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2381B1 - 관절건강에 도움을 주는 건강기능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관절건강에 도움을 주는 건강기능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2381B1
KR102472381B1 KR1020220105669A KR20220105669A KR102472381B1 KR 102472381 B1 KR102472381 B1 KR 102472381B1 KR 1020220105669 A KR1020220105669 A KR 1020220105669A KR 20220105669 A KR20220105669 A KR 20220105669A KR 102472381 B1 KR102472381 B1 KR 102472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llow bark
extract
prepared
weight
bark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5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학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내추럴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내추럴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내추럴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05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23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2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2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L3/44Freeze-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5Vitamins
    • A23L33/155Vitamins A or 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6Inorganic salts, minerals or trac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23P10/28Tabletting; Making food bars by compression of a dry powdered mixtur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one mass, e.g. osteoporosis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4Membrane process

Abstract

본 발명은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 상기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과 MSM, N-아세틸글루코사민, 칼슘, 마그네슘, 아연 및 비타민 D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부재료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건강에 도움을 주는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관절건강에 도움을 주는 건강기능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Health functional food improving joint health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과 상기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을 이용한 관절건강에 도움을 주는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인체에서 관절은 두 개의 뼈가 연결된 부분으로 관절 연골로 둘러싸여 있다. 뼈는 칼슘과 인이 석회화된 단단한 조직으로 몸을 지탱하고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관절 연골이 손실되지 않고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여 관절을 부드럽게 움직이며, 정상적인 뼈의 분해와 재형성이 일어나는 것을 건강한 관절/뼈라고 할 수 있다.
인체의 뼈는 매일 조금씩 분해되고, 분해된 양만큼 새로운 뼈로 채워짐으로써 항상성을 유지하는 매우 역동적인 기관이다. 뼈를 분해하는 파골세포 (Osteoclast)와 뼈를 재생하는 조골세포(Osteoblast)는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RANKL(Receptor Activator of NF-κB Ligand)는 염증 전구 단백질이며 파골세포 표면 수용체 단백질이다. 뼈를 흡수하는 파골세포의 활성이 증가하게 되면, 뼈의 분해가 촉진, 뼈가 얇아지고 쉽게 부러지는 골다공증과 같은 질병이 일어나게 되며, 조골세포의 활성이 증가하게 되면, 골밀도의 증가로 뼈의 기형이나 골석화증이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파골세포 분화와 활성의 증가는 치주염, 골다공증, 관절염 등과 같은 뼈의 파괴를 가져오게 된다.
그렇지만 현대인은 칼슘과 단백질의 부족, 호르몬의 불균형, 신체 활동량의 감소, 가공식품의 잦은 섭취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무리가 가해져 관절/뼈의 건강을 해칠 수 있다.
버드나무속(Salix genus) 식물은 버드나무과 (Salicaceae)에 속하는 식물로서, 예를 들어, 왕버들(Salix glandulosa SEEM), 갯버들(Salix gracilistyla Miq), 수양버들(Salix babylonica L), 개수양버들(S. dependens NAKAI) 등을 포함하며, 그 가지를 유지, 뿌리 및 수염뿌리를 유근, 가지 또는 뿌리 껍질을 유백피, 잎을 유엽, 꽃을 유화 등으로 지칭하며 성분으로는 살리신(salicin), 탄닌(tannin)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류마티스성 통증 등의 치료에 사용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9-0115927호에는 복합 소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건강 개선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992686호에는 체력 및 관절건강 증진을 위한 생약농축고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관절건강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과는 상이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관절건강에 좋다고 알려진 버드나무 껍질을 이용하여 소비자들이 손쉽게 섭취할 수 있는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기 위해, 버드나무 껍질의 이취는 제거하면서 풍미 및 맛을 향상시키고 기능성도 높일 수 있는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 및 관절건강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1) 버드나무 껍질을 볶음 처리하여 볶은 버드나무 껍질을 준비하는 단계; (2) 녹각, 마가목 및 장미 열매를 혼합하여 약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2)단계의 제조한 약재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고 추출한 후 여과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4) 상기 (3)단계의 제조한 추출액에 상기 (1)단계의 준비한 볶은 버드나무 껍질을 첨가하고 추출한 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을 동결건조한 버드나무 껍질 추출 분말에 MSM(Methyl Sulfonyl Methane), N-아세틸글루코사민(N-Acetyl glucosamine), 칼슘, 마그네슘, 아연 및 비타민 D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재료를 혼합한 후 타정기로 타정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타블렛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버드나무 껍질의 가공공정을 통해 이취나 쓴맛은 저감시켜 소비자들이 거부감없이 섭취가 가능하면서, 관절건강에 더욱 도움을 줄 수 있는 추출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에 기능성으로 인증된 원료인 MSM, N-아세틸글루코사민, 칼슘, 마그네슘 및 아연 등과 같은 재료들을 배합하여 소비자들이 손쉽게 섭취할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의 조골세포 및 파골세포 분화능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의 류마티스 지수 저해능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버드나무 껍질을 볶음 처리하여 볶은 버드나무 껍질을 준비하는 단계;
(2) 녹각, 마가목 및 장미 열매를 혼합하여 약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2)단계의 제조한 약재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고 추출한 후 여과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4) 상기 (3)단계의 제조한 추출액에 상기 (1)단계의 준비한 볶은 버드나무 껍질을 첨가하고 추출한 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1)단계는 바람직하게는 버드나무 껍질을 170~190℃에서 4~6분 동안 1차 볶음 처리한 후 식히고, 120~140℃에서 8~12분 동안 2차 볶음 처리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버드나무 껍질을 180℃에서 5분 동안 1차 볶음 처리한 후 식히고, 130℃에서 10분 동안 2차 볶음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2)단계의 약재 혼합물은 약재 혼합물 총 중량 기준으로, 약재 혼합물 총 중량 기준으로, 녹각 21~25 중량%, 마가목 43~47 중량% 및 장미 열매 30~34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재 혼합물 총 중량 기준으로, 녹각 23 중량%, 마가목 45 중량% 및 장미 열매 32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예비실험에서 상기 종류 및 배합비로 조합한 약재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상기 약재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다른 배합비로 배합하여 사용하는 것에 비해, 풍미 및 맛을 향상시키고 관절건강 기능성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3)단계의 추출액은 바람직하게는 약재 혼합물에 물 18~22배(v/w)를 첨가하고 70~90℃에서 20~40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재 혼합물에 물을 20배(v/w) 첨가하고 80℃에서 30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4)단계는 바람직하게는 추출액에 추출액 대비 볶은 버드나무 껍질 4~6%(w/v)를 첨가하고 80~90℃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추출액에 추출액 대비 볶은 버드나무 껍질 5%(w/v)를 첨가하고 85℃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할 수 있다.
상기 (1) 내지 (4)단계와 같은 재료 종류, 배합비 및 추출하여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이 버드나무 껍질 특유의 이취는 제거되고 재료들이 잘 어우러져 관능적 특성이 향상되면서 관절건강 기능의 품질이 우수한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로 제조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1) 버드나무 껍질을 170~190℃에서 4~6분 동안 1차 볶음 처리한 후 식히고, 120~140℃에서 8~12분 동안 2차 볶음 처리하여 볶은 버드나무 껍질을 준비하는 단계;
(2) 약재 혼합물 총 중량 기준으로, 녹각 21~25 중량%, 마가목 43~47 중량% 및 장미 열매 30~34 중량%를 혼합하여 약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2)단계의 제조한 약재 혼합물에 물 18~22배(v/w)를 첨가하고 70~90℃에서 20~40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4) 상기 (3)단계의 제조한 추출액에 추출액 대비 상기 (1)단계의 준비한 볶은 버드나무 껍질 4~6%(w/v)를 첨가하고 80~90℃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1) 버드나무 껍질을 180℃에서 5분 동안 1차 볶음 처리한 후 식히고, 130℃에서 10분 동안 2차 볶음 처리하여 볶은 버드나무 껍질을 준비하는 단계;
(2) 약재 혼합물 총 중량 기준으로, 녹각 23 중량%, 마가목 45 중량% 및 장미 열매 32 중량%를 혼합하여 약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2)단계의 제조한 약재 혼합물에 물 20배(v/w)를 첨가하고 80℃에서 30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4) 상기 (3)단계의 제조한 추출액에 추출액 대비 상기 (1)단계의 준비한 볶은 버드나무 껍질 5%(w/v)를 첨가하고 85℃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을 동결건조한 버드나무 껍질 추출 분말에 MSM(Methyl Sulfonyl Methane), N-아세틸글루코사민(N-Acetyl glucosamine), 칼슘, 마그네슘, 아연 및 비타민 D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재료를 혼합한 후 타정기로 타정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타블렛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혼합 타블렛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재료 혼합 시 포도당,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이산화규소, 스테아린산마그네슘, 프락토올리고당, 카복시메틸셀룰로스칼슘, 초록입홍합분말, 생선콜라겐, 보스웰리아추출물분말, 울금추출물분말, 상어연골분말, 식물혼합발효추출물분말, 효소혼합분말, 프로폴리스추출물분말 및 히알루론산혼합제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재료를 추가로 혼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제조예 및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
(1) 버드나무 껍질을 180℃에서 5분 동안 1차 볶음 처리한 후 30℃ 이하로 식히고, 130℃에서 10분 동안 2차 볶음 처리하여 볶은 버드나무 껍질을 준비하였다.
(2) 약재 혼합물 총 중량 기준으로, 녹각 23 중량%, 마가목 열매 45 중량% 및 건조된 장미 열매 32 중량%를 혼합하여 약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3) 상기 (2)단계의 제조한 약재 혼합물(50 g)에 정제수 20배(v/w, 1 L)를 첨가하고 80℃에서 30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4) 상기 (3)단계의 제조한 추출액에 추출액 대비 상기 (1)단계의 준비한 볶은 버드나무 껍질 5%(w/v, 50 g)를 첨가하고 85℃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였다.
제조예 2. 관절건강에 도움이 되는 건강기능식품
제조예 1의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을 이용하여 관절건강에 도움이 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기 위해, 하기와 같이 식약청 건강기능식품에 기능성으로 인증된 원료 6가지를 사용하였으며, 원료 각각의 효능은 하기와 같다.
1. 엠에스엠(MSM, 고시형): 관절 및 연골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음
2. N-아세틸글루코사민(N-Acetyl glucosamine): 1) 관절 및 연골건강, 2) 피부보습에 도움을 줄 수 있음
3. 칼슘: 1) 뼈와 치아 형성에 필요, 2) 신경과 근육기능 유지에 필요, 3) 정상적인 혈액응고에 필요, 4) 골다공증 발생 위험 감소에 도움을 줌
4. 마그네슘: 1) 에너지 이용에 필요, 2) 신경과 근육 기능 유지에 필요
5. 아연: 1) 정상적인 면역기능에 필요, 2) 정상적인 세포 분열에 필요
6. 비타민 D: 1) 칼슘과 인이 흡수되고 이용되는데 필요, 2) 뼈의 형성과 유지에 필요, 3) 골다공증 발생 위험 감소에 도움 줌
제조예 1의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 및 기능성 원료 6가지와 부재료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시제품의 제조방법은 하기와 같다.
(1) 제조예 1의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을 동결건조하여 버드나무 껍질 추출 분말을 제조하였다.
(2) 건강기능식품 시제품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1)단계의 제조한 버드나무 껍질 추출 분말 1 중량%와 엠에스엠(MSM, 고시형) 38 중량%, N-아세틸글루코사민(N-Acetyl glucosamine) 26.316 중량%, 유청칼슘 22.5 중량%, 산화마그네슘 4 중량%, 산화아연 0.28 중량%, 비타민D3 혼합제제 0.11 중량%, 분말결정포도당 3.584 중량%,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1 중량%, 이산화규소 0.8 중량%, 스테아린산마그네슘 0.8 중량%, 프락토올리고당 0.5 중량%, 카복시메틸셀룰로스칼슘 0.3 중량%, 초록입홍합분말 0.1 중량%, 생선콜라겐 0.1 중량%, 보스웰리아추출물분말 0.1 중량%, 울금추출물분말 0.1 중량%, 상어연골분말 0.1 중량%, 식물혼합발효추출물분말 S-40 0.1 중량%, 효소혼합분말(멀티바이오자임) 0.1 중량%, 프로폴리스추출물분말 0.1 중량% 및 히알루론산혼합제제 0.01 중량%를 혼합한 혼합물을 타정기에 넣어 타정하였다.
비교예 1.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
(1) 버드나무 껍질을 180℃에서 5분 동안 1차 볶음 처리한 후 30℃ 이하로 식히고, 130℃에서 10분 동안 2차 볶음 처리하여 볶은 버드나무 껍질을 준비하였다.
(2) 정제수(1 L)에 정제수 대비 상기 (1)단계의 준비한 볶은 버드나무 껍질 10%(w/v, 100 g)를 첨가하고 85℃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였다.
비교예 2.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
제조예 1의 방법으로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을 제조하되, (2)단계의 약재 혼합물 제조 시 마가목 열매 및 장미 열매를 사용하지 않고, 녹각만 사용한 약재를 이용하여,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
제조예 1의 방법으로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을 제조하되, (2)단계의 약재 혼합물 제조 시 녹각 및 장미 열매를 사용하지 않고, 마가목 열매만 사용한 약재를 이용하여,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
제조예 1의 방법으로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을 제조하되, (2)단계의 약재 혼합물 제조 시 녹각 및 마가목 열매를 사용하지 않고, 장미 열매만 사용한 약재를 이용하여,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
제조예 1의 방법으로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을 제조하되, (1)단계의 버드나무 껍질을 볶음 처리하는 구성을 생략하여,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6.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
제조예 1의 방법으로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을 제조하되, (2)단계의 약재 혼합물 제조 시, 약재 혼합물 총 중량 기준으로, 녹각 40 중량%, 마가목 열매 35 중량% 및 건조된 장미 열매 25 중량%를 혼합한 약재 혼합물을 이용하여,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7.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
(1) 버드나무 껍질을 230℃에서 3분 동안 1차 볶음 처리한 후 30℃ 이하로 식히고, 160℃에서 5분 동안 2차 볶음 처리하여 볶은 버드나무 껍질을 준비하였다.
(2) 약재 혼합물 총 중량 기준으로, 녹각 23 중량%, 마가목 열매 45 중량% 및 건조된 장미 열매 32 중량%를 혼합하여 약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3) 상기 (2)단계의 제조한 약재 혼합물(50 g)에 정제수 20배(v/w, 1 L)를 첨가하고 110℃에서 1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4) 상기 (3)단계의 제조한 추출액에 추출액 대비 상기 (1)단계의 준비한 볶은 버드나무 껍질 5%(w/v, 50 g)를 첨가하고 70℃에서 1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였다.
실시예 1. 골관련 세포 분화능
골세포의 기원 세포인 조골모세포(MC3T3-E1,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Rockville, MD, USA)의 조골세포로의 분화능(ALP 활성도)에 대한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의 분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조골모세포는 10% FBS(fetal bovine serum, Invitrogen Co., Carlsbad, CA, USA) 및 항생제(100 ㎍/mL penicillinm, 100 ㎍/mL streptomysin)가 함유된 37℃의 α-MEM(α-minimum essential medium, Invitrogen Co.) 성장배지 하에서 배양하였다. 조골세포 분화유도는 세포분화와 석회화 유도를 위하여, 동일배지에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50 ㎕/mL와 β-글리세로인산(β-glycerophosphate) 10 mM를 첨가하여 배양하였다. 이후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던 각각의 추출물 10 ㎍/㎖ 농도로 분화유도된 조골모세포주에 처리하고 3일 후 ALP 활성 분석을 수행하여 조골세포 분화도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1과 같이 분화유도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해 조골세포 분화유도 처리구에서 ALP 활성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 처리로 인해 유도 처리구에 비해 조골세포 분화가 더 촉진되었다. 그 중 혼합 추출물(제조예 1)이 단독 추출물(비교예 1)에 비해 조골세포의 분화 촉진이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파골세포의 기원세포인 단핵세포(monocyte)의 파골세포로의 분화능에 대한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의 파골세포 분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6주령 마우스 골수로부터 파골세포의 근원세포인 primary monocyte를 분리 배양한 후, 파골세포 분화유도를 위해 M-CSF 30 ng/mL와 RANKL 50 ng/mL를 3일간 처리하였다. 이후 추출물을 10 ㎍/㎖ 농도로 분화유도된 primary monocyte에 처리하여 6일 후 TRAP 활성 분석을 수행하여 파골세포 분화 억제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분화유도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해 파골세포 분화유도 처리구에서 TRAP 활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이 처리된 primary monocyte 세포군에서 파골세포 분화 억제 효과가 확인되었으며, 그 중 혼합 추출물(제조예 1)이 억제능이 더 높게 나타났다(도 1).
실시예 2. 관절염 개선 효과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에 대한 류마티스 관절염 개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관절염의 유발은 제2형 콜라겐을 2 mg/ml의 농도로 0.1M 아세트산에 녹인 후 Freund's incomplete adjuvant(Sigma, USA)에 유화시켜 만들었다. 그 후 100 ㎕를 마우스(DBA/1J, 6주령, 중앙실험동물)의 우측 족척에 피하주사하였다. 일차 주사 7일 후 다시 꼬리 밑동(tail head)에 동량을 추가 접종하였고, 무처리구(control)에는 추출물 시료 대신 동량의 생리식염수를 접종하였다. 마지막 접종일로부터 3주 뒤에 육안으로 관절주위 발적, 부종 및 팽창을 형성하는 개체를 선별하여 실험하였다. 추출물 투여시에는 추출물 희석액을 0.9% 생리식염수에 녹여 멤브레인 필터(0.2 ㎛, Whatman)로 여과한 후 1일 1회씩 6주 동안 경구 투여하였다.
그 결과, 류마티스 지수(Rheumatoid factors)는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 처리구에서 관절염 유도 처리구에 비해 낮은 수치를 나타내어,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이 류마티스 관절염 억제 효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중에 단독 추출물(비교예 1)에 비해 혼합 추출물(제조예 1)이 더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도 2).
실시예 3. 약재 종류에 따른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의 관능검사
제조예 1과 비교예 1 내지 4의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을 가지고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관능검사는 관능검사 요원 50명을 대상으로 제조예 1 및 비교예들의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을 각각 시음하게 하고, 향, 맛 및 전반적인 기호도를 구분하여 1점: 매우 나쁘다, 4점: 나쁘다, 3점: 보통이다, 4점: 좋다, 5점: 매우 좋다를 나타나는 5점 기호척도법으로 3 반복한 후 평균을 계산하여 나타내었다.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에 사용된 약재 종류 비교
약재 종류 제조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녹각 × × ×
마가목 × × ×
장미 열매 × × ×
그 결과,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 중에서는 제조예 1이 모든 항목에서 비교예들의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에 비해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어, 제조예 1의 추출물이 소비자들의 기호에 가장 적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의 관능검사
추출물 종류 전반적인 기호도
제조예 1 4.4 4.3 4.4
비교예 1 3.2 3.5 3.4
비교예 2 3.9 3.7 3.8
비교예 3 3.8 3.8 3.7
비교예 4 3.7 3.6 3.6
실시예 4. 제조조건에 따른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의 관능검사
제조예 1과 비교예 5 내지 7의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을 가지고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의 관능검사
추출물 종류 전반적인 기호도
제조예 1 4.4 4.3 4.4
비교예 5 4.0 3.8 3.9
비교예 6 3.7 3.8 3.8
비교예 7 3.9 3.9 3.9
그 결과, 제조예 1이 비교예 5 내지 7의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에 비해 모든 항목에서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어, 제조예 1의 조건으로 재료 배합, 볶음 처리, 추출하여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이 소비자들이 거부감없이 섭취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Claims (5)

  1. (1) 버드나무 껍질을 170~190℃에서 4~6분 동안 1차 볶음 처리한 후 식히고, 120~140℃에서 8~12분 동안 2차 볶음 처리하여 볶은 버드나무 껍질을 준비하는 단계;
    (2) 약재 혼합물 총 중량 기준으로, 녹각 21~25 중량%, 마가목 43~47 중량% 및 장미 열매 30~34 중량%를 혼합하여 약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2)단계의 제조한 약재 혼합물에 물 18~22배(v/w)를 첨가하고 70~90℃에서 20~40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4) 상기 (3)단계의 제조한 추출액에 추출액 대비 상기 (1)단계의 준비한 볶은 버드나무 껍질 4~6%(w/v)를 첨가하고 80~90℃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
  5. 제4항의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을 동결건조한 버드나무 껍질 추출 분말에 MSM(Methyl Sulfonyl Methane), N-아세틸글루코사민(N-Acetyl glucosamine), 칼슘, 마그네슘, 아연 및 비타민 D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재료를 혼합한 후 타정기로 타정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타블렛의 제조방법.
KR1020220105669A 2022-08-23 2022-08-23 관절건강에 도움을 주는 건강기능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72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5669A KR102472381B1 (ko) 2022-08-23 2022-08-23 관절건강에 도움을 주는 건강기능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5669A KR102472381B1 (ko) 2022-08-23 2022-08-23 관절건강에 도움을 주는 건강기능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2381B1 true KR102472381B1 (ko) 2022-11-30

Family

ID=84234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5669A KR102472381B1 (ko) 2022-08-23 2022-08-23 관절건강에 도움을 주는 건강기능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238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5116A (ko) * 2002-12-02 2003-01-15 주식회사 아미노젠 천연 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제 조성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하는 기능성식품
KR20150105714A (ko) * 2014-03-10 2015-09-18 (주)네이쳐푸드 관절건강에 도움을 주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5116A (ko) * 2002-12-02 2003-01-15 주식회사 아미노젠 천연 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제 조성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하는 기능성식품
KR20150105714A (ko) * 2014-03-10 2015-09-18 (주)네이쳐푸드 관절건강에 도움을 주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관절 연골 건강 건강기능식품 ‘건강백세관절비책6’ 출시. 메디컬투데이. [online], 2021.05.07., [2022.10.17. 검색], 인터넷: <URL: http://www.mdtoday.co.kr/mdtoday/index.html?no=419913> 1부.* *
류마티스 관절염 예방하는 ‘이 음료’5. 헬스조선. [online], 2022.01.20., [2022.10.17. 검색], 인터넷: <URL: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2/01/20/2022012001695.html> 1부.* *
무릎 통증’ 초기 충분한 치료 중요... 계단 오르기, 물속 걷기 등 도움. 부산일보. [online], 2020.01.07., [2022.10.17. 검색], 인터넷: <URL: https://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0010618195564095> 1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8594B1 (ko) 흑도라지청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142072A (ko) 굴을 이용한 기능성 발효물을 포함하는 뼈 건강 개선용 조성물
KR20170024321A (ko) 황칠나무 발효 추출물과 전복의 한방 복합 열수 추출물이 혼합 조성된 건강 기능성 복합 추출물의 제조방법
JP2003135028A (ja) 健康機能食品
KR102126458B1 (ko) 해삼 발효차의 제조방법
KR100872552B1 (ko) 한약재를 이용한 국밥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국밥
WO2016190566A9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KR102472381B1 (ko) 관절건강에 도움을 주는 건강기능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15622B1 (ko) 약용 및 식용 천연물 복합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507651B1 (ko) 전통주 효모 함유 천연발효효소복합액을 이용한 숙취해소, 알콜성간질환 또는 간기능 개선용 멀꿀발효물과 그 제조방법
KR100766808B1 (ko) 기능성 젓갈의 제조방법
US8524293B1 (en) Method for producing a red grape tea-like composition
KR102469337B1 (ko) 녹용 추출물 제조방법 및 녹용 추출물을 포함하는 녹용경옥고
KR102411634B1 (ko) 차전자피 및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장 기능 개선 및 배변 촉진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62749A (ko) 해조류 및 굴의 발효에 의한 지방축적 및 섭취충동 억제용 발효산물의 제조방법, 이에 따라 제조된 발효산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KR102326975B1 (ko) 표고 및 황칠을 이용한 저염의 전통발효 된장 및 이를 이용한 스프레드 잼의 제조 방법
KR100417944B1 (ko) 항산화 효과가 향상된 포도제품의 제조방법
CN1422537A (zh) 油橄榄叶食品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2009024027A (ja) 生理活性組成物
KR102651344B1 (ko) 항염, 근육 증강, 관절 건강 및 연골 건강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389839B1 (ko) 천연추출물을 포함하는 기관지 기능 개선용 건강 보조식품 조성물
KR101662147B1 (ko) 오디 식초를 이용한 초간장
CN109362924B (zh) 一种辽东栎叶保健茶及其制备方法
KR102527154B1 (ko) 푸룬 추출물 및 무화과 추출물의 혼합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포장 안정성이 강화된 변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625435B1 (ko) 천연발효효소복합액을 이용한 멀꿀 발효물과 이를 이용한 골밀도 개선, 뼈 성장촉진, 키 성장촉진 또는 관절건강증진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