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2620B1 - 자동채수기의 하수 흡입호스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채수기의 하수 흡입호스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2620B1
KR102612620B1 KR1020230055751A KR20230055751A KR102612620B1 KR 102612620 B1 KR102612620 B1 KR 102612620B1 KR 1020230055751 A KR1020230055751 A KR 1020230055751A KR 20230055751 A KR20230055751 A KR 20230055751A KR 102612620 B1 KR102612620 B1 KR 102612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suction hose
sewage suction
hollow pipe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5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승현
Original Assignee
윤승현
주식회사 한결가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승현, 주식회사 한결가치 filed Critical 윤승현
Priority to KR1020230055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26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2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26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4Suction devices, e.g. pumps; Ejector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2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for flowing or falling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2001/1031Sampling from special places
    • G01N2001/1043Sampling from special places from se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채수기의 하수 흡입호스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맨홀의 하수를 펌프로 채수하기 위해 하수에 일단이 잠기는 하수 흡입호스를 하수의 적정 수심에 그 일단이 잠길 수 있도록 임의로 고정할 수 있는 자동채수기의 하수 흡입호스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채수기의 하수 흡입호스 고정장치는 맨홀의 하수를 펌프에 의해 수송하여 채수병에 담는 자동채수기에서 맨홀의 하수를 흡입하는 하수 흡입호스의 일단이 하수에 잠기도록 상기 하수 흡입호스를 맨홀 내에서 고정하기 위한 자동채수기의 하수 흡입호스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수 흡입호스가 관통하여 지나는 일정 길이의 중공관과; 맨홀 저면에서 상기 중공관을 지지하는 다리부와; 상기 중공관을 관통한 상기 하수 흡입호스의 일단이 하수에 일정 깊이만큼 잠긴 상태로 상기 하수 흡입호스를 상기 중공관에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하수의 흐름에 상기 하수 흡입호스가 견인되어 상기 중공관 및 상기 다리부가 움직이거나 넘어지지 않도록 상기 중공관 및 상기 다리부에 하중을 증가시키는 소정 중량의 무게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자동채수기의 하수 흡입호스 고정장치{FIXING APPARATUS FOR SEWAGE SUCTION HOSE OF AUTOMATIC SEWAGE SAMPLER}
본 발명은 자동채수기의 하수 흡입호스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맨홀의 하수를 펌프로 채수하기 위해 하수에 일단이 잠기는 하수 흡입호스를 하수의 적정 수심에 그 일단이 잠길 수 있도록 임의로 고정할 수 있는 자동채수기의 하수 흡입호스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공 하수처리시설의 유입수의 수질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채수기를 이용하여 일정량의 하수를 정기적으로 또는 필요할 때마다 수시로 채취하고 있다.
근래에는 작업자가 휴대형의 채수기 또는 별도의 채수기를 차량에 싣고 채수지점들을 직접 돌아다니면서 하수를 채취하는 대신에, 채수지점의 맨홀등에 자동으로 하수를 채취할 수 있는 자동채수기를 설치하여 인원 및 경비를 크게 감소시키고 있다.
일반적인 자동채수기는 소정 내부공간을 갖는 케이스와, 케이스내에 구비되어 맨홀의 하수를 펌핑하는 펌프와, 펌프의 흡입측 및 배출측에 각각 구비되는 맨홀의 하수에 일단이 잠기어 하수의 흡입을 안내하는 하수 흡입호스 및 펌핑된 하수의 배출을 안내하는 하수 배출호스와, 하수 배출호스에 의해 안내된 하수가 담겨지는 채수병과, 소정 제어신호에 의해 펌프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채수과정은 펌프의 구동으로 일단이 하수에 잠긴 하수 흡입호스를 통해 하수가 수송되고 하수 배출호스에 의해 안내되어 채수병에 담겨지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채수과정이 원활히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하수 흡입호스의 일단이 하수에 잠겨야 된다. 종래에는 하수 흡입호스의 일단에 소정 중량을 갖는 거름망을 설치하여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면서 하수 흡입호스의 일단이 하수에 잠기도록 하였다.
그러나, 거름망이 설치된 하수 흡입호스의 일단은 거름망의 중량으로 인해 하수가 흐르는 하수로의 저면까지 가라않게 된다. 하수로 저면에는 상대적으로 많은 이물질이 쌓여 있는데, 이러한 이물질은 수질 변화를 초래할 수 있는 협잡물 및 슬러지로 이루어져 있고 수질 측정을 위한 하수의 표준 시료 채취를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많은 이물질이 거름망에 걸리어 거름망을 차단하게 되고 결국 하수의 흡입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도 발생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으로 하수 흡입호스의 일단에 부상형 스크린을 구비하여 하수 흡입호스의 일단이 일정 깊이까지만 잠기도록 한 기술이 있다.
그러나, 부상형 스크린은 하수의 유속으로 인해 하수 흡입호스가 과도하게 흔들리게 되고, 흔들리는 도중에 맨홀 및 하수로 내벽과 충돌하여 부상형 스크린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는 각종 이물질의 혼입으로 표준 시료 채취를 방해하게 된다.
그러므로, 하수 흡입호스의 일단을 일정 깊이까지만 잠기도록 할 수 있고 하수의 유속에도 흔들림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수 흡입호스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47155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0033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29528호.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수 흡입호스의 일단을 하수의 일정 깊이까지 위치시키고 하수의 유속에도 안정적으로 하수 흡입호스를 지지할 수 있는 자동채수기의 하수 흡입호스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수의 수위에 따라 하수 흡입호스의 일단이 잠기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자동채수기의 하수 흡입호스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채수기의 하수 흡입호스 고정장치는 맨홀의 하수를 펌프에 의해 수송하여 채수병에 담는 자동채수기에서 맨홀의 하수를 흡입하는 하수 흡입호스의 일단이 하수에 잠기도록 상기 하수 흡입호스를 맨홀 내에서 고정하기 위한 자동채수기의 하수 흡입호스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수 흡입호스가 관통하여 지나는 일정 길이의 중공관과; 맨홀 저면에서 상기 중공관을 지지하는 다리부와; 상기 중공관을 관통한 상기 하수 흡입호스의 일단이 하수에 일정 깊이만큼 잠긴 상태로 상기 하수 흡입호스를 상기 중공관에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하수의 흐름에 상기 하수 흡입호스가 견인되어 상기 중공관 및 상기 다리부가 움직이거나 넘어지지 않도록 상기 중공관 및 상기 다리부에 하중을 증가시키는 소정 중량의 무게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다리부는 상기 중공관이 세로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중공관의 하측에 구비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으로부터 하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의 상기 중공관에 구비되는 힌지브라켓과; 상기 힌지브라켓에 상하방향으로 힌지에 의해 회전되도록 일측이 힌지연결되고 상기 중공관을 지지하도록 방사상으로 펼쳐져 맨홀의 저면에 놓여지는 다수의 지지대와; 일측은 상기 고정브라켓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대의 일부분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대를 상기 중공관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만큼 펼쳐진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무게추는 중앙부의 관통된 장착홀을 통해 상기 중공관에 끼워지고 상기 고정브라켓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중앙부에 상기 하수 흡입호스가 지나도록 관통된 제1호스홀이 형성되어 상기 중공관의 일단에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제1호스홀의 둘레에 상기 하수 흡입호스가 지나는 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고 상기 제1호스홀의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외력에 의해 선단이 탄성적으로 모아져 상기 제1호스홀을 지나는 상기 하수 흡입호스의 외면을 가압하는 다수의 쐐기부재를 포함하는 고정구와; 중앙부에 상기 하수 흡입호스가 지나도록 관통된 제2호스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쐐기부재를 상기 제2호스홀에 인입하면서 상기 고정구에 나사결합되어 다수의 상기 쐐기부재에 외력을 가하는 조임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중공관의 양단에는 상기 하수 흡입호스에 끼워져 소정 탄성력으로 상기 하수 흡입호스의 꺽임을 방지하는 스프링홀더가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채수기의 하수 흡입호스 고정장치는 자동채수기의 펌프에 연결되는 하수 흡입호스의 전체 길이를 조절하지 않고도 그 일단이 하수의 적정 깊이에 잠기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수의 유속이 증가되어 하수 흡입호스에 견인력이 발생되더라도 안정적으로 하수 흡입호스를 하수의 적정 깊이에 잠기도록 할 수 있으며, 하수의 수위에 따라 간편하게 하수 흡입호스의 잠수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채수기의 하수 흡입호스 고정장치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일 실시 예에서 다리부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일 실시 예에서 다리부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동작예시도,
도 5는 도 1의 일 실시 예에서 고정수단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도,
도 6은 도 1의 일 실시 예가 맨홀에 설치된 예를 보인 설치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채수기의 하수 흡입호스 고정장치의 일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채수기의 하수 흡입호스 고정장치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일 실시 예에서 다리부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일 실시 예에서 다리부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동작예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일 실시 예에서 고정수단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도이고, 도 6은 도 1의 일 실시 예가 맨홀에 설치된 예를 보인 설치예시도이다.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채수기의 하수 흡입호스 고정장치의 일 실시 예는 자동채수기의 하수 흡입호스(10)가 관통하여 지나는 중공관(20)과, 중공관(20)을 지지하는 다리부(30)와, 중공관(20)에 하수 흡입호스(10)를 고정하는 고정수단(40)과, 중공관(20) 및 다리부(30)가 움직이거나 넘어지지 않도록 하중을 증가시키는 무게추(50)와, 중공관(20)의 양단에 구비되어 하수 흡입호스(10)가 꺽이는 것을 방지하는 스프링홀더(6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또한, 하수 흡입호스(10)가 잠기는 일단에는 수중추(70) 및 거름망(80)이 구비된다.
중공관(20)은 내부가 중공된 파이프이며, 중공 내경은 하수 흡입호스가 관통하여 지나도록 하수 흡입호스의 외경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된다.
또한, 중공관(20)은 대략 40~50㎝의 길이로 형성되고 세로로 세워진 상태로 구비된다.
첨부된 도 3을 참조하면, 다리부(30)는 세로로 세워진 중공관(20)의 하측에 순차적으로 끼워지고 상호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구비되는 고정브라켓(31) 및 힌지브라켓(32)과, 힌지브라켓(32)의 둘레에 힌지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힌지에 의해 회전되고 방사상으로 펼쳐져서 맨홀의 저면에 놓여지는 네 개의 지지대(33)와, 일측은 고정브라켓(31)에 연결되고 타측은 지지대(33)의 일부분에 연결되어 네 개의 지지대(33)를 소정 각도로 펼쳐진 상태로 고정하는 네 개의 고정대(34)로 이루어져 있다.
고정브라켓(31)은 둘레에 고정대(34)를 연결하기 위한 네 개의 연결부(31a)가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힌지브라켓(32)은 둘레에 지지대(33)의 일단이 끼워지는 'U'형의 힌지구(32a)가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지지대(33)는 그 일단이 힌지구(32a)에 끼워지고 힌지구(32a) 및 지지대(33)를 관통하여 지나는 힌지핀(35)에 의해 힌지연결된다. 지지대(33)는 각파이프로 형성된다.
또한, 지지대(33)는 서로 다른 규격을 갖는 두 개의 각파이프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작은 규격의 각파이프가 큰 규격의 각파이프에 끼워져 슬라이딩됨으로써 길이가 가변되도록 할 수도 있다.
고정대(34)는 평철로 형성되어 한 쌍이 구비되고 일단은 고정브라켓(31)의 연결부(31a) 좌/우측에 타단은 지지대(33)의 중앙부분 좌/우측에 각각 연결된다. 고정대(34)의 양단은 그 결합방식이 서로 다른데, 고정브라켓(31)의 연결부(31a)에는 힌지연결되고 지지대(33)의 중앙부분에는 지지대(33)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지지대(33)의 중앙부분에는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뚫린 유동홀(33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고정대(34)를 연결하는 유동핀(33b)이 지지대(33)의 유동홀(33a)을 관통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유동핀(33b)은 유동홀(33a)내에서 지지대(33)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첨부된 도 4를 참조하면, 이와 같이 연결된 고정대(34)는 지지대(33)가 펼쳐지게 되면, 고정브라켓(31)의 연결부(31a)에 연결된 힌지를 중심으로 지지대(33)가 펼쳐지는 방향으로 지지대(33)와 함께 상향 회전하게 된다. 동시에, 지지대(33)의 중앙부분에 연결된 고정대(34) 부분은 유동핀(33b)이 유동홀(33a)내에서 지지대(33)의 힌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유동핀(33b)이 유동홀(33a)의 끝단에 도달하여 더이상 슬라이딩되지 못하면 고정대(34)와 지지대(33)의 상향 회전이 정지된다. 즉, 회전중심인 힌지위치가 다른 고정대(34)와 지지대(33)는 회전궤적이 다르기 때문에 더 이상 상향회전되지 못하고 고정된다.
따라서, 고정대(34)에 의해 지지대(33)는 소정 각도로 펼쳐져 고정되고 상기 중공관(20)을 지지할 수가 있다.
한편, 펼쳐진 지지대(33)를 접는 경우에는 지지대(33)가 펼쳐지는 과정과 반대방향으로 고정대(34) 및 지지대(33)가 동작된다.
첨부된 도 5를 참조하면, 고정수단(40)은 세로로 세워진 중공관(20)의 상단 입구에 구비되고 중앙에 하수 흡입호스가 지나는 제1호스홀(41a)이 관통된 고정구(41)와, 중앙에 하수 흡입호스가 지나는 제2호스홀(42a)이 관통되어 고정구와 결합시 하수 흡입호스 외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조임구(42)로 이루어져 있다.
고정구(41)는 중공관(20)의 상단에 결합되고 중앙에 제1호스홀(41a)이 형성된 본체(41b)와, 제1호스홀의 둘레에 하수 흡입호스가 지나는 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고 소정 간격으로 제1호스홀의 둘레를 따라 배열되어 있는 다수의 쐐기부재(41c)로 이루어져 있다.
쐐기부재(41c)는 외력이 가해지면 선단이 제1호스홀의 중심을 향해 모아지고 외력이 제거되면 원위치되도록 소정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조임구(42)는 고정구(41)의 외면에 나사결합되도록 제2호스홀의 내면 일측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암나사산을 제외한 제2호스홀의 내면은 암나사산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조임구(42)가 고정구(41)에 나사결합되면 조임구(42)의 제2호스홀(42a)에 인입된 다수의 쐐기부재(41c)는 제2호스홀(42a)의 경사면에 의해 외력을 받게 되고 관통하여 지나는 하수 흡입호스의 외면을 가압하게 된다. 이에 하수 흡입호스는 고정된다.
반면, 조임구(42)가 고정구(41)로부터 풀리게 되면 쐐기부재(41c)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어 하수 흡입호스는 이동가능하게 된다.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 예로 일측이 중공관에 결합된 상태에서 하수 흡입호스를 파지하여 고정할 수 있는 클램프, 호스밴드등이 사용될 수 있다.
무게추(50)는 하수의 흐름에 하수 흡입호스가 견인되어 중공관(20) 및 다리부(30)가 움직이거나 넘어지지 않도록 중공관(20) 및 다리부(30)에 하중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세로로 세워진 중공관(20)에 끼워져 구비된다.
무게추(50)는 소정 중량을 가지며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중공관(20)이 끼워지는 관통된 장착홀(51)이 형성되어 있다. 중공관(20)에 끼워진 무게추(50)는 다리부(30)의 고정브라켓(31)에 지지된다.
무게추(50)는 필요에 따라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고, 중공관(20)에 차례로 끼워져 적층된다.
스프링홀더(60)는 하수 흡입호스에 끼워질 수 있도록 소정 내경을 갖는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된다. 스프링홀더(60)는 중공관(20)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일정 부분 돌출되게 구비되는데, 상측에 구비되는 스프링홀더(60)는 고정수단의 조임구(42) 제2호스홀(42a)에 구비된다.
스프링홀더(60)는 끼워진 하수 흡입호스가 중공관(20)의 하측입구 및 조임구(42)의 제2호스홀(42a) 입구 부위에서 꺽이지 않고 완만한 곡선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소정 탄성력으로 하수 흡입호스를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스프링홀더(60)는 하수 흡입호스가 꺽이어 내부 관로가 차폐되거나, 하수 흡입호스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채수기의 하수 흡입호스 고정장치의 일 실시 예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다리부(30)인 네 개의 지지대(33)를 방사상으로 펼친 후, 네 개의 지지대(33)가 맨 홀의 저면에 안정적으로 닿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적정 개수의 무게추(50)를 차례로 중공관(20)에 끼워 적층시킨다.
무게추(50)의 개수는 하수의 유속에 의한 하수 흡입호스의 견인력에 따라 가감될 수 있다.
무게추(50)가 장착되면, 하수 흡입호스를 중공관(20)의 상측에서 끼워 중공관(20)의 하측으로 나오게 한다. 이때, 하수 흡입호스(10)는 중공관(20)의 상측에서 스프링홀더(60), 고정수단인 조임구(42)와 고정구(41), 중공관의 하측 스프링홀더(60)를 차례로 관통하게 된다.
중공관(10)의 하측으로 빠져나온 하수 흡입호스의 일단에는 수중추(70) 및 거름망(80)을 장착한다. 그리고, 하수 흡입호스의 일단이 하수의 적정 깊이까지 잠수되도록 하수 흡입호스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고정수단의 조임구(42)를 조여 하수 흡입호스를 중공관(20)에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하수 흡입호스를 맨홀 내에서 본 발명에 의해 고정하게 되면, 자동채수기의 펌프에 연결되는 하수 흡입호스의 전체 길이를 조절하지 않고도 하수 흡입호스의 일단이 하수의 적정 깊이에 잠수되도록 할 수가 있다.
즉, 중공관 하측으로부터 적정 길이만큼만 하수 흡입호스를 인출하고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하면 된다.
한편, 하수의 유속이 증가되어 하수 흡입호스에 견인력이 발생되더라도 무게추에 의해 충분한 하중을 갖는 지지대 및 중공관은 넘어지거나 움직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인출된 하수 흡입호스는 원래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고, 하수의 적정 깊이에 잠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진공관으로부터 적정 길이만큼 인출된 하수 흡입호스는 하수의 유속으로 인해 과도하게 흔들리지 않게 된다.
또한, 중공관으로부터 인출되는 하수 흡입호스의 길이를 간편하게 조절함으로써 하수의 수위에 따라 적정 깊이에 그 일단을 잠수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하수 흡입호스 20 : 중공관
30 : 다리부 31 : 고정브라켓
32 : 힌지브라켓 33 : 지지대
34 : 고정대 35 : 힌지핀
40 : 고정수단 41 : 고정구
42 : 조임구 50 : 무게추
60 : 스프링홀더 70 : 수중추
80 : 거름망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맨홀의 하수를 펌프에 의해 수송하여 채수병에 담는 자동채수기에서 맨홀의 하수를 흡입하는 하수 흡입호스의 일단이 하수에 잠기도록 상기 하수 흡입호스를 맨홀 내에서 고정하기 위한 자동채수기의 하수 흡입호스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수 흡입호스가 관통하여 지나는 일정 길이의 중공관과;
    맨홀 저면에서 상기 중공관을 지지하는 다리부와;
    상기 중공관을 관통한 상기 하수 흡입호스의 일단이 하수에 일정 깊이만큼 잠긴 상태로 상기 하수 흡입호스를 상기 중공관에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하수의 흐름에 상기 하수 흡입호스가 견인되어 상기 중공관 및 상기 다리부가 움직이거나 넘어지지 않도록 상기 중공관 및 상기 다리부에 하중을 증가시키는 소정 중량의 무게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다리부는
    상기 중공관이 세로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중공관의 하측에 구비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으로부터 하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의 상기 중공관에 구비되는 힌지브라켓과;
    상기 힌지브라켓에 상하방향으로 힌지에 의해 회전되도록 일측이 힌지연결되고 상기 중공관을 지지하도록 방사상으로 펼쳐져 맨홀의 저면에 놓여지는 다수의 지지대와;
    일측은 상기 고정브라켓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대의 일부분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대를 상기 중공관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만큼 펼쳐진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무게추는 중앙부의 관통된 장착홀을 통해 상기 중공관에 끼워지고 상기 고정브라켓에 지지되고,
    상기 중공관의 양단에는 상기 하수 흡입호스에 끼워져 소정 탄성력으로 상기 하수 흡입호스의 꺽임을 방지하는 스프링홀더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채수기의 하수 흡입호스 고정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중앙부에 상기 하수 흡입호스가 지나도록 관통된 제1호스홀이 형성되어 상기 중공관의 일단에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제1호스홀의 둘레에 상기 하수 흡입호스가 지나는 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고 상기 제1호스홀의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외력에 의해 선단이 탄성적으로 모아져 상기 제1호스홀을 지나는 상기 하수 흡입호스의 외면을 가압하는 다수의 쐐기부재를 포함하는 고정구와;
    중앙부에 상기 하수 흡입호스가 지나도록 관통된 제2호스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쐐기부재를 상기 제2호스홀에 인입하면서 상기 고정구에 나사결합되어 다수의 상기 쐐기부재에 외력을 가하는 조임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채수기의 하수 흡입호스 고정장치.
  5. 삭제
KR1020230055751A 2023-04-27 2023-04-27 자동채수기의 하수 흡입호스 고정장치 KR102612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5751A KR102612620B1 (ko) 2023-04-27 2023-04-27 자동채수기의 하수 흡입호스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5751A KR102612620B1 (ko) 2023-04-27 2023-04-27 자동채수기의 하수 흡입호스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2620B1 true KR102612620B1 (ko) 2023-12-12

Family

ID=89159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5751A KR102612620B1 (ko) 2023-04-27 2023-04-27 자동채수기의 하수 흡입호스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2620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94993U (ko) * 1981-06-05 1982-12-10
KR20050029528A (ko) 2003-09-23 2005-03-28 주식회사 타 셋 하수 맨홀에서의 하수 시료 자동 채취 장치
KR101663153B1 (ko) * 2016-08-26 2016-10-14 주식회사 선광티앤에스 방사성 폐수지 시료 채취 장치 및 시료 채취 방법
KR101700333B1 (ko) 2016-08-18 2017-02-13 브니엘 네이처 주식회사 맨홀용 자동 채수 장치
CN109269840A (zh) * 2018-11-30 2019-01-25 中国海洋大学 一种海底沉积物和海洋底层水同时采集装置
KR101999226B1 (ko) * 2018-07-18 2019-07-11 수자원기술 주식회사 지하 관로 위치를 측량하기 위한 측량 정렬장치
US20200246825A1 (en) * 2019-02-06 2020-08-06 Tracy Kessling Tripod Hose Spray Nozzle Attachment
KR102182274B1 (ko) * 2019-01-21 2020-11-24 채일석 매연측정프로브
KR102471554B1 (ko) 2022-08-07 2022-11-28 (주)청담이엠텍 비점 오염원 모니터링 자동 채수기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94993U (ko) * 1981-06-05 1982-12-10
KR20050029528A (ko) 2003-09-23 2005-03-28 주식회사 타 셋 하수 맨홀에서의 하수 시료 자동 채취 장치
KR101700333B1 (ko) 2016-08-18 2017-02-13 브니엘 네이처 주식회사 맨홀용 자동 채수 장치
KR101663153B1 (ko) * 2016-08-26 2016-10-14 주식회사 선광티앤에스 방사성 폐수지 시료 채취 장치 및 시료 채취 방법
KR101999226B1 (ko) * 2018-07-18 2019-07-11 수자원기술 주식회사 지하 관로 위치를 측량하기 위한 측량 정렬장치
CN109269840A (zh) * 2018-11-30 2019-01-25 中国海洋大学 一种海底沉积物和海洋底层水同时采集装置
KR102182274B1 (ko) * 2019-01-21 2020-11-24 채일석 매연측정프로브
US20200246825A1 (en) * 2019-02-06 2020-08-06 Tracy Kessling Tripod Hose Spray Nozzle Attachment
KR102471554B1 (ko) 2022-08-07 2022-11-28 (주)청담이엠텍 비점 오염원 모니터링 자동 채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35965B1 (en) Apparatus to assist in the collection of stormwater-quality samples in a vertical profile
KR102612620B1 (ko) 자동채수기의 하수 흡입호스 고정장치
CN109163146A (zh) 管道安装结构及其安装方法
US4332683A (en) Adjustable and stationary holding apparatus for a swimming pool surface skim net
KR101414198B1 (ko) 하수 관거의 초음파 유량센서 지지 장치
KR101902615B1 (ko) 하수관로의 협잡물처리 스크린장치
CN113375648B (zh) 一种用于地质矿产勘测的便携式工程测绘装置
JP4505562B2 (ja) 緊急雨漏れ対策棒
US440715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n interface from a remote location
CN209820836U (zh) 水体采样装置
KR200190446Y1 (ko) 관로세척장치
US5413005A (en) Sample collector for fog-containing wastewater
CN214373578U (zh) 一种水文水质用检测装置
CN209028013U (zh) 一种化工装置管道系统吹扫检测装置
CN208443762U (zh) 一种成像板固定装置
CN213749987U (zh) 一种隧道管廊局放测试仪
KR102629522B1 (ko) 채수장치의 맨홀 고정용 브라켓유닛
CN218896077U (zh) 一种石油烃萃取液除水净化装置
CN208721652U (zh) 便携式废气检测器
KR102399274B1 (ko) 휴대용 채수 필터 장치
US4081998A (en) Flow stilling device
KR20240010188A (ko) 휴대용 물리검층장비 거치대
CN205979084U (zh) 仪表安装支架
KR102276880B1 (ko) 하천 퇴적물 시료 포집장치 및 포집방법
CN220772672U (zh) 定深采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