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5750A - 제빙기 - Google Patents
제빙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55750A KR20120055750A KR1020100116299A KR20100116299A KR20120055750A KR 20120055750 A KR20120055750 A KR 20120055750A KR 1020100116299 A KR1020100116299 A KR 1020100116299A KR 20100116299 A KR20100116299 A KR 20100116299A KR 20120055750 A KR20120055750 A KR 2012005575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ce
- tray member
- ice making
- tray
- ice mak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Landscapes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침지부재가 잠기는 물이 담기는 트레이부재가 이동되도록 하여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는 제빙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는 제빙기본체(200); 상기 제빙기본체(200)에 구비되며 복수개의 침지부재(310)가 연결된 증발기(300); 상면과 일측면이 개방되고 개방된 일측면이 상기 제빙기본체(200)에 밀봉되게 접촉하는 제빙위치에서 상기 복수개의 침지부재(310)가 잠기도록 물이 담기는 트레이부재(400); 및 상기 트레이부재(400)가 제빙위치와 상기 침지부재(310)에 생성된 얼음(I)이 분리되어 낙하하는 탈빙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이동부(500);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얼음이 생성되는 침지부재가 잠기도록 물이 담기는 트레이부재가 회전되지 않고 이동될 수 있으며, 제빙기의 크기, 특히 제빙기의 상하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고, 공간의 제약을 많이 받지 않을 수 있으며, 트레이부재가 오작동되어도 트레이부재 또는 제빙기가 파손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는 제빙기본체(200); 상기 제빙기본체(200)에 구비되며 복수개의 침지부재(310)가 연결된 증발기(300); 상면과 일측면이 개방되고 개방된 일측면이 상기 제빙기본체(200)에 밀봉되게 접촉하는 제빙위치에서 상기 복수개의 침지부재(310)가 잠기도록 물이 담기는 트레이부재(400); 및 상기 트레이부재(400)가 제빙위치와 상기 침지부재(310)에 생성된 얼음(I)이 분리되어 낙하하는 탈빙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이동부(500);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얼음이 생성되는 침지부재가 잠기도록 물이 담기는 트레이부재가 회전되지 않고 이동될 수 있으며, 제빙기의 크기, 특히 제빙기의 상하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고, 공간의 제약을 많이 받지 않을 수 있으며, 트레이부재가 오작동되어도 트레이부재 또는 제빙기가 파손되지 않을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얼음이 생성되는 침지부재가 잠기도록 물이 담기는 트레이부재가 회전되지 않고 이동되도록 하여 크기를 작게 할 수 있어서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제빙기에 관한 것이다.
제빙기는 냉장고나 얼음정수기 등에 구비되어 얼음을 제조하여서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빙기에는 냉동시스템에 포함되며 복수개의 침지부재가 연결되는 증발기와, 침지부재에 얼음이 생성되게 침지부재가 잠기도록 물이 담기는 트레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 이러한 제빙기의 트레이부재는 트레이부재에 물이 담기어 침지부재에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는 제빙위치와 침지부재에 생성된 얼음이 침지부재로부터 분리되어 낙하되도록 하는 탈빙위치 사이에서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트레이부재가 회전되는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제빙기의 크기, 특히 제빙기의 상하의 크기가 커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제빙기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공간의 제약을 많이 받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트레이부재가 제 경로를 이탈하여 회전하는 트레이부재의 오작동시에는 트레이부재가 제빙기본체나 전술한 바와 같이 제빙기에 포함되는 증발기 또는 침지부재 등에 부딛치게 된다. 이에 따라, 트레이부재나 또는 제빙기가 파손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빙기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얼음이 생성되는 침지부재가 잠기도록 물이 담기는 트레이부재가 회전되지 않고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제빙기의 크기, 특히 제빙기의 상하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공간의 제약을 많이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트레이부재가 오작동되어도 트레이부재 또는 제빙기가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제빙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얼음이 생성되는 침지부재가 잠기도록 물이 담기는 트레이부재가 회전되지 않고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제빙기는 제빙기본체; 제빙기본체에 구비되며 복수개의 침지부재가 연결된 증발기; 상면과 일측면이 개방되고 개방된 일측면이 제빙기본체에 밀봉되게 접촉하는 제빙위치에서 복수개의 침지부재가 잠기도록 물이 담기는 트레이부재; 및 트레이부재가 제빙위치와 침지부재에 생성된 얼음이 분리되어 낙하하는 탈빙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이동부;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트레이부재의 개방된 일측면과 접촉하는 제빙기본체의 부분에는 밀봉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부재에는 트레이부재에 담긴 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개폐밸브가 구비된 배출관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부재의 일측에는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빙기본체와 트레이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는 트레이부재의 개방된 일측면의 제빙기본체에의 접촉여부를 감지하도록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는 트레이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제빙기본체에 구비되는 가이드부재; 트레이부재에 구비되는 랙기어; 및 랙기어에 맞물리는 피니언기어가 연결되는 구동모터; 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얼음이 생성되는 침지부재가 잠기도록 물이 담기는 트레이부재가 회전되지 않고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빙기의 크기, 특히 제빙기의 상하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간의 제약을 많이 받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트레이부재가 오작동되어도 트레이부재 또는 제빙기가 파손되지 않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3 내지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3 내지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실시예와 관련된 제빙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얼음이 생성되는 침지부재가 잠기도록 물이 담기는 트레이부재가 회전되지 않고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100)는 제빙기본체(200)와, 증발기(300), 트레이부재(400) 및, 이동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빙기본체(20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내부에 증발기(300)와, 트레이부재(400) 및, 이동부(500)가 구비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빙기본체(200)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내부에 증발기(300)와, 트레이부재(400) 및, 이동부(500)가 구비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가능하다.
한편,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후술할 바와 같이, 트레이부재(400)의 개방된 일측면과 접촉하는 제빙기본체(200)의 부분에는 밀봉부재(2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부재(400)의 개방된 일측면이 제빙기본체(200)에 밀봉되게 접촉할 수 있다. 그러므로, 트레이부재(400)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관(P)에 의해서 물이 공급되어 담길 수 있다.
또한, 제빙기본체(200)와 트레이부재(400) 중 적어도 하나에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센서(220,43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센서(220,430)에 의해서 트레이부재(400)의 개방된 일측면의 제빙기본체(200)에의 접촉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제빙기본체(200)에 구비되는 센서(220)는 자석일 수 있고, 트레이부재(400)에 구비되는 센서(430)는 홀 효과(Hall effect)에 의해서 제빙기본체(200)에 구비되는 센서(220)인 자석의 자력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430)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레이부재(400)의 개방된 일측면의 제빙기본체(200)에의 접촉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제빙기본체(200)에 구비되는 센서(220)와 트레이부재(400)에 구비되는 센서(430)는 전술한 예와 같이 자석과, 홀 효과에 의해서 자력을 감지하는 센서에 한정되지 않고, 트레이부재(400)의 개방된 일측면의 제빙기본체(200)에의 접촉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라면 주지의 어떠한 센서라도 가능하다. 또한,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빙기본체(200)와 트레이부재(400)에 모두 센서(220,430)가 구비될 수도 있으나, 트레이부재(400)의 개방된 일측면의 제빙기본체(200)에의 접촉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면, 제빙기본체(200)에만 센서(220)가 구비되거나 또는 트레이부재(400)에만 센서(430)가 구비될 수도 있다.
증발기(300)는 제빙기본체(200)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증발기(300)는 압축기(도시되지 않음)와, 응축기(도시되지 않음) 및, 모세관(도시되지 않음)이나 팽창밸브(도시되지 않음) 등을 포함하는 냉동시스템(도시되지 않음)에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증발기(300)에는 제빙을 위해서 영하의 차가운 냉매나 또는 탈빙을 위해서 영상의 뜨거운 냉매가 유동될 수 있다. 증발기(300)에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복수개의 침지부재(310)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침지부재(310)에도 차가운 냉매 또는 뜨거운 냉매가 유동될 수 있다.
트레이부재(40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면과 일측면이 개방될 수 있다. 이러한 트레이부재(400)에는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트레이부재(400)의 개방된 일측면이 제빙기본체(200)에 밀봉되게 접촉하는 제빙위치에서 복수개의 침지부재(310)가 잠기도록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W)이 담길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증발기(300)가 포함되는 냉동시스템을 작동시키면, 증발기(300)와 복수개의 침지부재(310)에는 차가운 냉매가 유동된다. 이에 따라,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지부재(310)에는 얼음(I)이 생성되게 된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트레이부재(400)에는 배출관(410)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배출관(410)에 의해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부재(400)에 담긴 물(W)이 외부,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100) 아래에 구비되는 냉수탱크(도시되지 않음)로 배출될 수 있다.
배출관(410)은 유연한 관일 수 있다. 따라서, 트레이부재(400)가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빙위치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지부재(310)에 생성된 얼음(I)이 분리되어 낙하하는 탈빙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트레이부재(400)의 이동이 배출관(410)에 의해서 방해받지 않을 수 있다.
배출관(410)에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개폐밸브(V)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지부재(310)가 잠기도록 트레이부재(400)에 물이 공급되거나, 침지부재(310)에 얼음(I)이 생성되는 동안에는 트레이부재(400)에 담긴 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개폐밸브(V)는 닫히게 된다. 그리고,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부재(400)에 담긴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개폐밸브(V)는 열리게 된다.
한편,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트레이부재(400)의 일측에는 경사부(4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트레이부재(400)에 경사부(420)가 형성되면, 트레이부재(400)에 담긴 물(W)을 배출관(410)을 통해 모두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고,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량의 물(W)이 트레이부재(400)에 남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레이부재(400)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절약할 수 있다.
이동부(500)는 트레이부재(400)가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빙위치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탈빙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트레이부재(400)가 회전되지 않고 이동되기 때문에, 트레이부재(400)의 회전에 필요한 공간이 불필요하여 제빙기(100)의 크기, 특히 제빙기(100)의 상하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간의 제약을 많이 받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트레이부재(400)가 제 경로를 이탈하여 오작동되어도 트레이부재(400)가 제빙기본체(200)나 증발기(300)나 침지부재(310) 등에 부딪칠 가능성이 트레이부재(400)가 회전되는 구성보다는 작기 때문에, 트레이부재(400) 또는 제빙기(100)가 파손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이동부(50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가이드부재(510)와, 랙기어(520) 및, 구동모터(5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가이드부재(510)는 제빙기본체(20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가이드부재(510)에서 트레이부재(400)가 전술한 제빙위치와 탈빙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즉, 가이드부재(510)에 의해서 트레이부재(400)의 이동이 가이드된다. 이러한 가이드부재(510)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트레이부재(400)의 제빙위치와 탈빙위치 사이에서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가능하다.
랙기어(52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트레이부재(400)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랙기어(52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트레이부재(40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구동모터(530)에는 트레이부재(400)에 구비된 랙기어(520)에 맞물리는 피니언기어(540)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모터(530)의 구동에 의해서 피니언기어(540)가 랙기어(520)와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되면, 트레이부재(400)가 가이드부재(510)에서 제빙위치와 탈빙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이동부(500)의 구성은 전술한 가이드부재(510)와, 랙기어(520) 및, 랙기어(520)에 맞물리는 피니언기어(540)가 연결된 구동모터(530)에 한정되지 않고, 트레이부재(400)가 제빙위치와 탈빙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하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이하, 도3 내지 도7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100)의 일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530)의 구동에 의해서 탈빙위치에 있는 트레이부재(400)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빙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부재(400)의 개방된 일측면이 장치본체(200)에 밀봉되게 접촉된다. 그리고, 이러한 트레이부재(400)의 개방된 일측면의 장치본체(200)에의 접촉은 트레이부재(400)와 장치본체(200)에 각각 구비되는 센서(220,430)에 의해서 감지된다.
이와 같이, 센서(220,430)에 의해서 트레이부재(400)의 개방된 일측면의 장치본체(200)에의 접촉이 감지되면, 배출관(410)의 개폐밸브(V)를 닫고,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관(P)을 통해 트레이부재(400)에 물을 공급하여 침지부재(310)가 물(W)에 잠기게 한다.
그리고, 증발기(300)가 포함되는 냉동시스템을 작동하면, 증발기(300)와 침지부재(310)에 차가운 냉매가 유동된다. 이에 따라,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지부재(310)에 얼음(I)이 생성된다. 한편, 침지부재(310)에 얼음(I)이 생성되면, 트레이부재(400)의 수위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내려간다.
이후, 침지부재(310)에 소정 크기의 얼음(I)이 생성되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관(410)의 개폐밸브(V)를 열어서 트레이부재(400)에 담긴 물(W) 중 일부를 외부,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100) 아래에 구비되는 냉수탱크(도시되지 않음)로 배출한다.
그리고, 트레이부재(400)에 담긴 물(W) 중 일부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부재(400)의 경사부(420)에 의해서 트레이부재(400)에 남게 된다.
이후,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530)를 구동하여 트레이부재(400)를 탈빙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냉동시스템에 의해서 증발기(300)와 침지부재(310)에 뜨거운 냉매가 유동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침지부재(310)에 생성된 얼음(I)이 침지부재(310)로부터 분리되어 낙하한다.
이와 같이, 침지부재(310)로부터 분리되어 낙하된 얼음(I)은 전술한 냉수탱크로 낙하되어 냉수탱크에 저장된 물을 냉각하거나,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100) 아래에 구비되는 얼음저장고(도시되지 않음)에 낙하되어 저장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빙기(100)를 사용하면, 얼음이 생성되는 침지부재가 잠기도록 물이 담기는 트레이부재가 회전되지 않고 이동될 수 있으며, 제빙기의 크기, 특히 제빙기의 상하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고, 공간의 제약을 많이 받지 않을 수 있으며, 트레이부재가 오작동되어도 트레이부재 또는 제빙기가 파손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제빙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제빙기 200 : 제빙기본체
210 : 밀봉부재 220 : 센서
300 : 증발기 310 : 침지부재
400 : 트레이부재 410 : 배출관
420 : 경사부 430 : 센서
500 : 이동부 510 : 가이드부재
520 : 랙기어 530 : 구동모터
540 : 피니언기어 I : 얼음
V : 개폐밸브 P : 물공급관
210 : 밀봉부재 220 : 센서
300 : 증발기 310 : 침지부재
400 : 트레이부재 410 : 배출관
420 : 경사부 430 : 센서
500 : 이동부 510 : 가이드부재
520 : 랙기어 530 : 구동모터
540 : 피니언기어 I : 얼음
V : 개폐밸브 P : 물공급관
Claims (6)
- 제빙기본체(200);
상기 제빙기본체(200)에 구비되며 복수개의 침지부재(310)가 연결된 증발기(300);
상면과 일측면이 개방되고 개방된 일측면이 상기 제빙기본체(200)에 밀봉되게 접촉하는 제빙위치에서 상기 복수개의 침지부재(310)가 잠기도록 물이 담기는 트레이부재(400); 및
상기 트레이부재(400)가 제빙위치와 상기 침지부재(310)에 생성된 얼음(I)이 분리되어 낙하하는 탈빙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이동부(500);
를 포함하여 구성된 제빙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부재(400)의 개방된 일측면과 접촉하는 상기 제빙기본체(200)의 부분에는 밀봉부재(21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부재(400)에는 상기 트레이부재(400)에 담긴 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개폐밸브(V)가 구비된 배출관(410)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부재(400)의 일측에는 경사부(4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기본체(200)와 상기 트레이부재(40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트레이부재(400)의 개방된 일측면의 상기 제빙기본체(200)에의 접촉여부를 감지하도록 센서(220,43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500)는
상기 트레이부재(400)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빙기본체(200)에 구비되는 가이드부재(510);
상기 트레이부재(400)에 구비되는 랙기어(520); 및
상기 랙기어(520)에 맞물리는 피니언기어(540)가 연결되는 구동모터(5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16299A KR101707428B1 (ko) | 2010-11-22 | 2010-11-22 | 제빙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16299A KR101707428B1 (ko) | 2010-11-22 | 2010-11-22 | 제빙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55750A true KR20120055750A (ko) | 2012-06-01 |
KR101707428B1 KR101707428B1 (ko) | 2017-02-17 |
Family
ID=46608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16299A KR101707428B1 (ko) | 2010-11-22 | 2010-11-22 | 제빙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07428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8112B1 (ko) * | 2013-12-05 | 2015-01-30 | 권보은 | 제빙과 냉동보관이 이원화된 제빙기 |
KR101507037B1 (ko) * | 2013-11-21 | 2015-04-03 | 주식회사 아이씨티나까조 | 제빙기의 함체 |
KR101507036B1 (ko) * | 2013-11-21 | 2015-04-06 | 주식회사 아이씨티나까조 | 제빙기의 트레이 이동장치 |
KR20170023277A (ko) * | 2015-08-19 | 2017-03-03 | 코웨이 주식회사 | 제빙기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85309A (ja) * | 2001-12-17 | 2003-07-03 | Fuji Electric Co Ltd | 製氷機 |
JP2006110416A (ja) * | 2004-10-12 | 2006-04-27 | Niigata Univ | 多段階凍結濃縮システム |
US7201014B2 (en) * | 2001-12-20 | 2007-04-10 |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aete Gmbh | Ice maker |
-
2010
- 2010-11-22 KR KR1020100116299A patent/KR10170742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85309A (ja) * | 2001-12-17 | 2003-07-03 | Fuji Electric Co Ltd | 製氷機 |
US7201014B2 (en) * | 2001-12-20 | 2007-04-10 |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aete Gmbh | Ice maker |
JP2006110416A (ja) * | 2004-10-12 | 2006-04-27 | Niigata Univ | 多段階凍結濃縮システム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07037B1 (ko) * | 2013-11-21 | 2015-04-03 | 주식회사 아이씨티나까조 | 제빙기의 함체 |
KR101507036B1 (ko) * | 2013-11-21 | 2015-04-06 | 주식회사 아이씨티나까조 | 제빙기의 트레이 이동장치 |
KR101488112B1 (ko) * | 2013-12-05 | 2015-01-30 | 권보은 | 제빙과 냉동보관이 이원화된 제빙기 |
KR20170023277A (ko) * | 2015-08-19 | 2017-03-03 | 코웨이 주식회사 | 제빙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07428B1 (ko) | 2017-02-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748231B2 (en) | Ice-cube complete filling detector and refrigerator comprising the same | |
KR101647374B1 (ko) |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 |
KR101668251B1 (ko) | 냉장고 및 그 동작방법 | |
KR20120055750A (ko) | 제빙기 | |
KR100565381B1 (ko) | 무접촉 방식의 자동제빙기용 구동장치 | |
RU2006136291A (ru) | Холод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хлаждения напитков, находящихся под давлением | |
KR100273051B1 (ko) | 자동제빙장치 | |
KR100756991B1 (ko) | 제빙기의 수위감지장치 | |
KR20100057975A (ko) | 냉장고용 제빙장치 및 제빙장치의 제어방법 | |
JP2008304155A (ja) | 自動製氷機付き冷蔵庫 | |
KR101507037B1 (ko) | 제빙기의 함체 | |
KR20050110211A (ko) | 제빙기 | |
JP5193765B2 (ja) | 冷蔵庫 | |
KR20100085690A (ko) | 제빙기용 드레인 펌프 유닛 | |
JP4802774B2 (ja) | 冷蔵庫 | |
KR20110048758A (ko) | 제빙기 | |
KR20130033045A (ko) | 제빙기 | |
KR100820148B1 (ko) | 자동 제빙기의 이빙제어방법 | |
JP2011158195A (ja) | 自動製氷装置 | |
KR20080090100A (ko) | 냉장고의 도어 장착 제빙기 | |
KR101544378B1 (ko) | 제빙기 | |
KR100518807B1 (ko) | 제빙기의 제빙장치 | |
JP5444859B2 (ja) | 冷蔵庫 | |
KR20050110209A (ko) | 제빙기 | |
JP2005114198A (ja) | 製氷皿及び自動製氷機付き冷蔵庫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