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1378B1 - 재 도장 바탕정리 시스템을 이용한 바탕정리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재 도장 바탕정리 시스템을 이용한 바탕정리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1378B1
KR102471378B1 KR1020210063850A KR20210063850A KR102471378B1 KR 102471378 B1 KR102471378 B1 KR 102471378B1 KR 1020210063850 A KR1020210063850 A KR 1020210063850A KR 20210063850 A KR20210063850 A KR 20210063850A KR 102471378 B1 KR102471378 B1 KR 102471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compressed air
control unit
paint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3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6184A (ko
Inventor
백운호
심경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디페인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디페인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디페인트
Priority to KR1020210063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1378B1/ko
Publication of KR20220156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6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1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1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05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mounted on vehicles or designed to apply a liquid on a very large surface, e.g. on the road, on the surface of lar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89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an atomising fluid, e.g. a gas, being supplied to the discharge device
    • B05B7/2491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an atomising fluid, e.g. a gas, being supplied to the discharge device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producing or supplying the atomising fluid, e.g. air hoses, air pumps, gas containers, compressors, fans, ventilators, their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89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an atomising fluid, e.g. a gas, being supplied to the discharge device
    • B05B7/249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an atomising fluid, e.g. a gas, being supplied to the discharge device a liquid being supplied from a pressurized or compressible container to the discharge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5/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 B05D5/005Repairing damaged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50Multilayers
    • B05D7/52Two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3/0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 B24C3/08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essentially adapted for abrasive blasting of travelling stock or travelling work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503/00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504/00Epoxy poly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함과 아울러 작업 시간을 단축하면서도 건물외벽의 바탕(표면)에 오염 및 손상된 도장(또는 페인트 칠)을 용이하게 제거한 후, 도장이 제거된 건물외벽의 바탕을 재(再) 도장하여 건물외벽이 미려해 보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도장을 더욱 오랜기간 지연시키는 재 도장 바탕정리 시스템을 이용한 바탕정리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제어부(102)와 에어콤프레셔(104)와 제1호스(106)와 압축탱크(108)와 제2호스(110)와 건조부(112)와 제3호스(114)와 쇼트기(116)와 제4호스(118)와 분사부(120)와 고소작업대(122)를 위치시킨 후, 제어부(102)에 동작신호를 인가함과 아울러 쇼트기(116)로 Garnet sand를 투입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 후, 제어부(102)는 에어콤프레셔(104)와 압축탱크(108)와 건조부(112)와 쇼트기(116)로 제어신호를 보내고, 에어콤프레셔(104)는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제1압축공기를 발생시킨 후, 제1압축공기 발생시 생성되는 유분 및 수분을 포함한 제1압축공기를 제1호스(106)로 보내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 후, 제1호스(106)는 에어콤프레셔(104)로부터 내보져 오는 유분 및 수분을 포함한 제1압축공기를 압축탱크(108)로 보내는 제3단계 등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재 도장 바탕정리 시스템을 이용한 바탕정리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for Surface Cleanup Using Re-painted Surface Cleanup System}
본 발명은 건물외벽의 바탕정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함과 아울러 작업 시간을 단축하면서도 건물외벽의 바탕(표면)에 오염 및 손상된 도장(또는 페인트 칠)을 용이하게 제거한 후, 도장이 제거된 건물외벽의 바탕을 재(再) 도장하여 건물외벽이 미려해 보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도장을 더욱 오랜기간 지연시키는 재 도장 바탕정리 시스템을 이용한 바탕정리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외벽에 페인트 도장작업을 할 경우에는 페인트 기능공에 의해 도장작업이 이루어진다.
상기의 페인트 도장작업은 건축물의 층수가 낮을 경우에는 작업자가 지상에 서서 로울러를 이용하여 페인트 도장을 하게되고, 고층건물일 경우에는 도 1 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견인줄(10)에 의해 승하강되는 작업대(20)를 설치한 다음 그 작업
대(20)에 작업자가 앉아 지상의 페인트분사기(도면중 미도시)에서 공급받은 페인트를 분사건(30)을 이용하여 외벽에 도장작업을 하는 것이나 이는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 분사건(30)을 이용한 도장법은 페인트를 분사시 페인트비산물이 발생되는데, 건축물의 외벽에 페인트 도장을 하는 작업은 건물 외부에서 하는 것이므로 페인트비산물은 모두 대기중으로 날아가 대기의 공기를 오염시키는바 이처럼 오염된 공기는 건강한 사람이 마셔도 호흡기질환등이 나타날 수 있는데, 폐질환, 심장질환, 순환계질환 등을 갖고 있는 사람 등과 호흡기와 순환기 계통의 작용이 활발하지 못한 노약자들이 마시게 되면 더욱 건강이 악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 상기처럼 평상시 도장작업에도 페인트비산물이 발생되는데, 바람이라도 불게되면 페인트비산물의 양이 더욱 많아짐에 따라 도장하고자 하는 부위의 외벽에는 적은양의 페인트만이 분사되어 그 부위를 여러번 반복해서 페인트를 분사하여야 하므로 그만큼 작업시간이 오래걸리고, 보다 많은양의 페인트를 사용함에 따른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2005년 12월 26일자 출원번호 제10-2005-0129794호(발명의 명칭 : 고층건물의 외벽 도장시스템 및 도장공법)로 특허청에 출원된 바 있으며, 도 2를 참조하여 청구범위를 살펴보면, 청구범위는 " 견인줄(100)에 의해 승하강 되는 작업대(200)와; 페인트분사기(310)를 통해 페인트를 공급받아 분사하는 분사건(300)과; 상기 분사건(300)이 구비되는 작업대(200)의 상면에 전방이 개방되도록 설치되는 방풍막(400); 을 이용하여 도장작업시 작업대(200) 주변으로 페인트의 비산되는 양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고층 건물의 외벽 도장 시스템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방풍막(400)을 투명 재질로 형성하고, 상기 방풍막(400)이 구비된 작업대(200)의 일측에는 방풍막(400) 내의 페인트비산물을 흡입 여과하여 집진주름관(510)으로 배출하는 집진장치(50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의 외벽 도장시스템. " 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에 따른 고층 건물의 외벽 도장시스템은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건물외벽의 바탕(표면)에 오염 및 손상된 도장(또는 페인트 칠)을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오염 및 손상된 도장을 제거하지 못한 상태에서 건물외벽의 바탕을 재(再) 도장된 경우 자동차의 매연이나 각종 대기오염물질에 오랜 기간동안 노출될 때, 재 도장된 페인트가 빨리 벗겨지거나 덜뜸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건물외벽이 미려해 보이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량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함과 아울러 작업 시간을 단축하면서도 건물외벽의 바탕(표면)에 오염 및 손상된 도장(또는 페인트 칠)을 용이하게 제거한 후, 도장이 제거된 건물외벽의 바탕을 재(再) 도장하여 건물외벽이 미려해 보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도장을 더욱 오랜기간 지연시키는 재 도장 바탕정리 시스템을 이용한 바탕정리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재 도장 바탕정리 시스템을 이용한 바탕정리 시공방법은,
제어부(102)와; 상기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제1압축공기를 발생시킨 후, 제1압축공기 발생시 생성되는 유분 및 수분을 포함한 제1압축공기를 제1호스로 보내는 에어콤프레셔(104)와; 상기 에어콤프레셔(104)의 일측에 연결되어 에어콤프레셔(104)로부터 내보져 오는 유분 및 수분을 포함한 제1압축공기를 압축탱크로 보내는 제1호스(106)와; 상기 제1호스(106)의 일측에 연결됨과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제1호스(106)로부터 내보져 오는 유분 및 수분을 포함한 제1압축공기를 받고,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압축공기를 다시한번 더 압축하여 제2압축공기를 만든 후, 유분 및 수분을 포함한 제2압축공기를 제2호스로 보내는 압축탱크(108)와; 상기 압축탱크(108)의 일측에 연결되어 압축탱크(108)로부터 내보져 오는 유분 및 수분을 포함한 제2압축공기를 히터가 내장되어 있는 건조부로 보내는 제2호스(110)와; 상기 제2호스(110)의 일측에 연결됨과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제2호스(110)로부터 내보져 오는 유분 및 수분을 포함한 제2압축공기를 받고,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2압축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유분 및 수준을 건조하여 제거한 후 건조된 제2압축공기를 제3호스로 보내는 건조부(112)와; 상기 건조부(112)의 일측에 연결되어 건조부(112)로부터 내보져 오는 건조된 제2압축공기를 쇼트기로 보내는 제3호스(114)와; 상기 제3호스(114)의 일측에 연결됨과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외부로부터 Garnet sand(또는 금강사)를 투입 받음과 아울러 제3호스(114)로부터 내보져 오는 건조된 제2압축공기를 받은 후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2압축공기로 Garnet sand를 제4호스로 보내는 쇼트기(116)와; 상기 쇼트기(116)의 일측에 연결되어 쇼트기(116)로부터 내보져 오는 Garnet sand를 분사부로 보내는 제4호스(118)와; 상기 제4호스(118)의 일측에 연결됨과 아울러 고소작업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4호스(118)로부터 내보져 오는 Garnet sand를 건물외벽의 바탕(또는 표면)으로 분사하여 건물외벽의 바탕에 스크래치를 내면서 도장된 페인트를 제거하는 분사부(120)와; 상기 쇼트기(116)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건물외벽 일측에 위치되어 도장된 페인트의 제거시 제거되는 페인트와 비산되는 Garnet sand를 집진하는 고소작업대(122)를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102)와 에어콤프레셔(104)와 제1호스(106)와 압축탱크(108)와 제2호스(110)와 건조부(112)와 제3호스(114)와 쇼트기(116)와 제4호스(118)와 분사부(120)와 고소작업대(122)를 위치시킨 후, 제어부(102)에 동작신호를 인가함과 아울러 쇼트기(116)로 Garnet sand를 투입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 후, 제어부(102)는 에어콤프레셔(104)와 압축탱크(108)와 건조부(112)와 쇼트기(116)로 제어신호를 보내고, 에어콤프레셔(104)는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제1압축공기를 발생시킨 후, 제1압축공기 발생시 생성되는 유분 및 수분을 포함한 제1압축공기를 제1호스(106)로 보내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 후, 제1호스(106)는 에어콤프레셔(104)로부터 내보져 오는 유분 및 수분을 포함한 제1압축공기를 압축탱크(108)로 보내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 후, 압축탱크(108)는 제1호스(106)로부터 내보져 오는 유분 및 수분을 포함한 제1압축공기를 받고,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압축공기를 다시한번 더 압축하여 제2압축공기를 만든 후, 유분 및 수분을 포함한 제2압축공기를 제2호스(110)로 보내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 후, 제2호스(110)는 압축탱크(108)로부터 내보져 오는 유분 및 수분을 포함한 제2압축공기를 히터가 내장되어 있는 건조부(112)로 보내는 제5단계와;
상기 제5단계 후, 건조부(112)는 제2호스(110)로부터 내보져 오는 유분 및 수분을 포함한 제2압축공기를 받고,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2압축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유분 및 수준을 건조하여 제거한 후 건조된 제2압축공기를 제3호스(114)로 보내는 제6단계와;
상기 제6단계 후, 제3호스(114)는 건조부(112)로부터 내보져 오는 건조된 제2압축공기를 쇼트기(116)로 보내는 제7단계와;
상기 제7단계 후, 쇼트기(116)는 제3호스(114)로부터 내보져 오는 건조된 제2압축공기를 받은 후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2압축공기로 Garnet sand를 제4호스(118)로 보내는 제8단계와;
상기 제8단계 후, 제4호스(118)는 쇼트기(116)로부터 내보져 오는 Garnet sand를 분사부(120)로 보내는 제9단계와;
상기 제9단계 후, 분사부(120)를 오염 및 손상된 페인트를 제거해야 할 건물외벽 일측에 위치시키고, 분사부(120)를 상하좌우로 움직여 건물외벽의 바탕으로 Garnet sand를 분사하여 건물외벽의 바탕에 스크래치를 내면서 도장된 페인트를 제거하되, 제거되는 페인트와 비산되는 Garnet sand는 고소작업대(122)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집진기로 빨려 들어가는 제10단계와;
상기 제10단계 후, 도장된 페인트의 제거가 끝나고 페인트가 제거된 건물외벽의 바탕에 침투성 에폭시 계열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시키고, 3시간 경과 후, 프라이머층의 상면에 우레탄 페인트를 도포하여 우레탄 페인트층을 형성시켜 마감하는 제11단계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 도장 바탕정리 시스템을 이용한 바탕정리 시공방법은 구조가 간단하여 작업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건물외벽의 바탕(표면)에 오염 및 손상된 도장(또는 페인트 칠)을 용이하게 제거한 후, 도장이 제거된 건물외벽의 바탕을 재(再) 도장함으로써, 건물외벽이 미려해 보이는 시공 품질향상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도장을 더욱 오랜기간 지연시켜 탁월한 방청 방습효과가 있어 건물외벽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작업 시간을 단축하면서도 어떠한 건물외벽도 완벽하게 바탕정리를 할 수 있는 방식으로 탁월한 작업성과 우수한 지속성으로 건물외벽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재 도장 바탕정리 시스템은 크기가 작아 보관 및 이동을 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외벽에 페인트를 도장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외벽에 페인트를 도장하는 상태를 예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재 도장 바탕정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분사부로 도장이 제거되고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재 도장 바탕정리 시스템을 이용한 바탕정리 시공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재 도장 바탕정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재 도장 바탕정리 시스템(100)은,
제어부(102)와;
상기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제1압축공기를 발생시킨 후, 제1압축공기 발생시 생성되는 유분 및 수분을 포함한 제1압축공기를 제1호스로 보내는 에어콤프레셔(104)와;
상기 에어콤프레셔(104)의 일측에 연결되어 에어콤프레셔(104)로부터 내보져 오는 유분 및 수분을 포함한 제1압축공기를 압축탱크로 보내는 제1호스(106)와;
상기 제1호스(106)의 일측에 연결됨과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제1호스(106)로부터 내보져 오는 유분 및 수분을 포함한 제1압축공기를 받고,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압축공기를 다시한번 더 압축하여 제2압축공기를 만든 후, 유분 및 수분을 포함한 제2압축공기를 제2호스로 보내는 압축탱크(108)와;
상기 압축탱크(108)의 일측에 연결되어 압축탱크(108)로부터 내보져 오는 유분 및 수분을 포함한 제2압축공기를 히터가 내장되어 있는 건조부로 보내는 제2호스(110)와;
상기 제2호스(110)의 일측에 연결됨과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제2호스(110)로부터 내보져 오는 유분 및 수분을 포함한 제2압축공기를 받고,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2압축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유분 및 수준을 건조하여 제거한 후 건조된 제2압축공기를 제3호스로 보내는 건조부(112)와;
상기 건조부(112)의 일측에 연결되어 건조부(112)로부터 내보져 오는 건조된 제2압축공기를 쇼트기로 보내는 제3호스(114)와;
상기 제3호스(114)의 일측에 연결됨과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외부로부터 Garnet sand(또는 금강사)를 투입 받음과 아울러 제3호스(114)로부터 내보져 오는 건조된 제2압축공기를 받은 후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2압축공기로 Garnet sand를 제4호스로 보내는 쇼트기(116)와;
상기 쇼트기(116)의 일측에 연결되어 쇼트기(116)로부터 내보져 오는 Garnet sand를 분사부로 보내는 제4호스(118)와;
상기 제4호스(118)의 일측에 연결됨과 아울러 고소작업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4호스(118)로부터 내보져 오는 Garnet sand를 건물외벽의 바탕(또는 표면)으로 분사하여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외벽의 바탕에 스크래치를 내면서 도장된 페인트를 제거하는 분사부(120)와;
상기 쇼트기(116)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건물외벽 일측에 위치되어 도장된 페인트의 제거시 제거되는 페인트와 비산되는 Garnet sand를 집진하는 고소작업대(12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소작업대(122)의 내부에는 집진부(도시는 생략함)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포함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재 도장 바탕정리 시스템(100)의 설치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건물외벽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어부(102)를 설치한 후, 상기 제어부(10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1압축공기를 발생시키는 에어콤프레셔(104)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2)에 에어콤프레셔(104)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에어콤프레셔(104)의 일측에 제1호스(106)를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제1호스(106)의 일측에 압축공기를 다시한번 더 압축해 주는 압축탱크(108)를 연결한 후, 제어부(102)에 압축탱크(108)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압축탱크(108)의 일측에 제2호스(110)를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제2호스(110)의 일측에 압축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유분 및 수분을 제거해 주는 히터가 내장되어 있는 건조부(112)를 연결한 후, 제어부(102)에 건조부(112)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건조부(112)의 일측에 제3호스(114)를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제3호스(114)의 일측에 외부로부터 금강사(모래의 일종)를 투입 받는 쇼트기(116)를 연결한 후, 제어부(102)에 쇼트기(116)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쇼트기(116)의 일측에 제4호스(118)를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쇼트기(116)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건물외벽 일측에 고소작업대(122)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4호스(118)의 일측에 제4호스(118)로부터 내보져 오는 Garnet sand를 건물외벽의 바탕(또는 표면)으로 분사하여 건물외벽의 바탕에 스크래치를 내면서 도장된 페인트를 제거하는 분사부(120)를 연결한 후, 상기 분사부(120)를 고소작업대(122)에 위치시킨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재 도장 바탕정리 시스템(100)을 이용한 바탕정리 시공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부(102)와 에어콤프레셔(104)와 제1호스(106)와 압축탱크(108)와 제2호스(110)와 건조부(112)와 제3호스(114)와 쇼트기(116)와 제4호스(118)와 분사부(120)와 고소작업대(122)를 위치시킨다.
상기 제어부(102)에 동작신호를 인가함과 아울러 쇼트기(116)로 Garnet sand를 투입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2)는 에어콤프레셔(104)와 압축탱크(108)와 건조부(112)와 쇼트기(116)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상기 에어콤프레셔(104)는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제1압축공기를 발생시킨 후, 제1압축공기 발생시 생성되는 유분 및 수분을 포함한 제1압축공기를 제1호스(106)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제1호스(106)는 에어콤프레셔(104)로부터 내보져 오는 유분 및 수분을 포함한 제1압축공기를 압축탱크(108)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압축탱크(108)는 제1호스(106)로부터 내보져 오는 유분 및 수분을 포함한 제1압축공기를 받고,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압축공기를 다시한번 더 압축하여 제2압축공기를 만든 후, 유분 및 수분을 포함한 제2압축공기를 제2호스(110)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제2호스(110)는 압축탱크(108)로부터 내보져 오는 유분 및 수분을 포함한 제2압축공기를 히터가 내장되어 있는 건조부(112)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건조부(112)는 제2호스(110)로부터 내보져 오는 유분 및 수분을 포함한 제2압축공기를 받고,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2압축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유분 및 수준을 건조하여 제거한 후 건조된 제2압축공기를 제3호스(114)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제3호스(114)는 건조부(112)로부터 내보져 오는 건조된 제2압축공기를 쇼트기(116)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쇼트기(116)는 제3호스(114)로부터 내보져 오는 건조된 제2압축공기를 받은 후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2압축공기로 Garnet sand를 제4호스(118)로 보낸다.
그리고, 상기 제4호스(118)는 쇼트기(116)로부터 내보져 오는 Garnet sand를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있는 분사부(120)로 보낸다. 이때, 상기 작업자는 고조작업대(122)의 내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작업자는 분사부(120)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염 및 손상된 페인트를 제거해야 할 건물외벽 일측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작업자는 분사부(120)를 상하좌우로 움직인다. 이때, 상기 분사부(120)는 건물외벽의 바탕(또는 표면)으로 Garnet sand를 분사하는 바, 분사부(12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외벽의 바탕에 스크래치를 내면서 도장된 페인트를 제거한다. 다시 말해, 분사부(120)에서 분사되는 Garnet sand에 의해 건물외벽의 바탕에 스크래치가 나면서 도장된 페인트가 제거된다.
여기서, 상기 제거되는 페인트와 비산되는 Garnet sand는 고소작업대(122)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집진기로 빨려 들어간다.
그리고, 상기 도장된 페인트의 제거가 끝난 후, 페인트가 제거된 건물외벽의 바탕에 침투성 에폭시 계열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시킨다.
그리고, 3시간 경과 후, 상기 프라이머층의 상면에 우레탄 페인트를 도포하여 우레탄 페인트층을 형성시켜 마감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함과 아울러 작업 시간을 단축하면서도 건물외벽의 바탕(표면)에 오염 및 손상된 도장(또는 페인트 칠)을 용이하게 제거한 후, 도장이 제거된 건물외벽의 바탕을 재(再) 도장하여 건물외벽이 미려해 보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도장을 더욱 오랜기간 지연시킨다.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재 도장 바탕정리 시스템
102 : 제어부
104 : 에어콤프레셔
106 : 제1호스
108 : 압축탱크
110 : 제2호스
112 : 건조부
114 : 제3호스
116 : 쇼트기
118 : 제4호스
120 : 분사부
122 : 고소작업대

Claims (2)

  1. 제어부(102)와; 상기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제1압축공기를 발생시킨 후, 제1압축공기 발생시 생성되는 유분 및 수분을 포함한 제1압축공기를 제1호스로 보내는 에어콤프레셔(104)와; 상기 에어콤프레셔(104)의 일측에 연결되어 에어콤프레셔(104)로부터 내보져 오는 유분 및 수분을 포함한 제1압축공기를 압축탱크로 보내는 제1호스(106)와; 상기 제1호스(106)의 일측에 연결됨과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제1호스(106)로부터 내보져 오는 유분 및 수분을 포함한 제1압축공기를 받고,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압축공기를 다시한번 더 압축하여 제2압축공기를 만든 후, 유분 및 수분을 포함한 제2압축공기를 제2호스로 보내는 압축탱크(108)와; 상기 압축탱크(108)의 일측에 연결되어 압축탱크(108)로부터 내보져 오는 유분 및 수분을 포함한 제2압축공기를 히터가 내장되어 있는 건조부로 보내는 제2호스(110)와; 상기 제2호스(110)의 일측에 연결됨과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제2호스(110)로부터 내보져 오는 유분 및 수분을 포함한 제2압축공기를 받고,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2압축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유분 및 수준을 건조하여 제거한 후 건조된 제2압축공기를 제3호스로 보내는 건조부(112)와; 상기 건조부(112)의 일측에 연결되어 건조부(112)로부터 내보져 오는 건조된 제2압축공기를 쇼트기로 보내는 제3호스(114)와; 상기 제3호스(114)의 일측에 연결됨과 제어부(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외부로부터 Garnet sand(또는 금강사)를 투입 받음과 아울러 제3호스(114)로부터 내보져 오는 건조된 제2압축공기를 받은 후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2압축공기로 Garnet sand를 제4호스로 보내는 쇼트기(116)와; 상기 쇼트기(116)의 일측에 연결되어 쇼트기(116)로부터 내보져 오는 Garnet sand를 분사부로 보내는 제4호스(118)와; 상기 제4호스(118)의 일측에 연결됨과 아울러 고소작업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4호스(118)로부터 내보져 오는 Garnet sand를 건물외벽의 바탕(또는 표면)으로 분사하여 건물외벽의 바탕에 스크래치를 내면서 도장된 페인트를 제거하는 분사부(120)와; 상기 쇼트기(116)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건물외벽 일측에 위치되어 도장된 페인트의 제거시 제거되는 페인트와 비산되는 Garnet sand를 집진하는 고소작업대(122)를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102)와 에어콤프레셔(104)와 제1호스(106)와 압축탱크(108)와 제2호스(110)와 건조부(112)와 제3호스(114)와 쇼트기(116)와 제4호스(118)와 분사부(120)와 고소작업대(122)를 위치시킨 후, 제어부(102)에 동작신호를 인가함과 아울러 쇼트기(116)로 Garnet sand를 투입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 후, 제어부(102)는 에어콤프레셔(104)와 압축탱크(108)와 건조부(112)와 쇼트기(116)로 제어신호를 보내고, 에어콤프레셔(104)는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제1압축공기를 발생시킨 후, 제1압축공기 발생시 생성되는 유분 및 수분을 포함한 제1압축공기를 제1호스(106)로 보내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 후, 제1호스(106)는 에어콤프레셔(104)로부터 내보져 오는 유분 및 수분을 포함한 제1압축공기를 압축탱크(108)로 보내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 후, 압축탱크(108)는 제1호스(106)로부터 내보져 오는 유분 및 수분을 포함한 제1압축공기를 받고,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압축공기를 다시한번 더 압축하여 제2압축공기를 만든 후, 유분 및 수분을 포함한 제2압축공기를 제2호스(110)로 보내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 후, 제2호스(110)는 압축탱크(108)로부터 내보져 오는 유분 및 수분을 포함한 제2압축공기를 히터가 내장되어 있는 건조부(112)로 보내는 제5단계와;
    상기 제5단계 후, 건조부(112)는 제2호스(110)로부터 내보져 오는 유분 및 수분을 포함한 제2압축공기를 받고,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2압축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유분 및 수준을 건조하여 제거한 후 건조된 제2압축공기를 제3호스(114)로 보내는 제6단계와;
    상기 제6단계 후, 제3호스(114)는 건조부(112)로부터 내보져 오는 건조된 제2압축공기를 쇼트기(116)로 보내는 제7단계와;
    상기 제7단계 후, 쇼트기(116)는 제3호스(114)로부터 내보져 오는 건조된 제2압축공기를 받은 후 제어부(102)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2압축공기로 Garnet sand를 제4호스(118)로 보내는 제8단계와;
    상기 제8단계 후, 제4호스(118)는 쇼트기(116)로부터 내보져 오는 Garnet sand를 분사부(120)로 보내는 제9단계와;
    상기 제9단계 후, 분사부(120)를 오염 및 손상된 페인트를 제거해야 할 건물외벽 일측에 위치시키고, 분사부(120)를 상하좌우로 움직여 건물외벽의 바탕으로 Garnet sand를 분사하여 건물외벽의 바탕에 스크래치를 내면서 도장된 페인트를 제거하되, 제거되는 페인트와 비산되는 Garnet sand는 고소작업대(122)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집진기로 빨려 들어가는 제10단계와;
    상기 제10단계 후, 도장된 페인트의 제거가 끝나고 페인트가 제거된 건물외벽의 바탕에 침투성 에폭시 계열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시키고, 3시간 경과 후, 프라이머층의 상면에 우레탄 페인트를 도포하여 우레탄 페인트층을 형성시켜 마감하는 제11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 도장 바탕정리 시스템을 이용한 바탕정리 시공방법.












  2. 삭제
KR1020210063850A 2021-05-18 2021-05-18 재 도장 바탕정리 시스템을 이용한 바탕정리 시공방법 KR102471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850A KR102471378B1 (ko) 2021-05-18 2021-05-18 재 도장 바탕정리 시스템을 이용한 바탕정리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850A KR102471378B1 (ko) 2021-05-18 2021-05-18 재 도장 바탕정리 시스템을 이용한 바탕정리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6184A KR20220156184A (ko) 2022-11-25
KR102471378B1 true KR102471378B1 (ko) 2022-11-28

Family

ID=84236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3850A KR102471378B1 (ko) 2021-05-18 2021-05-18 재 도장 바탕정리 시스템을 이용한 바탕정리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137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932B1 (ko) * 2011-04-13 2011-09-26 제이케이케미칼 (주) 강 구조물의 재도장 보수공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350Y1 (ko) * 1999-04-14 2001-09-29 백선희 진공 샌드 블라스팅 장치
KR20130044548A (ko) * 2011-10-24 2013-05-03 김영주 환경친화적인 건식 표면처리와 친환경 내오염도장이 가능한 표면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면처리공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932B1 (ko) * 2011-04-13 2011-09-26 제이케이케미칼 (주) 강 구조물의 재도장 보수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6184A (ko) 2022-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72265B (zh) 流平性天然石质漆外保温装饰板喷漆生产线
CN213194284U (zh) 一种建筑施工用板材表面喷漆处理装置
CN112081042B (zh) 一种绿色环保建筑施工装置及其施工方法
KR102471378B1 (ko) 재 도장 바탕정리 시스템을 이용한 바탕정리 시공방법
JP2006326819A (ja) 古色塗膜剥離用ブラストガン
US3904117A (en) House painting
JPH0757332B2 (ja) 飛沫防止塗装の移動作業床装置及びその工法
CN110000040A (zh) 一种smc制品自动喷涂生产线
CN109692796A (zh) 一种刚拱肋的喷涂工艺
CN114247588A (zh) 一种线杆自动喷涂机器人
CN208131345U (zh) 一种单侧水幕分离式水旋喷漆设备
CN213000800U (zh) 一种喷漆器
JP3113782U (ja) 研掃材吸引装置
CN103747883B (zh) 涂漆器具
CN114471025A (zh) 一种腻子粉生产用改进型高效除尘设备
CN215829944U (zh) 一种水性金属漆用涂刷装置
CN217203476U (zh) 一种运动场地表面喷涂机
CN213574196U (zh) 一种矿用喷雾降尘装置
KR101225693B1 (ko) 친환경적인 재도장 시공방법
CN106733329A (zh) 门板喷漆装置
CN213377428U (zh) 一种喷漆设备
KR102182303B1 (ko) 고소 페인트 비산 방지 장치
CA1081451A (en) Procedure regarding use of the voiding air in a spray painting booth and spray painting booth for use in the procedure
JP4237016B2 (ja) 多孔質板の処理方法及びその洗浄装置
JP2590833Y2 (ja) 塗装ブース内の排出空気浄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