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9933B1 - 경화기 - Google Patents

경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9933B1
KR102469933B1 KR1020210034076A KR20210034076A KR102469933B1 KR 102469933 B1 KR102469933 B1 KR 102469933B1 KR 1020210034076 A KR1020210034076 A KR 1020210034076A KR 20210034076 A KR20210034076 A KR 20210034076A KR 102469933 B1 KR102469933 B1 KR 102469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ing
heat dissipation
curing chamber
chamber
exha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4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9329A (ko
Inventor
이명구
김성복
Original Assignee
헵시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헵시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헵시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4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9933B1/ko
Publication of KR20220129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9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9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9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8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29C35/0805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0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16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 B33Y40/20Post-treatment, e.g. curing, coating or poli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8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29C35/0805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 B29C2035/0827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using UV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16Cooling
    • B29C2035/1658Cooling using gas
    • B29C2035/1666Cooling using gas dried ai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D프린터로 생성된 대상물을 후경화하는 경화기에 관한 것으로, 경화실; 상기 경화실에 삽입되는 경화대상물 거치용 트레이; 상기 경화실의 상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트레이의 상하로 조사하는 상하측 LED모듈; 상기 상하측 LED모듈의 상하측에 위치되는 상하측 방열부; 상기 상하측 방열부가 수용되며 상기 경화실의 상하에 배치되는 상하측 공기유입덕트; 상기 상하측 공기유입덕트와 상기 트레이의 상하부를 서로 통하게 연결하는 상하측 전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성에 의해 광원의 방열과 경화실, 경화대상물의 냉각을 위한 유로를 통합하고, 배기유로는 유동 효율을 유지하면서 자외선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경화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경화기{Hardening Instrument}
본 발명은 3D프린터로 생성된 대상물을 후경화하는 경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LED의 방열과 경화실, 경화대상물의 냉각을 위한 유로를 통합한 경화기에 관한 것이다.
차세대 정밀 가공 기술로 각광받는 3D 프린팅 기술은 재료를 용융시킨 상태에서 재료를 분사함으로써 설정된 모양대로 적층시켜 3차원 물체를 제작하는 기술이 있다.
이러한 3D 프린팅 기술 중 광경화수지를 사용하는 3D프린터의 결과물은 최종적인 소재물성을 만족하기 위해 추가적인 후경화과정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경화를 위한 수단으로 열(Fused Deposition Modeling: FDM), 레이저(Selective lasersintering: SLS), UV 광(Stereolithography Apparatus: SLA, Digital Light Processing: DLP)을 이용한 방식이 통상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 중 UV 광, 즉 자외선 광을 이용한 방식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화기는 주로 3D프린터에서 만들어진 치과보철물(경화 대상물)을 완성하기 위해 자외선에 노출시켜 상기 치과보철물의 강도향상과 구강 내에 부착시켰을 때 유해한 용출물이 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한 용도로 식약처 소재인증 기준을 만족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3D프린터의 후가공 기기이다. 이러한 경화기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50305호(특허문헌 1)와 같은 기술이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경화기는, 경화 대상물은 자외선에 골고루 노출되도록 주로 투명의 트레이(Tray)에 놓이게 된다. 이때, 높은 에너지를 방출하는 자외선광원은 경화기의 온도를 높임과 동시에 광원의 수명을 단축시키므로 송풍과 방열부를 이용해 방열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경화 대상물은 경화 과정에서 광경화 메커니즘에 의해 발열을 수반하므로 이때 온도 상승에 의한 변형을 막기 위해 경화실의 온도를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송풍이 필요하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트레이를 통과한 공기를 경화기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통로가 마련되는데 이 통로를 통한 자외선의 유출을 막기 위해 다중의 격벽을 사용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자외선은 차단되지만 유로의 저항으로 소음이 발생되고 배기효율이 떨어졌다.
이러한 자외선 LED와 출력물을 동시에 냉각하기 위한 냉각 구조가 적용된 기술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54946호(특허문헌 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82883호(특허문헌 3), 일본 특허공보 제2016-526495호(특허문헌 4),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50733호, (특허문헌 5),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16288호 (특허문헌 6),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49887호(특허문헌 7)가 있다.
그러나, 출력물의 상하부에 자외선 LED를 배치하여 출력물의 상하부를 동시에 경화하는 기술은 없어 비효율적인 면이 있었다. 또한, 경화기 내부의 공기의 흐름에 난류가 발생될 수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50305호(2015.08.3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54946호(2020.05.20)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82883호(2016.11.30) 일본 특허공보 제2016-526495호(2016.09.05)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50733호(2019.05.13)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16288호(2019.08.23)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49887호(2015.08.28)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LED의 방열, 경화실과 경화대상물의 냉각을 위해 유로를 통합한 경화기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LED와 경화대상물을 동시에 냉각시킬 수 있는 경화기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LED의 수명과 경화대상물의 품질 확보가 가능한 경화기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경화기는, 경화실; 상기 경화실에 삽입되는 경화대상물 거치용 트레이; 상기 경화실의 상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트레이의 상하로 조사하는 상하측 LED모듈; 상기 상하측 LED모듈의 상하측에 위치되는 상하측 방열부; 상기 상하측 방열부가 수용되며 상기 경화실의 상하에 배치되는 상하측 공기유입덕트; 상기 상하측 공기유입덕트와 상기 트레이의 상하부를 서로 통하게 연결하는 상하측 전환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경화기는, 상기 상측 전환부는 상기 상측 공기유입덕트와 연결된 상측 유입부, 상기 경화실의 일측과 연결되되 상기 상측 유입부보다 하측에 위치되는 상측 토출부, 상측과 하측이 각각 상기 상측 유입부와 상기 상측 토출부에 연결된 상측 전환로를 포함하며, 상기 하측 전환부는 상기 하측 공기유입덕트와 연결된 하측 유입부, 상기 경화실의 일측과 연결되되 상기 하측 유입부보다 상측에 위치되는 하측 토출부, 양측이 상기 하측 유입부와 상기 하측 토출부에 연결된 하측 전환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경화기는, 상기 상하측 공기유입덕트와 연결된 상하측 송풍팬;을 더 포함하되, 상기 상측 방열부의 타측에 상기 상측 유입부와 상기 상측 송풍팬이 일타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되고, 상기 하측 방열부의 일측과 타측에 상기 하측 유입부와 상기 하측 송풍팬이 일타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경화기는, 상기 상하측 공기유입덕트는 상기 상하측 방열부가 수용되는 상하측 방열실, 상기 상하측 방열실과 연결된 상하측 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상하측 방열부의 타측의 단면적은 상기 상하측 송풍팬의 토출구의 단면적보다 크며, 상기 공급부는 상기 상하측 송풍팬과 상기 상하측 방열실 사이에 상기 상하측 방열실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상하측 공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경화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전환부가 있어 경화실을 냉각하는 추가 구성이 없더라도 LED, 방열실, 방열부(방열부), 경화대상물, LED를 쿨링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경화대상물의 품질까지 만족할 수 있고 LED의 성능과 수명이 최대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열부(방열부)와 경화대상물을 냉각하는 유로를 각각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없어 생산과 관리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경화기를 일측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경화기의 타측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경화기의 메인커버를 분리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경화기의 타측에서 본 사시도
도 5a는 도 4에 도시된 A-A 단면도
도 5b는 도 4에 도시된 A-A 단면도를 이용한 공기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유로박스를 경화실, 방열부와 분리한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 7는 도 6에 도시된 구성의 분해 사시도
도 8a는 상측 유로박스의 사시도
도 8b는 하측 유로박스의 사시도
도 9a는 경화실을 일측에서 똑바로 바라본 도면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구성들의 분해 사시도
도 10a는 공급부, 방열실 등을 통한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b는 상측 공급부, 하측 공급부의 사시도
도 11은 배기관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종래 경화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촉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촉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11을 토대로 본 발명의 일 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일 예의 경화기는, 경화기의 틀을 이루는 본체(10), 경화대상물(미도시)을 경화시키는 공간인 경화실(200), 경화실(200)에 삽입되는 거치부(300)를 포함하는 경화대상물 거치용 트레이, 경화대상물에 자외선을 조사시키는 LED모듈, LED모듈에서 발생된 열을 방열시키기 위한 방열부, 방열부가 수용된 상하측 방열실을 포함하며 상기 경화실의 상하에 배치되는 상하측 공기유입덕트, 상하측 공기유입덕트와 연결된 상하측 송풍팬, 상기 상하측 공기유입덕트와 상기 트레이의 상하부를 서로 통하게 연결하는 상하측 전환부, 경화실(200)의 타측에 연결된 배기관(900), 배기관(900) 내의 상하측에 위치되어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고 자외선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상하측 배기가이드, 배기관(900)의 타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위치된 배기팬(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경화기는 도 12와 같이 종래에는 분리되어 있던 방열실의 냉각 채널과 경화대상물의 냉각 채널을 상기 전환부를 이용해 하나로 통합하였다. 따라서 송풍팬으로 송풍시킨 공기가 방열실을 냉각시킨 후 경화대상물과 경화실(200)까지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기가이드에 의해 배기되는 공기의 저항이 최소화되어 유동 효율이 유지될 수 있고, LED의 자외선 광원이 경화기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 본체(10) -----------
도 4의 도시와 같이, 본체(10)는 상측판과 좌측판과 우측판이 일체로 이루어진 메인커버(11), 메인커버(11)의 후측에 결합되는 타측커버(13), 메인커버(11) 및 타측커버(13)의 하측에 위치되는 하측커버(15), 하측커버(15)의 중앙에 세워져 내부를 2 개의 공간으로 나누는 격벽(17), 격벽(17)의 일측에서 좌측으로 연장된 지지부(19)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커버(11), 타측커버(13), 하측커버(15), 격벽(17), 지지부(19)는 모두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구성에 의해 도 3, 4와 같이 본체(10)의 내부에 좌측 공간(31)과 우측 공간(33)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의 도시와 같이, 격벽(17)에는 관통공(도면부호 미도시)이 상측과 하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좌측 공간(31)과 우측 공간(33)이 서로 연결되어 있어 공기가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좌측 공간(31)에는 경화실(200), 송풍팬 등의 경화, 냉각과 관련된 구성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우측 공간(33)에는 경화기의 제어부(도면부호 미도시)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도면부호 미도시)는 전원 입력, 스위치나 인버터와 같은 전력 공급부, 컨트롤 PCB, 제어 PC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메인커버(11)의 좌측, 우측에는 각각 흡입팬이 설치되는 흡입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좌측 흡입공을 통해 좌측 공간(31)으로 흡입된 공기가 송풍팬으로 유입되기도 하고, 좌측 공간(31)으로 유입되어 좌측 공간(31)에 수용된 구성들이 냉각될 수 있다. 또한 우측 흡입공을 통해 우측 공간(33)으로 흡입된 공기에 의해 우측 공간(33)과 제어부가 냉각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좌측 흡입팬을 통해 흡입된 외부의 공기는 흡입공과 상기 좌측 공간(31)과 송풍팬의 유입부 순으로 유입될 수 있다.
----------- 경화실(200) -----------
도 5a, 5b에 도시와 같이, 경화실(200)은 경화대상물이 내부에 수용되어 경화될 수 있는 공간이다.
도 9a의 도시와 같이, 경화실(200)은 좌우측의 조립부, 조립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되는 상측, 하측의 후술될 타공판, 상기 타공판에 연결된 후술될 PCB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경화실(200)은 일측 및 타측이 개방되어 공기가 유입 및 배기될 수 있다.
상기 조립부는 서로 마주보는 좌측의 타공판조립부(210)와 우측의 제2조립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타공판조립부(210), 제2조립부(220)는 일측, 타측에 스페이서(23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230)에 의해 타공판조립부(210)와 제2조립부(220)의 간격이 유지될 수 있다. 스페이서(230)는 일측의 상하측에 1 개씩 있고 타측의 상하측에 1 개씩 있어 즉 총 4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a의 도시와 같이, 타공판조립부(210), 제2조립부(220)는 서로 마주보는 면에 후술될 타공판이 삽입되는 타공판홈과, 거치부(300)가 슬라이딩 삽입되어 수용되는 거치홈(221)이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타공판홈은 상측과 하측에 1 개씩 형성될 수 있다. 타공판홈은 상측의 상측 타공판홈(211)과 하측의 하측 타공판홈(212)을 포함할 수 있다.
타공판과 함께 LED모듈도 타공판조립부(210)와 제2조립부(22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도 5a, 5b, 9a의 도시와 같이, 상기 거치홈(221)은 상측 타공판홈(211)과 하측 타공판홈(212) 사이에 형성된다.
한편, 도 5a, 9a의 도시와 같이 경화실(200)을 형성하는 상기 조립부에는 온도 센서(943)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조립부에는 온도 센서(943)가 지지되는 홀더(945)가 설치될 수 있다.
도 9a의 도시와 같이 홀더(945)는 두께에 비해 길이가 좌우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도 9a의 도시와 같이 홀더(945)는 좌측과 우측이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돌출된 좌측과 우측이 각각 타공판조립부(210)와 제2조립부(220)에 지지될 수 있다.
도 4, 6, 7, 10a의 도시와 같이 리미트 스위치(941)는 타공판조립부(210)의 좌측면 중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도 4의 도시와 같이 트레이가 지지부(19)에 조립되고 거치부(300)가 경화실(200)에 삽입되면 리미트 스위치(941)와 후술될 접촉편(401)이 접촉될 수 있고, 이와 같이 접촉됨으로써 경화실(200)의 일측이 폐쇄됐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리미트스위치(941)는 경화기의 작동 중에 트레이가 지지부(19)와 분리되어 경화실(200)의 일측이 개방되면 자외선이 경화기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므로 즉시 LED를 꺼주는 역할을 해 자외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즉 리미트 스위치(941)와 접촉편(401)이 분리되면 LED가 꺼질 수 있다.
리미트 스위치(941)에는 전선(미도시)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온도 센서(943)는 경화실(200)의 내부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과열을 방지함으로써 LED의 수명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온도 센서(943)는 송풍팬의 속도의 제어량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 4, 6 등의 도시와 같이, 서로 연결된 제1조립부(210)의 타단에는 온도 센서(943)에 연결되는 전선(미도시)이 관통하는 홀(도면부호 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 LED모듈, 타공판 -----------
한편, 도 5a, 5b, 9a, 9b 등의 도시와 같이 LED모듈은 복수개의 LED와 LED가 설치된 PCB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경화대상물이 자외선에 골고루 노출될 수 있다.
LED모듈은 상기 경화실의 상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트레이의 거치부 상하로 조사시킬 수 있다.
PCB는 경화실(200)의 상측과 경화실(200)의 하측에 위치되는 상측 PCB(110)와 하측 PCB(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LED는 상측 PCB(110)에 설치된 복수의 상측 LED(111), 하측 PCB(120)에 설치된 복수의 하측 LED(1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 LED(111)와 하측 LED(121)는 경화실(200)의 상측, 하측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즉 상측 LED(111)는 거치부(300)를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될 수 있고, 하측 LED(121)는 거치부(300)를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경화물의 상측과 하측을 동시에 경화시킬 수 있다.
상측 LED(111)와 하측 LED(121)는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한편, 상측 PCB(110)의 하면에는 복수의 상측 LED(111)가 수용되는 관통공(도면부호 미도시)이 형성된 상측 타공판(113)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하측 PCB(120)의 상면에는 복수의 하측 LED(121)가 수용되는 관통공(도면부호 미도시)이 형성된 하측 타공판(123)이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측 PCB(110)가 상기 상측 타공판(113)의 하측에 위치되고, 하측 PCB(120)가 하측 타공판(123)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도 5a, 5b, 9a의 도시와 같이, 상측 타공판(113)은 상측과 하측이 각각 후술될 상측 방열부(821)와 상측 PCB(110)와 접촉될 수 있다. 또한 하측 타공판(123)은 상측과 하측이 각각 후술될 하측 방열부(823)와 하측 PCB(120)와 접촉될 수 있다.
상측 타공판(113)과 하측 타공판(123)에는 LED가 수용되도록 LED의 배열과 동일한 배열의 관통공(도면부호 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 공기유입덕트 -----------
공기유입덕트는 송풍팬과 방열실에 연결된 상하측 공급부, 상기 공급부와 전환부에 사이에 위치되며 상하측 방열부가 수용될 수 있는 상하측 방열실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유입덕트는 상기 경화실을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공기유입덕트는 상측 공기유입덕트와 하측 공기유입덕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a, 5b의 도시와 같이 공기유입덕트에는 상기 방열실이 배치될 수 있다.
======= 방열부 =======
상기 방열실은 일측과 타측이 개방된 공간이다.
방열실의 일측은 상기 전환부에 의해 상기 트레이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도 5a, 5b, 6 등의 도시와 같이 본 예의 방열실에는 방열부 역할을 하는 히트싱크(Heat sink)가 수용될 수 있다.
방열부는 상하측 LED모듈의 상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a, 5b, 6의 도시와 같이 방열부는 상기 상측 PCB(110)의 상측에 접촉될 수 있는 상측 방열부(821), 상기 하측 PCB(120)의 하측에 접촉될 수 있는 하측 방열부(8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열실은 상기 상측 PCB(110)의 상측과 상기 하측 PCB(120)의 하측에 각각 위치되는 상측 방열실(810)과 하측 방열실(8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 내지 7의 도시와 같이, 상측 방열실(810)은 상측 방열부(821)의 상부와 좌측을 가리는 제1방열커버(801), 제1방열커버(801)의 우측과 연결된 상기 격벽(17), 상측 방열부(821)의 하면과 마주보는 상측 PCB(110)에 둘러싸여 형성되는 공간이다.
한편, 도 6, 7의 도시와 같이, 하측 방열실(820)은 상측에 하측 방열부(823)가 거치되는 브라켓(805), 브라켓(805)의 우측에 연결된 상기 격벽(17), 브라켓(805)의 일측과 결합되어 하측 방열부(823)의 좌측을 가리는 제2방열커버(803), 하측 방열부(823)의 상면과 마주보는 하측 PCB(12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이다.
도 4, 5a, 5b의 도시와 같이 브라켓(805)은 상측으로 돌출된 형상이며, 상기 하측커버(15)에 지지될 수 있다.
도 6의 도시와 같이 브라켓(805)이 하측 방열부(823)의 하측을 가릴 수 있다.
도 4, 6의 도시와 같이 제2방열커버(803)는 상측이 후술될 제1조립부(210)의 좌측과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측 방열실(810)의 일측에는 후술될 상측 전환부(411, 511, 521), 타측에는 상측 송풍팬(610)이 위치될 수 있다. 상측 방열부(821)와 후술될 상측 전환부(411, 511, 521)와 상측 송풍팬(610)은 일타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하측 방열실(820)의 일측에는 후술될 하측 전환부(412, 512, 522)가 위치될 수 있다. 하측 방열실(820)의 타측에는 하측 송풍팬(620)이 위치될 수 있다. 하측 방열부(823)와 후술될 하측 전환부 중 하측 유입부(412)와 하측 송풍팬(620)은 일타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가 경화기 내부에서 흐를 때 저항이 최소화되어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 공급부(Distributor) =======
도 5a, 5b, 10a, 10b 등의 도시와 같이 상기 공급부의 일측과 타측은 송풍팬의 토출부와 방열실의 타측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공급부는 길이에 비해 두께가 얇은 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급부는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상측 공급부(710)와 하측 공급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a, 5b, 10a의 도시와 같이 송풍팬의 토출구(603)는 공급부의 타측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송풍팬(610,620)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가 공급부(710,720)를 통과해 방열실(810,820)에 공급될 때 공기의 손실이 방지되고, 방열실(810,820)에 공기가 원활하게 공급되어 방열실(810,820), 방열부(821,823)의 냉각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b의 도시와 같이, 상측 공급부(710)는 상판(도면부호 미도시), 상기 상판에 연결된 좌측판(도면부호 미도시), 우측판(71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측 공급부(710)는 일측과 타측과 하측이 개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10b의 도시와 같이, 하측 공급부(720)는 좌측판(721)과 우측판(도면부호 미도시)과 하판(도면부호 미도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측 공급부(720)는 일측과 타측과 상측이 개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열실의 타측인 유입구(도면부호 미도시)의 단면적은 상기 송풍팬의 토출구(603)의 단면적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상측 공급부(710)의 우측판(711)은 타측에서 일측으로 갈수록 우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측 공급부(720)의 좌측판(721)은 타측에서 일측으로 갈수록 좌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공급부의 좌우폭은 송풍팬측에서 방열실측으로 갈수록 넓어진다. 이로 인해 공급부의 좌우폭은 타측에서 일측으로 갈수록 넓어진다. 따라서 상하측 공급부가 상하측 송풍팬과 상하측 방열실 사이에 위치되어 공기가 방열실에 골고루 공급될 수 있다.
도 5a, 5b, 10b의 도시와 같이, 상측 공급부(710)의 상판의 일단에는 상측 방열부(821)의 일부와 접촉되는 제1플랜지(71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측 공급부(720)의 하판의 일단에는 하측 방열부(823)의 일부와 접촉되는 제2플랜지(723)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측 공급부(710)의 우측판(711)의 하단에는 제3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다. 도 10b의 도시와 같이 상기 제3플랜지에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미도시)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도면부호 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상측 공급부(710)의 제3플랜지에 체결부재(미도시)를 체결시켜 상측 공급부(710)가 배기측판(910)의 상측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하측 공급부(720)는 좌측과 우측에 각각 제4플랜지, 제5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다. 도 10b의 도시와 같이 상기 좌측 플랜지와 우측 플랜지에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미도시)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도면부호 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하측 공급부(720)의 좌우측 플랜지에 체결부재(미도시)를 체결시켜 하측 공급부(720)가 배기측판(910)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 송풍팬 -----------
도 5a, 5b 등의 도시와 같이, 상기 송풍팬은 상기 상측 방열실(810)과 연결된 상측 송풍팬(610)과 상기 하측 방열실(820)과 연결된 하측 송풍팬(6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측 송풍팬(610)과 하측 송풍팬(620)은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상측 송풍팬(610)은 배기측판(910)의 상측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하측 송풍팬(620)은 배기측판(910)의 하측에 지지될 수 있다.
송풍팬은 DC방식의 원심팬(Fan)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측 송풍팬(610)의 공기 유입부(도면부호 미도시)는 상측 송풍팬(610)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하측 송풍팬(620)의 공기 유입부(도면부호 미도시)는 하측 송풍팬(62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송풍팬의 토출부(도면부호 미도시), 즉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는 송풍팬의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 전환부, 유로박스 -----------
상기 전환부는 경화실(200)의 일측과 상측 방열실(810) 내지 하측 방열실(820)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환부는, 하측이 상기 거치부(300)와 상측 LED(111) 사이의 공간(200a)과 연결된 상측 전환부(411, 511, 521), 상측이 상기 거치부(300)와 하측 LED(121) 사이의 공간(200b)과 연결된 하측 전환부(412, 512, 52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경화물의 상측과 하측, 상측 LED 모듈, 하측 LED모듈, 상측 방열실(810), 하측 방열실(820)을 동시에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 상측 전환부(411, 511, 521)의 상측 유입부(411)는 상측 공기유입덕트의 상측 방열실(810)과 연결될 수 있다.
상측 전환부(411, 511, 521)는 상기 경화실(200)의 개방된 일측 중 상측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측 전환부(412, 512, 522) 중 하측 유입부(412)는 상기 하측 공기유입덕트의 하측 방열실(82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측 전환부(412, 512, 522)는 상기 경화실(200)의 개방된 일측 중 하측과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5a, 5b의 도시와 같이, 상측 전환부(411, 511, 521)가 형성되도록 상측 유로박스(400)는 상측벽, 하측벽, 좌측벽, 우측벽, 일측벽(도면부호 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또한 하측 전환부(412, 512, 522)가 형성되도록 하측 유로박스(500)도 상측벽, 하측벽, 좌측벽, 우측벽, 일측벽(도면부호 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a, 도 10a의 도시와 같이, 상측 유로박스(400)에는 상기 리미트 스위치(941)이 접촉될 수 있는 접촉편(401)이 형성될 수 있다.
접촉편(401)은 상기 좌측벽의 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8a, 도 8b의 도시와 같이 상측 유로박스(400)의 내부, 하측 유로박스(500)의 내부에는 각각 상측 전환벽(430)하측 전환벽(530)이 설치될 수 , 있다.
상측 전환벽(430), 하측 전환벽(530)은 도 5a, 5b의 도시와 같이 상하방향 단면이 반원형일 수 있다. 상기 전환벽에 의해 전환로(521,522)가 형성되어 유로박스를 통과한 공기의 흐름이 180도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상측 전환벽(430), 하측 전환벽(530)은 곡면형상이므로 공기를 부드럽게 공급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상측 전환부(411, 511, 521)는 상기 상측 송풍팬(610)과 연결된 상측 유입부(411), 상기 경화실(200) 일측의 상부와 연결되는 상측 토출부(511), 상하측 각각 상기 상측 유입부(411)와 상기 상측 토출부(511)에 연결된 상측 전환로(52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측 전환로(521)의 상측, 하측은 각각 상측 유입부(411)와 상측 토출부(51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측 토출부(511)는 상기 상측 유입부(411)보다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측 토출부(51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부(300)와 상기 상측 LED(111) 사이의 공간(200a)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측 토출부(511)를 통과한 공기는 경화실(200) 내부와 경화대상물의 상부를 경화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측 전환부(412, 512, 522)는 상기 하측 송풍팬(620)과 연결된 하측 유입부(412), 상기 경화실(200) 일측의 하부와 연결되는 하측 토출부(512), 상하측이 상기 하측 유입부(412)와 상기 하측 토출부(512)에 연결된 하측 전환로(522)를 포함할 수 있다. 하측 전환로(522)의 상측, 하측은 각각 하측 유입부(412)와 하측 토출부(512)에 연결될 수 있다.상기 하측 토출부(512)는 상기 하측 유입부(412)보다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하측 토출부(51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부(300)와 상기 하측 LED(121) 사이의 공간(200b)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하측 토출부(512)를 통과한 공기는 경화실(200) 내부와 경화대상물의 하부를 경화시킬 수 있다.
도 5b, 10a의 도시와 같이, 전술된 상측 전환부(411, 511, 521), 하측 전환부(412, 512, 522)에 의해 방열실을 통과한 공기가 흐르는 방향은 180도가 전환될 수 있다. 즉 공기는 방열실에서의 흐름과 경화실(200)에서의 흐름이 반대가 될 수 있다. 이때 공기는 방열실을 통과하면서 온도가 다소 상승되지만 송풍팬에 의해 공급되어 풍량이 세므로 경화실(200) 내부를 충분히 쿨링할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환부를 180도 전환형으로 설계함으로써 별도로 경화실(200)을 냉각시키지 않고도 LED의 수명이 보호되고 성능이 유지될 수 있으며, 경화대상물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도 5a, 5b의 도시와 같이 상측 유로박스(400)의 상측 전환벽(430) 하측에는 거치부(300)의 후술될 일측판(314)이 연결되는 연결벽(414)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측 유로박스(400)의 상하폭은 하측 유로박스(500)의 상하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상측 유로박스(400)와 거치부(300)가 일체화될 수 있다.
한편, 도 8b의 도시와 같이, 하측 유로박스(500)의 상측벽에는 걸림편(540)이 설치될 수 있다. 걸림편(540)은 상측벽의 타단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도 5a, 5b의 도시와 같이 상측 유로박스(400)와 하측 유로박스(500)가 본체(10)와 조립된 상태일 때 걸림편(540)이 하측 유로박스(500)의 타측과 거치부(30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도 5a, 5b와 같이, 상측 유로박스(400)와 하측 유로박스(500)는 본체(10)의 상기 지지부(19)에 지지될 수 있다. 상측 유로박스(400)는 지지부(19)에 접촉되고 거치부(300)가 경화실(200)에 삽입되면 본체(10)와 조립이 완료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도 6, 7 등의 도시와 같이 하측 유로박스(500)는 타측이 개방된 커버박스(505)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도 8b과 같이 하측 유로박스(500)의 하측에는 관통공(도면부호 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도면부호 미도시)과 커버박스(505)와 지지부(19)에 체결부재(미도시)가 일체로 체결됨으로써 하측 유로박스(500)와 커버박스(505)가 지지부(19)에 지지될 수 있다.
----------- 경화대상물 거치용 트레이(Tray) -----------
상기 거치부(300)와 상측 전환부(411, 511, 52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일체화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들을 경화대상물 거치용 트레이, 즉 트레이라 한다.
도 1, 6 등의 도시와 같이 트레이의 일측, 구체적으로는 상측 유로박스(400)의 일측에 손잡이(403)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트레이는 경화실(200)의 일측 일부와 상측 방열실(810)의 일측을 개방 및 폐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트레이는 일측의 상부와 중앙을 개방 및 폐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6의 도시와 같이 상측 방열부(821), 경화실(200), 타공판, PCB(110,120)를 육안으로 관찰 내지 접근할 수 있다. 따라서 경화기의 관리가 용이하다.
거치부(300)는 도 5a, 5b, 8a 등의 도시와 같이, 경화대상물이 거치될 수 있는 거치판(310), 거치판(310)의 좌우측에 세워진 좌측판(311)과 우측판(312), 좌우측판(311, 312)의 전후측에 세워진 타측판(313)과 일측판(314), 상기 판들(311, 312, 313, 314)에 의해 형성되는 경화대상물 수용공간(301)을 포함할 수 있다.
거치판(310)에는 복수의 관통공(310a)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측 LED(121)에서 조사된 자외선이 거치판(310)에 거치된 경화대상물에 잘 전달되어 경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a, 5b의 도시와 같이, 경화대상물 수용공간(301)의 일측은 상측 전환부(411, 511, 521)의 상측 토출부(511)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측 전환부(411, 511, 521)를 통과한 공기가 경화대상물 수용공간(301)에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한편, 도 5a, 5b, 8a의 도시와 같이 거치부(300)는 타측판(313)의 상단이 좌측판(311)의 상단과 우측판(312)의 상단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가 경화대상물 수용공간(301)에서 바로 빠져나가지도 계속 머무르지도 않고, 일정시간 동안 경화대상물과 경화실(200)을 냉각시킨 후 거치부(300)의 좌측판(311)과 우측판(312) 사이로 빠져나갈 수 있다.
이러한 거치부(300)는 본체(10)의 일측에서 상기 조립부의 거치홈(221)에 삽입됨으로써 경화실(200)의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거치부(300)의 상측과 하측은 각각 상측 LED(111)와 하측 LED(121)와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거치부(300)는 경화대상물에 경화가 잘 이루어지도록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 배기관(900) -----------
도 5a, 5b, 7, 11 등에 도시된 상기 배기관(900)은, 좌측판(911)과 좌측판(911)에 연결된 상판(913)과 하판(915)이 일체로 이루어진 배기측판(910)과, 배기측판(910)의 우측에 결합되는 제2배기측판(92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배기관(900)의 일측과 타측은 개방되어 있다. 배기관(900)의 일측은 경화실(200)의 타측과 연결된다. 경화실(200)에서 유입된 공기는 배기관(900)의 개방된 타측과 배기팬(40)을 거쳐 경화기의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나아가, 배기관(900) 내에는 공기가 외부로 원활하게 배기되는 것을 유도하고, 이와 동시에 자외선이 유출되는 것은 방지하기 위해 배기가이드가 위치될 수 있다.
배기가이드는 상기 경화실(200)과 상기 배기관(900)의 타측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기가이드는 상기 배기관(900) 중 상측에 위치된 상측 배기가이드(930)와, 상기 배기관(900) 중 하측에 위치된 하측 배기가이드(9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a, 5b와 같이 측방에서 볼 때 상측 배기가이드(930)는 배기측판(910)의 상판(913)보다 하측으로 돌출된 형상이다. 또한 하측 배기가이드(950)는 배기측판(910)의 하판(915)보다 상측으로 돌출된 형상이다.
도 5a, 5b의 도시와 같이, 상측 배기가이드(930)는 배기관(900)의 개방된 타측과 상측 LED(11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측 배기가이드(930)의 일측에 상기 거치부(300)와 상측 LED(111) 사이의 공간(200a)이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거치부(300)와 상측 LED(111) 사이의 공간(200a)을 통과한 공기는 배기관(900)을 통과할 때 상측 배기가이드(930)에 의해 흐름이 가이드될 수 있어 유동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하측 배기가이드(950)는 상기 배기관(900)의 개방된 타측과 상기 하측 LED(12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하측 배기가이드(950)의 일측에 상기 거치부(300)와 하측 LED(121) 사이의 공간(200b)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거치부(300)와 하측 LED(121) 사이의 공간(200b)을 통과한 공기는 배기관(900)을 통과할 때 하측 배기가이드(950)에 의해 흐름이 가이드될 수 있어 유동이 제어될 수 있다.
도 5a, 5b, 11의 도시와 같이, 상기 상측 배기가이드(930)는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세워진 제1벽(937), 제1벽(937)에 연결된 제1평면(935), 상기 제1평면(935)의 타측에 연결된 제1하강면(933), 상기 제1하강면(933)의 타측에 연결된 제1상승면(93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5a, 5b, 11의 도시와 같이, 상기 하측 배기가이드(950)는 일측의 제2상승면(951), 상기 제2상승면(951)의 타측에 연결된 제2하강면(953), 상기 제2하강면(953)의 타측에 연결된 제2평면(955), 제2평면(955)에 연결되며 타측에 상하방향으로 세워진 제2벽(957)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a를 기준으로 제1상승면(931), 제2상승면(951)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또한 제1하강면(933), 제2하강면(953)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상기 상측 배기가이드(930)와 하측 배기가이드(950)는 동일한 구성이되, 도 5a, 5b,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대로 배치될 수 있다.
도 5a, 5b의 도시와 같이 상기 상측 배기가이드(930)와 상기 하측 배기가이드(950)는 서로 이격 배치된다. 따라서 공기가 통과하는 배기유로(901)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기유로(901)는 상기 제1평면(935)과 상기 제2상승면(951)이 이격되어 형성된 제1감소로(901a), 상기 제1평면(935)과 상기 제2하강면(953)이 이격되어 형성된 제1증가로(901b), 상기 제1하강면(933)과 상기 제2평면(955)이 이격되어 형성된 제2감소로(901c), 상기 제1상승면(931)과 상기 제2평면(955)이 이격되어 형성된 제2증가로(901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감소로(901a)와 제2감소로(901c)는 일측에서 타측측으로 갈수록 상하폭이 작아진다. 또한 제1증가로(901b)와 제2증가로(901d)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상하폭이 커진다. 따라서 도 5b의 도시와 같이 배기유로(901)의 상하폭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감소와 증가를 반복할 수 있다. 전술된 배기유로(901)는 상하로 휘어진 유체역학적 구조다. 따라서 배기유로(901)를 통과하는 공기의 저항이 최소화되어 배기 효율의 손실이 감소되고 유동 효율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LED에서 나오는 유해한 자외선 광원이 배기가이드에 막혀 경화기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배기유로(901)의 좌우폭은 일정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의 흐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한편, 배기가이드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배기측판(91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미도시)가 관통하도록 도 11의 도시와 같이 배기가이드의 일단 및 타단에 플랜지(도면부호 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배기측판(920)은 본체(10)를 이루는 상기 격벽(17)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볼트 등의 체결부재(미도시)가 제2배기측판(920)과 격벽(17)에 일체로 체결되어 제2배기측판(920)과 격벽(17)끼리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제2배기측판(920)은 배기측판(910)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 배기팬(40) --------------
도 2, 4, 5a, 5b 등에 도시된 상기 배기팬(40)은 본체(10)의 타측커버(13)에 지지되며, 상기 배기관(900)의 타측에 위치된다.
이때 배기팬(40)은 배기관(900)의 타측과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그 이유는 배기팬(40)의 풍량이 충분하므로 본체(10) 내부로도 배기된 공기의 일부를 보내기 위한 것과, 경화기에 배기팬(40) 외에 송풍팬, 흡입팬도 설치되므로 진동 등의 2차 소음 유발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5a, 5b의 도시와 같이 배기팬(40)이 배기관(900)의 개방된 타측에 위치됨으로써 배기관(900)에서 배기된 공기가 경화기의 외부로 배기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도 5a, 5b의 도시와 같이 배기팬(40)은 중앙에 위치된 허브(41), 상기 허브(41)에 연결되어 허브(41)를 둘러싸는 복수 개의 날개(도면부호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배기팬(40)은 허브(41)를 기준으로 상측이 상측 배기가이드(930)의 타측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배기팬(40)은 허브(41)를 기준으로 하측이 하측 배기가이드(950)의 타측에 위치될 수 있다.
배기팬(40)은 도 2, 5a, 5b 등에 도시된 타측커버(13)의 배기구(도면부호 미도시)에 설치될 수 있다.
--------------------------------------
전술된 발명의 경화기 내에서 공기의 흐름의 일 예를 설명하면, 우선 경화기 외부의 공기가 흡입팬, 흡입공을 통해 본체(10) 내부로 유입되고, 송풍팬, 공급부를 순서대로 통과해 방열실에서 방열부를 냉각시킨다. 이후 공기는 전환부를 통해 흐름이 180도 전환되어 경화실(200)의 상측 내지 하측으로 유입되어 경화대상물과 경화실(200) 내부를 냉각시킨 후 배기관(900)에 유입되어 배기가이드에 의해 흐름이 유도되며, 배기관(900)을 통과한 후 배기팬(40)을 통과해 경화기의 외부나 본체(10)의 내부 공간(31, 33)으로 배기될 수 있다.
한편, 송풍팬, 공급부, 방열실이 경화실(200) 및 배기관(900)을 기준으로 상하대칭을 이룬다.
상기 일 예의 경화기는, 경화기의 용량에 따라 복수 개를 병렬로 적용할 수 있도록 모듈형으로 설계되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 : 본체 19 : 지지부
20 : 흡입팬 40 : 배기팬
50 : 배기구 110 : 상측 PCB
111 : 상측 LED 120 : 하측 PCB
121 : 하측 LED 200 : 경화실
300 : 거치부 400 : 상측 유로박스
411, 511, 521 : 상측 전환부 411 : 상측 유입부
412 : 하측 유입부 500 : 하측 유로박스
412, 512, 522 : 하측 전환부 511 : 상측 토출부
512 : 하측 토출부 521 : 상측 전환부
522 : 하측 전환부 610 : 상측 송풍팬
620 : 하측 송풍팬 710 : 상측 공급부
720 : 하측 공급부 810 : 상측 방열실
820 : 하측 방열실 900 : 배기관
930 : 상측 배기가이드 931 : 제1상승면
933 : 제1하강면 935 : 제1평면
950 : 하측 배기가이드 951 : 제2상승면
953 : 제2하강면 955 : 제2평면

Claims (4)

  1.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공간에 수용되는 경화실;
    상기 경화실에 삽입되는 경화대상물 거치용 트레이;
    상기 경화실의 상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트레이의 상하로 조사하는 상하측 LED모듈;
    상기 상하측 LED모듈의 상하측에 위치되는 상하측 방열부가 수용된 상하측 방열실;
    상기 상하측 방열부가 수용되며 상기 경화실의 상하에 배치되는 상하측 공기유입덕트;
    상기 상하측 공기유입덕트와 연결된 상하측 송풍팬;
    상기 상하측 공기유입덕트와 상기 트레이의 상하부를 서로 통하게 연결하는 상하측 전환부;
    상기 경화실에 유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기되도록 상기 본체의 배기구에 설치되는 배기팬;을 포함하되,
    상기 트레이는, 경화대상물이 거치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가 연결되며 상기 상측 전환부를 형성하는 상측 유로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는 상기 경화실의 일부와 상기 상측 방열실을 개방 및 폐쇄시킬 수 있고,
    상기 상측 유로박스가 상기 본체에 접촉되어 조립되고 상기 거치부가 상기 경화실에 삽입되면, 상기 경화실이 폐쇄되어 상기 LED모듈의 자외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경화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측 전환부는 상기 상측 공기유입덕트와 연결된 상측 유입부, 상기 경화실의 일측과 연결되되 상기 상측 유입부보다 하측에 위치되는 상측 토출부, 상측과 하측이 각각 상기 상측 유입부와 상기 상측 토출부에 연결된 상측 전환로를 포함하며,
    상기 하측 전환부는 상기 하측 공기유입덕트와 연결된 하측 유입부, 상기 경화실의 일측과 연결되되 상기 하측 유입부보다 상측에 위치되는 하측 토출부, 양측이 상기 하측 유입부와 상기 하측 토출부에 연결된 하측 전환로를 포함하는 경화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측 방열부의 일측과 타측에 상기 상측 유입부와 상기 상측 송풍팬이 일타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되고,
    상기 하측 방열부의 일측과 타측에 상기 하측 유입부와 상기 하측 송풍팬이 일타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되는,
    경화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하측 공기유입덕트는 상기 상하측 방열실과 연결된 상하측 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상하측 방열부의 타측의 단면적은 상기 상하측 송풍팬의 토출구의 단면적보다 크며,
    상기 공급부는 상기 상하측 송풍팬과 상기 상하측 방열실 사이에 상기 상하측 방열실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상하측 공급부를 포함하는,
    경화기.
KR1020210034076A 2021-03-16 2021-03-16 경화기 KR102469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076A KR102469933B1 (ko) 2021-03-16 2021-03-16 경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076A KR102469933B1 (ko) 2021-03-16 2021-03-16 경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9329A KR20220129329A (ko) 2022-09-23
KR102469933B1 true KR102469933B1 (ko) 2022-11-23

Family

ID=83445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4076A KR102469933B1 (ko) 2021-03-16 2021-03-16 경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993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04925B2 (ja) * 1991-07-25 1999-06-14 ジー.イー.ダブリュ.(イーシー)リミテッド 紫外線硬化装置
JP2000162397A (ja) * 1998-11-30 2000-06-16 Iwasaki Electric Co Ltd 紫外線硬化装置
KR100813310B1 (ko) * 2007-08-07 2008-03-17 일리정공 주식회사 강제냉각용 uv잉크경화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204020A1 (ko) 2013-06-17 2014-12-24 한국프린티드일렉트로닉스연구조합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3d 프린터용 경화 장치
KR101549887B1 (ko) 2013-11-01 2015-09-03 주식회사지엘에스 공냉식 냉각 수단이 구비된 uv-led 장치
KR101550305B1 (ko) 2015-03-09 2015-09-04 주식회사 아이엔케이 Uv를 이용한 가경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682883B1 (ko) 2016-03-15 2016-12-06 주식회사 베이직스 3차원 프린터
KR102194408B1 (ko) 2017-11-03 2020-12-24 주식회사 쓰리딜라이트 3d 프린터용 원형 슬라이딩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3d 프린터
WO2020096129A1 (ko) 2018-11-05 2020-05-14 주식회사 덴티스 3차원 적층체의 경화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자외선 광 경화장치
KR102016288B1 (ko) 2019-07-26 2019-08-29 노도환 Uv led를 이용한 인쇄용 uv잉크 경화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04925B2 (ja) * 1991-07-25 1999-06-14 ジー.イー.ダブリュ.(イーシー)リミテッド 紫外線硬化装置
JP2000162397A (ja) * 1998-11-30 2000-06-16 Iwasaki Electric Co Ltd 紫外線硬化装置
KR100813310B1 (ko) * 2007-08-07 2008-03-17 일리정공 주식회사 강제냉각용 uv잉크경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9329A (ko) 2022-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05677B2 (ja) 内部偏向通気
JP6884593B2 (ja) 光照射装置および印刷装置
KR101163016B1 (ko) 조명 장치
KR101669337B1 (ko) 자외선 조사 헤드 및 자외선 조사 장치
KR200484719Y1 (ko) 조명 모듈용 디플렉터들
KR102469933B1 (ko) 경화기
KR102477050B1 (ko) 경화기
KR102196692B1 (ko) 3d 프린터용 노즐 조립체의 냉각 장치
KR200485060Y1 (ko) 램프 환기 시스템
JP6634848B2 (ja) 照射装置、及び放熱ユニット
FI88649B (fi) Infraroedstraolelement
WO2016042974A1 (ja) 光照射装置
KR102402027B1 (ko) Led uv 경화기
JPWO2019181937A1 (ja) 光照射装置および印刷装置
JP7049751B2 (ja) 電子機器
JP7207853B2 (ja) 光照射装置および印刷装置
JP2001148588A (ja) 工作機械の放熱装置
WO2020158738A1 (ja) 光照射装置および印刷装置
JP7463243B2 (ja) 電子機器
JP4496403B2 (ja) 制御盤
WO2021070931A1 (ja) 光照射装置
KR20240027815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CN114144314A (zh) 光照射装置以及印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