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8545B1 -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정보통신설비 통합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정보통신설비 통합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8545B1
KR102468545B1 KR1020220000973A KR20220000973A KR102468545B1 KR 102468545 B1 KR102468545 B1 KR 102468545B1 KR 1020220000973 A KR1020220000973 A KR 1020220000973A KR 20220000973 A KR20220000973 A KR 20220000973A KR 102468545 B1 KR102468545 B1 KR 102468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fixed
elevator
management server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0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호진
Original Assignee
(주)진전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전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진전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20000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85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8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8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8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정보통신설비 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출입 불허차량의 회차가 가능하여 차량제어기 통과시 차량정체를 막고, 특히 화재 등 비상시 엘리베이터 이용과 관련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효과적인 운용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정보통신설비 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정보통신설비 통합관리 시스템{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apartment ho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facilitie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본 발명은 통신 기술 분야 중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정보통신설비 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출입 불허차량의 회차가 가능하여 차량제어기 통과시 차량정체를 막고, 특히 화재 등 비상시 엘리베이터 이용과 관련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효과적인 운용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정보통신설비 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에서 출입자를 관리하고 보안 및 방범을 유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식 및 종류의 통신시스템이 설치되고 있는데, 통상적으로 CCTV와 차량출입시스템이 설치된다.
이때, CCTV는 엘리베이터 내부, 공동 현관문, 지하 주차장, 노인정, 산책로, 놀이터 등의 다양한 공간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카메라의 영상을 수집하여 모니터를 통해 표출시킴과 동시에 수집된 영상을 일정기간 동안 저장하여 증거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공동주택은 무엇보다 다수의 사람들이 출입하기 때문에 거주자가 손쉽게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동시에 원치않는 방문자의 출입을 방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방문자 출입, 즉 차량출입시스템의 경우에는 알에프아이디 태그를 이용하거나 혹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번호를 판독한 후 미리 저장된 등록차량 번호와 비교하는 방식으로 차량 출입을 통제하는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차량출입시스템은 주로 등록된 거주자들의 차량 출입 편의성에 중점을 둔 것으로서 외부차량 출입시에는 이를 자동으로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경비실을 경유한다든지 혹은 방문하고자 하는 동 호수를 입력한 후 해당 세대주의 승인을 받아 출입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급한 용무로 경비원이 경비실을 비운 경우나 혹은 방문하고자 하는 세대원이 없거나 있더라도 승인을 해주지 않을 경우 외부차량이 출입하기 어렵고, 경우에 따라서는 등록주민이 외부차량 때문에 출입하지 못하고 대기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한편, 공동주택의 승강기는 특별한 제한이 없어 사용자가 선택하는 층으로 얼마든지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단지로 들어온 외부자가 자유자재로 이동할 수 있어 범죄 예방에 대한 조치가 요구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단지 내에는 다수의 CCTV가 설치되어 있으나 사각지대가 존재할 수 밖에 없고, CCTV를 통해 불미스런 사건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즉시 관리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한계에 봉착해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014993호(2011.02.08.) '공동주택 통합제어 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출입 불허차량의 회차가 가능하여 차량제어기 통과시 차량정체를 막고, 특히 화재 등 비상시 엘리베이터 이용과 관련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효과적인 운용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정보통신설비 통합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관리사무실에 구비된 관리서버(100), 상기 관리서버(100)와 통신하여 차량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차량만 통과하도록 차량게이트의 개폐를 제어하는 차량제어기(200), 상기 차량제어기(200)가 거부한 차량에 대해 회차할 수 있도록 회전동작되는 회차테이블(300), 차량통행 불허시 긴급 승인을 요청하여 차량제어기(200)를 직접 제어하도록 관리서버(100)에 등록된 세대단말기(400), 상기 관리서버(100)와 무선통신하면서 비상시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도록 엘리베이터의 탑에 설치된 탑통신기(500)를 포함하는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정보통신설비 통합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회차테이블(300)은 베어링(320)의 개재하에 지지원통(310)의 내경에 형성된 상단턱(330)에 안착된 채 회전되게 조립되고, 상기 지지원통(310)의 하단은 지중에 매립된 상태로 고정판(340) 상에 고정되며, 회차테이블(300)의 하단면 중심에는 종동기어(B2)가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종동기어(B2)의 축은 고정판(340) 상에 회전가능하게 베어링 고정되며, 상기 종동기어(B2)에는 구동기어(B1)가 기어결합되는데 구동기어(B1)는 구동모터(350)의 구동축 상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모터(350)는 상기 지지원통(310)의 내경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정보통신설비 통합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출입 불허차량의 회차가 가능하여 차량제어기 통과시 차량정체를 막고, 특히 화재 등 비상시 엘리베이터 이용과 관련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효과적인 운용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보인 예시적인 구성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회차테이블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엘리베이터 제어관계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소실감지기의 설치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소실감지기의 고정구조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관리사무실에 구비된 관리서버(100), 상기 관리서버(100)와 통신하여 차량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차량만 통과하도록 차량게이트의 개폐를 제어하는 차량제어기(200), 상기 차량제어기(200)가 거부한 차량에 대해 회차할 수 있도록 회전동작되는 회차테이블(300), 차량통행 불허시 긴급 승인을 요청하여 차량제어기(200)를 직접 제어하도록 관리서버(100)에 등록된 세대단말기(400), 상기 관리서버(100)와 무선통신하면서 비상시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도록 엘리베이터의 탑에 설치된 탑통신기(5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관리서버(100)는 공동주택의 관리사무실에 설치되는 서버로서, 관계기관(경찰서, 소방서 등)과 다이렉트 통신망을 갖추고 있다. 특히, 상기 관리서버(100)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학습기능을 갖추고 있는 진화된 관리서버이다.
또한, 상기 관리서버(100)에는 출입 통행이 가능한 차량을 등록하는 차량데이터베이스가 마련되고, 뿐만 아니라 거주자 혹은 세대주, 또는 상시 방문자들 예를들어 우유배달원, 신문배달원, 소독방역자 등의 차량 및 사용자 단말기도 차량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관리서버(100)에는 방문예약데이터베이스도 구비하며, 휴대폰을 통해 해당 아파트 대표번호로 전화를 걸면 24시간내 방문할 차량과 전화번호를 예약할 수 있다.
예약된 차량번호와 전화번호는 방문예약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며, 24시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삭제된다.
따라서, 상기 차량제어기(200)는 공동주택으로 진출입할 수 있는 정문 또는 후문에 설치되어 상기 관리서버(10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차량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통행 차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상기 차량제어기(200)에는 고성능 카메라가 탑재되어 진입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하고, 관리서버(100)에 있는 차량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등록차량정보와 비교하여 진입 여부를 결정한다.
이 과정에서, 1차로 차량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고, 이어 2차로 방문예약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차량이 인식될 경우 차량제어기(200)가 개방되면서 차량을 통과시키고, 차량이 인식되지 않으면 방문할 수 없음을 음성으로 출력한 다음, 차량을 회차테이블(300)로 유도한 후 턴테이블 형태의 회차테이블(300)을 회전시켜 회차시키도록 한다.
보통, 회차테이블(300)이 갖추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차량 통행이 불허된 경우, 차량이 밀려 출입관리를 불량하게 만들고 차량 정체를 유발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반드시 예약 등록 방식으로 차량을 통행할 수 있도록 관리하고, 통행이 불허될 경우 회차시킬 수 있는 구성을 갖춤으로써 차량 정체없는 통행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이때, 회차테이블(300)은 도 2의 예시와 같이, 베어링(320)의 개재하에 지지원통(310)의 내경에 형성된 상단턱(330)에 안착된 채 회전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원통(310)의 하단은 지중에 매립된 상태로 고정판(340) 상에 고정된다.
그리고, 회차테이블(300)의 하단면 중심에는 종동기어(B2)가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종동기어(B2)의 축은 고정판(340) 상에 회전가능하게 베어링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종동기어(B2)에는 구동기어(B1)가 기어결합되는데, 구동기어(B1)는 구동모터(350)의 구동축 상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350)는 상기 지지원통(310)의 내경에 고정된다.
여기에서, 상기 종동기어(B2)와 구동기어(B1)는 다양한 기어조합일 수 있으나, 베벨기어 조합임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세대단말기(400)는 스마트폰이나 PDA와 같은 무선통신단말기로서 세대주가 소유한 단말기이다.
이 세대단말기(400)는 예약차량이 아닌데 급한 용무로 출입을 허락받고 싶을 때 비상호출로 대응하여 차량제어기(200)를 직접 제어할 수 있도록 관리서버(100)에 등록된 단말기이다.
아울러, 상기 탑통신기(500)는 도 3의 예시와 같이, 엘리베이터(510)의 출입문 전 바닥면에 설치된 출입가능 또는 출입금지를 표출하는 표시부(520)를 가동시키도록 제어하는 LED표시제어기(530)와, 상기 엘리베이터(510) 내부에 부착된 소실감지기(10)를 포함한다.
이때, 엘리베이터(510)는 그 내부에 설치된 소실감지기(10)가 내부 전소여부를 검출하며, 검출 결과를 탑통신기(500)로 출력하고, 이를 수신한 탑통신기(500)는 즉시 관리서버(100)로 전송함으로써 관리서버(100)가 화재발생 경보를 전 주민에게 고지하게 된다.
동시에, 탑통신기(500)는 고유식별코드를 함께 전송하기 때문에 관리서버(100)는 해당 신호를 송출한 위치를 즉시 확인할 수 있어 화재대응 속도를 높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탑통신기(500)는 각 세대의 엘리베이터(510) 출입문 앞 바닥면에 설치되어 있는 표시부(520)에 엘리베이터(510)가 정상동작 가능할 때는 녹색으로 된 '출입가능'과 함께 동그라미 표시가 표출되도록 하고, 소실되어 정상동작이 어려울 때는 붉은색으로 '출입불가'와 함께 엑스 표시가 표출되도록 함으로써 불측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엘리베이터(510)의 소실여부는 내부에 부착된 소실감지기(10)가 연기 혹은 열을 감지할 경우, 탑재된 컨트롤러(미도시)가 내장된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하여 탑통신기(500)로 특정신호를 무조건 송신하도록 제어함으로써 검출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4 및 도 5의 예시와 같이, 엘리베이터(510) 내부 벽체에 소실감지기(10)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교체가능한 배터리 사용방식을 통해 상용전원을 끌어오지 않고도 설치할 수 있어 설치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특히, 상기 소실감지기(10)는 내부에 근거리 무선통신모듈과 컨트롤러가 내장되어 있어 화재 감지와 동시에 특정 신호를 탑통신기(5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특정신호가 발신되면 이를 수신한 탑통신기(500)는 무조건 화재발생에 따른 엘리베이터(510) 소실로 판단하여 해당 신호를 관리서버(100)로 보내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소실감지기(10)를 쉽게 분리, 장착할 수 있도록 고정유닛(5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유닛(50)은 엘리베이터의 내부 벽체에 고정되는 부착시트(51)와, 상기 부착시트(51)에 부착되는 커버(52)와, 상기 커버(52)가 덮여 있는 베이스하우징(53)과, 상기 베이스하우징(53)의 커버(52) 반대면에서 사각형상으로 돌출된 돌출부(54)와, 상기 돌출부(54)의 표면에서 서로 간격을 두고 다시 돌출된 핀고정부(55)와, 상기 핀고정부(55)를 가로질러 고정된 고정핀(56)과, 상기 고정핀(56)에 끼워져 결속되는 'ㄷ'형상의 삽입편(57)과, 상기 삽입편(57)이 일체로 형성되고 소실감지기(10)의 저면에 나사 고정되는 편베이스(58)와, 상기 베이스하우징(53)에 내장되고 상기 삽입편(57)이 고정핀(56)에 끼워졌을 때 삽입편(57)의 일측 편면에 끼워져 걸림 고정되는 걸림구(59)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부착시트(51)는 겔타입의 시트이다.
이러한 부착시트(51)는 일반 접착제와 달리 액상이 아니며, 고정력은 높이고, 방수성, 내열성, 방오성, 내침식성, 내후성, 내수성을 강하게 하여 외부 환경에서 장기간 사용하여도 쉽게 열화되지 않아 장수명화를 달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쉽게 열화되어 부착면으로부터 쉽게 탈거되거나 크랙이 발생되어 떨어져 버리기 때문이다.
또한, 접착력이 너무 강하게 경화되면, 이를 테면 순간접착제와 같이 리지드(Rigid)하게 경화되면 고정력은 매우 높지만 부착면을 손상시키는 한계가 있어서 장수명화를 달성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부착시트(51)는 에폭시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에틸아세테이트 5중량부, 하이드로콜로이드 25중량부, PEBAX(Polyether-block-amide) 10중량부, 트리페닐포스핀 5중량부, CZ(N-cyclohexybenzothiazole-2-sulfenamide) 5중량부, 키실렌설폰산나트륨 5중량부, 2-페닐이미다졸 5중량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10중량부 및 실리콘수지 15중량부를 혼합한 후 카렌다링한 다음, 시트상으로 성형한 것을 사용한다.
여기에서, 에틸아세테이트는 혼합물이 분산되는 과정에서 서로 엉기거나 미분산되는 것을 막아 표면과 이면 균일성을 확보하도록 하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하이드로콜로이드(Hydrocolloid)는 겔상의 시트를 만들어 습윤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점착성을 장시간 동안 확정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유연성은 물론 방수성까지 확보할 수 있다.
또한, PEBAX(Polyether-block-amide)는 저온에서도 경도변화가 작고, 내피로성이 뛰어나 완충성을 유지하면서 변형억제력을 증대시키고, 비중이 작아 성형가공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흡습성이 낮고, 내굴곡 피로성, 내후성, 유연성, 내크립성, 접착성을 증대시킨다.
뿐만 아니라, 트리페닐포스핀은 내후성을 증대시켜 표면 균질화로 내수압특성, 방수성을 강화시키고 부착력을 증대시킨다.
아울러, CZ(N-cyclohexybenzothiazole-2-sulfenamide)는 방오기능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키실렌설폰산나트륨은 부착 안정성을 높이고 플러핑 방지를 위해 첨가된다. 또한, 2-페닐이미다졸은 건조수축률을 적게 하여 겔형 시트의 변형을 막고 표면이 평활한 상태로 매끄럽게 유지하여 이물부착억제력을 높이기 위해 첨가된다.
나아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은 구조식(-CF2-CF2-)n인 폴리프론 PTFE-D(Dispersion)로서, 내열성은 물론 윤활성을 증대시키므로 내구성과 부착력을 증대시킨다. 마지막으로 실리콘수지는 점착성, 고정력, 부착력을 증대시키고, 내오염성, 내수압특성을 강화시킨다.
또한, 상기 베이스하우징(53)은 내부가 비어 있고, 돌출부(54)에 홀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걸림구(59)가 출몰가능하게 내장된다.
이때, 걸림구(59)는 상기 베이스하우징(53) 내부에서 슬라이딩되는 걸림구블럭(59a)과, 상기 걸림구블럭(59a)의 일측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삽입편(57)의 일측 외면에 형성된 걸림홈(57a)에 걸림되는 걸림후크(59b)와, 상기 걸림후크(59b) 대향측에 돌출된 스프링바(59c)와, 상기 스프링바(59c)에 끼워지고 베이스하우징(53) 내벽에 걸림되어 상기 걸림구블럭(59a)을 탄성지지하는 코일스프링(59d)와, 상기 걸림구블럭(59a)의 상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베이스하우징(53) 일측면을 관통하여 노출된 작동바(59e)를 포함한다.
그리하여, 삽입편(57)이 고정핀(56)에 삽입될 때는 걸림후크(59b)가 걸림홈(57a)에 걸려 삽입편(57)이 분리되지 못하도록 고정하고, 분리시키고자 할 때는 작동바(59e)를 제끼면 코일스프링(59d)이 압축되면서 걸림후크(59b)가 걸림홈(57a)에서 빠져나오기 때문에 삽입편(57)이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간단 용이하게 조립 고정 분리 해체할 수 있어서 설치 사용하게 편리하고, 엘리베이터 내부 등 취약지구에 자유롭게 설치하여 화재를 감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관리서버 200: 차량제어기
300: 회차테이블 400: 세대단말기
500: 탑통신기

Claims (1)

  1. 관리사무실에 구비된 관리서버(100), 상기 관리서버(100)와 통신하여 차량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차량만 통과하도록 차량게이트의 개폐를 제어하는 차량제어기(200), 상기 차량제어기(200)가 거부한 차량에 대해 회차할 수 있도록 회전동작되는 회차테이블(300), 차량통행 불허시 긴급 승인을 요청하여 차량제어기(200)를 직접 제어하도록 관리서버(100)에 등록된 세대단말기(400), 상기 관리서버(100)와 무선통신하면서 비상시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도록 엘리베이터의 탑에 설치된 탑통신기(500)를 포함하고;
    상기 회차테이블(300)은 베어링(320)의 개재하에 지지원통(310)의 내경에 형성된 상단턱(330)에 안착된 채 회전되게 조립되고, 상기 지지원통(310)의 하단은 지중에 매립된 상태로 고정판(340) 상에 고정되며, 회차테이블(300)의 하단면 중심에는 종동기어(B2)가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종동기어(B2)의 축은 고정판(340) 상에 회전가능하게 베어링 고정되며, 상기 종동기어(B2)에는 구동기어(B1)가 기어결합되는데 구동기어(B1)는 구동모터(350)의 구동축 상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모터(350)는 상기 지지원통(310)의 내경에 고정된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정보통신설비 통합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탑통신기(500)는 엘리베이터(510)의 출입문 전 바닥면에 설치된 출입가능 또는 출입금지를 표출하는 표시부(520)를 가동시키도록 제어하는 LED표시제어기(530)와, 상기 엘리베이터(510) 내부에 부착되어 전소여부를 검출하는 소실감지기(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소실감지기(10)는 고정유닛(50)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유닛(50)은 엘리베이터의 내부 벽체에 고정되는 부착시트(51)와, 상기 부착시트(51)에 부착되는 커버(52)와, 상기 커버(52)가 덮여 있는 베이스하우징(53)과, 상기 베이스하우징(53)의 커버(52) 반대면에서 사각형상으로 돌출된 돌출부(54)와, 상기 돌출부(54)의 표면에서 서로 간격을 두고 다시 돌출된 핀고정부(55)와, 상기 핀고정부(55)를 가로질러 고정된 고정핀(56)과, 상기 고정핀(56)에 끼워져 결속되는 'ㄷ'형상의 삽입편(57)과, 상기 삽입편(57)이 일체로 형성되고 소실감지기(10)의 저면에 나사 고정되는 편베이스(58)와, 상기 베이스하우징(53)에 내장되고 상기 삽입편(57)이 고정핀(56)에 끼워졌을 때 삽입편(57)의 일측 편면에 끼워져 걸림 고정되는 걸림구(59)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구(59)는 상기 베이스하우징(53) 내부에서 슬라이딩되는 걸림구블럭(59a)과, 상기 걸림구블럭(59a)의 일측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삽입편(57)의 일측 외면에 형성된 걸림홈(57a)에 걸림되는 걸림후크(59b)와, 상기 걸림후크(59b) 대향측에 돌출된 스프링바(59c)와, 상기 스프링바(59c)에 끼워지고 베이스하우징(53) 내벽에 걸림되어 상기 걸림구블럭(59a)을 탄성지지하는 코일스프링(59d)와, 상기 걸림구블럭(59a)의 상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베이스하우징(53) 일측면을 관통하여 노출된 작동바(59e)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정보통신설비 통합관리 시스템.
KR1020220000973A 2022-01-04 2022-01-04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정보통신설비 통합관리 시스템 KR102468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973A KR102468545B1 (ko) 2022-01-04 2022-01-04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정보통신설비 통합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973A KR102468545B1 (ko) 2022-01-04 2022-01-04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정보통신설비 통합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8545B1 true KR102468545B1 (ko) 2022-11-21

Family

ID=84233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0973A KR102468545B1 (ko) 2022-01-04 2022-01-04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정보통신설비 통합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854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7733A (ko) * 2007-08-16 2009-02-19 최옥재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
KR20100000079A (ko) * 2008-06-24 2010-01-06 이금철 주차기의 턴테이블장치
KR101014993B1 (ko) 2009-04-07 2011-02-16 대림산업 주식회사 공동주택 통합제어 시스템
KR20180119117A (ko) * 2017-04-24 2018-11-01 박경호 다층 구조의 스마트 주차 시스템
KR102341545B1 (ko) * 2020-12-23 2021-12-22 (주)한빛기술단 공동주택 건축물의 최첨단 정보통신망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7733A (ko) * 2007-08-16 2009-02-19 최옥재 차량 출입 관리 시스템
KR20100000079A (ko) * 2008-06-24 2010-01-06 이금철 주차기의 턴테이블장치
KR101014993B1 (ko) 2009-04-07 2011-02-16 대림산업 주식회사 공동주택 통합제어 시스템
KR20180119117A (ko) * 2017-04-24 2018-11-01 박경호 다층 구조의 스마트 주차 시스템
KR102341545B1 (ko) * 2020-12-23 2021-12-22 (주)한빛기술단 공동주택 건축물의 최첨단 정보통신망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75635B2 (en) Communication system provided with control apparatus between local network and external network
US8294574B2 (en) Security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interfaces
KR100897339B1 (ko) 공동주택의 통합 보안 시스템 및 그것의 운용방법
CN113053012A (zh) 一种智慧社区访客管理系统
JP5457148B2 (ja) 警備システム
US20040231929A1 (en) Elevator alarm device
KR102342390B1 (ko) 공동주택의 정보통신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335449B1 (ko) 인공지능과 연계한 공동주택 정보통신 감시 시스템
KR100994796B1 (ko) 무선장치를 이용한 공동주택 통합보안시스템 및 서비스방법
CN111402459A (zh) 一种具有社区综合管理功能的智能门禁系统及其方法
KR102468545B1 (ko)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정보통신설비 통합관리 시스템
KR102384013B1 (ko) 인공지능과 연계한 공동주택 정보통신망 오류감지 시스템
JP2002077882A (ja) 監視カメラ制御管理システム
KR100697987B1 (ko)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공동주택 통합보안시스템
KR20220155815A (ko) 주차장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423313B1 (ko) 공동주택 초고속 정보통신 통합 관리시스템
JP4916261B2 (ja) 集合住宅用防犯監視システム
KR101065107B1 (ko) 지역 경비원을 통한 경비지원 시스템
JP2008156027A (ja) エレベータの安全システム
CN208188614U (zh) 一种物联网智能安防系统
KR102392253B1 (ko) 공동주택의 통신 정보 중계 시스템
KR100490229B1 (ko) 방문자 위치감시 및 안전관리 시스템
KR20190133473A (ko) 외측형 로비마스터를 이용한 공동주택 통합보안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102384018B1 (ko) 공동주택의 정보통신을 이용한 운용시스템
JP2006079236A (ja) 集合住宅における通行人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