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7759B1 - 돼지의 코로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돼지의 코로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7759B1
KR102467759B1 KR1020220037185A KR20220037185A KR102467759B1 KR 102467759 B1 KR102467759 B1 KR 102467759B1 KR 1020220037185 A KR1020220037185 A KR 1020220037185A KR 20220037185 A KR20220037185 A KR 20220037185A KR 102467759 B1 KR102467759 B1 KR 102467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pig
feed intake
weight
weight rat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7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규리
백종걸
김소리
인동철
주영백
최도영
김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삼바이오산업
박규리
백종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삼바이오산업, 박규리, 백종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삼바이오산업
Priority to KR1020220037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77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7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7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3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sw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75Automatic devices with mechanisms for delivery of measured doses
    • A01K5/0283Automatic devices with mechanisms for delivery of measured doses by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30/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preservation of materials in order to produce animal feeding-stuffs
    • A23K30/20Dehyd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23K40/1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by agglomeration; by granulation, e.g. making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23K40/2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by moulding, e.g. making cakes or briquet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7Re-use of by-products of food processing for fodder produ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ys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돼지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제수 50 중량부에 염화나트륨과 염화칼슘을 1 대 1 중량비로 하는 혼합물 1-10 중량부, 갈근추출물과 도라지추출물을 1 대 1 중량비로 하는 혼합물 1-2 중량부, 탄산나트륨과 중탄산나트륨을 1 대 1 중량비로 하는 혼합물 5-10 중량부, 젖산염과 초산염을 1 대 1 중량비로 하는 혼합물 10-15 중량부, 및 염소산계 화합물 5-10 중량부가 혼합된 제1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S10); 식물추출물, 산화질소수 및 수소수를 혼합하여 제2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S20); 상기 제1 조성물 및 제2 조성물을 설정된 중량비로 혼합 후 가열 건조시켜 분말화하는 단계(S30); 및 상기 가열 건조된 분말을 성형하여 정제 제품으로 제조하는 단계(S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돼지의 코로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fee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PED corona virus}
본 발명은 돼지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면역개선 효과가 있는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돼지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돼지 유행성 설사 바이러스(porcine epidemic diarrhea, PED)는 돼지에서 급성 설사, 구토 및 탈수를 유발하는 외피성 포지티브-센스 단일 가닥 RNA바이러스이다. 돼지 유행성 설사 바이러스는 알파코로나바이러스 (Alphacoronavirus) 속의 코로나바이러스 아과 (코로나비리내(Coronavirinae))의 구성원이며 (문헌 [Bridgen et al, 1993]), 1971년에 영국에서 최초로 확인되었고, 이후에 벨기에, 중국, 헝가리, 이탈리아, 일본, 한국 및 태국과 같은 기타 국가에서 확인되었다.
돼지 유행성 설사 코로나바이러스(PED) 예방, 개선 또는 치료 관련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13168호에 돼지 유행성 설사증 (PED) 코로나바이러스 및 유해 미생물 억제 활성을 가지는 신규 내산성 엔테로코커스 훼카리스Probio-056 및 이를 함유하는 생균활성제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의 경우 동물의 소화관 내에서 이러한 효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장관 내에 성공적으로 정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지속적인 효과를 위하여 연속적으로 투여하여야 한다는 문제가 있고, 기존의 항생제보다는 그 효능이 떨어지며 즉각적으로 효능을 볼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유기산제, 탄산염 화합물 그리고 염소계 화합물로 조성된 항미생물제 조성물과 제조방법 및 그 제품(등록특허 제10-2283415호)을 기 개발하였고 상기 조성물이 돼지 코로나 바이러스 예방 또는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항미생물제 조성물을 돼지에게 공급하는 경우 코로나 미증상 돼지와 코로나 증상 돼지로 구분하여 코로나 증상 유무에 따라 사료 조성물을 제조할 필요성이 요청되었고, 상기 항미생물제 조성물에 대한 연구를 지속하여 상기 항미생물 조성물에 면역개선 효과가 있는 식물추출물 등을 함유시킨 돼지 코로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개발하게 되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11401호는 가축의 음식 섭취를 기반으로 하는 이상 징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가축별 개체인식정보 DB, 가축별 성장토대 사료량 연산 DB, 가축별 이상징후 내역정보 DB, 안면식별엔진 및 섭취량 연산엔진를 구비하는 가축관리서버를 개시하고 있으나, 코로나 증상 유무 및 돼지 개체별 상태에 적합한 돼지 사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기술에 대하여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 항미생물제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의 섭취량이 줄어드는 경우 돼지 코로나 예방 또는 개선 효과가 저하될 수 있고 돼지 개체 각각의 사료 섭취량이 상이하고 돼지 개체 각각의 건강 상태에 따라 사료 섭취량이 변화하기 때문에 사료 섭취를 기반으로 이상 징후를 모니터링 후 축사 내에 돼지 코로나 예방 및 개선용 사료조성물을 투입하는 것만으로는 효과적인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달성하기 어렵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83415호(공고일자 2021. 07. 29)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11401호(공고일자 2019. 08. 16)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면역개선 효과가 있는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돼지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료섭취량 저하 및 돼지 코로나 증상 유무에 따른 돼지 개체별 돼지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정제수 50 중량부에 염화나트륨과 염화칼슘을 1 대 1 중량비로 하는 혼합물 1-10 중량부, 갈근추출물과 도라지추출물을 1 대 1 중량비로 하는 혼합물 1-2 중량부, 탄산나트륨과 중탄산나트륨을 1 대 1 중량비로 하는 혼합물 5-10 중량부, 젖산염과 초산염을 1 대 1 중량비로 하는 혼합물 10-15 중량부, 및 염소산계 화합물 5-10 중량부가 혼합된 제1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S10); 식물추출물, 산화질소수 및 수소수를 혼합하여 제2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S20); 상기 제1 조성물 및 제2 조성물을 설정된 중량비로 혼합 후 가열 건조시켜 분말화하는 단계(S30); 및 상기 가열 건조된 분말을 성형하여 정제 제품으로 제조하는 단계(S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돼지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작약, 천궁, 숙지황, 황기, 계피, 감초, 대추, 우엉 및 생강으로 이루어진 군 중 1종 이상 선택된 식물의 추출물이고, 상기 제2 조성물은 암염, 구연산나트륨 및 N-아세틸글루코사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돼지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S30단계는, 안면인식 카메라로 촬영한 개별 돼지안면인식 촬영정보에 대응되는 돼지 개체별 식별코드를 추출하는 단계(S32); 상기 돼지 개체별 식별코드를 과거 특정기간 동안 돼지 개체별 상기 제1 조성물을 포함하는 사료섭취량 정보와 매칭하여 과거 특정 기간 동안 돼지 개체별 상기 제1 조성물을 포함하는 사료에 대한 평균 사료섭취량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34); 제1 조성물을 포함하는 사료섭취량이 상기 평균 사료섭취량 미만으로 저하되는 돼지 개체를 선별하고, 상기 평균 사료섭취량 대비 저하된 사료섭취량 비율을 산정하는 단계(S36); 및 상기 제1 조성물 및 제2 조성물을 설정된 중량비로 혼합하되, 상기 사료섭취량이 저하된 돼지 개체를 코로나 증상 발생 유무에 따라 코로나 미증상 돼지 그룹 및 코로나 증상 돼지 그룹으로 구분하고, 상기 코로나 미증상 돼지 그룹의 경우 상기 평균 사료섭취량 대비 저하된 사료섭취량 비율을 상기 제2 조성물의 설정된 중량비에 가산하여 재연산된 중량비로 혼합하고 상기 코로나 증상 돼지 그룹의 경우 상기 평균 사료섭취량 대비 저하된 사료섭취량 비율을 상기 제1 조성물의 설정된 중량비에 가산하여 재연산된 중량비로 혼합 후, 가열 건조시켜 분말화하는 단계(S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돼지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S20단계에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작약, 천궁, 숙지황, 황기, 계피, 감초, 대추, 우엉 및 생강으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의 식물 추출물이고, 상기 S40단계 이후에, 식물추출물 종류별로 제조된 돼지 사료 조성물을 특정 기간 동안 각각 돼지 개체별로 공급하는 단계(S50); 상기 사료 조성물에 대한 돼지 개체별 사료섭취량 정보를 상기 식물추출물 종류별로 수집하는 단계(S60); 상기 식물추출물 종류별 사료섭취량 비율에 따라 식물추출물의 혼합비율을 산정하고, 상기 산정된 혼합비율에 따라 식물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S70); 및 상기 제조된 식물추출물, 산화질소수 및 수소수를 혼합하여 제3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제1 조성물 및 제3 조성물을 설정된 중량비로 혼합 후 가열 건조시켜 분말화하고, 상기 가열 건조된 분말을 성형하여 정제 제품으로 제조하는 단계(S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돼지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식물추출물 종류별 사료섭취량이 평균 사료섭취량 미만인 식물추출물인 경우에 코로나 증상 발생율이 평균 코로나 증상 발생율보다 낮은 경우 상기 혼합비율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식물추출물 종류는 작약, 천궁, 숙지황, 황기, 계피, 감초, 대추, 우엉 및 생강으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을 열수 추출, 에탄올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방식으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돼지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면역개선 효과가 있는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돼지 사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료섭취량이 저하된 돼지 개체를 코로나 증상 발생 유무에 따라 구분하고 평균 사료섭취량 대비 저하된 사료섭취량 비율을 제1 조성물 및 제2 조성물의 혼합 중량비에 가산하여 재연산된 중량비로 제조함으로써 코로나 증상 유무 및 돼지 개체별 상태에 적합한 돼지 사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돼지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화질소수 및 수소수 혼합함유수 제조시스템에 대한 공정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돼지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돼지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제1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S10), 제2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S20), 분말화하는 단계(S30) 및 정제 제품으로 제조하는 단계(S40)를 포함한다.
제1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S10)는 정제수 50 중량부에 염화나트륨과 염화칼슘을 1 대 1 중량비로 하는 혼합물 1-10 중량부, 갈근추출물과 도라지추출물을 1 대 1 중량비로 하는 혼합물 1-2 중량부, 탄산나트륨과 중탄산나트륨을 1 대 1 중량비로 하는 혼합물 5-10 중량부, 젖산염과 초산염을 1 대 1 중량비로 하는 혼합물 10-15 중량부, 및 염소산계 화합물 5-10 중량부가 혼합된 제1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1 조성물은 본 발명의 발명자가 기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특허 제2283415호의 항미생물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돼지 유행성 설사 바이러스(porcine epidemic diarrhea, PED)에 항바이러스 효과가 있는 조성물이다.
제2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S20)는 식물추출물, 산화질소수 및 수소수를 혼합하여 제2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식물 추출물은 작약, 천궁, 숙지황, 황기, 계피, 감초, 대추, 우엉 및 생강으로 이루어진 군 중 1종 이상 선택된 식물의 추출물일 수 있다.
작약은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인 함박꽃의 뿌리로 주로 약재로 사용되며 향기가 강하고 꽃이 아름다워 관상용으로도 재배된다. 작약에는 Paeoniflorin, Paeonel, Paeonin, Tannin, β-sitosterol, triterpenoid, 정유, 지방유, 수지 등의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항산화, 항염증, 진통효과, 혈액보강, 면역 강화 등의 작용을 함에 따라 각종 질병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된다.
천궁은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산형화목 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풀로 Tetramethylpyrazine, Perolyrine 등을 포함하는 알킬로이드, Chrysophanoll, Sedanonic acid 등을 포함하는 페놀성 성분, 락톤류, 비타민E 등의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우수한 항산화 작용을 하며 진통효과, 강장효과, 항균작용, 항염증, 면역 강화 등의 작용을 함에 따라 각종 질병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된다.
숙지황은 현삼과 식물인 지황(地黃, Rehmanneh glutinosa Libosch var purpurea Mak)의 뿌리를 쪄서 말린 것이다. 지황은 다년생 초본으로 지황의 근엽과 잔뿌리를 제거하고 흙을 깨끗이 씻은 것을 생지황 또는 선지황이라 한다. 생지황은 보혈, 강장, 진정, 빈혈, 토혈, 하혈, 자궁출혈, 결핵성 쇠약 등에 그 효능이 널리 인정되고 있다. 생지황을 말린 건지황을 황주 또는 백주에 넣고 주침(酒侵)하여 증숙(蒸熟)한 후 건조하는 것을 반복한 것을 숙지황(Rehmanniae Radix Preparata)이라고 분류하고 각각 약리를 달리하여 사용하고 있다. 숙지황은 보혈, 자음의 효능이 있으며, 생리불순, 허약체질, 어린이의 발육 부진, 치매, 조루증, 발기부전 등에 사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 혈액 순환을 개선시켜 여러 만성 질환의 말초미세 순환을 개선시키는 효과, 혈중 과산화물 제거효소(superoxide dismutase), 글루타티온 산화효소(glutathione peroxidase)의 증가와 지질과산화의 억제, 면역증가 효과, 항암작용, 섬유소용해계(fibrinolytic system)의 활성증가, 폴리브렌에 의해 유도되는 적혈구 집괴(polybrene-induced erythrocyte aggregation)의 감소, 적혈구 변형능(erythrocyte deformability)과 ATP 함량(content)의 증가 등이 보고되고 있다.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는 전통적으로 다양한 질병에 대한 개선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건강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보고되고 있어 대체의학으로서의 활용도가 매우 높다. 황기는 일반적인 건강증진을 위한 약재로서 추천되고 있고, 주요 이용부위인 뿌리에는 플라보노이드(flavonoid), 사포닌(saponin), 다당체(polysaccharide)로 분류되는 다양한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 중에서도 아스트라갈로시드(astragaloside), 폴모노네틴(formononetin), 칼리코신(calycosin) 등이 대표적인 활성물질로서 보고되고 있다. 황기의 지하부의 다당체는 대식세포의 활동성, T세포 형질전환, NK 세포를 활성화시키며 인터페론의 생산량을 늘리고 식세포작용 활성도 증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계피(Cinnamomum cassia bark)는 녹나무과의 사철푸른 교목의 껍질로 중국의 남부나 월남등지에 자생한다. 계피는 교목의 껍질, 계지는 그 가지, 육계는 두터운 껍질을 말하며, 계심은 오래된 나무의 두터운 껍질을 펴서 말린 것을 의미한다. 계피에는 정유(계피 알데히드75~90%, 신나밀 알데히드 등) 1~3.4%, 탄닌질 2~3%, 점액, 탄수화물 등이 포함되어 있는데 5~6년 자란 나무에서 정유함량이 높다고 한다. 계피는 예로부터 발한제, 해열제, 진통제 뿐 아니라 식료품의 향료 등 다양하게 사용되어 왔다. 또한, 계피는 예로부터 체질이 허약하고 기혈이 허한 사람을 위한 한방약재로 사용되고 있다.
감초(licorice, Glycyrrhiza uralensis Fischer)는 특이한 냄새가 나며 맛은 달다. 예로부터 감초는 모든 약의 독성을 조화시켜서 약효가 잘 나타나게 하고, 장부의 한열과 사기를 다스리고 모든 혈맥의 소통을 잘 시키며 근육과 뼈를 튼튼히 하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어 약방의 감초라고도 표현한다. 약리작용은 해독작용, 간염, 두드러기, 피부염, 습진 등에 효과가 있다. 진해/거담, 근육이완, 이뇨작용, 항염작용이 있으며 소화성궤양을 억제한다.
대추(Zizyphus jujuba)는 갈매목과에 속하는 교목성 낙엽 과수로서 중국계 대추와 인도계 대추 등의 생태형이 전혀 다른 2종이 있으며, 가장 오래된 과수 중의 하나로 재배가 용이하고 저장이 간편하여 산간 벽지나 유휴지 및 정원수 등으로 널리 재배되고 있다. 대추는 비타민 C가 풍부하고, 칼슘, 인, 철분 등 각종 무기질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는 알칼리성 식품으로 열을 내리게 하고, 변비를 완화해 주며, 기침을 멎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외에도 강장, 강정, 노화방지, 신경 완화 효과도 뛰어나며, 최근에는 장내 유해효소 억제효과, 항산화 효과 등도 밝혀져 있다.
우엉(Arctium lappa L.)은 국화과에 속하는 2년초 식물로 특유의 향을 가진 알칼리성 채소이다. 우엉은 다량의 식이섬유소, 당뇨에 좋은 이눌린, 항산화 성분 및 생리활성물질{악틴(arctiin), 악티제닌(arctigenin), 시나린(cynarin) 등의 폴리페놀화합물}이 풍부하여 이미 오래 전부터 식재료 또는 약재로 활용되어 오고 있다. 우엉은 맛이 쓰고 성질은 차며, 폐와 위를 이롭게 하는 한약재로 사용하고 있고(중약대사전), 우엉의 뿌리는 중풍과 종기에 효과가 있고 씨앗은 우방자 또는 악실이라고 하여 해독, 이뇨제로 사용되고 있으며(동의보감), 우엉을 술에 담가 복용하면 풍을 제거하고 악성 종기를 치료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본초급유). 또한 우엉은 여성호르몬 분비를 조절해 노화방지, 변비해소, 근력향상, 콜레스테롤 분해, 혈액순환, 생리통 등에 효과가 있고, 각종 피부병, 치매, 암, 뇌졸중, 동맥경화 예방 등에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생강(Zingiber officinale Roscoe)은 생강과(Zingiberaceae) 식물에 속하는 진지버(Zingiber)속 식물로서, 동남아시아 등지에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으며 민간요법에 따른 약재로 이용되어 왔다. 생강의 성분으로는 전분이 전체의 40~60%를 차지하고, 방향 신미 성분, 수지 단백질, 섬유소, 펜토산, 무기질 등이 있으며, 생강의 활성에 관한 연구로서는 항산화 작용, 항염증 작용, 살충 작용 및 자궁 이완 작용 등이 보고된 바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추출물(extract)"은, 목적하는 물질을 다양한 용매에 침지한 다음, 상온, 저온 또는 가온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추출하여 수득한 액상성분, 상기 액상성분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한 고형분 등의 결과물을 의미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결과물에 더하여, 상기 결과물의 희석액, 이들의 농축액, 이들의 조정제물, 정제물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포괄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
작약, 천궁, 숙지황, 황기, 계피, 감초, 대추, 우엉 및 생강으로 이루어진 군 중 1종 이상 선택된 본 발명의 식물의 추출물은 돼지개체의 면역 기능 및 건강상태를 개선하여 사료섭취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산화질소는 활성산소 수치를 감소시키는 항산화(SOD) 작용과 혈관을 확장하여 심혈관 계통의 건강을 증진시키는데 산화질소(NO)가 기여한다는 연구결과에 따라 산화질소수 제조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일예로, 상기 산화질소수는 썬더볼트방전과 나노버블의 융합기술을 이용한 산화질소함유수 제조시스템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공개특허 제2020-0111573호 참조). 수소수는 물에 수소가스가 1ppm 가량 용해된 물로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산화질소수 및 수소수는 산화질소수 및 수소수를 혼합한 혼합함유수일 수 있으며, 산화질소수 및 수소수를 혼합한 혼합함유수는 공지된 기술인 산화질소수 및 수소수 혼합함유수 제조시스템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등록특허 제2351391호 참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산화질소수 및 수소수 혼합함유수 제조시스템은 외부공기를 통기관(11) 내에서 회오리되게 송풍되도록 하는 회오리변환수단(12)을 갖는 기압상승수단(10) 및 상기 통기관(11)내에 한쌍의 방전극(21)에 고압전원을 공급하여 산화질소를 갖는 플라즈마가 생성되게 하는 방전불꽃이 발생되게 하는 방전수단(20)이 있는 썬더볼트방전장치(100)와, 상기 통기관(11)에서 토출되는 플라즈마기체를 고압으로 송풍되게 하는 링브러워팬(7)을 갖는 산화질소생성공급장치(1); 양극 및 음극으로 이루어진 전극 쌍을 구비하는 전기분해셀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분해셀로 음용수를 전기분해하여 제조한 수소수를 공급하는 제1 수소수 공급장치(80); 상기 산화질소생성공급장치(1)에서 압송되는 플라즈마기체가 공급되고, 상기 수소수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수소수를 수용하는 수소수 수용실(40a) 및 상기 수소수 수용실(40a)내에서 상기 플라즈마기체가 플라즈마버블이 되게 하는 플라즈마버블발생수단(50)을 구비하는 산화질소수 및 수소수 혼합함유수 제조부(40); 음용수의 물을 공급받아 전기 분해하고, 음극판이 배치되는 음극실, 양극판이 배치되는 양극실 및 양극실과 음극실을 구획하는 전해질막으로 구성되는 전해조를 포함하여, 상기 음극실에서 제조되는 수소수를 상기 수소수 수용실(40a)에 공급하는 제2 수소수 공급장치(90); 상기 수소수 수용실(40a)의 비저항을 측정하여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제2 수소수 공급장치(90)를 통해 수소수를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부(100); 상기 산화질소수 및 수소수 혼합함유수 제조부(40)에서 제조된 상기 혼합함유수를 펌프(45)에 의해 압송시켜 나노버블처리실(63)을 통과하면서 나노버블이 되게 하여 나노버블수를 얻도록 하는 콜로이드발생부(60); 및 상기 나노버블수를 저장하는 나노버블수 저장숙성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 조성물은 식물추출물, 산화질소수 및 수소수에 암염, 구연산나트륨 및 N-아세틸글루코사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2 조성물은 작약 0.5 중량부, 천궁 1.0 중량부, 숙지황 2.0 중량부, 황기 0.5 중량부, 계피 0.5 중량부, 감초 1.0 중량부, 대추 1.0 중량부, 우엉 1.0 중량부, 생강 0.2 중량부, 암염 0.5 중량부, 구연산나트륨 0.5 중량부, N-아세틸글루코사민 0.8 중량부, 및 산화질소수 및 수소수 혼합함유수 94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암염은 바다 또는 염호 등에서 염수의 증발의 결과로 자연적으로 산출되는 소금으로서 괴상, 입자상, 입방체 결정모양 등을 이루며 짠 맛을 갖고 있으며 식염으로 사용되고 있다.
구연산나트륨은 산미를 내고 산도조절 기능을 한다.
N-아세틸글루코사민은 새우나 게 등 갑각류의 껍질을 구성하는 성분인 키틴을 가수분해하여 얻어지는 것으로, 염증성 장질환, 관절 및 연골 기능 개선 효과가 있다.
분말화하는 단계(S30)는 상기 제1 조성물 및 제2 조성물을 설정된 중량비로 혼합 후 가열 건조시켜 분말화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1 조성물 및 제2 조성물은 설정된 중량비로 혼합하되,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조성물 및 제2 조성물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할 수 있다.
가열 건조시켜 분말화하는 공정은 60℃로 가열 건조시켜 분말화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정제 제품으로 제조하는 단계(S40)는 상기 가열 건조된 분말을 성형하여 정제 제품으로 제조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돼지 사료 조성물을 돼지에 대하여 시험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다음과 같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1 조성물은 정제수 50 중량부에 염화나트륨과 염화칼슘을 1 대 1 중량비로 하는 혼합물 1-10 중량부, 갈근추출물과 도라지추출물을 1 대 1 중량비로 하는 혼합물 1-2 중량부, 탄산나트륨과 중탄산나트륨을 1 대 1 중량비로 하는 혼합물 5-10 중량부, 젖산염과 초산염을 1 대 1 중량비로 하는 혼합물 10-15 중량부, 및 염소산계 화합물 5-10 중량부가 혼합된 제1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2 조성물은 작약 0.5 중량부, 천궁 1.0 중량부, 숙지황 2.0 중량부, 황기 0.5 중량부, 계피 0.5 중량부, 감초 1.0 중량부, 대추 1.0 중량부, 우엉 1.0 중량부, 생강 0.2 중량부, 암염 0.5 중량부, 구연산나트륨 0.5 중량부, N-아세틸글루코사민 0.8 중량부, 및 산화질소수 및 수소수 혼합함유수 94 중량부가 혼합된 제2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1 조성물 및 제2 조성물을 1:1의 중량비로 혼합 후 60℃로 가열 건조시켜 분말화하고, 가열 건조된 분말을 성형하여 정제 제품으로 제조하였다.
첫번째 시험으로 돼지 시험(1)을 하였는데, 충남 논산시 소재 비육돈 농장에서 품종인 LDY 교잡종(사육수수:1,000두)에서 이유자돈(체중 10-20Kg)에 대장균성 설사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정제 제품 1kg를 정제수 100kg에 희석하여 급여(1일 용량)하였고, 동일한 방법으로 5일간 급여하였다. 투여 3일후부터 설사가 멈추고 증상은 서서히 호전되었다.
두번째 시험으로 돼지 시험(2)을 하였는데, 경기도 화성시 소재 일괄사육농장에서 품종인 LDY교잡종(모돈두수: 200두)에서 이유자돈이 백리(대장균과 로타바이러스)가 발생하였다. 자돈 1두당 본 발명의 정제 제품 2g을 정제수 100ml에 희석하여 경구로 직접투여하였고, 3일간 급여하였다. 투여 2일후 부터 설사가 멈추었다.
세번째 시험으로 돼지 시험(3)을 하였는데, 경남 함안군 소재 일괄사육농장에서 품종인 LDY교잡종(모돈두수: 200두)에서 모돈과 포유자돈 전체에 돼지유행성 설사병 PED(corona virus)가 발생하였다. 자돈 1두당 본 발명의 정제 제품 2g을 정제수 100ml에 희석하여 경구로 직접 투여하였고, 모돈 및 육성돈은 적정투여량으로 5일간 급여하였다. 시험 결과 투여개시후 3일째부터 설사가 멈추기 시작하여 5일 후부터 회복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사료섭취량 저하 및 돼지 코로나 증상 유무에 따라 돼지 개체별 돼지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S30단계는 돼지 개체별 식별코드를 추출하는 단계(S32), 평균 사료섭취량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34), 평균 사료섭취량 대비 저하된 사료섭취량 비율을 산정하는 단계(S36) 및 재연산된 중량비로 혼합 후 가열 건조시켜 분말화하는 단계(S38)를 포함한다.
돼지 개체별 식별코드를 추출하는 단계(S32)는 안면인식 카메라로 촬영한 개별 돼지안면인식 촬영정보에 대응되는 돼지 개체별 식별코드를 추출하는 단계이다.
돼지 개체별 식별코드 추출은 개별 돼지안면인식 촬영정보 DB, 돼지 개체별 개체인식정보 DB 및 안면식별엔진을 구비하는 가축관리서버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가축관리서버는 돼지 개체별 귀크기, 눈위치, 코위치, 털 무늬, 입크기와 같은 안면 특성 정보가 안면인식 카메라로 촬영된 촬영정보로 누적저장되는 개별 돼지안면인식 촬영정보 DB 및 해당 돼지를 식별하는 식별자인 돼지 개체별 식별코드가 축사에서 사육되는 돼지들마다 개별적으로 구분저장되는 돼지 개체별 개체인식정보 DB를 구비하고, 안면식별엔진에 의하여 개별 돼지안면인식 촬영정보를 상기 돼지 개체별 개체인식정보와 매칭하여 해당 개별 돼지안면인식 촬영정보를 검색하고, 그 검색된 해당 개별 돼지안면인식 촬영정보에 대응되는 돼지 개체별 식별코드를 추출한다.
평균 사료섭취량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34)는 상기 돼지 개체별 식별코드를 과거 특정기간 동안 돼지 개체별 상기 제1 조성물을 포함하는 사료섭취량 정보와 매칭하여 과거 특정 기간 동안 돼지 개체별 상기 제1 조성물을 포함하는 사료에 대한 평균 사료섭취량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이다.
평균 사료섭취량 대비 저하된 사료섭취량 비율을 산정하는 단계(S36)는 제1 조성물을 포함하는 사료섭취량이 상기 평균 사료섭취량 미만으로 저하되는 돼지 개체를 선별하고, 상기 평균 사료섭취량 대비 저하된 사료섭취량 비율을 산정하는 단계이다.
재연산된 중량비로 혼합 후 가열 건조시켜 분말화하는 단계(S38)는 상기 제1 조성물 및 제2 조성물을 설정된 중량비로 혼합하되, 상기 사료섭취량이 저하된 돼지 개체를 코로나 증상 발생 유무에 따라 코로나 미증상 돼지 그룹 및 코로나 증상 돼지 그룹으로 구분하고, 상기 코로나 미증상 돼지 그룹의 경우 상기 평균 사료섭취량 대비 저하된 사료섭취량 비율을 상기 제2 조성물의 설정된 중량비에 가산하여 재연산된 중량비로 혼합하고 상기 코로나 증상 돼지 그룹의 경우 상기 평균 사료섭취량 대비 저하된 사료섭취량 비율을 상기 제1 조성물의 설정된 중량비에 가산하여 재연산된 중량비로 혼합 후, 가열 건조시켜 분말화하는 단계(S38)이다.
사료섭취량이 저하된 돼지 개체 중 코로나 미증상 돼지 그룹의 경우 면역 개선 효과가 있는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제2 조성물의 함량을 높임으로써 돼지 개체의 면역 개선 및 건강상태를 호전시켜 사료섭취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평균 사료섭취량 대비 저하된 사료섭취량 비율을 상기 제2 조성물의 설정된 중량비에 가산하여 재연산된 중량비로 혼합한다. 예컨대, 제1 조성물 및 제2 조성물의 설정된 중량비가 1:1이고, 상기 상기 평균 사료섭취량 대비 저하된 사료섭취량 비율이 -20%이면, 재연산된 중량비는 1:1.2가 된다.
사료섭취량이 저하된 돼지 개체 중 상기 코로나 증상 돼지 그룹의 경우 코로나 예방 또는 개선 효과가 있는 제1 조성물의 함량을 높임으로써 돼지 개체의 코로나 증상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평균 사료섭취량 대비 저하된 사료섭취량 비율을 상기 제1 조성물의 설정된 중량비에 가산하여 재연산된 중량비로 혼합한다. 예컨대, 제1 조성물 및 제2 조성물의 설정된 중량비가 1:1이고, 상기 상기 평균 사료섭취량 대비 저하된 사료섭취량 비율이 -20%이면, 재연산된 중량비는 1.2:1 이 된다.
이와 같이, 사료섭취량이 저하된 돼지 개체를 코로나 증상 발생 유무에 따라 구분하고 평균 사료섭취량 대비 저하된 사료섭취량 비율을 혼합 중량비에 가산하여 재연산된 중량비로 제조함으로써 코로나 증상 유무 및 돼지 개체별 상태에 따라 적합한 사료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상기 S20단계에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작약, 천궁, 숙지황, 황기, 계피, 감초, 대추, 우엉 및 생강으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의 식물 추출물이고, 상기 S40단계 이후에, 식물추출물 종류별로 제조된 돼지 사료 조성물을 특정 기간 동안 각각 돼지 개체별로 공급하는 단계(S50); 상기 사료 조성물에 대한 돼지 개체별 사료섭취량 정보를 상기 식물추출물 종류별로 수집하는 단계(S60); 상기 식물추출물 종류별 사료섭취량 비율에 따라 식물추출물의 혼합비율을 산정하고, 상기 산정된 혼합비율에 따라 식물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S70); 및 상기 제조된 식물추출물, 산화질소수 및 수소수를 혼합하여 제3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제1 조성물 및 제3 조성물을 설정된 중량비로 혼합 후 가열 건조시켜 분말화하고, 상기 가열 건조된 분말을 성형하여 정제 제품으로 제조하는 단계(S8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식물추출물 종류는 작약, 천궁, 숙지황, 황기, 계피, 감초, 대추, 우엉 및 생강으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을 열수 추출, 에탄올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방식으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식물 종류 및 추출방식에 따른 식물추출물의 특성으로 인하여 돼지 개체별 사료조성물의 섭취량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이로 인해 사료섭취량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식물추출물 종류별로 제조된 돼지 사료 조성물을 특정 기간 동안 각각 돼지 개체별로 공급하고, 돼지 개체별 사료섭취량 정보를 상기 식물추출물 종류별로 수집하여 상기 식물추출물 종류별 사료섭취량 비율에 따라 식물추출물의 혼합비율을 산정한다. 상기 산정된 혼합비율에 따라 식물추출물을 제조하고, 상기 제조된 식물추출물, 산화질소수 및 수소수를 혼합하여 제3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제1 조성물 및 제3 조성물을 설정된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료조성물을 제조한다. 이를 통해 식물추출물 종류별로 사료섭취량 비율이 높은 식물추출물이 제조됨에 따라 사료섭취량 저하를 개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식물추출물 종류별 사료섭취량이 평균 사료섭취량 미만인 식물추출물인 경우라 하더라도 상기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사료조성물 급여 후 코로나 증상 발생율이 평균 코로나 증상 발생율보다 낮은 경우 상기 혼합비율에 가중치를 부여한다. 이를 통해 돼지 개체별 코로나 증상을 반영하면서 사료섭취량이 개선될 수 있는 최적의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돼지 코로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돼지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면역개선 효과가 있는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돼지 사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료섭취량이 저하된 돼지 개체를 코로나 증상 발생 유무에 따라 구분하고 평균 사료섭취량 대비 저하된 사료섭취량 비율을 제1 조성물 및 제2 조성물의 혼합 중량비에 가산하여 재연산된 중량비로 제조함으로써 코로나 증상 유무 및 돼지 개체별 상태에 적합한 돼지 사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5)

  1. 정제수 50 중량부에 염화나트륨과 염화칼슘을 1 대 1 중량비로 하는 혼합물 1-10 중량부, 갈근추출물과 도라지추출물을 1 대 1 중량비로 하는 혼합물 1-2 중량부, 탄산나트륨과 중탄산나트륨을 1 대 1 중량비로 하는 혼합물 5-10 중량부, 젖산염과 초산염을 1 대 1 중량비로 하는 혼합물 10-15 중량부, 및 염소산계 화합물 5-10 중량부가 혼합된 제1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S10);
    식물추출물, 산화질소수 및 수소수를 혼합하여 제2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S20);
    상기 제1 조성물 및 제2 조성물을 설정된 중량비로 혼합 후 가열 건조시켜 분말화하는 단계(S30); 및
    상기 가열 건조된 분말을 성형하여 정제 제품으로 제조하는 단계(S40);를 포함하고,
    상기 S30단계는,
    안면인식 카메라로 촬영한 개별 돼지안면인식 촬영정보에 대응되는 돼지 개체별 식별코드를 추출하는 단계(S32);
    상기 돼지 개체별 식별코드를 과거 특정기간 동안 돼지 개체별 상기 제1 조성물을 포함하는 사료섭취량 정보와 매칭하여 과거 특정 기간 동안 돼지 개체별 상기 제1 조성물을 포함하는 사료에 대한 평균 사료섭취량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34);
    제1 조성물을 포함하는 사료섭취량이 상기 평균 사료섭취량 미만으로 저하되는 돼지 개체를 선별하고, 상기 평균 사료섭취량 대비 저하된 사료섭취량 비율을 산정하는 단계(S36); 및
    상기 제1 조성물 및 제2 조성물을 설정된 중량비로 혼합하되, 상기 사료섭취량이 저하된 돼지 개체를 코로나 증상 발생 유무에 따라 코로나 미증상 돼지 그룹 및 코로나 증상 돼지 그룹으로 구분하고, 상기 코로나 미증상 돼지 그룹의 경우 상기 평균 사료섭취량 대비 저하된 사료섭취량 비율을 상기 제2 조성물의 설정된 중량비에 가산하여 재연산된 중량비로 혼합하고 상기 코로나 증상 돼지 그룹의 경우 상기 평균 사료섭취량 대비 저하된 사료섭취량 비율을 상기 제1 조성물의 설정된 중량비에 가산하여 재연산된 중량비로 혼합 후, 가열 건조시켜 분말화하는 단계(S38);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작약, 천궁, 숙지황, 황기, 계피, 감초, 대추, 우엉 및 생강으로 이루어진 군 중 1종 이상 선택된 식물의 추출물이고,
    상기 제2 조성물은 암염, 구연산나트륨 및 N-아세틸글루코사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S40단계 이후에,
    식물추출물 종류별로 제조된 돼지의 사료 조성물을 특정 기간 동안 각각 돼지 개체별로 공급하는 단계(S50);
    상기 사료 조성물에 대한 돼지 개체별 사료섭취량 정보를 상기 식물추출물 종류별로 수집하는 단계(S60);
    상기 식물추출물 종류별 사료섭취량 비율에 따라 식물추출물의 혼합비율을 산정하고, 상기 산정된 혼합비율에 따라 식물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S70); 및
    상기 S70단계에서 제조된 식물추출물과, 산화질소수 및 수소수를 혼합하여 제3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제1 조성물 및 제3 조성물을 설정된 중량비로 혼합 후 가열 건조시켜 분말화하고, 상기 가열 건조된 분말을 성형하여 정제 제품으로 제조하는 단계(S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70)에서 사료섭취량이 평균 사료섭취량 미만이고, 코로나 증상 발생율이 평균 코로나 증상 발생율보다 낮은 식물추출물의 경우 상기 혼합비율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220037185A 2022-03-25 2022-03-25 돼지의 코로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467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7185A KR102467759B1 (ko) 2022-03-25 2022-03-25 돼지의 코로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7185A KR102467759B1 (ko) 2022-03-25 2022-03-25 돼지의 코로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7759B1 true KR102467759B1 (ko) 2022-11-21

Family

ID=84233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7185A KR102467759B1 (ko) 2022-03-25 2022-03-25 돼지의 코로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7759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46643A1 (en) * 2005-10-19 2007-04-26 Chang Seon Song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pine needle for preventing and treating animal disease caused by viruses and the use thereof
WO2008019018A2 (en) * 2006-08-03 2008-02-14 William Soo Hoo Bioactive molecular matrix and methods of use in the treatment of disease
KR20080084476A (ko) * 2007-03-16 2008-09-19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항균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오배자 및 목단피추출물을 함유하는 수의학적 조성물
JP2014201587A (ja) * 2013-04-10 2014-10-27 株式会社Avss レクチンを含むインフルエンザの治療剤
JP2015110680A (ja) * 2015-03-24 2015-06-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抗ウイルス剤
KR101957369B1 (ko) * 2017-11-14 2019-03-12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개머루덩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돼지생식기호흡기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11401B1 (ko) 2017-10-25 2019-08-16 주식회사 다운 가축의 음식 섭취를 기반으로 하는 이상 징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197664B1 (ko) * 2020-04-09 2021-01-04 김우준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제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제품
KR102283415B1 (ko) 2020-12-24 2021-07-29 김우준 항미생물제 조성물과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102308922B1 (ko) * 2021-07-08 2021-10-07 주식회사 보삼바이오산업 산화질소수 및 수소수 혼합함유수를 이용한 육계의 면역 및 장기능 개선용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US20220040227A1 (en) * 2020-08-10 2022-02-10 Reverspah Llc Method and composition for treating corona virus, influenza, and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46643A1 (en) * 2005-10-19 2007-04-26 Chang Seon Song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pine needle for preventing and treating animal disease caused by viruses and the use thereof
WO2008019018A2 (en) * 2006-08-03 2008-02-14 William Soo Hoo Bioactive molecular matrix and methods of use in the treatment of disease
KR20080084476A (ko) * 2007-03-16 2008-09-19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항균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오배자 및 목단피추출물을 함유하는 수의학적 조성물
JP2014201587A (ja) * 2013-04-10 2014-10-27 株式会社Avss レクチンを含むインフルエンザの治療剤
JP2015110680A (ja) * 2015-03-24 2015-06-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抗ウイルス剤
KR102011401B1 (ko) 2017-10-25 2019-08-16 주식회사 다운 가축의 음식 섭취를 기반으로 하는 이상 징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957369B1 (ko) * 2017-11-14 2019-03-12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개머루덩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돼지생식기호흡기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97664B1 (ko) * 2020-04-09 2021-01-04 김우준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제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제품
US20220040227A1 (en) * 2020-08-10 2022-02-10 Reverspah Llc Method and composition for treating corona virus, influenza, and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KR102283415B1 (ko) 2020-12-24 2021-07-29 김우준 항미생물제 조성물과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102308922B1 (ko) * 2021-07-08 2021-10-07 주식회사 보삼바이오산업 산화질소수 및 수소수 혼합함유수를 이용한 육계의 면역 및 장기능 개선용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61640B (zh) 防治猪口蹄疫的药物及其制备方法
KR101787432B1 (ko) 녹용 발효물과 효모 가수분해물을 함유한 생리불순 및 생리통 개선 한약 조성물 제조 방법
CN104351587A (zh) 一种牛饲料及其制备方法
CN102078419B (zh) 防治猪蓝耳病的药物及其制备方法
KR102467759B1 (ko) 돼지의 코로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3284162A (zh) 一种库拉索芦荟凝胶功能性食品
WO2021151366A1 (zh) 改善男性性功能的保健食品或中药复方及超声波制备方法
CN108497169A (zh) 一种畜禽用中草药添加剂及其制备方法
CN104383232B (zh) 清热解毒苦丁茶含片及其生产方法
CN106729283A (zh) 一种用于家畜催情促孕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6333211A (zh) 一种葛根固体饮品及其制备方法
CN105797112A (zh) 一种具有缓释效果的治疗母猪子宫炎的饲料添加剂
CN110437008A (zh) 一种纯中药生物水溶肥及其制备方法
CN111920898B (zh) 一种抗病毒处方及其制备方法
CN104258165A (zh) 一种预防泥鳅出血病的药物制剂
CN109646665A (zh) 杜仲清肺抗癌固体茶及其制备方法
KR102485556B1 (ko) 녹용의 유효성분 추출 효율을 높이기 위한 단백질 가수분해 녹용 추출공법인 프로텐션홀딩공법
CN108339006A (zh) 一种中兽药复方制剂及其制备方法与新用途
CN108432968A (zh) 一种用于改善獭兔毛皮品质的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CN108552432A (zh) 一种提高蛋鸡产蛋率的蛋鸡饲料及其制备方法
CN108524797A (zh) 一种治疗猪瘟菌液的制备方法及其应用
CN108310133A (zh) 一种防治兔大肠杆菌病的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CN108714167B (zh) 一种治疗白癜风的中药外用制剂及其制备方法
CN108159389A (zh) 一种用于治疗前列腺炎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6361902A (zh) 一种防治家畜腹泻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