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하도록 상부 및 하부가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도 4는 상부 기어박스를 분리한 상태의 분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6 및 7은 상기 제2 충격흡수부재(200)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를 각각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제2 충격흡수부재(200)의 일 실시예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브(211), 관통부(212) 및 뾰족돌기(213) 각각은 3개씩 형성되고, 상기 뾰족돌기(213)는 방사형으로 0°, 120°, 240°로 각각 배치되어 형성된다. 또한, 외력이 가해질 경우 상기 뾰족돌기(213) 각각이 몸체(210)의 안쪽 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용이하면서 응력이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상기 리브(211)는 방사형으로 60°, 180°, 300°로 각각 배치되어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212)는 상기 리브(211)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각각 형성된다. 즉, 충격흡수 기어가 회전 중에 일정힘 이상의 외력이 가해질 경우 상기 뾰족돌기(213)가 형성된 관통부(212)의 외측이 내측으로 탄성 변형하면서 상기 뾰족돌기(213)도 함께 내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 충격흡수부재가 슬립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탄성 변형의 탄성계수는 기어박스가 사용된 사용환경에 따라 상기 제2 충격흡수부재(200)의 재질, 리브의 두께 또는 관통부의 폭을 변경하면서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 충격흡수부재(200)의 다른 실시예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브(211), 관통부(212) 및 뾰족돌기(213) 각각은 4개씩 형성되고, 상기 뾰족돌기(213)는 방사형으로 0°, 90°, 180°, 270°로 각각 배치되어 형성된다. 또한, 외력이 가해질 경우 상기 뾰족돌기(213) 각각이 몸체(210)의 안쪽 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용이하면서 응력이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상기 리브(211)는 방사형으로 45°, 135°, 225°, 315°로 각각 배치되어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212)는 상기 리브(211)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각각 형성된다.
한편, 상기 리브(211), 관통부(212) 및 뾰족돌기(213) 각각은 일 실시예에 따른 3개, 다른 실시예에 따른 4개에 국한되지 않고 충격흡수 기어의 크기 및 사용목적에 따라 더 많은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충격흡수부재(200)의 결합부(220)는 출력기어(40)가 끼움 결합되어 상기 출력기어(40) 및 제2 충격흡수부재(200)가 함께 회전되도록 상방에 일자형 결합돌기(222)가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 기어는, 첫째 제1 충격흡수부재 및 제2 충격흡수부재로 구성되되, 일정힘 이상의 외력이 가해질 경우 제2 충격흡수부재가 슬립 동작되도록 충격흡수부재에는 리브, 관통부 및 뾰족돌기 각각이 방사형으로 3개 또는 4개가 형성됨으로써, 외력이 가해질 경우 종래 기술에 따른 슬립 기어에 비해 탄성 변형이 용이하면서 응력이 균일하게 분산되어 부품의 마모없이 슬립 동작이 용이하므로 교체주기를 늘리고, 부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제2 충격흡수부재에 출력기어 결합용 결합돌기가 형성됨으로써, 출력기어의 교체가 용이하고, 출력기어가 마모되더라도 출력기어만 교체 가능하므로 종래 기술에 따른 슬립 기어와 같이 불필요하게 부품 전체를 교체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셋째, 제1 충격흡수부재는 기어박스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수용되어 회전 가능하고, 제2 충격흡수부재는 상기 제1 충격흡수부재에 안착되면서 샤프트홀을 통하여 샤프트를 축으로 기어박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1개의 샤프트를 통해 제1 충격흡수부재 및 제2 충격흡수부재의 회전 중심이 동일하게 구성됨으로써, 종래 기술에 따른 슬립 기어에 불필요하게 구성된 샤프트 갯수를 줄이고, 구성을 보다 더 단순화시킨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기어박스 20 : 샤프트
30 : 입력기어 40 : 출력기어
100 : 제1 충격흡수부재 110 : 중공부
120 : 결합턱 130 : 안착홈
140 : 톱니 200 : 제2 충격흡수부재
210 : 몸체 220 : 결합부

Claims (6)

  1. 기어박스(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중공부(110)가 형성되되, 상기 중공부의 테두리 하방에는 결합턱(120)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의 테두리 상방에는 상하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되 측방으로 뾰족하게 함몰된 다수개의 오목부(131) 및 측방으로 라운드지게 돌출된 다수개의 볼록부(132)가 서로 연결되면서 방사형으로 배치된 안착홈(130)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방사형으로 다수개의 톱니(140)가 형성된 제1 충격흡수부재(100)와;
    상기 제1 충격흡수부재(100)의 안착홈(130)에 안착되되, 외력에 따라 탄성변형되면서 회전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리브(rib, 211) 및 다수개의 관통부(212)가 형성되면서 외주면에는 상기 제1 충격흡수부재(100)의 오목부(131)에 대응하는 뾰족돌기(213)가 방사형으로 다수개가 등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몸체(210)와, 상기 몸체(210)의 상방으로 돌출되면서 일체로 형성되어 중앙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샤프트홀(shaft hole, 221)이 형성된 결합부(220)가 각각 형성된 제2 충격흡수부재(200)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박스(10)의 하부에는,
    상기 제1 충격흡수부재(100)의 결합턱(120)이 수용되도록 일정깊이로 함몰된 가이드홈(11)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11)의 중앙에는,
    상기 제2 충격흡수부재(200)의 샤프트홀(shaft hole, 221)에 결합되는 샤프트(20)의 하방이 안착되는 제1 샤프트안착홈(12)이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고,
    상기 기어박스(10)의 상부에는,
    상기 샤프트(20)의 상방이 안착되는 제2 샤프트안착홈(13)이 상방으로 함몰 형성되고,
    상기 제2 충격흡수부재(200)의 결합부(220)는,
    출력기어(40)가 끼움 결합되어 상기 출력기어(40) 및 제2 충격흡수부재(200)가 함께 회전되도록 상방에 일자형 결합돌기(222)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 기어.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충격흡수부재(200)는,
    상기 리브(211), 관통부(212) 및 뾰족돌기(213) 각각은 3개씩 형성되되, 상기 뾰족돌기(213)는 방사형으로 0°, 120°, 240°로 각각 배치되어 형성되고, 상기 리브(211)는 외력이 가해질 경우 상기 뾰족돌기(213) 각각이 몸체(210)의 안쪽 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용이하면서 응력이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방사형으로 60°, 180°, 300°로 각각 배치되어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212)는 상기 리브(211)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 기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충격흡수부재(200)는,
    상기 리브(211), 관통부(212) 및 뾰족돌기(213) 각각은 4개씩 형성되되, 상기 뾰족돌기(213)는 방사형으로 0°, 90°, 180°, 270°로 각각 배치되어 형성되고, 상기 리브(211)는 외력이 가해질 경우 상기 뾰족돌기(213) 각각이 몸체(210)의 안쪽 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용이하면서 응력이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방사형으로 방사형으로 45°, 135°, 225°, 315°로 각각 배치되어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212)는 상기 리브(211)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 기어.
  6. 삭제
KR1020210030716A 2021-03-09 2021-03-09 충격흡수 기어 KR102473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0716A KR102473962B1 (ko) 2021-03-09 2021-03-09 충격흡수 기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0716A KR102473962B1 (ko) 2021-03-09 2021-03-09 충격흡수 기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6447A KR20220126447A (ko) 2022-09-16
KR102473962B1 true KR102473962B1 (ko) 2022-12-05

Family

ID=83445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0716A KR102473962B1 (ko) 2021-03-09 2021-03-09 충격흡수 기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396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91009A (ja) * 2008-10-08 2010-04-22 Mitsuba Corp 減速機構付モータ
JP2012219887A (ja) 2011-04-07 2012-11-12 Jtekt Corp ギア付きシャフト及びギア付きシャフトの製造方法
KR101284560B1 (ko) * 2011-06-08 2013-07-11 (주)동부로봇 슬립 기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5949A (ja) * 1991-09-06 1993-03-19 Sony Corp 歯車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91009A (ja) * 2008-10-08 2010-04-22 Mitsuba Corp 減速機構付モータ
JP2012219887A (ja) 2011-04-07 2012-11-12 Jtekt Corp ギア付きシャフト及びギア付きシャフトの製造方法
KR101284560B1 (ko) * 2011-06-08 2013-07-11 (주)동부로봇 슬립 기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6447A (ko) 2022-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18732B (zh) 摩擦减震器
KR101673725B1 (ko) 개량형 마찰 요소를 구비한 쇼크 업소버
JPS6352256B2 (ko)
CN104541082B (zh) 径向自由行程振动阻尼器以及具有包括该径向阻尼器的阻尼系统的家用器具
KR20030029140A (ko) 토션 스프링 세트
CN101816522B (zh) 电机驱动的厨用机器
KR102473962B1 (ko) 충격흡수 기어
KR102568671B1 (ko) 드럼세탁기
KR100460234B1 (ko) 댐퍼 기구
CN206608339U (zh) 一种风机组件
JP4313571B2 (ja) 自動車のクラッチのためのねじり振動ダンピング装置
US20140155226A1 (en) Low noise wrist strength training ball
CN102748442A (zh) 一种具有过载保护的齿轮组件
CN212357708U (zh) 一种全自动波轮洗衣机离合器
CN106321673A (zh) 一种隔热减振型滑杆式万向联轴器
KR101284560B1 (ko) 슬립 기어
CN102418771B (zh) 扭矩波动吸收器
CN212297477U (zh) 齿轮打滑装置
KR102016134B1 (ko) 기어
CN209272555U (zh) 锤钻
CN104295620A (zh) 离合器系统和手持式电动工具
CN206458731U (zh) 一种隔热减振型滑杆式万向联轴器
CN113969971A (zh) 一种电钻齿轮箱的跳档结构
KR101581344B1 (ko) 자동차 발전기용 오토풀리
CN217609915U (zh) 防摔包装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