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3226B1 - 수용성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 Google Patents

수용성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3226B1
KR102473226B1 KR1020220132675A KR20220132675A KR102473226B1 KR 102473226 B1 KR102473226 B1 KR 102473226B1 KR 1020220132675 A KR1020220132675 A KR 1020220132675A KR 20220132675 A KR20220132675 A KR 20220132675A KR 102473226 B1 KR102473226 B1 KR 102473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water
mixture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2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기석
Original Assignee
(주)재성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재성글로벌 filed Critical (주)재성글로벌
Priority to KR1020220132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32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3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3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6Ethers; Acetals; Ketals; Ortho-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00Compositions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1/00 or C08L3/00
    • C08L5/04Algi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3/00Compositions of natural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08L93/04Ro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5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a primer layer between the carrier and the adhesiv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수용성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용성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은 수용성 점착제로서 인체에 유해한 포름알데히드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전혀 검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해롭지 않은 천연물을 적용하여 유해성이 낮고 물에 해리되어 잔류물을 남기지 않아 더욱 친환경적이다. 또한, 접착력이 우수하고, 접착 유지 시간이 높다.

Description

수용성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Adhesive tape comprising composition for forming a water-soluble adhesive layer}
본 발명은 수용성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산업용 점착 테이프에 적용되는 점착층으로 수용성 점착층을 적용하기 위한 수용성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부품의 생산에 사용되는 산업용(제지 공장에서 제지의 가공 작업시) 혹은 포장물의 포장용 접착용 테이프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분야에서 OPP 점착 테이프 혹은 종이의 표면에 PE 수지 필름을 접합시켜서 제조된 점착 테이프를 사용하는 것은 주지된 사실이다.
그러나, 기존의 OPP 점착 테이프는 물론 종이의 표면에 PE 수지 필름을 접합시켜 만든 점착 테이프 역시 그 수지필름의 표면에 유성 점착제를 도포하여 제조하고 있다.
이 때문에 종이 포장물을 포장하는 포장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종이 포장물을 재활용하고자 할 시, 상시 비닐 테이프를 사람들이 일일이 제거하지 않으면 안되는 번거로움과 불편이 있고, 설령 별도 분리 처리를 한다고 하더라도 그 처리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으며, 특히 폐기물로 별도 분리 후 소각 처리시에는 소각 과정에서 '다이옥신'이라고 하는 유독 가스가 배출되어 대기를 오염시키는 문제를 일으킴과 아울러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물에 녹는 수해리성 필름이나 접착제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분산액에 의한 접착제는 폴리우레탄 수지의 입자 직경이 작기는 하지만 실질적으로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지 않아 표면장력이 크며, 접착제 도포시의 전연성, 다공성 기재에 대한 침투성, 접착강도 등의 성능을 충분히 만족시키지 못하고, 접착제가 물에서 완전 해리되지 않고 잔여물이 남아 이를 처리하는 후공정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물 속에서 완전 해리되어 잔류물이 전혀 없는 친환경 접착 조성물에 대한 연구 개발이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더불어, 접착력과 유지시간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소재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등록특허 10-137038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해성이 낮고, 친환경적이며, 수해리성을 나타내면서도 접착력이 우수하고 접착 유지시간이 향상된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수용성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수용성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은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24.5 중량부, 아크릴계 화합물 2.5 중량부, 과불소 화합물 1.0 중량부, 충전제 18.3 중량부, 증점제 0.7 중량부, 점착부여제 0.4 중량부, 항균제 1.2 중량부, 커플링제 0.4 중량부 및 증류수 51.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28-32 중량%,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23-27 중량%,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23-27 중량% 및 아크릴산 단량체 단위 18-22 중량%인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및 중량평균분자량이 65,000-75,000인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의 83-87:13-17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은 에틸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및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이 4:4:2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과불소 화합물은 과불소부틸메틸에테르(methyl perfluorobutyl ether) 또는 과불소부틸에틸에테르(ethyl perfluorobutyl ether)이고,
상기 충전제는 탄산칼슘, 탄산칼륨, 토르말린 및 황토분말이 3:3:2:2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증점제는 알기네이트(alginate)이고,
상기 점착부여제는 로진 에스테르 수지이고,
상기 항균제는 대나무 추출물, 목화 추출물, 마카 추출물 및 옥시비스페녹사신(10,10'-oxybisphenoxarsine, OBPA)이 3:3:3: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플링제는 비닐트리에톡시 실란 및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 3-옥소부타노에이트(3-trimethoxysilylpropyl 3-oxobutanoate)이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재필름(10);
상기 기재필름(10) 상에 형성된 프라이머층(20);
상기 프라이머층(20) 상에 형성된 수용성 점착층(30); 및
상기 수용성 점착층(30) 상에 형성된 커버필름(40);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성 점착층(30)은 상기의 수용성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100)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프라이머층(20)은 수용성 프라이머층 형성용 조성물로 형성된 것이고,
상기 수용성 프라이머층 형성용 조성물은 수용성 우레탄계 수지 37.5 중량부, 충전제 24.5 중량부, 증점제 3 중량부, 점착부여제 2.5 중량부, 항균제 1.5 중량부, 커플링제 0.8 중량부, 촉매 0.1 중량부 및 증류수 3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성 우레탄계 수지는 폴리에테르폴리올,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 및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dibutyltin dilaurate)를 반응시켜 반응 생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반응 생성물을 아미노트리알콕시실란을 가하여 반응시켜 제조되는 실란 종결 폴리우레탄이고,
상기 충전제는 탄산칼슘, 탄산칼륨, 토르말린 및 황토분말이 3:3:2:2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증점제는 알기네이트(alginate)이고,
상기 점착부여제는 로진 에스테르 수지이고,
상기 항균제는 대나무 추출물, 목화 추출물, 마카 추출물 및 옥시비스페녹사신(10,10'-oxybisphenoxarsine, OBPA)이 3:3:3: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플링제는 비닐트리에톡시 실란 및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 3-옥소부타노에이트(3-trimethoxysilylpropyl 3-oxobutanoate)이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촉매는 유기주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용성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은 수용성 점착제로서 인체에 유해한 포름알데히드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전혀 검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해롭지 않은 천연물을 적용하여 유해성이 낮고 물에 해리되어 잔류물을 남기지 않아 더욱 친환경적이다. 또한, 접착력이 우수하고, 접착 유지 시간이 높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제공되는 점착 테이프를 모식도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차, 2차,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본 발명은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수용성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용성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수용성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은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아크릴계 화합물, 과불소 화합물, 충전제, 증점제, 점착부여제, 항균제, 커플링제 및 증류수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24.5 중량부, 아크릴계 화합물 2.5 중량부, 과불소 화합물 1.0 중량부, 충전제 18.3 중량부, 증점제 0.7 중량부, 점착부여제 0.4 중량부, 항균제 1.2 중량부, 커플링제 0.4 중량부 및 증류수 51.0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28-32 중량%,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23-27 중량%,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23-27 중량% 및 아크릴산 단량체 단위 18-22 중량%인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및 중량평균분자량이 65,000-75,000인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의 83-87:13-17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한다. 상기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로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성분,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성분,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성분 및 아크릴산 단량체 성분을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를 포함하여 점도 및 분자간 응집력이 우수한 점착층을 형성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수지를 제공한다.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은 에틸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및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이 4:4:2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한다.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로 에틸아크릴레이트 및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를 적용하여 물에 분산이 더욱 용이하며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와 혼합 및 분산되어 접착력을 더욱 높여주고 나아가 유지력을 높여준다. 더불어,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은 가교제로서 작용하며 이를 통해 접착력과 내구성이 높아진다.
상기 과불소 화합물은 과불소부틸메틸에테르(methyl perfluorobutyl ether) 또는 과불소부틸에틸에테르(ethyl perfluorobutyl ether)를 사용한다. 상기 과불소 화합물을 통해 이염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충전제는 탄산칼슘, 탄산칼륨, 토르말린 및 황토분말이 3:3:2:2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을 사용한다. 상기 탄산칼슘과 더불어 탄산칼륨을 동시에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점착층의 접착력 유지시간을 높여주고, 토르말린 및 황토분말을 적용하여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점착층에 항균, 탈취 성능 또한 부여할 수 있다. 상기 토르말린 및 황토분말은 800℃의 온도로 가열하여 구운 후, 분말화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항균, 탈취 성능을 더욱 높여 점착층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증점제는 알기네이트(alginate)를 사용한다. 알기네이트를 증점제로 적용하여 친환경적임과 동시에 증점제로서의 역할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점착부여제는 로진 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한다. 상기 점착부여제로 로진 에스테르 수지를 적용하여 점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항균제는 대나무 추출물, 목화 추출물, 마카 추출물 및 옥시비스페녹사신(10,10'-oxybisphenoxarsine, OBPA)이 3:3:3: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을 사용한다.
상기 대나무 추출물, 목화 추출물 및 마카 추출물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대나무, 목화 및 마카를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열풍건조하고 분쇄하여 혼합분말을 준비하는 단계; 준비된 혼합분말 100 중량부, 물 600 중량부 및 아세톤 200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혼합물을 72℃의 온도에서 9시간 동안 1차 추출하는 단계; 1차 추출 후 혼합물을 88℃의 온도에서 6시간 동안 2차 추출한 후 여과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제조된 추출액을 100℃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증류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대나무 추출물, 목화 추출물 및 마카 추출물을 사용한다.
상기 옥시비스페녹사신은 유기 항균제로서 적용되어 항균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커플링제는 비닐트리에톡시 실란 및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 3-옥소부타노에이트(3-trimethoxysilylpropyl 3-oxobutanoate)이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을 사용한다. 상기 커플링제로 비닐트리에톡시 실란 및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 3-옥소부타노에이트(3-trimethoxysilylpropyl 3-oxobutanoate)을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을 적용하여 점착층의 기재 또는 프라이머층 표면과의 밀착성 및 접착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재필름(10);
상기 기재필름(10) 상에 형성된 프라이머층(20);
상기 프라이머층(20) 상에 형성된 수용성 점착층(30); 및
상기 수용성 점착층(30) 상에 형성된 커버필름(40);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성 점착층(30)은 상기의 수용성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100)를 제공한다.
이때, 도 1에 본 발명에 따른 점착 테이프(100)를 모식도로 나타내었으며,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점착 테이프(1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 테이프(100)는 기재필름(10)을 포함한다. 상기 기재필름(10)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 테이프(100)는 기재필름(10) 상에 형성된 프라이머층(20)을 포함한다. 상기 프라이머층(20)을 적용하여 기재필름(10)과 수용성 점착층(30)의 부착력을 향상시키고 접착 유지력을 더욱 높여줄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20)은 수용성 프라이머층 형성용 조성물로 형성된 것이고, 상기 수용성 프라이머층 형성용 조성물은 수용성 우레탄계 수지, 충전제, 증점제, 점착부여제, 항균제, 커플링제 및 촉매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수용성 우레탄계 수지 37.5 중량부, 충전제 24.5 중량부, 증점제 3 중량부, 점착부여제 2.5 중량부, 항균제 1.5 중량부, 커플링제 0.8 중량부, 촉매 0.1 중량부 및 증류수 30.1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성 우레탄계 수지는 폴리에테르폴리올,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 및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dibutyltin dilaurate)를 반응시켜 반응 생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반응 생성물을 아미노트리알콕시실란을 가하여 반응시켜 제조되는 실란 종결 폴리우레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란 종결 폴리우레탄을 적용하여 탄성을 가져 점착층과의 밀착력이 더욱 우수하며, 인체 유해물질의 방출이 없다.
상기 충전제는 탄산칼슘, 탄산칼륨, 토르말린 및 황토분말이 3:3:2:2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을 사용한다.
상기 증점제는 알기네이트(alginate)이다.
상기 점착부여제는 로진 에스테르 수지이다.
상기 항균제는 대나무 추출물, 목화 추출물, 마카 추출물 및 옥시비스페녹사신(10,10'-oxybisphenoxarsine, OBPA)이 3:3:3: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을 사용한다.
상기 커플링제는 비닐트리에톡시 실란 및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 3-옥소부타노에이트(3-trimethoxysilylpropyl 3-oxobutanoate)이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을 사용한다.
상기 충전제, 증점제, 점착부여제, 항균제 및 커플링제는 수용성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과 동일한 물질을 적용하되, 함량을 적절히 조절하여 프라이머층(20)에 적절한 물성을 부여하였다.
상기 촉매는 유기주석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주석은 대기 중의 수분과 축합 반응을 촉진시켜 경화시간을 단축시킨다. 상기 유기주석은 트리부틸틴(TBT)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테이프(100)는 수용성 점착층(30)을 포함한다.
상기 수용성 점착층(30)은 상기 수용성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성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은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하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테이프(100)는 커버필름(40)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필름(40)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의 제조
4구 플라스크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를 투입하고 교반하면서 아크릴산과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를 순차적으로 투입하고, 촉매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2 g을 적하 투입하여 88℃까지 승온시켰다. 온도가 일정하게 되었을 때 90분 동안 유지시켰다. 반응이 종결된 후 투명한 액체 상태의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를 수득하였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와 중량평균분자량이 70,000인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를 85:15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충전제의 제조
토르말린 및 황토석을 800℃의 온도로 가열하여 구운 후, 분말화하여 토르말린 분말 및 황토분말을 준비하였다. 탄산칼슘, 탄산바륨, 토르말린 분말 및 황토분말을 3:3:2:2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충전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3> 항균제의 제조
대나무, 목화 및 마카를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열풍건조하고 분쇄하여 혼합분말을 준비하였다. 준비된 혼합분말 100 중량부, 물 600 중량부 및 아세톤 200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혼합물을 72℃의 온도에서 9시간 동안 1차 추출하였다. 이후 혼합물을 88℃의 온도에서 6시간 동안 2차 추출한 후 여과하여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추출액을 100℃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증류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추출물과 옥시비스페녹사신을 9: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항균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수용성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24.5 중량부, 에틸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및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이 4:3:2: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아크릴계 화합물 2.5 중량부, 과불소부틸에틸에테르 1.0 중량부,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충전제 18.3 중량부, 알기네이트 0.7 중량부, 로진 에스테르 수지 0.4 중량부, 상기 제조예 3에서 제조된 항균제 1.2 중량부, 비닐트리에톡시 실란 및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 3-옥소부타노에이트(3-trimethoxysilylpropyl 3-oxobutanoate)이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커플링제 0.4 중량부 및 증류수 5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수용성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수용성 프라이머층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4구 플라스크에 분자량 4,000의 폴리에테르폴리올 500 g에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37.2 g 및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 2 ppm을 투입하고 질소분위기 하 75℃의 온도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여 반응시켜 반응 생성물을 제조하였다. 반응 생성물에 아미노트리알콕시실란을 첨가하여 65℃의 온도에서 반응시켜 NCO기를 실란으로 캡핑되도록 하여 실란 종결 폴리우레탄인 수용성 우레탄계 수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수용성 우레탄계 수지 37.5 중량부,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충전제 24.5 중량부, 알기네이트 3 중량부, 로진 에스테르 수지 2.5 중량부, 상기 제조예 3에서 제조된 항균제 1.5 중량부, 비닐트리에톡시 실란 및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 3-옥소부타노에이트(3-trimethoxysilylpropyl 3-oxobutanoate)이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커플링제 0.8 중량부, 유기주석 0.1 중량부 및 증류수 30.1 중량부를 혼합하여 수용성 프라이머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점착 테이프의 제조
두께가 50 ㎛인 PET 기재필름에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수용성 프라이머층 형성용 조성물을 10 ㎛의 두께로 코팅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고, 상기 프라이머층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수용성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20 ㎛의 두께로 코팅하여 수용성 점착층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성 점착층에 PET 커버필름을 적층하여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점착 테이프의 제조
두께가 50 ㎛인 PET 기재필름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수용성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20 ㎛의 두께로 코팅하여 수용성 점착층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성 점착층에 PET 커버필름을 적층하여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점착 테이프의 물성 분석
1. 점착력 측정
JIS Z 0237(180˚ 당겨 벗김법)에 준해서 측정하였다. 단, 측정은 피착제에 붙혀서 20-40분간 경과 후 측정하였으며, 시료의 크기는 25 mm×250 mm, 압착 조건은 2 kg 롤러 왕복 3회, 속도 약 300 mm/min으로 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24시간이 지난 후,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력을 측정하여 점착 유지력을 확인하였다. 점착 유지력은 {[(초기 점착력 - 24시간이 지난 후 점착력)/초기 점착력}X100(%)]으로 계산하였다.
2. 수해리성 측정
초음파 세척기의 용해조에 증류수를 80% 정도 채우고 50℃의 온도로 설정하였다. 이후, 용해용기에 증류수를 담고 50℃의 온도로 예열하였다. 시편의 커버필름을 제거한 후 점착층이 접히지 않고 증류수에 완전히 잠기도록 시편을 용해용기에 넣고, 용해용기의 뚜껑을 닫은 다음 용해조에 넣고, 초음파를 가하여 기재필름과 수용성 점착층이 완전히 분리되는 시점을 기록하였다.
3. 분석 결과
상기 시험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실시예 3
점착력
[상온(20℃), gf/25mm]
2890 3320
점착력
[고온(80℃), gf/25mm]
103 128
점착 유지력(%) 98 100
수해리성(분) 18 20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용성 점착층을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는 점착력이 우수하고, 그 유지력 또한 우수하며, 나아가서는 수해리성을 나타내어 친환경적이다.

Claims (2)

  1. 기재필름(10);
    상기 기재필름(10) 상에 형성된 프라이머층(20);
    상기 프라이머층(20) 상에 형성된 수용성 점착층(30); 및
    상기 수용성 점착층(30) 상에 형성된 커버필름(40);을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100)의 제조방법이며,
    기재필름(10) 상에 수용성 프라이머층 형성용 조성물을 코팅하여 프라이머층(2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프라이머층(20) 상에 수용성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코팅하여 수용성 점착층(30)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수용성 점착층(30) 상에 커버필름(40)을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성 프라이머층 형성용 조성물은 수용성 우레탄계 수지 37.5 중량부, 충전제 24.5 중량부, 증점제 3 중량부, 점착부여제 2.5 중량부, 항균제 1.5 중량부, 커플링제 0.8 중량부, 촉매 0.1 중량부 및 증류수 30.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성 우레탄계 수지는 폴리에테르폴리올,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 및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dibutyltin dilaurate)를 반응시켜 반응 생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반응 생성물을 아미노트리알콕시실란을 가하여 반응시켜 제조되는 실란 종결 폴리우레탄이고,
    상기 충전제는 탄산칼슘, 탄산칼륨, 토르말린 및 황토분말이 3:3:2:2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증점제는 알기네이트(alginate)이고,
    상기 점착부여제는 로진 에스테르 수지이고,
    상기 항균제는 대나무 추출물, 목화 추출물, 마카 추출물 및 옥시비스페녹사신(10,10'-oxybisphenoxarsine, OBPA)이 3:3:3: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플링제는 비닐트리에톡시 실란 및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 3-옥소부타노에이트(3-trimethoxysilylpropyl 3-oxobutanoate)이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촉매는 유기주석이고,
    상기 수용성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은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 24.5 중량부, 아크릴계 화합물 2.5 중량부, 과불소 화합물 1.0 중량부, 충전제 18.3 중량부, 증점제 0.7 중량부, 점착부여제 0.4 중량부, 항균제 1.2 중량부, 커플링제 0.4 중량부 및 증류수 51.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아크릴계 고분자 수지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28-32 중량%,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23-27 중량%,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단위 23-27 중량% 및 아크릴산 단량체 단위 18-22 중량%인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및 중량평균분자량이 65,000-75,000인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의 83-87:13-17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은 에틸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및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이 4:4:2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과불소 화합물은 과불소부틸메틸에테르(methyl perfluorobutyl ether) 또는 과불소부틸에틸에테르(ethyl perfluorobutyl ether)이고,
    상기 충전제는 탄산칼슘, 탄산칼륨, 토르말린 및 황토분말이 3:3:2:2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증점제는 알기네이트(alginate)이고,
    상기 점착부여제는 로진 에스테르 수지이고,
    상기 항균제는 대나무 추출물, 목화 추출물, 마카 추출물 및 옥시비스페녹사신(10,10'-oxybisphenoxarsine, OBPA)이 3:3:3: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플링제는 비닐트리에톡시 실란 및 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 3-옥소부타노에이트(3-trimethoxysilylpropyl 3-oxobutanoate)이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충전제는, 토르말린 및 황토석을 800℃의 온도로 가열하여 구운 후, 분말화하여 토르말린 분말 및 황토분말을 준비하고, 준비된 탄산칼슘, 탄산바륨, 토르말린 분말 및 황토분말을 3:3:2:2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이고,
    상기 항균제는, 대나무, 목화 및 마카를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열풍건조하고 분쇄하여 혼합분말을 준비하는 단계; 준비된 혼합분말 100 중량부, 물 600 중량부 및 아세톤 200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72℃의 온도에서 9시간 동안 1차 추출하는 단계; 1차 추출 후, 혼합물을 88℃의 온도에서 6시간 동안 2차 추출하고, 여과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추출액을 100℃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증류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물 및 옥시비스페녹사신을 9: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테이프(100)의 제조방법.
  2. 삭제
KR1020220132675A 2022-08-05 2022-10-14 수용성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KR102473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2675A KR102473226B1 (ko) 2022-08-05 2022-10-14 수용성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8195A KR102459161B1 (ko) 2022-08-05 2022-08-05 수용성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KR1020220132675A KR102473226B1 (ko) 2022-08-05 2022-10-14 수용성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8195A Division KR102459161B1 (ko) 2022-08-05 2022-08-05 수용성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3226B1 true KR102473226B1 (ko) 2022-12-02

Family

ID=83810467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8195A KR102459161B1 (ko) 2022-08-05 2022-08-05 수용성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KR1020220132675A KR102473226B1 (ko) 2022-08-05 2022-10-14 수용성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KR1020220132654A KR102469271B1 (ko) 2022-08-05 2022-10-14 수용성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KR1020220132644A KR102469265B1 (ko) 2022-08-05 2022-10-14 수용성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KR1020220132661A KR102473215B1 (ko) 2022-08-05 2022-10-14 수용성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8195A KR102459161B1 (ko) 2022-08-05 2022-08-05 수용성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2654A KR102469271B1 (ko) 2022-08-05 2022-10-14 수용성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KR1020220132644A KR102469265B1 (ko) 2022-08-05 2022-10-14 수용성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KR1020220132661A KR102473215B1 (ko) 2022-08-05 2022-10-14 수용성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5) KR102459161B1 (ko)
WO (1) WO20240296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9161B1 (ko) * 2022-08-05 2022-10-27 (주)재성글로벌 수용성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389B1 (ko) 2013-03-29 2014-03-06 주식회사 연우 수성 접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47297B1 (ko) * 2019-10-30 2021-05-03 (주)화인테크놀리지 수해리성 점착 테이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7759A (ja) * 2008-03-21 2009-10-08 Nbl Kk 接着剤組成物
KR101096136B1 (ko) * 2011-05-12 2011-12-20 김윤열 생화 장식용 수용성 점접착제 및 생화 장식용 수용성 점접착제를 이용한 생화 장식방법
JP2013160863A (ja) * 2012-02-02 2013-08-19 Jiroo Corporate Plan:Kk 偏光子保護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素子
KR102459161B1 (ko) * 2022-08-05 2022-10-27 (주)재성글로벌 수용성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389B1 (ko) 2013-03-29 2014-03-06 주식회사 연우 수성 접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47297B1 (ko) * 2019-10-30 2021-05-03 (주)화인테크놀리지 수해리성 점착 테이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3215B1 (ko) 2022-12-02
WO2024029668A1 (ko) 2024-02-08
KR102459161B1 (ko) 2022-10-27
KR102469271B1 (ko) 2022-11-23
KR102469265B1 (ko) 2022-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3226B1 (ko) 수용성 점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CN105765024A (zh) 光硬化型粘着剂组合物、粘着片及层叠体
CN1243068C (zh) 高粘合性的压敏粘合剂组合物和片材
CN104774579B (zh) 一种耐高温压敏胶带及其使用的耐热压敏胶粘剂
CN101792632A (zh) 底层涂料组合物以及使用该底层涂料组合物的光半导体装置
CN104099046B (zh) 用于改进胶粘带在亲水表面上、尤其是在玻璃表面上的粘合性的硅烷底胶
JP5833498B2 (ja) 耐ブリスター用粘着シート
JPS6031556A (ja) 硬化性組成物
CN104685020A (zh) 硅烷可交联的聚合物组合物的催化
CN110272690A (zh) 半导体保护用粘合带
DE102009046190A1 (de) Kaschierklebstoff mit Silanvernetzung
CN109423231A (zh) 粘着片及显示体
CN107532061B (zh) 压敏黏接剂
CN1168544C (zh) 使柔软层表面增粘的方法
CN1226916A (zh) 胶粘剂表面官能团改性方法
CN110452657B (zh) 一种无溶剂聚氨酯复合粘合剂
CN114250053B (zh) 一种多酚-聚乙二醇基低共熔胶粘剂的制备和使用方法
CN109096847B (zh) 一种水性高延长性防爆涂料的组成物
CN109749671B (zh) 含纳米硅氧烷缩合物的丙烯酸酯压敏胶粘合剂、粘合片及其制备方法
EP0776956A2 (en) Adhesives
KR20160090803A (ko)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
JP5351708B2 (ja) 害虫忌避用湿気硬化型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害虫忌避用物品並びに害虫忌避方法
JP2884093B2 (ja) 高分子水性分散体組成物
CN1629241A (zh) 压敏粘合剂组合物和片材
CN110283543B (zh) 一种美纹纸胶带用硅酮压敏胶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