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2386B1 -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2386B1
KR102472386B1 KR1020167025472A KR20167025472A KR102472386B1 KR 102472386 B1 KR102472386 B1 KR 102472386B1 KR 1020167025472 A KR1020167025472 A KR 1020167025472A KR 20167025472 A KR20167025472 A KR 20167025472A KR 102472386 B1 KR102472386 B1 KR 102472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ambient temperature
charging
electrically heated
aeros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5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7253A (ko
Inventor
라파엘 홀즈헤르
Original Assignee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063930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47238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filed Critical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Priority to KR1020227041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6358A/ko
Publication of KR20160147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7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2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2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7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in liquid or vaporisable form, e.g. liquid compositions for electronic cigaret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3Monitoring, e.g. fault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90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atteri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8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using passive battery identification means, e.g. resistors or capacitors
    • H02J7/0004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using passive battery identification means, e.g. resistors or capacitors in response to measured battery parameters, e.g. voltage, current or temperature profi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88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9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88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9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temperature
    • H02J7/007194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temperature of the batter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3Industrial applications
    • H05B1/0244Heating of flui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52Domestic appl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6Charger exchanging data with batter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21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heating liqu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은, 재충전가능 전력 공급부를 포함하는 충전 장치, 및 재충전가능 전력 공급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전기 가열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방법은, 충전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주변 온도에 따라, 충전 장치의 재충전가능 전력 공급부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전류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충전 전류로 상기 충전 장치의 재충전가능 전력 공급부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AN ELECTRICALLY HEATED AEROSOL-GENERATING SYSTEM}
본 발명은,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연관된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장치와 일차 충전 장치를 구비한 이러한 전기 시스템의 일례는 전기 작동식 흡연 시스템이다. 전기 작동식 흡연 시스템은, 말단 점화(lit-end) 흡연 장치에 비해 측류 흡연을 상당히 감소시키는 한편, 흡연 경험 동안 사용자가 흡연 시스템을 선택적으로 기동하게 할 수도 있다. 전기 작동식 흡연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에어로졸 발생 물품 또는 흡연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가열 요소들, 전력 공급부, 및 필요한 전자 회로를 구비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전자 회로는,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가열과 충전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일 수도 있다. 휴대용 장치와 일차 충전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소형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유지 및 사용이 쉬운 휴대용 장치라는 장점뿐만 아니라 반복 사용을 위해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빠르고도 편리하게 재충전하는 능력도 제공하고 있다.
국제공개공보 WO 2014/060267 (2014.04.24.)
이러한 공지의 시스템에도 불구하고, 전력 공급 충전 처리의 속도와 효율을 개선할 필요가 여전히 있다. 즉, 충전 장치의 전력 공급의 충전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전력 공급의 충전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은, 재충전가능 전력 공급부를 포함하는 충전 장치, 및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재충전가능 전력 공급부 및 적어도 하나의 전기 가열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방법은, 충전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충전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에 따라 충전 장치의 재충전가능 전력 공급부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전류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충전 전류로 충전 장치의 재충전가능 전력 공급부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충전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가 소정의 제1 온도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충전 전류는 약 0.1C 미만이고, 충전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가 소정의 제2 온도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충전 전류는 약 0.1C 초과이며, 충전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가 소정의 온도 위에 있는 경우, 충전 장치의 재충전가능 전력 공급부의 충전을 방지한다.
이러한 충전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전력 공급부의 전류 상태에 대하여 매우 큰 충전 전류를 공급함으로 인해 충전 장치의 재충전가능 전력 공급부를 손상시킬 위험을 감소시키면서 장치의 재충전가능 전력 공급부가 실질적으로 최적의 비율로 재충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장치와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개략도를 보여주고 있으며;
도 2는 충전 장치와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구비한 본 발명의 시스템을 보여주고 있으며;
도 3은 충전 장치를 충전하기 위한 제어 단계들의 흐름도를 보여주고 있으며;
도 4는 충전 장치를 방전하기 위한 제어 단계들의 흐름도를 보여주고 있으며;
도 5는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충전하기 위한 제어 단계들의 흐름도를 보여주고 있으며;
도 6은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방전하기 위한 제어 단계들의 흐름도를 보여주고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C”라는 용어는 충전 전류를 가리키며, 1C는 1000mAh 재충전가능 전력 공급부에 대하여 1A와 같다. 다시 말하면, 1시간 동안 재충전가능 전력 공급부의 용량이 공급되는 충전 전류이다.
한 구현예에서, 제1 온도 범위는 약 0℃ 내지 약 10℃이고, 제2 온도 범위는 약 10℃ 내지 약 45℃이다.
바람직한 한 구현예에서, 충전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가 소정의 제2 온도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충전 전류는 약 0.2C이다.
충전 장치의 재충전가능 전력 공급부는 전력 공급부의 빠른 충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일 수도 있다. 본 구현예에서, 충전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가 소정의 제2 온도 범위 내에 있는 경우, 빠른 충전 전류는 약 1C이다. 방법은, 충전 장치의 전력 공급부가 빠르게 충전되는 것을 요청하는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방법은, 충전 장치 전력 공급부를 재충전하기 위한 전력을 제공하는 입력 전력 공급부의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및 이에 따라 충전 전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전력 공급부가 재충전가능 전력 공급부를 빠르게 충전하기 위한 충분한 전력을 제공할 수 없다면, 0.2C인 충전 전류를 선택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사용되는 전력 공급부의 유형에 따라 제1 및 제2 온도 범위 및 연관된 충전 전류가 변경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방법은, 충전 장치의 재충전가능 전력 공급부가 충전되는 경우, 전력 공급부에 어떤 충전 전류가 제공되고 있는지를 사용자에게 나타내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어떤 충전 전류가 제공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단계는, 바람직하게, 광, 일련의 광 같은 가시적 표시기; 소리, 또는 일련의 소리; 및 촉각 표시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다. 촉각 표시기는 진동 또는 일련의 진동일 수도 있다. 가시적 표시기는 디지털 디스플레이일 수도 있다. 디지털 디스플레이는 충전 장치의 재충전가능 전력 공급부를 완전히 충전하는 데 필요한 시간의 추정값을 제공할 수도 있다.
방법은, 바람직하게,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재충전가능 전력 공급부를 충전하도록 충전 장치의 재충전가능 전력 공급부를 위한 방전 전류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방전 전류로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재충전가능 전력 공급부를 충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다. 충전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가 소정의 제3 온도 범위 내에 있는, 방전 전류는 약 0.1C 내지 약 0.3C이고, 충전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가 소정의 제4 온도 범위 내에 있는 경우, 방전 전류는 약 0.8C 내지 약 1.2C이고, 충전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가 소정의 온도 위에 있는 경우, 충전 장치의 재충전가능 전력 공급부의 방전을 방지한다.
이러한 충전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전력 공급부의 전류 상태에 대하여 매우 큰 충전 전투를 제공함으로 인해 충전 장치의 재충전가능 전력 공급부를 손상시킬 위험을 감소시키면서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재충전가능 전력 공급부가 실질적으로 최적의 비율로 재충전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듯이, 충전 장치의 전력 공급부의 방전 전류는,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전력 공급부의 충전 전류와 실질적으로 등가이다.
한 구현예에서, 제3 온도 범위는 약 -10℃ 내지 약 0℃이고, 제4 온도 범위는 약 0℃ 내지 약 45℃이다.
바람직한 한 구현예에서, 충전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가 소정의 제3 온도 범위 내에 있는 경우, 방전 전류는 약 0.2C이고, 충전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가 소정의 제4 온도 범위 내에 있는 경우, 방전 전류는 약 1C이다.
방법은, 충전 장치의 재충전가능 전력 공급부가 방전되는 경우,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전력 공급부에 어떤 방전 전류가 제공되고 있는지를 사용자에게 나타내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어떤 방전 전류가 제공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단계는, 바람직하게, 광 또는 일련의 광 같은 가시적 표시기; 소리 또는 일련의 소리; 및 촉각 표시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다. 촉각 표시기는 진동 또는 일련의 진동일 수도 있다. 가시적 표시기는 전자 디스플레이일 수도 있다. 전자 디스플레이는,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재충전가능 전력 공급부를 완전히 충전하는 데 필요한 시간의 추정값을 제공할 수도 있다.
방법은, 바람직하게,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에 따라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재충전가능 전력 공급부에 그 전력 공급부를 재충전하기 위한 충전 전류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다.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가 소정의 온도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약 10C인 충전 전류를 전력 공급부에 제공하고,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가 소정의 온도 범위를 벗어난 경우, 충전 전류가 전력 공급부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한 한 구현예에서, 소정의 온도 범위가 약 0℃ 내지 약 35℃인 경우에는 약 10C인 충전 전류가 전력 공급부에 제공되어 있다.
한 구현예에서, 주변 온도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바람직하게, 분당 약 한 번 내지 분당 약 5번의 빈도로 수행된다. 바람직하게, 주변 온도는 분당 한 번 모니터링된다. 본 구현예에서, 충전 전류를 결정하는 단계는, 모니터링되는 주변 온도의 평균, 바람직하게는, 가중 평균에 따라 수행된다. 평균은 2번, 3번, 4번, 또는 그 이상의 측정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사용시, 각 연속 측정에 적용되는 가중치는 등차 수열 또는 등비 수열에서 감소될 수 있다.
바람직한 한 구현예에서는, 가중 평균을 사용하며, 가중 평균은, 현재 측정된 주변 온도와 이전 가중 평균을 사용하여 산출된다. 현재 측정에는 약 10% 내지 약 50%의 가중치가 주어지고, 이에 따라 이전 가중 평균에는 약 90% 내지 약 50%의 가중치가 주어진다. 적용되는 가중치는, 바람직하게, 가중치가 재충전가능 전력 공급부의 가열률 또는 냉각률에 대한 근사값을 생성하도록 재충전가능 전력 공급부와 둘러싸고 있는 공기의 전체 열 전달 계수에 따라 선택된다. 초기 가중 평균은 주변 온도의 최초 측정값으로 설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현재 측정에는 약 20%의 가중치가 주어지고, 이전 가중 평균에는 약 80%의 가중치가 주어진다. 유리하게, 이러한 가중치 부여는, 본원에서 설명하는 시스템의 재충전가능 전력 공급부의 비교적 느린 가열률 또는 냉각률을 근사화한다.
본 발명의 추가 일 측면에 따르면,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장치는, 재충전가능 전력 공급부, 및 적어도 하나의 전기 가열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추가 측면의 방법은,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에 따라 재충전가능 전력 공급부로부터 가열 요소에 전력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가 소정의 온도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는, 전력을 가열 요소에 제공하고,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가 소정의 온도 범위 내에 없는 경우에는, 전력이 가열 요소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 구현예에서, 동작가능 온도 범위는 약 10℃ 내지 약 7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2℃ 내지 약 65℃이다. 온도가 동작가능 온도 범위의 하한값 미만인 경우, 가열 요소의 저항은 그 온도가 동작가능 온도 범위 내에 있는 경우의 가열 요소의 저항에 비해 낮다. 따라서, 오옴 법칙에 따르면, 전류 유출은 크고, 크기와 용량을 증가시키지 않는 경우,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전력 공급부는 필요로 하는 전류를 제공할 수 없다.
재차,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바람직하게, 분당 약 한 번 내지 분당 약 5번의 빈도로 수행된다. 바람직하게, 전술한 바와 같이 유사한 가중 평균 처리를 사용한다. 현재 측정에는 약 10% 내지 약 50%의 가중치가 주어지고, 이에 따라 이전 가중 평균에는 약 90% 내지 약 50%의 가중치가 주어진다. 적용되는 가중치는, 바람직하게, 가중치가 재충전가능 전력 공급부의 가열률 또는 냉각률에 대한 근사값을 생성하도록 재충전가능 전력 공급부와 둘러싸고 있는 공기의 전체 열 전달 계수에 따라 선택된다. 또한, 초기 가중 평균은 주변 온도의 최초 측정값으로 설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현재 측정에는 약 30%의 가중치가 주어지고, 이전 가중 평균에는 약 70%의 가중치가 주어진다. 유리하게, 이러한 가중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열저장량이 충전 장치의 열저장량보다 작기 때문에 충전 장치의 가중 평균에 사용되는 전술한 20%/80% 모델보다 효과적으로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가열률과 냉각률을 모델링한다. 따라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충전 장치보다 빠르게 가열 또는 냉각된다.
본 발명의 추가 측면에 따르면,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다. 시스템은,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장치는, 가열 요소, 및 가열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재충전가능 전력 공급부를 포함하고 있다. 시스템은,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충전 장치를 더 포함하고 있다. 충전 장치는,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재충전가능 전력 공급부를 충전하기 위한 재충전가능 전력 공급부, 충전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 및 충전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에 따라 전력 공급부를 재충전하도록 외부 전력 공급부로부터의 충전 장치 전력 공급부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있다. 충전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가 소정의 제1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제어기는 약 0.1C 미만인 충전 전류를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충전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가 소정의 제2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제어기는 약 0.1C보다 큰 충전 전류를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충전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가 소정의 온도 위에 있는 경우, 충전 장치의 재충전가능 전력 공급부의 충전을 방지한다.
이러한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전력 공급부의 전류 상태에 대하여 매우 큰 충전 전류를 공급함으로 인해 재충전가능 전력 공급부를 손상시킬 위험을 감소시키면서 충전 장치의 재충전가능 전력 공급부가 실질적으로 최적의 비율로 재충전될 수 있다.
한 구현예에서, 제1 온도 범위는 약 0℃ 내지 약 10℃이고, 제2 온도 범위는 약 10℃ 내지 약 45℃이다.
바람직한 한 구현예에서, 충전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가 소정의 제2 온도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충전 전류는 약 0.2C이다.
충전 장치의 재충전가능 전력 공급부는 전력 공급부의 빠른 충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일 수도 있다. 본 구현예에서, 충전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가 소정의 제2 온도 범위 내에 있는 경우, 빠른 충전 전류 는 약 1C이다. 제어기는, 충전 장치의 전력 공급부가 빠르게 충전될 것을 요청하는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것일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어기는, 충전 장치의 전력 공급부를 재충전하기 위한 전력을 제공하는 입력 전력 공급부의 유형을 결정하고 이에 따라 충전 전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전력 공급부가 재충전가능 전력 공급부를 빠르게 충전하기 위한 충분한 전력을 제공할 수 없다면, 0.2C인 충전 전류를 선택한다.
바람직하게, 충전 장치는, 재충전가능 전력 공급부를 재충전하기 위한 외부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충전 장치는, 충전 장치의 재충전가능 전력 공급부가 충전되고 있는 경우, 어떤 충전 전류가 전력 공급부에 제공되고 있는지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한 표시기를 더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표시기는, 바람직하게, 광 또는 일련의 광 같은 가시적 표시기; 소리 또는 일련의 소리; 및 촉각 표시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다. 촉각 표시기는 진동 또는 일련의 진동일 수도 있다. 가시적 표시기는 디지털 디스플레이일 수도 있다. 디지털 디스플레이는 충전 장치의 재충전가능 전력 공급부를 완전히 충전하는 데 필요한 시간의 추정값을 제공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충전 장치의 제어기는, 전력 공급부를 재충전하기 위해 충전 장치의 전력 공급부로부터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전력 공급부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도록 더 구성되어 있다. 충전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가 소정의 제3 온도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제어기는 약 0.1C 내지 약 0.3C인 방전 전류를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전력 공급부에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충전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가 소정의 제4 온도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제어기는 약 0.8C 내지 약 1.2C인 방전 전류를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전력 공급부에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충전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가 소정의 온도 위에 있는 경우, 제어기는 충전 장치의 재충전가능 전력 공급부의 방전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어기를 제공함으로써, 전력 공급부의 전류 상태에 대하여 매우 큰 충전 전류를 제공함으로 인해 충전 장치의 재충전가능 전력 공급부를 손상시킬 위험을 감소시키면서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재충전가능 전력 공급부가 실질적으로 최적의 비율로 재충전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듯이, 충전 장치의 전력 공급부의 방전 전류는,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전력 공급부의 충전 전류와 실질적으로 등가이다.
한 구현예에서, 제3 온도 범위는 약 -10℃ 내지 약 0℃이고, 제4 온도 범위는 약 0℃ 내지 약 45℃이다.
바람직한 한 구현예에서, 충전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가 소정의 제3 온도 범위 내에 있는 경우, 방전 전류는 약 0.2C이고, 충전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가 소정의 제4 온도 범위 내에 있는 경우, 방전 전류는 약 1C이다.
바람직하게, 충전 장치의 전력 공급부는 리튬 이온 배터리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충전 장치의 전력 공급부는 리튬 산화코발트 배터리이다.
바람직하게,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전력 공급부도 리튬 이온 배터리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전력 공급부는 리튬 인산 철 배터리이다.
충전 장치는, 충전 장치의 재충전가능 전력 공급부가 방전되고 있을 때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전력 공급부에 어떤 방전 전류가 제공되고 있는지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한 표시기를 더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표시기는, 바람직하게, 광, 일련의 광 같은 가시적 표시기; 소리, 또는 일련의 소리; 및 촉각 표시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다. 촉각 표시기는 진동 또는 일련의 진동일 수도 있다. 가시적 표시기는 전자 디스플레이일 수도 있다. 전자 디스플레이는,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재충전가능 전력 공급부를 완전히 충전하는 데 필요한 시간의 추정값을 제공할 수도 있다.
충전 장치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또는 추가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디지털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는 흡연 물품 소모, 에너지 사용 또는 기타 정보를 표 시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는,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전력 공급부가 언제 흡연 물품을 소모하는 데 사용될 충분한 충전을 갖는지를 더 표시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충전 장치는 하우징 및 하우징에 부착된 뚜껑을 더 포함하고 있다. 뚜껑은, 뚜껑이 폐쇄된 위치에 있는 경우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접근할 수 없도록 공동의 개방 말단 위로 폐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충전 장치는, 덮개가 개방된 경우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대한 전력 공급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뚜껑은 바람직하게 경첩 뚜껑이다. 바람직하게, 경첩은 전방 벽으로부터 후방 벽으로 하우징의 최상부에 걸쳐 연장된다. 경첩은, 뚜껑을 제1 위치에서 보유하도록 구성된 스프링을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경첩은, 또한, 뚜껑이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뚜껑의 움직임을 댐핑하도록 구성된 댐퍼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대안으로, 경첩은 뚜껑을 제2 위치에서 보유하도록 구성된 스프링을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대안에서, 뚜껑은, 바람직하게, 뚜껑을 제1 위치에서 보유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며, 이러한 보유 수단은, 스프링에 의해 뚜껑에 가해지는 힘을 극복하기 위한 충분한 힘을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유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자석 및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일철(ferrous) 소자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자석은 일차 장치의 하우징 내에 제공되고, 제일철 소자는 뚜껑에 제공되어 있다. 대안으로, 보유 수단은 래치형 장치일 수도 있다.
경첩 뚜껑은 하우징의 전체 최상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대안에서, 경첩은 뚜껑의 내부에 있을 수 있으며 하우징의 측벽에 인접할 수도 있다.
충전 장치의 하우징은, 바람직하게, 전방 벽, 후방 벽, 최하부 벽, 최상부 벽,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을 포함하고 있다.
충전 장치와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구성요소들의 상대적 위치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전방”, “후방”, “상측”, “하측”, “측면”, “최상부”, “최하부”, “좌측”, “우측”이라는 용어들 및 기타 용어들은, 최상부 말단에서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공동의 개구를 갖는, 직립 위치에 있는 충전 장치를 참조한 것이다.
"길이방향"이라는 용어는 최하부로부터 최상부로의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을 가리킨다. "가로방향"이라는 용어는 상기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가리킨다.
충전 장치는, 두 개의 좁은 측벽에 의해 이격된 두 개의 넓은 벽 및 최상부 벽과 최하부 벽을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직육면체일 수도 있다.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바람직하게 세장형이다.
온도 센서는, 바람직하게, 측정 온도와 주변 온도 간의 상관 관계를 개선할 수 있도록 충전 장치 하우징의 벽과 접촉한 상태로 제공되어 있다. 온도 센서는 열전대 또는 서미스터일 수도 있다.
시스템의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바람직하게, 그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있다. 충전 장치 제어기는, 바람직하게,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에 따라 전력 공급부를 재충전하기 위해 충전 장치의 전력 공급부로부터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전력 공급부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도록 더 구성되어 있다.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가 소정의 온도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제어기는 약 10C인 충전 전류를 전력 공급부에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가 소정의 온도 범위 내에 없는 경우, 제어기는 충전 전류가 전력 공급부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바람직한 한 구현예에서, 소정의 온도 범위가 약 0℃ 내지 약 35℃인 경우에는 약 10C인 충전 전류가 전력 공급부에 제공되어 있다.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온도 센서는, 바람직하게, 측정 온도와 주변 온도 간의 상관 관계를 개선할 수 있도록 그 장치의 하우징의 벽과 접촉한 상태로 제공되어 있다. 온도 센서는 열전대 또는 서미스터(thermistor)일 수도 있다. 대안으로, 가열 요소를 서미스터로서 사용하여 온도를 측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추가 측면에 따르면,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장치는, 가열 요소, 가열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재충전가능 전력 공급부,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 및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에 따라 전력 공급부로부터 가열 요소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를 포함하고 있다.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가 소정의 온도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제어기는 가열 요소에 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가 소정의 온도 범위 내에 없는 경우, 제어기는 전력이 가열 요소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장치는,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가 언제 소정의 온도 범위 내에 없는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기를 더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형태로 된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수용하도록 설계되고, 흡연 경험 동안 사용자에 의해 유지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전력 공급부는, 바람직하게, 에어로졸 발생이 시작되기 전에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동작 온도까지 가열하는 데 적합하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전력 공급부도, 에어로졸 발생 동안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온도를 유지하는 데 적합하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바람직하게, 말단 점화 궐련보다 약간 큰 크기 또는 유사한 크기로 된다. 따라서, 장치는 말단 점화 궐련과 유사한 방식으로 사용자의 손가락들 사이에서 유지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기재는, 바람직하게, 에어로졸 발생 물품 또는 흡연 물품의 형태로 된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에어로졸을 형성할 수 있는 휘발성 화합물들을 방출할 수 있는 기재에 관한 것이다. 휘발성 화합물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하여 방출된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고체 또는 액체일 수도 있고, 또는 고체 성분과 액체 성분 모두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담체나 지지부 상으로 흡착, 코팅, 침지, 또는 그렇지 않으면 로딩될 수도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편의상 에어로졸 발생 물품 또는 흡연 물품의 부분일 수도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니코틴을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담배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으며, 예를 들면 가열시에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부터 방출되는, 휘발성 담배 향미 화합물들을 함유하는 담배 함유 물질을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들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균질화 담배 물질, 예를 들면 캐스트 잎 담배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로졸 형성제, 예컨대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글리세린을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흡연 물품’은 에어로졸을 형성할 수 있는 휘발성 화합물들을 방출할 수 있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는 물품을 지칭한다. 예를 들면,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사용자의 입을 통해 사용자의 폐 안으로 직접 흡입 가능한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흡연 물품일 수도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일회용일 수도 있다. 용어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보통 이하에서 사용된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하여 형성된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연소 또는 열분해 감성에 의해 생성되는 소수의 공지된 유해 성분을 함유할 수도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담배 스틱을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바람직하게는 가열 시에 상기 기재로부터 방출되는 휘발성 담배 향미 화합물들을 함유하는 담배 함유 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대안으로,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비-담배 재료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에어로졸 형성제를 더 포함하고 있다. 적절한 에어로졸 형성제의 예는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 글리콜이다.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고체 기재일 수도 있다. 고체 기재는 예를 들면, 허브 잎, 담배 잎, 담배 리브 조각, 재구성 담배, 균질화 담배, 압출 담배 및 팽화 담배 중 하나 이상을 함유하고 있는, 분말, 그래뉼, 펠릿, 슈레드, 스파게티, 스트립 또는 시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고체 기재는 상기 기재의 가열 시에 방출될, 추가 담배 또는 비-담배 휘발성 향미 화합물들을 함유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고체 기재는 열적으로 안정적인 담체 위에 제공되거나 그 안에 매립될 수도 있다. 상기 담체는 분말, 그래뉼, 펠릿, 슈레드, 스파게티, 스트립 또는 시트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 상기 담체는 그 내표면 위에, 또는 그 외표면 위에, 또는 그 내표면 및 외표면 양자 위에 피착된 고체 기재의 박층을 갖는 관형 담체일 수도 있다. 이러한 관형 담체는, 예를 들면, 종이, 종이류 재료, 부직 탄소 섬유 매트, 저 질량 오픈 메쉬 금속 스크린, 또는 구멍난 금속 포일 또는 임의의 다른 열적으로 안정적인 중합체 매트릭스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체 기재는 예를 들면, 시트, 발포체, 겔 또는 슬러리 형태로 담체의 표면 위에 피착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고체 기재는 담체의 전체 표면 위에 피착되어 있을 수도 있거나, 대안적으로 사용 동안 불균일한 향미 전달을 제공하기 위해서 패턴으로 피착되어 있을 수도 있다. 대안으로, 상기 담체는 담배 성분들이 통합되어 있는 부직포 직물 또는 섬유 다발일 수도 있다. 상기 부직포 직물 또는 섬유 다발은 예를 들면 탄소 섬유, 천연 셀룰로오스 섬유,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섬유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액체 기재일 수 있고, 흡연 물품은 액체 기재를 보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대안적으로 임의의 다른 종류의 기재, 예를 들면, 기체 기재, 또는 다양한 유형의 기재의 임의의 조합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서의 임의의 특징은 임의의 적절한 조합으로 본 발명의 다른 측면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특히, 방법 측면들은 장치 측면들에 적용될 수도 있고, 그 반대일 수도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충전 장치와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관련하여 본원에 기재된 제어기는 전력 공급부의 제어에 관련하여 임의의 방법 측면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측면에서의 어느 하나, 일부 및/또는 모든 특징은 임의의 적절한 조합으로, 임의의 다른 측면에서의 어느 하나, 일부 및/또는 모든 특징에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임의의 측면들에서 설명되고 정의된 다양한 특징들의 조합이 구현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공급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더욱 설명될 것이다.
도 1a는 충전 장치(100)를 보여주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충전 장치(100)는 전기 가열식 흡연 시스템이다. 도 1b는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102)를 보여주고 있다.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102)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는 흡연 물품(104)을 수용하기에 적합하다. 충전 장치(100)는 재충전 가능 배터리(106), 제어 전자 부품들(108),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전기 접촉부(110)와 연결될 때에, 배터리(106)로부터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전기 접촉부(110)를 포함하고 있다. 충전 장치는 온도 센서(111)를 더 포함하고 있다. 재충전 가능 배터리(108)는 리튬 산화코발트 배터리이다.
충전 장치는 측정 온도에 의존하여, 배터리(106)를 이용하여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충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기 접촉부(110)는 공동(112)의 최하부에 인접하게 제공되어 있다. 공동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102)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충전 장치(100)의 공동(112) 내부에 에어로졸 발생 장치(102)를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뚜껑(114)이 제공되어 있다. 충전 장치(100)의 구성요소들은 하우징(116)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뚜껑(114)은 경첩(118)에 의해 하우징(116)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충전 장치(100)에는 일련의 세 개의 표시기(120, 122 및 124)가 제공되어 있다. 표시기(120)는 충전 장치 배터리(106)에 남아 있는 전하 수준을 나타내기 위해 제공되어 있다. 표시기(120)는 충전 장치 배터리에 남아 있는 전하의 비율을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100%는 배터리(106)가 완전히 충전되었음을 나타내는 것이며, 50%는 배터리(106)가 반 충전되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대안적으로 충전 장치 배터리가 충전이 필요할 때 표시기(120)는 간단하게 표시할 수도 있다.
제2 표시기(122)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2)가 완전히 충전되었고,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도록 준비되었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제공되어 있다. 표시기(122)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사용자에게 완성된 흡연 경험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면 이 준비 상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전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104)를 에어로졸화하기에 충분한 전력, 또는 소정의 퍼프 수를 생성하기에 충분한 전력.
제3 표시기(124)는 외부 전력 공급부(미도시함)로부터 배터리(106)를 충전하기 위해 사용되는 충전 체계를 나타내기 위해 제공되어 있다. 다양한 충전 체계가 하기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102)는 재충전가능 배터리(126), 제어 전자 부품(128) 및 전기 접촉부(130)를 포함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102)의 재충전가능 배터리(126)는, 전기 접촉부(130)가 충전 장치(100)의 전기 접촉부(110)와 접촉하고 충전 장치 배터리(106)로부터 전력 공급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상기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131)를 더 포함하고 있다. 재충전가능 배터리(126)는 리튬 인산 철 배터리이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102)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104)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공동(132)을 더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블레이드 히터 형태의 히터(134)가 공동(132)의 최하부에 제공되어 있다. 사용시, 사용자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2)를 활성화하고, 전력은 배터리(126)로부터 전자 제어 부품(128)을 경유하여 히터(134)에 제공된다. 히터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104)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기에 충분한 표준 작동 온도로 가열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102)의 구성요소들은 하우징(136) 내에 수용되어 있다.
도 2는 충전 장치(100)의 공동 내에 하우징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102)를 도시하고 있다. 뚜껑(114)은 폐쇄 위치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폐쇄 위치에서, 뚜껑은, 충전 장치와 에어로졸 발생 장치 간의 양호한 전기 연결이 이루어지게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2)에 대하여 작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알 수 있듯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전기 접촉부(130)는 충전 장치의 전기 접촉부(110)와 체결된다.
충전 장치의 제어 전자 부품들(108)은, 외부 전력 공급부에 의한 충전 장치의 배터리(106)의 충전을 제어하고 또한 주변 온도에 따라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배터리(126)의 충전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어 전자 부품들(108)에 의해 이용되는 제어 방법들은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각각 설명한다.
사용시, 사용자가 충전 장치를 외부 전력 공급부에 연결하는 경우, 제어 전자 부품들(108)은 다음에 따르는 도 3에 도시한 방법을 이용하여 적절한 충전 전류를 결정한다.
충전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는 온도 센서(111)를 사용하여 측정되고, 주변 온도의 가중 평균이 산출된다. 현재 온도 측정에는 20%인 가중치가 주어지고, 이전 가중 평균에는 80%인 가중치가 주어진다. 온도 측정이 최초 온도 측정인 경우, 가중 평균은 현재 온도로 설정된다.
이어서, 제어 전자 부품들(108)은, 가중 평균 온도가 제1 온도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 제1 온도 범위는 0℃ 내지 10℃이다. 가중 평균 온도가 그 범위 내에 있으면, 제어 전자 부품들은 0.1C 미만인 충전 전류를 배터리(106)에 제공하고 있다.
가중 평균 온도가 그 범위 내에 있지 않으면, 제어 전자 부품들은 가중 평균 온도가 제2 온도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 제2 온도 범위는 10℃ 내지 45℃이다. 가중 평균 온도가 제2 온도 범위 내에 있지 않으면, 배터리(106)는 동작가능 온도 범위 내에 없으며, 배터리 손상을 방지하도록 충전이 개시되지 않는다. 표시기(124)는 이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가중 평균 온도가 제2 온도 범위 내에 있으면, 제어 전자 부품들(108)은 빠른 충전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고, 필요하다면, 약 1C인 충전 전류를 제공하고, 필요하지 않다면, 약 0.2C인 충전 전류를 제공하고 있다.
각 단계에서, 충전 전류가 결정되고, 1분의 시간 경과 후에, 처리를 반복한다.
사용시, 사용자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충전 장치 내에 삽입하고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충전을 활성화하는 경우, 제어 전자 부품들(108)은 다음에 따르는 도 4에 도시한 방법을 이용하여 적절한 충전 전류를 결정한다.
재차, 충전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는 온도 센서(111)를 사용하여 측정되고, 주변 온도의 가중 평균이 산출된다. 현재 온도 측정에는 20%인 가중치가 주어지고, 이전 가중 평균에는 80%인 가중치가 주어진다. 온도 측정이 최초 온도 측정인 경우, 가중 평균은 현재 온도로 설정된다.
이어서, 제어 전자 부품들(108)은, 가중 평균 온도가 제3 온도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 제3 온도 범위는 -10℃ 내지 0℃이다. 가중 평균 온도가 그 범위 내에 있으면, 제어 전자 부품들은 약 0.2C인 충전 전류를 배터리(126)에 제공하고 있다.
가중 평균 온도가 그 범위 내에 있지 않으면, 제어 전자 부품들은 가중 평균 온도가 제4 온도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 제4 온도 범위는 0℃ 내지 45℃이다. 가중 평균 온도가 제4 온도 범위 내에 있지 않으면, 배터리(126)는 동작가능 온도 내에 있지 않으며, 배터리 손상을 방지하도록 충전이 개시되지 않는다. 표시기(124)는 이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가중 평균 온도가 제4 온도 범위 내에 있으면, 제어 전자 부품들(108)은 약 1C인 충전 전류를 배터리(126)에 제공하고 있다.
각 단계에서, 충전 전류를 결정하고, 1분의 시간이 경과한 후, 처리를 반복한다.
또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제어 전자 부품들(128)은, 장치 배터리(126)의 충전을 제어하고 또한 주변 온도에 따라 장치의 사용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어 전자 부품들(128)에 의해 이용되는 제어 방법들은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충전을 개시하는 경우,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제어 전자 부품들(128)은, 도 5에 도시한 방법을 실시하여 배터리(126)가 충전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장치(102)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는 온도 센서 (131)를 사용하여 측정되고, 주변 온도의 가중 평균이 산출된다. 현재 온도 측정에는 10 내지 50%의 가중치가 주어지고, 이전 가중 평균에는 90 내지 50%의 가중치가 주어진다. 온도 측정이 최초 온도 측정인 경우, 가중 평균은 현재 온도로 설정된다.
이어서, 제어 전자 부품들(128)은, 가중 평균 온도가 동작가능 온도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 동작가능 온도 범위는 0℃ 내지 35℃이다. 가중 평균 온도가 그 범위 내에 있으면, 제어 전자 부품들은 약 10C인 충전 전류가 배터리(126)에 제공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충전 장치의 온도는, 전술한 제어 방법에 따라 이러한 충전률을 변경할 수도 있다.
가중 평균 온도가 그 범위 내에 있지 않으면, 제어 전자 부품들은, 배터리 손상 위험을 감소시키도록 배터리(126)가 충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각 단계에서, 충전 전류를 결정하고, 1분의 시간 경과 후에, 처리를 반복한다.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도록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개시하는 경우, 제어기(128)에 의해 도 6의 방법이 실시된다.
재차, 장치(102)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는 온도 센서(131)를 사용하여 측정되고, 주변 온도의 가중 평균이 산출된다. 현재 온도 측정에는 10 내지 50%의 가중치가 주어지고, 이전 가중 평균에는 90 내지 50%의 가중치가 주어진다. 온도 측정이 최초 온도 측정인 경우, 가중 평균은 현재 온도로 설정된다.
이어서, 제어 전자 부품들(128)은, 가중 평균 온도가 동작가능 온도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 동작가능 온도 범위는 12℃ 내지 65℃이다. 가중 평균 온도가 그 범위 내에 있으면, 제어 전자 부품들은 전력이 가열 요소(134)에 공급될 수 있게 한다.
가중 평균 온도가 동작가능 온도 범위 내에 있지 않으면, 제어 전자 부품들(128)은 전력이 가열 요소(134)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한다.
1분의 시간 경과 후, 처리를 반복한다.
온도가 동작가능 온도 범위의 하한값 미만인 경우, 가열 요소의 저항은 배터리(126)가 충분한 전류를 공급하기에 너무 낮을 것이다. 구체적인 일례의 가열 요소는, 0℃에서 0.7Ohm, 약 300℃(에어로졸을 발생시키도록 가열 요소가 유지되는 온도임)에서 약 2Ohm인 저항을 갖는다. 배터리의 공칭 전압은 0℃에서 3.3V이고, 동작 시 300℃에서 배터리의 공칭 전압은 3.0V이다. 따라서, 0℃에서, 전류 유출은 3.3/0.7 = 4.7A이지만, 300℃에서는, 전류 유출이 3.0/2 = 1.5이다.
온도가 동작가능 온도 범위의 상한값 위에 있는 경우,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사용하면 제어 전자 부품들의 온도를 80℃인 상한 설계 온도 위에 있도록 증가시킬 수 있어서, 신뢰할 수 없는 성능을 초래할 수도 있다.
간략하게, 제어 전자 부품들(128)이 전력을 가열 요소(134)에 제공하는 경우, 가열 요소(134)는 약 300℃까지 가열된다. 가열 요소(134)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104)의 에어로졸 발생 기재와 접촉하고 있다. 이는 에어로졸 발생 기재가 사용자가 에어로졸 발생 물품(104)을 피울 때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는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게 한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상기에 예시되었다. 그러나, 본원에서 설명하는 제어 방법들을 다른 유형의 휴대용 장치에 적용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0: 충전 장치
102: 에어로졸 발생 장치
104: 흡연 물품
106,126: 배터리
108: 제어 전자 부품들
110,130: 전기 접촉부
111,131: 온도 센서
112: 공동
114: 뚜껑
116,136: 하우징
118: 경첩
120,122,124: 표시기
128: 제어 전자 부품
134: 히터

Claims (27)

  1.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으로, 상기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은, 재충전가능 전력 공급부를 포함하는 충전 장치, 및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재충전가능 전력 공급부 및 적어도 하나의 전기 가열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충전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주변 온도에 따라, 상기 충전 장치의 재충전가능 전력 공급부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전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충전 전류로 상기 충전 장치의 재충전가능 전력 공급부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주변 온도가 소정의 제1 온도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상기 충전 전류는 0.1C 미만이고;
    상기 주변 온도가 소정의 제2 온도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상기 충전 전류는 0.1C 초과이고;
    상기 주변 온도가 소정의 온도 위에 있는 경우, 상기 충전 장치의 재충전가능 전력의 충전을 방지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장치의 재충전가능 전력 공급부가 충전되고 있는 경우, 상기 전력 공급부에 어떤 충전 전류가 제공되고 있는지를 사용자에게 나타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상기 재충전가능 전력 공급부를 충전하기 위해, 상기 충전 장치의 재충전가능 전력 공급부를 위한 방전 전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방전 전류로 상기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상기 재충전가능 전력 공급부를 충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주변 온도가 소정의 제3 온도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상기 방전 전류는 0.1C 내지 0.3C이고;
    상기 주변 온도가 소정의 제4 온도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상기 방전 전류는 0.8C 내지 1.2C이고; 그리고
    상기 주변 온도가 소정의 온도 위에 있는 경우, 상기 충전 장치의 상기 재충전가능 전력의 방전을 방지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장치의 상기 재충전가능 전력 공급부가 방전되고 있는 경우, 상기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전력 공급부에 어떤 방전 전류가 제공되고 있는지를 사용자에게 나타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주변 온도에 따라, 상기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상기 재충전가능 전력 공급부에 상기 전력 공급부를 재충전하기 위한 충전 전류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가 소정의 온도 범위 내에 있는 경우, 10C인 충전 전류를 상기 전력 공급부에 제공하고; 그리고
    상기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가 상기 소정의 온도 범위를 벗어난 경우, 충전 전류가 상기 전력 공급부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온도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분당 한 번 내지 분당 5번의 빈도로 수행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전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모니터링된 주변 온도의 가중 평균에 따라 수행되는, 방법.
  8.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으로,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장치는,
    가열 요소;
    상기 가열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재충전가능 전력 공급부;
    및,
    상기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충전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 장치는,
    상기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
    상기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상기 재충전가능 전력 공급부를 충전하기 위한 재충전가능 전력 공급부;
    상기 충전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 및
    상기 충전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에 따라, 상기 전력 공급부를 재충전하도록 외부 전력 공급부로부터 상기 충전 장치 전력 공급부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충전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가 소정의 제1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상기 제어기는 0.1C 미만인 충전 전류를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충전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가 소정의 제2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상기 제어기는 0.1C보다 큰 충전 전류를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충전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가 소정의 온도 위에 있는 경우, 상기 충전 장치의 재충전가능 전력의 충전을 방지하는,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장치는, 상기 충전 장치의 상기 재충전가능 전력 공급부가 충전되고 있는 경우, 어떤 충전 전류가 상기 전력 공급부에 제공되고 있는지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한 표시기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장치 제어기는, 상기 전력 공급부를 재충전하기 위해 상기 충전 장치의 전력 공급부로부터 상기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전력 공급부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도록 더 구성되어 있고; 여기서
    상기 충전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가 소정의 제3 온도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상기 제어기는 0.1C 내지 0.3C인 방전 전류를 상기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전력 공급부에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충전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가 소정의 제4 온도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상기 제어기는 0.8C 내지 1.2C인 방전 전류를 상기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전력 공급부에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충전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가 소정의 온도 위에 있는 경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충전 장치의 상기 재충전가능 전력의 방전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장치는, 상기 충전 장치의 상기 재충전가능 전력 공급부가 방전되고 있는 경우, 상기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상기 전력 공급부에 어떤 방전 전류가 제공되고 있는지를 사용자에게 나타내기 위한 표시기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12.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상기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충전 장치 제어기는, 상기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에 따라 상기 전력 공급부를 재충전하기 위해 상기 충전 장치의 전력 공급부로부터 상기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전력 공급부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도록 더 구성되어 있고, 여기서
    상기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가 소정의 온도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상기 제어기는 10C인 충전 전류를 상기 전력 공급부에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가 상기 소정의 온도 범위 내에 없는 경우, 상기 제어기는 충전 전류가 상기 전력 공급부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시스템.
  13.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102)를 제어하는 방법으로, 상기 장치는 재충전가능 전력 공급부 및 적어도 하나의 전기 가열 요소(134)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에 따라, 상기 재충전가능 전력 공급부로부터 상기 가열 요소(134)로 전력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가 소정의 온도 범위 내에 있는 경우, 가열 요소(134)에 전력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가 상기 소정의 온도 범위의 하한값 미만인 경우, 전력이 가열 요소(134)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가 상기 소정의 온도 범위의 상한값 위에 있는 경우, 전력이 가열 요소(134)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모니터링된 주변 온도의 가중 평균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가중 평균이 상기 소정의 온도 범위 내에 있지 않은 경우 전력이 상기 가열요소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모니터링된 주변 온도의 가중 평균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주변 온도의 현재 측정에 10% 내지 50%의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 및 이전 가중 평균에 90% 내지 50%의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온도의 현재 측정에 30%의 가중치가 주어지고, 상기 이전 가중 평균에 70%의 가중치가 주어지는, 방법.
  18.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온도 범위는 10℃ 내지 70℃인, 방법.
  19.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분당 한 번 내지 분당 5번의 빈도로 수행되는, 방법.
  20. 에어로졸 발생 기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장치(102)로서:
    가열 요소(134);
    상기 가열 요소(134)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재충전가능 전력 공급부;
    상기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131); 및
    상기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에 따라 상기 전력 공급부로부터 가열 요소(134)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가 소정의 온도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상기 제어기는 가열 요소(134)로 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가 상기 소정의 온도 범위의 하한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어기는 가열 요소(134)로 전력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가 상기 소정의 온도 범위의 상한값 위에 있는 경우, 상기 제어기는 가열 요소(134)로 전력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장치.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가 언제 소정의 온도 범위 내에 없는지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한 표시기를 더 포함하는, 장치.
  23.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모니터링된 주변 온도의 가중 평균을 계산하고, 상기 가중 평균이 상기 소정의 온도 범위 내에 있지 않으면 전력이 상기 가열 요소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된 주변 온도의 가중 평균의 계산에서 상기 주변 온도의 현재 측정에는 10% 내지 50%의 가중치가 주어지고, 이전 가중 평균에는 90% 내지 50%의 가중치가 주어지는,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온도의 현재 측정에 30%의 가중치가 주어지고, 상기 이전 가중 평균에 70%의 가중치가 주어지는, 장치.
  26.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온도 범위는 10℃ 내지 70℃인, 장치.
  27.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분당 한 번 내지 분당 5번의 빈도로 상기 장치에 인접하는 주변 온도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 장치.
KR1020167025472A 2014-04-30 2015-04-24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KR102472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7041430A KR20220166358A (ko) 2014-04-30 2015-04-24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166694 2014-04-30
EP14166694.1 2014-04-30
PCT/EP2015/058909 WO2015165813A1 (en) 2014-04-30 2015-04-24 An electrically heated aerosol-generating system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1430A Division KR20220166358A (ko) 2014-04-30 2015-04-24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7253A KR20160147253A (ko) 2016-12-22
KR102472386B1 true KR102472386B1 (ko) 2022-12-01

Family

ID=5063930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1430A KR20220166358A (ko) 2014-04-30 2015-04-24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KR1020167025472A KR102472386B1 (ko) 2014-04-30 2015-04-24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1430A KR20220166358A (ko) 2014-04-30 2015-04-24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Country Status (29)

Country Link
US (4) US10333330B2 (ko)
EP (4) EP3136889B2 (ko)
JP (3) JP6643245B2 (ko)
KR (2) KR20220166358A (ko)
CN (4) CN116473310A (ko)
AR (1) AR100228A1 (ko)
AU (1) AU2015252164B2 (ko)
BR (1) BR112016023120B1 (ko)
CA (1) CA2937281A1 (ko)
DK (1) DK3136889T3 (ko)
ES (3) ES2911081T3 (ko)
HK (1) HK1258719A1 (ko)
HU (3) HUE058042T2 (ko)
IL (1) IL246535B (ko)
LT (1) LT3136889T (ko)
MX (1) MX2016014079A (ko)
MY (1) MY188106A (ko)
NO (1) NO3136889T3 (ko)
PH (1) PH12016501299A1 (ko)
PL (2) PL3136889T5 (ko)
PT (1) PT3136889T (ko)
RS (1) RS57141B1 (ko)
RU (1) RU2676256C2 (ko)
SG (1) SG11201605888QA (ko)
SI (1) SI3136889T1 (ko)
TW (1) TWI681691B (ko)
UA (1) UA118782C2 (ko)
WO (1) WO2015165813A1 (ko)
ZA (1) ZA20160445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44793B2 (en) 2005-07-19 2019-04-02 Juul Labs, Inc. Devices for vaporization of a substance
US10279934B2 (en) 2013-03-15 2019-05-07 Juul Labs, Inc. Fillable vaporizer cartridge and method of filling
PL3033819T3 (pl) 2013-08-15 2019-07-31 Fontem Holdings 4 B.V. Sposób, system i urządzenie do bezprzełącznikowego wykrywania i ładowania
US10980273B2 (en) 2013-11-12 2021-04-20 VMR Products, LLC Vaporizer, charger and methods of use
US10076139B2 (en) 2013-12-23 2018-09-18 Juul Labs, Inc. Vaporizer apparatus
US20160366947A1 (en) 2013-12-23 2016-12-22 James Monsees Vaporizer apparatus
JP6653432B2 (ja) 2013-12-23 2020-02-26 ジュール・ラブ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Juul Labs, Inc. 気化装置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0159282B2 (en) 2013-12-23 2018-12-25 Juul Labs, Inc. Cartridge for use with a vaporizer device
USD842536S1 (en) 2016-07-28 2019-03-05 Juul Labs, Inc. Vaporizer cartridge
US10058129B2 (en) 2013-12-23 2018-08-28 Juul Labs, Inc. Vaporization device systems and methods
USD825102S1 (en) 2016-07-28 2018-08-07 Juul Labs, Inc. Vaporizer device with cartridge
WO2016012795A1 (en) 2014-07-24 2016-01-28 Nicoventures Holdings Limited Re-charging pack for an e-cigarette
TWI681691B (zh) * 2014-04-30 2020-01-01 瑞士商菲利浦莫里斯製品股份有限公司 電熱式氣溶膠產生系統、裝置及其控制方法
PL3143677T3 (pl) 2014-05-13 2020-08-10 Fontem Holdings 4 B.V. Charakterystyka i inteligentne ładowanie papierosów elektronicznych
GB2528711B (en) 2014-07-29 2019-02-20 Nicoventures Holdings Ltd E-cigarette and re-charging pack
CA2955437A1 (en) * 2014-10-17 2016-04-21 Philip Morris Products S.A.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electrical contacts in electrical device
MX2017007042A (es) 2014-12-05 2018-06-15 Juul Labs Inc Control de dosis calibrada.
CO2018009342A2 (es) 2016-02-11 2018-09-20 Juul Labs Inc Cartuchos de fijación segura para dispositivos vaporizadores
SG11201806793TA (en) 2016-02-11 2018-09-27 Juul Labs Inc Fillable vaporizer cartridge and method of filling
US10405582B2 (en) 2016-03-10 2019-09-10 Pax Labs, Inc. Vaporization device with lip sensing
MX2018012389A (es) * 2016-04-22 2019-02-14 Philip Morris Products Sa Dispositivo generador de aerosol que comprende calentadores semiconductores.
US10645972B2 (en) 2016-04-22 2020-05-12 Altria Client Services Llc Aerosol-generating device comprising semiconductor heaters
USD849996S1 (en) 2016-06-16 2019-05-28 Pax Labs, Inc. Vaporizer cartridge
USD836541S1 (en) 2016-06-23 2018-12-25 Pax Labs, Inc. Charging device
USD851830S1 (en) 2016-06-23 2019-06-18 Pax Labs, Inc. Combined vaporizer tamp and pick tool
US11533953B2 (en) 2016-06-29 2022-12-27 Philip Morris Products S.A. Battery powered aerosol-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 temperature dependent battery pre-heating
TW201800020A (zh) * 2016-06-29 2018-01-01 菲利浦莫里斯製品股份有限公司 具有可充電電源供應器之電操作式氣溶膠產生系統
CA3175959C (en) 2016-12-16 2024-05-14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on method and apparatus
CN108244705B (zh) * 2016-12-29 2024-05-24 上海烟草集团有限责任公司 加热不燃烧烟具
EP3566280B1 (en) * 2017-01-03 2021-08-11 Philip Morris Products S.A. An in-vehicle charging station for an electrically heated aerosol-generating device
KR101987235B1 (ko) * 2017-01-18 2019-09-30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전기 가열식 흡연기의 히터
KR102183092B1 (ko) * 2017-01-18 2020-11-2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전력 효율이 개선된 미세 입자 발생 장치
KR102185911B1 (ko) * 2017-01-18 2020-12-03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충전 시스템
CN110191650B (zh) * 2017-01-18 2022-08-05 韩国烟草人参公社 微细颗粒产生装置
WO2018135888A1 (ko) * 2017-01-18 2018-07-2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충전 시스템
WO2018135887A1 (ko) * 2017-01-18 2018-07-2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미세 입자 발생 장치
EP3747288A1 (en) 2017-01-18 2020-12-09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nd charging system including same
KR102185910B1 (ko) * 2017-01-18 2020-12-03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사용 정보를 출력해주는 미세 입자 발생 장치
KR102316497B1 (ko) * 2017-01-18 2021-10-2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199792B1 (ko) * 2017-01-18 2021-01-0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가열 방식의 미세 입자 발생 장치
CN110475488B (zh) * 2017-03-30 2022-07-26 韩国烟草人参公社 气溶胶生成装置及可容纳该气溶胶生成装置的托架
RU2737855C1 (ru) * 2017-03-30 2020-12-03 Кей Ти Энд Джи Корпорейшн Устройство генерирования аэрозоля и держатель с возможностью размещения этого устройства
KR102246245B1 (ko) * 2017-03-30 2021-04-2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수용할 수 있는 크래들
US11252999B2 (en) 2017-04-11 2022-02-22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JP6854361B2 (ja) 2017-04-11 2021-04-07 ケーティー・アンド・ジー・コーポレーション 喫煙部材クリーニングデバイス及び喫煙部材システム
US11771138B2 (en) 2017-04-11 2023-10-03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smoking restriction function in aerosol generating device
US11596179B2 (en) * 2017-04-11 2023-03-07 Altria Client Services Llc Aerosol-generating devices
KR102628151B1 (ko) * 2017-04-11 2024-01-23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
CN114766739A (zh) 2017-04-11 2022-07-22 韩国烟草人参公社 提供基于抽吸识别的适应性反馈的气溶胶生成设备及方法
JP7082140B2 (ja) 2017-04-11 2022-06-07 ケーティー アンド ジー コーポレイション パフ認識を介した適応的なフィードバックを提供するエアロゾル生成デバイス及びその方法
KR20180114825A (ko) 2017-04-11 2018-10-1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전자 담배 제어 방법 및 장치
US11622582B2 (en) 2017-04-11 2023-04-11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daptive feedback through puff recognition
KR102146053B1 (ko) * 2017-05-11 2020-08-20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충전 시스템
KR102035313B1 (ko) 2017-05-26 2019-10-22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히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WO2018217030A1 (ko) * 2017-05-26 2018-11-2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충전 시스템
CN110662438B (zh) 2017-05-26 2022-10-28 韩国烟草人参公社 气溶胶生成装置的充电系统
WO2018230002A1 (ja) * 2017-06-16 2018-12-20 株式会社 東亜産業 非タバコ植物を用いた電子タバコカートリッジ用充填物の製造方法、および非タバコ植物を用いた電子タバコカートリッジ用充填物
JP6940218B2 (ja) 2017-08-09 2021-09-22 ケーティー・アンド・ジー・コーポレーション 電子タバコ制御方法及び装置
CN116172276A (zh) 2017-08-09 2023-05-30 韩国烟草人参公社 气溶胶生成装置及气溶胶生成装置控制方法
EP3753423A1 (en) 2017-09-06 2020-12-23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on device
WO2019050132A1 (ko) * 2017-09-06 2019-03-1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USD887632S1 (en) 2017-09-14 2020-06-16 Pax Labs, Inc. Vaporizer cartridge
US10505383B2 (en) * 2017-09-19 2019-12-10 Rai Strategic Holdings, Inc. Intelligent charger for an aerosol delivery device
KR102649033B1 (ko) * 2017-11-30 2024-03-20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액체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기 위한 시스템
CN207803449U (zh) * 2018-01-16 2018-09-04 东莞市国研电热材料有限公司 一种电子烟用圆棒状陶瓷发热体
AU2019209228B2 (en) * 2018-01-19 2023-09-07 Ventus Medical Limited Methods, inhalation device, and computer program
JP6903221B2 (ja) * 2018-03-26 2021-07-14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装置及び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BR112020021473A2 (pt) 2018-05-17 2021-01-19 Philip Morris Products S.A. Dispositivo gerador de aerossol com bobina indutora melhorada
KR102563020B1 (ko) 2018-05-31 2023-08-03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향미 생성 장치
JP7303832B2 (ja) * 2018-06-28 2023-07-05 ジェイティー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エス.エイ. 電子喫煙装置、ディスペンサー、喫煙システム、及びタバコムース配合物を供給する方法
EP3820315A2 (en) 2018-07-10 2021-05-19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system with air quality sensor
US20200035118A1 (en) 2018-07-27 2020-01-30 Joseph Pandolfino Methods and products to facilitate smokers switching to a tobacco heating product or e-cigarettes
US10897925B2 (en) 2018-07-27 2021-01-26 Joseph Pandolfino Articles and formulations for smoking products and vaporizers
EP3838034B1 (en) * 2018-08-13 2023-08-09 Japan Tobacco Inc. Flavor generation system, method, and program
JP6577113B1 (ja) 2018-10-03 2019-09-18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装置、エアロゾル生成装置用の制御ユニット、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0058236A (ja) 2018-10-04 2020-04-16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吸引成分生成装置、制御回路、吸引成分生成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WO2020092245A1 (en) * 2018-10-29 2020-05-07 Zorday IP, LLC Network-enabled electronic cigarette
JP6557393B1 (ja) * 2018-10-31 2019-08-07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吸引器用の電源ユニットと、そ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6647436B1 (ja) 2019-01-17 2020-02-14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吸引器用の電源ユニット、エアロゾル吸引器用の電源ユニット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GB201900827D0 (en) * 2019-01-21 2019-03-13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Tobacco industy product and methods relating to tobacco industry products
JP7483739B2 (ja) * 2019-03-22 2024-05-15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エアロゾル発生装置用の回転可能なホルダー付きケース
JP6639720B1 (ja) * 2019-04-09 2020-02-05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吸引装置に具備される電源ユニット、吸引装置、及び電源ユニットを動作させる方法
KR102275791B1 (ko) * 2019-08-16 2021-07-0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물품,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JP7308174B2 (ja) * 2019-08-20 2023-07-13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装置、エアロゾル生成装置用の制御ユニット、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10039199A (ko) * 2019-10-01 2021-04-0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330809B1 (ko) * 2019-10-17 2021-11-2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예열 방법
GB201917444D0 (en) * 2019-11-29 2020-01-15 Nicoventures Trading Ltd Aerosol provision device
KR102397451B1 (ko) * 2020-01-06 2022-05-12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323511B1 (ko) * 2020-02-05 2021-11-0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EP3937337B1 (en) 2020-07-09 2022-11-09 Japan Tobacco Inc. Power supply unit for aerosol inhaler comprising a temperature sensor
JP6864769B1 (ja) 2020-07-09 2021-04-28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吸引器の電源ユニット
JP6905134B1 (ja) 2020-09-07 2021-07-21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
JP6856810B1 (ja) * 2020-09-07 2021-04-14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
JP6856811B1 (ja) 2020-09-07 2021-04-14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
WO2022241643A1 (zh) * 2021-05-18 2022-11-24 深圳麦克韦尔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雾化装置的驱动电路以及电子雾化装置
KR102545834B1 (ko) * 2021-06-25 2023-06-20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30085770A (ko) * 2021-12-07 2023-06-1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장치 및 그 동작방법
WO2023118786A1 (en) * 2021-12-21 2023-06-29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Aerosol provision system
KR20230103461A (ko) * 2021-12-31 2023-07-0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장치
CN114271554A (zh) * 2022-01-04 2022-04-05 上海烟草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气溶胶生成系统及其控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17130A1 (en) 1996-10-22 1998-04-30 Philip Morris Products Inc. Electronic smoking system
WO2013098398A2 (en) 2011-12-30 2013-07-04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 generating system with consumption monitoring and feedback
WO2013102612A2 (en) 2012-01-03 2013-07-11 Philip Morris Products S.A. Power supply system for portable aerosol-generating device
WO2014060267A2 (en) * 2012-10-19 2014-04-24 Nicoventures Holdings Limited Electronic vapour provis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1838A (en) 1979-12-26 1981-09-29 C. R. Bard, Inc. Nebulizer and associated heater
JP3096319B2 (ja) * 1990-07-13 2000-10-10 日立工機株式会社 急速充電器
US5192919A (en) 1991-10-03 1993-03-09 Motorola, Inc. Transmitter having a temperature adjusted power amplifier
US5712795A (en) 1995-10-02 1998-01-27 Alaris Medical Systems, Inc. Power management system
US6694975B2 (en) 1996-11-21 2004-02-24 Aradigm Corporation Temperature controlling device for aerosol drug delivery
US6142146A (en) 1998-06-12 2000-11-07 Microdose Technologies, Inc. Inhalation device
JP3563965B2 (ja) * 1998-06-29 2004-09-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充電装置
JP2001251780A (ja) 2000-03-07 2001-09-14 Sharp Corp 二次電池の充電装置
US7166987B2 (en) 2003-10-10 2007-01-23 R. F. Tech Co., Ltd Portable charger for mobile phone
EP1530383B1 (en) 2003-11-10 2006-06-14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s and system for limiting communication capabilities in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JP4101218B2 (ja) 2004-08-31 2008-06-18 三洋電機株式会社 充電器
JP2006115654A (ja) * 2004-10-18 2006-04-27 Nec Corp 充電制御回路、充電制御方法、及び該充電制御回路が設けられた電子機器
KR100630929B1 (ko) * 2004-12-03 2006-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 시스템 및 전자기기 시스템의 제어방법
JP2007006628A (ja) * 2005-06-24 2007-01-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充電器およびそれを用いる電動工具セット
JP4796674B2 (ja) 2005-06-24 2011-10-19 日立ビアメカニクス株式会社 スキャナ
US7186958B1 (en) 2005-09-01 2007-03-06 Zhao Wei, Llc Inhaler
US8264203B2 (en) 2006-03-31 2012-09-11 Valence Technology, Inc. Monitoring state of charge of a battery
KR100929036B1 (ko) 2007-09-27 2009-11-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의 보호회로,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및 이의동작방법
EP2213321B1 (en) * 2007-11-29 2014-07-23 Japan Tobacco Inc. Aerosol inhaling system
EP2100525A1 (en) * 2008-03-14 2009-09-16 Philip Morris Products S.A. Electrically heated aerosol generating system and method
US20090251108A1 (en) 2008-04-03 2009-10-08 Chun-Chen Chao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adjusting charging current for a rechargeable battery unit thereof
US20090283103A1 (en) 2008-05-13 2009-11-19 Nielsen Michael D Electronic vaporizing devices and docking stations
JP4829999B2 (ja) 2009-05-08 2011-12-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源装置及び電池パック
CN101634469B (zh) * 2009-09-01 2012-11-14 东莞天龙阿克达电子有限公司 一种便携式取暖器
EP2339715B1 (en) 2009-12-22 2012-08-08 CTEK Sweden AB A battery charging system, a battery operated system and a method for state controlled charging
CN201549917U (zh) * 2010-03-01 2010-08-11 北京地铁车辆装备有限公司 蓄电池组件
EP2563172B2 (en) 2010-04-30 2022-05-04 Fontem Holdings 4 B.V. Electronic smoking device
CN101826744B (zh) * 2010-05-05 2012-06-06 深圳爱商精密电子有限公司 铁电池充电电路
US8334675B2 (en) * 2010-07-28 2012-12-18 Honda Motor Co., Ltd. Method of charging battery based on calcualtion of an ion concentration of a solid active material and battery charging control system
EP2454956A1 (en) 2010-11-19 2012-05-23 Philip Morris Products S.A. An electrically heated smoking system comprising at least two units
US9300157B2 (en) * 2010-11-25 2016-03-29 Nokia Technologies Oy Context aware battery charging
MX338918B (es) 2011-07-18 2016-05-05 Cadens Medical Imaging Inc Metodo y sistema para llevar a cabo una representacion.
JP5794104B2 (ja) * 2011-10-27 2015-10-14 ソニー株式会社 電池パック、蓄電システム、電子機器、電動車両および電力システム
RU2621596C2 (ru) * 2011-12-30 2017-06-06 Филип Моррис Продактс С.А. Аэрозоль-генер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с обнаружением воздушного потока
TWI464997B (zh) * 2012-05-02 2014-12-11 Wistron Corp 電池充電電路
US9360379B2 (en) 2012-06-16 2016-06-07 Huizhou Kimree Technology Co., Ltd., Shenzhen Branch Electronic cigarette case and electronic cigarette device
EP2701268A1 (en) 2012-08-24 2014-02-26 Philip Morris Products S.A. Portable electronic system including charging device and method of charging a secondary battery
EP2895930B1 (en) * 2012-09-11 2016-11-02 Philip Morris Products S.A.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ical heater to control temperature
WO2014047953A1 (zh) * 2012-09-29 2014-04-03 Wu Changming 一种电子吸烟装置
CN203166473U (zh) 2013-03-20 2013-08-28 向智勇 电子烟或烟弹的过热保护装置
CN203986093U (zh) * 2013-09-13 2014-12-10 惠州市吉瑞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烟的电池组件、雾化组件以及电子烟
KR101854218B1 (ko) * 2013-10-22 2018-05-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배터리 팩의 충전 방법
TWI681691B (zh) * 2014-04-30 2020-01-01 瑞士商菲利浦莫里斯製品股份有限公司 電熱式氣溶膠產生系統、裝置及其控制方法
MX2016014082A (es) * 2014-04-30 2017-02-09 Philip Morris Products Sa Dispositivo generador de aerosol con indicacion de bateria.
US10470496B2 (en) * 2015-04-15 2019-11-12 Philip Morris Product S.A.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ical heater to limit temperature according to desired temperature profile over ti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17130A1 (en) 1996-10-22 1998-04-30 Philip Morris Products Inc. Electronic smoking system
WO2013098398A2 (en) 2011-12-30 2013-07-04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 generating system with consumption monitoring and feedback
WO2013102612A2 (en) 2012-01-03 2013-07-11 Philip Morris Products S.A. Power supply system for portable aerosol-generating device
WO2014060267A2 (en) * 2012-10-19 2014-04-24 Nicoventures Holdings Limited Electronic vapour provis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333330B2 (en) 2019-06-25
HK1258719A1 (zh) 2019-11-15
KR20220166358A (ko) 2022-12-16
SG11201605888QA (en) 2016-08-30
AU2015252164B2 (en) 2019-10-03
PL3769635T3 (pl) 2022-06-20
EP3136889A1 (en) 2017-03-08
EP3769635A1 (en) 2021-01-27
JP6643245B2 (ja) 2020-02-12
PL3136889T3 (pl) 2018-08-31
US20210329974A1 (en) 2021-10-28
CN116473310A (zh) 2023-07-25
MX2016014079A (es) 2017-05-03
MY188106A (en) 2021-11-20
EP3769635B1 (en) 2022-03-09
KR20160147253A (ko) 2016-12-22
RU2018140959A (ru) 2018-12-24
RU2676256C2 (ru) 2018-12-26
CN116491720A (zh) 2023-07-28
HUE036978T2 (hu) 2018-08-28
EP3357358B1 (en) 2020-09-30
IL246535A0 (en) 2016-08-31
RU2016146694A (ru) 2018-05-31
PH12016501299B1 (en) 2016-08-15
HUE058042T2 (hu) 2022-06-28
BR112016023120B1 (pt) 2022-03-15
US11083225B2 (en) 2021-08-10
DK3136889T3 (en) 2018-04-16
EP4035546A1 (en) 2022-08-03
UA118782C2 (uk) 2019-03-11
JP2023054267A (ja) 2023-04-13
BR112016023120A8 (pt) 2021-04-06
NO3136889T3 (ko) 2018-08-18
ES2666428T3 (es) 2018-05-04
ES2828353T3 (es) 2021-05-26
JP7234152B2 (ja) 2023-03-07
EP3357358A1 (en) 2018-08-08
US10483781B2 (en) 2019-11-19
US20170033568A1 (en) 2017-02-02
WO2015165813A1 (en) 2015-11-05
PL3136889T5 (pl) 2022-07-18
US20200006950A1 (en) 2020-01-02
BR112016023120A2 (ko) 2017-08-15
CN116491721A (zh) 2023-07-28
CA2937281A1 (en) 2015-11-05
JP2020043877A (ja) 2020-03-26
ZA201604456B (en) 2017-08-30
HUE051169T2 (hu) 2021-03-01
JP2017518733A (ja) 2017-07-13
AU2015252164A1 (en) 2016-07-21
PT3136889T (pt) 2018-06-29
EP3136889B1 (en) 2018-03-21
PH12016501299A1 (en) 2016-08-15
RU2016146694A3 (ko) 2018-09-26
RU2018140959A3 (ko) 2022-03-01
RS57141B1 (sr) 2018-07-31
IL246535B (en) 2022-09-01
CN106132222A (zh) 2016-11-16
US20190252888A1 (en) 2019-08-15
SI3136889T1 (en) 2018-05-31
TWI681691B (zh) 2020-01-01
ES2911081T3 (es) 2022-05-17
EP3136889B2 (en) 2022-03-09
AR100228A1 (es) 2016-09-21
LT3136889T (lt) 2018-04-25
TW201625057A (zh) 2016-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2386B1 (ko) 전기 가열식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US9883700B2 (en) Aerosol-generating device and system
KR20180085365A (ko) 가열 방식의 미세 입자 발생 장치
CN115334918A (zh) 气溶胶生成装置
RU2780825C2 (ru) Электрически нагреваемая система, генерирующая аэрозоль
JP2023540715A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JP2024506219A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およびその動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