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2932B1 -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 - Google Patents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2932B1
KR102472932B1 KR1020200144287A KR20200144287A KR102472932B1 KR 102472932 B1 KR102472932 B1 KR 102472932B1 KR 1020200144287 A KR1020200144287 A KR 1020200144287A KR 20200144287 A KR20200144287 A KR 20200144287A KR 102472932 B1 KR102472932 B1 KR 102472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cart
agricultural materials
transporting agricultural
transporting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4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9097A (ko
Inventor
강희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봇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봇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봇팜
Priority to KR1020200144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2932B1/ko
Publication of KR20220059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9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2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2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9/00Steering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on a desired track
    • A01B69/007Steering or guiding of agricultural vehicles, e.g. steering of the tractor to keep the plough in the furr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01Ste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a rectangular shape, involving sidewalls or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5/043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hand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6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8Children's seats ; Seats or supports for other persons
    • B62B5/087Platforms to stand up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출원 발명은 인력이 부족한 농촌에서 여성 및 고령자의 농업 참여율이 증가하고 있어, 농사를 보다 쉽고 편리하게 짓기 위한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조사에 의하면, 경지면적이 300평 이하인 소규모 농가는 전체 농업의 90%을 점유하고 있고, 이들 농가는 대형 트랙터 및 작업기를 사용하기에는 매우 영세하다. 이들 농가는 영농기에는 200Kg 미만의 농자재 및 수확물을 하루에도 수차례에서 수십 차례 운반하고 있어, 과도한 육체노동에 시달리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차체; 및 상기 차체를 하부에서 지지하며 상기 차체의 후방에서 상기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를 이동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차체의 전방에서, 상기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의 방향을 전환하는 조향부; 및 상기 구동부의 뒤쪽으로 작업자가 서서 상기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와 함께 이동할 수 있는 발판; 및 상기 발판에 작업자가 서서 상기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의 진행방향과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핸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소규모의 농업에 적합한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를 제공함으로써 농사 초보자나 근력이 부족한 농민들이 안전하고 편리한 농업용 전통카트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
본 발명은 농가에서 농자재 운반용으로 사용하는 전동카트에 관한 것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여성 및 고령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는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출원 전의 선행기술로 농업용 동력운반차의 차동제어장치 토크제어시스템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농업용 동력운반차의 차동제어장치 토크제어시스템 기술은 농업용 동력 운반차의 차축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장착된 일측휠과 타측휠의 높이를 근거로 상기 농업용 동력운반차의 주행가능여부를 판단하여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농업용 동력운반차의 차축과 결합된 전자식 차동 제한장치(eLSD)를 제어하여 모래, 진흙구덩이, 웅덩이, 구렁텅이, 수렁 등에 빠진 상기 농업용 동력 운반차의 한쪽 휠이 용이하게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는 복토수단을 갖는 4륜 구동 운반차에 관한 것으로서, 구성에 특징을 살펴보면, 엔진과 적재부가 구비되는 동체; 상기 동체의 엔진 동력을 정·역회전 전환하여 출력하도록 웜기어박스와 동력전환부가 구비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동력전환부 상에 연동되도록 설치되는 전·후륜구동축에 의해 4륜 구동되는 전·후륜 구동바퀴; 상기 전륜 구동바퀴는 조향부에 의해 진행방향이 전환되고, 상기 후륜 구동바퀴 후방에서 제2클러치부에 의해 엔진의 동력전달이 단속되는 복토수단을 포함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64292호 등록특허공보 제10-0766544호
본 출원 발명은 인력이 부족한 농촌에서 여성 및 고령자의 농업 참여율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경지면적이 300평 이하인 소규모 농가는 전체 농업의 90%을 점유하고 있다. 이들 농가는 대형 트랙터 및 작업기를 사용하기에는 영세하고, 영농기에는 200Kg 미만의 농자재 및 수확물 운반을 하고 있어, 과도한 육체 노동에 시달리고 있다. 농자재는 비료, 농약, 종자, 스마트팜 비닐하우스내 농자재, 축산 사료 등 이고, 마늘, 고추, 마늘, 채소 수확 농산물이다. 따라서, 소규모 농업에 적합한, 안전하고, 편리한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의 과제해결 수단을 제공한다.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에 있어서,
상기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의 몸체를 구성하는 차체; 및
상기 차체를 하부에서 지지하며 상기 차체의 후방에서 상기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를 이동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차체의 전방에서, 상기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의 방향을 전환하는 조향부; 및
상기 구동부의 뒤쪽으로 작업자가 서서 상기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와 함께 이동할 수 있는 발판; 및
상기 발판에 작업자가 서서 상기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의 진행방향과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핸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를 조향하는 조향 핸들에는 온/오프 , 저속, 중속, 고속, 전진 및 후진 스위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를 조향하는 조향 핸들에는 브레이크 레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를 조향하는 조향 핸들에는 비상정지 스위치와 밧데리소모량기록 스위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소규모의 농업에 적합한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를 제공함으로써 농사 초보자나 근력이 부족한 농민들이 안전하고 편리한 농업용 전통카트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의 구동장치와 프레임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의 적재부가 리프팅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의 적재부가 리프팅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의 구동부 및 조향부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의 조향 핸들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의 배터리 매니지먼트 회로도이다.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 출원 발명은 인력이 부족한 농촌에서 여성 및 고령자의 농업 참여율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경지면적이 300평 이하인 소규모 농가는 전체 농업의 90%을 점유하고 있다. 이들 농가는 대형 트랙터 및 작업기를 사용하기에는 영세하고, 영농기에는 200Kg 미만의 농자재 및 수확물 운반을 하고 있어, 과도한 육체 노동에 시달리고 있다. 농자재는 비료, 농약, 종자, 스마트팜 비닐하우스내 농자재, 축산 사료 등 이고, 마늘, 고추, 마늘, 채소 수확 농산물이다.
인력이 부족한 소규모 농가에서 농자재 운반은 여성과 고령 농민의 노동력에 거의 의존하고 있어, 이들 작업자들의 골근육계 손상과 만성 허리 통증 등의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귀농, 귀촌 초보 농민들의 경우 작업이 서툴기 때문에 저렴한 가격의 농자재 운송수단이 필요하다.
삭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1에 기재된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 전동카트는 구동부와 조향부를 구비하고, 상기 농자재를 적재할 적재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작업자의 작업편의를 위하여 전동카트에 작업자가 올라탈 수 있는 발판이 구비되어 있다.
도2은 적재부를 리프팅한 도면으로, 작업자가 상기 적재부에 담긴 농자재 및 수확물을 리프링하여 하역할 수 있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의 적재함을 리프팅한 전동카트의 사시도이다. 상기 리프팅을 위한 실린터는 전동실리더를 사용한다.
도4는 본 발명의 구동부 및 조향부를 도시하고 있다. 조향은 진행방향에 대하여 전방에 위치하고 있으며, 구동은 전동모터와 체인 또는 타이밍 밸트 등을 이용하여 감속기어와 연결된다. 본 출원 발명은 주행속도를 0~5Km/h로 제한하고 있다. 조향은 진행방향에 대하여 전방에 조향부를 구비하고 있고, 진행방향의 뒤쪽 구동부 위쪽으로 핸들이 구비되어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구동모터, 감속기어 및 구동축과 바퀴로 전동카트를 구동하고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의 핸들을 도시하고 있다. 온/오프 스위치(411), 전진 및 가속 스위치(412), 감속스위치(413), 전진/ 후진 선택 스위치(414), 브레이크(416), 비상정지(417) 및 배터리 사용량 기록 스위치(418)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비상정지 버튼은 갑작스러운 조향불능 등 작업자가 본 발명의 전동카트를 제어할 수 없는 경우 사용된다. 특별히, 배터리 사용량 기록 스위치는 본 발명의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의 이동에 따른 배터리 사용량 또는 운반에 따른 배터리 사용량을 기록하여, 충전 포트가 있는 위치에서 작업을 시작하여, 다시 충전 포트까지 돌아오는 작업반경 또는 이송량 등을 기록함으로써 작업 중에 배터리 부족으로 움직이지 못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즉, 농장의 충전포트에서 수확을 위하여 포장에 다녀오는 배터리 사용량을 상기 기록버튼으로 기록하고, 이를 익덱싱하여, 상기 인덱싱 번호로 기존에 저장된 배터리 사용량을 검색하면, 배터리 제어부에서 상기 검색된 배터리 사용량과 배터리 잔량을 비교하여 작업을 시작한 위치로 다시 되돌아 올 수 있을지 예측하여 알려준다.
부언 설명하면, 농작업의 다양한 이동 및 이송작업 중 반복하여 작업이 이루어지는 작업들의 각 작업마다의 배터리 사용량을 기록하고, 이를 활용하여 그 해당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을 모두 사용하여 작업이 중단되어 본 발명의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가 오도가도 못하는 상황을 미리 방지하고자 한다.
상기 배터리 사용량은 도6에 기재된 배터리 매니지먼트 제어기를 통하여 측정 기록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 상기 적재함의 전방팬스에 방수 쉴드된 콘센트를 이용하여 외부 배터리를 연결할 수 있으며, 가정용 220V 전기를 연결하여 충전할 수 있는 충전 포트 역시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차의 변속기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 간편하게 스위치를 이용하여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슬로우모드를 더 구비하여, 좁고 위험한 곳을 본 발명의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가 진행하여야 하는 경우 안전하게 진행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상기 슬로우모드는 0.3m/s의 속도 이하로 움직이며, 별도의 속도조절 수단을 구비하여 설정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농촌에서 손쉽고, 편리하게 농자재를 운반하고자 하는 수단을 제공하며, 조작이 간편할 수 있도록 제어순단을 모두 핸들에 집약하였으며, 배터리 사용량 기록기능을 이용하여, 작업종류별로 배터리 사용량을 알려줌으로써 작업 중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의 소모로 어려움을 격는 일이 없도록 장치를 구성하였습니다.
또한 충격센서를 구비하여 충돌이 발생하면 작업 중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주행을 정지하고, 상기 비상정지버튼을 누른 후 해제하고, 다시 스위치를 켜는 경우에 본 발명의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가 다시 정상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제어부를 구성하였다. 이는 주행 중 충격으로 본 발명의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가 정지한 경우 작업자가 충격의 원인, 충격으로 인한 전동카트의 손상 등을 모두 확인한 후 다시 비상정지 버튼을 이용하여 비상정지를 시켰다 해제하는 동작으로 전동카트의 점검을 마쳤음을 제어기에 알리고 다시 시동하여 출발할 수 있도록함으로써 작업자가 보다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수단을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작용효과를 위하여 하기의 과제해결 수단을 제공한다.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에 있어서,
상기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의 몸체를 구성하는 차체; 및
상기 차체를 하부에서 지지하며 상기 차체의 후방에서 상기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를 이동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차체의 전방에서, 상기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의 방향을 전환하는 조향부; 및
상기 구동부의 뒤쪽으로 작업자가 서서 상기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와 함께 이동할 수 있는 발판; 및
상기 발판에 작업자가 서서 상기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의 진행방향과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핸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를 조향하는 조향 핸들에는 온/오프, 가속, 감속 및 후진 스위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를 조향하는 조향 핸들에는 브레이크 레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를 조향하는 조향 핸들에는 비상정지 스위치와 밧데리소모량기록 스위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를 제공한다.
100 :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
200 : 차체
210 : 적재부
220 : 발판
230 : 적재부힌지
240 : 리프팅로드
300 : 구동부
310 : 구동모터
320 : 감속기어
330 : 구동축
400 : 조향부
410 : 핸들
411 : 온/오프 스위치
412 : 저속 스위치
413 : 중속 스위치
414 : 고속 스위치
415 : 전진 스위치
416 : 후진 스위치
417 : 비상정지 스위치
418 : 밧데리소모량기록 스위치
420 : 조향로드
430 : 조향부

Claims (4)

  1.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에 있어서,
    상기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의 몸체를 구성하는 차체; 및
    상기 차체를 하부에서 지지하며 상기 차체의 후방에서 상기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를 이동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차체의 전방에서, 상기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의 방향을 전환하는 조향부; 및
    상기 구동부의 뒤쪽으로 작업자가 서서 상기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와 함께 이동할 수 있는 발판; 및
    상기 발판에 작업자가 서서 상기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의 진행방향과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핸들; 및
    상기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를 조향하는 조향 핸들에는 온/오프, 가속, 감속 및 후진 스위치; 및
    상기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를 조향하는 조향 핸들에는 브레이크 레버; 및
    상기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를 조향하는 조향 핸들에는 비상정지 스위치와 배터리소모량기록 스위치; 및
    충격센서를 구비하여 충돌이 발생하면 작업 중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주행을 정지하고, 상기 비상정지스위치을 누른 후 해제하고, 다시 상기 비상정지스위치를 켜는 경우에 움직일 수 있도록 제어부를 구성하여, 주행 중 충격으로 정지한 경우 작업자가 충격의 원인, 충격으로 인한 전동카트의 손상 등을 모두 확인한 후 다시 비상정지 버튼을 이용하여 비상정지를 시켰다 해제하는 동작으로 전동카트의 점검을 마쳤음을 제어기에 알린 후 다시 시동하여 출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보다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소모량기록 스위치는 농장의 충전포트에서 수확을 위하여 포장에 다녀오는 배터리 사용량을 기록하고, 번호로 인덱싱하며, 번호로된 인덱싱을 이용하여 저장된 배터리 사용량을 검색하면, 배터리 제어부에서 상기 검색된 배터리 사용량과 배터리 잔량을 비교하여 작업을 시작한 위치로 다시 되돌아 올 수 있을지 예측하여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00144287A 2020-11-02 2020-11-02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 KR102472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287A KR102472932B1 (ko) 2020-11-02 2020-11-02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287A KR102472932B1 (ko) 2020-11-02 2020-11-02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9097A KR20220059097A (ko) 2022-05-10
KR102472932B1 true KR102472932B1 (ko) 2022-12-01

Family

ID=81591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4287A KR102472932B1 (ko) 2020-11-02 2020-11-02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29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0225A (ko) 2022-09-21 2024-03-28 주식회사 나이스위드 농산물 수확용 동력운반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9916A (ja) * 2002-01-30 2003-08-05 Sanyo Electric Co Ltd 配膳カート
KR101730731B1 (ko) * 2015-10-22 2017-04-27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험지 화물이송용 2족보행 캐리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6544B1 (ko) 2006-11-27 2007-10-12 근우테크 주식회사 복토수단을 갖는 4륜 구동 운반차
KR101640136B1 (ko) * 2014-11-27 2016-07-18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음료의 냉장운반용 전동카트
KR102181096B1 (ko) 2018-11-29 2020-11-20 주식회사 호원정공 농업용 동력운반차의 차동제어장치 토크제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9916A (ja) * 2002-01-30 2003-08-05 Sanyo Electric Co Ltd 配膳カート
KR101730731B1 (ko) * 2015-10-22 2017-04-27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험지 화물이송용 2족보행 캐리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9097A (ko) 202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6355B1 (ko) 다기능 농업용 전동식 차체 플랫폼
US4899525A (en) Clipping collector equipped with front mower
CN104191966A (zh) 一种四轮驱动的自走式多功能耕作机
JP2008206467A (ja) コンバイン
US20150075880A1 (en) Electric cart for facilitating the harvesting of berries and other crops
CN202285585U (zh) 一种秸秆还田型双行履带式玉米收获机
KR102472932B1 (ko) 농자재 운반용 전동카트
CN103749096A (zh) 一种草捆捡拾装置
CN104477263A (zh) 手动翻斗式转运车
KR101883704B1 (ko) 독립운전이 가능한 트레일러형 전동운반기
CN111328314B (zh) 多功能牵引车
CN111201890A (zh) 一种具有自动调平功能的采摘装置
CN204713236U (zh) 一种高通过性遥控三轮农用机车
US4256431A (en) Self-driven forage harvester
JP5733341B2 (ja) 苗植機
CN212436491U (zh) 改进的绿化植物修剪机
CN204264302U (zh) 手动翻斗式转运车
CN105172591A (zh) 一种车辆行走控制结构、方法及采用该结构的玉米收获机
CN207208237U (zh) 一种农庄果园运输的橡胶履带式运输装置
CN112519903A (zh) 一种智能农业履带机
CN204845551U (zh) 一种车辆行走控制结构及采用该结构的玉米收获机
CN101890989A (zh) 用于运输负载的车辆
CN2477449Y (zh) 多功能手扶拖拉机
JP2017158448A (ja) 野外作業装置および野外作業装置の制御方法
CN215529816U (zh) 联合整地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