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6327B1 - 망사 테이프 원단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망사 테이프 원단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6327B1
KR102466327B1 KR1020210176255A KR20210176255A KR102466327B1 KR 102466327 B1 KR102466327 B1 KR 102466327B1 KR 1020210176255 A KR1020210176255 A KR 1020210176255A KR 20210176255 A KR20210176255 A KR 20210176255A KR 102466327 B1 KR102466327 B1 KR 102466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yarn
knitting
discharge unit
kn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6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운
Original Assignee
최영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운 filed Critical 최영운
Priority to KR1020210176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63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6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6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27/10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27/24Thread guide bar assembl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0Open-work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7/00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 D04B37/06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with warp knitt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망사 테이프 원단 제조 장치가 개시된다. 망사 테이프 원단 제조 장치는, 코메즈 본체가 내부에 설치되며, 하부에는 제1 원사가 공급되는 공급 롤러가 설치되며, 상부에는 제2 원사가 공급되는 공급 가이드가 설치되며 공급 롤러와 공급 가이드 사이에 설치되어 제1 원사와 제2 원사를 편직하는 편직부를 포함하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후측에 설치되어 제1 원사와 제2 원사가 편직된 상태에서 복수개의 편직물로 배출되는 편직 배출부와, 편직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복수개의 편직물을 제1 위치로 합쳐진 상태로 배출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배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망사 테이프 원단 제조 장치{MANUFACTURING APPARATUS FOR MESH TAPE FABRIC}
본 발명은 원단의 편직 제조 과정에서 가루 등의 이물질이 발생되지 않아 편직 제조 품질의 향상이 가능한 망사 테이프 원단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섬유ㅇ패션산업은 수출견인 산업으로 여전히 총 수출의 3.0%(2012년 기준, 한국무역협회 무역통계)를 차지하고 있으며, 중국, EU(유럽연합), 터키, 인도, 미국에 이어 세계 6위(2.0%)의 섬유수출국 위치를 견지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경기침체에 따른 섬유제품에 대한 수요둔화로, 지속적인 인건비 및 생산비의 증가와 생산설비의 과잉 등 고비용, 저효율로 인하여 생산기반이 크게 약화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섬유산업의 환경변화로 인해, 이제는 양적 확대를 마감하고 기술과 디자인을 접목한 고부가 제품 생산체제로 구조를 바꿔야 한다는 움직임이 일고 있는바, 산업경쟁력을 위한 투자활성화 해결과제로 디자인, 브랜드이미지, 마케팅능력 등 패션ㅇ디자인 기술인력의 선진화에 중점을 두고 있다.
한편, 천(布)을 제조함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이 직물(織物, Woven fabrics)과 편물(編物, Knitting)이다.
특히, 직물은 제직(製織)이라는 공정으로, 편물은 편성(編成)이란 공정을 거쳐서 만들어지며, 편성은 다시 경편(經編)과 위편(緯編)으로 나뉜다.
여기에서, 경편은 정경(整經, Warper's beam)되어 평행으로 늘어선 많은 날실에 의해 세로방향으로 편목(編目)을 만들어가는 짜는 방법을 말하며, 이러한 편성공정을 통하여 의류나 커튼 및 블라인드 등에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직물원단 표면에 돌출무늬 장식을 직조(織造, Weaving)하기 위한 대표적인 경편기(經編機, Warp knittingmachine)로는 코메즈(Comez)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코메즈를 이용한 편직물의 편직 제조시 넓은폭으로 제조가 이루어져, 좁은 폭으로 분리 절단하는 과정에서 단면 부분에서 가루 등이 발생되어 제조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18-0095965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원사를 편직 제조하는 과정에서 좁은폭의 제조가 가능하여 가루 발생 없이 품질이 향상된 편직 제조가 가능한 망사 테이프 원단 제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코메즈 본체가 내부에 설치되며, 하부에는 제1 원사가 공급되는 공급 롤러가 설치되며, 상부에는 제2 원사가 공급되는 공급 가이드가 설치되며 공급 롤러와 공급 가이드 사이에 설치되어 제1 원사와 제2 원사를 편직하는 편직부를 포함하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후측에 설치되어 제1 원사와 제2 원사가 편직된 상태에서 복수개의 편직물로 배출되는 편직 배출부와, 편직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복수개의 편직물을 제1 위치로 합쳐진 상태로 배출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배출부를 포함한다.
편직 배출부는, 본체부의 후측에서 상기 편직된 편직물을 인출하는 인출 롤러일 수 있다.
가이드 배출부는, 일측이 편직 배출부의 일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1 방향으로 긴 길이로 연장되며 복수개의 편직물의 일부분을 제1 위치로 가이드 배출하는 제1 가이드부 배출부와, 일측이 제1 가이드부에서 이격된 상태에서 편직 배출부의 타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2 방향으로 긴 길이로 연장되며 복수개의 편직물의 나머지 일부분을 제2 위치로 가이드 배출하는 제1 가이드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배출부는, 일측이 편직 배출부의 일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1 방향으로 긴 길이로 연장되며 상부에는 복수개의 제1 가이드봉이 서로간에 이격되어 돌출되어 제1 가이드봉들의 사이에 상기 편직물이 통과하는 제1 가이드부와, 제1 가이드부의 측면에 설치되며 제1 가이드 봉을 통과한 상기 편직물을 저장부로 배출하는 제1 배출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이드 배출부는, 일측이 편직 배출부의 타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2 방향으로 긴 길이로 연장되며 상부에는 복수개의 제2 가이드봉이 서로간에 이격되어 돌출되어 제2 가이드봉들의 사이에 상기 편직물이 통과하는 제2 가이드부와, 제2 가이드부의 측면에 설치되며 제2 가이드 봉을 통과한 상기 편직물을 저장부로 배출하는 제2 배출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배출부에 의해 좁은폭의 망사 테이프 원단의 제조가 가능하여 편직물을 절단하는 단면에서 가루가 발생되지 않아 수세미용 망사 테이프 원단으로 적절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편직 제조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망사 테이프 원단 제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망사 테이프 원단 제조 장치의 가이드 배출부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망사 테이프 원단 제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망사 테이프 원단 제조 장치의 가이드 배출부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망사 테이프 원단 제조 장치(100)는, 코메즈 본체(11)가 설치된 본체부(10)와, 본체부(10)의 후측에 설치되어 제1 원사(10a)와 제2 원사(10b)가 편직된 상태에서 복수개의 편직물로 배출되는 편직 배출부(40)와, 편직 배출부(40)에서 배출되는 복수개의 편직물(10c)을 제1 위치로 합쳐진 상태로 배출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배출부(50)를 포함한다.
본체부(10)는 코메즈 본체(11)가 내부에 설치되며 하부에는 제1 원사(10a)가 공급되는 공급 롤러(20)가 설치되며 상부에는 제2 원사(10b)가 공급되는 공급 가이드(30)가 설치되며 공급 롤러(20)와 공급 가이드(30) 사이에 설치되어 제1 원사(10a)와 제2 원사(10b)를 편직하는 편직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체부(10)는 작업 공간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제1 원사(10a)와 제2 원사(10b)의 편직을 위한 코메즈 본체(11)가 설치될 수 있다.
코메즈 본체(11)는 제1 원사(10a)와 제2 원사(10b)를 편직하여 소정의 패턴을 형성하는 것으로, 편직된 편직물을 편직 배출부(40)를 통해 배출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코메즈 본체(11)의 작동 및 세부 구성은 공지된 것으로 이하에서 그 구체적인 구성 및 작동 설명은 생략한다.
본체부(10)의 하부에는 제1 원사(10a)의 공급을 위한 공급 롤러(20)가 설치될 수 있다.
공급 롤러(20)는 회전 작동에 의해 제1 원사(10a)를 설정된 속도로 공급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원사(10a)는 공급 롤러(20)의 작동에 의해 편직 가능하도록 공급되는 것으로, 공급 가이드(30)에 의해 공급되는 제2 원사(10b)에 소정 패턴으로 편직될 수 있다.
공급 가이드(30)는 본체부(1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제2 원사(10b)가 코메즈 본체(11) 방향으로 공급 가능하도록 다단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원사(10a)와 제2 원사(10b)는 공급 롤러(20)와 공급 가이드(30)에 의해 공급되어 코메즈 본체(11)에서 소정의 패턴 형상의 편직물(10c)로 편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원사(10a)와 제2 원사(10b)가 편직된 편직물(10c)은 편직 배출부(4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편직 배출부(40)는 본체부(10)의 후측에서 편직물(10c)을 인출하는 인출 롤러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편직 배출부와 인출 롤러는 동일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
인출 롤러(40)는 본체부(10)의 폭방향으로 긴 길이의 한 쌍으로 설치되는 바, 편직물(10c)을 가이드 배출부(50)로 안정적으로 배출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 배출부(50)는 인출 롤러(40)를 통해 배출된 복수의 편직물(10c)을 제1 위치로 합쳐진 상태로 배출되도록 가이드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이드 배출부(50)는, 제1 방향으로 긴 길이로 연장되는 제1 가이드 배출부(51)와 제2 방향으로 긴 길이로 연장되는 제2 가이드 배출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배출부(51)는 일측이 편직 배출부(40)의 일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1 방향으로 긴 길이로 연장되며 복수개의 편직물(10c)의 일부분을 제1 위치로 가이드 배출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가이드 배출부(51)는 편직물이 통과하는 제1 가이드부(51a)와, 편직물을 저장부(60)로 배출하는 제1 배출 롤러(5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51a)는, 일측이 편직 배출부(40)의 일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1 방향으로 긴 길이로 연장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가이드부(51a)의 상부에는 복수개의 제1 가이드봉(51c)이 서로간에 이격된 상태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봉(51c)들은 제1 가이드부(51a)의 상부에 복수개가 서로간에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복수개의 제1 가이드봉(51c)들의 사이에 편직물이 통과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편직물은 복수개의 제1 가이드봉(51c)들의 어느 일 위치를 통과하여 저장부(60)로 배출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편직물(10c)은 제1 가이드봉(51c)들에 의해 일정한 크기로 배출되는 바, 제조 과정에서 먼지 등의 이물질 비산이 발생되지 않고 적절한 크기로 절단하는 과정에서 안정적인 제품 제조가 가능하다.
한편, 제2 가이드 배출부(53)는 일측이 편직 배출부(40)의 일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2 방향으로 긴 길이로 연장되며 복수개의 편직물(10c)의 일부분을 제2 위치로 가이드 배출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가이드 배출부(53)는 편직물이 통과하는 제2 가이드부(53a)와, 편직물을 저장부(60)로 배출하는 제2 배출 롤러(5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53a)는, 일측이 편직 배출부(40)의 일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2 방향으로 긴 길이로 연장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방향은 제1 가이드부(51a)가 설치된 제1 방향에 엇갈리는 방향으로, 편직 배출부(40)로부터 벌어지는 경사진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가이드부(53a)의 상부에는 복수개의 제2 가이드봉(53a)이 서로간에 이격된 상태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봉(53c)들은 제2 가이드부(53a)의 상부에 복수개가 서로간에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복수개의 제2 가이드봉(53c)들의 사이에 편직물이 통과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편직물은 복수개의 제2 가이드봉(53c)들의 어느 일 위치를 통과하여 저장부(60)로 배출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편직물(10c)은 제2 가이드봉(53a)들에 의해 일정한 크기로 배출되는 바, 제조 과정에서 먼지 등의 이물질 비산이 발생되지 않고 적절한 크기로 절단하는 과정에서 안정적인 제품 제조가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편직 배출부(40)를 통해 편직되어 배출되는 편직물(10c)은, 제1 가이드 배출부(51)와, 제2 가이드 배출부(53)를 통해 각각 저장부(60)를 일정 크기로 배출되는 것이 가능하여, 소정의 제품으로 절단 작업시에도 먼지 또는 이물질의 비산 작업이 발생되지 않고 제품의 안정적인 제조가 가능하다.
즉, 종래 제조 장치는 넓은 폭의 편직물의 제조가 가능하지만, 본 실시예의 망사 테이프 원단 제조 장치(100)는, 가이드 배출부(50)에 의해 좁은폭의 제조가 가능하여 편직물을 절단하는 단면에서 가루가 발생되지 않아 수세미용 망사 테이프 원단으로 적절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편직 제조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본체부 10a..제1 원사
10b..제2 원사 10c..편직물
11...코메즈 본체 20...공급 롤러
30...공급 가이드 40...편직 배출부, 인출 롤러
50...가이드 배출부 51...제1 가이드 배출부
51a..제1 가이드부 51b..제1 배출 롤러
51c..제1 가이드봉 53...제2 가이드 배출부
53a..제2 가이드부 53b..제2 배출 롤러
53c..제2 가이드봉 60...저장부

Claims (5)

  1. 코메즈 본체가 내부에 설치되며, 하부에는 제1 원사가 공급되는 공급 롤러가 설치되며, 상부에는 제2 원사가 공급되는 공급 가이드가 설치되며, 상기 공급 롤러와 상기 공급 가이드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원사와 상기 제2 원사를 편직하는 편직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후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원사와 상기 제2 원사가 편직된 상태에서 복수개의 편직물로 배출되는 편직 배출부; 및
    상기 편직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복수개의 편직물을 제1 위치로 합쳐진 상태로 배출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배출부;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배출부는,
    일측이 상기 편직 배출부의 일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1 방향으로 긴 길이로 연장되며, 상기 복수개의 편직물의 일부분을 제1 위치로 가이드 배출하는 제1 가이드 배출부; 및
    일측이 상기 제1 가이드 배출부에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편직 배출부의 타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2 방향으로 긴 길이로 연장되며, 상기 복수개의 편직물의 나머지 일부분을 제2 위치로 가이드 배출하는 제2 가이드 배출부;를 포함하는, 망사 테이프 원단 제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직 배출부는, 상기 본체부의 후측에서 상기 편직된 편직물을 인출하는 인출 롤러인, 망사 테이프 원단 제조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배출부는,
    일측이 상기 편직 배출부의 일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1 방향으로 긴 길이로 연장되며, 상부에는 복수개의 제1 가이드봉이 서로간에 이격되어 돌출되어, 상기 제1 가이드봉들의 사이에 상기 편직물이 통과하는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1 가이드부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가이드 봉을 통과한 상기 편직물을 저장부로 배출하는 제1 배출 롤러;
    를 포함하는, 망사 테이프 원단 제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 배출부는,
    일측이 상기 편직 배출부의 타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2 방향으로 긴 길이로 연장되며, 상부에는 복수개의 제2 가이드봉이 서로간에 이격되어 돌출되어, 상기 제2 가이드봉들의 사이에 상기 편직물이 통과하는 제2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가이드부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2 가이드 봉을 통과한 상기 편직물을 저장부로 배출하는 제2 배출 롤러;
    를 포함하는, 망사 테이프 원단 제조 장치.

KR1020210176255A 2021-12-10 2021-12-10 망사 테이프 원단 제조 장치 KR102466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255A KR102466327B1 (ko) 2021-12-10 2021-12-10 망사 테이프 원단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255A KR102466327B1 (ko) 2021-12-10 2021-12-10 망사 테이프 원단 제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6327B1 true KR102466327B1 (ko) 2022-11-14

Family

ID=84043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6255A KR102466327B1 (ko) 2021-12-10 2021-12-10 망사 테이프 원단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632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0390B1 (ko) * 1995-06-20 2003-07-18 텍스틸마 악티엔게젤샤프트 코바늘편직된고무실을가진적어도하나의편물리본을제조하기위한시설
JP2005255414A (ja) * 2004-03-10 2005-09-22 Mitsubishi Rayon Co Ltd 連続繊維束のガイド装置、同ガイド装置を備えた連続繊維束の巻取機と同機による製造方法、及び同製造方法により得られる炭素繊維ボビン
JP2008081287A (ja) * 2006-09-28 2008-04-10 Itohroku Inc 粘着性極細幅長尺テープ捲回物の製造方法及び同装置
KR101156550B1 (ko) * 2011-12-08 2012-06-20 부광편직(주) 카본소재 발열원단 제조용 스티치본딩 편직기
KR101710417B1 (ko) * 2016-08-04 2017-02-28 주식회사 진솔섬유 코메즈 장치
KR20180095965A (ko) 2017-02-20 2018-08-29 (주)동성코메즈 직조기 가이드부재 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0390B1 (ko) * 1995-06-20 2003-07-18 텍스틸마 악티엔게젤샤프트 코바늘편직된고무실을가진적어도하나의편물리본을제조하기위한시설
JP2005255414A (ja) * 2004-03-10 2005-09-22 Mitsubishi Rayon Co Ltd 連続繊維束のガイド装置、同ガイド装置を備えた連続繊維束の巻取機と同機による製造方法、及び同製造方法により得られる炭素繊維ボビン
JP2008081287A (ja) * 2006-09-28 2008-04-10 Itohroku Inc 粘着性極細幅長尺テープ捲回物の製造方法及び同装置
KR101156550B1 (ko) * 2011-12-08 2012-06-20 부광편직(주) 카본소재 발열원단 제조용 스티치본딩 편직기
KR101710417B1 (ko) * 2016-08-04 2017-02-28 주식회사 진솔섬유 코메즈 장치
KR20180095965A (ko) 2017-02-20 2018-08-29 (주)동성코메즈 직조기 가이드부재 가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6327B1 (ko) 망사 테이프 원단 제조 장치
RU2474627C2 (ru)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процесс изготовления нераспускающегося трикотажного полотна
RU2464365C2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непроницаемого эластичного трикотажа
CN114222836B (zh) 用于织造机器的纬纱线节约设备
KR100380390B1 (ko) 코바늘편직된고무실을가진적어도하나의편물리본을제조하기위한시설
JP2620398B2 (ja) 空気式織機
CN1174134C (zh) 用不连续纱生产经编织物的工艺和设备
US3461693A (en) Pneumatic cleaning system
KR101916013B1 (ko) 코로셋 머신
KR101112101B1 (ko) 슬릿 얀 편직방법
KR102306897B1 (ko) 날개사 제조 장치와 방법
KR20100109178A (ko) 슬릿 직물의 제직방법
CN105531412B (zh) 织机用织边部把持装置、织机及织物的制造方法
ITMI941653A1 (it) Disposizione di platine in una macchina per maglieria e metodi per la realizzazione della maglia mediante detta disposizione
KR100582261B1 (ko) 직조기
CN117364331A (zh) 一种超平塑编筒布制备用加热装置及制备方法
SU996561A1 (ru) Механизм отт жки полотна основов зальной машины
US2714401A (en) Narrow ware loom
RU2227184C1 (ru)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ткани
US2490041A (en) Method and means for the manufacture of cut filling pile fabrics
WO2024105621A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lace with discrete applications
RU2495168C2 (ru)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тканей с переменной плотностью по утку
FR2705974A1 (fr) Tricot à mailles jetées double face et procédé pour son obtention.
Bayes et al. OPTIMUM CLOTH WIDTH AND MACHINE SIZE IN TEXTILE MANUFACTURE
RU11545U1 (ru) Суровая хлопчатобумажная бязь "новин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