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3415B1 - 항미생물제 조성물과 제조방법 및 그 제품 - Google Patents

항미생물제 조성물과 제조방법 및 그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3415B1
KR102283415B1 KR1020200183573A KR20200183573A KR102283415B1 KR 102283415 B1 KR102283415 B1 KR 102283415B1 KR 1020200183573 A KR1020200183573 A KR 1020200183573A KR 20200183573 A KR20200183573 A KR 20200183573A KR 102283415 B1 KR102283415 B1 KR 102283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acid
composition
ratio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3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인동철
Original Assignee
김우준
인동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우준, 인동철 filed Critical 김우준
Priority to KR1020200183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34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3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3415B1/ko
Priority to CN202180085980.8A priority patent/CN116635049A/zh
Priority to PCT/KR2021/013739 priority patent/WO2022139132A1/ko
Priority to US18/258,456 priority patent/US20240016834A1/en
Priority to JP2023563789A priority patent/JP2024501786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14Alkali metal chlorides; Alkaline earth metal chlorid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02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thio analogue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06Aluminium; Calcium; Magnes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08Alkali metal chlorides; Alkaline earth metal chlorid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0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e.g. pea, lentil, soybean, clover, acacia, honey locust, derris or millet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1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two or more hydroxy groups, e.g. gluco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06Aluminium, calcium or magnesium; Compounds thereof, e.g. cl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06Aluminium, calcium or magnesium; Compounds thereof, e.g. clay
    • A61K33/10Carbonates; Bicarbon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0Elemental chlorine; Inorganic compounds releasing chlor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4Campanulaceae (Bellflow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4Campanulaceae (Bellflower family)
    • A61K36/346Platycod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8Pueraria (kudzu)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n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미생물제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제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항미생물제 조성물 구성에서 정제수 50-60 %중량에 염화물 중에서 염화나트륨과 염화칼슘을 1 대 1 비율(50%중량:50%중량)로 하는 혼합물 1-10 %중량, 천연추출물중에서 선택된 갈근추출물과 도라지추출물을 1 대 1 비율(50%중량:50%중량)로 하는 혼합물 1-2 %중량, 탄산염계에서 탄산나트륨과 중탄산나트륨을 1 대 1 비율(50%중량:50%중량)로 하는 혼합물 5-10 %중량, 유기산제중에서 젖산과 초산 및 이의 관련염을 1 대 1 비율(50%중량:50%중량)로 하는 혼합물 10-15 %중량, 그리고 무기산제인 염소산계 화합물을 5-10 %중량이 혼합된 혼합물(원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미생물제 조성물에 의해 발효기술 안전성을 확보함은 물론 체내 흡수율 및 효능을 높혀 생리 작용의 상승 효과를 통해 우수한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의 면역 증강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항미생물제 조성물과 제조방법 및 그 제품{Product, making method and composites for Antimicrobial}
본 발명은 항미생물제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연추출물과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활성을 보이는 유기산제, 탄산염 화합물 그리고 염소계 화합물로 적절하게 조성해 사용하는 항미생물제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대장균, 살모넬라균 등 일반적으로 식중독을 일으키는 주요 세균과 피부 화농을 일으키는 황색포도상구균에 항균활성을 보이는 것이 특징으로 하며, 바이러스 중에서는 피막 바이러스인 인플루엔자, 허피스바이러스, 코로나바이러스에 항바이러스 효과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의약 및 축산업 분야에서 항생제 오남용으로 인한 항생제 내성균의 급격한 증가는 사람이나 가축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는 2011년 7월 1일부터 배합 사료 내 항생제 첨가가 전면적으로 금지되는 등 강력한 규제가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질병에 그대로 노출되게 되어 폐사율 급증이나 성적 부진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항생제 대체 물질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에서 배경이 되는 ‘항균ㆍ항바러스제’의 성분인 유기산과 무기산 등이 혼합된 조성물의 항미생물(바이러스, 세균 등)의 작용기전은 아래와 같다.
「유기산과 무기산이 혼합된 조성물 성분 투입 → 미생물의 세포막 투과하여 세포 구성성분 배출시킴 →미생물 세포 파괴 → 살균(항바이러스)작용」
특히 ‘항균ㆍ항바러스제에 대응하는 항생제 대체 물질의 하나로 장내 미생물의 균총을 개선하여 숙주 동물에게 유익한 작용을 하는 미생물제인 생균제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생균제는 각종 질병에 대한 면역력을 증가시키고, 설사 발생을 감소시키며, 혈청 내 콜레스테롤 함량 감소 및 백혈구에 의한 식균 작용을 증강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장내에서 다른 유해성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고, 섭취한 사료의 소화 흡수를 도와주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동물의 소화관 내에서 이러한 효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장관 내에 성공적으로 정착해야 하는데 이에 대한 명확한 증거가 불명확하고, 따라서, 지속적인 효과를 위하여 연속적으로 투여하여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의 항생제보다는 그 효능이 떨어지며, 즉각적으로 효능을 볼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한방 생약 등 식물 추출물은 오랜 역사를 지닌 우리나라의 전통 의약으로 인체 감염성 질환의 치료에 효율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임상적으로 이미 안전성이 확보된 소재이며, 즉각적인 효과를 나타낸다는 점에서 높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 식물에서 추출한 항생제 대체 물질로써는 사포닌, 허브, 향신료 추출물 등이 일부 사용되고 있을 뿐이며,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연구 결과가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생약 특성상 보관상의 문제점이 보고되고 있으며, 쓴 맛이나 아린 맛 등으로 기호성이 떨어진다는 단점도 있다.
일반적으로 항미생물제의 항균범위로 그람양성균(Bacillus cereus, Listeria monocytogenes, Mycobacterium spp., Staphylococcus aureus, Streptococcus spp., Pediococcus spp. 등), 그람음성균{대장균(E. Coli), 살모넬라균, Pseudomonas spp., Proteus spp., 닭 괴사성 장염(Cl. Perfringens) 등}, 바이러스{가금인플루엔자(A.I) 바이러스, ND Virus, IB Virus(corona virus), 뉴모바이러스, 돼지 PRRS Virus, Rota virus, 돼지 PED바이러스(corona virus), 소유행성설사 (BVD) Virus, 간염(B,C형) 바이러스, 고양이 전염성 복막염(corona virus), 개홍역 virus 등}이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상기한 항미생물제의 유효성분을 활용한 발효 기술 이용하여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체내 흡수율 및 그 효능을 최대화하고, 다양한 생리 작용의 상승효과를 통하여 질병을 효율적으로 예방하고, 우수한 항균 및 면역 증강 효과를 같는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및 면역 증강 조성물에 기여할 수 있는 생약 조성물에 대한 연구는 초기단계로 미미한 상태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79404호(2014.03.24)
먼저, 본 발명의 항미생물제로 사용되는 “임펙트”에 대한 정의를 하고자 한다. 임펙트란 유기산과 무기산 등의 혼합물이 처방된 강력한 항균, 항바이러스 대체요법제로, 가축의 주요 질병(바이러스, 세균 및 곰팡이성 질병)을 예방, 치료하는 신 제법의 항균항바이러스 대체제라고 한다. 임펙트는 친환경 축산물 생산(닭고기 및 계란) 및 HACCP 인증 농장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제품이며, 휴약 기간이 없어 출하를 앞두고 질병이 발생한 육계, 비육돈 및 산란 중에 질병이 발생한 산란계에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이다.
상기한 항미생물제인 임펙트의 항균범위는 1) 그람 양성균으로 Bacillus cereus, Listeria monocytogenes, Mycobacterium spp., Staphylococcus aureus, Streptococcus spp., Pediococcus spp. 등, 2) 그람 음성균인 대장균(E. Coli), 살모넬라균, Pseudomonas spp., Proteus spp., 닭 괴사성 장염(Cl. Perfringens) 등, 3) 바이러스{피막(친유성) 바이러스}로 가금인플루엔자(A.I) 바이러스, ND Virus, IB Virus(corona virus), 뉴모바이러스, 돼지 PRRS Virus, Rota virus, 돼지 PED바이러스(corona virus), 소유행성설사 (BVD) Virus, 간염(B, C형) 바이러스, 고양이 전염성 복막염(corona virus), 개 홍역 바이러스 등에 사용된다.
본 발명은 천연추출물을 활용하여 항미생물 활성을 보이는 유기산제, 탄산염 화합물 그리고 염소계 화합물로 적절하게 조성된 항미생물제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그 제품을 제조하여 이를 통해 발효 기술 안전성을 확보함은 물론 체내 흡수율 및 효능을 높혀 생리 작용의 상승효과를 통해 우수한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의 면역 증강효과를 갖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대장균, 살모넬라균 등 일반적으로 식중독을 일으키는 주요 세균과 피부 화농을 일으키는 황색포도상구균에 항균활성을 보이는 것이 특징으로 하며, 바이러스 중에서는 피막 바이러스인 인플루엔자, 허피스바이러스, 코로나바이러스에 항미생물 효과를 갖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항미생물제 조성물은 천연추출물 등 복합 조성물을 제조하여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대체 요법에 의하여 가축의 주요 질병(바이러스, 세균 및 곰팡이성 질병)을 예방, 치료하는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대체물이며, 친환경 축산물 생산(닭고기 및 계란) 및 HACCP인증 농장에 필요한 제품일 뿐만 아니라 향후 휴약 기간이 없어, 출하 앞두고 질병이 발생한 육계, 비육돈 및 산란 중에 질병이 발생한 산란계에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을 제조방법을 해결하기 위한 과제이다.
본 발명은 국민 보건상 항생제의 오남용으로 인해 항생제의 내성문제가 야기되어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항생제가 감소되어가고 있는 현실 상황에서 천연물과 항균항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내는 식품 첨가물을 이용한 조성물 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스, 메르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의 출현으로 전 세계가 공포에 휩싸여 있는바, 상기한 질병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중 하나이다.
본 발명에서의 항미생물제 조성물은 염화물인 염화나트륨, 염화칼슘, 염화칼륨 중에서 최소한 1개 이상을 선택하고, 식물추출물인 갈근추출물, 도라지추출물, 수세미추출물, 마치현추출물, 감귤추출물 중에서 최소한 1개 이상 선택하고, 탄산염 화합물인 탄산나트륨, 중탄산나트륨, 탄산칼슘, 탄산칼륨, 탄산암모늄, 탄산마그네슘 중에서 1개 이상 선택하고, 유기산제인 초산 및 이의 관련 염, 젖산 및 이의 관련 염, 사과산 및 이의 관련 염, 퓨마릭산(fumaric acid) 및 이의 관련 염, 개미산 및 이의 관련 염, 프로피온산 및 이의 관련 염, 호박산 및 이의 관련 염, 타르타르산 및 이의 관련 염, 아디프산 및 이의 관련 염, 피루브산 및 이의 관련 염 그리고 황산수소나트륨, 설포닉산(sulfonic acid) 및 이의 관련 염 중에서 최소 1개 이상 선택하고, 무기산제제인 염소산계(HClO, HClO2, HClO3) 화합물을 선택하여 정제수와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미생물제제 조성물이 관한 것이다.
상기한 이의 관련염이라 함은 나트륨염, 칼륨염, 칼슘염 등을 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항미생물제 조성물은 정제수 50-60 %중량에 염화물 중에서 염화나트륨과 염화칼슘을 1 대 1 비율(50%중량:50%중량)로 하는 혼합물 1-10 %중량, 천연추출물중에서 선택된 갈근추출물과 도라지추출물을 1 대 1 비율(50%중량:50%중량)로 하는 혼합물 1-2 %중량, 탄산염계에서 탄산나트륨과 중탄산나트륨을 1 대 1 비율(50%중량:50%중량)로 하는 혼합물 5-10 %중량, 유기산제중에서 젖산과 초산 및 이의 관련염을 1 대 1 비율(50%중량:50%중량)로 하는 혼합물 10-15 %중량, 그리고 무기산제인 염소산계 화합물을 5-10 %중량이 혼합된 혼합물(원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혼합물(원액) 1Kg을 다시 정제수 50-100Kg으로 희석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항미생물제의 조성물을 선택하는 1 단계;, 상기한 1 단계의 조성물에 열을 50-60℃로 가하고, 용해제를 추가하여 상기 성분들이 완전히 녹아들어 액상화된 복합물질을 액상제품화 하는 2 단계와;, 상기한 2 단계의 액상 복합물질을 60℃로 가열 건조시켜 분말화하는 3 단계와;, 상기한 3 단계의 가열 건조된 분말을 성형하여 정제 제품으로 제조하는 4 단계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항미생물제의 조성물을 선택하는 1 단계와;, 상기한 1 단계의 조성물에 열을 50-60℃로 가하고, 용해제를 추가하여 상기 성분들이 완전히 녹아들어 액상화된 복합물질을 액상제품화 하는 2 단계와;, 상기한 2 단계의 액상화된 복합물질 1Kg을 다시 정제수 50-100Kg으로 희석하는 3 단계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항미생물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정제제품 및 액상제품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활성을 보이는 유기산제, 탄산염 화합물 그리고 염소계 화합물 그리고 천연추출물이 적절하게 조성된 항미생물제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을 통해 발효 기술 안전성을 확보함은 물론 체내 흡수율 및 효능을 높혀 생리 작용의 상승효과를 통해 우수한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의 면역 증강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대장균, 살모넬라균 등 일반적으로 식중독을 일으키는 주요 세균과 피부 화농을 일으키는 황색포도상구균에 항균활성을 보이는 것이 특징으로 하며, 바이러스 중에서는 피막 바이러스인 인플루엔자, 허피스바이러스, 코로나바이러스에 항바이러스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항미생물제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은 가축의 주요 질병(바이러스, 세균 및 곰팡이성 질병)을 예방, 치료하는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 대체물이며, 친환경 축산물 생산(닭고기 및 계란) 및 HACCP인증 농장에 필요한 제품일 뿐만 아니라 향후 휴약 기간이 없어, 출하 앞두고 질병이 발생한 육계, 비육돈 및 산란 중에 질병이 발생한 산란계에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표 1>의 ATCC 6538(황색포도구균)을 본 발명의 임펙트(항미생물제)과 암피실린 100(항생제;대조물질)을 비교 시험한 결과 사진.
도 2는 <표 1>의 ATCC 8739(대장균)을 본 발명의 임펙트(항미생물제)과 암피실린 100(항생제;대조물질)을 비교 시험한 결과 사진.
도 3은 <표 1>의 ATCC 14028(살모넬라균)을 본 발명의 임펙트(항미생물제)과 암피실린 100(항생제;대조물질)을 비교 시험한 결과 사진.
도 4 와 도 5는 본 발명의 임펙트(항미생물제)와 암피실린 100(항생제;대조물질)을 비교 시험한 시험성적서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하기와 같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항미생물제 조성물은 정제수 50-60 %중량에 염화물 중에서 염화나트륨과 염화칼슘을 1 대 1 비율(50%중량:50%중량)로 하는 혼합물 1-10 %중량, 천연추출물중에서 선택된 갈근추출물과 도라지추출물을 1 대 1 비율(50%중량:50%중량)로 하는 혼합물 1-2 %중량, 탄산염계에서 탄산나트륨과 중탄산나트륨을 1 대 1 비율(50%중량:50%중량)로 하는 혼합물 5-10 %중량, 유기산제중에서 젖산과 초산 및 이의 관련염을 1 대 1 비율(50%중량:50%중량)로 하는 혼합물 10-15 %중량, 그리고 무기산제인 염소산계 화합물을 5-10 %중량이 혼합된 혼합물(원액)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혼합물(원액) 1Kg을 다시 정제수 50-100Kg으로 희석한 것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항미생물제의 조성물을 선택하는 1 단계;, 상기한 1 단계의 조성물에 열을 50-60℃로 가하고, 용해제를 추가하여 상기 성분들이 완전히 녹아들어 액상화된 복합물질을 액상제품화 하는 2 단계와;, 상기한 2 단계의 액상 복합물질을 60℃로 가열 건조시켜 분말화하는 3 단계와;, 상기한 3 단계의 가열 건조된 분말을 성형하여 정제 제품으로 제조하는 4 단계로 제조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항미생물제의 조성물을 선택하는 1 단계와;, 상기한 1 단계의 조성물에 열을 50-60℃로 가하고, 용해제를 추가하여 상기 성분들이 완전히 녹아들어 액상화된 복합물질을 액상제품화 하는 2 단계와;, 상기한 2 단계의 액상화된 복합물질 1Kg을 다시 정제수 50-100Kg으로 희석하는 3 단계로 제조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항미생물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정제제품 및 액상제품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래 <표 1>은 도 4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로 본 발명의 항미생물제 조성물은 정제수 50-60 %중량에 염화물 중에서 염화나트륨과 염화칼슘을 1 대 1 비율(50%중량:50%중량)로 하는 혼합물 1-10 %중량, 천연추출물중에서 선택된 갈근추출물과 도라지추출물을 1 대 1 비율(50%중량:50%중량)로 하는 혼합물 1-2 %중량, 탄산염계에서 탄산나트륨과 중탄산나트륨을 1 대 1 비율(50%중량:50%중량)로 하는 혼합물 5-10 %중량, 유기산제중에서 젖산과 초산 및 이의 관련염을 1 대 1 비율(50%중량:50%중량)로 하는 혼합물 10-15 %중량, 그리고 무기산제인 염소산계 화합물을 5-10 %중량이 혼합된 혼합물(원액)으로 구성된 항미생물제 조성물에 관한 공인시험성적서이다. 상기한 시험한 항미생물제 조성물을 통하여 하기의 3 종류의 균주를 선정하여 본 발명인 임펙트(항미생물제)를 시험한 결과이다.
아래 <표 1>의 시험기관은 한국분석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받은 시험성적서를 기초로 한 것이며, In vitro 시험방법과 임펙트 제품을 규정된 농도로 희석하여 5분 동안 균과 시료간의 반응 상태를 시험한 결과이다. 시험 결과상의 저해율(%)=(대조군 균수-시료군 균수)/대조군 균수 이다.
Figure 112020141176343-pat00001
도 1은 상기한 <표 1>의 ATCC 6538(황색포도구균)을 본 발명{임펙트(항미생물제)}과 암피실린 100(대조물질)을 비교 시험한 결과 사진이고, 도 2는 상기한 <표 1>의 ATCC 8739(대장균)을 본 발명{임펙트(항미생물제)}과 암피실린 100(대조물질)을 비교 시험한 결과 사진이며, 도 3은 상기한 <표 1>의 ATCC 14028(살모넬라구균)을 본 발명{임펙트(항미생물제)}과 암피실린 100(대조물질)을 비교 시험한 결과 사진이다.
<표 1>에서 1)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황색포도구균) 접종균액의 농도시험 항목을 5분후 생균수(CFU) 저해율(%)[항균력] 1.0 x 103 CFU/mL 조건에서 시험한 결과 대조군 대비 암피실린 100에서 8.1 x 101 CFU/mL의 대장균이 검출(저해율 94.6%) 되었으나, 본 발명{임펙트(항미생물제)}에서는 검출(저해율 99.9%)되지 않아 항균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2) Escherichia coli ATCC 8739(대장균) 접종균액의 농도시험 항목을 5분후 생균수(CFU) 저해율(%)[항균력] 1.3 x 103 CFU/mL 조건에서 시험한 결과 암피실린 100(대조물질)과 본 발명{임펙트(항미생물제)}에서는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3) Salmonella tyhimurium ATCC 14028(살모넬라균) 접종균액의 농도시험 항목을 5분후 생균수(CFU) 저해율(%)[항균력] 1.1 x 103CFU/mL 조건에서 시험한 결과 대조군 대비 암피실린 100에서 2.1 x 101CFU/mL의 대장균이 검출(저해율 98.6%)되었으나, 본 발명{임펙트(항미생물제)}(저해율 99.9%)에서는 검출되지 않아 항균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이 육계, 육계 사양, 산란계, 돼지, 개와 고양이, 사람(간이 임상시험)으로 구분하여 임상시험 하였다.
육계에 대한 투여시험 방법 및 결과이다.
먼저 첫번째 시험(아래 표 2 참조)으로 경기도 안성시 미양면 소재 육계위탁사육농장에서 품종인 로스(사육수수 3만수)가 25일령에 대장균증으로 진단되어 패혈증과 폐사가 발생되었다. 본 발명 제품을 음수에 적정비율로 희석하여 3일간 급여 하였는데 시험결과 투여 후 폐사가 사라지고, 증상이 호전되었고, 사료 섭취량도 정상으로 회복되었다.
Figure 112020141176343-pat00002
두번째 시험(아래 표 3 참조)으로 상기한 육계위탁사육농장에서 품종인 로스(사육수수 24,000수)가 20일령에 전염성기관지염(Corona Virus)이 발생하여 호흡기 초기 증상을 보였고, 사료 섭취량이 감소하였다. 이에 항생제(Ampicillin)를 투여하였으나, 호흡기 증상이 지속되어 본 발명 제품을 권장투여량으로 급여하였고, 동일한 방법으로 3일간 투여하였다. 시험결과 첫 번째 투여 후 다음 날 증상이 호전되었고, 3일간 투여 후 호흡기 증상이 사라졌고, 사료 섭취량도 정상화 되었다.
Figure 112020141176343-pat00003
세번째 시험(아래 표 4 참조)으로 천안시 동남구 수신면 소재 성화식품 육계위탁농장에서 품종인 로스(사육수수 55,000수)가 살모넬라균에 의해 입추 때부터 1일 평균 폐사가 약 240수 이었고, 10 일령까지 총 2,600수가 폐사되었다. 12 일령에 본 발명 제품을 권장투여량으로 3일간 급여하였다. 시험결과 폐사가 급격히 감소(1일 50수)하였고, 음수소비량이 늘어났으며, 출하 때 육성율 95.5%, 출하 체중이 1.6Kg으로 양호하였다.
Figure 112020141176343-pat00004
네번째 시험(아래 표 5 참조)으로 산란계 시험(1)을 하였는데, 경기도 연천군 소재 TY농장에서 품종인 하이라인(사육수수:2,5000수)에서 전염성 기관지염(corona virus)이 발병하여 폐사와 함께 산란율이 감소하였다. 본 발명 제품을 권장투여량으로 5일간 꾸준히 급여하였다. 투여 3일후부터 폐사가 멈췄고, 이상란 발생이 줄어들었고, 산란율도 서서히 회복되었다.
Figure 112020141176343-pat00005
다섯번째 시험(아래 표 6 참조)으로 산란계 시험(2)을 하였는데, 천안시 입장면 소재 TY농장에서 품종인 하이라인(사육수수:7 만수)에서 산란계 중추를 입추한 후 12 주때부터 봉입체성 간염(adeno virus)에 의한 폐사가 1일 평균 폐사가 약 500수 이었고, 발생후 2일째부터 본 발명 제품을 권장투여량으로 5일간 급여하였다. 본 제품 투여후 폐사가 급격히 감소(1일 50수)하였고, 투 여후 3일째부터 폐사가 완전히 사라졌고, 정상으로 회복되었다.
Figure 112020141176343-pat00006
여섯번째 시험으로 돼지 시험(1)(아래 표 7 참조)을 하였는데, 경기도 이천시 소재 비육돈 농장에서 품종인 LDY 교잡종, 주령이 2-3 개월령(사육수수:1,000두)에서 육성돈(체중 30-40Kg)에 호흡기생식기증후군[PRRS(PRRS virus)] 발병되었다. 본 발명 제품을 권장투여량으로 급여하였고, 동일한 방법으로 5일간 급여하였다. 시험 결과 5일간 투여 후 증상이 호전되었고, 투여 3 일째부터 호흡기 증상이 사라졌고 사료 섭취량도 정상화 되었다.
Figure 112020141176343-pat00007
일곱번째 시험으로 돼지 시험(2)(아래 표 8 참조)을 하였는데, 충남 논산시 소재 비육돈 농장에서 품종인 LDY 교잡종(사육수수:1,000두)에서 이유자돈(체중 10-20Kg)에 대장균성 설사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 제품 권장투여량으로 급여하였고, 동일한 방법으로 5일간 급여하였다. 3일간 투여 후 시험결과 설사가 멈추고 증상은 서서히 호전되었다.
Figure 112020141176343-pat00008
여덟번째 시험으로 돼지 시험(3)(아래 표 9 참조)을 하였는데, 경기도 화성시 소재 일괄사육농장에서 품종인 LDY 교잡종(모돈두수 200두)에서 이유자돈이 백리(대장균과 로타바이러스)가 발생하였다. 자돈 1두당 본 발명 제품 2mL를 물병 100ml에 희석하여 경구로 직접투여하였고, 3일간 급여하였다. 시험 결과 첫날 투여 후 다음날부터 설사가 멈추었다.
Figure 112020141176343-pat00009
아홉번째 시험으로 돼지 시험(4)(아래 표 10 참조)을 하였는데, 경남 함안군 소재 일괄사육농장에서 품종인 LDY 교잡종(모돈두수 200두)에서 모돈과 포유자돈 전체에 돼지유행성 설사병 PED(corona virus)가 발생하였다. 자돈 1두당 본 발명 제품 2mL를 물병 100ml에 희석하여 경구로 직접 투여하였고, 모돈 및 육성돈은 적정투여량으로 5일간 급여하였다. 시험 결과 투여개 시후 3일째부터 설사가 멈추기 시작하여 5일후부터 회복되었다.
Figure 112020141176343-pat00010
열번째 시험으로 고양이 시험(1)(아래 표 11 참조)을 하였는데, 경기도 이천시 부발읍 거주자의 코숏 암컷(나이 7 개월령, 체중 2.7 kg)으로 혈변 설사로 내원하여 키트 검사에서 고양이 백혈구 감소증(FP 바이러스) 양성 판정을 받았으며, 혈액검사에서 임파구 수치 0, 백혈구 수 1.3x 103/ul), 혈소판 41x 103/ul 로 현저히 감소하였다. 이에 본 발명 제품을 1일 1두 기준으로 1 ml 경구 투여후 1일 지나 0.3 ml 씩 매일 투여하였는데, 시험결과 투약 3일 후 혈변은 멈췄고, 식욕은 여전히 부진하여 링거 투여한 이후 혈액 검사 결과 임파구수 2.7로 정상, 백혈구수 38로 약간 상승,혈소 판수 333으로 정상으로 돌아왔다.
Figure 112020141176343-pat00011
열한번째 시험으로 고양이 시험(아래 표 12 참조)을 하였는데, 경기도 이천시 백사면 거주 거주자의 코숏(품종)(나이 6개월, 체중 2.3 kg)으로 호흡기 질병 소견으로 내원하였고, 눈꼽이 끼고, 호흡기 소견으로 FRDC(고양이 복합호흡기 바이러스)로 잠정 판정하였다.
2020.2.6. 항생제와 소염제 처방을 하였으나 3일동안 10두중 6두가 폐사하였음. 2020.2.10.~14. 1 두당 임펙트(설탕물 혼합) 0.2ml씩 경구에 투여하였다. 시험 결과 나머지 4두 모두 폐사없이 건강해졌고, 정상적으로 활동하였음.
Figure 112020141176343-pat00012
열두번째 시험으로 애견 시험(아래 표 13 참조)을 하였는데, 경기도 이천시 애련정로 거주 거주자의 믹스견(품종) 수컷(나이 1년1개월, 체중 6 kg)으로 지속적인 기침와 고열(40℃) 그리고 구토와 설사 증상이 발생되어 검사 결과 X-ray 상 간질성 폐렴 소견으로 입원하였다.
첫날에 해열제, 항혈장, 항생제 및 수액을 투여하였고, 그 후 3일간은 1 두당 항바이러스제(설탕물 혼합)를 0.2ml씩 경구에 투여하였다. 시험 결과 증상이 호전되어 퇴원하였다.
Figure 112020141176343-pat00013
열세번째 시험으로 간이 임상시험으로 사람에 대해 효능 시험을 하였는데, 아래와 같은 결과가 나왔다.
[사례-1.]
성명:조OO (남, 54세), 이천시 증포동 거주
병명: 목이 붓고, 고열, 감기바이러스 감염.
치료: 항균항바이러스제, 1일 1ml씩 3일간 투약후 감기증상이 말끔히 사라졌다.
[사례-2.]
성명: 김OO (여, 63세), 성남시 태평동 거주
병명: 감기로 인해 감기약을 7일간 투약하였으나 감기가 낫지 않았다.
치료: 항균항바이러스제 1일 1ml씩 2일간 투약후 감기가 치료되었다.
[사례-3.]
성명: 박OO (남, 49세), 이천시 창전동 거주
병명: 목이 붓고 열이나고 감기 증세를 호소 했다.
치료: 항균항바이러스제 1일 1ml씩 3일간 투약후 감기가 치료 되었다.
[사례-4.]
성명: 김OO (남, 27세), 성남시 분당구 거주
병명: 목이 깔깔하고 감기 증상이 보였다.
치료: 항균항바이러스제 1일 1ml씩 2일간 투약후 회복 되었다.
이상과 같이, 본원 발명은 상기한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 가능하다는 것을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정제수 50-60 %중량에 염화물 중에서 염화나트륨과 염화칼슘을 1 대 1 비율(50%중량:50%중량)로 하는 혼합물 1-10 %중량, 천연추출물중에서 선택된 갈근추출물과 도라지추출물을 1 대 1 비율(50%중량:50%중량)로 하는 혼합물 1-2 %중량, 탄산염계에서 탄산나트륨과 중탄산나트륨을 1 대 1 비율(50%중량:50%중량)로 하는 혼합물 5-10 %중량, 유기산제중에서 젖산과 초산 및 이의 관련염을 1 대 1 비율(50%중량:50%중량)로 하는 혼합물 10-15 %중량, 그리고 무기산제인 염소산계 화합물을 5-10 %중량이 혼합된 혼합물(원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미생물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혼합물(원액) 1Kg을 다시 정제수 50-100Kg으로 희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미생물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항미생물제의 조성물을 선택하는 1 단계;,
    상기한 1 단계의 조성물에 열을 50-60℃로 가하고, 용해제를 추가하여 상기 성분들이 완전히 녹아들어 액상화된 복합물질을 액상제품화 하는 2 단계와;,
    상기한 2 단계의 액상 복합물질을 60℃로 가열 건조시켜 분말화하는 3 단계와;,
    상기한 3단계의 가열 건조된 분말을 성형하여 정제 제품으로 제조하는 4 단계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미생물제 제조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조성물을 선택하는 1 단계와;,
    상기한 1 단계의 조성물에 열을 50-60℃로 가하고, 용해제를 추가하여 상기 성분들이 완전히 녹아들어 액상화된 복합물질을 액상제품화 하는 2 단계와;,
    상기한 2 단계의 액상화된 복합물질 1Kg을 다시 정제수 50-100Kg으로 희석하는 3 단계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미생물제 제조방법.
  5. 제3항에 따른 항미생물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제품.
  6. 제4항에 따른 항미생물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제품.
KR1020200183573A 2020-12-24 2020-12-24 항미생물제 조성물과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102283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573A KR102283415B1 (ko) 2020-12-24 2020-12-24 항미생물제 조성물과 제조방법 및 그 제품
CN202180085980.8A CN116635049A (zh) 2020-12-24 2021-10-07 抗微生物剂组成物和制造方法及其产品
PCT/KR2021/013739 WO2022139132A1 (ko) 2020-12-24 2021-10-07 항미생물제 조성물과 제조방법 및 그 제품
US18/258,456 US20240016834A1 (en) 2020-12-24 2021-10-07 Antimicrobial agent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and product thereof
JP2023563789A JP2024501786A (ja) 2020-12-24 2021-10-07 抗微生物剤組成物と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573A KR102283415B1 (ko) 2020-12-24 2020-12-24 항미생물제 조성물과 제조방법 및 그 제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3415B1 true KR102283415B1 (ko) 2021-07-29

Family

ID=77127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3573A KR102283415B1 (ko) 2020-12-24 2020-12-24 항미생물제 조성물과 제조방법 및 그 제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40016834A1 (ko)
JP (1) JP2024501786A (ko)
KR (1) KR102283415B1 (ko)
CN (1) CN116635049A (ko)
WO (1) WO202213913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39132A1 (ko) * 2020-12-24 2022-06-30 인동철 항미생물제 조성물과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102467759B1 (ko) 2022-03-25 2022-11-21 주식회사 보삼바이오산업 돼지의 코로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31584A (ko) * 2008-06-18 2009-12-29 한국콜마 주식회사 매스틱을 포함하는 발포성 속붕해정
KR101379404B1 (ko) 2012-01-18 2014-03-28 (주)비타바이오 황금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및 면역 증강 조성물
KR20150113484A (ko) * 2014-03-31 2015-10-0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황금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엔테로 바이러스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7932A (ja) * 1993-02-02 1994-08-16 Juichi Fukunaga 抗菌性成分、該抗菌性成分を含有する抗菌性製品、および抗菌性成分の製造法
PL3043769T3 (pl) * 2013-09-11 2023-10-23 Aim Targeted Therapies, Inc. Hipertoniczne, terapeutyczne kompozycje przeciwdrobnoustrojowe
KR101674307B1 (ko) * 2015-07-27 2016-11-09 고신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천식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83415B1 (ko) * 2020-12-24 2021-07-29 김우준 항미생물제 조성물과 제조방법 및 그 제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31584A (ko) * 2008-06-18 2009-12-29 한국콜마 주식회사 매스틱을 포함하는 발포성 속붕해정
KR101379404B1 (ko) 2012-01-18 2014-03-28 (주)비타바이오 황금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및 면역 증강 조성물
KR20150113484A (ko) * 2014-03-31 2015-10-0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황금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엔테로 바이러스에 기인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39132A1 (ko) * 2020-12-24 2022-06-30 인동철 항미생물제 조성물과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102467759B1 (ko) 2022-03-25 2022-11-21 주식회사 보삼바이오산업 돼지의 코로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501786A (ja) 2024-01-15
WO2022139132A1 (ko) 2022-06-30
US20240016834A1 (en) 2024-01-18
CN116635049A (zh) 2023-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erket et al. Benefits of dietary antibiotic and mannanoligosaccharide supplementation for poultry
Stokstad Antibiotics in animal nutrition
AU721811B2 (en) Animal feed
CN102488117B (zh) 一种防治仔猪腹泻的复合制剂及其制备方法
ES2591041T3 (es) Uso de EDTA y sus sales para la prevención y tratamiento de enfermedades intestinales bacterianas en cerdos
KR102283415B1 (ko) 항미생물제 조성물과 제조방법 및 그 제품
CN101934070A (zh) 一种含有溶菌酶及低聚寡糖的兽用抗菌药物组合及其应用
CA2468707C (en) The use of indigestible oligosaccharides to improve the health and productivity of ruminant animals
KR100923226B1 (ko) 항균효과가 강화된 사료첨가용 유산균제제 와 그 제조방법
KR102197664B1 (ko)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제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제품
JP3224131B2 (ja) 菌、卵白及びにんにくの2種以上を含有する免疫賦活・感染防御剤
DE69813448T2 (de) Biologisches Produkt zur präventiven oder therapeutischen oralen Verabreichung gegen Parvovirosis im Hund
US6365152B1 (en) Scours treatment and method of making same
Abd-Allah et al. Influence of using flavomycin and propolis as feed additives on buffalo milk production, and growth performance and blood metabolites of suckling calves
Górniak et al. Smart feed additives for livestock
CN111821322A (zh) 一种可替代抗生素的禽用微生态口服制剂及其应用
JP2023525883A (ja) コクシジウム症の治療へのtlr4モジュレーターの使用
RU2377005C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желудочно-кишечных болезней у телят
JP2583382B2 (ja) スベリヒユを含有する家畜、家禽用の飼料
JP3338928B2 (ja) 抗コクシジウム剤
CN109620877A (zh) 纯中药禽用抗细菌病制剂及其制备方法和使用方法
KR20030021298A (ko) 동물용 면역증진 및 정장용 조성물
Simitopoulou et al. The Effect of the Targeted Application of Commercially Available Non-Antibiotic Additives in the Poultry Industry on Antibiotic Usage and Biological Performance under Commercial Field Conditions 8: 059
RU2287984C1 (ru) Способ профилактики и лечения отечной болезни поросят
Botlhoko Performance of Clostridium perfringens-challenged broilers inoculated with Effective Microorganis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