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7923B1 - 퇴적물 시료채취기 - Google Patents

퇴적물 시료채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7923B1
KR101927923B1 KR1020180108676A KR20180108676A KR101927923B1 KR 101927923 B1 KR101927923 B1 KR 101927923B1 KR 1020180108676 A KR1020180108676 A KR 1020180108676A KR 20180108676 A KR20180108676 A KR 20180108676A KR 101927923 B1 KR101927923 B1 KR 101927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ontainer body
sample
sediment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8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항수
노혜란
이보미
유순주
김국희
성기선
이성혜
문권영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80108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79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7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7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2001/1006Dispersed solids
    • G01N2001/1012Suspensions
    • G01N2001/1025Liquid suspensions; Slurries; Mud; Slud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 바닥에 쌓여 있는 퇴적물 시료채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파지하는 막대 형상의 지지봉; 상기 지지봉의 일측과 연결되어 있는 시료 채취용기를 포함하되, 상기 시료 채취용기는 측면 일측에 개구부가 구비된 내부가 비어 있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적물 시료채취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퇴적물 시료채취기{Sediment Scoop}
본 발명은 퇴적물 시료채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천, 호소, 해양 바닥에 쌓여 있는 분석에 필요한 퇴적물 시료를 긁어서 채취하는 퇴적물 시료채취기에 관한 것이다.
퇴적물 측정망의 퇴적물을 채취하고 분석용 시료를 준비하기 위해서는, 수면 아래 다수 지점의 퇴적물을 채취하여 혼합하고, 분석항목에 따라 체질, 건조, 분쇄한 후 분석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퇴적물 시료는 하천의 경우 좌안에서 우안으로 도강하며 일정 간격으로 5개 지점 이상에서 채취하여야 하고, 호소의 경우에는 조사지점 주변에서 5개 지점 이상을 채취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편, 분석결과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채취한 퇴적물에 플라스틱, 나무, 생물, 돌 등의 협잡물이 포함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채취한 시료는 크기가 큰 협잡물을 미리 제거한 후, 체 눈 크기가 2 mm의 체를 이용하여 체질을 수행하고, 체를 통과한 시료를 고르게 혼합한 후 분석항목에 따라 시험한다(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 국립환경과학원 고시 제2017-18호).
따라서 각종 분석용 시료를 준비하기 위해서는 퇴적물 시료를 1개 지점별 최소 5회 이상 채취하여야 하며, 여러 항목을 분석하기 위한 상당량(지점당 2kg 이상)의 시료가 필요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요구된다.
이러한 퇴적물 시료를 채취하기 위한 종래의 퇴적물 시료채취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10) 일측에는 시료를 긁어모으기 위한 시료 수용부(30)가 구비되고, 지지부(10) 소정 위치에는 시료 채취자가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부(20)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채취기로 시료를 채취하는 방법은, 양손 또는 한손으로 손잡이부(20)를 잡고 힘으로 시료 수용부(30)를 이동시키면서 바닥의 퇴적물을 긁어모아야하기 때문에 상당한 힘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허리 등을 다치는 경우가 있다.
시료 채취와 관련된 종래 기술로서는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4-0005966호에는 원형의 단면 모양을 가지고 길게 연장된 관체의 내부에 토양시료가 채워질 수 있는 공간을 가지고, 상단부와 하단부가 모두 개방된 시료 채취관; 상기 시료 채취관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상부마개; 상기 시료 채취관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하부마개; 상기 상부마개에 형성된 니플(nipple) 삽입공; 상기 니플 삽입공에 결합되는 니플; 및 상기 니플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 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니플은 상기 상부마개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상부마개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1관체부의 표면에 제1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캡 너트의 내부면에는 제3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니플의 제1나사부와 상기 캡 너트의 제3나사부가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수중 퇴적물 시료채취기가 개시되어 있다.
또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997-0070986호에는 하단부는 역원뿔형상의 굴착단의 상부 외주면에 수개의 저항돌조와 이저항돌조 하방일측 채취구를 형성하고, 상기 채취구의 내측에 걸림턱과 막음판을 형성하여 상기 관체의 상판에 장볼트로 연결되는 덮개의 운두에는 장공으로 유설하고, 상기 덮개의 상면중앙의 로드연결봉에 다수의 로드와 핸들을 연결한 하천 및 호소바닥의 퇴적물 시료 채취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들 선행기술들은 퇴적물 토양을 채취하기 위한 채취도구에 관한 것일 뿐, 본 발명에서와 같은 수중 바닥에 퇴적한 퇴적물을 채취하는 기구에 관해서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4-0005966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997-0070986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하천, 호소 또는 해양 바닥의 퇴적물 시료를 채취할 수 있는 퇴적물 시료채취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채취한 시료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쉽게 분리할 수 있는 퇴적물 시료채취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퇴적물 시료채취기는 하천, 호소 또는 해양 바닥에 퇴적한 퇴적물 시료채취기로서, 작업자가 파지하는 막대 형상의 지지봉(100); 상기 지지봉(100)의 일측과 연결되어 있는 시료 채취용기(200)를 포함하되, 상기 시료 채취용기(200)는 측면 일측에 개구부(224)가 구비된 내부가 비어 있는 용기본체(210), 상기 용기본체(210)에 연결되어 상기 개구부(224)를 개폐하는 덮개(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퇴적물 시료채취기는, 상기 지지봉(100)은 길이 조절과 회동이 가능하고, 소정 위치에 걸고리 지지구(110)가 구비되고, 상기 용기본체(210)의 개구된 측면과 마주하는 반대측면에는 채취한 퇴적시료의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물 배출구(211), 상기 물 배출구(211)에 장착된 메쉬망(212) 및 상기 물 배출구(211)을 개폐하기 위한 마개(213)가 구비되고, 상기 덮개(220)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다공성망으로 이루어지며, 용기본체(210)와 연결된 상태로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덮개 연결부(222), 상기 개구부(224) 개폐시 파지를 위한 손잡이(221), 및 상기 개구부(224) 개방시 덮개(220)를 상기 걸고리 지지구(110)에 고정시키기 위한 걸고리(223)를 포함하고, 퇴적물을 긁어 상기 용기본체(210)의 개구된 측면으로 인입시키기 위한 용기본체(210)의 개구부(224)에 마련된 스크래퍼(2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퇴적물 시료채취기에서 상기 지지봉(100)은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퇴적물 시료채취기에서 상기 덮개(220)는, 용기본체(210)와 연결된 상태로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덮개 연결부(222) 및 상기 개구부(224) 개폐시 파지를 위한 손잡이(221)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퇴적물 시료채취기에서 상기 용기본체(210)와 덮개(220)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퇴적물 시료채취기에 의하면, 용기본체로 유입된 물을 개구부 반대편에 위치하는 메쉬망이 장착되어 있는 물 배출구로 배출되기 때문에,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시료를 채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퇴적물 시료채취기에 의하면, 용기본체의 개구부에는 개폐 가능한 다공성 덮개가 구비되어 있고, 이를 통해 채취한 시료를 별도의 분석용기로 옮기는 과정에서 시료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분리할 수 있어, 분석에 필요한 시간을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석결과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퇴적물 시료채취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퇴적물 시료채취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퇴적물 시료채취기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퇴적물 시료채취기의 측면 단면도이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중 퇴적물 시료채취기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퇴적물 시료채취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퇴적물 시료채취기의 요부 확대 사시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퇴적물 시료채취기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퇴적물 시료채취기는 지지봉(100)과 시료 채취용기(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작업자가 손으로 잡는 긴 막대 형상의 지지봉(100)은 시료 채취용기(200)의 상측 외면에 연결되어 있고, 하천, 호소 또는 해양 바닥에 퇴적한 퇴적물을 채취함에 있어 시료 채취용기(200)를 지지하고 또 시료 채취가 완료되면 물 밖으로 들어올리기 위한 것이다.
상기 지지봉(100)은 시료 채취용기(200)에 완전히 고정될 수도 있지만, 퇴적물 채취시 작업자가 적은 힘과 허리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퇴적물 채취가 가능하도록 시료 채취용기(200)의 길이방향으로만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봉(100)과 시료 채취용기(200)와의 회동 가능한 구조로는, 소정 거리 이격된 한 쌍의 판체로 이루어진 브라켓을 시료 채취용기(200)에 구비시키는 한편, 지지봉(100)의 일측 말단부에 볼트유입공을 형성시켜 볼트와 너트로 결합시킬 수 있으나, 지지봉(100)과 시료 채취용기(200)가 회동가능한 결합 방법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지지봉(100)은 길이가 고정된 한 개의 봉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의 신장에 따라 작업이 용이하도록 2개 이상의 봉으로 이루어져 지지봉(10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상기 지지봉(100)의 소정 위치, 보다 상세하게는 시료 채취용기(200)의 개구부(224) 방향을 향해 소정 각도로 절곡되어 있는 걸고리 지지구(11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관련하여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은 지지봉(100)과 연결되어 있는 시료 채취용기(200)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시료 채취용기(200)는 지지봉(100)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용기본체(210), 덮개(220), 스크래퍼(230) 및 지지봉 연결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용기본체(210)는 퇴적물 시료가 유입될 수 있도록 일측면에 원형 또는 타원형의 개구부(224)가 구비되는 한편, 유입된 퇴적물 시료가 밖으로 나가지 못하도록 나머지 면들은 모두 막혀 있는 소정 용적의 공간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개구부(224)와 마주보는 반대측면에는 채취한 퇴적시료의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물 배출구(211)와 물 배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마개(213)가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상기 용기본체(210) 공간부에 채취된 시료는 그대로 있으면서 물만 배출될 수 있도록 메쉬망(212)이 물 배출구(211)에 장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용기본체(210)를 앞으로 전진시키면서 수중 바닥의 퇴적물을 긁어서 채취하는 경우, 퇴적물과 함께 물도 용기본체(210) 공간부로 유입되므로 힘이 많이 들 수밖에 없다. 하지만, 본 발명의 용기본체(210)는 유입된 물을 용기본체(210)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물 배출구(211)가 개구부(224) 반대면에 구비되어 있어 보다 적은 힘으로도 용기본체(210)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특히 물 배출구(211)에는 채취한 시료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메쉬망(212)이 구비되어 있어 분석결과의 신뢰성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쉬망(212)에 구비된 기공은 용기본체(210)의 시료가 밖으로 나오지 않을 정도의 크기를 가져야 함은 자명하다.
물 배출구(211)를 개폐하기 위한 마개(213)는 시료 채취가 끝난 후, 시료 운반시 물 배출구(211)을 막기 위함이다. 시료가 채워져 있는 용기본체(210)를 물 밖으로 들어 올리면, 물 배출구(211)을 통해 물이 배출되지만 퇴적물 시료에는 여전히 상당량의 수분이 포함되어 있고, 따라서 운반과정에서 지속적으로 물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용기본체(210)의 개구부(224)를 개폐하기 위한 덮개(220)가 더 구비될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덮개(220)는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용기본체(210)를 측면에서 바라볼 때 소정의 곡률반경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개구부(224)를 형성하는 용기본체(210) 상부 주연부에 덮개 연결부(222)를 통하여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덮개 연결부(222)는 용기본체(210)와 덮개(220)를 서로 연결하면서 덮개(220)가 회동 가능한 구조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며, 일예로 경첩구조일 수 있다.
상기 덮개(220)는 소정영역이 다수의 통공이 뚫려 있는 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일예로 원형 통공일 경우 내경은 1~2 ㎝일 수 있다.
수중 바닥의 퇴적물 채취시에는 용기본체(210)의 개구부(224)로 잘 유입될 수 있도록 덮개(220)를 위로 젖혀 개구부(224)를 개방상태로 유지하고, 시료 채취가 끝난 뒤 분석을 위해 시료를 별도의 분석용기로 옮기는 과정에서는 덮개(220)를 다시 아래로 내려 개구부(224)를 밀폐시킨다. 그러면 퇴적물 시료에 포함되어 있던 각종 이물질, 예를 들어 낙엽, 자갈 등과 같은 분석대상에 포함되지 않는 물질들은 밖으로 나오지 않고 분석에 필요한 시료만 배출되므로, 시료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리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어 분석에 필요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상기 덮개(220)를 위로 젖히거나 아래로 내리기 용이하도록 개구부(224) 개폐시 파지를 위한 손잡이(22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덮개(220)를 위로 젖혀 개구부(224)를 개방시킨 상태로 시료 채취가 가능하도록 상기 걸고리 지지구(110)에 고정시키기 위한 걸고리(223)가 덮개(220) 소정 위치에 더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용기본체(210)와 덮개(220)는 시료의 변질을 방지하고 분석결과의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도록 오염물질이 용출되지 않는 스테인리스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퇴적물을 긁어 상기 용기본체(210)의 개구부(224)로 인입시키기 위하여, 용기본체(210)의 개구부(224) 인근에는 스크래퍼(2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본체(210) 아래 외측면에는 개구부(224)가 구비된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갖는 스크래퍼(230)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용기본체(210)보다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또 퇴적물을 보다 용이하게 긁어 모을 수 있도록 스크래퍼(230)의 타측은 선단은 톱니모양이다. 게다가 퇴적물 채취 시에는 용기본체(210) 개구부(224)가 퇴적물이 쌓여 있는 수중 바닥층과 평행을 이루거나 바닥층을 향하고, 반대로 샘플 채취가 완료된 후에는 용기본체(210) 개구부(224)가 수면을 향할 수 있도록 스크래퍼(230)의 타측이 수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굴곡져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본체(210)를 측면에서 바라보면, 지지봉 연결부(240)가 부착되어 있는 상면은 수중 바닥층을 향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진 제1 경사면(214)과 상기 제1 경사면(214)보다 큰 각도로 경사진 제2 경사면(215), 그리고 물 배출구(211)가 구비되어 있는 후면은 수직면(216)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반해 스크래퍼(230)의 일측이 고정되어 있는 하면은 상면이나 후면과는 달리, 소정의 곡귤반경을 갖는 굴곡면(217)으로 이루어져 있고, 특히 개구부(224) 측으로 갈수록 굴곡면(217)의 가상의 접선과 수중 바닥층이 이루는 각도가 점진적으로 작아진다.
이는 수중 바닥의 퇴적물을 용이하게 채취하기 위함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퇴적물 채취 시에는 제2 경사면(215)에 외력을 가하여 개구부(224)가 소정 각도로 수중 바닥층을 향하도록 하고, 시료의 채취가 끝난 뒤에는 경사각이 상대적으로 작은 제1 경사면(214)에 수직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면, 후면 즉, 수직면(216) 인근의 굴곡면(217)이 수중 바닥층과의 각도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개구부(224)의 방향전환이 매우 용이하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퇴적물 시료채취기를 사용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퇴적물 시료채취가 요구되는 현장, 일예로 하천의 소정 위치에 도착하면, 먼저 채취하기에 적절하도록 지지봉(100)의 길이를 조절한다. 이후 덮개(220)의 손잡이(221)를 잡아 위로 젖힌 후, 지지봉(100)의 걸고리 지지구(110)에 덮개(220)의 걸고리(223)를 걸어 고정시키고, 물 배출구(211)로부터 마개(213)를 분리시킨다.
다음으로, 한 손 또는 두 손으로 지지봉(100)을 잡고, 용기본체(210)의 스크래퍼(230)가 수중 바닥층과 맞닿도록 넣은 후, 스크래퍼(230)가 바닥층의 퇴적물을 긁으면서 전진할 수 있도록, 발로 용기본체(210)의 제2 경사면(215)에 힘을 가한다.
소정의 시료 채취가 끝나면, 채취한 시료가 용기본체(210) 밖으로 나오지 못하도록 발로 용기본체(210)의 제1 경사면(214)을 수직방향으로 눌러 개구부(224)가 수면방향을 향하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용기본체(210)를 수면위로 들어 올려, 물 배출구(211)로 물을 배출시킨 후, 육지로 이동한다. 물론 용기본체(210) 내부의 물이 매우 소량이라고 판단되면 마개(213)로 물 배출구(211)를 막은 후 이동할 수 있고, 덮개(220)가 개구부(224)와 접하고 있어도 무방하다.
용기본체(210)에 들어 있는 채취한 시료는 별도의 시료 준비용 용기에 담는다. 이때, 용기본체(210)의 시료는 덮개(220)의 통공들을 통과하여 배출되고 각종 이물질은 용기본체(210)에 그대로 남아 있도록 반드시 개구부(224)를 덮개(220)가 막은 상태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필요한 시료의 개수에 따라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고, 이후 준비한 시료는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법에 따라 분석을 수행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10 : 지지부
20 : 손잡이부
30 : 시료 수용부
100 : 지지봉
110 : 걸고리 지지구
200 : 시료 채취용기
210 : 용기본체
211 : 물 배출구 212 : 메쉬망
213 : 마개 214 : 제1 경사면
215 : 제2 경사면 216 : 수직면
217 : 굴곡면
220 : 덮개
221 : 손잡이 222 : 덮개 연결부
223 : 걸고리 224 : 개구부
230 : 스크래퍼
240 : 지지봉 연결부

Claims (5)

  1. 하천, 호소 또는 해양 바닥에 퇴적한 퇴적물 시료채취기로서,
    상기 시료채취기는, 작업자가 파지하는 막대 형상의 지지봉(100);
    상기 지지봉(100)의 일측과 연결되어 있는 시료 채취용기(200)를 포함하되,
    상기 시료 채취용기(200)는 측면 일측에 개구부(224)가 구비된 내부가 비어 있는 용기본체(210), 상기 용기본체(210)에 연결되어 상기 개구부(224)를 개폐하는 덮개(220)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봉(100)은 길이 조절과 회동이 가능하고, 소정 위치에 걸고리 지지구(110)가 구비되고,
    상기 용기본체(210)의 개구된 측면과 마주하는 반대측면에는 채취한 퇴적시료의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물 배출구(211), 상기 물 배출구(211)에 장착된 메쉬망(212) 및 상기 물 배출구(211)를 개폐하기 위한 마개(213)가 구비되고,
    상기 덮개(220)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다공성망으로 이루어지며, 용기본체(210)와 연결된 상태로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덮개 연결부(222), 상기 개구부(224) 개폐시 파지를 위한 손잡이(221), 및 상기 개구부(224) 개방시 덮개(220)를 상기 걸고리 지지구(110)에 고정시키기 위한 걸고리(223)를 포함하고,
    퇴적물을 긁어 상기 용기본체(210)의 개구된 측면으로 인입시키기 위한 용기본체(210)의 개구부(224)에 마련된 스크래퍼(2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적물 시료채취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210)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적물 시료채취기.
KR1020180108676A 2018-09-12 2018-09-12 퇴적물 시료채취기 KR101927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676A KR101927923B1 (ko) 2018-09-12 2018-09-12 퇴적물 시료채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676A KR101927923B1 (ko) 2018-09-12 2018-09-12 퇴적물 시료채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7923B1 true KR101927923B1 (ko) 2018-12-17

Family

ID=65007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8676A KR101927923B1 (ko) 2018-09-12 2018-09-12 퇴적물 시료채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792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43655A (zh) * 2019-06-04 2019-09-17 水利部中国科学院水工程生态研究所 一种适用于现场采集底栖生物的清洗装置
CN111337298A (zh) * 2020-03-16 2020-06-26 俞儿惠 一种基于动能自动行走的漂浮式海洋环境监测装置
CN112326331A (zh) * 2020-10-28 2021-02-05 王俭 一种薄层底泥采样器
CN113465987A (zh) * 2021-06-15 2021-10-01 镇江新区环境监测站有限公司 一种底质采样装置及使用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8355A (ja) 2002-08-05 2004-03-04 Takasago Kensetsu Kk 海底耕耘による海底堆積物採取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8355A (ja) 2002-08-05 2004-03-04 Takasago Kensetsu Kk 海底耕耘による海底堆積物採取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43655A (zh) * 2019-06-04 2019-09-17 水利部中国科学院水工程生态研究所 一种适用于现场采集底栖生物的清洗装置
CN111337298A (zh) * 2020-03-16 2020-06-26 俞儿惠 一种基于动能自动行走的漂浮式海洋环境监测装置
CN111337298B (zh) * 2020-03-16 2021-08-10 嘉兴考普诺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动能自动行走的漂浮式海洋环境监测装置
CN112326331A (zh) * 2020-10-28 2021-02-05 王俭 一种薄层底泥采样器
CN113465987A (zh) * 2021-06-15 2021-10-01 镇江新区环境监测站有限公司 一种底质采样装置及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7923B1 (ko) 퇴적물 시료채취기
US4653336A (en) Combination soil auger and soil core sampler with sample retaining capacity
CN104931290A (zh) 一种可拆卸式浅层底泥与土壤两用采样器及其方法
CN102203579A (zh) 检查体用容器
US20170139199A1 (en) Magnifying Container Apparatus
Lai et al. Sampling of micro-and nano-plastics in environmental matrixes
CN106769179B (zh) 一种用于城市排水管道沉积物采集的装置
CN211855897U (zh) 一种污损生物研究检测用收集采样装置
KR100849369B1 (ko) 생물 표본 선별을 위한 사각형 기구
CN210863246U (zh) 一种大容量铁板沙采样器
US4631968A (en) Effluent sampler
CN209656346U (zh) 一种自封式底泥采样器
CN208579946U (zh) 一种完整土壤柱样采集器
KR102430945B1 (ko) 양방향에 개폐부가 구비된 채수기
KR20160118160A (ko) 액상 기반의 세포 검사를 위한 세포 보존용기
KR101693971B1 (ko) 액상 기반의 세포 검사를 위한 세포 보존용기
CN214309590U (zh) 一种便携式低扰动沉积物取样装置
CN212030954U (zh) 一种草原地区土壤样品取样装置
KR101927921B1 (ko) 수중 퇴적물 포집용기
KR101493350B1 (ko) 인입식 관정수 포집기
CN208596054U (zh) 一种土壤渗滤液原位采集装置
Gengerke et al. A modification of Seaburg's stomach sampler
CN109506983A (zh) 一种水体沉积物采样器
CN216900096U (zh) 一种便携式土工试验颗粒分析用初筛装置
CN217384781U (zh) 一种便携式水文水资源勘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