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1554B1 - 비점 오염원 모니터링 자동 채수기 - Google Patents

비점 오염원 모니터링 자동 채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1554B1
KR102471554B1 KR1020220098256A KR20220098256A KR102471554B1 KR 102471554 B1 KR102471554 B1 KR 102471554B1 KR 1020220098256 A KR1020220098256 A KR 1020220098256A KR 20220098256 A KR20220098256 A KR 20220098256A KR 102471554 B1 KR102471554 B1 KR 102471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llection container
pipe
frame
water col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8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석
Original Assignee
(주)청담이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담이엠텍 filed Critical (주)청담이엠텍
Priority to KR1020220098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15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1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1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2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for flowing or falling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4Suction devices, e.g. pumps; Ejector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8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with provision for splitting samples into por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2001/1031Sampling from special places
    • G01N2001/1043Sampling from special places from se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맨홀 내부에 구비되어 하수관거를 흐르는 하수시료를 자동으로 채수하는 비점 오염원 모니터링 자동 채수기에 있어서, 상기 채수기는 상면에 조작부가 구비된 채수기 프레임; 상기 채수기 프레임 일측에 연결되어 채수를 흡입하는 흡입관; 및 상기 채수기 프레임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흡입관에서 흡입된 채수를 전달받아 연결된 채수통으로 전달하는 다수개의 채수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점 오염원 모니터링 자동 채수기{Non-point pollution source monitoring automatic water sampler apparatus}
본 발명은 맨홀 내 하수시료를 직접 채수할 필요 없이 하는 맨홀 내부에 투입되어 하수관을 따라 흐르는 하수시료를 자동으로 채취할 수 있고, 단일 흡입관으로 흡입된 채수를 소정시간 간격마다 복수의 채수관 중 어느 하나로 분배하여 단일개의 채수기를 통해 충전된 다수개의 채수관을 획득할 수 있는 자동 채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자동 채수기를 서로 연동하여 하나의 자동 채수기와 연결된 채수관이 모두 충전되면 다른 자동 채수기가 구동되도록 하여 각각의 자동 채수기와 연결된 채수관이 순차적으로 충전될 수 있고, 채수기에 포함된 분배기를 통해 하나의 자동 채수기가 하수시료 채수 후 다수개의 채수관에 순차적으로 충전시킬 수 있고, 충전된 채수관은 분배기측 또는 외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빗물이 흐르는 경로상에 일정 강수량에 대응하여 채수작업을 자동으로 시작할 수 있는 비점 오염원 모니터링 자동 채수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하수관거의 특정지점에 사람의 출입이 가능한 맨홀이 위치하고, 이러한 맨홀 내부로 사람이 이동하여 맨홀 내 하수시료를 채수하기 위하여 채수함이 달린 채수용 장비를 직접 설치하고, 이를 통해 하수시료를 채수한다.
이때, 하수시료를 채수하려는 자는 상술된 채수용 장비를 차량에 싣고 다니며 일정시간간격으로 반복적으로 맨홀에 직접 방문해야한다는 번거로움을 가지고 있다. 특히, 여러곳의 맨홀에서 직접 채수하는 경우 많은 인력이 소요되고, 동일한 시각에 채수하기가 어려우며, 도로상에 위치한 맨홀에서 채수시 사고의 위험이 따르는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맨홀 상부지점에 칸막이를 친 다음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자동 하수시료 채수가 가능한 자동 채수기를 설치하였으나, 맨홀이 위치한 곳은 대체로 차도 또는 인도 중간에 위치하기 때문에 차량 또는 사람이 칸막이와 충돌되기 쉬우며, 통행에 번거로움을 주고, 도로의 미관을 해칠 수 있다. 특히, 차량이나 사람과 자동 채수기가 충돌하는 경우 파손되거나 분실될 수 있다는 문제점 또한 존재한다.
또한, 종래 자동채수기는 일정 강수량을 시점으로 하여 수동으로 각각의 채수작업을 개시하여야 했기 때문에 사용에 있어 번거로운 점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비점 오염원 모니터링 자동 채수기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다수개의 자동 채수장치를 서로 연동하여 하나의 자동 채수장치와 연결된 채수관이 모두 충전되면 다른 자동 채수장치가 구동되도록 하여 각각의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다수개의 자동 채수기를 서로 연동하여 하나의 자동 채수기와 연결된 채수관이 모두 충전되면 다른 자동 채수기가 구동되도록 하여 각각의 자동 채수기와 연결된 채수관이 순차적으로 충전될 수 있는 비점 오염원 모니터링 자동 채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채수기에 포함된 분배기를 통해 하나의 자동 채수기가 하수시료 채수 후 다수개의 채수관에 순차적으로 충전시킬 수 있고, 충전된 채수관은 분배기측 또는 외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비점 오염원 모니터링 자동 채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채수기 내 펌프 및 솔레노이드밸브를 작업자가 작업환경에 맞게 구동시간을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고, 채수기 프레임은 맨홀 내부 상측에 구비되어 하수시료와 직접 맞닿지 않게 고정할 수 있어 채수기의 고장을 방지하고, 위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비점 오염원 모니터링 자동 채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구성이 간단하고, 채수기를 소형화하여 쉽게 맨홀 내부 상측에 고정시킬 수 있고, 설치면적이 최소화되어 설치 및 회수가 용이한 비점 오염원 모니터링 자동 채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일정 강수량을 시점으로 하여 자동으로 각각의 채수작업을 개시할 수 있어, 사용에 있어 편의성을 제공하는 비점 오염원 모니터링 자동 채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맨홀 내부에 구비되어 하수관거를 흐르는 하수시료를 자동으로 채수하는 비점 오염원 모니터링 자동 채수기에 있어서, 상기 채수기는 상면에 조작부가 구비된 채수기 프레임; 상기 채수기 프레임 일측에 연결되어 채수를 흡입하는 흡입관; 및 상기 채수기 프레임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흡입관에서 흡입된 채수를 전달받아 연결된 채수통으로 전달하는 다수개의 채수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부; 및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에 의해 채수기를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조작부가 조작한 설정값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다른 상기 채수기와 연동하여 각 채수기의 구동부와 연동되어 순차적으로 채수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연동부;로 구성되며, 상기 흡입관은 상기 채수기 프레임에 내장되는 모터와 연결되고, 하단은 맨홀 내측 하면으로 연장되어 맨홀 내 하수시료를 채수하고, 상기 흡입관의 하단에는 하수시료 내 이물질이 상기 흡입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흡입필터;가 구비되며, 상기 채수관은, 일단이 상기 흡입관과 연결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와 연결되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 개방시 상기 흡입관으로부터 흡입된 채수가 내측으로 이동되고, 타단은 채수를 저장하는 상기 채수통이 구비되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상기 구동부의 조작에 따라 개폐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흡입관과 상기 채수관을 연결시켜 상기 흡입관으로부터 흡입된 채수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가 개방된 상기 채수관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채수관과 상기 채수통 사이에는 분배기;가 추가로 포함되고, 상기 분배기는 상기 채수관과 연결되는 이송관; 상기 채수통과 연결되어 상기 이송관으로부터 전달받은 채수가 상기 채수통으로 이동되는 분배관; 및 상기 분배관과 상기 이송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분배관을 통해 상기 채수통으로 충진된 채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로 구성되며, 상기 채수기 및 상기 채수통은 보관프레임에 내장되어 맨홀 내측 상단에 보관된 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보관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보관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보관프레임이 상기 맨홀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고정부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단은 상기 맨홀 내측면과 결합되고, 하단은 맨홀 내측 하부에 구비되는 고정끈과, 상기 고정끈 하단에 구비되어 일정 무게를 가지며 상기 고정끈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고정추를 포함하며, 상기 보관프레임 상단에는 상기 채수통이 수직된 상태로 정렬될 수 있도록 하는 정렬부;가 추가로 포함되며, 상기 정렬부는 다수개의 채수통이 내측으로 구비될 수 있는 인입홈이 형성된 정렬프레임; 및 상기 정렬프레임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인입홈을 관통하여 하측으로 이동하는 상기 채수통의 하부를 지지하는 거치부;로 구성되며, 상기 정렬프레임은 판 형상을 가지며, 중앙측에 상기 채수통의 외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수직 관통된 인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인입홈 하측에 구비되며, 다수개로 이루어지고, 상단은 상기 인입홈 하측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상기 정렬프레임 하면에 결합되며, 하단은 내측 중앙에 중공이 형성된 원형으로 이루어진 연결부가 구비되는 연장프레임; 및 상기 연결부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채수통 하면과 밀착되는 최하면 및 상기 최하면이 상기 연결부와 이격된 상태로 공중에 위치하되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 하면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개 이격배치되는 경사구로 구성되는 바닥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채수기는 빗물을 수집하는 수집용기; 및 스위칭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장치는 상기 수집용기 내에 마련되어, 상기 수집용기 내에 수집된 빗물의 강우량에 따라 지면에서 수직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부력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집용기 내에서 부력부재가 지면에서 수직하는 방향으로 기 설정된 강우량에 따라 이동하면 상기 채수기가 하수시료의 채집을 시작하도록 하며, 상기 스위칭장치는 상기 부력부재와 연결된 제1전도체부를 포함한 지지부와 상기 제1전도체부와 일 면이 마주하도록 마련된 제2전도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전도체부 및 제2전도체부는 상기 부력부재가 지면에서 수직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마주하는 접촉단면이 넓어지도록 마련되고, 상기 접촉단면에 비례하여 측정되는 전류의 크기가 커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전류의 크기가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이면 채수기가 하수시료의 채집을 시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는 체인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체인커넥터 각각의 체인 일 단면에 일정 접촉단면을 가진 제3전도체부가 각각 형성되어 전류의 크기를 단계적으로 측정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맨홀 내 하수시료를 직접 채수할 필요 없이 하는 맨홀 내부에 투입되어 하수관을 따라 흐르는 하수시료를 자동으로 채취할 수 있고, 단일 흡입관으로 흡입된 채수를 소정시간 간격마다 복수의 채수관 중 어느 하나로 분배하여 단일개의 채수기를 통해 충전된 복수개의 채수관을 획득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다수개의 자동 채수기를 서로 연동하여 하나의 자동 채수기와 연결된 채수관이 모두 충전되면 다른 자동 채수기가 구동되도록 하여 각각의 자동 채수기와 연결된 채수관이 순차적으로 충전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채수기에 포함된 분배기를 통해 하나의 자동 채수기가 하수시료 채수 후 다수개의 채수관에 순차적으로 충전시킬 수 있고, 충전된 채수관은 분배기측 또는 외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채수기 내 펌프 및 솔레노이드밸브를 작업자가 작업환경에 맞게 구동시간을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고, 채수기 프레임은 맨홀 내부 상측에 구비되어 하수시료와 직접 맞닿지 않게 고정할 수 있어 채수기의 고장을 방지하고, 위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구성이 간단하고, 채수기를 소형화하여 쉽게 맨홀 내부 상측에 고정시킬 수 있고, 설치면적이 최소화되어 설치 및 회수가 용이하다는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일정 강수량을 시점으로 하여 자동으로 각각의 채수작업을 개시할 수 있어, 사용에 있어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를 보유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채수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채수기의 설치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채수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채수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렬부에 채수통이 구비되는 예를 사시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채수기가 하수시료의 채집을 시작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집용기와 스위칭장치가 구비된 예를 사시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이하의 실시예에 설명된 구성 또는 작용으로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성되다', '포함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요소 중 적어도 하나(at least one)는, 복수의 요소 전부 뿐만 아니라, 복수의 요소 중 나머지를 배제한 각 하나 혹은 이들의 조합 모두를 지칭한다. 또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 (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 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채수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채수기의 설치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채수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채수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렬부에 채수통이 구비되는 예를 사시도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채수기가 하수시료의 채집을 시작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집용기와 스위칭장치가 구비된 예를 사시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맨홀 내 하수시료를 직접 채수할 필요 없이 하는 맨홀 내부에 투입되어 하수관을 따라 흐르는 하수시료를 자동으로 채취할 수 있고, 단일 흡입관으로 흡입된 채수를 소정시간 간격마다 복수의 채수관 중 어느 하나로 분배하여 단일개의 채수기를 통해 충전된 다수개의 채수관을 획득할 수 있는 자동 채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자동 채수기를 서로 연동하여 하나의 자동 채수기와 연결된 채수관이 모두 충전되면 다른 자동 채수기가 구동되도록 하여 각각의 자동 채수기와 연결된 채수관이 순차적으로 충전될 수 있고, 채수기에 포함된 분배기를 통해 하나의 자동 채수기가 하수시료 채수 후 다수개의 채수관에 순차적으로 충전시킬 수 있고, 충전된 채수관은 분배기측 또는 외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 채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채수기(10)는 맨홀 내부에 구비되어 하수시료를 채수하는 장치로, 맨홀 내부 상측에 고정되며, 일측에 구비되는 흡입관(200) 및 채수관(300)을 통해 하수시료를 채수하고, 채수된 하수시료를 채수관(300)과 연결된 채수통(20)으로 충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수기(10)는 채수기 프레임(100), 흡입관(200), 채수관(300)을 포함한다.
채수기 프레임(100)은 모터를 내장하여 일측에 연결된 흡입관(200) 및 채수관(300)을 따라 채수가 이동되도록 한다. 이러한 채수기 프레임(100)의 상면에는 작업자가 채수기(1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직접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110)가 구비된다.
조작부(110)는 채수기(10)의 구동을 수동/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고, 흡입관(200)의 구동간격, 즉 흡입관(200)으로 흡입된 채수를 소정시간 간격마다 복수의 채수관(300)으로 전달하게 되는데 이러한 소정시간 간격등에 대한 설정값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조작부(110)는 원버튼 방식의 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조작부(110)의 상측에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어 조작부(110)를 통해 변화되는 채수기(10)의 상태(예를 들어 수동 또는 자동 상태, 소정시간간격)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터치를 통한 조작부(110)의 조작을 수행하여 작업자가 원하는 시간대에 채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120)는 채수기(10)의 제반 구성들이 동작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이러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프로그램(혹은 인스트럭션)과, 제어프로그램이 설치되는 비활성의 메모리, 설치된 제어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가 로드되는 휘발성의 메모리 및 로드 된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혹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제어프로그램은 채수기(10) 외에도 채수기(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다른 외부의 전자장치에도 저장될 수 있다.
제어프로그램은 BIOS, 디바이스드라이버, 운영체계, 펌웨어, 플랫폼 및 응용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현되는 프로그램(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응용프로그램은, 채수기(10)의 제조 시에 채수기(10)에 미리 설치 또는 저장되거나, 혹은 추후 사용 시에 외부로부터 응용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응용프로그램의 데이터는,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마켓과 같은 외부 장치로부터 채수기(10)로 다운로드 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어부(120)는 device, S/W module, circuit, chip 등의 형태 또는 그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예컨대, 조작부(110)에 의해 작업자가 직접 조작한 값에 따라 채수기(10)를 구동시키는 것으로, 흡입관(200)으로 흡입된 채수를 복수개의 채수관(300) 및 상기 채수관(300)과 연결된 채수통(20)에 선택적으로 이동및 충전되도록 채수기(10)를 구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채수기(10)는 하나의 제어부(120)에서 동작의 제어를 수행하는 구성으로 구현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채수기(10)는 제어부(120)와 별도로 다른 제어부를 추가로 구비한 구성이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채수기(10)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부(121), 작업자가 조작부(110)를 통해 설정한 설정값이 저장되는 저장부(122) 및 다량의 채수를 위한 다수개의 채수기(10)가 사용되는 경우 시간대별로 채수기(10)가 순차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채수기(10)를 서로 연동하는 연동부(123)로 구성된다.
구동부(121)는 채수기(10)의 구성이 조작부(110)에서 설정한 설정값에 따라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며, 저장부(122)는 상기 설정값이 저장되어 구동부(121)가 기 저장된 설정값에 따라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설정값은 솔레노이드 밸브의 개폐시간, 이를 통한 채수작업이 수행되는 시간 등을 포함하게 된다. 이때 저장부(122)는 채수기(10)를 통해 수신되는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의 동작 수행 결과 생성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121) 및 저장부(122)를 통해 작업자의 의도에 맞게 채수작업이 원하는 시간대에 수행될 수 있도록 하고, 하나의 채수기(10)를 통해 다른 일자 및 맨홀에서 동일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저장부(122)에 기 저장된 설정값을 불러들여 동일한 채수작업을 여러번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저장부(122)는 제어부(120)의 처리 및 제어에 따라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22)는 제어부(120)에 의해 엑세스되어, 데이터의 독취, 기록, 수정, 삭제, 갱신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는 채수기(10)에 대한 시스템 전원의 제공 유무와 무관하게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도록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disc drive), SSD(solid-state drive)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는 제어부(120)에 의해 처리되는 데이터가 임시로 로딩되기 위한 버퍼, 램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연동부(123)는 다수개의 채수기(10)가 서로 연동되도록 하는 것으로, 작업자가 연동버튼에 해당되는 조작부(110)를 조작하여 근거리에 위치한 다수개의 채수기(10)가 서로 연동되도록 하고, 서로 연동된 채수기(10)는 채수작업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다량의 채수작업 수행시 각 채수기(10)와 연결된 채수통(20)이 순차적으로 충전되도록 한다.
즉, 하나의 채수기(10)에 연결될 수 있는 채수통(20)은 한정적인 반면, 장기간 채수작업을 수행해야하거나 일정시간 간격으로 다량의 채수를 얻어야 하는 경우 단일개의 채수기(10)를 이용하여 채수작업을 수행하는데는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하나의 맨홀 내 구비되어 채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채수기(10)가 다수개로 구비되는 경우 각각의 채수기(10)가 연동부(123)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이를 통해 작업자가 설정한 시간에 맞게 순차적으로 채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각 채수시간에 해당되는 채수기(10)만이 구동하여 채수작업을 수행하도록 하고, 나머지 채수기(10)들의 경우 절전모드 등으로 구동되어 전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동일 시간대에 다수 개의 채수기(10)가 동시에 채수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방지하여 효과적으로 하수시료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연결된 채수통(20)을 모두 충전한 채수기(10)의 경우 구동이 정지되어 전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고, 채수기(10)의 잉여 구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시료분석에 용이하게 일정시간별로 채수한 채수통(20)을 얻을 수 있다는 효과를 보유한다.
이때, 무선 근거리 통신에 사용되는 통신방법으로는 블루투스, 지그비 통신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솔레노이드 밸브(130)는 채수기 프레임(100) 일측에 연결되는 채수관(300), 즉 흡입관(200)으로부터 흡입된 채수가 채수통(20)으로 전달되는 통로의 개폐를 담당하는 밸브로, 제어부(120) 중 구동부(121)에 의해 개폐되고, 채수기 프레임(100)과 연결된 채수관(300)의 개수에 대응되게 채수기 프레임(100)에 내장되어 각각의 채수관(300)과 연결되어 개폐를 조절하게 된다.
따라서, 솔레노이드 밸브(130)의 개폐동작을 통해 선택적으로 채수를 배출할 채수관(300)이 선택되어 빈 채수통(20)에 흡입된 채수를 순차적으로 충진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채수를 2시간 간격으로 채집하기 위하여 최초 채수 흡입시 제1 솔레노이드밸브를 개방시켜 상기 제1솔레노이드 밸브와 연결된 채수관(300)을 통해 채수통(20)이 흡입된 채수가 충진되며, 약 5분여간의 채수작업(채수통을 충진하는 시간)이 종료되고 2시간 후 다른 제2 솔레노이드 밸브가 구동부(121)에 의해 구동되어 다른 채수통(20)이 충진되는 방식을 진행하여 2시간 간격으로 채수가 충진된 다수개의 채수통(20)을 얻을 수 있다.
흡입관(200)은 채수기 프레임(100) 일측에 구비되어 채수기 프레임(100)에 내장된 모터와 연결되며, 상기 모터 구동시 흡입관(200)을 통해 하수시료가 흡입관(200)으로 채수될 수 있도록 한다.
흡입관(200)은 맨홀 내 채수기(10)가 구비되는 위치로부터 하수시료가 위치하는 맨홀 바닥부분까지의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와 대응되게 연장되어야 하며, 흡입관(200)의 말단, 즉 하수시료가 흡입되는 곳에는 흡입관(200) 말단을 감싸는 원통형상의 흡입필터(210)가 구비된다.
흡입필터(210)는 외면이 스크린으로 이루어져 하수시료 내 입자가 큰 이물질이 흡입관(200) 내부로 이동하여 끼이거나 채수된 하수시료에 과도한 불순물이 함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흡입필터(210)는 일정 무게를 가져 하수시료에 담궈지는 흡입관(200) 말단이 떠오르거나 하수시료의 유속으로 인해 흡입관(200)이 과도하게 흔들려 맨홀 내부에 충돌하여 파손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채수관(300)은 흡입관(200)과 내부가 연결되어 흡입관(200)으로부터 흡입된 채수가 채수관(300)을 따라 이동하여 채수관(300) 말단에 결합된 채수통(20)으로 이동시킨다.
흡입관(200) 및 채수관(300)은 도 3 및 5와 같이 서로 동일한 개수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한편, 도 3과 같이 각각 한 쌍으로 이루어진 흡입관(200a,200b) 및 채수관(300a, 300b)은 먼저 하나의 흡입관(200a)으로 채수가 흡입되면 연결된 채수관(300a)으로 이동하여 연결된 채수통(20) 내부를 충전하게 된다. 이때, 하나의 채수관(300a)과 연결된 채수통(20)이 채워지면 채수기(10)가 구동을 멈추고 기설정된 설정값에 해당되는 일정시간이 소요되면 다른 하나의 흡입관(200b)에서 채수를 흡입하고, 연결된 다른 채수관(300b)으로 채수가 이동하여 상기 채수관(300b)과 연결된 채수통(20)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일정시간에 총 2개의 채수통(20)을 충전하게 되는데는 반면 맨홀 내부환경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채수작업이 짧은 시간의 간격으로 다수번 수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술된 구성을 가지는 채수기(10)는 소수의 충진된 채수통(20)을 얻게되며, 다수개의 채수통(20)을 얻기 위해서는 채수기(10)의 비구동시간에 맞춰 채수가 충진된 채수통(20)을 일정 시간마다 교체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특히, 맨홀은 상술된 바와 같이 차도와 같은 도로상에 구비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작업자의 채수통(20) 교체작업 또한 쉽지 않다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채수관(300)과 채수통(20) 사이에 분배기(40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분배기(400)는 일측에는 하나의 이송관(410)이 형성되어 채수관(300) 말단과 연결되고, 타측에는 이송관(410)을 통해 분배기(400) 내부로 유입된 채수가 다수개의 채수통(20)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분배관(420)이 형성된다. 이때, 각 분배관(420)에는 체크밸브(430)가 구비된다.
도 5와 같이 하나의 이송관(410)을 흡입된 채수는 채수관(300)을 거쳐 분배기(400)로 이동하게 되고, 이송관(410)을 통해 분배기(400) 내부로 유입된 채수는 가장 가까운 측의 분배관(420)으로 이동하여 연결된 채수통(20)이 채수로 충진되도록 한다.
또한, 분배관(420)에 구비되는 체크밸브(430)를 통해 분배관(420)을 거쳐 채수통(20) 내부로 유입된 채수는 다시 채수통(20)에서 분배기(400)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이송관(410)은 도 5와 같이 다수개의 분배관(420)들의 중앙측에 구비될 수 있으나 다수개의 분배관(420)에 순차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이송관(410)이 일측 끝단쪽에 구비되어 가장 가까운 쪽의 분배관(420)과 연결된 채수통(20)부터 채워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술된 채수기(10)는 도 2와 같이 맨홀 내측면에 붙어서 구비되는데, 이러한 채수기(10)는 다수개의 채수통(20)과 연결되어 보관프레임(30)에 내장되고, 보관프레임(30)을 고정부(40)를 통해 맨홀 내측 상단에 고정되어 진다.
이때, 고정부(40)는 고정끈(41) 및 고정추(42)로 구성되며, 보관프레임(30)은 고정끈(41)이 관통하여 결합됨과 동시에 고정끈(41) 상단은 맨홀 내측면에 구비된 앙카볼트와 같은 구조물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고, 고정끈(41) 하단에는 무게를 가지는 고정추(42)가 구비되어 고정끈(41) 및 고정추(42)가 관프레임(30)이 맨홀 내측 상단에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관프레임(30)은 그물망 형상을 가져 미처 기밀하게 결합되지 못한 채수통(20)과 채수관(300)간의 결합위치에서 누수가 발생될 경우 보관프레임(30)에 형성된 다수개의 홈으로 누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채수기(10)로 채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보관프레임(30)의 내측에는 채수기(10)와 채수통(20)이 구비되는데 상술된 바와 같이 자칫 채수통(20)과 채수관(300)의 연결이 기밀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연결부위에 누수가 발생될 우려가 존재한다. 특히 보관프레임(30)은 그물망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일정한 형체를 가지는 것이 아니고 내장된 채수기(10) 및 채수통(20)에 따라 형상이 바뀌기 때문에 채수통(20)의 기울기 또한 변화하여 기울어진 상태로 보관프레임(30)에 내장될 가능성이 크다.
더 나아가 채수통(20)이 충진되는 경우 무게로 인해 하측으로 쏠릴 수 있어 다른 빈 채수통(20)과 연결된 채수관(300)을 가압하여 흡입된 채수가 빈 채수통(2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해할 우려 또한 존재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채수기(10)는 잦은 교체등이 불필요하다는 효과를 이용하고자 장기간 맨홀 내부에 배치하기 때문에 채수기(10)가 채수 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상태로 지속될 우려가 존재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는 도 6과 같은 정렬부(500)가 추가로 포함된다. 정렬부(500)는 채수통(20) 하단이 관통될 수 있는 인입홈(511)이 형성된 정렬프레임(510)과, 상기 정렬프레임(510)의 인입홈(511) 하단에 구비되되 상단이 인입홈(511) 외측의 정렬프레임(510) 하면에 결합되고, 상면에는 채수통(20) 하면이 구비되어 인입홈(511)으로 내장된 채수통(20)의 하단을 지지하는 거치부(520)로 이루어진다.
정렬프레임(510)은 판 형상을 가지며 중앙측에 채수통(20)의 외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수직관통된 인입홈(511)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6과 같이 인입홈(511) 내측으로 다수개의 채수통(20)이 구비되어 정렬될 수 있다.
이러한 인입홈(511) 하측에는 채수통(20)이 거치되는 거치부(520)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거치부(520)는 연장프레임(521) 및 바닥프레임(522)으로 형성된다.
연장프레임(521)은 다수개로 이루어져 정렬프레임(510)의 하면 중 인입홈(511)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결합되고, 상기 연장프레임(521)의 하단에는 다수개의 연장프레임(521)을 연결하고, 내측 중앙에 중공이 형성되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연결부(521a)가 구비한다.
따라서, 연장프레임(521) 및 연결부(521a) 내측으로 인입홈(511)을 통과한 채수통(20) 하단 일부가 인입된다.
이러한 연결부(521a)의 하측에는 채수통(20)의 하면이 구비되는 바닥프레임(522)이 구비되며, 이러한 바닥프레임(522)은 상면이 채수통(20) 하면과 밀착되어 구비되는 최하면(522a)과, 상기 최하면(522a)이 상기 연결부(521a)와 이격된 상태로 공중에 위치하되, 경사지게 구비되어 연결부(521a)의 하면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경사구(522b)가 구비된다.
최하면(522a)은 인입홈(511) 및 연결부(521a)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연결부(521a)의 하측 중앙에 위치하되, 최하면(522a)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개의 경사구(522b)가 구비되어 연결부(521a)와 최하면(522a)을 서로 연결시킴과 동시에 최하면(522a)을 연결부(521a)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바닥프레임(522)으로 인해 최하측 내부 경사는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내경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므로 다양한 하면 형상 및 크기를 갖는 채수통(20)이 쉽게 바닥프레임(522) 내측에 구비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채수기가 하수시료의 채집을 시작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채수기(10)는 수집용기(600)와 스위칭장치(700)를 포함한다.
수집용기(600)는 채수기(10)와 따로 마련되어 비가 내리면 빗물을 수집하여 강수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마련된 용기이며, 스위칭장치(700)는 채수기(10)와 전기적 또는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되어 채수기(10)가 채수작업을 시작하거나, 시작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수집용기(600)는 형태와 모양이 각각 다양할 수 있으며, 비가 내릴 때 빗물을 수집할 수 있도록 구현된 구성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집용기(600)는 설명의 편의상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한 것을 전제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스위칭장치(700)는 수집용기(600) 내에 마련되어, 수집용기(600) 내에 수집된 빗물의 강우량에 따라 지면에서 수직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부력부재(710)를 포함한다. 부력부재(710)에서 부력은 유체에 잠긴 특정 대상의 상하면에 작용하는 중력방향의 압력차만큼 대상을 상향으로 밀어올리는 힘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의 유체는 빗물을 의미한다. 따라서, 부력부재(710)는 빗물보다 밀도가 낮은 것으로 빗물에서 부력을 발생시키는 물질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수집용기(600) 내에서 부력부재(710)가 지면에서 수직하는 방향으로 기 설정된 강우량에 따라 이동하면, 채수기(10)가 하수시료의 채집을 시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기 설정된 강우량이 5mm라고 한다면, 수집용기(600) 내에 수집된 빗물의 높이가 5mm가 될 때에 부력부재(710)가 함께 5mm상승하고, 이와 같은 경우에 스위칭장치(700)는 채수기(10)가 하수시료의 채집을 시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부력부재(710)가 상승한 높이를 측정하는데 있어서, 시각적 이미지를 통해 기존의 위치에서 상승한 위치를 감지하는 이미지센서 또는 레이저, 자외선 등을 이용해 부력부재(710)에 대한 거리를 각각 측정하여 변화된 길이를 통하여 상승 높이를 감지하는 위치센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장치(700)는 부력부재(710)와 연결된 제1전도체부(730)를 포함한 지지부(720)와 제1전도체부(730)와 일 면이 마주하도록 마련된 제2전도체부(7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1전도체부(730)와 제2전도체부(740)는 부력부재(710)가 지면에서 수직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호 마주하는 접촉단면이 넓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1전도체부(730)와 제2전도체부(740)의 접촉단면에 비례하여 전류의 크기가 커지도록 형성된다. 즉, 부력부재(710)가 지면에서 수직하는 방향으로 이동할수록 제1전도체부(730)와 제2전도체부(740)에서 흐르는 전류의 크기는 커지며, 전류의 크기가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이면, 부력부재(710)가 기 설정된 강수량만큼 상승한 것으로 판단하여 채수기(10)가 하수시료의 채집을 시작하도록 한다.
전도체는 전기전도도가 높아서 전기가 통하기 쉬운 재질로 이루어진 물체를 의미하며, 전도체에서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단면적에 의해 결정되는 것은 단면적이 클수록 전류가 흐를 수 있는 단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에 단위 시간 안에 단면적을 지나갈 수 있는 전자의 수가 비례하여 커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장치(700)는 부력부재(710)가 지면에서 수직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부력부재(710)에 마련된 제1전도체부(730)가 제2전도체부(740) 방향으로 상승하여 점차 마주하는 접촉단면이 넓어진다. 이때 기 설정된 강우량을 기준으로 설정된 접촉단면에 해당하는 전류의 크기가 제1전도체부(730)와 제2전도체부(740)를 통해 측정된다면, 기 설정된 강우량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스위칭장치(700)는 채수기(10)에 하수시료의 채집을 시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지지부(720)는 체인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체인커넥터는 각각의 체인의 일 단면에 제2전도체부(740)와 마주하는 접촉단면을 가진 복수의 제3전도체부가 각각 형성되어, 각각의 제3전도체부가 순차적으로 제2전도체부(740)에 마주하도록 하여 측정되는 전류의 크기를 보다 세분화하여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10: 채수기 20: 채수통
30: 보관프레임 40: 고정부
41: 고정끈 42: 고정추
100: 채수장치 프레임 110: 조작부
120: 제어부 121: 구동부
122: 저장부 123: 연동부
130: 솔레노이드 밸브 200: 흡입관
210: 흡입필터 300: 채수관
400: 분배기 410: 이송관
420: 분배관 430: 체크밸브
500: 정렬부 510: 정렬프레임
511: 인입홈 520: 거치부
521: 연장프레임 521a: 연결부
522: 바닥프레임 522a: 최하면
522b: 경사구 600: 수집용기
700: 스위칭장치 710: 부력부재
720: 지지부 730: 제1전도체부
740: 제2전도체부

Claims (3)

  1. 맨홀 내부에 구비되어 하수관거를 흐르는 하수시료를 자동으로 채수하는 비점 오염원 모니터링 자동 채수기에 있어서,
    상기 채수기는 상면에 조작부가 구비된 채수기 프레임;
    상기 채수기 프레임 일측에 연결되어 채수를 흡입하는 흡입관;
    상기 채수기 프레임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흡입관에서 흡입된 채수를 전달받아 연결된 채수통으로 전달하는 다수개의 채수관;
    제어부; 및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에 의해 채수기를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조작부가 조작한 설정값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다른 상기 채수기와 연동하여 각 채수기의 구동부와 연동되어 순차적으로 채수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연동부;로 구성되며,
    상기 흡입관은 상기 채수기 프레임에 내장되는 모터와 연결되고, 하단은 맨홀 내측 하면으로 연장되어 맨홀 내 하수시료를 채수하고,
    상기 흡입관의 하단에는 하수시료 내 이물질이 상기 흡입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흡입필터;가 구비되며,
    상기 채수관은, 일단이 상기 흡입관과 연결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와 연결되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 개방시 상기 흡입관으로부터 흡입된 채수가 내측으로 이동되고, 타단은 채수를 저장하는 상기 채수통이 구비되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상기 구동부의 조작에 따라 개폐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흡입관과 상기 채수관을 연결시켜 상기 흡입관으로부터 흡입된 채수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가 개방된 상기 채수관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채수관과 상기 채수통 사이에는 분배기;가 추가로 포함되고,
    상기 분배기는 상기 채수관과 연결되는 이송관; 상기 채수통과 연결되어 상기 이송관으로부터 전달받은 채수가 상기 채수통으로 이동되는 분배관; 및 상기 분배관과 상기 이송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분배관을 통해 상기 채수통으로 충진된 채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로 구성되며,
    상기 채수기 및 상기 채수통은 보관프레임에 내장되어 맨홀 내측 상단에 보관된 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보관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보관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보관프레임이 상기 맨홀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고정부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단은 상기 맨홀 내측면과 결합되고, 하단은 맨홀 내측 하부에 구비되는 고정끈과, 상기 고정끈 하단에 구비되어 일정 무게를 가지며 상기 고정끈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고정추를 포함하며,
    상기 보관프레임 상단에는 상기 채수통이 수직된 상태로 정렬될 수 있도록 하는 정렬부;가 추가로 포함되며,
    상기 정렬부는 다수개의 채수통이 내측으로 구비될 수 있는 인입홈이 형성된 정렬프레임; 및 상기 정렬프레임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인입홈을 관통하여 하측으로 이동하는 상기 채수통의 하부를 지지하는 거치부;로 구성되며,
    상기 정렬프레임은 판 형상을 가지며, 중앙측에 상기 채수통의 외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수직 관통된 인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인입홈 하측에 구비되며, 다수개로 이루어지고, 상단은 상기 인입홈 하측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상기 정렬프레임 하면에 결합되며, 하단은 내측 중앙에 중공이 형성된 원형으로 이루어진 연결부가 구비되는 연장프레임; 및
    상기 연결부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채수통 하면과 밀착되는 최하면 및 상기 최하면이 상기 연결부와 이격된 상태로 공중에 위치하되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 하면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개 이격배치되는 경사구로 구성되는 바닥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채수기는 빗물을 수집하는 수집용기; 및 스위칭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장치는 상기 수집용기 내에 마련되어, 상기 수집용기 내에 수집된 빗물의 강우량에 따라 지면에서 수직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부력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집용기 내에서 부력부재가 지면에서 수직하는 방향으로 기 설정된 강우량에 따라 이동하면 상기 채수기가 하수시료의 채집을 시작하도록 하며,
    상기 스위칭장치는 상기 부력부재와 연결된 제1전도체부를 포함한 지지부와 상기 제1전도체부와 일 면이 마주하도록 마련된 제2전도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전도체부 및 제2전도체부는 상기 부력부재가 지면에서 수직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마주하는 접촉단면이 넓어지도록 마련되고, 상기 접촉단면에 비례하여 측정되는 전류의 크기가 커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전류의 크기가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이면 채수기가 하수시료의 채집을 시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 오염원 모니터링 자동 채수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체인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체인커넥터 각각의 체인 일 단면에 일정 접촉단면을 가진 제3전도체부가 각각 형성되어 전류의 크기를 단계적으로 측정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 오염원 모니터링 자동 채수기.
KR1020220098256A 2022-08-07 2022-08-07 비점 오염원 모니터링 자동 채수기 KR102471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8256A KR102471554B1 (ko) 2022-08-07 2022-08-07 비점 오염원 모니터링 자동 채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8256A KR102471554B1 (ko) 2022-08-07 2022-08-07 비점 오염원 모니터링 자동 채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1554B1 true KR102471554B1 (ko) 2022-11-28

Family

ID=84237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8256A KR102471554B1 (ko) 2022-08-07 2022-08-07 비점 오염원 모니터링 자동 채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15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2620B1 (ko) 2023-04-27 2023-12-12 윤승현 자동채수기의 하수 흡입호스 고정장치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7254A (en) * 1984-10-10 1987-01-20 Tokheim Corporation Gauge apparatus for measuring liquid levels
WO2016072857A1 (en) * 2013-11-06 2016-05-12 Asle Johnsen Sewer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it
KR101700333B1 (ko) * 2016-08-18 2017-02-13 브니엘 네이처 주식회사 맨홀용 자동 채수 장치
KR101869614B1 (ko) * 2016-12-06 2018-06-20 신정훈 빗물 저장장치
US20200017387A1 (en) * 2017-06-28 2020-01-16 Nicolas Canello Outdoor Apparatus and Methods to Treat Wastes, Wastewater and Contaminated Water Bodies
KR102211839B1 (ko) * 2020-08-24 2021-02-03 (주)청담이엠텍 자동 채수장치
KR102302117B1 (ko) * 2021-05-04 2021-09-15 설용선 펌프교체가 용이한 채수통
KR102419037B1 (ko) * 2021-06-11 2022-07-08 김현숙 강우시 미처리수의 채수 및 유량 측정장치
KR102427307B1 (ko) * 2021-11-24 2022-07-29 주식회사 도원개발 우수관 채수기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7254A (en) * 1984-10-10 1987-01-20 Tokheim Corporation Gauge apparatus for measuring liquid levels
WO2016072857A1 (en) * 2013-11-06 2016-05-12 Asle Johnsen Sewer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it
KR101700333B1 (ko) * 2016-08-18 2017-02-13 브니엘 네이처 주식회사 맨홀용 자동 채수 장치
KR101869614B1 (ko) * 2016-12-06 2018-06-20 신정훈 빗물 저장장치
US20200017387A1 (en) * 2017-06-28 2020-01-16 Nicolas Canello Outdoor Apparatus and Methods to Treat Wastes, Wastewater and Contaminated Water Bodies
KR102211839B1 (ko) * 2020-08-24 2021-02-03 (주)청담이엠텍 자동 채수장치
KR102302117B1 (ko) * 2021-05-04 2021-09-15 설용선 펌프교체가 용이한 채수통
KR102419037B1 (ko) * 2021-06-11 2022-07-08 김현숙 강우시 미처리수의 채수 및 유량 측정장치
KR102427307B1 (ko) * 2021-11-24 2022-07-29 주식회사 도원개발 우수관 채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2620B1 (ko) 2023-04-27 2023-12-12 윤승현 자동채수기의 하수 흡입호스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1839B1 (ko) 자동 채수장치
KR102471554B1 (ko) 비점 오염원 모니터링 자동 채수기
US8302464B2 (en) Automatic sequential sampler for roof-top runoff of rainwater
CN101925813B (zh) 柱装填方法
KR101924148B1 (ko) 수질 및 퇴적물 시료 채취용 스탠드
JP4224543B2 (ja) 自動降水採取装置
CN216013716U (zh) 一种基于悬挂式翻斗的城市雨水口流量自动监测装置
US7222519B2 (en) Soil moisture content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JP2019500072A (ja) 水上乗り物の浮遊具ディスペンサ
JP3877355B2 (ja) ミルクサンプリング装置
KR101758352B1 (ko) 현미경 슬라이드 제작을 위한 검사용 세포의 도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포의 도말방법
CN208897965U (zh) 一种实验室用自动配料系统
LU100486B1 (en) Automatic water sampler apparatus
CN214453709U (zh) 一种自动选矿系统的排料装置
JPH10282251A (ja) 降雨水試料の自動定量採取装置
CN208350399U (zh) 坐便器测试品回收装置
CN211452953U (zh) 取样器
CN112834397A (zh) 一种土壤毛细试验装置及其使用方法
JPS6040513Y2 (ja) リ−ドレス部品の整列装置
CN218885547U (zh) 胶囊剂在线抽样装置
CN110333150A (zh) 铅炭蓄电池极板强度检测装置
CN216012869U (zh) 一种定时定量地表雨水径流自动取样装置
CN214863721U (zh) 一种移液管架
JP2003329781A (ja) 雨量計
CN214749797U (zh) 样本图像分析仪和成像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