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6880B1 - 하천 퇴적물 시료 포집장치 및 포집방법 - Google Patents

하천 퇴적물 시료 포집장치 및 포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6880B1
KR102276880B1 KR1020200072129A KR20200072129A KR102276880B1 KR 102276880 B1 KR102276880 B1 KR 102276880B1 KR 1020200072129 A KR1020200072129 A KR 1020200072129A KR 20200072129 A KR20200072129 A KR 20200072129A KR 102276880 B1 KR102276880 B1 KR 102276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sample
fixed body
sediment
perfo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2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윤모
채민희
이대희
육심현
박윤경
최한아
석광설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00072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68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6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6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9/00Testing the nature of borehole walls; Formation testing; Methods or apparatus for obtaining samples of soil or well fluids, specially adapted to earth drilling or wells
    • E21B49/02Testing the nature of borehole walls; Formation testing; Methods or apparatus for obtaining samples of soil or well fluids, specially adapted to earth drilling or wells by mechanically taking samples of the soil
    • E21B49/025Testing the nature of borehole walls; Formation testing; Methods or apparatus for obtaining samples of soil or well fluids, specially adapted to earth drilling or wells by mechanically taking samples of the soil of underwater soil, e.g. with grab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2001/1006Dispersed solids
    • G01N2001/1012Suspensions
    • G01N2001/1025Liquid suspensions; Slurries; Mud; Slud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2001/1031Sampling from special pla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 퇴적물 시료 포집장치 및 포집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상 바닥면에 소정 깊이 매몰된 상태로 위치하기 위한 고정 몸체부(100); 및 퇴적물 시료를 일시적으로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고정 몸체부(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리 몸체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퇴적물 시료 포집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집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천 퇴적물 시료 포집장치 및 포집방법{Underground sediment sampling device and sampling method using thereof}
본 발명은 하천 퇴적물 시료 포집장치 및 포집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천이나 호소 등 수계의 퇴적층에 포함되어 있는 중금속 물질의 종류와 함유량을 분석하기 위한 시료를 채취하기 위한 하천 퇴적물 시료 포집장치 및 포집방법에 관한 것이다.
퇴적물 측정망의 퇴적물을 채취하고 분석용 시료를 준비하기 위해서는, 수면 아래 다수 지점의 퇴적물을 채취하여 혼합하고, 분석항목에 따라 체질, 건조, 분쇄한 후 분석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퇴적물 시료는 하천의 경우 좌안에서 우안으로 도강하며 일정 간격으로 5개 지점 이상에서 채취하여야 하고, 호소의 경우에는 조사지점 주변에서 5개 지점 이상을 채취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편, 분석결과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채취한 퇴적물에 플라스틱, 나무, 생물, 돌 등의 협잡물이 포함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채취한 시료는 크기가 큰 협잡물을 미리 제거한 후, 체 눈 크기가 2 mm의 체를 이용하여 체질을 수행하고, 체를 통과한 시료를 고르게 혼합한 후 분석항목에 따라 시험한다(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 국립환경과학원 고시 제2018-65호).
따라서 각종 분석용 시료를 준비하기 위해서는 퇴적물 시료를 1개 지점별 최소 5회 이상 채취하여야 하며, 여러 항목을 분석하기 위한 상당량(지점당 2kg 이상)의 시료가 필요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요구된다.
한편, 하천이나 호소와 같은 수계에서는 정확한 위치 파악이 어렵기 때문에 시료를 채취한 위치가 매번 바뀌는 경우가 빈번하고 이로 인해 분석 결과의 신뢰성이 낮아질 수 있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게다가, 채취한 시료에 포함된 큰 협잡물을 제거하고 또 체 눈 크기가 2 mm의 체를 이용하여 체질을 수행해야 하므로 이에 따른 시료 준비 과정과 인력이 많이 필요하다는 점도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4-0069688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항상 정확한 위치에서 수계의 퇴적물 시료를 채취할 수 있는 퇴적물 시료 포집장치 및 포집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2mm의 체 눈 크기를 통과한 퇴적물 시료만을 선택적으로 채취할 수 있는 퇴적물 시료 포집장치 및 포집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천 퇴적물 시료 포집장치는, 하상 바닥면에 소정 깊이 매몰된 상태로 위치하기 위한 고정 몸체부(100); 퇴적물 시료를 일시적으로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고정 몸체부(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리 몸체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천 퇴적물 시료 포집장치에서, 상기 고정 몸체부(100)는 상부가 개방된 채 내부가 비어 있으며, 퇴적물 시료가 유입될 수 있도록 타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천 퇴적물 시료 포집장치에서, 상기 분리 몸체부(200)는 상기 고정 몸체부(100)의 타공을 통해 유입된 퇴적물 시료를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시료 수납부(21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천 퇴적물 시료 포집장치에서, 상기 고정 몸체부(100)와 분리 몸체부(200)는 수평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천 퇴적물 시료 포집장치는, 상기 고정 몸체부(100)는 수평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밀폐된 면으로 둘러싸인 제1 몸체부(110), 일측면에는 퇴적물 시료가 유입되도록 메쉬망으로 이루어진 제1 타공부(121)가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물이 배출되도록 복수개의 제2 타공부(122)가 형성된 상기 제1 몸체부(110) 아래에 위치하는 제2 몸체부(120), 및 밀폐된 면으로 둘러싸인 상기 제2 몸체부(120) 아래에 위치하는 제3 몸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2 타공부(122)는 제2 몸체부(120)의 상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분리 몸체부(200)는, 상기 고정 몸체부(100)의 제1 타공부(121)를 통해 유입된 퇴적물 시료를 일시적으로 수용하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나머지 면은 밀폐된 시료 수납부(210), 일측이 상기 시료 수납부(210)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부로 연장된 연결봉(230), 및 상기 연결봉(230)의 타측에 연결된 파지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천 퇴적물 시료 포집장치에서, 상기 고정 몸체부(100)와 분리 몸체부(200)의 시료 수납부(210)는 원기둥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천 퇴적물 시료 포집방법은, 밀폐된 면으로 둘러싸인 제1 몸체부(110), 일측면에는 퇴적물 시료가 유입되도록 기공 크기가 2mm인 메쉬망으로 이루어진 제1 타공부(121)가 형성되고 타측면 상단부에는 물이 배출되도록 복수개의 제2 타공부(122)가 형성된 상기 제1 몸체부(110) 아래에 위치하는 제2 몸체부(120), 및 밀폐된 면으로 둘러싸인 상기 제2 몸체부(120) 아래에 위치하는 제3 몸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 상부가 개방된 채 내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 형상의 고정 몸체부(100)를 하상 바닥면에 매설 고정하는 제1 단계; 고정 몸체부(100)의 제1 타공부(121)를 통해 유입된 퇴적물 시료를 일시적으로 수용하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나머지 면은 밀폐된 시료 수납부(210), 일측이 상기 시료 수납부(210)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부로 연장된 연결봉(230), 및 상기 연결봉(230) 타측에 연결된 파지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 원기둥 형상의 분리 몸체부(200)를 상기 고정 몸체부(100) 내부에 설치하는 제2 단계; 소정 기간 방치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고정 몸체부(100)에 설치된 분리 몸체부(200)를 인양하여 시료 수납부(210)의 퇴적물 시료를 채취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천 퇴적물 시료 포집방법에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고정 몸체부(100)의 제1 몸체부(110) 상단 가장자리는 수면위로 노출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천 퇴적물 시료 포집방법에서, 상기 제2 단계와 제3 단계 사이에, 상기 고정 몸체부(100)의 상부 개방부에 커버를 장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천 퇴적물 시료 포집장치 및 포집방법에 의하면, 하상 바닥면에 고정 몸체부를 고정 매설해 두기 때문에 항상 동일한 위치에서 시료를 포집할 수 있어 시료 분석 결과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천 퇴적물 시료 포집장치 및 포집방법에 의하면, 고정 몸체부에는 기공 크기가 2mm인 메쉬망이 구비되어 있어 협잡물 제거 등 체분리 과정을 최소활 수 있어 시료 분석에 필요한 시간을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석에 필요한 인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하천 퇴적물 시료 포집장치 및 포집방법에 의하면, 시료가 모이는 분리 몸체부는 고정 몸체부에 탈부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시료 채취가 매우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퇴적물 시료 포집장치가 하천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퇴적물 시료 포집장치에서 고정 몸체부를 일측 방향에서 바라본 확대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퇴적물 시료 포집장치에서 고정 몸체부를 타측 방향에서 바라본 확대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퇴적물 시료 포집장치에서 분리 몸체부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퇴적물 시료 포집장치에서 고정 몸체부와 분리 몸체부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퇴적물 시료 포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천 퇴적물 시료 포집장치 및 포집방법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퇴적물 시료 포집장치가 하천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퇴적물 시료 포집장치는 퇴적물 시료를 채취해야 할 하상 바닥에 고정시킨 상태로 물(10) 속에 설치한 후, 일정 기간 경과 후 포집된 시료를 수집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 몸체부(100)와 분리 몸체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고정 몸체부(100)는 쓰러지지 않을 정도로 하상 바닥면(20)에 소정 깊이 매몰된 상태로 위치하며, 분리 몸체부(200)는 고정 몸체부(100) 내부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퇴적물들을 모으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퇴적물 시료 포집장치에서 고정 몸체부를 일측 방향에서 바라본 확대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퇴적물 시료 포집장치에서 고정 몸체부를 타측 방향에서 바라본 확대사시도이다.
도 1 내지 3을 함게 참조하면서, 고정 몸체부(100)에 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고정 몸체부(100)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분리 몸체부(200)를 수납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다. 여기서, 고정 몸체부(100)의 대략적인 외형은 원기둥 또는 다각형일 수 있으나, 물의 흐름에 대한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원기둥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몸체부(100)는 위에서부터 제1 몸체부(110), 제2 몸체부(120) 및 제3 몸체부(130)가 순차적으로 위치하며, 이들 단위 몸체부들은 연속된 하나의 몸체로 구성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암수나사방식으로 서로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도 무방하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 몸체부(110)는 상면과 하면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들은 밀폐된 상태이므로, 퇴적될 시료와 물은 측면으로는 유입되지 못한다.
제1 몸체부(110) 아래에 위치하는 제2 몸체부(120)는 타공이 형성된 부분과 밀폐면이 함께 구비되어 있다. 일측면, 즉 하천의 상류를 향하는 면에는 퇴적될 시료가 유입될 수 있도록 메쉬망으로 이루어진 제1 타공부(121)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 타공부(121)에 해당되는 메쉬망의 기공은 2mm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퇴적물 시료로 사용할 수 있는 입자의 크기는 2mm 메쉬망을 통과하는 입자로 제한되어 있기 때문이고, 따라서 분리 몸체부(200)에 수집된 시료는 추가적인 체분리 과정 없이 바로 분석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제1 타공부(121)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하류로 방류시킴으로써 고정 몸체부(100)에 전달되는 저항을 감소시키고 또 자칫 큰 입자들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타측면에는 제1 타공부(121)의 기공보다 상대적으로 큰 제2 타공부(122)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2 타공부(122)는 제2 몸체부(120)의 높이방향을 따라 가운데 부분, 또는 가운데에서부터 상부까지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1 타공부(121)를 통과한 시료들이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부호 123은 지지부로서, 물의 흐름에 의해 고정 몸체부(100)가 쓰러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타측면에서 하상면을 향해 한 개 이상 구비되며, 이 때, 지지부(123)는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공지의 회동 가능한 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계속해서, 제2 몸체부(120) 아래에 위치하는 제3 몸체부(130)는 제1 몸체부(110)와 유사하게 측면들은 모두 밀폐되어 있다.
제3 몸체부(130)의 하부 가장자리 아래 또는 외측 둘레에는 한층 안정감을 부여하면서 하상면에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무게추(13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제3 몸체부(130)는 바닥면 없이 개방된 상태이거나, 원판형상의 무게추(131)가 바닥면을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퇴적물 시료 포집장치에서 분리 몸체부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몸체부(100)의 제1 타공부(121)를 통해 유입된 퇴적물 시료를 일시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분리 몸체부(200)는 시료 수납부(210), 연결봉(230) 및 파지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몸체부(110)의 수평 단면과 동일한 외형으로 이루어진 시료 수납부(210)는 제1 몸체부(110)의 공간부에 수납됨으로써, 제1 타공부(121)를 통해 유입된 퇴적물 시료가 모이는 공간으로, 상부는 개방되고 나머지 면은 밀폐되어 있다.
연결봉(230)의 일측은 시료 수납부(210)에 고정되는 한편, 타측은 상부로 소정 길이 연장되어 있으며, 연결봉(230) 타측에는 시료 수납부(210)를 위로 들어 올리거나 내리기 편하도록 파지부(220)가 연결되어 있다.
비록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연결봉(230)은 공지의 길이 조절 수단이 구비됨으로써 길이가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통해 분리 몸체부(200)를 운반하거나 보관 시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면에는 연결봉(230)의 일측이 시료 수납부(210) 바닥면에 1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예시에 불과할 뿐, 연결봉(230)과 시료 수납부(210)의 연결 위치나 연결봉(230)의 개수는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퇴적물 시료 포집장치에서 고정 몸체부와 분리 몸체부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퇴적물 시료 포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5 및 6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퇴적물 시료 포집방법을 설명하면, 고정 몸체부(100)를 하상 바닥면에 매설 고정하는 제1 단계, 분리 몸체부(200)를 고정 몸체부(100) 내부 공간부에 설치하는 제2 단계, 소정 기간 방치하는 제3 단계, 및 분리 몸체부(200)를 인양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단계에서는, 상부가 개방된 채 내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 형상의 고정 몸체부(100) 즉, 밀폐된 면으로 둘러싸인 제1 몸체부(110), 일측면에는 퇴적물 시료가 유입되도록 기공 크기가 2mm인 메쉬망으로 이루어진 제1 타공부(121)가 형성되고 타측면 상단부에는 물이 배출되도록 복수개의 제2 타공부(122)가 형성된 제1 몸체부(110) 아래에 위치하는 제2 몸체부(120), 및 밀폐된 면으로 둘러싸인 상기 제2 몸체부(120) 아래에 위치하는 제3 몸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고정 몸체부(100)를 하상 바닥면에 매설 고정하는 단계이다.
이때, 고정 몸체부(100)의 제1 몸체부(110) 상단 가장자리는 수면위로 노출될 수 있도록 설치해야 하는데, 이는 제1 몸체부(110)의 개방부를 통해 낙엽 등 퇴적물 시료로 사용이 부적절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제1 타공부(121)가 형성되어 있는 제2 몸체부(120)와 제3 몸체부(130)의 경계 부위는 하상 바닥면보다 조금 위에 위치하도록 매설하며, 고정 몸체부(100)의 설치 개수는 퇴적물 시료 분석결과의 신뢰성을 위해 5개소 이상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단계는 분리 몸체부(200)를 고정 몸체부(100) 내부 공간부에 설치하는 단계이다. 즉 상부가 개방되고 나머지 면은 밀폐된 시료 수납부(210), 일측이 시료 수납부(210)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부로 연장된 연결봉(230), 및 연결봉(230) 타측에 연결된 파지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 분리 몸체부(200)를 고정 몸체부(100)에 수납시켜 두는 단계이다.
이때 고정 몸체부(100)로 유입되는 시료가 시료 수납부(210)로 쉽게 모일 수 있도록 시료 수납부(210)의 개방부는 제2 몸체부(120)와 제3 몸체부(130)의 경계 부근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고정 몸체부(100)에 분리 몸체부(200)를 장착시킨 후, 고정 몸체부(100)의 상부 개방부에는 상부를 완전히 밀폐하거나 또는 2mm 크기의 기공을 갖는 메쉬망으로 이루어진 커버(미도시)를 장착해 두는 것도 가능하다.
제3 단계는 소정 기간 방치해 두는 단계이다.
마지막으로 제4 단계는 고정 몸체부(100)에 설치된 분리 몸체부(200)를 인양하여 시료 수납부(210)에 쌓인 퇴적물 시료를 채취하는 단계이다. 즉, 시료 채취자가 손으로 파지부(220)를 잡은 후, 위로 당기면 퇴적물 시료가 모여 있는 시료 수납부(210)가 고정 몸체부(100)로부터 분리된다.
물론 시료 수납부(210)에 모인 시료는 별도의 시료 용기에 옮겨 담고, 다음번 시료채취를 위해 고정 몸체부(100) 내부에 분리 몸체부(200)를 설치하는 제2 단계가 반복 수행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100 : 고정 몸체부
110 : 제1 몸체부
120 : 제2 몸체부
121 : 제1 타공부 122 : 제2 타공부
123 : 지지부
130 : 제3 몸체부
131 : 무게추
200 : 분리 몸체부
210 : 시료 수납부
220 : 파지부
230 : 연결봉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상부가 개방된 채 내부가 비어 있으며, 하상 바닥면에 소정 깊이 매몰된 상태로 위치하기 위한 고정 몸체부(100); 및 퇴적물 시료를 일시적으로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고정 몸체부(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리 몸체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 몸체부(100)는 수평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밀폐된 면으로 둘러싸인 제1 몸체부(110), 일측면에는 퇴적물 시료가 유입되도록 2mm인 메쉬망으로 이루어진 제1 타공부(121)가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유입된 물의 배출을 유도하기 위하여 제1 타공부(121)의 기공보다 상대적으로 큰 복수개의 제2 타공부(122)가 형성된 상기 제1 몸체부(110) 아래에 위치하는 제2 몸체부(120), 및 밀폐된 면으로 둘러싸인 상기 제2 몸체부(120) 아래에 위치하는 제3 몸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2 타공부(122)는 제2 몸체부(120)의 상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몸체부(120)의 제2 타공부(122)가 형성된 외측면에는 복수개의 지지부(123)가 구비되고,
    상기 제3 몸체부(130) 하부 가장자리 아래 또는 외측 둘레에는 무게추(131)가 구비되며,
    상기 분리 몸체부(200)는, 상기 고정 몸체부(100)의 제1 타공부(121)를 통해 유입된 퇴적물 시료를 일시적으로 수용하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나머지 면은 밀폐된 시료 수납부(210), 일측이 상기 시료 수납부(210)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부로 연장된 연결봉(230), 및 상기 연결봉(230)의 타측에 연결된 파지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 하천 퇴적물 시료 포집장치를 이용한 하천 퇴적물 시료 포집방법으로서,
    원기둥 형상의 고정 몸체부(100)를 하상 바닥면에 매설 고정하는 제1 단계;
    분리 몸체부(200)를 상기 고정 몸체부(100) 내부에 설치하는 제2 단계;
    소정 기간 방치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고정 몸체부(100)에 설치된 분리 몸체부(200)를 인양하여 시료 수납부(210)의 퇴적물 시료를 채취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고정 몸체부(100)의 제1 몸체부(110) 상단 가장자리는 수면위로 노출되며, 제1 타공부(121)가 형성되어 있는 제2 몸체부(120)와 제3 몸체부(130)의 경계 부위는 하상 바닥면보다 위에 위치하도록 매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퇴적물 시료 포집방법.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와 제3 단계 사이에, 상기 고정 몸체부(100)의 상부 개방부에 커버를 장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퇴적물 시료 포집방법.
KR1020200072129A 2020-06-15 2020-06-15 하천 퇴적물 시료 포집장치 및 포집방법 KR102276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129A KR102276880B1 (ko) 2020-06-15 2020-06-15 하천 퇴적물 시료 포집장치 및 포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129A KR102276880B1 (ko) 2020-06-15 2020-06-15 하천 퇴적물 시료 포집장치 및 포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6880B1 true KR102276880B1 (ko) 2021-07-13

Family

ID=76858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2129A KR102276880B1 (ko) 2020-06-15 2020-06-15 하천 퇴적물 시료 포집장치 및 포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688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1017B1 (ko) * 2010-06-23 2010-12-14 울산광역시 여과재 시료 채취기
KR20140069688A (ko) 2012-11-29 2014-06-1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하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하 퇴적물 시료 채취방법
KR101462097B1 (ko) * 2014-07-03 2014-11-19 (주)지오시스템리서치 소류사 포집장치
KR101905175B1 (ko) * 2018-06-05 2018-10-08 대한민국 채수장치
KR101927921B1 (ko) * 2018-08-22 2018-12-17 대한민국 수중 퇴적물 포집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1017B1 (ko) * 2010-06-23 2010-12-14 울산광역시 여과재 시료 채취기
KR20140069688A (ko) 2012-11-29 2014-06-1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하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하 퇴적물 시료 채취방법
KR101462097B1 (ko) * 2014-07-03 2014-11-19 (주)지오시스템리서치 소류사 포집장치
KR101905175B1 (ko) * 2018-06-05 2018-10-08 대한민국 채수장치
KR101927921B1 (ko) * 2018-08-22 2018-12-17 대한민국 수중 퇴적물 포집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63829B2 (en) Drill cutting sampler
KR101924148B1 (ko) 수질 및 퇴적물 시료 채취용 스탠드
US4762009A (en) In-situ integrated suspended sediment stream sampler
US5889217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obtaining samples of liquid and gas from soil
KR101277324B1 (ko) 복합식 시료 채취 장치
CN101551304B (zh) 一种水样分层采样器
Schubert et al. Monitoring of contaminants in suspended particulate matter as an alternative to sediments
Ahad et al. Polycyclic aromatic compounds (PACs) in the Canadian environment: A review of sampling techniques, strategies and instrumentation
KR101927923B1 (ko) 퇴적물 시료채취기
CN103674613A (zh) 一种悬移质泥沙采样器
KR101905175B1 (ko) 채수장치
US7069771B1 (en) Partitioning sediment trap
JP2017015490A (ja) 懸濁物質含量測定装置及び懸濁物質含量測定方法
KR101458816B1 (ko) 수심별 부유토사를 수집하기 위한 시간-누적형 부유토사 샘플러
KR102276880B1 (ko) 하천 퇴적물 시료 포집장치 및 포집방법
CN107167340B (zh) 采泥器
US9835525B2 (en) Multiphase sample container and method
CN210513813U (zh) 水煤浆检测取样装置
Kaminski et al. Evaluation of two devices for sampling nektonic invertebrates
KR101493350B1 (ko) 인입식 관정수 포집기
KR101486285B1 (ko) 개폐식 관정수 포집기
KR101794214B1 (ko) 양식장 오염부하량 산정을 위한 침강물질 포집장치
Papucci Sampling marine sediments for radionuclide monitoring
DE4316982C1 (de) Vorrichtung für automatisiertes, selbsttätiges Probenehmen aus Abwasser zu dessen laufender Überwachung
Scrudato et al. An in-situ integrated suspended sediment stream sampler (IS3)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