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6462B1 - 이중 구조의 박스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 Google Patents
이중 구조의 박스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66462B1 KR102466462B1 KR1020220036139A KR20220036139A KR102466462B1 KR 102466462 B1 KR102466462 B1 KR 102466462B1 KR 1020220036139 A KR1020220036139 A KR 1020220036139A KR 20220036139 A KR20220036139 A KR 20220036139A KR 102466462 B1 KR102466462 B1 KR 1024664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rface portion
- assembly
- connection
- sheet
- couple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6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390 adhesive ta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2055 fruits and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having bodies formed by folding and interconnecting two or more blanks each blank forming a body part, whereby each body part comprises at least one outside face of the box, carton or tray
- B65D5/32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having bodies formed by folding and interconnecting two or more blanks each blank forming a body part, whereby each body part comprises at least one outside face of the box, carton or tray at least one container body part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to a permanently assembled tube
- B65D5/327—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having bodies formed by folding and interconnecting two or more blanks each blank forming a body part, whereby each body part comprises at least one outside face of the box, carton or tray at least one container body part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to a permanently assembled tube at least two container body parts, each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to a permanently assembled tub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adjacent sides interconnected by gusset folds
- B65D5/24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adjacent sides interconnected by gusset folds and the gussets fold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12—Information or decoration elements, e.g. content indicators, or for mailing
- B65D5/4233—Cards, coupons, labels or the like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or lid
- B65D5/4241—Cards, coupons, labels or the like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or lid located in a compartment formed by a double-walled panel projecting out of the plane of the contai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54—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 B65D5/5405—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for opening 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blank in tubular form
- B65D5/541—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for opening 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blank in tubular form the lines of weakness being provided in one or more closure fla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25—Containers made of sheet-like material and having a shape to accommodate contents
- B65D81/027—Containers made of sheet-like material and having a shape to accommodate contents double-walled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이중 구조의 박스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를 제공한다. 이중 구조의 박스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는 제 1조립체와 제 2조립체가 서로 상보적으로 배치되어 결합함으로써 외형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이중 구조의 박스를 제조하기 위한 제 1조립체 또는 제 2조립체의 전개시트로서, 전개시트는 제 1외면부, 제 1외면부의 일 측변에 결합된 제 2외면부, 제 1외면부의 타 측변에 결합된 제 1연결면부, 제 1연결면부의 타 측변에 결합된 제 1내면부, 제 2외면부의 일 측변에 결합된 제 2연결면부, 제 2연결면부의 일 측변에 결합된 제 2내면부, 제 1내면부의 상변과 하변에 연결된 복수개의 제 1받침면, 제 2내면부의 상변과 하변에 연결된 복수개의 제 2받침면, 제 1외면부의 상변과 하변에 연결된 복수개의 제 1덮개면, 및 제 2외면부의 상변과 하변에 연결된 복수개의 제 2덮개면을 포함하되, 제 1연결면부는 평면형상이 제 1외면부와 연결되는 일 변이 제 1내면부와 연결되는 타 변에 비해 더 길이가 길도록 형성된 사다리꼴 형상이고, 제 2연결면부는 평면형상이 제 2외면부와 연결되는 타 변이 제 2내면부와 연결되는 일 변에 비해 더 길이가 길도록 형성된 사다리꼴 형상이며, 전개시트는 단일의 시트(Sheet)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중 구조를 가져 내부에 수용된 물건 등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이중 구조의 박스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에 관한 것이다.
온라인 상으로 물건을 주문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직육면체로 구성되는 택배박스에 물품을 넣고 포장하여 배송을 통해 주문자에게 물품을 배송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주문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이러한 택배박스의 이용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상황이 되었다.
그러나, 택배사를 이용하여 물건이 배송되는 과정 중에서 물품이 포장된 박스가 약하거나, 거칠게 택배박스를 취급하는 경우 택배박스 내부에 보관된 물품들이 파손되는 경우가 있었으며 과일 같은 식품의 경우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품의 판매자는 취급주의를 요하는 스티커 등을 붙여 배송에 주의하여 줄 것을 요청하거나, 별도로 택배박스 내부에 다수의 에어캡이 형성된 부재(뽁뽁이 포장)를 넣어 제품이 파손되어 소비자 불만이나 교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려 하고 있다. 그러나, 스티커를 부착하는 행위는 단순히 주의를 줄 뿐이어서 평소 거칠게 배송하는 습관을 가진 사람이 배송하는 경우 여전히 파손의 위험이 존재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에어캡이 형성된 별도의 부재를 넣는 경우 별도의 에어캡을 구비하여야 하여 제품 포장원가가 상승하는 부담이 있었다. 또한, 에어캡이 형성된 부재의 경우 재활용이 되지 않거나 까다롭게 재활용되는 등 환경오염의 문제도 있었다.
이에 박스 내에 보관된 제품을 보다 안정적으로 보관하여 배송 중에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도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도록 할 수 있는 박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박스 내부에 제품을 보다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 구조의 박스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종이 부재 이외에 타부재의 사용을 최소화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하면서도 부대비용 및 노동력 투입을 최소화하도록 할 수 있는 이중 구조의 박스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이중 구조를 가져 내부에 수용된 제품을 매우 안정적으로 보관하면서도 통기성을 확보하여 내부에 수용된 제품의 신선도를 유지시켜줄 수 있는 이중 구조의 박스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생산이 용이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중 구조의 박스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컵을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는 내측면부와 상기 내측면부의 하단에 결합된 내밑면부 내부 공간에 음료를 수용하는 내측컵, 상기 내측면부의 일단변에 연결된 연결면부, 및 상기 연결면부의 일단변에 연결되고, 상기 내측면부가 구성하는 면과 이격되어 상기 내측면부의 외부를 감싸는 외측면부와 상기 외측면부 하단에 결합된 외밑면부를 포함하는 외측컵으로 구성된 이중 구조의 컵을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로서, 상기 전개시트는 외측면부, 상기 외측면부의 하단에 결합되는 외밑면부, 상기 외측면부의 일단변에 연결된 연결면부, 상기 연결면부의 일단변에 연결된 내측면부, 및 상기 내측면부 하단에 결합된 내밑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연결면부의 높이는 이와 연결되는 외측면부의 높이보다 짧으며, 상기 내측면부의 높이는 상기 외측면부의 높이보다 짧고, 상기 내측면부의 하단은 상기 외측면부의 하단 보다 높으며, 상기 전개시트는 단일의 시트(Sheet)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개시트는 상기 제 1내면부의 타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내면연장면, 및 상기 제 2내면부의 일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2내면연장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내면연장면 및 상기 제 2내면연장면은는 상기 전개시트가 조립될 경우 서로 마주하여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개시트는 상기 제 1받침면 및 상기 제 2받침면은 각각 외측으로 돌출된 접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합부는 상기 전개시트가 조립되면 상기 제 1받침면의 접합부는 상기 제 1외면부의 면에 접합되고, 상기 제 2받침면의 접합부는 상기 제 2외면부의 면에 접합되고, 상기 제 1덮개면의 세로길이는 상기 제 2외면부의 가로길이에 비해 같거나 더 크거나, 상기 제 2덮개면의 세로길이는 상기 제 1외면부의 가로길이에 비해 같거나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받침면은 상기 제 1내면부와 연결되는 변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제 1받침면과 상기 제 1연결면부와 결합되는 변이 연장된 가상의 제 1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1외면부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2받침면은 상기 제 2내면부와 연결되는 변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제 2받침면과 상기 제 2연결면부와 결합되는 변이 연장된 가상의 제 2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2외면부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받침면의 평면형상은 상기 제 1내면부와 연결되는 변에 비해 이와 대향하는 위치의 변이 더 길게 형성된 사다리꼴의 형상이며, 상기 제 2받침면의 평면형상의 상기 제 2내면부와 연결되는 변에 비해 이와 대향하는 위치의 변이 더 길게 형성된 사다리꼴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개시트는 상기 제 1받침면은 상기 제 1내면부와 접하는 변과 대향하는 외측변에 돌출되어 형성된 제 1결합부, 상기 제 1내면 연장면은 상기 제 1내면부와 접하는 변과 대향하는 외측변에 돌출되어 형성된 제 2결합부, 상기 제 2받침면은 상기 제 2내면부와 접하는 변과 대향하는 외측변에 돌출되어 형성된 제 3결합부, 및 상기 제 2내면 연장면은 상기 제 2내면부와 접하는 변과 대향하는 외측변에 돌출되어 형성된 제 4결합부, 상기 제 1외면부와 상기 제 1덮개면 사이 경계 변에는 상기 전개시트가 조립될 경우 상기 제 1결합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 1관통 결합부, 상기 제 1외면부의 면 상에는 상기 전개시트가 조립될 경우 상기 제 2결합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 2관통 결합부, 상기 제 2외면부와 상기 제 2덮개면 사이 경계 변에는 상기 전개시트가 조립될 경우 상기 제 3결합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 3관통 결합부, 및 상기 제 1내면부와 상기 제 1내면연장면 사이 경계 변에는 상기 전개시트가 조립될 경우 상기 제 4결합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 4관통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개시트는 상기 제 1내면부의 면 상에 관통되어 형성된 제 1통풍부, 상기 제 1받침면의 면 상에 관통되어 형성된 제 2-1통풍부, 및 상기 제 1덮개면의 면 상에 관통되어 형성되되 상기 전개시트가 조립되면 상기 제 2-1통풍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 2-2통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개시트는 상기 제 2받침면 상에서 상기 제 2연결면부와 대향하는 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내측에 복수의 접이선이 형성된 제 2받침면 연장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개시트는 상기 제 1연결면부는 면 상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날개, 및 상기 제 2연결면부는 면상에 형성되고, 상기 전개시트가 조립되어 상기 제 1조립체와 상기 제 2조립체가 상보적으로 결합될 때, 상기 결합날개가 관통하여 결합되기 위해 관통된 영역으로 형성되는 결합공을 더 포함하되, 상기 결합날개는 상기 제 1연결면부의 면 상에서 일 변이 상기 제 1연결면부에 제 1접이선으로 구분되어 연결된 중심결합날개, 및 상기 중심결합날개에서 상기 제 1접이선과 연결되어 절곡된 양단에 제 2접이선으로 구분되어 상기 중심결합날개에 연결되고 상기 제 2연결면부와는 절개선으로 구분되는 사이드결합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개시트는 상기 제 1외면부 및 제 2외면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보조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지지부는 상기 제 1외면부 또는 제 2외면부의 면 상에서 일 변이 접이선으로 구분되어 연결되고, 나머지 변은 절개선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개시트는 상기 제 1연결면부의 면상에서 일 변이 상기 제 1외면부와 경계에서 접이선으로 구분되고 나머지 부분이 상기 제 1연결면부의 면 상에서 절개선으로 구분된 제 1돌출 조립체연결부, 및 상기 제 2연결면부의 면상에서 상기 제 2외면부와 경계에서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 1함몰 조립체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개시트가 조립되어 상기 제 1조립체와 상기 제 2조립체가 상보적으로 결합될 때, 상기 제 1조립체의 제 1돌출 조립체연결부가 상기 제 2조립체의 제 1함몰 조립체연결부에 관통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개시트는 상기 제 1연결면부의 면상에서 일 변이 상기 제 1내면부와 경계에서 접이선으로 구분되고 나머지 부분이 상기 제 1연결면부의 면 상에서 절개선으로 구분된 제 2돌출 조립체연결부, 및 상기 제 2연결면부의 면상에서 상기 제 2내면부와 경계에서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 2함몰 조립체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개시트가 조립되어 상기 제 1조립체와 상기 제 2조립체가 상보적으로 결합될 때, 상기 제 1조립체의 제 2돌출 조립체연결부가 상기 제 2조립체의 제 2함몰 조립체연결부에 관통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개시트는 상기 제 2내면부는 상변과 하변에 연결되는 제 2받침면, 상기 제 2받침면과 접이선으로 구분되어 연결되는 보조 연결면, 상기 보조 연결면과 접이선으로 구분되어 연결되는 보조 덮개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연결면은 상기 제 2받침면이 상기 제 2내면부와 연결되는 변과 대향하는 상기 제 2받침면의 변 상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보조 덮개면은 상기 보조 연결면이 상기 제 2받침면과 연결되는 변과 대향하는 상기 보조 연결면의 변 상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개시트는 상기 제 2내면부와 상기 제 2받침면 사이 경계에 형성된 제 2받침면 관통부, 상기 보조 연결면 상에서 절개선으로 구분되되 일단이 상기 제 2받침면과 상기 보조 연결면 경계에서 접이선으로 구분된 보조 연결면 조립부, 상기 보조 덮개면 상에서 절개선으로 구분되되 일단이 상기 보조 연결면과 상기 보조 덮개면 경계에서 접이선으로 구분된 보조 덮개면 제 1조립부, 상기 보조 덮개면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보조 덮개면 제 2조립부, 상기 제 2외면부와 상기 제 2덮개면 경계의 일부가 관통되어 형성되되 상기 전개시트가 조립되면 상기 보조 연결면 조립부가 결합되는 제 2보조 관통부, 및 상기 제 1내면부와 상기 제 1받침면 경계의 일부가 관통되어 형성되되 상기 전개시트가 조립되면 상기 보조 덮개면 제 2조립부가 결합되는 제 3보조 관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박스는 단일 시트(sheet)로 형성되는 제 1조립체와 제 2조립체가 서로 상보적으로 배치되어 결합함으로써 외형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이중 구조의 박스로서, 상기 제 1조립체 또는 상기 제 2조립체는 제 1외면부, 상기 제 1외면부의 일 측변에 결합된 제 2외면부, 상기 제 1외면부의 타 측변에 결합된 제 1연결면부, 상기 제 1연결면부의 타 측변에 결합된 제 1내면부, 상기 제 2외면부의 일 측변에 결합된 제 2연결면부, 상기 제 2연결면부의 일 측변에 결합된 제 2내면부, 상기 제 1내면부의 상변과 하변에 연결된 복수개의 제 1받침면, 상기 제 2내면부의 상변과 하변에 연결된 복수개의 제 2받침면, 상기 제 1외면부의 상변과 하변에 연결된 복수개의 제 1덮개면, 및 상기 제 2외면부의 상변과 하변에 연결된 복수개의 제 2덮개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 1연결면부는 평면형상이 상기 제 1외면부와 연결되는 일 변이 상기 제 1내면부와 연결되는 타 변에 비해 더 길이가 길도록 형성된 사다리꼴 형상이고, 상기 제 2연결면부는 평면형상이 상기 제 2외면부와 연결되는 타 변이 상기 제 2내면부와 연결되는 일 변에 비해 더 길이가 길도록 형성된 사다리꼴 형상이며, 상기 제 1조립체와 상기 제 2조립체의 결합하여 이들의 상기 제 1외면부 및 상기 제 2외면부에 의해 4면으로 구성된 외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연결면부 및 상기 제 2연결면부에 의해 상기 외면부의 내측에 상기 외면부와 이격되고 상기 제 1내면부 및 상기 제 2내면부에 의해 4면으로 구성된 내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덮개면 및 상기 제 2덮개면에 의해 상기 외면부의 상측 및 하측이 모두 커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구조의 박스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는 박스 내부에 제품을 보다 안정적으로 보관하여 배송 중 파손의 발생을 최소화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종이 부재 이외에 타부재의 사용을 최소화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하면서도 부대비용 및 노동력 투입을 최소화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중 구조를 가져 내부에 수용된 제품을 매우 안정적으로 보관하면서도 통기성을 확보하여 내부에 수용된 제품의 신선도를 유지시켜줄 수 있다.
또한, 박스를 구성하는 구성품들의 세트를 시트(sheet) 상의 종이로 형성하며, 타 구성을 최소화하여 대량생산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박스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중 일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개시트를 조립하였을 경우의 이중 구조 박스의 일 조립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박스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중 일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전개시트를 조립하였을 경우의 이중 구조 박스의 일 조립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박스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중 일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조립된 조립체 2개를 서로 상보적으로 결합하였을 경우 완성된 이중 구조의 박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조립된 조립체 2개를 서로 상보적으로 결합하였을 경우 완성된 이중 구조의 박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조립된 이중 구조의 박스에서 상면 덮개부와 하면 덮개부를 생략하고 내부 구조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조립된 이중 구조의 박스를 상면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박스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중 일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전개시트를 2개 조립한 조립체를 상보적으로 결합하였을 경우의 이중 구조 박스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박스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중 일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전개시트를 조립하였을 경우의 이중 구조 박스의 일 조립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박스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중 일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전개시트를 조립하였을 경우의 이중 구조 박스의 일 조립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박스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중 일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전개시트를 조립하였을 경우의 이중 구조 박스의 일 조립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박스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중 일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도 19의 전개시트를 조립하였을 경우의 이중 구조 박스의 일 조립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박스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중 일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전개시트를 조립하였을 경우의 이중 구조 박스의 일 조립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박스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중 일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전개시트를 조립하였을 경우의 이중 구조 박스의 일 조립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개시트를 조립하였을 경우의 이중 구조 박스의 일 조립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박스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중 일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전개시트를 조립하였을 경우의 이중 구조 박스의 일 조립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박스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중 일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조립된 조립체 2개를 서로 상보적으로 결합하였을 경우 완성된 이중 구조의 박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조립된 조립체 2개를 서로 상보적으로 결합하였을 경우 완성된 이중 구조의 박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조립된 이중 구조의 박스에서 상면 덮개부와 하면 덮개부를 생략하고 내부 구조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조립된 이중 구조의 박스를 상면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박스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중 일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전개시트를 2개 조립한 조립체를 상보적으로 결합하였을 경우의 이중 구조 박스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박스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중 일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전개시트를 조립하였을 경우의 이중 구조 박스의 일 조립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박스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중 일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전개시트를 조립하였을 경우의 이중 구조 박스의 일 조립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박스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중 일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전개시트를 조립하였을 경우의 이중 구조 박스의 일 조립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박스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중 일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도 19의 전개시트를 조립하였을 경우의 이중 구조 박스의 일 조립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박스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중 일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전개시트를 조립하였을 경우의 이중 구조 박스의 일 조립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박스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중 일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전개시트를 조립하였을 경우의 이중 구조 박스의 일 조립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면"은 공간적으로 일 방향으로의 면을 의미하고, "타면"은 공간적으로 상기 "일면"과는 반대되는 면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들 또한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비록 제 1, 제 2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이하에서 설명할 전개시트의 도면들 중 점선으로 표기된 사항들은 별도의 설명이 없더라도 접이선 또는 접기 용이하도록 다른 영역들에 비해 두께가 얇은(즉, 일부 함몰된) 선으로 이해하면 될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박스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중 일 조립체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도 1의 전개시트를 조립하였을 경우의 이중 구조 박스의 일 조립체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제 1조립체와 제 2조립체가 서로 상보적으로 배치되어 결합함으로써 외형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이중 구조의 박스를 제조하기 위한 상기 제 1조립체 또는 상기 제 2조립체의 전개시트로서, 상기 전개시트는 제 1외면부(100), 상기 제 1외면부(100)의 일 측변에 결합된 제 2외면부(200), 상기 제 1외면부(100)의 타 측변에 결합된 제 1연결면부(500), 상기 제 1연결면부(500)의 타 측변에 결합된 제 1내면부(300), 상기 제 2외면부(200)의 일 측변에 결합된 제 2연결면부(600), 상기 제 2연결면부(600)의 일 측변에 결합된 제 2내면부(400), 상기 제 1내면부(300)의 상변과 하변에 연결된 복수개의 제 1받침면(350), 상기 제 2내면부(400)의 상변과 하변에 연결된 복수개의 제 2받침면(450), 상기 제 1외면부(100)의 상변과 하변에 연결된 복수개의 제 1덮개면(150), 및 상기 제 2외면부(200)의 상변과 하변에 연결된 복수개의 제 2덮개면(250)을 포함하되, 상기 전개시트는 단일의 시트(Sheet)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단일의 시트에 의해 형성되는 전개시트는 하나의 제 1조립체 또는 제 2조립체를 구성하며, 제 1조립체와 제 2조립체는 서로 상보적으로 제 1연결면부(500)와 제 2연결면부(600)가 마주하며 결합될 수 있다. 즉, 제 1조립체의 제 1연결면부(500)가 제 2조립체의 제 2연결면부(600)와 마주하고, 제 2조립체의 제 1연결면부(500)가 제 1조립체의 제 2연결면부(600)와 마주하여 결합됨으로써, 이중 구조의 박스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내부에 수용된 제품이나 물건 등이 배송 중 혹은 보관 중에 외부 충격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들 제 1조립체 및 제 2조립체의 결합은 사용자가 편의에 따라 이들을 서로 마주보게 한 후 측면을 접착 테이프 등으로 둘러 싸게하여 결합하거나, 후술할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 의해 별도의 접착 테이프 없이도 결합할 수 있다. 이후 제 1덮개면(150)과 제 2덮개면(250)을 덮어 상면과 하면이 모두 밀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 1외면부(100)는 사각형 형상으로 구성되어 후에 이중 구조의 박스에서 외측면에 형성되는 일면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외면부(200)도 사격형 형상으로 구성되어 이중 구조의 박스에서 외측면의 다른 면을 구성할 수 있고, 제 1외면부(100)의 일 측변에 결합되어 접이선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하였다시피, 이중 구조의 박스는 상기 전개시트로 구성되는 2개의 조립체를 조립하여 형성되기에, 각각의 조립체의 제 1외면부(100)와 제 2외면부(200)는 서로 대향하게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박스의 외부측면부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외면부(100)의 타 측변에는 제 1연결면부(500)가 결합되고, 제 1연결면부(500)는 내측에 형성될 내면부의 구성 중 하나인 제 1내면부(300)가 제 1외면부(100)와 이격되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내면부로 구성되는 내측 박스는 외면부로 구성되는 외측 박스와 제 1연결면부(500)에 의해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내면부(300)는 상기 제 1연결면부(500)의 타 측변에 결합된다.
한편, 상기 제 2연결면부(600)는 상기 제 2외면부(200)의 일 측변에 결합되고, 제 2내면부(400)는 상기 제 2연결면부(600)의 일 측변에 결합되고 제 2연결면부(600)에 따라 상기 제 2내면부(400)는 상기 제 2외면부(200)에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결국, 제 1외면부(100) 및 제 2외면부(200)는 이들 사이를 구분하는 접이선에 의해 ㄱ자 형상으로 접히고, 이들 내측에 유사한 형태로 제 1내면부(300)와 제 2내면부(400)가, 제 1연결면부(500) 및 제 2연결면부(600)에 의해 제 1외면부(100) 및 제 2외면부(200)의 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동일하게 ㄱ자 형상을 형성하되, 최종적으로는 제 1외면부(100) 및 제 2외면부(200)와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어, 이들 사이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면서, 제 1연결면부(500)와 제 2연결면부(600)에 의해 제 1조립체와 제 2조립체를 결합하여 측면 부분이 외부로부터 밀봉되면서 이중 구조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내면부(300)의 상변과 하변에는 복수개의 제 1받침면(350)이 연결되고, 상기 제 2내면부(400)의 상변과 하변에는 복수개의 제 2받침면(450)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외면부(100)로부터 제 1내면부(300)가 제 1연결면부(500)에 의해 이격될 때에 보다 안정적으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제 2외면부(200)로부터 제 2내면부(400)가 제 2연결면부(600)에 의해 이격될 때에 보다 안정적으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외면부(100)의 상변과 하변에는 복수개의 제 1덮개면(150)이 연결되고 상기 제 2외면부(200)의 상변과 하변에는 복수개의 제 2덮개면(250)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덮개면(150)과 제 2덮개면(250)은 제 1외면부(100)와 제 2외면부(200)가 접힌 상태에서 덮으면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중 구조를 형성하는 박스의 상면과 하면에 개방된 부분을 커버하여 덮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이중 구조의 박스를 형성할 때에 개방된 상면과 하면을 모두 커버하기 위해 상기 제 1덮개면(150)의 세로길이는 상기 제 2외면부(200)의 가로길이에 비해 같거나 더 크거나, 상기 제 2덮개면(250)의 세로길이는 상기 제 1외면부(100)의 가로길이에 비해 같거나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중 구조의 박스가 조립된 후 상단부와 하단부에 오픈(개방)된 공간을 제 1덮개면(150)과 제 2덮개면(250) 중 하나가 모두 커버하도록 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으로 내측에 수용된 제품을 보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연결면부(500)는 평면형상이 상기 제 1외면부(100)와 연결되는 일 변이 상기 제 1내면부(300)와 연결되는 타 변에 비해 더 길이가 길도록 형성된 사다리꼴 형상이고, 상기 제 2연결면부(600)는 평면형상이 상기 제 2외면부(200)와 연결되는 타 변이 상기 제 2내면부(400)와 연결되는 일 변에 비해 더 길이가 길도록 형성된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중 구조의 박스를 형성할 때에 외면부에 형성되는 제 1외면부(100) 및 제 2외면부(200)의 면적 대비 제 1내면부(300) 및 제 2내면부(400)의 면적이 작게 형성되면서 모두 포함되도록 형성할 수 있고, 제 1연결면부(500)와 제 2연결면부(600)의 사다리꼴 형상에 의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보다 우수한 내구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즉, 단순히 제 1외면부(100) 및 제 2외면부(200)와 제 1내면부(300) 및 제 2내면부(400)가 동일하게 형성되면서 제 1연결면부(500)와 제 2연결면부(600)가 단순 직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경우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이중 박스의 구조가 파손될 수 있는데, 제 1연결면부(500)와 제 2연결면부(600)가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면서 이중 박스의 중심부로 갈수록 면적을 적게 하여 이중 박스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전개시트는 상기 제 1내면부(300)의 타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내면연장면(390), 및 상기 제 2내면부(400)의 일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2내면연장면(49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내면연장면(390) 및 상기 제 2내면연장면(490)는 상기 전개시트가 조립될 경우 서로 마주하여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제 1내면연장면(390) 및 제 2내면연장면(490)은 서로 마주하여 접착되어, 외면부(제 1외면부와 제 2외면부에 의해 형성되는)와 이격된 내면부(제 1내면부와 제 2내면부에 의해 형성되고, 제 1 및 2연결면부에 의해 이격된)가 이격된 상태로 이들 사이에 일정 공간이 확보된 상태로 보다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비제한적으로, 상기 전개시트는 상기 제 1받침면(350) 및 상기 제 2받침면(450)은 각각 외측으로 돌출된 접합부(360, 4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합부는 상기 전개시트가 조립되면 상기 제 1받침면의 접합부(360)는 상기 제 1외면부(100)의 면에 접합되고, 상기 제 2받침면의 접합부(460)는 상기 제 2외면부(200)의 면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면부가 외면부와 이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박스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중 일 조립체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도 3의 전개시트를 조립하였을 경우의 이중 구조 박스의 일 조립체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상기 제 1받침면(351)은 상기 제 1내면부(300)와 연결되는 변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제 1받침면(351)과 상기 제 1연결면부(500)와 결합되는 변이 연장된 가상의 제 1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1외면부(100)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2받침면(451)은 상기 제 2내면부(400)와 연결되는 변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제 2받침면(451)과 상기 제 2연결면부(600)와 결합되는 변이 연장된 가상의 제 2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2외면부(200)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받침면(351)이 제 1외면부(100)에 접합될 때에 상측과 하측 방향에서 보았을 때 내면부와 외면부 사이 공간에 이격된 공간을 최소화하도록 할 수 있고, 제 2받침면(451)이 제 2외면부(200)에 접합될 때에 상측과 하측 방향에서 보았을 때 내면부와 외면부 사이 공간에 이격된 공간을 최소화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받침면(351)의 평면형상은 상기 제 1내면부(300)와 연결되는 변에 비해 이와 대향하는 위치의 변이 더 길게 형성된 사다리꼴의 형상이며, 상기 제 2받침면(451)의 평면형상의 상기 제 2내면부(400)와 연결되는 변에 비해 이와 대향하는 위치의 변이 더 길게 형성된 사다리꼴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 1내면부(300)는 제 1외면부(100)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면서 제 1외면부(100)의 평면 내에 모두 포함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고, 제 2내면부(400)는 제 2외면부(200)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면서 제 2외면부(200)의 평면 내에 모두 포함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전개시트가 조립되면 제 1내면부(300)는 상기 제 1외면부(100)와 면과 면이 마주하게 되면서 사다리꼴 형상의 제 1연결면부(500)에 의해 제 1외면부(100)의 평면 내측에 포함되는 위치에 배치되게 되고, 제 2내면부(400)는 상기 제 2외면부(200)와 면이 마주하게 되면서 상기 제 2외면부(200)와 면과 면이 마주하게 되면서 사다리꼴 형상의 제 2연결면부(600)에 의해 제 2외면부(200)의 평면 내측에 포함되는 위치에 배치되게 되어 외부 충격에도 파손에 강한 상태의 안정적인 이중 구조 박스 형태를 취하게 되는데, 제 1받침면(351)과 제 2받침면(451)의 형태를 상기와 같이 함으로써, 이러한 배치 형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박스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중 일 조립체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전개시트는 상기 제 1받침면(351)은 상기 제 1내면부(300)와 접하는 변과 대향하는 외측변에 돌출되어 형성된 제 1결합부(355), 상기 제 1내면 연장면(390)은 상기 제 1내면부(300)와 접하는 변과 대향하는 외측변에 돌출되어 형성된 제 2결합부(395), 상기 제 2받침면(451)은 상기 제 2내면부(300)와 접하는 변과 대향하는 외측변에 돌출되어 형성된 제 3결합부(455), 상기 제 2내면 연장면(490)은 상기 제 2내면부(400)와 접하는 변과 대향하는 외측변에 돌출되어 형성된 제 4결합부(495), 상기 제 1외면부(100)와 상기 제 1덮개면(150) 사이 경계 변에는 상기 전개시트가 조립될 경우 상기 제 1결합부(355)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 1관통 결합부(155), 상기 제 1외면부(100)의 면 상에는 상기 전개시트가 조립될 경우 상기 제 2결합부(395)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 2관통 결합부(105), 상기 제 2외면부(200)와 상기 제 2덮개면(250) 사이 경계 변에는 상기 전개시트가 조립될 경우 상기 제 3결합부(455)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 3관통 결합부(255), 및 상기 제 1내면부(300)와 상기 제 1내면연장면(390) 사이 경계 변에는 상기 전개시트가 조립될 경우 상기 제 4결합부(495)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 4관통 결합부(38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결합부가 각각의 관통 결합부에 결합하여 제 1조립체나 제 2조립체를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접착제나 접착 테이프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조립체를 구성할 수 있어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조립된 조립체 2개를 서로 상보적으로 결합하였을 경우 완성된 이중 구조의 박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본 발명의 전개시트가 조립되는 형태에 따라 이중 구조를 형성하는 박스의 상단은 수평면에 평행하게 평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조립체(1001-A)와 제 2조립체(1001-B)가 서로 상보적으로 제 1연결면부(500)와 제 연결면부(600)를 마주한 상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외면부와 내면부가 이격된 이중 구조의 박스를 형성하는 제 1받침면(351)과 제 2받침면(451)은 수평면에 대해 평평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연결면부(500)와 제 2연결면부(600)는 직사각형 형상이고, 제 1받침면(351)과 제 2받침면(451)은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조립된 조립체 2개를 서로 상보적으로 결합하였을 경우 완성된 이중 구조의 박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6과 달리 본 발명의 전개시트가 조립되는 형태에 따라 이중 구조를 형성하는 박스의 상단은 수평면에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내측으로 갈수록 상단면과 하단면이 중심부로 기울어지도록 할 수 있고, 이중 구조로 형성되는 박스이 내면부가 덮개부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도 1 및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연결면부(500)와 제 2연결면부(600)가 사다리꼴이면서 제 1받침면(351)과 제 2받침면(451)은 사다리꼴 형상일 경우, 외면부에서 내면부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외부 충격을 효율적으로 흡수하여 이중 구조의 박스 형태가 파손되지 않고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조립된 이중 구조의 박스에서 상면 덮개부와 하면 덮개부를 생략하고 내부 구조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조립된 이중 구조의 박스를 상면에서 바라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 및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개시트가 조립되는 형태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2개의 조립체(1001-A, 1001-B)가 조립되면 내측에 위치하는 제 1내면부는 서로 마주보고, 제 2내면부도 서로 대향하여 마주보도록 하여 위아래가 개방된 형태의 직육면체 형태의 내면부를 구성할 수 있고, 외측에는 제 1외면부가 서로 마주하고, 제 2외면부도 서로 마주하도독 하여 내면부 외측을 둘러싼 형태의 직육면체 형태의 외면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내면부와 외면부 사이에는 연결면부에 의해 연결이 되면서 서로 이격이 되고, 받침면들에 의해 이러한 이격된 공간이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면과 하면에 개방된 부분은 물품을 내측에 수용한 이후 제 1덮개부와 제 2덮개부를 덮음으로써 외부로부터 내부 수용물이 손상되지 않도록 밀봉할 수 있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박스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중 일 조립체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1에는 도 10의 전개시트를 2개 조립한 조립체를 상보적으로 결합하였을 경우의 이중 구조 박스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 및 11을 참조하면, 상기 전개시트는 상기 제 1내면부(302)의 면 상에 관통되어 형성된 제 1통풍부(310), 상기 제 1받침면(351)의 면 상에 관통되어 형성된 제 2-1통풍부(370), 및 상기 제 1덮개면(152)의 면 상에 관통되어 형성되되 상기 전개시트가 조립되면 상기 제 2-1통풍부(370)와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 2-2통풍부(1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통풍부(310)는 제 1내면부(301)의 면상에 형성되어 내측에 수용된 제품에 통기성을 가할 수 있고, 제 2-1통풍부(370)와 제 2-2통풍부(170)는 상단에 위치하는 제 1받침면(351)과 제 1덮개면(152)에 서로 대응하도록 형성하여 내부에 수용된 제품에 통기성을 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박스를 파지하는 경우 측면에서 파지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제 2-1통풍부(370)와 제 2-2통풍부(170)를 상단에 설치함으로써, 박스의 외면부 혹은 내면부에 손상이 가해지는 것을 최소화하고, 제 1내면부(302)에 형성된 제 1통풍부(310)를 통해 측면으로 연통하는 공기가 상단에 위치하는 제 2-1통풍부(370) 및 제 2-2통풍부(170)를 통해 외부와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박스에 손상이 가해지는 것을 최소화하면서도 전체적으로 밀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과일, 채소와 같은 신선식품을 배송하는 경우 보다 신선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배송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2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박스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중 일 조립체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3에는 도 12의 전개시트를 조립하였을 경우의 이중 구조 박스의 일 조립체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 및 13을 참조하면, 상기 제 2받침면(453) 상에서 상기 제 2연결면부(603)와 대향하는 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내측에 복수의 접이선이 형성된 제 2받침면 연장면(47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접이선이 형성된 제 2받침면 연장면(473)을 형성함으로써, 도 13에서와 같이 제 1받침면(353)과 제 2받침면(45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빈 공간이나, 이격된 부분을 보다 밀착하여 접착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박스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중 일 조립체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5에는 도 14의 전개시트를 조립하였을 경우의 이중 구조 박스의 일 조립체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4 및 15를 참조하면, 상기 전개시트는 상기 제 1연결면부(504)는 면 상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날개(540), 및 상기 제 2연결면부(604)는 면상에 형성되고, 상기 전개시트가 조립되어 상기 제 1조립체와 상기 제 2조립체가 상보적으로 결합될 때, 상기 결합날개(540)가 관통하여 결합되기 위해 관통된 영역으로 형성되는 결합공(6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날개(540)는 상기 제 1연결면부(504)에 일단이 연결된 상태로 제 1연결면부(504)의 평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접힐 수 있으며, 상기 제 2연결면부(604)에 형성된 결합공(640)에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조립체와 제 2조립체가 서로 상보적으로 결합될 때에 별도의 테이프나 접착제가 없더라도 물리적인 결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날개(540)는 상기 제 1연결면부(504)의 면 상에서 일 변이 상기 제 1연결면부(504)에 제 1접이선으로 구분되어 연결된 중심결합날개(541), 및 상기 중심결합날개(541)에서 상기 제 1접이선과 연결되어 절곡된 양단에 제 2접이선으로 구분되어 상기 중심결합날개(541)에 연결되고 상기 제 2연결면부(604)와는 절개선으로 구분되는 사이드결합날개(54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중심결합날개(541)의 일단은 제 1연결면부(504)의 일부가 절개된 부분에 의해 형성된 것이고, 일 변만이 제 1연결면부(504)에 제 1접이선으로 구분되어 연결되어 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접힐 수 있고, 다시 중심결합날개(541)를 기준으로 제 1연결면부(504)에 연결된 변과 인접하는 양 변에 사이드결합날개(542)가 제 2접이선으로 구분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사이드결합날개(542)는 제 2접이선을 제외한 부분은 모두 절개선으로 구분되어 결국 중심결합날개(541)는 하나의 변만이 제 1연결면부(504)에 결합된 상태이고, 사이드결합날개(542)는 하나의 변만이 중심결합날개(541)에 결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연결면부(504)의 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중심결합날개(541)를 절곡시켜 돌출되도록 할 수 있고, 사이드결합날개(542)를 다시 양측으로 절곡하여 결합날개(540)가 결합공(640)에 결합되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결합날개(542)는 중심결합날개(541)의 상단과 하단에 모두 배치되어 결합날개(540)가 결합공(640)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박스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중 일 조립체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7에는 도 16의 전개시트를 조립하였을 경우의 이중 구조 박스의 일 조립체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6 및 17을 참조하면, 상기 전개시트는 상기 제 1외면부(104) 및 제 2외면부(204)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보조지지부(140, 2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지지부(140, 240)는 상기 제 1외면부(104) 또는 제 2외면부(204)의 면 상에서 일 변이 접이선으로 구분되어 연결되고, 나머지 변은 절개선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이선을 기준으로 보조지지부(140, 240)를 제 1외면부(104) 및/또는 제 2외면부(204)의 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접을 수 있고, 내면부에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 1내면부(304) 및/또는 제 2내면부(404)의 면을 지지하여 내면부와 외면부의 이격된 부분이 외력에 의해 접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내부에 수용된 제품이나 물건이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박스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중 일 조립체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9에는 도 18의 전개시트를 조립하였을 경우의 이중 구조 박스의 일 조립체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8 및 19를 참조하면, 상기 전개시트는 상기 제 1연결면부(504)의 면 상에서 일 변이 상기 제 1외면부(104)와 경계에서 접이선으로 구분되고 나머지 부분이 상기 제 1연결면부(504)의 면 상에서 절개선으로 구분된 제 1돌출 조립체연결부(550), 및 상기 제 2연결면부(650)의 면상에서 상기 제 2외면부(204)와 경계에서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 1함몰 조립체연결부(6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개시트가 조립되어 상기 제 1조립체와 상기 제 2조립체가 상보적으로 결합될 때, 상기 제 1조립체의 제 1돌출 조립체연결부(550)가 상기 제 2조립체의 제 1함몰 조립체연결부(650)에 관통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1조립체와 제 2조립체가 상보적으로 결합될 때에 제 1조립체 및 제 2조립체 중 하나의 제 1돌출 조립체연결부(550)가 제 2조립체 및 제 1조립체 중 하나의 제 1함몰 조립체연결부(650)에 관통하여 간단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0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박스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중 일 조립체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1에는 도 20의 전개시트를 조립하였을 경우의 이중 구조 박스의 일 조립체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0 및 21을 참조하면, 상기 전개시트는 상기 제 1연결면부(504)의 면상에서 일 변이 상기 제 1내면부(304)와 경계에서 접이선으로 구분되고 나머지 부분이 상기 제 1연결면부(504)의 면 상에서 절개선으로 구분된 제 2돌출 조립체연결부(560), 및 상기 제 2연결면부(650)의 면상에서 상기 제 2내면부(404)와 경계에서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 2함몰 조립체연결부(6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개시트가 조립되어 상기 제 1조립체와 상기 제 2조립체가 상보적으로 결합될 때, 상기 제 1조립체의 제 2돌출 조립체연결부(560)가 상기 제 2조립체의 제 2함몰 조립체연결부(660)에 관통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22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박스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중 일 조립체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3에는 도 22의 전개시트를 조립하였을 경우의 이중 구조 박스의 일 조립체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2 및 23을 참조하면, 상기 전개시트는 상기 제 2내면부(404)는 상변과 하변에 연결되는 제 2받침면(710), 상기 제 2받침면(710)과 접이선으로 구분되어 연결되는 보조 연결면(720) 상기 보조 연결면(720)과 접이선으로 구분되어 연결되는 보조 덮개면(8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연결면(720)은 상기 제 2받침면(710)이 상기 제 2내면부(404)와 연결되는 변과 대향하는 상기 제 2받침면(710)의 변 상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보조 덮개면(800)은 상기 보조 연결면(720)이 상기 제 2받침면(710)과 연결되는 변과 대향하는 상기 보조 연결면(720)의 변 상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2받침면(710)과 보조 연결면(720)은 접이선으로 구분되어 접힐 수 있고 제 2받침면(710)과 보조 연결면(720)은 동일한 크기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개시트가 조립되면 상기 보조 연결면(720)은 접이선에 의해 접혀져 상기 제 2받침면(710)과 완전히 중첩되고 보조 연결면(720)에 연결된 보조 덮개면(800)은 내면부를 형성하는 제 1내면부(304)와 제 2내면부(404), 그리고 제 1받침면(354)과 제 2받침면(710)의 상부와 하부의 개방된 부분을 커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면부는 보조 덮개면(800)이 상하부로 커버하고, 이와 이격된 제 1덮개면(154)과 제 2덮개면(254)에 의해 외면부의 상하부 개방된 부분을 커버하여 직육면체로 이중 구조를 형성하는 박스의 모든 부분을 이중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개시트는 상기 제 2내면부(404)와 상기 제 2받침면(710) 사이 경계에 형성된 제 2받침면 관통부(715), 상기 보조 연결면(720) 상에서 절개선으로 구분되되 일단이 상기 제 2받침면(710)과 상기 보조 연결면(720) 경계에서 접이선으로 구분된 보조 연결면 조립부(725), 상기 보조 덮개면(800) 상에서 절개선으로 구분되되 일단이 상기 보조 연결면(720)과 상기 보조 덮개면(800) 경계에서 접이선으로 구분된 보조 덮개면 제 1조립부(805), 상기 보조 덮개면(800)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보조 덮개면 제 2조립부(815), 상기 제 2외면부(204)와 상기 제 2덮개면(254) 경계의 일부가 관통되어 형성되되 상기 전개시트가 조립되면 상기 보조 연결면 조립부(725)가 결합되는 제 2보조 관통부(225), 및 상기 제 1내면부(104)와 상기 제 1받침면(354) 경계의 일부가 관통되어 형성되되 상기 전개시트가 조립되면 상기 보조 덮개면 제 2조립부(815)가 결합되는 제 3보조 관통부(31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면부의 상부와 하부의 개방된 부분을 별도로 커버하는 보조 덮개면(800)이 정위치에 안정적으로 안착 및 고정되어 내면부의 상부와 하부를 커버하면서도 외측에 위치하는 제 1덮개면(154)과 제 2덮개면(254)과는 서로 접촉하지 않고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측면 쪽 뿐만 아니라 상하쪽도 이중 구조로 형성된 박스를 제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전개시트를 이용하여 제작된 제 1조립체와 제 2조립체가 서로 상보적으로 배치되어 결합함으로써 외형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이중 구조의 박스를 제공하며, 이하에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전개시트에 더하여 제작된 이중 구조의 박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 이중 구조의 박스에 대한 설명은 상기에서 설명하였던 도면들의 일부를 다시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이중 구조의 박스에 대한 설명 중 상기 전개시트를 통해 설명하였던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일부 생략하기로 한다.
다시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중 구조의 박스는 단일 시트(sheet)로 형성되는 제 1조립체와 제 2조립체가 서로 상보적으로 배치되어 결합함으로써 외형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이중 구조의 박스로서, 상기 제 1조립체 또는 상기 제 2조립체는 제 1외면부(100), 상기 제 1외면부의 일 측변에 결합된 제 2외면부(200), 상기 제 1외면부(100)의 타 측변에 결합된 제 1연결면부(500), 상기 제 1연결면부의 타 측변에 결합된 제 1내면부(300), 상기 제 2외면부의 일 측변에 결합된 제 2연결면부(600), 상기 제 2연결면부(600)의 일 측변에 결합된 제 2내면부(400), 상기 제 1내면부의 상변과 하변에 연결된 복수개의 제 1받침면(350), 상기 제 2내면부의 상변과 하변에 연결된 복수개의 제 2받침면(450), 상기 제 1외면부(100)의 상변과 하변에 연결된 복수개의 제 1덮개면(150), 및 상기 제 2외면부(200)의 상변과 하변에 연결된 복수개의 제 2덮개면(250)을 포함하되, 상기 제 1연결면부는 평면형상이 상기 제 1외면부(100)와 연결되는 일 변이 상기 제 1내면부(300)와 연결되는 타 변에 비해 더 길이가 길도록 형성된 사다리꼴 형상이고, 상기 제 2연결면부는 평면형상이 상기 제 2외면부(200)와 연결되는 타 변이 상기 제 2내면부(400)와 연결되는 일 변에 비해 더 길이가 길도록 형성된 사다리꼴 형상이며, 상기 제 1조립체와 상기 제 2조립체의 결합하여 이들의 상기 제 1외면부 및 상기 제 2외면부에 의해 4면으로 구성된 외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연결면부(500) 및 상기 제 2연결면부(600)에 의해 상기 외면부의 내측에 상기 외면부와 이격되고 상기 제 1내면부(300) 및 상기 제 2내면부(400)에 의해 4면으로 구성된 내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덮개면(150) 및 상기 제 2덮개면(250)에 의해 상기 외면부의 상측 및 하측이 모두 커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도 3 및 4를 참조하면, 상기 제 1받침면(351)은 상기 제 1내면부(300)와 연결되는 변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제 1받침면(351)과 상기 제 1연결면부(500)와 결합되는 변이 연장된 가상의 제 1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1외면부(100)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2받침면(451)은 상기 제 2내면부(400)와 연결되는 변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제 2받침면(451)과 상기 제 2연결면부(600)와 결합되는 변이 연장된 가상의 제 2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2외면부(200)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받침면(351)이 제 1외면부(100)에 접합될 때에 상측과 하측 방향에서 보았을 때 내면부와 외면부 사이 공간에 이격된 공간을 최소화하도록 할 수 있고, 제 2받침면(451)이 제 2외면부(200)에 접합될 때에 상측과 하측 방향에서 보았을 때 내면부와 외면부 사이 공간에 이격된 공간을 최소화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 1받침면(351)의 평면형상은 상기 제 1내면부(300)와 연결되는 변에 비해 이와 대향하는 위치의 변이 더 길게 형성된 사다리꼴의 형상이며, 상기 제 2받침면(451)의 평면형상의 상기 제 2내면부(400)와 연결되는 변에 비해 이와 대향하는 위치의 변이 더 길게 형성된 사다리꼴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 1내면부(300)는 제 1외면부(100)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면서 제 1외면부(100)의 평면 내에 모두 포함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고, 제 2내면부(400)는 제 2외면부(200)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면서 제 2외면부(200)의 평면 내에 모두 포함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중 구조의 박스에서 제 1내면부(300)는 상기 제 1외면부(100)와 면과 면이 마주하게 되면서 사다리꼴 형상의 제 1연결면부(500)에 의해 제 1외면부(100)의 평면 내측에 포함되는 위치에 배치되게 되고, 제 2내면부(400)는 상기 제 2외면부(200)와 면이 마주하게 되면서 상기 제 2외면부(200)와 면과 면이 마주하게 되면서 사다리꼴 형상의 제 2연결면부(600)에 의해 제 2외면부(200)의 평면 내측에 포함되는 위치에 배치되게 되어 외부 충격에도 파손에 강한 상태의 안정적인 이중 구조 박스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제 1받침면(351)과 제 2받침면(451)의 형태를 상기와 같이 함으로써, 이러한 배치 형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 1받침면(351)은 상기 제 1내면부(300)와 접하는 변과 대향하는 외측변에 돌출되어 형성된 제 1결합부(355), 상기 제 1내면 연장면(390)은 상기 제 1내면부(300)와 접하는 변과 대향하는 외측변에 돌출되어 형성된 제 2결합부(395), 상기 제 2받침면(451)은 상기 제 2내면부(300)와 접하는 변과 대향하는 외측변에 돌출되어 형성된 제 3결합부(455), 상기 제 2내면 연장면(490)은 상기 제 2내면부(400)와 접하는 변과 대향하는 외측변에 돌출되어 형성된 제 4결합부(495), 상기 제 1외면부(100)와 상기 제 1덮개면(150) 사이 경계 변에는 상기 제 1결합부(355)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 1관통 결합부(155), 상기 제 1외면부(100)의 면 상에는 상기 제 2결합부(395)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 2관통 결합부(105), 상기 제 2외면부(200)와 상기 제 2덮개면(250) 사이 경계 변에는 상기 제 3결합부(455)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 3관통 결합부(255), 및 상기 제 1내면부(300)와 상기 제 1내면연장면(390) 사이 경계 변에는 상기 제 4결합부(495)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 4관통 결합부(38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결합부가 각각의 관통 결합부에 결합하여 제 1조립체나 제 2조립체를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접착제나 접착 테이프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조립체를 구성할 수 있어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박스는 외면부와 내면부가 이격된 이중 구조의 박스를 형성하는 제 1받침면(351)과 제 2받침면(451)은 수평면에 대해 평평한 형태로 배치되어 상면부와 하면부가 수평면에 대해 모두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박스에서 이중 구조를 형성하는 박스의 상단은 수평면에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내측으로 갈수록 상단면과 하단면이 중심부로 기울어지도록 할 수 있고, 이중 구조로 형성되는 박스이 내면부가 덮개부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1연결면부(500)와 제 2연결면부(600)가 사다리꼴이면서 제 1받침면(351)과 제 2받침면(451)은 사다리꼴 형상이어서 외면부에서 내면부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외부 충격을 효율적으로 흡수하여 이중 구조의 박스 형태가 파손되지 않고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도 10 및 11을 참조하면, 상기 전개시트는 상기 제 1내면부(302)의 면 상에 관통되어 형성된 제 1통풍부(310), 상기 제 1받침면(351)의 면 상에 관통되어 형성된 제 2-1통풍부(370), 및 상기 제 1덮개면(152)의 면 상에 관통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 2-1통풍부(370)와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 2-2통풍부(1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통풍부(310)는 제 1내면부(301)의 면상에 형성되어 내측에 수용된 제품에 통기성을 가할 수 있고, 제 2-1통풍부(370)와 제 2-2통풍부(170)는 상단에 위치하는 제 1받침면(351)과 제 1덮개면(152)에 서로 대응하도록 형성하여 내부에 수용된 제품에 통기성을 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박스를 파지하는 경우 측면에서 파지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제 2-1통풍부(370)와 제 2-2통풍부(170)를 상단에 설치함으로써, 박스의 외면부 혹은 내면부에 손상이 가해지는 것을 최소화하고, 제 1내면부(302)에 형성된 제 1통풍부(310)를 통해 측면으로 연통하는 공기가 상단에 위치하는 제 2-1통풍부(370) 및 제 2-2통풍부(170)를 통해 외부와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박스에 손상이 가해지는 것을 최소화하면서도 전체적으로 밀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과일, 채소와 같은 신선식품을 배송하는 경우 보다 신선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배송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도 12 및 13을 참조하면, 상기 제 2받침면(453) 상에서 상기 제 2연결면부(603)와 대향하는 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내측에 복수의 접이선이 형성된 제 2받침면 연장면(47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접이선이 형성된 제 2받침면 연장면(473)을 형성함으로써, 도 13에서와 같이 제 1받침면(353)과 제 2받침면(45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빈 공간이나, 이격된 부분을 보다 밀착하여 접착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도 14 및 15를 참조하면, 상기 제 1연결면부(504)는 면 상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날개(540), 및 상기 제 2연결면부(604)는 면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 1조립체와 상기 제 2조립체가 상보적으로 결합될 때, 상기 결합날개(540)가 관통하여 결합되기 위해 관통된 영역으로 형성되는 결합공(6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날개(540)는 상기 제 1연결면부(504)에 일단이 연결된 상태로 제 1연결면부(504)의 평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접힐 수 있으며, 상기 제 2연결면부(604)에 형성된 결합공(640)에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조립체와 제 2조립체가 서로 상보적으로 결합될 때에 별도의 테이프나 접착제가 없더라도 물리적인 결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날개(540)는 상기 제 1연결면부(504)의 면 상에서 일 변이 상기 제 1연결면부(504)에 제 1접이선으로 구분되어 연결된 중심결합날개(541), 및 상기 중심결합날개(541)에서 상기 제 1접이선과 연결되어 절곡된 양단에 제 2접이선으로 구분되어 상기 중심결합날개(541)에 연결되고 상기 제 2연결면부(604)와는 절개선으로 구분되는 사이드결합날개(54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중심결합날개(541)의 일단은 제 1연결면부(504)의 일부가 절개된 부분에 의해 형성된 것이고, 일 변만이 제 1연결면부(504)에 제 1접이선으로 구분되어 연결되어 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접힐 수 있고, 다시 중심결합날개(541)를 기준으로 제 1연결면부(504)에 연결된 변과 인접하는 양 변에 사이드결합날개(542)가 제 2접이선으로 구분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사이드결합날개(542)는 제 2접이선을 제외한 부분은 모두 절개선으로 구분되어 결국 중심결합날개(541)는 하나의 변만이 제 1연결면부(504)에 결합된 상태이고, 사이드결합날개(542)는 하나의 변만이 중심결합날개(541)에 결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연결면부(504)의 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중심결합날개(541)를 절곡시켜 돌출되도록 할 수 있고, 사이드결합날개(542)를 다시 양측으로 절곡하여 결합날개(540)가 결합공(640)에 결합되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결합날개(542)는 중심결합날개(541)의 상단과 하단에 모두 배치되어 결합날개(540)가 결합공(640)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도 16 및 17을 참조하면, 상기 전개시트는 상기 제 1외면부(104) 및 제 2외면부(204)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보조지지부(140, 2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지지부(140, 240)는 상기 제 1외면부(104) 또는 제 2외면부(204)의 면 상에서 일 변이 접이선으로 구분되어 연결되고, 나머지 변은 절개선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이선을 기준으로 보조지지부(140, 240)를 제 1외면부(104) 및/또는 제 2외면부(204)의 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접을 수 있고, 내면부에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 1내면부(304) 및/또는 제 2내면부(404)의 면을 지지하여 내면부와 외면부의 이격된 부분이 외력에 의해 접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내부에 수용된 제품이나 물건이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 18 및 19를 참조하면, 상기 제 1연결면부(504)의 면 상에서 일 변이 상기 제 1외면부(104)와 경계에서 접이선으로 구분되고 나머지 부분이 상기 제 1연결면부(504)의 면 상에서 절개선으로 구분된 제 1돌출 조립체연결부(550), 및 상기 제 2연결면부(650)의 면상에서 상기 제 2외면부(204)와 경계에서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 1함몰 조립체연결부(6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조립체와 상기 제 2조립체가 상보적으로 결합될 때, 상기 제 1조립체의 제 1돌출 조립체연결부(550)가 상기 제 2조립체의 제 1함몰 조립체연결부(650)에 관통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1조립체와 제 2조립체가 상보적으로 결합될 때에 제 1조립체 및 제 2조립체 중 하나의 제 1돌출 조립체연결부(550)가 제 2조립체 및 제 1조립체 중 하나의 제 1함몰 조립체연결부(650)에 관통하여 간단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도 20 및 21을 참조하면, 상기 제 1연결면부(504)의 면상에서 일 변이 상기 제 1내면부(304)와 경계에서 접이선으로 구분되고 나머지 부분이 상기 제 1연결면부(504)의 면 상에서 절개선으로 구분된 제 2돌출 조립체연결부(560), 및 상기 제 2연결면부(650)의 면상에서 상기 제 2내면부(404)와 경계에서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 2함몰 조립체연결부(6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조립체와 상기 제 2조립체가 상보적으로 결합될 때, 상기 제 1조립체의 제 2돌출 조립체연결부(560)가 상기 제 2조립체의 제 2함몰 조립체연결부(660)에 관통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시 도 22 및 23을 참조하면, 상기 제 2내면부(404)는 상변과 하변에 연결되는 제 2받침면(710), 상기 제 2받침면(710)과 접이선으로 구분되어 연결되는 보조 연결면(720) 상기 보조 연결면(720)과 접이선으로 구분되어 연결되는 보조 덮개면(8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연결면(720)은 상기 제 2받침면(710)이 상기 제 2내면부(404)와 연결되는 변과 대향하는 상기 제 2받침면(710)의 변 상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보조 덮개면(800)은 상기 보조 연결면(720)이 상기 제 2받침면(710)과 연결되는 변과 대향하는 상기 보조 연결면(720)의 변 상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2받침면(710)과 보조 연결면(720)은 접이선으로 구분되어 접힐 수 있고 제 2받침면(710)과 보조 연결면(720)은 동일한 크기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연결면(720)은 접이선에 의해 접혀져 상기 제 2받침면(710)과 완전히 중첩되고 보조 연결면(720)에 연결된 보조 덮개면(800)은 내면부를 형성하는 제 1내면부(304)와 제 2내면부(404), 그리고 제 1받침면(354)과 제 2받침면(710)의 상부와 하부의 개방된 부분을 커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면부는 보조 덮개면(800)이 상하부로 커버하고, 이와 이격된 제 1덮개면(154)과 제 2덮개면(254)에 의해 외면부의 상하부 개방된 부분을 커버하여 직육면체로 이중 구조를 형성하는 박스의 모든 부분을 이중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내면부(404)와 상기 제 2받침면(710) 사이 경계에 형성된 제 2받침면 관통부(715), 상기 보조 연결면(720) 상에서 절개선으로 구분되되 일단이 상기 제 2받침면(710)과 상기 보조 연결면(720) 경계에서 접이선으로 구분된 보조 연결면 조립부(725), 상기 보조 덮개면(800) 상에서 절개선으로 구분되되 일단이 상기 보조 연결면(720)과 상기 보조 덮개면(800) 경계에서 접이선으로 구분된 보조 덮개면 제 1조립부(805), 상기 보조 덮개면(800)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보조 덮개면 제 2조립부(815), 상기 제 2외면부(204)와 상기 제 2덮개면(254) 경계의 일부가 관통되어 형성되되 상기 보조 연결면 조립부(725)가 결합되는 제 2보조 관통부(225), 및 상기 제 1내면부(104)와 상기 제 1받침면(354) 경계의 일부가 관통되어 형성되되 상기 보조 덮개면 제 2조립부(815)가 결합되는 제 3보조 관통부(31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면부의 상부와 하부의 개방된 부분을 별도로 커버하는 보조 덮개면(800)이 정위치에 안정적으로 안착 및 고정되어 내면부의 상부와 하부를 커버하면서도 외측에 위치하는 제 1덮개면(154)과 제 2덮개면(254)과는 서로 접촉하지 않고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측면 쪽 뿐만 아니라 상하쪽도 이중 구조로 형성된 박스를 제작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101, 102, 103, 104: 제 1외면부
105: 제 2관통 결합부
140, 240: 보조지지부
150: 제 1덮개면
155: 제 1관통결합부
170: 제 2-2통풍부
200, 202, 203, 204: 제 2외면부
225: 제 2보조 관통부
250, 254: 제 2덮개면
255: 제 3관통 결합부
300, 302, 303, 304: 제 1내면부
310: 제 1통풍부
315: 제 3보조 관통부
350, 351, 352, 353, 354: 제 1받침면
355: 제 1결합부
360, 460: 접합부
370: 제 2-1통풍부
390: 제 1내면연장명
385: 제 4관통 결합부
395: 제 2결합부
400, 402, 403, 404: 제 2내면부
450, 451, 452, 453, 454, 710: 제 2받침면
455: 제 3결합부
473: 제 2받침면 연장면
490: 제 2내면연장면
495: 제 4결합부
500, 502, 503, 504: 제 1연결면부
540: 결합날개
541: 중심결합날개
542: 사이드결합날개
550: 제 1돌출 조립체연결부
560: 제 2돌출 조립체연결부
600, 602, 603, 604: 제 2연결면부
640: 결합공
650: 제 1함몰 조립체연결부
660: 제 2함몰 조립체연결부
715: 제 2받침면 관통부
720: 보조 연결면
725: 보조 연결면 조립부
800: 보조 덮개면
805: 제 1조립부
815: 제 2조립부
1000-A, 1001-A, 1003-A: 제 1조립체
1001-B, 1003-B: 제 2조립체
105: 제 2관통 결합부
140, 240: 보조지지부
150: 제 1덮개면
155: 제 1관통결합부
170: 제 2-2통풍부
200, 202, 203, 204: 제 2외면부
225: 제 2보조 관통부
250, 254: 제 2덮개면
255: 제 3관통 결합부
300, 302, 303, 304: 제 1내면부
310: 제 1통풍부
315: 제 3보조 관통부
350, 351, 352, 353, 354: 제 1받침면
355: 제 1결합부
360, 460: 접합부
370: 제 2-1통풍부
390: 제 1내면연장명
385: 제 4관통 결합부
395: 제 2결합부
400, 402, 403, 404: 제 2내면부
450, 451, 452, 453, 454, 710: 제 2받침면
455: 제 3결합부
473: 제 2받침면 연장면
490: 제 2내면연장면
495: 제 4결합부
500, 502, 503, 504: 제 1연결면부
540: 결합날개
541: 중심결합날개
542: 사이드결합날개
550: 제 1돌출 조립체연결부
560: 제 2돌출 조립체연결부
600, 602, 603, 604: 제 2연결면부
640: 결합공
650: 제 1함몰 조립체연결부
660: 제 2함몰 조립체연결부
715: 제 2받침면 관통부
720: 보조 연결면
725: 보조 연결면 조립부
800: 보조 덮개면
805: 제 1조립부
815: 제 2조립부
1000-A, 1001-A, 1003-A: 제 1조립체
1001-B, 1003-B: 제 2조립체
Claims (15)
- 제 1조립체와 제 2조립체가 서로 상보적으로 배치되어 결합함으로써 외형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이중 구조의 박스를 제조하기 위한 상기 제 1조립체 또는 상기 제 2조립체의 전개시트로서,
상기 전개시트는 제 1외면부;
상기 제 1외면부의 일 측변에 결합된 제 2외면부;
상기 제 1외면부의 타 측변에 결합된 제 1연결면부;
상기 제 1연결면부의 타 측변에 결합된 제 1내면부;
상기 제 2외면부의 일 측변에 결합된 제 2연결면부;
상기 제 2연결면부의 일 측변에 결합된 제 2내면부;
상기 제 1내면부의 상변과 하변에 연결된 복수개의 제 1받침면;
상기 제 2내면부의 상변과 하변에 연결된 복수개의 제 2받침면;
상기 제 1외면부의 상변과 하변에 연결된 복수개의 제 1덮개면; 및
상기 제 2외면부의 상변과 하변에 연결된 복수개의 제 2덮개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 1연결면부는 평면형상이 상기 제 1외면부와 연결되는 일 변이 상기 제 1내면부와 연결되는 타 변에 비해 더 길이가 길도록 형성된 사다리꼴 형상이고,
상기 제 2연결면부는 평면형상이 상기 제 2외면부와 연결되는 타 변이 상기 제 2내면부와 연결되는 일 변에 비해 더 길이가 길도록 형성된 사다리꼴 형상이며,
상기 전개시트는 단일의 시트(Sheet)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시트.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시트는
상기 제 1내면부의 타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내면연장면, 및 상기 제 2내면부의 일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2내면연장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내면연장면 및 상기 제 2내면연장면는 상기 전개시트가 조립될 경우 서로 마주하여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시트.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시트는
상기 제 1받침면 및 상기 제 2받침면은 각각 외측으로 돌출된 접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합부는 상기 전개시트가 조립되면 상기 제 1받침면의 접합부는 상기 제 1외면부의 면에 접합되고, 상기 제 2받침면의 접합부는 상기 제 2외면부의 면에 접합되고,
상기 제 1덮개면의 세로길이는 상기 제 2외면부의 가로길이에 비해 같거나 더 크거나,
상기 제 2덮개면의 세로길이는 상기 제 1외면부의 가로길이에 비해 같거나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시트.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받침면은 상기 제 1내면부와 연결되는 변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제 1받침면과 상기 제 1연결면부와 결합되는 변이 연장된 가상의 제 1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1외면부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2받침면은 상기 제 2내면부와 연결되는 변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제 2받침면과 상기 제 2연결면부와 결합되는 변이 연장된 가상의 제 2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2외면부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시트.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받침면의 평면형상은 상기 제 1내면부와 연결되는 변에 비해 이와 대향하는 위치의 변이 더 길게 형성된 사다리꼴의 형상이며,
상기 제 2받침면의 평면형상의 상기 제 2내면부와 연결되는 변에 비해 이와 대향하는 위치의 변이 더 길게 형성된 사다리꼴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시트.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시트는
상기 제 1받침면은 상기 제 1내면부와 접하는 변과 대향하는 외측변에 돌출되어 형성된 제 1결합부;
상기 제 1내면 연장면은 상기 제 1내면부와 접하는 변과 대향하는 외측변에 돌출되어 형성된 제 2결합부;
상기 제 2받침면은 상기 제 2내면부와 접하는 변과 대향하는 외측변에 돌출되어 형성된 제 3결합부; 및
상기 제 2내면 연장면은 상기 제 2내면부와 접하는 변과 대향하는 외측변에 돌출되어 형성된 제 4결합부;
상기 제 1외면부와 상기 제 1덮개면 사이 경계 변에는 상기 전개시트가 조립될 경우 상기 제 1결합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 1관통 결합부;
상기 제 1외면부의 면 상에는 상기 전개시트가 조립될 경우 상기 제 2결합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 2관통 결합부;
상기 제 2외면부와 상기 제 2덮개면 사이 경계 변에는 상기 전개시트가 조립될 경우 상기 제 3결합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 3관통 결합부; 및
상기 제 1내면부와 상기 제 1내면연장면 사이 경계 변에는 상기 전개시트가 조립될 경우 상기 제 4결합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 4관통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시트.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시트는
상기 제 1내면부의 면 상에 관통되어 형성된 제 1통풍부;
상기 제 1받침면의 면 상에 관통되어 형성된 제 2-1통풍부; 및
상기 제 1덮개면의 면 상에 관통되어 형성되되 상기 전개시트가 조립되면 상기 제 2-1통풍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 2-2통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시트.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시트는
상기 제 2받침면 상에서 상기 제 2연결면부와 대향하는 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내측에 복수의 접이선이 형성된 제 2받침면 연장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시트.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시트는
상기 제 1연결면부는 면 상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날개; 및
상기 제 2연결면부는 면상에 형성되고, 상기 전개시트가 조립되어 상기 제 1조립체와 상기 제 2조립체가 상보적으로 결합될 때, 상기 결합날개가 관통하여 결합되기 위해 관통된 영역으로 형성되는 결합공;을 더 포함하되,
상기 결합날개는 상기 제 1연결면부의 면 상에서 일 변이 상기 제 1연결면부에 제 1접이선으로 구분되어 연결된 중심결합날개; 및 상기 중심결합날개에서 상기 제 1접이선과 연결되어 절곡된 양단에 제 2접이선으로 구분되어 상기 중심결합날개에 연결되고 상기 제 2연결면부와는 절개선으로 구분되는 사이드결합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시트.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시트는
상기 제 1외면부 및 제 2외면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보조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지지부는 상기 제 1외면부 또는 제 2외면부의 면 상에서 일 변이 접이선으로 구분되어 연결되고, 나머지 변은 절개선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시트.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시트는
상기 제 1연결면부의 면상에서 일 변이 상기 제 1외면부와 경계에서 접이선으로 구분되고 나머지 부분이 상기 제 1연결면부의 면 상에서 절개선으로 구분된 제 1돌출 조립체연결부; 및
상기 제 2연결면부의 면상에서 상기 제 2외면부와 경계에서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 1함몰 조립체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개시트가 조립되어 상기 제 1조립체와 상기 제 2조립체가 상보적으로 결합될 때, 상기 제 1조립체의 제 1돌출 조립체연결부가 상기 제 2조립체의 제 1함몰 조립체연결부에 관통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시트.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시트는
상기 제 1연결면부의 면상에서 일 변이 상기 제 1내면부와 경계에서 접이선으로 구분되고 나머지 부분이 상기 제 1연결면부의 면 상에서 절개선으로 구분된 제 2돌출 조립체연결부; 및
상기 제 2연결면부의 면상에서 상기 제 2내면부와 경계에서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 2함몰 조립체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개시트가 조립되어 상기 제 1조립체와 상기 제 2조립체가 상보적으로 결합될 때, 상기 제 1조립체의 제 2돌출 조립체연결부가 상기 제 2조립체의 제 2함몰 조립체연결부에 관통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시트.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시트는
상기 제 2내면부는 상변과 하변에 연결되는 제 2받침면, 상기 제 2받침면과 접이선으로 구분되어 연결되는 보조 연결면 상기 보조 연결면과 접이선으로 구분되어 연결되는 보조 덮개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연결면은 상기 제 2받침면이 상기 제 2내면부와 연결되는 변과 대향하는 상기 제 2받침면의 변 상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보조 덮개면은 상기 보조 연결면이 상기 제 2받침면과 연결되는 변과 대향하는 상기 보조 연결면의 변 상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시트.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시트는
상기 제 2내면부와 상기 제 2받침면 사이 경계에 형성된 제 2받침면 관통부;
상기 보조 연결면 상에서 절개선으로 구분되되 일단이 상기 제 2받침면과 상기 보조 연결면 경계에서 접이선으로 구분된 보조 연결면 조립부;
상기 보조 덮개면 상에서 절개선으로 구분되되 일단이 상기 보조 연결면과 상기 보조 덮개면 경계에서 접이선으로 구분된 보조 덮개면 제 1조립부(805);
상기 보조 덮개면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보조 덮개면 제 2조립부(815);
상기 제 2외면부와 상기 제 2덮개면 경계의 일부가 관통되어 형성되되 상기 전개시트가 조립되면 상기 보조 연결면 조립부가 결합되는 제 2보조 관통부; 및
상기 제 1내면부와 상기 제 1받침면 경계의 일부가 관통되어 형성되되 상기 전개시트가 조립되면 상기 보조 덮개면 제 2조립부가 결합되는 제 3보조 관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시트. - 단일 시트(sheet)로 형성되는 제 1조립체와 제 2조립체가 서로 상보적으로 배치되어 결합함으로써 외형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이중 구조의 박스로서,
상기 제 1조립체 또는 상기 제 2조립체는 제 1외면부;
상기 제 1외면부의 일 측변에 결합된 제 2외면부;
상기 제 1외면부의 타 측변에 결합된 제 1연결면부;
상기 제 1연결면부의 타 측변에 결합된 제 1내면부;
상기 제 2외면부의 일 측변에 결합된 제 2연결면부;
상기 제 2연결면부의 일 측변에 결합된 제 2내면부;
상기 제 1내면부의 상변과 하변에 연결된 복수개의 제 1받침면;
상기 제 2내면부의 상변과 하변에 연결된 복수개의 제 2받침면;
상기 제 1외면부의 상변과 하변에 연결된 복수개의 제 1덮개면; 및
상기 제 2외면부의 상변과 하변에 연결된 복수개의 제 2덮개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 1연결면부는 평면형상이 상기 제 1외면부와 연결되는 일 변이 상기 제 1내면부와 연결되는 타 변에 비해 더 길이가 길도록 형성된 사다리꼴 형상이고,
상기 제 2연결면부는 평면형상이 상기 제 2외면부와 연결되는 타 변이 상기 제 2내면부와 연결되는 일 변에 비해 더 길이가 길도록 형성된 사다리꼴 형상이며,
상기 제 1조립체와 상기 제 2조립체의 결합하여 이들의 상기 제 1외면부 및 상기 제 2외면부에 의해 4면으로 구성된 외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연결면부 및 상기 제 2연결면부에 의해 상기 외면부의 내측에 상기 외면부와 이격되고 상기 제 1내면부 및 상기 제 2내면부에 의해 4면으로 구성된 내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덮개면 및 상기 제 2덮개면에 의해 상기 외면부의 상측 및 하측이 모두 커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의 박스.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36139A KR102466462B1 (ko) | 2022-03-23 | 2022-03-23 | 이중 구조의 박스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
KR1020220147570A KR20230140337A (ko) | 2022-03-23 | 2022-11-08 | 이중 구조의 박스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36139A KR102466462B1 (ko) | 2022-03-23 | 2022-03-23 | 이중 구조의 박스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47570A Division KR20230140337A (ko) | 2022-03-23 | 2022-11-08 | 이중 구조의 박스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66462B1 true KR102466462B1 (ko) | 2022-11-14 |
Family
ID=8404318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36139A KR102466462B1 (ko) | 2022-03-23 | 2022-03-23 | 이중 구조의 박스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
KR1020220147570A KR20230140337A (ko) | 2022-03-23 | 2022-11-08 | 이중 구조의 박스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47570A KR20230140337A (ko) | 2022-03-23 | 2022-11-08 | 이중 구조의 박스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2466462B1 (ko) |
Citation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61013U (ja) * | 1992-01-27 | 1993-08-10 | 日本ハイパック株式会社 | 包装箱 |
JPH0731665U (ja) * | 1993-11-27 | 1995-06-13 | 松阪段ボール工業株式会社 | 梱包用の組立式緩衝材 |
JP2984622B2 (ja) * | 1997-05-09 | 1999-11-29 | 三郎 東 | 種苗育成ポット |
JP2000168779A (ja) * | 1998-12-04 | 2000-06-20 | Kokuyo Co Ltd | 収納ボックス |
JP2001114263A (ja) * | 1999-10-15 | 2001-04-24 | Nomoto Seiichi | 紙製包装箱 |
JP2003011955A (ja) * | 2001-04-26 | 2003-01-15 | Gifu Plast Ind Co Ltd | 組立て容器 |
KR200391637Y1 (ko) * | 2005-05-17 | 2005-08-04 | 강현욱 | 완충 공간을 갖는 이중 포장박스 |
KR200391925Y1 (ko) * | 2005-03-09 | 2005-08-09 | 하옥자 | 포장용 완충재 |
JP2007137470A (ja) * | 2005-11-17 | 2007-06-07 | Toshie Nakada | 食品容器 |
KR20070001301U (ko) | 2007-11-22 | 2007-12-18 | 남상길 | 조립식 이중상자 포장박스 |
KR20100008261A (ko) * | 2008-07-15 | 2010-01-25 | (주)조은포장 | 단열 포장용 종이 상자 |
EP2548808A1 (en) * | 2011-07-18 | 2013-01-23 | Philip Morris Products S.A. | Container with integrally connected receptacles |
KR20160048480A (ko) * | 2014-10-24 | 2016-05-04 | 고문당인쇄(주) | 포장용 박스 |
KR20210084534A (ko) * | 2018-11-02 | 2021-07-07 | 라이프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 온도 단열형 포장 시스템 및 관련 방법 |
KR102283484B1 (ko) * | 2020-01-29 | 2021-07-28 | 노승규 | 포장박스 |
US20220081152A1 (en) * | 2019-05-02 | 2022-03-17 | Pratt Retail Specialties, Llc | Telescoping insulated boxes |
-
2022
- 2022-03-23 KR KR1020220036139A patent/KR10246646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2-11-08 KR KR1020220147570A patent/KR20230140337A/ko unknown
Patent Citation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61013U (ja) * | 1992-01-27 | 1993-08-10 | 日本ハイパック株式会社 | 包装箱 |
JPH0731665U (ja) * | 1993-11-27 | 1995-06-13 | 松阪段ボール工業株式会社 | 梱包用の組立式緩衝材 |
JP2984622B2 (ja) * | 1997-05-09 | 1999-11-29 | 三郎 東 | 種苗育成ポット |
JP2000168779A (ja) * | 1998-12-04 | 2000-06-20 | Kokuyo Co Ltd | 収納ボックス |
JP2001114263A (ja) * | 1999-10-15 | 2001-04-24 | Nomoto Seiichi | 紙製包装箱 |
JP2003011955A (ja) * | 2001-04-26 | 2003-01-15 | Gifu Plast Ind Co Ltd | 組立て容器 |
KR200391925Y1 (ko) * | 2005-03-09 | 2005-08-09 | 하옥자 | 포장용 완충재 |
KR200391637Y1 (ko) * | 2005-05-17 | 2005-08-04 | 강현욱 | 완충 공간을 갖는 이중 포장박스 |
JP2007137470A (ja) * | 2005-11-17 | 2007-06-07 | Toshie Nakada | 食品容器 |
KR20070001301U (ko) | 2007-11-22 | 2007-12-18 | 남상길 | 조립식 이중상자 포장박스 |
KR20100008261A (ko) * | 2008-07-15 | 2010-01-25 | (주)조은포장 | 단열 포장용 종이 상자 |
EP2548808A1 (en) * | 2011-07-18 | 2013-01-23 | Philip Morris Products S.A. | Container with integrally connected receptacles |
KR20160048480A (ko) * | 2014-10-24 | 2016-05-04 | 고문당인쇄(주) | 포장용 박스 |
KR20210084534A (ko) * | 2018-11-02 | 2021-07-07 | 라이프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 온도 단열형 포장 시스템 및 관련 방법 |
US20220081152A1 (en) * | 2019-05-02 | 2022-03-17 | Pratt Retail Specialties, Llc | Telescoping insulated boxes |
KR102283484B1 (ko) * | 2020-01-29 | 2021-07-28 | 노승규 | 포장박스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40337A (ko) | 2023-10-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175003U (ja) | ラップアラウンドキャリヤ及びブランク | |
JP4068450B2 (ja) | 商品パッケージ | |
JP5490681B2 (ja) | ボトル包装箱及び対応する切り抜き材 | |
KR102466462B1 (ko) | 이중 구조의 박스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 |
KR20080068022A (ko) | 용기 | |
CN110088012A (zh) | 篮筐式装载件、装运纸箱和包装系统 | |
JP2012041082A (ja) | 包装用箱 | |
KR20220163246A (ko) | 음료 보관용 팩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 |
KR102120909B1 (ko) | 치킨 박스 | |
KR102089211B1 (ko) | 과일 포장용 상자 완충재 | |
JP3216300U (ja) | 包装箱 | |
JP4103422B2 (ja) | 緩衝板付カートン | |
KR20210000496A (ko) |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 | |
KR20210019262A (ko) |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 | |
KR102099389B1 (ko) | 포장용 상자 | |
JPH09505793A (ja) | 物品保持用タブを有する容器 | |
KR102668712B1 (ko) | 포장용 완충 구조체 | |
JP3164316U (ja) | 緩衝材、包装物及び包装体 | |
US20230365321A1 (en) | Packaging systems for multiple potted plants and associated blanks and packaging methods | |
JP6924870B2 (ja) | 宙吊り包装箱 | |
JP3242781U (ja) | 物品保護体 | |
JP3216665U (ja) | 包装資材セット | |
JP4085397B2 (ja) | 収容体 | |
KR200470977Y1 (ko) | 포장용 박스 | |
KR20110000034U (ko) | 포장박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