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3898B1 - 생물제약 조성물 및 관련 방법 - Google Patents
생물제약 조성물 및 관련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73898B1 KR102473898B1 KR1020197037587A KR20197037587A KR102473898B1 KR 102473898 B1 KR102473898 B1 KR 102473898B1 KR 1020197037587 A KR1020197037587 A KR 1020197037587A KR 20197037587 A KR20197037587 A KR 20197037587A KR 102473898 B1 KR102473898 B1 KR 10247389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q
- set forth
- amino acid
- acid sequence
- asthma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8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7
- 229960000074 biopharmaceutical Drugs 0.000 title description 2
- 208000006673 asthma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3
- 206010012438 Dermatitis atopic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9
- 201000008937 atopic dermatitis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9
- 208000037851 severe atopic dermatitis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08000006545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08000018428 Eosinophilic granulomatosis with polyangiitis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01000000708 eosinophilic esophagitis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06010048643 Hypereosinophilic syndrome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08000015768 polyposis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06010064212 Eosinophilic oesophagitis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125000003275 alpha amino acid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327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40
- 210000003979 eosinophil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36
- 150000007523 nucleic aci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134
- 108020004707 nucleic acids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107
- 102000039446 nucleic acids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107
- 108091000831 antigen binding proteins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102
- 102000025171 antigen binding proteins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102
- 239000008194 pharmaceutical composi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7
- 101000960969 Homo sapiens Interleukin-5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102000055228 human IL5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10000004899 c-terminal region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1
- 108091028043 Nucleic acid sequence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125000000291 glutamic acid group Chemical group N[C@@H](CCC(O)=O)C(=O)* 0.000 claims description 20
- 125000000341 threoninyl group Chemical group [H]OC([H])(C([H])([H])[H])C([H])(N([H])[H])C(*)=O 0.000 claims description 20
- 125000001493 tyrosinyl group Chemical group [H]OC1=C([H])C([H])=C(C([H])=C1[H])C([H])([H])C([H])(N([H])[H])C(*)=O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9000003937 drug carri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12258 cultu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125000002924 primary amino group Chemical group [H]N([H])* 0.000 claims description 15
- FWMNVWWHGCHHJJ-SKKKGAJSSA-N 4-amino-1-[(2r)-6-amino-2-[[(2r)-2-[[(2r)-2-[[(2r)-2-amino-3-phenylpropanoyl]amino]-3-phenylpropanoyl]amino]-4-methylpentanoyl]amino]hexanoyl]piperidine-4-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C([C@H](C(=O)N[C@H](CC(C)C)C(=O)N[C@H](CCCCN)C(=O)N1CCC(N)(CC1)C(O)=O)NC(=O)[C@H](N)CC=1C=CC=CC=1)C1=CC=CC=C1 FWMNVWWHGCHHJJ-SKKKGAJSSA-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1990 intravenous adminis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7920 subcutaneous adminis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3598 ve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102000023732 binding proteins Human genes 0.000 claims 2
- 108091008324 binding proteins Proteins 0.000 claims 2
- 241000721454 Pemphigus Species 0.000 claims 1
- 102000000743 Interleukin-5 Human gen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5
- 108010002616 Interleukin-5 Proteins 0.000 abstract description 75
- 229940100602 interleukin-5 Drugs 0.000 abstract description 74
- 230000027455 bind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8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6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5
- 239000000427 antigen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5
- 102000036639 antigens Human gen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5
- 108091007433 antigens Proteins 0.000 abstract description 25
- 206010034277 Pemphigoid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2
- 208000000594 bullous pemphigoid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2
- 230000001404 mediated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7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6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abstract description 16
- 102100035360 Cerebellar degeneration-related antigen 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96
- 238000011282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71
- 229960005108 mepolizumab Drugs 0.000 description 55
- 241000282414 Homo sapiens Species 0.000 description 44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4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6
- 210000002966 serum Anatomy 0.000 description 33
- 238000003556 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29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28
- 239000000244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ole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7
- 235000010482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ole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7
- 229920000053 polysorbate 80 Polymers 0.000 description 27
- 229940068968 polysorbate 80 Drugs 0.000 description 27
- 229940126702 topical medication Drugs 0.000 description 27
- KCXVZYZYPLLWCC-UHFFFAOYSA-N EDTA Chemical compound OC(=O)CN(CC(O)=O)CCN(CC(O)=O)CC(O)=O KCXVZYZYPLLWC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3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2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1
- 239000000523 s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0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01823 molecular biology technique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10790 di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9000012895 di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8
- 241000282567 Macaca fascicul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7
- PYLIXCKOHOHGKQ-UHFFFAOYSA-L disodium;hydrogen phosphate;heptahydrate Chemical compound O.O.O.O.O.O.O.[Na+].[Na+].OP([O-])([O-])=O PYLIXCKOHOHGKQ-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7
- 239000013604 expression ve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9000012669 liquid formul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108090000765 processed proteins & peptid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6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16
- 229930006000 Sucr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5
- CZMRCDWAGMRECN-UGDNZRGBSA-N Sucr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1(CO)O[C@@H]1[C@H](O)[C@@H](O)[C@H](O)[C@@H](CO)O1 CZMRCDWAGMRECN-UGDNZRGBSA-N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5000018102 prote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05720 sucr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HNDVDQJCIGZPNO-YFKPBYRVSA-N L-histidine Chemical compound OC(=O)[C@@H](N)CC1=CN=CN1 HNDVDQJCIGZPNO-YFKPBYRVSA-N 0.000 description 14
- 208000010668 atopic ecze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5713 exacerb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HNDVDQJCIGZPNO-UHFFFAOYSA-N histidine Natural products OC(=O)C(N)CC1=CN=CN1 HNDVDQJCIGZPN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4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HDTRYLNUVZCQOY-UHFFFAOYSA-N α-D-glucopyranosyl-α-D-glucopyranoside Natural products OC1C(O)C(O)C(CO)OC1OC1C(O)C(O)C(O)C(CO)O1 HDTRYLNUVZCQO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4475 Argin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HDTRYLNUVZCQOY-WSWWMNSNSA-N Trehalose Natural products O[C@@H]1[C@@H](O)[C@@H](O)[C@@H](CO)O[C@@H]1O[C@@H]1[C@H](O)[C@@H](O)[C@@H](O)[C@@H](CO)O1 HDTRYLNUVZCQOY-WSWWMNSNSA-N 0.000 description 12
- HDTRYLNUVZCQOY-LIZSDCNHSA-N alpha,alpha-trehal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H]1[C@H](O)[C@@H](O)[C@H](O)[C@@H](CO)O1 HDTRYLNUVZCQOY-LIZSDCNHSA-N 0.000 description 12
- ODKSFYDXXFIFQN-UHFFFAOYSA-N arginine Natural products OC(=O)C(N)CCCNC(N)=N ODKSFYDXXFIFQ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2
- KRKNYBCHXYNGOX-UHFFFAOYSA-N citr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O)(C(O)=O)CC(O)=O KRKNYBCHXYNGO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01000004624 Derma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1
- FFEARJCKVFRZRR-BYPYZUCNSA-N L-methionine Chemical compound CSCC[C@H](N)C(O)=O FFEARJCKVFRZRR-BYPYZUCNSA-N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29930182817 methionin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1534 incub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5764 inhibi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494 dissoci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5593 dissociation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10000003238 esophagus Anatomy 0.000 description 9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1457 non-pharmacological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6228 superna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YASYEJJMZJALEJ-UHFFFAOYSA-N Citric acid monohydrate Chemical compound O.OC(=O)CC(O)(C(O)=O)CC(O)=O YASYEJJMZJAL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1 IgM Protein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2131 assay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2539 chromatography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29960002303 citric acid monohydrate Drug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29940125369 inhaled corticosteroids Drug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2560 therapeutic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8
- 102000003816 Interleukin-13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7
- 108090000176 Interleukin-13 Protein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3153 chemical reaction re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102000005962 receptor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7
- 108020003175 receptors Proteins 0.000 description 7
- HEMHJVSKTPXQMS-UHFFFAOYSA-M Sod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Na+] HEMHJVSKTPXQMS-UHFFFAOYSA-M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191 hydrophobic interaction 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902 placebo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40068196 placebo Drug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2198 surface plasmon resonance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Chemical compound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NFGXHKASABOEEW-UHFFFAOYSA-N 1-methylethyl 11-methoxy-3,7,11-trimethyl-2,4-dodecadienoate Chemical compound COC(C)(C)CCCC(C)CC=CC(C)=CC(=O)OC(C)C NFGXHKASABOEE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108020004414 DNA Proteins 0.000 description 5
- WHUUTDBJXJRKMK-UHFFFAOYSA-N Glutamic acid Natural products OC(=O)C(N)CCC(O)=O WHUUTDBJXJRKM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UQJNXZSSGQIPIQ-FBCQKBJTSA-N Gly-Gly-Thr Chemical compound C[C@@H](O)[C@@H](C(O)=O)NC(=O)CNC(=O)CN UQJNXZSSGQIPIQ-FBCQKBJTSA-N 0.000 description 5
- 108010073807 IgG Receptors Proteins 0.000 description 5
- 102000009490 IgG Receptor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5
- 108010090804 Streptavidin Proteins 0.000 description 5
- MNYNCKZAEIAONY-XGEHTFHBSA-N Thr-Val-Ser Chemical compound C[C@@H](O)[C@H](N)C(=O)N[C@@H](C(C)C)C(=O)N[C@@H](CO)C(O)=O MNYNCKZAEIAONY-XGEHTFHBSA-N 0.000 description 5
- 108010087924 alanylproline Proteins 0.000 description 5
- 235000001014 amino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6172 buffe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6143 cell culture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40052354 dibasic sodium phosphate heptahydrate Drugs 0.000 description 5
- 231100000673 dose–response relationship Toxicity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327 eosinophil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3527 eukaryotic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5
- 108010050848 glycylleucine Protein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018 immuno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727 in vivo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29940127212 long-acting beta 2 agonist Drugs 0.000 description 5
- 108010068617 neonatal Fc receptor Proteins 0.000 description 5
- 229940124624 oral corticosteroid Drug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3819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150000003431 stero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08000037874 Asthma exacerb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KRKNYBCHXYNGOX-UHFFFAOYSA-K Citrate Chemical compound [O-]C(=O)CC(O)(CC([O-])=O)C([O-])=O KRKNYBCHXYNGOX-UHFFFAOYSA-K 0.000 description 4
- KWUKZRFFKPLUPE-HJGDQZAQSA-N Lys-Asp-Thr Chemical compound [H]N[C@@H](CCCCN)C(=O)N[C@@H](CC(O)=O)C(=O)N[C@@H]([C@@H](C)O)C(O)=O KWUKZRFFKPLUPE-HJGDQZAQSA-N 0.000 description 4
- 229910019142 PO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HQYVQDRYODWONX-DCAQKATOSA-N Val-His-Ser Chemical compound CC(C)[C@@H](C(=O)N[C@@H](CC1=CN=CN1)C(=O)N[C@@H](CO)C(=O)O)N HQYVQDRYODWONX-DCAQKATO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957 anion exchang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08000002352 blister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663 cell prolif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60004106 citr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246 corticostero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08000021302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338 in vitro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3141 lower extremity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10000004072 lung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199 lung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5772 mu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50011485 pascolizumab Drug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452 phos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241 respir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108010069117 seryl-lysyl-aspartic acid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9885 system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LWIHDJKSTIGBAC-UHFFFAOYSA-K tripotassium phosphate Chemical compound [K+].[K+].[K+].[O-]P([O-])([O-])=O LWIHDJKSTIGBAC-UHFFFAOYSA-K 0.000 description 4
- 210000001364 upper extremity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08000032671 Allergic granulomatous angi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08000006344 Churg-Strauss Syndrome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965 ELISA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06010014950 Eosinophilia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6010015150 Erythema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WJZLEENECIOOSA-WDSKDSINSA-N Gly-Asn-Gln Chemical compound NCC(=O)N[C@@H](CC(N)=O)C(=O)N[C@@H](CCC(N)=O)C(=O)O WJZLEENECIOOSA-WDSKDSINSA-N 0.000 description 3
- WCORRBXVISTKQL-WHFBIAKZSA-N Gly-Ser-Ser Chemical compound NCC(=O)N[C@@H](CO)C(=O)N[C@@H](CO)C(O)=O WCORRBXVISTKQL-WHFBIAKZSA-N 0.000 description 3
- NVTPVQLIZCOJFK-FOHZUACHSA-N Gly-Thr-Asp Chemical compound [H]NCC(=O)N[C@@H]([C@@H](C)O)C(=O)N[C@@H](CC(O)=O)C(O)=O NVTPVQLIZCOJFK-FOHZUACHSA-N 0.000 description 3
- 241000282412 Homo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41000880493 Leptailurus serval Species 0.000 description 3
- QLQHWWCSCLZUMA-KKUMJFAQSA-N Leu-Asp-Tyr Chemical compound CC(C)C[C@H](N)C(=O)N[C@@H](CC(O)=O)C(=O)N[C@H](C(O)=O)CC1=CC=C(O)C=C1 QLQHWWCSCLZUMA-KKUMJFAQSA-N 0.000 description 3
- IAJFFZORSWOZPQ-SRVKXCTJSA-N Leu-Leu-Asn Chemical compound CC(C)C[C@H](N)C(=O)N[C@@H](CC(C)C)C(=O)N[C@@H](CC(N)=O)C(O)=O IAJFFZORSWOZPQ-SRVKXCTJSA-N 0.000 description 3
- YQFZRHYZLARWDY-IHRRRGAJSA-N Leu-Val-Lys Chemical compound CC(C)C[C@H](N)C(=O)N[C@@H](C(C)C)C(=O)N[C@H](C(O)=O)CCCCN YQFZRHYZLARWDY-IHRRRGAJSA-N 0.000 description 3
- 206010024438 Lichenific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29940110339 Long-acting muscarinic antagonist Drugs 0.000 description 3
- PXHCFKXNSBJSTQ-KKUMJFAQSA-N Lys-Asn-Tyr Chemical compound C1=CC(=CC=C1C[C@@H](C(=O)O)NC(=O)[C@H](CC(=O)N)NC(=O)[C@H](CCCCN)N)O PXHCFKXNSBJSTQ-KKUMJFAQSA-N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213 Polysorbate 20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41000288906 Primate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6146 Roswell Park Memorial Institute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YUJLIIRMIAGMCQ-CIUDSAMLSA-N Ser-Leu-Ser Chemical compound [H]N[C@@H](CO)C(=O)N[C@@H](CC(C)C)C(=O)N[C@@H](CO)C(O)=O YUJLIIRMIAGMCQ-CIUDSAMLSA-N 0.000 description 3
- AVYVKJMBNLPWRX-WFBYXXMGSA-N Trp-Ala-Ser Chemical compound C1=CC=C2C(C[C@H](N)C(=O)N[C@@H](C)C(=O)N[C@@H](CO)C(O)=O)=CNC2=C1 AVYVKJMBNLPWRX-WFBYXXMGSA-N 0.000 description 3
- HQJOVVWAPQPYDS-ZFWWWQNUSA-N Trp-Gly-Arg Chemical compound [H]N[C@@H](CC1=CNC2=C1C=CC=C2)C(=O)NCC(=O)N[C@@H](CCCNC(N)=N)C(O)=O HQJOVVWAPQPYDS-ZFWWWQNUSA-N 0.000 description 3
- VHIZXDZMTDVFGX-DCAQKATOSA-N Val-Ser-Leu Chemical compound CC(C)C[C@@H](C(=O)O)NC(=O)[C@H](CO)NC(=O)[C@H](C(C)C)N VHIZXDZMTDVFGX-DCAQKATOSA-N 0.000 description 3
- 108010086434 alanyl-seryl-glycine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172 aller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25000000539 amino acid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3
- 150000001413 amino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108010092854 aspartyllysine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8010068265 aspartyltyrosine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363 autoimmun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75 bio-layer interferometr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20 blood cou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40124630 bronchodilator Drug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1089 carbon diox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29910002091 carbon mon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684 chro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828 e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1100000321 erythema Toxicity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108010089804 glycyl-threonine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8010010147 glycylglutamine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95 infil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764 in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977 initi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434 inspir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418 maintenance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25000001360 methionine group Chemical group N[C@@H](CCSC)C(=O)* 0.000 description 3
- 239000013642 negative contr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NBIIXXVUZAFLBC-UHFFFAOYSA-K phosphate Chemical compound [O-]P([O-])([O-])=O NBIIXXVUZAFLBC-UHFFFAOYSA-K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256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lau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0486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lau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02000004196 processed proteins & peptid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8010087846 prolyl-prolyl-glycine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8010031719 prolyl-serine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069 prophylac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562 protein A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542 size-exclusion 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509 sodium ci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NLJMYIDDQXHKNR-UHFFFAOYSA-K sodium citrate Chemical compound O.O.[Na+].[Na+].[Na+].[O-]C(=O)CC(O)(CC([O-])=O)C([O-])=O NLJMYIDDQXHKNR-UHFFFAOYSA-K 0.000 description 3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94 surface-ac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0115 thoracic cavity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981 veh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NWUYHJFMYQTDRP-UHFFFAOYSA-N 1,2-bis(ethenyl)benzene;1-ethenyl-2-ethylbenzene;styrene Chemical compound C=CC1=CC=CC=C1.CCC1=CC=CC=C1C=C.C=CC1=CC=CC=C1C=C NWUYHJFMYQTDR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WNHNMKOFKCHKKD-BFHQHQDPSA-N Ala-Thr-Gly Chemical compound [H]N[C@@H](C)C(=O)N[C@@H]([C@@H](C)O)C(=O)NCC(O)=O WNHNMKOFKCHKKD-BFHQHQDPSA-N 0.000 description 2
- MFAMTAVAFBPXDC-LPEHRKFASA-N Arg-Asp-Pro Chemical compound C1C[C@@H](N(C1)C(=O)[C@H](CC(=O)O)NC(=O)[C@H](CCCN=C(N)N)N)C(=O)O MFAMTAVAFBPXDC-LPEHRKFASA-N 0.000 description 2
- HPKSHFSEXICTLI-CIUDSAMLSA-N Arg-Glu-Ala Chemical compound [H]N[C@@H](CCCNC(N)=N)C(=O)N[C@@H](CCC(O)=O)C(=O)N[C@@H](C)C(O)=O HPKSHFSEXICTLI-CIUDSAMLSA-N 0.000 description 2
- MDDXKBHIMYYJLW-FXQIFTODSA-N Asn-Met-Asp Chemical compound CSCC[C@@H](C(=O)N[C@@H](CC(=O)O)C(=O)O)NC(=O)[C@H](CC(=O)N)N MDDXKBHIMYYJLW-FXQIFTODSA-N 0.000 description 2
- KYQNAIMCTRZLNP-QSFUFRPTSA-N Asp-Ile-Val Chemical compound [H]N[C@@H](CC(O)=O)C(=O)N[C@@H]([C@@H](C)CC)C(=O)N[C@@H](C(C)C)C(O)=O KYQNAIMCTRZLNP-QSFUFRPTSA-N 0.000 description 2
- YUELDQUPTAYEGM-XIRDDKMYSA-N Asp-Trp-Leu Chemical compound CC(C)C[C@@H](C(=O)O)NC(=O)[C@H](CC1=CNC2=CC=CC=C21)NC(=O)[C@H](CC(=O)O)N YUELDQUPTAYEGM-XIRDDKMYSA-N 0.000 description 2
- NJLLRXWFPQQPHV-SRVKXCTJSA-N Asp-Tyr-Asn Chemical compound [H]N[C@@H](CC(O)=O)C(=O)N[C@@H](CC1=CC=C(O)C=C1)C(=O)N[C@@H](CC(N)=O)C(O)=O NJLLRXWFPQQPHV-SRVKXCTJSA-N 0.000 description 2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283707 Capr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82693 Cercopithec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08469 Chest discomfort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102000014447 Complement C1q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10078043 Complement C1q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6010011224 Cough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NIXHTNJAGGFBAW-CIUDSAMLSA-N Cys-Lys-Ser Chemical compound C(CCN)C[C@@H](C(=O)N[C@@H](CO)C(=O)O)NC(=O)[C@H](CS)N NIXHTNJAGGFBAW-CIUDSAMLSA-N 0.000 description 2
- 102000004127 Cytoki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90000695 Cytoki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0059 Dyspne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3975 Dyspnoea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108010087819 Fc receptor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2000009109 Fc receptor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82326 Felis cat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WLRYGVYQFXRJDA-DCAQKATOSA-N Gln-Pro-Pro Chemical compound NC(=O)CC[C@H](N)C(=O)N1CCC[C@H]1C(=O)N1[C@H](C(O)=O)CCC1 WLRYGVYQFXRJDA-DCAQKATOSA-N 0.000 description 2
- HNAUFGBKJLTWQE-IFFSRLJSSA-N Gln-Val-Thr Chemical compound C[C@H]([C@@H](C(=O)O)NC(=O)[C@H](C(C)C)NC(=O)[C@H](CCC(=O)N)N)O HNAUFGBKJLTWQE-IFFSRLJSSA-N 0.000 description 2
- SOEXCCGNHQBFPV-DLOVCJGASA-N Gln-Val-Val Chemical compound [H]N[C@@H](CCC(N)=O)C(=O)N[C@@H](C(C)C)C(=O)N[C@@H](C(C)C)C(O)=O SOEXCCGNHQBFPV-DLOVCJGASA-N 0.000 description 2
- AVZHGSCDKIQZPQ-CIUDSAMLSA-N Glu-Arg-Ala Chemical compound C[C@H](NC(=O)[C@H](CCCNC(N)=N)NC(=O)[C@@H](N)CCC(O)=O)C(O)=O AVZHGSCDKIQZPQ-CIUDSAMLSA-N 0.000 description 2
- WATXSTJXNBOHKD-LAEOZQHASA-N Glu-Asp-Val Chemical compound [H]N[C@@H](CCC(O)=O)C(=O)N[C@@H](CC(O)=O)C(=O)N[C@@H](C(C)C)C(O)=O WATXSTJXNBOHKD-LAEOZQHASA-N 0.000 description 2
- RFTVTKBHDXCEEX-WDSKDSINSA-N Glu-Ser-Gly Chemical compound [H]N[C@@H](CCC(O)=O)C(=O)N[C@@H](CO)C(=O)NCC(O)=O RFTVTKBHDXCEEX-WDSKDSINSA-N 0.000 description 2
- YQAQQKPWFOBSMU-WDCWCFNPSA-N Glu-Thr-Leu Chemical compound [H]N[C@@H](CCC(O)=O)C(=O)N[C@@H]([C@@H](C)O)C(=O)N[C@@H](CC(C)C)C(O)=O YQAQQKPWFOBSMU-WDCWCFNPSA-N 0.000 description 2
- WQZGKKKJIJFFOK-GASJEMHNSA-N Glucose Chemical compound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description 2
- PDUHNKAFQXQNLH-ZETCQYMHSA-N Gly-Lys-Gly Chemical compound NCCCC[C@H](NC(=O)CN)C(=O)NCC(O)=O PDUHNKAFQXQNLH-ZETCQYMHSA-N 0.000 description 2
- GGAPHLIUUTVYMX-QWRGUYRKSA-N Gly-Phe-Ser Chemical compound OC[C@@H](C([O-])=O)NC(=O)[C@@H](NC(=O)C[NH3+])CC1=CC=CC=C1 GGAPHLIUUTVYMX-QWRGUYRKSA-N 0.000 description 2
- ZVXMEWXHFBYJPI-LSJOCFKGSA-N Gly-Val-Ile Chemical compound [H]NCC(=O)N[C@@H](C(C)C)C(=O)N[C@@H]([C@@H](C)CC)C(O)=O ZVXMEWXHFBYJPI-LSJOCFKGSA-N 0.000 description 2
- DHMQDGOQFOQNFH-UHFFFAOYSA-N Glycine Chemical compound NCC(O)=O DHMQDGOQFOQN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08010017213 Granulocyte-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2100039620 Granulocyte-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ZRALSGWEFCBTJO-UHFFFAOYSA-N Guanidine Chemical compound NC(N)=N ZRALSGWEFCBTJ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01000914514 Homo sapiens T-cell-specific surface glycoprotein CD28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06010020751 Hypersensitiv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IOVUXUSIGXCREV-DKIMLUQUSA-N Ile-Leu-Phe Chemical compound CC[C@H](C)[C@H](N)C(=O)N[C@@H](CC(C)C)C(=O)N[C@H](C(O)=O)CC1=CC=CC=C1 IOVUXUSIGXCREV-DKIMLUQUSA-N 0.000 description 2
- GVKKVHNRTUFCCE-BJDJZHNGSA-N Ile-Leu-Ser Chemical compound CC[C@H](C)[C@@H](C(=O)N[C@@H](CC(C)C)C(=O)N[C@@H](CO)C(=O)O)N GVKKVHNRTUFCCE-BJDJZHNGSA-N 0.000 description 2
- PXKACEXYLPBMAD-JBDRJPRFSA-N Ile-Ser-Ser Chemical compound CC[C@H](C)[C@@H](C(=O)N[C@@H](CO)C(=O)N[C@@H](CO)C(=O)O)N PXKACEXYLPBMAD-JBDRJPRFSA-N 0.000 description 2
- 108060003951 Immunoglobulin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06010061218 Inflamm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PMGDADKJMCOXHX-UHFFFAOYSA-N L-Arginyl-L-glutamin-acetat Natural products NC(=N)NCCCC(N)C(=O)NC(CCC(N)=O)C(O)=O PMGDADKJMCOXH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HXWALXSAVBLTPK-NUTKFTJISA-N Leu-Ala-Trp Chemical compound C[C@@H](C(=O)N[C@@H](CC1=CNC2=CC=CC=C21)C(=O)O)NC(=O)[C@H](CC(C)C)N HXWALXSAVBLTPK-NUTKFTJISA-N 0.000 description 2
- HASRFYOMVPJRPU-SRVKXCTJSA-N Leu-Arg-Glu Chemical compound CC(C)C[C@H](N)C(=O)N[C@@H](CCCN=C(N)N)C(=O)N[C@@H](CCC(O)=O)C(O)=O HASRFYOMVPJRPU-SRVKXCTJSA-N 0.000 description 2
- VQPPIMUZCZCOIL-GUBZILKMSA-N Leu-Gln-Ala Chemical compound CC(C)C[C@H](N)C(=O)N[C@@H](CCC(N)=O)C(=O)N[C@@H](C)C(O)=O VQPPIMUZCZCOIL-GUBZILKMSA-N 0.000 description 2
- FEHQLKKBVJHSEC-SZMVWBNQSA-N Leu-Glu-Trp Chemical compound C1=CC=C2C(C[C@H](NC(=O)[C@H](CCC(O)=O)NC(=O)[C@@H](N)CC(C)C)C(O)=O)=CNC2=C1 FEHQLKKBVJHSEC-SZMVWBNQSA-N 0.000 description 2
- DSFYPIUSAMSERP-IHRRRGAJSA-N Leu-Leu-Arg Chemical compound CC(C)C[C@H](N)C(=O)N[C@@H](CC(C)C)C(=O)N[C@H](C(O)=O)CCCN=C(N)N DSFYPIUSAMSERP-IHRRRGAJSA-N 0.000 description 2
- FAELBUXXFQLUAX-AJNGGQMLSA-N Leu-Leu-Ile Chemical compound CC[C@H](C)[C@@H](C(O)=O)NC(=O)[C@H](CC(C)C)NC(=O)[C@@H](N)CC(C)C FAELBUXXFQLUAX-AJNGGQMLSA-N 0.000 description 2
- XVZCXCTYGHPNEM-UHFFFAOYSA-N Leu-Leu-Pro Natural products CC(C)CC(N)C(=O)NC(CC(C)C)C(=O)N1CCCC1C(O)=O XVZCXCTYGHPNE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LINKCQUOMUDLKN-KATARQTJSA-N Leu-Thr-Cys Chemical compound C[C@H]([C@@H](C(=O)N[C@@H](CS)C(=O)O)NC(=O)[C@H](CC(C)C)N)O LINKCQUOMUDLKN-KATARQTJSA-N 0.000 description 2
- VDIARPPNADFEAV-WEDXCCLWSA-N Leu-Thr-Gly Chemical compound CC(C)C[C@H](N)C(=O)N[C@@H]([C@@H](C)O)C(=O)NCC(O)=O VDIARPPNADFEAV-WEDXCCLWSA-N 0.000 description 2
- SKRGVGLIRUGANF-AVGNSLFASA-N Lys-Leu-Glu Chemical compound [H]N[C@@H](CCCCN)C(=O)N[C@@H](CC(C)C)C(=O)N[C@@H](CCC(O)=O)C(O)=O SKRGVGLIRUGANF-AVGNSLFASA-N 0.000 description 2
- PDIDTSZKKFEDMB-UWVGGRQHSA-N Lys-Pro-Gly Chemical compound [H]N[C@@H](CCCCN)C(=O)N1CCC[C@H]1C(=O)NCC(O)=O PDIDTSZKKFEDMB-UWVGGRQHSA-N 0.000 description 2
- MHQXIBRPDKXDGZ-ZFWWWQNUSA-N Met-Gly-Trp Chemical compound C1=CC=C2C(C[C@H](NC(=O)CNC(=O)[C@@H](N)CCSC)C(O)=O)=CNC2=C1 MHQXIBRPDKXDGZ-ZFWWWQNUSA-N 0.000 description 2
- SPSSJSICDYYTQN-HJGDQZAQSA-N Met-Thr-Gln Chemical compound CSCC[C@H](N)C(=O)N[C@@H]([C@@H](C)O)C(=O)N[C@H](C(O)=O)CCC(N)=O SPSSJSICDYYTQN-HJGDQZAQSA-N 0.000 description 2
- XZFYRXDAULDNFX-UHFFFAOYSA-N N-L-cysteinyl-L-phenylalanine Natural products SCC(N)C(=O)NC(C(O)=O)CC1=CC=CC=C1 XZFYRXDAULDNF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KZNQNBZMBZJQJO-UHFFFAOYSA-N N-glycyl-L-proline Natural products NCC(=O)N1CCCC1C(O)=O KZNQNBZMBZJQJ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8000000592 Nasal Polyp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101100068676 Neurospora crassa (strain ATCC 24698 / 74-OR23-1A / CBS 708.71 / DSM 1257 / FGSC 987) gln-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CKJACGQPCPMWIT-UFYCRDLUSA-N Phe-Pro-Phe Chemical compound C([C@H](N)C(=O)N1[C@@H](CCC1)C(=O)N[C@@H](CC=1C=CC=CC=1)C(O)=O)C1=CC=CC=C1 CKJACGQPCPMWIT-UFYCRDLUSA-N 0.000 description 2
- BPCLGWHVPVTTFM-QWRGUYRKSA-N Phe-Ser-Gly Chemical compound [H]N[C@@H](CC1=CC=CC=C1)C(=O)N[C@@H](CO)C(=O)NCC(O)=O BPCLGWHVPVTTFM-QWRGUYRKSA-N 0.000 description 2
- KLYYKKGCPOGDPE-OEAJRASXSA-N Phe-Thr-Leu Chemical compound [H]N[C@@H](CC1=CC=CC=C1)C(=O)N[C@@H]([C@@H](C)O)C(=O)N[C@@H](CC(C)C)C(O)=O KLYYKKGCPOGDPE-OEAJRASXSA-N 0.000 description 2
- SJRQWEDYTKYHHL-SLFFLAALSA-N Phe-Tyr-Pro Chemical compound C1C[C@@H](N(C1)C(=O)[C@H](CC2=CC=C(C=C2)O)NC(=O)[C@H](CC3=CC=CC=C3)N)C(=O)O SJRQWEDYTKYHHL-SLFFLAALSA-N 0.000 description 2
- NBIIXXVUZAFLBC-UHFFFAOYSA-N Phosphoric acid Chemical compound OP(O)(O)=O NBIIXXVUZAFLB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JARJPEMLQAWNBR-GUBZILKMSA-N Pro-Asp-Arg Chemical compound [H]N1CCC[C@H]1C(=O)N[C@@H](CC(O)=O)C(=O)N[C@@H](CCCNC(N)=N)C(O)=O JARJPEMLQAWNBR-GUBZILKMSA-N 0.000 description 2
- PCWLNNZTBJTZRN-AVGNSLFASA-N Pro-Pro-Lys Chemical compound NCCCC[C@@H](C(O)=O)NC(=O)[C@@H]1CCCN1C(=O)[C@H]1NCCC1 PCWLNNZTBJTZRN-AVGNSLFASA-N 0.000 description 2
- BGWKULMLUIUPKY-BQBZGAKWSA-N Pro-Ser-Gly Chemical compound OC(=O)CNC(=O)[C@H](CO)NC(=O)[C@@H]1CCCN1 BGWKULMLUIUPKY-BQBZGAKWSA-N 0.000 description 2
- HRIXMVRZRGFKNQ-HJGDQZAQSA-N Pro-Thr-Gln Chemical compound [H]N1CCC[C@H]1C(=O)N[C@@H]([C@@H](C)O)C(=O)N[C@@H](CCC(N)=O)C(O)=O HRIXMVRZRGFKNQ-HJGDQZAQSA-N 0.000 description 2
- OOZJHTXCLJUODH-QXEWZRGKSA-N Pro-Val-Asp Chemical compound OC(=O)C[C@@H](C(O)=O)NC(=O)[C@H](C(C)C)NC(=O)[C@@H]1CCCN1 OOZJHTXCLJUODH-QXEWZRGKSA-N 0.000 description 2
- 208000037656 Respiratory Sound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HRNQLKCLPVKZNE-CIUDSAMLSA-N Ser-Ala-Leu Chemical compound [H]N[C@@H](CO)C(=O)N[C@@H](C)C(=O)N[C@@H](CC(C)C)C(O)=O HRNQLKCLPVKZNE-CIUDSAMLSA-N 0.000 description 2
- FCRMLGJMPXCAHD-FXQIFTODSA-N Ser-Arg-Asn Chemical compound [H]N[C@@H](CO)C(=O)N[C@@H](CCCNC(N)=N)C(=O)N[C@@H](CC(N)=O)C(O)=O FCRMLGJMPXCAHD-FXQIFTODSA-N 0.000 description 2
- WDXYVIIVDIDOSX-DCAQKATOSA-N Ser-Arg-Leu Chemical compound CC(C)C[C@@H](C(O)=O)NC(=O)[C@@H](NC(=O)[C@@H](N)CO)CCCN=C(N)N WDXYVIIVDIDOSX-DCAQKATOSA-N 0.000 description 2
- INCNPLPRPOYTJI-JBDRJPRFSA-N Ser-Cys-Ile Chemical compound CC[C@H](C)[C@@H](C(=O)O)NC(=O)[C@H](CS)NC(=O)[C@H](CO)N INCNPLPRPOYTJI-JBDRJPRFSA-N 0.000 description 2
- FMDHKPRACUXATF-ACZMJKKPSA-N Ser-Gln-Ser Chemical compound OC[C@H](N)C(=O)N[C@@H](CCC(N)=O)C(=O)N[C@@H](CO)C(O)=O FMDHKPRACUXATF-ACZMJKKPSA-N 0.000 description 2
- KDGARKCAKHBEDB-NKWVEPMBSA-N Ser-Gly-Pro Chemical compound C1C[C@@H](N(C1)C(=O)CNC(=O)[C@H](CO)N)C(=O)O KDGARKCAKHBEDB-NKWVEPMBSA-N 0.000 description 2
- UIGMAMGZOJVTDN-WHFBIAKZSA-N Ser-Gly-Ser Chemical compound OC[C@H](N)C(=O)NCC(=O)N[C@@H](CO)C(O)=O UIGMAMGZOJVTDN-WHFBIAKZSA-N 0.000 description 2
- UIPXCLNLUUAMJU-JBDRJPRFSA-N Ser-Ile-Ser Chemical compound [H]N[C@@H](CO)C(=O)N[C@@H]([C@@H](C)CC)C(=O)N[C@@H](CO)C(O)=O UIPXCLNLUUAMJU-JBDRJPRFSA-N 0.000 description 2
- FUMGHWDRRFCKEP-CIUDSAMLSA-N Ser-Leu-Ala Chemical compound [H]N[C@@H](CO)C(=O)N[C@@H](CC(C)C)C(=O)N[C@@H](C)C(O)=O FUMGHWDRRFCKEP-CIUDSAMLSA-N 0.000 description 2
- PJIQEIFXZPCWOJ-FXQIFTODSA-N Ser-Pro-Asp Chemical compound [H]N[C@@H](CO)C(=O)N1CCC[C@H]1C(=O)N[C@@H](CC(O)=O)C(O)=O PJIQEIFXZPCWOJ-FXQIFTODSA-N 0.000 description 2
- RXUOAOOZIWABBW-XGEHTFHBSA-N Ser-Thr-Arg Chemical compound OC[C@H](N)C(=O)N[C@@H]([C@H](O)C)C(=O)N[C@H](C(O)=O)CCCN=C(N)N RXUOAOOZIWABBW-XGEHTFHBSA-N 0.000 description 2
- SYCFMSYTIFXWAJ-DCAQKATOSA-N Ser-Val-His Chemical compound CC(C)[C@@H](C(=O)N[C@@H](CC1=CN=CN1)C(=O)O)NC(=O)[C@H](CO)N SYCFMSYTIFXWAJ-DCAQKATOSA-N 0.000 description 2
- HNDMFDBQXYZSRM-IHRRRGAJSA-N Ser-Val-Phe Chemical compound [H]N[C@@H](CO)C(=O)N[C@@H](C(C)C)C(=O)N[C@@H](CC1=CC=CC=C1)C(O)=O HNDMFDBQXYZSRM-IHRRRGAJSA-N 0.000 description 2
- 102100021669 Stromal cell-derived factor 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1710088580 Stromal cell-derived factor 1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2100027213 T-cell-specific surface glycoprotein CD28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CAJFZCICSVBOJK-SHGPDSBTSA-N Thr-Ala-Thr Chemical compound C[C@@H](O)[C@H](N)C(=O)N[C@@H](C)C(=O)N[C@@H]([C@@H](C)O)C(O)=O CAJFZCICSVBOJK-SHGPDSBTSA-N 0.000 description 2
- PAXANSWUSVPFNK-IUKAMOBKSA-N Thr-Ile-Asn Chemical compound CC[C@H](C)[C@@H](C(=O)N[C@@H](CC(=O)N)C(=O)O)NC(=O)[C@H]([C@@H](C)O)N PAXANSWUSVPFNK-IUKAMOBKSA-N 0.000 description 2
- VRUFCJZQDACGLH-UVOCVTCTSA-N Thr-Leu-Thr Chemical compound [H]N[C@@H]([C@@H](C)O)C(=O)N[C@@H](CC(C)C)C(=O)N[C@@H]([C@@H](C)O)C(O)=O VRUFCJZQDACGLH-UVOCVTCTSA-N 0.000 description 2
- KZSYAEWQMJEGRZ-RHYQMDGZSA-N Thr-Leu-Val Chemical compound [H]N[C@@H]([C@@H](C)O)C(=O)N[C@@H](CC(C)C)C(=O)N[C@@H](C(C)C)C(O)=O KZSYAEWQMJEGRZ-RHYQMDGZSA-N 0.000 description 2
- KPNSNVTUVKSBFL-ZJDVBMNYSA-N Thr-Met-Thr Chemical compound C[C@H]([C@@H](C(=O)N[C@@H](CCSC)C(=O)N[C@@H]([C@@H](C)O)C(=O)O)N)O KPNSNVTUVKSBFL-ZJDVBMNYSA-N 0.000 description 2
- BIBYEFRASCNLAA-CDMKHQONSA-N Thr-Phe-Gly Chemical compound C[C@@H](O)[C@H](N)C(=O)N[C@H](C(=O)NCC(O)=O)CC1=CC=CC=C1 BIBYEFRASCNLAA-CDMKHQONSA-N 0.000 description 2
- MBLJBGZWLHTJBH-SZMVWBNQSA-N Trp-Val-Arg Chemical compound C1=CC=C2C(C[C@H](N)C(=O)N[C@@H](C(C)C)C(=O)N[C@@H](CCCN=C(N)N)C(O)=O)=CNC2=C1 MBLJBGZWLHTJBH-SZMVWBNQSA-N 0.000 description 2
- QUILOGWWLXMSAT-IHRRRGAJSA-N Tyr-Gln-Gln Chemical compound [H]N[C@@H](CC1=CC=C(O)C=C1)C(=O)N[C@@H](CCC(N)=O)C(=O)N[C@@H](CCC(N)=O)C(O)=O QUILOGWWLXMSAT-IHRRRGAJSA-N 0.000 description 2
- KEHKBBUYZWAMHL-DZKIICNBSA-N Tyr-Gln-Val Chemical compound [H]N[C@@H](CC1=CC=C(O)C=C1)C(=O)N[C@@H](CCC(N)=O)C(=O)N[C@@H](C(C)C)C(O)=O KEHKBBUYZWAMHL-DZKIICNBSA-N 0.000 description 2
- CNLKDWSAORJEMW-KWQFWETISA-N Tyr-Gly-Ala Chemical compound [H]N[C@@H](CC1=CC=C(O)C=C1)C(=O)NCC(=O)N[C@@H](C)C(O)=O CNLKDWSAORJEMW-KWQFWETISA-N 0.000 description 2
- ANHVRCNNGJMJNG-BZSNNMDCSA-N Tyr-Tyr-Cys Chemical compound C1=CC(=CC=C1C[C@@H](C(=O)N[C@@H](CC2=CC=C(C=C2)O)C(=O)N[C@@H](CS)C(=O)O)N)O ANHVRCNNGJMJNG-BZSNNMDCSA-N 0.000 description 2
- SLLKXDSRVAOREO-KZVJFYERSA-N Val-Ala-Thr Chemical compound C[C@H]([C@@H](C(=O)O)NC(=O)[C@H](C)NC(=O)[C@H](C(C)C)N)O SLLKXDSRVAOREO-KZVJFYERSA-N 0.000 description 2
- CFIBZQOLUDURST-IHRRRGAJSA-N Val-Tyr-Cys Chemical compound CC(C)[C@@H](C(=O)N[C@@H](CC1=CC=C(C=C1)O)C(=O)N[C@@H](CS)C(=O)O)N CFIBZQOLUDURST-IHRRRGAJSA-N 0.000 description 2
- 206010047115 Vascul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47924 Wheez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08010081404 acein-2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351 acetate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042 affinity 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7883 airway inflamm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108010008685 alanyl-glutamyl-aspartic acid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6935 allerg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242 anti bacterial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40088710 antibiotic agent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146 anticoagul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40127219 anticoagulant drug Drugs 0.000 description 2
- 108010013835 arginine glutamat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8010008355 arginyl-glutamin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8010052670 arginyl-glutamyl-glutamic acid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8010069205 aspartyl-phenylalanin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8010093581 aspartyl-prolin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90 biomark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41 blood samp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396 body weigh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4000309464 bull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119 centrifu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367 cl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1334 corticosteroids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228 culture superna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18 depth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213 die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552 dosage for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839 end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191 femoral vein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08010063718 gamma-glutamylaspartic acid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035 gastrointestinal tract Anatomy 0.000 description 2
- XKUKSGPZAADMRA-UHFFFAOYSA-N glycyl-glycyl-glycine Natural products NCC(=O)NCC(=O)NCC(O)=O XKUKSGPZAADMR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08010037850 glycylvalin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ZFGMDIBRIDKWMY-PASTXAENSA-N heparin Chemical compound CC(O)=N[C@@H]1[C@@H](O)[C@H](O)[C@@H](COS(O)(=O)=O)O[C@@H]1O[C@@H]1[C@@H](C(O)=O)O[C@@H](O[C@H]2[C@@H]([C@@H](OS(O)(=O)=O)[C@@H](O[C@@H]3[C@@H](OC(O)[C@H](OS(O)(=O)=O)[C@H]3O)C(O)=O)O[C@@H]2O)CS(O)(=O)=O)[C@H](O)[C@H]1O ZFGMDIBRIDKWMY-PASTXAEN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669 hepar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102000018358 immunoglobul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54 inflamma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802 inf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112 inhib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33 kinetic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08010073472 leucyl-prolyl-prolin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265 leuk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08010054155 lysyllysin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962 mammalian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483 med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739 neck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472 neutra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764 nut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LUYQYZLEHLTPBH-UHFFFAOYSA-N perfluorobutanesulfonyl fluoride Chemical compound FC(F)(F)C(F)(F)C(F)(F)C(F)(F)S(F)(=O)=O LUYQYZLEHLTPB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688 persistenc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546 pharmaceutical excip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85 pharmacodynam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08010070409 phenylalanyl-glycyl-glycin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184 polypept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481 post-translational protein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160 potass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009 potassium phosph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141 primary ami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755 prolif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35 prolong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08010070643 prolylglutamic acid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29940126409 proton pump inhibitor Drug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259 recombinant ex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29 re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69 regene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2052 salbutamol Drug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70 samp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216 scre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207 serial di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3220 shortness of breath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7520 skin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083 sodium citr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162 sod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488 sodium phos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008 sodium phosph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UCSJYZPVAKXKNQ-HZYVHMACSA-N streptomycin Chemical compound CN[C@H]1[C@H](O)[C@@H](O)[C@H](CO)O[C@H]1O[C@@H]1[C@](C=O)(O)[C@H](C)O[C@H]1O[C@@H]1[C@@H](NC(N)=N)[C@H](O)[C@@H](NC(N)=N)[C@H](O)[C@H]1O UCSJYZPVAKXKNQ-HZYVHMAC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882 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0346 suga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8163 suga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40124597 therapeutic agent Drug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225 therapeu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448 ti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RYFMWSXOAZQYPI-UHFFFAOYSA-K trisodium phosphate Chemical compound [Na+].[Na+].[Na+].[O-]P([O-])([O-])=O RYFMWSXOAZQYPI-UHFFFAOYSA-K 0.000 description 2
- 108010044292 tryptophyltyrosin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8010035534 tyrosyl-leucyl-alanin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8010073969 valyllysin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34 wash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VZCXCTYGHPNEM-IHRRRGAJSA-N (2s)-1-[(2s)-2-[[(2s)-2-amino-4-methylpentanoyl]amino]-4-methylpentanoyl]pyrrolidine-2-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H](N)C(=O)N[C@@H](CC(C)C)C(=O)N1CCC[C@H]1C(O)=O XVZCXCTYGHPNEM-IHRRRGAJSA-N 0.000 description 1
- JKMHFZQWWAIEOD-UHFFFAOYSA-N 2-[4-(2-hydroxyethyl)piperazin-1-yl]ethanesulfonic acid Chemical compound OCC[NH+]1CCN(CCS([O-])(=O)=O)CC1 JKMHFZQWWAIEO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VAYUENYXYLHCL-UHFFFAOYSA-N 2-hydroxypropane-1,2,3-tricarboxylic acid;hydrate Chemical compound O.OC(=O)CC(O)(C(O)=O)CC(O)=O.OC(=O)CC(O)(C(O)=O)CC(O)=O OVAYUENYXYLHC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UAIUNKRWKOVEES-UHFFFAOYSA-N 3,3',5,5'-tetramethylbenzidine Chemical compound CC1=C(N)C(C)=CC(C=2C=C(C)C(N)=C(C)C=2)=C1 UAIUNKRWKOVEE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TBSBXVTEAMEQO-UHFFFAOYSA-M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O QTBSBXVTEAMEQO-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CXRCVCURMBFFOL-FXQIFTODSA-N Ala-Ala-Pro Chemical compound C[C@H](N)C(=O)N[C@@H](C)C(=O)N1CCC[C@H]1C(O)=O CXRCVCURMBFFOL-FXQIFTODSA-N 0.000 description 1
- WCBVQNZTOKJWJS-ACZMJKKPSA-N Ala-Cys-Glu Chemical compound [H]N[C@@H](C)C(=O)N[C@@H](CS)C(=O)N[C@@H](CCC(O)=O)C(O)=O WCBVQNZTOKJWJS-ACZMJKKPSA-N 0.000 description 1
- NYDBKUNVSALYPX-NAKRPEOUSA-N Ala-Ile-Arg Chemical compound C[C@H](N)C(=O)N[C@@H]([C@@H](C)CC)C(=O)N[C@H](C(O)=O)CCCN=C(N)N NYDBKUNVSALYPX-NAKRPEOUSA-N 0.000 description 1
- DPNZTBKGAUAZQU-DLOVCJGASA-N Ala-Leu-His Chemical compound C[C@@H](C(=O)N[C@@H](CC(C)C)C(=O)N[C@@H](CC1=CN=CN1)C(=O)O)N DPNZTBKGAUAZQU-DLOVCJGASA-N 0.000 description 1
- MEFILNJXAVSUTO-JXUBOQSCSA-N Ala-Leu-Thr Chemical compound C[C@H](N)C(=O)N[C@@H](CC(C)C)C(=O)N[C@@H]([C@@H](C)O)C(O)=O MEFILNJXAVSUTO-JXUBOQSCSA-N 0.000 description 1
- OINVDEKBKBCPLX-JXUBOQSCSA-N Ala-Lys-Thr Chemical compound [H]N[C@@H](C)C(=O)N[C@@H](CCCCN)C(=O)N[C@@H]([C@@H](C)O)C(O)=O OINVDEKBKBCPLX-JXUBOQSCSA-N 0.000 description 1
- MDNAVFBZPROEHO-UHFFFAOYSA-N Ala-Lys-Val Natural products CC(C)C(C(O)=O)NC(=O)C(NC(=O)C(C)N)CCCCN MDNAVFBZPROEH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UXQNKVQSKOOBS-JURCDPSOSA-N Ala-Phe-Ile Chemical compound [H]N[C@@H](C)C(=O)N[C@@H](CC1=CC=CC=C1)C(=O)N[C@@H]([C@@H](C)CC)C(O)=O RUXQNKVQSKOOBS-JURCDPSOSA-N 0.000 description 1
- OSRZOHXQCUFIQG-FPMFFAJLSA-N Ala-Phe-Pro Chemical compound C([C@H](NC(=O)[C@@H]([NH3+])C)C(=O)N1[C@H](CCC1)C([O-])=O)C1=CC=CC=C1 OSRZOHXQCUFIQG-FPMFFAJLSA-N 0.000 description 1
- BTRULDJUUVGRNE-DCAQKATOSA-N Ala-Pro-Lys Chemical compound C[C@H](N)C(=O)N1CCC[C@H]1C(=O)N[C@@H](CCCCN)C(O)=O BTRULDJUUVGRNE-DCAQKATOSA-N 0.000 description 1
- OLVCTPPSXNRGKV-GUBZILKMSA-N Ala-Pro-Pro Chemical compound C[C@H](N)C(=O)N1CCC[C@H]1C(=O)N1[C@H](C(O)=O)CCC1 OLVCTPPSXNRGKV-GUBZILKMSA-N 0.000 description 1
- RTZCUEHYUQZIDE-WHFBIAKZSA-N Ala-Ser-Gly Chemical compound C[C@H](N)C(=O)N[C@@H](CO)C(=O)NCC(O)=O RTZCUEHYUQZIDE-WHFBIAKZSA-N 0.000 description 1
- NCQMBSJGJMYKCK-ZLUOBGJFSA-N Ala-Ser-Ser Chemical compound [H]N[C@@H](C)C(=O)N[C@@H](CO)C(=O)N[C@@H](CO)C(O)=O NCQMBSJGJMYKCK-ZLUOBGJFSA-N 0.000 description 1
- YJHKTAMKPGFJCT-NRPADANISA-N Ala-Val-Glu Chemical compound [H]N[C@@H](C)C(=O)N[C@@H](C(C)C)C(=O)N[C@@H](CCC(O)=O)C(O)=O YJHKTAMKPGFJCT-NRPADANISA-N 0.000 description 1
- REWSWYIDQIELBE-FXQIFTODSA-N Ala-Val-Ser Chemical compound [H]N[C@@H](C)C(=O)N[C@@H](C(C)C)C(=O)N[C@@H](CO)C(O)=O REWSWYIDQIELBE-FXQIFTODSA-N 0.000 description 1
- NONSEUUPKITYQT-BQBZGAKWSA-N Arg-Asn-Gly Chemical compound C(C[C@@H](C(=O)N[C@@H](CC(=O)N)C(=O)NCC(=O)O)N)CN=C(N)N NONSEUUPKITYQT-BQBZGAKWSA-N 0.000 description 1
- ITVINTQUZMQWJR-QXEWZRGKSA-N Arg-Asn-Val Chemical compound [H]N[C@@H](CCCNC(N)=N)C(=O)N[C@@H](CC(N)=O)C(=O)N[C@@H](C(C)C)C(O)=O ITVINTQUZMQWJR-QXEWZRGKSA-N 0.000 description 1
- HPSVTWMFWCHKFN-GARJFASQSA-N Arg-Glu-Pro Chemical compound C1C[C@@H](N(C1)C(=O)[C@H](CCC(=O)O)NC(=O)[C@H](CCCN=C(N)N)N)C(=O)O HPSVTWMFWCHKFN-GARJFASQSA-N 0.000 description 1
- LVMUGODRNHFGRA-AVGNSLFASA-N Arg-Leu-Arg Chemical compound NC(N)=NCCC[C@H](N)C(=O)N[C@@H](CC(C)C)C(=O)N[C@@H](CCCN=C(N)N)C(O)=O LVMUGODRNHFGRA-AVGNSLFASA-N 0.000 description 1
- MOGMYRUNTKYZFB-UNQGMJICSA-N Arg-Thr-Phe Chemical compound NC(N)=NCCC[C@H](N)C(=O)N[C@@H]([C@H](O)C)C(=O)N[C@H](C(O)=O)CC1=CC=CC=C1 MOGMYRUNTKYZFB-UNQGMJICSA-N 0.000 description 1
- VLIJAPRTSXSGFY-STQMWFEESA-N Arg-Tyr-Gly Chemical compound NC(N)=NCCC[C@H](N)C(=O)N[C@H](C(=O)NCC(O)=O)CC1=CC=C(O)C=C1 VLIJAPRTSXSGFY-STQMWFEESA-N 0.000 description 1
- PSUXEQYPYZLNER-QXEWZRGKSA-N Arg-Val-Asn Chemical compound [H]N[C@@H](CCCNC(N)=N)C(=O)N[C@@H](C(C)C)C(=O)N[C@@H](CC(N)=O)C(O)=O PSUXEQYPYZLNER-QXEWZRGKSA-N 0.000 description 1
- BVLIJXXSXBUGEC-SRVKXCTJSA-N Asn-Asn-Tyr Chemical compound [H]N[C@@H](CC(N)=O)C(=O)N[C@@H](CC(N)=O)C(=O)N[C@@H](CC1=CC=C(O)C=C1)C(O)=O BVLIJXXSXBUGEC-SRVKXCTJSA-N 0.000 description 1
- HUAOKVVEVHACHR-CIUDSAMLSA-N Asn-Asp-His Chemical compound C1=C(NC=N1)C[C@@H](C(=O)O)NC(=O)[C@H](CC(=O)O)NC(=O)[C@H](CC(=O)N)N HUAOKVVEVHACHR-CIUDSAMLSA-N 0.000 description 1
- OLVIPTLKNSAYRJ-YUMQZZPRSA-N Asn-Gly-Lys Chemical compound C(CCN)C[C@@H](C(=O)O)NC(=O)CNC(=O)[C@H](CC(=O)N)N OLVIPTLKNSAYRJ-YUMQZZPRSA-N 0.000 description 1
- QUAWOKPCAKCHQL-SRVKXCTJSA-N Asn-His-Lys Chemical compound C1=C(NC=N1)C[C@@H](C(=O)N[C@@H](CCCCN)C(=O)O)NC(=O)[C@H](CC(=O)N)N QUAWOKPCAKCHQL-SRVKXCTJSA-N 0.000 description 1
- WQLJRNRLHWJIRW-KKUMJFAQSA-N Asn-His-Tyr Chemical compound C1=CC(=CC=C1C[C@@H](C(=O)O)NC(=O)[C@H](CC2=CN=CN2)NC(=O)[C@H](CC(=O)N)N)O WQLJRNRLHWJIRW-KKUMJFAQSA-N 0.000 description 1
- NKLRWRRVYGQNIH-GHCJXIJMSA-N Asn-Ile-Ala Chemical compound [H]N[C@@H](CC(N)=O)C(=O)N[C@@H]([C@@H](C)CC)C(=O)N[C@@H](C)C(O)=O NKLRWRRVYGQNIH-GHCJXIJMSA-N 0.000 description 1
- HDHZCEDPLTVHFZ-GUBZILKMSA-N Asn-Leu-Glu Chemical compound [H]N[C@@H](CC(N)=O)C(=O)N[C@@H](CC(C)C)C(=O)N[C@@H](CCC(O)=O)C(O)=O HDHZCEDPLTVHFZ-GUBZILKMSA-N 0.000 description 1
- DJIMLSXHXKWADV-CIUDSAMLSA-N Asn-Leu-Ser Chemical compound OC[C@@H](C(O)=O)NC(=O)[C@H](CC(C)C)NC(=O)[C@@H](N)CC(N)=O DJIMLSXHXKWADV-CIUDSAMLSA-N 0.000 description 1
- RCFGLXMZDYNRSC-CIUDSAMLSA-N Asn-Lys-Ala Chemical compound [H]N[C@@H](CC(N)=O)C(=O)N[C@@H](CCCCN)C(=O)N[C@@H](C)C(O)=O RCFGLXMZDYNRSC-CIUDSAMLSA-N 0.000 description 1
- YRTOMUMWSTUQAX-FXQIFTODSA-N Asn-Pro-Asp Chemical compound NC(=O)C[C@H](N)C(=O)N1CCC[C@H]1C(=O)N[C@@H](CC(O)=O)C(O)=O YRTOMUMWSTUQAX-FXQIFTODSA-N 0.000 description 1
- JWQWPRCDYWNVNM-ACZMJKKPSA-N Asn-Ser-Gln Chemical compound C(CC(=O)N)[C@@H](C(=O)O)NC(=O)[C@H](CO)NC(=O)[C@H](CC(=O)N)N JWQWPRCDYWNVNM-ACZMJKKPSA-N 0.000 description 1
- HPBNLFLSSQDFQW-WHFBIAKZSA-N Asn-Ser-Gly Chemical compound NC(=O)C[C@H](N)C(=O)N[C@@H](CO)C(=O)NCC(O)=O HPBNLFLSSQDFQW-WHFBIAKZSA-N 0.000 description 1
- HNXWVVHIGTZTBO-LKXGYXEUSA-N Asn-Ser-Thr Chemical compound C[C@@H](O)[C@@H](C(O)=O)NC(=O)[C@H](CO)NC(=O)[C@@H](N)CC(N)=O HNXWVVHIGTZTBO-LKXGYXEUSA-N 0.000 description 1
- DPWDPEVGACCWTC-SRVKXCTJSA-N Asn-Tyr-Ser Chemical compound [H]N[C@@H](CC(N)=O)C(=O)N[C@@H](CC1=CC=C(O)C=C1)C(=O)N[C@@H](CO)C(O)=O DPWDPEVGACCWTC-SRVKXCTJSA-N 0.000 description 1
- KBQOUDLMWYWXNP-YDHLFZDLSA-N Asn-Val-Phe Chemical compound CC(C)[C@@H](C(=O)N[C@@H](CC1=CC=CC=C1)C(=O)O)NC(=O)[C@H](CC(=O)N)N KBQOUDLMWYWXNP-YDHLFZDLSA-N 0.000 description 1
- YNQIDCRRTWGHJD-ZLUOBGJFSA-N Asp-Asn-Ala Chemical compound OC(=O)[C@H](C)NC(=O)[C@H](CC(N)=O)NC(=O)[C@@H](N)CC(O)=O YNQIDCRRTWGHJD-ZLUOBGJFSA-N 0.000 description 1
- SBHUBSDEZQFJHJ-CIUDSAMLSA-N Asp-Asp-Leu Chemical compound CC(C)C[C@@H](C(O)=O)NC(=O)[C@H](CC(O)=O)NC(=O)[C@@H](N)CC(O)=O SBHUBSDEZQFJHJ-CIUDSAMLSA-N 0.000 description 1
- VZNOVQKGJQJOCS-SRVKXCTJSA-N Asp-Asp-Tyr Chemical compound [H]N[C@@H](CC(O)=O)C(=O)N[C@@H](CC(O)=O)C(=O)N[C@@H](CC1=CC=C(O)C=C1)C(O)=O VZNOVQKGJQJOCS-SRVKXCTJSA-N 0.000 description 1
- QCLHLXDWRKOHRR-GUBZILKMSA-N Asp-Glu-His Chemical compound C1=C(NC=N1)C[C@@H](C(=O)O)NC(=O)[C@H](CCC(=O)O)NC(=O)[C@H](CC(=O)O)N QCLHLXDWRKOHRR-GUBZILKMSA-N 0.000 description 1
- WSGVTKZFVJSJOG-RCOVLWMOSA-N Asp-Gly-Val Chemical compound [H]N[C@@H](CC(O)=O)C(=O)NCC(=O)N[C@@H](C(C)C)C(O)=O WSGVTKZFVJSJOG-RCOVLWMOSA-N 0.000 description 1
- UJGRZQYSNYTCAX-SRVKXCTJSA-N Asp-Leu-Leu Chemical compound CC(C)C[C@@H](C(O)=O)NC(=O)[C@H](CC(C)C)NC(=O)[C@@H](N)CC(O)=O UJGRZQYSNYTCAX-SRVKXCTJSA-N 0.000 description 1
- BKOIIURTQAJHAT-GUBZILKMSA-N Asp-Pro-Pro Chemical compound OC(=O)C[C@H](N)C(=O)N1CCC[C@H]1C(=O)N1[C@H](C(O)=O)CCC1 BKOIIURTQAJHAT-GUBZILKMSA-N 0.000 description 1
- CUQDCPXNZPDYFQ-ZLUOBGJFSA-N Asp-Ser-Asp Chemical compound [H]N[C@@H](CC(O)=O)C(=O)N[C@@H](CO)C(=O)N[C@@H](CC(O)=O)C(O)=O CUQDCPXNZPDYFQ-ZLUOBGJFSA-N 0.000 description 1
- VNXQRBXEQXLERQ-CIUDSAMLSA-N Asp-Ser-Lys Chemical compound C(CCN)C[C@@H](C(=O)O)NC(=O)[C@H](CO)NC(=O)[C@H](CC(=O)O)N VNXQRBXEQXLERQ-CIUDSAMLSA-N 0.000 description 1
- JSHWXQIZOCVWIA-ZKWXMUAHSA-N Asp-Ser-Val Chemical compound [H]N[C@@H](CC(O)=O)C(=O)N[C@@H](CO)C(=O)N[C@@H](C(C)C)C(O)=O JSHWXQIZOCVWIA-ZKWXMUAHSA-N 0.000 description 1
- MFDPBZAFCRKYEY-LAEOZQHASA-N Asp-Val-Gln Chemical compound [H]N[C@@H](CC(O)=O)C(=O)N[C@@H](C(C)C)C(=O)N[C@@H](CCC(N)=O)C(O)=O MFDPBZAFCRKYEY-LAEOZQHA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03645 Atop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3690 Bos tau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8091003079 Bovine Serum Album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9079 Bronchial Sp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181 Bronchi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6482 Bronchosp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2100022641 Coagulation factor IX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20004705 Codo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8010047041 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NDUSUIGBMZCOIL-ZKWXMUAHSA-N Cys-Asn-Val Chemical compound CC(C)[C@@H](C(=O)O)NC(=O)[C@H](CC(=O)N)NC(=O)[C@H](CS)N NDUSUIGBMZCOIL-ZKWXMUAHSA-N 0.000 description 1
- OHLLDUNVMPPUMD-DCAQKATOSA-N Cys-Leu-Val Chemical compound CC(C)C[C@@H](C(=O)N[C@@H](C(C)C)C(=O)O)NC(=O)[C@H](CS)N OHLLDUNVMPPUMD-DCAQKATOSA-N 0.000 description 1
- SMEYEQDCCBHTEF-FXQIFTODSA-N Cys-Pro-Ala Chemical compound [H]N[C@@H](CS)C(=O)N1CCC[C@H]1C(=O)N[C@@H](C)C(O)=O SMEYEQDCCBHTEF-FXQIFTODSA-N 0.000 description 1
- KSMSFCBQBQPFAD-GUBZILKMSA-N Cys-Pro-Pro Chemical compound SC[C@H](N)C(=O)N1CCC[C@H]1C(=O)N1[C@H](C(O)=O)CCC1 KSMSFCBQBQPFAD-GUBZILKMSA-N 0.000 description 1
- FANFRJOFTYCNRG-JYBASQMISA-N Cys-Thr-Trp Chemical compound C[C@H]([C@@H](C(=O)N[C@@H](CC1=CNC2=CC=CC=C21)C(=O)O)NC(=O)[C@H](CS)N)O FANFRJOFTYCNRG-JYBASQMISA-N 0.000 description 1
- ZFHXNNXMNLWKJH-HJPIBITLSA-N Cys-Tyr-Ile Chemical compound [H]N[C@@H](CS)C(=O)N[C@@H](CC1=CC=C(O)C=C1)C(=O)N[C@@H]([C@@H](C)CC)C(O)=O ZFHXNNXMNLWKJH-HJPIBITLSA-N 0.000 description 1
- ALTQTAKGRFLRLR-GUBZILKMSA-N Cys-Val-Val Chemical compound CC(C)[C@@H](C(=O)N[C@@H](C(C)C)C(=O)O)NC(=O)[C@H](CS)N ALTQTAKGRFLRLR-GUBZILKM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8157 ELISA ki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02100023688 Eotax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1710139422 Eotax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3073 Equus cabal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1001065501 Escherichia phage MS2 Lysis prote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8010076282 Factor IX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324 Fel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17 Ficol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4826 Genetic Predisposition to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LMPBBFWHCRURJD-LAEOZQHASA-N Gln-Asn-Val Chemical compound CC(C)[C@@H](C(=O)O)NC(=O)[C@H](CC(=O)N)NC(=O)[C@H](CCC(=O)N)N LMPBBFWHCRURJD-LAEOZQHASA-N 0.000 description 1
- NVEASDQHBRZPSU-BQBZGAKWSA-N Gln-Gln-Gly Chemical compound [H]N[C@@H](CCC(N)=O)C(=O)N[C@@H](CCC(N)=O)C(=O)NCC(O)=O NVEASDQHBRZPSU-BQBZGAKWSA-N 0.000 description 1
- ZQPOVSJFBBETHQ-CIUDSAMLSA-N Gln-Glu-Gln Chemical compound [H]N[C@@H](CCC(N)=O)C(=O)N[C@@H](CCC(O)=O)C(=O)N[C@@H](CCC(N)=O)C(O)=O ZQPOVSJFBBETHQ-CIUDSAMLSA-N 0.000 description 1
- FGYPOQPQTUNESW-IUCAKERBSA-N Gln-Gly-Leu Chemical compound CC(C)C[C@@H](C(=O)O)NC(=O)CNC(=O)[C@H](CCC(=O)N)N FGYPOQPQTUNESW-IUCAKERBSA-N 0.000 description 1
- HHQCBFGKQDMWSP-GUBZILKMSA-N Gln-Leu-Cys Chemical compound CC(C)C[C@@H](C(=O)N[C@@H](CS)C(=O)O)NC(=O)[C@H](CCC(=O)N)N HHQCBFGKQDMWSP-GUBZILKMSA-N 0.000 description 1
- SHAUZYVSXAMYAZ-JYJNAYRXSA-N Gln-Leu-Phe Chemical compound CC(C)C[C@@H](C(=O)N[C@@H](CC1=CC=CC=C1)C(=O)O)NC(=O)[C@H](CCC(=O)N)N SHAUZYVSXAMYAZ-JYJNAYRXSA-N 0.000 description 1
- HMIXCETWRYDVMO-GUBZILKMSA-N Gln-Pro-Glu Chemical compound [H]N[C@@H](CCC(N)=O)C(=O)N1CCC[C@H]1C(=O)N[C@@H](CCC(O)=O)C(O)=O HMIXCETWRYDVMO-GUBZILKMSA-N 0.000 description 1
- OSCLNNWLKKIQJM-WDSKDSINSA-N Gln-Ser-Gly Chemical compound [H]N[C@@H](CCC(N)=O)C(=O)N[C@@H](CO)C(=O)NCC(O)=O OSCLNNWLKKIQJM-WDSKDSINSA-N 0.000 description 1
- LPIKVBWNNVFHCQ-GUBZILKMSA-N Gln-Ser-Leu Chemical compound [H]N[C@@H](CCC(N)=O)C(=O)N[C@@H](CO)C(=O)N[C@@H](CC(C)C)C(O)=O LPIKVBWNNVFHCQ-GUBZILKMSA-N 0.000 description 1
- JILRMFFFCHUUTJ-ACZMJKKPSA-N Gln-Ser-Ser Chemical compound [H]N[C@@H](CCC(N)=O)C(=O)N[C@@H](CO)C(=O)N[C@@H](CO)C(O)=O JILRMFFFCHUUTJ-ACZMJKKPSA-N 0.000 description 1
- HLRLXVPRJJITSK-IFFSRLJSSA-N Gln-Thr-Val Chemical compound [H]N[C@@H](CCC(N)=O)C(=O)N[C@@H]([C@@H](C)O)C(=O)N[C@@H](C(C)C)C(O)=O HLRLXVPRJJITSK-IFFSRLJSSA-N 0.000 description 1
- DITJVHONFRJKJW-BPUTZDHNSA-N Gln-Trp-Glu Chemical compound C1=CC=C2C(=C1)C(=CN2)C[C@@H](C(=O)N[C@@H](CCC(=O)O)C(=O)O)NC(=O)[C@H](CCC(=O)N)N DITJVHONFRJKJW-BPUTZDHNSA-N 0.000 description 1
- QXQDADBVIBLBHN-FHWLQOOXSA-N Gln-Tyr-Phe Chemical compound [H]N[C@@H](CCC(N)=O)C(=O)N[C@@H](CC1=CC=C(O)C=C1)C(=O)N[C@@H](CC1=CC=CC=C1)C(O)=O QXQDADBVIBLBHN-FHWLQOOXSA-N 0.000 description 1
- SBCYJMOOHUDWDA-NUMRIWBASA-N Glu-Asp-Thr Chemical compound [H]N[C@@H](CCC(O)=O)C(=O)N[C@@H](CC(O)=O)C(=O)N[C@@H]([C@@H](C)O)C(O)=O SBCYJMOOHUDWDA-NUMRIWBASA-N 0.000 description 1
- LSTFYPOGBGFIPP-FXQIFTODSA-N Glu-Cys-Gln Chemical compound OC(=O)CC[C@H](N)C(=O)N[C@@H](CS)C(=O)N[C@@H](CCC(N)=O)C(O)=O LSTFYPOGBGFIPP-FXQIFTODSA-N 0.000 description 1
- PVBBEKPHARMPHX-DCAQKATOSA-N Glu-Gln-Leu Chemical compound CC(C)C[C@@H](C(O)=O)NC(=O)[C@H](CCC(N)=O)NC(=O)[C@@H](N)CCC(O)=O PVBBEKPHARMPHX-DCAQKATOSA-N 0.000 description 1
- HUFCEIHAFNVSNR-IHRRRGAJSA-N Glu-Gln-Tyr Chemical compound OC(=O)CC[C@H](N)C(=O)N[C@@H](CCC(N)=O)C(=O)N[C@H](C(O)=O)CC1=CC=C(O)C=C1 HUFCEIHAFNVSNR-IHRRRGAJSA-N 0.000 description 1
- VGUYMZGLJUJRBV-YVNDNENWSA-N Glu-Ile-Glu Chemical compound [H]N[C@@H](CCC(O)=O)C(=O)N[C@@H]([C@@H](C)CC)C(=O)N[C@@H](CCC(O)=O)C(O)=O VGUYMZGLJUJRBV-YVNDNENWSA-N 0.000 description 1
- GXMXPCXXKVWOSM-KQXIARHKSA-N Glu-Ile-Pro Chemical compound CC[C@H](C)[C@@H](C(=O)N1CCC[C@@H]1C(=O)O)NC(=O)[C@H](CCC(=O)O)N GXMXPCXXKVWOSM-KQXIARHKSA-N 0.000 description 1
- NWOUBJNMZDDGDT-AVGNSLFASA-N Glu-Leu-His Chemical compound OC(=O)CC[C@H](N)C(=O)N[C@@H](CC(C)C)C(=O)N[C@H](C(O)=O)CC1=CN=CN1 NWOUBJNMZDDGDT-AVGNSLFASA-N 0.000 description 1
- OQXDUSZKISQQSS-GUBZILKMSA-N Glu-Lys-Ala Chemical compound [H]N[C@@H](CCC(O)=O)C(=O)N[C@@H](CCCCN)C(=O)N[C@@H](C)C(O)=O OQXDUSZKISQQSS-GUBZILKMSA-N 0.000 description 1
- YGLCLCMAYUYZSG-AVGNSLFASA-N Glu-Lys-His Chemical compound OC(=O)CC[C@H](N)C(=O)N[C@@H](CCCCN)C(=O)N[C@H](C(O)=O)CC1=CN=CN1 YGLCLCMAYUYZSG-AVGNSLFASA-N 0.000 description 1
- FMBWLLMUPXTXFC-SDDRHHMPSA-N Glu-Lys-Pro Chemical compound C1C[C@@H](N(C1)C(=O)[C@H](CCCCN)NC(=O)[C@H](CCC(=O)O)N)C(=O)O FMBWLLMUPXTXFC-SDDRHHMPSA-N 0.000 description 1
- YHOJJFFTSMWVGR-HJGDQZAQSA-N Glu-Met-Thr Chemical compound [H]N[C@@H](CCC(O)=O)C(=O)N[C@@H](CCSC)C(=O)N[C@@H]([C@@H](C)O)C(O)=O YHOJJFFTSMWVGR-HJGDQZAQSA-N 0.000 description 1
- AAJHGGDRKHYSDH-GUBZILKMSA-N Glu-Pro-Gln Chemical compound C1C[C@H](N(C1)C(=O)[C@H](CCC(=O)O)N)C(=O)N[C@@H](CCC(=O)N)C(=O)O AAJHGGDRKHYSDH-GUBZILKMSA-N 0.000 description 1
- BFEZQZKEPRKKHV-SRVKXCTJSA-N Glu-Pro-Lys Chemical compound C1C[C@H](N(C1)C(=O)[C@H](CCC(=O)O)N)C(=O)N[C@@H](CCCCN)C(=O)O BFEZQZKEPRKKHV-SRVKXCTJSA-N 0.000 description 1
- NNQDRRUXFJYCCJ-NHCYSSNCSA-N Glu-Pro-Val Chemical compound [H]N[C@@H](CCC(O)=O)C(=O)N1CCC[C@H]1C(=O)N[C@@H](C(C)C)C(O)=O NNQDRRUXFJYCCJ-NHCYSSNCSA-N 0.000 description 1
- DMYACXMQUABZIQ-NRPADANISA-N Glu-Ser-Val Chemical compound [H]N[C@@H](CCC(O)=O)C(=O)N[C@@H](CO)C(=O)N[C@@H](C(C)C)C(O)=O DMYACXMQUABZIQ-NRPADANISA-N 0.000 description 1
- TWYSSILQABLLME-HJGDQZAQSA-N Glu-Thr-Arg Chemical compound [H]N[C@@H](CCC(O)=O)C(=O)N[C@@H]([C@@H](C)O)C(=O)N[C@@H](CCCNC(N)=N)C(O)=O TWYSSILQABLLME-HJGDQZAQSA-N 0.000 description 1
- QCMVGXDELYMZET-GLLZPBPUSA-N Glu-Thr-Glu Chemical compound [H]N[C@@H](CCC(O)=O)C(=O)N[C@@H]([C@@H](C)O)C(=O)N[C@@H](CCC(O)=O)C(O)=O QCMVGXDELYMZET-GLLZPBPUSA-N 0.000 description 1
- JLCYOCDGIUZMKQ-JBACZVJFSA-N Glu-Trp-Phe Chemical compound C1=CC=C(C=C1)C[C@@H](C(=O)O)NC(=O)[C@H](CC2=CNC3=CC=CC=C32)NC(=O)[C@H](CCC(=O)O)N JLCYOCDGIUZMKQ-JBACZVJFSA-N 0.000 description 1
- VXEFAWJTFAUDJK-AVGNSLFASA-N Glu-Tyr-Ser Chemical compound C1=CC(=CC=C1C[C@@H](C(=O)N[C@@H](CO)C(=O)O)NC(=O)[C@H](CCC(=O)O)N)O VXEFAWJTFAUDJK-AVGNSLFASA-N 0.000 description 1
- ZALGPUWUVHOGAE-GVXVVHGQSA-N Glu-Val-His Chemical compound CC(C)[C@@H](C(=O)N[C@@H](CC1=CN=CN1)C(=O)O)NC(=O)[C@H](CCC(=O)O)N ZALGPUWUVHOGAE-GVXVVHGQSA-N 0.000 description 1
- ZYRXTRTUCAVNBQ-GVXVVHGQSA-N Glu-Val-Lys Chemical compound CC(C)[C@@H](C(=O)N[C@@H](CCCCN)C(=O)O)NC(=O)[C@H](CCC(=O)O)N ZYRXTRTUCAVNBQ-GVXVVHGQSA-N 0.000 description 1
- WGYHAAXZWPEBDQ-IFFSRLJSSA-N Glu-Val-Thr Chemical compound [H]N[C@@H](CCC(O)=O)C(=O)N[C@@H](C(C)C)C(=O)N[C@@H]([C@@H](C)O)C(O)=O WGYHAAXZWPEBDQ-IFFSRLJSSA-N 0.000 description 1
- LJPIRKICOISLKN-WHFBIAKZSA-N Gly-Ala-Ser Chemical compound NCC(=O)N[C@@H](C)C(=O)N[C@@H](CO)C(O)=O LJPIRKICOISLKN-WHFBIAKZSA-N 0.000 description 1
- IXKRSKPKSLXIHN-YUMQZZPRSA-N Gly-Cys-Leu Chemical compound [H]NCC(=O)N[C@@H](CS)C(=O)N[C@@H](CC(C)C)C(O)=O IXKRSKPKSLXIHN-YUMQZZPRSA-N 0.000 description 1
- AQLHORCVPGXDJW-IUCAKERBSA-N Gly-Gln-Lys Chemical compound C(CCN)C[C@@H](C(=O)O)NC(=O)[C@H](CCC(=O)N)NC(=O)CN AQLHORCVPGXDJW-IUCAKERBSA-N 0.000 description 1
- BIRKKBCSAIHDDF-WDSKDSINSA-N Gly-Glu-Cys Chemical compound NCC(=O)N[C@@H](CCC(O)=O)C(=O)N[C@@H](CS)C(O)=O BIRKKBCSAIHDDF-WDSKDSINSA-N 0.000 description 1
- SOEATRRYCIPEHA-BQBZGAKWSA-N Gly-Glu-Glu Chemical compound [H]NCC(=O)N[C@@H](CCC(O)=O)C(=O)N[C@@H](CCC(O)=O)C(O)=O SOEATRRYCIPEHA-BQBZGAKWSA-N 0.000 description 1
- JPAACTMBBBGAAR-HOTGVXAUSA-N Gly-Leu-Trp Chemical compound C1=CC=C2C(C[C@H](NC(=O)[C@@H](NC(=O)CN)CC(C)C)C(O)=O)=CNC2=C1 JPAACTMBBBGAAR-HOTGVXAUSA-N 0.000 description 1
- AFWYPMDMDYCKMD-KBPBESRZSA-N Gly-Leu-Tyr Chemical compound NCC(=O)N[C@@H](CC(C)C)C(=O)N[C@H](C(O)=O)CC1=CC=C(O)C=C1 AFWYPMDMDYCKMD-KBPBESRZSA-N 0.000 description 1
- JSLVAHYTAJJEQH-QWRGUYRKSA-N Gly-Ser-Phe Chemical compound NCC(=O)N[C@@H](CO)C(=O)N[C@H](C(O)=O)CC1=CC=CC=C1 JSLVAHYTAJJEQH-QWRGUYRKSA-N 0.000 description 1
- ABPRMMYHROQBLY-NKWVEPMBSA-N Gly-Ser-Pro Chemical compound C1C[C@@H](N(C1)C(=O)[C@H](CO)NC(=O)CN)C(=O)O ABPRMMYHROQBLY-NKWVEPMBSA-N 0.000 description 1
- YXTFLTJYLIAZQG-FJXKBIBVSA-N Gly-Thr-Arg Chemical compound NCC(=O)N[C@@H]([C@H](O)C)C(=O)N[C@H](C(O)=O)CCCN=C(N)N YXTFLTJYLIAZQG-FJXKBIBVSA-N 0.000 description 1
- CQMFNTVQVLQRLT-JHEQGTHGSA-N Gly-Thr-Gln Chemical compound [H]NCC(=O)N[C@@H]([C@@H](C)O)C(=O)N[C@@H](CCC(N)=O)C(O)=O CQMFNTVQVLQRLT-JHEQGTHGSA-N 0.000 description 1
- ZZWUYQXMIFTIIY-WEDXCCLWSA-N Gly-Thr-Leu Chemical compound [H]NCC(=O)N[C@@H]([C@@H](C)O)C(=O)N[C@@H](CC(C)C)C(O)=O ZZWUYQXMIFTIIY-WEDXCCLWSA-N 0.000 description 1
- FFALDIDGPLUDKV-ZDLURKLDSA-N Gly-Thr-Ser Chemical compound [H]NCC(=O)N[C@@H]([C@@H](C)O)C(=O)N[C@@H](CO)C(O)=O FFALDIDGPLUDKV-ZDLURKLDSA-N 0.000 description 1
- SYOJVRNQCXYEOV-XVKPBYJWSA-N Gly-Val-Glu Chemical compound [H]NCC(=O)N[C@@H](C(C)C)C(=O)N[C@@H](CCC(O)=O)C(O)=O SYOJVRNQCXYEOV-XVKPBYJW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71 Glyc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JBCLFWXMTIKCCB-UHFFFAOYSA-N H-Gly-Phe-OH Natural products NCC(=O)NC(C(O)=O)CC1=CC=CC=C1 JBCLFWXMTIKCC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95 HEPES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DFHVLUKTTVTCKY-PBCZWWQYSA-N His-Asn-Thr Chemical compound C[C@H]([C@@H](C(=O)O)NC(=O)[C@H](CC(=O)N)NC(=O)[C@H](CC1=CN=CN1)N)O DFHVLUKTTVTCKY-PBCZWWQYSA-N 0.000 description 1
- VGYOLSOFODKLSP-IHPCNDPISA-N His-Leu-Trp Chemical compound C([C@H](N)C(=O)N[C@@H](CC(C)C)C(=O)N[C@@H](CC=1C2=CC=CC=C2NC=1)C(O)=O)C1=CN=CN1 VGYOLSOFODKLSP-IHPCNDPISA-N 0.000 description 1
- XKIYNCLILDLGRS-QWRGUYRKSA-N His-Lys-Gly Chemical compound NCCCC[C@@H](C(=O)NCC(O)=O)NC(=O)[C@@H](N)CC1=CN=CN1 XKIYNCLILDLGRS-QWRGUYRKSA-N 0.000 description 1
- IAYPZSHNZQHQNO-KKUMJFAQSA-N His-Ser-Phe Chemical compound C1=CC=C(C=C1)C[C@@H](C(=O)O)NC(=O)[C@H](CO)NC(=O)[C@H](CC2=CN=CN2)N IAYPZSHNZQHQNO-KKUMJFAQSA-N 0.000 description 1
- ALPXXNRQBMRCPZ-MEYUZBJRSA-N His-Thr-Phe Chemical compound [H]N[C@@H](CC1=CNC=N1)C(=O)N[C@@H]([C@@H](C)O)C(=O)N[C@@H](CC1=CC=CC=C1)C(O)=O ALPXXNRQBMRCPZ-MEYUZBJRSA-N 0.000 description 1
- LQSBBHNVAVNZSX-GHCJXIJMSA-N Ile-Ala-Asn Chemical compound CC[C@H](C)[C@@H](C(=O)N[C@@H](C)C(=O)N[C@@H](CC(=O)N)C(=O)O)N LQSBBHNVAVNZSX-GHCJXIJMSA-N 0.000 description 1
- DMHGKBGOUAJRHU-UHFFFAOYSA-N Ile-Arg-Pro Natural products CCC(C)C(N)C(=O)NC(CCCN=C(N)N)C(=O)N1CCCC1C(O)=O DMHGKBGOUAJRH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ADCTXFNLZBZAB-GHCJXIJMSA-N Ile-Asn-Ala Chemical compound CC[C@H](C)[C@@H](C(=O)N[C@@H](CC(=O)N)C(=O)N[C@@H](C)C(=O)O)N QADCTXFNLZBZAB-GHCJXIJMSA-N 0.000 description 1
- UKTUOMWSJPXODT-GUDRVLHUSA-N Ile-Asn-Pro Chemical compound CC[C@H](C)[C@@H](C(=O)N[C@@H](CC(=O)N)C(=O)N1CCC[C@@H]1C(=O)O)N UKTUOMWSJPXODT-GUDRVLHUSA-N 0.000 description 1
- UDLAWRKOVFDKFL-PEFMBERDSA-N Ile-Asp-Gln Chemical compound CC[C@H](C)[C@@H](C(=O)N[C@@H](CC(=O)O)C(=O)N[C@@H](CCC(=O)N)C(=O)O)N UDLAWRKOVFDKFL-PEFMBERDSA-N 0.000 description 1
- DFJJAVZIHDFOGQ-MNXVOIDGSA-N Ile-Glu-Lys Chemical compound CC[C@H](C)[C@@H](C(=O)N[C@@H](CCC(=O)O)C(=O)N[C@@H](CCCCN)C(=O)O)N DFJJAVZIHDFOGQ-MNXVOIDGSA-N 0.000 description 1
- SPQWWEZBHXHUJN-KBIXCLLPSA-N Ile-Glu-Ser Chemical compound CC[C@H](C)[C@H](N)C(=O)N[C@@H](CCC(O)=O)C(=O)N[C@@H](CO)C(O)=O SPQWWEZBHXHUJN-KBIXCLLPSA-N 0.000 description 1
- WUKLZPHVWAMZQV-UKJIMTQDSA-N Ile-Glu-Val Chemical compound CC[C@H](C)[C@@H](C(=O)N[C@@H](CCC(=O)O)C(=O)N[C@@H](C(C)C)C(=O)O)N WUKLZPHVWAMZQV-UKJIMTQDSA-N 0.000 description 1
- DFFTXLCCDFYRKD-MBLNEYKQSA-N Ile-Gly-Thr Chemical compound CC[C@H](C)[C@@H](C(=O)NCC(=O)N[C@@H]([C@@H](C)O)C(=O)O)N DFFTXLCCDFYRKD-MBLNEYKQSA-N 0.000 description 1
- JNDYZNJRRNFYIR-VGDYDELISA-N Ile-His-Cys Chemical compound CC[C@H](C)[C@@H](C(=O)N[C@@H](CC1=CN=CN1)C(=O)N[C@@H](CS)C(=O)O)N JNDYZNJRRNFYIR-VGDYDELISA-N 0.000 description 1
- YGDWPQCLFJNMOL-MNXVOIDGSA-N Ile-Leu-Gln Chemical compound CC[C@H](C)[C@@H](C(=O)N[C@@H](CC(C)C)C(=O)N[C@@H](CCC(=O)N)C(=O)O)N YGDWPQCLFJNMOL-MNXVOIDGSA-N 0.000 description 1
- YSGBJIQXTIVBHZ-AJNGGQMLSA-N Ile-Lys-Leu Chemical compound CC[C@H](C)[C@H](N)C(=O)N[C@@H](CCCCN)C(=O)N[C@@H](CC(C)C)C(O)=O YSGBJIQXTIVBHZ-AJNGGQMLSA-N 0.000 description 1
- MASWXTFJVNRZPT-NAKRPEOUSA-N Ile-Met-Ala Chemical compound CC[C@H](C)[C@@H](C(=O)N[C@@H](CCSC)C(=O)N[C@@H](C)C(=O)O)N MASWXTFJVNRZPT-NAKRPEOUSA-N 0.000 description 1
- QQFSKBMCAKWHLG-UHFFFAOYSA-N Ile-Phe-Pro-Pro Chemical compound C1CCC(C(=O)N2C(CCC2)C(O)=O)N1C(=O)C(NC(=O)C(N)C(C)CC)CC1=CC=CC=C1 QQFSKBMCAKWHL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KTNGVMMGIQWIDV-OSUNSFLBSA-N Ile-Pro-Thr Chemical compound CC[C@H](C)[C@H](N)C(=O)N1CCC[C@H]1C(=O)N[C@@H]([C@@H](C)O)C(O)=O KTNGVMMGIQWIDV-OSUNSFLBSA-N 0.000 description 1
- MLSUZXHSNRBDCI-CYDGBPFRSA-N Ile-Pro-Val Chemical compound CC[C@H](C)[C@@H](C(=O)N1CCC[C@H]1C(=O)N[C@@H](C(C)C)C(=O)O)N MLSUZXHSNRBDCI-CYDGBPFRSA-N 0.000 description 1
- COWHUQXTSYTKQC-RWRJDSDZSA-N Ile-Thr-Glu Chemical compound CC[C@H](C)[C@@H](C(=O)N[C@@H]([C@@H](C)O)C(=O)N[C@@H](CCC(=O)O)C(=O)O)N COWHUQXTSYTKQC-RWRJDSDZSA-N 0.000 description 1
- ZYVTXBXHIKGZMD-QSFUFRPTSA-N Ile-Val-Asn Chemical compound CC[C@H](C)[C@@H](C(=O)N[C@@H](C(C)C)C(=O)N[C@@H](CC(=O)N)C(=O)O)N ZYVTXBXHIKGZMD-QSFUFRPTSA-N 0.000 description 1
- 108010021625 Immunoglobulin Fragment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8394 Immunoglobulin Fragment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16844 Immunoglobulin-like doma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50006430 Immunoglobulin-like doma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8010065920 Insulin Lispro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388 Interleukin-4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978 Interleukin-4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QNAYBMKLOCPYGJ-REOHCLBHSA-N L-alanine Chemical compound C[C@H](N)C(O)=O QNAYBMKLOCPYGJ-REOHCLBHSA-N 0.000 description 1
- ZDXPYRJPNDTMRX-VKHMYHEASA-N L-glutamine Chemical compound OC(=O)[C@@H](N)CCC(N)=O ZDXPYRJPNDTMRX-VKHMYHEASA-N 0.000 description 1
- 229930182816 L-glutamin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RCFDOSNHHZGBOY-UHFFFAOYSA-N L-isoleucyl-L-alanine Natural products CCC(C)C(N)C(=O)NC(C)C(O)=O RCFDOSNHHZGBO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MJOZZTKJZQFKDK-GUBZILKMSA-N Leu-Ala-Gln Chemical compound CC(C)C[C@H](N)C(=O)N[C@@H](C)C(=O)N[C@H](C(O)=O)CCC(N)=O MJOZZTKJZQFKDK-GUBZILKMSA-N 0.000 description 1
- QUAAUWNLWMLERT-IHRRRGAJSA-N Leu-Arg-Leu Chemical compound CC(C)C[C@H](N)C(=O)N[C@@H](CCCN=C(N)N)C(=O)N[C@@H](CC(C)C)C(O)=O QUAAUWNLWMLERT-IHRRRGAJSA-N 0.000 description 1
- OGCQGUIWMSBHRZ-CIUDSAMLSA-N Leu-Asn-Ser Chemical compound [H]N[C@@H](CC(C)C)C(=O)N[C@@H](CC(N)=O)C(=O)N[C@@H](CO)C(O)=O OGCQGUIWMSBHRZ-CIUDSAMLSA-N 0.000 description 1
- ZTLGVASZOIKNIX-DCAQKATOSA-N Leu-Gln-Glu Chemical compound CC(C)C[C@@H](C(=O)N[C@@H](CCC(=O)N)C(=O)N[C@@H](CCC(=O)O)C(=O)O)N ZTLGVASZOIKNIX-DCAQKATOSA-N 0.000 description 1
- WQWSMEOYXJTFRU-GUBZILKMSA-N Leu-Glu-Ser Chemical compound [H]N[C@@H](CC(C)C)C(=O)N[C@@H](CCC(O)=O)C(=O)N[C@@H](CO)C(O)=O WQWSMEOYXJTFRU-GUBZILKMSA-N 0.000 description 1
- BABSVXFGKFLIGW-UWVGGRQHSA-N Leu-Gly-Arg Chemical compound CC(C)C[C@H](N)C(=O)NCC(=O)N[C@H](C(O)=O)CCCNC(N)=N BABSVXFGKFLIGW-UWVGGRQHSA-N 0.000 description 1
- VWHGTYCRDRBSFI-ZETCQYMHSA-N Leu-Gly-Gly Chemical compound CC(C)C[C@H](N)C(=O)NCC(=O)NCC(O)=O VWHGTYCRDRBSFI-ZETCQYMHSA-N 0.000 description 1
- PBGDOSARRIJMEV-DLOVCJGASA-N Leu-His-Ala Chemical compound [H]N[C@@H](CC(C)C)C(=O)N[C@@H](CC1=CNC=N1)C(=O)N[C@@H](C)C(O)=O PBGDOSARRIJMEV-DLOVCJGASA-N 0.000 description 1
- BKTXKJMNTSMJDQ-AVGNSLFASA-N Leu-His-Gln Chemical compound CC(C)C[C@@H](C(=O)N[C@@H](CC1=CN=CN1)C(=O)N[C@@H](CCC(=O)N)C(=O)O)N BKTXKJMNTSMJDQ-AVGNSLFASA-N 0.000 description 1
- ORWTWZXGDBYVCP-BJDJZHNGSA-N Leu-Ile-Cys Chemical compound SC[C@@H](C(O)=O)NC(=O)[C@H]([C@@H](C)CC)NC(=O)[C@@H](N)CC(C)C ORWTWZXGDBYVCP-BJDJZHNGSA-N 0.000 description 1
- HNDWYLYAYNBWMP-AJNGGQMLSA-N Leu-Ile-Lys Chemical compound CC[C@H](C)[C@@H](C(=O)N[C@@H](CCCCN)C(=O)O)NC(=O)[C@H](CC(C)C)N HNDWYLYAYNBWMP-AJNGGQMLSA-N 0.000 description 1
- JNDYEOUZBLOVOF-AVGNSLFASA-N Leu-Leu-Gln Chemical compound [H]N[C@@H](CC(C)C)C(=O)N[C@@H](CC(C)C)C(=O)N[C@@H](CCC(N)=O)C(O)=O JNDYEOUZBLOVOF-AVGNSLFASA-N 0.000 description 1
- RXGLHDWAZQECBI-SRVKXCTJSA-N Leu-Leu-Ser Chemical compound CC(C)C[C@H](N)C(=O)N[C@@H](CC(C)C)C(=O)N[C@@H](CO)C(O)=O RXGLHDWAZQECBI-SRVKXCTJSA-N 0.000 description 1
- HDHQQEDVWQGBEE-DCAQKATOSA-N Leu-Met-Ser Chemical compound [H]N[C@@H](CC(C)C)C(=O)N[C@@H](CCSC)C(=O)N[C@@H](CO)C(O)=O HDHQQEDVWQGBEE-DCAQKATOSA-N 0.000 description 1
- JVTYXRRFZCEPPK-RHYQMDGZSA-N Leu-Met-Thr Chemical compound C[C@H]([C@@H](C(=O)O)NC(=O)[C@H](CCSC)NC(=O)[C@H](CC(C)C)N)O JVTYXRRFZCEPPK-RHYQMDGZSA-N 0.000 description 1
- PJWOOBTYQNNRBF-BZSNNMDCSA-N Leu-Phe-Lys Chemical compound CC(C)C[C@@H](C(=O)N[C@@H](CC1=CC=CC=C1)C(=O)N[C@@H](CCCCN)C(=O)O)N PJWOOBTYQNNRBF-BZSNNMDCSA-N 0.000 description 1
- UHNQRAFSEBGZFZ-YESZJQIVSA-N Leu-Phe-Pro Chemical compound CC(C)C[C@@H](C(=O)N[C@@H](CC1=CC=CC=C1)C(=O)N2CCC[C@@H]2C(=O)O)N UHNQRAFSEBGZFZ-YESZJQIVSA-N 0.000 description 1
- WMIOEVKKYIMVKI-DCAQKATOSA-N Leu-Pro-Ala Chemical compound [H]N[C@@H](CC(C)C)C(=O)N1CCC[C@H]1C(=O)N[C@@H](C)C(O)=O WMIOEVKKYIMVKI-DCAQKATOSA-N 0.000 description 1
- DPURXCQCHSQPAN-AVGNSLFASA-N Leu-Pro-Pro Chemical compound CC(C)C[C@H](N)C(=O)N1CCC[C@H]1C(=O)N1[C@H](C(O)=O)CCC1 DPURXCQCHSQPAN-AVGNSLFASA-N 0.000 description 1
- MVHXGBZUJLWZOH-BJDJZHNGSA-N Leu-Ser-Ile Chemical compound [H]N[C@@H](CC(C)C)C(=O)N[C@@H](CO)C(=O)N[C@@H]([C@@H](C)CC)C(O)=O MVHXGBZUJLWZOH-BJDJZHNGSA-N 0.000 description 1
- SBANPBVRHYIMRR-GARJFASQSA-N Leu-Ser-Pro Chemical compound CC(C)C[C@@H](C(=O)N[C@@H](CO)C(=O)N1CCC[C@@H]1C(=O)O)N SBANPBVRHYIMRR-GARJFASQSA-N 0.000 description 1
- SBANPBVRHYIMRR-UHFFFAOYSA-N Leu-Ser-Pro Natural products CC(C)CC(N)C(=O)NC(CO)C(=O)N1CCCC1C(O)=O SBANPBVRHYIMR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AIQWYVFNBNNOLU-RHYQMDGZSA-N Leu-Thr-Val Chemical compound [H]N[C@@H](CC(C)C)C(=O)N[C@@H]([C@@H](C)O)C(=O)N[C@@H](C(C)C)C(O)=O AIQWYVFNBNNOLU-RHYQMDGZSA-N 0.000 description 1
- ARNIBBOXIAWUOP-MGHWNKPDSA-N Leu-Tyr-Ile Chemical compound [H]N[C@@H](CC(C)C)C(=O)N[C@@H](CC1=CC=C(O)C=C1)C(=O)N[C@@H]([C@@H](C)CC)C(O)=O ARNIBBOXIAWUOP-MGHWNKPDSA-N 0.000 description 1
- YIRIDPUGZKHMHT-ACRUOGEOSA-N Leu-Tyr-Tyr Chemical compound [H]N[C@@H](CC(C)C)C(=O)N[C@@H](CC1=CC=C(O)C=C1)C(=O)N[C@@H](CC1=CC=C(O)C=C1)C(O)=O YIRIDPUGZKHMHT-ACRUOGEOSA-N 0.000 description 1
- XZNJZXJZBMBGGS-NHCYSSNCSA-N Leu-Val-Asn Chemical compound [H]N[C@@H](CC(C)C)C(=O)N[C@@H](C(C)C)C(=O)N[C@@H](CC(N)=O)C(O)=O XZNJZXJZBMBGGS-NHCYSSNCSA-N 0.000 description 1
- AAKRWBIIGKPOKQ-ONGXEEELSA-N Leu-Val-Gly Chemical compound CC(C)C[C@H](N)C(=O)N[C@@H](C(C)C)C(=O)NCC(O)=O AAKRWBIIGKPOKQ-ONGXEEELSA-N 0.000 description 1
- MPGHETGWWWUHPY-CIUDSAMLSA-N Lys-Ala-Asp Chemical compound OC(=O)C[C@@H](C(O)=O)NC(=O)[C@H](C)NC(=O)[C@@H](N)CCCCN MPGHETGWWWUHPY-CIUDSAMLSA-N 0.000 description 1
- WSXTWLJHTLRFLW-SRVKXCTJSA-N Lys-Ala-Lys Chemical compound NCCCC[C@H](N)C(=O)N[C@@H](C)C(=O)N[C@@H](CCCCN)C(O)=O WSXTWLJHTLRFLW-SRVKXCTJSA-N 0.000 description 1
- NPBGTPKLVJEOBE-IUCAKERBSA-N Lys-Arg Chemical compound NCCCC[C@H](N)C(=O)N[C@H](C(O)=O)CCCNC(N)=N NPBGTPKLVJEOBE-IUCAKERBSA-N 0.000 description 1
- SWWCDAGDQHTKIE-RHYQMDGZSA-N Lys-Arg-Thr Chemical compound [H]N[C@@H](CCCCN)C(=O)N[C@@H](CCCNC(N)=N)C(=O)N[C@@H]([C@@H](C)O)C(O)=O SWWCDAGDQHTKIE-RHYQMDGZSA-N 0.000 description 1
- NTSPQIONFJUMJV-AVGNSLFASA-N Lys-Arg-Val Chemical compound [H]N[C@@H](CCCCN)C(=O)N[C@@H](CCCNC(N)=N)C(=O)N[C@@H](C(C)C)C(O)=O NTSPQIONFJUMJV-AVGNSLFASA-N 0.000 description 1
- YKIRNDPUWONXQN-GUBZILKMSA-N Lys-Asn-Gln Chemical compound C(CCN)C[C@@H](C(=O)N[C@@H](CC(=O)N)C(=O)N[C@@H](CCC(=O)N)C(=O)O)N YKIRNDPUWONXQN-GUBZILKMSA-N 0.000 description 1
- MKBIVWXCFINCLE-SRVKXCTJSA-N Lys-Asn-His Chemical compound C1=C(NC=N1)C[C@@H](C(=O)O)NC(=O)[C@H](CC(=O)N)NC(=O)[C@H](CCCCN)N MKBIVWXCFINCLE-SRVKXCTJSA-N 0.000 description 1
- IWWMPCPLFXFBAF-SRVKXCTJSA-N Lys-Asp-Leu Chemical compound [H]N[C@@H](CCCCN)C(=O)N[C@@H](CC(O)=O)C(=O)N[C@@H](CC(C)C)C(O)=O IWWMPCPLFXFBAF-SRVKXCTJSA-N 0.000 description 1
- OPTCSTACHGNULU-DCAQKATOSA-N Lys-Cys-Val Chemical compound CC(C)[C@@H](C(O)=O)NC(=O)[C@H](CS)NC(=O)[C@@H](N)CCCCN OPTCSTACHGNULU-DCAQKATOSA-N 0.000 description 1
- GQZMPWBZQALKJO-UWVGGRQHSA-N Lys-Gly-Arg Chemical compound [H]N[C@@H](CCCCN)C(=O)NCC(=O)N[C@@H](CCCNC(N)=N)C(O)=O GQZMPWBZQALKJO-UWVGGRQHSA-N 0.000 description 1
- PGLGNCVOWIORQE-SRVKXCTJSA-N Lys-His-Ser Chemical compound [H]N[C@@H](CCCCN)C(=O)N[C@@H](CC1=CNC=N1)C(=O)N[C@@H](CO)C(O)=O PGLGNCVOWIORQE-SRVKXCTJSA-N 0.000 description 1
- XDPLZVNMYQOFQZ-BJDJZHNGSA-N Lys-Ile-Cys Chemical compound CC[C@H](C)[C@@H](C(=O)N[C@@H](CS)C(=O)O)NC(=O)[C@H](CCCCN)N XDPLZVNMYQOFQZ-BJDJZHNGSA-N 0.000 description 1
- PRSBSVAVOQOAMI-BJDJZHNGSA-N Lys-Ile-Ser Chemical compound OC[C@@H](C(O)=O)NC(=O)[C@H]([C@@H](C)CC)NC(=O)[C@@H](N)CCCCN PRSBSVAVOQOAMI-BJDJZHNGSA-N 0.000 description 1
- AHFOKDZWPPGJAZ-SRVKXCTJSA-N Lys-Lys-Cys Chemical compound C(CCN)C[C@@H](C(=O)N[C@@H](CCCCN)C(=O)N[C@@H](CS)C(=O)O)N AHFOKDZWPPGJAZ-SRVKXCTJSA-N 0.000 description 1
- ODTZHNZPINULEU-KKUMJFAQSA-N Lys-Phe-Asn Chemical compound C1=CC=C(C=C1)C[C@@H](C(=O)N[C@@H](CC(=O)N)C(=O)O)NC(=O)[C@H](CCCCN)N ODTZHNZPINULEU-KKUMJFAQSA-N 0.000 description 1
- HYSVGEAWTGPMOA-IHRRRGAJSA-N Lys-Pro-Leu Chemical compound [H]N[C@@H](CCCCN)C(=O)N1CCC[C@H]1C(=O)N[C@@H](CC(C)C)C(O)=O HYSVGEAWTGPMOA-IHRRRGAJSA-N 0.000 description 1
- SBQDRNOLGSYHQA-YUMQZZPRSA-N Lys-Ser-Gly Chemical compound [H]N[C@@H](CCCCN)C(=O)N[C@@H](CO)C(=O)NCC(O)=O SBQDRNOLGSYHQA-YUMQZZPRSA-N 0.000 description 1
- DIBZLYZXTSVGLN-CIUDSAMLSA-N Lys-Ser-Ser Chemical compound [H]N[C@@H](CCCCN)C(=O)N[C@@H](CO)C(=O)N[C@@H](CO)C(O)=O DIBZLYZXTSVGLN-CIUDSAMLSA-N 0.000 description 1
- MIFFFXHMAHFACR-KATARQTJSA-N Lys-Ser-Thr Chemical compound C[C@@H](O)[C@@H](C(O)=O)NC(=O)[C@H](CO)NC(=O)[C@@H](N)CCCCN MIFFFXHMAHFACR-KATARQTJSA-N 0.000 description 1
- CAVRAQIDHUPECU-UVOCVTCTSA-N Lys-Thr-Thr Chemical compound [H]N[C@@H](CCCCN)C(=O)N[C@@H]([C@@H](C)O)C(=O)N[C@@H]([C@@H](C)O)C(O)=O CAVRAQIDHUPECU-UVOCVTCTSA-N 0.000 description 1
- IMDJSVBFQKDDEQ-MGHWNKPDSA-N Lys-Tyr-Ile Chemical compound CC[C@H](C)[C@@H](C(=O)O)NC(=O)[C@H](CC1=CC=C(C=C1)O)NC(=O)[C@H](CCCCN)N IMDJSVBFQKDDEQ-MGHWNKPDSA-N 0.000 description 1
- QLFAPXUXEBAWEK-NHCYSSNCSA-N Lys-Val-Asp Chemical compound [H]N[C@@H](CCCCN)C(=O)N[C@@H](C(C)C)C(=O)N[C@@H](CC(O)=O)C(O)=O QLFAPXUXEBAWEK-NHCYSSNCSA-N 0.000 description 1
- XABXVVSWUVCZST-GVXVVHGQSA-N Lys-Val-Gln Chemical compound NC(=O)CC[C@@H](C(O)=O)NC(=O)[C@H](C(C)C)NC(=O)[C@@H](N)CCCCN XABXVVSWUVCZST-GVXVVHGQSA-N 0.000 description 1
- GILLQRYAWOMHED-DCAQKATOSA-N Lys-Val-Ser Chemical compound OC[C@@H](C(O)=O)NC(=O)[C@H](C(C)C)NC(=O)[C@@H](N)CCCCN GILLQRYAWOMHED-DCAQKATOSA-N 0.000 description 1
- HMZPYMSEAALNAE-ULQDDVLXSA-N Lys-Val-Tyr Chemical compound [H]N[C@@H](CCCCN)C(=O)N[C@@H](C(C)C)C(=O)N[C@@H](CC1=CC=C(O)C=C1)C(O)=O HMZPYMSEAALNAE-ULQDDVLX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124008 Mammal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529936 Murin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SITLTJHOQZFJGG-UHFFFAOYSA-N N-L-alpha-glutamyl-L-valine Natural products CC(C)C(C(O)=O)NC(=O)C(N)CCC(O)=O SITLTJHOQZFJG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MBSYZWANAQXEV-UHFFFAOYSA-N N-alpha-L-glutamyl-L-phenylalanine Natural products OC(=O)CCC(N)C(=O)NC(C(O)=O)CC1=CC=CC=C1 XMBSYZWANAQXE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CHJJGSNFBQVOTG-UHFFFAOYSA-N N-methyl-guanidine Natural products CNC(N)=N CHJJGSNFBQVOT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1100342977 Neurospora crassa (strain ATCC 24698 / 74-OR23-1A / CBS 708.71 / DSM 1257 / FGSC 987) leu-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589 Obes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0216 Oesophag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3733 Papul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94479 Peco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30182555 Penicill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JGSARLDLIJGVTE-MBNYWOFBSA-N Penicillin G Chemical compound N([C@H]1[C@H]2SC([C@@H](N2C1=O)C(O)=O)(C)C)C(=O)CC1=CC=CC=C1 JGSARLDLIJGVTE-MBNYWOFBSA-N 0.000 description 1
- 102000035195 Peptid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1005804 Peptid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3992 Peroxid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HXSUFWQYLPKEHF-IHRRRGAJSA-N Phe-Asn-Arg Chemical compound C1=CC=C(C=C1)C[C@@H](C(=O)N[C@@H](CC(=O)N)C(=O)N[C@@H](CCCN=C(N)N)C(=O)O)N HXSUFWQYLPKEHF-IHRRRGAJSA-N 0.000 description 1
- CUMXHKAOHNWRFQ-BZSNNMDCSA-N Phe-Asp-Tyr Chemical compound C([C@H](N)C(=O)N[C@@H](CC(O)=O)C(=O)N[C@@H](CC=1C=CC(O)=CC=1)C(O)=O)C1=CC=CC=C1 CUMXHKAOHNWRFQ-BZSNNMDCSA-N 0.000 description 1
- LLGTYVHITPVGKR-RYUDHWBXSA-N Phe-Gln-Gly Chemical compound [H]N[C@@H](CC1=CC=CC=C1)C(=O)N[C@@H](CCC(N)=O)C(=O)NCC(O)=O LLGTYVHITPVGKR-RYUDHWBXSA-N 0.000 description 1
- DVOCGBNHAUHKHJ-DKIMLUQUSA-N Phe-Ile-Leu Chemical compound [H]N[C@@H](CC1=CC=CC=C1)C(=O)N[C@@H]([C@@H](C)CC)C(=O)N[C@@H](CC(C)C)C(O)=O DVOCGBNHAUHKHJ-DKIMLUQUSA-N 0.000 description 1
- SMFGCTXUBWEPKM-KBPBESRZSA-N Phe-Leu-Gly Chemical compound OC(=O)CNC(=O)[C@H](CC(C)C)NC(=O)[C@@H](N)CC1=CC=CC=C1 SMFGCTXUBWEPKM-KBPBESRZSA-N 0.000 description 1
- JDMKQHSHKJHAHR-UHFFFAOYSA-N Phe-Phe-Leu-Tyr Natural products C=1C=C(O)C=CC=1CC(C(O)=O)NC(=O)C(CC(C)C)NC(=O)C(NC(=O)C(N)CC=1C=CC=CC=1)CC1=CC=CC=C1 JDMKQHSHKJHAH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AFNJAQVMTIQTCB-DLOVCJGASA-N Phe-Ser-Ala Chemical compound OC(=O)[C@H](C)NC(=O)[C@H](CO)NC(=O)[C@@H](N)CC1=CC=CC=C1 AFNJAQVMTIQTCB-DLOVCJGASA-N 0.000 description 1
- MWQXFDIQXIXPMS-UNQGMJICSA-N Phe-Val-Thr Chemical compound C[C@H]([C@@H](C(=O)O)NC(=O)[C@H](C(C)C)NC(=O)[C@H](CC1=CC=CC=C1)N)O MWQXFDIQXIXPMS-UNQGMJIC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36105 Polyneuropath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062 Polyp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OOLOTUZJUBOMAX-GUBZILKMSA-N Pro-Ala-Val Chemical compound [H]N1CCC[C@H]1C(=O)N[C@@H](C)C(=O)N[C@@H](C(C)C)C(O)=O OOLOTUZJUBOMAX-GUBZILKMSA-N 0.000 description 1
- IHCXPSYCHXFXKT-DCAQKATOSA-N Pro-Arg-Glu Chemical compound [H]N1CCC[C@H]1C(=O)N[C@@H](CCCNC(N)=N)C(=O)N[C@@H](CCC(O)=O)C(O)=O IHCXPSYCHXFXKT-DCAQKATOSA-N 0.000 description 1
- VJLJGKQAOQJXJG-CIUDSAMLSA-N Pro-Asp-Glu Chemical compound [H]N1CCC[C@H]1C(=O)N[C@@H](CC(O)=O)C(=O)N[C@@H](CCC(O)=O)C(O)=O VJLJGKQAOQJXJG-CIUDSAMLSA-N 0.000 description 1
- NXEYSLRNNPWCRN-SRVKXCTJSA-N Pro-Glu-Leu Chemical compound [H]N1CCC[C@H]1C(=O)N[C@@H](CCC(O)=O)C(=O)N[C@@H](CC(C)C)C(O)=O NXEYSLRNNPWCRN-SRVKXCTJSA-N 0.000 description 1
- VPEVBAUSTBWQHN-NHCYSSNCSA-N Pro-Glu-Val Chemical compound [H]N1CCC[C@H]1C(=O)N[C@@H](CCC(O)=O)C(=O)N[C@@H](C(C)C)C(O)=O VPEVBAUSTBWQHN-NHCYSSNCSA-N 0.000 description 1
- KWMUAKQOVYCQJQ-ZPFDUUQYSA-N Pro-Ile-Glu Chemical compound CC[C@H](C)[C@@H](C(=O)N[C@@H](CCC(=O)O)C(=O)O)NC(=O)[C@@H]1CCCN1 KWMUAKQOVYCQJQ-ZPFDUUQYSA-N 0.000 description 1
- FKVNLUZHSFCNGY-RVMXOQNASA-N Pro-Ile-Pro Chemical compound CC[C@H](C)[C@@H](C(=O)N1CCC[C@@H]1C(=O)O)NC(=O)[C@@H]2CCCN2 FKVNLUZHSFCNGY-RVMXOQNASA-N 0.000 description 1
- RYJRPPUATSKNAY-STECZYCISA-N Pro-Ile-Tyr Chemical compound CC[C@H](C)[C@@H](C(=O)N[C@@H](CC1=CC=C(C=C1)O)C(=O)O)NC(=O)[C@@H]2CCCN2 RYJRPPUATSKNAY-STECZYCISA-N 0.000 description 1
- FMLRRBDLBJLJIK-DCAQKATOSA-N Pro-Leu-Ala Chemical compound OC(=O)[C@H](C)NC(=O)[C@H](CC(C)C)NC(=O)[C@@H]1CCCN1 FMLRRBDLBJLJIK-DCAQKATOSA-N 0.000 description 1
- RUDOLGWDSKQQFF-DCAQKATOSA-N Pro-Leu-Asn Chemical compound [H]N1CCC[C@H]1C(=O)N[C@@H](CC(C)C)C(=O)N[C@@H](CC(N)=O)C(O)=O RUDOLGWDSKQQFF-DCAQKATOSA-N 0.000 description 1
- XQPHBAKJJJZOBX-SRVKXCTJSA-N Pro-Lys-Glu Chemical compound [H]N1CCC[C@H]1C(=O)N[C@@H](CCCCN)C(=O)N[C@@H](CCC(O)=O)C(O)=O XQPHBAKJJJZOBX-SRVKXCTJSA-N 0.000 description 1
- ULWBBFKQBDNGOY-RWMBFGLXSA-N Pro-Lys-Pro Chemical compound C1C[C@H](NC1)C(=O)N[C@@H](CCCCN)C(=O)N2CCC[C@@H]2C(=O)O ULWBBFKQBDNGOY-RWMBFGLXSA-N 0.000 description 1
- AWQGDZBKQTYNMN-IHRRRGAJSA-N Pro-Phe-Asp Chemical compound C1C[C@H](NC1)C(=O)N[C@@H](CC2=CC=CC=C2)C(=O)N[C@@H](CC(=O)O)C(=O)O AWQGDZBKQTYNMN-IHRRRGAJSA-N 0.000 description 1
- SPLBRAKYXGOFSO-UNQGMJICSA-N Pro-Phe-Thr Chemical compound C[C@H]([C@@H](C(=O)O)NC(=O)[C@H](CC1=CC=CC=C1)NC(=O)[C@@H]2CCCN2)O SPLBRAKYXGOFSO-UNQGMJICSA-N 0.000 description 1
- KBUAPZAZPWNYSW-SRVKXCTJSA-N Pro-Pro-Val Chemical compound CC(C)[C@@H](C(O)=O)NC(=O)[C@@H]1CCCN1C(=O)[C@H]1NCCC1 KBUAPZAZPWNYSW-SRVKXCTJSA-N 0.000 description 1
- MKGIILKDUGDRRO-FXQIFTODSA-N Pro-Ser-Ser Chemical compound OC[C@@H](C(O)=O)NC(=O)[C@H](CO)NC(=O)[C@@H]1CCCN1 MKGIILKDUGDRRO-FXQIFTODSA-N 0.000 description 1
- PRKWBYCXBBSLSK-GUBZILKMSA-N Pro-Ser-Val Chemical compound [H]N1CCC[C@H]1C(=O)N[C@@H](CO)C(=O)N[C@@H](C(C)C)C(O)=O PRKWBYCXBBSLSK-GUBZILKMSA-N 0.000 description 1
- NWUIBMXICBBZQQ-DWRORGKVSA-N Pro-Val-Asn-Phe Chemical compound N([C@@H](C(C)C)C(=O)N[C@@H](CC(N)=O)C(=O)N[C@@H](CC=1C=CC=CC=1)C(O)=O)C(=O)[C@@H]1CCCN1 NWUIBMXICBBZQQ-DWRORGKVSA-N 0.000 description 1
- DGDCSVGVWWAJRS-AVGNSLFASA-N Pro-Val-His Chemical compound CC(C)[C@@H](C(=O)N[C@@H](CC1=CN=CN1)C(=O)O)NC(=O)[C@@H]2CCCN2 DGDCSVGVWWAJRS-AVGNSLFASA-N 0.000 description 1
- FIODMZKLZFLYQP-GUBZILKMSA-N Pro-Val-Ser Chemical compound [H]N1CCC[C@H]1C(=O)N[C@@H](C(C)C)C(=O)N[C@@H](CO)C(O)=O FIODMZKLZFLYQP-GUBZILKM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3251 Prur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9464 Pulmonary infiltrate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9085 Rhinitis allergic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UEJYSALTSUZXFV-SRVKXCTJSA-N Rigin Chemical compound NCC(=O)N[C@@H](CCC(N)=O)C(=O)N1CCC[C@H]1C(=O)N[C@@H](CCCN=C(N)N)C(O)=O UEJYSALTSUZXFV-SRVKXCTJ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39509 Scab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84 Sephar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YQHZVYJAGWMHES-ZLUOBGJFSA-N Ser-Ala-Ser Chemical compound OC[C@H](N)C(=O)N[C@@H](C)C(=O)N[C@@H](CO)C(O)=O YQHZVYJAGWMHES-ZLUOBGJFSA-N 0.000 description 1
- YUSRGTQIPCJNHQ-CIUDSAMLSA-N Ser-Arg-Glu Chemical compound [H]N[C@@H](CO)C(=O)N[C@@H](CCCNC(N)=N)C(=O)N[C@@H](CCC(O)=O)C(O)=O YUSRGTQIPCJNHQ-CIUDSAMLSA-N 0.000 description 1
- HZWAHWQZPSXNCB-BPUTZDHNSA-N Ser-Arg-Trp Chemical compound [H]N[C@@H](CO)C(=O)N[C@@H](CCCNC(N)=N)C(=O)N[C@@H](CC1=CNC2=C1C=CC=C2)C(O)=O HZWAHWQZPSXNCB-BPUTZDHNSA-N 0.000 description 1
- VAUMZJHYZQXZBQ-WHFBIAKZSA-N Ser-Asn-Gly Chemical compound OC[C@H](N)C(=O)N[C@@H](CC(N)=O)C(=O)NCC(O)=O VAUMZJHYZQXZBQ-WHFBIAKZSA-N 0.000 description 1
- YMEXHZTVKDAKIY-GHCJXIJMSA-N Ser-Asn-Ile Chemical compound CC[C@H](C)[C@H](NC(=O)[C@H](CC(N)=O)NC(=O)[C@@H](N)CO)C(O)=O YMEXHZTVKDAKIY-GHCJXIJMSA-N 0.000 description 1
- UGJRQLURDVGULT-LKXGYXEUSA-N Ser-Asn-Thr Chemical compound [H]N[C@@H](CO)C(=O)N[C@@H](CC(N)=O)C(=O)N[C@@H]([C@@H](C)O)C(O)=O UGJRQLURDVGULT-LKXGYXEUSA-N 0.000 description 1
- QPFJSHSJFIYDJZ-GHCJXIJMSA-N Ser-Asp-Ile Chemical compound CC[C@H](C)[C@@H](C(O)=O)NC(=O)[C@H](CC(O)=O)NC(=O)[C@@H](N)CO QPFJSHSJFIYDJZ-GHCJXIJMSA-N 0.000 description 1
- KNCJWSPMTFFJII-ZLUOBGJFSA-N Ser-Cys-Asp Chemical compound [H]N[C@@H](CO)C(=O)N[C@@H](CS)C(=O)N[C@@H](CC(O)=O)C(O)=O KNCJWSPMTFFJII-ZLUOBGJFSA-N 0.000 description 1
- MOVJSUIKUNCVMG-ZLUOBGJFSA-N Ser-Cys-Ser Chemical compound C([C@@H](C(=O)N[C@@H](CS)C(=O)N[C@@H](CO)C(=O)O)N)O MOVJSUIKUNCVMG-ZLUOBGJFSA-N 0.000 description 1
- YMTLKLXDFCSCNX-BYPYZUCNSA-N Ser-Gly-Gly Chemical compound OC[C@H](N)C(=O)NCC(=O)NCC(O)=O YMTLKLXDFCSCNX-BYPYZUCNSA-N 0.000 description 1
- GZFAWAQTEYDKII-YUMQZZPRSA-N Ser-Gly-Leu Chemical compound CC(C)C[C@@H](C(O)=O)NC(=O)CNC(=O)[C@@H](N)CO GZFAWAQTEYDKII-YUMQZZPRSA-N 0.000 description 1
- XXXAXOWMBOKTRN-XPUUQOCRSA-N Ser-Gly-Val Chemical compound [H]N[C@@H](CO)C(=O)NCC(=O)N[C@@H](C(C)C)C(O)=O XXXAXOWMBOKTRN-XPUUQOCRSA-N 0.000 description 1
- HMRAQFJFTOLDKW-GUBZILKMSA-N Ser-His-Glu Chemical compound [H]N[C@@H](CO)C(=O)N[C@@H](CC1=CNC=N1)C(=O)N[C@@H](CCC(O)=O)C(O)=O HMRAQFJFTOLDKW-GUBZILKMSA-N 0.000 description 1
- HBTCFCHYALPXME-HTFCKZLJSA-N Ser-Ile-Ile Chemical compound [H]N[C@@H](CO)C(=O)N[C@@H]([C@@H](C)CC)C(=O)N[C@@H]([C@@H](C)CC)C(O)=O HBTCFCHYALPXME-HTFCKZLJSA-N 0.000 description 1
- IUXGJEIKJBYKOO-SRVKXCTJSA-N Ser-Leu-His Chemical compound CC(C)C[C@@H](C(=O)N[C@@H](CC1=CN=CN1)C(=O)O)NC(=O)[C@H](CO)N IUXGJEIKJBYKOO-SRVKXCTJSA-N 0.000 description 1
- VMLONWHIORGALA-SRVKXCTJSA-N Ser-Leu-Leu Chemical compound CC(C)C[C@@H](C([O-])=O)NC(=O)[C@H](CC(C)C)NC(=O)[C@@H]([NH3+])CO VMLONWHIORGALA-SRVKXCTJSA-N 0.000 description 1
- XUDRHBPSPAPDJP-SRVKXCTJSA-N Ser-Lys-Leu Chemical compound CC(C)C[C@@H](C(O)=O)NC(=O)[C@H](CCCCN)NC(=O)[C@@H](N)CO XUDRHBPSPAPDJP-SRVKXCTJSA-N 0.000 description 1
- QJKPECIAWNNKIT-KKUMJFAQSA-N Ser-Lys-Tyr Chemical compound [H]N[C@@H](CO)C(=O)N[C@@H](CCCCN)C(=O)N[C@@H](CC1=CC=C(O)C=C1)C(O)=O QJKPECIAWNNKIT-KKUMJFAQSA-N 0.000 description 1
- AXVNLRQLPLSIPQ-FXQIFTODSA-N Ser-Met-Cys Chemical compound CSCC[C@@H](C(=O)N[C@@H](CS)C(=O)O)NC(=O)[C@H](CO)N AXVNLRQLPLSIPQ-FXQIFTODSA-N 0.000 description 1
- CKDXFSPMIDSMGV-GUBZILKMSA-N Ser-Pro-Val Chemical compound [H]N[C@@H](CO)C(=O)N1CCC[C@H]1C(=O)N[C@@H](C(C)C)C(O)=O CKDXFSPMIDSMGV-GUBZILKMSA-N 0.000 description 1
- BMKNXTJLHFIAAH-CIUDSAMLSA-N Ser-Ser-Leu Chemical compound [H]N[C@@H](CO)C(=O)N[C@@H](CO)C(=O)N[C@@H](CC(C)C)C(O)=O BMKNXTJLHFIAAH-CIUDSAMLSA-N 0.000 description 1
- NADLKBTYNKUJEP-KATARQTJSA-N Ser-Thr-Leu Chemical compound [H]N[C@@H](CO)C(=O)N[C@@H]([C@@H](C)O)C(=O)N[C@@H](CC(C)C)C(O)=O NADLKBTYNKUJEP-KATARQTJSA-N 0.000 description 1
- ZKOKTQPHFMRSJP-YJRXYDGGSA-N Ser-Thr-Tyr Chemical compound [H]N[C@@H](CO)C(=O)N[C@@H]([C@@H](C)O)C(=O)N[C@@H](CC1=CC=C(O)C=C1)C(O)=O ZKOKTQPHFMRSJP-YJRXYDGGSA-N 0.000 description 1
- NERYDXBVARJIQS-JYBASQMISA-N Ser-Trp-Thr Chemical compound C[C@H]([C@@H](C(=O)O)NC(=O)[C@H](CC1=CNC2=CC=CC=C21)NC(=O)[C@H](CO)N)O NERYDXBVARJIQS-JYBASQMISA-N 0.000 description 1
- IAOHCSQDQDWRQU-GUBZILKMSA-N Ser-Val-Arg Chemical compound [H]N[C@@H](CO)C(=O)N[C@@H](C(C)C)C(=O)N[C@@H](CCCNC(N)=N)C(O)=O IAOHCSQDQDWRQU-GUBZILKMSA-N 0.000 description 1
- HSWXBJCBYSWBPT-GUBZILKMSA-N Ser-Val-Val Chemical compound CC(C)[C@H](NC(=O)[C@@H](NC(=O)[C@@H](N)CO)C(C)C)C(O)=O HSWXBJCBYSWBPT-GUBZILKMSA-N 0.000 description 1
- 108091081024 Start codo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898 Sus scrof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67 T cell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744 T-lymph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IGROJMCBGRFRGI-YTLHQDLWSA-N Thr-Ala-Ala Chemical compound C[C@@H](O)[C@H](N)C(=O)N[C@@H](C)C(=O)N[C@@H](C)C(O)=O IGROJMCBGRFRGI-YTLHQDLWSA-N 0.000 description 1
- DWYAUVCQDTZIJI-VZFHVOOUSA-N Thr-Ala-Ser Chemical compound C[C@@H](O)[C@H](N)C(=O)N[C@@H](C)C(=O)N[C@@H](CO)C(O)=O DWYAUVCQDTZIJI-VZFHVOOUSA-N 0.000 description 1
- UKBSDLHIKIXJKH-HJGDQZAQSA-N Thr-Arg-Glu Chemical compound [H]N[C@@H]([C@@H](C)O)C(=O)N[C@@H](CCCNC(N)=N)C(=O)N[C@@H](CCC(O)=O)C(O)=O UKBSDLHIKIXJKH-HJGDQZAQSA-N 0.000 description 1
- PQLXHSACXPGWPD-GSSVUCPTSA-N Thr-Asn-Thr Chemical compound [H]N[C@@H]([C@@H](C)O)C(=O)N[C@@H](CC(N)=O)C(=O)N[C@@H]([C@@H](C)O)C(O)=O PQLXHSACXPGWPD-GSSVUCPTSA-N 0.000 description 1
- JVTHIXKSVYEWNI-JRQIVUDYSA-N Thr-Asn-Tyr Chemical compound [H]N[C@@H]([C@@H](C)O)C(=O)N[C@@H](CC(N)=O)C(=O)N[C@@H](CC1=CC=C(O)C=C1)C(O)=O JVTHIXKSVYEWNI-JRQIVUDYSA-N 0.000 description 1
- LMMDEZPNUTZJAY-GCJQMDKQSA-N Thr-Asp-Ala Chemical compound [H]N[C@@H]([C@@H](C)O)C(=O)N[C@@H](CC(O)=O)C(=O)N[C@@H](C)C(O)=O LMMDEZPNUTZJAY-GCJQMDKQSA-N 0.000 description 1
- UZJDBCHMIQXLOQ-HEIBUPTGSA-N Thr-Cys-Thr Chemical compound C[C@H]([C@@H](C(=O)N[C@@H](CS)C(=O)N[C@@H]([C@@H](C)O)C(=O)O)N)O UZJDBCHMIQXLOQ-HEIBUPTGSA-N 0.000 description 1
- LAFLAXHTDVNVEL-WDCWCFNPSA-N Thr-Gln-Lys Chemical compound C[C@H]([C@@H](C(=O)N[C@@H](CCC(=O)N)C(=O)N[C@@H](CCCCN)C(=O)O)N)O LAFLAXHTDVNVEL-WDCWCFNPSA-N 0.000 description 1
- LGNBRHZANHMZHK-NUMRIWBASA-N Thr-Glu-Asp Chemical compound C[C@H]([C@@H](C(=O)N[C@@H](CCC(=O)O)C(=O)N[C@@H](CC(=O)O)C(=O)O)N)O LGNBRHZANHMZHK-NUMRIWBASA-N 0.000 description 1
- GKWNLDNXMMLRMC-GLLZPBPUSA-N Thr-Glu-Gln Chemical compound C[C@H]([C@@H](C(=O)N[C@@H](CCC(=O)O)C(=O)N[C@@H](CCC(=O)N)C(=O)O)N)O GKWNLDNXMMLRMC-GLLZPBPUSA-N 0.000 description 1
- UDQBCBUXAQIZAK-GLLZPBPUSA-N Thr-Glu-Glu Chemical compound [H]N[C@@H]([C@@H](C)O)C(=O)N[C@@H](CCC(O)=O)C(=O)N[C@@H](CCC(O)=O)C(O)=O UDQBCBUXAQIZAK-GLLZPBPUSA-N 0.000 description 1
- VULNJDORNLBPNG-SWRJLBSHSA-N Thr-Glu-Trp Chemical compound C[C@H]([C@@H](C(=O)N[C@@H](CCC(=O)O)C(=O)N[C@@H](CC1=CNC2=CC=CC=C21)C(=O)O)N)O VULNJDORNLBPNG-SWRJLBSHSA-N 0.000 description 1
- NQVDGKYAUHTCME-QTKMDUPCSA-N Thr-His-Arg Chemical compound C[C@H]([C@@H](C(=O)N[C@@H](CC1=CN=CN1)C(=O)N[C@@H](CCCN=C(N)N)C(=O)O)N)O NQVDGKYAUHTCME-QTKMDUPCSA-N 0.000 description 1
- SXAGUVRFGJSFKC-ZEILLAHLSA-N Thr-His-Thr Chemical compound [H]N[C@@H]([C@@H](C)O)C(=O)N[C@@H](CC1=CNC=N1)C(=O)N[C@@H]([C@@H](C)O)C(O)=O SXAGUVRFGJSFKC-ZEILLAHLSA-N 0.000 description 1
- DDDLIMCZFKOERC-SVSWQMSJSA-N Thr-Ile-Cys Chemical compound CC[C@H](C)[C@@H](C(=O)N[C@@H](CS)C(=O)O)NC(=O)[C@H]([C@@H](C)O)N DDDLIMCZFKOERC-SVSWQMSJSA-N 0.000 description 1
- ADPHPKGWVDHWML-PPCPHDFISA-N Thr-Ile-Leu Chemical compound CC[C@H](C)[C@@H](C(=O)N[C@@H](CC(C)C)C(=O)O)NC(=O)[C@H]([C@@H](C)O)N ADPHPKGWVDHWML-PPCPHDFISA-N 0.000 description 1
- AHOLTQCAVBSUDP-PPCPHDFISA-N Thr-Ile-Lys Chemical compound CC[C@H](C)[C@H](NC(=O)[C@@H](N)[C@@H](C)O)C(=O)N[C@@H](CCCCN)C(O)=O AHOLTQCAVBSUDP-PPCPHDFISA-N 0.000 description 1
- FQPDRTDDEZXCEC-SVSWQMSJSA-N Thr-Ile-Ser Chemical compound [H]N[C@@H]([C@@H](C)O)C(=O)N[C@@H]([C@@H](C)CC)C(=O)N[C@@H](CO)C(O)=O FQPDRTDDEZXCEC-SVSWQMSJSA-N 0.000 description 1
- VTVVYQOXJCZVEB-WDCWCFNPSA-N Thr-Leu-Glu Chemical compound [H]N[C@@H]([C@@H](C)O)C(=O)N[C@@H](CC(C)C)C(=O)N[C@@H](CCC(O)=O)C(O)=O VTVVYQOXJCZVEB-WDCWCFNPSA-N 0.000 description 1
- MEJHFIOYJHTWMK-VOAKCMCISA-N Thr-Leu-Leu Chemical compound CC(C)C[C@@H](C(O)=O)NC(=O)[C@H](CC(C)C)NC(=O)[C@@H](N)[C@@H](C)O MEJHFIOYJHTWMK-VOAKCMCISA-N 0.000 description 1
- YOOAQCZYZHGUAZ-KATARQTJSA-N Thr-Leu-Ser Chemical compound [H]N[C@@H]([C@@H](C)O)C(=O)N[C@@H](CC(C)C)C(=O)N[C@@H](CO)C(O)=O YOOAQCZYZHGUAZ-KATARQTJSA-N 0.000 description 1
- JLNMFGCJODTXDH-WEDXCCLWSA-N Thr-Lys-Gly Chemical compound [H]N[C@@H]([C@@H](C)O)C(=O)N[C@@H](CCCCN)C(=O)NCC(O)=O JLNMFGCJODTXDH-WEDXCCLWSA-N 0.000 description 1
- XSEPSRUDSPHMPX-KATARQTJSA-N Thr-Lys-Ser Chemical compound [H]N[C@@H]([C@@H](C)O)C(=O)N[C@@H](CCCCN)C(=O)N[C@@H](CO)C(O)=O XSEPSRUDSPHMPX-KATARQTJSA-N 0.000 description 1
- FWTFAZKJORVTIR-VZFHVOOUSA-N Thr-Ser-Ala Chemical compound [H]N[C@@H]([C@@H](C)O)C(=O)N[C@@H](CO)C(=O)N[C@@H](C)C(O)=O FWTFAZKJORVTIR-VZFHVOOUSA-N 0.000 description 1
- RPECVQBNONKZAT-WZLNRYEVSA-N Thr-Tyr-Ile Chemical compound CC[C@H](C)[C@@H](C(=O)O)NC(=O)[C@H](CC1=CC=C(C=C1)O)NC(=O)[C@H]([C@@H](C)O)N RPECVQBNONKZAT-WZLNRYEVSA-N 0.000 description 1
- FYBFTPLPAXZBOY-KKHAAJSZSA-N Thr-Val-Asp Chemical compound [H]N[C@@H]([C@@H](C)O)C(=O)N[C@@H](C(C)C)C(=O)N[C@@H](CC(O)=O)C(O)=O FYBFTPLPAXZBOY-KKHAAJSZSA-N 0.000 description 1
- QNXZCKMXHPULME-ZNSHCXBVSA-N Thr-Val-Pro Chemical compound C[C@H]([C@@H](C(=O)N[C@@H](C(C)C)C(=O)N1CCC[C@@H]1C(=O)O)N)O QNXZCKMXHPULME-ZNSHCXBV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04 Triton X-100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4890 Triton X-100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VDUJEEQMRQCLHB-YTQUADARSA-N Trp-Lys-Pro Chemical compound C1C[C@@H](N(C1)C(=O)[C@H](CCCCN)NC(=O)[C@H](CC2=CNC3=CC=CC=C32)N)C(=O)O VDUJEEQMRQCLHB-YTQUADARSA-N 0.000 description 1
- NLWCSMOXNKBRLC-WDSOQIARSA-N Trp-Lys-Val Chemical compound [H]N[C@@H](CC1=CNC2=C1C=CC=C2)C(=O)N[C@@H](CCCCN)C(=O)N[C@@H](C(C)C)C(O)=O NLWCSMOXNKBRLC-WDSOQIARSA-N 0.000 description 1
- CSOBBJWWODOYGW-ILWGZMRPSA-N Trp-Phe-Pro Chemical compound C1C[C@@H](N(C1)C(=O)[C@H](CC2=CC=CC=C2)NC(=O)[C@H](CC3=CNC4=CC=CC=C43)N)C(=O)O CSOBBJWWODOYGW-ILWGZMRPSA-N 0.000 description 1
- KXFYAQUYJKOQMI-QEJZJMRPSA-N Trp-Ser-Gln Chemical compound C1=CC=C2C(C[C@H](N)C(=O)N[C@@H](CO)C(=O)N[C@@H](CCC(N)=O)C(O)=O)=CNC2=C1 KXFYAQUYJKOQMI-QEJZJMRPSA-N 0.000 description 1
- SSSDKJMQMZTMJP-BVSLBCMMSA-N Trp-Tyr-Val Chemical compound C([C@@H](C(=O)N[C@@H](C(C)C)C(O)=O)NC(=O)[C@@H](N)CC=1C2=CC=CC=C2NC=1)C1=CC=C(O)C=C1 SSSDKJMQMZTMJP-BVSLBCMMSA-N 0.000 description 1
- QYSBJAUCUKHSLU-JYJNAYRXSA-N Tyr-Arg-Val Chemical compound [H]N[C@@H](CC1=CC=C(O)C=C1)C(=O)N[C@@H](CCCNC(N)=N)C(=O)N[C@@H](C(C)C)C(O)=O QYSBJAUCUKHSLU-JYJNAYRXSA-N 0.000 description 1
- SCCKSNREWHMKOJ-SRVKXCTJSA-N Tyr-Asn-Ser Chemical compound N[C@@H](Cc1ccc(O)cc1)C(=O)N[C@@H](CC(N)=O)C(=O)N[C@@H](CO)C(O)=O SCCKSNREWHMKOJ-SRVKXCTJSA-N 0.000 description 1
- NKUGCYDFQKFVOJ-JYJNAYRXSA-N Tyr-Leu-Gln Chemical compound NC(=O)CC[C@@H](C(O)=O)NC(=O)[C@H](CC(C)C)NC(=O)[C@@H](N)CC1=CC=C(O)C=C1 NKUGCYDFQKFVOJ-JYJNAYRXSA-N 0.000 description 1
- GZUIDWDVMWZSMI-KKUMJFAQSA-N Tyr-Lys-Cys Chemical compound NCCCC[C@@H](C(=O)N[C@@H](CS)C(O)=O)NC(=O)[C@@H](N)CC1=CC=C(O)C=C1 GZUIDWDVMWZSMI-KKUMJFAQSA-N 0.000 description 1
- WURLIFOWSMBUAR-SLFFLAALSA-N Tyr-Phe-Pro Chemical compound C1C[C@@H](N(C1)C(=O)[C@H](CC2=CC=CC=C2)NC(=O)[C@H](CC3=CC=C(C=C3)O)N)C(=O)O WURLIFOWSMBUAR-SLFFLAAL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780 Urticar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SCBITHMBEJNRHC-LSJOCFKGSA-N Val-Asp-Val Chemical compound CC(C)[C@@H](C(=O)N[C@@H](CC(=O)O)C(=O)N[C@@H](C(C)C)C(=O)O)N SCBITHMBEJNRHC-LSJOCFKGSA-N 0.000 description 1
- BRPKEERLGYNCNC-NHCYSSNCSA-N Val-Glu-Arg Chemical compound CC(C)[C@H](N)C(=O)N[C@@H](CCC(O)=O)C(=O)N[C@H](C(O)=O)CCCN=C(N)N BRPKEERLGYNCNC-NHCYSSNCSA-N 0.000 description 1
- NXRAUQGGHPCJIB-RCOVLWMOSA-N Val-Gly-Asn Chemical compound CC(C)[C@H](N)C(=O)NCC(=O)N[C@@H](CC(N)=O)C(O)=O NXRAUQGGHPCJIB-RCOVLWMOSA-N 0.000 description 1
- MYLNLEIZWHVENT-VKOGCVSHSA-N Val-Ile-Trp Chemical compound CC[C@H](C)[C@@H](C(=O)N[C@@H](CC1=CNC2=CC=CC=C21)C(=O)O)NC(=O)[C@H](C(C)C)N MYLNLEIZWHVENT-VKOGCVSHSA-N 0.000 description 1
- DJQIUOKSNRBTSV-CYDGBPFRSA-N Val-Ile-Val Chemical compound CC[C@H](C)[C@@H](C(=O)N[C@@H](C(C)C)C(=O)O)NC(=O)[C@H](C(C)C)N DJQIUOKSNRBTSV-CYDGBPFRSA-N 0.000 description 1
- KTEZUXISLQTDDQ-NHCYSSNCSA-N Val-Lys-Asp Chemical compound CC(C)[C@@H](C(=O)N[C@@H](CCCCN)C(=O)N[C@@H](CC(=O)O)C(=O)O)N KTEZUXISLQTDDQ-NHCYSSNCSA-N 0.000 description 1
- SVFRYKBZHUGKLP-QXEWZRGKSA-N Val-Met-Asn Chemical compound CC(C)[C@@H](C(=O)N[C@@H](CCSC)C(=O)N[C@@H](CC(=O)N)C(=O)O)N SVFRYKBZHUGKLP-QXEWZRGKSA-N 0.000 description 1
- SBJCTAZFSZXWSR-AVGNSLFASA-N Val-Met-His Chemical compound CC(C)[C@@H](C(=O)N[C@@H](CCSC)C(=O)N[C@@H](CC1=CN=CN1)C(=O)O)N SBJCTAZFSZXWSR-AVGNSLFASA-N 0.000 description 1
- NZYNRRGJJVSSTJ-GUBZILKMSA-N Val-Ser-Val Chemical compound CC(C)[C@H](N)C(=O)N[C@@H](CO)C(=O)N[C@@H](C(C)C)C(O)=O NZYNRRGJJVSSTJ-GUBZILKMSA-N 0.000 description 1
- CEKSLIVSNNGOKH-KZVJFYERSA-N Val-Thr-Ala Chemical compound C[C@H]([C@@H](C(=O)N[C@@H](C)C(=O)O)NC(=O)[C@H](C(C)C)N)O CEKSLIVSNNGOKH-KZVJFYERSA-N 0.000 description 1
- YQYFYUSYEDNLSD-YEPSODPASA-N Val-Thr-Gly Chemical compound CC(C)[C@H](N)C(=O)N[C@@H]([C@@H](C)O)C(=O)NCC(O)=O YQYFYUSYEDNLSD-YEPSODPASA-N 0.000 description 1
- TVGWMCTYUFBXAP-QTKMDUPCSA-N Val-Thr-His Chemical compound C[C@H]([C@@H](C(=O)N[C@@H](CC1=CN=CN1)C(=O)O)NC(=O)[C@H](C(C)C)N)O TVGWMCTYUFBXAP-QTKMDUPCSA-N 0.000 description 1
- HTONZBWRYUKUKC-RCWTZXSCSA-N Val-Thr-Val Chemical compound CC(C)[C@H](N)C(=O)N[C@@H]([C@@H](C)O)C(=O)N[C@@H](C(C)C)C(O)=O HTONZBWRYUKUKC-RCWTZXSCSA-N 0.000 description 1
- BGTDGENDNWGMDQ-KJEVXHAQSA-N Val-Tyr-Thr Chemical compound C[C@H]([C@@H](C(=O)O)NC(=O)[C@H](CC1=CC=C(C=C1)O)NC(=O)[C@H](C(C)C)N)O BGTDGENDNWGMDQ-KJEVXHAQSA-N 0.000 description 1
- ZHWZDZFWBXWPDW-GUBZILKMSA-N Val-Val-Cys Chemical compound CC(C)[C@H](N)C(=O)N[C@@H](C(C)C)C(=O)N[C@@H](CS)C(O)=O ZHWZDZFWBXWPDW-GUBZILKM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700605 Virus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8222 Xer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35 absorb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43 active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279 alan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08010024078 alanyl-glycyl-seri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8010005233 alanylglutamic acid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8010047495 alanylglyci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NDAUXUAQIAJITI-UHFFFAOYSA-N albuterol Chemical compound CC(C)(C)NCC(O)C1=CC=C(O)C(CO)=C1 NDAUXUAQIAJIT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298 alcoh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105 allergic rhin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50025 alpha-glutamyltryptopha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147 alumin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12 ami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BFNBIHQBYMNNAN-UHFFFAOYSA-N ammonium sulfate Chemical compound N.N.OS(O)(=O)=O BFNBIHQBYMNNA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921 ammonium sulf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30 ammonium sulph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36 analytical size exclusion 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71 anion exchange 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056 antibody-dependent cellular cytotox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831 antigen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08010009111 arginyl-glycyl-glutamic acid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8010047857 aspartylglyci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4 assay contr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20 assay forma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896 autoimmune cutaneou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472 autoimmune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719 b-lymph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8 bar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DSAJWYNOEDNPEQ-UHFFFAOYSA-N barium atom Chemical compound [Ba] DSAJWYNOEDNPE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651 basophi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74 biops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685 biot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16 bio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04 blood vesse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746 body regio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95 bree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88 br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8 calibration curv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20 carbohyd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633 carbohydr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41 cation exchan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29 cation exchang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23 cell based 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0833 cell dea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6 cell proliferation 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054 celltiter-glo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38 chel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978 chinese hamster ovary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210 chromatographic step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87 chromatography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77 chromo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7157 chronic rhinosinus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79 citrate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05774 coagulation factor ix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35 comparative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4203 complement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99 complementary DN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08010016616 cysteinylglyci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05 data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80 data coll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4 dela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32 density-gradient centrifu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7 detri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39 di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SWSQBOPZIKWTGO-UHFFFAOYSA-N dimethylaminoamidine Natural products CN(C)C(N)=N SWSQBOPZIKWTG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66 disease ac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BNIILDVGGAEEIG-UHFFFAOYSA-L disodium hydrogen phosphate Chemical compound [Na+].[Na+].OP([O-])([O-])=O BNIILDVGGAEEIG-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397 disod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800 disodium phosph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35475 disord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6549 dyspeps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00 effect on ski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636 effe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81 epitheliu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06881 esophag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DEFVIWRASFVYLL-UHFFFAOYSA-N ethylene glycol bis(2-aminoethyl)tetraacet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N(CC(O)=O)CCOCCOCCN(CC(O)=O)CC(O)=O DEFVIWRASFVYL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90 exacerb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49 favoura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91 fetal bovine ser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84 flow cytomet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43 fluorescence-activated cell sor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289 fluticasone propio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WMWTYOKRWGGJOA-CENSZEJFSA-N fluticasone propionate Chemical compound C1([C@@H](F)C2)=CC(=O)C=C[C@]1(C)[C@]1(F)[C@@H]2[C@@H]2C[C@@H](C)[C@@](C(=O)SCF)(OC(=O)CC)[C@@]2(C)C[C@@H]1O WMWTYOKRWGGJOA-CENSZEJF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65 glass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78144 glutaminyl-glyci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XBGGUPMXALFZOT-UHFFFAOYSA-N glycyl-L-tyrosine hemihydrate Natural products NCC(=O)NC(C(O)=O)CC1=CC=C(O)C=C1 XBGGUPMXALFZO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8010000434 glycyl-alanyl-leuci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8010050475 glycyl-leucyl-tyrosi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8010087823 glycyltyrosi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compound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1 gol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02 growth fa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63 growth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798 heartbur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42 heat 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89 hematolo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301 hemidesmosom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28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304 histid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08010040030 histidinoalani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487 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H])C(C(=O)O*)C([H])([H])C1=C([H])N([H])C([H])=N1 0.000 description 1
- 108010018006 histidylseri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10 homodi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54 horm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408 hybridom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610 hyper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61 inert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68 inflammatory cond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7866 inflammator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57 inflamm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18 intramuscular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12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56 ion exchang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303 ion-exchange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55 isoelectric focu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08010027338 isoleucylcystei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004 kinetic exclusion 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08010053037 kyotorph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41 laxa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75 lax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08010044311 leucyl-glycyl-glyci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8010034529 leucyl-lysi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8010030617 leucyl-phenylalanyl-vali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40065725 leukotriene receptor antagonists for obstructive airway diseases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99 leukotriene receptor block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5 liquid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20 luminiscence typ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76 lyophilized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39 lysis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44348 lysyl-glutamyl-aspartic acid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8010064235 lysylglyci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8010017391 lysylvali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1001515942 marmoset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09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79 membra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5518 mononeuropath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77 morpholo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200 mouth mucos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928 nasal cavit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386 neutral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08010087904 neutravid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062 no-observed-adverse-effect level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824 obesit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789 organ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71 parasi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618 particulate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88 pel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49954 penicillin Drugs 0.000 description 1
- 108040007629 peroxidase activity 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85 persist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997 phenyl group Chemical group [H]C1=C([H])C([H])=C(*)C([H])=C1[H] 0.000 description 1
- 108010024654 phenylalanyl-prolyl-alani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8010089198 phenylalanyl-prolyl-argini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8010073101 phenylalanylleuci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8010051242 phenylalanylseri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63 phosphate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467 phosphate group Chemical group [H]OP(=O)(O[H])O[*]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824 polyneuropath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641 positive contr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89 potent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205 prednisolone Drugs 0.000 description 1
- OIGNJSKKLXVSLS-VWUMJDOOSA-N prednisolone Chemical compound O=C1C=C[C@]2(C)[C@H]3[C@@H](O)C[C@](C)([C@@](CC4)(O)C(=O)CO)[C@@H]4[C@@H]3CCC2=C1 OIGNJSKKLXVSLS-VWUMJDOOSA-N 0.000 description 1
- XOFYZVNMUHMLCC-ZPOLXVRWSA-N prednisone Chemical compound O=C1C=C[C@]2(C)[C@H]3C(=O)C[C@](C)([C@@](CC4)(O)C(=O)CO)[C@@H]4[C@@H]3CCC2=C1 XOFYZVNMUHMLCC-ZPOLXVRW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618 predniso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203 pre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49 preven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117 preventive 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08010077112 prolyl-proli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8010015796 prolylisoleuci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321 prophylax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59 protein binding 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2846 protein fol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2 protein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40024999 proteolytic enzymes for treatment of wounds and ulcers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12 proton pump inhib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23 pruri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46 running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95 saturated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38 satur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163 sequencing techniqu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08010048397 seryl-lysyl-leuci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0882 skin le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444 skin lesio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384 small molecul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7 social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870 specific bi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125 spiromet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9 spontaneous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46 sterile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23 sterile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37 steroidlik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36 stimul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322 streptomyc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34 supernatant fra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95 supernatant s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747 swallow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626 targeted 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23 tempo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285 therapeutic regime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08010071097 threonyl-lysyl-proli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51 tissue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827 tissue damage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331 toxic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88 tox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419 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88 tox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627 tracheal intub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269 treatment regime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08010080629 tryptophan-leuci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8010079202 tyrosyl-alanyl-cystei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8010051110 tyrosyl-lysi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8010071635 tyrosyl-prolyl-argini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08 ultra-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08010052774 valyl-lysyl-glycyl-phenylalanyl-tyrosi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24 working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4—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cytokines, lymphokines or interferons
- C07K16/244—Interleukins [I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61K39/39533—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against materials from animals
- A61K39/395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against materials from animals against proteinaceous materials, e.g. enzymes, hormones, lymphokin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2—Nasal agents, e.g. decongesta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2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 C07K2317/24—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containing regions, domains or residues from different species, e.g. chimeric, humanized or veneered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3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aspects of specificity or valency
- C07K2317/33—Crossreactivity, e.g. for species or epitope, or lack of said crossreactivity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5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51—Complete heavy chain or Fd fragment, i.e. VH + CH1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5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515—Complete light chain, i.e. VL + CL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5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52—Constant or Fc region; Isotype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5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52—Constant or Fc region; Isotype
- C07K2317/524—CH2 domain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5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56—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variable (Fv) region, i.e. VH and/or VL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5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56—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variable (Fv) region, i.e. VH and/or VL
- C07K2317/565—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CDR]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5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56—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variable (Fv) region, i.e. VH and/or VL
- C07K2317/567—Framework region [FR]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7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effect upon binding to a cell or to an antigen
- C07K2317/71—Decreased effector function due to an Fc-modific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7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effect upon binding to a cell or to an antigen
- C07K2317/72—Increased effector function due to an Fc-modific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7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effect upon binding to a cell or to an antigen
- C07K2317/76—Antagonist effect on antigen, e.g. neutralization or inhibition of bind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9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pharmaco)kinetic aspects or by stability of the immunoglobulin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9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pharmaco)kinetic aspects or by stability of the immunoglobulin
- C07K2317/92—Affinity (KD), association rate (Ka), dissociation rate (Kd) or EC50 value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9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pharmaco)kinetic aspects or by stability of the immunoglobulin
- C07K2317/94—Stability, e.g. half-life, pH, temperature or enzyme-resista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ulmo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Diabet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인터류킨 5 (IL-5) 매개된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항체를 포함하는 항원 결합 조성물, 및 관련 방법에 관한 것이다. IL-5는 분비된 단백질이다. IL-5는 다수의 상이한 질환, 예컨대 천식, 경도 천식, 중등도 천식, 중증 천식, 경도 호산구성 천식, 중등도 호산구성 천식, 중증 호산구성 천식, 비제어된 호산구성 천식, 호산구성 천식, 준-호산구성 천식, 만성 폐쇄성 폐 질환, 다발혈관염을 동반한 호산구성 육아종증, 과다호산구성 증후군, 비강 폴립증, 수포성 유천포창, 호산구성 식도염, 아토피성 피부염, 중등도 아토피성 피부염 및 중증 아토피성 피부염에서 소정의 역할을 한다. 개시된 조성물은 이들 심각한 IL-5 매개된 질환을 치료하는데 적합하다.
Description
본 개시내용은 인터류킨 5 (IL-5) 매개된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관련 방법에 관한 것이다.
IL-5는 분비된 단백질이다. IL-5는 다수의 상이한 질환, 예컨대 천식, 경도 천식, 중등도 천식, 중증 천식, 경도 호산구성 천식, 중등도 호산구성 천식, 중증 호산구성 천식, 비제어된 호산구성 천식, 호산구성 천식, 준-호산구성 천식, 만성 폐쇄성 폐 질환, 다발혈관염을 동반한 호산구성 육아종증, 과다호산구성 증후군, 비강 폴립증, 수포성 유천포창, 호산구성 식도염, 아토피성 피부염, 중등도 아토피성 피부염 및 중증 아토피성 피부염에서 소정의 역할을 한다. 이들 심각한 질환은 전세계적으로 수억명의 사람에게 영향을 준다.
이것은 IL-5 매개된 질환을 치료하는데 적합한 조성물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조성물 및 관련 방법이 본 개시내용에 의해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의 한 측면은 서열식별번호: 5에 제시된 CDRH1 아미노산 서열, 서열식별번호: 6에 제시된 CDRH2 아미노산 서열, 및 서열식별번호: 7에 제시된 CDRH3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식별번호: 8에 제시된 CDRL1 아미노산 서열, 서열식별번호: 9에 제시된 CDRL2 아미노산 서열, 및 서열식별번호: 10에 제시된 CDRL3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항원 결합 단백질이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서열식별번호: 3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가변 영역 서열; 및 서열식별번호: 4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가변 영역 서열을 포함하는 항원 결합 단백질이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중쇄 및 경쇄를 포함하는 항체이며, 여기서 a) 중쇄는 서열식별번호: 5에 제시된 CDRH1 아미노산 서열, 서열식별번호: 6에 제시된 CDRH2 아미노산 서열, 및 서열식별번호: 7에 제시된 CDRH3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고; b) 경쇄는 서열식별번호: 8에 제시된 CDRL1 아미노산 서열, 서열식별번호: 9에 제시된 CDRL2 아미노산 서열, 및 서열식별번호: 10에 제시된 CDRL3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중쇄 및 경쇄를 포함하는 항체이며, 여기서 a) 중쇄는 서열식별번호: 3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가변 영역 서열을 포함하고; b) 경쇄는 서열식별번호: 4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가변 영역 서열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및 서열식별번호: 2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를 포함하는 항체이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서열식별번호: 3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펩티드 쇄이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펩티드 쇄이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서열식별번호: 3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핵산 및 서열식별번호: 4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핵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핵산 및 서열식별번호: 2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핵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서열식별번호: 3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핵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핵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서열식별번호: 15에 제시된 서열을 갖는 핵산 및 서열식별번호: 16에 제시된 서열을 갖는 핵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서열식별번호: 17에 제시된 서열을 갖는 핵산 및 서열식별번호: 18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핵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서열식별번호: 13에 제시된 서열을 갖는 핵산 및 서열식별번호: 14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핵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서열식별번호: 15에 제시된 서열을 갖는 핵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서열식별번호: 17에 제시된 서열을 갖는 핵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서열식별번호: 13에 제시된 서열을 갖는 핵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서열식별번호: 3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핵산을 포함하는 재조합 숙주 세포를 배양하는 단계; 및 펩티드 쇄를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열식별번호: 3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펩티드 쇄의 생산 방법이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a) 서열식별번호: 17에 제시된 서열을 갖는 핵산 및 서열식별번호: 18에 제시된 서열을 갖는 핵산을 포함하는 발현 벡터를 포함하는 재조합 숙주 세포를 배양하는 단계; 및 b) 항체를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항체가 생산되는 것인, 항체의 생산 방법이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a) 서열식별번호: 5에 제시된 CDRH1 아미노산 서열, 서열식별번호: 6에 제시된 CDRH2 아미노산 서열, 및 서열식별번호: 7에 제시된 CDRH3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식별번호: 8에 제시된 CDRL1 아미노산 서열, 서열식별번호: 9에 제시된 CDRL2 아미노산 서열, 및 서열식별번호: 10에 제시된 CDRL3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항원 결합 단백질; 및 b)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이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a) 서열식별번호: 5에 제시된 CDRH1 아미노산 서열, 서열식별번호: 6에 제시된 CDRH2 아미노산 서열, 및 서열식별번호: 7에 제시된 CDRH3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식별번호: 8에 제시된 CDRL1 아미노산 서열, 서열식별번호: 9에 제시된 CDRL2 아미노산 서열, 및 서열식별번호: 10에 제시된 CDRL3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항체; 및 b)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이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a) 중쇄 및 경쇄를 포함하는 항체이며, 여기서 중쇄는 서열식별번호: 3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가변 영역 서열을 포함하고; 경쇄는 서열식별번호: 4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가변 영역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항체; 및 b)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이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a)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및 서열식별번호: 2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를 포함하는 항체; 및 b)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이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a) 경도 천식 내지 중등도 천식 진단을 갖는 대상체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서열식별번호: 5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 서열식별번호: 6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 및 서열식별번호: 7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식별번호: 8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 서열식별번호: 9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 및 서열식별번호: 10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항체의 치료 유효량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대상체에서 경도 내지 중등도 천식이 치료되는 것인, 대상체에서 경도 내지 중등도 천식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a) 경도 천식 내지 중등도 천식 진단을 갖는 대상체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및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를 포함하는 항체의 치료 유효량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대상체에서 경도 내지 중등도 천식이 치료되는 것인, 대상체에서 경도 내지 중등도 천식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a) 경도 천식 내지 중등도 천식 진단을 갖는 대상체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및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를 포함하는 항체 및 제약상 유효한 담체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의 치료 유효량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대상체에서 경도 내지 중등도 천식이 치료되는 것인, 대상체에서 경도 내지 중등도 천식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a) 중증 천식 진단을 갖는 대상체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서열식별번호: 5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 서열식별번호: 6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 및 서열식별번호: 7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식별번호: 8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 서열식별번호: 9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 및 서열식별번호: 10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항체의 치료 유효량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대상체에서 중증 천식이 치료되는 것인, 대상체에서 중증 천식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a) 중증 천식 진단을 갖는 대상체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및 서열식별번호: 2에 제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를 포함하는 항체의 치료 유효량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대상체에서 중증 천식이 치료되는 것인, 대상체에서 중증 천식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a) 중증 천식 진단을 갖는 대상체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및 서열식별번호: 2에 제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를 포함하는 항체 및 제약상 유효한 담체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의 치료 유효량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대상체에서 중증 천식이 치료되는 것인, 대상체에서 중증 천식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a) i) 아이헨필드 개정 하니핀 및 라즈카 기준(Eichenfield revised criteria of Hanifin and Rajka)에 따른 아토피성 피부염 진단; ii) 치료 전 약 2년 이상 동안 아토피성 피부염의 선행 진단; iii) 건강 관리 전문가의 종합 평가 점수 약 3 이상; iv) 체표면적의 약 10% 이상의 아토피성 피부염 침범; v) 습진 면적 및 중증도 지수 점수 16 이상; vi) μL당 150개 이상의 세포, μL당 200개 이상의 세포, μL당 300개 이상의 세포, 또는 μL당 350개 이상의 세포의 절대 혈액 호산구 수; 및 vii) 1) 6개월 이상 동안 아토피성 피부염을 위한 국소 의약에 대한 부적절한 반응; 2) 아토피성 피부염을 위한 국소 의약의 불량한 내성; 3) 아토피성 피부염을 위한 국소 의약으로부터의 부작용; 및 4) 아토피성 피부염을 위한 비약리학적 치료에 대한 부적절한 반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치료 이전의 적어도 1종의 상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갖는 대상체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서열식별번호: 5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 서열식별번호: 6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 및 서열식별번호: 7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식별번호: 8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 서열식별번호: 9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 및 서열식별번호: 10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항체의 치료 유효량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대상체에서 아토피성 피부염이 치료되는 것인, 중등도 내지 중증 아토피성 피부염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중등도 내지 중증 아토피성 피부염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a) i) 아이헨필드 개정 하니핀 및 라즈카 기준에 따른 아토피성 피부염 진단; ii) 치료 전 약 2년 이상 동안 아토피성 피부염의 선행 진단; iii) 건강 관리 전문가의 종합 평가 점수 약 3 이상; iv) 체표면적의 약 10% 이상의 아토피성 피부염 침범; v) 습진 면적 및 중증도 지수 점수 16 이상; vi) μL당 150개 이상의 세포, μL당 200개 이상의 세포 및 μL당 350개 이상의 세포의 절대 혈액 호산구 수; 및 vii) 1) 6개월 이상 동안 아토피성 피부염을 위한 국소 의약에 대한 부적절한 반응; 2) 아토피성 피부염을 위한 국소 의약의 불량한 내성; 3) 아토피성 피부염을 위한 국소 의약으로부터의 부작용; 및 4) 아토피성 피부염을 위한 비약리학적 치료에 대한 부적절한 반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치료 이전의 적어도 1종의 상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갖는 대상체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및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를 포함하는 항체의 치료 유효량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대상체에서 아토피성 피부염이 치료되는 것인, 중등도 내지 중증 아토피성 피부염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중등도 내지 중증 아토피성 피부염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a) i) 아이헨필드 개정 하니핀 및 라즈카 기준에 따른 아토피성 피부염 진단; ii) 치료 전 약 2년 이상 동안 아토피성 피부염의 선행 진단; iii) 건강 관리 전문가의 종합 평가 점수 약 3 이상; iv) 체표면적의 약 10% 이상의 아토피성 피부염 침범; v) 습진 면적 및 중증도 지수 점수 16 이상; vi) μL당 150개 이상의 세포, μL당 200개 이상의 세포 및 μL당 350개 이상의 세포의 절대 혈액 호산구 수; 및 vii) 1) 6개월 이상 동안 아토피성 피부염을 위한 국소 의약에 대한 부적절한 반응; 2) 아토피성 피부염을 위한 국소 의약의 불량한 내성; 3) 아토피성 피부염을 위한 국소 의약으로부터의 부작용; 및 4) 아토피성 피부염을 위한 비약리학적 치료에 대한 부적절한 반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치료 이전의 적어도 1종의 상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갖는 대상체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및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를 포함하는 항체 및 제약상 유효한 담체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의 치료 유효량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대상체에서 아토피성 피부염이 치료되는 것인, 대상체에서 중등도 내지 중증 아토피성 피부염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a) 천식, 경도 천식, 중등도 천식, 중증 천식, 경도 호산구성 천식, 중등도 호산구성 천식, 중증 호산구성 천식, 비제어된 호산구성 천식, 호산구성 천식, 준-호산구성 천식, 만성 폐쇄성 폐 질환, 다발혈관염을 동반한 호산구성 육아종증, 과다호산구성 증후군, 비강 폴립증, 수포성 유천포창, 호산구성 식도염 및 아토피성 피부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상태를 갖는 대상체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서열식별번호: 5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 서열식별번호: 6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 및 서열식별번호: 7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식별번호: 8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 서열식별번호: 9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 및 서열식별번호: 10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항체의 치료 유효량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대상체에서 절대 혈액 호산구 수가 감소되는 것인, 대상체에서 절대 혈액 호산구 수를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a) 천식, 경도 천식, 중등도 천식, 중증 천식, 경도 호산구성 천식, 중등도 호산구성 천식, 중증 호산구성 천식, 비제어된 호산구성 천식, 호산구성 천식, 준-호산구성 천식, 만성 폐쇄성 폐 질환, 다발혈관염을 동반한 호산구성 육아종증, 과다호산구성 증후군, 비강 폴립증, 수포성 유천포창, 호산구성 식도염, 아토피성 피부염, 중등도 아토피성 피부염 및 중증 아토피성 피부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상태를 갖는 대상체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및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를 포함하는 항체의 치료 유효량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대상체에서 아토피성 피부염이 치료되는 것인, 대상체에서 절대 혈액 호산구 수를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a) 천식, 경도 천식, 중등도 천식, 중증 천식, 경도 호산구성 천식, 중등도 호산구성 천식, 중증 호산구성 천식, 비제어된 호산구성 천식, 호산구성 천식, 준-호산구성 천식, 만성 폐쇄성 폐 질환, 다발혈관염을 동반한 호산구성 육아종증, 과다호산구성 증후군, 비강 폴립증, 수포성 유천포창, 호산구성 식도염, 아토피성 피부염, 중등도 아토피성 피부염 및 중증 아토피성 피부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상태를 갖는 대상체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및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를 포함하는 항체 및 제약상 유효한 담체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의 치료 유효량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대상체에서 절대 혈액 호산구 수가 감소되는 것인, 대상체에서 절대 혈액 호산구 수를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도 1. 28Y042-7F11-1 및 메폴리주맙 둘 다는 1nM - 0.042pM 농도 범위에서 시험하였을 때 인간 IL-5 유도된 TF-1 세포 증식의 용량 의존성 억제를 유발하였다 (각각 4pM 및 105pM의 IC50).
도 2. 인간 전혈에서 28Y042-7F11-1 및 메폴리주맙에 의한 재조합 IL-5-매개된 호산구 형상 변화의 억제. 제시된 데이터는 6명의 공여자를 나타낸 것이다.
도 3. ELISA에 의한 28Y042-7F11-1 및 메폴리주맙에 대한 천연 IL-5의 결합.
도 4. 풀링된 인간 또는 시노몰구스 원숭이 혈청 중 37℃에서 6주 동안 인큐베이션된 28Y042-7F11-1의 안정성 비교. 데이터는 메폴리주맙 및 IL-13 특이적 대조군 항체에 대해 수득된 이전 결과와 비교하여 플롯팅되었다.
도 5. 평균 투여전 호산구 반응에 대해 비례하는 동물 변화의 플롯. 투여전 값 (제-12일 내지 제-26일)의 기하 평균에 대한 동물 호산구 반응의 비. 값들은 동물별로 계산하였으며, 전체 기하 평균 군별 값은 수평 막대로서 부가되었다. 수평 실선은 동물의 원래 호산구 수의 20%에 상응한다. 군당 n=4 [2♀ & 2♂]; 연구 제1일에 약물의 단일 iv (정맥내) 투여.
도 6. 28Y042-7F11-1, 메폴리주맙 또는 비히클로 처리된 동물에 대한 9-개월 PK/PD 연구 (제267일 / 제38주까지의 데이터)로부터의 시노몰구스 원숭이에서의 혈청 총 IL-5 수준. 28Y042-7F11-1은 혈청에서 총 IL-5:항체 복합체의 연장된 지속기간 및 증가된 크기를 나타냈다. 시노몰구스 IL-5의 최저 정량화 수준 (LLOQ)은 9.77 pg/ml였다.
도 7. 단일 정맥내 (IV) 또는 피하 (SC) 주사 후 시노몰구스 원숭이에서 28Y042-7F11-1 및 메폴리주맙 (SB-240563)의 평균 혈청 농도 (ng/ml).
도 8. 박스 1-1. 임상 실시에 대한 진단 흐름도 - 초기 제시.
도 9. 박스 3-5. 증상을 제어하고 향후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단계적 접근법.
도 2. 인간 전혈에서 28Y042-7F11-1 및 메폴리주맙에 의한 재조합 IL-5-매개된 호산구 형상 변화의 억제. 제시된 데이터는 6명의 공여자를 나타낸 것이다.
도 3. ELISA에 의한 28Y042-7F11-1 및 메폴리주맙에 대한 천연 IL-5의 결합.
도 4. 풀링된 인간 또는 시노몰구스 원숭이 혈청 중 37℃에서 6주 동안 인큐베이션된 28Y042-7F11-1의 안정성 비교. 데이터는 메폴리주맙 및 IL-13 특이적 대조군 항체에 대해 수득된 이전 결과와 비교하여 플롯팅되었다.
도 5. 평균 투여전 호산구 반응에 대해 비례하는 동물 변화의 플롯. 투여전 값 (제-12일 내지 제-26일)의 기하 평균에 대한 동물 호산구 반응의 비. 값들은 동물별로 계산하였으며, 전체 기하 평균 군별 값은 수평 막대로서 부가되었다. 수평 실선은 동물의 원래 호산구 수의 20%에 상응한다. 군당 n=4 [2♀ & 2♂]; 연구 제1일에 약물의 단일 iv (정맥내) 투여.
도 6. 28Y042-7F11-1, 메폴리주맙 또는 비히클로 처리된 동물에 대한 9-개월 PK/PD 연구 (제267일 / 제38주까지의 데이터)로부터의 시노몰구스 원숭이에서의 혈청 총 IL-5 수준. 28Y042-7F11-1은 혈청에서 총 IL-5:항체 복합체의 연장된 지속기간 및 증가된 크기를 나타냈다. 시노몰구스 IL-5의 최저 정량화 수준 (LLOQ)은 9.77 pg/ml였다.
도 7. 단일 정맥내 (IV) 또는 피하 (SC) 주사 후 시노몰구스 원숭이에서 28Y042-7F11-1 및 메폴리주맙 (SB-240563)의 평균 혈청 농도 (ng/ml).
도 8. 박스 1-1. 임상 실시에 대한 진단 흐름도 - 초기 제시.
도 9. 박스 3-5. 증상을 제어하고 향후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단계적 접근법.
본 개시내용은 인터류킨 5 (IL-5) 매개된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관련 대상을 제공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천식"은 가역적 기류 폐쇄 및 기관지연축을 특징으로 하는 기도의 염증성 질환을 의미한다. 통상의 증상은 천명, 기침, 흉부 압박 및 숨가쁨을 포함한다. 천식은 통상적으로 만성 기도 염증을 특징으로 하는 이질적 질환이다. 이는 가변적 호기 기류 제한과 함께 시간 경과에 따라 강도가 달라지는 호흡 증상, 예컨대 천명, 숨가쁨, 흉부 압박 및 기침의 병력에 의해 정의된다.
본 개시내용의 방법에서, 대상체에서의 천식의 진단은 세계 천식 기구 (GINA)에 의해 제공되는 지침인 세계 천식 관리 및 예방 전략 (2016 업데이트) 문서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임상 실시를 위한 GINA 진단 흐름도 (도 8) 및 하기 제시된 성인, 청소년 및 6-11세 소아에서의 천식에 대한 진단 기준 (표 1) 뿐만 아니라 지침의 다른 측면 (예를 들어, 임신 여성에 대한 것 등)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또한 표 2 및 표 3을 참조한다.
표 1.
표 2.
표 3.
본 개시내용의 방법에서 "천식"은 "경도 천식", "중등도 천식" 또는 "중증 천식"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방법에서, 천식 중증도는 GINA 지침에 따라 평가될 수 있다. 특히, 천식 중증도는 증상 및 악화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치료 수준으로부터 후향적으로 평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는 환자가 수개월 동안 제어제 치료를 받았고, 적절한 경우 환자의 최소 치료 유효 수준을 찾아내기 위해 치료 단계 감소가 시도되었을 때 평가될 수 있다. 천식 중증도는 고정적 양상이 아니고 수개월 또는 수년에 걸쳐 변화할 수 있다.
천식 중증도는 환자가 수개월 동안 정규 제어제 치료를 받았을 때 평가될 수 있다:
● "경도 천식"은 단계 1 또는 단계 2 치료 (도 9; 박스 3-5 참조), 즉, 필요에 따라 완화제 의약 단독으로, 또는 저강도 제어제 치료, 예컨대 저용량 ICS, 류코트리엔 수용체 길항제 또는 크로몬을 사용하여 잘 제어되는 천식이다.
● "중등도 천식"은 단계 3 치료 (도 9; 박스 3-5 참조), 예를 들어 저용량 ICS/LABA를 사용하여 잘 제어되는 천식이다.
● "중증 천식"은 '비제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단계 4 또는 5 치료 (도 9; 박스 3-5 참조), 예를 들어 고용량 ICS/LABA를 필요로 하는 천식이거나, 또는 이러한 치료에도 불구하고 '비제어'된 것으로 남아있는 천식이다. 비제어된 천식을 갖는 많은 환자가 부적당한 또는 부적절한 치료, 또는 준수와 관련된 지속적 문제, 또는 만성 비부비동염 또는 비만과 같은 동반이환으로 인해 치료하기 어려울 수 있지만, 중증 천식에 대한 유럽 호흡기 학회/미국 흉부 학회 대책 위원회(European Respiratory Society/American Thoracic Society Task Force on Severe Asthma)는 "중증 천식"의 정의가 불응성 천식을 갖는 환자 및 동반이환의 치료에 대한 반응이 불완전한 환자를 위해 보유되어야 하는 것으로 고려하였다. 또한, 표 4는 천식 중증도의 평가 동안 참조될 수 있다.
표 4.
본 개시내용의 방법에서 "천식"은 "경도 호산구성 천식", "중등도 호산구성 천식" 또는 "중증 호산구성 천식"일 수 있다.
"경도 호산구성 천식"은 호산구성 표현형을 갖는 경도 천식이다. 예를 들어, 경도 호산구성 천식을 갖는 대상체는 경도 천식 및 과거 12개월간 혈액 μL당 150개 이상의 혈액 호산구, 과거 12개월간 혈액 μL당 200개 이상의 호산구, 과거 12개월간 혈액 μL당 300개 이상의 호산구, 또는 과거 12개월간 혈액 μL당 350개 이상의 호산구를 가질 수 있다.
"중등도 호산구성 천식"은 호산구성 표현형을 갖는 중등도 천식이다. 예를 들어, 중등도 호산구성 천식을 갖는 대상체는 중등도 천식 및 과거 12개월간 혈액 μL당 150개 이상의 혈액 호산구, 과거 12개월간 혈액 μL당 200개 이상의 호산구, 과거 12개월간 혈액 μL당 300개 이상의 호산구, 또는 과거 12개월간 혈액 μL당 350개 이상의 호산구를 가질 수 있다.
"중증 호산구성 천식"은 호산구성 표현형을 갖는 중증 천식이다. 예를 들어, 중증 호산구성 천식을 갖는 대상체는 중증 천식 및 과거 12개월간 혈액 μL당 150개 이상의 혈액 호산구, 과거 12개월간 혈액 μL당 200개 이상의 호산구, 과거 12개월간 혈액 μL당 300개 이상의 호산구 (바람직함), 또는 과거 12개월간 혈액 μL당 350개 이상의 호산구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중증 호산구성 천식을 갖는 대상체는 표 5에 기재된 기준 중 1개 이상을 충족할 수 있다.
표 5.
중요하게는, 이들 기준에 따른 중증 호산구성 천식을 갖는 대상체는 치료의 개시에서 혈액 μL당 150개 미만의 호산구를 가질 수 있다.
28Y042-7F11-1은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중쇄 아미노산 서열 및 서열식별번호: 2에 제시된 경쇄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모노클로날 항체이다. 본 개시내용의 28Y042-7F11-1 및 항원 결합 단백질, 특히 28Y042-7F11-1의 중쇄 CDR 및 경쇄 CDR을 포함하는 항체 분자는 본 개시내용의 방법에 따라 중증 호산구성 천식을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의 28Y042-7F11-1 또는 항원 결합 단백질은 환자에서 지난 12개월간 300개 이상의 세포/μL 혈액 호산구 및/또는 치료의 개시에서 150개 이상의 세포/μL 혈액 호산구 및/또는 치료의 개시에서 150개 미만의 세포/μL 혈액 호산구에 의해 확인된 바와 같이, 중증 호산구성 천식의 부가적 유지 치료를 위해 지시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개시내용의 28Y042-7F11-1 또는 항원 결합 단백질은 환자에서 지난 12개월간 300개 이상의 세포/μL 혈액 호산구 및/또는 치료의 개시에서 150개 이상의 세포/μL 혈액 호산구에 의해 확인된 바와 같이, 중증 호산구성 천식의 부가적 유지 치료를 위해 지시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28Y042-7F11-1 또는 항원 결합 단백질은 환자에서 지난 12개월간 300개 이상의 세포/μL 혈액 호산구 및/또는 치료의 개시에서 150개 미만의 세포/μL 혈액 호산구에 의해 확인된 바와 같이, 중증 호산구성 천식의 부가적 유지 치료를 위해 지시될 수 있다. 이러한 환자는 12세 이상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28Y042-7F11-1 또는 항원 결합 단백질을 사용한 치료는 환자 (예를 들어, 악화 병력을 갖는 환자)에서 천식의 악화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방법은 본 개시내용의 28Y042-7F11-1 또는 항원 결합 단백질을 사용한 치료가 지시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즉, 이러한 28Y042-7F11-1을 사용한 치료가 본 개시내용의 방법과 조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28Y042-7F11-1 및 항원 결합 단백질을 사용한 치료는 다음일 수 있다:
a) 악화 빈도의 감소를 가져온다. 위약과 비교하여 본 개시내용의 28Y042-7F11-1 또는 항원 결합 단백질을 사용한 치료는 1) 임상적으로 유의한 악화, 2) 입원 또는 ED 방문이 요구되는 악화, 및 3) 입원이 요구되는 악화의 비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익은 잠재적으로 천식으로 인한 이환율 및 치명적 사건의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b) 1일 OCS 용량의 감소를 가져온다: 본 개시내용의 28Y042-7F11-1 또는 항원 결합 단백질을 사용한 치료는 대상체가 천식 제어의 상실을 경험하지 않으면서 병용 코르티코스테로이드의 그의 1일 용량을 감소시키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28Y042-7F11-1 또는 항원 결합 조성물로 치료된 대상체는 위약으로 치료된 자들에 비해 1일 경구 코르티코스테로이드 (OCS) 용량의 기준선으로부터의 중앙 백분율 감소를 달성할 수 있다. 추가로, 본 개시내용의 28Y042-7F11-1 또는 항원 결합 조성물로 치료된 대상체는 위약으로 치료된 대상체의 32%와 비교하여 OCS 용량의 감소를 달성할 수 있다.
c) 폐 기능의 개선을 가져온다: 위약과 비교하여 기관지확장제전 및 후 FEV1의 임상적으로 관련된 변화가 본 개시내용의 28Y042-7F11-1 또는 항원 결합 단백질을 사용한 치료에 의해 입증될 수 있다. 대부분이 고용량 ICS (흡입용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및/또는 OCS 플러스 제어제 의약을 포함한 최대 천식 요법을 받고 있기 때문 폐 기능의 임의의 개선은 이 대상체 집단에서 특히 임상적으로 중요하다.
d) 천식 제어의 개선을 가져온다: 위약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고 임상적으로 관련된 개선이 본 개시내용의 28Y042-7F11-1 또는 항원 결합 단백질을 사용한 ACQ-5에서 관찰될 수 있으며, 이는 대상체가 그의 기존 천식 치료에 본 개시내용의 28Y042-7F11-1 또는 항원 결합 단백질의 부가로 천식 제어를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e) 삶의 질의 개선을 가져온다: 위약과 비교하여 SGRQ 점수의 통계적으로 유의하고 임상적으로 관련된 변화가 본 개시내용의 28Y042-7F11-1 또는 항원 결합 단백질로 입증될 수 있다. 대상체는 천식 증상 및 일상 활동 수행 능력의 현저한 개선을 경험할 수 있다.
f) 효능 및 약역학적 효과의 지속성을 가져온다: 32- 및/또는 52-주 치료 지속기간에 걸쳐, 내성의 발생 없이 천식 악화 및 혈액 호산구의 지속적 감소, 및 폐 기능, 천식 제어 및 삶의 질의 개선이 관찰될 수 있다.
및
g) 혈액 호산구의 감소를 가져온다. 본 개시내용의 28Y042-7F11-1 또는 항원 결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한 치료는 대상체에서 혈액 호산구의 급속한 감소를 유발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방법에서, "천식"은 "중증 천식"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방법에서, "천식"은 또한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은 "경도 천식", "중등도 천식", "중증 천식", "경도 호산구성 천식", "중등도 호산구성 천식", 또는 "중증 호산구성 천식"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28Y042-7F11-1 또는 항원 결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한 치료는 본 개시내용의 방법에 따라 이들 상태를 치료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방법에서 "천식"은 "비제어된 호산구성 천식"일 수 있다. 비제어된 호산구성 천식을 갖는 대상체는 표 6에 기재된 기준을 충족한다.
표 6.
본 개시내용의 28Y042-7F11-1 또는 항원 결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한 치료는 본 개시내용의 방법에 따라 비제어된 호산구성 천식을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방법에서 "천식"은 "호산구성 천식"일 수 있다. 호산구성 천식을 갖는 대상체는 표 7에 기재된 기준을 충족한다.
표 7.
본 개시내용의 방법에서 "천식"은 "준-호산구성 천식"일 수 있다. 준-호산구성 천식을 갖는 대상체는 표 8에 기재된 기준을 충족한다.
표 8
본 개시내용의 28Y042-7F11-1 또는 항원 결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한 치료는 호산구성 천식을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본 개시내용의 방법에 따라 준-호산구성 천식을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수포성 유천포창" (BP)은 피부 층 표피와 진피 사이의 공간에, 보다 적절하게는 물집으로 알려져 있는 수포의 형성을 수반하는, 급성 또는 만성 자가면역 피부 질환을 의미한다. BP는 가장 흔한 자가면역 수포성 피부 질환이다. 이것은 특징적으로는 고령자 (>70세)에게 백만명당 5 내지 35명의 연간 발생률로 이환된다. BP의 발생률은 연간 평균 17%로 극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BP는 종종 소포 및 수포가 발생하기 전에 습진 또는 두드러기와 유사한 극도 소양성 피부 병변으로 시작한다. 환자의 10-30%에서, BP는 또한 구강 점막을 침범한다. 질환 중증도는 침범된 영역뿐만 아니라 질환 활성을 평가하는 자가면역 수포성 피부 장애 강도 점수 (ABSIS)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질환은 표피하 수포 형성을 동반한 피부-표피 접합부의 손상으로 이어지는 접합부 부착 복합체의 구조적 성분에 대한 자가면역 반응으로 인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헤미데스모솜 항원 BP180 및 BP230에 대한 자가반응성 B 및 T 세포 반응이 확인되었다. BP180에 대한 자가항체의 혈청 수준은 질환 중증도 및 활성을 반영한다. T 세포는 Th1 및 Th2 시토카인 둘 다, 대부분 IL-4, IL-5 및 IL-13을 생산하는 기억 CD4+ 세포이다. IL-5 뿐만 아니라 에오탁신은 수포 유체에서 풍부하게 발견된다. IL-5의 생산은 사실상 BP 환자의 피부에서 혈액 호산구증가증 및 유의한 호산구 침윤과 연관되어 있다. 호산구는 독성 과립 단백질 (ESP, MBP) 및 단백질분해 효소를 방출함으로써 수포 형성에 중대하게 연루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호산구성 식도염" (EoE)은 호산구를 수반하는 식도의 알레르기성 염증성 상태를 의미한다. 증상은 삼킴 곤란, 음식 박힘 및 가슴쓰림이다. EoE는 식도의 상피 내층으로의 호산구 유형의 백혈구에 의한 고밀도 침윤을 특징으로 한다. EoE는 알레르기 반응에서 호산구가 하는 중요한 역할에 기초하여 섭취된 음식물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인 것으로 여겨진다. EoE 진단 패널이 EoE를 진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EoE는 또한 위식도 역류가 1일 2회 고용량 양성자-펌프 억제제 (PPI)의 6주 시험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에 또는 음성 보행 pH 연구가 위식도 역류 질환 (GERD)을 배제한 경우에 진단될 수 있다. 내시경으로, 능선, 주름 또는 고리가 식도 벽에서 보일 수 있다. 때때로, 다중 고리가 식도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용어 "물결형 식도" 또는 고양이 식도에 대한 고리의 유사성으로 인해 "고양이 식도"로 불릴 수 있다. 식도 내 백색 분비물의 존재가 또한 진단을 시사한다. 내시경검사 시에 취해진 생검 상에서, 수많은 호산구가 전형적으로 표재성 상피에서 보일 수 있다. 고배율 시야당 최소 15개의 호산구가 진단을 내리는데 요구된다. 호산구성 염증은 식도 단독에 제한되지 않으며, 전체 위장관으로 확장된다. 미세농양 및 기저 층의 확장이 존재할 수 있음에 따라, 심하게 탈과립화된 호산구가 또한 존재할 수 있다. 방사선학적으로, 용어 "환상 식도"는 때때로 식도 환류와 함께 보이는 일시적 가로 주름의 외관과 대조를 이루는 바륨 삼킴 연구 상에서의 호산구성 식도염의 외관에 대해 사용되었다 ("고양이 식도"로 불림).
본 개시내용의 28Y042-7F11-1 또는 항원 결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한 치료는 본 개시내용의 방법에 따라 COPD를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만성 폐쇄성 폐 질환" (COPD)을 갖는 대상체는 1개 이상의 하기 기준을 충족할 수 있다: a) 이전 COPD 진단: 미국 흉부 학회/유럽 호흡기 학회에 의한 정의에 따라 적어도 1년 동안 COPD의 임상적으로 기록된 병력을 갖는 대상체; b) COPD의 중증도: 대상체는 하기가 존재할 수 있다: COPD의 진단을 확인하기 위한 1초간 측정된 살부타몰전 및 후 강제 호기량/ 강제 폐활량 (FEV1/FVC) 비 <0.70; 측정된 살부타몰후 FEV1>20 퍼센트 및 국민 건강 및 영양 검사 조사 (NHANES) III 참조 방정식을 사용하여 계산된 예측 정상치의 <=80 퍼센트; c) 악화의 병력: 12개월간 적어도 2회의 중등도 COPD 악화의 잘 기록된 병력 (의료 기록 검증과 유사). 중등도 전신 코르티코스테로이드의 사용 (IM, 정맥내 또는 경구) 및/또는 항생제를 사용한 치료, 또는 적어도 1회의 중증 COPD 악화로 정의된다. 중증은 입원이 요구되는 것으로 정의된다. 주: 적어도 1회의 악화는 대상체가 흡입용 코르티코스테로이드 (ICS) 플러스 장기 작용 베타2-효능제 (LABA) 플러스 장기 작용 무스카린성 길항제 (LAMA)를 취하는 동안 발생하였어야 한다. 주: 이전 항생제 단독의 사용은 그 사용이 구체적으로 COPD의 악화 증상의 치료를 위한 것이 아닌 한 중등도 악화로서 간주되지 않는다; 및 d) 병용 COPD 요법: 이전 12개월 동안 ICS 플러스 2종의 추가의 COPD 의약 (즉, 3중 요법)을 포함하며 하기 기준을 충족하는 최적화된 표준 관리 (SoC) 배경 요법에 대한 잘 기록된 요건: 건강관리 제공자에게의 방문 직전에, 흡입용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용량 >=500 마이크로그램 (mcg)/일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용량 플러스 등가물); 또는 LABA 및 LAMA의 최소 3개월의 사용.
본 개시내용의 28Y042-7F11-1 또는 항원 결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한 치료는 본 개시내용의 방법에 따라 COPD를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다발혈관염을 동반한 호산구성 육아종증" (EGPA)은 기도 알레르기성 과민성 (아토피)의 병력을 갖는 사람에서 작은 및 중간-크기의 혈관의 염증 (혈관염)을 일으키는 자가면역 상태를 의미한다. EGPA는 또한 처그-스트라우스 증후군 (CSS) 또는 알레르기성 육아종증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EGPA는 통상적으로 3 단계로 나타난다. 초기 (전구) 단계는 기도 염증에 의해 표시되며; 거의 모든 환자가 천식 및/또는 알레르기성 비염을 경험한다. 제2 단계는 호산구의 비정상적으로 높은 수 (과다호산구증가증)를 특징으로 하며, 이는 가장 흔하게는 폐 및 소화관에 대한 조직 손상을 일으킨다. 제3 단계는 혈관염으로 이루어지며, 이는 결국 세포 사멸로 이어질 수 있고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
EGPA를 갖는 대상체는 1개 이상의 하기 기준을 충족할 수 있다: a) 천식; b) 감별 백혈구 계수의 10% 초과의 혈액 호산구 수준; c) 단일신경병증 또는 다발신경병증의 존재; d) 비고정 폐 침윤물; e) 부비동 이상의 존재; 및 e) 혈관외 호산구의 조직학적 증거. 분류 목적을 위해, 환자는 선행 6개의 기준 중 적어도 4개가 양성인 경우에 EGPA를 갖는다고 언급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28Y042-7F11-1 또는 항원 결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한 치료는 본 개시내용의 방법에 따라 EGPA를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4주마다 1회 300 mg의 양으로 EGPA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과다호산구성 증후군" (HES)은 심장, 신경계 또는 골수의 침범을 동반하는, 임의의 인식가능한 원인 없이 적어도 6개월 동안 혈액 내 지속적으로 상승된 호산구 수 (≥ 1500개 호산구/mm3)를 특징으로 하는 질환을 의미한다.
과다호산구성 증후군을 갖는 대상체는 1개 이상의 하기 기준을 충족할 수 있다: a) 과다호산구성 증후군의 기록된 병력; b) 6개월 동안 1500개 세포 초과의 혈액 호산구 수; c) 기관계 침범의 징후 및 증상; 및 d) 포괄적 평가 후 호산구증가증의 기생충성, 알레르기성 또는 다른 원인의 증거 부재.
본 개시내용의 28Y042-7F11-1 또는 항원 결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한 치료는 본 개시내용의 방법에 따라 과다호산구성 증후군을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비강 폴립증"은 비강 폴립의 존재를 특징으로 하는 질환을 의미한다. 이러한 폴립은 상부 비강에 있을 수 있고/거나 부비동개구 복합체 내부로부터 기원할 수 있다.
비강 폴립증을 갖는 대상체는 1개 이상의 하기 기준을 충족할 수 있다: a) 비강 폴립증의 기록된 병력; 또는 b) 검사 (예를 들어, 내시경 검사)에서 분명한 비강 폴립.
본 개시내용의 28Y042-7F11-1 또는 항원 결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한 치료는 본 개시내용의 방법에 따라 비강 폴립증을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아토피성 피부염"은 만성 소양증, 태선화, 건조증, 홍반성 구진 및 플라크를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피부 상태를 의미한다.
본 개시내용의 방법에서 "아토피성 피부염"은 "중등도 내지 중증 아토피성 피부염"일 수 있다. 중등도 내지 중증 아토피성 피부염을 갖는 대상체는 표 9에 기재된 기준 중 1개 이상을 충족할 수 있다.
표 9.
중등도 내지 중증 아토피성 피부염을 갖는 대상체는 18세 미만의 소아, 18세 이상의 성인, 또는 18세 내지 70세의 성인일 수 있다. 대상체는 남성 또는 여성일 수 있다. 치료될 여성 대상체는 임신하지 않고/거나, 수유 중이 아니고/거나, 임신할 가능성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토피성 피부염의 진단은 아이헨필드 개정 하니핀 및 라즈카 기준에 기초한다. 표 10 및 [Eichenfield et al., 70 J Am Acad Dermatol 338 (2014)]을 참조한다.
표 10.
건강 관리 전문가의 종합 평가 (HGA)는 대상체의 아토피성 피부염의 현재 상태/중증도를 평가하기 위한 임상 도구이다. 문헌 [Rehal et al., 6 PLos ONE e17520 (2011)] 및 표 11을 참조한다. 이는 훈련된 건강관리 전문가가 가이드라인으로서 홍반, 침윤, 구진형성, 삼출 및 딱지의 임상 특징을 사용하여 결정되는 전체 질환 중증도의 고정적 5-점 형태학적 평가이다. HGA는 이전 점수를 참조하지 않고 이루어진다. 각각의 평가는 평가 시기에 모든 이환된 면적의 중증도의 시각적 '평균'으로서 이루어져야 한다.
표 11.
체표면적 백분율 (% BSA)의 평가는 아토피성 피부염을 갖는 총 침범된 피부의 백분율의 추정치이다. 표 12 참조. % BSA 평가는 개별적으로 다음 4개의 신체 표면 영역: 두경부, 상지, 체간부 및 하지 각각으로부터 염증발생 면적을 조사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고, 이들 신체 영역 각각은 잠재적으로 최대 100% 침범을 가질 수 있다. 이어서 평가자 (예를 들어, 건강 관리 전문가)는 % BSA 면적 점수를 위해 각각의 영역에 대한 침범된 피부의 백분율을 추정할 것이고, 이어서 여기에 적절한 비례 승수 (≥8세 대상체의 경우, 두부 0.1, 상지 0.2, 체간부 0.3 및 하지 0.4)를 곱하여 침범된 영역 % BSA 값을 산출한다. 침범된 영역 % BSA 값을 합산하여 총 침범된 % BSA를 생성한다. 또한, 영역 % BSA 면적 점수는 EASI 점수를 계산하기 위한 매트릭스의 일부로서 이용될 것이다.
표 12.
EASI 점수화 시스템은 아토피성 피부염의 평가를 위한 표준화된 임상 도구이며, 이는 침범된 % 체표면적 (% BSA)의 전체 정도 및 각각의 임상 징후: 홍반, 경화/구진형성, 찰상 및 태선화에 대한 중증도 점수를 고려한다. 문헌 [Hanifin et al., 10 Exp Dermatol 11 (2001); Rullo et al., 36 Allergol et Immunopathol 201 (2008)] 및 표 13을 참조한다. % BSA 평가로부터의 % BSA 면적 점수는 EASI 점수를 계산하기 위한 매트릭스의 일부로서 사용될 것이다. 각각의 임상 징후 (홍반, 경화/구진형성, 찰상 및 태선화)에 대한 중증도 점수는 각각의 4개의 신체 영역 (두경부, 상지, 하지 및 체간부)에 대해 4-점 척도 (0 내지 3)로 등급화된다. 각각의 징후에 대한 중증도 점수를 각각의 영역에 대해 합산하고, % BSA 면적 점수 및 적절한 비례 승수 (≥8세 대상체의 경우, 두부 0.1, 상지 0.2, 체간부 0.3 및 하지 0.4)를 곱하여 영역 EASI 점수를 생성한다. 이어서 영역 EASI 점수를 합산하여 최종 EASI 점수를 산출한다. EASI 점수는 이전 점수를 참조하지 않고 이루어진 고정적 평가이다.
표 13.
치료 유효량의 본 개시내용의 28Y042-7F11-1 또는 항원 결합 단백질은 아토피성 피부염을 갖는 환자를 치료하거나 이러한 환자에서 절대 혈액 호산구 수를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아토피성 피부염은 중등도 아토피성 피부염 또는 중증 아토피성 피부염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방법에 따른, 본 개시내용의 28Y042-7F11-1 또는 항원 결합 단백질을 사용한 아토피성 피부염--예컨대 중등도 아토피성 피부염 또는 중증 아토피성 피부염--의 치료는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a) HGA 점수 0 또는 1 및 HGA에서의 적어도 2-등급 개선 (예를 들어, 출발 HGA 점수에 비해);
b) 습진 면적 및 중증도 지수 (EASI) 점수의 감소 (예를 들어, 출발 EASI 점수에 비해);
c) 이환된 총 체표면적 퍼센트 (% BSA)의 감소 (예를 들어, 출발 % BSA에 비해); 및/또는
d) 대상체가 아이헨필드 개정 하니핀 및 라즈카 기준 (Eichenfield et al., 70 J Am Acad Dermatol 338 (2014))에 따라 아토피성 피부염을 갖지 않는다는 건강 관리 전문가에 의한 결정.
본 개시내용의 방법에 따른 치료 후 EASI 점수는 16 미만, 예컨대, 예를 들어 약 0 내지 16 미만일 수 있다. 치료 후 EASI 점수는 또한 약 0 내지 약 15, 약 0 내지 약 14, 약 0 내지 약 13, 약 0 내지 약 12, 약 0 내지 약 11, 약 0 내지 약 10, 약 0 내지 약 9, 약 0 내지 약 8, 약 0 내지 약 7, 약 0 내지 약 6, 약 0 내지 약 5, 약 0 내지 약 4, 약 0 내지 약 3, 약 0 내지 약 2, 약 0 내지 약 1, 약 1 내지 16 미만, 약 2 내지 16 미만, 약 3 내지 16 미만, 약 4 내지 16 미만, 약 5 내지 16 미만, 약 6 내지 16 미만, 약 7 내지 16 미만, 약 8 내지 16 미만, 약 9 내지 16 미만, 약 10 내지 16 미만, 약 11 내지 16 미만, 약 12 내지 16 미만, 약 13 내지 16 미만, 약 14 내지 16 미만, 약 15 내지 16 미만, 약 2 내지 약 15, 약 3 내지 약 14, 약 4 내지 약 13, 약 5 내지 약 12, 약 6 내지 약 11, 약 7 내지 약 10, 약 8 내지 약 9, 약 0 내지 약 8, 약 8 내지 16 미만, 약 0 내지 약 4, 약 4 내지 약 8, 약 8 내지 약 12 및 약 12 내지 16 미만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방법에 따른 치료 후 % BSA는 약 10% 미만, 예컨대, 예를 들어 약 0% 내지 10% 미만일 수 있다. 치료 후 % BSA는 또한 약 1% 내지 10% 미만, 약 2% 내지 10% 미만, 약 3% 내지 10% 미만, 약 4% 내지 10% 미만, 약 5% 내지 10% 미만, 약 6% 내지 10% 미만, 약 7% 내지 10% 미만, 약 8% 내지 10% 미만, 약 9% 내지 10% 미만, 약 0% 내지 약 9%, 약 0% 내지 약 8%, 약 0% 내지 약 7%, 약 0% 내지 약 6%, 약 0% 내지 약 5%, 약 0% 내지 약 4%, 약 0% 내지 약 3%, 약 0% 내지 약 3%, 약 0% 내지 약 2%, 약 0% 내지 약 1%, 약 0% 내지 약 5%, 약 5% 내지 10% 미만, 약 0% 내지 약 2.5%, 약 2.5% 내지 약 5%, 약 5% 내지 약 7.5% 및 약 7.5% 내지 10% 미만일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항원 결합 단백질"은 인간 IL-5 (서열식별번호: 11)에 결합할 수 있는 단리된 항체, 항체 단편 (예를 들어, Fab 등) 및 다른 항체 유래 단백질 구축물--예컨대 항체 도메인을 포함하는 것 (예를 들어, 도메인 항체 등)--을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항체"는 이뮤노글로불린-유사 도메인 (예를 들어, IgG, IgM, IgA, IgD 또는 IgE)을 갖는 분자를 지칭하며, 이 유형의 모노클로날, 재조합, 폴리클로날, 모노클로날, 재조합, 폴리클로날, 키메라, 인간 및 인간화 분자를 포함한다. 모노클로날 항체는 항체를 발현하는 진핵 세포 클론에 의해 생산될 수 있다. 모노클로날 항체는 또한 항체의 중쇄 및 경쇄를 코딩하는 핵산 서열을 세포 내로 도입하는 것에 의해 이들을 재조합적으로 발현할 수 있는 진핵 세포주에 의해 생산될 수 있다. 상이한 진핵 세포주, 예컨대 차이니즈 햄스터 난소 세포, 하이브리도마, 또는 동물 (예를 들어, 인간)로부터 유래된 불멸화 항체 세포로부터 항체를 생산하는 방법은 널리 공지되어 있다.
항체는 래트, 마우스, 영장류 (예를 들어, 시노몰구스, 구세계 원숭이 또는 대형 유인원), 인간 또는 다른 공급원, 예컨대 항체 분자를 코딩하는, 분자 생물학 기술을 사용하여 생성된 핵산으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항체는 임의의 이소형 또는 하위부류일 수 있는 불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불변 영역은 IgG 이소형, 예를 들어 IgG1, IgG2, IgG3, IgG4 또는 그의 변이체일 수 있다. 항원 결합 단백질 불변 영역은 IgG1일 수 있다.
항원 결합 단백질은 항체가 증진된 이펙터 기능/ADCC 및/또는 보체 활성화를 갖도록 돌연변이된 불변 도메인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변형을 포함할 수 있다.
항체는 표적 항원에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표적 항원의 예는 서열식별번호: 11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인간 IL-5를 포함한다.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중쇄 아미노산 서열 및 서열식별번호: 2에 제시된 경쇄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28Y042-7F11-1은 항체의 예이다. 본 개시내용의 28Y042-7F11-1 또는 항원 결합 단백질은 인간 IL-5에 결합하며 그의 활성을 길항한다.
28Y042-7F11-1은 재조합 인간화 모노클로날 항체 (IgG1, 카파)이다. 28Y042-7F11-1은 2개의 경쇄 및 2개의 중쇄를 갖는다.
28Y042-7F11-1 중쇄는 서열식별번호: 15에 제시된 핵산 서열에 의해 코딩된다. 28Y042-7F11-1 경쇄는 서열식별번호: 16에 제시된 핵산 서열에 의해 코딩된다.
28Y042-7F11-1 중쇄 및 경쇄는 단일 디술피드 결합에 의해 공유 연결되고, 중쇄는 2개의 디술피드 결합에 의해 서로에 연결되어 전형적인 IgG 분자를 생성한다.
본 개시내용의 28Y042-7F11-1 또는 항원 결합 단백질은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예를 들어, 멸균수)로 재구성될 수 있는, 항체 및 부형제를 함유하는 동결건조 분말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이 재구성된 제약 조성물은 이어서 피하로 또는 정맥내로 (예를 들어, 추가의 희석 하에) 투여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28Y042-7F11-1 또는 항원 결합 단백질은 또한 항체, 부형제 및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를 함유하는 액체 제제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이 액체 제약 조성물은 이어서 피하로 또는 정맥내로 (예를 들어, 추가의 희석 하에) 투여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항체 변이체"는 모 항체에 비해 구조적 변화 (예를 들어, 상이한 아미노산 측쇄, 상이한 번역후 변형 또는 다른 변형)를 유발하는 적어도 1개의 중쇄, 경쇄 또는 이들의 조합에서의 적어도 1종의 아미노산 변형 (예를 들어, 상이한 아미노산 측쇄를 갖는 것에 의함), 번역후 변형 또는 다른 변형에 의해 모 항체와 상이한 항체를 의미한다. 28Y042-7F11-1은 이러한 모 항체의 예이다. 구조적 변화는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된 다양한 방법, 예컨대 LC-MS, 직접 서열분석에 의해 직접적으로 결정될 수 있거나 또는 등전 포커싱 등과 같은 방법을 통해 간접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IL-5"는 서열식별번호: 11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인간 IL-5를 의미한다.
항원 결합 단백질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용어 "특이적으로 결합하다"는 항원 결합 단백질이 다른 (예를 들어, 비관련) 단백질에 결합하지 않거나 비유의한 결합을 보이면서, 표적 항원뿐만 아니라 표적 항원 내의 별개의 도메인 또는 별개의 아미노산 서열에 결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그러나 항원 결합 단백질이 또한 밀접하게 관련된 분자 (예를 들어, 고도의 서열 동일성을 갖는 것 또는 또 다른 속 또는 종으로부터의 것)와 교차-반응성일 수 있다는 사실을 배제하지 않는다. 본원에 기재된 항원 결합 단백질은 이들이 밀접하게 관련된 분자에 결합하는 것보다 적어도 2, 5, 10, 50, 100 또는 1000배 더 큰 친화도로 인간 IL-5 또는 인간 IL-5 수용체에 결합할 수 있다.
항원 결합 단백질-표적 항원 상호작용의 결합 친화도 (KD)는 1 mM 이하, 100 nM 이하, 10 nM 이하, 2 nM 이하 또는 1 nM 이하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KD는 5 내지 10 nM; 또는 1 내지 2 nM일 수 있다. KD는 1 pM 내지 500 pM; 또는 500 pM 내지 1 nM일 수 있다. 항원 결합 단백질의 결합 친화도는 회합 상수 (Ka) 및 해리 상수 (Kd)에 의해 결정된다 (KD = Kd/Ka). 결합 친화도는 비아코어(BIACORE)™에 의해, 예를 들어 단백질-A 코팅된 센서 표면 상으로의 시험 항체의 포획 및 이 표면 상에서의 표적 항원 유동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결합 친화도는 포르테바이오(FORTEBIO)에 의해, 예를 들어 시험 항체 수용체가 단백질-A 코팅된 바늘 상에 포획되고 이 표면 상에서 표적 항원을 유동시켜 측정될 수 있다.
Kd는 1x10-3 Ms-1 이하, 1x10-4 Ms-1 이하, 또는 1x10-5 Ms-1 이하일 수 있다. Kd는 1x10-5 Ms-1 내지 1x10-4 Ms-1; 또는 1x10-4 Ms-1 내지 1x10-3 Ms-1일 수 있다. 느린 Kd는 항원 결합 단백질-표적 항원 복합체의 느린 해리 및 표적 항원의 개선된 중화를 유발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특이적 항원 결합 활성"은 표면 플라즈몬 공명 (SPR)에 의해 측정된 항원 결합 활성을 의미한다. IL-5 특이적 결합 활성은, 예를 들어 결합 모드로 수행되는 비아코어™ 기기를 사용하여 SPR에 의해 결정된다. 이것은 샘플 중 총 단백질 (예를 들어, 28Y042-7F11-1) 함량에 의해 나누어진 결합 활성이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FcRn 결합 활성"은 표면 플라즈몬 공명 (SPR)에 의해 측정된 신생아 Fc (FcRn) 수용체 결합 활성을 의미한다. FcRn 결합은 비아코어™ 기기를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것은 샘플의 총 단백질 농도에 의해 나누어진 FcRn 수용체에 대한 결합 활성이다.
특이적 항원 결합 및 FcRn 결합에 대한 SPR 방법은 28Y042-7F11-1의 참조 표준물을 사용한다. 28Y042-7F11-1 참조 표준물은 방법이 적절하게 수행되고 있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시스템 적합성 및 샘플 비교가능성 데이터를 수득하기 위한 검정에 사용될 수 있다. 참조 표준물은 보정 곡선의 확립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샘플의 농도는 곡선으로부터 내삽된다.
"단리된"은 분자, 예컨대 항원 결합 단백질 또는 핵산이 자연에서 발견될 수 있는 환경으로부터 제거된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분자는 통상적으로 그와 함께 자연에 존재하는 물질로부터 정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샘플 중 분자의 질량은 총 질량의 95%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또한 서열식별번호: 13, 14, 15, 16, 17 및/또는 18을 포함하는 단리된 핵산 및 그의 부분 뿐만 아니라 이들의 조성물을 제공한다. 중요하게는, 본 개시내용의 핵산은 전형적으로 본 개시내용의 핵산의 임의의 조합, 완충제, 잔류 완충제, 염, 반대 이온, 물, 알콜 또는 벡터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조성물로서 제공된다. 대안적으로,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본 개시내용의 핵산만을 포함할 수 있다.
용어 "VH" 및 "VL"은 각각 항원 결합 단백질의 중쇄 가변 영역 및 경쇄 가변 영역을 지칭하는 것으로 본원에 사용된다.
"CDR"은 항원 결합 단백질의 상보성 결정 영역 아미노산 서열로 정의된다. 이들은 이뮤노글로불린 중쇄 및 경쇄의 초가변 영역이다. 3개의 중쇄 및 3개의 경쇄 CDR (또는 CDR 영역)이 이뮤노글로불린의 가변 부분에 존재한다. 따라서, 본원에 사용된 "CDR"은 모든 3개의 중쇄 CDR, 모든 3개의 경쇄 CDR, 모든 중쇄 및 경쇄 CDR, 또는 적어도 1개의 CDR (여기서 적어도 1개의 CDR은 CDRH3임)을 지칭한다. 프레임워크 영역은 각각의 이들 CDR 영역을 따른다. 허용되는 중쇄 가변 영역 및 경쇄 가변 영역 프레임워크 1, 프레임워크 2 및 프레임워크 3 영역은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인식된다. 허용되는 중쇄 불변 영역 (힌지 영역을 포함함) 및 경쇄 불변 영역은 또한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인식된다. 허용되는 항체 이소형은 유사하게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인식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가변 도메인 서열 및 전장 항체 서열 내 아미노산 잔기는 카바트 넘버링 규정에 따라 넘버링된다. 유사하게,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CDR", "CDRL1", "CDRL2", "CDRL3", "CDRH1", "CDRH2", "CDRH3"은 카바트 넘버링 규정을 따른다.
가변 도메인 서열 및 전장 항체 서열 내 아미노산 잔기에 대한 대안적 넘버링 규정이 존재한다는 것은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분명할 것이다. 또한 CDR 서열, 예를 들어 코티아 넘버링 규정에 따라 설정된 것에 대한 대안적 넘버링 규정이 존재한다. 항체의 구조 및 단백질 폴딩은 다른 잔기가 CDR 서열의 일부로 간주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고,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그와 같이 이해될 것이다.
통상의 기술자에게 이용가능한 CDR 서열에 대한 다른 넘버링 규정은 "AbM" (유니버시티 오브 배스) 및 "접촉"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방법을 포함한다. "최소 결합 단위"를 제공하기 위해, 카바트, 코티아, AbM 및 접촉 방법 중 적어도 2종을 사용하여 최소 중첩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최소 결합 단위는 CDR의 하위-부분일 수 있다.
하기 표 14는 각각의 CDR 또는 결합 단위에 대한 각각의 넘버링 규정을 사용한 하나의 정의를 나타낸다. 가변 도메인 아미노산 서열을 넘버링하기 위해 카바트 넘버링 스킴이 표 14에 사용된다. CDR 정의의 일부는 사용된 개별 간행물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표 14
질의 핵산 서열과 대상 핵산 서열 사이의 "퍼센트 동일성"은 백분율로 표현되는 "동일성" 값이며, 이는 대상 핵산 서열이 쌍별 BLASTN 정렬을 수행한 후 질의 핵산 서열과 100% 질의 적용범위를 가질 때 BLASTN 알고리즘에 의해 계산된다. 질의 핵산 서열과 대상 핵산 서열 사이의 이러한 쌍별 BLASTN 정렬은 국립 생명공학 연구 센터의 웹사이트 상에서 이용가능한 BLASTN 알고리즘의 디폴트 세팅을 사용하고 낮은 복잡성 영역에 대한 필터를 턴 오프하여 수행된다. 중요하게는, 질의 핵산 서열은 본원의 1개 이상의 청구항에서 확인된 핵산 서열에 의해 기재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 및 관련 방법에서 유용하고 그에 포함될 수 있는 핵산 서열은 본 개시내용에서 확인된 핵산 서열 (예를 들어, 항체 중쇄 또는 항체 경쇄를 코딩하는 핵산)에 대해 약 85% 내지 약 100%, 약 90% 내지 약 100%, 약 95% 내지 약 100%, 약 91%, 약 92%, 약 93%, 약 94%, 약 95%, 약 96%, 약 97%, 약 98%, 약 99% 및 약 100% 동일성을 가질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서, 기재된 핵산 서열 사이의 퍼센트 동일성은 상기 인용된 퍼센트 동일성 범위의 임의의 별개의 하위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범위 내의 정수 값 또는 특정한 범위 내의 별개의 하위값의 임의의 범위).
질의 아미노산 서열과 대상 아미노산 서열 사이의 "퍼센트 동일성"은 백분율로 표현되는 "동일성" 값이며, 이는 대상 아미노산 서열이 쌍별 BLASTP 정렬을 수행한 후 질의 아미노산 서열과 100% 질의 적용범위를 가질 때 BLASTP 알고리즘에 의해 계산된다. 질의 아미노산 서열과 대상 아미노산 서열 사이의 이러한 쌍별 BLASTP 정렬은 국립 생명공학 연구 센터의 웹사이트 상에서 이용가능한 BLASTP 알고리즘의 디폴트 세팅을 사용하고 낮은 복잡성 영역에 대한 필터를 턴 오프하여 수행된다. 중요하게는, 질의 아미노산 서열은 본원의 1개 이상의 청구항에서 확인된 아미노산 서열에 의해 기재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 및 관련 방법에서 유용하고 그에 포함될 수 있는 아미노산 서열은 본 개시내용에서 확인된 아미노산 서열 (예를 들어, 항체 중쇄 또는 항체 경쇄)에 대해 약 85% 내지 약 100%, 약 90% 내지 약 100%, 약 95% 내지 약 100%, 약 91%, 약 92%, 약 93%, 약 94%, 약 95%, 약 96%, 약 97%, 약 98%, 약 99% 및 약 100% 동일성을 가질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 사이의 퍼센트 동일성은 상기 인용된 퍼센트 동일성 범위의 임의의 별개의 하위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범위 내의 정수 값 또는 특정한 범위 내의 별개의 하위값의 임의의 범위).
용어 "펩티드", "폴리펩티드", "단백질" 및 "펩티드 쇄"는 각각 2개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를 포함하는 분자를 지칭한다. 펩티드는 단량체 또는 중합체일 수 있다.
특정 아미노산 치환은 "보존적"인 것으로 간주된다는 것이 관련 기술분야에서 널리 인식되어 있다. 아미노산은 공통 측쇄 특성에 기초하여 여러 군으로 나누어지고, 모든 또는 실질적으로 모든 항원 결합 단백질의 결합 친화도를 유지하는 군 내의 치환은 보존적 치환으로 간주된다. 표 15를 참조한다. 본원에 개시된 항원 결합 단백질은 이러한 "보존적" 아미노산 치환을 포함할 수 있다.
표 15
본원에 사용된 용어 "제약 조성물"은 환자에게의 투여에 적합한 조성물을 의미한다.
본원에 기재된 제약 조성물은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항체의 정제된 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약 제제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항체의 정제된 제제를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와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제약 조성물은 허용되는 제약 실시에 의해 공지되고 언급되는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담체의 예는 임의로 적합한 완충제로 pH 5 내지 8의 범위 내로 완충시킨 멸균 담체, 예컨대 염수, 링거액 또는 덱스트로스 용액을 포함한다.
제약 조성물은 주사 또는 주입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맥내, 복강내, 피내, 피하, 근육내 또는 문맥내). 이러한 조성물은 적합하게는 가시적 미립자 물질이 없다. 제약 조성물은 1 mg 내지 10 g의 항원 결합 단백질, 예를 들어 5 mg 내지 1 g의 항원 결합 단백질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조성물은 5 mg 내지 500 mg의 항원 결합 단백질, 예를 들어 5 mg 내지 50 mg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약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다. 제약 조성물은 1 mg 내지 10 g의 단위 투여 형태의 항원 결합 단백질을 임의로 사용에 대한 지침서와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제약 조성물은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널리 공지되거나 분명한 방법에 따라 투여하기 전에 재구성을 위해 동결건조 (냉동 건조)될 수 있다. 항체가 IgG1 이소형을 갖는 경우에, 구리의 킬레이트화제, 예컨대 시트레이트 (예를 들어, 시트르산나트륨) 또는 EDTA 또는 히스티딘이 이러한 이소형의 항체의 구리-매개된 분해의 정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제약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제약 조성물은 또한 가용화제, 예컨대 아르기닌, 계면활성제/항응집제, 예컨대 폴리소르베이트 80, 및 바이알 헤드스페이스 산소를 대체하기 위한 불활성 기체, 예컨대 질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치료 유효량"은 치료될 상태 (예컨대 천식, 경도 천식, 중등도 천식, 중증 천식, 경도 호산구성 천식, 중등도 호산구성 천식, 중증 호산구성 천식, 비제어된 호산구성 천식, 호산구성 천식, 준-호산구성 천식, 만성 폐쇄성 폐 질환, 다발혈관염을 동반한 호산구성 육아종증, 과다호산구성 증후군, 비강 폴립증, 수포성 유천포창, 호산구성 식도염, 아토피성 피부염, 중등도 아토피성 피부염 및 중증 아토피성 피부염)의 1종 이상의 증상의 치료 또는 관리에서 치료 이익을 제공하는 작용제 (예컨대 항체 또는 제약 조성물)의 양을 의미한다. 천식, 경도 천식, 중등도 천식, 중증 천식, 경도 호산구성 천식, 중등도 호산구성 천식, 중증 호산구성 천식, 비제어된 호산구성 천식, 호산구성 천식 및 준-호산구성 천식을 포함한 천식의 1종 이상의 증상의 이러한 치료 또는 관리의 예는 1) 천식 악화의 빈도의 감소; 2) 경구 또는 전신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입원 및/또는 응급부 (ED) 방문이 요구되는 최초 임상적으로 유의한 악화까지의 시간의 감소; 3) 입원 (삽관 및 집중 치료실에의 입장을 포함함) 또는 ED 방문이 요구되는 악화의 빈도의 감소; 4) 입원 또는 ED 방문이 요구되는 최초 악화까지의 시간의 감소; 5) 임상 기관지확장제전 FEV1의 기준선으로부터의 변화; 6) 임상 기관지확장제후 FEV1의 기준선으로부터의 변화; 7) 천식 조절 설문지 (ACQ) 점수의 기준선으로부터의 변화; 8) 폐활량측정에 의해 평가 시에 개선된 폐 기능 (예를 들어, 폐활량 (VC), 강제 폐활량 (FVC), 0.5, 1.0 (FEV1), 2.0, 및 3.0초의 시간 간격의 강제 호기량 (FEV), 강제 호기 유량 25-75% (FEF 25-75) 및 최대 자발적 환기 (MVV) 총 폐 용량, 1회 호흡량, 잔류량, 호기 예비량, 흡기 예비량, 흡기 용량, 흡기 폐활량, 폐활량, 기능적 잔류 용량, 총 폐 용량의 퍼센트로서 표현되는 잔류량, 폐포 기체량, 전도성 기도 양을 포함한 폐의 실제 양, 강제 폐활량 등); 및 9) 제어를 위해 스테로이드 (예컨대 경구 스테로이드 또는 스테로이드-유사 프레드니손, 프레드니솔론 등--임의의 경로에 의해 투여됨)가 요구되는 천식 악화의 감소. 제어를 위해 스테로이드가 요구되는 천식 악화의 이러한 감소는 스테로이드 (예를 들어, 경구 스테로이드)가 요구되는 악화의 대략 50% 감소일 수 있다.
치료 유효량 및 치료 요법은 일반적으로 실험적으로 결정되며, 환자의 연령, 체중 및 건강 상태, 및 치료될 질환 또는 장애와 같은 인자에 좌우될 수 있다. 이러한 인자는 담당 의사의 권한 내에 있다.
대상체에게 투여되는 항원 결합 단백질의 투여량은 1 μg/kg 내지 150 mg/kg, 0.1 mg/kg 내지 100 mg/kg, 0.5 mg/kg 내지 50 mg/kg, 1 내지 25 mg/kg, 약 0.3 mg/kg 내지 약 3 mg/kg 또는 1 내지 10 mg/kg 대상체 체중이다. 예를 들어, 용량은 10 mg/kg, 30 mg/kg 또는 60 mg/kg일 수 있다. 용량은 또한 10 mg/kg 내지 110 mg/mg, 15 mg/kg 내지 25 mg/kg 또는 15 mg/kg 내지 100 mg/kg일 수 있다. 항원 결합 단백질은, 예를 들어 비경구로, 피하로, 정맥내로 또는 근육내로 투여될 수 있다. 용량은 또한 대상체당 기준으로, 예컨대 대상체당 약 20 mg 내지 대상체당 약 750 mg, 대상체당 약 75 mg 내지 대상체당 약 750 mg, 대상체당 약 20 mg 내지 대상체당 약 200 mg으로 투여될 수 있다. 용량은 이들 투여량 범위를 갖는 임의의 별개의 하위범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용량은 또한 대상체당 기준으로, 예컨대 대상체당 약 100 mg (예를 들어, 4주마다 1회) 또는 대상체당 300 mg으로 피하로 투여될 수 있다 (또는 투여되는 다른 용량은 정맥내 투여와 거의 동일하거나 대등한 생체이용률이 달성된다면 피하로 투여될 수 있다-예를 들어, 대상체당 300 mg의 피하로 투여되는 총 용량을 달성하기 위해 대상체당 100 mg의 3회 용량).
임의의 유형의 본원에 제공된 범위는 기재된 특정한 범위 내의 모든 값 및 특정한 범위에 대한 종점에 관한 값을 포함한다.
원하는 경우에, 본 개시내용의 항체 또는 항원 결합 단백질 (예를 들어, 제약 조성물로서)의 유효 1일 용량은, 임의로 단위 투여 형태로 하루 내내 적절한 간격으로 개별적으로 투여되는 2, 3, 4, 5, 6회 또는 그 초과의 용량으로서 투여될 수 있다.
용량의 투여는 2 내지 24시간, 예컨대 2 내지 12시간, 또는 2 내지 6시간의 기간에 걸친 느린 연속 주입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투여는 감소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용량의 투여는 필요한 경우 1회 이상, 예를 들어 1일 3회, 1일 1회, 2일마다 1회, 1주 1회, 14일마다 1회, 1개월 1회, 3개월마다 1회, 4개월마다 1회, 6개월마다 1회 또는 12개월마다 1회 반복될 수 있다. 항원 결합 단백질은, 예를 들어 6개월 이상의 기간 동안 1주 1회 유지 요법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항원 결합 단백질은, 예를 들어 사이클에서 3 내지 6개월의 기간 동안 간헐적 요법에 의해 투여된 다음, 3 내지 6개월 동안 투여되지 않고, 이어서 3 내지 6개월 동안 항원 결합 단백질이 투여되는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용량은 각각의 투여 일에 다중 용량 형태로 14 또는 28일마다 1회 피하로 투여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의 투여량은 4주 (28일)마다 1회 100 mg이다.
항원 결합 단백질은 특정한 부위에 대한 표적 요법과 같은 방식으로 대상체에게 투여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방법의 항원 결합 단백질은 1종 이상의 다른 치료 활성제, 예컨대 항체 또는 소분자 억제제와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치료하는" 및 그의 문법적 변형은 치료 요법을 의미한다. 특정한 상태와 관련하여, 치료하는은 다음을 의미한다: (1) 상태의 생물학적 징후 중 1종 이상의 상태를 호전시키는 것, (2) (a) 상태를 야기하거나 그의 원인이 되는 생물학적 캐스케이드에서의 1종 이상의 지점 또는 (b) 상태의 생물학적 징후 중 1종 이상을 방해하는 것, (3) 상태 또는 그의 치료와 연관된 증상, 영향 또는 부작용 중 1종 이상을 완화하는 것, (4) 상태, 또는 상태의 생물학적 징후 중 1종 이상의 진행을 늦추는 것, 또는 (5) 상태의 생물학적 징후 중 1종 이상의 발병을 방지하는 것. 이에 의한 예방 요법이 또한 고려된다. 통상의 기술자는 "방지"가 절대 용어가 아니라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의학에서, "방지"는 상태 또는 그의 생물학적 징후의 가능성 또는 중증도를 실질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한, 또는 이러한 상태 또는 그의 생물학적 징후의 발병을 지연시키기 위한 약물의 예방적 투여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용어 "개체", "대상체" 및 "환자"는 본원에서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된다. 대상체는 전형적으로 인간이다. 대상체는 또한 포유동물, 예컨대 마우스, 래트 또는 영장류 (예를 들어 마모셋 또는 원숭이)일 수 있다. 대상체는 비-인간 동물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항원 결합 단백질, 조성물 및 방법은 또한 수의학적 용도를 갖는다. 치료될 대상체는 농장 동물, 예를 들어 암소 또는 수소, 양, 돼지, 거세된 수소, 염소 또는 말일 수 있거나, 가축, 예컨대 개 또는 고양이일 수 있다. 동물은 임의의 나이일 수 있거나, 성숙 성체 동물일 수 있다.
치료는 치유적, 예방적 또는 방지적일 수 있다. 대상체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자일 것이다. 치료를 필요로 하는 자는 향후 질환이 발생할 수 있는 개체에 더하여, 이미 특정한 의료 질환을 앓고 있는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에 기재된 본 개시내용의 방법, 항원 결합 단백질 및 조성물은 명시되는 경우에 예방적 치료 또는 방지적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본 개시내용의 방법, 항원 결합 단백질 및 조성물은 질환의 1종 이상의 측면 또는 증상의 발병을 방지 또는 지연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대상체는 무증상일 수 있다. 대상체는 질환에 대한 유전적 소인을 가질 수 있다. 항원 결합 단백질의 예방 유효량은 이러한 개체에게 투여된다. 예방 유효량은 본원에 기재된 질환의 1종 이상의 측면 또는 증상의 발병을 방지 또는 지연시키는 양이다.
본 개시내용의 방법, 항원 결합 단백질 및 조성물은 실행가능한 치유적 치료를 구성하기 위해 완전한 치유에 영향을 미치거나 질환의 모든 증상 또는 징후를 근절할 필요는 없다. 관련 기술분야에서 인식되는 바와 같이, 치료 방법에서 치료제로서 사용되는 약물은 소정의 질환 상태의 중증도를 감소시킬 수 있지만, 유용한 치료제로 간주되기 위해 질환의 모든 징후를 없앨 필요는 없다. 유사하게, 예방적으로 투여되는 치료는 실행가능한 예방제를 구성하기 위해 질환의 발병을 방지하는데 있어서 완전히 효과적일 필요는 없다. 단순히 질환의 영향을 감소시키거나 (예를 들어, 질환 증상의 수 또는 중증도를 감소시킴으로써, 또는 또 다른 치료의 유효성을 증가시킴으로써, 또는 또 다른 유익한 효과를 가져옴으로써), 또는 대상체에서 질환이 발생하거나 악화될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것이면 (예를 들어, 질환의 발병을 지연시킴으로써) 충분하다.
본 개시내용의 한 측면은 서열식별번호: 5에 제시된 CDRH1 아미노산 서열, 서열식별번호: 6에 제시된 CDRH2 아미노산 서열, 및 서열식별번호: 7에 제시된 CDRH3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식별번호: 8에 제시된 CDRL1 아미노산 서열, 서열식별번호: 9에 제시된 CDRL2 아미노산 서열, 및 서열식별번호: 10에 제시된 CDRL3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항원 결합 단백질이다.
본 개시내용의 항원 결합 단백질의 한 실시양태에서,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21에 제시된 바와 같은 바와 같은 중쇄 FR4 아미노산 서열을 추가로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항원 결합 단백질은 위치 252에서의 티로신 잔기, 위치 254에서의 트레오닌 잔기 및 위치 256에서의 글루탐산 잔기를 갖는 중쇄 Fc 도메인을 포함하고, 여기서 중쇄 Fc 도메인의 아미노 말단은 중쇄 가변 영역의 카르복시 말단에 연결된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서열식별번호: 3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가변 영역 서열 및 서열식별번호: 4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가변 영역 서열을 포함하는 항원 결합 단백질이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중쇄 및 경쇄를 포함하는 항체이며, 여기서 a) 중쇄는 서열식별번호: 5에 제시된 CDRH1 아미노산 서열, 서열식별번호: 6에 제시된 CDRH2 아미노산 서열, 및 서열식별번호: 7에 제시된 CDRH3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고; b) 경쇄는 서열식별번호: 8에 제시된 CDRL1 아미노산 서열, 서열식별번호: 9에 제시된 CDRL2 아미노산 서열, 및 서열식별번호: 10에 제시된 CDRL3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항체의 한 실시양태에서,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21에 제시된 바와 같은 바와 같은 중쇄 FR4 아미노산 서열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항체의 한 실시양태에서, 중쇄는 위치 252에서의 티로신 잔기, 위치 254에서의 트레오닌 잔기 및 위치 256에서의 글루탐산 잔기를 갖는 중쇄 Fc 도메인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중쇄 및 경쇄를 포함하는 항체이며, 여기서 a) 중쇄는 서열식별번호: 3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가변 영역 서열을 포함하고; b) 경쇄는 서열식별번호: 4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가변 영역 서열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항체의 한 실시양태에서, 중쇄는 위치 252에서의 티로신 잔기, 위치 254에서의 트레오닌 잔기 및 위치 256에서의 글루탐산 잔기를 갖는 중쇄 Fc 도메인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및 서열식별번호: 2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를 포함하는 항체이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서열식별번호: 3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펩티드 쇄이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펩티드 쇄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본 개시내용의 중쇄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핵산 및 본 개시내용의 항원 결합 단백질의 경쇄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핵산을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본 개시내용의 중쇄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핵산 및 본 개시내용의 경쇄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핵산을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본 개시내용의 중쇄 가변 영역의 카르복시 말단에 연결된 중쇄 Fc 도메인을 코딩하는 핵산 및 본 개시내용의 경쇄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핵산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서열식별번호: 3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핵산 및 서열식별번호: 4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핵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핵산 및 서열식별번호: 2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핵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서열식별번호: 3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핵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핵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서열식별번호: 15에 제시된 서열을 갖는 핵산 및 서열식별번호: 16에 제시된 서열을 갖는 핵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서열식별번호: 17에 제시된 서열을 갖는 핵산 및 서열식별번호: 18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핵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서열식별번호: 13에 제시된 서열을 갖는 핵산 및 서열식별번호: 14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핵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서열식별번호: 15에 제시된 서열을 갖는 핵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서열식별번호: 17에 제시된 서열을 갖는 핵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서열식별번호: 13에 제시된 서열을 갖는 핵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본 개시내용의 중쇄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핵산을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본 개시내용의 중쇄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핵산을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본 개시내용의 중쇄 가변 영역의 카르복시 말단에 연결된 중쇄 Fc 도메인을 코딩하는 핵산을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발현 벡터는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을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재조합 숙주 세포는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발현 벡터를 포함한다. 대안적 실시양태에서, 재조합 숙주 세포는 본 개시내용의 제1 항원 결합 단백질 펩티드 쇄 (예를 들어, 항체 중쇄)를 코딩하는 제1 발현 벡터 및 본 개시내용의 제2 항원 결합 펩티드 쇄 (예를 들어, 항체 경쇄)를 코딩하는 제2 발현 벡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서열식별번호: 3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핵산을 포함하는 재조합 숙주 세포를 배양하는 단계; 및 펩티드 쇄를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열식별번호: 3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펩티드 쇄의 생산 방법이다.
본 개시내용의 방법의 한 실시양태에서, 핵산은 서열식별번호: 15에 제시된 서열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방법의 한 실시양태에서, 핵산은 서열식별번호: 13에 제시된 서열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방법의 한 실시양태에서, 핵산은 서열식별번호: 17에 제시된 서열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한 실시양태는 a)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발현 벡터를 포함하는 재조합 숙주 세포를 배양하는 단계; 및 b) 항원 결합 단백질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항원 결합 단백질이 생산되는 것인, 항원 결합 단백질의 생산 방법이다.
본 개시내용의 한 실시양태는 본 개시내용의 방법에 의해 생산된 항원 결합 단백질이다.
본 개시내용의 한 실시양태는 a)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발현 벡터를 포함하는 재조합 숙주 세포를 배양하는 단계; 및 b) 항체를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항체가 생산되는 것인, 항체의 생산 방법이다.
본 개시내용의 한 실시양태는 본 개시내용의 방법에 의해 생산된 항체이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a) 서열식별번호: 17에 제시된 서열을 갖는 핵산 및 서열식별번호: 18에 제시된 서열을 갖는 핵산을 포함하는 발현 벡터를 포함하는 재조합 숙주 세포를 배양하는 단계; 및 b) 항체를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항체가 생산되는 것인, 항체의 생산 방법이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a) 서열식별번호: 5에 제시된 CDRH1 아미노산 서열, 서열식별번호: 6에 제시된 CDRH2 아미노산 서열, 및 서열식별번호: 7에 제시된 CDRH3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식별번호: 8에 제시된 CDRL1 아미노산 서열, 서열식별번호: 9에 제시된 CDRL2 아미노산 서열, 및 서열식별번호: 10에 제시된 CDRL3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항원 결합 단백질; 및 b)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이다.
본 개시내용의 제약 조성물의 한 실시양태에서,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식별번호: 2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중쇄 FR4 아미노산 서열을 추가로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제약 조성물은 위치 252에서의 티로신 잔기, 위치 254에서의 트레오닌 잔기 및 위치 256에서의 글루탐산 잔기를 갖는 중쇄 Fc 도메인을 포함하고, 여기서 중쇄 Fc 도메인의 아미노 말단은 중쇄 가변 영역의 카르복시 말단에 연결된다.
본 개시내용의 제약 조성물의 한 실시양태에서, 항원 결합 단백질은 약 75 mg/ml 내지 약 150 mg/ml의 농도로 존재한다.
본 개시내용의 제약 조성물의 한 실시양태에서, 제약상 유효한 담체는 약 40 mM 히스티딘, 약 180 mM 트레할로스, 약 100 mM 아르기닌, 약 8 mM 메티오닌, 약 0.02 중량%의 폴리소르베이트 80 (부피 기준) 및 약 0.05 mM EDTA를 함유하는 약 pH 5.5 내지 약 pH 6.0의 수성 액체 제제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제약 조성물의 한 실시양태에서, pH는 약 6.0이고, 항원 결합 단백질은 약 150 mg/ml의 농도로 존재한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a) 서열식별번호: 5에 제시된 CDRH1 아미노산 서열, 서열식별번호: 6에 제시된 CDRH2 아미노산 서열, 및 서열식별번호: 7에 제시된 CDRH3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식별번호: 8에 제시된 CDRL1 아미노산 서열, 서열식별번호: 9에 제시된 CDRL2 아미노산 서열, 및 서열식별번호: 10에 제시된 CDRL3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항체; 및 b)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이다.
58. 제57항에 있어서, 항체가 약 75 mg/ml 내지 약 150 mg/ml의 농도로 존재하는 것인 제약 조성물.
본 개시내용의 제약 조성물의 한 실시양태에서, 제약상 유효한 담체는 약 40 mM 히스티딘, 약 180 mM 트레할로스, 약 100 mM 아르기닌, 약 8 mM 메티오닌, 약 0.02 중량%의 폴리소르베이트 80 (부피 기준) 및 약 0.05 mM EDTA를 함유하는 약 pH 5.5 내지 약 pH 6.0의 수성 액체 제제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제약 조성물의 한 실시양태에서, pH는 약 6.0이고, 항체는 약 150 mg/ml의 농도로 존재한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a) 중쇄 및 경쇄를 포함하는 항체이며, 여기서 중쇄는 서열식별번호: 3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가변 영역 서열을 포함하고, 경쇄는 서열식별번호: 4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가변 영역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항체; 및 b)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이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a)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및 서열식별번호: 2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를 포함하는 항체; 및 b)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이다.
본 개시내용의 한 실시양태는 a) 천식, 경도 천식, 중등도 천식, 중증 천식, 경도 호산구성 천식, 중등도 호산구성 천식, 중증 호산구성 천식, 비제어된 호산구성 천식, 호산구성 천식, 준-호산구성 천식, 만성 폐쇄성 폐 질환, 다발혈관염을 동반한 호산구성 육아종증, 과다호산구성 증후군, 비강 폴립증, 수포성 유천포창, 호산구성 식도염, 아토피성 피부염, 중등도 아토피성 피부염 및 중증 아토피성 피부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질환을 갖는 대상체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본 개시내용에 따른 항원 결합 단백질의 치료 유효량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대상체에서 질환이 치료되는 것인, 대상체에서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본 개시내용의 방법의 한 실시양태에서, 항원 결합 단백질의 양은 약 2 mg 내지 약 600 mg이다. 예를 들어, 항원 결합 단백질 (예를 들어, 항체)의 양은 2 mg, 10 mg, 30 mg, 100 mg, 300 mg 또는 600 mg 용량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방법의 한 실시양태에서, 항원 결합 단백질은 3개월마다 1회 또는 6개월마다 1회 투여된다.
본 개시내용의 방법의 한 실시양태에서, 대상체는 μL당 200개 이상의 세포 및 μL당 350개 이상의 세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절대 혈액 호산구 수를 갖는다.
본 개시내용의 한 실시양태는 a) 천식, 경도 천식, 중등도 천식, 중증 천식, 경도 호산구성 천식, 중등도 호산구성 천식, 중증 호산구성 천식, 비제어된 호산구성 천식, 호산구성 천식, 준-호산구성 천식, 만성 폐쇄성 폐 질환, 다발혈관염을 동반한 호산구성 육아종증, 과다호산구성 증후군, 비강 폴립증, 수포성 유천포창, 호산구성 식도염, 아토피성 피부염, 중등도 아토피성 피부염 및 중증 아토피성 피부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질환을 갖는 대상체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본 개시내용에 따른 항체의 치료 유효량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대상체에서 질환이 치료되는 것인, 대상체에서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본 개시내용의 한 실시양태는 a) 천식, 경도 천식, 중등도 천식, 중증 천식, 경도 호산구성 천식, 중등도 호산구성 천식, 중증 호산구성 천식, 비제어된 호산구성 천식, 호산구성 천식, 준-호산구성 천식, 만성 폐쇄성 폐 질환, 다발혈관염을 동반한 호산구성 육아종증, 과다호산구성 증후군, 비강 폴립증, 수포성 유천포창, 호산구성 식도염, 아토피성 피부염, 중등도 아토피성 피부염 및 중증 아토피성 피부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질환을 갖는 대상체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본 개시내용에 따른 조성물의 치료 유효량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대상체에서 질환이 치료되는 것인, 대상체에서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a) 경도 천식 내지 중등도 천식 진단을 갖는 대상체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서열식별번호: 5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 서열식별번호: 6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 및 서열식별번호: 7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식별번호: 8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 서열식별번호: 9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 및 서열식별번호: 10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항체의 치료 유효량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대상체에서 경도 내지 중등도 천식이 치료되는 것인, 대상체에서 경도 내지 중등도 천식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한 실시양태는 중쇄 가변 영역이 서열식별번호: 2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중쇄 FR4 아미노산 서열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본 개시내용의 방법이다.
한 실시양태는 항체가 위치 252에서의 티로신 잔기, 위치 254에서의 트레오닌 잔기 및 위치 256에서의 글루탐산 잔기를 갖는 중쇄 Fc 도메인을 포함하고, 여기서 중쇄 Fc 도메인의 아미노 말단은 중쇄 가변 영역의 카르복시 말단에 연결되는 것인 본 개시내용의 방법이다.
한 실시양태는 항체가 서열식별번호: 3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가변 영역 서열; 및 서열식별번호: 4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가변 영역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본 개시내용의 방법이다.
한 실시양태는 항체가 피하로 투여되는 것인 본 개시내용의 방법이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a) 경도 천식 내지 중등도 천식 진단을 갖는 대상체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및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를 포함하는 항체의 치료 유효량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대상체에서 경도 내지 중등도 천식이 치료되는 것인, 대상체에서 경도 내지 중등도 천식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a) 경도 천식 내지 중등도 천식 진단을 갖는 대상체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및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를 포함하는 항체 및 제약상 유효한 담체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의 치료 유효량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대상체에서 경도 내지 중등도 천식이 치료되는 것인, 대상체에서 경도 내지 중등도 천식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한 실시양태는 제약상 유효한 담체가 약 40 mM 히스티딘, 약 180 mM 트레할로스, 약 100 mM 아르기닌, 약 8 mM 메티오닌, 약 0.02 중량%의 폴리소르베이트 80 (부피 기준) 및 약 0.05 mM EDTA를 함유하는 약 pH 5.5 내지 약 pH 6.0의 수성 액체 제제를 포함하는 것인 본 개시내용의 방법이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a) 중증 천식 진단을 갖는 대상체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서열식별번호: 5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 서열식별번호: 6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 및 서열식별번호: 7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식별번호: 8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 서열식별번호: 9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 및 서열식별번호: 10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항체의 치료 유효량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대상체에서 중증 천식이 치료되는 것인, 대상체에서 중증 천식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a) 중증 천식 진단을 갖는 대상체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및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를 포함하는 항체의 치료 유효량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대상체에서 중증 천식이 치료되는 것인, 대상체에서 중증 천식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a) 중증 천식 진단을 갖는 대상체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및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를 포함하는 항체 및 제약상 유효한 담체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의 치료 유효량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대상체에서 중증 천식이 치료되는 것인, 대상체에서 중증 천식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a) i) 아이헨필드 개정 하니핀 및 라즈카 기준에 따른 아토피성 피부염 진단; ii) 치료 전 약 2년 이상 동안 아토피성 피부염의 선행 진단; iii) 건강 관리 전문가의 종합 평가 점수 약 3 이상; iv) 체표면적의 약 10% 이상의 아토피성 피부염 침범; v) 습진 면적 및 중증도 지수 점수 16 이상; vi) μL당 150개 이상의 세포, μL당 200개 이상의 세포, μL당 300개 이상의 세포, 또는 μL당 350개 이상의 세포의 절대 혈액 호산구 수; 및 vii) 1) 6개월 이상 동안 아토피성 피부염을 위한 국소 의약에 대한 부적절한 반응; 2) 아토피성 피부염을 위한 국소 의약의 불량한 내성; 3) 아토피성 피부염을 위한 국소 의약으로부터의 부작용; 및 4) 아토피성 피부염을 위한 비약리학적 치료에 대한 부적절한 반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치료 이전의 적어도 1종의 상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갖는 대상체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서열식별번호: 5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 서열식별번호: 6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 및 서열식별번호: 7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식별번호: 8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 서열식별번호: 9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 및 서열식별번호: 10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항체의 치료 유효량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대상체에서 아토피성 피부염이 치료되는 것인, 중등도 내지 중증 아토피성 피부염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중등도 내지 중증 아토피성 피부염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한 실시양태는 항체가 정맥내로 투여되는 것인 본 개시내용의 방법이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a) i) 아이헨필드 개정 하니핀 및 라즈카 기준에 따른 아토피성 피부염 진단; ii) 치료 전 약 2년 이상 동안 아토피성 피부염의 선행 진단; iii) 건강 관리 전문가의 종합 평가 점수 약 3 이상; iv) 체표면적의 약 10% 이상의 아토피성 피부염 침범; v) 습진 면적 및 중증도 지수 점수 16 이상; vi) μL당 150개 이상의 세포, μL당 200개 이상의 세포, μL당 300개 이상의 세포, 또는 μL당 350개 이상의 세포의 절대 혈액 호산구 수; 및 vii) 1) 6개월 이상 동안 아토피성 피부염을 위한 국소 의약에 대한 부적절한 반응; 2) 아토피성 피부염을 위한 국소 의약의 불량한 내성; 3) 아토피성 피부염을 위한 국소 의약으로부터의 부작용; 및 4) 아토피성 피부염을 위한 비약리학적 치료에 대한 부적절한 반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치료 이전의 적어도 1종의 상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갖는 대상체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및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를 포함하는 항체의 치료 유효량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대상체에서 아토피성 피부염이 치료되는 것인, 중등도 내지 중증 아토피성 피부염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중등도 내지 중증 아토피성 피부염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a) i) 아이헨필드 개정 하니핀 및 라즈카 기준에 따른 아토피성 피부염 진단; ii) 치료 전 약 2년 이상 동안 아토피성 피부염의 선행 진단; iii) 건강 관리 전문가의 종합 평가 점수 약 3 이상; iv) 체표면적의 약 10% 이상의 아토피성 피부염 침범; v) 습진 면적 및 중증도 지수 점수 16 이상; vi) μL당 150개 이상의 세포, μL당 200개 이상의 세포, μL당 300개 이상의 세포, 또는 μL당 350개 이상의 세포의 절대 혈액 호산구 수; 및 vii) 1) 6개월 이상 동안 아토피성 피부염을 위한 국소 의약에 대한 부적절한 반응; 2) 아토피성 피부염을 위한 국소 의약의 불량한 내성; 3) 아토피성 피부염을 위한 국소 의약으로부터의 부작용; 및 4) 아토피성 피부염을 위한 비약리학적 치료에 대한 부적절한 반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치료 이전의 적어도 1종의 상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갖는 대상체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및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를 포함하는 항체 및 제약상 유효한 담체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의 치료 유효량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대상체에서 아토피성 피부염이 치료되는 것인, 대상체에서 중등도 내지 중증 아토피성 피부염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a) 천식, 경도 천식, 중등도 천식, 중증 천식, 경도 호산구성 천식, 중등도 호산구성 천식, 중증 호산구성 천식, 비제어된 호산구성 천식, 호산구성 천식, 준-호산구성 천식, 만성 폐쇄성 폐 질환, 다발혈관염을 동반한 호산구성 육아종증, 과다호산구성 증후군, 비강 폴립증, 수포성 유천포창, 호산구성 식도염 및 아토피성 피부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상태를 갖는 대상체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서열식별번호: 5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 서열식별번호: 6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 및 서열식별번호: 7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식별번호: 8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 서열식별번호: 9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 및 서열식별번호: 10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항체의 치료 유효량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대상체에서 절대 혈액 호산구 수가 감소되는 것인, 대상체에서 절대 혈액 호산구 수를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본 개시내용의 방법의 한 실시양태는 a) 대상체에서 절대 혈액 호산구 수의 제1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 b) 대상체에게 치료 유효량의 항원 결합 단백질을 투여한 후 대상체에서 절대 혈액 호산구 수의 제2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c) 제1 측정과 제2 측정을 비교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방법의 한 실시양태는 a) 대상체에서 절대 혈액 호산구 수의 제1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 b) 대상체에게 치료 유효량의 항원 결합 단백질을 투여한 후 대상체에서 절대 혈액 호산구 수의 제2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c) 제1 측정과 제2 측정을 비교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고, 여기서 대상체는 μL당 200개 이상의 세포 및 μL당 350개 이상의 세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절대 혈액 호산구 수를 갖는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a) 천식, 경도 천식, 중등도 천식, 중증 천식, 경도 호산구성 천식, 중등도 호산구성 천식, 중증 호산구성 천식, 비제어된 호산구성 천식, 호산구성 천식, 준-호산구성 천식, 만성 폐쇄성 폐 질환, 다발혈관염을 동반한 호산구성 육아종증, 과다호산구성 증후군, 비강 폴립증, 수포성 유천포창, 호산구성 식도염, 아토피성 피부염, 중등도 아토피성 피부염 및 중증 아토피성 피부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상태를 갖는 대상체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및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를 포함하는 항체의 치료 유효량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대상체에서 아토피성 피부염이 치료되는 것인, 대상체에서 절대 혈액 호산구 수를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측면은 a) 천식, 경도 천식, 중등도 천식, 중증 천식, 경도 호산구성 천식, 중등도 호산구성 천식, 중증 호산구성 천식, 비제어된 호산구성 천식, 호산구성 천식, 준-호산구성 천식, 만성 폐쇄성 폐 질환, 다발혈관염을 동반한 호산구성 육아종증, 과다호산구성 증후군, 비강 폴립증, 수포성 유천포창, 호산구성 식도염, 아토피성 피부염, 중등도 아토피성 피부염 및 중증 아토피성 피부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상태를 갖는 대상체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및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를 포함하는 항체 및 제약상 유효한 담체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의 치료 유효량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대상체에서 절대 혈액 호산구 수가 감소되는 것인, 대상체에서 절대 혈액 호산구 수를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본 개시내용의 한 실시양태는 요법에 사용하기 위한 본 개시내용에 따른 조성물이다.
본 개시내용의 한 실시양태는 천식, 경도 천식, 중등도 천식, 중증 천식, 경도 호산구성 천식, 중등도 호산구성 천식, 중증 호산구성 천식, 비제어된 호산구성 천식, 호산구성 천식, 준-호산구성 천식, 만성 폐쇄성 폐 질환, 다발혈관염을 동반한 호산구성 육아종증, 과다호산구성 증후군, 비강 폴립증, 수포성 유천포창, 호산구성 식도염, 아토피성 피부염, 중등도 아토피성 피부염 및 중증 아토피성 피부염을 치료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본 개시내용에 따른 조성물이다.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이염기성 인산나트륨 7수화물, 포스페이트, 시트르산, 시트레이트, 인산나트륨, 인산칼륨, 시트르산나트륨 및 히스티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완충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6.8 내지 7.2의 pH, 또는 pH 6.2 내지 pH 6.6의 pH를 제공하고, pH 값 6.3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 중 완충제는 약 10-30 mM, 약 10-20 mM, 약 20 mM 또는 약 15.5 mM의 범위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 중 완충제는 약 20 mM, 또는 약 15.5 mM 이염기성 인산나트륨 7수화물로 존재한다.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6.2 내지 6.6의 pH, 바람직하게는 6.3의 pH 값을 제공하는, 이염기성 인산나트륨 7수화물 및 시트르산 완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염기성 인산나트륨 7수화물 완충제는 약 15-16.4 mM의 범위로 존재할 수 있고, 시트르산 완충제는 약 3.8-4.9 mM의 범위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약 15.5 mM 이염기성 인산나트륨 7수화물 및 약 4.5 mM 시트르산 1수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당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수크로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수크로스는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 중에 부피 기준으로 약 5-20 중량%; 약 10-15 중량%, 약 11-13 중량% 또는 약 12 중량%의 범위로 존재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폴리소르베이트 8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폴리소르베이트 80은 부피 기준으로 약 0.01-0.1 중량%의 범위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소르베이트 80은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 중에 부피 기준으로 약 0.02 중량%, 또는 부피 기준으로 약 0.05 중량%로 존재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EDTA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EDTA는 약 0.01-0.1 mM의 범위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DTA는 약 0.05 mM로 존재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20 mM 이염기성 인산나트륨 7수화물, 부피 기준으로 12 중량%의 수크로스 및 부피 기준으로 0.05 중량%의 폴리소르베이트 80을 추가로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15.5 mM 이염기성 인산나트륨, 3.9 mM 시트르산 1수화물, 부피 기준으로 12 중량%의 수크로스, 부피 기준으로 0.02 중량%의 폴리소르베이트 80 및 0.05 mM EDTA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16.1 mM 이염기성 인산나트륨 7수화물, 3.9 mM 시트르산 1수화물, 부피 기준으로 12 중량%의 수크로스, 부피 기준으로 0.02 중량%의 폴리소르베이트 80 및 0.05 mM EDTA를 함유하는 pH 6.2에서의 수성 액체 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15.2 mM 이염기성 인산나트륨 7수화물, 4.8 mM 시트르산 1수화물, 부피 기준으로 12 중량%의 수크로스, 부피 기준으로 0.02 중량%의 폴리소르베이트 80 및 0.05 mM EDTA를 함유하는 pH 6.2에서의 수성 액체 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15.8 mM 이염기성 인산나트륨 7수화물, 4.2 mM 시트르산 1수화물, 부피 기준으로 12 중량%의 수크로스, 부피 기준으로 0.02 중량%의 폴리소르베이트 80 및 0.05 mM EDTA를 함유하는 pH 6.4에서의 수성 액체 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16.3 mM 이염기성 인산나트륨 7수화물, 3.7 mM 시트르산 1수화물, 부피 기준으로 12 중량%의 수크로스, 부피 기준으로 0.02 중량%의 폴리소르베이트 80 및 0.05 mM EDTA를 함유하는 pH 6.6에서의 수성 액체 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15.5 mM 이염기성 인산나트륨 7수화물, 4.5 mM 시트르산 1수화물, 부피 기준으로 12 중량%의 수크로스, 부피 기준으로 0.02 중량%의 폴리소르베이트 80 및 0.05 mM EDTA를 함유하는 pH 6.3에서의 수성 액체 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중요하게는, 하기 실시예 1의 접선 여과 및 한외여과 교환 단계는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 예컨대 pH 6.3에서의 15.5 mM 이염기성 인산나트륨 7수화물, 4.5 mM 시트르산 시트르산 1수화물, 부피 기준으로 12 중량%의 수크로스, 부피 기준으로 0.02 중량%의 폴리소르베이트 80, 0.05 mM EDTA를 포함하는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또는 다른 이러한 액체 제제를 생산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모노클로날 항체의 정제된 제제 및 완충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조성물은 6.8 내지 7.2의 pH이고, 여기서 완충제는 히스티딘, 포스페이트, 시트르산, 시트레이트 또는 그의 염이다.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에서, 완충제는 이염기성 인산나트륨 7수화물, 포스페이트, 시트르산 및 시트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에서, 완충제는 인산나트륨, 인산칼륨 또는 시트르산나트륨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당, 탄수화물 및/또는 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또한 수크로스 또는 트레할로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또한 모노클로날 항체의 정제된 제제 및 완충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조성물은 6.8 내지 7.2의 pH이고, 여기서 완충제는 포스페이트 또는 그의 염이다.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20 mM 이염기성 인산나트륨 7수화물, 부피 기준으로 12 중량%의 수크로스 및 부피 기준으로 0.05 중량%의 폴리소르베이트 80의 제1 제제; 및 15.5 mM 이염기성 인산나트륨 7수화물, 3.9 mM 시트르산 1수화물, 부피 기준으로 12 중량%의 수크로스, 부피 기준으로 0.02 중량%의 폴리소르베이트 80 및 0.05 mM EDTA의 제2 제제; 및 26 mM 이염기성 인산나트륨 7수화물, 부피 기준으로 15 중량%의 수크로스 및 부피 기준으로 0.065 중량%의 폴리소르베이트 80의 제3 제제로부터 선택된 1종을 포함한다. 조성물은 약 6.8 내지 약 7.2, 약 6.1 내지 약 6.5 또는 약 6 내지 약 6.6의 pH일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은 임의의 수의 통상적인 기술에 의해 생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성물은 재조합 발현 시스템에서 발현되고 그로부터 정제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서열식별번호: 1 및 서열식별번호: 2를 포함하는 폴리펩티드의 발현에 적합한 조건 하에서 숙주 세포를 배양하는 방법에 의해 생산되며, 여기서 조성물은 발현되고, 임의로 정제되고, 임의로 제약 조성물 내로 제제화된다.
수많은 상이한 발현 시스템 및 정제 요법이 조성물을 생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숙주 세포는 항체를 코딩하는 재조합 발현 벡터로 형질전환된다. 포유동물 기원의 진핵 세포주 (예를 들어, CHO, Perc6, HEK293, HeLa, NS0)를 포함한 폭넓은 범위의 숙주 세포가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숙주 세포는 포유동물 세포, 예컨대 CHO (예를 들어, CHOK1 및 CHO-DG44)를 포함한다.
숙주 세포는 단리된 숙주 세포일 수 있다. 숙주 세포는 통상적으로 다세포 유기체 (예를 들어, 식물 또는 동물)의 부분이 아니다. 숙주 세포는 비-인간 숙주 세포일 수 있다.
진핵 또는 포유동물 세포 숙주와 함께 사용하는데 적절한 클로닝 및 발현 벡터 및 클로닝 방법은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세포는 항체의 발현을 촉진하는 조건 하에서 배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산 생물반응기가 세포를 배양하는데 사용된다. 생산 생물반응기 부피는 다음일 수 있다: (i) 약 20,000 리터, 약 10,000 리터; 약 5,000 리터; 약 2,000 리터; 약 1,000 리터; 또는 약 500 리터; 또는 (ii) 500 내지 20,000 리터; 500 내지 10,000 리터; 500 내지 5,000 리터; 1,000 내지 10,000 리터, 또는 2,000 내지 10,000 리터. 예를 들어, 세포는 생산 생물반응기 내 pH 약 6.75 내지 pH 7.00에서 배양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세포는 생산 생물반응기에서 약 12 내지 약 18일 동안 배양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세포는 생산 생물반응기 내 pH 약 6.75 내지 pH 7.00에서 약 12 내지 약 18일 동안 배양될 수 있다. 이 배양 단계는 탈아미드화된 항체 변이체의 수준을 제어하도록, 예를 들어 탈아미드화된 항체 변이체의 수준을 감소시키도록 도울 수 있다.
조성물은 통상적인 단백질 정제 절차에 의해 회수 및 정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성물은 배양 배지로부터 직접적으로 수거될 수 있다. 세포 배양 배지의 수거는, 예를 들어 원심분리 및/또는 심층 여과에 의한 정제를 통해서일 수 있다. 조성물의 회수에 이어서 적절한 순도를 보장하기 위한 정제가 수행된다.
1개 이상의 크로마토그래피 단계, 예를 들어 1개 이상의 크로마토그래피 수지; 및/또는 1개 이상의 여과 단계가 정제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백질 A, G 또는 L과 같은 수지를 사용하는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가 조성물을 정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이온-교환 수지, 예컨대 양이온-교환이 조성물을 정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소수성 상호작용 크로마토그래피 수지가 조성물을 정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정제 단계는 다음을 포함한다: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 수지 단계, 이어서 양이온-교환 수지 단계, 이어서 소수성 상호작용 크로마토그래피 수지 단계.
예를 들어, 수거물은 단백질 A 수지와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조성물을 포함하는 용액은 단백질 A 수지로부터 용리되고 15 내지 240분 동안 pH 3.3 내지 3.7에서 처리될 수 있다. 이 단백질 A 수지 단계는 응집된 항체 변이체의 수준을 제어하도록, 예를 들어 응집된 항체 변이체의 수준을 감소시키도록 도울 수 있다.
이어서, 조성물을 포함하는 용액은 추가로 심층 여과 및/또는 이중 층 여과에 의해 정화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음이온 교환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조성물을 포함하는 용액은 8.3 내지 8.7의 로드 pH에서 음이온 교환 수지 (예를 들어 Q-세파로스(SEPHAROSE)™ 패스트 플로우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와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조성물을 포함하는 용액은 음이온 교환 수지로부터 용리되고 96시간 이하 동안 유지될 수 있다. 이 음이온 교환 수지 단계는 탈아미드화된 항체 변이체의 수준을 제어하도록, 예를 들어 탈아미드화된 항체 변이체의 수준을 감소시키도록 도울 수 있다.
임의로, 구아니딘 및/또는 황산암모늄이 조성물을 포함하는 용액에 첨가되고 15 내지 240분 동안 유지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소수성 상호작용 크로마토그래피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조성물을 포함하는 용액은 12 내지 27g 단백질 /L 수지의 로드 비로 소수성 상호작용 크로마토그래피 수지 (예를 들어, 페닐 세파로스™ 패스트 플로우 크로마토그래피)와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성물을 포함하는 용액은 약 9 내지 약 11의 용리 구배 부피 (층 부피; BV)를 사용하여 용리될 수 있다. 약 17 내지 약 23의 용리 피크 컷 스톱 (최대 피크 높이의 %)이 소수성 상호작용 크로마토그래피 수지로부터의 용리 동안 사용될 수 있다. 이 소수성 상호작용 크로마토그래피 수지 단계는 응집된 항체 변이체의 수준을 제어하도록, 예를 들어 응집된 항체 변이체의 수준을 감소시키도록 도울 수 있다.
이어서, 조성물을 포함하는 용액은 바이러스를 제거하기 위해 여과될 수 있다. 이어서, 조성물을 포함하는 용액은 약 76 g 단백질/L 내지 약 82 g 단백질/L, 또는 내지 약 100 g 단백질/L의 항체 농도로 제제화될 수 있다. 조성물을 포함하는 용액은 용기 내로 충전되고 동결될 수 있다. 조성물을 포함하는 용액의 분취물은 동결건조될 수 있다. 동결건조물은 물의 첨가에 의해 재구성되어 약 6.8 내지 약 7.2의 pH에서의 75 mg/L의 단백질인 모노클로날 항-IL-5 메폴리주맙 항체 및 20 mM 이염기성 인산나트륨 7수화물, 부피 기준으로 12 중량%의 수크로스 및 부피 기준으로 0.05 중량%의 폴리소르베이트 80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생산할 수 있다.
요약하면, 본 개시내용은 다음을 포함한다:
1. 서열식별번호: 5에 제시된 CDRH1 아미노산 서열, 서열식별번호: 6에 제시된 CDRH2 아미노산 서열, 및 서열식별번호: 7에 제시된 CDRH3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식별번호: 8에 제시된 CDRL1 아미노산 서열, 서열식별번호: 9에 제시된 CDRL2 아미노산 서열, 및 서열식별번호: 10에 제시된 CDRL3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항원 결합 단백질.
2. 항목 1에 있어서, 중쇄 가변 영역이 서열식별번호: 2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중쇄 FR4 아미노산 서열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항원 결합 단백질.
3. 항목 2에 있어서, 위치 252에서의 티로신 잔기, 위치 254에서의 트레오닌 잔기 및 위치 256에서의 글루탐산 잔기를 갖는 중쇄 Fc 도메인을 포함하고, 여기서 중쇄 Fc 도메인의 아미노 말단은 중쇄 가변 영역의 카르복시 말단에 연결되는 것인 항원 결합 단백질.
4. 서열식별번호: 3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가변 영역 서열; 및 서열식별번호: 4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가변 영역 서열을 포함하는 항원 결합 단백질.
5. 항목 4에 있어서, 위치 252에서의 티로신 잔기, 위치 254에서의 트레오닌 잔기 및 위치 256에서의 글루탐산 잔기를 갖는 중쇄 Fc 도메인을 포함하고, 여기서 중쇄 Fc 도메인의 아미노 말단은 중쇄 가변 영역의 카르복시 말단에 연결되는 것인 항원 결합 단백질.
6. 중쇄 및 경쇄를 포함하는 항체이며, 여기서
a) 중쇄는 서열식별번호: 5에 제시된 CDRH1 아미노산 서열, 서열식별번호: 6에 제시된 CDRH2 아미노산 서열, 및 서열식별번호: 7에 제시된 CDRH3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고;
b) 경쇄는 서열식별번호: 8에 제시된 CDRL1 아미노산 서열, 서열식별번호: 9에 제시된 CDRL2 아미노산 서열, 및 서열식별번호: 10에 제시된 CDRL3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것인 항체.
7. 항목 6에 있어서, 중쇄 가변 영역이 서열식별번호: 2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중쇄 FR4 아미노산 서열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항체.
8. 항목 7에 있어서, 중쇄가 위치 252에서의 티로신 잔기, 위치 254에서의 트레오닌 잔기 및 위치 256에서의 글루탐산 잔기를 갖는 중쇄 Fc 도메인을 포함하는 것인 항체.
9. 중쇄 및 경쇄를 포함하는 항체이며, 여기서
a) 중쇄가 서열식별번호: 3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가변 영역 서열을 포함하고;
b) 경쇄가 서열식별번호: 4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가변 영역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항체.
10. 항목 9에 있어서, 중쇄가 위치 252에서의 티로신 잔기, 위치 254에서의 트레오닌 잔기 및 위치 256에서의 글루탐산 잔기를 갖는 중쇄 Fc 도메인을 포함하는 것인 항체.
11.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및 서열식별번호: 2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를 포함하는 항체.
12. 서열식별번호: 3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펩티드 쇄.
13.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펩티드 쇄.
14. 항목 1의 중쇄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핵산 및 항목 1의 항원 결합 단백질의 경쇄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핵산을 포함하는 조성물.
15. 항목 2의 중쇄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핵산 및 항목 2의 경쇄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핵산을 포함하는 조성물.
16. 항목 3의 중쇄 가변 영역의 카르복시 말단에 연결된 중쇄 Fc 도메인을 코딩하는 핵산 및 항목 3의 경쇄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핵산을 포함하는 조성물.
17. 항목 6의 중쇄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핵산 및 항목 6의 항원 결합 단백질의 경쇄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핵산을 포함하는 조성물.
18. 항목 7의 중쇄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핵산 및 항목 7의 경쇄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핵산을 포함하는 조성물.
19. 항목 8의 중쇄 가변 영역의 카르복시 말단에 연결된 중쇄 Fc 도메인을 코딩하는 핵산 및 항목 8의 경쇄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핵산을 포함하는 조성물.
20. 서열식별번호: 3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핵산 및 서열식별번호: 4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핵산을 포함하는 조성물.
21.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핵산 및 서열식별번호: 2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핵산을 포함하는 조성물.
22. 서열식별번호: 3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핵산을 포함하는 조성물.
23.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핵산을 포함하는 조성물.
24. 서열식별번호: 15에 제시된 서열을 갖는 핵산 및 서열식별번호: 16에 제시된 서열을 갖는 핵산을 포함하는 조성물.
25. 서열식별번호: 17에 제시된 서열을 갖는 핵산 및 서열식별번호: 18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핵산을 포함하는 조성물.
26. 서열식별번호: 13에 제시된 서열을 갖는 핵산 및 서열식별번호: 14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핵산을 포함하는 조성물.
27. 서열식별번호: 15에 제시된 서열을 갖는 핵산을 포함하는 조성물.
28. 서열식별번호: 17에 제시된 서열을 갖는 핵산을 포함하는 조성물.
29. 서열식별번호: 13에 제시된 서열을 갖는 핵산을 포함하는 조성물.
30. 항목 1의 중쇄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핵산을 포함하는 조성물.
31. 항목 2의 중쇄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핵산을 포함하는 조성물.
32. 항목 3에서와 같은 중쇄 가변 영역의 카르복시 말단에 연결된 중쇄 Fc 도메인을 코딩하는 핵산을 포함하는 조성물.
33. 항목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또는 32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발현 벡터.
34. 항목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또는 32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발현 벡터를 포함하는 재조합 숙주 세포.
35. 서열식별번호: 3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핵산을 포함하는 재조합 숙주 세포를 배양하는 단계; 및 펩티드 쇄를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열식별번호: 3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펩티드 쇄의 생산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핵산이 서열식별번호: 15에 제시된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37. 제35항에 있어서, 핵산이 서열식별번호: 13에 제시된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38. 제35항에 있어서, 핵산이 서열식별번호: 17에 제시된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39. a) 항목 14, 15 또는 16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발현 벡터를 포함하는 재조합 숙주 세포를 배양하는 단계; 및
b) 항원 결합 단백질을 회수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항원 결합 단백질이 생산되는 것인,
항원 결합 단백질의 생산 방법.
40. 항목 39의 방법에 의해 생산된 항원 결합 단백질.
41. a) 항목 17, 18 또는 19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발현 벡터를 포함하는 재조합 숙주 세포를 배양하는 단계; 및
b) 항체를 회수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항체가 생산되는 것인,
항체의 생산 방법.
42. 항목 41의 방법에 의해 생산된 항체.
43. a) 항목 20 또는 22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발현 벡터를 포함하는 재조합 숙주 세포를 배양하는 단계; 및
b) 항체를 회수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항체가 생산되는 것인,
항체의 생산 방법.
44. 항목 43의 방법에 의해 생산된 항체.
45. a) 항목 24, 26 또는 27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발현 벡터를 포함하는 재조합 숙주 세포를 배양하는 단계; 및
b) 항체를 회수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항체가 생산되는 것인,
항체의 생산 방법.
46. 항목 45의 방법에 의해 생산된 항체.
47. a) 서열식별번호: 17에 제시된 서열을 갖는 핵산 및 서열식별번호: 18에 제시된 서열을 갖는 핵산을 포함하는 발현 벡터를 포함하는 재조합 숙주 세포를 배양하는 단계; 및
b) 항체를 회수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항체가 생산되는 것인,
항체의 생산 방법.
48. 항목 47의 방법에 의해 생산된 항체.
49. a) 서열식별번호: 5에 제시된 CDRH1 아미노산 서열, 서열식별번호: 6에 제시된 CDRH2 아미노산 서열, 및 서열식별번호: 7에 제시된 CDRH3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식별번호: 8에 제시된 CDRL1 아미노산 서열, 서열식별번호: 9에 제시된 CDRL2 아미노산 서열, 및 서열식별번호: 10에 제시된 CDRL3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항원 결합 단백질; 및
b)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50. 항목 49에 있어서, 중쇄 가변 영역이 서열식별번호: 2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중쇄 FR4 아미노산 서열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제약 조성물.
51. 항목 50에 있어서, 위치 252에서의 티로신 잔기, 위치 254에서의 트레오닌 잔기 및 위치 256에서의 글루탐산 잔기를 갖는 중쇄 Fc 도메인을 포함하고, 여기서 중쇄 Fc 도메인의 아미노 말단은 중쇄 가변 영역의 카르복시 말단에 연결되는 것인 제약 조성물.
52. 항목 51에 있어서, 항원 결합 단백질이 약 75 mg/ml 내지 약 150 mg/ml의 농도로 존재하는 것인 제약 조성물.
53. 항목 49, 50, 51 또는 52에 있어서, 제약상 유효한 담체가 약 40 mM 히스티딘, 약 180 mM 트레할로스, 약 100 mM 아르기닌, 약 8 mM 메티오닌, 약 0.02 중량%의 폴리소르베이트 80 (부피 기준) 및 약 0.05 mM EDTA를 함유하는 약 pH 5.5 내지 약 pH 6.0의 수성 액체 제제를 포함하는 것인 제약 조성물.
54. 항목 53에 있어서, pH가 약 6.0이고, 항원 결합 단백질이 약 150 mg/ml의 농도로 존재하는 것인 제약 조성물.
55. a) 서열식별번호: 5에 제시된 CDRH1 아미노산 서열, 서열식별번호: 6에 제시된 CDRH2 아미노산 서열, 및 서열식별번호: 7에 제시된 CDRH3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식별번호: 8에 제시된 CDRL1 아미노산 서열, 서열식별번호: 9에 제시된 CDRL2 아미노산 서열, 및 서열식별번호: 10에 제시된 CDRL3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항체; 및
b)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56. 항목 55에 있어서, 중쇄 가변 영역이 서열식별번호: 2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중쇄 FR4 아미노산 서열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제약 조성물.
57. 항목 56에 있어서, 위치 252에서의 티로신 잔기, 위치 254에서의 트레오닌 잔기 및 위치 256에서의 글루탐산 잔기를 갖는 중쇄 Fc 도메인을 포함하고, 여기서 중쇄 Fc 도메인의 아미노 말단은 중쇄 가변 영역의 카르복시 말단에 연결되는 것인 제약 조성물.
58. 항목 57에 있어서, 항체가 약 75 mg/ml 내지 약 150 mg/ml의 농도로 존재하는 것인 제약 조성물.
59. 항목 55, 56, 57 또는 58에 있어서, 제약상 유효한 담체가 약 40 mM 히스티딘, 약 180 mM 트레할로스, 약 100 mM 아르기닌, 약 8 mM 메티오닌, 약 0.02 중량%의 폴리소르베이트 80 (부피 기준) 및 약 0.05 mM EDTA를 함유하는 약 pH 5.5 내지 약 pH 6.0의 수성 액체 제제를 포함하는 것인 제약 조성물.
60. 항목 59에 있어서, pH가 약 6.0이고, 항체가 약 150 mg/ml의 농도로 존재하는 것인 제약 조성물.
61. a) 중쇄 및 경쇄를 포함하는 항체이며, 여기서 중쇄는 서열식별번호: 3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가변 영역 서열을 포함하고; 경쇄는 서열식별번호: 4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가변 영역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항체; 및
b)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62. 항목 61에 있어서, 위치 252에서의 티로신 잔기, 위치 254에서의 트레오닌 잔기 및 위치 256에서의 글루탐산 잔기를 갖는 중쇄 Fc 도메인을 포함하고, 여기서 중쇄 Fc 도메인의 아미노 말단은 중쇄 가변 영역의 카르복시 말단에 연결되는 것인 제약 조성물.
63. 항목 62에 있어서, 항체가 약 75 mg/ml 내지 약 150 mg/ml의 농도로 존재하는 것인 제약 조성물.
64. 항목 61, 62 또는 63에 있어서, 제약상 유효한 담체가 약 40 mM 히스티딘, 약 180 mM 트레할로스, 약 100 mM 아르기닌, 약 8 mM 메티오닌, 약 0.02 중량%의 폴리소르베이트 80 (부피 기준) 및 약 0.05 mM EDTA를 함유하는 약 pH 5.5 내지 약 pH 6.0의 수성 액체 제제를 포함하는 것인 제약 조성물.
65. 항목 64에 있어서, pH가 약 6.0이고, 항체가 약 150 mg/ml의 농도로 존재하는 것인 제약 조성물.
66. a)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및 서열식별번호: 2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를 포함하는 항체; 및
b)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67. 항목 66에 있어서, 항원 결합 단백질이 약 75 mg/ml 내지 약 150 mg/ml의 농도로 존재하는 것인 제약 조성물.
68. 항목 67에 있어서, 제약상 유효한 담체가 약 40 mM 히스티딘, 약 180 mM 트레할로스, 약 100 mM 아르기닌, 약 8 mM 메티오닌, 약 0.02 중량%의 폴리소르베이트 80 (부피 기준) 및 약 0.05 mM EDTA를 함유하는 약 pH 5.5 내지 약 pH 6.0의 수성 액체 제제를 포함하는 것인 제약 조성물.
69. 항목 68에 있어서, pH가 약 6.0이고, 항원 결합 단백질이 약 150 mg/ml의 농도로 존재하는 것인 제약 조성물.
70. a) 천식, 경도 천식, 중등도 천식, 중증 천식, 경도 호산구성 천식, 중등도 호산구성 천식, 중증 호산구성 천식, 비제어된 호산구성 천식, 호산구성 천식, 준-호산구성 천식, 만성 폐쇄성 폐 질환, 다발혈관염을 동반한 호산구성 육아종증, 과다호산구성 증후군, 비강 폴립증, 수포성 유천포창, 호산구성 식도염, 아토피성 피부염, 중등도 아토피성 피부염 및 중증 아토피성 피부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질환을 갖는 대상체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항목 1, 2, 3, 4, 5 또는 40에 따른 항원 결합 단백질의 치료 유효량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대상체에서 질환이 치료되는 것인,
대상체에서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
71. 항목 70에 있어서, 항원 결합 단백질의 양이 약 2 mg 내지 약 600 mg인 방법.
72. 항목 71에 있어서, 항원 결합 단백질이 3개월마다 1회 또는 6개월마다 1회 투여되는 것인 방법.
73. 항목 70, 71 또는 72에 있어서, 대상체가 μL당 200개 이상의 세포 및 μL당 350개 이상의 세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절대 혈액 호산구 수를 갖는 것인 방법.
74. a) 천식, 경도 천식, 중등도 천식, 중증 천식, 경도 호산구성 천식, 중등도 호산구성 천식, 중증 호산구성 천식, 비제어된 호산구성 천식, 호산구성 천식, 준-호산구성 천식, 만성 폐쇄성 폐 질환, 다발혈관염을 동반한 호산구성 육아종증, 과다호산구성 증후군, 비강 폴립증, 수포성 유천포창, 호산구성 식도염, 아토피성 피부염, 중등도 아토피성 피부염 및 중증 아토피성 피부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질환을 갖는 대상체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항목 6, 7, 8, 9, 10, 11, 42, 44, 46 및 48에 따른 항체의 치료 유효량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대상체에서 질환이 치료되는 것인,
대상체에서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
75. 항목 74에 있어서, 항체의 양이 약 2 mg 내지 약 600 mg인 방법.
76. 항목 75에 있어서, 항체가 3개월마다 1회 또는 6개월마다 1회 투여되는 것인 방법.
77. 항목 74, 75 또는 76에 있어서, 대상체가 μL당 200개 이상의 세포 및 μL당 350개 이상의 세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절대 혈액 호산구 수를 갖는 것인 방법.
78. a) 천식, 경도 천식, 중등도 천식, 중증 천식, 경도 호산구성 천식, 중등도 호산구성 천식, 중증 호산구성 천식, 비제어된 호산구성 천식, 호산구성 천식, 준-호산구성 천식, 만성 폐쇄성 폐 질환, 다발혈관염을 동반한 호산구성 육아종증, 과다호산구성 증후군, 비강 폴립증, 수포성 유천포창, 호산구성 식도염, 아토피성 피부염, 중등도 아토피성 피부염 및 중증 아토피성 피부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질환을 갖는 대상체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항목 49, 50, 51, 52, 53 또는 54에 따른 조성물의 치료 유효량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대상체에서 질환이 치료되는 것인,
대상체에서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
79. 항목 78에 있어서, 조성물의 양이 약 2 mg 내지 약 600 mg의 항원 결합 단백질 용량을 제공하는 것인 방법.
80. 항목 79에 있어서, 조성물이 3개월마다 1회 또는 6개월마다 1회 투여되는 것인 방법.
81. 항목 78, 79 또는 80에 있어서, 대상체가 μL당 200개 이상의 세포 및 μL당 350개 이상의 세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절대 혈액 호산구 수를 갖는 것인 방법.
82. a) 천식, 경도 천식, 중등도 천식, 중증 천식, 경도 호산구성 천식, 중등도 호산구성 천식, 중증 호산구성 천식, 비제어된 호산구성 천식, 호산구성 천식, 준-호산구성 천식, 만성 폐쇄성 폐 질환, 다발혈관염을 동반한 호산구성 육아종증, 과다호산구성 증후군, 비강 폴립증, 수포성 유천포창, 호산구성 식도염, 아토피성 피부염, 중등도 아토피성 피부염 및 중증 아토피성 피부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질환을 갖는 대상체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항목 55, 56, 57, 58, 59, 60, 61, 62, 63, 65, 65, 66, 67, 68 또는 69에 따른 조성물의 치료 유효량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대상체에서 질환이 치료되는 것인,
대상체에서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
83. 항목 82에 있어서, 조성물의 양이 약 2 mg 내지 약 600 mg의 항원 결합 단백질 용량을 제공하는 것인 방법.
84. 항목 83에 있어서, 항체가 3개월마다 1회 또는 6개월마다 1회 투여되는 것인 방법.
85. 항목 82, 83 또는 84에 있어서, 대상체가 μL당 200개 이상의 세포 및 μL당 350개 이상의 세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절대 혈액 호산구 수를 갖는 것인 방법.
86. a) 경도 천식 내지 중등도 천식 진단을 갖는 대상체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서열식별번호: 5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 서열식별번호: 6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 및 서열식별번호: 7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식별번호: 8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 서열식별번호: 9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 및 서열식별번호: 10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항체의 치료 유효량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대상체에서 경도 내지 중등도 천식이 치료되는 것인,
대상체에서 경도 내지 중등도 천식을 치료하는 방법.
87. 항목 86에 있어서, 중쇄 가변 영역이 서열식별번호: 21에 제시된 바와 같은 바와 같은 중쇄 FR4 아미노산 서열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방법.
88. 항목 87에 있어서, 항체가 위치 252에서의 티로신 잔기, 위치 254에서의 트레오닌 잔기 및 위치 256에서의 글루탐산 잔기를 갖는 중쇄 Fc 도메인을 포함하고, 여기서 중쇄 Fc 도메인의 아미노 말단은 중쇄 가변 영역의 카르복시 말단에 연결되는 것인 방법.
89. 항목 88에 있어서, 항체가 서열식별번호: 3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가변 영역 서열; 및 서열식별번호: 4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가변 영역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90. 항목 89에 있어서, 항체 용량이 약 2 mg 내지 약 600 mg인 방법.
91. 항목 90에 있어서, 항체가 3개월마다 1회 또는 6개월마다 1회 투여되는 것인 방법.
92. 항목 90에 있어서, 항체가 피하로 투여되는 것인 방법.
93. 항목 86, 87, 88, 89, 90, 91 또는 92에 있어서, 대상체가 μL당 200개 이상의 세포 및 μL당 350개 이상의 세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절대 혈액 호산구 수를 갖는 것인 방법.
94. a) 경도 천식 내지 중등도 천식 진단을 갖는 대상체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및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를 포함하는 항체의 치료 유효량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대상체에서 경도 내지 중등도 천식이 치료되는 것인,
대상체에서 경도 내지 중등도 천식을 치료하는 방법.
95. 항목 94에 있어서, 항체 용량이 약 2 mg 내지 약 600 mg인 방법.
96. 항목 95에 있어서, 항체가 3개월마다 1회 또는 6개월마다 1회 투여되는 것인 방법.
97. 항목 96에 있어서, 항체가 피하로 투여되는 것인 방법.
98. 항목 94, 95, 96 또는 97에 있어서, 대상체가 μL당 200개 이상의 세포 및 μL당 350개 이상의 세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절대 혈액 호산구 수를 갖는 것인 방법.
99. a) 경도 천식 내지 중등도 천식 진단을 갖는 대상체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및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를 포함하는 항체 및 제약상 유효한 담체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의 치료 유효량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대상체에서 경도 내지 중등도 천식이 치료되는 것인,
대상체에서 경도 내지 중등도 천식을 치료하는 방법.
100. 제92항에 있어서, 제약상 유효한 담체가 약 40 mM 히스티딘, 약 180 mM 트레할로스, 약 100 mM 아르기닌, 약 8 mM 메티오닌, 약 0.02 중량%의 폴리소르베이트 80 (부피 기준) 및 약 0.05 mM EDTA를 함유하는 약 pH 5.5 내지 약 pH 6.0의 수성 액체 제제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01. 항목 100에 있어서, 항체 용량이 약 2 mg 내지 약 600 mg인 방법.
102. 항목 101에 있어서, 제약 조성물이 3개월마다 1회 또는 6개월마다 1회 투여되는 것인 방법.
103. 항목 102에 있어서, 제약 조성물이 피하로 투여되는 것인 방법.
104. 항목 99, 100, 101, 102 또는 103에 있어서, 대상체가 μL당 200개 이상의 세포 및 μL당 350개 이상의 세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절대 혈액 호산구 수를 갖는 것인 방법.
105. a) 중증 천식 진단을 갖는 대상체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서열식별번호: 5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 서열식별번호: 6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 및 서열식별번호: 7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식별번호: 8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 서열식별번호: 9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 및 서열식별번호: 10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항체의 치료 유효량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대상체에서 중증 천식이 치료되는 것인,
대상체에서 중증 천식을 치료하는 방법.
106. 항목 105에 있어서, 중쇄 가변 영역이 서열식별번호: 21에 제시된 바와 같은 바와 같은 중쇄 FR4 아미노산 서열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방법.
107. 항목 106에 있어서, 항체가 위치 252에서의 티로신 잔기, 위치 254에서의 트레오닌 잔기 및 위치 256에서의 글루탐산 잔기를 갖는 중쇄 Fc 도메인을 포함하고, 여기서 중쇄 Fc 도메인의 아미노 말단은 중쇄 가변 영역의 카르복시 말단에 연결되는 것인 방법.
108. 항목 107에 있어서, 항체가 서열식별번호: 3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가변 영역 서열; 및 서열식별번호: 4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가변 영역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09. 항목 108에 있어서, 항체 용량이 약 2 mg 내지 약 600 mg인 방법.
110. 항목 109에 있어서, 항체가 3개월마다 1회 또는 6개월마다 1회 투여되는 것인 방법.
111. 항목 110에 있어서, 항체가 피하로 투여되는 것인 방법.
112. 항목 105, 106, 107, 108, 109, 110 또는 111에 있어서, 대상체가 μL당 200개 이상의 세포 및 μL당 350개 이상의 세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절대 혈액 호산구 수를 갖는 것인 방법.
113. a) 중증 천식 진단을 갖는 대상체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및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를 포함하는 항체의 치료 유효량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대상체에서 중증 천식이 치료되는 것인,
대상체에서 중증 천식을 치료하는 방법.
114. 항목 113에 있어서, 항체 용량이 약 2 mg 내지 약 600 mg인 방법.
115. 항목 114에 있어서, 항체가 3개월마다 1회 또는 6개월마다 1회 투여되는 것인 방법.
116. 항목 115에 있어서, 항체가 피하로 투여되는 것인 방법.
117. 항목 113, 114, 115 또는 116에 있어서, 대상체가 μL당 200개 이상의 세포 및 μL당 350개 이상의 세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절대 혈액 호산구 수를 갖는 것인 방법.
118. a) 중증 천식 진단을 갖는 대상체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및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를 포함하는 항체 및 제약상 유효한 담체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의 치료 유효량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대상체에서 중증 천식이 치료되는 것인,
대상체에서 중증 천식을 치료하는 방법.
119. 항목 118에 있어서, 제약상 유효한 담체가 약 40 mM 히스티딘, 약 180 mM 트레할로스, 약 100 mM 아르기닌, 약 8 mM 메티오닌, 약 0.02 중량%의 폴리소르베이트 80 (부피 기준) 및 약 0.05 mM EDTA를 함유하는 약 pH 5.5 내지 약 pH 6.0의 수성 액체 제제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20. 항목 119에 있어서, 항체 용량이 약 2 mg 내지 약 600 mg인 방법.
121. 항목 120에 있어서, 제약 조성물이 3개월마다 1회 또는 6개월마다 1회 투여되는 것인 방법.
122. 항목 121에 있어서, 제약 조성물이 피하로 투여되는 것인 방법.
123. 항목 118, 119, 120, 121 또는 122에 있어서, 대상체가 μL당 200개 이상의 세포 및 μL당 350개 이상의 세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절대 혈액 호산구 수를 갖는 것인 방법.
124. 중등도 내지 중증 아토피성 피부염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중등도 내지 중증 아토피성 피부염을 치료하는 방법이며, 이는
a) i) 아이헨필드 개정 하니핀 및 라즈카 기준에 따른 아토피성 피부염 진단;
ii) 치료 전 약 2년 이상 동안 아토피성 피부염의 선행 진단;
iii) 건강 관리 전문가의 종합 평가 점수 약 3 이상;
iv) 체표면적의 약 10% 이상의 아토피성 피부염 침범;
v) 습진 면적 및 중증도 지수 점수 16 이상;
vi) μL당 150개 이상의 세포, μL당 200개 이상의 세포 및 μL당 350개 이상의 세포의 절대 혈액 호산구 수; 및
vii) 1) 6개월 이상 동안 아토피성 피부염을 위한 국소 의약에 대한 부적절한 반응; 2) 아토피성 피부염을 위한 국소 의약의 불량한 내성; 3) 아토피성 피부염을 위한 국소 의약으로부터의 부작용; 및 4) 아토피성 피부염을 위한 비약리학적 치료에 대한 부적절한 반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치료 이전의 적어도 1종의 상태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갖는 대상체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서열식별번호: 5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 서열식별번호: 6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 및 서열식별번호: 7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식별번호: 8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 서열식별번호: 9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 및 서열식별번호: 10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항체의 치료 유효량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대상체에서 아토피성 피부염이 치료되는 것인,
중등도 내지 중증 아토피성 피부염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중등도 내지 중증 아토피성 피부염을 치료하는 방법.
125. 항목 124에 있어서, 중쇄 가변 영역이 서열식별번호: 2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중쇄 FR4 아미노산 서열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방법.
126. 항목 125에 있어서, 항체가 위치 252에서의 티로신 잔기, 위치 254에서의 트레오닌 잔기 및 위치 256에서의 글루탐산 잔기를 갖는 중쇄 Fc 도메인을 포함하고, 여기서 중쇄 Fc 도메인의 아미노 말단은 중쇄 가변 영역의 카르복시 말단에 연결되는 것인 방법.
127. 항목 126에 있어서, 항체가 서열식별번호: 3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가변 영역 서열; 및 서열식별번호: 4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가변 영역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28. 항목 127에 있어서, 항체 용량이 약 2 mg 내지 약 600 mg인 방법.
129. 항목 128에 있어서, 항체가 3개월마다 1회 또는 6개월마다 1회 투여되는 것인 방법.
130. 항목 128있어서, 항체가 피하로 투여되는 것인 방법.
131. 항목 128항에 있어서, 항체가 정맥내로 투여되는 것인 방법.
132. 중등도 내지 중증 아토피성 피부염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중등도 내지 중증 아토피성 피부염을 치료하는 방법이며, 이는
a) i) 아이헨필드 개정 하니핀 및 라즈카 기준에 따른 아토피성 피부염 진단;
ii) 치료 전 약 2년 이상 동안 아토피성 피부염의 선행 진단;
iii) 건강 관리 전문가의 종합 평가 점수 약 3 이상;
iv) 체표면적의 약 10% 이상의 아토피성 피부염 침범;
v) 습진 면적 및 중증도 지수 점수 16 이상;
vi) μL당 150개 이상의 세포, μL당 200개 이상의 세포 및 μL당 350개 이상의 세포의 절대 혈액 호산구 수; 및
vii) 1) 6개월 이상 동안 아토피성 피부염을 위한 국소 의약에 대한 부적절한 반응; 2) 아토피성 피부염을 위한 국소 의약의 불량한 내성; 3) 아토피성 피부염을 위한 국소 의약으로부터의 부작용; 및 4) 아토피성 피부염을 위한 비약리학적 치료에 대한 부적절한 반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치료 이전의 적어도 1종의 상태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갖는 대상체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및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를 포함하는 항체의 치료 유효량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대상체에서 아토피성 피부염이 치료되는 것인,
중등도 내지 중증 아토피성 피부염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중등도 내지 중증 아토피성 피부염을 치료하는 방법.
133. 항목 132에 있어서, 항체 용량이 약 2 mg 내지 약 600 mg인 방법.
134. 항목 133있어서, 항체가 3개월마다 1회 또는 6개월마다 1회 투여되는 것인 방법.
135. 항목 134에 있어서, 항체가 피하로 투여되는 것인 방법.
136. 항목 132, 133, 134 또는 135에 있어서, 대상체가 μL당 200개 이상의 세포 및 μL당 150개 이상의 세포, μL당 200개 이상의 세포 및 μL당 350개 이상의 세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절대 혈액 호산구 수를 갖는 것인 방법.
137. 대상체에서 중등도 내지 중증 아토피성 피부염을 치료하는 방법이며, 이는
a) i) 아이헨필드 개정 하니핀 및 라즈카 기준에 따른 아토피성 피부염 진단;
ii) 치료 전 약 2년 이상 동안 아토피성 피부염의 선행 진단;
iii) 건강 관리 전문가의 종합 평가 점수 약 3 이상;
iv) 체표면적의 약 10% 이상의 아토피성 피부염 침범;
v) 습진 면적 및 중증도 지수 점수 16 이상;
vi) μL당 150개 이상의 세포, μL당 200개 이상의 세포 및 μL당 350개 이상의 세포의 절대 혈액 호산구 수; 및
vii) 1) 6개월 이상 동안 아토피성 피부염을 위한 국소 의약에 대한 부적절한 반응; 2) 아토피성 피부염을 위한 국소 의약의 불량한 내성; 3) 아토피성 피부염을 위한 국소 의약으로부터의 부작용; 및 4) 아토피성 피부염을 위한 비약리학적 치료에 대한 부적절한 반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치료 이전의 적어도 1종의 상태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갖는 대상체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및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를 포함하는 항체 및 제약상 유효한 담체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의 치료 유효량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대상체에서 아토피성 피부염이 치료되는 것인,
대상체에서 중등도 내지 중증 아토피성 피부염을 치료하는 방법.
138. 항목 137에 있어서, 제약상 유효한 담체가 약 40 mM 히스티딘, 약 180 mM 트레할로스, 약 100 mM 아르기닌, 약 8 mM 메티오닌, 약 0.02 중량%의 폴리소르베이트 80 (부피 기준) 및 약 0.05 mM EDTA를 함유하는 약 pH 5.5 내지 약 pH 6.0의 수성 액체 제제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39. 항목 138에 있어서, 항체 용량이 약 2 mg 내지 약 600 mg인 방법.
140. 항목 139에 있어서, 제약 조성물이 3개월마다 1회 또는 6개월마다 1회 투여되는 것인 방법.
141. 항목 140에 있어서, 제약 조성물이 피하로 투여되는 것인 방법.
142. 항목 137, 138, 139, 140 또는 141에 있어서, 대상체가 μL당 200개 이상의 세포 및 μL당 350개 이상의 세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절대 혈액 호산구 수를 갖는 것인 방법.
143. 대상체에서 절대 혈액 호산구 수를 감소시키는 방법이며, 이는
a) 천식, 경도 천식, 중등도 천식, 중증 천식, 경도 호산구성 천식, 중등도 호산구성 천식, 중증 호산구성 천식, 비제어된 호산구성 천식, 호산구성 천식, 준-호산구성 천식, 만성 폐쇄성 폐 질환, 다발혈관염을 동반한 호산구성 육아종증, 과다호산구성 증후군, 비강 폴립증, 수포성 유천포창, 호산구성 식도염, 아토피성 피부염, 중등도 아토피성 피부염 및 중증 아토피성 피부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상태를 갖는 대상체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서열식별번호: 5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 서열식별번호: 6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 및 서열식별번호: 7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식별번호: 8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 서열식별번호: 9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 및 서열식별번호: 10에 제시된 바와 같은 CDR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항체의 치료 유효량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대상체에서 절대 혈액 호산구 수가 감소되는 것인,
대상체에서 절대 혈액 호산구 수를 감소시키는 방법.
144. 항목 143에 있어서, 중쇄 가변 영역이 서열식별번호: 2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중쇄 FR4 아미노산 서열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방법.
145. 항목 144에 있어서, 항체가 위치 252에서의 티로신 잔기, 위치 254에서의 트레오닌 잔기 및 위치 256에서의 글루탐산 잔기를 갖는 중쇄 Fc 도메인을 포함하고, 여기서 중쇄 Fc 도메인의 아미노 말단은 중쇄 가변 영역의 카르복시 말단에 연결되는 것인 방법.
146. 항목 145에 있어서, 항체가 서열식별번호: 3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가변 영역 서열; 및 서열식별번호: 4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가변 영역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47. 항목 146에 있어서, 항체 용량이 약 2 mg 내지 약 600 mg인 방법.
148. 항목 147에 있어서, 항체가 3개월마다 1회 또는 6개월마다 1회 투여되는 것인 방법.
149. 항목 148에 있어서, 항체가 피하로 투여되는 것인 방법.
150. 항목 142, 144, 145, 146, 147, 148 또는 149에 있어서, 대상체가 μL당 200개 이상의 세포 및 μL당 350개 이상의 세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절대 혈액 호산구 수를 갖는 것인 방법.
151. 항목 142, 144, 145, 146, 147, 148 또는 149에 있어서,
a) 대상체에서 절대 혈액 호산구 수의 제1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
b) 대상체에게 치료 유효량의 항원 결합 단백질을 투여한 후 대상체에서 절대 혈액 호산구 수의 제2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c) 제1 측정과 제2 측정을 비교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52. 항목 142, 144, 145, 146, 147, 148 또는 149에 있어서,
a) 대상체에서 절대 혈액 호산구 수의 제1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
b) 대상체에게 치료 유효량의 항원 결합 단백질을 투여한 후 대상체에서 절대 혈액 호산구 수의 제2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c) 제1 측정과 제2 측정을 비교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고, 여기서 대상체는 μL당 200개 이상의 세포 및 μL당 350개 이상의 세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절대 혈액 호산구 수를 갖는 것인 방법.
153. 대상체에서 절대 혈액 호산구 수를 감소시키는 방법이며, 이는
a) 천식, 경도 천식, 중등도 천식, 중증 천식, 경도 호산구성 천식, 중등도 호산구성 천식, 중증 호산구성 천식, 비제어된 호산구성 천식, 호산구성 천식, 준-호산구성 천식, 만성 폐쇄성 폐 질환, 다발혈관염을 동반한 호산구성 육아종증, 과다호산구성 증후군, 비강 폴립증, 수포성 유천포창, 호산구성 식도염, 아토피성 피부염, 중등도 아토피성 피부염 및 중증 아토피성 피부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상태를 갖는 대상체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및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를 포함하는 항체의 치료 유효량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대상체에서 아토피성 피부염이 치료되는 것인,
대상체에서 절대 혈액 호산구 수를 감소시키는 방법.
154. 항목 153에 있어서, 항체 용량이 약 2 mg 내지 약 600 mg인 방법.
155. 항목 154에 있어서, 항체가 3개월마다 1회 또는 6개월마다 1회 투여되는 것인 방법.
156. 항목 155에 있어서, 항체가 피하로 투여되는 것인 방법.
157. 항목 154, 155, 156 또는 157에 있어서, 대상체가 μL당 200개 이상의 세포 및 μL당 350개 이상의 세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절대 혈액 호산구 수를 갖는 것인 방법.
158. 항목 154, 155, 156 또는 157에 있어서, 대상체가 μL당 200개 이상의 세포 및 μL당 350개 이상의 세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절대 혈액 호산구 수를 갖는 것인 방법.
159. 항목 154, 155, 156 또는 157에 있어서,
a) 대상체에서 절대 혈액 호산구 수의 제1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
b) 대상체에게 치료 유효량의 항원 결합 단백질을 투여한 후 대상체에서 절대 혈액 호산구 수의 제2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c) 제1 측정과 제2 측정을 비교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60. 항목 154, 155, 156 또는 157에 있어서,
a) 대상체에서 절대 혈액 호산구 수의 제1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
b) 대상체에게 치료 유효량의 항원 결합 단백질을 투여한 후 대상체에서 절대 혈액 호산구 수의 제2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c) 제1 측정과 제2 측정을 비교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고, 여기서 대상체는 μL당 200개 이상의 세포 및 μL당 350개 이상의 세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절대 혈액 호산구 수를 갖는 것인 방법.
161. 대상체에서 절대 혈액 호산구 수를 감소시키는 방법이며, 이는
a) 천식, 경도 천식, 중등도 천식, 중증 천식, 경도 호산구성 천식, 중등도 호산구성 천식, 중증 호산구성 천식, 비제어된 호산구성 천식, 호산구성 천식, 준-호산구성 천식, 만성 폐쇄성 폐 질환, 다발혈관염을 동반한 호산구성 육아종증, 과다호산구성 증후군, 비강 폴립증, 수포성 유천포창, 호산구성 식도염, 아토피성 피부염, 중등도 아토피성 피부염 및 중증 아토피성 피부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상태를 갖는 대상체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및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를 포함하는 항체 및 제약상 유효한 담체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의 치료 유효량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대상체에서 절대 혈액 호산구 수가 감소되는 것인,
대상체에서 절대 혈액 호산구 수를 감소시키는 방법.
162. 항목 161에 있어서, 제약상 유효한 담체가 약 40 mM 히스티딘, 약 180 mM 트레할로스, 약 100 mM 아르기닌, 약 8 mM 메티오닌, 약 0.02 중량%의 폴리소르베이트 80 (부피 기준) 및 약 0.05 mM EDTA를 함유하는 약 pH 5.5 내지 약 pH 6.0의 수성 액체 제제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63. 항목 162에 있어서, 항체 용량이 약 2 mg 내지 약 600 mg인 방법.
164. 항목 163에 있어서, 제약 조성물이 3개월마다 1회 또는 6개월마다 1회 투여되는 것인 방법.
165. 항목 164에 있어서, 제약 조성물이 피하로 투여되는 것인 방법.
166. 항목 162, 163, 164, 165 또는 166에 있어서, 대상체가 μL당 200개 이상의 세포 및 μL당 350개 이상의 세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절대 혈액 호산구 수를 갖는 것인 방법.
167. 항목 162, 163, 164, 165 또는 166에 있어서,
a) 대상체에서 절대 혈액 호산구 수의 제1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
b) 대상체에게 치료 유효량의 항원 결합 단백질을 투여한 후 대상체에서 절대 혈액 호산구 수의 제2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c) 제1 측정과 제2 측정을 비교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68. 항목 162, 163, 164, 165 또는 166에 있어서,
a) 대상체에서 절대 혈액 호산구 수의 제1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
b) 대상체에게 치료 유효량의 항원 결합 단백질을 투여한 후 대상체에서 절대 혈액 호산구 수의 제2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c) 제1 측정과 제2 측정을 비교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고, 여기서 대상체는 μL당 200개 이상의 세포 및 μL당 350개 이상의 세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절대 혈액 호산구 수를 갖는 것인 방법.
169. 항목 1-11, 40, 42, 44, 46, 47 또는 49-6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요법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170. 항목 1-11, 40, 42, 44, 46, 47 또는 49-6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천식, 경도 천식, 중등도 천식, 중증 천식, 경도 호산구성 천식, 중등도 호산구성 천식, 중증 호산구성 천식, 비제어된 호산구성 천식, 호산구성 천식, 준-호산구성 천식, 만성 폐쇄성 폐 질환, 다발혈관염을 동반한 호산구성 육아종증, 과다호산구성 증후군, 비강 폴립증, 수포성 유천포창, 호산구성 식도염, 아토피성 피부염, 중등도 아토피성 피부염 및 중증 아토피성 피부염을 치료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실시예
실시예 1
28Y042-7F11-1의 동역학적 분석
28Y042-7F11-1, 메폴리주맙 및 GSK3559090A (비교자 IgG1 항-IL-5 mAb 분자 기반)를 비교하기 위해 동역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가 하기 표 16에 요약되어 있다. 28Y042-7F11-1의 고친화도로 인해, 25℃에서 비아코어 4000에 의해 해리 속도를 정확하게 결정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았고; 따라서 키넥사(KINEXA) 분석을 사용하여 25℃에서 인간 IL-5에의 28Y042-7F11-1 결합에 대한 정확한 친화도를 계산하였다. 키넥사 용액 상 친화도 분석에 의한 25℃에서의 인간 IL-5에 대한 28Y042-7F11-1의 친화도는 10.47 pM (95% 신뢰 범위 0.88 pM - 31.97 pM)이었다. 이것을 인간 IL-5에의 메폴리주맙 결합에 대한 122.8 pM의 친화도 (25℃에서 비아코어 4000에 의해 결정됨)와 비교하였다.
비교자 항체 GSK3559090A를 25℃에서 인간 IL-5에의 결합에 대해 비아코어 4000에 의해 분석하여, 16.4 pM의 친화도 (KD) 값을 수득하였다. GSK3559090A는 메폴리주맙보다 인간 IL-5에 대해 10배 더 높은 KD를 가지며, 이는 주로 메폴리주맙과 비교하여 GSK3559090A의 20배 더 빠른 회합 속도 (ka)의 결과이다.
비아코어 T200을 사용하여 37℃에서 인간 및 시노몰구스 IL-5에 대한 28Y042-7F11-1의 친화도를 결정하였다. 더 높은 온도는 기기의 범위 내에 있도록 28Y042-7F11-1의 해리 속도 (kd)를 증가시켰다. 37℃에서 인간 및 시노몰구스 IL-5에 대한 28Y042-7F11-1의 친화도는 각각 39.13 pM 및 23.93 pM이었다.
포르테바이오 옥텟 레드(FORTEBIO OCTET RED)384 BLI 기기 상에서 수행된 경쟁 검정은 28Y042-7F11-1이 인간 IL-5에의 결합에 대해 메폴리주맙과 경쟁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표 16 범례/설명: 동역학적 KD 데이터의 요약. (N.D. 결정되지 않음).
표 16.
인간 Fc 수용체에 대한 결합
28Y042-7F11-1은 메폴리주맙과 비교하여 pH 6.0에서 인간 FcRn에 대한 친화도의 대략 13배 증가를 갖고 (각각 157 nM 및 2082 nM), 또한 pH 7.4에서 저친화도로 결합하고; 친화도는 pH 7에서 16 μM이다. 37℃에서 비아코어 T200에 의해 결정된 KD 값이 표 17에 제시된다. 표 17 범례/설명: pH 6.0 및 pH 7.4에서 인간 FcRn에 대한 28Y042-7F11-1 및 메폴리주맙의 결합 친화도의 비교.
표 17.
프로테온(PROTEON) XPR36에 의한 인간 Fc 감마 수용체 (FcγR)에 대한 28Y042-7F11-1의 결합의 분석은 YTE 함유 대조군 항체와의 비교가능성을 입증하였다. 이들 YTE-함유 mAb의 FcγR에 대한 결합 친화도는 인간 IgG1 야생형 대조군의 것보다 대략 1.5배 더 낮았다. 28Y042-7F11-1은 또한 보체 성분 C1q에 대해 인간 IgG1 야생형 대조군보다 더 낮은 친화도를 가졌다 (각각 750 nM 및 465 nM).
별도의 실험에서, 28Y042-7F11-1은 인간 IgG1 야생형 대조군과 비교하여 pH 6.0에서 인간 신생아 수용체에 대한 친화도의 대략 3배 증가를 나타냈으며 (각각 130 nM 및 359 nM), 또한 pH 7.4에서 저친화도로 결합하고 (2650 nM) 반면 야생형 대조군은 이 pH에서 FcRn에 대한 결합을 갖지 않는다 (표 18). 이것은 실험에서 사용된 YTE 대조군과 대등하다. 표 18 범례/설명: 프로테온을 사용하는 재조합 인간 신생아 수용체 (FcRn)에 대한 28Y042-7F11-1의 결합. 야생형 이소형 대조군 및 Fc 불능화 이소형 대조군은 원래 F9 응고 인자 IX에 대해 생성된 비-기능성 (CDR 결합에 대해) 항체로부터 유래된다. Fc 불능화 이소형 대조군은 Fc 감마 수용체에 대한 상호작용을 감소시키는 Fc 영역 내의 2개의 점 돌연변이 (L235 및 G237, 둘 다 알라닌으로 돌연변이됨)를 함유한다.
표 18.
TF-1 기능적 세포 검정
TF-1 세포의 인간 IL-5 매개된 증식을 용량 의존성 방식으로 억제하는 28Y042-7F11-1의 능력을 평가하였다. TF-1 세포는 인간 및 시노몰구스 IL-5 자극에 반응하여 증식하도록 조작된 적백혈병성 세포주이다.
TF-1 세포 증식 검정에서의 28Y042-7F11-1의 효과의 분석은 이것이 TF-1 세포의 IL-5 매개된 증식의 강력한 억제제라는 것을 제시하였다. 28Y042-7F11-1 및 메폴리주맙은 둘 다 1 nM - 0.042 pM 농도 범위에서 시험하였을 때 인간 IL-5 유도된 TF-1 세포 증식의 용량 의존성 억제를 유발하였다 (각각 IC50 4 pM 및 105 pM, 도 1). 이것은 메폴리주맙과 비교하여 28Y042-7F11-1의 세포 검정 효력의 대략 30배 개선을 입증한다.
28Y042-7F11-1 및 메폴리주맙은 둘 다 1 nM - 0.042 pM 농도 범위에서 시험하였을 때 인간 IL-5 유도된 TF-1 세포 증식의 용량 의존성 억제를 유발하였다 (각각 IC50 0.004 nM 및 0.105 nM).
28Y042-7F11-1의 추가 분석은 분자를 아세테이트 또는 포스페이트 완충제 중에서 40℃에서 1주 동안 인큐베이션함으로써 분자를 열 스트레스에 노출시킨 후 수행하였다. 이들 조건 하에, TF-1 세포 검정에서 28Y042-7F11-1에 대한 IC50 값은 4 pM - 5 pM 범위였으며, 이는 '비-스트레스' 대조군 조건에 노출된 28Y042-7F11-1과 유사한 값을 나타낸다.
호산구 형상 변화 검정 & 내인성 IL-5에 대한 결합
28Y042-7F11-1이 인간 전혈에서 IL-5 매개된 호산구 형상 변화를 억제하는 능력을 평가하였다. 메폴리주맙 및 28Y042-7F11-1 (10 μg/ml)은 둘 다 재조합 IL-5 (10 ng/ml) 매개된 호산구 형상 변화의 억제를 나타냈고, 반면에 대조군 항체인 파스콜리주맙 및 항-RSV (Fc 불능화)는 IL-5 매개된 호산구 형상 변화를 방지하는데 실패하였다 (도 2).
28Y042-7F11-1 및 메폴리주맙 (둘 다 1 μg/ml)이 CD3/CD28-자극된 말초 혈액 단핵 세포 (PBMC)의 상청액으로부터의 천연 IL-5에 결합하는 능력을 ELISA에 의해 평가하였다. 28Y042-7F11-1 및 메폴리주맙은 천연 IL-5에 결합하였고, 반면에 대조군 항체 파스콜리주맙은 그렇지 않았다. 검정이 천연 IL-5에 대한 결합을 입증하였지만, 이는 추가로 정확한 EC50 값을 결정하기 위해 최적화되지 않았다 (도 3).
면역검정에 의한 인간 및 시노몰구스 혈청에서의 28Y042-7F11-1의 시험관내 안정성
28Y042-7F11-1이 재조합 IL-5에 결합하는 능력을, 풀링된 대조군 인간 또는 시노몰구스 혈청에서 37℃에서 6주 동안 인큐베이션한 후에 평가하였다 (도 4). 인큐베이션 후, 샘플을 MSD 면역검정에서 시험하였으며, 여기서 남아있는 활성 28Y042-7F11-1은 고정화된 비오티닐화 IL-5를 사용하여 포획한 다음, 직접 표지된 항-인간 Fc 모노클로날 시약을 사용하여 검출하였다. 인간 및 시노몰구스 혈청 둘 다에서, 활성 28Y042-7F11-1의 회수율은 시간 경과에 따른 점진적 하락을 나타냈으며, 6주 후 각각 T0 농도의 73.1% 및 77.1%에 도달하였다. 이것은 메폴리주맙에 대해 수득한 과거 데이터 (51.0% [인간] 및 64.2% [시노몰구스]) 및 이 검정에서 불량한 안정성을 갖는 것으로 공지된 IL-13에 특이적인 대조군 항체 (27.9% [인간] 및 24.9% [시노몰구스])와 비교가 된다. 이러한 연구로부터의 결과는 28Y042-7F11-1의 시험관내 인간 및 시노몰구스 혈청 안정성이 메폴리주맙에 대해 수득한 과거 값에 비해 유리하다는 것을 입증하였으며, 28Y042-7F11-1이 전형적인 모노클로날 항체에 대한 예상과 일치하게 거동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시노몰구스 원숭이에서의 28Y042-7F11-1 PK/PD 결정
시노몰구스 원숭이 (마카카 파시쿨라리스(Macaca fascicularis))의 4개 군 (각각의 군은 2마리의 수컷 및 2마리의 암컷 동물을 포함함)을 비교하는 9개월 비-GLP 생체내 약동학/약역학 (PK/PD) 연구를 수행하였다. 동물에게 제1일에 28Y042-7F11-1 (0.05 mg/kg 또는 1 mg/kg), 메폴리주맙 (1 mg/kg) 또는 비히클을 정맥내 볼루스 주사에 의해 투여하였다. 주사된 항체의 PK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것 이외에, 다음 2개의 PD 파라미터를 평가하여 생체내 28Y042-7F11-1 대 메폴리주맙의 활성을 비교하였다: a) 호산구 억제의 수준 및 지속기간; b) 총 IL-5 혈청 농도의 수준 및 지속기간.
28Y042-7F11-1의 PK 평가
시노몰구스 혈청 샘플에 대해 최대 5376시간 (제32주)까지 PK 평가를 수행하였다. 분석은 28Y042-7F11-1이 메폴리주맙과 비교하여 혈청 클리어런스율의 1.8배 감소 (각각 0.105 ml/hr/kg vs 0.185 ml/hr/kg) 및 메폴리주맙의 경우 11.5일과 비교하여 24.5일의 개선된 반감기를 갖는다는 것을 밝혀냈다 (표 19). 표 19 범례/설명: 시노몰구스 원숭이 PK 연구로부터 결정된 약동학적 파라미터 (* 중앙값).
표 19.
28Y042-7F11-1 매개된 호산구 억제
호산구 수의 감소를 28Y042-7F11-1 매개된 IL-5 중화 활성에 대한 바이오마커로서 사용하였다. 시노몰구스 원숭이의 생체내에서, 28Y042-7F11-1은 메폴리주맙과 비교하여 호산구 억제의 연장된 지속기간을 나타낸다 (도 5). 28Y042-7F11-1은 메폴리주맙의 용량의 1/20로 투여되었을 때 동등하거나 아주 조금 우수한 호산구 억제를 나타내며, 이는 28Y042-7F11-1이 생체내에서 메폴리주맙보다 적어도 20배 더 활성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혈액 호산구 수는, 1 mg/kg으로 투여되었을 때, 28Y042-7F11-1의 경우 투여후 최대 24주 동안 투여전 값의 ≤50%였으며, 이와 비교하여 메폴리주맙의 경우 4 - 7주였다. 혈액 호산구 수는 대략 28Y042-7F11-1의 경우 제7주 및 메폴리주맙의 경우 제4주에 회복을 보이기 시작했다. 이들 데이터는 인간에서 3개월마다의 투여가 달성가능하고, 6개월마다의 투여 또한 달성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한다.
혈청 중 총 IL-5 수준
총 IL-5 (거의 독점적으로 28Y042-7F11-1 또는 메폴리주맙과 복합체화된 IL-5)의 수준은 투여후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고, IL-5 복합체가 훨씬 더 일찍 감소하기 시작한 메폴리주맙 군과 비교하여 2개의 28Y042-7F11-1 투여 군에 대해 현저한 지속성을 나타냈다 (도 6). 1 mg/kg 메폴리주맙 투여 군은 연구 제29일 (672시간) 후에 감소하기 시작하였고, 0.05 mg/kg 28Y042-7F11-1 군은 연구 제85일 (2016시간) 후에 감소하기 시작하였고, 1 mg/kg 28Y042-7F11-1은 연구 제113일 (2688시간) 후에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이것은 더 긴 지속기간 동안 IL-5와의 복합체를 계속 유지하는 28Y042-7F11-1과 비교하여 IL-5에 대한 메폴리주맙의 더 낮은 친화도 뿐만 아니라 더 짧은 반감기를 반영한다.
또한, 단일 정맥내 투여 및 단일 피하 투여에 의해 전달된 28Y042-7F11-1에 대해 비-구획 약동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정맥내로 투여된 GSK3511294는 메폴리주맙과 비교하여 증가된 혈청 반감기 (24일 vs. 11.5일) 및 1.8배의 혈청 클리어런스의 감소를 나타냈다 (도 4).
방법: TF-1 기능적 세포 검정
초기 스크리닝을 위해 96 웰 폴리프로필렌 플레이트에서 항체 샘플 및 대조군을 제조하였다. 항체를 세포 배양 배지 중에 200 nM의 최종 검정 농도로 희석한 다음, 필터 플레이트 (폴 코포레이션(Pall Corporation) 멀티웰 플레이트, 아크로 프렙(ACRO PREP) 96 필터 플레이트, 3.0 μm 유리 섬유 배지/0.2 μm 바이오-이너트(BIO-INERT) 막, # 5053)를 사용하여 멸균 여과하였다. 샘플을 플레이트에 걸쳐 4분의 1로 연속 희석하여 (200 nM-7.63 pM) 농도 범위를 갖는 10 포인트 시리즈를 생성하였다. 목적은 변이체에 대한 IC50 값의 조기 추정을 제공하기 위한 단일 용량 반응 곡선을 생성하는 것이었다. 세포의 자극을 위한 인간 IL-5 시토카인 (동종이량체의 분자량, 28.5 KDa)을 세포 배양 배지 중에 희석하고, 검정에서 인간 IL-5 자극에 대한 EC80인 17.5 pM (0.5 ng/ml)의 최종 검정 농도로 제조하였다. 인간 IL-5를 일련의 항체 희석물을 함유하는 플레이트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세포 증식을 위해 사용되는 성장 인자인 GMCSF (과립구 대식세포 콜로니-자극 인자)의 성공적인 제거를 보장하기 위해 TF1 세포를 PBS로 3회 세척하였다. 세포를 96 웰 고체 백색 편평 바닥 조직 배양 플레이트에 0.2 x 106개 세포/웰의 밀도로 시딩하였다. 이후 사전-인큐베이션된 항체 및 시토카인을 세포에 첨가하고, 37℃, 5% CO2에서 3일 동안 추가로 인큐베이션하였다. 플레이트를 인큐베이터로부터 분리해내고, 100 μl의 셀타이터-글로(CELLTITER-GLO) 발광 시약 (프로메가(Promega), G7571)을 플레이트의 웰에 첨가하고, 플레이트 진탕기 상에서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이후 플레이트를 엔비전(ENVISION) 발광 플레이트 판독기 (바이오맥스(Biomax) 501510) 상에서 판독하였다.
대안적으로 IC50 값의 보다 상세한 평가를 위해, 상기 기재된 방법과 비교하여 하기 변형법을 사용하였다. 일련의 항체 희석물 및 대조군을 96 웰 폴리프로필렌 플레이트에서 제조하였다. 항체를 세포 배양 배지 중 1 nM의 최종 검정 농도로 희석하고, 플레이트에 걸쳐 1.7분의 1로 연속 희석하여 (1 nM - 0.000418 pM) 농도 범위를 생성하였다. 세포의 자극을 위한 인간 IL-5 시토카인을 세포 배양 배지 중에 희석하고, 3 pM의 최종 검정 농도로 제조하였다.
방법: 비아코어
비아코어 4000 (지이 헬스케어(GE Healthcare))을 사용하여 인간 IL-5에 대한 결합의 측정을 수행하였다. 전반에 걸쳐 사용된 샘플 유량은 커플링 및 재생을 위해 10 μl/분이었고, 동역학적 측정을 위해서는 30 μl/분이 사용되었다. 단백질 A를 시리즈 S CM5 칩 (지이 헬스케어, BR-1005-30) 상에 1급 아민 커플링 (지이 헬스케어, BR-1000-50)에 의해 고정화시켰다. 이어서 상기 표면을 사용하여 스폿 1 및 5에서 항-IL-5 항체를 포획하였고, 한편 스폿 2 및 4는 참조용으로 사용하였다. 이어서 재조합 인간 IL-5를 100 nM에서의 포획된 항체 상에 통과시켰다. 이전 실험에서 메폴리주맙의 오프-레이트를 정확하게 결정하기 위해 30분의 해리 시간이 필요한 것으로 밝혀졌기 때문에 이를 사용하였다. 완충제 주입 (즉 0 nM)을 사용하여 결합 곡선을 이중 참조하고, 비아코어 4000 평가 소프트웨로 1:1 모델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피팅시켰다. 구동 완충제로서 HBS-EP (테크노바(Teknova), H8022) 및 재생 용액으로서 50 mM NaOH를 사용하여 25℃에서 구동을 수행하였다.
데이터의 분석은 항체의 오프-레이트가 비아코어 4000 기기의 감도 한계에 있고 따라서 25℃에서 정확한 해리 속도를 계산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밝혀냈다. 따라서, 해리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37℃에서 구동을 반복함으로써, 항체에 대한 정확한 해리 속도를 계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방법: MSD-SET 분석
해리 속도가 25℃에서 비아코어에 의해 측정하기에는 너무 느리기 때문에 이 온도에서 인간 IL-5에 대한 이들 항체의 친화도를 결정하기 위해 MSD-SET (MSD 용액 평형 적정) 분석을 사용하였다. MSD-SET는 항체의 용액 상, 평형 친화도를 결정한다. 본 방법은 적정된 일련의 항체 농도에서 평형 상태에 있는 유리 항원의 검출에 의존한다.
비오티닐화된 인간 IL-5를 30 pM의 일정한 농도로 사용하고, 한편 항체 샘플을 96 웰 폴리프로필렌 플레이트 상에서 2.5 nM에서 0.5 pM로 3분의 1 및 0.05 pM의 최종 10분의 1 희석물 샘플로 하여 적정하였다. 적정된 항체 및 IL-5를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24시간 후, 항체 (PBS 중 20 nM)를 표준 결합 MSD 플레이트 (메소 스케일 디스커버리(Meso Scale Discovery), L15XA) 상에 실온에서 30분 동안 코팅하였다. 이어서 플레이트를 700 rpm에서 진탕하면서 30분 동안 스타팅 블록(STARTING BLOCK) 차단제 (써모 사이언티픽(Thermo Scientific), #37542)로 차단하고, 이어서 세척 완충제로 3회 세척하였다. 인큐베이션된 용액을 700 rpm에서 진탕하면서 150초 동안 MSD 플레이트에 첨가하고, 이어서 1회 세척하였다. 플레이트 상에 포획된 항원을 플레이트 상에서 3분 동안 인큐베이션함으로써 술포태그(SULFOTAG)-표지된 스트렙타비딘 (메소 스케일 디스커버리, R32AD-1)으로 검출하였다. 플레이트를 세척 완충제로 3회 세척한 다음, 계면활성제를 갖는 1x 판독 완충제 T (메소 스케일 디스커버리, R92TC-1)를 사용하여 MSD 섹터 이미저(SECTOR IMAGER) 기기 상에서 판독하였다. 퍼센트 유리 항원을 그래프패드 프리즘(GRAPHPAD PRISM)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적정된 항체의 함수로서 플롯팅하고, 2차 방정식에 피팅시켰다.
또한, MSD-SET 분석을 사용하여 25℃에서 시노몰구스 IL-5에 대한 친화도를 결정하였다. 사용된 방법은 상기 기재된 것과 동일하였지만, 62.5 pM의 시노몰구스 IL-5 농도를 사용하였다.
방법: 28Y042-7F11-1의 키넥사 분석
25℃에서 인간 IL-5에의 28Y042-7F11-1 결합에 대한 정확한 친화도 결정치를 생성하기 위해, 28Y042-7F11-1에 대해 생성된 95% 신뢰 구간이 모델에 대한 데이터의 불량한 피팅이 존재하였다는 것을 나타냈기 때문에 MSD-SET 분석에 대한 대안으로서 키넥사 (동역학 배제 검정)를 사용하였다.
사피다인 키넥사 3200 기기를 사용하여 용액 상 친화도 측정을 수행하였다. 본 방법은 적정된 일련의 항원 농도에서 평형 상태에 있는 유리 항체의 검출에 의존한다. 검출을 위해, 인간 IL-5로 코팅된 NHS-활성화된 세파로스 비드 (지이 헬스케어, 17-0906-01)를 사용하여 비드 매트릭스를 생성하였다. 친화도 결정을 위해, 고정 농도의 항체를 인간 IL-5 농축물의 일련의 희석물과 함께 인큐베이션하고, 결합이 평형에 도달하도록 한 후에 샘플을 키넥사 3200 기기 상에서 구동시켰다. 각각의 용액을 항원 코팅된 비드에 유리 항체가 결합되어 있는 항원 비드의 분취물 상에 통과시키고, 항-인간 IgG 항체 (다이라이트(DYLIGHT) 649-아피니퓨어(AFFINIPURE) F(ab')2 단편 염소 항-인간 IgG; 잭슨 이뮤노리서치(Jackoson Immunoresearch), 109-496-170)를 사용하여 검출하고, 새로운 항원 비드를 사용하여 각각의 샘플을 측정하였다. 키넥사 기계에 내재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호작용의 예상된 친화도 초과 및 미만인, 즉 300 pM 및 50 pM (각각 농도 유도된 및 친화도 유도된 상호작용)인 항체의 상이한 출발 농도, 및 거의 100% 비결합인 채로 남겨진 모든 이용가능한 항체를 포화시킬 수 있는 단일 검정 내의 항원의 소정 범위의 농도 (농도 유도된 곡선에 대해 10 nM 내지 4.88 pM, 친화도 유도된 곡선에 대해 1 nM 내지 0.49 pM)를 사용하여 다수회 구동을 수행하였다. 다수회 구동으로부터의 데이터를 합하고, 키넥사 기계에 내재된 "n-플롯" 분석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분석하여, KD 및 95% 신뢰 구간을 결정하였다.
방법: 메폴리주맙과의 경쟁에서 28Y042-7F11-1의 IL-5 결합
28Y042-7F11-1이 메폴리주맙과 인간 IL-5 상의 동일한 에피토프에 결합하였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포르테바이오 옥텟 레드384 생물층 간섭측정법 기기 (BLI)를 사용하여 경쟁 검정을 수행하였다. 인간 IL-5는 이량체이기 때문에, PBSF 완충제 중 5 μg/mL의 비오티닐화 인간 IL-5를 스트렙타비딘 표면 (포르테바이오, 18-5019) 상에 포획하는 탠덤 검정 포맷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표면을 PBSF 중 100 nM의 메폴리주맙으로 포화시키고, 이어서 100 nM의 28Y042-7F11-1로 포화시켰다. IL-5 표면을 포화시키는 28Y042-7F11-1, 이어서 메폴리주맙으로 상기 과정을 반복하고, 자기-비닝 대조군을 또한 포함시켰다. 25℃에서 1000rpm의 플레이트 진탕기 속도로 분석을 실행하였다. 기기의 포르테바이오 데이터 분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방법: SEC 분석
분석적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SEC)를 수행하여 순도 (% 단량체) 및 분자의 체류 시간을 평가하였다. 지연된 체류 시간은 분자에 의한 잠재적인 전개성 문제를 나타낼 수 있다. 애질런트(AGILENT) 1100 HPLC 시스템 상에서 TSK G3000SWXL, 250A, 5 μm, 30 cm x 7.8 mm 칼럼을 사용하여 SEC를 수행하였다. 구동 조건은 0.5 ml/분의 유량으로 200 mM NaH2PO4, 250 mM NaCl, pH 6.0이었다. 로드는 30분의 구동 시간으로 샘플당 20 μg이었다. 켐스테이션(CHEMSTATION)에서 피크 적분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방법: 프로테온에 의해 평가된 인간 Fc 수용체에 대한 28Y042-7F11-1의 결합
프로테온 XPR36 (바이오라드(BIORAD)) 바이오센서 기기를 사용하여 재조합 가용성 인간 Fc 감마 수용체 (FcγR)에 대한 28Y042-7F11-1의 결합을 평가하였다. 항체를 야생형 인간 IgG1 Fc 영역을 함유하는 양성 대조군 항체 및 Fc 감마 수용체와의 상호작용을 감소시키는 Fc 영역 내의 2개의 점 돌연변이 (L235A/G237A)를 함유하는 음성 대조군 항체에 대해 분석하였다. Fc 영역에 YTE 돌연변이를 함유하는 추가의 대조군 항체를 또한 포함시켰다 (28Y042-7F11-1 또한 YTE 돌연변이를 함유함).
뮤린 항-폴리-히스티딘 IgG (ANTI-TETRA-HIS; 퀴아젠(Qiagen), 34670)를 1급 아민 커플링 (지이 헬스케어, BR-1000-50)에 의해 GLM 바이오센서 칩 (바이오-라드, 176-5012) 상에 고정화시켰다. 이러한 표면을 폴리-히스티딘 태그부착된 인간 Fc 감마 수용체 (모두 사내 생성된 시약 [CD64-Fc 제외; 알앤디 시스템즈(R&D Systems), 1257-FC])에 대한 포획 표면으로서 사용하였다. 시험할 항체를 분석물로서 사용하고, 결합 곡선을 이중 참조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0 nM (즉, 완충제 단독)의 주입과 함께 1024 nM, 256 nM, 64 nM, 16 nM 및 4 nM에서 통과시켰다. 상호작용 사이에 뮤린 항-폴리-히스티딘 IgG 표면을 100 mM 인산으로 재생시켰다. 구동 완충제로서 HBS-EP (테크노바, H8022)를 사용하여 25℃에서 구동을 수행하였다. 전체 R-max를 설정하고, 프로테온 분석 소프트웨어에 내재된 평형 모델을 사용하여, 각각의 수용체에 대해 개별적으로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방법: 프로테온에 의해 평가된 인간 보체 C1q에 대한 28Y042-7F11-1의 결합
인간 재조합 가용성 보체 C1q에 대한 28Y042-7F11-1의 결합을 프로테온 XPR36 (바이오라드™) 바이오센서 기기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Fc 영역에 YTE 변화를 함유하는 대조군 항체를 대조군으로서 포함시켰다.
시험할 항체를 1급 아민 커플링 (지이 헬스케어, BR-1000-50)에 의해 GLC 칩 (바이오-라드, 176-5011) 상에 고정화시켰다. 재조합 C1q (시그마(Sigma), C1740)를 512 nM, 128 nM, 32 nM, 8 nM, 2 nM 및 0 nM (즉, 완충제 단독)의 고정화된 항체 상에 통과시키고, 블랭크 활성화 및 비활성화 유동 셀을 결합 곡선 이중 참조에 사용하였다. 결합 분석을 위한 구동 완충제는 10 mM CaCl2를 갖는 HBS-EP (pH7.4, 테크노바, H8022)였다. 전체 R-max 값을 사용하여 프로테온 XPR36 (바이오라드™) 분석 소프트웨어에 내재된 평형 모델에 데이터를 피팅시켰다.
방법: FcRn 결합
37℃에서 비아코어 T200 기기를 사용하여 pH 6.0 및 pH 7.4에서 인간 FcRn에 대한 28Y042-7F11-1 및 메폴리주맙의 결합 친화도를 평가하였다. 인간 재조합 IL-5를 아세테이트 완충제 pH 5.0 중에 희석하고, CM5 칩 (지이, BR100530) 상에의 아민 커플링에 의해 535 RU 수준으로 고정화시켰다. 칩 표면 상에서 24초 동안 HBS-EP (테크노바, H8022) 완충제 중 임의의 mAb의 100 nM 용액을 유동시킴으로써 (5 μl/분) 28Y042-7F11-1 또는 메폴리주맙을 포획하였다. 고정화된 IL-5를 통한 항체의 포획 후, 다양한 농도 (0.5 μM 내지 32 μM)의 인간 FcRn의 사이클을 칩 표면 상에서 120초의 접촉 시간 동안 5 μl/분으로 유동시키고, 이어서 각각의 사이클에 대해 80초 해리시켰다. 각각의 사이클의 완료시에, 10 mM 글리신 pH 1.5를 5초 동안 50 μl/분으로, 이어서 10mM NaOH를 5초 동안 50 μl/분으로 사용하여 칩 표면을 재생시켰다. FcRn 사이클을 pH 6.0 (HBS-EP+, 테크노바, Cat: H8022, pH 6.0) 및 pH 7.4 (HBS-EP)에서 각각의 농도에 대해 수행하였다. 인간 FcRn에 대한 분자량 42929 Da을 계산에 사용하였다.
방법: 천연 IL-5에 대한 결합
28Y042-7F11-1, 메폴리주맙 및 음성 대조군 항체 (파스콜리주맙 & 항-RSV)가 천연 IL-5에 결합하는 능력을 결정하였다. 28Y042-7F11-1, 메폴리주맙 또는 대조군 항체를 PBS 중 1 μg/ml / 200 μl/웰의 농도로 희석하고, 맥시소르프(MAXISORP) ELISA 플레이트 (눈크(Nunc), 10394751) 상에서 밤새 4℃에서 인큐베이션한 다음 세척하였다 (모든 세척 단계는 0.05% 트윈 20으로 보충된 200 μl/웰 PBS를 사용함). 플레이트를 1% BSA (시그마, A9576)로 보충된 300 μl/웰 PBS로 2시간 동안 차단시킨 후, 4 ng/ml 천연 IL-5를 함유하는 배양 상청액의 1:2 적정물을 플레이트에 첨가하였다. 상청액을 항체와 함께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고, 세척한 다음, 0.5% BSA로 보충된 PBS 중에 희석된 1 μg/ml의 비오티닐화 항-IL-5 항체 (피셔(Fisher), MM550CB) 100 μl/웰을 플레이트에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첨가하였다. 스트렙타비딘-HRP (지이 헬스케어, RPN4401V)를 검출에 사용하고, 0.5% BSA로 보충된 PBS (100 μl/웰) 중에 1:5500으로 희석하고, 실온에서 2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고, 이어서 100 μl/웰 TMB 기질을 5분 동안 첨가한 후, 100 μl/웰 1 M H2SO4를 사용하여 반응을 정지시켰다. 스펙트라맥스(SPECTRAMAX) 플레이트 판독기 (바이오맥스, 088261; 모든 지점을 이중으로 수행함)를 사용하여 450 nm에서 흡광도를 판독하였다. IL-5가 결여되어 있거나 또는 포획 항체 (28Y042-7F11-1, 메폴리주맙 및 음성 대조군 항체)가 부재하는 배양 상청액을 사용하는 대조군 조건을 또한 평가하였다.
인간 단리된 PBMC를 항-CD3 및 항-CD28 항체로 자극함으로써 천연 IL-5를 생성하였다. 건강한 지원자 공여자 (인간)로부터의 혈액 (100 ml)을 나트륨 헤파린 (1000 IU/100 ml) 중에 수득하였다. 혈액을 RPMI (깁코(Gibco), 31870074)로 1:1 희석한 후, 히스토파크 피콜(HISTOPAQUE FICOLL) 및 류코셉(LEUCOSEP) 튜브 (그라이너(Greiner), 227290)를 제조업체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사용하여 PBMC의 단리를 위한 밀도 구배 원심분리에 의해 분리하였다. 단리 후, PBMC를 RPMI로 2회 세척하였다 (1200rpm에서 2 x 5분 회전). 제2 세척 후, 세포를 50 ml RPMI (10% 소 태아 혈청,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및 L-글루타민으로 보충됨) 중에 재현탁시키고, 이로부터 500 μl 샘플을 취하고, 트리플 익스프레스(TRYPLE EXPRESS) (깁코, 12604-021)와 1:1 혼합하고, 빅셀(VICELL) 상에서 구동시켜 세포 수를 수득하였다. 플레이트를 37℃에서 60분 동안 1 μg/ml 항-CD3 (OKT3, 사내) 및 3 μg/ml 항-CD28 (사내)로 사전코팅하고, 이어서 웰을 PBS로 1회 세척하였다. 세포를 1x106개/ml로 희석하고, 200 μl/웰 (2x105개 세포)을 항-CD3/CD28 사전-코팅된 웰에 첨가하고, 37℃, 5% CO2에서 4일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자극 후, 세포 상청액을 50 ml 팔콘 튜브 내로 풀링하고, 회전시켰다 (5분, 1200 rpm). 상청액 (45 ml)을 새로운 팔콘 튜브 내로 회수하고, 세포 펠릿을 폐기하였다. BSA (시그마로부터의 667 μl, A9576)를 40 ml 상청액 (0.5% 최종 농도)에 첨가하고, 2개의 비바스핀(VIVASPIN) 20 칼럼 (사르토리우스(Sartorius), VS0112) 사이에 동등하게 분할하고, 3600 g (4500 rpm)에서 2 x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청액을 농축시켰다. 농축된 상청액 분획을 풀링하고 4℃에서 저장하였다. 검정 대조군으로서, 회전시키지 않았거나 BSA를 첨가하지 않은 5 ml의 원래 상청액을 또한 4℃에서 저장하였다. 비자극 상청액 샘플을 상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회전시키고, 4℃에서 저장하여 IL-5가 결여되어 있는 대조군 상청액을 수득하였다. 퀀티킨(QUANTIKINE) ELISA 키트 (알앤디 시스템즈, D5000B)를 사용하여 IL-5의 농도를 정량화하였다.
방법: 유동 세포측정법에 의해 검정된 IL-5 매개된 호산구 형상 변화의 억제
본 검정을 사용하여 28Y042-7F11-1 또는 메폴리주맙에 의한 인간 전혈에서의 재조합 IL-5-매개된 호산구 형상 변화의 억제를 측정하였다 (모든 지점을 이중으로 수행함). 건강한 지원자 공여자 (인간; 연관된 적절한 동의를 가짐)로부터의 혈액을 글락소스미스클라인 스테버니지 헌혈실(GlaxoSmithKline Stevenage Blood Donation Unit)로부터 나트륨 헤파린 (1000 IU/100 ml) 중에 수득하였다. 28Y042-7F11-1, 메폴리주맙 및 대조군 항체 파스콜리주맙 및 항-RSV를 각각 희석하여 10 μg/ml의 최종 검정 농도를 수득하였다. 항체를 동일 부피의 재조합 IL-5 (알앤디 시스템즈, 로트# 091231202)와 함께 최종 10 ng/ml로 37℃에서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 후, 각각 20 μl 항체/IL-5 복합체 샘플을 96 딥 웰 폴리프로필렌 플레이트 (피셔 사이언티픽(Fisher Scientific), 10007621) 내 6명의 공여자 중 하나로부터의 80 μl 전혈에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를 37℃에서 3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고, 이 시간 후 이를 얼음 상에 놓고, 1:9:30 셀 픽스(CELL FIX): 물: PBS로 희석된 셀 픽스 (비디, 340181) (이러한 비는 제조업체의 권장보다 4배 더 희석되어 호산구 완전성에 유해하지 않은 조건을 제공함)를 사용하여 2분 동안 250 μl/웰로 고정시켰다. 이어서 1 ml/웰 빙냉 팜 라이스(PHARM LYSE) (바이오레전드(BioLegend), RBC 용해 완충제, 420301)를 제조업체의 프로토콜에 따라 사용하여 세포를 용해시켰다. 샘플을 회전시키고, 상청액을 분리해낸 후, FACS 완충제 중에 재현탁시키고, PE 채널에서의 자가형광에 의해 칸토(CANTO) II 게이팅 호산구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였다. 또한 PBS 단독을 사용하여 IL-5의 부재 하에 28Y042-7F11-1, 메폴리주맙, 파스콜리주맙 및 항-RSV의 효과를 시험하였다. 또한 PBS 단독을 사용하여 임의의 항체의 부재 하에 호산구 형상 변화에 대한 IL-5의 효과를 시험하였다.
방법: 혈청 안정성 연구
28Y042-7F11-1을 순수한 풀링된 멸균 인간 혈청 (GSK 스테버니지 헌혈실) 또는 순수한 풀링된 멸균 시노몰구스 혈청 (세라랩스(SeraLabs)로부터) 중에 희석하여 각각 120 μg/ml의 표적 농도의 28Y042-7F11-1을 함유하는 4 ml 샘플을 제공하였다. 이어서 각각의 혈청 샘플 (인간 또는 시노몰구스)을 5 x 750 μl 분취물로 멸균 2 ml 마이크로원심분리 튜브 내로 분할하고, 뚜껑을 단단히 밀봉하였다. 이어서 각각의 혈청 종에 대한 하나의 분취물을 즉시 드라이 아이스 상에 놓고, 동결되도록 하여, T0 샘플을 생성한 다음, 저장을 위해 -80℃로 옮겼다. 나머지 분취물을 5% CO2 하에 37℃로 설정된 가습 조직 배양 인큐베이터 내에 넣었다. 1, 2, 4 및 6주 후, 각각의 혈청 종에 대한 하나의 분취물을 분리해내고, 상기와 같이 드라이 아이스 상에서 동결시킨 다음, 저장을 위해 -80℃로 옮겼다. 시험관내 안정성 연구는 6주 샘플의 분리 및 저장시에 완료하였다.
시험관내 혈청 안정성 연구로부터 유래된 샘플을 혈청 인큐베이션 시간 경과에 걸쳐 28Y042-7F11-1을 정량화하기 위해 MSD (메소 스케일 디스커버리) IL-5 포획 면역검정에서 시험하였다. 포획 시약으로서 비오티닐화 IL-5를 사용함으로 인해, IL-5에 대한 활성을 갖는 분자만이 포획되고 후속적으로 검출되었으며, 따라서 시간 경과에 따라 검출된 회수율의 임의의 변화는 활성 28Y042-7F11-1의 상실을 나타냈다. 모든 샘플을 6-주 인큐베이션의 완료 후 단일 검정에서 함께 시험하였다.
조직 배양 등급 PBS (시그마-알드리치(Aldrich), #D8537) 내로 희석된 2 μg/ml의 뉴트라비딘(NEUTRAVIDIN) (써모-피셔 사이언티픽, #31000) 50 μl로 코팅된 96-웰 표준 결합 MSD 플레이트 (MSD, #L15XA-6)를 사용하여 IL-5 포획 면역검정을 수행하였다. 플레이트를 +4℃에서 밤새 두었다. 코팅된 플레이트를 자동화 플레이트 세척기 (바이오텍(Biotek) ELx405)를 사용하여 세척하였으며, 여기서 각각의 웰을 300μl PBS +0.1% 트윈-20으로 3회 세척하였다. 세척 후, 플레이트를 종이 타월로 두드려 잔류 액체를 제거하였다. 이어서 모든 플레이트를 150 μl의 검정 완충제 (PBS + 5% BSA (시그마-알드리치, #A7030) + 1% 트윈-20 (피셔 사이언티픽, #BP337))로 차단하였다. 플레이트를 대략 750 rpm으로 설정된 플레이트 로커 (하이돌프 티트라맥스(Heidolph TITRAMAX) 1000) 상에서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고 (전반에 걸쳐 사용됨), 이어서 상기와 같이 세척하였다. 비오티닐화 인간 IL-5 (GSK 시약)를 검정 완충제 중에 100 ng/ml로 희석하고, 이것 25 μl를 차단 및 세척된 플레이트의 모든 웰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플레이트를 플레이트 로커 상에서 실온에서 적어도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한 다음, 이전에 기재된 바와 같이 세척하였다. 비오티닐화 IL5와의 인큐베이션 동안, 28Y042-7F11-1 표준 곡선 및 시험 샘플을 제조하였다. 28Y042-7F11-1 표준 곡선은 검정 완충제 중 250 ng/ml의 최고 농도로 희석함으로써 제조하였다. 이어서 이것을 총 11개의 희석 지점에 걸쳐 2.5의 희석 배율을 사용하여 연속 희석하였으며, 여기서 12번째 지점은 검정 블랭크로서 검정 완충제 단독이었다. 모든 시험 혈청 안정성 샘플을 검정 완충제 중에 2000, 20,000 및 200,000의 희석 배율을 사용하여 희석하였다. 각각의 순수한 샘플은 희석 사이에 최소 20 μl를 사용하고 희석 배율 10 이하의 연속 희석을 사용하여 희석하였다 (즉, 희석 배율 2000은 3회 연속 10배 희석에 이어서 2배 희석에 의해 달성됨). 비오티닐화 IL-5와의 인큐베이션을 완료하고 플레이트를 세척한 후, 25 μl의 28Y042-7F11-1 표준 곡선을 삼중으로 첨가하고, 이어서 각각의 희석에서 25 μl의 각각의 시험 샘플을 이중으로 첨가하였다. 이어서 플레이트를 플레이트 로커 상에서 실온에서 적어도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한 다음, 상기와 같이 세척하였다. 결합된 28Y042-7F11-1을 검출하기 위해, 마우스 모노클로날 항-인간 Fc 술포태그 (서던 바이오테크(Southern Biotech)로부터의 비표지 항체를 사용하여 표지됨, #9040-01)를 검정 완충제 중에 500 ng/ml로 희석하고, 25 μl를 모든 웰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플레이트를 플레이트 로커 상에서 실온에서 적어도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한 다음, 상기와 같이 세척하였다. 계면활성제를 갖는 MSD 판독 완충제 T를 증류된 H2O를 사용하여 1x 작업 용액으로 희석한 다음, 150 μl를 모든 웰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플레이트를 섹터 6000 MSD 이미저를 사용하여 판독하였다. 이어서 인간 또는 시노몰구스 혈청 중 측정된 28Y042-7F11-1의 평균 농도를 하기 식을 사용하여 T0 샘플에서 결정된 농도의 %에 대해 정규화하였다:
T0의 % = [시험 샘플 중 농도 / T0 샘플 중 농도] * 100
28Y042-7F11-1에 대해 생성된 혈청 안정성 데이터를 상황에 맞게 반영하기 위해, 이를 메폴리주맙 및 IL-13 특이적 대조군 항체에 대해 과거 생성된 데이터와 함께 플롯팅하였다. 이들 분자에 대해 사용된 혈청 안정성 설정은, 사용된 시점이 0, 2, 4 및 6주이고 사용된 인간 및 시노몰구스 혈청의 배치가 상이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기재된 것과 동일하였다. 메폴리주맙 샘플의 분석은, 500 ng/ml로부터 시작한 메폴리주맙 표준 곡선을 사용하고 단지 희석 배율 1000을 사용하여 샘플을 시험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기재된 바와 같았다. IL-13 특이적 대조군 항체 샘플의 분석은 상기 기재된 바와 같되, 예외로 항체 표준 곡선이 500 ng/ml로부터 시작되었고, 단지 희석 배율 1000을 사용하여 샘플을 시험하였으며, 여기서 보고된 데이터의 경우, 비오티닐화 IL-5 대신에 검정 완충제 중 100 ng/ml의 비오티닐화 IL-13 (GSK 내부 시약)을 사용한 IL-13 포획 검정을 사용하였다. 데이터를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T0에서의 값에 대해 정규화하였다.
방법: 시노몰구스 원숭이 생체내 PK/PD
연구는 시노몰구스 원숭이 (마카카 파시쿨라리스, 2 - 5세, 2 - 6 kg 체중, 모리셔스 기원 그대로의 목적으로 사육됨)의 4개 군을 포함하였고, 각각의 연구군은 2마리의 수컷 및 2마리의 암컷 동물로 이루어졌다. 시노몰구스 원숭이를 사회적 상호작용, 놀이 및 탐색을 촉진하기 위한 풍부한 환경을 갖는 우리당 동일한 성별의 4마리 동물로서 수용시켰다. 연구 동안 각각의 동물은 연구 전반에 걸쳐 평균적으로 200 g/일의 표준 사료 (PMI 뉴트리션 인터내셔널 인증 영장류 식이 번호 5S48 (25% 단백질) 및 스페셜 다이어츠 서비시즈 (SDS) 마주리 익스팬디드 쇼트 (MP (E) 쇼트 SQC)) 식이 및 물에 자유롭게 접근하였다. 호산구 수를 포함한 완전 혈액 세포 수를 투여 전 및 이어서 투여 후 1주마다 또는 2주마다 (6개월 동안) 결정하였다. 동물에게 제1일에 28Y042-7F11-1 (0.05 mg/kg 또는 1 mg/kg), 메폴리주맙 (1 mg/kg) 또는 비히클을 정맥내 볼루스 주사에 의해 투여하였다. 혈액 세포 수 이외에, 시험 물질 PK 및 총 IL-5 측정을 수행하였다.
방법: PK 데이터
동물에게 제1일에 시험 물질을 투여하고, 항응고제를 첨가하지 않으면서 대퇴부 정맥으로부터 혈액을 추출함으로써 샘플링하였다 (표 20 및 표 21 참조). 혈액학적 (호산구) 혈액 샘플링 스케줄에 부합하도록 오후 (1 - 3 pm) 동안 가능한 한 늦게 샘플링을 수행하였다. 샘플을 주위 온도에서 적어도 1시간 동안 응고되도록 한 다음, 4℃에서 10분 동안 2500 g에서 원심분리하였다. 생성된 혈청을 분리하고, 고유하게 표지된 표준 자르슈테트 튜브로 옮기고, 드라이 아이스 상에서 즉시 동결시킨 다음, -80℃에서 저장하였다.
기로랩 워크 스테이션(GYROLAB Work Station) (기로스(Gyros), P0004943) 플랫폼을 사용하는 면역검정에 의해, 시노몰구스 원숭이 혈청 샘플로부터 28Y042-7F11-1 및 메폴리주맙의 농도를 결정하였다. 비오티닐화 재조합 인간 IL-5 포획물 (사내 시약) 및 28Y042-7F11-1 표준물 (시노몰구스 혈청 중)을 렉시프(REXXIP) A 완충제 (기로스, P0004820) 중에 희석하고, 알렉사-647 표지된 항-인간 IgG 검출물 (클론 JDC-10)을 렉시프 F 완충제 (기로스, P0004825) 중에 희석하였다. 바이오아피(BIOAFFY) 1000 CD (기로스, P0004253) 상에서 28Y042-7F11-1에 대해 30-10,000 ng/ml 범위 및 메폴리주맙에 대해 100-10,000 ng/ml 범위로 검정을 검증하였다. 28Y042-7F11-1에 대한 혈청 농도 값은 예상 범위 내에 있었다. 표 20 범례/설명: PK 및 총 IL-5 검정에 대한 시노몰구스 혈액 샘플링 스케줄. 혈액 추출 부피는 0.7 ml (*에서 0.5 ml)였다. 표 21 범례/설명: 혈액 샘플 수집 스케쥴.
표 20.
표 21.
방법: 총 IL-5 데이터
PK 데이터 수집에 대해 기재된 바와 같이 동물에게 투여하고, 혈액을 샘플링하고, 처리하였다. 시노몰구스 IL-5 (2.44 - 10,000 pg/ml 최종 농도)의 표준 곡선을, 풀링된 시노몰구스 혈청 (세라랩, S-118-D) 중 4분의 1로 연속 희석하여 x2 최종 농도로 제조하였다. 4개의 QC 스파이킹된 IL 5 대조군 또한, 풀링된 시노몰구스 혈청 (5000, 500, 50 및 0 pg/ml IL-5)을 사용하여 (항체 칵테일에 의한 1:2 희석을 처리하는데) 필요한 2x 최종 농도로 제조하였다. 이어서 각각의 표준물/QC 스파이킹된 대조군/혈청 시험 샘플을 새로운 96-웰 폴리프로필렌 플레이트 내로 옮겼다 (50 μl). 포획 mAb로서 0.5 μg/ml의 최종 농도의 래트 항-인간 IL-5-비오틴 접합체 mAb (서던 바이오테크, 10118-08) 및 검출 mAb로서 0.5 μg/ml의 최종 농도의 래트 항-인간 IL-5-술포-태그부착된 mAb (서던 바이오테크, 10118-14 (MSD 사내 술포-태그부착됨))를 사용하여 포획 및 검출 항체 칵테일을 제조하였다. 포획 및 검출 항체 둘 다를 표준/샘플/대조군에서의 1:2 희석을 처리하기 위한 2x 최종 농도로 검정 완충제 (RK/CI 완충제: [6.4 mM EDTA, 5.1 mM EGTA, 50 mM HEPES, 149.2 mM NaCl, 1% 트리톤 X-100, 1% BSA, pH 7.4]) 중에서 제조하였다. 항체 칵테일 (50 μl)을 각각의 표준물/QC 스파이킹된 대조군/시험 혈청 샘플에 첨가하고, 암실에서 진탕하면서 (600 rpm) 실온에서 3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스트렙타비딘 골드 MSD 플레이트 (메소 스케일 디스커버리, L15SA-1)를 150 μl/웰 MSD 차단 완충제 (PBS 중 3% MSD 차단제 A (메소 스케일 디스커버리, R93BA-1))로 차단하고, 진탕하면서 (600 rpm)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항체 칵테일 및 표준물/QC 스파이킹된 대조군/시험 혈청 샘플의 3시간 인큐베이션 후에, 25 μl/웰을 이중으로 (또는 QC 스파이킹 대조군에 대해서는 삼중으로), 차단 및 세척된 (스칸 워셔(SKAN WASHER) 300, 스카트론 인스투르먼츠(Skatron Instruments)) MSD 스트렙타비딘 골드 플레이트 상에 옮겼다. 이어서 플레이트를 진탕하면서 (600 rpm)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이러한 인큐베이션 후, 이어서 플레이트를 세척하였다 (스칸 워셔 300, 스카트론 인스트루먼츠). 판독 완충제 T (2x)를 제조하고, 150 μl/웰을 MSD 스트렙타비딘 골드 플레이트의 각각의 웰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15분 이내에 MSD 섹터 S 600 (모델 1201)을 사용하여 전기화학발광을 정량화하였다.
방법: 호산구 수
호산구 수의 감소를 28Y042-7F11-1 매개된 IL-5 중화 활성에 대한 바이오마커로서 사용하였다. 시험 물질의 투여 전에, 39마리 동물의 패널을 호산구 수준에 대해 스크리닝하고 (제-51일 및 제-44일), 호산구 수준 (≥180개 호산구/μL)을 갖는 동물을 선택하여 연구에 들어갔다. 더 높은 호산구 수를 갖는 동물은 이들이 호산구 억제 수준을 측정하는데 더 큰 검정 범위를 제공할 것이라는 가정에 기초하여 선택하였다. 동물이 청정실 조건에서 사육되고 살았기 때문에 야생 동물보다 더 낮은 기준선 호산구 수를 갖고, 이들 더 낮은 호산구 값은 약물에 의해 억제될 때 최저 정량화 수준 미만으로 하락할 수 있다는 것이 우려되었다. 이는 또한 일부 동물이 호산구 수의 광범위한 변동을 나타낸 사전-스크리닝 단계 동안 명백해졌다. 이러한 변동의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환경적, 스트레스 또는 호르몬 변화와 같은 다수의 인자에 기인할 수 있다.
16마리의 동물을 연구를 위해 선택한 후, 이들을 연구 우리에 재-수용시키고 (우리당 동일한 성별의 4마리 동물), 그의 새로운 환경에 순응시켰다. 순응 기간 동안, 3회의 투여전 혈액 계수를 수행하였다 (제-21일, 제-14일 및 제-7일). 동물에게 제1일에 시험 물질을 투여하고, 항응고제로서 EDTA를 사용하여 대퇴부 정맥으로부터 0.5 ml 혈액을 추출함으로써 샘플링하였다. 혈액 호산구 수준의 주간 변동을 제어하기 위해 오후 동안 (1 - 3 pm) 가능한 한 늦게 샘플링을 수행하였다. 수집 후, 각각의 시점에 대한 최종 샘플 수집 60분 이내에 샘플을 처리하고, 퍼옥시다제 방법 및 호염기구/엽상 방법 둘 다를 사용하는 아디바(ADVIA) 120 혈액학 분석기 (지멘스(Siemens))를 사용하여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실시예 2
28Y042-7F11-1을 또한 4-주 단일 용량 및 26-주 반복 용량 GLP 독성 (10 및 100 mg/kg/주) 연구에서 평가하였다. 이들 연구에서, 28Y042-7F11-1을 시노몰구스 원숭이에게 피하로 투여하였다. 26-주 연구의 휴약기가 진행중이고 (2017년 5월), 따라서 사전치료 동안 투여 기간 종료까지 생성된 데이터를 제시하는 중간 보고가 여기서 보고된다. 본 연구에서 달성된 전신 노출이 표 22에 제시된다. 표준 방법론을 사용하여 이들 연구 및 관련 분석을 수행하였다. 표 22: 범례/설명: 시노몰구스 원숭이에서 28Y042-7F11-1의 피하 투여 후 평균 전신 노출의 비교 평가. 표 23 범례/설명: 단일 IV 또는 SC 주사 후 시노몰구스 원숭이에서 28Y042-7F11-1의 평균 약동학적 파라미터. 표 24 범례/설명: 시노몰구스 원숭이 NOAEL 데이터를 피하로 투여될 용량에서의 예측된 인간 데이터와 비교할 때의 안전성 한계 ('안전성 범위').
표 22.
표 23.
표 24.
실시예 3
비공식적 서열 목록
하기 밑줄표시는 항체의 가변 중쇄 및 가변 경쇄 부분에서의 CDR의 카바트 정의에 따른 CDR 서열, 또는 이들 CDR 서열을 코딩하는 핵산 서열을 확인한다. 예를 들어, 서열식별번호: 1에서 프레임워크 및 CDR은 제시된 서열의 아미노 근위 부분에서 카르복시 말단 부분의 순서로, 평문 프레임워크1, 밑줄표시된 CDR1, 평문 프레임워크2, 밑줄표시된 CDR2, 평문 프레임워크3, 밑줄표시된 CDR3 및 평문 프레임워크4로서 제시된다. 이러한 스킴은, 예를 들어 서열식별번호: 1-4에서 사용된다. 이들 서열에 제시된 아미노 말단 메티오닌 잔기는 절단될 수 있다. 따라서, 아미노 말단 메티오닌 잔기를 나타내는 서열은 또한 이러한 아미노 말단 메티오닌 잔기가 결여되어 있는 이들 단백질의 절단된 버전을 개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핵산 서열은 DNA 핵산 서열로서 제시되고, "t"핵산 잔기를 포함하며, 상응하는 RNA 서열은 또한 "t" 핵산 잔기가 "u" 핵산 잔기를 개시하는 것으로도 간주될 수 있도록 개시된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추가적으로, 5' 근위 "atg" 출발 코돈 및 3' 근위 "taa", "tag" 및 "tga" 정지 코돈은 하기 cDNA 핵산 서열로부터 생략되었다.
본 발명이 지금 완전히 기재되었지만, 첨부된 청구범위의 취지 또는 범주에 벗어나지 않으면서 많은 변화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분명할 것이다.
2017년 5월 26일에 생성되고 21,851 바이트의 크기를 갖는 "PU66209P_US_SeqList [,]" 명칭의 ASCII 텍스트 파일의 자료는 그 전문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SEQUENCE LISTING
<110> GLAXOSMITHKLINE INTELLECTUAL PROPERTY DEVELOPMENT LIMITED
<120> BIO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RELATED METHODS
<130> PU66209
<160> 21
<170> FastSEQ for Windows Version 4.0
<210> 1
<211> 44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identified using molecular
biology techniques.
<400> 1
Gln Val Thr Leu Arg Glu Ser Gly Pro Ala Leu Val Lys Pro Thr Gln
1 5 10 15
Thr Leu Thr Leu Thr Cys Thr Val Ser Gly Phe Ser Leu Thr Gly Ser
20 25 30
Ser Val His Trp Val Arg Gln Pro Pro Gly Lys Gly Leu Glu Trp Leu
35 40 45
Gly Val Ile Trp Ala Ser Gly Gly Thr Asp Tyr Asn Ser Ala Leu Met
50 55 60
Ser Arg Leu Ser Ile Ser Lys Asp Thr Ser Arg Asn Gln Val Val Leu
65 70 75 80
Thr Met Thr Asn Met Asp Pro Val Asp Thr Ala Thr Tyr Tyr Cys Ala
85 90 95
Arg Asp Pro Pro Ser Gly Leu Leu Arg Leu Asp Tyr Trp Gly Arg Gly
100 105 110
Thr Leu Val Thr Val Ser Ser Ala Ser Thr Lys Gly Pro Ser Val Phe
115 120 125
Pro Leu Ala Pro Ser Ser Lys Ser Thr Ser Gly Gly Thr Ala Ala Leu
130 135 140
Gly Cys Leu Val Lys Asp Tyr Phe Pro Glu Pro Val Thr Val Ser Trp
145 150 155 160
Asn Ser Gly Ala Leu Thr Ser Gly Val His Thr Phe Pro Ala Val Leu
165 170 175
Gln Ser Ser Gly Leu Tyr Ser Leu Ser Ser Val Val Thr Val Pro Ser
180 185 190
Ser Ser Leu Gly Thr Gln Thr Tyr Ile Cys Asn Val Asn His Lys Pro
195 200 205
Ser Asn Thr Lys Val Asp Lys Arg Val Glu Pro Lys Ser Cys Asp Lys
210 215 220
Thr His Thr Cys Pro Pro Cys Pro Ala Pro Glu Leu Leu Gly Gly Pro
225 230 235 240
Ser Val Phe Leu Phe Pro Pro Lys Pro Lys Asp Thr Leu Tyr Ile Thr
245 250 255
Arg Glu Pro Glu Val Thr Cys Val Val Val Asp Val Ser His Glu Asp
260 265 270
Pro Glu Val Lys Phe Asn Trp Tyr Val Asp Gly Val Glu Val His Asn
275 280 285
Ala Lys Thr Lys Pro Arg Glu Glu Gln Tyr Asn Ser Thr Tyr Arg Val
290 295 300
Val Ser Val Leu Thr Val Leu His Gln Asp Trp Leu Asn Gly Lys Glu
305 310 315 320
Tyr Lys Cys Lys Val Ser Asn Lys Ala Leu Pro Ala Pro Ile Glu Lys
325 330 335
Thr Ile Ser Lys Ala Lys Gly Gln Pro Arg Glu Pro Gln Val Tyr Thr
340 345 350
Leu Pro Pro Ser Arg Glu Glu Met Thr Lys Asn Gln Val Ser Leu Thr
355 360 365
Cys Leu Val Lys Gly Phe Tyr Pro Ser Asp Ile Ala Val Glu Trp Glu
370 375 380
Ser Asn Gly Gln Pro Glu Asn Asn Tyr Lys Thr Thr Pro Pro Val Leu
385 390 395 400
Asp Ser Asp Gly Ser Phe Phe Leu Tyr Ser Lys Leu Thr Val Asp Lys
405 410 415
Ser Arg Trp Gln Gln Gly Asn Val Phe Ser Cys Ser Val Met His Glu
420 425 430
Ala Leu His Asn His Tyr Thr Gln Lys Ser Leu Ser Leu Ser Pro Gly
435 440 445
Lys
<210> 2
<211> 22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identified using molecular
biology techniques.
<400> 2
Asp Ile Val Met Thr Gln Ser Pro Asp Ser Leu Ala Val Ser Leu Gly
1 5 10 15
Glu Arg Ala Thr Ile Asn Cys Lys Ser Ser Gln Ser Leu Leu Asn Ser
20 25 30
Gly Asn Gln Lys Asn Tyr Leu Ala Trp Tyr Gln Gln Lys Pro Gly Gln
35 40 45
Pro Pro Lys Leu Leu Ile Tyr Gly Ala Ser Thr Arg Glu Ser Gly Val
50 55 60
Pro Asp Arg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Thr
65 70 75 80
Ile Ser Ser Leu Gln Ala Glu Asp Val Ala Val Tyr Tyr Cys Gln Asn
85 90 95
Val His Ser Phe Pro Phe Thr Phe Gly Gly Gly Thr Lys Leu Glu Ile
100 105 110
Lys Arg Thr Val Ala Ala Pro Ser Val Phe Ile Phe Pro Pro Ser Asp
115 120 125
Glu Gln Leu Lys Ser Gly Thr Ala Ser Val Val Cys Leu Leu Asn Asn
130 135 140
Phe Tyr Pro Arg Glu Ala Lys Val Gln Trp Lys Val Asp Asn Ala Leu
145 150 155 160
Gln Ser Gly Asn Ser Gln Glu Ser Val Thr Glu Gln Asp Ser Lys Asp
165 170 175
Ser Thr Tyr Ser Leu Ser Ser Thr Leu Thr Leu Ser Lys Ala Asp Tyr
180 185 190
Glu Lys His Lys Val Tyr Ala Cys Glu Val Thr His Gln Gly Leu Ser
195 200 205
Ser Pro Val Thr Lys Ser Phe Asn Arg Gly Glu Cys
210 215 220
<210> 3
<211> 11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identified using molecular
biology techniques.
<400> 3
Gln Val Thr Leu Arg Glu Ser Gly Pro Ala Leu Val Lys Pro Thr Gln
1 5 10 15
Thr Leu Thr Leu Thr Cys Thr Val Ser Gly Phe Ser Leu Thr Gly Ser
20 25 30
Ser Val His Trp Val Arg Gln Pro Pro Gly Lys Gly Leu Glu Trp Leu
35 40 45
Gly Val Ile Trp Ala Ser Gly Gly Thr Asp Tyr Asn Ser Ala Leu Met
50 55 60
Ser Arg Leu Ser Ile Ser Lys Asp Thr Ser Arg Asn Gln Val Val Leu
65 70 75 80
Thr Met Thr Asn Met Asp Pro Val Asp Thr Ala Thr Tyr Tyr Cys Ala
85 90 95
Arg Asp Pro Pro Ser Gly Leu Leu Arg Leu Asp Tyr Trp Gly Arg Gly
100 105 110
Thr Leu Val Thr Val Ser Ser
115
<210> 4
<211> 11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identified using molecular
biology techniques.
<400> 4
Asp Ile Val Met Thr Gln Ser Pro Asp Ser Leu Ala Val Ser Leu Gly
1 5 10 15
Glu Arg Ala Thr Ile Asn Cys Lys Ser Ser Gln Ser Leu Leu Asn Ser
20 25 30
Gly Asn Gln Lys Asn Tyr Leu Ala Trp Tyr Gln Gln Lys Pro Gly Gln
35 40 45
Pro Pro Lys Leu Leu Ile Tyr Gly Ala Ser Thr Arg Glu Ser Gly Val
50 55 60
Pro Asp Arg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Thr
65 70 75 80
Ile Ser Ser Leu Gln Ala Glu Asp Val Ala Val Tyr Tyr Cys Gln Asn
85 90 95
Val His Ser Phe Pro Phe Thr Phe Gly Gly Gly Thr Lys Leu Glu Ile
100 105 110
Lys Arg
<210> 5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identified using molecular
biology techniques.
<400> 5
Gly Ser Ser Val His
1 5
<210> 6
<211> 1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identified using molecular
biology techniques.
<400> 6
Val Ile Trp Ala Ser Gly Gly Thr Asp Tyr Asn Ser Ala Leu Met Ser
1 5 10 15
<210> 7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identified using molecular
biology techniques.
<400> 7
Asp Pro Pro Ser Gly Leu Leu Arg Leu Asp Tyr
1 5 10
<210> 8
<211> 1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identified using molecular
biology techniques.
<400> 8
Lys Ser Ser Gln Ser Leu Leu Asn Ser Gly Asn Gln Lys Asn Tyr Leu
1 5 10 15
Ala
<210> 9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identified using molecular
biology techniques.
<400> 9
Gly Ala Ser Thr Arg Glu Ser
1 5
<210> 10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identified using molecular
biology techniques.
<400> 10
Gln Asn Val His Ser Phe Pro Phe Thr
1 5
<210> 11
<211> 115
<212> PRT
<213> Homo sapien
<400> 11
Ile Pro Thr Glu Ile Pro Thr Ser Ala Leu Val Lys Glu Thr Leu Ala
1 5 10 15
Leu Leu Ser Thr His Arg Thr Leu Leu Ile Ala Asn Glu Thr Leu Arg
20 25 30
Ile Pro Val Pro Val His Lys Asn His Gln Leu Cys Thr Glu Glu Ile
35 40 45
Phe Gln Gly Ile Gly Thr Leu Glu Ser Gln Thr Val Gln Gly Gly Thr
50 55 60
Val Glu Arg Leu Phe Lys Asn Leu Ser Leu Ile Lys Lys Tyr Ile Asp
65 70 75 80
Gly Gln Lys Lys Lys Cys Gly Glu Glu Arg Arg Arg Val Asn Gln Phe
85 90 95
Leu Asp Tyr Leu Gln Glu Phe Leu Gly Val Met Asn Thr Glu Trp Ile
100 105 110
Ile Glu Ser
115
<210> 12
<211> 400
<212> PRT
<213> Homo sapien
<400> 12
Asp Leu Leu Pro Asp Glu Lys Ile Ser Leu Leu Pro Pro Val Asn Phe
1 5 10 15
Thr Ile Lys Val Thr Gly Leu Ala Gln Val Leu Leu Gln Trp Lys Pro
20 25 30
Asn Pro Asp Gln Glu Gln Arg Asn Val Asn Leu Glu Tyr Gln Val Lys
35 40 45
Ile Asn Ala Pro Lys Glu Asp Asp Tyr Glu Thr Arg Ile Thr Glu Ser
50 55 60
Lys Cys Val Thr Ile Leu His Lys Gly Phe Ser Ala Ser Val Arg Thr
65 70 75 80
Ile Leu Gln Asn Asp His Ser Leu Leu Ala Ser Ser Trp Ala Ser Ala
85 90 95
Glu Leu His Ala Pro Pro Gly Ser Pro Gly Thr Ser Ile Val Asn Leu
100 105 110
Thr Cys Thr Thr Asn Thr Thr Glu Asp Asn Tyr Ser Arg Leu Arg Ser
115 120 125
Tyr Gln Val Ser Leu His Cys Thr Trp Leu Val Gly Thr Asp Ala Pro
130 135 140
Glu Asp Thr Gln Tyr Phe Leu Tyr Tyr Arg Tyr Gly Ser Trp Thr Glu
145 150 155 160
Glu Cys Gln Glu Tyr Ser Lys Asp Thr Leu Gly Arg Asn Ile Ala Cys
165 170 175
Trp Phe Pro Arg Thr Phe Ile Leu Ser Lys Gly Arg Asp Trp Leu Ala
180 185 190
Val Leu Val Asn Gly Ser Ser Lys His Ser Ala Ile Arg Pro Phe Asp
195 200 205
Gln Leu Phe Ala Leu His Ala Ile Asp Gln Ile Asn Pro Pro Leu Asn
210 215 220
Val Thr Ala Glu Ile Glu Gly Thr Arg Leu Ser Ile Gln Trp Glu Lys
225 230 235 240
Pro Val Ser Ala Phe Pro Ile His Cys Phe Asp Tyr Glu Val Lys Ile
245 250 255
His Asn Thr Arg Asn Gly Tyr Leu Gln Ile Glu Lys Leu Met Thr Asn
260 265 270
Ala Phe Ile Ser Ile Ile Asp Asp Leu Ser Lys Tyr Asp Val Gln Val
275 280 285
Arg Ala Ala Val Ser Ser Met Cys Arg Glu Ala Gly Leu Trp Ser Glu
290 295 300
Trp Ser Gln Pro Ile Tyr Val Gly Asn Asp Glu His Lys Pro Leu Arg
305 310 315 320
Glu Trp Phe Val Ile Val Ile Met Ala Thr Ile Cys Phe Ile Leu Leu
325 330 335
Ile Leu Ser Leu Ile Cys Lys Ile Cys His Leu Trp Ile Lys Leu Phe
340 345 350
Pro Pro Ile Pro Ala Pro Lys Ser Asn Ile Lys Asp Leu Phe Val Thr
355 360 365
Thr Asn Tyr Glu Lys Ala Gly Ser Ser Glu Thr Glu Ile Glu Val Ile
370 375 380
Cys Tyr Ile Glu Lys Pro Gly Val Glu Thr Leu Glu Asp Ser Val Phe
385 390 395 400
<210> 13
<211> 140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ic acid sequence identified using molecular
biology techniques.
<400> 13
atgggctggt cctgcatcat cctgtttctg gtggccaccg ccaccggtgt gcacagccag 60
gtgaccctga gggagagcgg ccccgccctg gtgaagccca cacagaccct cactctgacc 120
tgcaccgtga gcggcttcag cctgaccggc tctagcgtcc actgggtgag gcagcccccc 180
ggcaagggcc tggagtggct gggcgtgatc tgggcaagcg gggggacgga ctacaactcg 240
gccctgatga gcaggctctc catcagcaag gacaccagcc ggaaccaggt ggtgctgacc 300
atgaccaaca tggaccccgt ggacaccgcc acctattact gcgccaggga ccctccctcc 360
ggcctgctga ggctggacta ctggggcagg ggaacactag tgaccgtgtc cagcgccagc 420
accaagggcc ccagcgtgtt ccccctggcc cccagcagca agagcaccag cggcggcaca 480
gccgccctgg gctgcctggt gaaggactac ttccccgagc ccgtgaccgt gtcctggaac 540
agcggagccc tgaccagcgg cgtgcacacc ttccccgccg tgctgcagag cagcggcctg 600
tacagcctga gcagcgtggt gaccgtgccc agcagcagcc tgggcaccca gacctacatc 660
tgtaacgtga accacaagcc cagcaacacc aaggtggaca agcgggtgga gcccaagagc 720
tgtgacaaga cccacacctg ccccccctgc cctgcccccg agctgctggg aggccccagc 780
gtgttcctgt tcccccccaa gcctaaggac accctgtaca tcaccagaga acccgaggtg 840
acctgtgtgg tggtggatgt gagccacgag gaccctgagg tgaagttcaa ctggtacgtg 900
gacggcgtgg aggtgcacaa tgccaagacc aagcccaggg aggagcagta caacagcacc 960
taccgggtgg tgtccgtgct gaccgtgctg caccaggatt ggctgaacgg caaggagtac 1020
aagtgtaagg tgtccaacaa ggccctgcct gcccctatcg agaaaaccat cagcaaggcc 1080
aagggccagc ccagagagcc ccaggtgtac accctgcccc ctagcagaga ggagatgacc 1140
aagaaccagg tgtccctgac ctgcctggtg aagggcttct accccagcga catcgccgtg 1200
gagtgggaga gcaacggcca gcccgagaac aactacaaga ccaccccccc tgtgctggac 1260
agcgatggca gcttcttcct gtacagcaag ctgaccgtgg acaagagcag atggcagcag 1320
ggcaacgtgt tcagctgctc cgtgatgcac gaggccctgc acaatcacta cacccagaag 1380
agcctgagcc tgtcccctgg caag 1404
<210> 14
<211> 71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ic acid sequence identified using molecular
biology techniques.
<400> 14
atgggctggt cctgcatcat cctgtttctg gtggccaccg ccaccggtgt gcacagcgac 60
atcgtgatga cccagtctcc cgattcactg gccgtgagcc tgggcgagag ggccaccatc 120
aactgcaaga gcagccagag cctcctgaac agcggcaacc agaagaacta cctggcctgg 180
taccagcaga aacccggcca gccccccaag ctgctgatct atggcgcctc caccagggag 240
agcggcgtgc cagacaggtt tagcggcagc ggcagcggca ccgacttcac cctgacaatc 300
agcagcctgc aggccgagga cgtggccgtg tactactgcc agaacgtcca cagcttcccc 360
ttcaccttcg gcgggggaac caagctggag atcaagcgta cggtggccgc ccccagcgtg 420
ttcatcttcc cccccagcga tgagcagctg aagagcggca ccgccagcgt ggtgtgtctg 480
ctgaacaact tctacccccg ggaggccaag gtgcagtgga aggtggacaa tgccctgcag 540
agcggcaaca gccaggagag cgtgaccgag caggacagca aggactccac ctacagcctg 600
agcagcaccc tgaccctgag caaggccgac tacgagaagc acaaggtgta cgcctgtgag 660
gtgacccacc agggcctgtc cagccccgtg accaagagct tcaaccgggg cgagtgc 717
<210> 15
<211> 35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ic acid sequence identified using molecular
biology techniques.
<400> 15
aggtgaccct gagggagagc ggccccgccc tggtgaagcc cacacagacc ctcactctga 60
cctgcaccgt gagcggcttc agcctgaccg gctctagcgt ccactgggtg aggcagcccc 120
ccggcaaggg cctggagtgg ctgggcgtga tctgggcaag cggggggacg gactacaact 180
cggccctgat gagcaggctc tccatcagca aggacaccag ccggaaccag gtggtgctga 240
ccatgaccaa catggacccc gtggacaccg ccacctatta ctgcgccagg gaccctccct 300
ccggcctgct gaggctggac tactggggca ggggaacact agtgaccgtg tccagc 356
<210> 16
<211> 34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ic acid sequence identified using molecular
biology techniques.
<400> 16
gacatcgtga tgacccagtc tcccgattca ctggccgtga gcctgggcga gagggccacc 60
atcaactgca agagcagcca gagcctcctg aacagcggca accagaagaa ctacctggcc 120
tggtaccagc agaaacccgg ccagcccccc aagctgctga tctatggcgc ctccaccagg 180
gagagcggcg tgccagacag gtttagcggc agcggcagcg gcaccgactt caccctgaca 240
atcagcagcc tgcaggccga ggacgtggcc gtgtactact gccagaacgt ccacagcttc 300
cccttcacct tcggcggggg aaccaagctg gagatcaagc gt 342
<210> 17
<211> 134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ic acid sequence identified using molecular
biology techniques.
<400> 17
caggtgaccc tgagggagag cggccccgcc ctggtgaagc ccacacagac cctcactctg 60
acctgcaccg tgagcggctt cagcctgacc ggctctagcg tccactgggt gaggcagccc 120
cccggcaagg gcctggagtg gctgggcgtg atctgggcaa gcggggggac ggactacaac 180
tcggccctga tgagcaggct ctccatcagc aaggacacca gccggaacca ggtggtgctg 240
accatgacca acatggaccc cgtggacacc gccacctatt actgcgccag ggaccctccc 300
tccggcctgc tgaggctgga ctactggggc aggggaacac tagtgaccgt gtccagcgcc 360
agcaccaagg gccccagcgt gttccccctg gcccccagca gcaagagcac cagcggcggc 420
acagccgccc tgggctgcct ggtgaaggac tacttccccg agcccgtgac cgtgtcctgg 480
aacagcggag ccctgaccag cggcgtgcac accttccccg ccgtgctgca gagcagcggc 540
ctgtacagcc tgagcagcgt ggtgaccgtg cccagcagca gcctgggcac ccagacctac 600
atctgtaacg tgaaccacaa gcccagcaac accaaggtgg acaagcgggt ggagcccaag 660
agctgtgaca agacccacac ctgccccccc tgccctgccc ccgagctgct gggaggcccc 720
agcgtgttcc tgttcccccc caagcctaag gacaccctgt acatcaccag agaacccgag 780
gtgacctgtg tggtggtgga tgtgagccac gaggaccctg aggtgaagtt caactggtac 840
gtggacggcg tggaggtgca caatgccaag accaagccca gggaggagca gtacaacagc 900
acctaccggg tggtgtccgt gctgaccgtg ctgcaccagg attggctgaa cggcaaggag 960
tacaagtgta aggtgtccaa caaggccctg cctgccccta tcgagaaaac catcagcaag 1020
gccaagggcc agcccagaga gccccaggtg tacaccctgc cccctagcag agaggagatg 1080
accaagaacc aggtgtccct gacctgcctg gtgaagggct tctaccccag cgacatcgcc 1140
gtggagtggg agagcaacgg ccagcccgag aacaactaca agaccacccc ccctgtgctg 1200
gacagcgatg gcagcttctt cctgtacagc aagctgaccg tggacaagag cagatggcag 1260
cagggcaacg tgttcagctg ctccgtgatg cacgaggccc tgcacaatca ctacacccag 1320
aagagcctga gcctgtcccc tggcaag 1347
<210> 18
<211> 66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ucleic acid sequence identified using molecular
biology techniques.
<400> 18
gacatcgtga tgacccagtc tcccgattca ctggccgtga gcctgggcga gagggccacc 60
atcaactgca agagcagcca gagcctcctg aacagcggca accagaagaa ctacctggcc 120
tggtaccagc agaaacccgg ccagcccccc aagctgctga tctatggcgc ctccaccagg 180
gagagcggcg tgccagacag gtttagcggc agcggcagcg gcaccgactt caccctgaca 240
atcagcagcc tgcaggccga ggacgtggcc gtgtactact gccagaacgt ccacagcttc 300
cccttcacct tcggcggggg aaccaagctg gagatcaagc gtacggtggc cgcccccagc 360
gtgttcatct tcccccccag cgatgagcag ctgaagagcg gcaccgccag cgtggtgtgt 420
ctgctgaaca acttctaccc ccgggaggcc aaggtgcagt ggaaggtgga caatgccctg 480
cagagcggca acagccagga gagcgtgacc gagcaggaca gcaaggactc cacctacagc 540
ctgagcagca ccctgaccct gagcaaggcc gactacgaga agcacaaggt gtacgcctgt 600
gaggtgaccc accagggcct gtccagcccc gtgaccaaga gcttcaaccg gggcgagtgc 660
<210> 19
<211> 1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identified using molecular
biology techniques.
<400> 19
Met Gly Trp Ser Cys Ile Ile Leu Phe Leu Val Ala Thr Ala Thr Gly
1 5 10 15
Val His Ser
<210> 20
<211> 1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identified using molecular
biology techniques.
<400> 20
Met Gly Trp Ser Cys Ile Ile Leu Phe Leu Val Ala Thr Ala Thr Gly
1 5 10 15
Val His Ser
<210> 21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mino acid sequence identified using molecular
biology techniques.
<400> 21
Trp Gly Arg Gly Thr Leu Val Thr Val Ser Ser
1 5 10
Claims (30)
- 서열식별번호: 5에 제시된 CDRH1 아미노산 서열,
서열식별번호: 6에 제시된 CDRH2 아미노산 서열, 및
서열식별번호: 7에 제시된 CDRH3 아미노산 서열
을 갖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식별번호: 8에 제시된 CDRL1 아미노산 서열,
서열식별번호: 9에 제시된 CDRL2 아미노산 서열, 및
서열식별번호: 10에 제시된 CDRL3 아미노산 서열
을 갖는 경쇄 가변 영역
을 포함하는, 인간 IL-5에 결합하는 항원 결합 단백질. - 제1항에 있어서, 중쇄 가변 영역이 서열식별번호: 21에 제시된 중쇄 FR4 아미노산 서열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항원 결합 단백질.
- 제2항에 있어서,
위치 252에서의 티로신 잔기,
위치 254에서의 트레오닌 잔기 및
위치 256에서의 글루탐산 잔기
를 갖는 중쇄 Fc 도메인을 포함하고,
여기서 중쇄 Fc 도메인의 아미노 말단은 중쇄 가변 영역의 카르복시 말단에 연결되는 것인 항원 결합 단백질. - 서열식별번호: 3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가변 영역 서열; 및
서열식별번호: 4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가변 영역 서열
을 포함하는, 인간 IL-5에 결합하는 항원 결합 단백질. - 제4항에 있어서,
위치 252에서의 티로신 잔기,
위치 254에서의 트레오닌 잔기 및
위치 256에서의 글루탐산 잔기
를 갖는 중쇄 Fc 도메인을 포함하고,
여기서 중쇄 Fc 도메인의 아미노 말단은 중쇄 가변 영역의 카르복시 말단에 연결되는 것인 항원 결합 단백질. - 중쇄 및 경쇄를 포함하는, 인간 IL-5에 결합하는 항체이며, 여기서
a) 중쇄는
서열식별번호: 5에 제시된 CDRH1 아미노산 서열,
서열식별번호: 6에 제시된 CDRH2 아미노산 서열, 및
서열식별번호: 7에 제시된 CDRH3 아미노산 서열
을 갖는 중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고;
b) 경쇄는
서열식별번호: 8에 제시된 CDRL1 아미노산 서열,
서열식별번호: 9에 제시된 CDRL2 아미노산 서열, 및
서열식별번호: 10에 제시된 CDRL3 아미노산 서열
을 갖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것인
항체. - 제6항에 있어서, 중쇄 가변 영역이 서열식별번호: 21에 제시된 중쇄 FR4 아미노산 서열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항체.
- 제7항에 있어서, 중쇄가
위치 252에서의 티로신 잔기,
위치 254에서의 트레오닌 잔기 및
위치 256에서의 글루탐산 잔기
를 갖는 중쇄 Fc 도메인을 포함하는 것인 항체. - 중쇄 및 경쇄를 포함하는, 인간 IL-5에 결합하는 항체이며, 여기서
a) 중쇄는 서열식별번호: 3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가변 영역 서열을 포함하고;
b) 경쇄는 서열식별번호: 4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가변 영역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항체. - 제9항에 있어서, 중쇄가
위치 252에서의 티로신 잔기,
위치 254에서의 트레오닌 잔기 및
위치 256에서의 글루탐산 잔기
를 갖는 중쇄 Fc 도메인을 포함하는 것인 항체. -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및
서열식별번호: 2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를 포함하는, 인간 IL-5에 결합하는 항체. - (i) 제1항의 중쇄 가변 영역 및
제1항의 항원 결합 단백질의 경쇄 가변 영역
을 코딩하는 핵산을 포함하는 조성물,
(ii) 제2항의 중쇄 가변 영역 및
제2항의 경쇄 가변 영역
을 코딩하는 핵산을 포함하는 조성물,
(iii) 제3항의 중쇄 가변 영역의 카르복시 말단에 연결된 중쇄 Fc 도메인을 코딩하는 핵산 및
제3항의 경쇄 가변 영역을 코딩하는 핵산
을 포함하는 조성물,
(iv) 제6항의 중쇄 가변 영역 및
제6항의 경쇄 가변 영역
을 코딩하는 핵산을 포함하는 조성물,
(v) 제7항의 중쇄 가변 영역 및
제7항의 경쇄 가변 영역
을 코딩하는 핵산을 포함하는 조성물,
(vi) 제8항의 중쇄 가변 영역의 카르복시 말단에 연결된 중쇄 Fc 도메인 및
제8항의 경쇄 가변 영역
을 코딩하는 핵산을 포함하는 조성물
로부터 선택된 조성물. - (i) 서열식별번호: 3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핵산 및
서열식별번호: 4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핵산, 또는
(ii)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핵산 및
서열식별번호: 2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핵산
을 포함하는 조성물. - (i) 서열식별번호: 17 및 서열식별번호: 18, (ii) 서열식별번호: 15 및 서열식별번호: 16, 또는 (iii) 서열식별번호: 13 및 서열식별번호: 14에 제시된 핵산 서열을 포함하는 조성물.
-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세포인 조성물.
-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벡터인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항원 결합 단백질 또는 항체를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와 조합하여 포함하는, 천식, 경도 천식, 중등도 천식, 중증 천식, 경도 호산구성 천식, 중등도 호산구성 천식, 중증 호산구성 천식, 비제어된 호산구성 천식, 호산구성 천식, 준-호산구성 천식, 만성 폐쇄성 폐 질환, 다발혈관염을 동반한 호산구성 육아종증, 과다호산구성 증후군, 비강 폴립증, 수포성 유천포창, 호산구성 식도염, 아토피성 피부염, 중등도 아토피성 피부염 또는 중증 아토피성 피부염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제약 조성물.
- 제17항에 있어서, 피하 투여를 위한 제약 조성물.
- 제17항에 있어서, 정맥내 투여를 위한 제약 조성물.
- 제17항에 있어서, 3개월마다 1회 또는 6개월마다 1회 투여되는 제약 조성물.
- 제17항에 있어서, 대상체가 중증 천식 및 과거 12개월간 혈액 μL당 150개 이상의 혈액 호산구를 갖는 것인 중증 호산구성 천식을 치료하기 위한 제약 조성물.
- a) (i) 서열식별번호: 3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핵산 및 서열식별번호: 4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핵산, 또는 (ii) 서열식별번호: 1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핵산 및 서열식별번호: 2에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핵산, 또는 (iii) 서열식별번호: 17 및 서열식별번호: 18에 제시된 핵산 서열, 또는 (iv) 서열식별번호: 15 및 서열식별번호: 16에 제시된 핵산 서열, 또는 (v) 서열식별번호: 13 및 서열식별번호: 14에 제시된 핵산 서열을 포함하는 세포를 배양하는 단계, 및 b) 생산된 결합 단백질 또는 항체를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결합 단백질 또는 항체를 생산하는 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762511441P | 2017-05-26 | 2017-05-26 | |
US62/511,441 | 2017-05-26 | ||
PCT/IB2018/053683 WO2018215964A1 (en) | 2017-05-26 | 2018-05-24 | Bio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related method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10401A KR20200010401A (ko) | 2020-01-30 |
KR102473898B1 true KR102473898B1 (ko) | 2022-12-07 |
Family
ID=62683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7037587A KR102473898B1 (ko) | 2017-05-26 | 2018-05-24 | 생물제약 조성물 및 관련 방법 |
Country Status (24)
Country | Link |
---|---|
US (3) | US10787509B2 (ko) |
EP (1) | EP3630824A1 (ko) |
JP (2) | JP7224304B2 (ko) |
KR (1) | KR102473898B1 (ko) |
CN (5) | CN117100853A (ko) |
AR (1) | AR111764A1 (ko) |
AU (2) | AU2018273174B2 (ko) |
BR (1) | BR112019024884A2 (ko) |
CA (1) | CA3064522A1 (ko) |
CL (1) | CL2019003418A1 (ko) |
CO (1) | CO2019013245A2 (ko) |
CR (1) | CR20190541A (ko) |
DO (1) | DOP2019000297A (ko) |
EA (1) | EA201992802A1 (ko) |
IL (1) | IL270719B2 (ko) |
MX (1) | MX2019014105A (ko) |
MY (1) | MY200912A (ko) |
NZ (1) | NZ760380A (ko) |
PE (1) | PE20191844A1 (ko) |
PH (1) | PH12019502619A1 (ko) |
SG (1) | SG10201913497XA (ko) |
TW (1) | TWI799417B (ko) |
UY (1) | UY37747A (ko) |
WO (1) | WO2018215964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SG10201913497XA (en) | 2017-05-26 | 2020-02-27 | Glaxosmithkline Ip Dev Ltd | Bio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related methods |
US11613571B2 (en) | 2018-05-23 | 2023-03-28 | Glaxosmithkline Intellectual Property Development Limited | Bio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antibody variants |
WO2020119728A1 (zh) * | 2018-12-12 | 2020-06-18 | 尚华科创投资管理(江苏)有限公司 | 抗人白细胞介素5(il-5)单克隆抗体及其应用 |
WO2022136209A1 (en) | 2020-12-22 | 2022-06-30 | Glaxosmithkline Intellectual Property Development Limited | Interleukin 5 binding protein dosage regimen |
EP4440617A1 (en) | 2021-12-03 | 2024-10-09 | GlaxoSmithKline Intellectual Property Development Limited | Interleukin 5 binding protein dosage regimen for use in treating polyangiitis, hypereosinophilic syndrome, hypereosinophilic syndrome chronic rhinosinusitis with nasal polyps (crswnp), or chronic rhinosinusitis without nasal polyps (crssnp)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033121A1 (en) | 2015-08-24 | 2017-03-02 | Glaxosmithkline Intellectual Property (No. 2) Limited | Biopharmaceutical compositions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693323A (en) | 1994-12-23 | 1997-12-02 | Smithkline Beecham Corporation | Recombinant IL-5 antagonists useful in treatment of IL-5 mediated disorders |
AU708951B2 (en) * | 1994-12-23 | 1999-08-19 | Smithkline Beecham Corporation | Recombinant IL-5 antagonists useful in treatment of IL-5 mediated disorders |
AU2008201419C1 (en) * | 2000-12-12 | 2018-01-18 |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 Molecules with extended half-lives,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
EP2152290B1 (en) | 2007-04-30 | 2014-06-04 | GlaxoSmithKline LLC | Methods for administering anti-il-5 antibodies |
US9834600B2 (en) | 2008-03-28 | 2017-12-05 | Glaxosmithkline Llc | Methods of treatment of eosinophilic bronchitis with an anti-IL-5 antibody |
US9334331B2 (en) * | 2010-11-17 | 2016-05-10 | Chugai Seiyaku Kabushiki Kaisha | Bispecific antibodies |
CN103429261A (zh) | 2010-12-22 | 2013-12-04 | 塞法隆澳大利亚股份有限公司 | 半寿期改进的修饰抗体 |
US8790651B2 (en) * | 2011-07-21 | 2014-07-29 | Zoetis Llc | Interleukin-31 monoclonal antibody |
WO2018119016A1 (en) | 2016-12-23 | 2018-06-28 | Cephalon, Inc. | Anti-il-5 antibodies |
SG10201913497XA (en) | 2017-05-26 | 2020-02-27 | Glaxosmithkline Ip Dev Ltd | Bio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related methods |
US11613571B2 (en) * | 2018-05-23 | 2023-03-28 | Glaxosmithkline Intellectual Property Development Limited | Bio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antibody variants |
-
2018
- 2018-05-24 SG SG10201913497XA patent/SG10201913497XA/en unknown
- 2018-05-24 CN CN202311014554.2A patent/CN117100853A/zh active Pending
- 2018-05-24 MX MX2019014105A patent/MX2019014105A/es unknown
- 2018-05-24 CR CR20190541A patent/CR20190541A/es unknown
- 2018-05-24 CN CN201880046323.0A patent/CN110891968B/zh active Active
- 2018-05-24 EP EP18732488.4A patent/EP3630824A1/en active Pending
- 2018-05-24 EA EA201992802A patent/EA201992802A1/ru unknown
- 2018-05-24 US US15/987,942 patent/US10787509B2/en active Active
- 2018-05-24 WO PCT/IB2018/053683 patent/WO2018215964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8-05-24 CA CA3064522A patent/CA3064522A1/en active Pending
- 2018-05-24 KR KR1020197037587A patent/KR10247389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05-24 PE PE2019002461A patent/PE20191844A1/es unknown
- 2018-05-24 TW TW107117675A patent/TWI799417B/zh active
- 2018-05-24 CN CN202311013609.8A patent/CN117018189A/zh active Pending
- 2018-05-24 JP JP2019565279A patent/JP7224304B2/ja active Active
- 2018-05-24 CN CN202311013988.0A patent/CN117018190A/zh active Pending
- 2018-05-24 IL IL270719A patent/IL270719B2/en unknown
- 2018-05-24 AU AU2018273174A patent/AU2018273174B2/en active Active
- 2018-05-24 NZ NZ760380A patent/NZ760380A/en unknown
- 2018-05-24 MY MYPI2019006883A patent/MY200912A/en unknown
- 2018-05-24 CN CN202311013236.4A patent/CN117018188A/zh active Pending
- 2018-05-24 UY UY0001037747A patent/UY37747A/es unknown
- 2018-05-24 AR ARP180101401A patent/AR111764A1/es unknown
- 2018-05-24 BR BR112019024884-6A patent/BR112019024884A2/pt unknown
-
2019
- 2019-11-21 PH PH12019502619A patent/PH12019502619A1/en unknown
- 2019-11-22 DO DO2019000297A patent/DOP2019000297A/es unknown
- 2019-11-22 CL CL2019003418A patent/CL2019003418A1/es unknown
- 2019-11-26 CO CONC2019/0013245A patent/CO2019013245A2/es unknown
-
2020
- 2020-08-07 US US16/988,257 patent/US11976113B2/en active Active
-
2021
- 2021-09-17 AU AU2021232807A patent/AU2021232807A1/en active Pending
-
2023
- 2023-01-31 JP JP2023013628A patent/JP7521022B2/ja active Active
-
2024
- 2024-03-22 US US18/613,481 patent/US20240417456A1/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033121A1 (en) | 2015-08-24 | 2017-03-02 | Glaxosmithkline Intellectual Property (No. 2) Limited | Biopharmaceutical compositions |
Also Published A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590224B2 (en) | Anti-TIGIT antigen-binding proteins and methods of uses thereof | |
KR102473898B1 (ko) | 생물제약 조성물 및 관련 방법 | |
JP7463070B2 (ja) | バイオ医薬組成物 | |
US20210269542A1 (en) | Anti-gitr antigen-binding protei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 |
WO2019195126A1 (en) | Anti-trem-1 antibodies and uses thereof | |
JP2023536631A (ja) | 多重特異性結合性作用剤およびその使用 | |
EA046656B1 (ru) | Антигенсвязывающие белки, которые связываются с il-5 и используются для лечения заболеваний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