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6280B1 - 로봇청소기 스테이션 - Google Patents
로봇청소기 스테이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66280B1 KR102466280B1 KR1020200167016A KR20200167016A KR102466280B1 KR 102466280 B1 KR102466280 B1 KR 102466280B1 KR 1020200167016 A KR1020200167016 A KR 1020200167016A KR 20200167016 A KR20200167016 A KR 20200167016A KR 102466280 B1 KR102466280 B1 KR 1024662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uide
- robot cleaner
- station
- fence
- housing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4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3570 ai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9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32258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080 ambient ai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6—Dust removal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73—Docking units or charging st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52—Elements for displacement of the vacuum cleaner or the accessories therefor, e.g. wheels, casters or nozz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2—Docking stations; Docking operations
- A47L2201/022—Recharging of batteri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2—Docking stations; Docking operations
- A47L2201/024—Emptying dust or waste liquid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은 로봇청소기가 안착되며, 상기 로봇청소기의 집진장치와 연통되는 흡입구를 포함하는 청소기 안착부; 상기 흡입구로 흡입되는 상기 집진장치의 오물이 수집되는 수거챔버와, 상기 집진장치의 오물이 상기 수거챔버로 흡입되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스테이션 흡입장치를 포함하는 수거장치; 및 일단이 상기 흡입구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수거챔버와 연결되는 연결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파트는, 상기 연결 파트의 상기 일단과 인접한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고 상기 청소기 안착부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 중, 상기 가이드부가 연장되기 시작하는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과 상기 흡입구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오물이 정체되도록 하는 와류가 형성되는 와류 영역; 및 상기 가이드부가 연장되기 시작하는 상기 일측으로부터 상기 와류 영역을 향하는 외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통기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로봇청소기의 집진장치로부터 흡입된 오물을 수거챔버로 흡입하는 흡입유로를 최적화할 수 있는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봇청소기는 사용자의 조작 없이 청소 공간을 이동하면서 바닥에 쌓인 먼지 등의 오물을 흡입함으로써 청소 공간을 자동으로 청소하는 장치이다. 로봇 청소기는 청소 공간을 주행하며 청소 공간을 청소한다.
로봇 청소기는 거리 센서를 통해 청소 구역 내에 설치된 가구나 사무용품, 벽 등의 장애물까지의 거리를 판별하고, 로봇청소기의 좌륜 모터와 우륜 모터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킴으로써 스스로 방향을 전환해가면서 청소 구역을 청소한다.
로봇청소기는 습식포 또는 건식포가 장착된 청소 패드를 통해 바닥을 청소할 수도 있으며, 집진장치를 통해 바닥을 청소할 수도 있다.
집진장치를 통해 바닥을 청소하는 로봇청소기의 집진장치에 수집된 오물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비워지거나, 스테이션에 마련되는 수거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비워질 수 있다.
흡입유로에 와류가 형성되는 것을 억제하여 오물이 잔류하거나 유로의 안정화시킬 수 있는 개선된 구조의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은, 로봇청소기가 안착되며, 상기 로봇청소기의 집진장치와 연통되는 흡입구를 포함하는 청소기 안착부; 상기 흡입구로 흡입되는 상기 집진장치의 오물이 수집되는 수거챔버와, 상기 집진장치의 오물이 상기 수거챔버로 흡입되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스테이션 흡입장치를 포함하는 수거장치; 및 일단이 상기 흡입구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수거챔버와 연결되는 연결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파트는, 상기 연결 파트의 상기 일단과 인접한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고 상기 청소기 안착부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 중, 상기 가이드부가 연장되기 시작하는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과 상기 흡입구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오물이 정체되도록 하는 와류가 형성되는 와류 영역; 및 상기 가이드부가 연장되기 시작하는 상기 일측으로부터 상기 와류 영역을 향하는 외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통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 가이드 하우징 및 상기 가이드부의 하부를 형성하며 상기 상부 가이드 하우징에 대응되는 하부 가이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가이드 하우징 및 상기 하부 가이드 하우징은 서로 밀착되어 상기 가이드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가이드 하우징은, 가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상부를 향하여 돌출된 펜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가이드 하우징은, 상기 펜스부의 외측 둘레에 접하며 상기 가이드부의 측면을 형성하는 가이드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펜스부는 내부에 중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공부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하부 영역을 향하여 개방될 수 있다.
상기 통기구는,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일측에 대응되는 상기 펜스부에 형성되어, 상기 중공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를 연통시킬 수 있다.
상기 펜스부는, 상기 가이드 측벽과 접하는 제1 펜스부 및 상기 제1 펜스부와 사이에 상기 중공부를 두고 경사를 이루는 제2 펜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기구는 상기 제2 펜스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기구는 상기 펜스부의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저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펜스부는 상기 와류 영역이 안착되는 함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기구는 상기 함몰부의 양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기구는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일측에 대응되는 상기 가이드 측벽에 형성되며,
상기 외기의 흐름은 상기 중공부로부터 상기 가이드 측벽에 형성된 상기 통기구를 통과하여 상기 와류 영역을 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통기구는 상기 펜스부의 상단보다 위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가이드 하우징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가이드 하우징과 상기 가이드 하부 가이드 하우징은 상기 실링부재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밀착되어 상기 가이드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가이드 하우징은 상기 청소기 안착부를 형성하며 지면과 마주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지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시키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복수의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제1 체결부, 상기 제1 체결부와 대응되도록 상기 하부 가이드 하우징의 둘레에 형성되는 제2 체결부 및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를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기구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은, 로봇청소기가 안착되며, 상기 로봇청소기의 집진장치와 연통되는 흡입구를 포함하는 청소기 안착부; 상기 흡입구로 흡입되는 상기 집진장치의 오물이 수집되는 수거챔버와, 상기 집진장치의 오물이 상기 수거챔버로 흡입되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스테이션 흡입장치를 포함하는 수거장치; 및 일단이 상기 흡입구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수거챔버와 연결되는 연결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파트는, 상기 연결 파트의 상기 일단과 인접한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고 상기 청소기 안착부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가 연장되기 시작하는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통기구로서 상기 일측으로부터 상기 가이드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흐르는 외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통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는, 서로 밀착하여 가이드부를 형성하는 상부 가이드 하우징 및 하부 가이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가이드 하우징은, 가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상부를 향하여 돌출된 펜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가이드 하우징은, 상기 펜스부의 외측 둘레에 접하며 상기 가이드부의 측면을 형성하는 가이드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기구는,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일측에 대응되는 상기 펜스부에 형성되어, 상기 중공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를 연통시킬수 있다.
상기 펜스부는 함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기구는 상기 함몰부의 양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기구는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일측에 대응되는 상기 가이드 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기구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흡입구로 흡입된 오물을 흡입구와 연통된 가이드부로 이송시키는 기류와 별개로, 가이드부의 일측에 통기구를 형성하여, 가이드부가 연장되기 시작하는 일측으로부터 와류 영역을 향하는 외기의 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와류의 발생을 억제하여, 잔류 먼지를 제거하고, 오물을 이송시키는 기류를 안정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가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으로부터 벗어나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로봇청소기가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에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의 연결파트에 의해 수거챔버로 오물이 흡입되는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의 후면 하우징을 제거하고 바라본 후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의 청소기 안착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의 청소기 안착부로부터 하부 가이드 하우징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의 하부 가이드 하우징 중, 통기구가 형성된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을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의 청소기 안착부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의 하부 가이드 하우징 중, 통기구가 형성된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을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의 청소기 안착부의 단면도이다.
도 14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의 상부 가이드 하우징 중, 통기구가 형성된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의 청소기 안착부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로봇청소기가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에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의 연결파트에 의해 수거챔버로 오물이 흡입되는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의 후면 하우징을 제거하고 바라본 후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의 청소기 안착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의 청소기 안착부로부터 하부 가이드 하우징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의 하부 가이드 하우징 중, 통기구가 형성된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을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의 청소기 안착부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의 하부 가이드 하우징 중, 통기구가 형성된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을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의 청소기 안착부의 단면도이다.
도 14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의 상부 가이드 하우징 중, 통기구가 형성된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의 청소기 안착부의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상면” 및 “하면”등은 도 1를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팬은 천정형 공기조화기에 적용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지만,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또는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와 같이 다른 종류의 공기조화기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냉장고나 청소기와 같이 다른 가전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가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으로부터 벗어나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로봇청소기가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에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봇청소기(10)는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바닥면을 청소할 수 있다. 로봇청소기(10)가 청소하는 바닥면은 피청소면이라고 할 수 있다. 로봇청소기(10)는 충전이 필요하거나 집진장치(15)의 집진챔버(16) 내부에 오물이 가득차서 비워야 할 때, 로봇청소기 스테이션(100)으로 이동할 수 있다.
로봇청소기(1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청소기 하우징(11)과, 청소기 하우징(11)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하는 청소기 커버(13)를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 하우징(11)은 내부에 전장품들이 배치될 수 있다. 청소기 커버(13)는 청소기 하우징(1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청소기 하우징(11)에는 청소기 유입구(14a, 도 4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청소기 유입구(14a)는 피청소면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청소기 유입구(14a)는 청소기 하우징(11)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청소기 유입구(14a)를 통해 피청소면의 오물은 공기와 함께 집진장치(15)의 집진챔버(16)로 유입될 수 있다.
청소기 유입구(13)에는 드럼 블레이드(14b)가 배치될 수 있다. 드럼 블레이드(14b)는 청소기 하우징(1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드럼 블레이드(14b)는 피청소면을 타격하여 오물을 비산시킬 수 있다. 비산된 오물은 주변 공기와 함께 청소기 유입구(14a)로 유입될 수 있다.
청소기 유입구(14a)를 통해 유입된 오물 및/또는 공기는 집진장치(15)로 이동할 수 있다. 오물 및/또는 공기는 오물 유입구(미도시)를 통해 집진챔버(16)로 이동할 수 있다.
청소기 하우징(11)에는 청소기 배출부(18)가 마련될 수 있다. 청소기 배출부(18)는 로봇청소기(10)의 후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청소기 배출부(18)는 청소기 흡입장치(미도시)에서 발생된 흡입력에 의해 청소기 유입구(13)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로봇청소기(1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로봇청소기(10)는 배터리(19)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9)는 충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배터리(19)는 로봇청소기(10)의 구동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로봇청소기(10)는 디스플레이(17)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7)는 로봇청소기(10)의 구동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7)는 터치스크린으로 마련되어,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7)는 로봇청소기(10)가 로봇청소기 스테이션(100)에 도킹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로봇청소기(10)가 로봇청소기 스테이션(100)에 후진하며 도킹됨에 따라, 로봇청소기(10)의 전단부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17)는 로봇청소기(10)가 로봇청소기 스테이션(100)에 도킹된 상태에서도 사용자에게 노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의 연결파트에 의해 수거챔버로 오물이 흡입되는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의 후면 하우징을 제거하고 바라본 후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의 청소기 안착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의 청소기 안착부로부터 하부 가이드 하우징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로봇청소기(1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도면을 참고로 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봇청소기 스테이션(100)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스테이션 하우징(110)과, 로봇청소기(10)가 거치되는 청소기 안착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로봇청소기 스테이션(100)은 로봇청소기(10)가 청소기 안착부(120)에 안착된 때, 로봇청소기(10)의 배터리(미도시)를 충전하거나, 로봇청소기(10)의 집진챔버(16)에 수집된 오물을 수거할 수 있다.
스테이션 하우징(110)은 전면 하우징(111)과, 전면 하우징(111)의 후면에 결합되는 후면 하우징(113)을 포함할 수 있다. 후면 하우징(113)은 후면 하우징(113)의 후면을 커버하는 후면 커버(117)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션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로봇청소기(10)의 집진챔버(16)에 수집된 오물을 수거하기 위한 수거장치(130)의 적어도 일 부분이 배치될 수 있다. 스테이션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로봇청소기(10)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전장품들이 배치될 수 있다.
후면 하우징(113)에는 제1공기배출구(115)가 형성될 수 있다. 제1공기배출구(115)는 스테이션 흡입장치(131)가 로봇청소기(10)의 집진챔버(16)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로봇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공기배출구(115)는 후면 하우징(113)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후면 하우징(113)에는 제1공기배출구(115)로 배출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도록 배치되는 배출필터(101)가 마련될 수 있다. 배출필터(101)는 스테이션 흡입장치(131)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배출필터(101)는 제1공기배출구(115)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배출필터(101)는 헤파필터(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후면 커버(117)에는 제1공기배출구(115)로 배출되어 배출필터(101)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를 로봇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2공기배출구(119)가 마련될 수 있다.
스테이션 하우징(110)에는 스테이션 전원보드(103)가 마련될 수 있다. 스테이션 전원보드(103)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로봇청소기 스테이션(100)에 적합하게 변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테이션 전원보드(103)는 스테이션 하우징(110)의 후방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스테이션 하우징(110)에는 스테이션 컨트롤러(105)가 마련될 수 있다. 스테이션 컨트롤러(105)는 스테이션 전원보드(10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스테이션 컨트롤러(105)는 레버장치(140)를 제어할 수 있다. 스테이션 컨트롤러(105)는 로봇청소기(10)가 로봇청소기 스테이션(100)에 안착된 때, 레버장치(140)를 구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스테이션 컨트롤러(105)는 스테이션 흡입장치(131)를 제어할 수 있다. 스테이션 컨트롤러(105)는 스테이션 충전단자(123)를 제어할 수 있다.
수거장치(130)는 로봇청소기(10)의 집진챔버(16)에 수집된 오물을 수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수거장치(130)는 스테이션 흡입장치(131)와, 수거챔버(133)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션 흡입장치(131)는 로봇청소기(10)가 로봇청소기 스테이션(100)에 안착된 때, 집진챔버(16)의 오물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스테이션 흡입장치(131)는 로봇청소기(10)의 집진챔버(16)로부터 오물 및/또는 공기를 흡입하여, 오물은 수거챔버(133)에 수집하고, 공기는 제1공기배출구(115) 및 제2공기배출구(119)를 통해 로봇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수거챔버(133)는 스테이션 흡입장치(131)에 의해 로봇청소기 스테이션(100)의 내부로 유입된 오물 및/또는 공기 중에서 오물을 필터링하여 수집할 수 있다. 수거챔버(133)에는 연결파트(200)에 의해 안내된 오물 및/또는 공기로부터 오물을 필터링하기 위한 장치(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수거챔버(133)는 수거챔버(133) 내부에 수용되는 오물봉투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오물봉투부(136)는 수거챔버(133)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오물봉투부(136)가 수거챔버(133)에 체결되어 있을 때는, 연결파트(200)를 통해 이송된 오물이 오물봉투부(136) 내부에 수집될 수 있다. 오물봉투부(136) 내부가 오물로 가득차면 오물봉투부(136)를 수거챔버(133)로부터 분리하여 오물봉투부(136)를 폐기할 수 있다. 오물봉투부(136)가 수거챔버(133)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연결파트(200)를 통해 오물이 이송되면 오물은 수거챔버(133) 내부에 수집될 수 있다.
청소기 안착부(120)는 로봇청소기(10)가 안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청소기 안착부(120)는 스테이션 하우징(11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청소기 안착부(120)는 상부 커버(120a)와 베이스 플레이트(120b)를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 안착부(120)은 베이스 플레이트(120b)에 결합되는 하부 가이드 하우징(212, 도 3 참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커버(120a)는 전면 하우징(111)과 이어지며, 베이스 플레이트(120b)의 상부를 덮으며 베이스 플레이트(120b)와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부 커버(120a)에는 로봇청소기(10)가 안착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20b)는 상부 커버(120a)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20b)는 상부 커버(120a)와 결합하여 스테이션 하우징(11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청소기 안착부(120)에는 로봇청소기(10)의 집진챔버(16)와 연통되는 흡입구(201)가 마련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청소기 안착부(120)는 베이스 플레이트(120b)와 상부 커버(120a)가 결합하여 스테이션 하우징(11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므로, 흡입구(201) 역시 상부 커버(120a)에 형성된 커버개구(121)와 베이스 플레이트(120b)에 형성된 연통 개구(212)가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커버개구(121)와 연통개구(212)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흡입구(201)는 커버개구(121)와 연통 개구(212)가 서로 맞닿아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 커버개구(121) 또는 연통 개구(212)는 흡입구(201)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도 있다.
흡입구(201)는 로봇청소기(10)가 청소기 안착부(120)에 안착된 후, 후술하는 레버장치(140)의 개방링크(141)에 의하여 개방될 때, 집진챔버(16)의 개구와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흡입구(201)의 형상은 집진챔버(16)의 개구와 대응되어 대략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흡입구(201)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들어, 흡입구(201)의 형상은 집진챔버(16)의 개구가 개방되어 집진챔버(16)와 연결파트(200)의 가이드부(210)를 연통시켜 스테이션 흡입장치(131)의 흡입력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청소기 안착부(120)에는 로봇청소기(10)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스테이션 충전단자(123)가 마련될 수 있다. 스테이션 충전단자(123)는 로봇청소기(10)가 청소기 안착부(120)에 안착된 때, 로봇청소기(10)의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스테이션 충전단자(123)는 무선 충전방식으로 로봇청소기(10)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청소기 안착부(120)에는 레버장치(140)가 배치될 수 있다. 레버장치(140)는 수거장치(130)와 로봇청소기(10)의 집진챔버(16)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레버장치(140)는 개방링크(141)를 통하여 수거장치(130)와 로봇청소기(10)의 집진챔버(16)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봇청소기(10)가 청소기 안착부(120)에 안착되어 스테이션 충전단자(123)을 가압하면, 스테이션 컨트롤러(105)는 레버장치(140)가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스테이션 컨트롤러(105)는 로봇청소기(10)가 로봇청소기 스테이션(100)에 안착된 때, 레버장치(140)가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레버장치(140)가 구동되면 개방링크(141)는 흡입구(201)쪽으로 회전하여 집진챔버(16)의 개구를 폐쇄하고 있는 집진챔버(16)의 하부 도어(15a)를 개방한다.
개방링크(141)는 다절 링크 구조로 마련되며, 개방링크(141)의 일단은 자성체를 포함하도록 마련되며, 하부 도어(15a) 역시 개방링크(141)의 일단과 서로 인력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자성체를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레버장치(140)가 개방링크(141)를 흡입구(201)쪽으로 회전시켜 집진챔버(16)의 하부 도어(15a)와 결합한 후, 상기 회전과 반대방향으로 개방링크(141)를 회전시켜 집진챔버(16)의 개구를 개방할 수 있다.
집진챔버(16)의 개구가 개방되면, 집진챔버(16)와 연결파트(200)의 가이드부(210)가 서로 연통되어 스테이션 흡입장치(131)의 흡입력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로봇청소기 스테이션(100)은 흡입구(201)와 수거챔버(133)를 연결하는 연결파트(200)를 포함할 수 있다.
로봇청소기(10)의 집진챔버(15)에 수집된 오물은 스테이션 흡입장치(131)에 의해 발생된 흡입력에 의해 집진챔버(16)와 연통되는 흡입구(201)로 흡입될 수 있다. 흡입구(201)로 흡입된 오물은 스테이션 흡입장치(131)에 의해 발생된 흡입력에 의해 연결파트(200)로 이송될 수 있다. 연결파트(200)로 이송된 오물은 연결파트(200)와 연결되는 수거챔버(133)로 흡입되어 수거챔버(133) 내부에 수집될 수 있다. 연결파트(200)는 청소기 안착부(120)의 흡입구(201)와 수거챔버(133)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 파트(200)의 일단은 흡입구(201)과 연결되고, 타단은 수거챔버(133)과 연결될 수 있다.
연결파트(200)는 흡입구(201)와 연통되는 가이드부(210)와, 일단이 가이드부(210)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연결호스(220)와, 연결호스(220)의 타단이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며 수거챔버(133)에 마련되는 흡입관(26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가이드부(210)는 연결파트(200)의 일부로서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부(210)는 청소기 안착부(1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210)는 청소기 안착부(120)의 내부 중에서도, 흡입구(201)과 연결된 연결 파트(200)의 일단과 인접한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스테이션 흡입장치(131)에 의해 발생된 흡입력에 집진챔버(16)의 오물은 흡입구(201)로 흡입될 수 있다. 흡입구(201)로 흡입된 오물은 흡입구(201)와 연통된 가이드부(210)로 이송될 수 있다. 가이드부(210)로 이송된 오물은 연결호스(220) 및 흡입관(260)을 통해 수거챔버(133) 내부에 수집될 수 있다.
가이드부(21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21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되, 가이드부(210)의 전방에서 가이드부(210)의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대략 오리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는 가이드부(210)의 후방으로 갈수록 가이드부(210)의 단면적을 좁게 만들어 가이드부(210)의 내부를 유동하는 기체의 유속을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가이드부(210)는 청소기 안착부(120) 내부에 수평방향(D1)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부(210)의 일단은 전방에 위치하고, 가이드부(210)의 타단은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즉, 가이드부(210) 청소기 안착부(120)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만, 전후방향이라 함은, 청소기 안착부(120) 내부를 기준으로 상정할 수 있는 수많은 수평방향(D1)중 하나의 방향일 수 있다.
가이드부(120)는 전방에 위치한 가이드부(210)의 일단에 형성된 연통개구(211)와 후방에 위치한 가이드부(210)의 타단에 형성된 연결호스 체결부(20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연통 개구(212)와 체결부(202)는 가이드부(120)의 상면 전방 및 상면 후방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201)와 연통되는 연통 개구(212)와, 연결호스(220)의 일단이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연결호스 체결부(202)와, 연통 개구(212)와 연결호스 체결부(202) 사이에 마련되어 오물이 가이드되는 가이드유로(219)를 포함할 수 있다.
연통 개구(212)는 흡입구(201)와 연통되어 흡입구(201)로 흡입되는 오물을 가이드유로(219)로 이송시킬 수 있다.
가이드부(210)는 청소기 안착부(120) 내부에 수평방향(D1)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음은 상술한 것과 같다. 마찬가지로 가이드유로(219) 역시, 청소기 안착부(120) 내부에 수평방향(D1)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부(210)의 구체적인 구조는 후술하도록 한다.
가이드유로(219)는 연통 개구(212)로부터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연결호스 체결부(202)는 가이드유로(219)로부터 90도 이상 180도 이하의 각도를 갖도록 연장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연결호스 체결부(202)가 가이드유로(219)로부터 90도의 각도를 갖도록 연장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연결호스(220)가 연결호스 체결부(202)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연결호스(220)는 가이드부(210)와 흡입관(260)을 연결할 수 있다. 연결호스(220)의 양단은 각각 가이드부(210)와 흡입관(260)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연결호스(220)는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호스(220)는 스테이션 하우징(11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연결호스(220)는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스테이션 하우징(110) 내부에서 가이드유로(219)와 흡입관(260)을 연결하는 흡입유로(250)가 최적화되도록 할 수 있다. 연결호스(22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스트레치 호스로 마련될 수 있다.
연결호스(220)는 가이드부(210)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1체결부(230)와, 흡입관(260)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체결부(240)와, 제1체결부(230)와 제2체결부(240) 사이에 마련되어 집진챔버(16)의 오물이 흡입되는 흡입유로(250)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구(201)로 흡입되어 가이드유로(219)로 이송된 오물은 흡입유로(250)를 통해 흡입관(260)으로 이송될 수 있다.
흡입관(260)은 가이드부(210)의 가이드유로(219)로 가이드되는 집진챔버(16)의 오물이 수거챔버(133)로 흡입되도록 수거챔버(133)에 마련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가이드부(210)는 가이드부(210)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 가이드 하우징(211) 및 가이드부(210)의 하부를 형성하며 상부 가이드 하우징(211)에 대응되는 하부 가이드 하우징(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가이드 하우징(211) 및 하부 가이드 하우징(212)은 서로 밀착되어 가이드부(210)를 형성할 수 있다. 상부 가이드 하우징(211)은 베이스 플레이트(120b)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가이드 하우징(211)은 베이스 플레이트(120b)로부터 상부를 항하여 볼록하게 돌출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상부 가이드 하우징(211)와 베이스 플레이트(120b)는 대략 중절모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20b)의 저면에는 복수의 지지부재(400)가 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부재(400)가 베이스 플레이트(120b)를 지면(G)으로부터 소정 간격(L2) 이격 시킴으로써 후술하는 중공부(214c)로 외기의 유입이 용이하게 일어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지지부재(400)가 탄성재질로 마련됨으로써, 지면(G)과의 마찰력이 증가혀여 로봇청소기 스테이션(100)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청소기 안착부(120)은 베이스 플레이트(120b)에 형성되는 제1 체결부(218b) 및 하부 가이드 하우징(212)의 둘레에 형성되는 제2 체결부(218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체결부(218a)는 제1 체결부(218b)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체결부(218b)와 제2 체결부(218a)는 체결부재(218c)를 통하여 서로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을 참조하면, 상부 가이드 하우징(211) 및 하부 가이드 하우징(212)은 서로 밀착되어 가이드부(210)를 형성하면, 가이드부(210)는 가이드부(120)의 상면 전방 및 상면 후방에 각각 형성된 연통 개구(212)와 체결부(202)를 제외하면 가이드부(210)의 외부와는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게 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하부 가이드 하우징(212)는 베이스 플레이트(120b)의 하부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20b)를 향하는 방향(D2)으로 접근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20b)에 결합될 수 있다. 하부 가이드 하우징(212)가 베이스 플레이트(120b)에 결합되어 밀폐된 공간인 가이드부(210)를 형성할 수 있다. (단 가이드부(210)에 형성된 연통 개구(212)와 체결부(202)를 제외) 하부 가이드 하우징(212)가 베이스 플레이트(120b)에 결합되는 것은, 상부 가이드 하우징(211) 및 하부 가이드 하우징(212)은 서로 밀착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스테이션 흡입장치(131)에 의해 발생된 흡입력은 집진챔버(16)의 오물이 흡입구(201)로 흡입되고, 흡입구(201)로 흡입된 오물을 흡입구(201)와 연통된 가이드부(210)로 이송되는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기류의 방향을 흡입력 작용 방향(D1', 도 8 참조)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흡입력 작용 방향(D1')은 가이드부(210)가 연장되는 방향인 수평방향(D1) 중 흡입구(201)에서 연결호스 체결부(202)를 향하는 일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흡입구(201)를 향하여 개방된 집진챔버(16)의 하부 도어(15a)와 가이드부(210)가 연장되기 시작하는 가이드부(210)의 일측(210a) 사이에는, 흡입구(201)로 흡입된 오물을 흡입구(201)와 연통된 가이드부(210)로 이송되는 기류와 별개로 와류 (Vortex)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와류가 발생 하는 역을 이하 와류 영역(V)로 정의할 수 있다.
와류가 형성되므로, 집진챔버(16)의 하부 도어(15a)와 가이드부(210)가 연장되기 시작하는 가이드부(210)의 일측(210a)사이의 영역에 오물이 잔류하게 된다. 또한 와류의 형성으로 인하여, 흡입구(201)로 흡입된 오물을 흡입구(201)와 연통된 가이드부(210)로 이송되는 기류가 불안정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흡입구(201)로 흡입된 오물을 흡입구(201)와 연통된 가이드부(210)로 이송되는 기류와 별개로, 가이드부(210)가 연장되기 시작하는 일측(210a)으로부터 상기 와류 영역(V)을 향하는 외기의 흐름을 형성하여 상술한 와류의 발생을 억제하여, 잔류 먼지를 제거하고, 오물을 이송시키는 기류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가이드부(210)에 마련되는 통기구(300)의 형성 위치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가이드부(210)는 상부 가이드 하우징(211) 및 하부 가이드 하우징(212)가 서로 밀착되어 형성될 수 있음은 상술한 것과 같다. 따라서 통기구(300)는 상부 가이드 하우징(211) 및 하부 가이드 하우징(212)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통기구(300)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도 8, 도 11 및 도 14를 참조하면 통기구(300)는 2개 내지 3개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통기구(300)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와류를 억제할 수 있는 외기의 흐름을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다양한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의 하부 가이드 하우징 중, 통기구가 형성된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을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의 청소기 안착부의 단면도이다.
흡입구(201)로 흡입된 오물을 흡입구(201)와 연통된 가이드부(210)로 이송되는 기류와 별개로, 가이드부(210)가 연장되기 시작하는 일측(210a)으로부터 상기 와류 영역(V)을 향하는 외기의 흐름을 형성하여야 한다. 따라서 통기구(300)은 가이드부(210)의 일측(210a)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기구(300)은 가이드부(210)의 일측(210a)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하부 가이드 하우징(212)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100)의 가이드부(210)에 형성되는 통기구(300)의 구체적인 형성위치는 다음과 같다.
하부 가이드 하우징(212)은 가이드부(210)의 저면을 이루는 가이드 플레이트(213) 및 가이드 플레이트(213)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상부를 향하여 돌출된 펜스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가이드 하우징(211)은 펜스부(214)의 외측 둘레에 접하며 가이드부(210)의 측면을 형성하는 가이드 측벽(215)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가이드 하우징(211)과 하부 가이드 하우징(212)이 서로 밀착되면, 상부 가이드 하우징(211)의 상면, 가이드 측벽(215), 펜스부(214) 및 가이드 플레이트(213)에 의하여 가이드부(210)를 형성할 수 있다.
펜스부(214)는 내부에 중공부(214c)를 포함할 수 있다. 펜스부(214)가 가이드 플레이트(213)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므로, 중공부(214c) 역시 가이드 플레이트(213)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중공부(214c)를 형성함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120b)의 하부를 통하여 외기가 용이하게 가이드부(2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통기구(300)는 가이드부(210)의 일측(210a)에 대응되는 펜스부(214)에 형성되어 중공부(214c)와 가이드부(210)의 내부를 연통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펜스부(214)는 제1 펜스부(214a) 및 제1 펜스부(214a)와 사이에 중공부(214c)를 두고 경사를 이루는 제2 펜스부(21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펜스부(214a)는 가이드 측벽(215)과 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통기구(300)는 제1 펜스부(214a)보다 가이드부(210)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2 펜스부(214)에 형성될 수 있다. 통기구(300)는 제2 펜스부(214b)의 경사면 중 가이드 플레이트(213)의 저면으로부터 소정 간격(L1) 이격된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 도시된 것과 같이, 스테이션 흡입장치(131)에 의해 흡입력이 발생되기 시작하면 중공부(214c)에 체류하던 외기가 통기구(300)를 통하여 가이드부(210)가 연장되기 시작하는 가이드부(210)의 일측(210a)으로부터 와류 영역(V)을 향하는 방향(D3)으로 외기의 흐름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오물이 가이드 부(210)의 내측으로 쉽게 흘러내리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통기구(300)가 가이드 플레이트(213)의 저면으로부터 소정 간격(L1) 이격된 높이에 형성됨으로써, 오물이 통기구(300)를 통하여 외부로 쉽게 유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의 하부 가이드 하우징 중, 통기구가 형성된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을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의 청소기 안착부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과 관련하여 상술한 구성과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하고 차이점 위주로 서술하도록 한다.
도 11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100)의 하부 가이드 하우징(212')은 도 8에 도시된 펜스부(214)에서 함몰부(214d)가 추가될 수 있다.
함몰부(214d)는 펜스부(214)의 제2 펜스부(214b)의 경사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함몰된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통기구(300)는 함몰부(214d)의 양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통기구(300)가 서로 마주보며 형성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 도시된 것과 같이, 스테이션 흡입장치(131)에 의해 흡입력이 발생되기 시작하면 중공부(214c)에 체류하던 외기가 통기구(300)를 통하여 함몰부(214d)의 양 측면으로부터 함몰부(214d)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D5)으로 흘러 들어올 수 있다.
함몰부(214d)의 양 측면으로부터 함몰부(214d)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D5)으로 흘러 들어오던 외기의 흐름은 스테이션 흡입장치(131)에 의해 흡입력이 작용하고, 함몰부(214d)의 중간지점에서 합류하게 되는 구조에 의하여 다시 가이드부(210)가 연장되기 시작하는 가이드부(210)의 일측(210a)으로부터 와류 영역(V)을 향하는 방향(D3)으로 유동하게 된다.
도 14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의 상부 가이드 하우징 중, 통기구가 형성된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의 청소기 안착부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과 관련하여 상술한 구성과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하고 차이점 위주로 서술하도록 한다.
도 14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스테이션(100)은 다른 실시예들과 달리 통기구(300)가 상부 가이드 하우징(211')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기구(300)는 가이드부(210)의 일측(210a)에 대응되는 가이드 측벽(215)에 형성될 수 있다. 통기구(300)는 펜스부(214)의 상단보다 위에 위치하도록 가이드 플레이트(213)의 저면으로부터 소정 간격(L1) 이격된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5 도시된 것과 같이, 스테이션 흡입장치(131)에 의해 흡입력이 발생되기 시작하면 상부 커버(120a)와 베이스 플레이트(120b)의 사이의 공간에 체류하던 외기가 통기구(300)를 통하여 가이드부(210)가 연장되기 시작하는 가이드부(210)의 일측(210a)으로부터 와류 영역(V)을 향하는 방향(D3)으로 외기의 흐름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오물이 가이드 부(210)의 내측으로 쉽게 흘러내리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통기구(300)가 가이드 플레이트(213)의 저면으로부터 소정 간격(L1) 이격된 높이에 형성됨으로써, 오물이 통기구(300)를 통하여 외부로 쉽게 유출되지 않을 수 있다.
10; 로봇청소기
100; 로봇청소기 스테이션
120; 청소기 안착부
200; 연결장치
201; 흡입구
210; 가이드부
210a; 가이드부의 일측
211, 211'; 상부 가이드 하우징
212, 212'; 하부 가이드 하우징
214; 펜스부
214c; 중공부
215; 가이드 측벽
216; 함몰부
219; 가이드 유로
V; 와류 영역
100; 로봇청소기 스테이션
120; 청소기 안착부
200; 연결장치
201; 흡입구
210; 가이드부
210a; 가이드부의 일측
211, 211'; 상부 가이드 하우징
212, 212'; 하부 가이드 하우징
214; 펜스부
214c; 중공부
215; 가이드 측벽
216; 함몰부
219; 가이드 유로
V; 와류 영역
Claims (20)
- 로봇청소기가 안착되며, 상기 로봇청소기의 집진장치와 연통되는 흡입구를 포함하는 청소기 안착부;
상기 흡입구로 흡입되는 상기 집진장치의 오물이 수집되는 수거챔버와, 상기 집진장치의 오물이 상기 수거챔버로 흡입되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스테이션 흡입장치를 포함하는 수거장치; 및
일단이 상기 흡입구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수거챔버와 연결되는 연결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파트는,
상기 연결 파트의 상기 일단과 인접한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고 상기 청소기 안착부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 중, 상기 가이드부가 연장되기 시작하는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과 상기 흡입구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오물이 정체되도록 하는 와류가 형성되는 와류 영역; 및
상기 가이드부가 연장되기 시작하는 상기 일측으로부터 상기 와류 영역을 향하는 외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통기구;를 포함하는 로봇청소기 스테이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 가이드 하우징 및 상기 가이드부의 하부를 형성하며 상기 상부 가이드 하우징에 대응되는 하부 가이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가이드 하우징 및 상기 하부 가이드 하우징은 서로 밀착되어 상기 가이드부를 형성하는 로봇청소기 스테이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가이드 하우징은, 가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상부를 향하여 돌출된 펜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가이드 하우징은, 상기 펜스부의 외측 둘레에 접하며 상기 가이드부의 측면을 형성하는 가이드 측벽을 포함하는 로봇청소기 스테이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펜스부는 내부에 중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공부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하부 영역을 향하여 개방되는 로봇청소기 스테이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는,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일측에 대응되는 상기 펜스부에 형성되어, 상기 중공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로봇청소기 스테이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펜스부는,
상기 가이드 측벽과 접하는 제1 펜스부 및 상기 제1 펜스부와 사이에 상기 중공부를 두고 경사를 이루는 제2 펜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기구는 상기 제2 펜스부에 형성되는 로봇청소기 스테이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는 상기 펜스부의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저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로봇청소기 스테이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펜스부는 상기 와류 영역이 안착되는 함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기구는 상기 함몰부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로봇청소기 스테이션. - 삭제
- 삭제
-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가이드 하우징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가이드 하우징과 상기 하부 가이드 하우징은 상기 실링부재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밀착되어 상기 가이드부를 형성하는 로봇청소기 스테이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이드 하우징은 상기 청소기 안착부를 형성하며 지면과 마주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지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시키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복수의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로봇청소기 스테이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제1 체결부, 상기 제1 체결부와 대응되도록 상기 하부 가이드 하우징의 둘레에 형성되는 제2 체결부 및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를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로봇청소기 스테이션. -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는 복수로 마련되는 로봇청소기 스테이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7016A KR102466280B1 (ko) | 2020-12-02 | 2020-12-02 | 로봇청소기 스테이션 |
PCT/KR2021/013592 WO2022119094A1 (ko) | 2020-12-02 | 2021-10-05 | 로봇청소기 스테이션 |
US18/199,421 US20230284854A1 (en) | 2020-12-02 | 2023-05-19 | Robot cleaner st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7016A KR102466280B1 (ko) | 2020-12-02 | 2020-12-02 | 로봇청소기 스테이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77758A KR20220077758A (ko) | 2022-06-09 |
KR102466280B1 true KR102466280B1 (ko) | 2022-11-14 |
Family
ID=81853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67016A KR102466280B1 (ko) | 2020-12-02 | 2020-12-02 | 로봇청소기 스테이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230284854A1 (ko) |
KR (1) | KR102466280B1 (ko) |
WO (1) | WO2022119094A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6185189A (ja) * | 2015-03-27 | 2016-10-27 |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 電気掃除機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70584B1 (ko) * | 2011-09-01 | 2019-08-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청소 시스템과 그 메인터넌스 스테이션 |
KR20160096099A (ko) * | 2013-12-06 | 2016-08-12 | 알프레드 캐르혀 게엠베하 운트 컴파니. 카게 | 자기 추진형 및 자기 스티어링형 플로어 청소 디바이스 및 청소 시스템 |
EP3236827B1 (en) * | 2014-12-24 | 2020-09-30 | iRobot Corporation | Evacuation station |
KR102620360B1 (ko) * | 2018-12-14 | 2024-01-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로봇 청소기, 스테이션 및 청소 시스템 |
CN109480714B (zh) * | 2018-12-25 | 2023-10-03 | 北京享捷科技有限公司 | 一种扫地机器人吸尘充电装置以及吸尘充电方法 |
-
2020
- 2020-12-02 KR KR1020200167016A patent/KR10246628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
- 2021-10-05 WO PCT/KR2021/013592 patent/WO2022119094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3
- 2023-05-19 US US18/199,421 patent/US20230284854A1/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6185189A (ja) * | 2015-03-27 | 2016-10-27 |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 電気掃除機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2119094A1 (ko) | 2022-06-09 |
KR20220077758A (ko) | 2022-06-09 |
US20230284854A1 (en) | 2023-09-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70035B1 (ko) |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 |
US11517164B2 (en) | Robot cleaner, station, and cleaning system | |
KR102620360B1 (ko) | 로봇 청소기, 스테이션 및 청소 시스템 | |
US11452417B2 (en) | Robot cleaner station | |
CN111432704B (zh) | 机器人清洁器 | |
EP1980188B1 (en) | Robot cleaner with improved dust collector | |
JP2016042921A (ja) | 電気掃除機 | |
JPH09192059A (ja) | 掃除機および掃除機頭部 | |
CN105517473B (zh) | 自走式吸尘器 | |
US20040134026A1 (en) | Air-flow routing in the bottom part of a vacuum cleaner | |
JP6489893B2 (ja) | 電気掃除機 | |
KR102466280B1 (ko) | 로봇청소기 스테이션 | |
CN114617479A (zh) | 吸尘过滤组件、集尘桩及清洁系统 | |
JP6288307B2 (ja) | 電気掃除機 | |
WO2022227427A1 (zh) | 风机组件、集尘桩及清洁系统 | |
JP3723104B2 (ja) | 電気掃除機 | |
CN217792912U (zh) | 清洁机器人及清洁系统 | |
CN219538160U (zh) | 一种扫地机器人主机及扫地机器人 | |
CN221153949U (zh) | 清洁设备和清洁系统 | |
KR20240009277A (ko) | 청소기와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 |
KR101851586B1 (ko) | 진공 청소기용 이물질 집진장치 | |
JP3781661B2 (ja) | 電気掃除機 | |
JP2004049783A (ja) | 電気掃除機 | |
JP2017131339A (ja) | 電気掃除装置 | |
JP2001149286A (ja) | 電気掃除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