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7708B1 - 부피 조절이 가능한 자바라식 물탱크 - Google Patents

부피 조절이 가능한 자바라식 물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7708B1
KR102467708B1 KR1020220098020A KR20220098020A KR102467708B1 KR 102467708 B1 KR102467708 B1 KR 102467708B1 KR 1020220098020 A KR1020220098020 A KR 1020220098020A KR 20220098020 A KR20220098020 A KR 20220098020A KR 102467708 B1 KR102467708 B1 KR 102467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bellows
slider
type wat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8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광환
최락정
김종상
임창홍
이국현
박준형
오형철
이미소
김미현
서호상
Original Assignee
에이지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지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지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04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77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7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7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65D88/14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by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8Large containers flexible bellows-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2Large containers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65D88/522Large containers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all side walls hingedly connected to each other or to another component of the container
    • B65D88/524Large containers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all side walls hingedly connected to each other or to another component of the container and one or more side walls being foldable along an additional median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aphragms And Bell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 공간에 물이 수용됨에 따라 수용 공간을 증가시켜 보다 많은 양을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현한 부피 조절이 가능한 자바라식 물탱크에 관한 것으로,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이 가능한 자바라 형태로 형성되어 헬리콥터의 하면에 설치되며, 내부 공간에 물을 수용해 두는 자바라식 물탱크부; 및 상기 자바라식 물탱크부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자바라식 물탱크부에 수용되어 있는 물을 하측으로 배출시켜 주는 배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부피 조절이 가능한 자바라식 물탱크{Volume-adjustable bellows water tank}
본 발명은 부피 조절이 가능한 자바라식 물탱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 공간에 물이 수용됨에 따라 수용 공간을 증가시켜 보다 많은 양을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현한 부피 조절이 가능한 자바라식 물탱크에 관한 것이다.
항공기용 Belly Water Tank의 경우, 산림청 KA-32 기종 29대가 러&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하여 부품 수급에 차질이 발생, 도태 예정이며, 기존에도 유지비가 많이 소모되었으나 물탱크 용량이 크기 때문에 계속 사용해왔다.
Inflatable Life Vest & Inflatable Life Raft는, 항공 안전법상 담수를 위해 비행하는 항공기 조종사는 반드시 Life vest를 착용해야 하고, 일정 거리 이상을 비행해야 하는 항공기는 탑승 인원의 2배의 인원을 수용할 수 있는 Life raft를 탑재해야 하였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48692호 (2009.05.15. 공개) 한국등록특허 제10-1999216호 (2019.07.11. 공고)
본 발명의 일측면은 이륙 후 탱크에 물을 채우면 용량이 증가하고, 착륙 전에 전기 스위치로 원래 크기로 원복시키므로, Landing gear 길이 문제 해결 가능하며, 또한, 원래 용량보다 1.5배가량 증가된 물 탑재 가능하도록 구현한 부피 조절이 가능한 자바라식 물탱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피 조절이 가능한 자바라식 물탱크는,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이 가능한 자바라 형태로 형성되어 헬리콥터의 하면에 설치되며, 내부 공간에 물을 수용해 두는 자바라식 물탱크부; 및 상기 자바라식 물탱크부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자바라식 물탱크부에 수용되어 있는 물을 하측으로 배출시켜 주는 배출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자바라식 물탱크부는, "ㅁ" 형태로 형성되어 헬리콥터의 하면에 고정 설치되는 물탱크 프레임; 및 상기 물탱크 프레임의 형상에 대응하는 사각 각관의 자바라 형태로 형성되되, 하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직경이 줄어들도록 형성되는 자바라식 물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자바라식 물탱크부의 하측 개구부에 설치되는 하단 프레임; 및 상기 하단 프레임에 회동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하단 프레임을 개폐시켜 주는 개폐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피 조절이 가능한 자바라식 물탱크는, 상기 자바라식 물탱크부에 수용되어 있는 물을 배출시켜 주기 위한 배출 호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자바라식 물탱크부는, "ㅁ" 형태로 형성되어 헬리콥터의 하면에 고정 설치되는 물탱크 프레임; 상기 물탱크 프레임의 형상에 대응하는 사각 각관의 자바라 형태로 형성되되, 하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직경이 줄어들도록 형성되는 자바라식 물탱크; 및 상기 자바라식 물탱크를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시켜 주는 신장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신장 구동부는, 상기 물탱크 프레임의 전단 일측 코너로부터 상기 물탱크 프레임의 후단 타측 코너까지 사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지지 프레임; 상기 제1 지지 프레임과 "X" 형태로 교차될 수 있도록 상기 물탱크 프레임의 전단 타측 코너로부터 상기 물탱크 프레임의 후단 일측 코너까지 사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지지 프레임;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전단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자바라식 물탱크 하측의 전단 일측 코너를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시켜 주는 제1 승강 구동부;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의 전단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자바라식 물탱크 하측의 전단 타측 코너를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시켜 주는 제2 승강 구동부;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후단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자바라식 물탱크 하측의 후단 타측 코너를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시켜 주는 제3 승강 구동부; 및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의 후단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자바라식 물탱크 하측의 후단 일측 코너를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시켜 주는 제4 승강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승강 구동부는,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내측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수평 이동 레일; 상기 제1 수평 이동 레일에 안착되어 상기 제1 수평 이동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1 구동 슬라이더; 및 일단이 상기 제1 구동 슬라이더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수평 이동 레일의 전단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하측으로 노출된 뒤 상기 자바라식 물탱크 하측의 전단 일측 코너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수평 이동 레일을 따라 상기 제1 구동 슬라이더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자바라식 물탱크 하측의 전단 일측 코너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제1 승강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구동 슬라이더는, 전단에 상기 제1 승강 와이어의 일단이 설치되며, 상기 제1 수평 이동 레일에 안착되어 상기 제1 수평 이동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제1 승강 와이어를 잡아당겨 주는 제1 슬라이더; 상기 제1 슬라이더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수평 이동 레일에 안착되어 상기 제1 수평 이동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 슬라이더; 및 상기 제1 슬라이더와 상기 제2 슬라이더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슬라이더와 상기 제2 슬라이더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는 슬라이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슬라이더는, 상기 제1 수평 이동 레일에 안착되는 슬라이더 바디; 상기 슬라이더 바디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수평 이동 레일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밀착 배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됨에 따라 상기 제1 수평 이동 레일을 따라 상기 슬라이더 바디를 이동시켜 주는 한 쌍의 구동휠; 상기 슬라이더 바디의 전단 내측에 설치되는 전단 하우징; 상기 전단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후단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승강 와이어의 일단이 설치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전단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전단을 지지하며, 내측을 따라 상기 제1 승강 와이어가 배치되는 플레이트 지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더 연결부는, 상기 제1 슬라이더의 후단에 형성되는 후단홈; 상기 후단홈과 대향하면서 상기 제2 슬라이더의 전단에 형성되는 전단홈; 전단이 상기 후단홈의 후단 입구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후단이 상기 전단홈의 전단 입구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슬라이더와 상기 제2 슬라이더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는 간격 지지 프레임; 상기 간격 지지 프레임의 전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후단홈의 중단에 배치되는 전단 연장 플레이트; 상기 간격 지지 프레임의 후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전단홈의 중단에 배치되는 후단 연장 플레이트; 상기 전단 연장 플레이트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전단 연장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제1 완충 스프링; 및 상기 후단 연장 플레이트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후단 연장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제2 완충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이륙 후 탱크에 물을 채우면 용량이 증가하고, 착륙 전에 전기 스위치로 원래 크기로 원복시키므로, Landing gear 길이 문제 해결 가능하며, 또한, 원래 용량보다 1.5배가량 증가된 물 탑재 가능하도록 구현한 부피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피 조절이 가능한 자바라식 물탱크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3은 자바라식 물탱크부 및 배출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도 1의 자바라식 물탱크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신장 구동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의 제1 승강 구동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6의 제1 구동 슬라이더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피 조절이 가능한 자바라식 물탱크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피 조절이 가능한 자바라식 물탱크(10)는, 자바라식 물탱크부(100) 및 배출부(200)를 포함한다.
자바라식 물탱크부(100)는,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이 가능한 자바라 형태로 형성되어 헬리콥터의 하면에 설치되며, 내부 공간에 물을 수용해 둔다.
배출부(200)는, 자바라식 물탱크부(100)의 하측에 설치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바라식 물탱크부(100)의 내부 공간을 개방시켜 자바라식 물탱크부(100)에 수용되어 있는 물을 하측으로 배출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부피 조절이 가능한 자바라식 물탱크(10)는, 배출 호스(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출 호스(300)는, 자바라식 물탱크부(100)에 수용되어 있는 물을 배출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피 조절이 가능한 자바라식 물탱크(10)는, 이륙 후 탱크에 물을 채우면 용량이 증가하고, 착륙 전에 전기 스위치로 원래 크기로 원복시키므로, Landing gear 길이 문제 해결 가능하며, 또한, 원래 용량보다 1.5배가량 증가된 물 탑재 가능하도록 구현한 부피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자바라식 물탱크부(100)는, 물탱크 프레임(110) 및 자바라식 물탱크(120)를 포함한다.
물탱크 프레임(110)은, "ㅁ" 형태로 형성되어 헬리콥터의 하면에 고정 설치된다.
자바라식 물탱크(120)는, 물탱크 프레임(110)의 형상에 대응하는 사각 각관의 자바라 형태로 형성되되, 하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직경이 줄어들도록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배출부(200)는, 하단 프레임(210) 및 개폐 도어(220)를 포함한다.
하단 프레임(210)은, 자바라식 물탱크부(100)의 하측 개구부에 설치된다.
개폐 도어(220)는, 하단 프레임(210)에 회동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하단 프레임(210)을 개폐시켜 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도 1의 자바라식 물탱크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자바라식 물탱크부(100a)는, 물탱크 프레임(110), 자바라식 물탱크(120) 및 신장 구동부(400)를 포함한다.
물탱크 프레임(110)은, "ㅁ" 형태로 형성되어 헬리콥터의 하면에 고정 설치된다.
자바라식 물탱크(120)는, 물탱크 프레임(110)의 형상에 대응하는 사각 각관의 자바라 형태로 형성되되, 하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직경이 줄어들도록 형성된다.
신장 구동부(400)는, 자바라식 물탱크(120)를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바라식 물탱크부(100a)는, 자바라식 물탱크(120)의 신장 또는 수축을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자바라식 물탱크(120)의 신축이 사용자에 제어에 따라 오작동 없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신장 구동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신장 구동부(400)는, 제1 지지 프레임(410), 제2 지지 프레임(420), 제1 승강 구동부(430), 제2 승강 구동부(440), 제3 승강 구동부(450) 및 제4 승강 구동부(460)를 포함한다.
제1 지지 프레임(410)은, 물탱크 프레임(110)의 전단 일측 코너로부터 물탱크 프레임(110)의 후단 타측 코너까지 사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2 지지 프레임(420)은, 제1 지지 프레임(410)과 "X" 형태로 교차될 수 있도록 물탱크 프레임(110)의 전단 타측 코너로부터 물탱크 프레임(110)의 후단 일측 코너까지 사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1 승강 구동부(430)는, 제1 지지 프레임(410)의 전단에 연결 설치되어 자바라식 물탱크(120) 하측의 전단 일측 코너를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시켜 준다.
제2 승강 구동부(440)는, 제2 지지 프레임(420)의 전단에 연결 설치되어 자바라식 물탱크(120) 하측의 전단 타측 코너를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시켜 준다.
제3 승강 구동부(450)는, 제1 지지 프레임(410)의 후단에 연결 설치되어 자바라식 물탱크(120) 하측의 후단 타측 코너를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시켜 준다.
제4 승강 구동부(460)는, 제2 지지 프레임(420)의 후단에 연결 설치되어 자바라식 물탱크(120) 하측의 후단 일측 코너를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신장 구동부(400)는, 자바라식 물탱크(120)의 신장 또는 수축을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자바라식 물탱크(120)의 신축이 사용자에 제어에 따라 오작동 없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도 5의 제1 승강 구동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 승강 구동부(430)는, 제1 수평 이동 레일(431), 제1 구동 슬라이더(432) 및 주는 제1 승강 와이어(433)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승강 구동부(440), 제3 승강 구동부(450) 및 제4 승강 구동부(460)는, 후술하는 제1 승강 구동부(430)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제1 승강 구동부(430)의 제1 수평 이동 레일(431), 제1 구동 슬라이더(432) 및 주는 제1 승강 와이어(433)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수평 이동 레일(431)은, 제1 지지 프레임(410)의 내측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1 구동 슬라이더(432)는, 제1 수평 이동 레일(431)에 안착되어 제1 수평 이동 레일(43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제1 승강 와이어(433)는, 일단이 제1 구동 슬라이더(432)에 설치되고, 타단이 제1 수평 이동 레일(431)의 전단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통해 제1 지지 프레임(410)의 하측으로 노출된 뒤 자바라식 물탱크(120) 하측의 전단 일측 코너에 설치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평 이동 레일(431)을 따라 제1 구동 슬라이더(432)이 이동함에 따라 자바라식 물탱크(120) 하측의 전단 일측 코너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승강 구동부(430)는, 자바라식 물탱크(120)의 신장 또는 수축을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자바라식 물탱크(120)의 신축이 사용자에 제어에 따라 오작동 없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도 6의 제1 구동 슬라이더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1 구동 슬라이더(500)는, 제1 슬라이더(510), 제2 슬라이더(520) 및 슬라이더 연결부(530)를 포함한다.
제1 슬라이더(510)는, 전단에 제1 승강 와이어(433)의 일단이 설치되며, 제1 수평 이동 레일(431)에 안착되어 제1 수평 이동 레일(43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제1 승강 와이어(433)를 잡아당겨 준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슬라이더(510)는, 슬라이더 바디(511), 한 쌍의 구동휠(512), 전단 하우징(513), 지지 플레이트(514) 및 플레이트 지지 스프링(515)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더 바디(511)는, 제1 수평 이동 레일(431)에 안착된다.
한 쌍의 구동휠(512)은, 슬라이더 바디(511)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1 수평 이동 레일(431)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밀착 배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됨에 따라 제1 수평 이동 레일(431)을 따라 슬라이더 바디(511)를 이동시켜 준다.
전단 하우징(513)은, 슬라이더 바디(511)의 전단 내측에 설치된다.
지지 플레이트(514)는, 전단 하우징(513)의 내부 공간의 후단에 배치되어 제1 승강 와이어(433)의 일단이 설치된다.
플레이트 지지 스프링(515)은, 전단 하우징(513)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지지 플레이트(514)의 전단을 지지하며, 내측을 따라 제1 승강 와이어(433)가 배치된다.
제2 슬라이더(520)는, 제1 슬라이더(510)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제1 수평 이동 레일(431)에 안착되어 제1 수평 이동 레일(43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여기서, 제2 슬라이더(520)는, 상술한 제1 슬라이더(510)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제1 슬라이더(510)의 슬라이더 바디(511), 및 한 쌍의 구동휠(512)의 구성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슬라이더 연결부(530)는, 제1 슬라이더(510)와 제2 슬라이더(520) 사이에 설치되어 제1 슬라이더(510)와 제2 슬라이더(520) 사이의 간격을 지지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슬라이더 연결부(530)는, 후단홈(531), 전단홈(532), 간격 지지 프레임(533), 전단 연장 플레이트(534), 후단 연장 플레이트(535), 제1 완충 스프링(536) 및 제2 완충 스프링(537)을 포함한다.
후단홈(531)은, 제1 슬라이더(510)의 후단에 형성된다.
전단홈(532)은, 후단홈(531)과 대향하면서 제2 슬라이더(520)의 전단에 형성된다.
간격 지지 프레임(533)은, 전단이 후단홈(531)의 후단 입구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후단이 전단홈(532)의 전단 입구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제1 슬라이더(510)와 제2 슬라이더(520) 사이의 간격을 지지한다.
전단 연장 플레이트(534)는, 간격 지지 프레임(533)의 전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후단홈(531)의 중단에 배치된다.
후단 연장 플레이트(535)는, 간격 지지 프레임(533)의 후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전단홈(532)의 중단에 배치된다.
제1 완충 스프링(536)은, 전단 연장 플레이트(534)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전단 연장 플레이트(534)를 지지한다.
제2 완충 스프링(537)은, 후단 연장 플레이트(535)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후단 연장 플레이트(535)를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구동 슬라이더(500)는, 제1 승강 와이어(433)을 안정적으로 잡아 당겨 줌으로써 제1 승강 와이어(433)에 의한 자바라식 물탱크(120)의 신장 또는 수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부피 조절이 가능한 자바라식 물탱크
100: 자바라식 물탱크부
200: 배출부
300: 배출 호스
400: 신장 구동부

Claims (5)

  1.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이 가능한 자바라 형태로 형성되어 헬리콥터의 하면에 설치되며, 내부 공간에 물을 수용해 두는 자바라식 물탱크부; 및
    상기 자바라식 물탱크부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자바라식 물탱크부에 수용되어 있는 물을 하측으로 배출시켜 주는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자바라식 물탱크부는,
    "ㅁ" 형태로 형성되어 헬리콥터의 하면에 고정 설치되는 물탱크 프레임;
    상기 물탱크 프레임의 형상에 대응하는 사각 각관의 자바라 형태로 형성되되, 하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직경이 줄어들도록 형성되는 자바라식 물탱크; 및
    상기 자바라식 물탱크를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시켜 주는 신장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신장 구동부는,
    상기 물탱크 프레임의 전단 일측 코너로부터 상기 물탱크 프레임의 후단 타측 코너까지 사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지지 프레임;
    상기 제1 지지 프레임과 "X" 형태로 교차될 수 있도록 상기 물탱크 프레임의 전단 타측 코너로부터 상기 물탱크 프레임의 후단 일측 코너까지 사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지지 프레임;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전단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자바라식 물탱크 하측의 전단 일측 코너를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시켜 주는 제1 승강 구동부;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의 전단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자바라식 물탱크 하측의 전단 타측 코너를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시켜 주는 제2 승강 구동부;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후단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자바라식 물탱크 하측의 후단 타측 코너를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시켜 주는 제3 승강 구동부; 및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의 후단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자바라식 물탱크 하측의 후단 일측 코너를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시켜 주는 제4 승강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승강 구동부는,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내측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수평 이동 레일;
    상기 제1 수평 이동 레일에 안착되어 상기 제1 수평 이동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1 구동 슬라이더; 및
    일단이 상기 제1 구동 슬라이더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수평 이동 레일의 전단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하측으로 노출된 뒤 상기 자바라식 물탱크 하측의 하단의 전단 일측 코너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수평 이동 레일을 따라 상기 제1 구동 슬라이더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자바라식 물탱크 하측의 전단 일측 코너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제1 승강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구동 슬라이더는,
    전단에 상기 제1 승강 와이어의 일단이 설치되며, 상기 제1 수평 이동 레일에 안착되어 상기 제1 수평 이동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제1 승강 와이어를 잡아당겨 주는 제1 슬라이더;
    상기 제1 슬라이더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수평 이동 레일에 안착되어 상기 제1 수평 이동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 슬라이더; 및
    상기 제1 슬라이더와 상기 제2 슬라이더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슬라이더와 상기 제2 슬라이더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는 슬라이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슬라이더는,
    상기 제1 수평 이동 레일에 안착되는 슬라이더 바디;
    상기 슬라이더 바디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수평 이동 레일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밀착 배치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됨에 따라 상기 제1 수평 이동 레일을 따라 상기 슬라이더 바디를 이동시켜 주는 한 쌍의 구동휠;
    상기 슬라이더 바디의 전단 내측에 설치되는 전단 하우징;
    상기 전단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후단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승강 와이어의 일단이 설치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전단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전단을 지지하며, 내측을 따라 상기 제1 승강 와이어가 배치되는 플레이트 지지 스프링;을 포함하는, 부피 조절이 가능한 자바라식 물탱크.
  2. 제1항에 있어서,
    헬리콥터의 이륙 후 탱크에 물을 채우면 용량이 증가하고, 헬리콥터의 착륙 전에 전기 스위치로 원래 크기로 원복되는, 부피 조절이 가능한 자바라식 물탱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자바라식 물탱크부의 하측 개구부에 설치되는 하단 프레임; 및
    상기 하단 프레임에 회동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하단 프레임을 개폐시켜 주는 개폐 도어;를 포함하는, 부피 조절이 가능한 자바라식 물탱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바라식 물탱크부에 수용되어 있는 물을 배출시켜 주기 위한 배출 호스;를 더 포함하는, 부피 조절이 가능한 자바라식 물탱크.
  5. 삭제
KR1020220098020A 2022-07-22 2022-08-05 부피 조절이 가능한 자바라식 물탱크 KR102467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642A KR102467717B1 (ko) 2022-07-22 2022-08-22 헬기 운행의 효율화를 위한 가변형 구명 물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1013 2022-07-22
KR20220091013 2022-07-22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4642A Division KR102467717B1 (ko) 2022-07-22 2022-08-22 헬기 운행의 효율화를 위한 가변형 구명 물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7708B1 true KR102467708B1 (ko) 2022-11-16

Family

ID=8423583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8020A KR102467708B1 (ko) 2022-07-22 2022-08-05 부피 조절이 가능한 자바라식 물탱크
KR1020220104642A KR102467717B1 (ko) 2022-07-22 2022-08-22 헬기 운행의 효율화를 위한 가변형 구명 물탱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4642A KR102467717B1 (ko) 2022-07-22 2022-08-22 헬기 운행의 효율화를 위한 가변형 구명 물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67708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7552Y1 (ko) * 1999-10-25 2000-04-15 김일 고지대 및 산의 화재 진화용 수조
JP2000289797A (ja) * 1999-04-05 2000-10-17 Kawaju Gifu Engineering Kk 液体貯留容器
JP2002513328A (ja) * 1997-05-21 2002-05-08 マイソンニーブ,アルバン デ 液体製品の投下又は噴霧用の航空輸送により運搬される装置
US20050087651A1 (en) * 2003-08-28 2005-04-28 Powers Duane A. Water bucket system
KR20090048692A (ko) 2007-11-12 2009-05-15 김충부 헬리콥터용물탱크
KR101999216B1 (ko) 2018-02-21 2019-07-11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헬리콥터 비행시험 중 비상 배출 기능을 구비한 물탱크 구조
WO2020124129A1 (en) * 2018-12-18 2020-06-25 Helitak Fire Fighting Equipment Pty Ltd Tank assembly and helicopter
WO2021142506A1 (en) * 2020-01-17 2021-07-22 Helitak Fire Fighting Equipment Pty Ltd Helicopter retractable tank assembly
CN113559437A (zh) * 2021-06-25 2021-10-29 湖南防灾科技有限公司 可收缩的轻质自吸式航空灭火装置及使用方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13328A (ja) * 1997-05-21 2002-05-08 マイソンニーブ,アルバン デ 液体製品の投下又は噴霧用の航空輸送により運搬される装置
JP2000289797A (ja) * 1999-04-05 2000-10-17 Kawaju Gifu Engineering Kk 液体貯留容器
KR200177552Y1 (ko) * 1999-10-25 2000-04-15 김일 고지대 및 산의 화재 진화용 수조
US20050087651A1 (en) * 2003-08-28 2005-04-28 Powers Duane A. Water bucket system
KR20090048692A (ko) 2007-11-12 2009-05-15 김충부 헬리콥터용물탱크
KR101999216B1 (ko) 2018-02-21 2019-07-11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헬리콥터 비행시험 중 비상 배출 기능을 구비한 물탱크 구조
WO2020124129A1 (en) * 2018-12-18 2020-06-25 Helitak Fire Fighting Equipment Pty Ltd Tank assembly and helicopter
US20220055829A1 (en) * 2018-12-18 2022-02-24 Helitak Fire Fighting Equipment Pty Ltd Tank assembly and helicopter
WO2021142506A1 (en) * 2020-01-17 2021-07-22 Helitak Fire Fighting Equipment Pty Ltd Helicopter retractable tank assembly
CN113559437A (zh) * 2021-06-25 2021-10-29 湖南防灾科技有限公司 可收缩的轻质自吸式航空灭火装置及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7717B1 (ko) 2022-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30419C (en) Landing gear
JP5208237B2 (ja) 航空機着陸装置を操作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1716670A (en) Device for launching and landing aeroplanes from and upon suspended positions
CN106255640B (zh) 具有用以调整倾侧-倾斜力的乘员重量感测机构的飞行器座椅
CN102883953B (zh) 具有受控优化路径的座椅桌及其相关的座椅
CN105121282A (zh) 具有平移椅背连杆机构枢轴的飞机座椅
US3703998A (en) Drone aircraft with telescopic fuselage
KR102467708B1 (ko) 부피 조절이 가능한 자바라식 물탱크
JP2016535696A (ja) 線形展開可能な航空機座席レッグレスト
CN111532420A (zh) 一种无人机起落架及无人机
US2324464A (en) Valve for fuel tanks
US2138970A (en) Gasoline dump device for airplanes
EP3750807A1 (en) Compact retractable partition
US5975466A (en) Variable displacement fuel tank for aircraft
EP4090436A1 (en) Helicopter retractable tank assembly
US2154463A (en) Supporting, equalizing, and stabilizing mechanism
CN105522941A (zh) 交通工具座椅组件
CN111503065A (zh) 一种磁能蓄能器
US1501530A (en) Airplane
CN105228892A (zh) 具有可移动可缩回式刚性遮篷的船
GB2513192A (en) Lift apparatus for a vehicle
US1472086A (en) Tail skid for aircraft
RU19813U1 (ru) Система маневрирования дирижаблем в вертикальной плоскости
US2502802A (en) Automatic leveling retractable elongated landing gear for aircraft
CN212778906U (zh) 一种变距组件及可变距烟花组装合筒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