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0371B1 -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이탈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이탈 감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70371B1 KR102470371B1 KR1020170072623A KR20170072623A KR102470371B1 KR 102470371 B1 KR102470371 B1 KR 102470371B1 KR 1020170072623 A KR1020170072623 A KR 1020170072623A KR 20170072623 A KR20170072623 A KR 20170072623A KR 102470371 B1 KR102470371 B1 KR 1024703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uger
- ice maker
- type ice
- detection device
- radial dire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0—Producing ice by using rotating or otherwise moving moul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2—Liquid coolers, e.g. beverage cool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C2500/02—Geometry probl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4—Control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arth Drilling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이탈 감지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이탈 감지장치는 오거식 제빙기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오거식 제빙기에 형성된 얼음을 상기 오거식 제빙기로부터 분리하고 이송시켜서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오거가 정상회전위치에서 이탈하였는지 감지하는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이탈 감지장치로서, 상기 오거 이탈 감지장치는 상기 오거가 축방향으로 이탈하였는지 감지하는 축방향이탈감지부와, 상기 오거가 반경방향으로 이탈하였는지 감지하는 반경방향이탈감지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이탈 감지장치는 오거식 제빙기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오거식 제빙기에 형성된 얼음을 상기 오거식 제빙기로부터 분리하고 이송시켜서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오거가 정상회전위치에서 이탈하였는지 감지하는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이탈 감지장치로서, 상기 오거 이탈 감지장치는 상기 오거가 축방향으로 이탈하였는지 감지하는 축방향이탈감지부와, 상기 오거가 반경방향으로 이탈하였는지 감지하는 반경방향이탈감지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오거식 제빙기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오거가 정상회전위치에서 이탈하였는지 감지하는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이탈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거식 제빙기는 얼음을 만드는 장치이다. 오거식 제빙기에는 스크류 형상의 오거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오거식 제빙기에서의 오거의 회전에 의해서, 오거식 제빙기에서 형성된 얼음이 오거식 제빙기에서 분리되고 이송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오거에 의해서 오거식 제빙기에서 외부로 배출된 얼음은 얼음저장고에 저장된 후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오거는 베어링 등에 의해서 회전지지되어 오거식 제빙기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회전구동부에 연결되어 회전구동부에 의해서 회전한다.
오거는 자중이나 오거식 제빙기에서 이송되는 얼음 또는 회전구동부에 의해서 회전 중에도 힘을 받는다. 오거에 작용하는 전술한 힘이 과하게 되면, 오거가 변형되거나 오거를 회전지지하는 베어링 등이 파손되어 오거가 정상회전 위치에서 이탈하게 된다. 이와 같이 오거가 변형이나 파손으로 인하여 정상회전 위치에서 이탈하면, 오거가 회전 중에 오거식 제빙기의 다른 구성품(예컨대, 오거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오거식 제빙기의 제빙기본체의 내면)과 접촉하게 되면서, 스크류 형상의 오거가 다른 구성품을 절삭하여 이물질이 발생한다. 그리고, 이러한 이물질은 오거식 제빙기에 형성된 얼음 등에 포함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어서, 오거식 제빙기의 위생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오거식 제빙기의 위생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오거식 제빙기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오거가 회전 중에 오거식 제빙기의 다른 구성품과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 오거에 의해서 불필요한 이물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오거가 변형이나 파손 등으로 인하여 정상회전위치에서 이탈하였는지 감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이탈 감지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이탈 감지장치는 오거식 제빙기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오거식 제빙기에 형성된 얼음을 상기 오거식 제빙기로부터 분리하고 이송시켜서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오거가 정상회전위치에서 이탈하였는지 감지하는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이탈 감지장치로서, 상기 오거 이탈 감지장치는 상기 오거가 축방향으로 이탈하였는지 감지하는 축방향이탈감지부와, 상기 오거가 반경방향으로 이탈하였는지 감지하는 반경방향이탈감지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축방향이탈감지부는 상기 오거로부터 축방향으로 소정의 제1이탈거리 만큼 이격되게 위치하여 상기 오거가 상기 제1이탈거리 이상 축방향으로 이동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방향이탈감지부는 얼음 이송방향의 반대측의 상기 오거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1이탈거리 만큼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얼음 이송방향의 반대측의 상기 오거의 부분은 스러스트 베어링과 레이디얼 베어링에 의해서 회전지지되고 얼음 이송방향측의 상기 오거의 부분은 레이디얼 베어링에 의해서 회전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방향이탈감지부는 상기 오거로부터 축방향으로 상기 제1이탈거리 만큼 이격되게 위치하는 축방향감지부재와, 상기 축방향감지부재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축방향감지부재의 이동여부를 감지하는 축방향감지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경방향이탈감지부는 상기 오거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소정의 제2이탈거리 만큼 이격되게 위치하여 상기 오거가 상기 제2이탈거리 이상 반경방향으로 이동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경방향이탈감지부는 상기 오거의 주위에 원주방향으로 복수개가 서로 소정 각도로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경방향이탈감지부는 얼음이 배출되는 측의 상기 오거의 부분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상기 제2이탈거리 만큼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거는 상기 오거식 제빙기에 구비되는 회전구동부에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경방향이탈감지부는 상기 회전구동부가 연결되는 측의 상기 오거의 부분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상기 제2이탈거리 만큼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오거에 구비되는 제1스프라켓에 연결되는 체인 및, 상기 체인이 연결되는 제2스프라켓이 구비되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경방향이탈감지부는 상기 오거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상기 제2이탈거리 만큼 이격되게 위치하는 반경방향감지부재와, 상기 반경방향감지부재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반경방향감지부재의 이동여부를 감지하는 반경방향감지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거식 제빙기에는 물이 유입되어 유동하며 얼음이 형성되는 유동공간과, 상기 유동공간 주위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며 상기 유동공간을 유동하는 물을 냉각하는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유동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오거는 상기 유동공간을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거식 제빙기에는 상기 유동공간에 연결되며, 상기 유동공간을 유동하면서 냉매에 의해서 냉각된 물 또는 냉각되어 형성된 얼음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오거식 제빙기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오거가 정상회전위치에서 이탈하였는지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오거가 회전 중에 오거식 제빙기의 다른 구성품과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 오거에 의해서 불필요한 이물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오거식 제빙기의 위생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이탈 감지장치의 일실시예가 구비된 오거식 제빙기의 종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이탈 감지장치의 일실시예가 구비된 오거식 제빙기의 평단면도이다.
도3은 도1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이탈 감지장치의 일실시예가 구비된 오거식 제빙기의 측면도이다.
도5는 도4의 B부분의 확대도이다.
도6과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이탈 감지장치의 일실시예가 구비된 오거식 제빙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로, 도6은 제빙시를 나타내고 도7은 냉수생성시를 나타낸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이탈 감지장치의 일실시예가 구비된 오거식 제빙기의 평단면도이다.
도3은 도1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이탈 감지장치의 일실시예가 구비된 오거식 제빙기의 측면도이다.
도5는 도4의 B부분의 확대도이다.
도6과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이탈 감지장치의 일실시예가 구비된 오거식 제빙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로, 도6은 제빙시를 나타내고 도7은 냉수생성시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이탈 감지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이하, 도1 내지 도7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이탈 감지장치를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이탈 감지장치의 일실시예가 구비된 오거식 제빙기의 종단면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이탈 감지장치의 일실시예가 구비된 오거식 제빙기의 평단면도이며, 도3은 도1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또한,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이탈 감지장치의 일실시예가 구비된 오거식 제빙기의 측면도이며, 도5는 도4의 B부분의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6과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이탈 감지장치의 일실시예가 구비된 오거식 제빙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로, 도6은 제빙시를 나타내고 도7은 냉수생성시를 나타낸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오거식 제빙기(IM)의 오거 이탈 감지장치(100)의 일실시예가 구비되는 오거식 제빙기(IM)에 대하여 설명한다.
오거식 제빙기(IM)에는 오거(AG)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오거(AG)는, 예컨대 스크류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오거(AG)의 회전에 의해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거식 제빙기(IM)에 형성된 얼음(I)이 오거식 제빙기(IM)로부터 분리되고 이송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오거식 제빙기(IM)에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공간(SF)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오거(AG)는 유동공간(SF)을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오거(AG)와 유동공간(SF) 사이에는 유동로(PW)가 형성될 수 있다.
유동공간(SF)은 물공급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오거식 제빙기(IM)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공간(SF)에 연결되는 유입구(IW)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유입구(IW)가 연결관(도시되지 않음) 등에 의해서 물공급원에 연결되는 것에 의해서 유동공간(SF)이 물공급원에 연결될 수 있다.
유동공간(SF)에 연결되는 물공급원은, 예컨대 오거식 제빙기(IM)가 정수기(도시되지 않음)에 구비된다면, 정수기에 구비되며 정수필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여 물을 여과하는 여과부(도시되지 않음)나, 여과부에 연결되어 여과부에서 여과된 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도시되지 않음)일 수 있다. 이외에, 물공급원은 오거식 제빙기(IM)에서 냉각된 물, 즉 냉수가 저장되는 냉수탱크(도시되지 않음)일 수도 있다. 그러나, 유동공간(SF)이 연결되는 물공급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유동공간(SF)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물공급원으로부터 유입구(IW)를 통해 오거식 제빙기(IM)의 유동공간(SF)에 공급된 물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공간(SF)과 오거(AG) 사이의 유동로(PW)를 따라 유동할 수 있다.
유동공간(SF) 주위의 적어도 일부에는 냉매유동공간(SR)이 형성될 수 있다. 냉매유동공간(SR)에는 냉매, 예컨대 빙점 이하의 냉매가 유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냉매유동공간(SR)을 유동하는 냉매에 의해서 유동공간(SF)을 유동하는 물, 즉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공간(SF)과 오거(AG) 사이의 유동로(PW)를 따라 유동하는 물이 냉각될 수 있다. 그리고, 유동공간(SF)에는 얼음(I)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오거(AG)가 회전하면, 유동공간(SF)에 형성된 얼음(I)이 오거(AG)에 의해서 분리되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공간(SF)과 오거(AG) 사이의 유동로(PW)를 따라 이송될 수 있다.
유동공간(SF)에는 외부와 연결되도록 오거식 제빙기(IM)에 형성된 배출공간(SO)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오거(AG)의 회전에 의해서, 유동공간(SF)과 오거(AG) 사이의 유동로(PW)를 따라 이송된 얼음(I)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공간(SO)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출공간(SO)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 얼음(I)은 얼음저장고(도시되지 않음)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공간(SF)과 오거(AG) 사이의 유동로(PW)를 유동하는 물이 냉매유동공간(SR)을 유동하는 냉매에 의해서 냉각되기는 하나, 유동공간(SF)에 얼음(I)이 형성되지는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오거(AG)는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유동공간(SF)과 오거(AG) 사이의 유동로(PW)를 유동하면서 냉매유동공간(SR)을 유동하는 냉매에 의해서 냉각된 물, 즉 냉수는 배출공간(SO)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 후 냉수탱크에 저장될 수 있다.
냉수탱크에 저장된 물이 전술한 바와 같이 유입구(IW)를 통해 유동공간(SF)에 유입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냉수탱크의 물이 오거식 제빙기(IM)에서 냉각되어 냉수로 된 후 냉수탱크로 되돌아가 냉수로 저장될 수 있다. 냉수탱크에 저장된 물은 냉수탱크와 오거식 제빙기(IM)를 순환하면서 냉수로 될 수도 있다. 또한, 냉수탱크에 저장된 냉수를 오거식 제빙기(IM)에 공급하여 오거식 제빙기(IM)에서 보다 빠르게 얼음(I)을 만들 수도 있다.
오거(AG)는 오거식 제빙기(IM)에 구비되는 회전구동부(DR)에 연결되어 회전구동부(DR)의 회전구동에 의해서 회전할 수 있다.
회전구동부(DR)는, 예컨대 체인(CH)과 구동모터(MD)를 포함할 수 있다. 체인(CH)은 도2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거(AG)에 구비되는 제1스프라켓(SP1)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모터(MD)에는 제2스프라켓(SP2)이 구비되어 체인(CH)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모터(MD)가 구동되면, 체인(CH)이 제1스프라켓(SP1)과 제2스프라켓(SP2) 사이에서 무한궤도운동을 하여, 오거(AG)가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회전구동부(DR)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오거(AG)에 연결되어 오거(AG)를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구동모터(MD)와, 오거(AG)와 구동모터(MD)에 각각 연결되어 서로 맞물리는 기어(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는 등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오거(AG)는 베어링(BT, BR)에 의해서 회전지지될 수 있다.
오거(AG)에는 오거(AG)의 자중 등에 의해서 반경방향으로 힘이 작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거(AG)에 작용하는 반경방향 힘에 대항하여 오거(AG)가 회전할 수 있도록, 오거(AG)의 양측은 각각 레이디얼 베어링(BR)에 의해서 회전지지될 수 있다.
또한, 유동공간(SF)에서의 얼음(I)의 이송에 의해서 오거(AG)에는 얼음(I)의 이송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축방향힘이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축방향힘에 대항하여 오거(AG)가 회전할 수 있도록, 얼음(I) 이송방향의 반대측의 오거(AG)의 부분은 스러스트 베어링(BT)에 의해서 회전지지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I) 이송방향의 반대측의 오거(AG)의 부분은 스러스트 베어링(BT)과 레이디얼 베어링(BR)에 의해서 회전지지되고, 얼음(I) 이송방향측의 오거(AG)의 부분은 레이디얼 베어링(BR)에 의해서 회전지지될 수 있다.
그러나, 오거(AG)를 회전지지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오거(AG)를 회전지지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오거식 제빙기(IM)에는 유동공간(SF)에 연결되는 드레인구(DW)가 구비될 수 있다. 드레인구(DW)에는 개폐밸브(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드레인구(DW)의 개폐밸브는 평소에는 닫혀 있다가, 유동공간(SF)의 물을 외부로 배수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열려서, 유동공간(SF)의 물이 드레인구(DW)를 통해 외부로 배수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거식 제빙기(IM)의 오거 이탈 감지장치(100)는 전술한 오거(AG)가 정상회전위치에서 이탈하였는지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오거식 제빙기(IM)의 오거 이탈 감지장치(100)는 축방향이탈감지부(200)와, 반경방향이탈감지부(3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축방향이탈감지부(200)는 오거(AG)가 축방향으로 이탈하였는지 감지할 수 있다. 축방향이탈감지부(200)는 오거(AG)로부터 축방향으로 소정의 제1이탈거리(D1)만큼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축방향이탈감지부(20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I) 이송방향의 반대측의 오거(AG)의 단부로부터 제1이탈거리(D1) 만큼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축방향이탈감지부(200)는 오거(AG)가 제1이탈거리(D1) 이상 축방향으로 이동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얼음(I) 이송방향의 반대측의 오거(AG)의 부분은 스러스트 베어링(BT)에 의해서 회전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얼음(I)이 원활하게 오거(AG)에 의해서 이송되지 않아, 오거(AG)에 얼음(I) 이송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축방향힘이 과도하게 작용하면, 오거(AG)가 변형되거나 스러스트 베어링(BT) 등이 파손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오거(AG)가 축방향이탈감지부(200)를 향하여 축방향으로 제1이탈거리(D1) 이상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축방향이탈감지부(200)는 이러한 오거(AG)의 축방향으로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축방향이탈감지부(200)는 오거식 제빙기(IM)의 제어부(도시되지 않음) 등에 전기신호 등으로 오거(AG)의 이러한 축방향 이탈을 알릴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에서는 회전구동부(DR)의 구동모터(MD)의 구동을 중지하여 오거(AG)의 회전을 중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에 의해서 오거(AG)의 회전이 중지된 후, 사용자는 오거(AG)를 점검하거나 변형된 오거(AG)를 교체하거나 파손된 스러스트 베어링(BT) 등을 교체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오거(AG)가 회전 중에 오거식 제빙기(IM)의 다른 구성품과 접촉하지 않아서, 오거(AG)에 의해서 불필요한 이물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오거식 제빙기(IM)의 위생성이 향상될 수 있다.
축방향이탈감지부(200)는 축방향감지부재(210)와, 축방향감지본체(220)를 포함할 수 있다.
축방향감지부재(210)는 오거(AG)로부터 축방향으로 제1이탈거리(D1) 만큼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축방향감지부재(21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I) 이송방향의 반대측의 오거(AG)의 단부로부터 제1이탈거리(D1) 만큼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축방향감지본체(220)에는 축방향감지부재(210)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축방향감지본체(220)는 축방향감지부재(210)의 이동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오거(AG)가 축방향감지부재(210)를 향하여 축방향으로 제1이탈거리(D1) 이상 이동하면, 오거(AG)가 축방향감지부재(210)에 접촉하여 축방향감지부재(210)가 이동하고, 축방향감지본체(220)는 이러한 축방향감지부재(210)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축방향감지부재(210)는 축방향감지본체(220)에 구비된 탄성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이동가능하게 탄성지지되고, 축방향감지본체(220)에는 압전소자(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거(AG)의 축방향감지부재(210)로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서, 축방향감지부재(210)에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이기는 힘이 작용함으로써 축방향감지부재(210)가 이동하면, 압전소자로부터 전기신호가 발생하여 축방향감지부재(210)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축방향감지본체(22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오거(AG)의 제1이탈거리(D1) 이상의 축방향 이동에 따른 축방향감지부재(210)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축방향이탈감지부(200)의 구성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오거(AG)가 축방향으로 제1이탈거리(D1) 이상 이동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면, 전술한 접촉식이나, 자기장 또는 전자기파 등을 이용한 비접촉식으로 이를 감지할 수 있는 구성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제1이탈거리(D1)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오거(AG)가 정상회전위치에서 축방향으로 이탈하였는지 감지할 수 있는 거리라면 어떠한 거리라도 가능하다.
축방향이탈감지부(200)는 제1설치유닛(IS1)에 의해서 오거식 제빙기(IM)에 구비될 수 있다. 제1설치유닛(IS1)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축방향이탈감지부(200)가 오거식 제빙기(IM)에 구비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반경방향이탈감지부(300)는 오거(AG)가 반경방향으로 이탈하였는지 감지할 수 있다. 반경방향이탈감지부(300)는 오거(AG)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소정의 제2이탈거리(D2)만큼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반경방향이탈감지부(300)는 오거(AG)가 제2이탈거리(D2) 이상 반경방향으로 이동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반경방향이탈감지부(300)는 오거(AG)의 주위에 원주방향으로 복수개가 서로 소정 각도로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즉, 오거(AG)가 이탈되는 반경방향이 임의의 방향일 수 있으므로, 이를 감지하기 위하여 반경방향이탈감지부(300)는 원주방향으로 복수개가 서로 소정 각도로 이격되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반경방향이탈감지부(300)가 오거(AG)의 주위에 원주방향으로 서로 직각으로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반경방향이탈감지부(300)의 개수나 복수의 반경방향이탈감지부(300)가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위치하는 각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오거(AG)가 반경방향으로 이탈하였는지 감지할 수 있는 개수나 각도라면 어떠한 개수나 각도라도 가능하다.
반경방향이탈감지부(300)는, 예컨대 도1과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I)이 배출되는 측의 오거(AG)의 부분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제2이탈거리(D2) 만큼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얼음(I)이 배출되는 측의 오거(AG)의 부분은 얼음(I)이 배출되면서 얼음(I)이 배출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여, 오거(AG)에 반경방향힘이 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얼음(I)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하여, 오거(AG)에 얼음(I)이 배출되는 측의 반대방향으로 반경방향힘이 과도하게 작용하면, 레이디얼 베어링(BR) 등이 파손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오거(AG)가 반경방향이탈감지부(300)를 향하여 반경방향으로 제2이탈거리(D2) 이상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반경방향이탈감지부(300)는 이러한 오거(AG)의 반경방향으로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반경방향이탈감지부(300)는 오거식 제빙기(IM)의 제어부 등에 전기신호 등으로 오거(AG)의 이러한 반경방향 이탈을 알릴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에서는 회전구동부(DR)의 구동모터(MD)의 구동을 중지하여 오거(AG)의 회전을 중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에 의해서 오거(AG)의 회전이 중지된 후, 사용자는 오거(AG)를 점검하거나 변형된 오거(AG)를 교체하거나 파손된 레이디얼 베어링(BR) 등을 교체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오거(AG)가 회전 중에 오거식 제빙기(IM)의 다른 구성품과 접촉하지 않아서, 오거(AG)에 의해서 불필요한 이물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오거식 제빙기(IM)의 위생성이 향상될 수 있다.
반경방향이탈감지부(300)는, 예컨대 회전구동부(DR)가 연결되는 측의 오거(AG)의 부분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제2이탈거리(D2) 만큼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구동부(DR)가, 예컨대 체인(CH)과 구동모터(MD)를 포함한다면, 회전구동부(DR)가 연결되는 측의 오거(AG)의 부분에는 체인(CH)에 의해서, 오거(AG)에 반경방향힘이 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구동부(DR)의 구동이 원활하지 못하여, 오거(AG)에 반경방향힘이 과도하게 작용하면, 레이디얼 베어링(BR) 등이 파손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오거(AG)가 반경방향이탈감지부(300)를 향하여 반경방향으로 제2이탈거리(D2) 이상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반경방향이탈감지부(300)는 이러한 오거(AG)의 반경방향으로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반경방향이탈감지부(300)는 오거식 제빙기(IM)의 제어부 등에 전기신호 등으로 오거(AG)의 반경방향 이탈을 알릴 수 있다.
반경방향이탈감지부(300)는 반경방향감지부재(310)와, 반경방향감지본체(320)를 포함할 수 있다.
반경방향감지부재(310)는 오거(AG)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제2이탈거리(D2) 만큼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반경방향감지부재(310)는 도1과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I)이 배출되는 측의 오거(AG)의 부분 또는 회전구동부(DR)가 연결되는 측의 오거(AG)의 부분으로부터 제2이탈거리(D2) 만큼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반경방향감지본체(320)에는 반경방향감지부재(310)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반경방향감지본체(320)는 반경방향감지부재(310)의 이동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오거(AG)가 반경방향감지부재(310)를 향하여 반경방향으로 제2이탈거리(D2) 이상 이동하면, 오거(AG)가 반경방향감지부재(310)에 접촉하여 반경방향감지부재(310)가 이동하고, 반경방향감지본체(320)는 이러한 반경방향감지부재(310)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반경방향감지부재(310)는 반경방향감지본체(320)에 구비된 탄성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이동가능하게 탄성지지되고 반경방향감지본체(320)에는 압전소자(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거(AG)의 반경방향감지부재(310)로의 반경방향 이동에 의해서 반경방향감지부재(310)에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이기는 힘이 작용함으로써 반경방향감지부재(310)가 이동하면, 압전소자로부터 전기신호가 발생하여 반경방향감지부재(310)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반경방향감지본체(32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오거(AG)의 제2이탈거리(D2) 이상의 반경방향 이동에 따른 반경방향감지부재(310)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반경방향이탈감지부(300)의 구성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오거(AG)가 반경방향으로 제2이탈거리(D2) 이상 이동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면, 전술한 접촉식이나 자기장 또는 전자기파 등을 이용한 비접촉식으로 이를 감지하는 구성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제2이탈거리(D2)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오거(AG)가 정상회전위치에서 반경방향으로 이탈하였는지 감지할 수 있는 거리라면 어떠한 거리라도 가능하다.
또한, 오거(AG)에는 도1과 도2 및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재(EM)가 구비되며, 반경방향이탈감지부(300)는 연장부재(EM)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제2이탈거리(D2)만큼 이격되게 위치하여, 오거(AG)의 반경방향 이탈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반경방향이탈감지부(300)는 제2설치유닛(IS2)에 의해서 오거식 제빙기(IM)에 구비될 수 있다. 제2설치유닛(IS2)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반경방향이탈감지부(300)가 오거식 제빙기(IM)에 구비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이탈 감지장치를 사용하면, 오거식 제빙기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오거가 정상회전위치에서 이탈하였는지 감지할 수 있으며, 오거가 회전 중에 오거식 제빙기의 다른 구성품과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 오거에 의해서 불필요한 이물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오거식 제빙기의 위생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이탈 감지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이탈 감지장치 200 : 축방향이탈감지부
210 : 축방향감지부재 220 : 축방향감지본체
300 : 반경방향이탈감지부 310 : 반경방향감지부재
320 : 반경방향감지본체 IM : 오거식 제빙기
I : 얼음 AG : 오거
D1 : 제1이탈거리 D2 : 제2이탈거리
SF : 유동공간 PW : 유동로
SO : 배출공간 SR : 냉매유동공간
DR : 회전구동부 SP1 : 제1스프라켓
SP2 : 제2스프라켓 CH : 체인
MD : 구동모터 BR : 레이디얼 베어링
BT : 스러스트 베어링 IW : 유입구
DW : 드레인구 EM : 연장부재
IS1 : 제1설치유닛 IS2 : 제2설치유닛
210 : 축방향감지부재 220 : 축방향감지본체
300 : 반경방향이탈감지부 310 : 반경방향감지부재
320 : 반경방향감지본체 IM : 오거식 제빙기
I : 얼음 AG : 오거
D1 : 제1이탈거리 D2 : 제2이탈거리
SF : 유동공간 PW : 유동로
SO : 배출공간 SR : 냉매유동공간
DR : 회전구동부 SP1 : 제1스프라켓
SP2 : 제2스프라켓 CH : 체인
MD : 구동모터 BR : 레이디얼 베어링
BT : 스러스트 베어링 IW : 유입구
DW : 드레인구 EM : 연장부재
IS1 : 제1설치유닛 IS2 : 제2설치유닛
Claims (14)
- 오거식 제빙기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오거식 제빙기에 형성된 얼음을 상기 오거식 제빙기로부터 분리하고 이송시켜서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오거가 정상회전위치에서 이탈하였는지 감지하는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이탈 감지장치로서,
상기 오거 이탈 감지장치는 상기 오거가 축방향으로 이탈하였는지 감지하는 축방향이탈감지부와, 상기 오거가 반경방향으로 이탈하였는지 감지하는 반경방향이탈감지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이탈 감지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이탈감지부는 상기 오거로부터 축방향으로 소정의 제1이탈거리 만큼 이격되게 위치하여 상기 오거가 상기 제1이탈거리 이상 축방향으로 이동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이탈 감지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이탈감지부는 얼음 이송방향의 반대측의 상기 오거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1이탈거리 만큼 이격되게 위치하는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이탈 감지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얼음 이송방향의 반대측의 상기 오거의 부분은 스러스트 베어링과 레이디얼 베어링에 의해서 회전지지되고 얼음 이송방향측의 상기 오거의 부분은 레이디얼 베어링에 의해서 회전지지되는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이탈 감지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이탈감지부는
상기 오거로부터 축방향으로 상기 제1이탈거리 만큼 이격되게 위치하는 축방향감지부재와,
상기 축방향감지부재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축방향감지부재의 이동여부를 감지하는 축방향감지본체
를 포함하는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이탈 감지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방향이탈감지부는 상기 오거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소정의 제2이탈거리 만큼 이격되게 위치하여 상기 오거가 상기 제2이탈거리 이상 반경방향으로 이동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이탈 감지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방향이탈감지부는 상기 오거의 주위에 원주방향으로 복수개가 서로 소정 각도로 이격되게 위치하는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이탈 감지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방향이탈감지부는 얼음이 배출되는 측의 상기 오거의 부분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상기 제2이탈거리 만큼 이격되게 위치하는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이탈 감지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거는 상기 오거식 제빙기에 구비되는 회전구동부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이탈 감지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방향이탈감지부는 상기 회전구동부가 연결되는 측의 상기 오거의 부분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상기 제2이탈거리 만큼 이격되게 위치하는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이탈 감지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오거에 구비되는 제1스프라켓에 연결되는 체인 및,
상기 체인이 연결되는 제2스프라켓이 구비되는 구동모터
를 포함하는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이탈 감지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방향이탈감지부는
상기 오거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상기 제2이탈거리 만큼 이격되게 위치하는 반경방향감지부재와,
상기 반경방향감지부재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반경방향감지부재의 이동여부를 감지하는 반경방향감지본체
를 포함하는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이탈 감지장치. - 제2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거식 제빙기에는 물이 유입되어 유동하며 얼음이 형성되는 유동공간과, 상기 유동공간 주위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며 상기 유동공간을 유동하는 물을 냉각하는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유동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오거는 상기 유동공간을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이탈 감지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오거식 제빙기에는 상기 유동공간에 연결되며, 상기 유동공간을 유동하면서 냉매에 의해서 냉각된 물 또는 냉각되어 형성된 얼음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공간이 형성되는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이탈 감지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2623A KR102470371B1 (ko) | 2017-06-09 | 2017-06-09 |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이탈 감지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2623A KR102470371B1 (ko) | 2017-06-09 | 2017-06-09 |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이탈 감지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34630A KR20180134630A (ko) | 2018-12-19 |
KR102470371B1 true KR102470371B1 (ko) | 2022-11-24 |
Family
ID=65009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72623A KR102470371B1 (ko) | 2017-06-09 | 2017-06-09 |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이탈 감지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70371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318042A (ja) | 2001-04-19 | 2002-10-31 | Hoshizaki Electric Co Ltd | オーガ式製氷機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21020A (ja) * | 1981-07-24 | 1983-02-07 | Sanyo Electric Co Ltd | オ−ガ−式製氷機の軸受構造 |
JP2792350B2 (ja) * | 1992-07-02 | 1998-09-03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磁気軸受装置 |
JP3543976B2 (ja) * | 1993-06-30 | 2004-07-21 | 株式会社東芝 | 磁気軸受装置 |
JP5185677B2 (ja) * | 2008-03-31 | 2013-04-17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自動調芯嵌合クラッチを用いた駆動力伝達機構における軸ズレ量検知方法 |
-
2017
- 2017-06-09 KR KR1020170072623A patent/KR10247037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318042A (ja) | 2001-04-19 | 2002-10-31 | Hoshizaki Electric Co Ltd | オーガ式製氷機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34630A (ko) | 2018-12-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111473B2 (en) | Ice bank of ice-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 |
US7832219B2 (en) | Ice making machine and method | |
JP2880138B2 (ja) | 冷蔵庫用自動製氷機 | |
KR101564260B1 (ko) |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및 이 냉장고의 제빙방법 | |
CN1877231A (zh) | 制冰机和控制制冰机的方法 | |
KR102470371B1 (ko) | 오거식 제빙기의 오거 이탈 감지장치 | |
KR102535914B1 (ko) | 오거식 제빙기 | |
JP6827366B2 (ja) | 横軸ポンプ | |
KR20120055750A (ko) | 제빙기 | |
EP3273190B1 (en) | Apparatus for preserving bulk ice | |
KR20060131450A (ko) | 냉장고 | |
KR102358062B1 (ko) | 제빙장치 | |
KR102603517B1 (ko) | 냉수 및 얼음 생성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
JP2022018301A (ja) | 空気浮上式ベルトコンベア | |
CN102897865A (zh) | 提升排水技能的冰块储藏库 | |
JP2541409Y2 (ja) | 貯氷庫のクラッシャー | |
JP4250428B2 (ja) | オーガ式製氷機およびその運転方法 | |
KR200342122Y1 (ko) | 냉장고 자동 이빙장치 | |
US2070943A (en) | Ice making machine | |
JP2002318043A (ja) | オーガ式製氷機の制御装置 | |
JP2009121695A (ja) | 冷蔵庫 | |
US20130031917A1 (en) | Defrostable heat exchanging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 |
JPS5938695Y2 (ja) | オ−ガ−式製氷機 | |
KR102704464B1 (ko) | 오거식 제빙기의 세척유닛 | |
JP3887872B2 (ja) | 冷蔵庫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